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3988Y1 - 자동차 안전벨트의 미착용 알림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안전벨트의 미착용 알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3988Y1
KR200243988Y1 KR2020010012690U KR20010012690U KR200243988Y1 KR 200243988 Y1 KR200243988 Y1 KR 200243988Y1 KR 2020010012690 U KR2020010012690 U KR 2020010012690U KR 20010012690 U KR20010012690 U KR 20010012690U KR 200243988 Y1 KR200243988 Y1 KR 2002439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elt
switch
buckle
turned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26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재석
Original Assignee
서재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재석 filed Critical 서재석
Priority to KR20200100126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39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39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3988Y1/ko

Links

Landscapes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안전벨트의 미착용 알림장치에 관한 것으로, 안전벨트의 버클부분에 스위치를 설치하여 자동차의 시동을 켠 상태에서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으면 상기 스위치의 스위칭이 온(ON)상태가 되면서 사용자에게 안전벨트 미착용에 따른 신호를 보내주므로서 운전자가 곧바로 안전벨트를 착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버클(12)에 결착구(11)가 선택적으로 결착되도록 된 안전벨트(1)에 있어서, 상기 안전벨트를 이루는 버클(12)의 외측 적소에 스위치(14)가 부착되고, 상기 스위치는 자동차의 시동이 켜지는 순간 자동차의 엔진으로 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받아 온(ON)상태로 스위칭 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자동차 내부 적소에는 스위치(14)가 온상태로 스위칭되어 있는 동안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면서 이를 운전자에게 알려주도록 알림부재(16)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부착되어 상기 결착구(11)가 버클(12)에 결착되기 전 까지는 스위치(14)가 온됨에 따라 알림부재(16)가 작동되고, 결착구(11)가 버클(12)에 결착된 후에는 스위치(14)가 오프됨에 따라 알림부재(16)가 작동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안전벨트의 미착용 알림장치{device for notifying not yet wearing of safety belt in car}
본 고안은 자동차 안전벨트 분야에 관련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운전자가 안전벨트를 작용하지 않고 자동차의 시동을 걸었을 경우 운전자에게 이를 알려주도록 한 자동차 안전벨트의 미착용 알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운전자 및 동승자의 안전을 위해 안전벨트(1)를 갖추고 있는데, 운전자의 잘못된 습관이나 아니면 깜박 잊어버림 등으로 인하여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고 자동차를 운행하는 일이 자주 발생되고, 이 경우 사고가 발생되면 사람의 생명을 위협하는 대형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있어 상기 안전벨트(1)의 착용은 필수적이라 하겠다.
근래에 들어서면서는 안전벨트(1)의 미착용으로 인한 인명사망 사고가 자주 발생되고 있으므로 법으로 이를 의무화시키고 있는 실정에 이르고 있고, 교통 경찰의 단속도 지속적으로 강화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잘못된 운전 습관 등으로 인해 안전벨트(1)를 착용하지 않는 상태로 자동차를 운전하는 운전자가 아직도 상당 수 있어, 이에 대한 대비책이 반드시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따라서 지금까지는 운전자가 자동차를 운전하기 위해 좌석(2)에 앉은 상태에서 안전벨트(1)를 착용하거나 안하거나 간에 자동차를 운행하는데는 아무런 문제가 없었으므로 운행도중 교통 경찰에 단속되는 일이 자주 발생되는데, 상기 안전벨트(1)의 착용은 운전자가 좌석(2)에 앉은 상태에서 자동차의 천정면이나 측면에 구비되어 있는 안전벨트(1)의 결착구(11)를 잡아당긴 다음 상기 좌석(2)의 옆쪽에 고정되어 있는 안전벨트(1)의 버클(12)에 상기 결착구(11)를 끼워 넣으면 된다.
한편 버클(12)의 삽입홈(12a)으로 결착구(11)를 끼워 넣으면, 상기 결착구는 버클(12)의 삽입홈(12a)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록킹수단(도시는 생략함)에 록킹되므로 결국 안전벨트는 착용된 상태가 되고, 이후 안전벨트의 착용상태를 풀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버클(12)에 구비되어 있는 버튼(13)을 결착구의 결착방향으로 밀어(결착구의 결착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누르는 경우도 있음) 결착구(11)의 결착력을 해제하면 된다.
본 고안은 지금까지의 안전벨트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 즉 안전벨트를 운전자가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자동차를 운행하기 위해 시동을 켜더라도 운전자가 아무런 느낌을 갖지 못하므로서 발생되는 여러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안전벨트의 버클부분에 스위치를 설치하여 자동차의 시동을 켠 상태에서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으면 상기 스위치의 스위칭이 온(ON)상태가 되면서 사용자에게 안전벨트 미착용에 따른 신호를 보내주므로서 운전자가 곧바로 안전벨트를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자동차 안전벨트의 설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안전벨트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장치를 갖는 안전벨트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4a는 본 고안 장치를 나타낸 전체 구성도로서, 결착구가 버클에 결착되기 전 상태도
도 4b는 본 고안 장치를 나타낸 전체 구성도로서, 결착구가 버클에 결착된 후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안전벨트 11. 결착구
12. 버클 14. 스위치
15. 전원공급선 16. 알림부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형태에 따르면 버클에 결착구가 선택적으로 결착되도록 된 안전벨트에 있어서, 상기 안전벨트를 이루는 버클의 외측 적소에 스위치가 부착되고, 상기 스위치는 자동차의 시동이 켜지는 순간 자동차의 엔진으로 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받아 온(ON)상태로 스위칭 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자동차 내부 적소에는 스위치가 온상태로 스위칭되어 있는 동안 전원을공급받아 작동하면서 이를 운전자에게 알려주도록 알림부재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부착되어 상기 결착구가 버클에 결착되기 전 까지는 스위치가 온됨에 따라 알림부재가 작동되고, 결착구가 버클에 결착된 후에는 스위치가 오프됨에 따라 알림부재가 작동되지 않도록 한 자동차 안전벨트의 미착용 알림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을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 3 내지 도 4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3은 본 고안 장치를 갖는 안전벨트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a 및 4b는 본 고안 장치를 나타낸 전체 구성도로서, 본 고안 실시예는 안전벨트(1)를 이루는 버클(12)의 외측 적소에 푸시스위치(14)가 고정되고, 상기 푸시스위치는 자동차의 시동이 켜지는 순간 자동차의 엔진으로 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받아 온(ON)상태로 스위칭 되도록 전원공급선(15)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자동차의 실내 적소에는 푸시스위치(14)가 온상태로 스위칭되어 있는 동안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면서 이를 운전자에게 알려주도록 알림부재(16)가 전원공급선(15)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부착되어 버클(12)과 함께 안전벨트(1)를 이루는 결착구(11)가 상기 버클(12)에 결착되기 전 까지는 푸시스위치(14)가 온됨에 따라 알림부재(16)가 작동되고, 결착구(11)가 버클(12)에 결착된 후에는 푸시스위치(14)가 결착구(11)에 의해 눌려 오프됨에 따라 알림부재(16)가 작동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상기에서 알림부재(16)로는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되면서 이를 시각적으로 알려주는 표시램프가 사용되거거나 아니면 전원을 공급받아 울리면서 이를 청각적으로 알려주는 부저가 사용되면 되는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표시램프와 부저가 동시에 사용되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운전자가 자동차를 운행하기 위해 좌석(2)에 착석한 다음 통상적으로 안전벨트(1)를 착용한 상태에서 자동차의 시동을 켜거가 아니면 자동차의 시동을 먼저 켠 상태에서 안전벨트(1)를 착용하는데, 상기 안전벨트를 착용한 상태라 함은 결착구(11)를 버클(12)의 삽입홈(12a)으로 끼워 결착한 상태로서, 이때에는 상기 버클(12)의 외측 적소에 고정된 푸시스위치(14)의 푸시바(14a)가 결착구(11)의 가압력에 의해 눌려지므로 상기 푸시스위치(14)는 오프 상태에 있게된다.
즉, 운전자가 안전벨트(1)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자동차를 운행하기 위해 시동을 켜면 자동차의 엔진으로 부터 출력되는 전원이 전원공급선(15)을 통해 버클(12)에 고정되어 있는 푸시스위치(14)로 전달되는데, 운전자가 안전벨트(1)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결착구(11)가 버클(12)에 아직 결착되지 않은 상태에 있으므로 상기 푸시스위치(14)의 푸시버튼(14a)이 눌려지지 않은 상태에 있어 상기 푸시스위치(14)는 전원을 공급받는 상태에서 온(ON)상태에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푸시스위치(14)가 온상태에 있게 되면, 전원공급선(15)을 통해 전달되는 전원이 계속해서 차동차 실내의 적소에 부착되어 있는 알림부재(16)로 전달되므로 상기 알림부재가 작동하고, 이에 따라 운전자는 안전벨트(1)가 착용되지 않았다는 것을 알수 있게 되어 곧바로 안전벨트를 착용하면 된다.
상기에서 알림부재(16)는 운전자가 안전벨트의 미착용 상태를 시각적으로 알수 있도록 표시램프가 사용되어도 좋고, 청각적으로 알 수 있도록 부저가 사용되어도 좋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표시램프와 부저가 동시에 사용되어도 좋다.
한편 운전자가 자동차의 시동을 켠 상태에서 안전벨트(1)를 착용하게 되면, 결착구(11)가 버클(12)에 결착되므로 상기 버클에 부착된 푸시스위치(14)의 푸시바(14a)가 결착구(11)의 가압력을 받아 눌러지게 되는데, 이때에는 상기 푸시스위치(14)가 오프(OFF)되므로 결국 전원공급선(15)을 통해 푸시스위치(14)까지 전달된 전원이 알림부재(16)까지는 전달되지 못함에 따라 상기 알림부재의 작동이 정지되어 운전자는 안전벨트(1)가 착용되었음을 알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운전자가 자동차의 시동을 켜는 순간 자동차의 엔진에서 출력되는 전원이 전원공급선(15)을 통해 푸시스위치(14)까지 전달되기 위해서는 상기 전원공급선(15)을 자동차의 실내에 갖추어져 있는 시가잭에 꼽거나 아니면 자동차의 다른 구성요소(오디오, 실내등 등)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선과 연결시키면 된다.
또한 운전자가 안전벨트(1)를 착용하고 있는 상태에서 자동차를 운행하다가 필요에 의해 잠시 안전벨트를 풀게 되면, 버클(12)에 고정되어 있는 푸시스위치(14)가 다시 온되므로 이 경우에는 알림부재(16)가 작동하여 안전벨트(1)의 미착용상태를 운전자에게 알려주게 된다.
상기한 본 고안 실시예에서 안전벨트(1)의 구성요소인 결착구(11)가 버클(12)에 결착됨에 따라 오프되고, 결착이 해제됨에 따라 온되는 스위치로 푸시스위치(14)를 사용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상기 푸시스위치 대신 터치스위치나 근접스위치 등을 사용하여도 됨은 충분히 이해 가능하다.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운전자가 자동차의 시동을 켠상태에서 안전벨트(1)를 착용하지 않았을 경우 알림부재(16)가 계속적으로 작동하여 상기 안전벨트(1)의 미착용 상태를 운전자에게 알려주도록 되어 있지만, 필요에 따라 운전자가 일부러 안전벨트(1)를 착용하지 않는 경우도 있으므로 이 경우에는 운전자가 알림부재(16)의 작동을 인위적으로 정지시켜 주도록 별도의 스위치를 상기 알림부재에 구비시킬 수도 있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운전자가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자동차를 운행하기 위해 자동차의 시동을 켠 경우에는 운전자에게 안전벨트가 착용되지 않았음을 알려주므로 운전자가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자동차를 운행하는 일이 거의 없음에 따라 운전자의 안전이 완벽하게 보장되는 등 여러가지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버클에 결착구가 선택적으로 결착되도록 된 안전벨트에 있어서,
    상기 안전벨트를 이루는 버클의 외측 적소에 스위치가 부착되고,
    상기 스위치는 자동차의 시동이 켜지는 순간 자동차의 엔진으로 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받아 온(ON)상태로 스위칭 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자동차 내부 적소에는 스위치가 온상태로 스위칭되어 있는 동안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면서 이를 운전자에게 알려주도록 알림부재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부착되어 상기 결착구가 버클에 결착되기 전 까지는 스위치가 온됨에 따라 알림부재가 작동되고, 결착구가 버클에 결착된 후에는 스위치가 오프됨에 따라 알림부재가 작동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안전벨트의 미착용 알림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알림부재는 시각적으로 알려주는 표시램프와 청각적으로 알려주는 부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안전벨트의 미착용 알림장치.
KR2020010012690U 2001-05-02 2001-05-02 자동차 안전벨트의 미착용 알림장치 KR2002439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2690U KR200243988Y1 (ko) 2001-05-02 2001-05-02 자동차 안전벨트의 미착용 알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2690U KR200243988Y1 (ko) 2001-05-02 2001-05-02 자동차 안전벨트의 미착용 알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3988Y1 true KR200243988Y1 (ko) 2001-10-12

Family

ID=73100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2690U KR200243988Y1 (ko) 2001-05-02 2001-05-02 자동차 안전벨트의 미착용 알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398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06252A (en) Seat belt warning device
JP2008044570A (ja) バックル、これを用いたシートベルトリマインダー装置、およびこのシートベルトリマインダー装置を備えたシートベルト装置
JPH07186887A (ja) 乗物のシート束縛部材の監視方法
US6102440A (en) Seat belt with compliance light and lock
US7275613B2 (en) Automatic unbuckling seat belt system
EP0437841B1 (en) Self contained device for giving audible messages to occupants of a vehicle
US4755789A (en) Life belt warning device
US6339371B1 (en) Self contained, buckle attachable and actuated alarm device
KR200243988Y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미착용 알림장치
KR200243989Y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미착용 알림장치
GB2307711A (en) Seat belt child safty arrangement
JPS5871242A (ja) 自動車におけるシ−トベルト未着用警告装置
JPH07251711A (ja) シートベルト未着用警報装置
EP2080678A2 (en) Electronic mechanism for application in automotive vehicles to enforce the use of the safety seat belts
KR910008806Y1 (ko) 안전벨트를 이용한 자동차의 시동 및 경보장치
KR100412441B1 (ko) 시트벨트의 버클 파스너
KR200385605Y1 (ko) 안전벨트를 이용한 시동장치
JP2668513B2 (ja) 自動車始動安全装置
KR200288850Y1 (ko) 자동차의 시동장치
JPH10236279A (ja) シートベルト着脱確認装置
JP3077645U (ja) 自動車シートベルトの二回路警告装置
JP2003276562A (ja) シートベルト装置
JPH0260538B2 (ko)
ITAN990040A1 (it) Dispositivo elettronico per cinture di sicurezza
JPH0522222U (ja) シートベル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