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7974B1 - 소형 모터 및 모터 홀더 - Google Patents

소형 모터 및 모터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7974B1
KR100427974B1 KR10-2001-7014387A KR20017014387A KR100427974B1 KR 100427974 B1 KR100427974 B1 KR 100427974B1 KR 20017014387 A KR20017014387 A KR 20017014387A KR 100427974 B1 KR100427974 B1 KR 100427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holder
terminal
power supply
motor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4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12954A (ko
Inventor
스즈키도시오
구도미츠구
고가와다케시
모리타가즈오
Original Assignee
나미키 세이미츠 호오세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미키 세이미츠 호오세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나미키 세이미츠 호오세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112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29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7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79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3/00Structural associations of current collectors with motors or generators, e.g. brush mounting plates or connections to windings; Disposition of current collectors in motors or generators; Arrangements for improving commut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4Means for supporting or protecting brushes or brush holders
    • H02K5/143Means for supporting or protecting brushes or brush holders for cooperation with commutators
    • H02K5/145Fixedly supported brushes or brush holders, e.g. leaf or leaf-mounted brush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11/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measuring or protective devices or electric components
    • H02K2211/03Machines characterised by circuit boards, e.g. pcb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02K7/061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using rotary unbalanced ma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Motor Or Generator Current Collector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코어레스 모터(1)의 판스프링 형상의 급전 단자(43)를 내측을 향해서 위로 가도록 비스듬히 고정하고, 또, 모터 홀더(2)에는 삽입구(22)에서 내측을 향해서 올라가고 있는 경사면(23)을 설치한다. 이것에 의해, 코어레스 모터(1)가 모터 홀더(2)에 끼워 넣어졌을 때에, 급전 단자(43)는 경사면(23)의 외측으로 나오기 때문에, 코어레스 모터(1) 및 모터 홀더(2)가 휴대 통신 단말에 내장될 때에, 급전 단자(43)와 상측에 위치하는 회로 기판의 급전 회로는 납땜 등의 특별한 작업을 하지 않고 압접하여 도통한다.

Description

소형 모터 및 모터 홀더{Small-sized motor and motor holder}
최근, 포켓벨이나 휴대 전화 등의 휴대 통신 단말에 있어서는, 착신의 경우, 타인에게 폐를 끼치지 않은 무음 진동에 의한 호출 방식(바이브레이션·콜)이 주목되고 있고, 이것에 따라서 휴대 통신 단말의 호출용 진동원으로서 소형으로 적합한 극소 직경의 진동 모터의 개량이 진행되고 있다.
이 소형 모터의 일례로서는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하는 원통형의 소직경의 코어레스 모터(7)가 알려져 있다. 이 코어레스 모터(7)는 편심 분동(分銅)(5)을 주축의 회전축으로 회전시키는 자기 동력부(3)와, 그 동력부(3)측에 전력을 전달하는 급전부(8)로 구성되어 있다.
동력부(3)는 원통형상으로 감겨진 원통 코일(31), 원통 코일(31)의 중심을 관통하는 회전축(32) 및 원통 코일(31)을 회전축(32)에 고정하고, 또한 회전축(32)의 일단에 설치된 다수의 커뮤테이터를 주요부로 하는 정류자(34) 부분을 일체로 몰드 성형한 고정기구(33)로 이루어지는 상기 회전자부를 하우징 케이스(36) 중심부에 고정한 원통형상의 계자 자석(35)의 중심 구멍부에, 먼저 회전축(32) 부분을삽입 통과하고, 또한 동심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회전자의 원통 코일(31)이 계자 자석(35)을 내포하는 형으로, 대략 원통형의 하우징 케이스(36)의 내부에 양쪽이 극간을 통해서 수납됨으로써 주요부가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회전축(32)은 하우징 케이스(36)의 단부에 설치된 베어링(37) 및 다른쪽의 베어링(38)에 의해서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는 동시에, 스페이서(90)를 통해서 축 선단에 편심 분동(5)을 고정 지지하고 있다.
또, 급전부(8)는 하우징 케이스(36) 내직경 벽에 끼워 맞추는 수지제의 브러시대(81)와, 브러시대(81)에 서로 점대칭인 상태로 개방 단부가 대향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브러시(82, 82)와, 이들 한 쌍의 브러시(82, 82)의 도통부 단말을 각각 모터 제어용의 회로 기판 또는 전원부측에 접속하는 2개의 리드선(83)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한 쌍의 브러시(82, 82)의 사이에는 상기 회전축(32)의 일단측의 정류자(34) 부분이 브러시(82, 82)의 간극을 탄성 변형시키면서 넓힌 후, 끼워 넣어지고 있다.
즉, 코어레스 모터(7)는 회로 기판의 전원부로부터 리드선(83), 브러시(82…), 정류자(34)를 통해서 급전된 감겨진 원통 코일(31)에 발생한 자계와, 영구자석인 계자 자석(35)의 자계와의 사이에 생기는 자기 반발력 및 흡인력에 의해 상기 회전자측이 기동하여 회전하는 모터로, 회전축에 장착한 편심 분동(5)의 회전 운동에 따라서 중심 위치도 회전하기 때문에, 코어레스 모터(7) 자신이 진동을 발생한다.
그러나, 상술한 코어레스 모터(7)의 장착시에는, 통상 휴대 통신 단말 등의전자 기기의 본체(케이스)에 코어레스 모터(7)를 평면적인 쿠션 등, 혹은 기계적인 방법으로 모터 하우징 외직경부를 부품을 이용하여 고정한 후에, 전술한 회로 기판에 대해서 리드선(83)을 감은 후, 기판 단자부에 납땜, 혹은 리드선(83)의 선단에 전용의 커넥터 부품을 장착하고 나서, 기판측 소켓 부분에 끼워 넣어서 접속할 필요가 있었다.
따라서, 코어레스 모터(7)의 장착에는 휴대 단말 케이스측으로의 고정 및 리드선(83)의 납땜, 또는 선단 커넥터의 장착 처리와 그 삽입 접속이라고 하는 부가 작업 공정이 필요하였기 때문에, 휴대 단말 케이스로의 내장에 시간이 걸리고 있었다.
또, 코어레스 모터(7) 자신의 케이스측으로의 장착 구조, 형상 및 장착의 작업성의 문제, 또한 리드선(83)을 전술한 회로 기판에 장착하기 위한 배선 부분의 스페이스도 필요하였기 때문에, 휴대 전자 기기의 소형화와 조립의 간소화에는 불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휴대 통신 단말 등의 전자 기기의 호출용의 진동원으로서 적합하고, 또한 통신 단말 케이스 내로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전가 기기 전체의 소형화 및 조립의 용이성(자동화)에도 유리한 소형 모터 및 모터 홀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기기로의 장착과 내장을 용이하게 한 소형 모터 및 그것을 유지하는 모터 홀더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인 코어레스 모터(1)의 구성을 설명하는 상면 개략도,
도 2는 코어레스 모터(1)의 구성을 설명하는 정면 개략도,
도 3은 코어레스 모터(1)의 한 구성 요소인 급전부(4)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모터 홀더(2)의 구성을 설명하는 상면 개략도,
도 5는 모터 홀더(2)의 구성을 설명하는 정면 개략도,
도 6은 코어레스 모터(1) 및 모터 홀더(2)를 휴대 통신 단말(6)에 장착한 예를 설명하는 분해 사시 개략도,
도 7은 코어레스 모터(1)를 내부에 유지한 상태의 모터 홀더(2)를 설명하는 상면 개략도,
도 8은 코어레스 모터(1)를 내부에 유지한 상태의 모터 홀더(2)를 설명하는 정면 개략도,
도 9는 종래예인 코어레스 모터(7)의 구성을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회전축에 편심 분동을 장착한 소형 모터를 모터 홀더 내부에 갖고, 이 모터 홀더의 삽입구로부터 끼워 넣어서 유지된 상태에서 이용되는 휴대 통신 기기 단말용의 소형 모터에 있어서, 회로 기판 등의 외부로부터 모터에 전기를 급전하는 탄성을 갖는 급전 단자를 이 모터의 원통형상 하우징 케이스 외주에 배치하고, 또한 상기 급전 단자의 고정 단(端)이 원통형상 하우징 케이스의 일단측에 접속 고정되는 급전부의 외주단으로부터 원통 길이 방향의 중심 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모터 홀더에 끼워 넣어질 때에 상기 급전 단자의 개방단이 이 삽입구 단면의 외측으로 나오도록, 고정단을 상기 개방단보다 내측 내직경 방향으로, 또한 상기 삽입구측에 위치하도록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에 관한 소형 모터에 의하면, 상기 급전 단자의 고정단이 상기 개방단으로부터 축방향 일단측의 모터 홀더의 내측 내직경측의 상기 삽입구측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개방단이 충분히 외측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이 소형 모터가 상기 모터 홀더에 끼워 넣어질 때에, 상기 개방단은 그대로 상기 모터 홀더의 외측으로 나오고, 스프링성이 강해져서, 회로 기판측으로의 압접력이 증가한다.
또, 상기 개방단이 상기 모터 홀더의 삽입구 이외의 부분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상기 급전 단자는 탄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 소형 모터가 상기 모터 홀더에 끼워 넣어질 때에, 상기 급전 단자는 이 삽입구 단면(端面)으로부터 경사부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고정단의 간극은 외측으로 열리고, 따라서 상기 개방단은 상기 모터 홀더의 외측으로 나오고, 스프링성이 증가한다.
따라서, 전자 기기의 각 부품의 배치나 회로 기판의 회로 구성을 이 소형 모터의 급전 단자와 회로 기판 상의 급전 회로부가 조립에 의해, 소정의 위치에서 압접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이 소형 모터 및 모터 홀더와 회로 기판을 전자 기기의 상하 케이스에 끼워 넣어서 내장하는 것 만으로, 상기 급전 단자는 상기 급전 회로부와 용이하게 도통하기 때문에, 리드선의 감기나 납땜 등의 특별한 접속 작업을 할 필요는 없어진다.
또, 상기 급전 단자로서 예를 들면, 판스프링 형상의 금속편을 비스듬히 장착하면, 상기 고정단이 상기 모터 홀더의 삽입구 이외의 부분보다 내측으로 위치하고 있어도, 상기 급전 단자의 하면과 하우징 케이스 외직경의 간극 부분이 상기 삽입구측 단부에 의해 가압되면서 미끄러지기 때문에, 삽입 작업은 부드럽게 행해진다.
또, 상기 급전 단자의 개방단이 상기 고정단으로부터 상기 삽입구측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모터 홀더의 삽입 방향의 길이는 모터 전체 길이보다 짧고, 상기 소형 모터를 유지한 상태에서도 유지하지 않은 상태에 비해서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소형 모터의 설치에 필요한 길이 방향의 스페이스는 종래에 비해서 적게 되어, 전자 기기는 종래에 비해서 소형화할 수 있다.
또, 상기 급전 단자의 스프링성을 가진 개방단 접촉 부분이 모터 하우징의 일단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원통축 방향의 거의 중심에 위치하기 때문에, 기판과 케이스로 모터 홀더와 모터를 끼워 넣은 경우에는, 급전 단자의 접속 위치가 압축 방향의 모터 본체 중심 위치와 일치하여 케이스측으로의 모터의 고정이 안정한다.
또한, 이 발명에 관한 소형 모터는 예를 들면, 상기 급전 단자의 개방단의 외측에 상기 외부 기판과의 접촉압을 향상시키기 위한 돌기를 설치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상기 개방단과 급전 회로 등의 외부와의 접촉압은 더욱 향상되기 때문에, 상기 급전 단자의 외부 기판과의 접속 신뢰성도 향상한다.
또한, 이 발명은 예를 들면, 상기 급전 단자의 적어도 상기 개방단부측에, 상기 급전 단자의 접촉 저항을 저감시키기 위한 금도금이 행해져 있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 이 발명은 소형 모터를 끼워 넣은 개구한 삽입구와, 이 삽입구로부터 끼워 넣어진 상기 소형 모터를 유지하는 중공부를 구비한 모터 홀더에 있어서,
상기 소형 모터를 끼워 넣을 때, 이 소형 모터의 상기 급전 단자의 하측 내직경측에 부착하여 이 급전 단자를 상측 원주 방향 외직경측을 향하여 휘어지도록 할 수 있는 삽입부를 상기 삽입구 단면에 연결되는 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구비하고 있다.
이 발명에 의하면, 상기 삽입부는 소형 모터가 이 모터 홀더에 끼워 넣어졌을 때에, 상기 급전 단자를 상측 원주 방향 외직경측을 향해서 휘어지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소형 모터의 모터 홀더로서 적합한 모터 홀더를 제작할 수 있다.
이 발명에 관한 모터 홀더는, 상기 삽입부는 상기 측면의 일부이고, 또한, 상기 삽입부의 단면(端面)을 상기 급전 단자의 개방단보다 낮게 함으로써 형성되는 경사면인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상기 소형 모터의 급전 단자는 이 모터 홀더의 상기 삽입부의 외측으로 나오고 있기 때문에, 삽입구 단면 부분을 끼워 넣고, 상기 급전 단자는 전자 기기 내에 내장될 때에, 회로 기판 등에 의해서 탄성 변형하여 휘어진다.
즉, 상기 급전 단자와 이 회로 기판 상의 급전 회로 등의 외부 단자부의 접촉압은, 이 급전 단자의 스프링성 반발력과, 모터 홀더의 경사면을 이용하게 되기 때문에 압접력은 강해진다. 따라서, 상기 급전 단자의 외부와의 접속 신뢰성은 향상한다.
또, 이 발명에 관한 모터 홀더는 탄성 재료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이 소형 모터 및 모터 홀더와 회로 기판을 전자 기기의 케이스에 내장하여 서로 압접할 때에, 모터 홀더도 압박되어 회로 기판측에 반발하고, 이 반발력은 상기 급전 단자와 급전 회로 등의 외부 회로 기판과의 접촉압을 충분히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급전 단자의 외부와의 접속 신뢰성은 향상한다.
여기에서는, 상기 탄성 재료로서, 합성고무, 우레탄 등의 일반적인 수지가 있지만, 금형에 의한 프레스 성형 외에, 사출 성형으로 가능한 재질의 것이면 특별히 한정은 없고, 성형이 용이하고 전자 기기 부품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면 좋다.
또, 본 발명에 관한 모터 홀더는 절연 재료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서, 이 소형 모터 및 모터 홀더와 회로 기판을 전자 기기의 케이스에 내장하여 서로 압접할 때에, 상기 급전 단자가 이 소형 모터의 다른 부분과 도통할 가능성이 없어지기 때문에, 이 소형 모터의 절연 신뢰성은 향상한다.
또, 본 발명은 모터 홀더에 있어서, 이 모터 홀더에 유지된 상기 소형 모터의 상기 급전 단자가 하면 내직경측을 향해서 눌려 찌그러져서 휘어졌을 때에, 상기 개방단 돌기부 배면과 접하는 위치에, 상기 개방단을 상측 원주 방향 외직경측으로 밀어내는 볼록부(예를 들면, 정상부)를 설치하고 있다.
이 발명에 의하면, 이 소형 모터 및 모터 홀더와 회로 기판을 전자 기기의 케이스에 내장하여 서로 압접할 때에 걸리는 힘은 상기 볼록부에 집중하기 때문에, 상기 급전 단자의 외부와의 접속 신뢰성은 향상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인 코어레스 모터(1)및 모터 홀더(2)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코어레스 모터(1)의 구성을 설명하는 상면 개략도 및 정면 개략도이고, 도 3은 코어레스 모터(1)의 한 구성 요소인 급전부(4)의 부분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또 도 4 및 도 5는 각각 모터 홀더(2)의 구성을 설명하는 상면 개략도 및 정면 개략도이다.
또, 도 6은 코어레스 모터(1) 및 모터 홀더(2)를 휴대 통신 단말(6)이 케이스(본체)의 일부에 장착한 예를 설명하는 분해 사시 개략도이고, 도 7 및 도 8은 각각 코어레스 모터(1)를 내부에 유지한 상태의 모터 홀더(2)를 설명하는 상면 개략도 및 정면 개략도이다.
먼저, 코어레스 모터(1) 및 모터 홀더(2)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코어레스 모터(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편심 분동(5)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의 구조로서, 주로 동력부(3)와, 그 동력부(3)에 전력을 전달하는 급전부(4)로 구성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코어레스 모터(1)는 종래예인 코어레스 모터(7)와 개략 동일 부품 구성이지만, 상기 형상의 리드선을 이용한 급전부(8) 대신에 새롭게 급전부(4)의 단자 형상을 채용하고 있다.
즉, 이 급전부(4)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브러시대(41)와, 브러시대(41)에 서로 선대칭인 상태로 대향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브러시(42)와, 이들 2개의 브러시(42)를 각각 회로 기판에 접속하는 2개의 급전 단자(43)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한 쌍의 브러시(42)의 사이에는 회전자측의 회전축(32)의 일단측에 있는 정류자(34)가 2개의 브러시(42) 사이를 탄성 변형시키면서 끼워 넣어져서 구성되어 있다.
급전 단자(43)는 판스프링 형상의 금속판이 바람직하지만 봉형상의 것이어도 좋고, 그 표면은 접촉 저항을 저감시키기 위해 선단 부분에 금도금이 행해져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판스프링 형상의 급전 단자(43)의 개방단(43a)은 접촉하는 상면측에 구면(球面) 형상의 돌기(43b)를 갖는 동시에, 돌기(43b)를 설치한 개소 부근에서 하우징 케이스측을 향하여 절곡되어 있으며, 또, 고정단(43c)을 브러시대(41)의 측주면(41a)의 일부인 43c에 고정함으로써, 급전 단자(43)는 측주면(41a)으로부터 모터 본체 길이 방향 내측을 향해서 경사진 위쪽에 접속 부분에서 절곡되어, 케이스 원주 방향 외측으로 튀어 나와 있다.
이 급전 단자(43)의 설치 각도는 상세를 후술하는 경사면(23)의 경사각과 거의 동일하거나, 약간 넓은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한 개방단(43a)의 절곡부는 도 3에서는 측주면(41a)과 거의 평행하게 되어 있지만, 각도적으로는 접촉하는 회로 기판측에 단자 선단 부분이 예리하게 닿지 않도록 고려한 설계로 되어 있다. 또, 급전 단자(43)의 길이는 후술하는 작업에 의해 휴대 통신 단말(6)에 내장되었을 때에, 휴대 통신 단말(6) 내부의 회로 기판(63) 상의 급전 회로의 평면 단자부와 겹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 이 모터(1)를 유지하는 모터 홀더(2)는 예를 들면, 절연성 고무 등의 절연성을 갖는 탄성재로 제작되어 있고,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코어레스 모터(1)를 받아들여서 외주부 전체를 유지하기 위한 중공부(21)와, 코어레스 모터(1)를 중공부(21)에 끼워 넣기 위한 개구한 삽입구(22)와, 코어레스 모터(1)가 끼워 넣어졌을 때에 급전 단자(43)를 모터 홀더(2) 외부와 구분하여 노출시키기 위한 경사면(23)과, 코어레스 모터(1)의 회전축(32)의 선단을 모터 홀더(2)의 외부에 돌출시키기 위한 개구부(25)를 구비하고 있다.
이 중공부(21) 내직경측은 코어레스 모터(1)를 튼튼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코어레스 모터(1)의 하우징 케이스(36)의 외형과 개략 동일 치수 형상을 하고 있다.
또 경사면(23)은 삽입구(22)로부터 길이 방향 중앙의 모터 홀더 외주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그 정상부(24)(볼록부)는 모터 홀더(2)의 기판과의 접촉면에서 가장 정상부에 위치하며, 또한 코어레스 모터(1)가 모터 홀더(2)에 유지된 상태에서 급전 단자의 돌기(43b)가 본체인 케이스와 회로 기판으로 끼워져서 가압된 경우에, 평면 회로 단자부에 이 돌기(43b)가 겹쳐지도록 설계되어 있다.
다음에, 코어레스 모터(1) 및 모터 홀더(2)의 사용 방법 및 기능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코어레스 모터(1)를 도 6에 개략을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심선 상을 향해서 맞추어 모터 홀더(2) 가운데에 끼워 넣는다.
여기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급전 단자(43)의 설계 각도는 경사면(23)의 경사각과 거의 같거나, 약간 큰 각도로 절곡되어 있고, 급전 단자(43)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코어레스 모터(1)가 모터 홀더(2)에 끼워 넣어질 때에 경사면(23)의 외측으로 돌출한다.
또, 편심 분동(5)은 코어레스 모터(1)의 본체를 모터 홀더(2)에 끼워 넣은 후에, 개구부(25)로부터 튀어 나온 회전축(32)에 고정하는 경우도 있지만, 작업성 향상을 위한 본 발명에서는 편심 분동(5)이 코킹된 모터를 개구부(25)에 연결되는절결부(26)를 설치한 모터 홀더(2)의 탄성 변형한 개구부에 삽입함으로써, 편심 분동이 부착된 코어레스 모터(2)는 모터 홀더(2)에 용이하게 끼워 넣어져서 유지된다.
그 후, 코어레스 모터(1) 및 모터 홀더(2)를 통상은 휴대 전화나 페이저 등의 휴대 통신 단말(6)의 하부 케이스(61)의 내벽의 일부에 설치된 박스형상의 고정부(61a)에 끼워 넣어서 고정한다. 또한, 회로 기판(63)을 하부 케이스(61) 혹은 상부 케이스(62)에 고정한 후, 하부 케이스(61)와 상부 케이스(62)를 조합하여 하나의 휴대 기기용의 케이스로 한다. 여기에서, 회로 기판(63)의 위치는 회로 기판(63)의 하면측 회로 도통부와 모터 홀더(2)의 상면측의 급전 단자(43)가 정극, 음극에서 접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 때, 전술한 바와 같이, 급전 단자(43)의 길이는 휴대 통신 단말(6)에 끼워 넣어졌을 때에 회로 기판(63) 상의 급전 회로와 겹치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납땜 등의 특별한 접속 작업을 행하지 않고 회로 기판(63) 상의 급전 회로와 급전 단자(43)는 접속된다. 이 때, 모터 홀더(2)는 절연성 재료이기 때문에, 코어레스 모터(1)의 다른 개소와 상기한 급전 회로가 접촉하여 도통하는 경우는 없다.
또, 급전 단자(43)는 판스프링 형상이고, 또한, 돌기(43b)를 설치하고 있으며, 또한 접촉 부분에 금도금을 행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한 급전 회로와 급전 단자(43)의 접속 저항은 저감한다. 또, 모터 홀더(2)의 경사면(23)의 정상부(24) 부분은 외부 기판과 면접촉하는 가운데 가장 외측에 위치하고, 또한, 급전 단자(43)가 휘어진 경우에도,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기(43b) 부분과 배치적으로 겹쳐지도록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한 급전 회로와 급전 단자(43)의 접촉압, 즉 접속 신뢰성은 더욱 향상한다.
또한, 모터 홀더(2)는 탄성을 갖고 있고, 또한, 회로 기판(63)의 급전 회로면과 모터 홀더(2)의 정상부(24)의 상면측은 접하기 때문에, 모터 홀더(2)는 회로 기판측에 항상 반발하고 있고, 사이에 끼워진 급전 단자(43)의 스프링성 탄성력을 항상 보상한다.
따라서, 급전 단자(43)의 스프링성 반발력이 저하하였을 때에도 상기한 급전 회로와 급전 단자(43)의 접촉압은 저하하기 어렵기 때문에, 낙하에 의한 충격 등에 대해서도 접속의 신뢰성은 유지할 수 있다.
또, 급전 단자(43)는 급전부(4)측에서 코어레스 모터(1)의 원통축 방향 중심을 향하여 원주 방향으로 튀어 나와 있기 때문에, 코어레스 모터(1)의 본체인 케이스 내 설치에 필요한 스페이스는 종래의 리드선의 배선 부분, 즉 축방향 감기 부분의 스페이스는 확실하게 종래품에 비해서 적어진다. 따라서, 휴대 통신 단말(6)은 설계 상, 종래에 비해서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코어레스 모터(1)가 편심 분동(5)의 회전 운동에 따라서 크게 진동해도, 모터는 모터 홀더(2)를 통해서 하부 케이스(61)와 항상 접하고 있기 때문에, 진동을 하부 케이스(61)측에 전할 뿐, 스프링성이 있는 급전 단자(43)는 모터 본체의 진동을 회로 기판(63)측에는 거의 전하지 않고, 그 때문에 회로 기판의 채터·뒤틀림 등에 의한 이음·소음을 발생하지 않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인 코어레스 모터(1) 및 모터 홀더(2)에 의하면, 코어레스 모터(1)의 판스프링 형상의 급전 단자(43)를 원통축 방향 내측을 향해서 외주 방향 외측으로 튀어 나오도록 비스듬히 고정하고, 또, 모터 홀더(2)에는 삽입구(22)로부터 중앙 외주측을 향해서 올라가고 있는 경사면(23)을 설치하였기 때문에, 코어레스 모터(1)가 모터 홀더(2)에 끼워 넣어질 때에, 급전 단자(43)는 모터 홀더(2)의 외측으로 튀어 나온다.
이 때문에, 코어레스 모터(1) 및 모터 홀더(2)가 휴대 통신 단말(6)에 내장될 때에, 급전 단자(43)와 대면 방향에 위치하는 회로 기판(63)의 급전 회로는 납땜 등의 특별한 작업을 하지 않고 압접하여 도통할 수 있다. 또, 급전 단자(43)에는 접속부에 돌기(43b)를 설치하고, 또, 모터 홀더(2)의 경사면(23)의 정상부(24)는 대향하는 회로 기판의 평면부에 대해서 모터 홀더(2)의 받침면 외의 개소보다도 가장 높게 외측으로 튀어 나오고 있고, 또한 모터 홀더(2)는 탄성재이기 때문에, 급전 단자(43)는 상측 외측을 향해서 반발하는 힘이 증가하여, 급전 단자(43)와 상기한 급전회로의 접촉압은 향상한다. 또한, 급전 단자(43)는 금도금이 행해져 있기 때문에, 그 접촉 저항은 저감하고, 도통의 신뢰성은 향상한다.
따라서, 코어레스 모터(1) 및 모터 홀더(2)의 장착은 종래에 비해서 용이하게 되는 동시에, 그 접속 신뢰성도 충분히 확보된다. 또, 급전 단자(43)는 원통 코어레스 모터(1)의 급전부(4)로부터 축방향 내측을 향해서 외주 방향 외측으로 튀어 나오고 있고, 코어레스 모터(1)의 설치에 필요한 스페이스는 급전 단자(43)가 스프링성을 갖는 박판형상의 형상이기 때문에, 케이스에 세트한 상태에서는 모터 홀더(2) 외직경 치수와 거의 동일하여 변화하지 않고, 종래 리드선의 부착에 비해서 길이 치수가 없어서, 적어지기 때문에, 휴대 통신 단말(6) 전체로서는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편심 분동(5)의 회전 운동에 따라서 모터 본체가 진동해도, 모터 홀더(2)를 통해서 휴대 전자 기기의 하부 케이스(61)와 접하고 있기 때문에, 회로 기판의 어긋남 등도 없고, 진동을 하부 케이스(61)에 전할 뿐 소음을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발명의 취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로 변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관한 소형 모터는 코어레스 모터에 한정되지 않고, 코어드 모터에도 당연히 응용할 수 있으며, 또, 그 용도는 휴대 통신 단말의 진동원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편심 분동 대신에 톱니바퀴 등의 감속 기구, 혹은 날개바퀴 등의 로터핀을 장착함으로서, 임의의 장치의 구동력원으로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예를 들면, 생산성의 편차로, 급전 단자(43)의 설치 각도가 경사면(23)의 경사각보다 작게 되고, 급전 단자(43)의 양단부의 고저차가 적어도, 경사면(23)의 측부이고 삽입구(22)의 일부인 측단부(23a)의 두께가 도 2에 도시하는 43d의 높이 치수보다 크면, 코어레스 모터(1)가 모터 홀더(2) 가운데에 끼워 넣어졌을 때에, 급전 단자(43)는 측단부(23a)에 가압됨으로써 외측으로 열리기 때문에, 상기한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안정하게 얻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고정단이 충분히 외측으로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이 소형 모터가 상기 모터 홀더에 끼워 넣어질 때에, 상기 고정단은 그대로 상기 모터 홀더의 외측으로 나온다. 또, 상기 고정단이 상기 모터 홀더의 삽입구 이외의 부분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상기 급전 단자는 탄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 소형 모터가 상기 모터 홀더에 끼워 넣어질 때에, 상기 급전 단자는 이 삽입구 단면에 가압됨으로써 외측으로 열리고, 상기 고정단은 상기 모터 홀더의 외측으로 나온다.
따라서, 전자 기기의 각 부품의 배치나 회로 기판의 회로 구성을 이 소형 모터의 급전 단자와 회로 기판 상에 급전 회로가 압접하도록 설계함으로서, 이 소형 모터 및 모터 홀더와 회로 기판을 휴대 전자 기기의 케이스에 내장하는 것 만으로, 상기 급전 단자는 상기 급전 회로와 도통한다.
또, 상기 모터 홀더의 삽입 방향의 길이는, 상기 소형 모터를 유지한 상태에 있어서도 유지하지 않은 상태에 비해서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이 소형 모터의 설치에 필요한 스페이스는 종래에 비해서 적어진다. 따라서 장착은 용이하고, 또한 휴대 전자 기기를 종래에 비해서 소형화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개방단과 급전 회로 등의 외부와의 접촉압은 향상하기 때문에, 상기 급전 단자의 외부와의 접속 신뢰성은 향상한다. 또한, 상기 급전 단자의 접촉 저항은 저하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소형 모터의 모터 홀더로서 적합한 모터 홀더를 제작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급전 단자와 이 회로 기판 상의 급전 회로 등의 외부와의 접촉압은 이 급전 단자의 반발력을 이용함으로써 높아지기 때문에, 상기 급전 단자의 외부와의 접속 신뢰성은 향상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급전단자와 이 회로 기판 상의 급전 회로 등의 외부와의 접촉압은 상기 모터 홀더의 반발력을 이용하게 되기 때문에, 상기 급전 단자의 외부와의 접속 신뢰성은 향상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이 소형 모터 및 모터 홀더와 회로 기판을 전자 기기의 케이스에 내장하여 서로 압접할 때에, 상기 급전 단자가 이 소형 모터의 다른 부분과 도통할 가능성은 없기 때문에, 이 소형 모터의 절연 신뢰성은 향상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이 소형 모터 및 모터 홀더와 회로 기판을 전자 기기의 케이스에 내장하여 서로 압접할 때에 걸리는 힘은 상기 볼록부에 집중하기 때문에, 상기 급전 단자의 외부와의 접속 신뢰성은 향상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소형 모터 및 모터 홀더는 휴대 통신 기기 단말 등의 소형화 및 각 부품의 스페이스 절약화를 요구하고 있는 휴대 전자 기기 등의 호출용의 진동원으로서 적합하다.

Claims (8)

  1. 회전축에 편심 분동을 장착한 소형 모터를 모터 홀더 내부에 갖고, 이 모터 홀더의 삽입구로부터 끼워 넣어져서 유지된 상태에서 이용되는 휴대 통신 기기 단말용의 소형 모터에 있어서,
    회로 기판 등의 외부로부터 모터에 전기를 급전하는 탄성을 갖는 급전 단자를 이 모터의 원통형상 하우징 케이스 외주에 배치하고, 또한 상기 급전 단자의 고정단이 원통형상 하우징 케이스의 일단측에 접속 고정되는 급전부의 외주단으로부터 원통 길이 방향의 중심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모터 홀더에 끼워 넣어질 때에 상기 급전 단자의 개방단이 이 삽입구 단면의 외측으로 나오도록 고정단을 상기 개방단보다 내측 내직경 방향으로, 또한 상기 삽입구측에 위치하도록 장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모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 단자의 개방단의 접촉면 외측에, 상기 외부 기판과의 접촉압을 향상시키기 위한 돌기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모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 단자의 적어도 상기 개방 단부측에 상기 급전 단자의 접촉 저항을 저감시키기 위한 금도금이 행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모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소형 모터를 끼워 넣은 삽입구와, 이 삽입구에서 끼워 넣어진 상기 소형 모터를 유지하는 중공부를 구비한 모터 홀더에 있어서,
    상기 소형 모터를 끼워 넣을 때에, 상기 모터의 상기 급전 단자의 하면 내직경측에 부착하여 이 급전 단자를 상면 원주 방향 외직경측을 향하여 휘어지게 하는 삽입부를, 상기 삽입구 단면에 연결되는 홀더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홀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측면의 일부이고, 또한 상기 삽입부의 단면을 상기 급전 단자의 개방단보다 낮게 함으로써 형성되는 경사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홀더.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홀더는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홀더.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홀더는 절연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홀더.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홀더에 유지된 상기 소형 모터의 상기 급전 단자가 내직경 방향 내측을 향해서 휘어졌을 때에, 상기 개방단과 접하는 부분에 상기 개방단을 원주 방향 외직경측으로 밀어내는 볼록부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홀더.
KR10-2001-7014387A 1999-05-12 2000-05-12 소형 모터 및 모터 홀더 KR1004279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1999-00132035 1999-05-12
JP11132035A JP2000324763A (ja) 1999-05-12 1999-05-12 小型モータおよびモータホル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2954A KR20010112954A (ko) 2001-12-22
KR100427974B1 true KR100427974B1 (ko) 2004-04-28

Family

ID=15071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4387A KR100427974B1 (ko) 1999-05-12 2000-05-12 소형 모터 및 모터 홀더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1193841A4 (ko)
JP (1) JP2000324763A (ko)
KR (1) KR100427974B1 (ko)
WO (1) WO20000707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18203B2 (ja) * 2003-04-14 2009-08-19 株式会社ショーワ 電動モータ
JP4307892B2 (ja) 2003-04-14 2009-08-05 株式会社ショーワ 電動モータ
JP4651973B2 (ja) * 2004-06-02 2011-03-16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モータホルダ及び振動モータ組立体
TW200620788A (en) * 2004-08-10 2006-06-16 Namiki Precision Jewel Co Ltd Surface mounting type vibration motor and mounting structure
DE102005052722B3 (de) * 2005-11-04 2007-05-24 Siemens Ag Bürstensystem für einen Kraftfahrzeug-Stellantrieb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92307A (en) * 1986-11-14 1988-12-20 United Technologies Electro Systems, Inc. Electrical contact and terminal assembly
JP2736023B2 (ja) * 1994-12-27 1998-04-02 ユニデン株式会社 バイブレータ取付構造、バイブレータ取付用保持具、および、バイブレータ取付方法
JPH08308170A (ja) * 1995-05-10 1996-11-22 Namiki Precision Jewel Co Ltd 小型モータ用端子
US5835006A (en) * 1996-05-22 1998-11-10 Moorola, Inc. Vibrator assembly
JPH10117460A (ja) * 1996-10-09 1998-05-06 Hosiden Corp 振動モータ
JPH10304637A (ja) * 1997-04-23 1998-11-13 Optec Dai Ichi Denko Co Ltd 円筒形モータ
JP3305241B2 (ja) * 1997-10-30 2002-07-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小型モータ
JP3299924B2 (ja) * 1997-10-30 2002-07-08 シーアイ化成株式会社 携帯無線機器における振動発生装置とプリント配線基板との電気的接続構造
JP2000078790A (ja) * 1998-08-28 2000-03-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磁振動体及びそれを用いた電池駆動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324763A (ja) 2000-11-24
EP1193841A4 (en) 2003-05-07
KR20010112954A (ko) 2001-12-22
WO2000070726A1 (fr) 2000-11-23
EP1193841A1 (en) 2002-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46122B2 (en) Fixing holder fo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US7224090B2 (en) Surface-mountable linear vibrator
US6954015B2 (en) Motor
KR100583932B1 (ko) 소형 모터, 소형 진동 모터 및 휴대용 정보기기
KR100427974B1 (ko) 소형 모터 및 모터 홀더
JP3152650B2 (ja) 超小型ブラシモータにおけるスプリング導電体、スプリング導電体を取り付けるエンドプレート、およびエンドプレート組立体、並びに振動発生装置
JP2002044904A (ja) 小型モータ
US6930419B1 (en) Bar type vibration motor
US7525225B2 (en) Vibration generating motor
KR20030051292A (ko) 모터
KR100363735B1 (ko) 초소형모터,휴대기기용초소형진동모터및정보전달장치
TW521476B (en) Motor
KR101072076B1 (ko) 편평형 진동모터
KR20100083338A (ko) 모터
KR100541100B1 (ko) 조립성이 용이한 전원공급부를 구비하는 진동모터
JP2004160315A (ja) 振動発生用小型モータ
CN211239584U (zh) 一种安装方便的微型扁平马达
JP2002096025A (ja) 振動発生用小型モータおよびそれを搭載した携帯電子機器
JP2001178073A (ja) 小型振動モータ
JP2001252619A (ja) 小型振動モータ及びその組立方法
JP2002176745A (ja) 電磁振動体及び携帯端末機
JP4866987B2 (ja) 振動発生装置の携帯端末機器への実装構造
JP2004173430A (ja) 超小型振動モータにおけるスプリング導電体、および超小型振動モータ用ゴムホルダー、ならびに超小型振動モータ組立体
KR20050081317A (ko) 바타입 진동모터
JPH11285097A (ja) エレクトレットコンデンサマイクロホ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