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3066B1 - 비디오재생자동장치 - Google Patents

비디오재생자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3066B1
KR100423066B1 KR10-1998-0700134A KR19980700134A KR100423066B1 KR 100423066 B1 KR100423066 B1 KR 100423066B1 KR 19980700134 A KR19980700134 A KR 19980700134A KR 100423066 B1 KR100423066 B1 KR 1004230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playback
skip
video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0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8833A (ko
Inventor
크라이그 엥글 조셉
해롤드 메트칼페 로버트
조 김 성
에드워드 허즈버그 제세
조아킴 플라테 한스
Original Assignee
톰슨 콘슈머 일렉트로닉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19525226A external-priority patent/DE19525226A1/de
Application filed by 톰슨 콘슈머 일렉트로닉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톰슨 콘슈머 일렉트로닉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19990028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88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3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30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22Electronic editing of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28Electronic editing of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with computer assistanc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23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remotely controlle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26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using processor, e.g. microcomput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5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 G11B15/087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by sensing recorded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1808Driving of both record carrier and head
    • G11B15/1816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indexed parts of operating tapes cooperating with rotating hea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1808Driving of both record carrier and head
    • G11B15/1875Driving of both record carrier and head adaptations for special effects or edi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 G11B15/665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 G11B15/6653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to pull the record carrier against drum
    • G11B15/665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to pull the record carrier against drum using two-sided extraction, i.e. "M-typ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05Reproducing at a different information rate from the information rate of recording
    • G11B27/007Reproducing at a different information rate from the information rate of recording reproducing continuously a part of the information, i.e. repea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7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tap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1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not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G11B27/324Duty cycle modulation of control pulses, e.g. VHS-CTL-coding systems, RAPID-time code, VASS- or VISS-cue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0Indicating arrangements; Warn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2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60Solid state media
    • G11B2220/65Solid state media wherein solid state memory is used for storing indexing information or metadata
    • G11B2220/652Solid state media wherein solid state memory is used for storing indexing information or metadata said memory being attached to the recording medium
    • G11B2220/655Memory in cassette [MI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 G11B2220/91Helical scan format, wherein tracks are slightly tilted with respect to tape direction, e.g. VHS, DAT, DVC, AIT or exaby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2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 H04N5/783Adaptations for reproducing at a rate different from the recording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7Regeneration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 H04N9/8715Regeneration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volving the mixing of the reproduced video signal with a non-recorded signal, e.g. a text sign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58/00Facsimile and static presentation processing
    • Y10S358/908Pause control, i.e. "commercial ki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비디오 기록 및 재생 장치는 비디오 프로그램과 함께 테이프나 다른 저장 매체상에 기록된 시간 구간을 갖는 제어 트랙 신호를 기록하는 제어 트랙 기록기를 갖는다. 디코더는 시간으로 사용되는 구간을 제외한 복수의 위상 구간과 같이 또는, 바람직하게 시간 구간과는 성질이 다른 경사 구간을 갖는 복수의 펄스처럼, 제어 트랙에 삽입된 재생 코드와 스킵 코드 및 되감기 코드 사이에서 전환하도록 상기 제어 트랙 신호에 연결되고 상기 테이프 드라이브에 연결된다. 광고 방송과 같은 스킵 코드에 의해 먼저 발생되고 재생 코드에 의해 다음으로 발생되는 상기 비디오 프로그램의 부분을 선택적으로 스킵하는 것 이외에, 이 장치는 사용자가 재생 코드와 스킵 코드를 편집하고, 재생 코드에 의해 먼저 발생되고 되감기 코드에 의해 다음으로 발생되는 상기 비디오 프로그램의 복수 부분을 선택적으로 다중 재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재생은 계속될 수 있고, 소정의 재생 횟수동안 재생 코드나 스킵 코드 또는 되감기 코드를 갖는 제어 트랙 신호 내에서 인코딩될 수 있다. 재생 코드와 스킵 코드 및 되감기 코드 및/또는 재생 반복 횟수는 나중 재생동안 표시된 내용을 변경하기 위해 온 스크린 메뉴에서 사용자가 편집 가능하다.

Description

비디오 재생 자동 장치{VIDEO REPLAY AUTOMATION}
현행의 소비자 장비로 사용되는 이미지 기록장치의 형태는 대부분 프로그램 내용, 즉 비디오와 오디오에 이용한다. 사용자의 명령이나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처럼 일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록 기능이 없는 것도 있다. 테이프나 유사한 기록매체 상에 기록할 수 있는 낮은 데이터 비율 신호는 시간을 나타내는 신호이다. VHS 테이프 형태에 있어서, 제어 트랙 펄스는 이미지 영상속도로 생성되고, 프로그램 내용과 동시에 기록된다. 재생할 때, 이러한 펄스는 기록할 때와 같이 동일한 비율을 유지하도록 재생을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제어 트랙 펄스는 테이프의 엣지(edge)를 따라 기록되고, 각 프레임을 표시하지만, 반면에 비디오 프로그램 내용은 테이프의 일정 폭을 따라 기록된다. 대체로, NTSC TV 표준에 있어서, 제어 트랙 펄스는 대략 16.6 ms의 반복 주기와 대략 50%의 듀티 사이클 또는 지속시간을 가지며, 즉 하나의 레벨(즉, 하이(high))에서 8 ms이고 또다른 하나의 레벨(즉, 제로(zero))에서 8 ms가 서로 번갈아 발생된다. PAL 방식에 있어서, 반복 주기는 20 ms이고 펄스 지속시간은 대략 10 ms이다.
이러한 제어 트랙 신호는 자기 매체를 잘 사용하지 않았다. 이미지 영상 속도를 부합하도록 재생 시간을 제어하는데 필요한 기록된 제어 트랙 신호 부분은 각 주기동안 선도하는 라이징 엣지(rising edge)와 같은 단일 구간일 뿐이다. 연속 주기의 라이징 엣지 사이의 나머지 제어 트랙은 추가적인 데이터를 인코딩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1980년대 초기에, 비디오 인덱스 서치 시그널(VISS)이 소개되고, 테이프상에 프로그램의 특정 부분을 참조하기 위해 카운트와 같은 보조 데이터를 위하여 기존의 기록 트럭이 활용되었다. 제어 트랙 시그널의 라이징 엣지는 상기처럼 재생 속도를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VISS 규격에 따라, 트레일링 엣지(trailing edge), 즉 제어 트랙 펄스의 비-시간 임계 구간은 재생 속도를 제어할 때 사용하기 위해 라이징 엣지의 시간을 유지하는 동안, 제어가능하게 위상을 이동시킬 수 있다. 2개의 성질이 구별되는 위상 사이에 기록된 명령 트랙 신호의 트레일링 엣지의 위상을 변화시킴으로써 데이터를 인코딩하고, 디지털 값으로 트루와 폴스를 나타내거나, 1과 0 값으로 데이터 비트를 나타낸다.
이러한 위상 인코딩 방법은 복잡하지 않다. 예를 들어, 논리 "1" 값은 트레일링 엣지의 위상을 촉진함으로써 인코딩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제어 펄스의 양 (positive) 부분을 펄스 반복 주기의 대략 27.5% 지속시간까지 단축시킨다. 논리 "0" 값은 공칭 50% 듀티 사이클과 비교되는 것처럼 트레일링 엣지를 60% 구간의 펄스를 생성하도록 지연한다. 단일 시간 및 게이트 회로는 기준 지속시간(즉, 50%)보다 더 길거나 더 짧은 듀티 사이클을 갖는 복수의 펄스 사이에서 상기 데이터를 연속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으로 디코딩하고 이렇게 비교적 의존적이고 비용이 적게드는 통신 채널 기술을 사용하도록 분류될 수 있다. 하지만, 각 제어 트랙 펄스 주기는 단지 하나의 데이터 비트만을 1이나 0 값으로 인코딩 할 수 있다. 이 데이터 속도는 느리다.
본 발명은 이미지 기록 및 재생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록된 영상 트랙에 따라 제어 명령어 및 데이터를 사용자가 프로그래밍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어 시스템을 이용하는 재생 장치(500)와 이미지 기록 장치에 대한 블록도.
도 2A 및 도 2B는 위상 변조에 의해 정보를 기록하기 전/후에 제어 트랙 펄스를 도시하는 도면.
도 2C는 제어 트랙 기록을 재기록하기 이전의 제어 펄스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코딩 방법을 이용하는 기록 이전의 제어 트랙 펄스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이미지 재생 제어를 위한 본 발명의 연속적인 제어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VCRs)는 연속 재생 신호를 줄 수 있는 수단으로 기록의 세그먼트나 기록의 시작점을 표시하는 VISS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인덱스 신호에 대한 표준은 첫 번째 비트와 마지막 비트가 논리 0 값이고, 모든 중간 비트가 논리 1인 63비트를 연속적으로 갖는 표시기를 이용하고, 상기 0와 1은 제어 펄스의 트레일링 엣지의 위상차에 의해 분류된다.
제어 트랙 인코딩을 유사하게 사용하고 VHS 어드레스 서치 시그널 또는 VASS로 공지된 시스템서도 수행되고, 논리 데이터를 인코딩하는데 트레일링 엣지의 위상차를 이용한다. VASS 시스템은 기록하는 동안 디지털 어드레스를 제어 트랙에 기록하도록 할 수 있다. VASS 신호는 경과된 시간 표시기로 사용될 수 있고, 편집이나 제어를 목적으로 어드레스를 설정하는 특정 세그먼트를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표준 VASS 형태는 11비트 헤더를 가지며, VISS에 있는 헤더와 유사하고, 논리 1을 단일 0에의해 경계지운다. 이 헤더에 후속하여 대체로 4개의 디지트 세그먼트 주소를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16비트 데이터 부분이 있다. 명령 트랙 펄스의 위상 변화에 의해 테이프 상에 기록된 세그먼트 어드레스는 각 새로운 VASS 어드레스 코드에 대해 1만큼 증가된다. 새로운 기록 동작을 시작할 때, 카운터는 리셋된다.VASS 어드레스 코드는 코드를 알맞게 디코딩하도록 잉여적으로 기록될 수 있고, 예를 들어, 4번 기록되고, 적어도 유효로 생각되는 2개의 성공적인 디코드를 요구한다.
유사한 데이터 인코딩/디코딩 기술은 세그먼트 숫자나 시간 코드를 제외한 정보를 기록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미국 특허 제5,333,091호는 무료 광고 혹은 유료 광고인 광고 방송 자동 검출기를 개시하고, 이러한 목적은 광고를 표시하여 명령 트랙 코드에 응답하는 디코더를 통제하에 빠르게 전진시켜 광고를 자동으로 통과시키거나, 공백을 만들거나 또는 재생하기 위한 것이다. 비디오와 오디오 신호는 오디오와 비디오 파라미터에 적용된 알고리즘에 따라 각 광고를 확인하도록 기록하는 동안 어떤 속성을 분석하게 된다. 복수의 특성은 공백 프레임이나, 광고 블록이나 로고와 같이 검출되고, 광고 메시지에서 발견될 수 있으며, 종종 광고 메시지보다 앞서 발생하거나 다음으로 발생할 수 있다. 순방향 빨리 감기 명령은 광고를 검출한 처음 시점에서 명령 트랙에 배치되고, 광고 끝에 재생 시작 명령을 기록한다.
기록된 명령은 원하지 않는 광고 메시지를 통과하는 동안 광고 방송의 처음과 끝보다 약간 선행하여 수행될 필요가 있다. 비디오 신호는 명령 트랙상의 시간 신호와 함께 기록될 때 광고 방송 같을 것인지 분석된다. 그 다음 약 1초가 지나, 처음과 마지막 제어 명령은 현존하는 명령 트랙 신호의 트레일링 엣지를 재기록함으로써 인코딩되거나 표시된다. 연속적인 사용자 재생동안, 순방향 빨리 감기 표시를 검출할 때, 비디오 기록기는 감기나 순방향 빨리 감기 스캔 모드로 변환된다. 재생 재시작 펄스를 검출하면 감기 모드를 종료하고, 재생 모드를 재개한다. 따라서, 광고 방송 블록은 건너뛰게 되고, 원하는 프로그램 내용만 재생된다.
TV 프로그램에서 광고 방송을 검출하는 것은 정확하게 검출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비록 많은 광고 방송은 전형적인 형태나 연속적인 파라미터를 형성하고, 예를 들어, 프로그램과 광고 방송 사이에 하나 이상의 블랙 프레임을 갖지만, 몇몇 이상의 이유 때문에 몇몇 광고 방송은 합치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광고 발송을 표시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VCR은 시간의 대략 80%의 광고 방송을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다.
자동 검출 알고리즘은 광고 방송의 시작을 놓치는 결과로 여러 가지 광고를 식별할 수 없게 될 수 있다. 추후 테이프를 시청할 때, 사용자는 원하지 않는 광고 메시지를 시청하게 된다. 원하는 프로그램 내용이 광고 방송과 유사한 형태를 포함할 때, 상반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계속하여 자동 검출 알고리즘을 만족시킨다. 이러한 경우에, 일부 프로그램 내용은 광고 방송으로 잘못 인지하고, 감기로 표시되며, 제어 트랙상에 인코딩된 재생 표시를 표시한다. 따라서 원하는 프로그램 내용은 테이프를 재생할 때 건너뛰게 되고, 심지어 일시적인 광고보다 성가실 때가 발생된다. 만일 이러한 일이 발생한다면, 사용자는 광고를 건너뛰는 작동을 완전히 무력하게 만들기 원하고, 따라서 원하는 내용을 놓치지 않을 것이다.
광고 방송이 100% 정확하게 인지되고, 광고를 삭제하도록 표시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는 특정 광고 방송을 시청하기 바랄 수 있다. 만일 이러한 기술이 광고 방송을 삭제하는 기능을 전적으로 무력하게 하지 않거나 다중 리모콘 작동을 필요로하지 않고 실행할 수 있다면, 광고를 삭제하는 것이 특정 광고에만 적용될 수 있다.
유료 광고는 프로그램의 일부를 거쳐 제거되거나 건너뛰게 된다. 또한 프로그램 중의 기록된 프로그램을 반복적으로 재생하는 방법이 공지된다. 예를 들어, 발표, 광고 혹은 시위를 자기 기록 테이프의 지속시간을 통해 중복될 수 있다. 테이프 끝에 다달어 끝을 검출할 때, 이미지는 자동적으로 테이프의 처음으로 되감겨 자동으로 재생한다. 이러한 자동 반복 기술은 테이프를 따라 반복적으로 재생 내용을 편집하고 복제하는 것을 포함하며, 임시 혹은 비-전문가를 위한 기능을 개선할 수 있다. 더 기다란 프로그램은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재생하고, 인위적으로 멈추게 할 때까지 반복적으로 반복할 수 있다.
반복적인 이미지 재생은 마지막 표시나 초기 표시를 검출하거나 특정 코드 즉 반사 표시기와 같이 테이프상의 종료 표시를 검출할 때, 재생 모드와 되감기 모드 사이에서 VCR을 전환함으로써 성취될 수 있다. 테이프 시간이나 VCR에 의해 유지된 피트 길이 카운터 세팅은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생 세그먼트의 초기에서, 테이프 카운터는 0로 설정된다. 재생 내용의 끝에서, 되감기가 선택되고, 카운터(또는 타이머) 독출은 자동적으로 저장된다. 되감기는 카운트가 0가 될 때까지 계속되고, 이어서 재생이 선택된다. 카운트가 저장된 카운트에 도달했을 때, 되감기가 다시 선택되고, 계속적으로 재생된다. 또한 테이프 길이는 재생 모드가 자동적으로 선택되는 초기 표시기나 초기까지 테이프를 되감는 엔드-오브-테이프 표시기를 사용하여 재생된 메시지의 길이와 부합될 수 있고, 내용을 다시 재생할 수 있다.
초기와 마지막 표시기는 테이프상에 있고, 반면에 테이프 카운터 기술은 재생 장치에 저장된 정보나 재생 장치에 의해 생성된 정보로 작동한다. 예를 들어 재생 장치에 있는 저장에 따른 방법은 재생 장치로부터 테이프를 제거할 때 카운터가 제거되는 것과 같이 테이프 카운터 세팅을 변경시키는 한계를 갖는다. 테이프 상에 있는 표시기는 이러한 한계에 의존하지 않지만, 초기 및 마지막 표시기가 상대적으로 영구적이고 비변동적인 표시가되는 한계를 갖는다.
사용자로 하여금 연속적으로 재생산된 이미지를 수동으로 프로그래밍하고, 테이프상에 연속적인 이미지를 자동적으로 재생성할 수 있는 알맞은 제어 명령을 저장할 수 있는 단일 방법과 장치가 요구된다.
이러한 방법과 장치는 테이프상에 기록된 시간 구간이나 비디오 프로그램을 함께 갖는 다른 저장 매체를 갖는 제어 트랙 신호를 기록하는 제어 트랙 기록기가 있는 비디오 기록 및 재생 장치에 대한 본 발명의 측면에 따라 제공된다. 디코더는 제어 트랙 신호에 연결되고, 순방향 재생 모드와, 순방향 스킵(skip) 모드 및 되감기 모드 가운데 시간에 사용되는 구간이외의 구간의 위상차와 같이 제어 트랙에 삽입된 재생, 스킵 및 되감기 코드의 기능으로서 변경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시간 구간으로부터 특정 구간을 기울이는 펄스와 같은 기능으로서 변경하는 테이프 드라이브에 연결된다. 스킵 코드에 의해 선행되는 비디오 프로그램과 재생 코드에 의해 계속되는 비디오 프로그램, 즉 광고 방송과 같은 선택적인 스킵 부분 이외에, 이 장치는 사용자에게 재생 코드와 스킵 코드 및 재생 코드에 선행하고, 되감기 코드에 의해 계속되는 비디오 프로그램의 부분에 대한 선택적인 다중 재생을 편집가능하게 한다. 재생은 게속되거나, 소정의 재생 회수동안 재생, 스킵 및 되감기 코드를 갖고 제어 트랙 신호에서 인코딩된다. 재생, 스킵 및 되감기 코드 및/또는 재생 반복 회수는 사용자가 나중 재생동안 내용을 나타내도록 변경하기위해 온 스크린 메뉴(on screen menu)에서 사용자 편집이 가능하다.
재생, 스킵 및 되감기 코드를 갖는 제어 데이터는 시간 제어 데이터와 같이 제어 데이터를 인코딩한 현존하는 제어 트랙에 현재의 제어나 시간 데이터를 유지하는 방법으로 더해지고, 부가된 데이터와 시간이나 다른 제어 신호의 급격한 라이징 엣지와 구별되도록 부가된 보조 데이터의 급한 라이징 엣지를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은 사용자가 제어 트랙상에 인코딩된 제어 데이터를 재생하거나 편집 가능하게 하고, 때때로 테이프의 재생 방법을 변화시키며, 스킵이나 재생 또는 반복되는 연속 세그먼트를 변경시킨다. 이러한 측면은 또한 사용자가 광고 방송을 자동 선별함으로써 삽입되는 제어 코드를 재프로그래밍하도록 하며, 광고를 완전히 제거하지 않고 기능 억제를 요구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징은 이미지나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세그먼트를 이용한다.
도 1에 도시된 블록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시스템을 사용하는 기록 및 재생 장치(500)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기록 매체, 예를 들어 자기 테이프(504)는 카세트(501) 내의 릴 상에서 운반된다. 기록 모드동안, 이미지 신호는 기록 증폭기(545)에 의해 처리하도록 재생 장치(500)에 연결되고, 회전하는 헤드 조립장치 (510)를 통해 자기 변화를 형성할 때 테이프(504)상에 기록된다. 재생 모드동안, 이미지 신호는 테이프(504)에서 판독되고, 재생 증폭기(550)에 의해 처리되며, 디스플레이 및 다른 처리용 이미지 신호를 재생성한다. 또한 이미지 신호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부가 장치(555)를 통해 연결되며, 상태 정보와 제어 정보를 디스플레이(700)에 연결하기 전에 이미지 신호에 삽입할 수 있다.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은 제어 데이터를 제어 트랙과 함께 기록할 수 있는 기록 형태의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다른 기록 형태는 사용자가 유도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편집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를 유일한 특정 기록 위치에 삽입할 수 있고, 시간 데이터를 갖고 기록된 트랙 용량을 공유할 필요성을 제거한다.
도 1의 기록 모드에 있어서, 제어 트랙은 판독/기록 헤드(525)에 의해 테이프(504)의 엣지를 따라 기록된다. 제어 트랙은 제어 트랙 펄스 발생기(560)에 의해 생성되고, 기록된 이미지 신호로 고정되며, 이미지 프레임 속도로 이끌어진 주파수를 갖는다. 도 2A는 데이터 기록 변조에 앞서 발생기(560)에 의해 생성된 제어 트랙 펄스 신호 CTR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상기 기술된 것처럼, 도 2A에 도시된 라이징 엣지 펄스는 화살촉으로 표시되고, 재생 서보 시스템에 의해 시간 참조로 검출되고 사용된다. 트레일링 엣지는 도 2B에 도시된 것처럼, 위상이나 데이터 비트 D에 응답하여 변조된 위치가 될 수 있고, 27%의 지속 펄스는 데이터 값 "1"에 반응하여 발생되고, 60%의 펄스는 데이터 값 "0"에 반응하여 발생된다. 이러한 것은 라이징 엣지의 일정 간격에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 값을 인코딩하고 구별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제어 펄스 발생기(570)는 제어 트랙 기록 재생 헤드(525)에 연결된다. 제어 펄스 발생기(570)는 도 2C에 도시된 것처럼, 프레임 속도 경사진-형상의 펄스 신호 CTD를 생성한다. 제어 펄스 신호 CTD는 급한 라이징 엣지 없이 제어 트랙상에 중복 기록을 인가하는 경사진 형상을 한다. 따라서, 제어 펄스 CTD는 재생될 때, 시간 기준 구간을 삽입하지 않는다. 제어 펄스 CTD의 지속시간은 제어 처리(580)로부터 제어 데이터 D에 의해 결정된다. 제어 펄스 CTD의 시간은 신호가 재생동안 테이프에서 판독된 CT 펄스 CTP나 재생된 제어 트랙에 참조된 클릭 펄스 발생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정확하게 결정된다.
제어 프로세서(580)는 광고 방송 검출, 제어 펄스 인코딩, 재생 제어 펄스처리 및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생성과 프로그램 실행을 갖는 여러 가지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제어 프로세서는 장치(500)상의 제어 스위치(586)나 제어기(600)로부터 나온 원격 제어 신호를 통해 사용자 명령어를 수신한다. 제어 프로세서(580)는 마이크로프로세서(581)와 제어 프로그램 작성과 계산 가능한 저장 공간을 갖는 메모리(585)를 포함한다. 기록 모드에 있어서, 프로세서(580)의 일부를 형성하는 오디오/비디오 프로세서(582)는 입력된 이미지 신호와 오디오 신호에서 광고 방송의 존재를 검출하도록 자동으로 신호를 분석하여 수신한다. 결과적으로 기록은 자동적으로 관찰되고, 광고 방송의 처음과 끝 부분을 표시기 코드를 갖는 제어 트랙 신호를 중복기록함으로써 인코딩된다. 제어 데이터 신호 D는 제어 펄스 CTD를 중복기록을 생성하도록 펄스 발생기(570)에 연결된다.
명령 트랙 인코딩된 테이프를 사용자가 연속적으로 재생하는 동안, 제어 트랙 신호 CTP는 판독 헤드(525)에 의해 추출되고, 여러 가지 제어 명령에 응답하여 디코딩하도록 제어 프로세서(580) 내에서 처리된다. 제어 명령은 펄스 프로세서 (584)에 의해 제어 트랙 펄스 구간으로부터 분리된다. 펄스 프로세서(584)는 인코딩된 제어 데이터를 검출하고 재생시키는 여러 가지 수단을 이용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584)는 재생 시간을 제어하는 것은 물론 재생된 제어 데이터를 비교하는 타이머나 카운터를 증가시키는 명령 트랙 신호의 라이징 엣지를 이용할 수 있다.
CT 주기의 맨 처음의 27%동안 발생되는 일치는 논리 1로 디코딩되고, CT 주기의 대략 50% 이상에서 발생되는 긴 일치는 논리 0로 디코딩된다. 제어 트랙에서 인코딩된 제어 명령을 이용하는 여러 가지 시스템은 조기에 제어 트랙에서 재생된논리적 기호의 수에 의해 구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VISS 신호는 63비트로 구성되고, 여기서 처음 비트와 마지막 비트는 논리 "0"이고 나머지 61비트는 논리 "1"을 갖는다. VASS 시스템은 상승구간과 하강구간을 논리 0로 구성하고, 중간의 9비트를 논리 1로 구성하는 11비트 헤더를 갖는 27비트 어드레스 워드를 이용한다. 광고를 자동으로 건너뛰는 이 시스템은 8, 12, 29의 제어 워드를 논리 "1" 비트로 이용한다. 따라서, 독창적인 수동 제어 방법은 동일한 제어 워드를 사용하여 현존하는 펄스 식별과 제어 프로세서(580) 내에 있는 제어 회로를 이용할 수 있다.
도 3은 독창적인 데이터 인코딩 방법을 도시하고, 추가 데이터 비트를 제어 트랙 파형 주기동안 인코딩 가능하게 한다. 도 3의 실시예에 있어서, 8비트 추가 데이터 워드가 도시되고, 코딩된 제어 트랙 신호 CTR로 변조된 위상의 인코딩된 논리 "1" 값으로 기록된다. 8비트 워드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 트랙 신호 CTR의 하위 부분동안 8개의 동일하게 이격된 시간 위치중 하나의 위치에서 발생되는 경사면 펄스 신호는 논리 "1" 값으로 표시되고, 대응하는 시간 위치에서 경사면 펄스 신호가 없는 위치는 논리 "0" 값으로 표시된다. 예를 들어, 실시예인 경사 신호는 1ms 클럭 펄스를 발생시키는 폐쇄 글럭에서 도출된다. 명령 트랙 신호 CTR의 주파수에 고정된 클럭을 사용하는 것은 재생동안 디코딩을 단순화하기 위하여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8비트 예시적인 추가 데이터 워드를 재생하는 것은 신호 CTR의 27% 논리 "1" 위상 변조된 값을 검출하는 것을 요구한다.
따라서, 이러한 검출은 경사진 펄스 변조된 데이터의 8비트가 발생할 수 있는 일정 시간후 작동하는 검출 윈도우를 가능하게 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581)는8비트 제어 워드와 각 비트의 존재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인코딩된 제어 트랙 제어 시스템 사이에서 구별할 수 있다.
논리 "1"을 갖는 8비트 워드는 1ms 클럭 발생기의 동기화를 제공하도록 복수의 제어 트랙 주기동안 인코딩될 수 있다. 클럭 동기화에 이어서, 소정의 데이터 패턴은 보수를 중간 주기에서 인코딩하고, 서로 교차하는 제어 트랙 주기로 인코딩 될 수 있다. 소정의 데이터 패턴과 이것의 보수를 재생할 때, 연속하는 8비트 워드에 포함된 제어 명령을 디코딩하기에 앞서 에러 체크 기능을 제공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581)로 검사될 수 있다. 추가 데이터 비트는 15개의 제어 트랙 사이클의 한 주기에 걸쳐 인코딩 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논리 "1"의 5 바이트, 동기 워드 및 보수의 4바이트, 제어 데이터의 6바이트이다.
제어 트랙 신호 CTR에서의 위상 변조 단축 펄스가 인코딩 데이터에 대한 주기의 일부분을 이용할 수 있을 때, 추가 데이터 비트는 VISS, VASS 또는 광고 스킵 신호의 논리 "1" 주기동안 인코딩될 수 있다. 만일 신호 CTR의 상승 시간 구간에서 구별할 수 있도록 경사지어진다면, 유사하게, 낮은 진행 펄스는 제어 트랙 신호 CTR의 논리 "0" 펄스동안 데이터를 인코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사진 급라이징 엣지는 높은 통과 필터를 사용하여 구별될 수 있다.
수동 프로그램된 이미지 재생 자동화장치를 제공하기위해 추가적으로 제어 기능과 명령을 요구한다. 이러한 추가적인 수동 제어 기능은 사용자 프로그램 능력을 제공할 뿐만아니라, 게다가 모든 광고나 특정 카테고리를 고려한 스킵 명령 인코딩과 같이 앞서 기술된 인코딩된 제어 트랙 제어 시스템의 작동과 정확도를 증대시킨다.
본 발명의 사용자 프로그램 시퀀스는 교육이나, 데모 및 판매 목적으로 자동 반복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이로울 수 있다. 따라서, VCR은 수동으로 프로그램되고, 한 번 이상의 반복동안 사용자가 선택한 순서대로 재생할 수 있으며, VCR이 신호 코드를 수신할 때까지, 스킵할 수 있는 비-요구된 부분 사이에 산재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도 1에 도시된 온 스크린 메뉴를 선택함으로써 순차적인 명령을 프로그래밍 할 수 있고, EDIT 메뉴는 제어 입력(581)이나 원거리 제어(600)를 사용하여 디스플레이(700)상에 나타내도록 선택할 수 있다. 이 EDIT 메뉴는 시간 설정, 채널 프로그램등과 같은 선택을 나타내는 여러 가지 메뉴중 하나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EDIT 메뉴는 AUTO REPEAT 선택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하위-메뉴에 연결된다. AUTO REPEAT 하위-메뉴는 사용자가 테이프를 재생할 때 사용자 선택에 따라 처리되는 테이프 세그먼트의 처음과 마지막에서 테이프의 위치를 설정하도록 테이프 감기나 재생/되감기 작동을 효과적으로 행하도록 도와준다.
한 번 이상 재생되도록 원하는 세그먼트를 가지는 재생 처리에 대해, 사용자는 우선적으로 원하는 재생 부분의 처음으로 테이프를 수동으로 돌리도록 신호를 주어 알려 줄 수 있다. 사용자는 메뉴나 하부메뉴상에 있는 PLAY MARK를 선택하고, 재생 시작 시점을 나타낸다. PLAY 표시의 인코딩은 메뉴상에서 사용자가 OK를 인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래서, 알맞은 코드는 테이프 명령 트랙상에 배치된다. PLAY 표시나 코드의 실질적인 위치는 사용자 반작용 시간을 예기하고 매체 제동 시간을보상하도록 소정의 길이만큼 원하는 내용의 시작부의 전방에 기록될 수 있다. PLAY 표시와 프로그램 재생이 시작되는 시점 사이의 거리는 PLAY 표시와 관련하여 명령 트랙상에서 코드에 의해 표시될 수 있으며, 이것으로 테이프 전송 시간을 변경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더 늦은 속도 공백 재생 작동에 대립하는 것으로 빨리감기나 탐색동안 PLAY 표시 신호를 수신하는 여부에 따른다.
PLAY 표시 코드를 입력하고나서, 테이프는 바람직하게 재생되거나, 혹은 순방향 탐색을 할 수 있다. 만약 바라지 않는 세그먼트를 접하게되면, 사용자는 정지시키고, 테이프를 원하지 않는 세그먼트의 처음(즉, 앞의 원하는 세그먼트의 마지막 부분)으로 위치시킬 수 있으며, 메뉴에서 알맞은 선택을 하여 명령 트랙 상에 있는 SKIP FORWARD 명령을 둘 수 있다. 따라서, VCR은 순방향 탐색 모드를 입력하여 사용자가 시청하는 것처럼 원하지 않는 세그먼트의 마지막 부분으로 나아가고, 다음으로 원하는 세그먼트의 처음부분(앞의 원하지 않는 세그먼트의 마지막부분)에 테이프를 수동으로 위치시키도록 빨리감기, 재생, 정지, 되감기 등을 할 수 있다. 상기 처럼, PLAY, SKIP, FORWARD 및 유사한 코드는 이 코드가 나타내는 테이프 위치보다 앞서 명령 트랙상에 기록될 수 있다. SKIP FORWARD 모드는 다음으로 원하는 시퀀스를 만날때까지 정상적인 속도보다 더 빠른 속도로 기록된 이미지를 시청하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는 정상적인 속도로 재생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여하튼 간에, 테이프를 재생하는 동안 이 테이프를 재생하기 시작하는 다음 위치로 위치시키고, 이 테이프는 멈추거나 이동되며, 사용자는 메뉴로부터 PLAY를 선택하여 대응하는 명령 코드를 입력한다.
앞선 SKIP FORWARD에 연이어 PLAY 명령을 입력하면, VCR은 자동적으로 SKIP FORWARD가 선택된 위치의 전방으로 되감기고, PLAY가 시작되는 부분의 앞선 위치에서 PLAY 명령을 입력하며, 상기 기술된 것처럼, 테이프가 재생되는 동안 VCR이 멈추고 원하는 위치에서 재생되기 시작하도록 충분한 시간을 제공한다.
각 경우에 있어서, SKIP FORWARD 명령과 PLAY 명령은 명령 트랙상에 있는 위상 변조된 펄스 데이터 상에 기록된다. SKIPs와 PLAYs는 대체로 둘이 한 쌍이 되어 발생하고, 이들의 순서는 특정 부분이 재생되었는지 스킵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VCR의 재생을 위한 보통의 시작 모드는 재생 모드이므로, 테이프상에서 대하는 첫 번째 제어 코드는 보통 SKIP FORWARD가 된다. 하지만, 한 쌍의 SKIP FORWARD와 PLAY 코드중 하나는 다른 하나의 코드가 기억되기 전에 명령 트랙상에 기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는 프로그램은 스킵된 부분의 마지막 부분에서 PLAY 코드를 기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따라서 SKIP FORWARD 명령을 스킵된 부분의 처음부분에 기억시킬 수 있다. 또한, SKIP FORWARD 명령을 기록한 후에, 테이프는 자동으로 이 위치보다 앞선 위치로 자동으로 왕복할 수 있고, 따라서, 사용자는 PLAY 모드 명령을 입력하여 명령 트랙을 재기록할 수 있다.
유사하게, 명령 트랙 코드는 SKIP REARWARD나 PLAY 명령을 수신할 때까지 후방으로 테이프를 되감는 되감기 명령을 나타낼 수 있다. 이 명령은 사용자가 명령 트랙상에 기억된 사용자가 프로그램가능하고 변경가능한 명령 코드를 통해 선택적으로 어떤 세그먼트를 재생하고 다른 세그먼트를 스킵하도록 하는 것과 같이, 테이프의 한정된 세그먼트를 되돌리거나 재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기술된 것처럼, 광고 메시지의 재생을 제거하도록 SKIP과 PLAY 명령을 삽입하는 것은 가능하다. 또한 녹음된 내용을 시청하는 사용자가 녹음된 내용을 스킵하도록 특정 세그먼트를 시청한 후에 결정할 수 있다. 대체로, 사용자는 순방향으로 코드를 삽입하도록 선택하지만, 때때로 세그먼트를 시청한 후(예를 들어, 검출되지 않은 광고)에 마지막 부분에서 PLAY 코드를 입력하고 다음으로 처음 부분으로 되감기를 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VCR이 SKIP과 PLAY 코드를 프로그램 작성하는 동안 명령 트랙상에 PLAY 명령을 기록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내용의 마지막 부분이라고 결정하고서 또다시 메뉴에서 SKIP FORWARD를 선택할 때까지, 입력된 PLAY 명령으로 테이프 처음을 재생하도록 사용자 입력 신호로부터 결정할 수 있다. 기록된 이미지는 메뉴에서 프로그램 작성될 때, 명령 트랙 코드를 요구하는 다음 표시점을 만날 때까지 정상적인 속도보다 더 빠른 속도로 검사될 수 있다.
사용자는 원하거나 원하지 않는 내용을 포함한 기록물로부터 연속적인 이미지를 선택하고 정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술한 것의 방법은 SKIP REARWARD하는 제어 명령을 포함할 수 있고, 비-순차적인 기록물로부터 순차적으로 정리할 수 있다. 하지만, 비-순차적인 기록물로부터 순차적으로 정리하는 것은 특정 GO TO 명령을 요구하며, 재생할 부분의 원하지 않는 반복을 피하도록 세그먼트의 어드레스를 설정하는 것을 필요로한다.
명령 트랙을 재기록함으로써 인코딩된 데이터에 있는 몇몇 비트는 복수의 반복 사이클을 인코딩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원하는 기록을 선택하는 것이 완료되었을 때, 사용자는 메뉴로부터 REPEAT를 선택할 수 있고, STOP 모드가 선택될 때까지계속적으로 반복 선택을 알려주거나, 자동으로 멈추거나 계속적으로 재생하기 전에 수행되는 반복 회수를 선택하는 것을 알려준다. 실행되는 반복 회수는 PLAY MARK 모드에서 인코딩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LAY MARK는 11111110000에서 11111111111 사이의 범위를 갖는다. PLAY MARK는 모두 우선적으로 참으로 설정된 7비트의 그룹에 의해 표시되고, 나머지 4비트는 반복되는 회수를 나타내며, 각 세그먼트 동안 선회된다. PLAY MARK는 다음과 같은 표 1 실시예로 도시될 수 있다.
도 4는 앞의 코드에 따라 자동 표시 시퀀스를 나타내는 실시예이다. 자동 표시 시퀀스는 재생 기록기가 단계 110에서 FORWARD WIND 또는 SKIP FORWARD 명령을 초기화하고, 단계 100에서 시작한다. 단계 120에서, STOP 모드가 요구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검사를 실시하고, YES가 검출되면 기록기/재생기가 단계 130에서 정지된 상태가 되는 원인이되고, 메뉴 선택을 통해 단계 100에서 재 재생을 기다린다. 단계 120에서 NO가 검출되면, 결과적으로 PLAY MARK가 인코딩된 제어 트랙으로부터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단계 140에서 추가적으로 검사한다. 단계 140에서 NO를 검출하면, PLAY MARK의 발생을 기다리며 반복을 행하고, 기록기/재생기가 계속적으로 순방향으로 건너뛰도록 한다. 만일 단계 140에서 PLAY MARK에 대한 검사가 YES 이면, 제어 시퀀스는 단계 150에서 카운터 결정을 개시한다. 단계 155에서 카운트 값은 PLAY MARKS에서 인코딩된 반복 회수에 의해 다중 기록된 PLAY MARKS의 수로 계산된다. 만일 예를 들어, 지속적으로 반복 디스플레이를 알리거나 공표하는 것이 요구되어지면, PLAY MARK "0000"은 단계 150에서 무시될 수 있고, 카운트 값을 높은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플로우챠트의 주 브랜치의 뒤에 있고, 단계 160은 0값을 나타내는 카운트를 검사한다. YES는 프로그램된 재생 시퀀스의 소정의 반복 회수의 완성을 나타내며, 단계 130에서 STOP 모드를 시작한다. 단계 160에서 NO는 단계 165에서 PLAY 모드를 선택한다.
PLAY 모드를 시작하고나서, 제어 시퀀스는 단계 180으로 분기하고, 순방향이나 역방향 FAST FORWARD(또는 REVERSE) 또는 SKIP 명령중 하나를 검출하도록 검사하는 검사 상태 조건을 입력한다. 단계 180의 NO는 대기 순환을 형성하고, YES는 단계 110으로 되돌아가며, FORWARD WIND 모드를 단계 120에서 제어 시퀀스로 다시 시작한다. 단계 165로부터의 제2 브랜치는 단계 190에서 REVERSE WIND나 SKIP BACK 명령을 검출하도록 검사하고, NO는 대기 순환을 형성하며, YES는 단계 115로 되돌아가고, REVERSE WIND 모드가 제어 시퀀스를 다시 시작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명령 트랙에서 프로그램화된 코드는 기록기/재생기로 하여금 재생되거나 건너뛰는 연속하는 세그먼트를 통해 양방향으로 진행된다.
계속되는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는 계속적으로 시청하기 위해 기록된 내용을 수동적으로 선택할 수 있고, 제어 표시로 선택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테이프가 순차적으로 시청될 때, 원하는 부분은 재생되고, 원하지 않는 것은 빨리 감긴다. 이러한 재생 제어 기능은 교육용 장치에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통 흐름 형태를 긴 시간동안 기록하는 장치, 행동 연구, 과학 실험, 정신 의학적 분야나 또는 외과 수술 과정은 훈련과 교육의 목적이나 분석의 목적으로 특정 부분을 자세하게 재시청하기 위하여 표시될 수 있고, 원하지 않는 중간 내용을 건너 뛸수 있다. 연속적으로 시청하는 동안 기록된 내용을 수동적으로 선택 및 표시하는 기능과 또한 과정을 재관찰하는 제조와 내용물 검사를 유도하는데 유용할 수 있다.
다음 방법은 사용자 선택을 이용하고, 재생과 스킵된 내용을 프로그램 작성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주메뉴 상에 온 스크린 메뉴 선택 지정된 EDIT를 입력하고, PLAY와 SKIP 하위-메뉴를 선택함으로써 재생 시퀀스를 프로그래밍 할 수 있다. PLAY와 SKIP 메뉴는 원하는 내용을 포함하는 선기록된 테이프가 초기로 되감기는 원인이 되는 선택인 "START MARKING?"을 구성한다. VCR은 자동적으로 PLAY 모드를 시작하고, FORWARD WIND나 SKIP FORWARD 명령으로 제어 트랙을 재기입한다. SKIP FORWARD 표시를 완료하자마자, VCR은 순방향 탐색 모드가 원하는 내용을 찾을 때까지 빠른 속도로 프로그램 시청을 할 수 있고, 그래서 사용자는 메뉴로부터 PLAY를 선택하게 된다. PLAY 선택은 결과적으로 테이프가 역으로 되돌려지고, 재생 부분의 처음부분에 정확하게 위치하게 된다. 처음 재생 위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PLAY MARK?" 엔트리 위치이면, 제어 트랙은 PLAY MARK로 재기록된다. 따라서, 테이프는 순방향으로 재생된다. 원하는 내용의 마지막 부분에서, 사용자가 "SKIP FORWARD?"를 선택하면 메뉴 선택과 확인 YES는 제어 트랙이 SKIP FORWARD MARK로재기록되는 원인이 된다. PLAY와 SKIP FORWARD 표시는 상기 기술된 것처럼 원하는 내용의 마지막 부분으로 계속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원하는 부분의 마지막부분에서, 사용자가 메뉴로부터 "END MARKING"을 선택하면 STOP 명령으로서 제어 트랙이 재기록 된다.
따라서 표시된 테이프가 처음부터 재생될 때, VCR은 인코딩된 SKIP FORWARD 명령에 응답하는 감기 모드가 된다. VCR은 인코딩된 PLAY MARK를 검출할 때 재생 모드가 되고, SKIP FORWARD 명령이 디코딩될 때까지 재생이 계속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프로그램화된 재생/스킵 시퀀스는 END 표시가 검출될 때까지 계속된다.
추가적으로 사용자의 프로그램화된 제어 명령은 FORWARD WIND MARKS를 편집하는 기능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광고 메시지를 부정확하게 자동으로 구별함으로써 수행된 프로그램 내용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자는 순환 회수를 변경하도록 인코딩을 변경하는 것과 같이 테이프 순환 동작동안 원하지 않는 PLAY 모드 선택을 방지하거나 부정확하고 또는 원하지 않는 광고의 마지막 부분의 일치성을 제거하도록 PLAY MARKS를 제거할 수 있다. 적절하게 인코딩된 광고를 건너뛴 테이프는 원하는 광고를 시청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FORWARD WIND MARKS를 소거하도록 선택할 수 있고, 원하는 광고를 시청하도록 이용할 수 있다. 거꾸로, 부정확하게 인코딩된 광고를 건너뛴 테이프는 일치되지 않고 원하지 않는 광고 시청을 포함할 수 있고, 따라서, 사용자는 원하지 않는 광고 시청을 건너뛰도록 FORWARD WIND MARKS와 RESUME PLAY MARKS를 기록할 수 있다.
다음은 사용자가 제어 표시를 소거함으로써 테이프의 특정 위치를 건너뛰는것을 영원히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을 갖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사용자가 광고를 건너뛰는 제어 신호를 갖고 인코딩된 테이프를 재생할 때, 사용자는 프로그램 내용을 관찰하거나, 테이프의 특정 부분에서 광고 방송을 스킵하는 그룹을 관찰할 수 있다. 다음 방법은 제어 표시 소거에 의해 건너뛰는 것을 영구히 방지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A) 광고를 건너뛰는 동안 또는 스킵하자마자, 사용자는 원격 제어 장치나 기록 재생기 상에 배치된 DISPLAY 키(또는 특별히 할당된 키)를 선택할 수 있다. DISPLAY 키 동작은 기록 재생기가 마지막 FORWARD WIND MARK 이전까지만 되감기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기록 재생기는 PLAY 모드를 입력하고, FORWARD WIND 명령을 나타내는 그룹의 27.5% 제어 트랙 펄스를 재기록하고, 제어 트랙 펄스는 표준 지속 시간을 갖는다.
B) 또한 사용자는 테이프를 스킵된 부분의 전후방에 위치시킬 수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 제어 시스템은 마지막으로 스킵된 부분의 어드레스를 저장한다. 사용자는 다음과 같은 것을 본보기로 선택하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OSD에 의해 제공된 EDIT 메뉴를 선택한다.
1) 마지막/다음 건너뛴 부분을 재생?
2) 마지막 WIND/PLAY 표시를 소거?
3) 다음의 WIND/PLAY 표시를 소거?
4) 모든 WIND/PLAY 표시를 소거?
첫 번째 선택은 제어 표시를 편집하기에 앞서 마지막 또는 다음 스킵된 부분을 재 조사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다음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는 광고를 스킵한 제어 신호를 갖고 인코딩된 테이프를 시청하고, 광고를 스킵하는 동안 흥미있는 이미지를 관찰한다. 사용자는 일단 스킵하지 않으면 스킵된 내용을 재생하고 시청하게 된다. 이러한 것은 최소의 제어 상호 작용으로 성취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즉, 다중 키를 입력하는 것이 광고를 스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데 필요하지 않다. 예를 들어, 재 프로그래밍하지 않는 방법으로 명령 코드를 삽입하는 광고 표시 시스템 사용자는 광고를 건너뛰는 것을 OFF 시키는 메뉴를 입력할 필요가 있고, 메뉴를 빠져나가, 광고 그룹의 처음으로 테이프를 되감고, 마지막으로 흥미있는 광고를 시청하기 위해 PLAY 모드를 선택한다. 사용자는 시청후, 메뉴 시스템을 재 입력해야하며, 광고 스킵 기능을 ON 시키고, 메뉴를 빠져나가야 한다. 간략하게 설명하였기 때문에, 상기 내용처럼 사용자는 빨리-되감기 모드를 선택하는 것을 지나치지 않고 테이프를 광고 그룹의 시작부분으로 되감기를 정확하게 했다고 가정하고, 추가적인 키 입력과 지연을 더한다.
다음 방법은 인코딩된 스킵 광고 블록을 건너뛰지 않고 자동 재생을 용이하게 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사용자는 DISPLAY 키(또는 특정하게 할당된 키)를 원격 제어 장치에서 선택한다. DISPLAY 키는 테이프를 자동적으로 되감고, 광고를 뛰어넘기 위해 FORWARD WIND MARK를 탐색하게된다. 광고를 건너뛰는 것은 FORWARD WIND MARK의 위치를 정하고, 소프트웨어 제어에 의해 일시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것이다. VCR은 자동적으로 PLAY 모드를 입력하고, 광고 그룹을 재생한다. RESUME PLAY MARK를 검출하였을 때, VCR은 자동적으로 광고 스킵 모드를 재 사용한다.

Claims (10)

  1. 비디오 기록 및 재생 장치로서,
    비디오 프로그램 신호를 저장 매체상의 제1 트랙에 기록하고 상기 저장 매체로부터 상기 비디오 프로그램 기록 내용을 재생하는, 드라이브를 구비하는 비디오 기록기와;
    디지털 데이터로 인코딩된 제어 트랙 신호를 상기 저장 매체의 제2 트랙에 기록하는 제어 트랙 신호 프로세서와;
    상기 비디오 프로그램 기록 내용을 재생할 때 상기 제어 트랙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비디오 기록 및 재생장치를 디지털 데이터 내의 각각의 재생, 스킵 및 되감기 코드의 기능으로서 순방향 재생 모드, 순방향 스킵 모드 및 되감기 모드로 절환시키며 재생 코드에 뒤따르고 되감기 코드에 앞서는 비디오 프로그램의 부분들을 소정 횟수 선택적으로 재생하는 드라이브에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결합하는 디코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기록 및 재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데이터 내에 있는 상기 재생 코드와 되감기 코드는 디지털 비트 스트림에 있는 복수의 비트로 표시되고, 상기 소정의 횟수는 상기 복수의 비트를 갖는 디지털 비트 스트림 내에서 인코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기록 및 재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프로그램을 재생할 때, 상기 재생 코드와 되감기 코드 및 스킵 코드를 삽입하거나 제거하는 사용자 작동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기록 및 재생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프로그램을 재생할 때, 상기 재생 코드와 되감기 코드를 삽입하거나 제거하고, 상기 소정 횟수를 변경하는 사용자 작동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기록 및 재생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들을 삽입하거나 제거하고 상기 소정의 횟수를 변경하는 상기 사용자 작동 수단은 비디오 기록 및 재생 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사용자 작동 메뉴 스크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기록 및 재생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스크린은 사용자의 제어하에 상기 코드에 따라 상기 부분들을 일시적으로 무효화시키거나, 선택적으로 스킵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재생하도록 더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기록 및 재생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트랙 신호는 소정의 표시 대 공간 비율을 갖고 라이징 엣지와 트레일링 엣지를 갖는 펄스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라이징 엣지는 타이밍 기준을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비트는 상기 제어 트랙 신호의 공간 주기동안 발생하도록 인코딩된 펄스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기록 및 재생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펄스의 상승 엣지와 하강 엣지 중 하나를 상기 제어 트랙 신호의 라이징 엣지와 트레일링 엣지중 하나로부터 구별시키는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기록 및 재생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딩된 디지털 데이터는 순방향 재생 모드와 순방향 스킵 모드 동안 스킵 코드에 뒤따르고 재생 코드에 앞서는 상기 비디오 프로그램의 부분들을 선택적으로 스킵하는 코드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기록 및 재생 장치.
  10. 비디오 기록 및 재생 장치에 있어서,
    비디오 프로그램 신호를 저장 매체의 제1 트랙에 기록하고, 상기 저장 매체로부터 상기 비디오 프로그램 기록 내용을 재생하는, 드라이브를 구비한 비디오 기록기와;
    디지털 데이터로써 인코딩된 제어 트랙 신호를 상기 저장 매체의 제2 트랙에 기록하는 제어 트랙 신호 프로세서와;
    상기 비디오 프로그램 기록 내용을 재생할 때 상기 제어 트랙 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비디오 기록 및 재생장치를 상기 디지털 데이터 내의 각각의 재생, 스킵 및 되감기 코드의 기능에 따라 순방향 재생 모드, 순방향 스킵 모드 및 되감기 모드로 절환시키며 스킵 코드에 뒤따르고 재생 코드에 앞서는 비디오 프로그램의 부분들을 선택적으로 스킵하여 재생 코드에 뒤따르고 되감기 코드에 앞서는 비디오 프로그램의 부분들을 소정 횟수 선택적으로 재생하는 드라이브에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결합하는 디코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기록 및 재생 장치.
KR10-1998-0700134A 1995-07-11 1996-07-08 비디오재생자동장치 KR1004230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525226.8 1995-07-11
DE19525226A DE19525226A1 (de) 1995-07-11 1995-07-11 Nachrichtentechnisches Gerät mit einer Fernbedienung
US932995P 1995-12-28 1995-12-28
US60/009,329 1995-1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8833A KR19990028833A (ko) 1999-04-15
KR100423066B1 true KR100423066B1 (ko) 2004-06-23

Family

ID=26016711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0134A KR100423066B1 (ko) 1995-07-11 1996-07-08 비디오재생자동장치
KR10-1998-0700135A KR100401374B1 (ko) 1995-07-11 1996-07-08 비디오재생자동화장치
KR10-1998-0700136A KR100444336B1 (ko) 1995-07-11 1996-07-08 수동제어트랙편집기능을갖는비디오재생자동화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0135A KR100401374B1 (ko) 1995-07-11 1996-07-08 비디오재생자동화장치
KR10-1998-0700136A KR100444336B1 (ko) 1995-07-11 1996-07-08 수동제어트랙편집기능을갖는비디오재생자동화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041159A (ko)
EP (1) EP0838075B1 (ko)
JP (3) JPH11509666A (ko)
KR (3) KR100423066B1 (ko)
CN (1) CN1112700C (ko)
AU (3) AU6484396A (ko)
DE (1) DE69616064T2 (ko)
MX (3) MX9800327A (ko)
WO (3) WO19970025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41159A (en) * 1995-07-11 2000-03-21 Deutsche Thomson-Brandt Gmbh Telecommunications device having a remote controller
CN1867068A (zh) 1998-07-14 2006-11-22 联合视频制品公司 交互式电视节目导视系统及其方法
GB2340291A (en) * 1998-08-06 2000-02-16 Thomson Multimedia Sa Avoiding jitter in a video output using pseudo-vertical synchronisation signals
AU2012200587B2 (en) * 1998-09-17 2014-01-30 Rovi Guides, Inc. A Method for Use in an Interactive Television Program Guide System
TW465235B (en) * 1998-09-17 2001-11-21 United Video Properties Inc Electronic program guide with digital storage
GB9918772D0 (en) * 1999-08-09 1999-10-13 British Sky Broadcasting Ltd Improvements in receivers for television signals
CN100459682C (zh) * 1999-09-20 2009-02-04 提维股份有限公司 经由电视广播数据流的广告排定电视节目录制时程的装置和方法
US6934807B1 (en) * 2000-03-31 2005-08-23 Intel Corporation Determining an amount of data read from a storage medium
EP2262262A1 (en) 2000-10-11 2010-12-15 United Video Properties, Inc. System and methods for providing storage of data on servers in an on-demand media delivery system
EP1235431A1 (fr) * 2001-02-27 2002-08-2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Procédé d'abonnement à un service de télévision
JP4708022B2 (ja) * 2002-08-14 2011-06-22 プロトン21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衝撃によって物質を圧縮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7043746B2 (en) * 2003-01-06 2006-05-0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re-assuring delivery of television advertisements non-intrusively in real-time broadcast and time shift recording
US7493646B2 (en) 2003-01-30 2009-02-17 United Video Properties, Inc. Interactive television systems with digital video recording and adjustable reminders
CN100378861C (zh) * 2004-05-21 2008-04-02 扬智科技股份有限公司 包含二计时器的dvd无接缝播放系统
US10063934B2 (en) 2008-11-25 2018-08-28 Rovi Technologies Corporation Reducing unicast session duration with restart TV
US8805418B2 (en) 2011-12-23 2014-08-12 United Video Propertie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performing actions based on location-based rules
KR101674724B1 (ko) 2014-08-25 2016-11-09 주식회사 엔케이 단열블록 고정턱이 형성된 서포트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2중벽 탱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49231A (en) * 1981-05-11 1985-10-22 Victor Company Of Japan, Ltd. Signal reprodu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modifying a pre-recorded control signal
EP0526739A1 (en) * 1991-07-10 1993-02-10 Hitachi, Ltd. Magnetic tape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82401A (en) * 1979-05-11 1988-11-01 Nelson A. Faerber Editing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ercials during video recording
JPS5788542A (en) * 1980-11-19 1982-06-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US4752834A (en) * 1981-08-31 1988-06-21 Shelton Video Editors Inc. Reciprocating recording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video recorder so as to edit commercial messages from a recorded television signal
JPS58146072A (ja) * 1982-02-24 1983-08-31 Nobuo Mizuki Vtrの録画再生方法
US4628377A (en) * 1983-05-12 1986-12-09 Canon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signal reproducing apparatus
JPS59221851A (ja) * 1983-05-27 1984-12-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記録再生装置
US4930158A (en) * 1987-09-02 1990-05-29 Vogel Peter S Selective video playing system
JPH04283447A (ja) * 1991-03-13 1992-10-08 Mitsubishi Electric Corp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4337548A (ja) * 1991-05-13 1992-11-25 Fujitsu General Ltd ビデオテープレコーダ
US5333091B2 (en) * 1993-01-08 1996-12-17 Arthur D Little Enterprises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videotape player to automatically scan past recorded commercial messages
US5696866A (en) * 1993-01-08 1997-12-09 Srt,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liminating television commercial messages
DE4303942C2 (de) * 1993-02-10 1995-05-18 Guido Ciburski Zusatz-Gerät zur Unterdrückung von Werbe-Spots bei Fernsehern und Video-Aufzeichnungen
DE4332291C2 (de) * 1993-09-20 1998-11-19 Manfred Rupp Steuergerät für Bildsignale wiedergebene Geräte
DE9410959U1 (de) * 1994-07-08 1994-09-22 Reum Ag Steuervorrichtung für eine Bildwiedergabeeinrichtung
DE9418711U1 (de) * 1994-11-22 1995-02-02 Dangschat Rainer Dipl Ing Fernsehempfänger mit Fernbedienung und Doppelfunktion des Ausschalters
US5708477A (en) * 1994-12-01 1998-01-13 Forbes; Scott Jared Video signal identifier for controlling a VCR and television based on the occurrence of commercials
EP0735754B1 (en) * 1995-03-30 2008-05-07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classification of television signals
US6041159A (en) * 1995-07-11 2000-03-21 Deutsche Thomson-Brandt Gmbh Telecommunications device having a remote controll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49231A (en) * 1981-05-11 1985-10-22 Victor Company Of Japan, Ltd. Signal reprodu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modifying a pre-recorded control signal
EP0526739A1 (en) * 1991-07-10 1993-02-10 Hitachi, Ltd. Magnetic tape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9800326A (es) 1998-04-30
AU6484396A (en) 1997-02-10
WO1997002568A1 (en) 1997-01-23
KR100444336B1 (ko) 2004-11-06
KR19990028834A (ko) 1999-04-15
US6041159A (en) 2000-03-21
DE69616064T2 (de) 2002-06-06
KR19990028835A (ko) 1999-04-15
JPH11510295A (ja) 1999-09-07
JPH11514483A (ja) 1999-12-07
DE69616064D1 (de) 2001-11-22
MX9800327A (es) 1998-04-30
AU6484796A (en) 1997-02-05
CN1112700C (zh) 2003-06-25
KR100401374B1 (ko) 2003-12-24
JPH11509666A (ja) 1999-08-24
EP0838075B1 (en) 2001-10-17
KR19990028833A (ko) 1999-04-15
CN1190483A (zh) 1998-08-12
WO1997002567A1 (en) 1997-01-23
WO1997003442A1 (en) 1997-01-30
MX9800325A (es) 1998-04-30
AU6484696A (en) 1997-02-05
EP0838075A1 (en) 1998-04-29
JP3867929B2 (ja) 2007-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3066B1 (ko) 비디오재생자동장치
EP0746851B1 (en) Enhancing operations of video tape cassette players
US6236801B1 (en) Video replay automation with manual control track editing
CA1128657A (en) Control apparatus for magnetic recorder
KR0126791B1 (ko) 프로그램 탐색방법
MXPA98000325A (en) Vi reproduction automation
KR910008921B1 (ko) Vtr의 데이타 기록 장치
US5953487A (en) Video recording and playback apparatus
JPH0224802A (ja) ビデオ磁気テープ録画装置のビデオ録画を再生する装置
EP0600224B1 (en) Magnetic recording apparatus and reproducing apparatus
JP2976709B2 (ja) ビデオテープレコーダ
JP3096938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US5646743A (en) Method for formatting a videotape and recording/reproducing to/from the formatted videotape
KR0165283B1 (ko) 테이프잔량을 이용한 탐색방법
JP2956320B2 (ja) ビデオテープレコーダ
JP3545234B2 (ja) タイムラプスvtr
KR970010139B1 (ko) 비스(viss)화면 처리방법과 그 장치
KR0165300B1 (ko) 자기기록매체정보 기록/재생장치 및 방법
KR0166873B1 (ko) 디브이씨알의 인덱스기록/서치 장치 및 방법
JPH06111542A (ja) ビデオテープ複写システムにおける自動編集方法及び装置
KR950014340B1 (ko) 편집 재생장치의 편집녹화 재생방법
KR19980023466A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에서의 재생 및 녹화방법
KR19990004715A (ko) 비디오테이프의 음성레벨 판별에 따른 반복재생제어방법
KR19980023505A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화상 서치 방법
JPH08194990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