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0884B1 - 시트벨트 자동 해제장치 - Google Patents

시트벨트 자동 해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0884B1
KR100430884B1 KR10-2001-0065469A KR20010065469A KR100430884B1 KR 100430884 B1 KR100430884 B1 KR 100430884B1 KR 20010065469 A KR20010065469 A KR 20010065469A KR 100430884 B1 KR100430884 B1 KR 1004308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elt
vehicle
sensor
detecting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5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4513A (ko
Inventor
김영일
Original Assignee
경신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신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경신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65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0884B1/ko
Publication of KR20030034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45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0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08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2Devices for releasing in an emergency, e.g. after an accident ; Remote or automatic unbuckling devices
    • B60R22/322Devices for releasing in an emergency, e.g. after an accident ; Remote or automatic unbuckling devices using automatic actu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16Fall in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벨트 자동 해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시트벨트를 체결한 상태에서 사고가 발생한 후 화재가 발생하거나 물에 차량이 전복되어 탑승자가 2차적인 사고로부터 탈출하고자 할 때 시트벨트가 자동해제 되도록 하여 탑승자의 탈출이 용이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탑승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시트벨트 자동 해제장치{AUTOMATIC RELEASE APPARATUS OF SEATBELT}
본 발명은 시트벨트 자동 해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트벨트를 체결한 상태에서 사고가 발생한 후 2차적인 사고로부터 탈출하고자 할 때 시트벨트가 자동해제되도록 하여 탑승자의 탈출이 용이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탑승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시트벨트 자동 해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시트에는 충돌 사고시의 탑승자가 충격으로 인해서 외부로 튀어 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시트벨트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시트벨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프론트 시트나 리어 시트에 적용되는데 통상적으로 텅(12)을 구비한 제 1벨트(11)와, 시트벨트 체결장치(10)를 구비한 제 2벨트(17)로 이루어진다.
이때 텅은 제 1벨트(11)의 단부를 연결시킬 수 있게 형성된 고리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고정홈(13)을 갖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져 시트벨트 체결장치(10)에 장착 및 탈착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텅(12)과 결합되는 시트벨트 체결장치(10)는 사용자의 임의대로 벨트들을 연결 및 해제하는 시트벨트용 버클(buckle)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차량에 고정된 제 2벨트(17)의 단부에 연결되어 있어, 인출버튼(14)을 누르는 방식에 따라, 가압 버튼 방식과 슬라이딩 버튼 방식이 있다.
도 1에 도시된 시트벨트 체결장치는 슬라이딩 버튼 방식으로써 텅(12)이 삽입되면 텅(12)의 고정홈(13)에 걸림턱(15)이 걸리게 될 때 록킹부(16)의 잠금작동에 의해 텅(12)을 고정시킴으로써 벨트를 체결시키게 되며, 인출버튼(14)을 누를 경우 록킹부(16)의 잠금작동을 해제하여 텅(12)의 고정홈(13)에 걸려있는 걸림턱(15)을 들어올려 시트벨트 체결장치(10)로부터 해제되도록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시트벨트는 충돌사고를 당할 경우에는 탑승자가 시트에 고정시킴으로써 출동 충격으로 인해 외부로 튀어 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보호하게 된다.
그러나, 사고가 발생한 후에 탑승자가 차량을 빠져나가려 할 때에는 탑승자를 붙잡아 튀어나가지 못하도록 한 시트벨트가 장애물로 작용하여 탑승자가 부상을 입었을 경우에는 사고로 인한 충격 등으로 인해 시트벨트를 해제하기 위해 인출버튼을 누르고 탈출하는 것이 매우 힘든 문제점이 있다.
또한, 충돌사고가 발생한 후 차량에 화재가 발생하거나, 전복되어 차량에 물이 유입되고 있을 경우 급하게 탈출하기 위해 인출버튼을 눌러 시트벨트를 해제한 후 탈출하기에는 시트벨트가 탑승자의 탈출을 방해하게 되어 탑승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트벨트를 체결한 상태에서 사고가 발생한 후 2차적인 사고로부터 탈출하고자 할 때 시트벨트가 자동해제되도록 하여 탑승자의 탈출이 용이하도록 할 뿐만아니라 탑승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시트벨트 자동 해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시트벨트 체결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시트벨트 자동 해제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시트벨트 자동 해제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체결장치 11 : 제 1벨트
12 : 텅 13 : 고정홈
14 : 인출버튼 15 : 걸림턱
16 : 록킹부 17 : 제 2벨트
20 : 충격감지센서 30 : 차속센서
40 : 물감지센서 50 : 화재감지센서
60 : 제어부 70 : 액추에이터
75 : 연결고리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탑승자를 차량의 시트에 고정시키기 위해 시트벨트를 체결하고 인출버튼에 의해 시트벨트가 해제되는 시트벨트 체결장치와,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기 위한 차속센서와, 차량의 충격을 감지하기 위한 충격감지센서와, 차량에 물이 유입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물감지센서와, 차량에 화재가 발생한 것을 감지하기 위한 화재감지센서와, 차속센서와 충격감지센서의 값을 입력받아 차량의 충돌에 의해 에어백의 작동상태를 판단한 후 물감지센서나 화재감지센서의 신호가 입력될 경우 시트벨트를 자동해제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제어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시트벨트를 자동해제시키는 액추에이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에서 액추에이터는 시트벨트 체결장치의 인출버튼과 연결고리에 의해 연결되어 인출버튼이 눌려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시트벨트를 착용한 상태에서 충돌사고를 당했을 경우 충격감지센서와 차속센서에 의해 에어백의 작동상태와 충돌 후 차량이 정지되었는가 판단한 후 2차적인 사고로부터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해 물감지센서와 화재감지센서로부터 차량으로 물이 유입되는지 아니면 차량에 화재가 발생했는지를 판단하여 액추에이터를 작동시킴으로써 인출버튼이 작동되어 시트벨트가 작동으로해제되도록 작동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종래 구성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 및 명칭을 사용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시트벨트 자동 해제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자를 차량의 시트에 고정시키기 위해 시트벨트를 체결하고 인출버튼(14)에 의해 시트벨트가 해제되는 시트벨트 체결장치(10)와,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기 위한 차속센서(30)와, 차량의 충격을 감지하기 위한 충격감지센서(20)와, 차량에 물이 유입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물감지센서(40)와, 차량에 화재가 발생한 것을 감지하기 위한 화재감지센서(50)와, 차속센서(30)와 충격감지센서(20)의 값을 입력받아 차량의 충돌에 의해 에어백(미도시)의 작동상태를 판단한 후 물감지센서(40)나 화재감지센서(50)의 신호가 입력될 경우 시트벨트를 자동해제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60)와, 제어부(60)의 출력신호에 따라 시트벨트를 자동해제시키는 액추에이터(70)로 이루어진다.
이때 액추에이터(7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벨트의 체결장치(10)의 인출버튼(14) 끝단과 연결고리(75)에 의해 연결되어 연결고리(75)를 잡아당김으로써 인출버튼(14)이 눌려지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시트벨트를 체결하기 위해 텅(12)이 삽입되면 텅(12)의 고정홈(13)에 걸림턱(15)이 걸리게 되고 록킹부(16)의 잠금작동에 의해 텅(12)을 고정됨으로써 벨트가 체결된다.
그리고, 탑승자가 시트벨트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인출버튼(14)을 눌러 록킹부(16)의 잠금작동을 해제하게 되면 텅(12)의 고정홈(13)에 걸려있는 걸림턱(15)을 들어올려져 시트벨트 체결장치(10)로부터 해제된다.
이와 같이 사고가 발생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액추에이터(70)와 인출버튼(14) 사이에 연결된 연결고리(75)가 느슨하게 느러져 있어 인출버튼(14)의 수동작동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그러나, 충돌사고가 발생하게 되면 제어부(60)에서 충격감지센서(20)와 차속센서(20)에 의해 에어백(미도시)의 작동상태와 충돌 후 차량이 정지되었는가 판단한 후 2차적인 사고로부터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해 물감지센서(40)와 화재감지센서(50)로부터 차량으로 물이 유입되는지 아니면 차량에 화재가 발생했는지를 판단하여 액추에이터(70)를 작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액추에이터(70)의 작동에 따라 연결고리(75)를 잡아당기게 됨으로써 인출버튼(14)이 잡아당겨지게 되어 인출버튼(14)이 눌려지게 되어 록킹부(16)의 잠금작동을 해제하게 되어 텅(12)의 고정홈(13)에 걸려있는 걸림턱(15)을 들어올려져 시트벨트 체결장치(10)로부터 자동해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시트벨트를 체결한 상태에서 사고가 발생한 후 2차적인 사고로부터 탈출하고자 할 때 시트벨트가 자동해제되도록 하여 탑승자의 탈출이 용이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탑승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탑승자를 차량의 시트에 고정시키기 위해 시트벨트를 체결하고 인출버튼에 의해 시트벨트가 해제되는 시트벨트 체결장치와,
    상기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기 위한 차속센서와,
    상기 차량의 충격을 감지하기 위한 충격감지센서와,
    상기 차량에 물이 유입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물감지센서와,
    상기 차량에 화재가 발생한 것을 감지하기 위한 화재감지센서와,
    상기 차속센서와 상기 충격감지센서의 값을 입력받아 상기 차량의 충돌에 의해 에어백의 작동상태를 판단한 후 상기 물감지센서나 상기 화재감지센서의 신호가 입력될 경우 상기 시트벨트를 자동해제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시트벨트를 자동해제시키는 액추에이터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자동 해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시트벨트 체결장치의 인출버튼과 연결고리에 의해 연결되어 인출버튼이 눌려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자동 해제장치.
KR10-2001-0065469A 2001-10-23 2001-10-23 시트벨트 자동 해제장치 KR1004308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5469A KR100430884B1 (ko) 2001-10-23 2001-10-23 시트벨트 자동 해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5469A KR100430884B1 (ko) 2001-10-23 2001-10-23 시트벨트 자동 해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4513A KR20030034513A (ko) 2003-05-09
KR100430884B1 true KR100430884B1 (ko) 2004-05-10

Family

ID=29566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5469A KR100430884B1 (ko) 2001-10-23 2001-10-23 시트벨트 자동 해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088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54094A1 (en) * 2010-10-19 2012-04-26 Roy J Edwin Safety belt release mechanism
WO2018105978A1 (ko) * 2016-12-07 2018-06-14 허치영 자동 해제가 가능한 안전벨트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86793B2 (en) * 2017-02-15 2018-10-02 Ford Global Technglogies, Llc Vehicle with water detectio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0789U (ko) * 1994-09-26 1996-04-12 차량 충돌시의 안전벨트 자동탈거 장치
KR960021970A (ko) * 1994-12-08 1996-07-18 김석우 자동차 사고시 좌석안전벨트 및 창문 자동열림장치
KR19980025194A (ko) * 1997-11-21 1998-07-06 조현규 자동차의 충돌사고 및 물 속으로 침몰사고시 도어의 비상 자동개방안전 제어시스템
KR19980026416A (ko) * 1996-10-09 1998-07-15 김영귀 자동차의 탑승구속 해제장치
KR0140712Y1 (ko) * 1996-07-24 1999-05-01 유철진 차량 안전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0789U (ko) * 1994-09-26 1996-04-12 차량 충돌시의 안전벨트 자동탈거 장치
KR960021970A (ko) * 1994-12-08 1996-07-18 김석우 자동차 사고시 좌석안전벨트 및 창문 자동열림장치
KR0140712Y1 (ko) * 1996-07-24 1999-05-01 유철진 차량 안전 시스템
KR19980026416A (ko) * 1996-10-09 1998-07-15 김영귀 자동차의 탑승구속 해제장치
KR19980025194A (ko) * 1997-11-21 1998-07-06 조현규 자동차의 충돌사고 및 물 속으로 침몰사고시 도어의 비상 자동개방안전 제어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54094A1 (en) * 2010-10-19 2012-04-26 Roy J Edwin Safety belt release mechanism
WO2018105978A1 (ko) * 2016-12-07 2018-06-14 허치영 자동 해제가 가능한 안전벨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4513A (ko) 200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18159A1 (en) Air bag apparatus for a passenger seat
EP0764097B1 (en) Vehicle safety restraints
JPH10217912A (ja) 自動車搭乗者拘束装置
US6808201B2 (en) Occupant sensor
US4236141A (en) Automatic fastening and alarming circuit for a vehicle seat belt
KR100430884B1 (ko) 시트벨트 자동 해제장치
EP1440837B1 (en) Seat belt device
US5123498A (en) Apparatus for the automatic release of a motor-vehicle safety belt after a collision
US3897963A (en) Passive safety device for a vehicle
JP2001039268A (ja) 車両用乗員保護装置
EP3569453B1 (en) Vehicle seatbelt arrangement
US7258189B2 (en) Seat belt apparatus
KR100602782B1 (ko) 자동차의 안전벨트 자동 풀림장치 및 방법
KR102322384B1 (ko) 전자식 리트랙터 시스템 및 이를 통한 전자식 리트랙터 시스템 제어방법
KR20000000698U (ko) 시트 벨트 시스템
KR100240706B1 (ko) 시트벨트의 자동해제장치
KR200166243Y1 (ko) 안전 벨트 자동 해제 장치
JP2001278003A (ja) 乗員保護装置の起動制御装置
KR0151579B1 (ko) 자동차의 시트 벨트 자동 압착장치
KR19980012959U (ko) 자동차의 안전 벨트 인장력 조절 장치
KR200393470Y1 (ko) 시트 벨트의 자동 해제 장치
KR200365040Y1 (ko) 차량용 안전벨트의 자동 조임조절장치
JP2005247150A (ja) 車両のシートベルトのプリテンショナ装置
GB2221379A (en) Passive seat belt arrangement for use in a vehicle
KR0150903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