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105978A1 - 자동 해제가 가능한 안전벨트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 해제가 가능한 안전벨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105978A1
WO2018105978A1 PCT/KR2017/014107 KR2017014107W WO2018105978A1 WO 2018105978 A1 WO2018105978 A1 WO 2018105978A1 KR 2017014107 W KR2017014107 W KR 2017014107W WO 2018105978 A1 WO2018105978 A1 WO 201810597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seat belt
seat
plate
belt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1410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허치영
Original Assignee
허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치영 filed Critical 허치영
Publication of WO201810597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10597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2Devices for releasing in an emergency, e.g. after an accident ; Remote or automatic unbuckling devices
    • B60R22/322Devices for releasing in an emergency, e.g. after an accident ; Remote or automatic unbuckling devices using automatic actu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2Devices for releasing in an emergency, e.g. after an accident ; Remote or automatic unbuckl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2Devices for releasing in an emergency, e.g. after an accident ; Remote or automatic unbuckling devices
    • B60R22/321Devices for releasing in an emergency, e.g. after an accident ; Remote or automatic unbuckling devices using electr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a signal being sent to a remote location, e.g. a radio signal being transmitted to a police station, a security company or the own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16H25/2018Screw mechanisms with both screw and nut being driven, i.e. screw and nut are both rot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06Anchoring devices for b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60R2022/4808Sensing means arrang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at belt system of an automobile or an aircraft,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at belt system capable of automatic release in an emergency such as an accident occurrence.
  • the purpose of the seat belt installed in a vehicle is to fix the upper body position of the occupant to the seat as much as possible while driving so that the driver or the occupant cannot be bounced off by inertia when the body or the like tries to stop in an emergency such as a crash accident. Therefore, it has a function of reducing secondary injuries that may be caused by an impact due to inertia during a collision.
  • the seat belt is configured to fix the upper body of the occupant between the seat belt and the back of the seat by pulling the belt in front of the upper body after the driver and passengers seat on the seat to fasten the plate to the fastener in the buckle.
  • the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1998-0007697 discloses a device for automatically releasing the seat belt when the vehicle is flooded. .
  • the main contents are to install the buoyancy switch on the bonnet to release the seat belt with the motor.
  •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1999-0051148 discloses a "locking release device of the seat belt", the main contents are the buckle assembly and the locker of the seat belt is coupled to the seat belt
  • a solenoid having an actuator that is infiltrated or extended by signal transmission of an electrically connected electronic control device, and the other side is installed so as to interlock according to the infiltration or extension of the actuator, a limited rotational movement about the hinge axis
  • Such a seat belt unlocking device is a technology in which the electronic belt detects the engine speed and automatically releases the seat belt when the engine is turned off when the user wants to get off while wearing the seat belt. It's far from being released.
  • the conventional seat belt installation structure consists of a fixed structure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 bottom and pillars of the vehicle body and the plate and the buckle, and when released, the person presses the push button installed on the buckle directly to release the plate from the buckle. have.
  • the coupling and release of the buckle in particular, when the release of the buckle must be maneuvering the push button installed on the buckle, so that the plate of the seat belt can be separated from the buckle.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the above-described backgrou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undate by accidental accident in the river or the sea while the vehicle or vehicle, such as driving, flooding, collision between the vehicle or any object
  • the vehicle or vehicle such as driving, flooding, collision between the vehicle or any object
  • the seatbelt system is automatically released in case of emergency and the passengers can easily escape. It is.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utomatically release the seat belt when the door is opened when trying to get off while wearing the seat belt while using the usual means of movement, or when recognizing an emergency situation when trying to escape. It is to provide a seat belt system that can be automatically released in an emergency.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damage to the human life by allowing the passengers who are insufficient to operate the seat belt, such as children or the elderly, at the same time, and at the same time, it is automatically released by just one touch method, more convenient to use. It is to provide a seat belt system that can be automatically released in an emergency.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safety belt is automatically released when the vehicle is flooded, as well as the window of the door is automatically opened to solve the difficulty of opening the door due to the water pressure to automatically escape in an emergency To provide a seat belt system that can be released.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utomatically connect to rescue organizations and family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smart device that is link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in the event of a crash, fire or flooding of the means of communication to notify the accident and the location of the accident location by GPS function It is to provide a seat belt system that can be automatically released in an emergency that enables efficient rescue.
  • an electronic seat belt system capable of automatic release in an emergency.
  • an electronic seat belt system that can be automatically released in an emergency such as collision, flooding or fire of a moving means is installed in the moving means and detects at least one or more of an impact, water or fire in an emergency.
  • Detection sensor A door switch for switching the power supply to release the fastener from the plate when operating the door handle of the moving means;
  • an electronic control unit provided in the buckle of the electronic seat belt of each seat and receiving a signal from the sensor by any one of a signal detected by a plurality of the sensors or a power supplied by the door switch being turned on. Pull the slide knob to separate the fastener coupled with the plate from the plate, or pull the slide knob to engage the plate as the door switch is turned on to supply power.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drive unit for separating the fasteners from the plate.
  • the driving unit may include a geared motor combining a motor and a reduction gear device into one; A screw installed in the geared motor to rotate in one or the opposite direction by the geared motor; And a nut connected to the slide knob through a connection member, the nut being screwed to the screw so as to push or pull the slide knob as the screw rotates in one direction or the opposite direction.
  • the battery may be charged from a commercial power source, and in case of emergency power supply of the commercial power is stopped, an emergency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electronic control unit and the driv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 the emergency battery is charged from a commercial power source, characterized in that to supply power to the electronic control unit and the drive unit when the power supply of the commercial power is stopped in an emergency.
  • the detection sensor a fire detection sensor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engine of the moving means; And a water sensor and an impact sensor positioned near the seat belt of each seat.
  • a timer for generating a driving signal of the driving unit immediately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may further include a.
  • the driving unit is preferably operated sequentially for each seat in which the electronic seat belt is installed.
  • the smart device for transmitting the rescue signal to the accident management server is installed by an application connected to the electronic control unit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in an emergency may further include.
  • Safety belt system that can be automatically released in an emergenc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vehicle or a vehicle such as a vehicle while the operation of the river or the sea while accidentally falls due to accidents, flooded or collision between vehicles or any object
  • the seat belt is automatically released and the passengers can easily escape.
  • the seat belt system that can be automatically released in an emergenc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using the usual means to get off while wearing the seat belt, or when trying to escape by recognizing an emergency situation, As soon as the door is opened, the seatbelt is automatically released, and the occupant can easily get off or escape.
  • the seat belt system that can be automatically released in an emergenc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passengers who are insufficient to operate the seat belts such as children or the elderly to easily escape to reduce the casualties and at the same time in a one-touch manner. Just tap to turn it off automatically so you can use it more conveniently.
  • the seat belt system that can be automatically released in an emergenc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the seat belt is automatically released when the moving means flooded, as well as the window of the door automatically open to solve the difficulty of opening the door due to water pressur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facilitate escape.
  • the seat belt system capable of automatic release in an emergency is connected to a rescue organization or a family via an application of a smart device linked to a wireless accident in a crash, fire or flooding of a vehicle to notify an accident, GPS function has the effect of efficiently tracking the location of accidents.
  • FIG.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at belt system capable of automatic release in an emergenc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electronic seat belt of FIG. 1.
  •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electronic seat belt of FIG. 1.
  • Figure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lectronic seat belt of Figure 1 is fastened.
  • Figure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lectronic seat belt of Figure 1 is released.
  • Figure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lectronic seat belt is fasten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lectronic seat belt is releas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detection sensor 110 fire detection sensor
  •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to distinguish the components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der, etc. of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If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at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there may be another configuration between each compon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lements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 FIG.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at belt system capable of automatic release in an emergenc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afety belt system 10 capable of automatic release in an emergency includes a detection sensor 100, a driving unit 200, an emergency battery 300, a timer 400, a seat belt switch 500, a manual switch ( 600, and the smart device 700.
  • the seat belt system 10 capable of automatic release in an emergency may automatically release the electronic seat belt 20 in an emergency such as collision, flooding or fire of the moving means 1.
  • the moving means 1 may include all moving means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seat belt can be installed in a seat such as a car or an aircraft capable of moving a person by using power.
  • the detection sensor 100 may be installed in a plurality of moving means (1).
  • the detection sensor 100 may detect at least one or more of shock, vibration, water, or fire during an emergency or emergency such as collision, flooding, or fire of the moving means 1.
  • the detection sensor 100 may include a fire detection sensor 110, a water detection sensor 120, and an impact detection sensor 130.
  • the shock sensor 130 may be replaced by a vibration sensor, and both sensors may be used to sense shock or vibration.
  • the fire sensor 110 may be provided near the engine of the moving means 1.
  • the fire detection sensor 110 may be located in a car bonnet to detect a fire or smoke when a fire occurs in the engine.
  • the water sensor 120 and the impact sensor 130 may b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near the seat belt of each seat.
  • the water sensor 120 may detect water during immersion.
  • the water sensor 120 may be provided on a floor of a seat seat or an indoor floor,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shock sensor 130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r the bottom of the seat seat.
  • the water sensor 120 and the impact sensor 130 may be mounted in the seat belt buckle 21.
  • the water sensor 120 detects water when the vehicle is flooded, not only the seat belt is automatically released, but also the window of the door is automatically opened to solve the difficulty of opening the door due to water pressure to escape. It may be easy.
  •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electronic seat belt of Figure 1
  • Figure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lectronic seat belt of Figure 1 is fastened
  • Figure 4 is the electronic seat belt of Figure 1 is released
  • the driving unit 200 may be provided in the buckle 21 of the electronic seat belt 20 of each seat.
  • the driving unit 200 may be separately installed at a portion of fixing the buckle 21 to the seat. It may be.
  • the driving unit 200 may operate by the control of the electronic control unit 12 that receives a signal from each sensor 100. Specifically, the driving unit 200 may pull the slide knob 25 to separate the fastener 22 while lifting up the fastener 22 coupled with the plate 23. Therefore, the driving unit 200 may release the plate 23 from the fastener 22. That is, the driving unit 200 separates the plate 23 and the buckle 21 in an emergency or emergency so that the electronic seat belt 20 can be released.
  • the driving unit 200 is configured to lift the fastener 22 coupled to the plate 23 by pulling a slide housing (not shown) to separate the fastener 22 from the plate 23. It may be.
  • the driving unit 200 is maintained in an OFF state when the plate 23 and the buckle 21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when the water, fire, or impact is detected from each sensor 100, the ON state is automatically turned on.
  • the fastener 22 may be separated from the plate 23.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able to release the plate and the buckle, which is a fixing means of the conventional general seat belt by the driving of the drive unit 200 to operate by electric force.
  • the buckle 21 of the electronic seat belt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astener 22, the slide knob (inside the upper and lower covers 21a, 21b corresponding to each other) 25, the fastening part 26, the elastic body 27, the connection member 28, and the driving part 200 may be included.
  • the drive unit 200 is made of a solenoid (solenoid) that uses the electromagnet for mechanical linear motion.
  • the driving unit 20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rear end 25a of the slide knob 25 and the connecting member 28.
  • the connection member 28 may transmit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unit 200 driven when the power is supplied to the slide knob 25.
  • the slide knob 25 is a structure corresponding to a press button of a buckle inlet in a conventional seat belt, and is to allow the plate 23 in a coupled state to be released while being generally slide inward through a pressing operation. .
  • the lower portion of the buckle 21 may be provided with a fastening portion 26 to which the plate 23 is inserted and fastened.
  • the fastening part 26 may be provided with a hook-shaped fastener 22.
  • the coupling of the plate 23 and the fastener 22 may be achieved by the plate 23 being inserted into the buckle 21 so that the fastener 22 spans the plate hole 23a formed in the plate 23.
  • a separate elastic body 27 such as a spring is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fastener 22 so that the plate 23 is coupled in the buckle 21 so that the elastic body 27 is always in the contracted state of the buckle 21.
  • the restoring force can be generated toward the entrance. That is, when the fastener 22 is separated from the plate hole 23a, the plate 23 is separated from the buckle 21 because the plate 23 is always separated from the buckle 21 by the action of the elastic body 27. This is because the elastic force in the outward direction is applied.
  • a slide knob 25 may be provided above the fastening portion 26 in the buckle 21.
  • the slide knob 25 may be moved backward by the driving unit 200 to retract the fastener 22 while contracting the elastic body 27.
  • the fastener 22 may be lifted and pulled back, or may simply remain lifted.
  • the slide knob 25 is pulled toward the driving unit 200, that is, to the rear, and the fastener 22 is pulled while the slide knob 25 is dragged, so that the plate 23 is fastened. Can be separated from the sphere 22.
  • an elastic member may be additionally connected between the rear end of the slide knob 25 and the driving unit 200 or in place of the connecting member 28.
  • the elastic member may be a spring or the like. The elastic member may provide a restoring force when the slide knob 25 is moved backward by the driving unit 200 and then returns to the front again.
  • the slide knob 25 moved backward may be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again by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200 through the connecting member 28.
  • FIG.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lectronic seat belt is fasten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lectronic seat belt is releas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 the driving unit 200 may be a geared motor that combines an electric motor and a reduction gear device into one.
  • Such a driving unit 200 is a geared motor combining a motor and a reduction gear unit into one, a screw 30 and a slide knob 25 and a connecting member (30) installed in the geared motor to rotate in one or the opposite directions by the geared motor ( And a nut 29 screwed with the screw 30 to push or pull the slide knob 25.
  • the driving unit 20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nut 29 and the screw 30 to the rear end 25a of the slide knob 25.
  • the nut 29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slide knob 25 through the connecting member 28, and the screw 30 which is screwed with the nut 29 is connected to the motor shaft of the geared motor to connect the motor of the geared motor. As the shaft rotates, the nut 29 may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crew 30 by screwing to push or pull the connecting member 28.
  • the slide knob 25 is pulled toward the driving unit 200, that is, rearward by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200, and the fastener 22 is pulled while the slide knob 25 is dragged, so that the plate 23 is fastened. Can be separated from the sphere 22.
  • the ball nut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slide knob 25 through the connecting member 28, and the ball screw coupled to the ball nut is connected to the motor shaft of the geared motor. As the motor shaft of the motor rotates, the ball nut may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ll screw to push or pull the connecting member 28.
  • the emergency battery 300 may supply power to the electronic control unit (ECU) 12 and the driver 200 when a commercial power source (battery) is cut off in an emergency or emergency situation.
  • the emergency battery 300 may include all rechargeable or replaceable batteries (batteries) that are charged from a usual commercial power source (battery).
  • the emergency battery 300 may be provided in case that power supply is stopped due to breakage of commercial power (battery) of the moving means 1 due to an accident such as collision, flooding, fire, or the like. That is, the seat belt is normally operated by the commercial power (battery) of the transportation means 1, but the emergency power through the emergency battery 300 only when a fire, flood, impact, etc. is detected and the commercial power (battery) is cut off. By automatically supplying the drive unit 200 may be operated.
  • each driving unit 200 in each of the electronic seat belts 20 may be operated in the order of a driver's seat, a passenger seat, a rear seat 1, a rear seat 2, and a rear seat 3. It is understood that this order may be arbitrarily changed.
  • the electronic control unit 12, the driving unit 200, the emergency battery 300, the impact sensor 130, and various switches (500, 600) to be described later is to be waterproof so that it can be operated even if submerged in water. desirable.
  • the electronic control unit 12 and the emergency battery 300 may be provided in a control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ntrol box may b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near the electronic seat belt 20.
  • the electronic control unit 12 and the emergency battery 300 may be installed at separate locations, of course.
  • the emergency battery 300 may be mounted in the buckle 21 of the electronic seat belt 20.
  • the timer 400 may generate a driving signal of the driving unit 200 after a predetermined time or immediately after a detection signal such as shock (vibration), water or fire is input from each of the sensing sensors 100.
  • a detection signal such as shock (vibration), water or fire is input from each of the sensing sensors 100.
  • the electronic seat belt 20 is automatically provided when the set time s on the timer 400 is exceeded after the shock sensor 130 detects the first shock. Can be released. If the set time on the timer 400 is 5 seconds, if the second and third shocks are detected again within 5 seconds after the shock is detected, the counting time (s) becomes '0' (reset), and the first time again. After counting for 5 seconds from 5 seconds if the electronic seat belt 20 can be automatically released.
  • the electronic seat belt 20 is automatically released after the setting time (s) after the first shock is detected, but if the setting time ( s) Even before the signal is detected from the fire sensor 110 or the water sensor 120, the electronic seat belt 20 can be automatically released immediately.
  • the timer 400 may immediately generate a driving signal of the driving unit 200 when a signal of the fire detection sensor 110 or the water detection sensor 120 is detected after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signal of the shock detection sensor 130 is input. Can be.
  • the driving signal of the timer 400 may be transmitted to the electronic control unit 12 to operate the driving unit 200 in each of the electronic seat belts 20.
  • the seat belt switch 500 may be connected in an ON state when the plate 23 and the fastener 22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the buckle 21 of the electronic seat belt 20.
  • the seat belt switch 500 is a switch whose switch contact is changed depending on whether the plate 23 and the buckle 21 of the electronic seat belt 200 are coupled, and when the plate 23 and the buckle 21 are coupled to each other. It is connected in the ON state and can be displayed on the instrument panel of the moving means 1 or the like.
  • the seat belt switch 500 may be switched to an ON state when the occupant wears the electronic seat belt 20 normally.
  • Safety belt system 10 capable of automatic release in an emergenc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perated in a state that the seat belt switch 500 is turned on (ON).
  • the driving unit 200 in the buckle 21 of the electronic seat belt 20 for each sea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fire sensor 110, water sensor 120 or impact sensor 130.
  • the drive is operable when the plate 23 of the electronic seat belt 20 and the buckle 21 are coupled so that the seat belt switch 500 is connected in an ON state.
  • the manual switch 600 is provided on the buckle 21 of each of the electronic seat belts 20 so that the driving unit 200 may be operated during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occupant to release or detach the fastener 22 from the plate 23. have. That is, the manual switch 600 makes it possible to conveniently use the electronic seat belt 20 in a touch manner even when not in an emergency.
  • a general commercial power source of the moving means 1 can be used.
  • the manual switch 600 may be installed at the inlet of the buckle 21 of the electronic seat belt 20 into which the plate 23 is inserted.
  • the manual switch 600 may be located in the push button of the conventional mechanical seat belt.
  • the manual switch 600 may be provided in a one-touch manner to facilitate the release of the electronic seat belt 20.
  • the manual switch 600 may be turned ON even if it is lightly pressed, so that the electronic seat belt 20 may be released by operating the driving unit 200.
  • Such a manual switch 600 can be seen as a side that utilizes the use of the existing mechanical seat belt structure as it is to easily operate the seat belt in everyday life rather than emergency or emergency.
  • the electronic seat belt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capable of mechanically releasing the seat belt through the usual push button, but also electronically releasing the seat belt through the manual switch 600.
  •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even when the manual switch 600 is usually pressed in a one-touch manner, it is usually released automatically and used more conveniently.
  •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oor switch 610 that can be released or separated from the fastener 22 from the plate 23 by operating the drive unit 200 when operating the door handle.
  • the door switch 610 such as the power supply to at least one of the electronic control unit 12 or the driving unit 200 to release the fastener 22 from the plate 23 when the door handle of the moving means 1 is operated. Switch on or off.
  • the door switch 610 is turned on at the moment of opening the door.
  • the plate 23 may be separated from the fastener 22.
  • the door switch 610 may be an existing switch installed in the door of the moving means, may be installed in the door handle separately from the existing switch.
  • the door switch 610 is ON when the door is opened (ON) to operate the drive unit 200, and operates separately from the operation of a plurality of sensors 100 for detecting shock, water or fire.
  • a general commercial power source of the moving means 1 may be used.
  • the smart device 700 may be installed with an application connected to the electronic control unit 12 an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 an emergency or emergency.
  • Bluetooth or the like may be used as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 the smart device 700 may transmit the rescue signal or the rescue information through the application to the accident management server 800 or the smart terminal of a family in which the same application is installed.
  • the smart device 700 may include a smartphone, a smart pad, a tablet PC, and the like.
  • Incident management server 800 may be provided in the situation room, such as 119 or 112.
  • the accident management server 800 may take the action of requesting emergency dispatch of the rescue team and the ambulance to the accident site by receiving the rescue signal or the rescue information from the smart device 700 using the GPS location tracking of the accident location.
  • a vehicle or an aircraft such as a vehicle or an aircraft
  • a vehicle or an aircraft is inundated due to an accident by falling into a river or the sea while being inundated, or secondary or tertiary damage is caused by an accident between a vehicle or an object.
  • the seatbelt is automatically released so that the occupant can easily escape.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damage to life by allowing passengers who are not satisfied with the operation of the seat belt, such as children or elderly people, or passengers embarrassed due to an accident can easily escape without feeling the difficulty of releasing the seat belt.
  •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rescue agency or family through the application of a smart device that is link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in the event of a collision accident, fire or flooding to notify the accident and location of the accident point by GPS function enables efficient rescue It is effective.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나 항공기 등의 안전벨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추락사고나 교통사고 등 비상시 자동 해제가 가능한 안전벨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차나 항공기 등의 이동 수단이 운행 중 강이나 바다에 불의의 사고로 추락해 침수가 되거나, 차량 간 또는 어떤 물체하고의 충돌사고로 2차, 3차 피해가 예상될 때, 그리고 엔진에 화재가 발생하여 위급한 상황시에 자동으로 안전벨트가 해제되어 탑승자가 용이하게 탈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평소에도 도어를 열고 하차하면 도어를 여는 순간 자동으로 안전벨트가 해제되어 편리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 해제가 가능한 안전벨트 시스템
본 발명은 자동차나 항공기 등의 안전벨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고 발생 등 비상시 자동 해제가 가능한 안전벨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16년 12월 07일에 출원된 한국특허출원 제10-2016-0166027호에 기초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해당 출원의 명세서 및 도면에 개시된 모든 내용은 본 출원에 원용된다.
일반적으로, 차량 등에 설치되는 안전벨트의 용도는 운행 중에 탑승자의 상체 위치를 가능한 한 시트에 고정하여 이를 착용함으로써 충돌 사고 등의 비상시 차체 등이 정지하려 할 때 운전자나 탑승자가 관성에 의해 튕겨나가지 못하도록 하여 충돌시의 관성에 따른 충격으로 인해 입을 수 있는 2차적인 상해를 저감시키는 기능을 갖는 것이다.
즉, 안전벨트는 운전자 및 승객이 시트에 착석한 후 벨트를 상체 앞으로 잡아당겨 플레이트를 버클 내의 체결구에 체결함으로써, 안전벨트와 좌석의 등받이 사이에서 탑승자의 상체를 고정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아래의 예와 같은 사고시에는 안전벨트를 착용함으로써 오히려 생명을 잃는 경우도 있다.
2015년 2월 4일 대만 푸싱(트랜스아시아)항공 소속 소형 항공기가 이륙 직후 기장의 조종 실수로 하천으로 추락해 46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는데 안전벨트를 착용한 승객은 물속에서 탈출을 하지 못해 모두 사망하고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은 승객은 모두 구조됐다는 매스컴 보도가 있었다.(2015년 2월 6일 YTN 뉴스)
이와 관련하여 매스컴 상에서도 한동안 안전벨트를 꼭 착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란이 일었었다.
상기와 같이 종래에는 자동차 등이 강이나 바다에 추락해 침수되었을 때 그리고 화재나 충돌 사고시, 탑승자가 당황하게 되어 안전벨트를 풀지 못해 탈출을 하지 못하거나 구조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인명피해가 발생되는 문제가 종종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비상시 안전벨트가 자동으로 해제되는 기술의 일례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98-0007697호(공개일자: 1998.04.30)에는 "자동차의 침수시 안전벨트 자동 해제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주요 내용을 보면 본네트에 부력 스위치를 설치해 모터로 안전벨트를 해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자동차가 물에 침수되면 배터리 전원이 차단되어 모터를 구동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물에 침수되었을 경우의 한정된 기술이어서 효용가치가 적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99-0051148호(공개일자: 1999.07.05)에는 "안전벨트의 로킹해제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며, 주요 내용을 보면 안전벨트의 버클 어셈블리와 로커가 결합되어 안전벨트가 착용되는 장치 있어서,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자제어장치의 신호전달에 의해 잠입 또는 신장하는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솔레노이드와, 액츄에이터의 잠입 또는 신장에 따라서 타측이 연동하도록 설치되며, 힌지축을 중심으로 제한적인 회전운동을 하여 로커와 로킹 또는 로킹을 자동적으로 해제하는 후크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의 로킹 해제장치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안전벨트의 로킹 해제장치는 안전벨트를 착용하고 있다가 하차하고자 할 때 시동을 끄면 전자제어장치가 엔진의 회전수를 감지해 자동으로 안전벨트가 해제되는 기술로 위급시 안전벨트가 해제되는 기술과는 거리가 멀다 하겠다.
지금까지 공개된 선행기술들을 보면, 교통사고의 발생시 차량에 장착된 배터리 전원을 이용해 해제되는 안전벨트들이 여럿 있으나, 막상 교통사고가 발생하게 되면, 충격으로 인해 배터리가 파손되거나 전원이 끊겨 안전벨트가 해제되지 않는 경우가 있고, 또한, 차량이 전복되어 침수되었을 때 배터리가 물에 의해 방전되어 위급시 안전벨트가 무용지물이 되는 문제도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안전벨트 설치구조는 차체의 바닥과 필라 그리고 플레이트와 버클의 결합을 통한 고정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해제 시에는 사람이 직접 버클에 설치되어 있는 누름 버튼을 눌러 플레이트를 버클로부터 이탈시키도록 이루어져 있다.
즉, 버클의 결합 및 해제 특히, 버클의 해제시 반드시 사람이 버클에 설치되어 있는 누름 버튼을 조작하여야만 안전벨트의 플레이트가 버클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에 따라, 평소 차량에서 하차시, 매번 안전벨트를 수동으로 해제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하게 되고, 안전벨트 착용한 것을 깜박 잊고 도어를 열고 하차하는 경우, 부상의 위험이 있어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운전 부주의나 졸음운전 등의 사고로 차량이 강이나 바다와 같은 물속에 빠졌을 경우, 또는, 어떤 물체와의 충돌 사고시, 그리고, 엔진 화재시, 탑승자가 당황하게 되어 안전벨트를 잘 풀지 못하거나 해제하는데 오랜 시간이 걸릴 수 있고, 그에 따라 안전벨트를 매고 있는 상태에서는 탈출이나 구조가 용이하지 않아 인명 피해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나 항공기 등의 이동 수단이 운행 중 강이나 바다에 불의의 사고로 추락해 침수가 되거나, 차량 간 또는 어떤 물체하고의 충돌사고로 2차, 3차 피해가 예상될 때, 그리고 엔진에 화재가 발생하여 위급한 상황시에 자동으로 안전벨트가 해제되어 탑승자가 용이하게 탈출할 수 있게 하는 비상시 자동 해제가 가능한 안전벨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평소 이동 수단을 이용하면서 안전벨트를 착용한 상태에서 하차하고자 할 때, 또는, 위급한 상황을 인지해 탈출을 시도할 때, 도어를 여는 순간 자동으로 안전벨트 해제되는 비상시 자동 해제가 가능한 안전벨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어린이나 노약자 등 안전벨트의 조작에 미흡한 탑승자가 용이하게 탈출할 수 있게 하여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는 동시에, 평소에도 원터치 방식으로 살짝만 눌러도 자동으로 해제되어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비상시 자동 해제가 가능한 안전벨트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 수단의 침수 시 안전벨트가 자동으로 해제되는 것은 물론 도어의 창문이 자동으로 열려 수압으로 인해 도어가 열리지 않는 어려움을 해소하여 탈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비상시 자동 해제가 가능한 안전벨트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 수단의 충돌사고, 화재나 침수시 무선통신으로 연동되는 스마트 기기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구조기관이나 가족 등에 자동연결되어 사고를 알리고 GPS 기능으로 사고지점을 위치 추적하여 효율적인 구조가 가능케 하는 비상시 자동 해제가 가능한 안전벨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비상시 자동 해제가 가능한 안전벨트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이동 수단의 충돌, 침수 또는 화재와 같은 비상시에 자동으로 해제 가능한 전자식 안전벨트 시스템은, 상기 이동 수단에 설치되어 비상시 충격, 물 또는 화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감지하는 다수의 감지센서; 상기 이동 수단의 도어 손잡이를 조작시 플레이트로부터 체결구를 해제시키도록 전원 공급 여부를 스위칭하는 도어 스위치; 및 각 좌석의 전자식 안전벨트의 버클 내에 제공되고, 다수의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된 신호 또는 도어 스위치가 온(ON)되어 공급되는 전원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은 전자제어유닛의 제어를 통해 슬라이드 노브를 끌어당겨 상기 플레이트와 결합되어 있는 상기 체결구를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분리시키거나, 상기 도어 스위치가 온(ON)되어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 노브를 끌어당겨 상기 플레이트와 결합되어 있는 상기 체결구를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분리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상기 구동부는, 전동기와 감속 기어 장치를 하나로 조합한 기어드 모터; 상기 기어드 모터에 설치되어 상기 기어드 모터에 의해 일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스크류; 및 상기 슬라이드 노브와 연결부재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스크류가 일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 노브를 밀거나 당길 수 있도록 상기 스크류와 나사 결합되는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상용 전원으로부터 충전되며, 비상시 상용 전원의 전원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 상기 전자제어유닛 및 상기 구동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비상용 배터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상용 배터리는, 상용 전원으로부터 충전되며, 비상시 상용 전원의 전원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 상기 전자제어유닛 및 상기 구동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예에 의하면,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이동 수단의 엔진 부근에 제공되는 화재감지센서; 및 각 좌석의 안전벨트 근방에 위치되는 물감지센서와 충격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각각의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면 일정 시간 경과 후 또는 즉시 상기 구동부의 구동신호를 발생시키는 타이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전자식 안전벨트가 설치된 각각의 좌석별로 순차적으로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에 의하면, 비상시 상기 전자제어유닛과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구조신호를 사고관리서버에 전송하는 스마트 기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시 자동 해제가 가능한 안전벨트 시스템은 자동차나 항공기 등의 이동 수단이 운행 중 강이나 바다에 불의의 사고로 추락해 침수가 되거나, 차량 간 또는 어떤 물체하고의 충돌사고로 2차, 3차 피해가 예상될 때, 그리고 엔진에 화재가 발생하여 위급한 상황시에 자동으로 안전벨트가 해제되어 탑승자가 용이하게 탈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시 자동 해제가 가능한 안전벨트 시스템은 평소 이동 수단을 이용하면서 안전벨트를 착용한 상태에서 하차하고자 할 때, 또는, 위급한 상황을 인지해 탈출을 시도할 때, 도어를 여는 순간 자동으로 안전벨트 해제되어 탑승자가 용이하게 하차 또는 탈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시 자동 해제가 가능한 안전벨트 시스템은 어린이나 노약자 등 안전벨트의 조작에 미흡한 탑승자가 용이하게 탈출할 수 있게 하여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는 동시에, 평소에도 원터치 방식으로 살짝만 눌러도 자동으로 해제되어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시 자동 해제가 가능한 안전벨트 시스템은 이동 수단의 침수 시 안전벨트가 자동으로 해제되는 것은 물론 도어의 창문이 자동으로 열려 수압으로 인해 도어가 열리지 않는 어려움을 해소하여 탈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시 자동 해제가 가능한 안전벨트 시스템은 이동 수단의 충돌사고, 화재나 침수시 무선통신으로 연동되는 스마트 기기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구조기관이나 가족 등에 자동연결되어 사고를 알리고 GPS 기능으로 사고지점을 위치 추적하여 효율적인 구조가 가능케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시 자동 해제가 가능한 안전벨트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전자식 안전벨트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전자식 안전벨트가 체결된 상태의 모습을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전자식 안전벨트가 해제되는 상태의 모습을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안전벨트가 체결된 상태의 모습을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안전벨트가 해제되는 상태의 모습을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0 : 비상시 자동 해제가 가능한 안전벨트 시스템
20 : 전자식 안전벨트 21 : 버클
22 : 체결구 23 : 플레이트
25 : 슬라이드 노브 27 : 탄성체
100 : 감지센서 110 : 화재감지센서
120 : 물감지센서 130 : 충격감지센서
200 : 구동부 300 : 비상용 배터리
400 : 타이머 500 : 안전벨트 스위치
600 : 수동 스위치 610 : 도어 스위치
700 : 스마트 기기 800 : 사고관리서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시 자동 해제가 가능한 안전벨트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비상시 자동 해제가 가능한 안전벨트 시스템(10)은 감지센서(100), 구동부(200), 비상용 배터리(300), 타이머(400), 안전벨트 스위치(500), 수동 스위치(600), 그리고 스마트 기기(7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비상시 자동 해제가 가능한 안전벨트 시스템(10)은 이동 수단(1)의 충돌, 침수 또는 화재와 같은 비상시에 전자식 안전벨트(20)가 자동으로 해제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수단(1)은 동력을 이용하여 사람을 이동시킬 수 있는 자동차, 항공기 등 좌석에 안전벨트가 설치될 수 있는 구조의 이동 수단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감지센서(100)는 이동 수단(1)에 다수가 설치될 수 있다. 감지센서(100)는 이동 수단(1)의 충돌, 침수 또는 화재와 같은 비상 혹은 위급시에 충격이나 진동, 물 또는 화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감지할 수 있다.
감지센서(100)는 화재감지센서(110), 물감지센서(120) 및 충격감지센서(1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충격감지센서(130)는 진동감지센서로 대체될 수 있으며, 양 센서는 모두 충격이나 진동 등을 감지할 수 있는 의미로 이용될 수 있다.
화재감지센서(110)는 이동 수단(1)의 엔진 부근에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이동 수단(1)이 자동차인 경우, 화재감지센서(110)는 자동차 보닛(bonnet) 내에 위치되어 엔진에서 화재 발생시 화재나 연기 등을 감지할 수 있다.
물감지센서(120)와 충격감지센서(130)는 각각의 좌석의 안전벨트 근방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물감지센서(120)는 침수시 물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감지센서(120)는 자동차의 경우 좌석 시트 하부나 실내 바닥 등의 플로어(floor)에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다. 충격감지센서(130)는 좌석 시트 일측이나 하부에 제공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물감지센서(120)와 충격감지센서(130)는 안전벨트 버클(21) 내에 장착될 수도 있다.
여기서, 이동 수단의 침수 시 물감지센서(120)가 물을 감지하게 되면, 안전벨트가 자동으로 해제되는 것은 물론, 도어의 창문이 자동으로 열려 수압으로 인해 도어가 열리지 않는 어려움을 해소하여 탈출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의 전자식 안전벨트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전자식 안전벨트가 체결된 상태의 모습을 보여주는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전자식 안전벨트가 해제되는 상태의 모습을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구동부(200)는 각 좌석의 전자식 안전벨트(20)의 버클(21) 내에 제공될 수 있으나, 이와는 다르게, 버클(21)을 시트에 고정하는 부위에 별도로 설치할 수도 있다.
구동부(200)는 각각의 감지센서(10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은 전자제어유닛(12)의 제어에 의해 동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부(200)는 슬라이드 노브(slide knob)(25)를 끌어당겨 플레이트(23)와 결합되어 있는 체결구(22)를 들어올려 후퇴시키면서 체결구(22)를 분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구동부(200)는 체결구(22)로부터 플레이트(23)를 해제시킬 수 있다. 즉, 구동부(200)는 비상 혹은 위급시 플레이트(23)와 버클(21)을 분리시켜 전자식 안전벨트(20)가 해제될 수 있도록 한다.
실시예에 따라, 구동부(200)는 슬라이드 하우징(미도시)을 끌어당겨 플레이트(23)와 결합되어 있는 체결구(22)를 들어 올리는 구조로서 플레이트(23)로부터 체결구(22)를 분리시킬 수도 있다.
구동부(200)는 플레이트(23)와 버클(21)의 결합시 오프(OFF) 상태로 유지되다가 각각의 감지센서(100)로부터 물이나 화재 그리고 충격 등이 감지되면 자동으로 온(ON) 상태가 되며, 플레이트(23)에서 체결구(22)를 분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일반적인 안전벨트의 고정수단인 플레이트와 버클을 전기적인 힘으로 작동하는 구동부(200)의 구동에 의해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자식 안전벨트(20)의 버클(21)은 서로 대응되는 상,하부 커버(21a,21b)의 내부에 체결구(22), 슬라이드 노브(25), 체결부(26), 탄성체(27), 연결부재(28) 및 구동부(2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구동부(200)는 전자석을 기계적 직동(直動)운동에 이용하는 솔레노이드(solenoid)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동부(200)는 슬라이드 노브(25)의 후단(25a)과 연결부재(28)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재(28)는 전원 공급시 구동되는 구동부(200)의 구동력을 슬라이드 노브(25)에 전달할 수 있다. 슬라이드 노브(25)는 종래의 안전벨트에서 버클 입구의 프레스(PRESS) 버튼에 해당되는 구조로서 일반적으로는 누름 조작을 통해 내부로 슬라이드 되면서 결합된 상태의 플레이트(23)를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버클(21) 내의 하부에는 플레이트(23)가 삽입되어 결속될 수 있는 체결부(26)가 마련될 수 있다. 체결부(26)에는 후크 형상의 체결구(22)가 제공될 수 있다. 플레이트(23)와 체결구(22)의 결합은 플레이트(23)가 버클(21) 내로 삽입되어 체결구(22)가 플레이트(23)에 형성된 플레이트홀(23a)에 걸쳐짐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체결구(22)의 후방에는 스프링과 같은 별도의 탄성체(27)가 연결되어 플레이트(23)가 버클(21) 내에서 결합되어 탄성체(27)가 수축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항상 버클(21)의 입구쪽으로 복원력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체결구(22)가 플레이트홀(23a)로부터 이탈되어 졌을 때 플레이트(23)가 버클(21)로부터 분리되는 것은 플레이트(23)가 탄성체(27)의 작용으로 항상 버클(21)로부터 이탈되는 외측 방향의 탄성력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버클(21) 내에서 체결부(26)의 상부에는 슬라이드 노브(25)가 제공될 수 있다. 슬라이드 노브(25)는 구동부(200)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되어 탄성체(27)를 수축시키면서 체결구(22)를 후퇴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체결구(22)는 들어 올려져 후방으로 당겨지거나, 단순히 들어 올려진 상태만을 유지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동부(200)의 작동으로 슬라이드 노브(25)가 구동부(200) 방향, 즉 후방으로 당겨지게 되고, 슬라이드 노브(25)가 끌려가면서 체결구(22)를 당기게 되어 플레이트(23)가 체결구(22)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슬라이드 노브(25)의 후단과 구동부(200) 사이에는 추가적으로 혹은 연결부재(28)를 대신하여 탄성부재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스프링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는 슬라이드 노브(25)가 구동부(200)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된 후 다시 전방으로 복귀할 때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후방 이동된 슬라이드 노브(25)는 연결부재(28)를 통해 구동부(200)의 작동에 의해 다시 전방의 원위치로 돌아올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안전벨트가 체결된 상태의 모습을 보여주는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안전벨트가 해제되는 상태의 모습을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다른 실시예로서, 구동부(200)는 전동기(電動機)와 감속 기어 장치를 하나로 조합한 기어드 모터(geared motor)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동부(200)는 전동기와 감속 기어 장치를 하나로 조합한 기어드 모터와, 기어드 모터에 설치되어 기어드 모터에 의해 일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스크류(30) 및 슬라이드 노브(25)와 연결부재(28)를 통해 연결되며, 슬라이드 노브(25)를 밀거나 당길 수 있도록 스크류(30)와 나사 결합되는 너트(29)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 구동부(200)는 슬라이드 노브(25)의 후단(25a)에 너트(29)와 스크류(30)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슬라이드 노브(25)의 후단에는 연결부재(28)를 통해 너트(29)가 연결되고, 기어드 모터의 모터축에는 너트(29)와 나사 결합되는 스크류(30)가 연결되어 기어드 모터의 모터축이 회전함에 따라 너트(29)가 나사 결합에 의해 스크류(3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연결부재(28)를 밀거나 당길 수 있다.
다시말해, 기어드 모터의 모터축을 일방향 회전시키게 되면, 너트(29)가 스크류(3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연결부재(28)를 통해 너트(29)와 연결되는 슬라이드 노브(25)를 구동부(200) 방향으로 당길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동부(200)의 작동으로 슬라이드 노브(25)가 구동부(200) 방향, 즉 후방으로 당겨지게 되고, 슬라이드 노브(25)가 끌려가면서 체결구(22)를 당기게 되어 플레이트(23)가 체결구(22)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때, 기어드 모터의 모터축을 반대방향 회전시키게 되면, 너트(29)가 스크류(3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연결부재(28)를 통해 너트(29)와 연결되는 슬라이드 노브(25)를 구동부(200)의 반대방향으로 밀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전자식 안전벨트(20)는 슬라이드 노브(25)의 후단에는 연결부재(28)를 통해 볼너트가 연결되고, 기어드 모터의 모터축에는 볼너트와 결합되는 볼스크류가 연결되어 기어드 모터의 모터축이 회전함에 따라 볼너트가 볼스크류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연결부재(28)를 밀거나 당길 수도 있다.
비상용 배터리(300)는 비상시 혹은 위급한 상황에서 상용 전원(배터리)이 차단되었을 때 전자제어유닛(ECU)(12) 및 구동부(2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비상용 배터리(300)는 평소 상용 전원(배터리)으로부터 충전되는 충전식 혹은 교체식 배터리(건전지)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비상용 배터리(300)는 충돌, 침수, 화재 등과 같은 사고로 이동 수단(1)의 상용 전원(배터리)이 파손되는 등으로 인해 전원 공급이 중단될 것을 대비해 제공될 수 있다. 즉, 평소에는 이동 수단(1)의 상용 전원(배터리)으로 안전벨트가 작동되지만, 화재나 침수, 충격 등이 감지되고 상용 전원(배터리)이 차단되었을 때에만 비상용 배터리(300)를 통해 비상전원이 자동으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구동부(20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구동부(200)는 비상시에 전자식 안전벨트(20)가 설치된 각각의 좌석별로 순차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자동차의 경우, 각 전자식 안전벨트(20)내의 각각의 구동부(200)는 운전석, 조수석, 뒷좌석 1, 뒷좌석 2, 뒷좌석 3의 순서대로 작동될 수 있으나, 이러한 순서가 임의로 변경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는 각각의 전자식 안전벨트(20)의 구동부(200)의 구동이 동시에 일어남으로써 비상용 배터리(300)의 전원 공급이 순간적으로 부족하게 되는 상황을 방지하고, 평소에도 비상용 배터리(300)의 용량을 적게 유지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전자제어유닛(12), 구동부(200), 비상용 배터리(300), 충격감지센서(130) 및 후술하는 각종 스위치(500,600) 등은 혹여 물에 잠기는 경우에도 작동될 수 있도록 방수처리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전자제어유닛(12) 및 비상용 배터리(300)는 콘트롤 박스(Control Box) 내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콘트롤 박스는 전자식 안전벨트(20) 인근의 일정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전자제어유닛(12)과 비상용 배터리(300)는 별도의 위치에 각각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경우에 따라 비상용 배터리(300)는 전자식 안전벨트(20)의 버클(21) 내에 장착될 수도 있다.
타이머(400)는 각각의 감지센서(100)로부터 충격(진동), 물 혹은 화재 등의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일정 시간 경과 후 또는 즉시 구동부(200)의 구동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 운행 중 어떤 물체와 충돌 사고가 났을 경우 충격감지센서(130)가 최초 충격을 감지한 후 타이머(400) 상의 세팅된 시간(s)이 초과되면 자동으로 전자식 안전벨트(20)가 해제될 수 있다. 만약 타이머(400) 상의 세팅된 시간이 5초일 경우, 충격 감지 후 세팅 시간 5초 이내에 다시 2차, 3차 충격이 감지되면 카운팅되던 시간(s)이 '0'이 되며(reset), 다시 처음부터 5초간 카운팅 한 후 5초가 초과되면 전자식 안전벨트(20)가 자동으로 해제될 수 있다.
또한, 이동 수단(1)의 운행 중 불의의 사고로 강이나 바다로 추락하면 1차 충격 감지 후 세팅 시간(s)이 초과된 후 자동으로 전자식 안전벨트(20)가 해제되지만, 만약 세팅 시간(s) 이전이라도 화재감지센서(110)나 물감지센서(120)로부터 신호가 감지되면 감지 즉시 전자식 안전벨트(20)가 자동으로 해제될 수 있다.
즉, 타이머(400)는 충격감지센서(130)의 신호가 입력되면 일정 시간 후에, 화재감지센서(110) 또는 물감지센서(120)의 신호가 감지되면 즉시 구동부(200) 구동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타이머(400)의 구동신호는 전자제어유닛(12)에 전달되어 각각의 전자식 안전벨트(20) 내의 구동부(20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안전벨트 스위치(500)는 전자식 안전벨트(20)의 버클(21) 내에서 플레이트(23)와 체결구(22)의 결합시 온(ON) 상태로 접속될 수 있다.
안전벨트 스위치(500)는 전자식 안전벨트(200)의 플레이트(23)와 버클(21)의 결합 여부에 따라 스위치 접점이 변경되는 스위치로서, 플레이트(23)와 버클(21)이 결합되어 있을 때 온(ON) 상태로 접속되어 이동 수단(1)의 계기판 등에 표시될 수 있다.
즉, 안전벨트 스위치(500)는 탑승자가 전자식 안전벨트(20)를 정상적으로 착용한 경우 온(ON)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시 자동 해제가 가능한 안전벨트 시스템(10)은 안전벨트 스위치(500)가 온(ON)이 되어있는 상태에서 작동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화재감지센서(110), 물감지센서(120) 또는 충격감지센서(130)의 작동에 따른 각각의 좌석별 전자식 안전벨트(20)의 버클(21) 내의 구동부(200)의 구동은 전자식 안전벨트(20)의 플레이트(23)와 버클(21)이 결합되어 안전벨트 스위치(500)가 온(ON) 상태로 접속되어 있을 때에 작동 가능하다.
수동 스위치(600)는 각각의 전자식 안전벨트(20)의 버클(21)에 제공되어 탑승자의 누름 조작시 구동부(200)가 작동하여 플레이트(23)로부터 체결구(22)를 해제 혹은 분리시킬 수 있다. 즉, 수동 스위치(600)는 비상시가 아닌 평소에도 전자식 안전벨트(20)를 터치 방식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수동 스위치(600)의 이용시에는 이동 수단(1)의 일반적인 상용 전원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동 스위치(600)는 플레이트(23)가 삽입되는 전자식 안전벨트(20)의 버클(21) 입구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수동 스위치(600)는 종래의 기계식 안전벨트의 누름 버튼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수동 스위치(600)는 원터치식으로 제공되어 전자식 안전벨트(20)의 해제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수동 스위치(600)는 살짝만 눌러도 온(ON)이 되어 구동부(200)가 작동함으로써 전자식 안전벨트(20)가 해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동 스위치(600)는 비상이나 위급시가 아닌 평소 일상생활에서 안전벨트를 손쉽게 작동시킬 수 있도록 기존 기계식 안전벨트 구조의 사용법을 그대로 활용하는 측면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안전벨트(20)는 평소에 일반적인 누름 버튼을 통해 기계식으로 안전벨트의 해제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수동 스위치(600)를 통해 전자식으로 안전벨트의 해제가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평상시에도 수동 스위치(600)를 원터치 방식으로 살짝만 눌러도 자동으로 해제되어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은 도어 손잡이를 조작시 구동부(200)가 작동하여 플레이트(23)로부터 체결구(22)를 해제 혹은 분리시킬 수 있는 도어 스위치(61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도어 스위치(610)는 이동 수단(1)의 도어 손잡이를 조작하게 되면 플레이트(23)로부터 체결구(22)를 해제시키도록 전자제어유닛(12) 또는 구동부(200) 중 적어도 하나로의 전원 공급 여부를 스위칭한다.
즉, 탑승자가 위급한 상황을 인식하고 탈출을 시도할 때, 또는, 평소 차량에서 하차를 하고자 할 때, 필연적으로 도어를 열게 되는데, 도어를 여는 순간 도어 스위치(610)가 온(ON)되어 구동부(200)를 작동시키게 되고, 이와 같은 구동부(200)의 작동으로 슬라이드 노브(25)가 구동부(200) 방향, 즉 후방으로 당겨지게 되고, 슬라이드 노브(25)가 끌려가면서 체결구(22)를 당기게 되어 플레이트(23)가 체결구(22)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평소 이동 수단을 이용하면서 안전벨트를 착용한 상태에서 하차하고자 할 때, 또는, 위급한 상황을 인지해 탈출을 시도할 때, 도어를 여는 순간 자동으로 안전벨트 해제되어 탑승자가 용이하게 하차 또는 탈출할 수 있다.
이때, 도어 스위치(610)는 이동 수단의 도어에 설치된 기존 스위치일 수 있으며, 기존 스위치와 별도로 도어 손잡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도어 스위치(610)는 도어를 여는 순간 온(ON)되어 구동부(200)를 작동시키는 것으로, 충격, 물 또는 화재를 감지하는 다수의 감지센서(100)의 작동과는 별개로 작동한다.
또한, 도어 스위치(610)의 이용시에는 이동 수단(1)의 일반적인 상용 전원이 사용될 수 있다.
스마트 기기(700)에는 비상시 또는 위급시 전자제어유닛(12)과 근거리 무선통신 등으로 연결되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무선통신으로는 블루투스(bluetooth)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스마트 기기(700)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구조신호나 구조정보를 사고관리서버(800) 또는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가족의 스마트 단말 등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 기기(700)는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태블릿 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고관리서버(800)는 119나 112 등의 상황실에 제공될 수 있다. 사고관리서버(800)는 스마트 기기(700)로부터 구조신호나 구조정보 등을 인가받아 사고지점의 GPS 위치추적 등을 이용하여 사고현장으로 구조대 및 구급차 등을 긴급파견 요청하는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자동차나 항공기 등의 이동 수단이 운행 중 강이나 바다에 불의의 사고로 추락해 침수가 되거나, 차량 간 또는 어떤 물체하고의 충돌사고로 2차, 3차 피해가 예상될 때, 그리고 엔진에 화재가 발생하여 위급한 상황시에 자동으로 안전벨트가 해제되어 탑승자가 용이하게 탈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어린이나 노약자 등 안전벨트의 조작에 미흡한 탑승자나, 사고로 인하여 당황한 탑승자 등이 안전벨트 해제의 어려움을 느끼지 않고서 쉽게 탈출할 수 있게 함으로써 인명 피해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수단의 충돌사고, 화재나 침수시 무선통신으로 연동되는 스마트 기기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구조기관이나 가족 등에 자동연결되어 사고를 알리고 GPS 기능으로 사고지점을 위치 추적하여 효율적인 구조가 가능케 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기존의 기계식 안전벨트의 구조나 강도를 크게 변형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경제적이고 활용성이 큰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이동 수단의 충돌, 침수 또는 화재와 같은 비상시에 자동으로 해제 가능한 안전벨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단에 설치되어 비상시 충격, 물 또는 화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감지하는 다수의 감지센서;
    상기 이동 수단의 도어 손잡이를 조작시 플레이트로부터 체결구를 해제시키도록 전원 공급 여부를 스위칭하는 도어 스위치; 및
    각 좌석의 전자식 안전벨트의 버클 내에 제공되고, 다수의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된 신호 또는 상기 도어 스위치가 온(ON)되어 공급되는 전원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은 전자제어유닛의 제어를 통해 슬라이드 노브를 끌어당겨 상기 플레이트와 결합되어 있는 상기 체결구를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분리시키거나, 상기 도어 스위치가 온(ON)되어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 노브를 끌어당겨 상기 플레이트와 결합되어 있는 상기 체결구를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분리시키는 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시 자동 해제가 가능한 안전벨트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전동기와 감속 기어 장치를 하나로 조합한 기어드 모터;
    상기 기어드 모터에 설치되어 상기 기어드 모터에 의해 일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스크류; 및
    상기 슬라이드 노브와 연결부재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스크류가 일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 노브를 밀거나 당길 수 있도록 상기 스크류와 나사 결합되는 너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시 자동 해제가 가능한 안전벨트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용 전원으로부터 충전되며, 비상시 상용 전원의 전원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 상기 전자제어유닛 및 상기 구동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비상용 배터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시 자동 해제가 가능한 안전벨트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이동 수단의 엔진 부근에 제공되는 화재감지센서; 및
    각 좌석의 안전벨트 근방에 위치되는 물감지센서와 충격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시 자동 해제가 가능한 안전벨트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면 일정 시간 경과 후 또는 즉시 상기 구동부의 구동신호를 발생시키는 타이머;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시 자동 해제가 가능한 안전벨트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전자식 안전벨트가 설치된 각각의 좌석별로 순차적으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시 자동 해제가 가능한 안전벨트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비상시 상기 전자제어유닛과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구조신호를 사고관리서버에 전송하는 스마트 기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시 자동 해제가 가능한 안전벨트 시스템.
PCT/KR2017/014107 2016-12-07 2017-12-04 자동 해제가 가능한 안전벨트 시스템 WO2018105978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6027A KR101874713B1 (ko) 2016-12-07 2016-12-07 자동 해제가 가능한 안전벨트 시스템
KR10-2016-0166027 2016-12-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05978A1 true WO2018105978A1 (ko) 2018-06-14

Family

ID=62492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14107 WO2018105978A1 (ko) 2016-12-07 2017-12-04 자동 해제가 가능한 안전벨트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74713B1 (ko)
WO (1) WO201810597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208151A1 (en) * 2017-01-25 2018-07-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lectronic seatbelt
US10918168B2 (en) 2017-01-25 2021-02-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lectronic seatbel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94514B (zh) * 2018-08-16 2020-10-23 北京汽车股份有限公司 安全带未收回提醒方法、装置、设备及汽车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41857A (ja) * 1989-03-15 1990-09-26 Juichi Shimizu 自動解錠調節装置付シートベルト
KR960010789U (ko) * 1994-09-26 1996-04-12 차량 충돌시의 안전벨트 자동탈거 장치
KR20000065879A (ko) * 1999-04-09 2000-11-15 홍승광 자동차 시트벨트의 자동 해제장치
KR100430884B1 (ko) * 2001-10-23 2004-05-10 경신공업 주식회사 시트벨트 자동 해제장치
KR20150114214A (ko) * 2014-04-01 2015-10-12 양용철 자동차 사고를 알리는 스마트 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41857A (ja) * 1989-03-15 1990-09-26 Juichi Shimizu 自動解錠調節装置付シートベルト
KR960010789U (ko) * 1994-09-26 1996-04-12 차량 충돌시의 안전벨트 자동탈거 장치
KR20000065879A (ko) * 1999-04-09 2000-11-15 홍승광 자동차 시트벨트의 자동 해제장치
KR100430884B1 (ko) * 2001-10-23 2004-05-10 경신공업 주식회사 시트벨트 자동 해제장치
KR20150114214A (ko) * 2014-04-01 2015-10-12 양용철 자동차 사고를 알리는 스마트 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208151A1 (en) * 2017-01-25 2018-07-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lectronic seatbelt
US10918168B2 (en) 2017-01-25 2021-02-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lectronic seatbel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5354A (ko) 2018-06-18
KR101874713B1 (ko) 2018-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105978A1 (ko) 자동 해제가 가능한 안전벨트 시스템
US5406252A (en) Seat belt warning device
JPS5940964A (ja) シ−トベルト装置
JP2009083618A (ja) 電子ミラーシステム
CN102398806A (zh) 电梯的省电力系统
KR20070018246A (ko) 하차버튼이 구비된 손잡이
US8336663B2 (en) Adaptive seatbelt apparatus
KR101700416B1 (ko) 비상시 자동 해제가 가능한 전자식 안전벨트 시스템
US10975607B2 (en) Integrated system releasing in emergency persons trapped in a vehicle, a method implementing this system, and a method of mounting an actuator opening the vehicle door
US11834872B2 (en) Vehicle door opening assembly
KR101361179B1 (ko) 차량용 안전시스템
WO2011053015A2 (en) Buckle hall switch for seat-belt of vehicle
KR20200141358A (ko) 자동 해제 안전벨트
JP2004035249A (ja) 防犯機能付きエレベーター運転制御装置
CN206297532U (zh) 一种车辆防盗解锁装置及系统
CN111319535B (zh) 应急装置和公共交通工具
IT201900003445A1 (it) Dispositivo meccanico di emergenza, per lo sgancio rapido di cinture di sicurezza per veicoli
KR19980025194A (ko) 자동차의 충돌사고 및 물 속으로 침몰사고시 도어의 비상 자동개방안전 제어시스템
CN108483162A (zh) 检测电梯内遗漏生命的监控系统
US5678859A (en) Seat belt
KR20200122103A (ko) 안전벨트 착용유무 모니터링 시스템
CN117984939A (zh) 一种安全带的快速解除方法
JPS61235379A (ja) エレベ−タ−の制御装置
CN112810561A (zh) 一种车辆及其乘客防遗留的控制系统和方法
KR200243988Y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미착용 알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87757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DPE1 Request for preliminary examination filed after expiration of 19th month from priority date (pct application filed from 2004010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87757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