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1511B1 - 정밀 타발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 Google Patents

정밀 타발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1511B1
KR100421511B1 KR10-2001-0026388A KR20010026388A KR100421511B1 KR 100421511 B1 KR100421511 B1 KR 100421511B1 KR 20010026388 A KR20010026388 A KR 20010026388A KR 100421511 B1 KR100421511 B1 KR 1004215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steel sheet
ratio
blanking
stainless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6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5193A (ko
Inventor
스즈키사토시
이가와다카시
후지모토히로시
히라마츠나오토
Original Assignee
닛신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신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신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105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51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1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15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05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of ferrous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4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 C21D8/0405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of ferrous alloy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Abstract

새로이 제안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하기 식에 의해 정의되는값(이는 가공-유기 마르텐사이트의 비율을 나타냄)이 -60내지 -10의 범위내로 제어되는 조건하에서, 0.060 질량%까지의 (C+1/2N), 1.0 질량%까지의 Si, 5 질량%까지의 Mn, 0.006 질량%까지의 S, 15 내지 20 질량%의 Cr, 5 내지 12 질량%의 Ni, 5 질량%까지의 Cu, 0 내지 3.0 질량%의 Mo,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제외한 잔부는 Fe로 구성되는 조성을 가진다. 냉간압연된 후 강판의 경도 증가는 비커스 경도로 20% 또는 그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강판의 금속학적 조직은 다듬질 어닐링된 상태에서 8 내지 11의 결정입도번호로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강판은 높은 치수 정확도로 블랭킹되고, 다이 수명 또한 연장된다.

Description

정밀 타발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AUSTENITIC STAINLESS STEEL EXCELLENT IN FINE BLANKABILITY}
본 발명은 타발성(打拔性)(blankability), 특히 정밀 타발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에 관한 것이다.
프레스에 의한 전단 가공, 특히 블랭킹은 보통강, 스테인리스강 및 비철금속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금속 판에 적용되어 왔으며, 이는 금속 판이 목적하는 형상에 효율적으로 맞추어 만들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블랭킹에 의해 형성된 면은 울퉁불퉁하여 나쁜 치수 정확도를 가지고, 금속 판이 그것의 넓은 표면에서 늘어지기 쉬우며, 금속 판의 두께가 블랭킹면 근처의 부분에서 줄어든다.
블랭킹이 높은 치수 정확도를 요하는 생산품을 제조하는 과정에 채택될 때, 블랭킹면은 배럴 다듬질과 같은 사후-처리에 의해 연마되어진다. 그러한 사후-처리는 기본적으로 추가적인 과정이며, 불량한 생산성을 초래한다. 이 점에 있어서는, 정밀 블랭킹 방법이 높은 치수정확도를 가진 생산품을 제조하기 위해 채택되어졌다. 정밀 블랭킹 방법에 있어서, 간극은 파단면의 형성을 억제하기 위하여 매우 작은 값으로 결정되며, 금속의 유입은 블랭킹동안 늘어짐의 발생을 줄이기위하여 억제된다.
한편, 스테인리스강은 부식성의 또는 고온의 환경에 노출되는 용도에 대해 지금까지 사용되어 왔다. 특히, SUS 304는 그러한 사용에 적합한 대표적인 스테인리스강이다.
SUS 304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단단한 재료이며, 그래서 정밀 블랭킹 다이의 수명이 줄어든다. SUS 304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경도는 또한 블랭킹면의 질을 저하시키는 파단면 비율의 증가 및 늘어짐의 증가를 야기한다. 비록 전단면이 블랭킹에 의해 높은 치수 정확도로 형성될지라도, 작업 비용은 보통강을 블랭킹하는 비용과 비교하여 더 높다. 이러한 단점을 고려하여, SUS 304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통상의 방법에 의해 블랭킹되고, 그런 후 높은 정밀도를 가진 블랭킹면을 가지는 생산품을 제조하기위해 연마되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정밀 블랭킹에 적합하며, 전단면의 비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오스테나이트상의 연화도(softening) 및 안정도가 제어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공에 있다.
본 발명은 0.060 질량%까지의 (C+1/2N), 1.0 질량%까지의 Si, 5 질량%까지의 Mn, 0.006 질량%까지의 S, 15 내지 20 질량%의 Cr, 5 내지 12 질량%의 Ni, 5 질량%까지의 Cu, 0 내지 3.0 질량%의 Mo 및 본질적으로 Fe인 잔부로 이루어진 조성을 가지는 새로운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제안한다. 가공-유기 마르텐사이트 상의 비율을 나타내는값은 하기의 식에 의해 정의되며, 이는 -60에서 -10의 범위내로 조절된다.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열간압연, 어닐링, 산세, 냉간압연 및 다듬질 어닐링을 포함하는 종래의 공정에 의해 제조되어진다. 냉간압연된 상태에서의 경도 증가의 비율은 비커스 경도로 20% 또는 그 이상의 값으로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듬질 어닐링된 상태에서의 스테인리스강은 #8 내지 #11 범위내의 결정입도번호(JIS G0551에 규정되어짐)를 가진 금속학적 조직으로 조건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블랭킹된 단편에서 늘어짐(drooping)의 발생 및 늘어진 부분을 감지하기 위한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는 생산품의 블랭킹면에서의 전단면의 형성 및 전단면을 측정하기 위한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3은 전단면의 비율과값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4는 전단면의 비율과 (C+1/2N)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5는 2%의 간극 비율에서 전단면의 비율과 S 함량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6은 5%의 간극 비율에서 전단면의 비율과 S 함량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7은 전단면의 비율과 비커스 경도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8은 전단 늘어짐 비율과 조질 압연(temper-rolling)에 의해 야기되는 경도 증가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9는 전단면의 비율과 결정입도번호와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10은 전단 늘어짐 비율과 결정입도번호와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
본 발명자들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재료적 성질과 정밀 블랭킹에 의해 형성된 블랭킹면의 상태와의 관계에 대하여 여러 관점으로부터 연구하여, 가공-유기 마르텐사이트(상)의 비율이 블랭킹면에 대한 전단면의 비율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가공-유기 마르텐사이트(상)는 오스테나이트계(상) 매트릭스와 비교하여 더 단단하며 연성에서는 열등하다. 가공-유기 마르텐사이트(상)의 과도한 발생은 연성의 저하, 블랭킹면에서 파괴의 조기 발생 및 전단면 비율의 감소를 의미한다. 만약 가공-유기 마르텐사이트(상)의 발생이 대조적으로 너무 적으면,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그 자체가 연성이 열등한상에서 블랭킹되어, 결과적으로 블랭킹면에서의 파괴의 조기 발생 및 전단면 비율의 감소를 초래한다.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연화도는 늘어짐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파단면의 질에 대한 가공-유기 마르텐사이트(상)의 영향과 잘 균형을 이룬다. 따라서, 블랭킹면은 치수정확도에서 개선되고, 다이 수명은 연장된다.
제안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소정의 비율로서 다음과 같은 다양한 합금 성분을 포함한다.
0.060 질량 %까지의 (C+1/2N)
C 및 N은 오스테나이트상의 안정성을 조절하는데 효과적인 성분이다. 그러나, C 및 N의 과도한 첨가는 고용경화로 인해 오스테나이트상을 더 단단하게 만들며, 또한 가공-유기 마르텐사이트 상을 더 단단하게 만든다. 고용경화는 블랭킹 하중을 증가시키며, 다이의 수명을 단축시킨다. 따라서, (C+1/2N)의 비율은 0.060 질량% 및 그 이하로 제어된다.
1.0 질량%까지의 Si
Si는 강 정련단계에서 탈산제로 첨가되는 합금 성분이다. Si의 과도한 첨가는 고용경화로 인해 오스테나이트 상을 더 단단하게 만들며, 스테인리스강의 타발성을 저하시킨다. 이 점에 있어서는, Si 함량의 상한은 1.0 질량%로 결정된다.
5 질량%까지의 Mn
Mn은 오스테나이트 상을 안정화시키고 스테인리스강의 타발성을 개선시키는데 효과적인 합금 성분이다. 이러한 효과는 Mn함량을 증가시킴에 따라 명백해진다. 그러나, 5 질량% 보다 많은 Mn의 과잉 첨가는 내부식성 및 가공성에 악영향을 미치는 비금속성 개재물의 증가를 야기한다.
0.006 질량%까지의 S
블랭킹면에 대한 전단면의 비율은 S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한다. 원소 S는 또한 스테인리스강의 가장 중요한 성질인 내부식성에 악영향을 미친다. 이 점에 있어서는, S 함량의 상한은 0.006 질량%로 결정된다. 특히, 높은 치수정확도를 지닌 블랭킹면을 가지는 그러한 생산품에 대해서는, S 함량은 전단면의 비율을 증가시키기위하여 0.003 질량% 또는 그 이하로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Cr:15 내지 20 질량%
15 질량% 또는 그 이상의 Cr 함량은 스테인리스강의 내부식성을 보증하기 위해 필요하다. 그러나, 20질량%보다 많은 Cr의 과도한 첨가는 스테인리스강을 더 단단하게 하고 다이 수명에 악영향을 미친다.
Ni:5 내지 12 질량%
Ni는 오스테나이트 상을 안정화하기위한 합금성분이다. 그러한 효과는 5 질량% 또는 그 이상의 비율로 Ni을 첨가함으로써 실현된다. 스테인리스강의 타발성 또한 Ni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개선되어진다. 그러나, Ni는 고가의 원소이어서, 강 비용을 인상시키며, 그 결과 Ni 함량의 상한은 12 질량%로 결정된다.
5 질량%까지의 Cu
Cu는 타발성의 개선 및 오스테나이트상의 안정화에 효과적인 합금 원소이다. 그러나, 5 질량%보다 많은 Cu의 과도한 첨가는 열간 가공성(hot workability)에 악영향을 미친다.
Mo:0 내지 3.0 질량%
Mo는 내부식성을 개선하는데 효과적인 선택적 합금원소이다. 그러나, 3.0 질량%보다 많은 Mo의 과도한 첨가는 스테인리스강을 너무 단단하게 하고, 결과적으로 정밀 타발성의 저하를 초래한다.
값(이는 가공-유기 마르텐사이트의 비율을 나타냄):-60 내지 -10
가공-유기 마르텐사이트(상)이 블랭킹면에 대한 전단면의 비율에 미치는 영향은 다양한 실험으로부터 발명자들에 의해 발견된 결과물이다. 가공-유기 마르텐사이트(상)의 비율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성분 및 함량으로부터 계산될 수 있다.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이 -60내지 -10범위내에서 제어되는값을 가지는 조성으로 고안되는 경우에 있어서, 전단면의 비율은 하기 실시예에서 설명되어지는 바와 같이 더 높으며, 블랭킹면은 높은 치수정확도를 가지고 형성된다.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경도 증가의 비율:
비커스 경도로 20% 또는 그 이상
냉간압연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판은 보다 적은 전치(transposition)를 포함하는 어닐링된 판과 비교하여, 냉간압연동안 많은 전치의 도입으로 인하여 더 단단하다. 냉간압연에 의해 야기되는 경화도가 비커스 경도로 20% 또는 그 이상의 비율로 조절될 때, 블랭크(blank)의 하부로 향하는 금속 유동은 억제되고, 그 결과 늘어짐의 감소를 초래한다.
경도 증가의 비율은 이 명세서에서 [(냉간 압연된 강판의 비커스 경도)-(어닐링된 강판의 비커스 경도)]/(어닐링된 강판의 비커스 경도)100(%)의 식에 의해 정의된다. 20% 또는 그 이상의 경도 증가의 비율은 어닐링된 그대로의 강판을 블랭킹함으로써 발생되는 늘어짐의 반 또는 그보다 적을 정도까지 블랭킹에 의해 야기되는 늘어짐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필요하다. 그러나, 극단적으로 경화된 강판은 블랭킹동안 전단 저항을 증가시키며, 다이의 마모를 촉진한다. 이 점에 있어서는, 경도 증가의 비율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다이 수명과 균형을 이루는 늘어짐의 감소의 영향을 고려하여 150%로 결정된다.
결정입도번호: #8 내지 #11
결정 입자가 조립임에 따라 스테인리스강은 더 연성이 있고, 블랭킹면에 대한 전단면의 비율은 더 높아지지만, 블랭킹된 강판은 심하게 늘어진다. 이 점에 있어서는, 조립 결정 입자는 매끄러움뿐만 아니라 블랭킹면에서 정밀도를 가진 생산품을 제조하는데 바람직하지 못하다. 한편, 제안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다듬질 어닐링된 상태에서 #8 내지 #11의 결정입도번호 범위내로 세립화된 결정으로 구성된 금속학적 조직으로 조건설정되어진다. 상기 결정입도번호는 #6 내지 #8의 보통 결정입도번호와 비교하여 더 크다. 세립화된 결정은 입력 에너지의 감소,예컨대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 또는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으로 스테인리스강을 어닐링하는 것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그러한 결정입도의 조건설정으로 인하여, 전단면의 비율이 같은 레벨로 유지되는 동안 늘어짐의 발생은 억제되어진다.
실시예 1
표 1에서 도시된 조성을 가지는 다양한 스테인리스강은 1230℃에서 용해, 주조, 소킹(soaking)되며, 10mm의 두께로 열간압연된다. 그 후에, 열간압연된 강판은 1150℃에서 1분간 어닐링되고, 산으로 산세되고, 5mm의 두께로 냉간압연되며,1050℃에서 1분간 어닐링되고, 그리고 다시 산으로 산세된다.
각각의 어닐링된 강판을 전단저항, 블랭킹면에 대한 전단면의 비율 및 두께에 대한 늘어짐의 비율을 연구하기 위해 하기의 블랭킹 테스트에 의해 검사하였으며, 비커스 경도는 JIS Z2240에 규정된 로크웰 B 경도로 측정되었다.
각각의 어닐링된 강판으로 절단된 시험단편을 외경이 50mm인 펀치 및 내경이 50.2mm 또는 50.5mm인 다이를 사용하여, 600mm/분의 블랭킹 속도로 0.1mm 또는 0.25mm(시험 단편의 간극/두께가 각각 2% 또는 5%로 계산되어진 간극 비율)의 간극을 가진 디스크 모양으로 블랭킹하였다.
각각의 디스크(블랭킹된 단편)를 각각의 포인트에서 늘어짐(Z)의 정도를 검출하기 위해 8 군데지점, 즉, 도 2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압연 방향, 십자형 방향 및 압연 방향에 대하여 45 도 경사진 방향을 따라 매 2군데지점에서 레이저-타입 비접촉 위치 센서로 측정하였다. 측정값을 평균을 내고, 두께에 대한 늘어짐의 비율을 시험 단편의 두께에 대한 평균값의 비율로 계산하였다.
각각의 디스크(블랭킹된 단편)의 전단면(S)의 두께를 또한 8 군데지점, 즉,도 2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압연 방향, 십자형 방향 및 압연 방향에 대하여 45 도 경사진 방향을 따라 매 2군데지점에서 측정하였다. 측정값을 평균을 내고, 전단면의 비율을 시험 단편의 두께에 대한 평균값의 비율로 계산하였다.
2%의 간극비율을 가진 각각의 시험단편을 블랭킴함으로써 형성되는 전단면의 비율은 각각의 시험단편의값과 관련하여 연구하였다. 결과를 도 3에 도시하였다. 전단면의 비율이 100%인 블랭킹면은 -60 내지 -10 범위내의값에서 얻어졌다는 것에 유념해야 한다. 비록 샘플 번호 4, 15 및 16은 -60내지 -10 범위내의값을 가질지라도, 그것들의 블랭킹면은 전단면의 비율이 각각 85%, 95% 및 71%로서 예외적으로 열등하였다.
-60 내지 -10 범위내의값을 가지는 샘플 번호 1 내지 4 및 12 각각에 대하여, (C+1/2N)과 전단면의 비율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결과를 도 4에 도시하였다. 0.06 질량% 보다 작은 (C+1/2N)을 포함하는 각각의 샘플 번호 1 내지 3 및 12는 100%인 전단면의 비율로 블랭킹되었다는 것에 유념해야 한다. 한편, 0.06 질량%보다 많은 (C+1/2N)을 포함하는 샘플 번호 4는 85%인 전단면의 비율로 블랭킹되었다.
-60 내지 -10 범위내의값을 가지며 0.06 질량%보다 작은 (C+1/2N)을 포함하는 샘플 번호 1 내지 3 및 13내지 16을 2%의 간극비율로 블랭킹하였다. 블랭킹에 의해 형성된 전단면의 비율은 각각의 샘플의 S 함량과 관련하여 연구하였다. 결과를 도 5에 도시하였다. 0.006 질량%보다 적은 S를 포함하는 샘플 번호 1 내지 3, 13 및 14는 100%인 전단면의 비율로 블랭킹되었고, 반면에 0.006 질량%보다 많은 S를 포함하는 샘플 번호 15 및 16은 각각 95% 및 71%인 전단면의 비율로 블랭킹되었다.
전단면비율과 S함량의 관계는 또한 심지어 동일한 강판을 블랭킹할 경우에도 간극비율에 따라 다르다. 즉, 샘플 번호 13 및 14가 2%의 간극비율로 블랭킹될 때, 블랭킹면은 100%인 전단면의 비율로 형성되었다. 샘플 번호 13 및 14가 도 6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5%의 간극비율로 블랭킹되었을 때, 전단면비율은 각각 92% 및 88%로 줄었다. 그 결과는 S 함량을 0.003 질량% 보다 작도록 제어하는 것이 전단면의 비율의 감소를 야기하는 큰 간극비율을 가진 강판을 블랭킹하는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입증한다.
실시예 2
표 2에 도시된 조성을 가지는 스테인리스강을 1230℃의 초기온도에서 용해 및 주조되며, 10mm의 두께로 열간압연하였다. 그 후에, 각각의 열간압연된 강판을1150℃에서 1분간 어닐링하였고, 산으로 산세하였고, 5 내지 8mm의 중간 두께로 냉간압연하였으며, 1050℃에서 1분간 어닐링하였고 다시 산으로 산세하였다. 강판중 일부는 5mm 두께의 어닐링된 강판 A1,B1으로 제공되었다. 그 밖의 중간두께의 어닐링된 강판은 5mm의 두께까지 추가적으로 냉간압연하였고, 조질 압연(temper-rolled)된 강판 A2 내지 A6, B2, B3으로 제공되었다.
각각의 어닐링 및 조질압연된 강판을 시험단편으로 절단하였고, 실시예 1과 같은 조건하에서 2%의 간극비율로 블랭킹하였다. 도 7은 각각의 시험단편의 비커스 경도와 전단면의 비율의 관계를 도시한다. 어닐링 또는 조질압연된 샘플 번호 A1 내지 A6는 100%인 전단면의 비율로 블랭킹되었음에 유념해야 한다. 한편, SUS304에 대응하는 샘플 번호 B1 내지 B3는 45%근처의 낮은 전단면비율로 블랭킹되었다.
조질압연에 의한 경도증가가 늘어짐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하여, 전단 늘어짐 비율을 (조질압연된 강판에서 두께에 대한 늘어짐의 비율)/(어닐링된 강판에서 두께에 대한 늘어짐의 비율)로서 계산하였다. 결과를 도 8에 나타내었다. 비커스 경도로 20% 또는 그 이상으로 경화된 조질압연된 강판 A3 내지 A6의 전단 늘어짐 비율이 50%미만, 즉 어닐링된 강판 A1에서 발생된 늘어짐의 반보다 적었다는 것에 유념해야 한다. 한편, 20%보다 적은 경도 증가 비율로 경화된 조질압연된 강판 A2의 전단 늘어짐 비율은 어닐링된 강판 A1과 비교하여 약 70%이었다. 이 결과는 20% 또는 그 이상의 경도 증가가 늘어짐을 충분히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다는 것을 입증한다.
강판의 재료적인 성질이 다이의 수명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하여, 각각의 시험 단편을 다이의 교환시까지 계속적으로 블랭킹하였다. 다이 수명은 다이 교환시까지의 블랭킹 사이클로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도시하였다. 타입-A의 모든 강판은 타입-B의 강판과 비교하여 다이의 교환시까지 더 많은 사이클로 블랭킹될 수 있음에 유념해야 한다. 즉, 타입-A 강판은 다이 수명의 연장에 효과적이다. 타입-A 강판을 서로 비교해봄으로써, 과도한 경도 증가는 바람직하지 못하게도 블랭킹 사이클의 감소를 야기한다는 것에 또한 유념해야 한다. 예컨대, 다이의 교환시까지의 블랭킹 사이클은 150% 보다 많이 경화된 강판 A6에 대하여는 다소 줄어들었다.
◎: 강판 A1과 비교하여 같거나 더 긴 다이수명
○: 강판 A1 보다 열등하나 강판 B1 보다 우수한 다이수명
×: 다이의 현저한 마모
실시예 3
표 4에 도시된 조성을 가지는 스테인리스강 C,D를 초기온도에서 용해 및 주조하였고, 10mm의 두께로 열간압연하였다. 그 후에, 각각의 열간압연된 강판을 1150℃에서 1분간 어닐링하였고, 산으로 산세하였고, 5mm의 두께로 냉간압연하였으며, 800 내지 1100℃에서 1분간 어닐링하였고 다시 산으로 산세하였다.
어닐링된 후에 산세된 각각의 강판을 시험단편으로 절단하였으며, 실시예 1과 같은 조건하에서 2%의 간극비율로 블랭킹하였다. 블랭킹된 시험 단편에서 전단면의 비율을 강판의 결정입도번호와의 관계를 연구하기 위해 계산하였다. 결과를 도 9에 도시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타입-C 강판은 그것의 결정입도번호에 관계없이 100%인 전단면의 비율로 블랭킹되었음에 유념해야 한다. 한편, SUS304에 대응하는 타입-D 강판은 45% 부근의 낮은 전단면비율로 블랭킹되었다.
전단 늘어짐 비율과 결정입도번호의 관계는 도 10에서 예시된다. 이 관계는 강판의 종류에 관계없이 결정입도번호가 증가(즉, 세립화된 금속학적 조직)함에 따라 전단 늘어짐 비율이 개선되어짐을 입증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타입-C 강판에 대하여는, #8보다 큰 결정입도번호를 가진 강판 C3 내지 C6 각각의 전단 늘어짐 비율은 #8보다 적은 결정입도번호를 가진 강판 C1, C2과 비교하여 반 또는 그 이하로 줄어든다.
각각의 시험 단편을 블랭킹 사이클로부터 다이 수명을 평가하기 위하여 다이의 교환시까지 계속해서 블랭킹하였다. 결과를 표 5에 도시하였다. 타입-C의 강판은 타입-D의 강판과 비교하여 다이의 교환시까지 더 많은 사이클로(즉, 다이 수명의 연장에 적당하게) 블랭킹될 수 있음에 유념해야 한다. 그러나, 블랭킹 사이클은 강판 C6에 기재된 것과 같이, 결정입도번호가 #11보다 더 크게 증가함에 따라 다소 줄어들었다. 이러한 결과는 금속학적 조직의 과도한 세립화는 다이 수명에 불리하게 작용함을 입증한다.
◎: 강판 A1과 비교하여 같거나 더 긴 다이수명
○: 강판 A1 보다 열등하나 강판 B1 보다 우수한 다이수명
×: 다이의 현저한 마모
본 발명에 의해 제안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우수한 타발성, 특히 정밀 타발성때문에 높은 치수정확도를 가진 생산품으로 블랭킹될 수 있다. 심지어강판이 작은 간극비율로 블랭킹될 때에도, 블랭킹면에 대한 전단면의 비율은 상당한 늘어짐의 발생 없이 더 높은 레벨로 유지될 수 있다. 스테인리스강판은 또한 SUS304와 같은 종래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판과 비교하여, 다이 수명의 연장에도 유리하다. 결과적으로, 높은 치수정확도를 가진 블랭킹된 생산품은 제조 비용의 증가 없이도 제안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판으로부터 얻어진다.

Claims (3)

  1. 하기 식에 의해 정의되는 가공-유기 마르텐사이트 상의 비율을 나타내는값이 -60내지 -14.3의 범위내로 제어되는 조건하에서, 0.060 질량%까지의 (C+1/2N), 1.0 질량%까지의 Si, 5 질량%까지의 Mn, 0.006 질량%까지의 S, 15 내지 20 질량%의 Cr, 5 내지 12 질량%의 Ni, 5 질량%까지의 Cu, 선택적으로 3.0 질량%까지의 Mo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제외한 잔부는 Fe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 타발성이 우수한 성질을 갖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2. 제 1 항에 있어서, 어닐링 및 산세후 냉간압연에 의해 비커스 경도로 20% 또는 그 이상으로 경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3. 제 1 항에 있어서, 결정입도번호가 #8 내지 #10로 세립화된 금속학적 조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KR10-2001-0026388A 2000-05-16 2001-05-15 정밀 타발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KR1004215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42644 2000-05-16
JP2000142644A JP3691341B2 (ja) 2000-05-16 2000-05-16 精密打抜き性に優れた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5193A KR20010105193A (ko) 2001-11-28
KR100421511B1 true KR100421511B1 (ko) 2004-03-09

Family

ID=18649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6388A KR100421511B1 (ko) 2000-05-16 2001-05-15 정밀 타발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020015655A1 (ko)
EP (1) EP1156125B1 (ko)
JP (1) JP3691341B2 (ko)
KR (1) KR100421511B1 (ko)
CN (1) CN1145713C (ko)
DE (1) DE60122618T2 (ko)
ES (1) ES2270918T3 (ko)
MY (1) MY146900A (ko)
SG (1) SG108254A1 (ko)
TW (1) TW50081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1707A (ja) * 1999-10-29 2001-05-15 Dainippon Printing Co Ltd カラーブラウン管用シャドウマスク
EP1306258B1 (en) * 2000-08-01 2005-11-09 Nisshin Steel Co., Ltd. Stainless steel fuel tank for automobile
JP3696552B2 (ja) * 2001-04-12 2005-09-21 日新製鋼株式会社 加工性,冷間鍛造性に優れた軟質ステンレス鋼板
US20040265238A1 (en) * 2003-06-27 2004-12-30 Imtiaz Chaudry Inhalable formulations for treating pulmonary hypertension and methods of using same
FR2864108B1 (fr) * 2003-12-22 2006-01-27 Ugine Et Alz France Tole en acier inoxydable presentant une grande resistance et un bon allongement, et procede de fabrication
DE602004019454D1 (de) * 2004-07-08 2009-03-26 Arcelormittal Stainless France Austenitische nichtrostende stahlzusammensetzung und deren verwendung zur herstellung von bauteilen für landtransportmittel und containern
JP2008533020A (ja) * 2005-03-09 2008-08-21 メルク エンド カムパニー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キナゾリノンt型カルシウムチャネル拮抗薬
US20100066779A1 (en) 2006-11-28 2010-03-18 Hanan Gothait Method and system for nozzle compensation in non-contact material deposition
WO2009009015A1 (en) * 2007-07-10 2009-01-15 Merck & Co., Inc. Quinazolinone t-type calcium channel antagonists
JP5014915B2 (ja) * 2007-08-09 2012-08-29 日新製鋼株式会社 Ni節減型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
EP2072631A1 (fr) * 2007-12-20 2009-06-24 Ugine & Alz France Tole en acier inoxydable austenitique et procédé d'obtention de cette tole
CN101994068B (zh) * 2009-08-25 2012-12-26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奥氏体不锈钢钢板
CN102471855B (zh) * 2009-09-02 2015-10-14 新日铁住金不锈钢株式会社 耐蚀性优良的省Ni型不锈钢
CN101791648A (zh) * 2010-04-10 2010-08-04 中精集团有限公司 一种不锈钢厚板的冲压工艺
KR20120132691A (ko) * 2010-04-29 2012-12-07 오또꿈뿌 오와이제이 높은 성형성을 구비하는 페라이트-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의 제조 및 사용 방법
KR101659186B1 (ko) * 2014-12-26 2016-09-23 주식회사 포스코 가요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KR101923922B1 (ko) * 2016-12-23 2018-11-30 주식회사 포스코 표면특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가공품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64314B1 (ko) * 2017-08-21 2019-08-07 주식회사포스코 가공성 및 내시효균열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이를 이용한 드로잉 가공품
CN113265585B (zh) * 2021-05-14 2023-02-24 山西太钢不锈钢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安全气囊用不锈钢及其生产方法与应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94866A1 (en) * 1992-04-16 1994-05-04 Nippon Steel Corporation Austenitic stainless steel sheet with excellent surface quality and production thereof
US5458156A (en) * 1991-07-26 1995-10-17 Nisshin Steel Co., Ltd. Stainless steel multifold pipe
US5571343A (en) * 1993-08-25 1996-11-05 Pohang Iron & Steel Co., Ltd. Austenitic stainless steel having superior press-formability, hot workability and high temperature oxidation resistance,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56746B2 (ja) * 1980-04-15 1983-12-16 日本ステンレス株式会社 プレス成形性および耐食性の良好なオ−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
JPH0768584B2 (ja) * 1986-06-09 1995-07-26 日新製鋼株式会社 ばね特性に優れたばね用ステンレス鋼材の製造方法
JPH07180000A (ja) * 1993-12-22 1995-07-18 Nkk Corp フロッピーディスクシャッター用オーステナイト系 ステンレス鋼薄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7216512A (ja) * 1994-01-31 1995-08-15 Sumitomo Metal Ind Ltd 耐応力腐食割れ性、深絞り性に優れたオーステナイトステンレス鋼
JP3464297B2 (ja) * 1994-08-31 2003-11-05 日新製鋼株式会社 高速温間絞り成形用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およびその温間絞り成型法
JP3206631B2 (ja) * 1994-10-12 2001-09-10 日鉱金属株式会社 ロ−ル転写性に優れたオ−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
JP3839108B2 (ja) * 1996-10-14 2006-11-01 日新製鋼株式会社 打抜き後の加工性に優れた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
JP3307841B2 (ja) * 1996-10-23 2002-07-24 山陽特殊製鋼株式会社 耐塩酸性及び冷間加工性に優れたセミオーステナイト型析出硬化ステンレス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58156A (en) * 1991-07-26 1995-10-17 Nisshin Steel Co., Ltd. Stainless steel multifold pipe
EP0594866A1 (en) * 1992-04-16 1994-05-04 Nippon Steel Corporation Austenitic stainless steel sheet with excellent surface quality and production thereof
US5571343A (en) * 1993-08-25 1996-11-05 Pohang Iron & Steel Co., Ltd. Austenitic stainless steel having superior press-formability, hot workability and high temperature oxidation resistance,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691341B2 (ja) 2005-09-07
EP1156125A2 (en) 2001-11-21
JP2001323342A (ja) 2001-11-22
MY146900A (en) 2012-10-15
EP1156125B1 (en) 2006-08-30
TW500811B (en) 2002-09-01
US20020015655A1 (en) 2002-02-07
SG108254A1 (en) 2005-01-28
CN1145713C (zh) 2004-04-14
ES2270918T3 (es) 2007-04-16
DE60122618T2 (de) 2007-09-27
CN1327078A (zh) 2001-12-19
DE60122618D1 (de) 2006-10-12
KR20010105193A (ko) 2001-11-28
EP1156125A3 (en) 2002-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1511B1 (ko) 정밀 타발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US7014719B2 (en) Austenitic stainless steel excellent in fine blankability
EP2804962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ustenitic stainless steel product
JP5960809B2 (ja) 精密加工用ステンレス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2554702A1 (en) Dual phase structure stainless steel sheet and steel strip,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dual phase structure stainless steel sheet and steel strip
EP1735478B1 (en) Steel alloy for cutting details
KR0167778B1 (ko) 스프링 특성이 우수한 고강도 듀플렉스 조직 스테인레스 강스트립의 제조법
US20130294961A1 (en) Lead free free-cutting steel and its use
JPH01172524A (ja) 耐食性に優れた高延性高強度の複相組織クロムステンレス鋼帯の製造法
JPH111735A (ja) プレス打抜き加工性に優れた耐食性高強度Cu合金
JP2008038191A (ja) 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とその製造方法
KR850000558B1 (ko) 오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판(鋼板) 및 강대(鋼帶)의 제조방법
JP6635890B2 (ja) 製造性と耐食性に優れた刃物用マルテンサ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
JP2004068118A (ja) 精密打抜き加工性に優れる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
JP3503959B2 (ja) 靭性に優れた高強度ステンレス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2133833A1 (ja) メタルマスク用ステンレス鋼板
JPH07107178B2 (ja) 延性に優れた高強度複相組織クロムステンレス鋼帯の製造法
JP2005240184A (ja) 精密打抜き性に優れた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の製造方法
JPH07100822B2 (ja) 面内異方性の小さい高延性高強度の複相組織クロムステンレス鋼帯の製造法
JP2021188081A (ja) 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H07100824B2 (ja) 延性に優れた高強度複相組織クロムステンレス鋼帯の製造法
JPH0280539A (ja) 窒化用鋼素材
JPS62112761A (ja) 温間および熱間加工用工具鋼
JPH05171366A (ja) マルテンサイトステンレス鋼物体及びそれを製造する方法
JP3756286B2 (ja) 打抜き金型の摩耗が少ない冷延調質高強度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