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0069B1 - 스테이브 쿨러 - Google Patents

스테이브 쿨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0069B1
KR100430069B1 KR10-2001-7010936A KR20017010936A KR100430069B1 KR 100430069 B1 KR100430069 B1 KR 100430069B1 KR 20017010936 A KR20017010936 A KR 20017010936A KR 100430069 B1 KR100430069 B1 KR 1004300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stant steel
heat resistant
stave cooler
steel sheet
furn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0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9300A (ko
Inventor
히라타미츠지
기시가미가즈시
Original Assignee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filed Critical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Publication of KR20010109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93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0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00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10Cooling; Devic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1/12Casings; Linings; Walls; Roofs incorporating cool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1/0003Linings or walls
    • F27D1/0006Linings or walls formed from bricks or layers with a particular composition or specific characteristi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2001/0046Means to facilitate repair or replacement or prevent quick w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9/00Cooling of furnaces or of charges therein
    • F27D2009/0002Cooling of furnaces
    • F27D2009/004Cooling of furnaces the cooling medium passing a waterbox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9/00Cooling of furnaces or of charges therein
    • F27D2009/0002Cooling of furnaces
    • F27D2009/0045Cooling of furnaces the cooling medium passing a block, e.g. metallic
    • F27D2009/0048Cooling of furnaces the cooling medium passing a block, e.g. metallic incorporating conduits for the medi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9/00Cooling of furnaces or of charges therein
    • F27D2009/0002Cooling of furnaces
    • F27D2009/0051Cooling of furnaces comprising use of studs to transfer heat or retain the l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rnace Housings, Linings, Walls, And Ceilings (AREA)
  • Blast Furn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로 등과 같은 야금학적인 노의 노벽을 냉각시키기 위해서 사용되는 스테이브 쿨러에 관한 것으로, 금속 모체 주조 시에, 금속 모체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파이프가 금속 모체의 노 내측면에 대향한 측면에 매설되고, 개구를 가진 내열 강판 또는 개구를 가진 내열 강판의 적층체가 소정의 두께로 금속 모체의 노 내측면에 배치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상기 적층체를 적절하게 직방체로 형성하고, 금속 모체의 노 내측면에 복수개를 배치할 수도 있다. 상기 스테이브 쿨러의 노 내부 내측면의 마모 속도는 작으며, 그 구조로는 스테이브 쿨러 본체의 열 팽창에 의해서 또는 국부적인 마모에 의해서 내열 강판이 떨어져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스테이브 쿨러{STAVE COOLER}
고로 등과 같은 야금학적인 노의 노벽의 냉각 장치로서 사용되는 스테이브 쿨러는 사용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서 마모되거나 파손되어진다. 이와 같은 마모나 파손이 지속되는 경우에 스테이브 쿨러의 냉각능이 감소하게 되고, 철피(furnace shell) 상에 가해지는 열부하가 증가하게 되며, 이 증가된 열부하는 철피에서의 크랙 발생을 초래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말해서, 스테이브 쿨러는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테이브 쿨러 본체(1)를 형성하는 금속 모체(통상은 구상 흑연 주철)의 주조 시에, 냉각 파이프(2)가 금속 모체의 노 내측과 대향하는 측면에 매설되고, 또한 내화 재료로서 내화 벽돌(9)이 노 내측에 일체적으로 배치되어 구성된다. 스테이브 쿨러는 철피(7)의 내측면에 고정되며, 내화 벽돌(8)은 스탬프 재료(12)를 사이에 두고 스테이브 쿨러의 노 내측면 상에 적층된다.
다른 구조의 스테이브 쿨러 또한 제안되었는데, 여기에서는,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내화 벽돌을 적층하는 대신에, 내화 벽돌(10)이 금속 모체의 리브(11) 사이에서 한 단씩 지지되는 방식으로, 금속 모체 주조 시에 노 내측면 상에서 스테이브 쿨러 본체(1) 내로 배치되었다.
스테이브 쿨러의 노 내측면에 배치된 내화 벽돌은 고온 가스의 유동에 의해서 초래되는 마모 및 노 내부의 원료의 강하에 의한 마모에 대해서 내마모성이 우수해야 하고, 노 내부로부터의 열 전달에 의해서 초래되는 열 효율의 감소를 방지할 수 있는 열 절연 성능이 우수해야 한다. 따라서 스테이브 쿨러는, 냉각 파이프를 관통하여 유동하는 냉각수에 의하여, 노벽 뿐만 아니라 금속 모체 및/또는 노 내측면 상의 내화 벽돌을 냉각시켜서 강도를 유지하게 하고, 노 내측에서의 열 부하의 증가에 의해서 마모가 가속되더라도 노 내부의 원료의 강하에 의해서 초래되는 금속 모체 및/또는 내화 벽돌의 마모 속도를 감소시킨다.
그러나, 내화 벽돌이 노 내측면 상에 적층되어 있는, 도 7에 도시된 스테이브 쿨러의 구조는 불안정한데, 그 이유는 어떠한 구조 부재도 내화 벽돌을 지지하지 않고 있고, 내화 벽돌 사이에서의 바인더의 접착 강도에 의해서만 지지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이유 때문에, 이와 같은 구조의 스테이브 쿨러는 고로와 같은 고온이고 마찰성 분위기에서는 내화 벽돌이 국소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표면이 떨어져 나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그 결과 내화 구조로서의 제품 수명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또한, 내화 벽돌이 금속 모체의 주조 시에 금속 모체에 삽입되는 구조인 도 8에 도시한 구조의 스테이브 쿨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내화 벽돌을 지지하는 힘이 약한데, 그 이유는 스테이브의 주조 중에 벽돌의 크랙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충격 완화 재료(세라믹 펠트 등)가 내화 벽돌 사이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금속 모체 리브에 의해서만 지지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이유 때문에, 이런 구조의 스테이브 쿨러는 노 작업 중의 열 팽창/수축에 의해서 초래되는 리브 사이의 간격 변화의 결과로 내화 벽돌이 떨어져 나가거나 파손된다는 문제점에 봉착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 초기에 금속 모체 리브를 남겨 두고 내화 벽돌이 떨어져 나가거나 파손되는 경우에, 노 내측면이 불규칙하게 되고, 그 결과, 노 내부의 원료의 강하는 불연속적이고 불안정하게 된다.
또한, 노 내측으로부터의 열 유동율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양호한 열 절연 성능을 가진 내화 벽돌을 선택해야 한다. 초기 사용 중에, 국부적으로라도 내화 벽돌이 떨어져 나가게 된다면, 스테이브 쿨러는 장기간에 걸쳐서 열 절연 성능을 유지하지 못하게 되며, 반대로, 벽돌이 떨어져 나간 이후에 노 내측을 향해서 돌출한 잔존 리브의 영향에 의해서 열 손실이 증가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일본 특개평 8-120313호에는 원형 또는 다각형 단면 형상을 한 원주형 벽돌이 스테이브 쿨러의 노 내측면 상에 표면에 대해서 직각으로 및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배치되어, 각각의 벽돌이 금속 모체에 의해서 모든 측면이 둘러싸여 있는 구조의 스테이브 쿨러가 개시되어 있으며, 일본 특개평 5-320727호에는 각각 벽돌의 중심 근처를 관통하여 천공된 테이퍼진 구멍 내로 결합된 지지 앵커에 의해서 위치하게 되는 내화 벽돌이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고, 주조에 의해서 금속 모체 내에 일체적으로 삽입되어 있는 다른 구조의 스테이브 쿨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내화 벽돌이 이들 사이에 특정한 간격을 두고 개별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이들 각각은 주조시의 부동을 방지하도록 유지되어야 하며, 이들의 위치 설정이 곤란하고, 따라서, 스테이브 쿨러의 제조는 실질적으로 장시간을 소요하게 된다.
내화 벽돌 또한 주조 중의 열 충격으로부터 초래되는 크랙을 방지하기 위해서 세라믹 펠트 등과 같은 충격 흡수 재료로 둘러쌀 필요가 있지만, 벽돌을 하나 하나씩 충격 흡수 재료로 둘러싸는 작업의 작업 효율이 매우 낮다.
상술한 구조에 있어서, 내화 벽돌이 금속 모체에 의해서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이들이 떨어져 나갈 가능성은 작지만, 스테이브 쿨러 본체의 열 변형의 결과로서 크랙 또는 박리가 발생할 가능성이 여전히 남아있게 된다.
상술한 바에 추가하여, 일본 실개평 6-474347 호에는 두 개의 스테이브 쿨러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 중 하나는 내화 재료로서 스테인레스 스틸 블록을 이용하는 것으로, 도브테일 그루브가 스테이브 쿨러 본체의 노 내측면 상에 형성되어 있고, 그루브 내측에 모르타르를 도포하여 간격을 조절하고, 테이퍼진 단면 형상을 가진 스테인레스 스틸 블록을 그루브 내로 결합시키고 고정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스테이브 쿨러의 노 내측면에 4변형의 단면 형상을 가진 피트(pit)를 형성하고, 4변형의 단면 형상을 가진 스테인레스 스틸 블록을 이 피트 내로 결합시키고, 각각의 블록의 노 내측면을 스테이브 쿨러 본체에 용접하는 것이다.
그러나, 어떠한 경우에서든지 간에, 스테인레스 스틸 블록은 주조 이후에 스테이브 쿨러 본체의 그루브 또는 피트 내로 결합 고정되며, 스테인레스 스틸 블록은 벽돌보다는 더 무겁다. 이와 같은 이유 때문에, 제조에서의 작업 효율은 매우 낮다.
또한, 테이퍼진 단면을 가진 스테인레스 스틸 블록이,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모르타르가 개재된 상태로 그루브 내에 결합되기 때문에, 블록용 지지대의 강도는 약하며, 따라서 스테이브 쿨러 자체의 열 변형에 기인하여 블록이 떨어져 나갈 수도 있게 된다.
4변형의 단면을 가진 스테인레스 스틸 블록은, 다른 한편으로, 표면에서의 용접에 의해서만 지지되므로, 스테인레스 스틸과 금속 모체의 구상 흑연 주철의 열 팽창 계수에서의 차이에 기인하여 용접부가 파열되는 경우 또는 원료의 강하에 의해서 마모되는 경우에, 상기 블록은 테이퍼진 단면의 스테인레스 스틸 블록과 마찬가지로 떨어져 나가게 된다.
또한, 압연 스테인레스 스틸 재료로 블록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비용이 높아진다.
본 발명은 고로, 전기로 등과 같은 야금학적인 노의 노벽에 부착되어 노체를 냉각하는데 사용하는 스테이브 쿨러에 관한 것이다.
도 1a는 스테이브 쿨러의 단면도로, 개구를 가진 격자형 내열 강판이 적층되어 있고, 평면을 형성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상기 스테이브 쿨러의 노 내측면에 배치된 단면도.
도 1b는 도 1a에서 도시된 스테이브 쿨러의 정면도.
도 2a는 슬롯을 가진 내열 강판이 적층되어 내열 강판의 슬롯이 인접한 내열 강판의 슬롯과 교차하고, 평면을 형성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스테이브 쿨러의 노 내측면 내에 배치된 스테이브 쿨러의 단면도.
도 2b는 도 2a에서 도시된 스테이브 쿨러 내에서 내열 강판의 슬롯이 어떻게 서로 교차하는지를 도시한 도면.
도 2c는 도 2a에서 도시된 스테이브 쿨러의 정면도.
도 3a는 개구를 가진 내열 강판의 일례(예를 들어서 이스팬디드 금속판)를 도시한 도면.
도 3b는 내부에서 슬롯이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개구를 가진 슬롯형 내열 강판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3c는 내부에서 슬롯이 경사지게 형성된 개구를 가진 슬롯형 내열 강판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3d는 내부의 개구가 원형인 내열 강판의 또 다른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4a는 스테이브 쿨러의 단면도로서, 개구를 가진 격자형 내열 강판이 적층되어 구성되는 직각 평행 육면체가, 스테이브 쿨러의 높이 방향으로 직방체의 긴변이 정렬되는 방식으로 스테이브 쿨러의 노 내측면에 곡면을 형성하도록 배치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
도 4b는 도 4a에서 도시한 스테이브 쿨러의 정면도.
도 5는 도 1에서 도시한 스테이브 쿨러의 측단면도.
도 6a는 개구를 가지는 격자형 내열 강판이 중첩된 적층체를 도시한 투시도.
도 6b는 도 6a에서 도시된 적층체 내에서의 격자 메시의 위치 상호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종래 기술의 스테이브 쿨러의 단면도.
도 8a는 종래 기술의 스테이브 쿨러의 정면도.
도 8b는 도 8a에서 도시된 종래 기술의 스테이브 쿨러의 단면도.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며, 작동 수명이 길고, 장기간에 걸쳐서 열 절연 성능을 및 내마모성을 유지할 수 있는 보다 경제적인 스테이브 쿨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요지는 다음과 같다.
금속 모체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파이프가 금속 모체의 노 내측면에 대향한 측면에 매설되고, 개구를 가진 내열 강판이 금속 모체의 노 내측면 상에 배치되는 구조를 가진 노체를 냉각시키기 위한 스테이브 쿨러에 있어서, 내열 강판은 개구를 가진 내열 강판의 적층체이며, 내열 강판의 개구의 위치는 인접한 내열 강판의 개구의 위치와는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체를 냉각시키기 위한 스테이브 쿨러.
노체를 냉각시키기 위한 스테이브 쿨러에 있어서, 내열 강판은 격자형 또는 슬롯형 내열 강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체를 냉각시키기 위한 스테이브 쿨러.
노체를 냉각시키기 위한 스테이브 쿨러에 있어서, 내열 강판의 적층체의 두께는 3mm 이상이고, 스테이브 쿨러 두께의 2/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체를 냉각시키기 위한 스테이브 쿨러.
노체를 냉각시키기 위한 스테이브 쿨러에 있어서, 내열 강판의 적층체의 순체적은 총체적, 즉 내열 강판의 순체적에 내열 강판의 개구 형태의 공간의 체적을 합산한 체적의 20 내지 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체를 냉각시키기 위한 스테이브 쿨러.
노체를 냉각시키기 위한 스테이브 쿨러에 있어서, 개구를 가진 내열 강판의 개구의 최소폭은 30mm 이상, 70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체를 냉각시키기 위한 스테이브 쿨러.
노체를 냉각시키기 위한 스테이브 쿨러에 있어서, 개구를 가진 내열 강판은 오스테나이트계 내열 강판 또는 페라이트계 내열 강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체를 냉각시키기 위한 스테이브 쿨러.
또한, 본 발명의 추가적인 요지는 다음과 같다.
금속 모체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파이프가 금속 모체의 노 내측면에 대향하는 측면에 매설되는 구조를 가진, 노체를 냉각시키기 위한 스테이브 쿨러에 있어서, 개구를 가진 격자형 또는 슬롯형 내열 강판 또는 개구를 가진 격자형 또는 슬롯형 적층 내열 강판을 직방체로 형성하고, 이를 금속 모체의 노 내측면에 복수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체를 냉각시키기 위한 스테이브 쿨러.
노체를 냉각시키기 위한 스테이브 쿨러에 있어서, 직방체의 두께는 3mm 이상이고, 스테이브 쿨러의 두께의 2/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체를 냉각시키기 위한 스테이브 쿨러.
노체를 냉각시키기 위한 스테이브 쿨러에 있어서, 상기 직방체에 있어서, 내열 강판의 개구의 위치는 인접한 내열 강판의 개구의 위치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체를 냉각시키기 위한 스테이브 쿨러.
노체를 냉각시키기 위한 스테이브 쿨러에 있어서, 직방체의 순체적은 총체적, 즉 내열 강판의 순체적과 개구 공간의 체적을 합산한 체적의 20 내지 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체를 냉각시키기 위한 스테이브 쿨러.
노체를 냉각시키기 위한 스테이브 쿨러에 있어서, 직방체에 있어서, 개구의 최소 폭은 30mm 이상이고, 70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체를 냉각시키기 위한 스테이브 쿨러.
노체를 냉각시키기 위한 스테이브 쿨러에 있어서, 내열 강판은 오스테나이트계 또는 페라이트계 내열 강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체를 냉각시키기 위한 스테이브 쿨러.
본 발명은 고온 및 매우 마모성인 분위기 내에서 내마모성과 내크랙성이 양호한 내열 강판을 스테이브 쿨러의 노 내측면에 배치한 구조를 채택하였다.
내열 강은, 상술한 것 이외에도, 열 절연 성능이 우수해야 하고, 고온 강도가 높아야 하고, 고온 내부식성과 고온 안정성(내변태성)이 요구된다.
상술한 소정의 특성을 만족시키는 것이라면 어떠한 화학적 조성을 가진 내열 강판이라도 사용할 수 있지만, 실제적인 사용에 있어서, 가장 적합한 종류의 내열 강판으로는 스테이브 쿨러가 노출되는 온도, 기타 환경 조건 및 강의 화학적 성질을 고려하여 선택한다.
오스테나이트계 내열강(예를 들어서, 18Cr-8Ni 강, 22Cr-12Ni 강 및 25Cr-20Ni 강 등)은 필요 특성을 충족시키며, 본 발명에 대해서 가장 적절한 것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격자, 슬롯 등의 개구를 가진 내열 강판을 사용하였다. 이는 금속 모체 주조에 의해서 금속 모체 내에 일체적으로 상기 판을 배치하여 복합물을 형성하기 위한 목적에서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개구를 가진 내열 강판의 적층체를 스테이브 쿨러의 노 내측면 상에서 금속 모체 내로 배치하는 구조를 채택하였다.
기본적으로, 금속 모체로는 구상 흑연 주철을 사용하였다.
스테이브 쿨러의 노 내측면 상에서 금속 모체(구상 흑연 주철)에 내열 강판을 배치하는 것은 강판이 전체 표면을 덮는 경우에 용이하지 않았는데, 그 이유는 제조 중에 금속 모체와 내열 강판 사이에 불완전한 융합 때문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강판이 개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스테이브 쿨러의 노 내측면 상에서 전체 표면을 덮도록 배치된 내열 강판을 금속 모체와 일체화할 수 있게 된다.
스테이브 쿨러의 균질성과 기능을 보장하기 위해서, 개구 영역을 포함하여 내열 강판 영역은 노 내측면 상의 스테이브 쿨러 표면의 영역에 대해서 60 내지 100%,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00%가 된다. 개구 영역을 포함하여 내열 강판 영역이 노 내측면 상의 스테이브 쿨러 표면의 영역에 대해서 60% 이하이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개구를 가진 내열 강판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전체 표면에 있어서 평내열 강판을 사용한 경우보다 금속 모체 내에 배치된 재료(격자형 내열 강판)의 체적비를 균일하게 유지하는 것이 더욱 용이하다.
내화 벽돌을 배치하는 경우에, 주조 중에 용융 금속 모체의 비중보다 내화 벽돌의 비중이 더 작기 때문에 발생하는 내화 벽돌의 부유를 방지하고, 열 충격 및 열 응력에 의해서 초래되는 크랙을 방지(세라믹 펠트로 둘러싸는 것과 같은 충격 흡수 재료의 제공)하기 위한 대책을 세울 필요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부유 및 크랙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이 불필요한데, 이는 배치되는 것이 개구를 가진 내열 강판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상기 대책의 낮은 작업성이 해결되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내열 강판의 두께 또는 강판의 적층체의 두께는 3mm 이상이고, 스테이브 쿨러의 두께의 2/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스테이브 쿨러의 목표 사용 수명의 관점에 따라 내열 강판의 두께를 상술한 범위 내에 들어가도록 선택할 수 있다.
내열 강판의 두께가 3mm 이하인 경우에는, 강판은 금속 모체의 주조 작업 중에 부분적으로 용해되어 적절한 형상을 유지할 수 없게 되며, 따라서 두께의 하한은 3mm로 설정된다.
다른 한편으로, 상한은 스테이브 쿨러 내에 냉각 파이프를 매설하기 위한 충분한 공간과, 적층된 내열 강판을 배치하기에 필요한 충분한 용융 금속 압력을 보장하기 위해서 스테이브 쿨러 두께의 2/3로 한정된다.
그러나, 개구를 가진 두 개 이상의 내열 강판이 하나의 적층체로서 배치되는 경우에는 내열 강판들 각각의 사이에 약 20mm 이하의 공간이 있는 것이 유리하다.
이 공간은 주조 중에 내열 강판의 모든 구석으로 용융 금속 모체가 관통하여 금속 모체와 내열 강판 사이에서의 강력한 융합의 달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필요하다.
개구를 가진 두 개 이상의 내열 강판을 중첩시키는 경우에, 강판의 개구의 위치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인접한 내열 강판의 개구의 위치와 엇갈려 있다. 그러나, 내열 강판을 점접촉하도록 중첩시키는 경우에는, 이들 사이에 공간을 유지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개구의 위치가 엇갈려 있음에도 불구하고 두 개의 내열 강판이 면접촉하는 경우에는, 용융 금속의 관통을 보장하기 위해서 최대 20mm의 간격이 있을 필요가 있다.
20mm를 초과하는 공간은 바람직하지 않은데, 그 이유는 주조 이후의 스테이브 쿨러의 균질성에 손상이 가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개구를 가진 두 개 이상의 내열 강판을 중첩시키는 경우에, 강판끼리 강판의 개구를 서로 다르게 위치시켜서 하나의 강판의 개구가 인접한 내열 강판의 개구로부터 서로 다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서, 격자형 내열 강판을 중첩시키는 경우에, 강판의 격자 교점이 인접한 강판의 격자 교점과 겹쳐져서는 안되며, 슬롯형 내열 강판을 중첩시키는 경우에는, 강판의 슬롯의 방향이 인접한 강판의 슬롯의 방향으로부터 달라져야 한다.
이는 주조 중에 내열 강판의 모든 구석으로 용융 금속이 양호하게 관통도록 보장하기 위한 것이며, 또한 금속 모체와 내열 강판을 견고하게 접합하는 것에 의해서 강력한 일체적인 복합물을 형성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두 개 이상의 격자 교차점 또는 슬롯이 동일한 위치에서 겹치는 경우에 수직벽이 형성되어 용융 금속의 유동을 제한하게 된다. 이 때문에, 격자 교점 또는 슬롯은 서로로부터 엇갈리게 위치하여 용융 금속의 양호한 유동을 보장해야 한다.
내열 강판이 상술한 바와 같이 중첩되는 경우에 용융 금속이 제한없이 유동할 수 있기 때문에, 온도 강하는 억제되고, 고온일 때 신속하게 내열 강판의 주위 공간의 모든 구석을 충전할 수 있게 된다.
격자 교점 또는 슬롯의 위치를 서로로부터 엇갈리게 함으로써, 또한 금속 모체 내에서의 내열 강판의 불균일한 배치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보다 균일한 복합 재료의 스테이브 쿨러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또한 개구의 형상을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단위 체적당의 내열강과 금속 모체(구상 흑연 주철) 사이에서의 경계 면적을 제어할 수 있게 되며, 그 결과, 금속 모체의 지지력을 용이하게 조절하여 소정의 값으로 내열 강판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개구를 가진 내열 강판을 금속 모체 내에 일체적으로 배치하여 복합물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내열 강판의 순체적이 그 총체적, 즉 내열 강판의 순체적과 개구를 가진 공간의 체적을 합산한 총체적의 20 내지 60%인 것이 바람직하다.
내열 강판의 순체적이 총체적의 20% 이하인 경우에는, 복합 재료의 장점이 불충분하게 되며, 총체적의 6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강판을 지지하기 위한 금속 모체의 지지력이 감소하게 되며, 따라서 내열 강판이 장기간에 걸쳐서 금속 모체로부터 떨어져 나오게 되고, 스테이브 쿨러의 사용 수명이 단축된다.
개구를 가진 내열 강판을 금속 모체 내에 견고하게 일체화하여 복합물을 형성하도록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내열 강판의 개구를, 최속 폭이 30mm 이상 및 70mm 이하가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소 폭이 30mm 미만이면, 용융 모체 금속의 만족할 만한 유동이 보장되지 않으며, 다른 한편으로 70m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스테이브 쿨러의 노 내측면에서 소정의 재료 특성을 획득할 수 없게 된다.
주조 또는 압연된 재료를 내열 강판으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강판은 주조 및 기계 가공 등과 같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할 수도 있다. 상용화되어 있는 익스팬디드(expanded) 금속판을 격자형 내열 강판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익스팬디드 금속판은 다양한 범위의 개구 치수로 상용화되어 있기 때문 및 적절한 형태를 선택하고 소정의 치수로 절단하고 적층시키는 것에 의해서 본 발명의 내열 강판으로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경제적이다.
개구를 가진 내열 강판을 주조에 의해서 생산하는 것은 재료의 품질 및 형상의 관점에서 보아 광범위한 자유도를 제공하며, 소정의 재료 특성 및 제품의 목적에 부합하는 적합한 형상을 설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노체를 냉각시키기 위한 스테이브 쿨러에 관한 것으로, 금속 모체의 노 내측면에 직방체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들 직방체는 각각 개구를 가진 내열 강판이 적층되어 형성된다.
고로는, 예를 들어서 샤프트 형상의 노이며, 따라서 그 내부에 설치되는 스테이브 쿨러는 통상 설치되는 노 부분 내경의 호(arc)에 결합되는 형상으로 제조된다. 특히 설치되는 부분의 스테이브 쿨러에 대해서, 고로의 샤프트와 보쉬(bosh)가 원뿔형이기 때문에, 스테이브 쿨러의 높이에 따라서 서로 다른 부분에서 서로 다른 곡률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이런 이유 때문에, 금속 모체 주조에 의해서 내화 벽돌이 배치되도록 구성된 종래의 스테이브 쿨러를 제조하는 경우에, 내화 벽돌의 재료 및 서로 다른 노 위치의 서로 다른 곡률에 따라서 배치 구조를 서로 다르게 설계해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어서, 스테이브 쿨러의 높이를 따라서 직방체의 긴변을 정렬시키는 방식으로, 스테이브 쿨러의 노 내측면 상에서 스테이브 쿨러의 금속 모체 내에 직방체를 배치하는 것에 의해서 고로의 서로 다른 부분에 대한 서로 다른 곡률에 융통성 있게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들 직방체는 각각 개구를 가진 내열 강판이 중첩되어 형성된다.
직방체의 짧은 변의 길이를 예를 들어서 고로 내경의 약 1도의 각도에 대응하는 현(chord)의 길이와 동일하도록 하고, 스테이브 쿨러의 노 내측면 상에 노 원주 방향으로 직방체를 배치하는 것에 의해서, 예를 들어서, 스테이브 쿨러의 노 내측면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스테이브 쿨러의 높이 방향으로의 직방체 사이에 형성된 결합부의 폭을 변경하는 것에 의해서 직방체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스테이브 쿨러 높이 방향을 따라서 직방체의 긴 변이 정렬되는 방식으로 금속 모체 내에 직방체를 배치하는 경우에는 금속 모체의 결합부는 스테이브 쿨러의 높이 방향을 따라서 직방체의 긴 변 사이에 형성된다. 이는 고로 작업 중의 열 부하에 의해 초래되는 스테이브 쿨러의 변형을 억제한다.
이와 같은 이유로 인해서,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브 쿨러는 열 변형, 특히 높이 방향으로의 열 변형에 대해서 매우 높은 내변형성을 가지고 있으며, 반면에 폭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지지 내화 벽돌을 지지하기 위한 리브를 가진 종래 기술의 구조의 스테이브 쿨러는 열 변형, 특히 높이 방향으로의 굽힘에 대해서 충분한 강도를 가지고 있지 못한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 방식으로 구성된 스테이브 쿨러의 내화 벽돌에 가해지는 손상의 주요 형태는 노 내로의 원료의 강하에 의해서 초래되는 마멸 마모 및 열 부하의 변동으로부터 초래되는 크랙에 의한 박리이다. 고로의 높은 열 부하 부분(하부 샤프트 부분)에 설치된 도 8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삽입된 내화 벽돌을 가진 스테이브 쿨러의 손상과 관련하여 본 발명의 발명자의 조사에 따르면, 마모율은 도면부호 10의 내화 벽돌 부분에서는 연간 40 내지 50mm, 도면부호 9의 내화 벽돌 부분에서는 연간 30 내지 40mm, 구상 흑연 주철로 형성된 금속 모체 내에서는 연간 10mm 이하였다.
상술한 마모는 주로 노 내의 원료 강하에 의해서 초래되는 미끄럼 마모에 기인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강의 강도가 높으면 높을수록, 마모에 대한 내마모성도 높고, 미끄럼 마모에 대해서도 강이 그럴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된 내열강은 기준으로서 강도를 사용하여 선택할 수도 있다.
오스테나이트계 내열강의 강도가 구상 흑연 주철 보다 약 2 내지 3 배 정도이기 때문에, 내열강이 구상 흑연 주철의 금속 모체와 일체적인 복합물을 형성하는 스테이브 쿨러는 금속 모체로만 형성된 것에 비해서 우수한 내마모성을 가진다.
상술한 벽돌의 마모 속도는 미끄럼 마모에 추가하여, 스테이브 쿨러 본체의 열 변형에 의해서 초래되는 벽돌의 떨어져 나감과, 열 변형으로부터 초래되는 크랙의 발생에 의해서 초래되는 박리를 포함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주조에 의해서 금속 모체(구상 흑연 주철)에 개구를 가진 오스테나이트계 내열 강판이 배치되는 경우에는, 내열 강판이 금속 모체(구상 흑연 주철) 내에 일체화되어 복합물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내화 벽돌이 배치된 종래 기술의 구조에서는 발생할 것이라고 예측되는 벽돌의 떨어져 나감 또는 박리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양호한 고온 강도와 양호한 인성을 가진 오스테나이트계 강을 내열강으로서 사용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스테이브 쿨러의 노 내측면 상에 배치하는 경우에, 내화 벽돌이 금속 모체 주조 시에 삽입되는 종래 기술의 스테이브 쿨러의 경우에서보다 더 긴 사용 수명을 가진 스테이브 쿨러를 획득하게 되는데, 이는 내열강이 내크랙성에 있어서도 우수하기 때문이다.
페라이트계 내열강(예를 들어서, 13Cr-저탄소강 및 18Cr 강 등) 또한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으나, 고온 안정성에 있어서 오스테나이트계 내열강에 비해서 뒤떨어지기 때문에, 사용 상의 최대 온도는 제한된다. 따라서 페라이트계 내열강은 노 내의 온도가 낮은 곳인 고로의 목(throat) 부분에 사용된다.
오스테나이트계 내열강의 열 팽창 계수는 금속 모체인 구상 흑연 주철의 것보다 약 1.3배 정도이다. 주조에 의해서 내열강으로 형성되는 격자형 판을 금속 모체 내에 일체화함으로써, 열 팽창 계수에서의 이와 같은 커다란 차이가 완화되고 대략 균일한 복합 재료를 획득할 수 있다.
오스테나이트계 내열강의 열 전도율은 금속 재료 중에서 비교적 낮은 편으로, 구상 흑연 주철의 약 1/2 정도이지만, 종래 구조의 내화 벽돌이 배치된 것보다는 약 3배 정도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내열강으로 오스테나이트계 내열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내화 벽돌을 배치하여 획득이 가능한 열 저항과 동일한 수준은 기대할 수 없다. 그러나, 스테이브 쿨러 본체의 사용 수명, 특히 높은 열 부하 부분 내에서 설치된 스테이브 쿨러의 경우에서 사용 수면이 상술한 바와 같이 벽돌부의 마모 속도에 의해서 결정된다는 사실을 감안한다면, 본 발명의 중요성은 금속 모체에 내열강을 일체화하여 복합 재료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서 스테이브 쿨러의 내마모율을 개선한 것이라 하겠다.
<실시예>
도면에 기초하여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및 도 1b는 스테이브 쿨러를 도시한 것으로, 개구를 가진 격자형 내열 강판(3: 도면에서는 4 개의 강판이 도시됨)이 적층되어 있고, 적층체의 격자면이 노 내측면의 평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노 내측면 상에서 평면을 가지는 스테이브 쿨러 본체(1) 내에 배치되어 있다.
스테이브 쿨러의 노 내측면 상의 표면이, 이 경우에 있어서, 평면이기 때문에, 작업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구획별로 분할한 이후에 내열 강판의 적층체를 배치하거나, 또는 스테이브 쿨러의 노 내측면 전체를 덮도록 적층체를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a, 도 2b, 및 도 2c는 스테이브 쿨러를 도시한 것으로, 개구를 가진 슬롯형 내열 강판(3: 도면에서는 4 개의 강판이 도시됨)이 적층되어 인접한 강판의 슬롯이 서로 교차하고(도 2b 참조), 적층의 격자면이 스테이브 쿨러의 노 내측면 상의 평면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노 내측면 상에서 평면을 가지는 스테이브 쿨러 본체(1) 내에 배치되어 있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에서 사용된, 개구를 가진 내열 강판의 특정한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는, 예를 들어서, 익스팬디드 금속판을, 도 3b는 슬롯이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내열 강판을, 도 3c는 슬롯이 경사지게 형성된 내열 강판을, 도 3d는 원형 개구를 구비한 내열 강판을 도시한 것이다.
도 4a 및 도 4b는 스테이브 쿨러를 도시한 것으로, 개구를 가진 격자형 오스테나이트계 내열 강판(3)을 중첩시켜서 직방체를 형성하고, 직방체의 긴 변이 스테이브 쿨러의 높이 방향으로 정렬되는 방식으로 스테이브 쿨러 본체(1)의 노 내측면에 직방체가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에 고로의 내경에 의해서 한정되는 곡률에 들어 맞도록 스테이브 쿨러의 노 내측면 상의 표면이 만곡되어 있기 때문에, 직방체의 짧은 변은 예를 들어서 고로 내경의 약 1 도의 각도에 대응하는 현(chord)의 길이와 동일하도록 형성되며, 직방체는 노의 원주 방향으로 스테이브 쿨러의 노 내측면 상에 배치되어 있다.
노 내측면 상의 곡선면에 있어서, 직방체들 사이에 어떠한 간격도 없이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고로의 샤프트와 보쉬의 내부면이 원뿔형이기 때문에, 이들 노 부분 내에 설치되는 스테이브 쿨러에 있어서, 이들 사이에 간격을 유지하여 직방체의 원주 방향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배치에 의해서, 금속 모체의 결합부는 만곡된 노 내측면 상의 스테이브 쿨러의 높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들 결합부는 스테이브 쿨러의 높이 방향으로 굽힘 강성을 증가시킨다.
결합부의 연속적인 마모를 방지하기 위해서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엇갈리는 형상으로 직방체를 배치하는 것에 의해서 금속 모체의 결합부를 불연속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함에 유의해야 한다.
도 5는 스테이브 쿨러(1)의 두께 방향으로의 측단면도로, 개구를 가진 격자형 내열 강판(3: 도면에서는 5개의 강판이 도시됨)이 적층되어 있고, 스테이브 쿨러의 노 내측면 상의 금속 모체 내에 배치되어 있다.
우수한 내마모성과 내크랙성에 기인하여, 내열 강판의 마모가 내화 벽돌보다 느리기 때문에, 소정의 사용 수명을 보장하기 위해서 필요한 두께는 종래 기술의 내화 벽돌의 경우보다 작다. 두께 200mm의 내화 벽돌층이 배치된 종래의 경우와 비교하였을 때, 예를 들어서, 적층된 격자형 내열 강판을 배치하는 경우에, 100mm 정도가 동일한 사용 수명을 획득하기에 충분한 것이다.
도 6a는 개구를 가진 격자형 내열 강판(3)이 중첩된 적층체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용화되어 있는 18Cr-8Ni 등과 같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스틸로 형성된 익스팬디드 금속판을 내열 강판(3)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익스팬디드 금속판은 다양한 메시 사이즈(mesh size)로 상용화되어 있다. 바람직한 메시 사이즈는, 적층체 내에서의 메시 부재의 교차부 부근에서의 용융 금속의 유동을 고려하였을 때, 메시의 더 짧은 대각선 방향의 중심간 거리는 30mm 이상이며, 각각의 판의 바람직한 두께는 주조시의 내용융 손상을 보장하기 위해서 3mm 이상이다.
소정의 두께로 내열 강판을 중첩시키는 경우에, 도 6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인접한 판의 격자 교점(4)이 겹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이 배치는 용융된 금속 모체의 유연한 유동을 보장하며, 그 결과로서, 일체화된 금속 모체와 내열 강판의 복합물을 형성하게 된다.
소정의 두께로 중첩되는 내열 강판(3)은 와이어(5)로 결속되거나, 용접(6) 또는 다른 수단으로 함께 고정되어야 한다(도 6a 참조).
개구를 가진 격자형 내열 강판(3)의 적층체는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도 1a와 도 1b 및 도 4a와 도 4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치수로 구획별로 분할할 수도 있다. 수작업의 경우에는, 작업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분할 구획의 단위 중량이 20kg 이하가 되도록 분할 구획의 치수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서 스테이브 쿨러를 주조하기 위해서 몰드를 준비하는 중에, 적층체 또는 적층체 분할에 의해서 형성되는 직방체는 스테이브 쿨러의 노 내측면 내의 위치에서 코어 받침(chaplet) 등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그러나, 내화 벽돌에서와는 달리, 내열 강판은 주조 중에 부동하지 않으며, 따라서, 성공적인 주조 작업을 위해서는 이들을 소정의 위치에 위치시키는 것만으로 충분하게 된다.
적층체 및 직방체는, 예를 들어서 숏 블라스팅, 충격 흡수 재료(종래의 삽입된 내화 벽돌의 경우에서는 필수적인 세라믹 펠트 등)를 사용한 래핑과 같은 스테이브 쿨러의 형성에 앞서는 특별한 어떠한 전처리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러나, 주조하기에 앞서서 충분히 예비 가열하고 건조시켜서, 주조 중에 용융 금속이 양호하게 관통하도록 보장하고, 가스 결함 등의 출현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브 쿨러와 종래 기술의 내화 벽돌이 삽입되어 구성된 스테이브 쿨러를 실제 작업 중인 고로에 설치하고 이들의 성능을 비교하여 보았다.
종래 기술로 구성된 스테이브 쿨러의 열 절연 성능은 내화 벽돌의 크랙 발생의 결과로서 조기에(약 6개월 정도) 열화되었지만, 이에 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브 쿨러는 12개월 동안 정상적인 상태였으며, 금속 모체의 온도는, 종래 기술로 구성된 스테이브 쿨러와 비교하여 안정하고 낮았다.
하기의 우수한 효과는, 상술한 바와 같이 내화 벽돌을 삽입하는 것 대신에, 금속 모체 주조에 의해서 개구를 가진 격자 형성 내열 강판의 적층체를 스테이브 쿨러의 노 내측면 내에 배치시키는 것에 의해서 획득된다.
(1) 내열강이 내화 벽돌 또는 금속 모체(구상 흑연 주철)보다 내마모성과, 내크랙성이 더 양호하기 때문에, 노 내측면 상에서의 스테이브 쿨러의 마모 속도가 감소된다.
(2) 내열 강판의 격자 교점 또는 슬롯이 겹쳐지지 않는 방식으로 내열 강판을 중첩하는 것에 의해서 균질한 복합물이 획득되기 때문에, 스테이브 쿨러 본체의 열 변형에 의해서 초래되는 내열 강판의 떨어져 나감 또는 국부적인 손상이 예방된다.
(3) 효과(2)의 결과로서 스테이브 쿨러의 노 내측면이 장기간에 걸쳐서 평탄하게 유지되고, 노 내의 원료의 강하도 유연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고로의 안정적인 동작이 보장된다.
(4) 특히, 개구를 가진 격자형 내열 강판이 적층되어 각각 형성되는 직방체가 긴 변이 스테이브 쿨러의 높이 방향으로 정렬되는 방식으로 스테이브 쿨러의 노 내측면 상에 배치되는 경우에, 금속 모체의 결합부는 수직으로 형성되고, 스테이브 쿨러의 굽힘 강성이 증가하게 되며, 그 결과로서 열 변형을 억제하게 된다. 따라서 냉각 파이프에 대한 손상과 고온인 노 내부 가스의 노피로의 누출은 방지되며, 고로의 사용 수명은 더욱 증가하게 된다.
(5) 스테이브 쿨러 제조의 작업 효율은 일반적으로 향상되고, 제조 비용은 감소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 따르는 스테이브 쿨러를 주조함에 있어서, 금속 모체 주조에 의해서 내화 벽돌이 삽입되는 종래 기술의 작업과는 다르게, 삽입되어지는 부재를 몰드에 고정하는 작업과 이들을 충격 흡수 재료로 감싸는 작업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6) 스테이브 쿨러의 폭 방향으로의 직방체의 치수를 작게 하는 것에 의해서, 노 내면의 서로 다른 곡률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으며, 종래 기술의 내화 벽돌의 설계 및 제조는 불필요하게 되므로, 스테이브 쿨러의 제조 비용과 시간이 감소하게 된다.
(7)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브 쿨러의 낮은 마모 속도 때문에 스테이브 쿨러를 더 얇게 제조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제조 비용도 감소하게 된다.
작업 중에 평탄하게 내부면을 유지하도록 구조적인 설계를 사용하여 구성되어 고로와 같은 야금학적인 노의 안정된 작업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내화 벽돌이 삽입된 종래 구조의 스테이브 쿨러에 있어서, 내화 벽돌은 신속하게 마모되며, 또한 금속 모체의 리브는 노 내부로 향해서 돌출하게 되어, 내화 벽돌과 금속 모체(구상 흑연 주철)의 서로 다른 마모 속도의 결과로서 스테이브 쿨러의 노 내측면이 불규칙해지는 반면에, 개구를 가지는 격자형 내열 강판과 금속 모체의 복합물로 균일하게 구성된 스테이브 쿨러의 노 내측면 상에서는, 노 내측면이 균일하게 마모되기 때문에 어떠한 불규칙성도 생성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야금학적인 노의 설계에 있어서, 노 작업 중에 전체 노 내부면에서 균일한 마모 속도를 획득할 수 있도록 노벽 구조를 설계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야금학적인 노의 연속적이고 안정적인 동작을 실현하는데 현저하게 기여하게 된다.

Claims (13)

  1. 금속 모체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파이프가 금속 모체의 노 내측면에 대향한 측면에 매설되고, 개구를 가진 내열 강판이 금속 모체의 노 내측면 상에 배치된 구조를 가진 노체를 냉각시키기 위한 스테이브 쿨러에 있어서,
    내열 강판은 개구를 가진 내열 강판의 적층체이며, 내열 강판의 개구의 위치는 인접한 내열 강판의 개구의 위치와는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체를 냉각시키기 위한 스테이브 쿨러.
  2. 제 1 항에 있어서, 내열 강판은 격자형 또는 슬롯형 내열 강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체를 냉각시키기 위한 스테이브 쿨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내열 강판의 적층의 두께는 3mm 이상이고, 스테이브 쿨러 두께의 2/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체를 냉각시키기 위한 스테이브 쿨러.
  4. 삭제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내열 강판의 적층의 순체적은 총체적, 즉 내열 강판의 순체적에 내열 강판의 개구 형태의 공간의 체적을 합산한 체적의 20 내지 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체를 냉각시키기 위한 스테이브 쿨러.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개구를 가진 내열 강판의 개구의 최소폭은 30mm 이상이고, 70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체를 냉각시키기 위한 스테이브 쿨러.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개구를 가진 내열 강판은 오스테나이트계 내열 강판 또는 페라이트계 내열 강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체를 냉각시키기 위한 스테이브 쿨러.
  8. 금속 모체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파이프가 금속 모체의 노 내측면에 대향하는 측면 상에 매설된 구조를 가진, 노체를 냉각시키기 위한 스테이브 쿨러에 있어서,
    개구를 가진 격자형 또는 슬롯형 내열 강판 또는 개구를 가진 격자형 또는 슬롯형 적층 내열 강판을 직방체로 형성하고, 상기 직방체가 금속 모체의 노 내측면에 복수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체를 냉각시키기 위한 스테이브 쿨러.
  9. 제 8 항에 있어서, 직방체의 두께는 3mm 이상이고, 스테이브 쿨러의 두께의 2/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체를 냉각시키기 위한 스테이브 쿨러.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직방체에 있어서, 내열 강판의 개구의 위치는 인접한 내열 강판의 개구의 위치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체를 냉각시키기 위한 스테이브 쿨러.
  11.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직방체의 순체적은 총체적, 즉 내열 강판의 순체적과 개구 공간의 체적을 합산한 체적의 20 내지 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체를 냉각시키기 위한 스테이브 쿨러.
  12.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직방체에 있어서, 개구의 최소 폭은 30mm 이상이고, 70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체를 냉각시키기 위한 스테이브 쿨러.
  13.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내열 강판은 오스테나이트계 또는 페라이트계 내열 강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체를 냉각시키기 위한 스테이브 쿨러.
KR10-2001-7010936A 1999-02-26 2000-02-25 스테이브 쿨러 KR1004300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1999-00049919 1999-02-26
JP11049919A JP2000248305A (ja) 1999-02-26 1999-02-26 ステーブクーラー
PCT/JP2000/001126 WO2000050831A1 (en) 1999-02-26 2000-02-25 Stave cool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9300A KR20010109300A (ko) 2001-12-08
KR100430069B1 true KR100430069B1 (ko) 2004-05-03

Family

ID=12844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0936A KR100430069B1 (ko) 1999-02-26 2000-02-25 스테이브 쿨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580743B1 (ko)
EP (1) EP1178274B1 (ko)
JP (2) JP2000248305A (ko)
KR (1) KR100430069B1 (ko)
CN (1) CN1175238C (ko)
BR (1) BR0008560A (ko)
TW (1) TW462989B (ko)
WO (1) WO20000508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17768B (fi) 2000-11-01 2007-02-15 Outokumpu Technology Oyj Jäähdytyselementti
EP1443119A1 (en) * 2003-01-29 2004-08-04 VAI Industries (UK) Ltd. Cooling stave for shaft furnaces
US7951325B2 (en) 2006-05-17 2011-05-31 Air Liquide Advanced Technologies U.S. Llc Methods of implementing a water-cooling system into a burner panel and related apparatuses
US7824604B2 (en) * 2006-05-17 2010-11-02 Air Liquide Advanced Technologies U.S. Llc Methods of implementing a water-cooling system into a burner panel and related apparatuses
LU91664B1 (en) * 2010-03-12 2011-09-13 Wurth Paul Sa Cooling plate for a metallurgical furnace
JP6287500B2 (ja) * 2014-04-02 2018-03-07 新日鐵住金株式会社 耐摩耗ライナー
KR101586912B1 (ko) 2014-05-29 2016-02-02 현대제철 주식회사 고로 벽 구조물
EP3417225B1 (en) * 2016-02-18 2023-11-01 Hatch Ltd. Wear resistant composite materia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cooling element
DE102016107284A1 (de) * 2016-04-20 2017-10-26 Kme Germany Gmbh & Co. Kg Kühlplatte für ein Kühlelement für metallurgische Öfen
US10301208B2 (en) * 2016-08-25 2019-05-28 Johns Manville Continuous flow submerged combustion melter cooling wall panels, submerged combustion melters, and methods of using same
CN110205143B (zh) * 2018-12-18 2023-11-17 西安华江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炉体冷却段结构的干熄焦用浇注砌筑混合结构及其制备方法
US20220018600A1 (en) * 2020-07-17 2022-01-20 Berry Metal Company Structural matrix for stav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32313B2 (ja) * 1977-12-06 1983-07-12 山陽特殊製鋼株式会社 電気ア−ク炉用水冷パネル
JPS5580351U (ko) * 1978-11-29 1980-06-03
DE2907511C2 (de) * 1979-02-26 1986-03-20 Kabel- und Metallwerke Gutehoffnungshütte AG, 3000 Hannover Kühlplatte für Schachtöfen, insbesondere Hochöfe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selben
DE2939852C2 (de) * 1979-10-02 1983-09-08 Hoesch Werke Ag, 4600 Dortmund Kühlelement für einen metallurgischen Ofen, insbesondere Hochofen
US4453253A (en) * 1981-06-10 1984-06-05 Union Carbide Corporation Electric arc furnace component
US4637034A (en) * 1984-04-19 1987-01-13 Hylsa, S.A. Cooling panel for electric arc furnace
JPH02267205A (ja) * 1989-04-06 1990-11-01 Sumitomo Metal Ind Ltd 高炉ステーブの更新施工方法
JPH05320727A (ja) 1992-05-22 1993-12-03 Sumitomo Metal Ind Ltd 煉瓦保持機能を備えたステーブクーラ
JPH0647347A (ja) 1992-07-29 1994-02-22 Kanebo Ltd 粒状物のダスト除去装置
JP2725574B2 (ja) * 1993-10-21 1998-03-11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冶金炉用炉体保護壁
JP3039261B2 (ja) * 1994-03-03 2000-05-08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冶金用炉の炉体保護壁
JPH08104910A (ja) * 1994-10-05 1996-04-23 Nippon Steel Corp ハイブリッドステーブの製造方法
JPH08120313A (ja) 1994-10-24 1996-05-14 Nippon Steel Corp ステーブ
JP2932977B2 (ja) * 1995-09-22 1999-08-09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ステーブクーラ
JP3397113B2 (ja) * 1997-12-26 2003-04-14 日本鋼管株式会社 竪型冶金炉用の炉体構造部材
JP2000045005A (ja) * 1998-07-28 2000-02-15 Nippon Steel Corp ステーブクーラー及びその製造方法
US6137823A (en) * 1999-01-26 2000-10-24 J. T. Cullen Co., Inc. Bi-metal panel for electric arc furn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580743B1 (en) 2003-06-17
WO2000050831A1 (en) 2000-08-31
TW462989B (en) 2001-11-11
EP1178274A1 (en) 2002-02-06
JP4563591B2 (ja) 2010-10-13
EP1178274B1 (en) 2004-05-06
CN1175238C (zh) 2004-11-10
KR20010109300A (ko) 2001-12-08
BR0008560A (pt) 2001-12-18
EP1178274A4 (en) 2002-11-06
JP2000248305A (ja) 2000-09-12
CN1341202A (zh) 2002-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0069B1 (ko) 스테이브 쿨러
US6404799B1 (en) Water-cooling panel for furnace wall and furnace cover of arc furnace
KR102545826B1 (ko) 야금로를 위한 냉각 요소 및 그 제조 방법
EP1466021B1 (en) Cooling plate for a metallurgical furna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a cooling plate
JP3397113B2 (ja) 竪型冶金炉用の炉体構造部材
CA2581979C (en) Metallurgical furnace
CN214470084U (zh) 用于冶金炉的壁板保护系统及冶金炉壁板体
JP2000256716A (ja) 炉体の耐火物保持構造
JP4340002B2 (ja) 製鋼用転炉ウエアライニング構造
CN214496367U (zh) 用于冶金炉的壁板保护系统及冶金炉壁板体
JPH07242917A (ja) 冶金用炉の炉体保護壁
JPH11335711A (ja) 竪型冶金炉用のステーブの製造方法
JP2765449B2 (ja) 高炉炉体冷却装置
JP2000045005A (ja) ステーブクーラー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083533B1 (ko) 처리 장치
JP2524669B2 (ja) 連続鋼片加熱炉
JP7192360B2 (ja) 転炉
JP2003183712A (ja) 竪型冶金炉用の炉体構造部材
JP2000026910A (ja) 高炉炉体
JP2004197133A (ja) クーリングステーブ及び該クーリングステーブを用いた高炉炉体構造
JP2001123209A (ja) ステーブクーラー
EA011183B1 (ru) Металлургическая печь
JP2001049316A (ja) シャフト炉型冶金炉用のステーブ及びその配置構造
JPS63103024A (ja) 誘導加熱炉用炉芯管
JPH0328309A (ja) 転炉および転炉炉体の冷却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