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6251B1 - 감압성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 - Google Patents

감압성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6251B1
KR0126251B1 KR1019900015379A KR900015379A KR0126251B1 KR 0126251 B1 KR0126251 B1 KR 0126251B1 KR 1019900015379 A KR1019900015379 A KR 1019900015379A KR 900015379 A KR900015379 A KR 900015379A KR 0126251 B1 KR0126251 B1 KR 01262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tive adhesive
pressure
adhesive tape
layer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5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0896A (ko
Inventor
마사히꼬 고또오
시게히사 고바야시
야쓰히꼬 오오야마
Original Assignee
히로따 가오루
세끼스 이가가꾸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따 가오루, 세끼스 이가가꾸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따 가오루
Publication of KR920000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8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6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62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 B29C59/04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using rollers or endless bel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4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241Polyolefin, e.g.rubb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0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being pressure-sensitive, i.e. tacky at temperatures inferior to 30°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00/00Presence of inorganic and organic materials
    • C09J2400/10Presence of inorganic materials
    • C09J2400/16Metal
    • C09J2400/163Metal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00/00Presence of inorganic and organic materials
    • C09J2400/20Presence of organic materials
    • C09J2400/26Presence of textile or fabric
    • C09J2400/263Presence of textile or fabric in the substrate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기재층의 한쪽 면에 소망에 따라 중간층을 매개하여, 점착제층이 적층된 감압성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에 있어서, 기재층의 배면의, 전단력이 부여되어 표면가공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환권성(권중체로 한 경우의 전개력)이 개선된 감압성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감압성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
제1도는 감압성 점착 테이프의 기재층의 배면에 전단력을 부여하는 한 실시태양을 나타내는 단면 약도이다.
제2도는 다른 실시태양을 나타내는 단면 약도이다.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기재와 그 위에 형성된 감압성 점착제층을 갖는 감압성(pressure sensitive) 점착(adhesive)테이프 또는 시이트에 관한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 권중체(roll)로 한 경우에 소량의 힘으로 환권(rerolling)할 수 있는, 즉 전개력(unwinding ability)이 양호한 감압성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에 관한 것이다.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기재상에 감압성 점착제층을 형성한 감압성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는 공지되어 있다. 이들 감압성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 등의 제품형태는, 코일상으로 맡아서 권중체로 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이들 권중체에서, 상단의 점착제층과 하단의 기재층의 배면에 비교적 강한 점착력으로 밀착하게 되고, 따라서 그 자체로서는 사용시에 말려진 테이프 또는 시이트를 환권(unwind)한다거나 인열(peel off)하는 것이 곤란하다. 그래서, 감압성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를 환권(unwinding)할때, 점착제의 반대면(기재층 배면)에의 이행이나 블록킹, 기재의 층할(delamination) 등이 일어나지 않고서, 용이하게 환권할 수 있도록, 일반적으로 기재층 배면에는 소위 박리처리(releasability-imparting treatment)가 실시되고 있다.
이 박리처리로서는, 종래, 기체층 배면에 미리 박리제를 도포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박리제를 기재층과 굳게 접착시켜서, 감압성 점착체층과 적당히 박리되기 쉽게 한다고 하는 모순된 성질을 억제하는 것은 곤란하고, 특수한 박리제를 사용한다거나, 하도제(primer)를 도포한다거나, 혹은 박리제를 도포하기 전에 코로나 처리(corona discharge treatment)를 행한다거나 하는 등이 필요하다.
박리제로서는 일반적으로, 직쇄 알킬기 함유 폴리머(예를 들면, 폴리비닐에스테르 알킬카르바메이트), 실리콘계 폴리머, 퍼플루오로 탄화수소계 폴리머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들 박리제는 재료비를 높이는 원인으로 되고, 또한, 복잡한 도포공정을 필요하기 때문에 생산비도 높아진다. 더구나, 감압성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를 제조한 후일지라도, 박리제가 감압성 점착제층에 이행하여 점착력이 저하하는 원인으로 된다고 하는 품질상의 문제도 존재한다.
그런데, 표면 보호 필름에 있어서이지만, 일본국 특개소 61-103975호 공보에는 기재층(base layer)과 감압성 점착제층(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를 공압출법(co-extrusion technique)에 의해 동시에 성형 적층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이 방법에 따르면, 공정이 간략화되고 기재층과 점착제와의 밀착성이 개선된다. 또한 품질면에서도 우수한 기술로서 주목되고 있는 것의 하나이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감압성 점착제층의 기재층에 대한 점착력이 강하기 때문에, 보호 필름에 양호한 환권성(unwinding ability)을 부여하기 위하여는, 기재층의 배면에 박리처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그렇지만 공압출법의 경우, 미리 기재층 배면에 실시할 수 없다. 따라서 이 기술은 박리처리시에 시기적 제약이 있다는 점에서 문제가 보다 심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박리제를 사용하지 않고 간단한 공정으로, 양호한 환권성(전개력)을 가짐과 동시에 장기간에 걸쳐서 양호한 전개력을 유지하고 품질면으로도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감압성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종래 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한 결과,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기재의 표면에, 예를 들면, 고체물질과의 접촉에 의한 미끄럼 마찰을 발생시켜서 전단력을 부여함으로써, 표면의 미세한 형성 및/또는 결정 형태등의 변화하고, 그 결과, 이 표면가공 처리된 면을 배면으로 하는 감압성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를 권중체로 한 경우, 전개력(환권성)이 현저하게 개선될 뿐만 아니라 그 전개력이나 감압성 점착제층의 초기 점착력의 경시 변화가 없다는 것을 찾아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지견에 근거하여 완성하기에 이르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기재층의 한쪽면에, 소망에 따라 중간층을 매개로 하여 감압성 점착제층이 적층된 감압성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에 있어서, 기재층의 배면에 전단력을 부여하고 표면가공한 것을 특징으로 한 감압성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특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기재층을 형성하는 폴리올레핀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및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와 같은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기재층을 기재하는 폴리올레핀 수지테이프 또는 시이트는, 미연신이든가, 또는 1측 또는 다측으로 연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감압성 점착제층은 점착성을 갖는 층이고, 감압성 점착제 또는 점착성을 갖는 점착제로써 형성된다.
감압성 점착제 혹은 접착제로서는, 종래부터 감압성 점착제로서 공지되어 있는 고무계(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포함한다), 아크릴계, 우레탄계 및 실리콘계 점착제나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계의 접착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감압성 점착제의 조성은, 통상, 탄성체 및 탄성체에 적당하게 첨가되는 점착부여수지, 연화제, 충전제, 노화 방지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기재층과 점착제층과의 사이에 중간층을 설정할 수도 있다. 중간층의 재료로서는, 종래 감압성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의 기재로서 사용되고 있는 크라프트지, 포, 합성수지 시이트 등을 적당하게 사용할 수 있다. 즉, 이들 중간층은 폴리올레핀 수지층과 함께 따로이 기재층을 구성한다.
부수적으로, 황산화제,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제, 색소 등은 기재층과 감압성 점착제층에 적당하게 첨가될 수 있다.
각 층의 두께는 사용목적에 따라 적당하게 설정할 수 있지만, 기재층의 두께는 통상, 10~55㎛ 정도이고, 점착제층의 두께를 통상, 5~100㎛ 정도이다.
기재층의 배면에 전단력을 부여하는 표면 가공의 시기에는 특별히 제한이 없지만, 감압성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를 권중체(roll)로 권취하기 이전에 표면가공을 행할 필요가 있다. 생산성 등을 생각하면, 기재와 점착제층을 적층하기 전에, 미리 기재 단독으로 표면가공하든가 또는, 기재외 감압성 점착제층을 적층한 후이고, 감압성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를 권취하기 전에 기재층의 배면을 표면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공압출법을 사용하는 경우는, 기재층과 감압성 점착제층을 공압출에 의해 성형 적층한 후에 기재층의 배면의 표면가공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층의 배면에 전단력을 부여하는 표면가공은, 예를 들면, 기재표면을 고체물질로 마찰하는 방법으로 기재시이트의 흐름 방향에 대하여 평행 또는 수직으로 전단력을 부여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감압성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이하 감압성 점착 시이라트라고 약기한다)를 제조하는 공정은, 통상 일련의 롤(roll)군을 통과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따라서, 고체물질로서 롤상의 고체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생각된다(이하, 롤상의 고체물질을 간단히 롤이라고 표현할 수 있다).
롤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한 롤로서는 예를 들면 금속제의 표면에 섬유 또는 섬유 성형체(예를 들면, 가제(gauze), 포(fabric) 등)를 입힌 롤, 금속제의 롤의 표면층과 폴리올레핀 기재와의 사이의 미끄럼 마찰 계수(coefficient of sliding friction)가 0.3 내지 0.9인 금속제롤을 들 수 있다. 금속제롤의 예로서는 스테인레스스틸로 만들어진 롤 및 도금된 롤을 들 수 있다. 또 롤의 표면층을, 예를 들면, 종이, 고무, 합성수지 필름 등으로 성형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중요한 것은, 롤의 표면층의 재질이고, 그 이외의 부분에 관하여는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관계 없다.
롤을 사용하여 기재층의 배면에 전단력을 부여하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면, 감압성 점착 시이트의 흐름방향에 대하여, 롤을 역회전시키든가, 순회전시키든가 또는 회전시키지 않고 고정시켜서 기재층의 배면에 전단력을 부여할 수 있다.
기재층의 배면에 전단력을 부여하는 구체적인 방법 및 장치에 관하여 제 1도 및 제 2 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 1도는, 감압성 점착 시이트의 기재층의 배면에 전단력을 부여하는 1실시태양을 나타내는 단면 약도이다.
제 1도의 부호 1은, 폴리올레핀 수지 기재층의 한쪽면에, 감압성 점착제층이 적층된 감압성 점착 시이트이다. 화살표 1의 방향(윗면)은 기재층의 배면을 나타낸다. 전 공정에서 제조된 감압성 점착 시이트 1은, 코일상으로 권취하여 권중체로 된다. 그 이전 단계에서, 감압성 점착 시이트 1은 일련의 롤군을 통과시킨다. 감압성 점착 시이트 1은 안내롤 2을 거쳐서, 롤 4 위에 배치한 역회전 롤 5를 둘러싼 섬유 또는 섬유 성형체 6과 접촉시켜서, 기재층의 배면과 섬유 또는 섬유 성형제 6과의 사이에 미끄럼 마찰을 발생시켜서 기재층의 배면에 전단력을 부여한다. 역회전 롤 5의 전후에 롤 3,7을 배치하여, 감압성 점착 시이트 1에 장력(tension)를 부여한다. 이렇게 하여 표면가공된 감압성 점착 시이트 1은 핀치 롤(pinch roll) 8 및 9의 사이를 통하여 권중체로 감겨진다.
롤 5는 회전 방향을 감압성 점착 시이트 1의 흐름 방향과 동일하게 하여, 순회전으로 할 수도 있다. 롤 5을 순회전시키는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감압성 점착 시이트 1의 흐름 속도(선 속도 : line speed)보다도 회전속도(5롤 속도)를 빠르게 한다. 또, 롤 5는 회전하지 않고 고정시킬 수도 있다. 또한, 롤 5의 표면층은 금속, 고무, 합성수지 필름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 2도는, 제 1도와 마찬가지로, 전 공정에서 제조된 감압성 점착 시이트 1을 일련의 롤 군을 통과시켜서 기재층의 배면에 전단력을 부여하는 다른 태양을 나타내는 단면 약도이다.
감압성 점착 시이트 1은, 핀치 롤 21,22의 사이를 통과시킨 후, 좌우 턴 롤 23,25(turn roll)로 장력을 가하면서, 역회전 롤(또는 순회전 롤) 24와 접촉시켜서, 기재층의 배면과 역회전 롤 24의 사이에 미끄럼 마찰이 생기게 한다. 다음에 감압성 점착 시이트 1은 필치롤 26,27을 통과시켜서, 권중체로 권취한다. 최초의 핀치롤 21,22는 반드시 설정할 필요는 없지만, 롤 24를 역회전 롤로 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감압성 점착 시이트 1의 흐름 방향과는 역방향의 마찰력이 가해지기 때문, 감압성 점착 시이트 1이 느슨해지고 소기의 장력을 가하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통상은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감압성 점착 시이트 1에 대한 핀치롤 21,22의 송출 속도를 통상적인 감압성 점착 시이트 1의 흐름 속도보다 약간 늦게 하여 감압성 점착 시이트 1에 장력이 걸리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핀치 롤 21,22를 감압성 점착 시이트 1에 일정한 장력을 걸리게 할 수 있는 댄서 롤(dancer roll)로 바꾸는 것도 가능하다.
턴 롤 23,25는 상하로 평행이동이 가능하게 하여, 감압성 점착 시이트 1에 걸리는 장력이나 또는 롤 24와 감압성 점착 시이트 1의 기재층 배면과의 접속 면적을 조절한다.
롤 24는 순회전 롤 또는 고정롤로 사용할 수도 있다. 또 롤 24는 금속제로 하든가 또는 그 표면에 섬유 또는 섬유성형제, 종이, 고무, 합성수지 필름 등의 층을 설정할 수 있다.
제 2도의 부호 28은 기체(공기둥)의 볼로우 노즐(blow nozzle)을 나타낸다. 기재층의 배면에 전단력을 부여하는 부분에, 소망에 따라 1~50kg/㎠의 압력의 기체류를 적용하여, 장력과 회전력에 의해 생기는 미끄럼 마찰력에 더하여, 기체압에 의한 부가적인 미끄럼 마찰력을 가할 수 있다.
또한 롤 5 또는 24의 구조는 반드시도 원통형일 필요는 없다. 다만 감압성 점착 시이트 1의 기재층의 배면이 접촉하는 부분에 돌출부가 없어서 감압성 점착 시이트 1인 걸리지 않고 미끄러지도록 한 구조를 가지면 된다. 예를 들면 고정롤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롤의 단면이 반원형일 수 있다.
이들 전단력의 부여 수단은, 1종 또는 2종 이상을 적당하게 조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기재층의 배면에 전단력을 부여하여 표면가공함으로써, 당해 배면에 박리 효과(전개력 개선 효과)가 주어지는 이유는 다음과 같이 추정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기재층의 제조는, 폴리올레핀 수지를 재료로 하고, 추출기를 사용하여, 인플레이션(inflation)법 또는 T-다이(T-die)법에 따라 행해진다. 그러한 방법으로 튜브상 또는 시이트상으로 압출된 용융수지가 냉각되는 과정에서, 제조된 기재층의 표면에 결정이 생성하며 기재층상에 결정화한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이 생긴다는 것이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결정화한 부분의 비율을 결정화도로서 나타낼 수 있다.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의 표면에 전단력을 부여하는 경우에, 그 표면의 결정학적 형태가 변화한다는 것이 고모또 등의 보고로부터 알 수 있다[(문헌 : Wear, 75, 173-182(1982)].
감압성 점착 시이트의 권중체를 환권하는 힘(전개력)이 큰 경우, 즉, 예를 들면 전개력이 1,000gf/50mm(환권 속도 30m/분에서 측정)인 경우에, 환권한 후의 기재층의 표면이 어떻게 되어 있는가를 관찰한 바, 표면의 형태가 냉각 직후와 비교하여 크게 변화하여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형태의 변화는, 기재층의 표면에 전단력을 부여할 때와 매우 유사하다.
이와 같이, 권중체의 전개력이 큰 이유의 하나로서, 환권에 있어서, 기재층의 배면의 표면에 있어서의 형태를 변화시키는 힘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들 수 있다. 기재층의 표면에 전단력을 부여하여 미리 표면의 형태를 바꾸어 두면, 그 변화에 필요한 힘이 필요없게 되고 그 결과 전개력이 줄어들게 된다고 추정할 수 있다.
기재층의 배면에 가하여야 할 전단력은, 통상, 기재의 폴리올레핀 수지가 내크-인(neck-in)과 같은 변형을 하지 않는 범위에서 일반적으로 제한되어야 한다. 기재층의 표면 가공에 있어서, 전단력에 의해 행해지는 부하량은 10J 이상이다. 부하량이 10J 미만이면 전개력의 부하가 불충분하고 온도 및 시간의 변화에 따라 전개력이 상승하는 잠재적인 문제점이 있다.
어떤 경우에는, 예를 들면 표면층을 나일론제 포로싼 롤과 접촉시켜서 기재층의 배면에 전단력을 가한 경우에, 기재층의 흐름 방향(세로 방향)으로 평행한 줄무늬가(stripe) 형성된다. 이 경우에, 평행한 줄무늬 간격은 통상 약 5~20㎛,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5㎛ 정도이다.
롤을 사용하여 기재층의 배면에 전단력을 부여하는 경우, 전단력의 조정은 감압성 점착 시이트에 걸리는 장력에 의해 행해진다. 장력과 함께 발생하는 롤과 감압성 점착 시이트간의 항력(dray)에 의해 발생한 미끄럼 마찰력이 전단력으로서 작용한다. 그러나, 감압성 점착 시이트에 걸리는 장력이 지나치게 큰 경우는, 시이트가 일반적으로 변형하게 된다. 따라서, 기재층의 배면에 전단력을 부여하는 부분에 1~50kg/㎠의 기체류, 일반적으로는 공기류를 적용함으로써 장력에 의해 생기는 미끄럼 마찰력에 더하여, 공기압에 의해 유발되는 부가적인 미끄럼 마찰력을 얻을 수 있고, 감압성 점착 시이트를 변형하지 않고서 전단력을 얻을 수 있다. 공기압 1kg/㎠ 미만인 경우, 얻어지는 미끄럼 마찰력이 지나치게 작다. 공기압 50kg/㎠ 미만이면, 감압성 점착 시이트가 변형하여 버린다. 공기압은 바람직하게는 3~20kg/㎠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15kg/㎠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감압성 점착 시이트는 박리제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그의 제조 공정이 간략화되고, 박리처리에 요하는 공정도 간단하여서 인-라인(in-line)화 할 수 있다. 또한 감압성 점착 시이트 경시 후도 환권성이 양호하여 장기간에 걸쳐서 박리력을 유지할 수 있고, 피착 재료의 표면을 오염시키지 않는 등 품질면에의 악영향이 없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만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인플레이션법으로 형성되고 두께가 100㎛인 폴리에틸렌(Hi-zex 3300F 상품명 : Mitsui Petrochemical Industries, Ltd.제)시이트의 한쪽면에,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블록 공중합체(Califlex TR1102, 상품명 : Shell Kagaku K. K.제) 100중량부 및 점착성 부여 수지(CLEARON P100 상품명 : Yasuhara Yushi Kogyo Co., Ltd.제) 100중량부의 혼합물을 톨루엔중에 균일 용액(고형분 농도 : 40%)으로 한 감압성 점착제 용액을 고형분 두께가 40㎛가 되도록 도포 건조하였다. 계속하여, 이렇게 하여 수득된 감압성 점착 시이트의 도포 표면의 반대인 배면에 제 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나일론 포로 싼 역회전 롤 24에 전단력을 부여하였다. 이렇게 처리된 시이트를 핀치 롤 26,27 사이를 통과시켜서 내부 직경이 3인치인 지심(paper core)상에 맡아서 권중체(roll)로 하였다.
전단력을 부여하는 조건으로서는, 시이트의 흐름속도(line speed)는 10m/분, 역회전 롤 24의 표면 속도(roll speed)는 90m/분, 시이트에 걸리는 장력은 8kg/m이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폴리에틸렌과 실시예 1과 동일한 감압성 점착제 성분(톨루엔은 사용하지 않음)을 사용하여 양 성분을 T-다이법으로 공압출하여 감압성 점착 시이트를 수득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처리하여 권중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크라프트지의 한쪽 면에 폴리에틸렌(Mirason 16, 상품면 : Mitsui Petrochemical Industries, Ltd.제)을 15㎛의 두께로 압출하여 적층화한다. 실시예 1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감압성 점착제 성분(톨루엔은 사용하지 않음)을 가열하여 용융시켜서 폴리에틸렌면과 반대인 면에 도포하여 두께 40㎛인 감압성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계속하여, 제 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포면과 반대인 배면을 순회전 금속롤 24에 의해 전단력을 부여하였다. 이렇게 하여 처리된 시이트를 핀치 롤 26,27를 거쳐서, 내경 3인치의 지심에 권취하여 권중체로 하였다.
전단력을 부여하는 조건으로서는, 시이트의 라인 스피드는 10m/분, 순회전 롤 24의 롤 스피드는 110m/분, 시이트에 걸린 장력은 20kg/m, 금속 롤 24와 시이트간의 미끄럼 마찰계수는 0.7이었다.
[비교예 1]
전단력을 부여하지 않는 것 이외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권중체를 얻었다.
[실시예 4]
인플레이션 법으로 성형되고 두께가 60㎛인 폴리에틸렌(Mirason 16, 상품명 : Mitsui Petrochemical Industries, Ltd.제) 시이트의 한쪽면에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물(Kraton G1652, 상품명 : Shell Kagaku K.K.제) 100중량부와 점착성 부여 수지(CLEARON P100, 상품명 : Yasuhara Yushi Kogyo Co.,Ltd) 20중량부와의 혼합물을 톨루엔중에 균일용액(고형분 농도 20중량%)으로 한 감압성 점착제 용액을 고형분 두께가 10㎛가 되도록 도포 건조하고, 계속하여 제 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포면과 반대인 표면(배면)을 나일론제로 싼 역회전 롤 24에 의해 전단력을 부여하였다. 이렇게 하여 처리된 시이트를 핀치 롤 26,27을 거쳐서 내경이 3인치인 지심에 권취하여 권중체로 하였다. 전단력을 부여하는 조건은 실시예 1과 동일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4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폴리에틸렌 및 실시예 4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감압성 점착제 성분(톨루엔은 사용하지 않음)을 사용하여 양 성분을 T-다이법에 따라 공압출한 것 이외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하여 권중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전단력을 부여하지 않은 것 이외는 실시예 5와 동일하게 하여 권중체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6]
T-다이법으로 공압출하기까지는 실시예 5와 동일하게 하였다. 전단력을 부여하는 조건으로서는, 시이트의 라인 스피드는 10m/분, 역회전 롤 24의 롤 스피드는 40m/분, 시이트에 걸리는 장력은 4kg/m, 제 2도에 나타낸 기체 블로우 노즐 28을 통하여 감압성 점착 시이트의 전단력이 부여되는 부분에 수직 방향으로 10kg/㎠의 압력에서 공기류를 분출하였다.
상기와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측정 결과를 일괄하여 표 1에 나타낸다.
[표 1]
Figure kpo00001
*1 : 시이트가 신장 변형되었다.
*2 : 환권할 수 없기 때문에 측정할 수 없다. 또한, 물성의 측정 방법은 다음과 같다.
(권취후의 노화)
각각의 감압성 점착 시이트를 권중체로 한 후, 표 1에 나타낸 세종류의 조합된 조건하에서 각각 방치하여 전개력 및 초기 점착력을 측정하였다.
(전개력)
각 권중체의 전개력은 30m/분의 속도에서 감압성 점착 시이트를 권중체로부터 환권할때 필요한 힘을 g/50mm폭 환산치로 나타낸다.
(초기 점착력)
각 권중체로부터 환권한 감압성 점착 시이트를 라미네이터에 의해 JIS Z0237에 규정한 스테인레스 강판에 부착하여, 23℃에서 30분간 방치후, 23℃하에서 300mm/분의 속도로 180°의 각도에서 강판으로부터 점착시이트를 끌어당겨서 박리하는데 요하는 힘을 g/50mm폭의 환산치로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 1~6에 있어서는, 권중체로 한 후, 실용적인 온도 범위에서 권중체로부터 끌어당겨서 박리할때 감압성 점착 시이트가 신장 변형하지 않고, 끌어당겨서 박리한 후의 초기 점착력도 변화가 없다는 것을 표 1로부터 알 수 있다. 반면에 비교예 1~2에서는, 시간 경과에 따라 전개력이 높게 되고, 감압성 점착 시이트가 권중체로부터 환권할 때 신장 변형하고, 따라서 사실상 사용할 수 없음을 알 수 있다.

Claims (14)

  1. 폴리올레핀 수지로 구성된 기재층의 한쪽면에 소망에 따라 중간층을 매개하여 감압성 점착제층이 적층된 감압성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에 있어서, 기재층과 고체 물질간에 미끄럼 마찰을 생기게 함으로써 기재층의 배면에 전단력이 부여되어 표면가공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성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
  2. 제 1 항에 있어서, 고체물질이 롤상인 감압성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
  3. 제 2 항에 있어서, 롤상 고체물질의 표면층이 섬유 또는 섬유 성형체인 감압성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
  4. 제 2 항에 있어서, 롤상 고체물질의 표면층이 금속인 감압성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
  5. 제 4 항에 있어서, 표면층의 금속과 기재간의 미끄럼 마찰 계수가 0.3~0.9인 감압성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
  6. 제 2 항에 있어서, 기재층의 배면이, 기재의 흐름 방향에 대하여 역회전하는 롤상 고체물질, 순회전하는 롤상 고체물질, 및 고정한 롤상 물질중의 하나 이상의 표면층과 기재를 접촉시켜서 미끄럼 마찰을 생기게 하는 것에 의해 전단력이 부여되어 표면 가공된 것인 감압성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
  7. 제 1 항에 있어서, 표면 가공된 기재층의 배면에, 세로방향에 따라 평행한 다수의 줄무늬가 형성되어 있는 감압성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
  8. 제 7 항에 있어서, 평행한 다수의 줄무늬의 간격이 5~20㎛, 그 깊이가 1~5㎛인 감압성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
  9. 제 1 항에 있어서, 기재층의 배면이 부하량 10J 이상의 전단력이 부여되어 표면가공된 것인 감압성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기재층의 배면이 기재의 고체물질과의 접촉부분에 1~50kg/㎠의 기체류를 적용하면서 기재와 고체물질과의 사이에 미끄럼 마찰을 생기게 함으로써 전단력이 부여되어 표면 가공된 것인 감압성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
  11. 제10항에 있어서, 기체가 공기인 감압성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
  12. 제 1 항에 있어서, 표면 보호 용도에 사용되는 감압성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
  13. 제 1 항에 있어서, 중간층이 종이 또는 포(fabric)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감압성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
  14. 제 1 항에 있어서, 권중체로 한 경우의 환권력(전개력)이 300gf/50mm(환권속도 30m/분에서 측정) 이하인 감압성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
KR1019900015379A 1990-06-08 1990-09-27 감압성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 KR01262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50475/90 1990-06-08
JP15047590 1990-06-08
JP16230790 1990-06-20
JP162307/90 1990-06-20
JP2-162307 1990-11-07
JP2-150475 1990-11-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0896A KR920000896A (ko) 1992-01-29
KR0126251B1 true KR0126251B1 (ko) 1997-12-18

Family

ID=26480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5379A KR0126251B1 (ko) 1990-06-08 1990-09-27 감압성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0460322B1 (ko)
KR (1) KR0126251B1 (ko)
CA (1) CA2026190C (ko)
DE (1) DE69016197T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1012B1 (ko) * 1996-03-05 2004-07-19 오지유카고세이시가부시키가이샤 감압성접착라벨
KR100558586B1 (ko) * 1997-05-29 2006-09-20 간사이 페인트 가부시키가이샤 도막보호용쉬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00551B1 (fr) * 1993-01-18 1995-04-07 Novacel Sa Film adhésif sensible à la pression pour la protection de matériaux, procédé d'obtention et composition adhésive.
NL1002380C2 (nl) * 1996-02-19 1997-08-20 Sallmetall Bv Afdekfolie.
NL1002551C2 (nl) * 1996-03-08 1997-01-31 Johannes Antonius Maria Reinde Afdekfolie.
NL1006592C2 (nl) * 1996-07-16 1998-01-21 Sallmetall Bv Afdekfolie.
NL1003601C2 (nl) * 1996-07-16 1998-01-21 Johannes Antonius Maria Reinde Afdekfolie.
NL1003602C2 (nl) * 1996-07-16 1998-01-21 Johannes Antonius Maria Reinde Afdekfoli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830536A1 (de) * 1978-07-12 1980-01-24 Beiersdorf Ag Klebeban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1012B1 (ko) * 1996-03-05 2004-07-19 오지유카고세이시가부시키가이샤 감압성접착라벨
KR100558586B1 (ko) * 1997-05-29 2006-09-20 간사이 페인트 가부시키가이샤 도막보호용쉬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026190A1 (en) 1991-12-09
EP0460322A1 (en) 1991-12-11
EP0460322B1 (en) 1995-01-18
KR920000896A (ko) 1992-01-29
DE69016197D1 (de) 1995-03-02
CA2026190C (en) 2001-06-19
DE69016197T2 (de) 1995-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51533A (en) Dispensable polypropylene adhesive-coated tape
AU2009304593B2 (en) Tape material and roll comprising pressure sensitive adhesive
JP6792366B2 (ja) 光学フィルムセ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H07268291A (ja) 芯まで透明な外観を有する感圧接着剤テープロールの製造法
KR0126251B1 (ko) 감압성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
JP2008030349A (ja) 表面保護フィルム
JP2007185781A (ja) 表面保護フィルム
JP2625275B2 (ja) 粘着テープもしくはシート及びその表面加工方法
US20120171916A1 (en) High tensile strength adhesive tape
JP6872485B2 (ja) マイクロスフェア処理した縁部を有するウェブ巻取りロール及びその作製方法
JP3411068B2 (ja) 表面保護フイ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TW201202042A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JP2010229328A (ja) 表面保護フィルム
US5232787A (en) Method of making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tape or sheet
JP2014508825A (ja) 特に輸送中の固定のために使用できる粘着テープ
CN107974209B (zh) 多层胶粘粘合元件
KR20160019484A (ko) 구조 접착제를 포함하는 접착제 층을 갖는 접착 테이프 롤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07177076A (ja) 表面保護フィルム
JP2647189B2 (ja) 粘着テープもしくはシート
JP2944249B2 (ja) 摩擦処理装置
JP6612829B2 (ja) フィラメントを組み込むための物理的な予備処理
KR102356930B1 (ko) 매엽상의 광학 필름
EP4144526A1 (en) Adhesive tape
JPH06212133A (ja) 装飾用粘着シート及び装飾用粘着シート基材表面の曇り防止方法
JP2022169268A (ja) 表面保護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1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