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1205B1 - 밀폐한상부캐비닛을가지는모듈배면투사형텔레비전 - Google Patents

밀폐한상부캐비닛을가지는모듈배면투사형텔레비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1205B1
KR100421205B1 KR1019960042187A KR19960042187A KR100421205B1 KR 100421205 B1 KR100421205 B1 KR 100421205B1 KR 1019960042187 A KR1019960042187 A KR 1019960042187A KR 19960042187 A KR19960042187 A KR 19960042187A KR 100421205 B1 KR100421205 B1 KR 100421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et
upper cabinet
lower cabinet
screen
televi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2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9550A (ko
Inventor
노리아끼 네기시
히로시 호리우찌
가쯔히로 야마시따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970019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95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1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12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각 스크린 인치사이즈의 배면투사형 텔레비전(rear projection television) 마다에 이용하기 위해서 한 종류의 하우징이 형성되어 왔으며, 그러한 하우징의 인치사이즈를 변경하는 것은 불가능했었다. 따라서 생산성이 저하되었으며 비용이 증가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배면투사형 텔레비전의 상부캐비닛과 하부캐비닛을 분리하여 형성한다. 스크린과 미러를 상부캐비닛에 설치한다. 영상기기와, 구동 및 제어회로와, 투사렌즈를 포함하는 광학유닛과, 광원으로 이루어지는 텔레비전의 주요구성부는 하부캐비닛에 배치시킨다. 스크린인치사이즈가 다른 상부캐비닛과 공통의 하부캐비닛을 조립함으로써, 다양한 인치사이즈의 배면투사형 텔레비전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밀폐한 상부 캐비닛을 가지는 모듈 배면투사형 텔레비전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이하 LCD라 칭함)와 같은 영상기기와, 투사렌즈를 포함하는 광학유닛과, 광원 및 미러 등을 내장하며, 상부의 정면측에 스크린이 장착되는 배면투사형 텔레비전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유형의 배면투사형 텔레비전은 그 스크린의 깊이를 감소시켜 넓게 만들 수 있기 때문에 브라운관을 이용하는 텔레비전과 비교하여 대형화가 용이하다. 도 1에 도시된 배면투사형 텔레비전(1)은, 나무판 재료를 이용하며, 그 판형 재료를 박스형으로 형성하여 본체부(2)를 구성하며, 스크린(3)이 장착되는 스크린장착부(4)가 본체부의 정면측에 장착되며, 미러(5)를 갖춘 미러장착부(6)가 배면측에장착되며, 영상투사를 위한 영상기기와 전자부품 등을 갖춘 바닥캐비닛(7)이 본체부(2)의 하부에 일체로 장치되도록 하는 구성을 갖는다.
도 2에 도시된 배면투사형 텔레비전(1)은, 소정 모양의 금속프레임(8)이 바닥캐비닛(7) 상에 직립하도록 만들어지며, 스크린(3)을 갖춘 스크린장착부(4)와 미러(5)를 갖춘 미러장착부(6)가 프레임(8)을 앞뒤로 에워싸는 방식으로 일체로 설치되는 구성을 갖는다.
제 1예에 있어서, 스크린장착부(4)와 미러장착부(6)는 각각 나무로 만들어진 본체부(2)의 앞뒤에 장착된다. 본체부(2)의 크기와 미러장착부(6)를 포함하는 텔레비전의 전체크기는 스크린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며, 하우징의 각부는 최초 설계된 크기와 치수정밀도로 형성됨으로써, 텔레비전 스크린의 크기, 즉 인치사이즈에 의존하는 단일하우징을 제공하게 된다. 그 결과, 각 부품은 다른 인치사이즈 사이에서 호환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생산효율이 낮아질 뿐만 아니고, 나무 캐비닛인 본체부(2)의 소정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 판 두께를 두껍게 할 필요성이 있게 되므로 전체 중량이 증가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제 2예에 있어서, 금속프레임(8)을 이용하더라도, 금속프레임(8)은 텔레비전스크린의 크기에 따른 크기의 하우징으로써 설계된다. 그 결과, 다른 인치사이즈와는 전혀 호환될 수 없게 된다. 동시에, 금속프레임(8)을 이용하게 되면, 전체중량이 증가될 뿐만 아니고, 관련 부품의 수가 증가되어서 부품관리작동이 복잡하게 되는 동시에 조립작동의 효율을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 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하우징이 단일소자로써 형성되기 때문에, 스크린과 미러는 다른 구성부재가 장치되는 하우징 내의 동일한 공간 내에 장착된다. 따라서, 스크린과 미러는 하우징내부를 통하여 흐르는 공기와 접촉하게 된다. 그 결과, 스크린과 미러는 부딪히게 되는 먼지 등에 의해 오염되며, 따라서 영상표시의 질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러므로, 하우징은 텔레비전 화면의 각 인치사이즈를 충족시키도록 제조되며, 따라서 전체 구성을 간략화하고, 다양한 인치사이즈 사이에서 호환성을 개선하고 즉, 광학정밀도를 유지하면서 용이하게 제조하고, 또한 오염된 광학계부품에 의한 영상의 질저하를 방지하기 위해서, 해결되어야 할 문제점들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텔레비전 화면의 사이즈와 무관하게 공통적으로 이용되는 하부캐비닛을 갖춘 배면투사형 텔레비전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배면투사형 텔레비전의 일례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배면투사형 텔레비전의 다른 일례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배면투사형 텔레비전의 정면도.
도 4는 제 1실시예에 따른 배면투사형 텔레비전의 측면도.
도 5는 제 1실시예에 따른 배면투사형 텔레비전의 배면도.
도 6은 상부캐비닛과 하부캐비닛이 분리된 상태로 도시된 제 1실시예에 따른 배면투사형 텔레비전의 간략화된 단면도.
도 7은 배면투사형 텔레비전에서 투사렌즈의 집속(集束, focusing)원리를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제 1실시예에 이용되는 영상기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배면투사형 텔레비전의 정면도.
도 10은 제 2실시예에 따른 배면투사형 텔레비전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텔레비전 2. 본체부
4. 스크린장착부 6. 미러장착부
8. 금속프레임 11. 상부 캐비닛(cabinet)
12. 하부캐비닛 13,13a. 스크린
14. 베이스(base) 15. 미러
16. 개구 17. 플랜지부
18. LCD 19. 영상기기
20. 투사렌즈 21. 광원
22. 스피커부 23. 격벽
27,28. 공기통로 29. 연통구
31. 공기흡입구 32. 조작패널부
33,38. 그릴(grill) 40. 다이크로익 프리즘(dichroic prism)
본 발명에 따르면, 배면투사형 텔레비전은 분리되어 형성되는 상부캐비닛과 하부캐비닛을 갖추어 구성된다. 상부캐비닛은 스크린과 미러를 갖추어 구성된다. 하부캐비닛은 영상기기와, 구동 및 제어회로와, 투사렌즈를 포함하는 광학유닛과, 광원을 갖추어 구성된다. 투사렌즈의 포커스는 상부캐비닛의 선택된 사이즈에 따라 조정되며, 상부캐비닛은 하부캐비닛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구성에 덧붙여서, 상부캐비닛은 투사렌즈와 대면하는 그 바닥부에 개구가 장치되며 모든 면이 둘러싸인 박스형으로 형성되며, 하부캐비닛은 공기흡입구로부터 흡입된 외부공기를 이용하여 내부를 냉각시키기 위해서 그 정면측에 공기흡입구가 장치되며 공기를 배출하기 위해서 그 배면측에 공기흐름통로가 설치되며, 공기흡입구에 필터가 분리가능하게 배치되며, 광원장착부는 하부캐비닛의 정면측에 장치되며, 광원은 광원장착부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된다.
배면투사형 텔레비전은 상부캐비닛과 하부캐비닛으로 분리가능하도록 형성된다. 텔레비전용 주요구성부는 하부캐비닛에 설치되며, 스크린 및 미러는 상부캐비닛에 설치된다. 따라서 하부캐비닛은 텔레비전 화면의 인치사이즈와 무관하게 공통적으로 이용될 수 있게 된다. 상부캐비닛은 텔레비전 화면의 인치사이즈로 형성되며, 투사렌즈의 포커스를 변경시킴으로써 다양한 텔레비전화면의 인치사이즈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적절한 상부캐비닛을 선택하게 되면, 다양한 인치사이즈의 배면투사형 텔레비전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본 발명은 배면투사형에 적용된다. 그러나, 여기에서는, 일례로써 액정 배면투사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제 1실시예의 액정 배면투사형 텔레비전은 그 중앙부분에서 분리가능하도록 상부캐비닛(11)과 하부캐비닛(12)으로 형성된다.
상부캐비닛(11)과 하부캐비닛(12)은 서로 독립적으로 형성되며, 상부캐비닛(11)이 하부캐비닛(12)에 조립되도록 구성된다.
상부캐비닛(11)에는 그 정면측에 직사각형 프레임부(11a)가 형성되며, 스크린(13)이 그 프레임부에 장착된다. 상부캐비닛은 상면벽(11b)과, 2개의 측면벽(11c)과, 배면벽(11d)과, 바닥벽(11e)에 의해 전체적으로 비어있으며 밀폐된 박스형태로 형성되며, 배면벽(11d) 내측에 장착되는 미러(15)와 그 사이에 끼워진베이스(14)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면벽(11b)과, 2개의 측면벽(11c)과, 바닥벽(11e)이 전체로써 배면측을 향하여 경사지며, 특별히, 배면벽(11d)은 정면측에 장착된 스크린(13)과 이하에 설명될 투사렌즈에 의한 영상의 반사 사이에서 미리 설정된 위치관계를 고려하여 사전에 계산된 경사각도로 형성된다. 미러를 장착하기 위한 베이스(14)는 경사진 배면벽(11d) 내측에 형성된다. 베이스(14)는 베이스(14)에 장착된 미러(15)의 경사각이 미세하게 조정될 수 있도록 한다.
베이스(14)가 그 스스로 미세조정하기 위한 구성을 갖는 것은 필수적인 것이 아니다. 예를들어 미러(15)를 운반하는 베이스(14)에는 고정력에 의해 그 장착각이 조정되도록 하기 위해 비스(vis)나 볼트 등의 장착부재에 끼워넣어지는 스프링이나 고무나 스폰지 등의 탄성부재가 장착되어도 좋다.
바닥벽(11e)에는 이하에 설명될 투사렌즈와 거의 중앙부에서 대면하게 되는 개구(16)가 형성되며, 개구(16)는 상부캐비닛(11)의 유일한 개구이다. 상부캐비닛(11)과 하부캐비닛(12)을 연결하기 위한 플랜지부(17)는 바닥벽(11e)의 일부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설명된 바와같이 상부캐비닛(11)에 설치되는 스크린(13)과 미러(15)를 제외한 액정 배면투사형 텔레비전에 필요한 모든 장치는 하부캐비닛(12)에 설치된다. 예를들어, 3개의 LCD(18)와, 구동회로를 포함하는 영상기기(19)와, 투사렌즈(20)는 주요구성부로써 하부캐비닛(12)의 거의 중앙에 배치된다. 광원(21)은 중앙부의 좌측 또는 우측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된다(본 실시예에서는 정면에서볼때 우측에 설치됨).
스피커부(22)는 좌우측에 설치된다.
LCD(18)는 3개의 (RGB) 소형/고선명도 폴리실리콘 TFT액정패널(1.35인치/512,880도트)을 이용하여 고화질을 이루며, 투사렌즈(20)와 함께 소위 광학유닛을 구성한다. 예를들어, 구동회로는 요구되는 다수의 전자구성부품이 탑재된 프린트기판을 이용하여 장치된다. 광원(21)으로써는, 예를들어 고성능 고휘도 방전램프(100W의 HID램프)가 이용된다. 그것은 전체로써 카트리지 식으로 구성함으로써, 정면측으로부터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게 된다.
그러한 주요구성부는 하부캐비닛(12)에서 격벽(23)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24)내에 수납된다. 투사렌즈(20)는 격벽(23)의 상부에 설치된 관통구멍(23a)으로부터 약간 돌출되는 상태로 수납됨으로써, 집속작동은 격벽(23)의 외부에서 실행될 수 있다.
내부공간(24)에서, 배면측 공기통로(27)와 정면측 공기통로(28)는 비스듬하게 배치된 지지판(25)과 그 배면측에 설치되며 세로방향(정면에서 볼때는 좌우방향)에 오목부를 갖는 격벽판(26)에 의해 형성된다. 공기통로(27, 28)는, 거의 중앙에서 소정 사이즈의 연통구와 팬(30)을 통하여 서로에게 연통됨으로써, LCD(18)와, 영상기기(19)와, 광원(21)등을 냉각시킨다.
즉, 3개의 LCD(18)를 포함하는 영상기기(19)는, 지지판(25)의 거의 중앙부의 연통구(29) 근처에서 장착되고 지지된다. 배면측 공기통로(27)는 정면측 상에의 소정위치(정면에서 볼때 좌측)에 설치되는 공기흡입구(31)와 연통된다. 팬(30)을 구동함으로써, 외부공기가 공기흡입구(31)로부터 배면측 공기통로(27)를 통해서 흡입된다.
외부공기는 연통구(29)로 들어와서 정면 측 공기통로(28)로 보내진다. 그 결과 3개의 LCD(18)와 영상기기(19)를 외부공기와 접촉시킴으로써, 계속적으로 적절하게 냉각시킨다.
LCD(18)와 영상기기(19)를 냉각한 후에, 정면측 공기통로(28)로 보내진 외부공기는 그들의 아랫방향으로 설치된 광원(21)의 외측과 접촉하게 되고, 광원(21)으로부터의 열을 제거한 후에 외측으로 배출된다. 그러한 배출은 하부캐비닛(12)의 배면측에서 행해진다.
공기흡입구(31)에는 적절한 필터가 분리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공기중의 연기나 먼지 등을 제거한다. 이 필터가 흡입된 공기를 정화함으로써, 내부공기통로 및 여러 장치에 오염이 생기지 않게 된다.
조작패널부(32)는 하부캐비닛(12)의 정면부상의 중앙 근처에 장착되어서, 수동식으로 다양한 작동을 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원격조정에 의해서 작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광원(21)과, 스피커부(22) 및 공기흡입구(31)는, 정면측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장식용 그릴(33)을 이용하여 그들을 전체적으로 덮음으로써 가리워짐으로써, 전체적으로 더 나은 외관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설치된 액정 배면투사형 텔레비전을 이동시키거나 움직이지 않고도, 정면측의 그릴(33)을 제거함으로써 광원(21)이나 공기흡입구(31)의 필터를 새로운 것으로 교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영상신호를 배속으로 처리하기 위한 하이비젼 신호입력회로와 수평방향 고화질을 이루기 위한 회로를 포함하는 다양한 회로(34)가 하부캐비닛(12)내의 격벽(23)의 배면측에 설치된다. 배면커버(35)는 그러한 회로를 보호하고 상부캐비닛(11)과 연결하도록 하기 위해 설치된다.
배면커버(35)는, 예를들어 비스 등의 장착부재(36)를 이용하여 하부캐비닛(12)상의 여러 위치에 견고하게 설치된다. 배면커버(35)는 다수의 장착부재(37)를 이용하여 상부캐비닛(11)의 상측에지부에 견고하게 장착된다. 배면커버(35)에는 그 측면 및 배면 상에 다수의 그릴(38)이 형성됨으로써, 격벽과의 사이에서 형성되는 공간을 통하여 공기가 흐르게 된다. 또한, 배면커버(35)의 일부에 개구가 설치되며, 단자(39)가 그 개구에 면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안테나와 같은 외부장치나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설명된 바와같이, 액정 배면투사형 텔레비전에 있어서, 스크린(13)과 반사미러(15)를 포함하는 상부캐비닛(11)과, 텔레비전에 요구되는 장치 및 회로를 포함하는 하부캐비닛(12)이 분리되어 형성됨으로써, 상부캐비닛(11)의 스크린사이즈가 하부캐비닛(12)에 대하여 임의로 선택될 수 있게 된다.
즉, 예를들어 37인치, 50인치나 그 이상의 스크린사이즈의 상부캐비닛(11)은 공통의 하부캐비닛(12)과 함께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단순히 상부캐비닛(11)을 변화시킴으로써 다른 사이즈를 갖는, 소위 인치사이즈가 다른 텔레비전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에, 이용되는 인치사이즈의 시스템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광학시스템을 조정하기만 하면 된다.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텔레비전의 인치사이즈가 변경되는 것은 투사렌즈(20)를 통한 영상빔의 집속위치에 있어서의 증가나 감소를 의미한다. 예를들어, 투사렌즈(20)로부터의 집속위치는 37인치의 스크린(13)과 50인치의 스크린(13a)에 대하여 다르게 될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집속위치를 얻기 위해서 투사렌즈(20)를 조정하기만 하면 된다.
상부캐비닛(11)이 장착되고 결합되기 전에 투사렌즈(20)를 작동함으로써 하부캐비닛(12)에 설치되는 투사렌즈(20)의 포커스는 외부에서 조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37인치의 스크린(13)과 50인치의 스크린(13a) 등에 포커스를 조정함으로써, 상부캐비닛(11)의 스크린의 인치사이즈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 경우에, 투사렌즈(20)의 포커스 조정이 도 8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다수의 LCD(18)는, 빛의 3원색을 제공하는 적색광 액정판(18a)과, 녹색광 액정판(18b)과, 청색광 액정판(18c)으로 구성된다. 한 스크린상의 모든 색은 이들 3개의 액정판을 이용하여 합성된다. 이들 액정판이나 LCD는 그 중앙에 배치되는 다이크로익 프리즘(40)을 갖추어 거의 U자형으로 배치된다.
다이크로익 프리즘(40)은 상기 설명된 각 색의 액정판(18a, 18b, 18c)과 콘덴서렌즈(도시생략)를 통하여 투과된 광의 색을 1개의 화면 상에 컬러영상으로 합성한다. 컬러영상은 각 색의 액정판(18a, 18b, 18c)이 배치되지 않은 측으로부터 투사되며, 투사렌즈(20)는 투사가 실행되는 측에 배치된다. 이들 구성부품은 투사렌즈(20)와 함께 영상기기(19)를 구성하는 유닛을 형성한다.
포커스조정은 투사렌즈(20)상에서 다이크로익 프리즘(40)에 의해 소정위치(거리)에 투사되는 컬러영상을 형성함으로써 실행된다. 예를들어, 투사렌즈(20)의 프레임부(20a)를 쥐고 시계방향으로 돌림으로써 집속거리를 짧게 하며, 반시계방향으로 돌림으로써 집속거리를 길게 한다.
도 7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포커스조정의 정밀도는, 그 위치에서 우선 작동하도록 기동되는 프레임부(20a)의 스토퍼를 이용하여 37인치 스크린(13)상의 포커스를 미리 설정함으로써, 또한 예를들어 50인치 스크린(13a)상의 포커스를 조절하도록 주어지는 프레임부(20a)를 돌림으로써 도달되는 위치에서 작동하는 다른 스토퍼를 기동함으로써 더 나은 작동성으로 개선된다. 이 경우에 스토퍼로써, 예를들어 클릭의 형태로 명백해지는 소정의 회전으로 체결 및 이탈하도록 적용되는 기구가 사용되는 것이 좋다.
한편, 텔레비전의 인치사이즈의 차이는 상부캐비닛의 사이즈에 있어서의 차이를 의미한다. 예를들어, 기준사이즈가 37인치라고 가정한다면, 상부캐비닛은 50인치의 더 큰 사이즈로 형성된다. 그러한 예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로써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다.
제 2실시예에서, 상기 설명된 제 1실시예에서와 동일한 하부캐비닛(12)이 이용된다. 상부캐비닛(11)은 전체사이즈가 다르다는 점에서만 다르며, 그 구성부품은 변경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기 때문에, 구성부품은 동일한 도면부호로 주어지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부캐비닛(11)이 텔레비전사이즈의 개념으로 50인치일때에는, 스크린(13a)은 37인치 스크린(13)보다 넓게 형성되며, 따라서 상부캐비닛(11)은 더 크게 형성된다. 그러므로, 상부캐비닛(11)은 전체적으로 하부캐비닛(12)으로부터 튀어나온 상태로 된다.
그러나, 그 내부가 상기 설명된 제 1실시예와 동일하게 그 안에 반사미러(15)만을 갖추고 비어 있으며 개구(16)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전체중량이 상당히 증가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투사렌즈(20)의 포커스는 공통하부캐비닛(12)상에 놓이는 상부캐비닛(11)의 인치사이즈에 기초하여 설정되며, 그후에 상부캐비닛(11)을 하부캐비닛(12) 상에 놓고 일체로 조립한다.
그렇게 할 경우에, 상부캐비닛(11)은 4방의 수평방향으로 균형을 이룬 상태로 튀어나오도록 유지될 수도 있다. 또는, 좌우방향으로는 균형을 잡고 있으며, 전후방향으로는 정면부 또는 배면부를 향하여 기울어지는 상태로 튀어나오도록 유지되는 것도 좋다. 어떠한 경우에도, 개구(16)나 연결용 플랜지부(17) 등의 위치관계를 고려하면서 상부캐비닛(11)과 하부캐비닛(12)을 조립하고 결합할때, 상부캐비닛(11)의 하면 모양이 하부캐비닛(12)의 상면과 바람직하게 끼워맞춰지도록 형성되기만 하면 충분하다.
함께 조립되어 있을때, 상부캐비닛(11)과 하부캐비닛(12) 각각은 실질적으로 구분된 상태로 있다. 특별히, 상부캐비닛이 외부와 막혀있기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먼지가 상부캐비닛(11)으로 진입하지 못한다. 따라서 스크린(13 또는 13a) 및 미러(15)가 먼지로 오염되는 것을 실질적으로 막을 수 있으며, 따라서 장기간동안 사용한 후에도 영상을 선명하게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투사렌즈(20)는 하부캐비닛(12)상에 장착되며, 그 포커스는 회전시스템, 쥼시스템 등을 이용하여 자유롭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들어, 스크린의 정확한 거리를 미리 계산 또는 측정하고, 37인치의 집속위치 및 50인치의 집속위치를 정밀하게 설정하고, 그들 각 위치를 눈금으로써 표시하고, 찰칵하는 클릭감을 가지고 그들 각 위치에 위치결정하도록 소정의 스토퍼기구를 장치하는, 그러한 구성이 이용되어도 좋다.
투사렌즈(20)의 포커스를 소정의 위치에 위치결정되도록 하는 상기와 같은 구성 때문에, 포커스는 상부캐비닛(11)의 각 인치사이즈에 적합하도록 신속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어떠한 변경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하부캐비닛(12)과 상부캐비닛(11)을 적절하게 조립할 수 있게 되며 즉, 다른 인치사이즈의 텔레비전을 정확하고도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실제사용중인 37인치 텔레비전을 50인치 텔레비전으로 바꾸기를 희망할 경우에, 사용자는 37인치의 설정위치로부터 50인치의 설정위치로 투사렌즈(20)의 설정위치를 변경한 후에, 상부캐비닛(11)을 구입하고 그것을 조립함으로써 쉽고도 저렴하게 텔레비전의 사이즈를 바꿀수 있다.
상기 설명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정 배면투사형 텔레비전은, 상부캐비닛과 하부캐비닛이 분리되어 형성되며, 적어도 스크린과 미러가 상부캐비닛에 설치되며, 적어도 영상기기와, 구동 및 제어회로와, 투사렌즈를 포함하는 광학유닛과, 광원을 포함하는 주요구성부가 하부캐비닛에 설치되며, 상부에 세트된 상부캐비닛의 사이즈는 투사렌즈의 포커스를 조정함으로써 선택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하부캐비닛은 다른 스크린사이즈의 텔레비전에 공통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캐비닛을 적절한 스크린사이즈로 바꾸기만 하면 다양한 스크린 사이즈의 텔레비전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됨으로써, 개선된 생산성과 충분한 비용절감이 이루어지는 상당한 잇점이 발생한다.
또한, 상부캐비닛은 투사렌즈와 대면하는 그 바닥면에 개구를 설치하면서 모든 부분을 에워싸는 박스형태로 형성되므로, 상부캐비닛을 하부캐비닛과 조립할때, 상부캐비닛은 전체적으로 외부로부터 밀폐되므로, 외부로부터의 먼지진입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스크린과 미러가 오염되지 않으며, 장기간 사용하는 동안 깨끗한 화면표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상당한 잇점이 있다.
또한, 하부캐비닛에는, 공기흡입구로부터 삽입된 외부공기에 의해 내부를 냉각시키기 위해 정면측에 설치되는 공기흡입구와, 공기를 배출하기 위해 배면측에 설치되는 공기흐름통로와, 공기흡입구에 분리가능하게 배치되는 필터가 설치된다. 따라서, 주요구성부는 열에 의한 파괴로부터 보호되며, 텔레비전이 설치된 위치를 이동시키거나 움직이지 않고도 필터를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게 된다는 상당한 잇점이 발생된다.
또한, 광원장착부가 하부캐비닛의 정면측에 설치되며, 광원이 광원장착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성이 이용된다. 따라서, 텔레비전이 설치되어 있는 위치를 이동시키거나 움직이지 않고도 광원교환을 쉽게 할 수 있게 된다는 상당한 잇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본 기술분야의 기술자에 의해 보다 넓은 태양으로 변경 및 수정이 행하여질 수 있음은 당연하며,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진의 및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경 및 수정을 그 범위내로 포함한다.

Claims (9)

  1. 스크린과 미러가 설치되며 공기 배출구가 없는 상부 캐비닛과,
    영상기기와, 구동 및 제어회로들과 투사렌즈를 갖춘 광학유닛과 팬과 공기 흡입구와 배출구를 수용하는 하부 캐비닛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캐비닛과 상기 하부 캐비닛은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투사렌즈의 포커스는 가변 가능하게 조정되도록 적용되어 상기 상부 캐비닛의 미리 정해진 수의 표준 화면의 선택된 크기 상에 포커스 되고, 상기 상부 캐비닛이 상기 하부 캐비닛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상부 캐비닛은 상기 투사렌즈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렌즈 개구를 가지는 바닥벽을 가짐으로써 상기 상부 캐비닛이 상기 하부 캐비닛에 부착될 때 상기 하부 캐비닛으로 밀봉되어 먼지가 상기 상부 캐비닛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한 상부 캐비닛을 가지는 모듈 배면투사형 텔레비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캐비닛은 전면측에 위치된 공기 흡입구와 상기 공기 흡입구에서 취한 외부공기를 상기 하부 캐비닛의 내부를 통해서 흐르고 상기 하부 캐비닛을 서늘하게 하도록 배면측에서 배출되는 공기통로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한 상부 캐비닛을 가지는 모듈 배면투사형 텔레비전.
  3. 제 2항에 있어서,
    필터를 상기 공기흡입구에 분리가능하게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한 상부 캐비닛을 가지는 모듈 배면투사형 텔레비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캐비닛은 그 정면측에 광원장착부를 갖추어 구성되며 상기 광원은 상기 광원장착부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한 상부 캐비닛을 가지는 모듈 배면투사형 텔레비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캐비닛은 상면벽과, 측면벽과, 배면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한 상부 캐비닛을 가지는 모듈 배면투사형 텔레비전.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벽은 상기 상부 캐비닛의 정면측에 장착된 상기 스크린과 상기 투사렌즈로부터 투사된 영상의 반사 사이에 관계에 의해 결정된 경사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한 상부 캐비닛을 가지는 모듈 배면투사형 텔레비전.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는 상기 배면벽의 내측면상에 장착되며, 상기 미러의 경사는 조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한 상부 캐비닛을 가지는 모듈 배면투사형 텔레비전.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캐비닛의 정면측에 스피커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한 상부 캐비닛을 가지는 모듈 배면투사형 텔레비전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캐비닛의 정면측에 스피커와, 공기흡입구와 광원이 설치되며, 이들이 그릴에 의해 덮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한 상부 캐비닛을 가지는 모듈 배면투사형 텔레비전.
KR1019960042187A 1995-09-29 1996-09-24 밀폐한상부캐비닛을가지는모듈배면투사형텔레비전 KR1004212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525,110 1995-09-08
JP95-263561 1995-09-18
JP25299495A JP3381181B2 (ja) 1995-09-29 1995-09-29 液晶リアプロジェクションテレビ
JP95-252994 1995-09-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9550A KR970019550A (ko) 1997-04-30
KR100421205B1 true KR100421205B1 (ko) 2004-06-16

Family

ID=17245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2187A KR100421205B1 (ko) 1995-09-29 1996-09-24 밀폐한상부캐비닛을가지는모듈배면투사형텔레비전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929945A (ko)
EP (1) EP0766465B1 (ko)
JP (1) JP3381181B2 (ko)
KR (1) KR100421205B1 (ko)
CN (1) CN1075318C (ko)
AT (1) ATE192621T1 (ko)
DE (1) DE69608058T2 (ko)
PL (1) PL182027B1 (ko)
RU (1) RU2180990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69635B2 (en) * 2000-12-07 2005-11-29 Reflectivity, Inc. Methods for depositing, releasing and packaging micro-electromechanical devices on wafer substrates
JP3659271B2 (ja) * 1995-10-03 2005-06-15 ソニー株式会社 背面投射型映像装置
US6962419B2 (en) 1998-09-24 2005-11-08 Reflectivity, Inc Micromirror elements, package for the micromirror elements, and projection system therefor
JP2001054039A (ja) * 1999-08-06 2001-02-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投射型テレビジョン受信機
KR20010012043A (ko) * 1999-11-23 2001-02-15 주국문 낙뢰 카운트 장치
US6921174B1 (en) 2000-01-27 2005-07-26 Thomson Licensing, S.A. Projection television cabinet having a one-piece reference structure
JP2002006394A (ja) * 2000-06-26 2002-01-09 Olympus Optical Co Ltd マルチディスプレイ装置
US7167297B2 (en) * 2000-08-30 2007-01-23 Reflectivity, Inc Micromirror array
US6565214B1 (en) * 2000-08-31 2003-05-20 Mitsubishi Digital Electronics America, Inc. Enclosure for projection television sets
JP2004511813A (ja) * 2000-09-12 2004-04-15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情報を表示するシステム、方法、および装置
US6856459B1 (en) * 2000-12-22 2005-02-15 Cheetah Omni,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larization of an optical signal
US7023606B2 (en) * 2001-08-03 2006-04-04 Reflectivity, Inc Micromirror array for projection TV
KR100416001B1 (ko) 2001-08-16 2004-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KR20030022480A (ko) * 2001-09-10 2003-03-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음극선관을 이용한 화상 표시장치
US20030063227A1 (en) * 2001-10-03 2003-04-03 Whitelaw Jeffrey G. Integrated modular projection television system
JP2003274314A (ja) * 2002-03-13 2003-09-26 Seiko Epson Corp リアプロジェ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978163B1 (ko) * 2002-04-26 2010-08-25 톰슨 라이센싱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경량 외피를 위한 장치 및 방법
TW549473U (en) * 2003-01-13 2003-08-21 Coretronic Corp Casing structure for rear projection apparatus
US7042622B2 (en) * 2003-10-30 2006-05-09 Reflectivity, Inc Micromirror and post arrangements on substrates
CN1582105B (zh) * 2003-08-04 2010-05-26 三星电子株式会社 显示装置及其方法
FR2861244B1 (fr) * 2003-10-17 2006-01-20 Sagem Appareil de television a projection par l'arriere, et procede pour sa production
CN100375510C (zh) * 2003-12-26 2008-03-12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数字光显背投的大反射镜固定装置及方法
US20050168707A1 (en) * 2004-01-30 2005-08-04 Feldpausch Thomas G. Convertible projection assembly and method
DE602005009168D1 (de) * 2004-05-04 2008-10-02 Thomson Licensing Struktur zum anbringen einer licht-engine in einer projektionsanzeige
KR100577425B1 (ko) * 2004-05-08 2006-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젝션 텔레비전
WO2005109871A1 (en) * 2004-05-08 2005-11-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ojection television
JP2005326434A (ja) * 2004-05-12 2005-11-24 Hitachi Ltd 反射ミラー及びそれを用いた背面投射型映像表示装置
KR20060011335A (ko) * 2004-07-30 2006-02-03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젝션 텔레비전
TWI246327B (en) * 2004-09-10 2005-12-21 Coretronic Corp A modular rear projector and a combination structure used in a rear projector
JP2006098479A (ja) * 2004-09-28 2006-04-13 Orion Denki Kk 背面投写型映像装置
JP2006126436A (ja) 2004-10-28 2006-05-18 Orion Denki Kk 背面投写型映像装置
EP1666966A1 (en) * 2004-12-03 2006-06-07 Corectronic Corporation Modular rear projection display with insulated plate
US7429983B2 (en) 2005-11-01 2008-09-30 Cheetah Omni, Llc Packet-based digital display system
TWM291661U (en) * 2005-12-12 2006-06-01 Coretronic Corp Fixing mechanism
JP2007271841A (ja) * 2006-03-31 2007-10-18 Hitachi Ltd 表示装置
JP4316631B2 (ja) * 2007-04-12 2009-08-19 三菱電機株式会社 背面投写型表示装置
JP2009192601A (ja) * 2008-02-12 2009-08-27 Mitsubishi Electric Corp プロジェクションテレビ
JP5473644B2 (ja) * 2010-02-04 2014-04-16 三菱電機株式会社 映像投射装置
JP6860701B2 (ja) * 2018-01-26 2021-04-21 マクセル株式会社 投写型映像表示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3533A (ja) * 1991-11-29 1993-06-18 Fujitsu General Ltd 投写形デイスプレイ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91872A (en) * 1981-01-26 1985-01-01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Ultra-compact projection television receiver
GB2138160A (en) * 1983-03-11 1984-10-17 Jmc Compak Limited Rear projection display apparatus
CN2135219Y (zh) * 1992-07-15 1993-06-02 蚌埠市伤残人工艺厂 一种电视投影装置
CN2134762Y (zh) * 1992-08-24 1993-05-26 王立华 电视投影两用机
US5514036A (en) * 1994-08-09 1996-05-07 Macase Of Georgia, Inc. Disk drive within a cabinet, with a filter element structur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3533A (ja) * 1991-11-29 1993-06-18 Fujitsu General Ltd 投写形デイスプレ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180990C2 (ru) 2002-03-27
JPH0998357A (ja) 1997-04-08
ATE192621T1 (de) 2000-05-15
DE69608058D1 (de) 2000-06-08
CN1155812A (zh) 1997-07-30
DE69608058T2 (de) 2001-01-11
CN1075318C (zh) 2001-11-21
PL316329A1 (en) 1997-04-01
KR970019550A (ko) 1997-04-30
JP3381181B2 (ja) 2003-02-24
EP0766465A1 (en) 1997-04-02
PL182027B1 (pl) 2001-10-31
EP0766465B1 (en) 2000-05-03
US5929945A (en) 1999-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1205B1 (ko) 밀폐한상부캐비닛을가지는모듈배면투사형텔레비전
WO1996030805A1 (fr) Affichage par projection
JP2001209126A (ja) 投写型表示装置
US7014321B2 (en) Illumination device, projector
JP2001222066A (ja) プロジェクタ装置
KR100361177B1 (ko) 액정 프로젝터
US5666171A (en) Liquid crystal image projector
JP2785737B2 (ja) プロジェクタ
JP3793976B2 (ja) リアプロジェクションテレビ
JP3321791B2 (ja) 液晶リアプロジェクションテレビ
JP3000977B2 (ja) プロジェクタ
JP2006330476A (ja) 投射型表示装置の光学ユニット
JP2000330202A (ja) 投写型表示装置
JP2001092009A (ja) プロジェクタ装置
JPH11231418A (ja) 投写型表示装置
JP3050212B2 (ja) プロジェクタ
JP2836619B2 (ja) プロジェクタ
JP3603647B2 (ja) 投写型表示装置
JP4590671B2 (ja) プロジェクタ装置
JP3460564B2 (ja) 投写型表示装置
JP3033545B2 (ja) プロジェクタ
JP2836524B2 (ja) プロジェクタ
JP2743948B2 (ja) ビデオプロジェクタ
JP3201398B2 (ja) プロジェクタ
JP2008145962A (ja) リアプロジェクショ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