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3490B1 - 현상기 장착 감지기능을 가지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 Google Patents

현상기 장착 감지기능을 가지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3490B1
KR100423490B1 KR10-2001-0073958A KR20010073958A KR100423490B1 KR 100423490 B1 KR100423490 B1 KR 100423490B1 KR 20010073958 A KR20010073958 A KR 20010073958A KR 100423490 B1 KR100423490 B1 KR 1004234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member
light
optical path
developing unit
develo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3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3002A (ko
Inventor
김우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73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3490B1/ko
Publication of KR20030043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30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3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34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Mechanical Optical Scanning Systems (AREA)

Abstract

광주사장치에 구비된 기존의 광검출센서를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감지장치가 설치되지 않고도 현상기의 착탈을 감지할 수 있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인쇄기(30)는, 광원(41)으로부터 생성된후 출사된 광을 감지하는 광검출센서(49)를 가지는 광주사장치(40)와, 인쇄기 본체(3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현상기(35) 및 현상기(35)의 착탈에 따라 광원(41)과 광검출센서(49)를 연결하는 광경로를 선택적으로 차단 또는 연결하는 광경로차단장치(50,60)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광주사장치(40)에 설치된 기존의 광검출센서(41)로 광주사장치(40)의 광원(41)의 오작동여부와 현상기(35)의 장착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현상기 장착 감지기능을 가지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 Electrophotographic printer having function of detecting installation of developing device }
본 발명은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현상기의 장착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전자사진방식 인쇄기는 감광드럼, 광주사장치 및 현상기 등을 구비한다. 상기 광주사장치는 화상데이터 신호에 따라 상기 광감드럼으로 광을 주사하여 감광드럼에 정전잠상을 형성시킨다. 상기 현상기는 상기 감광드럼의 정전잠상을 현상하며, 인쇄기 본체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인쇄기는 상기 현상기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인쇄기가 구동됨에 따라 수반되는 고장 등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현상기의 장착여부를 감지하는 현상기 장착 감지장치를 더 구비한다.
도 1은 종래의 현상기 장착감지장치를 구비한 인쇄기(10)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서, 종래의 감지장치(20)는 현상기(15)의 착탈에 따라 회동되는 회동부재(21)와, 그 회동부재(21)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검출정보를 제어부(미도시)로 출력하는 광검출센서(22)를 포함한다. 이외에도,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감지장치(20)는 광검출센서(22) 대신 회동부재(21)와 직접 접촉됨으로써 그 접점이 차폐되는 리미트 스위치(limit switch)등의 부품으로 구성되기도 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현상기(15)의 장착감지를 위해 광검출센서(22) 또는 리미트 스위치 등의 감지장치(20)를 더 설치해야 하고, 그 설치에 따라 제어부와 감지장치(20)를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등 부품수와 제조공정이 추가된다. 이에 따라 제품의 제조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보다 적은 부품으로 저렴하게 현상기의 착탈감지 기능을 가지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2의 광주사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4의 광주사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30 : 인쇄기 31 : 인쇄기 본체
35 : 현상기 36 : 감광드럼
40 : 광주사장치 47 : 반사경
50, 60 : 광경로차단장치 51, 61 : 회전부재
52, 62 : 접촉부재 53, 63 : 차단돌기
64 : 스프링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인쇄기는, 감광매체를 구비하며, 인쇄기 본체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현상기; 상기 감광매체에 주사될 광을 생성시키는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일부를 수광하는 광검출센서를 구비하는 광주사장치; 상기 현상기의 착탈에 연동하여 상기 광원과 상기 광검출센서를 연결하는 광경로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광경로차단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광검출센서는 상기 광경로차단장치의 작동에 따른 상기 광의 수광여부에 대응하여 상기 현상기의 장착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광주사장치에 설치된 기존의 광검출센서로 광원의 오동작을 감지함과 동시에 현상기의 장착여부도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현상기의 장착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별도의 감지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이에 따라, 인쇄기의 제조에 있어서 필요한 부품수가 감소되고 제조공정이 간소화됨으로써 제품의 제조비용이 절약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광경로차단장치는, 광주사장치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 및 현상기가 본체에 장착될 때 현상기에 접촉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회전부재의 일측에 연결되며, 현상기의 착탈에 따라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접촉부재를 포함하며, 현상기의 착탈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부재의 일부가 광경로를 차단 또는 광경로로부터 이격된다.
그리고, 전자사진방식 인쇄기는, 회전부재로부터 연장형성된 질량부재를 더 포함하여, 현상기의 미장착시 질량부재의 자중에 의해 광경로가 차단되도록 회전부재가 스스로 회전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광경로차단장치는, 인쇄기 본체 내벽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 및 현상기가 본체에 장착될 때 현상기에 접촉됨으로써 이동될 수 있도록 회전부재의 일측에 연결되며, 현상기의 착탈에 따라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접촉부재를 포함하며, 현상기의 착탈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부재의 일부가 광경로를 차단 또는 광경로로부터 이격된다.
한편, 광경로차단장치는, 현상기의 미장착시 광경로를 차단시키는 위치로 회전부재를 강제로 회전시키기 위한 복귀수단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복귀수단은, 본체 내벽과 회전부재 사이에 설치되며 광경로를 차단시키는 회전방향으로 회전부재를 탄성가압하는 탄성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상기 장착감지 기능을 가지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도 2의 인쇄기에 설치되는 광주사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인쇄기(30)는 감광드럼(36)과, 광주사장치(40)와, 현상기(35) 및 광경로차단장치(50)를 포함한다.
상기 광주사장치(40)는 화상데이터 신호에 따라 감광드럼(36)으로 광을 주사하여 감광드럼(36)에 정전잠상을 형성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도 3에 의하면, 광원(41)과, 광원(41)으로부터 감광드럼(36)을 연결하는 광경로 상에 설치된 소정의 광학계(42)와, 광검출센서(49)를 구비한다.
상기 광원(41)은 통상적으로 레이저 빔을 생성하여 출사시키는 레이저 다이오드 등이 사용된다. 그리고, 광학계(42)는 상기 레이저 빔을 감광드럼(36)으로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수의 렌즈(44)(45)와, 회전다면경(43) 및 반사경(47)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광주사장치(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구동시 상기 정전잠상을 감광드럼(36)에 형성시키기 위한 광주사범위(A)보다 넓은 범위의 초기광주사범위(B)로 레이저 빔이 광원(41)으로부터 출사된다. 이는 광주사장치(40)의 초기구동시 광원(41)의 정상작동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검출은 광경로상의 반사경(47)과는 별도로 초기광주사범위(B) 최외곽측에 설치된 반사경(48)과, 광검출센서(49)에 의해 수행된다. 즉, 광원(41)의 정상작동 검출기능은 광주사장치(40)의 초기구동시 초기광주사범위(B)의 외곽측으로 입사된 레이저 빔이 상기 반사경(48)에 의해 반사된 후 광검출센서(49)에 입사됨에 따라 광원(41)의 정상작동 신호가 광검출센서(49)로부터 출력됨으로써 수행된다. 이와 반대로 광검출센서(49)에 레이저 빔이 입사되지 않는 경우에는 광원(41)이 오동작 신호가 광검출센서(49)로부터 출력되어 인쇄기(30)의 구동이 중지된다. 한편, 초기광주사범위(B) 내에 있는 레이저 빔을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경(48)은 광주사장치(40)의 구조에 따라 생략될 수 있으며, 이런 경우에 광검출센서(49)는 초기광주사범위(B) 내에 있는 레이저 빔이 입사될 수 있도록 그 설치각도가 조절되어야 한다.
상기 현상기(35)는 상기 정전잠상이 외주면에 생성되는 감광드럼(36)을 현상시키기 위한 것이며, 내부에 적재된 현상제(미도시)를 다 사용한 경우 교체가 가능하도록 인쇄기 본체(3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감광드럼(36)이 일체로 형성된 현상기(35)를 예로 들어 설명하며, 이외에도 감광드럼(36)과 현상기(35)는 각각 별도의 부품으로 형성되어 인쇄기 본체(31)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광경로차단장치(50)는 현상기(35)의 착탈에 따라 광원(41)과 광검출센서(49)를 연결하는 광경로를 선택적으로 차단 또는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광주사장치(40)의 하우징(40a) 바닥면에 설치된다.
도 4에 의하면, 광경로차단장치(50)는 접촉부재(52)와, 회전부재(51) 및 회전부재(51)의 일단으로부터 돌출형성된 차단돌기(53)를 포함한다.
회전부재(51)는 광주사장치(40)의 하우징(40a) 바닥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회전부재(51)는 하우징(40a)의 바닥면에 힌지결합됨으로써 회전축(40c)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바닥면에 형성된 관통공(40b)을 통해 그 일부가 광주사장치(40)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진입/후퇴 가능하게 형성된다.
접촉부재(52)는 회전부재(51)의 하면으로부터 현상기(35)의 장착위치측으로관통공(40b)을 관통하여 연장형성된다. 이에 따라, 접촉부재(52)는 현상기(35)의 장착시 현상기(35)의 외면과 접촉됨으로써 회전부재(51)의 회전축(40c)을 중심으로 선회된다.
차단돌기(53)는 현상기(35)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광원(41)으로부터 광검출센서(49)를 연결하는 광경로상에 위치되도록 회전부재(51)로부터 돌출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차단돌기(53)는 접촉부재(52)가 현상기(35)의 장착에 따라 선회되면 회전부재(51)가 연동회전함에 따라 상기 광경로로부터 이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부재(51)의 끝단에 형성된 차단돌기(53)가 광경로를 선택적으로 가로막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외에도 회전부재(51)의 중앙부가 상기 광경로를 선택적으로 가로막을 수 있게 구성되는 등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한편, 광경로차단장치(50)는 복귀수단을 더 구비한다. 복귀수단은, 현상기(35)가 장착됨에 따라 회전된 자세에서 현상기(35)가 인쇄기 본체(31)로부터 분리되면 차단돌기(53)가 상기 광경로를 가로막을 수 있도록 회전부재(51)를 강제로 회전시킨다. 본 실시예에서의 복귀수단은 차단돌기(53)가 형성된 위치와 대칭되는 위치인 회전부재(51)의 일측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질량부재(54)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광경로차단장치(50)는 현상기(35)의 미장착시 질량부재(54)의 자중에 의해 회전부재(51)가 회전됨으로써 차단돌기(53)가 상기 광경로를 가로막는 위치에 배치된다.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광경로차단장치는 광검출센서와 광원을 연결하도록 광주사장치의 내부에 마련되는 광경로를 현상기에 착탈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차단시킬 수만 있으면 되기 때문에, 꼭 도 3에 도시된 설치위치(a)에 설치되어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모두 차단하게 설치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현상기의 착탈에 연동하여 가동될 수만 있다면 도 3의 b위치에 광경로차단장치를 설치하여 광원과 광검출장치를 연결하는 광경로만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할 수 있는 등 광경로차단장치를 다양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광경로차단장치(50)가 설치된 인쇄기(30)의 작동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현상기(35)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광경로차단장치(50)는 차단돌기(53)의 끝단이 광원(41)과 회전다면경(43)을 연결하는 광경로를 차단할 수 있도록 배치된 자세를 유지한다. 이에 따라, 인쇄기(30)의 초기구동시 광원(41)으로부터 출사된 레이저 빔이 광검출센서(49)에 입사되지 못하게 되고, 따라서, 제어부는 현상기(35)가 장착되지 않은 것을 인식하고 인쇄신호가 입력되더라도 인쇄기(30)의 가동을 중지시킨다.
현상기(35)가 장착되면, 접촉부재(52)가 도 2에 도시된 화살표(a) 방향으로 선회하여 회전부재(51)를 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차단돌기(53)가 광경로로부터 이격된다. 따라서, 광원(41)으로부터 출사된 레이저 빔이 광검출센서(49)에 입사되어 광검출센서(49)로부터 현상기(35) 장착신호가 출력됨에 따라 인쇄기(30)는 정상구동된다. 이때, 광원(41)의 오동작에 의해 레이저 빔이 광검출센서(49)에 입사되지 못하면 제어부가 광주사장치(40)의 오동작을 인식하여 인쇄기(30)의 구동이 중지됨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쇄기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도 4의 인쇄기 본체에 설치된 광주사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기(30)와 그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인용한다.
도 4에 의하면, 본 실시예에서의 광경로차단장치(60)는 접촉부재(62)와 회전부재(61) 및 차단돌기(63)를 포함한다. 회전부재(61)는 인쇄기 본체(31)의 내벽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차단돌기(63)는 회전부재(61)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며, 광주사장치(40)의 하우징(40a) 저면에 형성된 관통공(40b;도 3참조)을 통해 광주사장치(40) 내부로의 출입이 가능하다. 현상기(35)의 미장착시 차단돌기(63)의 끝단은 광원(41)으로부터 회전다면경(43)을 연결하는 광경로를 가로막는다.
한편, 회전부재(61)와 인쇄기 본체(31) 내벽 사이에는 스프링(64)이 더 설치되어 앞서 설명된 일 실시예에서의 복귀수단의 기능을 수행한다. 즉, 현상기(35)의 미장착시 차단돌기(63)의 끝단이 광주사장치(40)의 내부로 진입하여 상기 광경로를 가로막을 수 있도록 회전부재(61)는 스프링(64)에 의해 탄성가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광경로차단장치(60)가 설치된 인쇄기(30)의 작동은, 현상기(35)의 장착시 차단돌기(63)의 끝단이 상기 광경로로부터 이격되고 현상기(35)의 미장착시 차단돌기(63)의 끝단이 상기 광경로를 가로막는 점에 있어서 앞서 설명된 일 실시예예의 경우와 유사하므로 여기에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기(35)의 장착시 현상기(35)와 접촉됨으로써 인쇄기 본체(31) 내벽측으로 이동되는 접촉부재(62)에 의해 스프링(64)이 압축되고, 현상기(35)가 분리되면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스프링(64)이 이완되어 회전부재(61)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회전되는 점에 있어서 차이점이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의 경우 이외에도 광경로차단장치(60)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접촉부재(52)(62)의 회전시 회전부재(51)(61)의 일부가 광경로를 가로막을 수 있도록 광경로차단장치(50)(60)가 구성될 수 있다면 그 구성 및 설치위치에 있어서 제한없이 실시할 수 있으며, 그 형태에 따라 상기복귀수단이 생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광주사장치(40)에 설치된 기존의 광검출센서(49)를 이용하여 현상기(35)의 장착을 감지할 수 있으므로, 현상기(35)의 착탈여부를 검출하기 위해 별도의 광검출센서(22;도 1참조)나 리미트 스위치 등의 감지장치(20;도 1참조)을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제품의 제조시 필요한 부품수 및 제조공정이 단축됨에 따라 제조비용이 절약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간단한 구조의 광경로차단장치(50)(60)가 설치됨에 따라 이전의 광검출센서(22)나 리미트 스위치를 장시간 사용할 경우에 발생될 수 있는 부품의 노화에 의한 제품의 내구성 저하도 억제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감광매체를 구비하며, 인쇄기 본체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현상기;
    상기 감광매체에 주사될 광을 생성시키는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일부를 수광하는 광검출센서를 구비하는 광주사장치;
    상기 현상기의 착탈에 연동하여 상기 광원과 상기 광검출센서를 연결하는 광경로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광경로차단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광검출센서는 상기 광경로차단장치의 작동에 따른 상기 광의 수광여부에 대응하여 상기 현상기의 장착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경로차단장치는,
    상기 광주사장치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 및
    상기 현상기가 상기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현상기에 접촉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부재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현상기의 착탈에 따라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접촉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현상기의 착탈에 따라 회전되는 상기 회전부재의 일부가 상기 광경로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로부터 연장형성된 질량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현상기의 미장착시 상기 질량부재의 자중에 의해 상기 광경로가 선택적으로 차단되도록 상기 회전부재가 스스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경로차단장치는,
    인쇄기 본체 내벽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 및
    상기 현상기가 상기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현상기에 접촉됨으로써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부재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현상기의 착탈에 따라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접촉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현상기의 착탈에 따라 회전되는 상기 회전부재의 일부가 상기 광경로를 차단 또는 상기 광경로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기의 미장착시 상기 광경로를 차단시키는 위치로 상기 회전부재를 강제로 회전시키기 위한 복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수단은,
    상기 본체 내벽과 상기 회전부재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광경로를 차단시키는 회전방향으로 상기 회전부재를 탄성가압하는 탄성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KR10-2001-0073958A 2001-11-26 2001-11-26 현상기 장착 감지기능을 가지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KR1004234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3958A KR100423490B1 (ko) 2001-11-26 2001-11-26 현상기 장착 감지기능을 가지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3958A KR100423490B1 (ko) 2001-11-26 2001-11-26 현상기 장착 감지기능을 가지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3002A KR20030043002A (ko) 2003-06-02
KR100423490B1 true KR100423490B1 (ko) 2004-03-18

Family

ID=29571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3958A KR100423490B1 (ko) 2001-11-26 2001-11-26 현상기 장착 감지기능을 가지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349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6633A (ja) * 1993-11-26 1995-06-06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H08179664A (ja) * 1994-12-27 1996-07-12 Nec Corp 電子写真装置
JPH09197746A (ja) * 1996-01-18 1997-07-31 Canon Inc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記録媒体保管手段
JPH1074032A (ja) * 1996-08-30 1998-03-17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0321955A (ja) * 1999-05-13 2000-11-24 Fuji Xerox Co Ltd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着脱機構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6633A (ja) * 1993-11-26 1995-06-06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H08179664A (ja) * 1994-12-27 1996-07-12 Nec Corp 電子写真装置
JPH09197746A (ja) * 1996-01-18 1997-07-31 Canon Inc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記録媒体保管手段
JPH1074032A (ja) * 1996-08-30 1998-03-17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0321955A (ja) * 1999-05-13 2000-11-24 Fuji Xerox Co Ltd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着脱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3002A (ko) 2003-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2574B1 (ko) 광 기록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JP4871577B2 (ja) 光走査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20070010787A (ko) 광주사기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JP4682948B2 (ja) 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423490B1 (ko) 현상기 장착 감지기능을 가지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JP3351133B2 (ja) 画像形成装置
KR100460987B1 (ko) 레이저 프린터의 레이저 스캐닝장치
JP2002040348A (ja) レーザ走査光学ユニット
JP2000235158A (ja) ミラーの取付構造
JP2007033854A (ja) 光偏向走査装置および電子写真装置
JPH0933845A (ja) 走査光学装置
JP4661265B2 (ja) レーザ光走査装置
KR100332885B1 (ko) 레이져 스캐너의 미러 고정장치
US20100033767A1 (en) Light scann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2582436B2 (ja) レーザ光走査装置
JPH06160746A (ja) レーザ走査装置
JPH10207323A (ja) 画像形成装置
JP2006119198A (ja) 光学装置
JP4075365B2 (ja) 光走査装置
KR100419219B1 (ko) 프린터 및 그의 스캐닝장치
KR100584578B1 (ko) 멀티빔 조명계 및 광주사 장치
JP2005165187A (ja) 画像形成装置
JPH08259036A (ja) 物体有無検出装置
JP2001290399A (ja) 画像形成装置
JP2004094174A (ja) レーザシャッ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