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8915B1 - 신규한 산화방지제 혼합물 - Google Patents

신규한 산화방지제 혼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8915B1
KR100428915B1 KR10-1999-7007403A KR19997007403A KR100428915B1 KR 100428915 B1 KR100428915 B1 KR 100428915B1 KR 19997007403 A KR19997007403 A KR 19997007403A KR 100428915 B1 KR100428915 B1 KR 1004289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ffective amount
amount selected
derivatives
ski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7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1115A (ko
Inventor
조셉 거버닉
케네쓰 디. 매러너스
에드워드 펠레
리브 데클레르크
다니엘 에이치. 매스
Original Assignee
칼라 액세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8/992,128 external-priority patent/US6068848A/en
Application filed by 칼라 액세스, 인크. filed Critical 칼라 액세스, 인크.
Publication of KR20000071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1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8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89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8Tocopherol, i.e. vitamin 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7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5Ketones, e.g. benzophenone
    • A61K8/355Quin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6Ascorbic acid, i.e. vitamin 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osmetic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토코페롤 및 그의 유도체, (b) 아스코르브산 및 그의 유도체, (c) 부틸화 페놀, (d) 로즈메리 추출물 및 (e) 유비퀴논 및 그의 유도체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된 산화방지제 각각의 하나 이상의 유효량을 포함하는, 피부에 국소도포하기 위한 화장용 또는 제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신규한 산화방지제 혼합물 {Novel Antioxidant Mixture}
UV광에 장기간 및(또는) 반복된 노출과 피부의 조기 노화 사이에 인과관계가 있다는 것은 오래전부터 인식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태양에 과다 노출되면 피부의 엘라스틴 및 콜라겐의 질과 양이 조기 감퇴하고 표피 비대에 실질적인 원인이 된다. 이런 변화는 깊은 잔주름, 주름살, 탄력 손실, 피부 건조, 피부 불균일과, 검버섯, 착색 반점, 및 양성 및 악성 종양의 빈도 증가와 같은 전형적인 노화의 징후를 통해 외적으로 드러난다.
이런 손상은 대개 UV광으로 인해 피부에 유리 라디칼 종이 생성되기 때문인 것으로 제기되어 왔다. 유리 라디칼은 만약 이것이 조절되지 않는다면 가까운 분자와 급속하게 그리고 무작위적으로 반응하여 신체의 정상적 생리 과정을 방해할 수 있는 독성 산물을 발생시킨다. 이들 반응의 효과가 축적되면 신체의 정상적인 복구 기작을 압도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십중팔구 언제나 복구 기작을 압도하게 된다. 유리 라디칼 반응은 자연 노화 과정의 주요 원인으로 널리 인식되어 있다.
피부 상에 존재하는 산소 라디칼이 태양에 노출되었을 때 바람직하지 못한 많은 영향을 불러일으킨다는 것이 최근에 인식되었다. 예를 들면 온몸에서 일반적으로 관찰되는 노화 현상은 대개 광노화의 결과로 피부 상에서 조기에 나타나며, 광노화는 다른 영향들 가운데서 엘라스틴 및 콜라겐의 감퇴 과정을 가속화시킨다. 또한 모든 종류의 피부암에 걸릴 위험성도 높아진다. 이런 필요에 따라, 피부관리업계에서는 이런 추이에 대응하기 위한 새롭고 보다 효과적인 수단을 계속 강구해 왔다. 지금까지는 산화방지제가 일반적으로 태양에 대한 심각하지 않은 일상적인 노출에 대해 사람 피부의 생체내 보호 효과가 있는지 밝혀져 있지 않으며, 산화방지제가 노화 과정에 상당한 효과를 갖는다고 실제로 기대할 수 있는지에 관해서도 상당히 회의적이었다. 따라서 광노화 증상의 치료, 예방 또는 심지어 반전에 효과가 있는 조성물에 대한 요구는 계속되고 있다.
발명의 요지
본 발명은 (a) 토코페롤 및 그의 유도체, (b) 아스코르브산 및 그의 유도체, (c) 부틸화 페놀, (d) 로즈메리 추출물 및 (e) 유비퀴논 및 그의 유도체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된 산화방지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comprising), 피부에 국소 도포하기 위한 화장용 또는 제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 조성물은 광노화, 즉 태양에 반복 노출된 결과 유발되는 피부 손상을 치료 및 예방하는데 유용하다.
본 발명은 피부에 국소 도포하기 위한 화장용 및 제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피부의 외인성 노화의 징후를 예방 및 치료하는데 유용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하루 일조량과 피부의 지질 과산화 수준 사이의 상관관계를 도시한다.
도 2는 피부의 지질 과산화 수준에 대한 산화방지제 처리의 즉시 효과를 보여준다.
도 3은 피부의 지질 과산화 수준에 대한 산화방지제 처리의 장기(長期) 효과를 보여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조성물로 치료한 사람과 치료하지 않은 사람들 간의 18개월에 걸친 안면 잔주름 및 주름살의 변화를 비교한 것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낸 안면 잔주름 및 주름살의 전체 변화를 가중치로 비교한 것이다.
도 6은 처리군 및 대조군의 눈가에 주름이진 눈의 탁본에서 증세 심화를 분석한 그래프를 보여준다.
도 7은 처리군에서 한 참가자의 눈꼬리 주름살 부위의 실리콘 탁본의 영상 분석 사진이다. 상단 사진이 기준 사진이며, 하단 사진이 치료한지 18개월 후의 것이다.
도 8은 대조군에서 한 참가자의 눈꼬리 주름살 부위의 실리콘 탁본의 영상 분석 사진이다. 상단 사진이 기준 사진이며, 하단 사진이 18개월 후의 것이다.
도 9는 처리받은 참가자들 사이에서 처리 및 비처리 팔의 18개월에 걸친 피부 두께의 변화를 보여준다.
도 10은 18개월에 걸쳐 처리받은 참가자들 사이에서 처리 및 비처리 팔 사이의 피부 두께 차이 백분율을 보여준다.
도 11은 대조군의 팔에서 18개월에 걸친 피부 두께의 변화를 나타내며, 비히클의 영향을 보여준다.
도 12는 피부 두께의 손실에 대해 대조 비히클의 보호 효과와 본 발명의 조성물로 처리한 보호 효과를 비교한 것이다.
도 13은 18개월에 걸쳐 처리군 및 대조군 간의 이마에서의 피부 두께 변화를 비교한 것이다.
도 14는 18개월에 걸쳐 처리군의 처리 및 비처리 팔 사이의 피부 탄력성의 변화를 비교한 것이다.
도 15는 처리군에서 산화방지제 처리 팔 및 비처리 팔 사이의 피부 탄력성 차이의 백분율을 비교한 것이다.
도 16은 대조군에서 18개월에 걸친 피부 탄력성의 변화를 보여주는데, 이는 비히클의 효과이다.
도 17은 산화방지제 처리의 피부 탄력성 손실에 대한 보호 효과를 대조군의 효과와 비교한 것이다.
도 18은 처리군 및 대조군에서 보습의 전체 변화를 가중치로서 보여준다.
도 19는 처리군 및 대조군에서 상피 보습량의 측정치를 비교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각종 산소 유리 라디칼 및 반응종이 UV 광선에 대한 지속적 노출 및 다른 환경적 요인에 의한 손상에 연관되어 있다는 것이 확실히 인식되어 왔다. UV로 인한 손상에 완화 효과를 줄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여러종류의 산화방지제를 실험에 의해 시험했다 [Packer, L. in Free Radical Damage and its Control, 9: 239-255, 1994, Rice-Evans Burton, eds., Elsevier Science B. V.; Miyachi et al. Clin. Exp. Dermatol. 8: 305-310, 1983; Khettab et al., Biochimie 70: 1709-1713, 1988; Law and Lewis, Br. J. Pharmacol. 59: 591-597, 1977; Bissett et al., Photodermatol. Photoimmunol. Photomed. 7: 56-62, 1990]. 그러나 지금까지 이런 연구는 심한 UV 노출에 의해 유발된 손상에 대한 산화방지제의 효과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으며, 주로 동물을 모델로 한 것이었다. 산화방지제가 장기간의 상시적인 태양 노출에 대해 어떤 생체내 보호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지를 시사한 이전의 증거는 전혀 없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산화방지제 조합물은 피부 표면의 지질 과산화를 억제하는 보호 효과를 제공한다. 과산화 지질 수치가 높다는 것은 심한 산화 스트레스 결과의 지표로 생각된다. 이 조합물은 또한 잔주름 및 주름살의 발생을 막는데도 사용되어, 이미 존재하는 주름살이 더 심해지는 것을 예방하며, 효과는 덜하지만 이미 존재하는 잔주름 및 주름살의 소멸까지도 어느 정도 촉진할 수 있다. 이 조합물은 또한 광노화의 특징인 탄력 및 피부 두께의 손실에 대한 보호 효과도 제공한다. 보호 효과는 특히 장기간 지속된 태양 노출 피부를 치료하는데 특히 유용하다.
이 조합물의 성분은 시판되는 것이거나 쉽게 제조할 수 있는 공지된 산화방지제이다. 모든 성분은 산화방지제의 유효량으로 사용되며, 그 양은 화합물 종류 및 그의 효능에 따라 다르다. 본 조합물의 제1 성분은 비타민 E 또는 그의 동족체, 유사체 또는 유도체이다. 비타민 E의 주요 활성 성분은 토코페롤, 특히 α-토코페롤이지만, 어떤 비타민 E 또는 토코페롤 유도체든지 사용할 수 있다. 유용한 유도체의 예는 에스테르 (예를 들면, 토코페롤 아세테이트, 토코페롤 리놀레에이트, 토코페롤 니코티네이트, 토코페롤 소르베이트, 또는 토코페롤 숙시네이트), 토코페롤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에테르, 예를 들면 토코페레트-5, 토코페레트-10, 토코페레트-12, 토코페레트-18 또는 토코페레트-50, 및 6-히드록시크로만 동족체 (미국 특허 제4,003,919호, 제4,018,799호, 제4,026,907호 및 3,903,317호에 기재되어 있음), 특히 트롤록스(Trolox:등록상표)-C (Cort et al., JAOCS 52: 174, 1975) 및 트로록실(Troloxyl)-아미노산 (Taylor et al., JAOCS: 622, 1981)으로 시판되는 6-히드록시-2,5,7,8-테트라메틸크로만-2-크로만-2-카르복실산이 있다.
토코페롤 유도체는 또한 하기 화학식의 토코페롤-시스테아민 및 그의 화장품에서 또는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일 수 있다.
식 중, R1, R2, R3, 및 R4는 수소, C1-C18알킬, 치환된 C1-C18알킬, C1-C18알콕시, 치환된 C1-C18알콕시, C1-C18알케닐, 치환된 C1-C18알케닐, C1-C18알키닐 및 치환된 C1-C18알키닐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서로 독립적으로 선택된 동일하거나 상이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알킬, 알케닐, 알콕시 및 알키닐기는 직쇄 및 분지쇄일 수 있으며, 할로겐, OH, SH, NH2, NO2등에 의해 치환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한 화합물은 R1내지 R4가 각각 C1-C4, 보다 바람직하게는 각각 메틸인 화합물이다. 다른 바람직한 화합물은 R1이 메틸이고, R2, R3, R4이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H, OH, 또는 C1-C4알킬, C1-C4알콕시, Cl, Br, F, NO2, NH2, 또는 N(R5)2(여기서 R5는 C1-C4알킬임)일 수 있다. 토코페롤-시스테아민 화합물은 다음 반응식에 의해 쉽게 입수할 수 있는 출발물질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조성물에 사용되는 비타민 E계 성분의 양은 선택된 성분의 효능에 따라 달라지지만 전체 조성물의 약 0.01 내지 20 중량%의 범위가 일반적이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혼합물 내에 1종 이상의 비타민 E 성분이 있으며, 특히 α-토코페롤 또는 토코페닐 아세테이트와 토코페롤 시스테아민을 함유하는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제2 성분은 비타민 C (아스코르브산) 또는 그의 동족체, 유사체 또는 유도체이다. 사용될 수 있는 비타민 C의 유도체는 예를 들면 아스코르빌 팔미테이트, 아스코르빌 디팔미테이트, 아스코르빌 디메틸실라놀 팔미테이트 및 아스코르빌 스테아레이트와 같은 지방산의 아스코르빌 에스테르류, 마그네슘, 나트륨 또는 칼륨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와 같은 금속 또는 금속 포스페이트 염류, 또는 마그네슘, 나트륨 또는 칼륨 아스코르베이트류가 있다. 이 성분은 통상적으로는 약 0.01 내지 2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의 양으로 존재한다.
제3 성분은 부틸화 페놀, 또는 그의 염이다. 그 예로는 t-부틸 히드로퀴논, 디-t-부틸 히드로퀴논, 및 BHT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되기에 특히 바람직한 것은 BHT이다. 이 성분은 전체 조성물의 약 0.01 내지 1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5 중량%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4 성분은 유비퀴논 (유비데카레논) 또는 그의 유도체이다. 유비퀴논은 호흡 체인(respiratory chain) (조효소 Q)에 있는 천연 수소 담체이며, 구조적으로는 이소프렌 단위체의 수가 유기체에 따라 변하는, 멀티프레닐(multiprenyl) 측쇄를 갖는 2,3-디메톡시-5-메틸-1,4-벤조퀴논이다. 이 조성물은 임의의 유비퀴논 또는 그의 조합물을 함유할 수 있거나, 또는 환원형인 유비퀴놀로 나타낼 수도 있다. 다른 유비퀴논 유도체는 예를 들어, 국제 특허 출원 공개 제8803015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 유비퀴논 성분은 전체 조성물의 약 0.01 내지 1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5 중량%의 양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조합물의 마지막 성분은 로즈메리 추출물인데, 이는 추출물 전체를 의하미하거나, 또는 그의 활성 분획물을 의미한다. 이 추출물은 유용성(油溶性) 추출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로즈메리 추출물은 많은 제조회사로부터 시판 중이다. 이 추출물 중의 바람직한 산화방지제 분획물은 주로 디테르펜 중의 디히드로아베이트산류이다. 추출물 중에 구체적으로 확인된 활성 성분 중에는 카르노졸, 카르노신산 및 로스마놀이 있다. 그러나, 마찬가지로 산화방지제 활성을 갖는, 확인되지 않은 추출물 중의 다른 성분들도 있으며, 이들도 또한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다. 카르노신산 약 1 내지 5%, 카르노졸 약 2 내지 7% 및 로스마놀 약 0.1 내지 1%를 함유하는 추출물이 바람직하고, 이런 추출물은 SKW 케미칼사로부터 스타벡스(Stabex:등록상표)라는 상품명으로 시판된다. 이런 형태의 추출물은 조성물 전체의 약 0.0001 내지 약 1%, 바람직하게는 약 0.005 내지 0.5%,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01 내지 0.1%의 양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조성물에는 유용한 추출물 중 1종 이상의 개별 성분을 간단히 사용할 수도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조성물은 또한 화장품용으로 허용가능한 산화방지제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임의의 산화방지제는 N-아세틸-L-시스테인이다. 이는 하기 화학식을 갖는 화합물이다.
N-아세틸 시스테인은 조성물 전체의 약 0.01 내지 20 중량%의 양으로 조성물에 사용된다. 신규 조합물에 혼입될 수 있는 다른 산화방지제 성분의 예로는 녹차 추출물, 및 포도씨 추출물 또는 소나무 껍질 추출물에서 얻을 수 있는 베타 카로틴, 감마 오리자놀, 프로알토시아니딘, 또는 그의 혼합물이 있다.
국소 도포를 위해, 산화방지제 혼합물을 화장품에서 및(또는) 제약학상 허용가능한 담체와 조합할 수 있다. "제약학상 또는 화장품에서 허용가능한 담체"란 활성 성분들을 원하는 목적지까지 전달하며, 사람 또는 다른 수용 유기체에 해를 끼치지 않는, 제약상 또는 화장품용의 비히클을 말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약제" 또는 "화장품"이란 사람 및 동물의 약제 또는 화장품 모두를 포괄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유용한 담체로는 예를 들어, 물, 아세톤, 에탄올,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부탄-1,3-디올,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또는 광유가 포함된다. 화장품용 및 제약학상 조성물의 배합을 위한 방법 및 성분들이 잘 알려져 있으며, 예를 들어 문헌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8판, A.R. Gennaro 편집, Mack Publishing Co. Easton Pennsylvania, 1990]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 담체는 전달 방식에 적당한 임의의 형태, 예를 들면 용액제, 콜로이드성 분산제, 유제 (수중유 또는 유중수), 현탁제, 크림제, 로숀제, 겔제, 폼제, 무스제, 스프레이제 등일 수 있다.
이 배합물에는 담체 및 산화방지제 혼합물 이외에, 담체 및(또는) 배합물의 의도된 용도에 따라 선택될 수 있는 다른 성분들도 포함될 수 있다. 추가의 성분으로는 이에 제한되는 것 없이, (FDC 블루 #1과 같은) 수용성 착색제; (DC 그린 #6과 같은) 유용성 착색제; (유솔렉스(Eusolex) 232와 같은) 수용성 태양 차단제; (옥틸 메톡시신나메이트와 같은) 유용성 태양 차단제; (산화 아연과 같은) 미립자 태양 차단제; (BHT와 같은) 산화방지제; (이나트륨 EDTA와 같은) 킬레이팅제; (카르보머(carbomer)와 같은) 유화 안정화제; (메틸 파라벤과 같은) 방부제; (피넨과 같은) 향료; (소르비톨과 같은) 향미료; (글리세린과 같은) 휴멕탄트; (PVP/에이코센 공중합체와 같은) 방수제;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와 같은) 수용성 막형성제; (수소화 C-9 수지와 같은) 유용성 막형성제; (폴리콰터늄(polyquaternium) 10과 같은) 양이온성 중합체; (크산탄 검과 같은) 음이온성 중합체, (토코페롤과 같은) 비타민 등이 포함될 수도 있다. 명백하게, 이 조성물은 산화방지제를 유일한 활성성분으로 갖거나, 또는 다른 활성성분들을 함께 갖는 치료용 산물일 수 있다. 그러나, 이 조성물은 화장품, 예를 들어, 립스틱, 파운데이션, 콘실러(concealer), 브론저(bronzer), 블러쉬(blush), 아이새도우 등일 수 있다.
한가지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조성물은 태양 차단제를 함유할 수도 있다. 이 조합물은 임의의 태양 차단제를 함유할 수 있다. 조성물에 유용한 태양 차단제의 예로는 이에 제한되는 것 없이 산화 티타늄 및 산화 아연과 같은 무기 태양 차단제, 또는 파라-아미노 벤조산(PABA) 및 그의 에스테르와 같은 유기 태양 차단제, 벤조페논, 페닐 또는 호모멘틸 살리실레이트 및 신나메이트가 포함된다. 이런 조성물에서, 선택된 태양 차단제는 태양 차단제의 용도가 달성되는 양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예를 들어, 예견된 지속적인 태양 노출 전에, 또는 이러한 노출 중에 또는 후에 피부에 도포할 수 있다. 그러나, 최상의 결과는 보통의 도포후 소정의 시간이 지난 뒤에 달성되기 때문에, 심지어 UV광에 상시적인 노출 또는 반응성 산소종을 발생시킬 수 있는 다른 환경적인 공격에 의한 피부 손상을 막기 위해, 또는 이미 존재하는 손상이 더 악화되는 것을 막거나 반전시키기 위해 혼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안전하고 유효한 양을 장기간에 걸쳐 국소 도포하는 것이 이 조성물의 잇점을 얻는 바람직한 방법이다. 노출된 피부의 cm2당 약 0.1 ㎍ 내지 0.2 mg의 양의 조성물을 일주일에 약 1회 내지 하루에 약 4회 또는 5회, 바람직하게는 일주일에 약 3회 내지 하루에 약 3회, 가장 바람직하게는 하루에 약 1회 또는 2회 국소 도포하는 방법이 제안된다. "장기간에 걸친" 도포란, 본 명세서에서는 국소 도포 기간이 사용자의 평생에 걸친 기간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약 1달 이상의 기간이 바람직하고, 약 3개월 내지 약 2년의 기간이 보다 바람직하고, 약 6개월 내지 약 10년이 보다 바람직하고, 약 1년 내지 약 5년이 보다 바람직하며, 이렇게해서 광노화에 의한 외부적 증후를 치료 또는 예방할 수 있다. 당업계의 숙련자들은 사용된 치료 방법이 사용자가 해로운 자극에 노출된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장기간에 걸쳐 태양에 노출된 사람이 태양에 노출되지 않은 사람에게 필요한 것보다 보다 자주 도포하는 것이 이로울 것이라는 것을 안다.
I. 본 발명의 조성물은 통상적인 혼합 기술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제조된다.
물질 중량%
I. 탈이온수 43.78
1,3-부틸렌 글리콜 4.00
폴리소르베이트 60 1.50
메틸 파라벤 0.20
PPG-20 메틸 글루코스 에테르 0.40
삼나트륨 EDTA 0.10
카르보머 18.50
II. 옥틸 메톡시신나메이트 5.00
베타 카로틴 0.02
페닐 트리메티콘 4.00
미리스틸 락테이트 4.50
스테아릴 알콜 1.00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2.00
스테아르산 1.20
BHT 0.15
감마 오리자놀 0.10
이산화 티타늄 2.00
III. 디카프릴릴 말레에이트 0.30
유비퀴논 0.10
IV.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2.00
V. 시클로메티콘 5.00
VI. 탈이온수 2.00
1,3-부틸렌 글리콜 2.00
시트르산 0.10
마그네슘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 0.20
카르노졸/로스마놀 추출물 0.10
녹차 추출물 0.25
<실시예>
I. 임상 연구
A. 실험 디자인.
35세 내지 45세의, 총 160명의 여성 지원자를 대상으로 18개월의 기간에 걸쳐 임상 실험을 수행하였다. 지원자들은 기후 조건이 다른 세 지역에서 선정되었는데, 한 지역은 오염양이 상당한 산간 지역이고, 한 지역은 매우 온화한 기후이며, 한 지역은 큰 온도 변화가 잦은 지역이다. 평가에 있어서, 피부의 과산화 지질 수치를 조기의 산화적 손상에 대한 생화학적 지표로서 채택했다. 또한, 조기 노화의 임상적 증후와의 관계를 제공하기 위해, 피부병 전문의로 하여금 주름 및 처짐을 외관상으로 평가하게 하고, 피부 두께 및 탄력성은 온화한 기후 지역의 군에 대해서 초음파검사 및 커토메트리(cutometry) 각각에 의해 측정하였다.
B. 방법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2%, 로즈메리 추출물 0.1%, BHT 0.1%, N-아세틸 시스테인 0.5%, 마그네슘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 1%, 유비퀴논 0.1% 및 토코페롤 시스테아민 0.1%를 함유하는 유제를 왼쪽 팔뚝과 얼굴에 하루 2회 국소 도포하였다. 오른쪽 팔은 비처리 대조군으로 제공된다.
피부의 과산화 지질 수치, 피부 두께, 피부 탄력성 및 건조도를 장기간에 걸쳐 태양에 노출된 부위(얼굴, 팔뚝 바깥쪽)와 노출되지 않은 부위(팔뚝 안쪽)에서측정하였다. 얼굴에서는 주름 형성을 기록하였다.
치료에 의하지 않은 결과는 배제하기 위해, 각각의 사람은 자기 스스로가 대조군이 되었다. 팔뚝 측정에 있어서는, (비처리된) 오른쪽 팔을 (처리된) 왼쪽 팔에 대한 대조물로서 제공되었다. 치료 효과를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안쪽 : ΔV (시점 Mx=(LV-RV)Mx에서 왼쪽과 오른쪽의 안쪽 팔뚝의 차이)
바깥쪽: ΔD (시점 Mx=(LD-RD)Mx에서 왼쪽과 오른쪽의 바깥쪽 팔뚝의 차이)
이런 수치를 주어진 시점 Mx에서 양쪽 팔의 백분율차 (안쪽에서의 %ΔV 및 바깥쪽에서의 %ΔD)로 나타내는 것이 보다 적절한데, 양의 값은 왼쪽 팔이 오른쪽 팔보다 높은 수치 (더 높은 과산화 지질, 더 두꺼운 피부, 더 탄력성 있는 피부)를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안쪽: Mx = (LV-RV)Mx/ LVMx× 100에서의 %ΔV
바깥쪽: Mx = (LD-RD)Mx/ LDMx× 100에서의 %ΔD
각 시점 Mx에서 치료의 모든 효과를 기준값 M0에 대해 보정하였다.
이마에서는, 내부적인 비처리 대조 부위는 없지만, 대조군과 처리된 군에서의 변화를 비교할 수 있다.
피부의 과산화 지질 수치를 피부 표면 지질의 에탄올 추출물에서의 잔류 스쿠알렌에 대한 히드로과산화 스쿠알렌의 몰%로서 HPLC에 의해 정량화 하였다.
주름살의 심각성은 1 (보통)에서 5 (심각함)까지의 상이한 광등급 분류를 나타내는 사진에 의해 외관상 점수를 매김으로써 평가한다. 따라서, 눈 주위의 실리콘 탁본의 상 분석으로 피부 표면 국부해부 및 조직에 대한 총 평가를 제공하였다.
피부 두께 (표피+진피)는 초음파 기술 (20 MHz 초음파검사)에 의해 측정해서 mm로 나타내었다.
피부 탄력성은 피부를 당길 때 수직방향으로 늘어나는 정도를 커토미터(cutometer)로 측정해서 나타낸다. 피부의 즉각적인 변형은 광학 수단에 의해 정량화한다.
피부의 보습은 상피 표면층의 보습량의 척도인, 피부의 용량 (코르네오미터(corneometer))으로 나타낸다. 따라서, 피부 표면의 부드러움은 얼굴에서 장기간에 걸쳐 평가된다 (클리그만(Kligman) 스코어).
C. 결과
1. 피부의 지질 과산화
1.a. 부주의한 UV 노출의 영향
전문 기상대로부터 시험 기간 중 각 센터에서의 기후 조건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았다. 일광의 평균 시간을 (비처리된) 오른쪽 (잠재적으로 태양에 노출된) 안쪽 팔에서의 과산화 스쿠알렌 수치와 비교하였다.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피부의 지질 과산화 수준을 일일 평균 일조량으로 보정하였는데, 단, 외부 온도는 팔을 투과 노출시키기에 충분히 높다 (평균 온도보다 10℃ 높음).
이 결과로, 피부의 지질 과산화 수준은 매우 가변적인 파라미터이다. 예를 들어, 동일한 참가자에게서 과산화 스쿠알렌의 수치는 6개월에 걸쳐 최저 0.2 몰%에서부터 최대 44몰%까지 나타났다.
1.b. 국소적인 산화방지제의 영향
즉시 효과:
국소적인 산화방지제 치료는 피부의 과산화 지질 수치에 즉각적인 영향을 주었다.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질 과산화 수준은 도포 후 최대 7시간 이상 매우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장기간 효과:그러나, 일단 산화방지제가 피부로 침투되거나 소모되었다면, 과산화 기준 수치는 산화방지제 치료에 의해 영향받지 않는다. 모든 참가자들은 시험을 위해 소집되었을 때 24시간 이상 동안 국소 치료를 중단하도록 요구받았다. 그때, 이전에 산화방지제로 치료한 팔과 치료하지 않은 팔 간의 과산화 지질 수치에서의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2. 잔주름 및 주름살의 임상 평가
2.a. 외관상 평가
얼굴에서의 광손상의 외관상 증후를 임상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사진에 의한 불연속적인 측정을 하였다. 1 (보통) 내지 5 (심각)까지의 범위로 스코어를 매겼다.
모든 개인의 스코어 변동은 특정 숫자의 군으로 스코어 등급이 이동된 참가자 퍼센트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4)에 나타내었다. 낮은 숫자로의 이동은 기존의 잔주름 및 주름살이 소멸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각 그룹의 전체적인 변동을 가중치로 나타낼 수 있는데, 개인의 이동 정도가클수록 가중치도 커진다. 마이너스의 가중치는 광등급 분류가 낮은 쪽으로 전체적으로 변동되었음을 나타내며, 산화방지제 처리 군에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이 군에서 기존의 주름살이 없어진 지원자가 주름살이 증가된 참가자보다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5에서와 같이, 산화방지제를 국소 도포한 군은, 15% 정도의 주름살의 전체 증가가 18개월에 걸쳐 나타난 대조군에 비해 기존의 잔주름 및 주름살이 상당히 안정화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심지어 어느정도는 없어졌음을 나타낸다.
2.b. 탁본 분석
눈의 실리콘 탁본에 대한 상 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의 데이터는 피부 표면의 해부 및 조직에 대한 전체 평가를 제공한다. 산화방지제 처리군과 대조군에서의 18개월의 기간에 걸친 평균 변화량은 주름살 진행 부위에 산화방지제를 국소 도포한 결과 보호 효과가 나타났으며, 심지어 기존의 주름살이 없어졌음을 나타낸다 (도 6, 7 및 8).
이 결과들은 피부에 콜라겐의 생성을 증가시키는 성분의 도움 없이도 산화방지제로 매일 보호함으로써 피부 구조를 개선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증명한다.
3. 피부 두께
팔뚝 측정에 있어서, (비처리된) 오른쪽 팔은 (처리된) 왼쪽 팔에 대한 내부 대조물로 이용하였다. 양쪽 팔의 두께 (진피 + 표피) 차이 측정이 총 18개월의 기간에 걸쳐 계속되었고, 두 군을 비교하였다.
초기에는, 산화방지제 처리된 군에서 양쪽 팔의 피부 두께가 유사하였다. 그러나, 18개월 후, 양쪽 팔 간의 차는 상당히 커졌으며, 이는 산화방지제가 피부 조직의 손실을 상당히 크게 보호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9).
이런 보호 효과는 시간에 따라 생기며 (도 10), 장기간에 걸쳐 광노출된 (바깥쪽의) 팔에서 가장 두드러졌다.
대조군은 피부 박막화(thinning)에 대한 보호능이 덜 나타났지만, 비히클 처리에 의해 어느 정도의 잇점이 드러났다 (도 11).
비히클 및 제제를 함유하는 산화방지제에 의해 제공된, 피부 박막화에 대한 보호 효과를 비교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을 함유하는 산화방지제의 효과가 약 3배 정도 크게 나타난다는 것이 밝혀졌다 (도 12).
이러한 결과는 산화방지제의 보통의 도포에 의해 제공된 보호가, 노화 과정의 지표의 하나인 피부 박막화를 감소시켰으므로 진피내의 콜라겐이 UV에 의해 파괴되는 것을 막았음을 나타낸다.
이마에서의 측정에서는, 안면 전체에 처리했기 때문에 비처리 대조와의 비교는 할 수 없다. 따라서, 초기와 연구 말렵의 피부 두께를 측정하고, 산화방지제 처리군에서의 변화를 대조군에서의 변화와 비교하였다.
이마에서의 피부 박막화 수치는 대조군보다 산화방지제 처리군에서 지연되었으므로, 마찬가지로 이 결과에서도 산화방지제의 보호 효과를 시사한다.
4. 피부 탄력성
(비처리된) 오른쪽 팔은 (처리된) 왼쪽 팔에서의 측정된 대한 내부 대조로 제공된다. 양쪽 팔에서의 측정은 18개월 동안 계속되었고. 변화는 처리군과 대조군에서 비교되었다. 피부 두께의 경우에서와 마찬가지로, 피부 탄력성은 노화 과정에 의해 영향받으며, 18개월의 기간에 걸쳐 상당히 지연되었다. 초기에는 처리군에 있어서 오른쪽 팔보다 왼쪽 팔에서 탄력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18개월 후에는 비처리된 오른쪽 팔의 피부가 그의 탄력성을 너무 많이 잃어버려서 이제는 (처리된) 왼쪽 팔보다 탄력성이 떨어지게 되었다 (도 14). 산화방지제 처리는 탄력성 손실을 상당히 보호한다. 장기간에 걸쳐 광노출된 (바깥쪽) 팔에서는 처리 기간이 증가됨에 따라 보호 효과가 상당히 증가하였다 (도 15).
대조군에서의 효과는 산화방지제 처리군에서 보다 덜 하지만, 보습 제제의 일상적인 도포로도 탄력성 손실을 보호할 수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도 16).
양쪽 군에서 경험한 효과를 비교하였을 때 산화방지제 처리의 탄력성 손실의 보호가 비히클에 대해서 측정된 효과에 비해 2배 크게 나타났다 (도 17).
산화방지제를 처리함으로써 얻어진 보호 잇점의 당연한 귀결로, 본 발명자들은 제제를 함유하는 산화방지제로 처리한 참가자들에게 있어서 피부 탄력성 손실이 상당히 보호된다는 사실을 밝힐 수 있었다.
5. 피부 건조의 임상 평가
5.a. 외관상 평가
얼굴에서의 피부 표면의 부드러움을 외관상 평가하기 위해 0 (부드러움)에서 3 (심각하게 건조함)까지의 건조 측정의 클리그만 점수계를 사용하였다. 처리군과 대조군의 전체 변화를 가중치로 계산하고, 개인의 이동이 작은 것에 비해 큰 것에 보다큰 가중치가 부여되었다. 이 경우 양의 가중치는 피부의 부드러움 면에서의 개선을 나타낸다. 도 18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두 군 모두 국소 처리에 의해 유사한 보습 효과를 얻었고, 18개월 후에는 피부의 건성이 저하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5.b. 진피내 보습
오른쪽 팔을 왼쪽 팔에 대한 비처리 대조로 제공하여, 코르네오미터를 사용하여 팔뚝에서의 상피내 보습량을 측정하여 상기 결과를 확인하였다.
<결론>
결과들은 산화방지제의 국소 도포가 피부의 지질 과산화 수준을 즉각적으로 저하시킨다는 것을 증명한다. 일단 산화방지제가 피부에 침투하거나 소모되었다면 지질 과산화의 기준 수치는 이런 치료에 의해 영향받지 않는다.
이 치료의 장기간 이로운 효과는 1년이 지나야 확실이 증명되며, 치료한지 18개월 후에는 보다 분명해진다. 산화방지제의 보통의 도포는 진피 내의 콜라겐이 UV에 의해 파괴되는 것을 대부분 막으며, 이는 피부의 탄력성이 손실되는 것과 피부가 얇아지는 것을 막는다. 또한, 잔주름 및 주름살 형성 과정이 지연되며, 이는 심지어 치료전에 발생된 피부 세포의 손상 일부를 치료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산화방지제를 함유하는 국소 제제를 매일 도포한지 18개월 후에 얻어진 결과로부터, 이러한 도포에 의해 장기간 피부를 보호하는 잇점이 있으며 광노화 과정을 지연시킬 수 있다는 결론은 타당하다.

Claims (3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a) 토코페롤 및 그의 유도체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효량, (b) 아스코르브산 및 그의 유도체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효량, (c) 부틸화 페놀류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효량, (d) 로즈메리 추출물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효량 및 (e) 유비퀴논 및 그의 유도체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효량을 포함하는, 피부의 외인성 노화의 징후를 예방 및 치료하기 위한 피부 국소 도포용 제약 조성물.
  23. (a) 토코페롤 및 그의 유도체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효량, (b) 아스코르브산 및 그의 유도체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효량, (c) 부틸화 페놀류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효량, (d) 로즈메리 추출물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효량 및 (e) 유비퀴논 및 그의 유도체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효량을 포함하는, 피부 국소 도포용 화장용 조성물.
  24. (a) 토코페롤 및 그의 유도체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효량, (b) 아스코르브산 및 그의 유도체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효량, (c) 부틸화 페놀류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효량, (d) 로즈메리 추출물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효량 및 (e) 유비퀴논 및 그의 유도체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효량을 포함하는, 피부의 광노화 증상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피부 국소 도포용 조성물.
  25. (a) 토코페롤 및 그의 유도체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효량, (b) 아스코르브산 및 그의 유도체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효량, (c) 부틸화 페놀류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효량, (d) 로즈메리 추출물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효량 및 (e) 유비퀴논 및 그의 유도체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효량을 포함하는, 피부의 잔주름 및 주름살을 치료, 예방 또는 감소시키기 위한 피부 국소 도포용 조성물.
  26. (a) 토코페롤 및 그의 유도체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효량, (b) 아스코르브산 및 그의 유도체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효량, (c) 부틸화 페놀류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효량, (d) 로즈메리 추출물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효량 및 (e) 유비퀴논 및 그의 유도체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효량을 포함하는, 피부의 탄력 손실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피부 국소 도포용 조성물.
  27. (a) 토코페롤 및 그의 유도체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효량, (b) 아스코르브산 및 그의 유도체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효량, (c) 부틸화 페놀류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효량, (d) 로즈메리 추출물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효량 및 (e) 유비퀴논 및 그의 유도체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효량을 포함하는, 피부의 박막화를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피부 국소 도포용 조성물.
  28. (a) 토코페롤 및 그의 유도체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효량, (b) 아스코르브산 및 그의 유도체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효량, (c) 부틸화 페놀류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효량, (d) 로즈메리 추출물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효량 및 (e) 유비퀴논 및 그의 유도체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효량을 포함하는, 피부의 건조증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피부 국소 도포용 조성물.
  29. 제22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토코페롤 유도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30. 제22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아스코르브산 유도체가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인 조성물.
  31. 제22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틸화 페놀이 BHT인 조성물.
  32. 제22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로즈메리 추출물이 카르노신산, 카르노졸 및 로스마놀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된 산화방지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33. 제22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토코페롤 시스테아민 및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
  34. 제22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마그네슘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
  35. 제22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N-아세틸 시스테인의 유효량을 더 포함하는 조성물.
  36. 제22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 α-토코페롤 또는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및 토코페롤 시스테아민, (b)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 (c) BHT, (d) 카르노신산, 카르노졸 및 로스마놀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산화방지제가 함유된 로즈메리 추출물, 및 (e) 유비퀴논을 포함하는 조성물.
  37. 제22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 토코페롤 및(또는) 토코페롤 유도체 약 0.01 내지 약 20 %, (b) 아스코르브산 및(또는) 그의 유도체 약 0.01 내지 약 20 %, (c) 부틸화 페놀 약 0.01 내지 약 0.5 %, (d) 유비퀴논 약 0.01 내지 약 1 %, (e) 카르노신산 약 1 내지 약 5 %, 카르노졸 약 2 내지 약 7 % 및 로스마놀 약 0.1 내지 약 1 %가 함유된 로즈메리 추출물 약 0.0001 내지 약 1 %, 및 임의로는 (f) N-아세틸 시스테인 약 0.01 내지 약 20 %를 포함하는 조성물.
  38. 제37항에 있어서,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및 토코페롤 시스테아민, 및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
  39. 제37항에 있어서, 녹차 추출물, 베타 카로틴, 감마 오리자놀, 프로안토시아니딘, 및 이들의 임의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된 추가의 산화방지제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조성물.
KR10-1999-7007403A 1997-12-17 1998-12-16 신규한 산화방지제 혼합물 KR1004289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992,128 US6068848A (en) 1997-12-17 1997-12-17 Antioxidant mixture comprising tocopherol
US8/992,128 1997-12-17
US9/014,232 1998-01-27
US08/992,128 1998-01-27
US09/014,232 US6066327A (en) 1997-12-17 1998-01-27 Antioxidant mixture
US09/014,232 1998-01-27
PCT/US1998/026741 WO1999030682A1 (en) 1997-12-17 1998-12-16 Novel antioxidant mix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1115A KR20000071115A (ko) 2000-11-25
KR100428915B1 true KR100428915B1 (ko) 2004-04-28

Family

ID=26685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7403A KR100428915B1 (ko) 1997-12-17 1998-12-16 신규한 산화방지제 혼합물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6066327A (ko)
EP (1) EP0967969B1 (ko)
JP (1) JP2001508809A (ko)
KR (1) KR100428915B1 (ko)
AT (1) ATE276734T1 (ko)
AU (1) AU750480B2 (ko)
CA (1) CA2279897C (ko)
DE (1) DE69826443T2 (ko)
ES (1) ES2230739T3 (ko)
HK (1) HK1023946A1 (ko)
PT (1) PT967969E (ko)
WO (1) WO199903068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1803B1 (ko) * 2019-05-03 2020-01-03 김옥희 피부 보습 화장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화장품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88435B1 (fr) * 1999-01-15 2002-08-02 Oreal Utilisation d'un extrait d'un vegetal du genre rosmarinus dans des compositions destinees a traiter les signes cutanes du vieillissement
DE19903716A1 (de) * 1999-01-30 2000-08-03 Henkel Kgaa Antioxidative Hautpflegemittel
CA2362904A1 (en) * 1999-02-23 2000-08-31 Eric F. Bernstein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ing agents which prevent oxidative damage
GB9917729D0 (en) * 1999-07-28 1999-09-29 Boots Co Plc Hair care composition
GB9921238D0 (en) * 1999-09-09 1999-11-10 Boots Co Plc Skincare composition
US6521668B2 (en) * 1999-12-14 2003-02-18 Avon Products, Inc. Cosmetic composition and methods of use
KR20010060882A (ko) * 1999-12-28 2001-07-07 서경배 미백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US8753675B1 (en) * 2000-01-20 2014-06-17 Raj K. Chopra Reduced form of Coenzyme Q in high bioavailability stable dosage forms and related applications
DE10003786A1 (de) * 2000-01-28 2001-08-02 Merck Patent Gmbh Galenische Formulierung
DE10025558A1 (de) * 2000-05-24 2001-11-29 Merck Patent Gmbh Topische Zusammensetzung, enthaltend mindestens ein Aryloxim,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DE10025553A1 (de) * 2000-05-24 2001-11-29 Merck Patent Gmbh Zusammensetzung, enthaltend mindestens ein Aryloxim und mindestens einen Wirkstoff zur Behandlung von Akne und ihre Verwendung
FR2815863B1 (fr) * 2000-10-26 2003-02-28 Oreal Composition comprenant l'association d'au moins un extrait d'au moins un vegetal du genre rosmarinus et d'au moins un carotenoide
FR2815862B1 (fr) * 2000-10-26 2003-03-21 Oreal Composition comprenant l'association d'au moins un extrait d'au moins un vegetal du genre camellia et d'au moins un carotenoide
ATE445385T1 (de) * 2000-11-09 2009-10-15 Teikoku Seiyaku Kk Maske in tuchform
US7771735B2 (en) * 2000-12-22 2010-08-1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s with compositions for reducing irritation response
JP2002212054A (ja) * 2001-01-16 2002-07-31 Tsumura & Co 浴用剤組成物
DE10128818A1 (de) * 2001-06-15 2002-12-19 Beiersdorf Ag Verwendung von Wirkstoffkombinationen aus Ascorbinsäure und einem oder mehreren Biochinonen zur Herstellung angiogenetisch wirksamer topischer Zubereitungen
DE10128911A1 (de) * 2001-06-15 2002-12-19 Beiersdorf Ag Verwendung von Ascorbinsäure zur Herstellung angiogenetisch wirksamer topischer Zubereitungen
US6831191B2 (en) 2001-12-20 2004-12-14 Em Industries Photo stable organic sunscreen compounds with antioxidant properties and compositions obtained therefrom
US6602515B2 (en) * 2001-07-16 2003-08-05 Em Industries Photo stable organic sunscreen compounds with antioxidant properties and compositions obtained therefrom
US6849613B2 (en) 2001-08-29 2005-02-01 Kedar N. Prasad Multiple antioxidant micronutrients
US7449451B2 (en) * 2001-08-29 2008-11-11 Premier Micronutrient Corporation Use of multiple antioxidant micronutrients as systemic biological radioprotective agents against potential ionizing radiation risks
US6830746B2 (en) * 2001-09-21 2004-12-14 Playtex Products, Inc. Sunscreen compositions
JP3822479B2 (ja) * 2001-10-10 2006-09-20 株式会社カネカ 還元型補酵素q水溶液の安定化組成
US20030147972A1 (en) * 2002-02-05 2003-08-07 Christopher W. Denver Method and composition for diminishing loss of color in flavors and fragrances
US6699463B2 (en) 2002-04-10 2004-03-02 Em Industries Photostable cationic organic sunscreen compounds with antioxidant properties and compositions obtained therefrom
US6936735B2 (en) * 2002-08-27 2005-08-30 Emd Chemicals, Inc. Photostable cationic organic sunscreen compounds and compositions obtained therefrom
JP2004224742A (ja) * 2003-01-23 2004-08-12 Umeken:Kk 皮膚外用剤
EP1602286B1 (en) * 2003-03-11 2009-10-28 Kaneka Corporation Oil-in-water type emulsion containing coenzyme q10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RU2006101991A (ru) * 2003-06-25 2006-06-27 Чарлз ЭРВИН (US) Хим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и способ увеличения подачи кофермента q10
JP2005053842A (ja) * 2003-08-05 2005-03-03 Asahi Kasei Chemicals Corp 皮膚化粧料
US20060198800A1 (en) * 2003-08-14 2006-09-07 Natalie Dilallo Skin care compositions including hexapeptide complexes and methods of their manufacture
AU2005223551B2 (en) * 2004-03-19 2010-07-01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Anti-degradation agent
ATE499847T1 (de) * 2004-06-25 2011-03-15 Ferrosan As Zusammensetzungen, die sich für die behandlung von hautalterungssymptomen eignen
JP2006070016A (ja) * 2004-08-02 2006-03-16 Kaneka Corp 還元型補酵素qを含有する美白用組成物
JP4777738B2 (ja) * 2004-10-14 2011-09-21 株式会社 資生堂 Adam活性阻害物質によるしわの防止または改善
JP4546228B2 (ja) * 2004-12-02 2010-09-15 株式会社資生堂 経皮吸収促進用油性皮膚外用組成物
KR20070116631A (ko) * 2005-03-15 2007-12-10 네스텍소시에테아노님 비타민 c의 생체이용률을 조절하기 위한 영양 조성물
WO2007041230A2 (en) * 2005-09-30 2007-04-12 Omp, Inc. Stable ascorbic acid compositions
US20070134173A1 (en) * 2005-12-09 2007-06-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ersonal care compositions
US20070178058A1 (en) * 2006-02-02 2007-08-02 Ramirez Jose E Methods of using stable ascorbic acid compositions
US20070269534A1 (en) * 2006-02-02 2007-11-22 Ramirez Jose E Methods of treating skin to enhance therapeutic treatment thereof
CN101460185A (zh) * 2006-04-03 2009-06-17 雀巢产品技术援助有限公司 用于促进骨生长和维持骨健康的营养组合物及与其有关的方法
DE102006019044A1 (de) * 2006-04-25 2007-10-31 Merck Patent Gmbh Antioxidantien
WO2007148832A1 (ja) * 2006-06-23 2007-12-27 Ajinomoto Co., Inc. 亜鉛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美白剤
JP5552741B2 (ja) * 2006-06-23 2014-07-16 味の素株式会社 亜鉛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美白剤
DE102006038629A1 (de) * 2006-08-17 2008-02-21 Dr. Suwelack Skin & Health Care Ag Stabilisierte Wirkstoffzusammensetzung
US8691247B2 (en) 2006-12-26 2014-04-08 Ad Lunam Labs Inc. Skin rejuvenation cream
JPWO2009025372A1 (ja) * 2007-08-23 2010-11-25 株式会社カネカ 還元型補酵素q10含有組成物及びその安定化方法
FR2920299B1 (fr) * 2007-08-31 2012-06-15 Oreal Utilisation cosmetique d'une association synergique d'un derive phenanthrenaol et de palmitate d'ascrobyle a titre d'agent antioxydant
CA2749750C (en) * 2008-04-15 2014-01-28 Immanence Integrale Dermo Correction Inc. Skin care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WO2009127073A1 (de) * 2008-04-18 2009-10-22 Gen Sod2 Foundation Auf ein individuum abgestimmte kosmetikzubereitung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S9139737B1 (en) 2011-11-21 2015-09-22 Nanophase Technologies Corporation Multifunctional coated powders and high solids dispersions
US10499682B2 (en) 2014-08-25 2019-12-10 New Age Beverage Corporation Micronutrient formulation in electronic cigarettes
US10555892B1 (en) 2017-03-09 2020-02-11 Nanophase Technologies Corporation Functionalized siloxane or polysiloxane coated particles with enhanced light filtering properties
US10590278B2 (en) 2017-04-10 2020-03-17 Nanophase Technologies Corporation Coated powders having high photostabilit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7910A (ja) * 1984-07-19 1986-02-07 Kao Corp 化粧料
EP0659402A2 (en) * 1993-12-21 1995-06-28 INDENA S.p.A. Formulations containing carotenoids and procarotenoids combined with polyphenols in the prevention of the damages due to an abnormal production of free radical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18799A (en) * 1973-11-19 1977-04-19 Hoffmann-La Roche Inc. Antioxidant chroman compounds
US4003919A (en) * 1973-11-19 1977-01-18 Hoffmann-La Roche Inc. Antioxidant chroman compounds
US4026907A (en) * 1973-11-19 1977-05-31 Hoffmann-La Roche Inc. Antioxidant chroman compounds
US3903317A (en) * 1974-04-29 1975-09-02 Hoffmann La Roche Preservation of foodstuffs with synergistic antioxidant composition comprising ascorbic acid and 6-hydroxy-2,5,7,8-tetramethylchroman-2-carboxylic acid
EP0287646B1 (en) * 1986-10-23 1992-05-20 Arval S.P.A. Cosmetic preparations containing ubidecarenones
US5230916A (en) * 1991-01-07 1993-07-27 Kabi Pharmacia Ab Ascorbic acid complex having antioxidant function and improved solubility in lipid materials
CA2122923C (en) * 1991-11-25 1999-01-19 Roy L. Blank Compositions for regulating skin wrinkles and/or skin atrophy
US5376361A (en) * 1993-01-13 1994-12-27 Perricone; Nicholas V. Method and compositions for topical application to the skin for prevention and/or treatment of radiation-induced skin damage
WO1995003028A1 (en) * 1993-07-23 1995-02-02 Morris Herstein Cosmetic, skin-renewal stimulating composition with long-term irritation control
DE4429468C2 (de) * 1994-08-19 1998-07-09 Beiersdorf Ag Verwendung hydrophobierter anroganischer Pigmente zum Erhalt der Urocaninsäurestatus der Haut beim Baden
US5811083A (en) * 1996-03-26 1998-09-22 Estee Lauder, Inc. Tocopherol derivatives for use in cosmetic composition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7910A (ja) * 1984-07-19 1986-02-07 Kao Corp 化粧料
EP0659402A2 (en) * 1993-12-21 1995-06-28 INDENA S.p.A. Formulations containing carotenoids and procarotenoids combined with polyphenols in the prevention of the damages due to an abnormal production of free radical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1803B1 (ko) * 2019-05-03 2020-01-03 김옥희 피부 보습 화장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화장품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0226347A1 (ko) * 2019-05-03 2020-11-12 김옥희 피부 보습 화장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화장품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826443T2 (de) 2005-10-13
CA2279897C (en) 2005-03-29
EP0967969B1 (en) 2004-09-22
ATE276734T1 (de) 2004-10-15
AU750480B2 (en) 2002-07-18
AU1830199A (en) 1999-07-05
KR20000071115A (ko) 2000-11-25
CA2279897A1 (en) 1999-06-24
DE69826443D1 (de) 2004-10-28
EP0967969A1 (en) 2000-01-05
WO1999030682A1 (en) 1999-06-24
HK1023946A1 (en) 2000-09-29
JP2001508809A (ja) 2001-07-03
ES2230739T3 (es) 2005-05-01
PT967969E (pt) 2004-12-31
US6066327A (en) 2000-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8915B1 (ko) 신규한 산화방지제 혼합물
US6068848A (en) Antioxidant mixture comprising tocopherol
AU710889B2 (en) Skin tanning compositions and method
CA2204704A1 (en) Cosmetic composition with long chain unsaturated retinol fatty acid esters
US6436378B1 (en) Composition
JP2003514001A (ja) ヒヨコマメ抽出物とレチノイドを含む美容組成物
AU655790B2 (en) Novel compositions
AU2002360571B2 (en) Methods for improving the aesthetic appearance of skin
WO2007094200A1 (ja) 美白用の化粧料
JP2001002558A (ja) 美白化粧料
JPH07101844A (ja) 多層エマルジョン
US9572767B2 (en) Luminate hand cream
JP5627830B2 (ja) 皮膚外用剤
US20080233076A1 (en) Process for stabilizing ascorbic acid compositions
KR20030005258A (ko) 케라틴 물질의 화장용 처리에 있어서의 알콜디하이드로게나아제 저해제의 용도
EP1909918B1 (en) Skin lightening compositions
KR100347976B1 (ko) 페닐옥심 단편을 포함하는 화합물을 하나이상 함유하는,피부 및/또는 그의 표면적 신체성장부에의 국소적 적용을위한 조성물
JPH09175983A (ja) 皮膚外用剤
JPH072640A (ja) 紫外線障害防御外用剤
FR2820314A1 (fr) Utilisation d&#39;un complexe de photoprotecteurs cellulaires comme agent anti-pollution
KR100415430B1 (ko) 안정화시킨 l-아스코르브산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H0688965B2 (ja) 局所的薬剤
US20230346677A1 (en) Topical compositions containing vitamin c
AU2002250193B2 (en) Skin composition
JPH08231366A (ja) 皮膚外用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