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0289B1 - 러닝휠블록 - Google Patents

러닝휠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0289B1
KR100420289B1 KR10-1998-0702722A KR19980702722A KR100420289B1 KR 100420289 B1 KR100420289 B1 KR 100420289B1 KR 19980702722 A KR19980702722 A KR 19980702722A KR 100420289 B1 KR100420289 B1 KR 100420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running wheel
running
bearing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2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4235A (ko
Inventor
에버하르트 벡커
우도 게르젬스키
빈프리트 기버스
클라우스-페터 호프만
카를 리비히
베른트 노이페르트
한스-헤르만 오스트호프
토마스 슈베플링하우스
롤란트 슈타글
카를 짜카리아스
Original Assignee
데막 크레인즈 운트 컴포넌츠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751247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420289(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claimed from DE1995140217 external-priority patent/DE19540217C1/de
Priority claimed from DE1995140216 external-priority patent/DE19540216C1/de
Priority claimed from DE1995140219 external-priority patent/DE19540219C1/de
Priority claimed from DE1995140220 external-priority patent/DE19540220C2/de
Priority claimed from DE1995140215 external-priority patent/DE19540215C1/de
Application filed by 데막 크레인즈 운트 컴포넌츠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데막 크레인즈 운트 컴포넌츠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19990064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42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0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02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9/00Travelling gear incorporated in or fitted to trolleys or cranes
    • B66C9/08Runners; Runner bearings

Landscapes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 Toy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 Handcart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 Photoreceptors In Electrophotography (AREA)
  • Heat Treatment Of Strip Materials And Filament Material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Hydraulic Control Valves For Brake Systems (AREA)
  • Rotational Drive Of Disk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 Rolls And Other Rotary Bodies (AREA)

Abstract

러닝휠 블록은 최소한 한쪽으로 돌출되는 러닝휠(104)을 수용하기 위한 슬라이드 및/또는 롤러 베어링(103)용 피벗 베어링면(102)을 가지는 하우징(101)을 가진다. 제 1변형에서 상기 하우징(101)은 상기 슬라이드 및/또는 롤러 베어링(103) 및/또는 러닝휠(104)을 제거하기 위해 최소한 한쪽으로 여러 부분들로 분해될 수 있으며 다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및/또는 롤러 베어링 및/또는 러닝휠은, 상기 하우징(301)이 부하용량을 수용하는, 대략 하우징 폭(301a) 및 러닝휠 폭(304a) 위로 연장되는 최소한 하나의 헤드 연결면(305), 측면 또는 전면 연결면(310; 311)을 갖고, 샤프트 축(307a) 방향의 한 측면(306)에서는 하중을 수용하는 하우징 부분없이 실행됨으로써, 더욱 용이하게 제거를 할 수 있다. 하우징(501)은 인터록킹 및/또는 인터피팅되는 두 쪽의 셸들(502, 503)로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러닝휠 블록
만네스만 데막 푀르더테히닉 주식회사(Mannesmann Demag Foerdertechnik AG)가 마크 "RS"를 붙여 동종의 러닝휠 블록을 제조하여 시판하고 있다. 상기 알려진 러닝휠 블록은 이밖에도 DE 31 34 750 C2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개시된 러닝휠 블록은 용접 또는 다른 방법으로 서로 결합되는 두 쪽의 베어링 하우징으로 구성되며, 베어링을 위한 안쪽으로 압축되는 피벗 베어링면을 가진다. 상기 피벗 베어링면들 안에서 상기 러닝휠의 허브가 지지된다. 이때 상기 허브를 향하는, 상기 베어링을 위한 정지면(stopping face)들은 상기 피벗 베어링면들에 인접해 있다. 상기 러닝휠은 허브를 가지고 상기 베어링 위까지 다다르고 상기 하우징 바로 위에서 지지되며, 상기 허브는 이밖에도 양쪽 외부고리들에 상기 베어링의 전면에 위치하는 스프링 고리들을 위한 고리 그루브 및 구동축의 외부 톱니를 위한 내부 톱니를 구비한 수용 파단면을 가진다.
상기 설명된 구조는 수년 전부터 실제로 유효한 것으로 증명되었다. 하지만 비용감소 및 기능향상의 필요성은 여전히 존재한다.
상기 개시된 러닝휠 블록에 있어서 단점은, 상기 러닝휠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상기 러닝휠 블록의 하중을 수용하는 프레임, 러닝기어, 지지골조(supporting framework) 등으로부터 상기 러닝휠 블록을 전체적으로 완전히 분리해야 한다는 것이다.
상기 러닝휠을 교체한 후, 나사를 이용해서 상기 러닝휠 블록 전체를 다시 상기 지지골조에 -제 1조립에서와 똑같이- 고정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러닝휠 블록의 위치는 비교적 다른 러닝휠들을 가지는 지지골조 쪽으로 조정되어야 하고, 따라서 상기 러닝휠의 회전축은 상기 러닝휠이 굴러가는 러닝휠 레일과 직각으로 연장되어 움직이게 된다. 이러한 조립과정은 위치를 조정하는데 많은 비용이 들기 때문에 시간 집약적으로 됨으로써, 기계전체가 정지하는 시간이 길어지고, 이로 인해 비용 집약적으로 된다. 상기한 위치조정 과정이 실시되지 않을 경우, 상기 러닝휠들은 상기 러닝휠 레일 위를 비스듬히 달리게 됨으로써, 가루가 생기고 비교적 빨리 마모될 우려가 있다. 이밖에도 브리지 크레인(bridge crane)을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브리지 크레인의 주행이 편향된 주행, 부딪침 및 휠 플랜지 마모에 의해 심하게 방해받을 위험이 있다. 더욱이 편향된 주행각도가 커지면서, 작동 스트레스(operation stress)때문에 상기 지지골조 등에 부담을 주는 측력(側力)이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점은 DIN 15018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상기 러닝휠 블록은 사용범위(적재하중, 자동차 종류, 크레인 종류 및 이와 같은 종류)에 따라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는 제조원가, 조립시간 등이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 제 1항, 제 4항, 제 6항, 제 9항 및 제 12항의 전제부에 의한 러닝휠 블록에 관한 것이다.
도 1a는 측면방향으로 본 전체 러닝휠의 정면도.
도 2a는 전면 연결면방향으로 본 도 1에 속하는 측면도.
도 3a는 헤드 연결면방향으로 본 평면도.
도 4a는 도 1a의 선 AB-AB에 의한 단면도.
도 5a는 도 1a의 절단표시 AC-AC에 의한 횡단면도.
도 6a는 도 1a의 절단표시 AA-AA에 의한 횡단면도.
도 7a는 러닝휠 블록의 아래에서 올려다 본 도면.
도 8a는 지주, 주행골조 등에 고정된 러닝휠 블록의 측면을 향해 바라본 측면도.
도 9a는 도 8a의 절단표시 AD-AD에 상응하는 횡단면도.
도 10a는 상기 지주, 주행골조 등의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상기 부하수용 볼트(load-bearing bolt)들 높이의 횡단면도.
도 11a는 측면에 고정되어 옆으로 고정되는 러닝휠 블록의 도면.
도 12a는 도 11a의 선 AG-AG에 의한 단면도.
도 1b는 러닝휠 블록의 측면도.
도 2b는 부분적으로 해부된 도 1b와 같은 측면도.
도 3b는 하나의 실시예인 러닝휠 블록의 축방향 종단면도.
도 4b는 다른 실시예인 러닝휠 블록의 축방향 종단면도.
도 5b는 또 다른 실시예로 도 3b 및 도 4b와 같은 러닝휠 블록의 축방향 종단면도.
도 6b는 스페이서의 평면에서 본 러닝휠 블록의 횡단면도.
도 7b는 부하수용 볼트들을 이용하여 지지골조에 고정되는 러닝휠 블록의 횡단면도.
도 8b는 위치가 바뀐 결합수단을 가지는 도 1b 및 도 2b와 같은 측면도.
도 9b는 도 8b에 의한 중앙-횡단면도.
도 10b는 지지골조, 지주, 주행골조 등에 상기 러닝휠 블록을 고정하기 위한 실시예의 도면.
도 1c는 샤프트 축방향으로 본 상기 러닝휠 블록 전체의 전면도.
도 2c는 도 1c에 해당하는 평면도.
도 3c는 상기 러닝휠 블록의 전면도.
도 4c는 도 3c 의 중앙평면의 종단면도.
도 1d는 측면방향으로 본 전체 러닝휠 블록의 정면도.
도 2d는 도 1d에 해당하는 평면도.
도 3d는 전면 연결면방향으로 본 상기 러닝휠 블록의 측면도.
도 4d는 상기 러닝휠 블록의 제 1대안 실시예의 축방향 횡단면도.
도 5d는 제 2대안 실시예의 축방향 횡단면도.
도 6d는 제 3대안 실시예의 축방향 횡단면도.
도 7d는 제 2대안 실시예에 대한 도 1d와 같은 정면도.
도 8d는 도 7d에 의한 축방향 횡단면도.
도 9d는 도 7d 및 도 8d에 의한 상기 러닝휠 블록의 평면도.
도 1e는 측면방향으로 본 상기 러닝휠 블록의 전면도.
도 2e는 도 1e의 절단표시 EA-EA에 의한 러닝휠 블록의 축방향 횡단면도.
도 3e는 두 개가 서로 인접한 하우징 셸들, 예를 들어 두 쪽의 하우징 셸들의 평면에서 본 러닝휠 블록의 중앙 단면도.
도 4e는 상기 러닝휠 블록의 평면도.
도 5e는 상기 러닝휠 블록의 측면도.
도 6e는 도 1e의 절단표시 EB-EB에 의한 횡단면도.
도 7e는 상기 축의 평면으로부터 기울어진 평면에서 본 도 1e의 절단표시 EC-EC에 따른 횡단면도.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발전된 러닝휠 블록을 만듦으로써 제조 및 조립 비용을 최소화하며, 앞에서 언급한 공지의 러닝휠 블록의 단점을 방지하여 상기 러닝휠 블록의 유용성을 높이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은 특허청구범위 제 1항에 따른 제 1변형에서, 블록형 하우징이 부하용량을 수용하는, 대략 하우징 폭 또는 러닝휠 폭 위로 연장되는 최소한 하나의 헤드 연결면(head connecting surface)을 가짐으로써 달성되는데, 상기 헤드 연결면의 측면에는 하우징 및 상기 러닝휠 블록과 결합되는 지지골조, 지주, 주행골조 사이를 연결하는 수단이 배열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지지골조로부터 상기 하우징을 분리할 필요 없이 상기 러닝휠 및/또는 베어링을 교체할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마모된 부분을 교체하는 것에 이어서 이루어지는 시간 및 비용 집약적 위치 조절과정이 생략된다. 상기 하우징은 계속해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골조 등에 위치 조절된 상태를 원하는 동안 유지한다.
이밖에도 상기 블록형 하우징을 해당하는 지주 또는 주행골조로부터 더 이상 분리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분리 가능한 결합수단 이외에도 분리가 불가능한 결합수단도 사용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신개발된 러닝휠 블록을 부속품들로 완전히 분해하여 재활용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이는 특히 상승하는 폐기물 처리비용 및 재료별로 분리된 폐기물 처리면에서 유리하다.
다른 특징들에 의하면, 상기 헤드 연결면 및/또는 하나의 측면 및/또는 전면 연결면은 얹히는 부분면들 및 얹히지 않은 부분면들로 나뉜다. 따라서 힘의유입(introduction)이 종전보다 더 명확해지고, 이는 러닝휠 블록을 제조할 때 절삭량 또는 절삭체적을 현저히 절약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얹히는 부분면은 나뉘지 않는다는 것, 즉 분할선(parting line)을 전혀 가지지 않는다는 점은 바람직하다. 상기 면은 부분면들이 다수 또는 클 경우보다 재료가 단일하고 부분면들이 연결면들보다 작을 경우에 더 정확하게 수평을 이룬다. 게다가 상기 비교적 작은 부분면들에 의해 힘이 명확하게 연결구조 안으로 유입된다. 이것은 힘의 흐름이 알려져 있을 때, 상기 연결구조를 가장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게 해준다.
상기 목적은 특허청구범위 제 4항에 따른 제 2변형에서, 상기 하우징이 양쪽으로 배열된 뚜껑 및 두 개의 뚜껑들을 원주섹션에 결합시키는 부하용량을 수용하고, 상기 하우징 폭 또는 상기 러닝휠 폭 위로 연장되는 최소한 하나의 헤드 연결면을 가지는 최소한 하나의 스페이서(spacer)로 구성되고, 상기 헤드 연결면에 지지골조, 지주, 주행골조 등과의 결합수단들이 장착되며, 상기 뚜껑들이 상기 뚜껑 허브들 위 또는 안에서 양쪽으로 대략 상기 러닝휠의 폭 또는 러닝휠 허브로 끝나는 피벗 베어링을 지지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변형에서는 상기 하우징을 지지골조로부터 분리할 필요 없이 상기 러닝휠 및/또는 베어링을 교체할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마모된 부분을 교체한 후 바로 이어지는 시간 및 비용 집약적인 위치조정과정이 생략되고, 상기 하우징은 계속해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골조 등에 위치 조절된 상태를 원하는 동안 유지한다. 이밖에도 분리 가능한 결합수단 이외에도 분리가 불가능한 결합수단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블록형 하우징을 해당하는 지지골조, 지주 또는 주행골조로부터 더 이상 분리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상기 뚜껑뿐만 아니라 스페이서를 저렴하게 대량생산제품으로 제조할 수 있으므로 이에 상응하게 제품수가 많아지면, 개별제품의 비용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장점들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새로이 개발된 러닝휠 블록을 그 구성 부품들로 완전히 분해하여 재활용할 수 있다는 것도 장점이다. 이는 특히 상승하는 폐기물 처리비용 및 재료별로 분리한 폐기물 처리면에 있어서 바람직한 것이다.
본 발명의 형태에 있어서, 두 개로 나뉘는 스페이서들은 주행방향에서 볼 때 상기 러닝휠 앞뒤에 배열된다. 여기에서 상기 스페이서들은 이에 상응하게 바람직하게 제조될 수 있는 평행한 측면들을 가지는 비교적 가벼운 부품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허청구범위 제 6항에 따른 제 3변형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부하용량을 수용하고, 대략 상기 하우징 폭 및 러닝휠 폭 위로 연장되는 최소한 하나의 헤드 연결면, 측면 또는 전면 연결면을 가지고, 지탱하는 하우징 부분을 지니지 않은 채 상기 샤프트 측 방향의 측면에서 실행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러닝휠 블록은 상기 슬라이드 및 롤러 베어링 및/또는 상기 러닝휠을 제거할 때에도 위치 조정된 상태 그대로 유지된다. 이는 상기 슬라이드 베어링 및 롤러 베어링뿐만 아니라 상기 러닝휠 역시 제거하는 움직임을 위한 공간이 충분한 한 쪽 방향으로 떼어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변형은 상기 하우징을 지지골조로부터 분리할 필요 없이 상기 러닝휠 및/또는 상기 베어링을 교체할 수 있게 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마모된 부분을 교체한 후 바로 이어지는 시간 및 비용 집약적인 위치조정과정이 생략되고, 상기 하우징은 계속해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골조 등에 위치 조정된 상태를 원하는 동안 유지한다.
이밖에도 상기 블록형 하우징을 해당하는 지주 또는 주행골조로부터 더 이상 분리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분리 가능한 결합수단 이외에도 분리가 불가능한 결합 수단을 사용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형태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일체형으로 제조되어 아래쪽 및 측면 쪽으로 개방된다.
조립하기 쉬운 베어링의 배열을 위해서는, 축방향으로 상기 피벗 베어링 아래까지 다다르고, 상기 피벗 베어링을 수용하면서, 폭-중앙면과 비대칭을 이루는 하우징 허브를 구비하고, 상기 러닝휠이 마찬가지로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측면으로부터 상기 하우징 허브 안에 다다르며 비대칭을 이루고, 상기 샤프트와 결합되는 러닝휠 허브를 갖출 것을 제안한다. 이밖에도 상기 조치들을 통해 설치공간을 현저하게 절약하게 되며, 이에 추가하여 상기 러닝휠 및 상기 러닝휠 블록의 하우징의 재료도 절약하게 된다. 또한 구동되지 않는 러닝휠들에 대해서도 매우 간단한 러닝휠 기하학이 생겨난다. 상기한 각각의 내용은 예를 들어 제시되는 제조방법들에 따라 적용된다.
제시된 본 발명의 목적은 특허청구범위 제 9항에 따른 제 4변형에 있어서, 하우징이 부하용량을 수용하고 대략 하우징 폭 또는 러닝휠 폭 위로 연장되는 최소한 하나의 헤드 연결면을 가지고, 상기 러닝휠이 양쪽으로 장착되는 피벗 베어링들과 함께 외부로 분리 가능하면서 상기 하우징에 축방향으로 고정되는, 상기 피벗 베어링을 위한 축방향 베어링면을 형성하는 링 보디(ring body)들 사이에 고정됨으로써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변형은 상기 하우징을 지지골조로부터 분리할 필요 없이 상기 러닝휠 및/또는 상기 베어링을 교체할 수 있게 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마모된 부분들을 교체한 후 바로 이어지는 시간 및 비용 집약적인 위치조정과정이 생략되고, 상기 하우징은 계속해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골조 등에 위치 조정된 상태를 원하는 동안 유지한다.
이밖에도 상기 블록형 하우징을 해당하는 지주 또는 주행골조로부터 더 이상 분리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분리 가능한 결합수단 외에도 분리될 수 없는 결합수단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해결책의 다른 장점은, 상기 링 보디가 비교적 용이하고 신속하게 분리될 수 있는데, 즉, 상기 피벗 베어링 및/또는 상기 러닝휠을 교체하는 데 시간이 절약된다는 것이다. 더욱이 새로 개발된 상기 러닝휠 블록을 그 구성 부품들로 완전히 분해하여 재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이는 특히 상승하는 폐기물 처리비용 및 재료별로 분리한 폐기물 처리면에서 중요하다.
이와 유사한 장점들은 상기 하우징이 일체형으로 제조되어 아래로 개방된 결과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허청구범위 제 12항에 따른 제 5변형에 있어서, 재료 및 제조방법에 따른 격벽두께로 제조된 하우징은 부하용량을 수용하고 대략 하우징 폭 또는 러닝휠 폭 위로 분배되는 최소한 하나의 헤드 연결면을 가지고, 상기 하우징 셸(housing shell)-결합수단들이 상기 헤드 연결면 외부에 배열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변형은 상기 하우징 전체를 지지골조로부터 분리할 필요 없이 상기 러닝휠 또는 상기 베어링을 교체할 수 있게 하고, 그렇게 함으로써 마모된 부분들을 교체한 후 바로 이어지는 시간 및 비용 집약적인 위치조절과정이 생략되고, 상기 하우징은 계속해서 사용되며, 상기 지지골조 등에 위치 조절된 상태를 원하는 동안 유지한다. 제조비용은 기초를 이루는 셸 부분들로 인해 현저하게 줄어들고, 이때 동일하고 대칭을 이루는 두 쪽으로 나뉜 (박판금으로 된) 셸들 뿐만 아니라 상기 셸들의 다양한 폭들, 즉 동일하지 않은 셸 부분들도 사용될 수 있다.
이밖에도 상기 블록형 하우징을 해당하는 지주 또는 지지골조 또는 주행골조로부터 더 이상 분리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분리 가능한 결합수단 이외에도 분리가 불가능한 결합수단을 사용한다는 점도 장점이다.
또한 새로 개발된 상기 러닝휠 블록을 이를 구성하는 부품들로 완전히 분해하여 재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이는 특히 상승하는 폐기물 처리비용 및 재료별로 분리한 폐기물 처리면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각각의 변형에 대하여 도면에 나타나 있고, 이어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제 1변형의 실시예가 설명된다:
러닝휠 블록(도 1a 및 도 2a)에 있는 하우징(101)에는, 보통 아래로 돌출되는 러닝휠(104)을 수용하기 위해 슬라이드 및/또는 롤러 베어링(103)용 피벗 베어링면(102)(참조: 도 6a)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01)은 상기 슬라이드 및/또는 롤러 베어링(103) 및/또는 상기 러닝휠(104)을 제거하기 위해 최소한 한쪽으로 하우징 부분들로 분해될 수 있으며 다시 결합될 수 있고, 이때 지주 또는 주행골조(105)(참조: 도 8a 내지 도 12a)가 제거방향을 결정한다. 상기 러닝휠 블록은 이러한 지주 또는 주행골조(105)에 하기의 설명과 같이 부착된다. 상기 하우징(101)은 블록형, 즉 측면 및 상부 또는 하부에서 보아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또는 사다리꼴일 수도 있다. 기본형은 직육면체와 같을 수 있다.
상기 블록형 하우징(101)은 대략 하우징 폭(106) 또는 러닝휠 폭(107) 에 걸쳐 연장되어 상기 러닝휠(104)의 하중을 수용하는 최소한 하나의 헤드 연결면(108)을 가지고 있는데, 상기 헤드 연결면의 측면(108a)에서 결합나사(109a), 너트, 볼트, 리벳 등과 같은 결합수단들(109)(도 8a 참조)은 상기 하우징(101) 및 상기 러닐휠 블록에 결합되는 지주, 주행골조(105) 등의 사이에 배열된다.
상기 헤드 연결면(108) 및/또는 측면(110) 및/또는 전면 연결면(111)은 얹히는 부분면 및 얹히지 않는 부분면(112) 및 (113)으로 나뉜다(참조: 도 2a 및 도 7a). 따라서 힘의 유입이 종전보다 더 명확해지고, 이는 상기 러닝휠 블록을 제조할 때 절삭성능 또는 절삭체적을 현저히 절약하게 한다. 얹히는 부분면(112)은 각각의 부하용량 또는 부분 부하용량을 받는다. 이때 하나의 얹히는 부분면(112) 자체는 나뉘지 않지만, 상기와 같은 얹히는 부분면(112)이 다수 존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얹히는 부분면(112) 및 얹히지 않는 부분면(113)의 시스템은 러닝휠 블록을 상기 지주 또는 주행골조(105)에 맞추어 조절한 후 전체 러닝휠 블록의 위치를 정적으로 확실하고 안전하며 분명하게 만들어 준다. 따라서 이러한 설정된 위치는 상기 슬라이드 및/또는 롤러 베어링을 교체하기 전, 교체할 때, 그리고 교체하는 중에도 사용할 수 있는 수명기간동안 영구히 유지될 수 있다. 이 때 얹히는 부분면(112)이 나누어지지 않게, 즉, 분할선을 전혀 가지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면은 부분면들이 다수이거나 또는 클 경우보다 재료가 단일하고 부분면들이 연결면들보다 작을 경우에 더 정확하게 수평을 이룬다. 게다가 상기 비교적 작은 부분면들에 의해 힘이 명확하게 상기 연결구조 안으로 유입된다. 이것은 힘의 흐름이 알려져 있을 때, 상기 연결구조가 가장 효율적으로 형성되게 한다.
상기 교체과정을 위해 여기에서는 상기 하우징의 최소한 한쪽 측면(110)에 작동상태에서 상기 피벗 베어링면(102)의 중심점에 맞추어진 분리 가능한 뚜껑(114)을 장착한다. 이로써 상기 베어링 및/또는 상기 러닝휠을 측면에서 제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측면에서의 제거는, 단지 상기 러닝휠의 휠 플랜지 높이만큼만 상기 지지골조, 지주 또는 주행골조를 들어 올리면 되므로 상기 러닝휠의 분해 및 조립비용을 줄여준다.
적재하중이 그대로 유지되는 무게 때문에, 상기 헤드 연결면(108)은 하나 이상의 파단면(fraction)들(115)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러닝휠 지름이 바람직하게 상부의 경계판 두께보다 더 크게 확대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마찰휠이 돌출되는 개방된 면을 가지는 하우징이 상기 중력의 반대방향, 즉 위를 향하는 경우에도 상기 파단면은 바람직하게 이물질의 퇴적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상기 파열면들(115)은 비중이 가벼운 재료로 제조되는 잠금장치들(116)을 이용하여 폐쇄될 수 있다(참조: 도 3a). 상기 러닝휠이 돌출된 개방된 면을 가지는 상기 하우징이 중력방향인 아래를 향하는 경우에도 상기 잠금장치들은 이물질 또는 다른 오염물질의 침투를 방지한다.
상기 헤드 연결면(108)은 상기 러닝휠 축(118)에 평행하게 뻗어 있는 최소한 하나의 리세스(117)(도 3a에서는 두 개의 리세스로 도시됨)를 구비한다. 이로써 조립식 볼트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이때 대응물의 구멍이 부정확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단점이 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상기 볼트들이 상기 리세스 내에서 움직여 부정확하게 형성된 구멍에 스스로를 맞출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리세스(117)는 그루브 유도부(119), 관통구멍 또는 나사구멍(120)으로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결합의 정확성에 따라서 상기 해당하는 통로형태가 선택될 수 있다. 도시된 바(도 3a)와 같이 결합나사(109a)로 이루어지는 결합수단들(109)을 위한 그루브 너트들(121)은 상기 그루브 유도부들(119) 안에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실시형태는지지골조, 지주, 주행골조 등 및 상기 러닝휠 블록의 하우징 사이에 제 1조립을 할 때 결합 및 조절을 용이하게 해준다.
상기 하우징(101)은 앞에서 설명된 견고한 고정 때문에, 구비된 측면 뚜껑(114)에서는, 하우징 폭이 뚜껑(114) 두께(114a)의 몇 배에 달한다는 의미에서 비대칭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뚜껑은 여러 가지의 장점들을 가진다. 왜냐하면 상기 뚜껑은 간단한 판형 부분으로서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뚜껑은 체결부(lock) 형성과 센서 메카니즘 부재(sensory mechanism element)들의 부설에 이용되고, 구동유닛과 결합하기 위한 어댑터로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1)의 폭(106)은 상기 러닝휠(104)의 크기 및 부하용량에 따라 상기 뚜껑(114)의 두께(114a)의 두 배 내지 사십 배가 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뚜껑(114)은 상기 헤드 연결면(108)에 대하여 비교적 낮게 장착됨으로써 결코 부하를 받지 않으며, 이로 인해 어떤 경우에도 부하용량이 초과되지 않으며, 상기 뚜껑은 부하가 걸린 상태에서 용이하게 분해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상기 뚜껑의 용이한 분해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밖에도 상기 뚜껑(114)은 전면 연결면(111) 쪽으로 밀려지는 방식으로 형성되고, 이로 인해 상기 러닝휠 블록을 다른 방식으로 고정하기 위한 측면 설치를 방해하지 않는다(참조: 도 11a 및 도 12a).
또한 상기 뚜껑(114)은 센터링 허브(centering hub)(122)를 구비하고, 이때 상기 센터링 허브는 상기 하우징(101)의 상응하는 구멍들(123) 안으로 맞물려 정확한 위치를 유지하고 베어링 배치에 있어서 오류를 방지하며, 바람직한 힘 전달을보장한다.
상기 뚜껑(114)의 횡단면(114b)은 상기 러닝휠 직경(104b)의 바깥쪽에서 두꺼워진다. 이러한 확장부(thickening) 내에 나사 헤드(139) 및 너트(140)를 위한 카운터싱크(countersink)(138)가 삽입된다. 상기 영역들에 고정수단, 스페이서수단 등이 장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필요한 재료를 상기 위치에서 충분히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카운터싱크(138)는 육각형(141)을 나타낼 수 있으며, 이때 교체중에 내부 육각형 헤드(142)(도 1a) 아니면 육각형 너트(143)(도 4a)가 장착된다.
상기 센터링 허브들(122)에는 내부 구멍들(124)이 구비된다. 상기 내부 구멍들(124)은 부하수용 볼트들(125)을 수용하고, 상기 센터링 허브들(122)과 동축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형태는 상기 러닝휠 블록의 하우징 내의 베어링 압력(bearing pressure)을 지탱하기 위한 바람직한 힘의 전달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센터링 허브들(122), 상기 하우징(101) 내의 상응하는 구멍들(123) 및 상기 내부 구멍들(124)은 공동의 축(126)을 갖고 상기 러닝휠(104)(참조: 도 1a)의 원주(104a) 외부에서 각각 상기 러닝휠 축(118)(도 10a)에 평행하게 뻗어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허용오차가 적어 경제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1) 내의 상기 뚜껑(114) 맞은 편(129)에, 내부 고리(129a) 또는 외부 고리(129b)를 수용하기 위한 피벗 베어링(129)에 적합한 수용허브(128)(도 6a)가 형성된다. 그렇게 됨으로써 상기 피벗 베어링은 허용오차가 크지 않게 정확한 위치에 놓여질 수 있는데, 이는 해당하는 제조기술을 통해 가능하다.
그리고 나서 상기 내부 고리(129a) 또는 상기 외부 고리(129b)를 수용하기위한 피벗 베어링(129)에 적합한 수용허브(130)(도 6a)는 상기 하우징(101)과 유사한 형태로 상기 뚜껑(114)에 형성된다.
상기 헤드 연결면(108)(도 3a) 위 및/또는 상기 하우징(101)의 외부 전면 연결면(111)(도 2a)에 상기 결합수단(109)을 위한 수용수단들(131)이 배열된다. 상기 수용수단들을 통해 상기 결합수단들(109)을 조절하는 것은 상기 전체 러닝휠 블록의 조절에 상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헤드 연결면(108) 위에 장착되고, 그루브 너트들(121)을 가지는 그루브 유도부(119)(도 10a) 이외에도 리세스들(132)이 상기 하우징(도 2a)의 전면 연결면들(111)에 위치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상기 추가 부재들이 상기 전면 연결면을 최종적으로 차지하지 않고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전면 연결면에 있는 상기 전체 러닝휠 블록을 지주 또는 주행골조 등에 연결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리세스들(117 또는 132)(도 2a 및 도 3a)은 각각 그루브 유도부(119)로서 장착되고, 관통 구멍(133) 또는 나사 구멍(120)으로서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하우징(101)은 상기 헤드 연결면(108) 이외에도 마주보고 위치하는 도 7a 도시된 외부면(134)을 가진다. 따라서 다른 유닛들, 예를 들어 유도롤러들, 측정장치들 등이 마찬가지로 상기 부분 연결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부분 연결면은 또한 상기 전체 러닝휠 블록이 상기 면에서 상기 지지골조, 지주 또는 주행골조와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외부면(134)은 부분 연결면들(135)로 나뉜다.
이와 반대로 상기 하우징(101)의 외부 전면 연결면들(111)은 나뉘지 않고(도2a) 각각 상기 부하용량을 수용하는 면(136)을 나타낸다.
상기 뚜껑(114)은 상기 센터링 허브들(122)(도 5a)에 의해 상기 하우징(101)과 인터피팅(interfitting)되고, 상기 결합수단들(109)에 의해 인터록킹(interlocking)되며, 이때 상기 결합수단들(109)은 예를 들어 결합나사들(109a)로 구성된다.
하우징(101) 및 뚜껑(114)은 부식방지 또는 중량감소를 위해서 각각 용융 물질로 분사도장되거나 주조될 수 있다. 또한 단조(鑛造)에 의해 제조될 수도 있다. 해당하는 구조부품이 소망의 적재하중을 확실히 가지게 하기 위해서, 상기 재료는 예를 들어 경금속-합금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강도가 높은 재료로서 철-합금도 사용할 수 있다. 적재하중 또는 부하용량이 비교적 작을 경우, 상기 재료는 가소성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러닝휠 블록의 적재하중이 보다 높아지는 것은, 재료가 복합물질로 이루어졌거나 다른 재료와 함께 복합물질을 형성하는 재료로 이루어졌을 때이다.
도 9a 및 도 10a에서는, 상기 그루브 유도부(119) 내에서 상기 수용수단(131)이 상기 결합수단(109)와 함께 움직일 수 있음으로써 상기 러닝휠 블록이 상기 주행골조 또는 지주(105)에 지속적으로 조절될 수 있음이 분명해진다. 도 10a에 의하면 상기 하우징(101)은 상기 U-형 지주(105)의 다리들 사이에 유도되거나 고정된다.
도 11a 및 도 12a에서는 상기 결합나사들(109a), 육각형 너트들(143) 및 조절 케이스(adjusting case)들(144)을 이용하여 상기 하우징(101) 및 상기뚜껑(114)을 상기 측면들(110)에 고정한 것이 나타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 2변형의 실시예가 설명된다.
러닝휠 블록(도 1b 및 도 2b)은 일반적으로 아래로 돌출되는 러닝휠(204)을 수용할 목적으로 슬라이드 및/또는 롤러 베어링(203)을 위한 피벗 베어링면들(202)(참조: 도 3b)을 구비하는 하우징(201)을 가진다. 상기 하우징(201)은 상기 슬라이드 및/또는 롤러 베어링(203) 및/또는 상기 러닝휠(204)을 제거하기 위해 최소한 한쪽으로 하우징 부분들로 분해될 수 있고 다시 결합될 수 있는데, 이때 지지골조, 지주, 주행골조(205) 등(참조: 도 7b 및 도 10b)이 제거방향을 규정한다. 상기 러닝휠 블록은 하기하는 설명과 같이 이러한 지지골조, 지주 또는 주행골조(205)에 장착된다.
상기 하우징(201)은 블록형, 즉 측면 및 상부 또는 하부에서 보아 정사각형 또는 사각형 또는 사다리꼴을 이룬다. 기본형은 직육면체와 같을 수 있다.
상기 블록형 하우징(201)은 상기 러닝휠(204)의 부하용량을 수용하는, 대략 상기 하우징 폭(201a) 또는 상기 러닝휠 폭(204a) 위로 연장되는 최소한 하나의 헤드 연결면(210)을 가지고, 상기 헤드 연결면의 한쪽에서 결합수단(211)은 상기 하우징(201) 및 상기 러닝휠 블록을 구비하는 지지골조, 지주, 주행골조(205) 등의 사이에 배열된다.
상기 하우징(201)은 양쪽으로 배열되는 뚜껑들 (206 및 207), 그리고 두 개의 뚜껑들(206, 207)을 원주섹션(208)에 결합하는 최소한 하나의 스페이서(209)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부하용량을 수용하는, 상기 하우징 폭(201a) 또는 상기 러닝휠 폭(204a)(도 3b) 위로 연장되는 헤드 연결면(210)을 가진다. 상기 헤드 연결면(210)에는 상기 결합수단들(211)이 지지골조, 지주, 주행골조(205) 등을 위해 장착된다. 상기 뚜껑(206, 207)은 상기 뚜껑 허브들(206a, 207a) 위 또는 안에서 양쪽으로 피벗 베어링(203)을 지지한다. 상기 피벗 베어링은 대략 상기 러닝휠(204)의 폭(204a) 또는 러닝휠 허브(204b)로 끝난다.
두 개로 나뉜 스페이서들(209)는 주행방향(212)에서 볼 때 상기 러닝휠(204)의 앞뒤에 배열된다(도 1b 및 도 2b). 상기 두 개로 나뉜 스페이서는 바람직하게 제조될 수 있는 평행평면의 측면들을 가지는 비교적 가벼운 부품들이다.
상기 뚜껑들(206, 207) 사이에 배열되는 두 개의 스페이서(209)에서는 잠금장치(214)를 이용해서 폐쇄될 수 있는 개구부(213)가 나타난다. 이밖에도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뚜껑 또는 상기 스페이서와 동일한 재료로 제조될 필요가 없다. 왜냐하면 상기 잠금장치는 부하용량을 수용하지도 않고 적재하중을 받을 필요도 없기 때문이다. 상기 러닝휠이 돌출되는 개방된 측면을 가지는 하우징이 중력방향인 아래를 향하는 경우에도, 상기 잠금장치는 이물질 또는 다른 오염물질의 침투를 방지한다.
상기 스페이서(209)는 사출성형 섹션(209a)로 제조된다. 이때 상기 스페이서의 추후가공을 대폭 생략할 수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의 두께조절을 위한 작업과정만은 연장되는 사출성형 섹션에서 실시해야 한다. 상기 스페이서(209)의 폭은 두 개의 뚜껑(206, 207)의 베어링면들의 간격에 상응한다. 상기 스페이서(209)는 도 3b 내지 도 5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러닝휠 폭(204a)에 대해 상응하는폭(209b)으로 실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스페이서의 두께를 절삭할 때 두께조절은 단 한 번만 필요하다. 상기 러닝휠(204) 또는 상기 스페이서(209)의 좁은 실시부(215)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뚜껑허브(206a, 207a)는 틈새 간격(216)에 이를 때 까지 서로 접근하고(도 4b), 따라서 다양한 러닝휠 직경/부하용량에 적응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뚜껑(206, 207)의 횡단면(217)은 상기 러닝휠 직경(204c) 외부에서 비교적 두껍게 실시되므로(도 6b), 상기와 같이 두꺼운 부위 내에 부품들이 수용될 수 있다. 나사헤드들(219) 및 너트들(220)을 위한 카운터싱크들(218)이 상기 뚜껑 (206, 207)의 비교적 두꺼운 횡단면(217a) 내에 배열된다. 상기 카운터싱크들(218)(도 6b)은 교체 중에 내부 육각형 헤드(219a) 또는 육각형 너트(221a)를 수용하는 육각형(221)을 나타낸다.
상기 두 개의 뚜껑(206, 207)은 일반적인 경우에는 동일하게 형성된다. 스페이스(209)로서 마련되는 중간장치들(209c)은 옆으로 상기 러닝휠(204)의 원주섹션(204d)에서 상기 두 개의 뚜껑(206, 207) 사이의 공간(222)을 채우고, 상기 두 개의 뚜껑에서 상기 러닝휠 블록의 블록형태가 생겨남으로써 상기 러닝휠이 상부 또는 하부로 돌출할 수 있다. 상기 중간장치들(209c)은 구멍들(223)을 나타내거나 그 대신에 허브들(224)을 구비하고, 상기 구멍들 또는 허브들에 각각의 허브들(225) 또는 각각의 구멍들(226)이 상기 뚜껑(206 또는 207)내에 고정되도록 맞물린다. 이로써 개별 부품들의 조절과 함께 상기 러닝휠 블록의 조립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러닝휠 블록을 분리 가능하게 또는 분리가 불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해서 상기 중간장치들(209c)은 각각 상기 러닝휠 축(204e)에 평행하게 뻗어 있는 최소한하나의 리세스(227)를 구비한다. 그러므로 조립 볼트들이 사용될 수 있는 데, 이때 대응물의 구멍이 부정확할 수 있으나 이는 단점이 되지는 않는다. 왜냐하면, 상기 볼트들이 상기 리세스(227) 내에서 움직일 수 있고, 부정확하게 형성된 구멍에 맞게 조절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리세스들(227)은 그루브 유도부(227a), 관통구멍들(227b) 또는 나사 구멍들(227c)로서 형성된다. 상기 그루브 유도부(227a) 내에서 결합 나사들(229)(도 10b)을 위한 그루브 너트(228)는 횡으로 조절 가능하고 유극이 적다. 이로써 이러한 실시형태는 제1 조립 시 지지골조, 지주, 주행골조 등 및 상기 러닝휠 블록이 형성된 하우징 사이를 결합하고 조정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데 유용하다.
상기 중간장치들(209c)은 실질적으로 상기 뚜껑 전면(206b) 또는(207b)와 함께 형성되는 상기 하우징 전면들(201b)에 배열된다. 상기 중간장치들(209c)은 상기 사출성형 섹션(209a)의 구성요소들인 그루브 유도부들(227a) 및 관통 구멍들(227b) 또는 나사 구멍들(227c)을 구비한다. 결합의 정확성에 따라 상응하는 통로 형태가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러닝휠 블록이 상기 지지골조, 지주, 주행골조(205)등에 확실하게 설치되게 하려면, 최소한 하나의 뚜껑(206) 또는 (207)을 헤드 연결면(210)에 대하여 비교적 낮게 장착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상기 지지골조, 지주, 주행골조(205)등에 대한 상기 전체 러닝휠 블록의 불량조절이 발생하지 않고 상기 러닝휠 블록으로부터 뚜껑(206) 또는 (207)을 즉각 분리할 수도 있다. 즉, 한쪽으로 제거되는 뚜껑의 분해가 용이해진다.
최소한 하나의 뚜껑(206) 또는 (207)은 상기 스페이서(209) 또는중간장치(209c)의 상응하는 구멍들(230) 안으로 맞물리는 센터링 허브들(206c) 또는 (207c)를 구비하고 있어서 바람직하게 힘을 전달한다.
상기 뚜껑 허브(225)가 부하수용 볼트들(232)을 수용하기 위한, 상기 뚜껑 허브(225)와 동심으로 뻗어 있는 내부 구멍들(231)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형태는 바람직한 힘의 전달에 있어서 상기 러닝휠 블록의 하우징 내의 베어링 압력을 지지하는 데 기여한다.
상기 센터링 허브들(206c) 또는 (207c), 상기 스페이서(209) 또는 중간장치(209c) 내의 상응하는 구멍들(230) 및 상기 내부 구멍들(231)은 공동의 축(233)을 구비하고 각각 상기 러닝휠(204)의 원주섹션(204d)의 외부에서 상기 러닝휠 축(204)e에 평행하게 뻗어 있으므로, 조립, 분리 또는 조절하는 데 유리하다.
상기 스페이서(209) 내에서는 뚜껑(206) 또는 (207)을 마주보는 측면(209e)에 내부 고리(235) 또는 외부 고리(236)를 수용하기 위한 피벗 베어링(203)용 수용 허브(234)가 형성된다(상기 스페이서(209)에는 도시되지 않음).
상기 헤드 연결면(210)을 마주보는 상기 스페이서(209) 또는 중간장치(209c)의 외부면(209f)에 최소한 하나의 부분 연결면(237)을 (아래를 향하도록) 형성한다(도 10b). 따라서 상기 러닝휠 블록은 얹혀지거나 세워지는 자세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상기 스페이서들(209)의 상기 외부 전면 연결면들(209d)은 나뉘지 않고, 각각 부하용량을 수용하는 면을 형성한다.
상기 뚜껑(206, 207)은 스틸 박판금으로 만들어지고, 상기 박판금 두께(206d) 또는 (207d)는 상기 러닝휠(204) 주위를 안쪽으로 감아 상기 러닝휠 블록 중앙부(238) 위로 구부러진다(도 5b 및 도 6b). 이것이 상기 러닝휠 블록의 실질적인 부품들의 제조과정이다.
상기 나사 헤드들(219), 상기 너트들(220) 및 고정 볼트들(239)용 카운터싱크들(218)은 밀려나는 면들(240) 아래에 위치하고 이로 인해 상기 러닝휠 블록의 외곽선(214) 뒤에 쑥 들어가게 됨으로써, 상기 러닝휠 블록의 결속이 이루어진다. 부식방지 또는 중량감소를 위해서 상기 스페이서(209) 또는 상기 중간장치들(209c) 및/또는 상기 뚜껑(206) 또는 (207)을 용융상태에서 가공되는 재료로 이루어진다. 상기 재료는 예를 들면 경금속·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대신에 상기 재료는 철-합금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게다가 상기 재료로서 가소성 플라스틱을 선택할 수도 있다. 결국 상기 재료는 복합물질로 이루어지거나 다른 재료와 함께 복합물질을 형성한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 3변형의 실시예가 설명된다.
러닝휠(도 1c 및 도 4c)은 일반적으로 아래로 돌출되는 러닝휠(304)의 베어링 배치를 위해 피벗 베어링(303), 더 자세하게는 슬라이드 및/또는 롤러 베어링(303a)용 피벗 베어링면(302)을 가지는 하우징(301)을 가진다. 상기 하우징(301)이 여러방향으로 분리 가능하게 또는 분리가 불가능하게 고정되는 (도시되지 않은) 지주, 주행골조 등으로부터, 상기 하우징(301)을 분리하지 않고서, 상기 러닝휠(304) 및/또는 상기 피벗 베어링(303)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01)은 부하용량을 수용하는, 대략 상기 하우징 폭(301a) 또는 상기 러닝휠 폭(304a) 위로 연장되는 최소한 하나의 헤드 연결면(305)을 가진다.상기 하우징(301)은 측면(306)에서 샤프트(307)의 샤프트 축(307a) 방향으로 하중을 수용하는 하우징 부분 없이 실시되기 때문에 유동적인 베어링 배치를 이룬다. 주조, 분사도장, 단조, 사출성형, 딥-드로잉(deep-drawing) 또는 이와 같은 제조방법을 통해 상기 하우징(301)을 일체형으로 제조한다. 상기 일체형의 제조로 인해 다수의 하우징 부분들이 서로 결합될 필요가 없고, 따라서 특별 고정수단 뿐만 아니라 조립시간 및 제조시간(준비시간)을 절약하게 된다.
향상된 기능상의 특징들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제조는 축방향으로 상기 피벗 베어링(303) 아래까지 닿는 하우징 허브(309)에 의해 규정된다. 상기 하우징 허브는 상기 피벗 베어링(303)을 수용하고 폭-중앙 평면(308)에 비대칭으로 형성된다. 상기 러닝휠(304)은 유사하게 러닝휠 허브(304b)를 구비하는데, 상기 러닝휠 허브는 하우징(301)의 개방된 측면(306)으로부터 상기 하우징 허브(309) 안에 도달하고, 반대측면에서 볼 때 비대칭으로 형성되며, 샤프트(307)와 결합된다. 향상된 다른 점으로, 상기 하우징 허브(309) 및/또는 상기 러닝휠 허브(304b)는 실린더형 또는 계단식이다.
상기 헤드 연결면(305) 및/또는 측면 연결면(310) 및/또는 전면 연결면(311)이 얹히는 부분면(305a) 및 얹히지 않는 부분면(305b)으로 나뉨으로써 상기 위치 및 적재하중이 더 좋아진다. 이때 얹히는 부분면(305a)은 나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면은 부분면들이 다수 또는 클 경우보다 재료가 단일하고 부분면들이 연결면들보다 작을 경우에 더 정확하게 수평을 이루고, 상기면의 평평함은 비교적 짧은 제조시간의 전제조건이 된다. 게다가 비교적 작은 부분면들에 의해 힘이 확실하게 상기 연결 구조 안으로 유입된다. 이는 힘의 흐름이 알려져 있는 경우 상기 연결 구조를 가장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게 한다.
유동적인 베어링 배치의 강도(휨저항성)는 형태에 의해 영향을 받는데, 이 때, 재료를 절약할 수 있다. 샤프트(307)가 관통하는 횡단면에 있는 하우징 허브(309)는 제1 원추형(312a)으로 실행되는데, 상기 제1 원추형은 개방된 측면(306) 쪽을 향하고 있으며 상기 개방된 측면(306)에서 비교적 큰 직경(312)을 가지고 위치한다. 상기 구조는 다양한 제조방법들을 폭 넓게 허용한다. 따라서 적재용량에 유리하게 형성된 부품들의 경우 공간을 거의 완전하게 활용하게 된다. 제1 원추형이 제조 기술적으로 유리하게 형성되고 마찬가지로 공간 절약 형태로 이행되는 과정은, 샤프트(307)가 관통하는 횡단면에 있는 하우징 허브(309)의 제1 원추형(312a)에 제2 원추형(313a)이 역방향으로 연결되는 것처럼 보인다. 상기 제2 원추형의 비교적 큰 직경(313)은 제1 원추형(312a)의 비교적 큰 직경(312) 반대편에 배열되어 있다. 이때, 상기 러닝휠 허브(304b)의 외부면(304c)은 틈새간격(314)을 두고 상기 제 2원추형(313a)의 내부면(312b)에 맞게 조절된다. 그 결과 대단히 넓게 공간활용을 촉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재료를 아주 조금만 사용해도 적재하중에 견디는 형태가 만들어진다.
상기 피벗 베어링(303)의 상응하는 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허브(309)의 길이는 비교적 짧게 실시되어, 상기 러닝휠(304)의 휠 림(wheel rim)(304d) 및 러닝휠 허브(304b)가 폭-중앙 평면(308)에 평평하게 원추형으로 형성된 다리 횡단면(304e)에 의해 결합될 수 있는데, 이는 보다 나은 공간활용에 유리하다. 상기 피벗 베어링(303)은 소형구조(compact style)를 이루기 위해 상기 폭-중앙 평면(308)에 대칭으로 상기 러닝휠(304)의 내부(304f)에, 또는 상기 하우징 허브(309) 위에 배열될 수 있다.
먼지 및 이물질의 침투를 확실히 막도록 만들어지는 개구부는 원칙적으로 상기 피벗 베어링 및/또는 상기 러닝휠의 용이한 제거를 수반한다. 하중을 수용하는 하우징 부분 없이 실시되는 상기 개방되는 측면(306)을 분리 가능한 뚜껑판(315)을 이용하여 폐쇄할 수 있다. 상기 분리 가능성 때문에 상기 베어링 및/또는 상기 러닝휠의 측면 제거가 용이해진다. 상기 측면 제거는 상기 지지골조, 상기 지주 또는 상기 주행골조를 상기 러닝휠의 플랜지 높이만큼만 들어올리면 되므로 상기 러닝휠의 분해 및 조립 비용을 감소시킨다. 반대쪽 하우징 측면(301c)(하우징 측면 (301b)의 맞은편)에 위치하는 상기 하우징(301)은 고정부재(317)를 위한 플랜지 베어링면(316)과 함께 상기 개방되는 측면(306)의 맞은편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도 2c).
상기 헤드 연결면(305)은 잠금장치들(319)을 이용하여 폐쇄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파단면들(318)을 구비하는데, 이때 상기 잠금장치들은 상기 하우징 처럼 동일한 재료로 만들어질 필요는 없다. 왜냐하면 상기 잠금장치들은 부하용량을 수용할 필요도 없으며 이에 상응하는 적재하중을 받을 필요도 없기 때문이다. 상기 잠금장치들은 상기 러닝휠이 돌출되는 개방된 측면을 가지는 상기 하우징이 중력방향 (아래)을 향하는 경우에도 이물질 또는 다른 오염물질의 침투를 방지한다. 상기 하우징의 고정된 측면은 플랜지 연결, 분리 가능하거나 분리가 불가능하게 고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러닝휠 반경은 상부 경계판 두께이상 더 커질 수 있다.
상기 헤드 연결면(305)은 상기 샤프트축(307a)에 평행하게 뻗어 있는 최소한 하나의 리세스(320)를 가진다. 그러므로 조립 볼트들이 사용될 수 있고, 대응물의 구멍이 부정확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단점이 되지는 않는다. 왜냐하면 상기 볼트가 상기 리세스 안에서 움직여서 부정확하게 형성된 상기 구멍에 맞게 조절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리세스(320)는 그루브 유도부(320a), 관통 구멍(320b) 또는 나사 구멍(320c)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의 정확성에 따라 이에 상응하는 통로의 형태가 선택될 수 있다. 상기 그루부 유도부들(320a) 내에서 결합 나사들(322)을 위한 그루브 너트들(321)은 횡으로 조절 가능하고 유극이 적게 유도된다. 이로써 상기 실시형태는 지지골조, 지주, 주행골조 등 및 상기 러닝휠 블록의 하우징 사이에 제1 조립시 결합 및 조절을 용이하게 하는 데 유용하다.
상기 전체 러닝휠 블록은 분리 가능하게 고정시키거나 분리 불가능하게 고정시킴으로써 주행골조 또는 지지골조에 고정된다. 상기 헤드 연결면(305) 위 및/또는 상기 하우징(301)의 외부 전면 연결면(311)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 구멍들을 가지는 내부 러그(lug)들로 구성되는 상기 고정부재들을 위한 수용수단들(323)이 있다. 상기 헤드 연결면(305) 위에 구비되고, 그루브 너트들(321)을 가지는 그루브 유도부들(320a) 이외에도 리세스들(324)도 상기 하우징(301)의 전면 연결면(311)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헤드 연결면(305) 맞은편에 위치하는 상기 하우징(301)의 외부면(325)에는 최소한 하나의 부분 연결면(326)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301)의 외부 전면들(311)은 분리되지 않고서 각각 부하용량을 수용하는 부분면(327)을 나타낸다. 따라서 예를 들어 유도롤러, 측정장치 등과 같이 다른 유닛들도 마찬가지로 상기 부분 연결면(327)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부분 연결면의 전체 러닝휠 블록은 상기 지지골조, 지주 또는 주행골조와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부분 연결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301) 및/또는 상기 뚜껑판(315)은 용융체 상태에서 가공처리되는 재료로 만들어지고, 상기 재료로는 중량을 줄이기 위해 경금속-합금을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특히 경금속 재료 및 플라스틱을 고려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재료를 사용할 때에는 부식도 방지된다. 비교적 높은 강도를 위해서는 상기 재료가 철-합금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재료는 상응하는 제조방법과 유사하게 가소성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재료는 복합물질로 이루어지거나 다른 재료들과 함께 복합물질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 4변형의 실시예가 설명된다.
러닝휠 블록(도 1d, 도 3d, 도 5d 및 도 7d)의 하우징(401)에는, 원주(404a)를 갖고, 최소한 한쪽(여기에서는 아래)으로 돌출되는 러닝휠(404)을 수용하기 위한 슬라이드 및/또는 롤러 베어링(403)(피벗 베어링)용 피벗 베어링면(402)이 있다. 상기 슬라이드 및/또는 롤러 베어링(403) 및/또는 상기 러닝휠(404)은 최소한 한쪽으로, 즉 수평(도 1d, 도3d)하게 그리고 아래(도 5d, 도 7d)로 제거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401)은 다수의 평면에 따라 조절되어 지지골조, 지주, 주행골조 등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상태는 상기 러닝휠(404) 및/또는 슬라이드 또는 롤러 베어링(403)을 제거할 때에도 그대로 유지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위치에서는 상기 하우징(401)이 부하용량을 수용하는, 대략 하우징 폭(401a) 또는 러닝휠 폭(404b) 위로 연장되는 최소한 하나의 헤드 연결면(405)을 가지고 고정된다. 상기 러닝휠(404)은 양쪽으로 배열된 피벗 베어링들(403)과 함께 상기 하우징(401)의 베어링면(406a, 406b) 사이에 축방향으로 직접 장착된다.
상기 하우징(401)은 부하용량을 수용하는, 대략 상기 하우징 폭(401a) 또는 상기 러닝휠 폭(404b) 위로 연장되는 최소한 하나의 헤드 연결면(405)를 가지고, 상기 헤드 연결면은 상부면, 측면(407) 또는 (408) 또는 전면 연결면(409)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러닝휠 블록들을 좁은 공간에 배열하기 위해서 상기 하우징(401)은 전면에서 뚜껑(410)으로 폐쇄된다. 뚜껑 개구부(411)에 의해 상기 러닝휠(404)은 제거될 수 있다(도 3d). 따라서 상기 하우징(401)은 일체형으로 실행될 수 있다. 이로써 특히 통로는 레일 위에서의 주행방향으로 마련되고, 따라서 상기 조절되어 고정된 하우징은 추구하는 바와 같이 그 위치에서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401) 내에서는 상기 러닝휠 축(404c)을 중심으로 하여 양쪽으로 플랜지 케이스들(412)(도 6d)가 배열되고, 상기 플랜지 케이스들 안에는 상기 피벗 베어링면(402) 안의 피벗 베어링(403)이 각각 하나씩 삽입된다. 각각의 피벗 베어링을 분리할 수 있기 위해서는 플랜지 케이스로 구성되는 링 보디의 제거로 충분하다.
도 4d에 의한 실시예의 형태에서는 피벗 베어링면(402)이 바로 상기 하우징(401) 안에 있고, 상기 피벗 베어링(403)의 외부 링들은 그루브들(401c) 내에 각각 고정되는 안정고리들(413)을 이용하여 축방향으로 고정된다.
러닝휠 샤프트(404d)는 개구부(401d)를 통해 설치 및 제거될 수 있고, 외부의 상기 러닝휠(404)에 장착되는 안정부재들(414)을 가지고 축방향으로 안정되며(도 4d, 도 6d), 따라서 구동부품들과 관련하여 다른 중요 부분들의 조립 또는 분해가 바람직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도 예를 들어 상기 러닝휠 축 내에 부속되는 그루브를 가지는 스프링 고리로 구성되는 링 보디들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헤드 연결면(405) 및/또는 측면(407) 또는 (408) 및/또는 전면 연결면(409)은 얹히는 부분면들 및 얹히지 않는 부분면들(415a, 415b)로 나뉠 수 있다. 상기 부분면들(415a, 415b)이 나뉘므로 상기 힘의 유입이 종전보다 명확해지고, 이는 상기 러닝휠 블록을 제조할 때 절삭량 또는 절삭체적을 현저하게 절감시킨다. 얹히는 부분면(415a) 자체는 나뉘지 않는다(도 2d). 상기 면은 부분면들이 다수 또는 클 경우보다 재료가 단일하고 부분면들이 연결면들보다 작을 경우에 더 정확하게 수평을 이룬다. 게다가 상기 비교적 작은 부분면들에 의해 힘이 상기 연결 구조 안으로 명확하게 유입될 수 있다. 이는 알려진 힘의 흐름에 있어서 연결구조의 최적형성을 허용케 한다.
예를 들어 헤드 연결면(405)과 같은 상기 각각 선별된 연결면은 잠금장치들(417)을 이용하여 다시 폐쇄될 수 있는(도 4d) 하나 이상의파단면들(416)을 가지며, 상기 잠금장치들은 상기 하우징과 동일한 재료로 제조될 필요는 없다. 왜냐하면 상기 잠금장치들이 부하용량을 수용할 필요도 없으면서 이에 상응하는 적재하중을 받을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상기 잠금장치들은 상기 러닝휠이 돌출되는 개방된 면을 가지는 하우징이 중력방향(아래)을 향할 경우에도 이물질 또는 다른 오염물질의 침투를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러닝휠 반경은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 경계판의 두께이상 더 커질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파단면은 상기 러닝휠이 돌출되는 개방된 면을 가지는 하우징이 상기 중력의 반대방향(상향)을 향하는 경우에도 이물질의 퇴적을 방지한다.
상기 헤드 연결면(405)는 상기 러닝휠 축(404d)에 평행하게 뻗어 있는 최소한 하나의 리세스(418)를 구비한다. 그러므로 조립 볼트들이 사용될 수 있고, 이때 대응물의 구멍은 부정확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단점이 되지는 않는다. 왜냐하면 상기 볼트들이 상기 리세스 내에서 움직여 상기 부정확하게 형성된 구멍에 맞게 조절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헤드 연결면(405)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418)는 그루브 유도부(418a) 또는 관통 구멍(418b) 또는 나사 구멍(418c)으로서 형성된다. 어떤 결합수단이 어떤 수용수단과 배합해서 가장 적합한 조립 및 가장 정확한 위치를 만드는 가에 따라서 상응하는 배합이 선정될 수 있다.
지지골조, 지주 및 주행골조의 쌍을 이루는 고정위치에 맞추는 조절은, 결합 나사들(420)을 위한 그루브 너트들(419)이 상기 그루브 유도부들(418a) 내에서 횡으로 조절 가능하고 유극이 적도록 유도됨으로써 이루어진다(도 1d, 도 2d).
하나 이상의 연결면들에 대한 결합이 각각 또는 동시에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헤드 연결면(405) 위 및/또는 상기 하우징(401)의 외부 전면 연결면(409)에 고정부재들(422)을 위한 수용수단들(421)이 장착된다. 상기 수용수단들에 의해 상기 결합수단들의 조절이 상기 전체 러닝휠 블록의 조절에 상응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수단들은 상기 지지골조, 지주들, 주행골조 등과 연결될 수 있어 이들 안에 고정 배열될 수 있다.
여러번에 걸쳐서 고정하기 위해서 가능 상기 헤드 연결면(405) 위에 형성되는, 그루브 너트(419)를 가지는 그루브 유도부들(418a) 이외에도 리세스들(418)이 상기 하우징(401)의 전면 연결면(409)에 배열된다. 그럼으로써 최종적으로 상기 전면 연결면을 깔지 않고서 추가 부재들을 연결할 수 있다. 심지어 상기 하우징 전면 연결면의 전체 러닝휠 블록을 지주 또는 주행골조 등에 연결을 할 수도 있다. 상기 리세스들(418)은 각각 그루브 유도부(418a), 관통 구멍(418b) 또는 나사구멍(418c)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헤드 연결면의 맞은편에 위치하는 상기 하우징(401)의 외부면(401e)에는 최소한 하나의 부분 연결면(405e)이 형성된다. 앞에서 언급된 리세스는 또한 그루브 유도부, 관통구멍 또는 나사구멍으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결합의 정확도에 따라 상기 상응하는 통로의 형태가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401)의 외부 전면 연결면들(409)은 나뉘지 않고, 각각 부하용량을 수용하는 면을 나타내며, 이는 다른 유닛들을 고정하는 데 있어서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401) 및/또는 상기 뚜껑(410)은 부식방지 또는 중량 감량을 위해서 용융체 상태로 가공처리되는 재료, 예를 들어 경금속-합금, 철-합금, 가소성 플라스틱 또는 복합물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재료는 다른 재료와 함께 복합물질을 형성할 수 도 있다. 재료의 사용량을 줄여서 상기 하우징(401)을 제조하고, 이는 예를 들어 만곡부들(401b)을 통해 보조된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 5변형의 실시예가 설명된다.
러닝휠 블록(도 1e)은 서로 보충되는 두 개의 셸 부분들로 형성되고, 상기 두 개의 셸은 하나의 하우징(501)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셸 부분들로서 두 쪽의 하우징 셸(502, 503)이 선정된다. 상기 셸 부분들은 그러나 폭에 있어서 동일하지 않을 수 도 있다. 상기 하우징 셸(502) 및 (503)은 인터록킹 및/또는 인터피팅되고, 각각 피벗 베어링(506)을 위한 피벗 베어링면(504) 및 (505)를 가지고, 상기 피벗 베어링면은 상기 하우징(501)으로부터 최소한 한쪽으로 돌출되는 러닝휠(507)을 지지하기 위한 슬라이드 및/또는 롤러 베어링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501) 및 상기 하우징 셸(502, 503)은 상기 피벗 베어링(506) 및/또는 상기 러닝휠(507)을 제거하기 위해 최소한 한쪽의 임의의 방향으로 분해될 수 있으며 다시 결합될 수 있다.
제 1조립에서 실시되는 상기 하우징(501)의 조절 및 고정을 위해서 부하용량을 수용하는, 대략 상기 하우징 폭(501a) 또는 상기 러닝휠 폭(507a) 위로 연장되는최소한 하나의 헤드 연결면(508)이 연장되어 있다. 지지골조, 러닝기어, 주행골조 등에 위치를 명확하게 하는 평평한 베어링면을 창출하기 위해 하우징 셸-결합수단들(509)을 상기 헤드 연결면(508)의 외부에 배열한다.
예를 들어 러닝휠 축(511)의 방향에서 직사각형인 하우징(501)의 전면 연결면(510)에 상기 하우징 셸-결합수단들(509)을 장착할 수 있다(도 2e). 이를 통해 상기 하우징 셸을 조립 또는 분해할 때 접근하기가 유리해진다.
상기 헤드 연결면(508) 및/또는 측면(512) 및/또는 전면(510)은 제조 기술상 및 기능상의 이유로 얹히는 부분면들(513) 및 얹히지 않는 부분면들(514)로 나뉜다. 따라서 힘의 유입이 종전보다 더 명확해지고, 이는 상기 러닝휠 블록을 제조 할 때 절삭량 또는 절삭체적을 현저하게 절약하게 된다. 얹히는 부분면(513)은 나뉘지 않는다(도 4e). 상기 면은 부분면들이 다수이거나 또는 클 경우보다 재료가 단일하고 부분면들이 연결면들보다 작을 경우에 더 정확하게 수평을 이룬다. 게다가 상기 비교적 작은 부분면들에 의해 힘이 상기 연결 구조 안으로 명확하게 유입된다. 이는 알려진 힘의 흐름에 있어서 연결구조의 최적형성을 허용한다.
상기 하우징 셸들의 가공, 위치조정, 조립 및 조절은, 상기 하우징(501)의 외부 전면(510)이 나뉘어 각각 부하용량을 수용하는 부분면(510a, 510b)를 나타냄으로써 용이해진다. 그렇게 함으로써 상기 힘의 유입이 종전보다 명확해지고, 이는 이와 같은 부분면들을 드로잉(drawing) 또는 프레싱(pressing)을 통해 제조할 수 없다는 점에서, 상기 러닝휠 블록 제조시 절삭량 또는 절삭체적을 현저하게 절약하게 된다.
상기 헤드 연결면(508) 안에는 하나 이상의 파단면(515)이 병합된다. 따라서 상기 러닝휠 반경이 바람직하게 상부 경계판의 두께이상 더 커질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파단면은 상기 러닝휠이 돌출되는 개방된 면을 가지는 하우징이 중력 반대방향인 위를 향하는 경우에도 이물질의 퇴적도 방지한다. 상기 하우징셸들(반쪽들)(502 및 503)은 잠금장치들(516)을 이용하여 파단면들(515)에서 폐쇄될 수 있다. 상기 잠금장치들은 상기 러닝 휠이 돌출되는 개방된 면을 지니는 하우징이 중력방향인 아래를 향하는 경우에도 이물질 및 다른 오염물질의 침투를 막아준다. 상기 하우징 셸(502, 503)은 특히 예를 들어 스틸 또는 금속 박판과 같은 뚜께를 허용하는 재료로 제조된다.
상기 헤드 연결면(508)은 상기 러닝휠 축(511)에 대칭으로 배열되는 최소한 하나의 리세스(517)를 구비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조립 볼트들을 사용할 수 있고, 대응물의 구멍이 부정확할 수 있으나 이는 단점이 되지는 않는다. 왜냐하면 상기 볼트들이 상기 리세스 내에서 움직여서 상기 부정확하게 형성된 구멍에 맞게 조절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리세스들(517)은 관통구멍(518) 또는 나사구멍(519)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결합의 정확성 및 상기 하우징 셸의 제조방법에 따라 상응하는 통로의 형태가 선정될 수 있다. 매우 얇은 격벽두께(대략 1 내지 2mm)일 경우, 단접(鍛接)되는 셋팅너트(setting nut)들(520)을 이용하여 관통구멍들(518) 뿐만 아니라 나사구멍들(519)도 만든다.
상기 헤드 연결면(508) 위 및/또는 상기 하우징의 외부 전면들(510)에 고정부재들(522)을 위한 수용수단들(521)이 장착된다. 상기 고정수단들은 각각 고정형태에 맞게 조절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고정수단들은 분리 가능한 고정수단들일 뿐만 아니라 분리가 불가능한 고정수단들이도 하다.
이러한 경우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셸-결합수단(509)은 인터록킹 및/또는 인터피팅되는 연결부를 형성하는 접합판들(523)로 구성된다. 상기접합판들은 용이하게 상기 하우징 셸들의 윤곽선 안으로 삽입될 수 있으므로 상기 두 개의 하우징 셸의 외부면들에서 이론적으로 가능한 상기 베어링면들 중 어느 것도 전혀 없어지지 않는다. 상기 접합판들(523)은 판들(525) 및 부속 너트(526)를 가지는 플랫 헤드(flat head) 나사들(524)에 의해 프레싱 또는 드로잉되는 전면 그루브들(527) 내에 고정되고, 상기 전면(510)보다 약간 더 깊숙히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고정수단들은 상기 러닝휠 블록 하우징의 매끈한 윤곽선을 전혀 방해하지 않는다. 상기 접합판들(523)은 이때 상기 하우징 셸들(502, 503) 안에 미리 형성된 고루브들(527) 안에서 이에 상응하게 깊숙하게 삽입된다. 특히 대량의 하우징 셸을 제조할 때 그루브의 형성에는 박판재료가 적합하다.
상기 플랫 헤드 나사들(524), 부속 너트들(526)을 가지는 판들(525)은 상기 접합판들(523)과 함께 인터록킹 및 인터피팅되는 연결부(528)를 형성한다. 상기 나사-너트-연결부들은 내부 및 외부에서 용이하게 상기 하우징 셸에 고정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다수의 다양한 러닝휠의 표준직경(529)을 위해서는 단 하나의 통일된 하우징크기(도시된 하우징크기)가 있다. 그러므로 경제성이 높으면 이에 상응하게 적합한 조립공간이 생겨나고, 다른 한편으로는 조립 또는 분해하는 데 충분한 접근 가능성이 생겨난다.
상기 하우징(501) 또는 상기 하우징 셸들(502, 503)은 공동으로 개구부(530)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접합판(523)의 분리가 촉진될 수 있고, 상기 러닝휠(507)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보통의 경우 상기 개구부는 상기 하우징의 아래에 위치한다. 부식방지 또는 중량감소를 위해 상기 하우징(501)은 용융체 상태에서 가공되는 재료, 예를 들어 경금속-합금 또는 철-합금 또는 가소성 플라스틱과 같은 재료로 만들어진다. 상기 재료는 복합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또는 다른 재료와 복합물질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두 개로 나뉜) 하우징 셸(502, 503)은 상기 하우징 셸-결합수단들(509)을 통해 함께 고정된다. 상기 전체 하우징(501)은 상세하지 않게 도시된, 구멍들(531 및 532)을 관통하여 꽂히는 볼트들 및 막대들을 통해 상기 언급된 지지골조, 지주, 주행골조 등에 맞게 조절되어 고정된다. 상기 러닝휠 축(511)은 스프링 고리(533)를 분리한 다음에 뽑아내어진다.
각각의 전면(510) 위에서 각각 플랫 헤드 나사(524) 하나 만을 분리함으로써, 상기 (반쪽들) 하우징 셸(502, 503) 중 하나 만이 분리되고, 상기 접합판(523)뿐만 아니라 각각 제 2플랫 헤드 나사(524)도 조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반쪽들) 각각의 하우징 셸(502, 503)과 함께 상기 러닝휠(507) 및 상기 피벗 베어링들(506) 중 하나가 함께 드로잉된다. 따라서 상기 피벗 베어링들(506) 및 상기 러닝휠(507)을 제거하는 데에는 두 개의 플랫 헤드 나사(524)를 푸는 것으로 충분하다.

Claims (13)

  1. 지지골조, 지주, 주행골조 등과 결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면을 갖는 하우징 및,
    피벗 베어링을 위해 상기 하우징 내에 배열되어 내부를 향하는, 베어링면 섹션을 가지고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최소한 한쪽으로 돌출되는 러닝휠이 안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용허브를 구비하는 러닝휠 블록에 있어서,
    두 개의 수용허브(128, 130) 중 하나가 상기 하우징(101)을 폐쇄하는 뚜껑(114)에 배열되고, 상기 뚜껑은 상기 하우징(101)과 결합되고, 조립된 상태에서 분리 가능하며, 상기 뚜껑(114)이 폐쇄되었을 경우 상기 러닝휠 축과 관련하여 상기 수용허브(128 또는 130)의 위치를 결정하는 센터링 수단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닝휠 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링 수단들은 센터링 허브들(122)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닝휠 블록.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링 허브들(122)이 상기 하우징(101)의 상응하는 구멍들(123) 안으로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닝휠 블록.
  4. 지지골조, 지주, 주행골조 등과 결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면을갖는 하우징 및,
    피벗 베어링을 위해 상기 하우징 내에 배열되어 내부를 향하는, 베어링면 섹션을 가지고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최소한 한쪽으로 돌출되는 러닝휠이 안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용허브를 구비하는 러닝휠 블록에 있어서,
    두 개의 상기 수용허브는 각각 두 개가 서로 마주보고 위치하고, 조립 상태에서 분해될 수 있는 측벽들(206, 207) 중 하나에 배열되고, 상기 측벽들 사이에는 상기 측벽들(206, 207)과 함께 상기 하우징(201)을 형성하는 최소한 하나의 스페이서(209)가 있고, 상기 스페이서에 연결면(210)이 형성되고, 상기 분해 가능한 측벽들(206, 207)은 센터링 수단들을 구비하고, 상기 센터링 수단들은 상기 하우징(201)에 고정되는 측벽들(206, 207)의 경우, 수용허브(206a 또는 207a)의 위치를 상기 러닝휠 축에 관련하여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닝휠 블록.
  5. 제4항에 있어서, 두 개로 나뉘는 스페이서(209)는 주행방향(212)에서 볼 때 상기 러닝휠(204)의 앞뒤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닝휠 블록.
  6. 지지골조, 지주, 주행골조 등과 결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면을 갖는 하우징 및,
    피벗 베어링을 위해 상기 하우징 내에 배열되어 내부를 향하는, 베어링면 섹션을 가지고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최소한 한쪽으로 돌출되는 러닝휠이 안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용허브를 구비하는 러닝휠 블록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01)은 상기 수용허브(309)와 마주보고 위치하는 측면(306)에서 개방되어 있고, 상기 수용허브(309)를 둘러싸는 러닝휠(304)이 상기 개방된 측면(306)으로부터 상기 피벗 베어링들(303) 위로 끼워지거나 안으로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닝휠 블록.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01)은 일체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닝휠 블록.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피벗 베어링(303) 아래까지 축방향으로 도달하고, 상기 피벗 베어링(303)을 수용하며, 상기 중앙평면(308)에 비대칭으로 형성되는 하우징허브(309)가 있고, 상기 러닝휠(304)도 마찬가지로 상기 하우징(301)의 개방된 측면(306)으로부터 상기 하우징 허브(309) 안에 도달하고 비대칭으로 형성되며, 샤프트(307)와 결합되는 러닝휠 허브(304b)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닝휠 블록.
  9. 지지골조, 지주, 주행골조 등과 결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면을 갖는 하우징 및,
    피벗 베어링을 위해 상기 하우징 내에 배열되어 내부를 향하는, 베어링면 섹션을 가지고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최소한 한쪽으로 돌출되는 러닝휠이 안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용허브를 구비하는 러닝휠 블록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401)이 주행방향에서 양쪽 측면들 중 최소한 하나의 측면에서 개방되고, 상기 러닝휠(404) 및 상기 피벗 베어링(403)이 상기 개방된 측면으로부터 설치될 수 있고 제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닝휠 블록.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연결면(405) 위 및/또는 상기 하우징(401)의 외부 전면 연결면(409)에 고정부재들(422)을 위한 수용수단(421)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닝휠 블록.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401)은 일체형으로 제조되고, 아래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닝휠 블록.
  12. 지지골조, 지주, 주행골조 등과 결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면을 갖는 하우징 및,
    피벗 베어링을 위해 상기 하우징 내에 배열되어 내부를 향하는, 베어링면 섹션을 가지고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최소한 한쪽으로 돌출되는 러닝휠이 안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용허브를 구비하는 러닝휠 블록에 있어서,
    서로 결합 가능한 두 개의 하우징 셸들(502; 503) 각각에 피벗 베어링면(504; 505)을 가지는 두 개의 수용허브가 각각 배열되고, 상기 하우징 셸들(502; 503)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하우징 셸(502 또는 503)에 부가되는 상기 연결면(508)과의 결합이 풀린 후 조립 상태에서 분리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셸(502 또는 503)의 조립시 이의 위치를 다른 하우징 셸(503 또는 502)에 대하여 상기 러닝휠 축과 관련해서 하우징 셸-결합수단들(509)에 의해 결정짓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닝휠 블록.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링부재들(하우징 셸-결합수단들(509))이 상기 하우징 셸들(502; 503)의 외부측면들 내에서 횡으로 이음면(joint face) 쪽으로 뻗어 있는 그루브(527) 및 상기 그루브 안으로 삽입되는 접합판(523)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닝휠 블록.
    -참고번호리스트-
    101 하우징 102 피벗 베어링면
    103 슬라이드 및/또는 롤러 베어링 104 러닝휠
    104a 러닝휠의 원주 104b 러닝휠 직경
    105 주행골조 106 하우징 폭
    107 러닝휠 폭 108 헤드 연결면
    108a 헤드 연결면의 측면 109 결합수단들
    109a 결합나사 110 측면
    111 전면 연결면 112 얹히는 부분면
    113 얹히지 않는 부분면 114 뚜껑
    114a 뚜껑의 두께 114b 뚜껑 횡단면
    115 파단면 116 잠금장치
    117 리세스 118 러닝휠 축
    119 그루브 유도부 120 나사구멍
    121 그루브 너트들 122 센터링 허브들
    123 상응하는 구멍들 124 내부 구멍들
    125 부하수용 볼트들 126 축
    127 뚜껑과 마주보고 위치하는 측면 128 수용허브
    129 피벗 베어링 129a 내부고리
    129b 외부고리 130 수용허브
    131 수용수단 132 리세스들
    133 관통구멍 134 외부면
    135 부분 연결면 136 수용면
    138 카운터싱크 139 나사 헤드
    140 너트들 141 육각형
    142 내부 육각형 헤드 143 육각형 너트
    144 센서링 케이스 201 하우징
    201a 하우징 폭 201b 하우징-전면
    202 피벗 베어링면 203 피벗 베어링
    (슬라이드 및/또는 롤러 베어링)
    204 러닝휠 204a 러닝휠 폭
    204b 러닝휠 허브 204c 러닝휠 직경
    204d 원주섹션 204e 러닝휠 축
    205 지지골조, 지주, 주행골조 206 뚜껑
    206a 뚜껑허브 206b 뚜껑 전면
    206c 센터링 허브들 206d 박판두께
    207 뚜껑 207a 뚜껑 허브
    207b 뚜껑 전면 207c 센터링 허브들
    207d 박판두께 208 원주섹션
    209 스페이서 209a 사출성형 섹션
    209b 상응하는 폭 209c 중간장치
    209d 전면 연결면 209e 스페이서 측면
    209f 외부면 210 헤드 연결면
    211 결합수단 212 주행방향
    213 개구부 214 잠금장치
    215 좁은 실시부 216 틈새간격
    217 뚜껑 횡단면 217a 비교적 두꺼운 뚜껑 횡단면
    218 카운터싱크 219 나사 헤드
    219a 내부 육각형 헤드 220 너트
    221 육각형 221a 육각형 너트
    222 뚜껑들 사이의 공간 223 구멍들
    224 허브들 225 뚜껑 허브
    226 뚜껑 구멍 227 리세스
    227a 그루브 유도부 227b 관통구멍
    227c 나사구멍 228 그루브 너트
    229 결합나사들 230 상응하는 구멍들
    231 내부 구멍들 232 부하수용 볼트들
    233 공동축 234 수용허브
    235 내부고리 236 외부고리
    237 부분 연결면 238 러닝휠 블록 중앙부
    239 고정볼트들 240 밀려나는 면
    241 러닝휠 블록의 외곽선 301 하우징
    301a 하우징 폭 301b 하우징 측면
    301c 반대쪽을 향하는 하우징 측면 302 피벗-베어링면
    303 피벗 베어링 303a 슬라이드 및/또는 롤러 베어링
    304 러닝휠 304a 러닝휠 폭
    304b 러닝휠 허브 304c 외부면
    304d 러닝휠 플랜지 304e 다리 횡단면
    304f 러닝휠의 내부 305 헤드 연결면
    305a 얹히는 부분면 305b 얹히지 않는 부분면
    306 측면 307 샤프트
    307a 샤프트 축 308 폭-중앙 평면
    309 하우징 허브 310 측면 연결면
    311 전면 연결면 312 비교적 커다란 직경
    312a 제 1원추형 312b 내부면
    313 비교적 커다란 직경 313a 제 2원추형
    314 틈새간격 315 분리 가능한 뚜껑판
    316 플랜지 베어링면 317 고정부재
    318 파단면 319 잠금장치
    320 리세스 320a 그루브 유도부
    320b 관통구멍 320c 나사구멍
    321 그루브 너트 322 결합나사
    323 수용수단 324 리세스
    325 외부면 326 부분 연결면
    327 부분면 401 하우징
    401a 하우징 폭 401b 만곡부
    401c 그루브 401d 개구부들
    401e 외부면 402 피벗-베어링면
    403 슬라이드 및/또는 롤러 베어링 (피벗 베어링)
    404 러닝휠 404a 원주
    404b 러닝휠 폭 404c 러닝휠 축
    404d 러닝휠 샤프트 405 헤드 연결면
    405a 부분 연결면 406 링 보디
    406a 베어링면 406b 베어링면
    407 측면 408 측면
    409 전면 연결면 410 뚜껑
    411 뚜껑 개구부 412 플랜지 케이스
    413 안정고리들 414 안정부재들
    415a 부분면 415b 부분면
    416 파단면들 417 잠금장치들
    418 리세스 418a 그루브 유도부
    418b 관통구멍 418c 나사구멍
    419 그루브 너트들 420 결합나사들
    421 수용수단 422 고정부재
    501 하우징 501a 하우징 폭
    502 하우징 셸 503 하우징 셸
    504 피벗 베어링면 505 피벗 베어링면
    506 피벗 베어링 507 러닝휠
    507a 러닝휠 폭 508 헤드 연결면
    509 하우징 셸-결합수단 510 전면 연결면
    510a 부하용량을 수용하는 부분면 510b 부하용량을 수용하는 부분면
    511 러닝휠 축 512 측면
    513 얹히는 부분면 514 얹히지 않는 부분면
    515 파단면들 516 잠금장치
    517 리세스들 518 관통구멍
    519 나사구멍 520 셋팅 너트들
    521 수용수단 522 고정수단
    523 접합판들 524 플랫 헤드 나사들
    525 판들 526 부속 너트들
    527 그루브들 528 인터록킹 및 인터피팅
    529 러닝휠 표준직경 530 개구부
    531 구멍들 532 구멍들
    533 스프링 고리
KR10-1998-0702722A 1995-10-18 1996-10-18 러닝휠블록 KR1004202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5140217 DE19540217C1 (de) 1995-10-18 1995-10-18 Laufradblock mit einem Gehäuse
DE19540220.0 1995-10-18
DE19540216.2 1995-10-18
DE19540219.7 1995-10-18
DE1995140216 DE19540216C1 (de) 1995-10-18 1995-10-18 Laufradblock mit einem Gehäuse
DE1995140219 DE19540219C1 (de) 1995-10-18 1995-10-18 Laufradblock mit aus zwei sich ergänzenden Schalenteilen gebildetem Gehäuse
DE1995140220 DE19540220C2 (de) 1995-10-18 1995-10-18 Laufradblock
DE1995140215 DE19540215C1 (de) 1995-10-18 1995-10-18 Laufradblock mit einem Gehäuse
DE19540215.4 1995-10-18
DE19540217.0 1995-10-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4235A KR19990064235A (ko) 1999-07-26
KR100420289B1 true KR100420289B1 (ko) 2004-07-01

Family

ID=27512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2722A KR100420289B1 (ko) 1995-10-18 1996-10-18 러닝휠블록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5931584A (ko)
EP (1) EP0855989B2 (ko)
JP (1) JP3818666B2 (ko)
KR (1) KR100420289B1 (ko)
AT (1) ATE187416T1 (ko)
DE (1) DE59603886D1 (ko)
DK (1) DK0855989T4 (ko)
ES (1) ES2140153T5 (ko)
PT (1) PT855989E (ko)
WO (1) WO199701464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22220A (en) * 1996-09-03 1998-10-13 Fisher-Rosemount Systems, Inc. Process for controlling the efficiency of the causticizing process
US6375243B1 (en) * 1999-06-14 2002-04-23 The Wheel Thing, Inc. Wheel assembly for a roller coaster
DE102011002044A1 (de) * 2011-04-14 2012-10-18 Demag Cranes & Components Gmbh Anordnung und Verfahren zur Ausrichtung eines Laufradblocks
CN111115446B (zh) * 2019-12-18 2021-03-09 河钢股份有限公司承德分公司 一种大型起重机车轮更换调整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15924A (en) * 1945-03-01 1947-02-18 Blair Mfg Company Lawn mower wheel bearing
DE2005949A1 (de) * 1970-02-10 1971-08-19 Brunnhuber Maschf Josef Laufradantrieb und Lagerung fur einen Kran
DE3134750C2 (de) * 1981-09-02 1983-11-17 Mannesmann AG, 4000 Düsseldorf "Laufradblock"
US4682901A (en) * 1982-09-29 1987-07-28 Peter Hauber Ball bearing apparatus having snap fit feature
DE3741193C1 (de) * 1987-12-04 1989-07-27 Man Ghh Krantechnik Radblock
DE4031685C3 (de) * 1990-10-04 2001-11-08 Mannesmann Ag Laufradblock
DE9210797U1 (de) * 1992-08-12 1993-12-16 Karl Georg Stahlherstellungs- und Verarbeitungsgesellschaft mbH & Co. KG, 57638 Neitersen Laufradblock
DE4235345A1 (de) * 1992-10-20 1994-04-21 Man Ghh Logistics Laufradanordnung für einen Kran
US5468070A (en) * 1993-11-05 1995-11-21 Sears Manufacturing Company Composite roller assembly
FI93000C (fi) * 1993-12-02 1995-02-10 Kone Oy Laitteisto ja menetelmä laakeripesän kiinnittämiseksi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55989B1 (de) 1999-12-08
KR19990064235A (ko) 1999-07-26
ES2140153T3 (es) 2000-02-16
US5931584A (en) 1999-08-03
ATE187416T1 (de) 1999-12-15
DE59603886D1 (de) 2000-01-13
WO1997014645A3 (de) 1997-06-12
EP0855989B2 (de) 2006-08-02
EP0855989A2 (de) 1998-08-05
WO1997014645A2 (de) 1997-04-24
US6033119A (en) 2000-03-07
DK0855989T4 (da) 2006-12-04
PT855989E (pt) 2000-05-31
JP3818666B2 (ja) 2006-09-06
ES2140153T5 (es) 2007-04-01
JPH11513629A (ja) 1999-11-24
DK0855989T3 (da) 2000-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821041A (zh) 用于铁路轨道的活动转辙器交叉辙叉
KR100420289B1 (ko) 러닝휠블록
CN106763578A (zh) 一种密集架
CN211714316U (zh) 一种底模可拆卸式钢筋桁架楼承板
US5209167A (en) Trolley wheel assembly and housing having injection molded plastic parts
CN110303577B (zh) 一种预制飘窗生产模具及组装或拆卸方法
US5943960A (en) Running wheel block
CN114291175A (zh) 一种组合式引导轮
US20050218388A1 (en) Single-roller lower block for hoisting equipment
KR100336713B1 (ko) 철근콘크리트 교각의 피.씨빔을 연결하는 크로스빔 구축용 스틸폼
WO1997014645A9 (de) Laufradblock
KR200195806Y1 (ko) 압출식 포스트
CN218748426U (zh) 桥梁上部结构现浇t梁改预制模
JP2945285B2 (ja) コンクリート型枠
JPH0143210Y2 (ko)
JPS5943346Y2 (ja) 乗客コンベヤの欄干装置
CN109296210B (zh) 一种底模可拆卸式钢筋桁架楼承板安装用连接件
JP3226397B2 (ja) 仮柱付き建物ユニット
KR20240089390A (ko) 연속 주조 설비를 위한 밀봉 시스템
CA1305888C (en) Frame for forming coverings on ground openings
JP3023551B1 (ja) 遠心成形型枠
JP3013355B2 (ja) プレテンション方式pc部材の型枠
JPS6130767Y2 (ko)
KR100500979B1 (ko) 피씨빔 공법에 적용되는 크로스빔 콘크리트 타설용강재거푸집
FI64870B (fi) Foer en vertikal vattenkraft-generator avsedd ro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