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7314B1 - 프론트 스트러트 장착장치 - Google Patents

프론트 스트러트 장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7314B1
KR100427314B1 KR10-2001-0039738A KR20010039738A KR100427314B1 KR 100427314 B1 KR100427314 B1 KR 100427314B1 KR 20010039738 A KR20010039738 A KR 20010039738A KR 100427314 B1 KR100427314 B1 KR 100427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er arm
strut
cylinder
coupled
front str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9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3886A (ko
Inventor
우동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39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7314B1/ko
Publication of KR20030003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38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7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73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4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B60G15/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 B60G15/067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of the spring and damper unit
    • B60G15/068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of the spring and damp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MacPherson strut-type susp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론트 스트러트 장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 구조물에 레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포스트부재와, 포스트부재에 실린더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로더암과, 로더암의 선단부에 결합되어 스트러트를 고정 및 해제시킬 수 있는 포켓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프론트 스트러트 장착장치{MOUNTING DEVICE OF FRONT STRUT}
본 발명은 프론트 스트러트 장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하 이동이 자유로운 로더암에 스트러트를 회전가능하도록 장착함으로써, 다차종 대응이 가능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프론트 스트러트 장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트러트 어셈블리는 엔진룸의 차체패널에 인슐레이터를 볼트로 체결하여 차체를 지지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프론트 스트러트 장착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프론트 스트러트 장착로더(1)는 상부구조물(미도시)에 레일(2)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실린더(3)에 의하여 상하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포스트부재(4)와, 상기 포스트부재(4)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레버(5) 동작에 의하여 상하 작동가능한 로더암(6)과, 상기 로더암(6)의 선단에 결합되어 스트러트 어셈블리(7)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8)를 구비한다.
이러한 프론트 스트러트 장착로더(1)의 로더암(6)을 레버(5) 동작에 의하여 차체패널에 인슐레이터를 볼트체결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프론트 스트러트 장착로더(1)의 고정부재(8)는 인슐레이터가 회전이 용이하면 차량에 장착이 용이한 반면, 그 고정시에는 스트러트(7)를 차량에 장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차종의 종류에 관계없이 스트러트 장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프런트 스트러트 장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프론트 스트러트 장착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스트러트 장착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포스트부재 11...트롤리
13...레일 15...브라켓
17...실린더 20...로더암
30...포켓부재 31...설치홀
33...베어링 35...스트러트
39...레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프런트 스트러트 장착장치는, 상부 구조물에 레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포스트부재; 상기 포스트부재에 실린더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로더암; 및 상기 로더암의 선단부에 결합되어 스트러트가 삽입되는 설치홀이 마련되고, 그 일측에는 실린더가 장착되어, 상기 실린더의 로드가 상기 설치홀에 삽입된 스트러트를 선택적으로 규제하여, 상기 스트러트를 고정 및 해제시킬 수 있는 포켓부재; 및 상기 로더암에 장착되며 작업자의 파지 가능한 파지부가 마련되어 상기 로더암을 상하 이동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실린더를 상하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로딩지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프런트 스트러트 장착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스트러트 장착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론트 스트러트 장착장치(100)는 포스트부재(10)와, 상기 포스트부재(10)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로더암(20)과, 상기 로더암(20)의 선단부에 결합된 포켓부재(30)를 구비한다.
상기 포스트부재(10)의 일단에는 트롤리(11)가 결합된다. 상기 포스트부재 (10)는 트롤리(11)를 이용하여 상부 구조물(미도시)에 설치된 레일(13)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포스트부재(10)의 타단에는 로더암(20)이 결합된다.
상기 로더암(20)의 일단은 포스트부재(10)에 힌지결합되고, 그 타단에는 포켓부재(30)가 설치된다. 한편 전술한 포스트부재(10)에는 브라켓(15)에 의하여 실린더(17)가 결합되고, 그 실린더(17)의 로드(19)는 링크부재(12)가 결합되며, 이러한 링크부재(12)는 로더암(20)과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로더암(20)은 실린더(17) 작동에 의하여 상하이동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로더암(20) 일측에는 로딩지그(21)가 설치되어, 로딩지그(21)를 파지하여 이동시킴에 의하여 실린더(17)의 상하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로더암(20)의 타단에는 포켓부재(30)가 결합된다. 참조번호 23은 작업자의 파지가능한 파지부를 말하는 것으로 파지부의 파지로서 로더암을 상하 이동가능하도록 하여 실린더를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포켓부재(30)는 로더암(20)의 선단에 형성된 설치홀(31)에 결합된다. 상기 설치홀(31)과 포켓부재(20)의 사이에는 베어링(33)이 설치되어, 포켓부재(30)가 로더암(20)에 자유롭게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포켓부재(30)에는 스트러트(35)가 안착된다. 상기 포켓부재(30)는 로더암(20)에 설치된 실린더(37)에 의하여 죔작용 및 풀림작용을 한다. 참조번호 39는 상기 실린더(37)를 작동하는 레버부재이다. 따라서 포켓부재(30)에 스트러트(35)가 안착되면, 레버부재(39)를 조작하여 실린더(37)를 작동시켜 포켓부재(30)의 죔작용에 의하여 스트러트(35)를 고정한다.
따라서, 상기 스트러트(35)는 실린더(17)에 의하여 상하로 자유롭게 움직이는 로더암(20)에 설치됨으로써 상하 설치위치의 제약이 없으며, 스트러트(35)가 설치되는 로더암(20)의 베어링(33)으로 회전이 자유로움으로써 장착이 원활한 구조를 갖는다.
이상,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과 균등한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예 또는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이어지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론트 스트러트 장착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실린더 작용에 의하여 상하 이동이 가능한 로더암에 스트러트를 설치하고, 상기 로더암에 스트러트를 베어링을 이용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장착함으로써, 그 설치가 자유롭다.

Claims (3)

  1. 상부 구조물에 레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포스트부재;
    상기 포스트부재에 실린더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로더암; 및
    상기 로더암의 선단부에 결합되어 스트러트가 삽입되는 설치홀이 마련되고, 그 일측에는 실린더가 장착되어, 상기 실린더의 로드가 상기 설치홀에 삽입된 스트러트를 선택적으로 규제하여, 상기 스트러트를 고정 및 해제시킬 수 있는 포켓부재; 및
    상기 로더암에 장착되며 작업자의 파지 가능한 파지부가 마련되어 상기 로더암을 상하 이동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실린더를 상하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로딩지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 스트러트 장착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01-0039738A 2001-07-04 2001-07-04 프론트 스트러트 장착장치 KR100427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9738A KR100427314B1 (ko) 2001-07-04 2001-07-04 프론트 스트러트 장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9738A KR100427314B1 (ko) 2001-07-04 2001-07-04 프론트 스트러트 장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3886A KR20030003886A (ko) 2003-01-14
KR100427314B1 true KR100427314B1 (ko) 2004-04-17

Family

ID=27713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9738A KR100427314B1 (ko) 2001-07-04 2001-07-04 프론트 스트러트 장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73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1937B1 (ko) 2007-11-15 2013-05-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스트럿 어셈블리 장착용 로더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41375A (ja) * 1988-07-29 1990-05-30 Mazda Motor Corp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組立装置、組立用パレットおよび組立方法
JPH04314679A (ja) * 1991-04-12 1992-11-05 Mitsubishi Motors Corp ストラット位置決め装置
KR19980029433U (ko) * 1996-11-27 1998-08-17 양재신 프론트 스트러트 조립체의 마운팅 지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41375A (ja) * 1988-07-29 1990-05-30 Mazda Motor Corp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組立装置、組立用パレットおよび組立方法
JPH04314679A (ja) * 1991-04-12 1992-11-05 Mitsubishi Motors Corp ストラット位置決め装置
KR19980029433U (ko) * 1996-11-27 1998-08-17 양재신 프론트 스트러트 조립체의 마운팅 지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1937B1 (ko) 2007-11-15 2013-05-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스트럿 어셈블리 장착용 로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3886A (ko) 2003-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62781A1 (en) Arm Support Device
KR20100048168A (ko) 차량용 엔진후드 힌지기구
KR100427314B1 (ko) 프론트 스트러트 장착장치
DE50105696D1 (de) Apparate-haltevorrichtung
GB2412908A (en) Measuring device
JPH10156748A (ja) マニピュレ−タ操作用コッタピン取り付け工具
AU2001233817A1 (en) Loader
PT1362824E (pt) Veiculo de levantamento com um braco telescopico de levantamento
JP3748949B2 (ja) 遮断機
JP4220051B2 (ja) 作業車の折り畳みガード
JP2003060368A5 (ko)
JP2595204Y2 (ja) パワーショベル用掴みフォーク装置
EP0945569A3 (en) Flexible connection device for panelings, particularly for metallic panels for fencings
KR100410835B1 (ko) 자동차의 후드패널 고정용 힌지 조립체
JP2008271683A (ja) 分電盤の内機保持構造
KR100410852B1 (ko) 자동차용 엔진후드의 지지장치
KR0183311B1 (ko) 자동차용 칵핏 프레임 지그 고정구조
JP3026211U (ja) 開閉式コンピュータ・ケース
KR200400149Y1 (ko) 이젤용 화판 상측 고정클립
JP2528947Y2 (ja) 挟持解体装置
JP3885179B2 (ja) コンクリートポンプ車のデッキ装置
KR20220118003A (ko) 차량용 본넷 개폐장치
KR19980044539U (ko) 도어 힌지핀 이탈방지용 스프링 와셔 장착공구
JP2001294037A (ja) 建設機械のレインリフレクタ取付装置
KR200142560Y1 (ko) 자동차용 후드 힌지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