KR100431012B1 - 감압성접착라벨 - Google Patents

감압성접착라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1012B1
KR100431012B1 KR1019970002299A KR19970002299A KR100431012B1 KR 100431012 B1 KR100431012 B1 KR 100431012B1 KR 1019970002299 A KR1019970002299 A KR 1019970002299A KR 19970002299 A KR19970002299 A KR 19970002299A KR 100431012 B1 KR100431012 B1 KR 100431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tive adhesive
resin film
film
pressure
stret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2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7055A (ko
Inventor
다카토시 니시자와
야쓰오 이와사
아키히코 오노
Original Assignee
오지유카고세이시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지유카고세이시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지유카고세이시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70067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70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1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10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4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to be fastened or secured by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e.g. by thermo-adhes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0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by an adhesive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6Porous or cellular plasti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1Product with molecular orient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4Layer or component removable to expose adhesi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4Layer or component removable to expose adhesive
    • Y10T428/1452Polymer derived only from ethylenically unsaturated monom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4Layer or component removable to expose adhesive
    • Y10T428/1471Protective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4Layer or component removable to expose adhesive
    • Y10T428/1476Release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4Layer or component removable to expose adhesive
    • Y10T428/149Sectional layer remova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273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aperture
    • Y10T428/24322Composite web or sheet
    • Y10T428/24331Composite web or sheet including nonapertured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942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components having same physical characteristic in differing degree
    • Y10T428/2495Thickness [relative or absolu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장 추운 조건에서조차 거의 컬링이 일어나지 않으며, 무기 미세 분말을 함유하는 결정질 폴리올레핀 수지를 연신시킴으로써 수득되는 미공질의 연신된 수지 필름을 표면 물질로서 가지며 이 표면 물질의 한면에 감압성 접착층이 제공되고 감압성 접착층 위에 이형지가 제공된, 신규한 감압성 접착 라벨을 제공하며, 여기서 미공질의 연신된 수지 필름은 다음의 물리적 특성 (1) 및 (2)를 만족시킨다:
(1) -10℃에서 종방향의 선형 열팽창 계수(JIS K-7197)가 10 내지 70 ㎛/m· ℃이고;
(2) 0℃에서 종방향의 선형 열팽창 계수가 10 내지 75㎛/m · ℃이다.

Description

감압성 접착 라벨
본 발명은 무기 미세 분말을 함유하는 결정질 폴리올레핀 수지를 연신시킴으로써 수득되는 미공질의 연신된 수지 필름을 표면 물질로서 가지며 이 표면 물질의 배면에 감압성 접착층이 제공되고 감압성 접착층 위에 이형지가 제공된, 감압성 접착 라벨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감압성 접착 라벨은 엠블렘, 뱃지, 스틱커, 씰 테이프, 서식 시트, 바코드 종이, 상표 라벨 및 항공 수화물 택 등으로서 유용하다.
감압성 접착 라벨은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터 오일 캔 및 등유 캔 위에 부착되는 상표 라벨로서 사용될 수 있고, 아동용 과자에 첨부되는 선물로서 문자가 그 위에 인쇄된 라벨 또는 엠블렘으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항공 수하물 택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라벨은 전형적으로 펄프지, 알루미늄 호일, 합성지 및 이축 연신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과 같은 시트의 배면에 제공된 감압성 접착층과 이 접착층 위에 제공된 이형지를 포함한다. 문자 또는 화상은 필요한 경우 시트의 앞면에 인쇄되거나 타이핑된다.
이형지로서, 한면 또는 양면에 폴리올레핀 수지 필름이 코팅된 펄프지를 포함하는 적층화된 종이, 글라신지, 수지 코팅지, 및 한면 또는 양면(앞면 및 배면)이 실리콘 화합물 또는 불소 화합물과 같은 이형제로 코팅된 종이 기판을 포함하는 이형지가 종종 사용된다.
연필로 그 위에 글씨를 쓸 수 있거나 방수성을 갖는 접착 라벨이 요구되는 적용물에서, 합성지는 JP-B-50-29738(여기서 사용되는 "JP-B"라는 용어는 "심사된 일본 특허 공보"를 의미한다), JP-B-U-2-45893(여기서 사용되는 "JP-B-U"라는 용어는 "심사된 일본 실용신안 공보"를 의미한다) 및 U.S. 특허 제3,963,851호 및 제5,318,817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표면 물질을 형성하는 시트 물질로서 사용된다.
이러한 합성지로서, 하소된 점토, 탄산칼슘, 활석, 운모, 산화티탄 및 규조토와 같은 무기 미세 분말을 함유하는 폴리프로필렌, 프로에틸렌 및 폴리스티렌과 같은 폴리올레핀을 연신시킴으로써 수득한 미공질의 연신된 폴리올레핀 필름이 사용된다.
현재, 실용화된 상기 폴리올레핀 합성지를 표면 물질로서 포함하는 감압성 접착 라벨은 방수성, 내마모성, 인쇄능 및 타이핑능이 우수하지만, 이들은 0℃ 이하의 온도에서, 예를 들면, 겨울철에 급격하게 컬링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인지되어 있다.
이러한 감압성 접착 라벨은 0℃ 미만의 나쁜 조건하에서 인쇄되거나 타이핑되는 경우 공급되지 않거나 방출되지 못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저온 조건하에서 자동 라벨링 장치에 의해 (용기와 같은)부착을 요하는 물건에 상기 감압성 접착 라벨을 부착시키려 하는 경우, 이형지를 라벨로부터 박리시킬때 합성지의 컬링 현상이 봄철, 여름철 및 가을철 비해 더 심하다. 이는, 라벨이 목적하는 특정 위치로부터 이탈된 위치에서 물체에 부착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부착될 물체와 라벨 사이의 거리는 라벨 부착 속도를 늦출 수 있도록 다소 떨어져 있을 필요가 있다.
봉투 위에 부착될 주소 인쇄 라벨로서 사용되는 경우의 상기 감압성 접착 라벨은 인쇄기에 잘못 공급되거나 인쇄기로부터 잘못 배출되어 봉투 위에 잘못 배열되어 인쇄를 잘못 등록시킬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 합성지가 가장 추운 계절에 보다 더 컬링되는 이유는, 이형지(이는, -10℃에서 종방향 및 횡방향에서의 선형 열팽창 계수가 약 10 내지 30㎛/m· ℃이다) 및 합성지가 상이한 열팽창 계수를 가진다는 점과 이형지를 구성하는 펄프지가 다른 계절에 비해 겨울철에 건조되는 경우 더 용이하게 수축될 수 있다는 점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므로, 컬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인쇄, 타이핑 및 부착과 같은 과정을 봄, 여름 및 가을에서와 동일한 조건(10℃ 내지 40℃)하에서 수행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는 모든 잠정적인 사용자에게 명백하게 가능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장 추운 계절에조차 컬링이 거의 일어나지 않는 감압성 접착 라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수단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로부터 보다 명백할 것이다.
본 발명은 무기 미세 분말을 함유하는 결정질 폴리올레핀 수지를 연신시킴으로써 수득되는 미공질의 연신된 수지 필름인 표면 물질(바로 그 위에 글씨가 씌어질 물질 등), 이 표면 물질의 배면에 제공된 감압성 접착층, 및 감압성 접착층 위에 제공된 이형지를 포함하며, 여기서 미공질의 연신된 수지 필름은 다음의 물리적 특성 (1) 및 (2),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을 만족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성 라벨을 제공한다:
(1) -10℃에서 종방향의 선형 열팽창 계수(JIS K-7197)가 10 내지 70 ㎛/m · ℃이고;
(2) 0℃에서 종방향의 선형 열팽창 계수가 10 내지 75㎛/m · ℃이고;
(3) -10℃에서와 +23℃에서의 종방향의 선형 열팽창 계수(JIS K-7197)의 평균치가 10 내지 80㎛/m · ℃이고;
(4) 종방향의 선형 열팽창 계수의 평균치와 종방향의 미공질 수지 필름의 영모듈러스(JIS P-8132; 단위: kg/㎠)를 곱한 값의 절대치는 200,000 내지 1,000,000이고;
(5) 종방향의 영모듈러스(JIS P-8132)는 5,000 내지 20,000 kg/cm2이고;
(6) 다음 수학식 1로 정의된 다공성이 35 내지 55%이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수학식에서,
ρo는 미연신 수지 필름의 밀도이고,
ρ는 연신된 수지 필름의 밀도이다.
본 발명은 또한 무기 미세 분말을 함유하는 결정질 폴리올레핀 수지를 연신시킴으로써 수득되는 미공질의 연신된 수지 필름인 표면 물질(바로 그 위에 글씨가 씌어질 물질 등), 이 표면 물질의 배면에 제공된 감압성 접착층, 및 감압성 접착층 위에 제공된 이형지를 포함하며, 여기서 미공질의 연신된 수지 필름은 다음의 물리적 특성(1') 내지 (6')을 만족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성 라벨을 제공한다:
(1') -10℃에서 종방향의 선형 열팽창 계수(JIS K-7197)가 10 내지 70㎛/m · ℃이고;
(2') 0℃에서 종방향의 선형 열팽창 계수가 10 내지 75㎛/m · ℃이고;
(3') -10℃에서와 +23℃에서의 종방향의 선형 열팽창 계수(JIS K-7197)의 평균치가 70 내지 85㎛/m · ℃이고;
(4') 종방향의 선형 열팽창 계수의 평균치와 종방향의 미공질 수지 필름의 영모듈러스(JIS P-8132; 단위: kg/㎠)를 곱한 값의 절대치는 900,000 내지 1,300,000이고;
(5') 종방향의 영모듈러스(JIS P-8132)는 10,000 내지 30,000 kg/㎠이고;
(6')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다공성이 20 내지 30%이다.
본 발명은 추가로 하기에 기술될 수 있다.
미공질 수지 필름:
인쇄, 타이핑 또는 글쓰기가 수행될 미공질의 연신된 수지 필름은 무기 미세분말을 함유하는 폴리올레핀 필름을 연신시킴으로써 수득되며, 하기의 물리적 특성(1) 및 (2)를 나타낸다:
(1) -10℃에서 종방향의 선형 열팽창 계수(JIS K-7197)가 10 내지 70㎛/m · ℃이고;
(2) 0℃에서 종방향의 선형 열팽창 계수가 10 내지 75㎛/m · ℃이다.
바람직하게는, 23℃에서 종방향의 영모듈러스는 5,000 내지 20,000 kg/㎠,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0 내지 10,000 kg/㎠이고, 하기의 수학식 1로부터 계산된 바와 같은 다공성은 35 내지 55%이다. -10℃에서와 +23℃에서의 종방향의 선형 열팽창 계수(JIS K-7197)의 평균치가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80㎛/m · ℃이고, 미공질 수지 필름의 종방향의 선형 열팽창 계수의 평균치와 종방향의 영모듈러스(JIS P-8132; 단위: kg/㎠)를 곱한 값의 절대치는 200,000 내지 1,000,000이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2
상기 수학식에서,
ρo는 미연신 수지 필름의 밀도이고,
ρ는 연신된 수지 필름의 밀도이다.
본 발명의 미공질의 연신된 수지 필름은 무기 미세 분말을 함유하는 폴리올레핀을 연신시킴으로써 수득할 수 있으며, 이의 다공성은 20 내지 30%이고, 바람직하게는 하기의 물리적 특성(1') 내지 (6')을 나타낸다;
(1') -10℃에서 종방향의 선형 열팽창 계수(JIS K-7197)가 10 내지 70㎛/m· ℃이고,
(2') 0℃에서 종방향의 선형 열팽창 계수가 10 내지 75㎛/m · ℃이고;
(3') -10℃에서와 +23℃에서의 종방향의 선형 열팽창 계수(JIS K-7197)의 평균치가 70 내지 85㎛/m · ℃이고;
(4') 미공질 수지 필름의 종방향의 선형 열팽창 계수의 평균치와 종방향의 영모듈러스(JIS P-8132; 단위: kg/㎠)를 곱한 값의 절대치는 900,000 내지 1,300,000이고;
(5') 종방향의 영모듈러스(JIS P-8132)는 10,000 내지 30,000 kg/㎠이고;
(6')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다공성이 20 내지 30%이다.
무기 충전제의 함량을 증가시키거나, 보다 낮은 선형 열팽창 계수를 갖는 무기 충전제를 함유하고/하거나 저온에서 또는 높은 연신비로 필름을 연신시켜 다음과 같은 물리적 특성을 만족시키는 연신된 폴리올레핀 수지, 즉 시판제품 또는 하기예(1) 내지 (3)에서 기술된 생성물보다 종방향에서 낮은 선형 열팽창 계수 및 종방향에서 낮은 영모듈러스(Young's modulus)를 갖는 합성지로 이루어지는 상기한 미공질의 연신된 수지 필름을 제공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하기예(1) 내지 (3)에서 기술되는 바와 같이 특정 특허중의 작용 실시예에서 기술된 바와 같은 동일한 방법을 반복한다.
통상의 연신된 폴리올레핀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진 미공질 합성지의 재료 및 구조에 있어서, 하기예(1) 내지 (3)을 참고로 하여 제조될 수 있다:
(1) 무기 충전제를 8 내지 65중량%를 함유하는 미공질의 2축 연신된 폴리올레핀 필름(JP-B-54-31032 및 미국 특허 제3,775,521호, 제4,191,719호, 제4,877,616호 및 제4,560,614호에 기술됨).
(2) 기저(코어)층으로서 2축 연신된 폴리올레핀 필름 및 종이와 같은 층으로서 무기 미세 분말을 8내지 65중량%를 함유,하는 단축 연신된 필름을 포함하는 합성지(JP-B-46-40794, JP-A-57-149363(본원에서 사용된 용어"JP-A"는 미심사 공개된 일본 특허원을 의미한다) 및 JP-A-57-181829에 기술됨).
합성지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합성지는 2층, 3층 또는 이보다 다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3층 합성지의 예는 종이와 같은 층으로서 이의 양면위에 제공된 단축-연신된 필름을 갖는 기저층을 포함하는 것이다(JP-B-46-40794에 기술됨). 다층(3층 또는 이보다 다층) 합성지의 다른 예는 종이와 같은 층과 기저층 사이에 삽입된 수지 필름층을 포함하는 다층(3층 내지 7층) 합성지를 포함한다(JP-B-50-29738, JP-A-57-149363, JP-A-56-126155 및 JP-A-57-181829에 기술됨).
3층 합성지의 제조는 원료 수지(무기 미세 분말 없음)의 융점보다 낮은 온도에서 무기 미세 분말을 8 내지 50중량%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한 방향으로 연신시키고, 이렇게 기저층으로서 수득된 단축-연신된 필름을 기저층으로서의 단축-연신된 필름의 양면위에 무기 미세 분말을 8 내지 65중량%의 양으로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 필름위에 적층시킨 다음, 기저층을 구성하는 필름의 연신 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적층체를 연신시킴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수행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수득된 3층 합성지는 거기에 다수의 기공을 포함하고 이의 양면위에 제공된 2축-연신된 기저층과 단축-연신된 종이와 같은 층을 포함하는 적층체이다.
(3) 종이와 같은 충면(들)에서 또 하나의 합성지에 적층됨을 포함하는 합성지. 상기한 구조의 특정예는 다음을 포함한다: (a) 종이와 같은 면(들) 위에 제공된 두께가 0.1 내지 20㎛인, 무기 미세 분말 부재의 투명한 열가소성 수지 적층체 층을 갖는 합성지(2)를 포함함으로써 고광택 인쇄를 그 위에서 실행할 수 있는 합성지(JP-B-4-60437, JP-B-1-60411 및 JP-A-61-3748에 기술됨), (b) 기저층으로서 열가소성 수지의 2축-연신된 필름 및 기저층의 양면위에 적층된 무기 미세 분말을 8 내지 65중량%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의 단축-연신된 필름을 갖는 다층 필름인 지지체, 상기한 지지체의 한면위에 적층된 무기 미세 분말 부재의 투명한 폴리올레핀 필름 및 그 위에 제공된 대전방지 효과를 갖는 하도제 도료를 포함하는 합성지(JP-A-61-3748에 기술됨) 및 (c) 기저층으로서 2축-연신된 폴리올레핀 필름, 무기 미세 분말을 8 내지 65중량% 함유하는 단축-연신된 폴리올레핀 필름으로 이루어진 종이와 같은 층, 및 기저층의 한면 이상에 적층된 단축-연신된 폴리올레핀 필름으로 이루어진 표면층을 포함하는 합성지이고, 여기서 다층 수지 필름은 하기 수학식 2를 만족한다.
[수학식 2]
Figure pat00003
상기 수학식에서,
t는 표면층의 두께이고,
R은 종이와 같은 층에 존재하는 무기 미세 분말의 평균 입자 직경이다.
미공질 수지 필름의 기저층으로서 사용되는 폴리올레핀 수지로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4-메틸펜텐-1), 프로필렌-4-메틸펜텐-1 공중합체 또는 프로필렌-에틸렌-부텐-1 공중합체 등을 단독으로 또는 혼합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기저층의 주요 수지로서 사용될 경우의 폴리프로필렌은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보다 저융점인 열가소성 수지,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또는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를 총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3 내지 25중량% 포함한다. 이러한 저융점 성분은 신축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무기 미세 분말의 예는 탄산칼슘, 하소된 점토, 실리카, 규조토, 활석, 산화티탄 및 황산바륨을 포함한다. 이러한 무기 미세 분말의 평균 입자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0.03 내지 8㎛이다.
미공질의 연신된 수지 필름이 제조되는 연신비는 종(세로)방향 및 횡방향 양 방향에 있어서 4 내지 12가 바람직하다. 사용되는 경우, 호모폴리프로필렌(융점: 164 내지 167℃)이 연신되는 연신 온도는 140 내지 155℃가 바람직하다. 사용되는 경우, 고밀도 폴리프로필렌(융점: 121 내지 134℃)이 연신되는 연신 온도는 105 내지 125℃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형성되는 미세한 기공 또는 미공을 갖는 연신된 폴리올레핀 수지 필름의 두께는 30 내지 300㎛,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50㎛이다.
미공질의 연신된 수지 필름의 종방향에서 선형 열팽창 계수가 상기 요구조건, (1) (-10℃에서) 및 (2) (0[에서)에서 규정된 상한치를 초과할 경우, 생성되는 감압성 접착 라벨은 가장 추운 계절에 현저하게 높은 컬링(curling)을 나타낸다.
폴리올레핀 수지의 특성 및 연신비와 필름에 도입되는 무기 충전제 함량의제한은 필름의 선형 열팽창 계수를 상기 요구조건, (1) (-10℃에서) 및 (2) (0℃에서)에서 규정된 값 미만의 값으로 감소시키는 것, 즉 필름의 선형 열팽창 계수를 펄프지의 선형 열팽창 계수에 근접하도록 하는 것은 어렵다.
컬링을 방지하기 위해서, 미공질의 연신된 수지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55%만큼 높은 다공성을 갖고 종방향에서의 영모듈러스가 5,000 내지 10,000kg/㎠ 미만이다. 그러나, 미공질의 연신된 수지 필름의 다공성이 너무 높을 경우, 인쇄, 감압성 접착제의 코팅 및 이형지의 접착 등을 위한 특정 형태의 기계를 사용하여 감압성 접착제의 제조를 위한 공정에 사용될 때 주름진 감압성 접착제 라벨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기계를 사용하는 경우, 미공질의 연신된 필름의 다공성이 20 내지 30%이고, 종방향에서의 영모듈러스가 10,000 내지 30,000kg/㎠이 바람직하다.
감압성 접착제: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감압성 접착제의 예는 폴리이소부틸렌 고무; 부틸 고무; 유기 용매, 예를 들면 벤젠, 톨루엔, 크실렌 및 헥산에 용해되는 폴리이소부틸렌 고무와 부틸 고무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고무 접착제; 상기한 고무 접착제를 점성 부여제, 예를 들면 아비에트산 로진 에스테르, 테르펜-페놀 공중합체 또는 테르펜-인덴 공중합체(이들은 모두 "고무 접착제" 이다)와 혼합함으로써 수득되는 접착제; 및 유리전이온도가 -20℃ 이하인 아크릴계 공중합체, 예를 들면 톨루엔 또는 크실렌 등과 같은 유기 용매중의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n-부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또는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에틸 아크릴레이트-메틸 메타크릴레이트를용해시킴으로써 수득되는 아크릴계 접착제를 포함한다.
감압성 접착제의 코팅량은 무수 고체 함량으로 계산하여 바람직하게는 3 내지 40g/㎡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g/㎡이다.
코팅되고 건조된 감압성 접착제의 두께는 일반적으로 아크릴계 접착제일 경우에는 10 내지 50㎛이고, 고무 접착제일 경우에는 80 내지 150㎛이다.
미공질의 연신된 수지 필름과 감압성 접착제 사이의 접착력이 약할 경우(100g/15mm 너비 미만), 하도제는 바람직하게는 감압성 접착제의 코팅 전에 미공질 수지 필름의 배면에 코팅된다.
상기한 하도제로서 폴리우레탄, 폴리이소시아네이트-폴리에테르 폴리올 공중합체, 폴리이소시아네이트-플리에스테르 폴리올-폴리에틸렌이민 공중합체 또는 알킬 티타네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하도제는 일반적으로 코팅 전에 유기 용매, 예를 들면 메탄올, 물, 에틸 아세테이트, 톨루엔 및 헥센에 용해시킨 다음, 용매를 건조시켜 제거한다.
기판에 코팅되는 하도제의 양은 무수 고체 함량으로 계산하여 0.01 내지 5g/㎡이고,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2g/㎡이다.
이형지:이형지는 펄프지의 표면 위에 형성된 이형가능한 수지 층과 중량이 80 내지 300g/㎡인 펄프지를 포함한다. 이형가능한 수지 층은 이형가능한 수지, 예를 들면 실리콘 수지 또는 폴리에틸렌 왁스를 상기한 유기 용매에 용해시킨 다음, 이 용액을 펄프지에 코팅시킨 후 건조시킴을 포함하는 방법으로 형성된다.
이형가능한 수지의 코팅량은 무수 고체 함량으로 계산하여 0.5 내지 10g/㎡이고,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g/㎡이다.
인쇄, 타이핑:
상품명, 상품 제조원, 유효기간, 문자 패턴, 기입될 공백 또는 바코드 등과 같은 정보가 필요에 따라서 미공질 수지 필름의 표면위에 인쇄된다.
인쇄는 감압성 접착제의 코팅 전에 수행할 수 있거나 그 위에 접착된 이형지를 갖는 감압성 접착 라벨 구조물 위에서 수행할 수 있다.
미공질 수지 필름은, 사용 목적에 따라서, 잉크 젯 기록층과 같은 잉크 수용층 또는 이의 표면위에 제공된 열 전사 화상-수용층, 예를 들면 명함 또는 항공 수하물 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서 추가로 기술된다.
미공질 수지 필름의 제조:
제조예 1
방법(1):
용융물 유속(MFR; JIS K-7211, 230℃에서. 하중 2.16kg)이 0.8g/10min인 폴리프로필렌 72중량% 및 고밀도 폴리에틸렌 5중량%를 평균 입자 직경이 1.5㎛인 탄산칼슘 23중량%와 혼합시켜 수득한 조성물(a1)을 270℃의 온도로 조정되어 있는 압출기를 통해서 혼련시키고 압출시켜서 필름을 형성시키고, 이후에 냉각 장치에 의해 50℃로 냉각시켜 미연신 필름을 수득한다.
이렇게 수득한 미연신 필름을 140℃의 온도로 가열하여 종(세로)방향에서 연신비 5로 연신시켜서 5배 연신된 필름을 수득한다.
방법(2):
MFR이 4.0g/10min인 폴리프로필렌 55중량%를 평균 입자 직경이 1.5㎛인 탄산칼슘 45중량%와 혼합시켜 수득한 표면층 조성물(a2)을 270℃의 온도로 조정되어 있는 압출기를 통해서 혼련시키고 압출시켜서 필름을 수득하고, 이후에 방법(1)에서 수득된 5배 연신된 필름의 표면 앞면에 적층시킨다.
별도로, MFR이 4.0g/10min인 폴리프로필렌 55중량%와 평균 입자 직경이 1.5㎛인 탄산칼슘 45중량%를 혼합시켜서 수득한 조성물(a3) 및 MFR이 4.0g/10min인 폴리프로필렌 84중량%와 평균 입자 직경이 1.5㎛인 탄산칼슘 16중량%를 혼합하여 수득한 표면 배면층 혼합물(a4)을 개별적인 압출기에서 270℃의 온도에서 용융-혼련시켜서 이들이 적층되는 공-압출 다이로 공급한 다음, 공-압출 다이를 통해서 압출시켜서 필름을 수득하고, 이후에 방법(1)에서 수득된 5배 연신된 필름의 표면 앞면의 반대면에 표면 배면층 혼합물의 최외각 층으로 적층시킨다. 이렇게 수득된 적층체를 60℃의 온도로 냉각시키고, 150℃의 온도로 가열하여 횡방향에서 텐터(tenter)에 의해 연신비 7.5로 연신시키고, 162℃의 온도에서 어닐링한 다음, 60℃의 온도로 냉각시킨 다음, 이의 가장자리를 절단하여 세공(다공성: 40%)을 갖는 80㎛ 두께의 4층 적층된 연신 필름((a2)/(a1)/(a3)/(a4); 두께: 20/40/5/15㎛)을 수득한다.
제조예 2
방법(1):
MFR이 0.8g/10min인 폴리프로필렌 77중량%를 고밀도 폴리에틸렌 3중량% 및 평균 입자 직경이 1.5㎛인 탄산칼슘 20중량%와 혼합시켜 수득한 조성물(a1)을 270℃의 온도로 조정되어 있는 압출기를 통해서 혼련시키고 압출시켜 필름을 형성하고, 이후에 냉각 장치에 의해 50℃의 온도로 냉각시켜 미연신 필름을 수득한다. 이렇게 수득한 미연신 필름을 140℃의 온도로 가열하여 종(세로)방향에서 연신비 5로 연신시킨다.
방법(2):
MFR이 4.0g/10min인 폴리프로필렌 60중량%를 평균 입자 직경이 1.5㎛인 탄산칼슘 40중량%와 혼합시켜 수득한 조성물(a2)을 또 하나의 압출기에서 혼련시킨 다음, 다이를 통해서 압출시켜서 필름을 수득하고 이후에 방법(1)에서 수득된 5배 연신된 필름의 양면에 적층시켜서 3층 적층 필름을 수득한다.
후속적으로, 3층 적층 필름을 60℃의 온도로 냉각시키고, 155℃의 온도로 가열하여 횡방향에서 텐터에 의해 연신비 7.5로 연신시키고, 162℃의 온도에서 어닐링한 다음, 60℃의 온도로 냉각시킨 다음, 이의 가장자리를 절단하여 두께가 80㎛(a2/a1/a2=16㎛/48㎛/16㎛)인 3층(단축-연신된 필름/2축-연신된 필름/단축-연신된 필름) 적층된 연신 필름(다공성: 38%)을 수득한다.
제조예 3
횡방향 연신을 수행하는 온도를 155℃에서 150℃로 변화시키는 것외에는 제조예 2의 방법에 따라서 3층 연신된 미공질 수지 필름을 수득한다(다공성: 44%).
제조예 4
방법(1):
MFR이 0.8g/10min인 폴리프로필렌 67중량%를 고밀도 폴리에틸렌 3중량% 및 평균 입자 직경이 1.5㎛인 탄산칼슘 30중량%와 혼합시켜 수득한 조성물(a1)을 270℃의 온도로 조정되어 있는 압출기를 통해서 혼련시키고 압출시켜 필름을 수득하고, 이후에 냉각 장치에 의해 냉각시켜 미연신 필름을 수득한다. 이렇게 수득한 미연신 필름을 140℃의 온도로 가열하여 종방향에서 연신비 5로 연신시킨다.
방법(2):
MFR이 4.0g/10min인 폴리프로필렌 50중량%를 평균 입자 직경이 1.5㎛인 탄산칼슘 50중량%와 혼합시켜 수득한 조성물(a2)을 또 하나의 압출기에서 혼련시킨 다음, 다이를 통해서 압출시켜서 필름을 수득하고, 이후에 방법(1)에서 수득된 5배 연신된 필름의 양면에 적층시켜서 3층 적층 필름을 수득한다.
후속적으로, 3층 적층 필름을 60℃의 온도로 냉각시키고, 약 155℃의 온도로 가열하여 횡방향에서 텐터에 의해 연신비 7.5로 연신시키고, 162℃에서 어닐링한 다음, 60℃의 온도로 냉각시켜서 이의 가장자리를 절단하여 두께가 80㎛(a2/a1/a2=16㎛/48㎛/16㎛)인 3층(단축-연신된 필름/2축-연신된 필름/단축-연신된 필름) 적층된 연신 필름(다공성: 46%)을 수득한다.
제조예 5
방법(1):
MFR이 0.8g/10min인 폴리프로필렌 81중량%를 고밀도 폴리에틸렌 3중량% 및 평균 입자 직경이 1.5㎛인 탄산칼슘 16중량%와 혼합시켜 수득한 조성물(a1)을 270℃의 온도로 조정되어 있는 압출기를 통해서 혼련시키고 압출시켜 필름을 수득하고, 이후에 냉각 장치에 의해 냉각시켜 미연신 필름을 수득한다. 이렇게 수득한 미연신 필름을 140℃의 온도로 가열하여 종방향에서 연신비 5로 연신시킨다.
방법(2):
MFR이 4.0g/10min인 폴리프로필렌 54중량%를 평균 입자 직경이 1.5㎛인 탄산칼슘 46중량%와 혼합시켜 수득한 조성물(a2)을 또 하나의 압출기에서 혼련시킨 다음, 다이를 통해서 압출시켜서 필름을 수득하고 이후에 방법(1)에서 수득된 5배 연신된 필름의 양면에 적층시켜서 3층 적층 필름을 수득한다.
후속적으로, 3층 적층 필름을 60℃의 온도로 냉각시키고, 약 160℃의 온도로 가열하고 이후에 횡방향에서 텐터에 의해 연신비 7.5로 연신시키고, 165℃에서 어닐링한 다음, 60℃로 냉각시켜서 이의 가장자리를 절단하여 두께가 80㎛(a2/a1/a2=16㎛/48㎛/16㎛)인 3층(단축-연신된 필름/2축-연신된 필름/단축-연신된 필름) 기저층을 수득한다. 3층 a2/a1/a2의 다공성은 각각 30%, 33.7% 및 30%이다.
제조예 6
시판되는 무기 미세 분말(제조원: Oji-Yuka, Synthetic Paper Co., Ltd.)을 함유하는 다층 연신된 폴리프로필렌 필름으로 구성된 합성지(상표명: Yupo KPK #80, 두께: 80㎛)를 사용한다(다공성: 10%).
제조예 7
시판되는 무기 미세 분말(제조원: Oji-Yuka Synthetic Paper Co., Ltd.)을 함유하는 다층 연신된 폴리프로필렌 필름으로 구성된 합성지(상표명: Yupo FPG #80, 두께: 80㎛)를 사용한다(다공성: 32%).
제조예 8
시판되는 무기 미세 분말(제조원: Oji-Yuka Synthetic Paper C., Ltd.)을 함유하는 다층 연신된 폴리프로필렌 필름으로 구성된 합성지(상표명: Yupo SGE #80,두께: 80㎛)를 사용한다(다공성: 25%).
제조예 9
방법(1):
MFR이 0.8g/10min인 폴리프로필렌 81중량%를 고밀도 폴리에틸렌 3중량% 및 평균 입자 직경이 1.5㎛인 탄산칼슘 16중량%와 혼합시켜 수득한 조성물(a1)을 270℃의 온도로 조정되어 있는 압출기를 통해서 혼련시키고 압출시켜 필름을 수득하고 이후에 냉각 장치에 의해 냉각시켜 미연신 필름을 수득한다. 이렇게 수득한 미연신 필름을 140℃의 온도로 가열하여 종방향에서 연신비 5로 연신시킨다.
방법(2):
MFR이 4.0g/10min인 폴리프로필렌 54중량%를 평균 입자 직경이 1.5㎛인 탄산칼슘 46중량%와 혼합시켜 수득한 표면 앞면 층 조성물(a2) 및 MFR이 4.0g/10min인 폴리프로필렌 81중량%를 고밀도 폴리에틸렌 3중량% 및 평균 입자 직경이 1.5㎛인 탄산칼슘 16중량%와 혼합시켜 수득한 표면 배면 층 조성물(a3)을 개별적인 압출기에서 혼련시킨 다음 다이를 통해서 용융-압출시켜서 필름을 형성시키고, 이후에 이들중의 하나는 방법(1)에서 수득된 5배 연신된 필름의 한면에 적층시키고 다른 하나는 5배 연신된 필름의 다른면에 적층시켜서 3층 적층된 필름을 수득한다.
후속적으로, 3층 적층된 필름을 60℃의 온도로 냉각시키고, 약 160℃의 온도로 가열하여 횡방향에서 텐터에 의해 연신비 7.5로 연신시키고, 165℃의 온도에서 어닐링한 다음, 60℃의 온도로 냉각시켜서 이의 가장자리를 절단하여 두께가 80㎛(a2/a1/a3=16㎛/48㎛/16㎛)인 3층(단축-연신된 필름/2축-연신된 필름/단축-연신된 필름) 기저층을 수득한다. 3개, 층 a2/a1/a3의 다공성은 각각 30%, 29.7% 및 3.0%이다.
제조예 10
MFR이 2g/10min인 폴리프로필렌(융점: 164℃) 72중량%, 고밀도 폴리에틸렌 8중량%, 평균 입자 직경이 1.5㎛인 탄산칼슘 17중량% 및 산화티탄 3중량%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200℃의 온도로 설정된 압출기를 통해서 용융-혼련시키고 압출시켜 필름을 형성한다. 이렇게 형성된 필름을 냉각 장치에 의해 냉각시키고, 이후에150℃의 온도로 가열하여 종방향에서 연신비 5로 연신시켜서 연신된 필름을 수득한다.
후속적으로, 이렇게 수득한 연신된 필름을 155℃의 온도로 가열하여 횡방향에서 텐터에 의해 연신비 7로 연신시키고, 164℃의 온도에서 어닐링한다음, 60℃의 온도로 냉각시킨 다음, 이의 가장자리를 절단하여 두께가 60㎛인 2축 연신된 단층 필름을 수득한다. 2축 연신된 단층 필름의 다공성은 46%이다.
제조예 11
방법(1):
MFR이 0.8g/10min인 폴리프로필렌 72중량%를 고밀도 폴리에틸렌 5중량% 및 평균 입자 직경이 1.5㎛인 탄산칼슘 23중량%와 혼합시켜 수득한 조성물(a1)을 270℃의 온도로 조정되어 있는 압출기를 통해서 혼련시키고 압출시켜 필름을 수득하고, 이후에 냉각 장치에 의해 냉각시켜 미연신 필름을 수득한다.
이렇게 수득한 미연신 필름을 145℃의 온도로 가열하여 종방향에서 연신비 5로 연신시킨다.
방법(2):
MFR이 4.0g/10min인 폴리프로필렌 55중량%를 평균 입자 직경이 1.5㎛인 탄산칼슘 45중량%와 혼합시켜 수득한 표면 앞면 층 조성물(a2)을 270℃의 온도로 조정되어 있는 압출기를 통해서 혼련시키고 압출시켜서 필름을 수득하고, 이후에 방법(1)에서 수득된 5배 연신된 필름의 한면에 적층시킨다.
별도로, MFR이 4.0g/10min인 폴리프로필렌 84중량%를 평균 입자 직경이 1.5㎛인 탄산칼슘 16중량%와 혼합시켜 수득한 표면 배면 층 조성물(a3)을 270℃의 온도에서 압출기에서 용융-혼련시킨 다음, 압출 다이를 통해서 압출시켜 필름을 수득하여 표면 앞면 층 조성물쪽 면의 반대편인, 방법(1)에서 수득된 5배 연신된 필름의 한면위에 적층시킨다.
후속적으로, 3층 적층 필름을 60℃의 온도로 냉각시키고, 160℃의 온도로 가열하여 횡방향에서 텐터에 의해 연신비 7.5로 연신시키고, 165℃의 온도에서 어닐링한 다음, 60℃의 온도로 냉각시켜서 이의 가장자리를 절단하여 세공(다공성: 26%)을 갖는, 두께 80㎛의 3층(a2/a1/a3=15㎛/50㎛/15㎛) 합성지를 수득한다.
제조예 12
방법(1):
MFR이 0.8g/10min인 폴리프로필렌 72중량%를 고밀도 폴리에틸렌 5중량% 및 평균 입자 직경이 1.5㎛인 탄산칼슘 23중량%와 혼합시켜 수득한 조성물(a1)을 270℃의 온도로 조정되어 있는 압출기를 통해서 혼련시키고 압출시켜 필름을 수득하고 이후에 냉각 장치에 의해 냉각시켜 미연신 필름을 수득한다.
후속적으로, 이렇게 수득한 미연신 필름을 142℃의 온도로 가열하여 종방향에서 연신비 5로 연신시킨다.
방법(2):
MFR이 4.0g/10min인 폴리프로필렌 55중량%를 평균 입자 직경이 1.5㎛인 탄산칼슘 45중량%와 혼합시켜 수득한 표면 앞면 층 조성물(a2)을 혼련하고 270℃의 온도로 조정된 압출기를 통해 압출시켜 방법(1)에서 수득한 5배 연신된 필름상에 적층시킨다.
개별적으로, MFR이 4.0g/10min인 폴리프로필렌 84중량%를 평균 입자 직경이 1.5㎛인 탄산칼슘 16중량%와 혼합시켜 수득한 표면 배면 층 조성물(a3)을 270℃ 온도의 압출기에서 혼련시킨 다음 압출 다이를 통해서 압출시켜서 필름을 형성시키고, 이후에 이를 앞면 층 조성물쪽 면의 반대편면인, 방법(1)에서 수득된 5배 연신된 필름의 한면에 적층시킨다.
후속적으로, 3층 적층된 필름을 60℃의 온도로 냉각시키고, 약 160℃의 온도로 가열하여 횡방향에서 텐터에 의해 연신비 7.5로 연신시키고, 165℃의 온도에서 어닐링한 다음, 60℃의 온도로 냉각시켜서 이의 가장자리를 절단하여, 미공을 갖는 80㎛ 두께의 3층 합성지(a2/a1/a3=15℃/50㎛/15㎛)를 수득한다(다공성: 28%).
이어서, 제조예 1 내지 12에서 수득한 미공질의 연신된 수지 필름의 선형 열팽창 계수, 선형 열팽창 계수의 평균치 및 영모듈러스(23℃, 50% RH)를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측정한다:
선형 열팽창 계수
듀 퐁 인스트루먼트 캄파니, 리미티드(Du Pont Instrument Co., Ltd.)에서 시판 중인 Type 943 Thermomechanical Analyzer(상표명)을 사용하여, -10℃, 0℃ 및 +23℃에서 선형 열팽창 계수를 측정한다.
선형 열팽창 계수의 평균치
JIS K-7197에 따라, 선형 열팽창 계수의 평균치를 -10℃ 및 +23℃에서의 선형 열팽창 계수로부터 결정한다.
영모듈러스
JIS P-8132에 따라 측정한다.
측정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내지 7; 비교 실시예 1 내지 5
도요 잉크 메뉴펙춰링 캄파니, 리미티드(Toyo Ink Mfg. Co., Ltd.)에서 시판 중인 감압성 접착제 "ORIBINE BPS-1109" (상표명)을 제조예 1 내지 5 및 8 내지 12에서 수득한 각각의 미공질 수지 필름의 배면에 25g/㎡의 양으로 코팅(접착 강도: 약 60kg/25mm너비)시켜 그위에 감압성 접착층을 형성시킨다.
이어서, 오지 카코 캄파니, 리미티드(Oji Kako Co., Ltd.)에서 시판 중인 이형지 "NONCURL"(상표명; 두께: 150㎛; -10℃에서 종방향 및 횡방향에서의 선형 열팽창 계수가 20㎛/m ·℃이다)을, 감압성 접착층에 적층시켜, 미공질 수지 필름, 감압성 접착층 및 이형지층으로 이루어진 적층화된 감압성 접착 라벨을 수득한다.
이러한 감압성 접착 라벨을 각각 100mm X100mm 넓이의 시료로 잘라낸다. 이러한 시료 5 조각을 -10℃로 일정하게 온도가 유지되는 챔버 및 +23℃ 및 50%RH로 유지되는 챔버 상에 둔다. 이어서, 이들 시료를 상기와 같은 조건하에서 24시간 동안 저장한다. 이어서, 이들 시료의 컬링 방향[종(세로)방향 또는 횡방향] 및 편평한 테이블로부터의 감압성 접착 라벨의 컬 높이(컬 높이)를 측정한다.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본 발명에 따른 감압성 접착 라벨은 가장 추운 조건하에서조차 컬링이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특정 양태를 참조로 하여 기술하였지만, 당해 분야의 전문가들은 각종 변화 및 변형이 본 발명의 요지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이루어질 수 있음을 명백히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6)

  1. 무기 미세 분말을 함유하는 결정질 폴리올레핀 수지를 연신시킴으로써 수득되는 미공질의 연신된 수지 필름인 표면 물질, 당해 표면 물질의 배면에 제공된 감압성 접착제 층 및 당해 감압성 접착제 층 위에 제공된 이형지를 포함하는 감압성 접착 라벨로서,
    미공질의 연신된 수지 필름이 (1) -10℃에서 종방향의 선형 열팽창계수(JIS K-7197)가 10 내지 70㎛/m · ℃이고, (2) 0℃에서 종방향의 선형 열팽창계수가 10 내지 75㎛/m · ℃인 물리적 특성을 만족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성 접착 라벨.
  2. 제1항에 있어서, 미공질의 연신된 수지 필름이,
    (3) -10℃에서와 +23℃에서의 종방향의 선형 열팽창계수(JIS K-7197)의 평균치가 10 내지 80㎛/m · ℃이고,
    (4) 미공질 수지 필름의 종방향의 선형 열팽창계수의 평균치와 종방향의 영 모듈러스(JIS P-8132; 단위: kg/㎠)를 곱한 값의 절대치가 200,000 내지 1,000,000인 물리적 특성을 추가로 만족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성 접착 라벨.
  3. 제2항에 있어서, 미공질의 연신된 수지 필름이,
    (5) 종방향의 영 모듈러스(JIS P-8132)가 5,000 내지 20,000 kg/㎠이고,
    (6) 다음 수학식 1로 정의된 기공율이 35 내지 55%인 물리적 특성을 추가로만족시키는, 감압성 접착 라벨.
    수학식 1
    Figure pat00007
    위의 수학식 1에서,
    ρo는 미연신 수지 필름의 밀도이고,
    ρ는 연신된 수지 필름의 밀도이다.
  4. 제1항에 있어서, 미공질의 연신된 수지 필름이,
    (3') -10℃에서와 +23℃에서의 종방향의 선형 열팽창계수(JIS K-7197)의 평균치가 70 내지 85℃/m · ℃이고,
    (4') 미공질 수지 필름의 종방향의 선형 열팽창계수의 평균치와 종방향의 영 모듈러스(JIS P-8132; 단위: kg/㎠)를 곱한 값의 절대치가 900,000 내지 1,300,000이고,
    (5') 종방향의 영 모듈러스(JIS P-8132)가 10,000 내지 30,000kg/㎠이고,
    (6') 다음 수학식 1로 정의된 기공율이 20 내지 30%인 물리적 특성을 추가로 만족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성 접착 라벨.
    수학식 1
    Figure pat00008
    위의 수학식 1에서,
    ρo는 미연신 수지 필름의 밀도이고,
    ρ는 연신된 수지 필름의 밀도이다.
  5. 제1항에 있어서, 결정질 폴리올레핀 수지가 폴리프로필렌임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성 접착 라벨.
  6. 제1항에 있어서, 미공질의 연신된 수지 필름의 두께가 30 내지 300㎛임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성 접착 라벨.
KR1019970002299A 1996-03-05 1997-01-28 감압성접착라벨 KR1004310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073114 1996-03-05
JP07311496A JP3707858B2 (ja) 1996-03-05 1996-03-05 感圧粘着ラベ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7055A KR970067055A (ko) 1997-10-13
KR100431012B1 true KR100431012B1 (ko) 2004-07-19

Family

ID=13508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2299A KR100431012B1 (ko) 1996-03-05 1997-01-28 감압성접착라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871829A (ko)
EP (1) EP0794523B1 (ko)
JP (1) JP3707858B2 (ko)
KR (1) KR100431012B1 (ko)
DE (1) DE69709208T2 (ko)
TW (1) TW36070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80104B2 (en) * 1998-03-27 2004-01-20 Leonard Kurz Gmbh & Co. Wrappable decorative film
EP1116745A4 (en) * 1998-09-25 2005-04-13 Yupo Corp THERMOPLASTIC RESIN FILM AND LABEL SHEET COMPRISING SAID FILM
US20030039826A1 (en) * 2000-03-20 2003-02-27 Sun Edward I. Conformable and die-cuttable biaxially oriented films and labelstocks
DE20020228U1 (de) * 2000-11-29 2001-01-25 Töpfer Kulmbach GmbH, 95326 Kulmbach Transparente Folie
KR20050059072A (ko) * 2002-08-30 2005-06-17 알자 코포레이션 엠보싱 및 기록가능한 다층 지지 구조물
US7399509B2 (en) * 2003-12-23 2008-07-15 Kari Virtanen Thin polyethylene pressure sensitive labels
RU2422281C2 (ru) * 2004-03-10 2011-06-27 Эвери Деннисон Копэрейшн, Этикетка (варианты) и способ этикетирования (варианты)
US20050277105A1 (en) * 2004-05-18 2005-12-15 Unisource Worldwide, Inc. System and method for training personnel
GB2483497A (en) 2010-09-10 2012-03-14 Innovia Films Ltd Film label which expands in hot wash off label removal process.
US10902749B2 (en) 2011-06-21 2021-01-26 Polymeric Converting Llc Self sealing tag stock
US10475357B2 (en) * 2012-02-29 2019-11-12 R.R. Donnelley & Sons Company Baggage identification tag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EP3289034A1 (en) * 2015-04-30 2018-03-07 Avery Dennison Corporation Breathable polypropylene base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ated sheet for blood bag application
US11776432B1 (en) * 2022-04-08 2023-10-03 James H. Lewis Self-adhesive stickers customizing devi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33924A (en) * 1991-02-27 1993-08-10 Oji Yuka Goseishi Co., Ltd. Synthetic paper for writing and printing
JPH05287243A (ja) * 1992-04-06 1993-11-02 Sekisui Chem Co Ltd 手切れ性のよい粘着テープ
JPH06143820A (ja) * 1992-11-05 1994-05-24 General Kk 熱転写プリント方法並びにそれに使用するラベル状基材および熱転写リボン
JPH08310161A (ja) * 1995-05-23 1996-11-26 Oji Yuka Synthetic Paper Co Ltd 配送伝票用感圧転写貼付帳票
KR0126251B1 (ko) * 1990-06-08 1997-12-18 히로따 가오루 감압성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51205B (en) * 1983-12-14 1987-03-18 Norcros Investments Ltd Labels
JPS61279543A (ja) * 1985-06-05 1986-12-10 王子油化合成紙株式会社 複層樹脂フイルムよりなる合成紙
DE3618883C2 (de) * 1985-06-05 1995-02-09 Oji Yuka Goseishi Kk Synthetisches Papier aus mehrschichtigen Harzfilmen
JPS63290790A (ja) * 1987-05-22 1988-11-28 Oji Yuka Gouseishi Kk 熱転写記録用画像受容シ−ト
US5418026A (en) * 1991-10-10 1995-05-23 Peter J. Dronzek, Jr. Curl-resistant printing sheet for labels and tags
EP0611386B1 (en) * 1991-11-04 1996-02-28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icroporous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ated sheeting
EP0552656B1 (en) * 1992-01-21 1996-05-22 Oji Yuka Goseishi Co., Ltd. Air baggage tag
JPH0777939A (ja) * 1993-09-09 1995-03-20 Toppan Printing Co Ltd 感圧型粘着ラベル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6251B1 (ko) * 1990-06-08 1997-12-18 히로따 가오루 감압성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
US5233924A (en) * 1991-02-27 1993-08-10 Oji Yuka Goseishi Co., Ltd. Synthetic paper for writing and printing
JPH05287243A (ja) * 1992-04-06 1993-11-02 Sekisui Chem Co Ltd 手切れ性のよい粘着テープ
JPH06143820A (ja) * 1992-11-05 1994-05-24 General Kk 熱転写プリント方法並びにそれに使用するラベル状基材および熱転写リボン
JPH08310161A (ja) * 1995-05-23 1996-11-26 Oji Yuka Synthetic Paper Co Ltd 配送伝票用感圧転写貼付帳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707858B2 (ja) 2005-10-19
US5871829A (en) 1999-02-16
TW360704B (en) 1999-06-11
EP0794523B1 (en) 2001-12-19
DE69709208T2 (de) 2002-07-18
DE69709208D1 (de) 2002-01-31
EP0794523A2 (en) 1997-09-10
KR970067055A (ko) 1997-10-13
JPH09241590A (ja) 1997-09-16
EP0794523A3 (en) 1998-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4330B1 (ko) 다층구조를갖는인쇄특성이우수한합성지
US7914887B2 (en) Thermoplastic resin film and label paper employing the same
KR100431012B1 (ko) 감압성접착라벨
WO2009154177A1 (ja) 静電吸着シート
EP1104703A1 (en) Coated film
WO2012086791A1 (ja) 静電吸着シート
US3963851A (en) Paper for adhesive stickers and the like
US20050153110A1 (en) Multi-layer composites and sheet labels
JPH02251537A (ja) 制御された深さに打抜可能なラベル表面材に適した押出キャストフィルム
EP2558292A1 (en) Labels
EP1306206B1 (en) Easily releasable laminate film
WO2003067561A1 (fr) Etiquette pour decoration dans le moule
JP4526214B2 (ja) 易剥離性積層フィルム
JP3707885B2 (ja) 感圧粘着ラベル
WO2005014701A1 (ja) 熱可塑性樹脂フィルム
EP2094482B1 (en) Labels
JP3145133B2 (ja) クーポン券付インモールド用ラベル
JPH08332690A (ja) 複合積層樹脂フィルム
JP4104207B2 (ja) ラベル用紙
JP4771613B2 (ja) 粘着シート
EP4035887A1 (en) Laminate, and hot-melt adhesive label
JP2000118156A (ja) 熱転写受容シート
JPH0435997A (ja) シークレット文書の製造方法
JP2003345253A (ja) 熱転写ラベル
JP2002356050A (ja) インクジェット用メディ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