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9927B1 - 폴더형 휴대전화기 - Google Patents

폴더형 휴대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9927B1
KR100419927B1 KR10-2001-0010380A KR20010010380A KR100419927B1 KR 100419927 B1 KR100419927 B1 KR 100419927B1 KR 20010010380 A KR20010010380 A KR 20010010380A KR 100419927 B1 KR100419927 B1 KR 100419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driving member
case
cam
lid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0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7236A (ko
Inventor
오쿠다다츠미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0058090A external-priority patent/JP345960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058088A external-priority patent/JP339280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058089A external-priority patent/JP345960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05809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251399A/ja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87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72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9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99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04M1/0218The hinge comprising input and/or output user interface means

Abstract

본 발명의 폴더형 휴대전화기는, 본체케이스(1)에 한 쌍의 힌지기구(10, 10')를 통하여 뚜껑체 케이스(2)를 연결하여 구성된다. 한쪽의 힌지기구(10)는 본체케이스(1) 및 뚜껑체 케이스(2)에 각각 돌출 설치된 원통형상의 팁(tip)부(13, 22)와, 그 팁부를 관통하여 배치된 힌지어셈블리(4)로 구성된다. 힌지어셈블리(4)는 본체케이스(1)의 팁부(13)에 상대회전 불가능하게 결합하는 본체구동부재와, 뚜껑체 케이스(2)의 팁부(22)에 상대회전 불가능하게 결합하는 뚜껑체 구동부재와, 뚜껑체 케이스(2)의 개방방향으로 뚜껑체 구동부재를 회전시키는 원동(原動)스프링과, 뚜껑체 케이스(2)를 닫은 위치로 유지하기 위한 유지기구와, 뚜껑체 케이스(2)를 개방할 때에 조작할 조작버튼(41)과, 조작버튼(41)의 조작에 따라, 유지기구에 의한 유지상태를 해제하는 유지해제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뚜껑체 케이스의 중량이 비교적 무거운 경우에도 원터치 조작으로 용이하게 뚜껑체 케이스를 개방시킬 수가 있다.

Description

폴더형 휴대전화기{FOLDER TYPE PORTABLE PHONE}
본 발명은 복수의 조작키를 구비한 본체케이스에 뚜껑체 케이스를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여 구성되는 폴더형 휴대전화기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원터치 조작으로 용이하게 뚜껑체 케이스를 개방할 수 있는 폴더형 휴대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조작키를 구비한 본체케이스(9)에 디스플레이(93)를 구비한 뚜껑체 케이스(91)를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여 구성되는 폴더형 휴대전화기가 알려져 있다.
본체케이스(9)와 뚜껑체 케이스(91)의 연결부에는, 좌우 한 쌍의 힌지기구(90, 90')가 배치되어 있어, 그 힌지기구(90, 9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뚜껑체 케이스(91)를 개폐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쪽의 힌지기구(90)는, 본체케이스(9)에 돌출 설치한 제1팁부(94)와 뚜껑체 케이스(91)에 돌출 설치한 제1팁부(96)를 동일 축 상에 배치하여, 양 팁부(94, 96)의 중앙구멍에 힌지축(98)을 끼워 넣어 구성하고 있다.
다른 쪽의 힌지기구(90')도 동일하게, 본체케이스(9)에 돌출 설치한제2팁부(95)와 뚜껑체 케이스(91)에 돌출 설치한 제2팁부(97)를 동일 축 상에 배치하여, 양 팁부(95, 97)의 중앙구멍에 힌지축(99)을 끼워 넣어 구성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폴더형 휴대전화기에 있어서는, 휴대시에는 뚜껑체 케이스(91)를 접는 것에 의해 소형화 할 수가 있어, 휴대에 편리할 뿐 아니라, 조작키가(92)가 뚜껑체 케이스(91)에 의해 커버되어 있으므로, 가방 등의 내에서 조작키(92)가 눌릴 우려가 없어 안전하다.
또, 뚜껑체 케이스(91)를 닫은 상태에서는 디스플레이(93)의 표시면이 케이스 안에 수용되기 때문에, 휴대전화기를 떨어뜨린 경우에도 디스플레이(93)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내는 폴더형 휴대전화기에 있어서는, 본체케이스(9)의 양측부 및 뚜껑체 케이스(91)의 양측부에 각각 오목부(9a, 9a, 91a, 91a)가 형성되어 있어, 도 17과 같이 뚜껑체 케이스(91)를 닫은 상태에서 도 18과 같이 뚜껑체 케이스(91)를 개방하는 경우,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호 대향하여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두 개의 오목부(9a, 91a) 사이에 손가락 끝을 삽입해서, 뚜껑체 케이스(91)를 개방시킬 수가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체케이스(9)를 잡은 한쪽 손만으로 뚜껑체 케이스(91)를 개방시킬 수가 있어, 편리하다.
그러나,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종래의 폴더형 휴대전화기에 있어서는, 뚜껑체 케이스(91)를 개방시키는 경우, 본체케이스(9)와 뚜껑체 케이스(91) 사이에 손가락 끝을 삽입하는 것만으로는, 뚜껑체 케이스(91)는 도중까지 열리는데 불과하여, 뚜껑체 케이스(91)를 도 18에 나타내는 전개방 위치까지 열기 위해서는, 도중까지 열린 뚜껑체 케이스(91)를 다시 밀어 개방시킬 필요가 있어 그 조작이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대형의 디스플레이(93) 장착에 의해 뚜껑체 케이스(91)의 중량이 무거워지게 되면, 손가락 끝으로 뚜껑체 케이스(91)를 개방시키는 것이 더욱 곤란하게 된다.
가령, 본체케이스(9)에 대하여 뚜껑체 케이스(91)를 개방방향으로 스프링 가세함과 동시에,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케이스(9)의 측면에 결합 훅(101)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하는 한편, 뚜껑체 케이스(91)에는 피결합 훅(100)을 돌출 설치하고, 본체케이스(9)의 결합 훅(101)에는 조작부재(102)를 통해 스프링(103)을 연결하여, 결합 훅(101)을 결합방향으로 가세시키는 구성을 채용한다면, 조작부재(102)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뚜껑체 케이스(91)를 자동적으로 개방시킬 수 있게 되지만, 힌지기구(90)와는 별도로, 한 쌍의 훅(101, 100), 조작부재(102), 스프링(103) 등을 장착할 필요가 있어, 휴대전화기가 대형화 할 뿐만 아니라, 조립공정이 복잡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 뚜껑체(91)를 닫은 상태에서는, 뚜껑체(91)를 개방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스프링의 가세력이, 양 케이스(9, 91)에 돌출 설치한 훅(101, 100)에 의해 받치게되어 있으므로, 양 케이스(9, 91)에 직접 힘이 걸려 케이스에 변형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더욱이, 한 쌍의 훅(101, 100)이 예각의 돌기를 갖고 있어 위험하다는 문제도 있다.
또, 종래의 폴더형 휴대전화기에 있어서는, 뚜껑체 케이스(91)를 전폐쇄위치와 전개방위치의 두 개의 각도자세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도중의 하나 또는 복수의 각도자세로도 유지할 수 있게 하여, 소망하는 각도자세로 사용하고 싶다는 요망이 있다.
도 1은 제1실시예의 폴더형 휴대전화기의 뚜껑체 케이스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제1실시예의 폴더형 휴대전화기의 뚜껑체 케이스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제1실시예의 폴더형 휴대전화기로부터 힌지어셈블리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제1실시예의 힌지어셈블리의 일부를 파단한 확대정면도.
도 5는 뚜껑체 구동부재와 본체구동부재의 분해사시도.
도 6은 힌지어셈블리의 동작을 설명하는 일련의 정면도.
도 7은 제2실시예의 힌지어셈블리의 일부를 파단한 확대정면도.
도 8은 제2실시예의 힌지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9는 상기 힌지어셈블리에 개설된 캠 홈의 확대정면도.
도 10은 상기 캠 홈에 배치되어 있는 밸브부재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11은 제2실시예에 채용되어 있는 개방각도 조정기구의 동작을 설명하는 측면도.
도 12는 제3실시예의 폴더형 휴대전화기에 장착되어 있는 댐퍼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은 상기 댐퍼기구가 동작하는 각도범위를 설명하는 측면도.
도 14는 제4실시예의 폴더형 휴대전화기의 뚜껑체 케이스를 닫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5는 제4실시예의 폴더형 휴대전화기의 뚜껑체 케이스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6은 제4실시예의 폴더형 휴대전화기로부터 한 쌍의 힌지어셈블리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7은 종래의 폴더형 휴대전화기의 뚜껑체 케이스를 닫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8은 종래의 폴더형 휴대전화기의 뚜껑체 케이스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을 완성시키는 과정에서 출원인이 고안한 폴더형 휴대전화기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케이스 2 : 뚜껑체 케이스
3 : 힌지 축 4 : 힌지어셈블리
5 : 원동 스프링 6 : 뚜껑체 측 캠면
10, 10' : 힌지기구 12 : 조작 키
13, 22 : 제1 팁부 15, 23 : 제2 팁부
41 : 조작버튼 42 : 원통형상부재
43 : 뚜껑체 구동부재 44 : 본체구동부재
51 : 보조스프링 61 : 본체 측 캠면
본 발명의 제1의 목적은 원터치 조작으로 용이하게 뚜껑체 케이스를 개방시킬 수 있는 폴더형 휴대전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제1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폴더형 휴대전화기에 있어서는, 복수의 조작키(12)가 배치된 본체케이스(1)에 힌지기구를 통해 상기 조작키(12)를 덮기 위한 뚜껑체 케이스(2)가 연결되어 있으며,상기 힌지기구는 본체케이스(1)의 팁부(13)에 상대회전 불가능하게 결합하는 본체구동부재(44)와,
뚜껑체 케이스(2)의 팁부(22)에 상대회전 불가능하게 결합하는 뚜껑체 구동부재(43)와,
본체구동부재(44)와 뚜껑체 구동부재(43) 사이에 개재하여, 뚜껑체 케이스(2)의 개방방향으로 뚜껑체 구동부재(43)를 회전시키는 힘을 발휘하는 원동기구와,
뚜껑체 케이스(2)를 닫은 상태로, 그 뚜껑체 케이스(2)를 닫은 위치로 유지하기 위한 유지기구와,
본체케이스(1) 및 뚜껑체 케이스(2)의 팁부(13, 22)로부터 외부 측으로 노출하여 배치되며, 뚜껑체 케이스(2)를 개방할 때에 조작할 조작버튼(41)과,
그 조작버튼(41)의 조작에 따라, 유지기구에 의한 유지상태를 해제하는 유지해제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본 발명의 폴더형 휴대전화기에 있어서, 뚜껑체 케이스(2)가 닫힌 상태에서는, 유지기구가 동작하여 뚜껑체 케이스(2)는 닫은 위치로 유지된다.
뚜껑체 케이스(2)를 개방할 조작버튼(41)을 조작하면, 유지기구에 의한 유지상태가 해제되며, 이 결과 원동(原動)기구가 동작을 개시한다.
이에 의해 뚜껑체 구동부재(43)가 회전하여 뚜껑체 케이스(2)는 전개방위치까지 개방되도록 된다.
뚜껑체 케이스(2)를 닫을 때에는, 원동기구가 발휘하는 힘에 저항하여 뚜껑체 케이스(2)를 닫는 방향으로 민다.
이에 의해 뚜껑체 케이스(2)는 닫은 위치까지 회전한다.
이 과정에서 유지기구가 동작하여, 뚜껑체 케이스(2)는 닫은 위치로 유지된다.
구체적 구성에 있어서, 본체구동부재(44)와 뚜껑체 구동부재(43)의 결합부에는 캠(cam)기구가 형성됨과 동시에, 본체구동부재(44)와 뚜껑체 구동부재(43) 사이에는, 뚜껑체 케이스(2)의 개방방향으로 뚜껑체 구동부재(43)를 회전시키는 힘을 발휘하는 탄성부재가 개재되어 있다.
상기 캠 기구는 뚜껑체 케이스(2)가 닫은 위치로부터 개방위치까지 회전하는 과정의 전반 및 후반에서 각각 동작할 제1캠 곡선부 및 제2캠 곡선부를 갖고, 제1캠 곡선부는 상기 탄성부재가 발휘하는 힘에 의해 뚜껑체 케이스(2)의 닫는 방향으로 뚜껑체 구동부재(43)를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한 캠 곡선으로 형성되며, 제2캠 곡선부는, 탄성부재가 발휘하는 힘에 의해 뚜껑체 케이스(2)의 개방방향으로 뚜껑체 구동부재(43)를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한 캠 곡선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제1캠 곡선부 및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유지기구가 구성됨과 동시에, 제2캠 곡선부 및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원동기구가 구성된다.
상기 구체적 구성에 있어서, 뚜껑체 케이스(2)가 닫힌 상태에서는, 캠 기구의 제1캠 곡선부가 동작하여 탄성부재가 발휘하는 힘에 의해 뚜껑체 케이스(2)는 닫힌 위치로 유지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조작버튼(41)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 캠 기구는 제1캠 곡선부의 동작상태로부터 제2캠 곡선부의 동작상태로 이행한다.
제2캠 곡선부가 동작하면, 이에 의해 뚜껑체 케이스(2)의 개방방향으로 뚜껑체 구동부재(43)가 회전 가세되어 뚜껑체 케이스(2)는 전개방위치까지 열리게 된다.
뚜껑체 케이스(2)를 전개방위치로부터 닫는 방향으로 누르면, 캠 기구는 제2캠 곡선부가 역 방향으로 구동되어, 제1캠 곡선부의 동작상태로 이행한다.
이에 의해 뚜껑체 케이스(2)의 닫는 방향으로 뚜껑체 구동부재(43)가 회전 가세되어, 뚜껑체 케이스(2)는 전폐쇄위치까지 닫히게 된다.
또, 본 발명의 폴더형 휴대전화기는 조작키(12)가 배치된 본체케이스(1)에, 동일 축 상에 배치된 한 쌍의 힌지기구(10, 10')를 통하여 상기 조작키(12)를 덮기 위한 뚜껑체 케이스(2)를 연결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힌지기구(10, 10') 중, 한쪽의 힌지기구(10)가 상기한 본 발명의 구조를 갖고 있다.
따라서 상기 한쪽의 힌지기구(10)의 조작버튼(41)을 조작하는 것만으로 뚜껑체 케이스(2)를 개방시킬 수가 있다.
구체적인 구성에 있어서, 본체케이스(1) 및 뚜껑체 케이스(2)에는 각각 원통형상의 팁부(13, 22)가 돌출 설치되어 서로 동일한 축 상에 배치되어 있다.
또, 상기 한쪽의 힌지기구를 구성하는 본체구동부재(44) 뚜껑체 구동부재(43), 원동기구, 유지기구, 조작버튼(41) 및 유지해제기구는 둥근 축 형상을 나타내는 힌지어셈블리로 조립되어, 상기 본체케이스(1) 및 뚜껑체 케이스(2)의 팁부(13, 22)에 삽입되어 있다.
본체구동부재(44)는 본체케이스(1)의 팁부(13)에 상대회전 불가능하게 결합하는 한편, 뚜껑체 구동부재(43)는 뚜껑체 케이스(2)의 팁부(22)에 상대회전 불가능하게 결합하며, 조작버튼(41)은 팁부(13, 22)로부터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다.
그 구체적 구성에 의하면, 힌지어셈블리를 단위체로 하여 조립한 후, 그 힌지어셈블리를 본체케이스(1) 및 뚜껑체 케이스(2)의 팁부(13, 22)에 삽입시키는 것에 의해 본체케이스(1)와 뚜껑체 케이스(2)를 연결할 수가 있기 때문에 조립공정이 간편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폴더형 휴대전화기에 의하면, 조작버튼을 조작하는 것만으로 원터치로 뚜껑체 케이스를 전개방위치까지 개방시킬 수가 있기 때문에, 조작이 용이하다.
본 발명의 제2의 목적은 뚜껑체 케이스의 중량이 비교적 큰 경우에도, 원터치 조작으로 용이하게 뚜껑체 케이스를 개방시킬 수 있는 폴더형 휴대전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제2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폴더형 휴대전화기는 복수의 조작키(12)가 배치된 본체케이스(1)에, 동일 축 상에 배치된 본체케이스(1)에, 동일 축 상에 배치된 한 쌍의 힌지기구(10, 10)를 통하여 상기 조작키(12)를 덮기 위한 뚜껑체 케이스(2)를 연결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힌지기구(10, 10)는 각각, 본체케이스(1)의 단부에 연결되어 본체케이스(1)와 일체로 회전하는 본체구동부재(44)와,
뚜껑체 케이스(2)의 단부에 연결되어 뚜껑체 케이스(2)와 일체로 회전하는 뚜껑체 구동부재(43)와,
본체구동부재(44)와 뚜껑체 구동부재(43) 사이에 개재하여 뚜껑체 케이스(2)의 개방방향으로 뚜껑체 구동부재(43)를 회전시키는 힘을 발휘하는 원동기구와,
뚜껑체 케이스(2)를 닫은 상태로, 그 뚜껑체 케이스(2)를 닫은 위치로 유지하기 위한 유지기구와,
뚜껑체 케이스(2)를 개방할 때에 조작할 조작버튼(41)과,
그 조작버튼(41)의 조작에 따라, 유지기구에 의한 유지상태를 해제하는 유지해제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본 발명의 폴더형 휴대전화기에 있어서, 뚜껑체 케이스(2)가 닫힌 상태에서는, 각 힌지기구(10)의 유지기구가 동작하여 뚜껑체 케이스(2)는 닫은 위치로 유지되어 있다.
뚜껑체 케이스(2)를 개방하기 위해 양 힌지기구(10, 10)의 조작버튼(41, 41)를 동시에 조작하면, 각 힌지기구(10)에 의한 유지상태가 해제되며, 이 결과, 각 힌지기구(10)의 원동기구가 동작을 개시한다.
이에 의해 양 힌지기구(10, 10)의 뚜껑체 구동부재(43, 43)가 동시에 회전하여, 뚜껑체 케이스(2)는 전개방위치까지 열리게 된다.
뚜껑체 케이스(2)를 닫을 때에는, 양 힌지기구(10, 10)의 원동기구가 발휘하는 힘에 저항하여, 뚜껑체 케이스(2)를 닫는 방향으로 누른다.
이에 의해 뚜껑체 케이스(2)는 닫힌 위치까지 회전한다.
이 과정에서 양 힌지기구(10, 10)의 유지기구가 동작하여, 뚜껑체 케이스(2)는 닫은 위치로 유지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폴더형 휴대전화기에 의하면, 한 쌍의 조작버튼(41, 41)을 조작하는 것만으로, 원터치로 뚜껑체 케이스(2)를 전개방위치까지 개방시킬 수가 있기 때문에 조작이 용이하다.
이때, 한 쌍의 힌지기구(10, 10)에 장착되어 있는 두 개의 원동기구(탄성부재)가 동시에, 뚜껑체 케이스(2)를 개방시키는 힘을 발휘하기 때문에, 뚜껑체 케이스(2)가 비교적 큰 중량을 갖는 경우에도 뚜껑체 케이스(2)는 충분히 크고 또한 좌우로 편향하지 않는 힘을 받아서 열리게 된다.
본 발명의 제3의 목적은 원터치의 조작으로 용이하게 뚜껑체 케이스를 개방할 수가 있으며, 또한, 뚜껑체 케이스의 중량이 비교적 큰 경우에도 뚜껑체 케이스가 열렸을 때의 충격력을 완화시킬 수 있는 폴더형 휴대전화기를 제공한다.
상기 제3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폴더형 휴대전화기는 조작키(12)가 배치된 본체케이스(1)에, 동일 축 상에 배치된 한 쌍의 힌지기구를 통해, 상기 조작키(12)를 덮기 위한 뚜껑체 케이스(2)를 연결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힌지기구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한쪽의 힌지기구(10)는
본체케이스(1)의 단부에 연결되어 본체케이스(1)와 일체로 회전하는 본체구동부재(44)와,
뚜껑체 케이스(2)의 단부에 연결되어 뚜껑체 케이스(2)와 일체로 회전하는 뚜껑체 구동부재(43)와,
본체구동부재(44)와 뚜껑체 구동부재(43) 사이에 개재하여 뚜껑체 케이스(2)의 개방방향으로 뚜껑체 구동부재(43)를 회전시키는 힘을 발휘하는 원동기구와,
뚜껑체 케이스(2)를 닫은 상태로 그 뚜껑체 케이스(2)를 닫은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유지기구와,
뚜껑체 케이스(2)를 개방할 때에 조작할 조작버튼(41)과,
그 조작버튼(41)의 조작에 따라 유지기구에 의한 유지상태를 해제하는 유지해제기구와,
뚜껑체 케이스(2)가 열리는 과정의 후반에서, 뚜껑체 케이스(2)의 회전에 제동력을 미치게 하는 댐퍼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본 발명의 폴더형 휴대전화기에 있어서, 뚜껑체 케이스(2)가 닫힌 상태에서는, 유지기구가 동작하여 뚜껑체 케이스(2)는 닫힌 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뚜껑체 케이스(2)를 개방시키기 위해 조작버튼(41)을 조작하면, 유지기구에 의한 유지상태가 해제되며, 이 결과, 원동기구가 동작을 개시한다.
이에 의해 뚜껑체 구동부재(43)가 회전하여 뚜껑체 케이스(2)는 전개방위치까지 열리게 된다.
뚜껑체 케이스(2)가 열리는 과정의 후반에서는, 댐퍼기구가 동작하여 본체구동부재(44)에 대한 뚜껑체 구동부재(43)의 상대회전에 제동력이 걸려 뚜껑체 케이스(2)의 열리는 속도가 감속된다.
이 결과, 뚜껑체 케이스(2)가 전개방위치에 도달하였을 때의 충격력이 완화된다.
뚜껑체 케이스(2)를 닫을 때에는, 원동기구가 발휘하는 힘에 저항하여 뚜껑체 케이스(2)를 닫는 방향으로 누른다.
이에 의해 뚜껑체 케이스(2)는 닫은 위치까지 회전한다.
이 과정에서 유지기구가 동작하여, 뚜껑체 케이스(2)는 닫힌 위치로 유지되게 된다.
또, 본 발명의 폴더형 휴대전화기는, 조작키(12)가 배치된 본체케이스(1)에, 동일 축 상에 배치된 한 쌍의 힌지기구를 통하여, 상기 조작키(12)를 덮기 위한 뚜껑체 케이스(2)를 연결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힌지기구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한쪽의 힌지기구(10) 상술한 본 발명의 구조를 갖고 있다.
따라서 힌지기구(10)의 조작버튼(41)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 뚜껑체 케이스(2)를 개방시킬 수 있다.
구체적인 구성에 있어서, 상기 댐퍼기구는 뚜껑체 케이스(2)의 개방동작에 수반하여 상대이동을 발생시키는 두 개의 부재 중, 한쪽의 부재에 다른 쪽의 부재가 슬라이딩 접촉할 마찰저항부를 형성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 구체적 구성에 있어서는, 뚜껑체 케이스(2)가 열리는 과정의 후반에, 상기 한쪽의 부재에 형성된 마찰저항부에, 다른 쪽의 부재가 슬라이딩 접촉하여 뚜껑체 케이스(2)의 개방속도가 감속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폴더형 휴대전화기에 의하면, 조작버튼을 조작하는 것만으로 원터치로 뚜껑체 케이스를 전개방위치까지 개방시킬 수가 있을 뿐 아니라, 뚜껑체 케이스가 전개방위치에 도달하였을 때의 충격력을 완화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제4의 목적은, 원터치조작으로 용이하게 뚜껑체 케이스를 개방시킬 수가 있으며, 더욱이, 뚜껑체 케이스의 개방각도를 복수단으로 조정할 수가 있는 폴더형 휴대전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제4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폴더형 휴대전화기는, 조작키(2)가 배치된 본체케이스(1)에 힌지기구를 통하여 상기 조작키(12)를 덮기 위한 뚜껑체 케이스(2)를 연결하여 구성되어 있다.
힌지기구(10)는 본체케이스(1)의 단부에 연결되어 본체케이스(1)와 일체로 회전하는 본체구동부재(72)와,
뚜껑체 케이스(2)의 단부에 연결되어 뚜껑체 케이스(2)와 일체로 회전하는 뚜껑체 구동부재(71)와,
본체구동부재(72)와 뚜껑체 구동부재(71) 사이에 개재하여 뚜껑체 케이스(2)의 개방방향으로 뚜껑체 구동부재(71)를 회전시키는 힘을 발휘하는 원동기구와,
뚜껑체 케이스(2)를 닫은 상태로, 그 뚜껑체 케이스(2)를 닫은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유지기구와,
뚜껑체 케이스(2)를 개방할 때에 조작할 조작버튼(41)과,
조작버튼(41)의 조작에 따라, 유지기구에 의한 유지상태를 해제하는 유지해제기구와,
뚜껑체 케이스(2)를 전개방위치로부터 닫는 과정에 있어서, 뚜껑체 케이스(2)를 1 또는 복수의 개방각도로 유지하기 위한 개방각도 조정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본 발명의 폴더형 휴대전화기에 있어서, 뚜껑체 케이스(2)가 닫힌 상태에서는, 유지기구가 동작하여, 뚜껑체 케이스(2)는 닫은 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뚜껑체 케이스(2)를 개방시키기 위해 조작버튼(41)을 조작하면, 유지기구에 의한 유지상태가 해제되며, 이 결과 원동기구가 동작을 개시한다.
이에 의해, 뚜껑체 구동부재(43)가 회전하여 뚜껑체 케이스(2)는 전개방위치까지 열리게 된다.
뚜껑체 케이스(2)를 닫을 때에는, 원동기구가 발휘하는 힘에 저항하여 뚜껑체 케이스(2)를 닫는 방향으로 누른다.
이에 의해, 뚜껑체 케이스(2)는 닫히는 위치까지 회전한다.
이 과정에서, 개방각도 조정기구가 동작하여 뚜껑체 케이스(2)는 하나 또는 복수의 개방각도로 유지된다.
그리고, 다시 뚜껑체 케이스(2)를 닫는 방향으로 누르면, 유지기구가 동작하여 뚜껑체 케이스(2)는 전폐쇄위치로 유지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폴더형 휴대전화기에 의하면, 조작버튼을 조작하는 것만으로 원터치로 뚜껑체 케이스를 전개방위치까지 개방시킬 수가 있을 뿐 아니라, 뚜껑체 케이스의 개방각도를 복수단으로 조정할 수가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폴더형 휴대전화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실시예
본 실시예의 폴더형 휴대전화기는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조작키(12)를 구비한 본체케이스(1)에, 디스플레이(21)를 구비한 뚜껑체 케이스(2)를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여 구성되고, 본체케이스(1)와 뚜껑체 케이스(2)의 연결부에는, 우측에 본 발명의 힌지기구(10)가, 또한 좌측에 종래와 동일한 힌지기구(10')가 배치되어 있으며, 양 힌지기구(10, 1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뚜껑체 케이스(2)를 개폐할 수가 있다.
또, 본체케이스(1)에는 신축식 안테나(11)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하,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폴더형 휴대전화기의 통상의 사용상태에서의 자세를 기준으로 하여 좌우방향을 정하는 것으로 한다.
우측의 힌지기구(10)는 본체케이스(1)에 돌출 설치한 제1팁부(13)와 뚜껑체 케이스(2)에 돌출 설치한 제1팁부(22)를 동일 축 상에 배치하여, 양 팁부(13, 22)의 중앙구멍으로 힌지어셈블리(4)를 삽입시켜 구성되어 있으며, 힌지어셈블리(4)는 제1팁부(13)로부터 외측으로 노출된 조작버튼(41)을 구비하고 있다.
좌측의 힌지기구(10')는 본체케이스(1)에 돌출 설치한 제2팁부(15)와 뚜껑체 케이스(2)에 돌출 설치한 제2팁부(23)를 동일 축 상에 배치하여, 양 팁부(15, 23)의 중앙구멍으로 힌지축(3)을 삽입시켜 구성하고 있다.
힌지어셈블리(4)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둥근 축 형상을 하고 있고, 각각 원통형상의 뚜껑체 구동부재(43)와 본체구동부재(44)가 동일 축 상에 배치되어 상호 축 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하고, 또한 상대회전 가능하게 걸어 맞춤되어 있다.
뚜껑체 구동부재(43)와 본체구동부재(44)의 마주보는 대향부에는, 서로 슬라이딩 접촉하는 캠 면(6, 61)이 형성되어 있다.
뚜껑체 구동부재(43)의 외주면에는, 소정의 각도차로 한 쌍의 돌기(48, 48)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돌기(48, 48)가 뚜껑체 케이스(2)의 제1팁부(22)의 내주면에 걸어 맞춤되어 있다.
이에 의해 뚜껑체 구동부재(43)와 뚜껑체 케이스(2)는 일체로 회전한다.
또, 본체구동부재(44)의 외주면에는, 소정의 각도차로 한 쌍의 돌기(47, 47)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돌기(47, 47)가 본체케이스(1)의 제1팁부(13)의 내주면에 걸어 맞추어져 있다.
이에 의해 본체구동부재(44)와 본체케이스(1)는 일체로 회전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뚜껑체 구동부재(43)는 큰 지름의 제1통부(43a)와 작은 지름의 제2통부(43b)를 동일 축 상에 구비하며, 제1통부(43a)의 우측의 단면에 상기 캠면(6)이 형성되어 있다.
그 뚜껑체측의 캠면(6)은 정상부(62)의 전후에, 경사면부(63, 64)를 갖는 캠 부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본체구동부재(44)는 상기 뚜껑체 구동부재(43)의 제1통부(43a)와 동일한 지름의 원통부(44a)와, 그 원통부(44a)의 우측의 단부에 돌출 설치된 원판형상의 플랜지부(44b)를 구비하며, 원통부(44a)의 좌측의 단면에, 캠면(61)이 형성되어 있다.
그 본체측의 캠면(61)은 정상부(65)의 전후에, 경사면부(66, 67)를 갖는 캠 부를 구비하고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구동부재(44)의 플랜지부(44b)의 좌측면에는, 축체(45)가 좌측을 향해 돌출 설치되며, 그 축체(45)의 선단부에 원판형상의 플랜지부(46)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축체(45)의 외주면을 포위하여 코일형상의 원동스프링(5)이 장착되며, 그 원동스프링(5)의 좌측의 단부가 축체(45)의 플랜지부(46)에 고정됨과 동시에, 우측의 단부가 뚜껑체 구동부재(43)에 고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원동스프링(5)은 축 방향의 탄성 가세력을 발휘하여, 뚜껑체측 캠면(6)과 본체측 캠면(61)을 서로 축 방향으로 압박 접촉시킴과 동시에, 뚜껑체 케이스(2)의 개방방향으로 뚜껑체 구동부재(43)를 회전가세하고 있다.
또, 본체구동부재(44)의 플랜지부(44b)에는, 원통형상부재(42)가 관통하고 있으며, 그 원통형상부재(42)의 우측 단부에 조작버튼(41)이 고정되며, 좌측의 단부가 뚜껑체 구동부재(43)에 슬라이딩 접촉하고 있다.
원통형상부재(42)에는, 코일형상의 보조스프링(51)이 장착되어 조작버튼(41)을 돌출방향으로 가세하고 있다.
이에 의해, 조작버튼(41)은 자유상태로 돌출위치에 유지된다.
본 실시예의 폴더형 휴대전화기에 있어서는, 뚜껑체 케이스(2)를 닫은 상태에서는,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뚜껑체측 캠면(6)과 본체측 캠면(61)이 가장 깊게 걸어 맞추어진 상태, 즉, 뚜껑체측 캠면(6)의 정상부(62)가 본체측 캠면(61)의 가장 낮은 위치로 빠져 들어간 상태에 있다.
여기서, 원동스프링(5)은 축 방향의 탄성가세력과 회전방향의 탄성가세력을 발휘하지만, 축 방향의 탄성가세력이 우세하기 때문에, 뚜껑체측 캠면(6)과 본체측 캠면(61)의 결합상태가 어긋나지 않으며, 따라서, 뚜껑체 구동부재(43)가 회전하는 일이 없다.
이에 의해, 뚜껑체 케이스(2)가 닫힌 위치로 유지되어 있다.
또한, 뚜껑체 케이스(2)를 닫은 상태에서, 뚜껑체측 캠면(6)의 정상부(62)가 본체측 캠면(61)의 가장 낮은 위치로부터 약간 어긋난 경사면부(66)에 슬라이딩 접촉하도록 각 부재의 상대위치를 조정하면, 뚜껑체 케이스(2)를 닫은 상태에서는, 원동스프링(5)이 발휘하는 축 방향의 탄성가세력과 본체측 캠면(61)의 경사면부(66)의 캠 작용에 의해, 뚜껑체 구동부재(43)는 뚜껑체 케이스(2)의 닫는 방향의 회전가세력을 받게되어, 뚜껑체 케이스(2)는 본체케이스(1)에 압박 접촉된 상태로 닫히게 된다.
따라서, 확실한 닫힘 상태를 얻을 수가 있다.
뚜껑체 케이스(2)를 열기 위해, 도 6(b)와 같이, 원동스프링(5) 및 보조스프링(51)의 가세력에 저항하여 조작버튼(41)을 눌러 조작하면, 그 압박력(P)이 뚜껑체 구동부재(43)에 전달되어, 뚜껑체 구동부재(43)가 본체구동부재(44)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뚜껑체 구동부재(43)에는 원동스프링(5)에 의해 회전가세력이 가해지고 있기 때문에, 뚜껑체 구동부재(43)는 축 방향의 이동에 수반하여, 뚜껑체 케이스(2)의 개방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결과, 뚜껑체측 캠면(6)의 정상부(62)가 본체측 캠면(61)의 경사면부(66)를 다 올라가서 정상부(65)를 통과하면, 도 6(c)와 같이, 그 후는 조작버튼(41)에서 손을 떼어도 원동스프링(5)의 축 방향의 탄성가세력과 본체측 캠면(61)의 경사면부(67)의 캠 작용에 의해, 뚜껑체 구동부재(43)는 뚜껑체 케이스(2)의 개방방향의 회전력을 받게되어, 뚜껑체 케이스(2)는 전개방위치까지 열린다.
뚜껑체 케이스(2)를 닫을 때에는, 원동스프링(5)의 회전방향의 탄성가세력에 저항하여 뚜껑체 케이스(2)를 닫는 방향으로 누른다.
이에 의해 뚜껑체측 캠면(6)의 정상부(62)는 본체측 캠면(61)의 경사면부(67)를 상승한다.
그리고, 뚜껑체측 캠면(6)의 정상부(62)가 본체측 캠면(61)의 정상부(65)를 통과한 후는, 뚜껑체 케이스(2)로부터 손을 떼어도 원동스프링(5)의 축 방향의 탄성가세력과, 본체측 캠면(61)의 경사면(66)의 캠 작용에 의해 뚜껑체 구동부재(43)는, 뚜껑체 케이스(2)의 닫는 방향의 회전력을 받게되어, 뚜껑체 케이스(2)는 전폐쇄위치까지 닫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폴더형 휴대전화기에 의하면,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뚜껑체 케이스(2)가 닫혀진 상태로부터, 조작버튼(41)을 누르는 조작만으로 뚜껑체 케이스(2)가 도 2와 같이 전개방위치까지 열리게 되므로 조작이 극히 간단하다.
이때, 뚜껑체 케이스(2)를 개방하는 경우, 도 1의 닫힌 상태로부터 조작버튼(41)을 눌러 조작하지 않고, 뚜껑체 케이스(2)를 손으로 파지하여 개방시킬 수도 있다.
또, 본 실시예의 폴더형 휴대전화기에 있어서는, 온도변화 등에 기인하여 뚜껑체 케이스(2)를 닫은 상태에서의 각 부재의 결합위치가 다소 어긋난다 하여도, 도 6(a)에 나타내는 결합상태가 도 6(b), 6(c)에 나타내는 결합상태까지 어긋나지는 않기 때문에, 의사에 반하여 뚜껑체 케이스(2)가 열릴 염려는 없다.
또한, 힌지어셈블리(4)는 본체구동부재(44)와 뚜껑체 구동부재(43)로 이루어지는 힌지 축으로서의 구성에, 뚜껑체 케이스(2)의 개방방향 또는 닫는 방향으로 뚜껑체 구동부재(43)를 회전시키기 위한 원동스프링(5)이나 캠면(6, 61) 이외에, 뚜껑체 케이스(2)를 개방시킬 때에 조작할 조작버튼(41) 등을 콤팩트하게 조립하여, 유니트화 하고 있기 때문에 폴더형 휴대전화기가 대형화하지 않으며, 더욱이, 본체케이스(1) 및 뚜껑체 케이스(2)의 팁부(13, 22)에 힌지어셈블리(4)를 삽입시키는 것만의 간단한 작업에 의한 조립이 가능하다.
또, 뚜껑체 케이스(2)를 닫은 상태에서, 원동스프링(5)이 발휘하는 회전력은 뚜껑체 구동부재(43)의 캠면(6)과 본체구동부재(44)의 캠면(61)의 결합에 의해 받아지고, 본체케이스(1)나 뚜껑체 케이스(2)에 직접적으로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케이스(1, 2)에 변형이 발생할 우려는 없다.
또한, 조작버튼(41)은 그 두부를 케이스에서 약간만 돌출시켜 배치하면, 그 누르는 조작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더욱이, 조작버튼(41)의 두부는 매끄러운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예리한 돌기를 갖지 않고 있지 않으므로 안전하다.
제2실시예
본 실시예의 폴더형 휴대전화기는 제1실시예에 사용한 도 4의 힌지어셈블리(4) 대신에,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힌지어셈블리(7)를 채용한 것이다.
또, 도 7 및 도 8에 있어서, 도 4에 나타내는 힌지어셈블리(4)의 구성부재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힌지어셈블리(7)는 전체적으로 둥근 축 형상을 하고 있으며, 각각 원통형상의 뚜껑체 구동부재(71)와 본체구동부재(72)가 동일 축 상에 배치되어 상호 축 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하고, 또한 상대회전 가능하게 걸어 맞추어져 있다.
본체구동부재(72)의 외주벽에는 캠 홈(8)이 개설되어 있는 한편, 뚜껑체 구동부재(71)에는 캠 폴로어(cam follower, 78)가 돌출 설치되어, 캠 홈(8)을 내측에서 외측으로 관통하고 있다.
또한, 캠 홈(8)의 형상에 대해서는 후에 설명한다.
뚜껑체 구동부재(71)의 외주면에는 소정의 각도차로 한 쌍의 돌기(48, 48)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이들 돌기(48, 48)가 뚜껑체 케이스(2)의 제1팁부(22)의 내주면에 걸어 맞추어져 있다.
이에 의해 뚜껑체 구동부재(71)와 뚜껑체 케이스(2)는 일체로 회전한다.
또, 본체구동부재(72)의 외주면에는 소정의 각도차로 한 쌍의 돌기(47, 47)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이들 돌기(47, 47)가 본체케이스(1)의 제1팁부(13)의 내주면에 걸어 맞추어져 있다.
이에 의해 본체구동부재(72)와 본체케이스(1)는 일체로 회전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뚜껑체 구동부재(71)의 우측의 단부에는 원판부(73)가 돌출 설치되며, 그 원판부(73)의 외주면에 상기 캠 폴로어(78)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한편, 본체구동부재(72)의 내주면에는 좌측의 단부에 연결부(79), 우측의 단부에 플랜지부(72b), 중앙부에 돌출부재(77)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연결부(79)의 중앙부에는 본체구동부재(72)의 중심축 위를 좌측으로 뻗는 축체(45)가 고정되어 있다.
또, 축체(45)의 좌측의 단부에는 원판형상의 플랜지부(46)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축체(45)의 외주면을 포위하여 코일형상의 원동스프링(5)이 장착되며, 그 원동스프링(5)의 좌측의 단부가 축체(45)의 플랜지부(46)에 고정됨과 동시에, 우측의 단부가 뚜껑체 구동부재(71)에 고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원동스프링(5)은 뚜껑체 케이스(2)의 개방방향으로 뚜껑체 구동부재(71)를 회전가세하고 있다.
본체구동부재(72)의 플랜지부(72b)에는 원통형상부재(74)가 관통하고 있으며, 그 원통형상부재(74)의 우측 단부에 조작버튼(41)이 고정되고, 좌측의 단부에 플랜지부(75)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그 플랜지부(75)의 좌측면의 중앙부에는 볼록부(76)가 형성되며, 그 볼록부(76)의 선단이 뚜껑체 구동부재(71)의 원판부(73)에 맞접하고 있다.
원통형상부재(74)에는 코일형상의 보조스프링(51)이 장착되어 조작버튼(41)을 돌출방향으로 가세하고 있다.
이에 의해, 조작버튼(41)은 자유로운 상태로 돌출위치에 유지된다.
또, 뚜껑체 구동부재(71)의 중앙부 외주면에는 제2보조스프링(52)이 장착되어 뚜껑체 구동부재(71)의 원판부(73)와 본체구동부재(72)의 돌출부재(77)를 서로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가세하고 있다.
이에 의해, 캠폴로어(78)는 자유상태로 캠 홈(8)의 우측의 둘레면으로 밀어부쳐지게 되는 것이다.
본체구동부재(72)에 개설된 캠 홈(8)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힌지어셈블리(7)의 축방향에 대하여 경사가 다른 복수의 캠 홈부(81)∼(86)를 루프형상으로 연결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1캠부 홈(81)은 축방향에 대하여 대략 평행이며, 그 제1캠부 홈(81)의 시단에 위치하는 캠폴로어(78a)는 원동스프링(5)이 발휘하는 축방향의 힘 Fa와 회전방향의 힘 Fr의 합력인 가세력 F를 받아 홈의 둘레벽에 밀려 유지된다.
제1캠부 홈(81)에 이어지는 제2캠 홈부(82)는 축방향에 대해 크게 경사하며, 그 제2캠 홈부(82)에 위치하는 캠폴로어(78b, 78c)는 상기 가세력 F의 제2캠 홈부(82)를 따르는 방향의 분력 Fs를 받아 제2캠 홈부(82)를 전진하게 된다.
제2캠 홈부(82)에 이은 제3캠 홈부(83)는 역 "U" 형상으로 굴곡하며, 그 제3캠 홈부(83)에 위치하는 캠폴로어(78d)는 상기 가세력 F에 의해 홈의 둘레벽에 밀려 유지된다.
제3캠 홈부(83)에 이어지는 제4캠 홈부(84)는 역 "U" 형상으로 굴곡하며, 그 제4캠 홈부(84)에 위치하는 캠폴로어(78e)는 상기 가세력 F에 의해 홈의 둘레벽에 눌려 유지된다.
제4캠 홈부(84)에 이은 제5캠 홈부(85)는 역 "U" 형상으로 굴곡하며, 그 제5캠 홈부(85)에 위치하는 캠폴로어(78f)는 상기 가세력 F에 의해 홈의 둘레벽에 눌려 유지된다.
또, 제6캠 홈부(86)는 축방향에 대하여 약간만 경사하며, 그 제6캠 홈부(86)에 위치하는 캠폴로어(78g)는 상기 가세력의 제6캠 홈부(86)를 따르는 방향의 분력 Fs'를 받아 제6캠 홈부(86)를 전진하여 최종적으로 제1캠부 홈(81)으로 되돌아오게 된다.
뚜껑체 케이스(2)를 닫은 상태에서는, 캠폴로어(78)는 제1캠부 홈(81)의 시단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 상태에서 조작버튼(41)을 눌러 조작하면 뚜껑체 구동부재(71)가 좌측을 향해 이동하고, 이에 따라 캠폴로어(78)는 제1캠부 홈(81)을 전진한다.
이 과정에서 뚜껑체 케이스(2)는 거의 개방되지 않는다.
그리고, 캠폴로어(78)가 제2캠 홈부(82)에 도달하게 되면, 조작버튼(41)에서 손을 떼어도 캠폴로어(78)는 상기 분력 Fs의 작용에 의해 제2캠 홈부(82)를 전진하여, 제3캠 홈부(83)에 도달한다.
이 캠폴로어(78)의 전진에 수반하여 뚜껑체 구동부재(71)는 뚜껑체 케이스(2)의 개방방향으로 회전하며, 최종적으로 캠폴로어(78)가 제3캠 홈부(83)에 도달함으로서 뚜껑체 케이스(2)는 도 11에 나타내는 전개방위치(2a)까지 열리며, 이 위치에 유지되게 된다.
그 후, 뚜껑체 케이스(2)를 닫기 위해, 뚜껑체 케이스(2)를 닫는 방향으로 누르면 캠폴로어(78)는 캠 홈(8)의 제4캠 홈부(84)를 향해 진행하며, 제4캠 홈부(84)의 근방에 도달하면 상기 가세력 F의 작용에 의해, 캠폴로어(78)는 제4캠 홈부(84)에 떨어져 들어오게 된다.
이 결과, 뚜껑체 케이스(2)는 도 11에 나타내는 제1각도자세(2b)로 유지된다.
또, 뚜껑체 케이스(2)를 닫는 방향으로 누르면, 캠폴로어(78)는 제4캠 홈부(84)로부터 탈출한 후, 제5캠 홈부(85)를 향하여 진행하고, 제5캠 홈부(85)의 근방에 도달하면, 상기 가세력 F의 작용에 의해 캠폴로어(78)는 제5캠 홈부(85)에 떨어져 들어오게 된다.
이 결과, 뚜껑체 케이스(2)는 도 11에 나타내는 제2각도자세(2c)로 유지된다.
뚜껑체 케이스(2)를 완전히 닫기 위해, 뚜껑체 케이스(2)를 다시 닫는 방향으로 누르면, 캠폴로어(78)는 제5캠 홈부(85)로부터 탈출하며, 제6캠 홈부(86)를 향해 진행한다.
캠폴로어(78)가 제6캠 홈부(86)에 도달하면, 뚜껑체 케이스(2)에서 손을 떼어도, 캠폴로어(78)는 상기 분력 Fs'의 작용에 의해 제6캠 홈부(86)를 진행하여, 최종적으로 제1캠부 홈(81)의 시단위치(78a)로 되돌아오게 된다.
이 캠폴로어(78)의 이동에 수반하여, 뚜껑체 구동부재(71)는 뚜껑체 케이스(2)의 닫는 방향으로 회전하며, 캠폴로어(78)가 제1캠부 홈(81)의 시단위치에 도달하는 것에 의해 뚜껑체 케이스(2)는 전폐쇄위치까지 닫혀지며, 이 위치에 유지된다.
또한, 캠 홈(8)의 제6캠 홈부(86)가 제1캠부 홈(81)과 교차하는 위치에는, 도 10(a),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토션스프링(88)에 의해 회전 가세된 밸브부재(87)가 배치되어 있으며, 통상은, 제6캠 홈부(86)의 출구를 막고 있다.
따라서, 조작버튼(41)을 눌러 조작하여 뚜껑체 케이스(2)를 개방시키는 경우, 도 1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캠폴로어(78a)가 제1캠부 홈(81)의 시단위치로부터 전진하는 과정에서 그 캠폴로어(78a)가 밸브부재(87)에 의해 전진이 방해가 되는 일이 없으며, 또한, 그 캠폴로어(78a)가 제6캠 홈부(86)로 침입할 우려가 없다.
또, 뚜껑체 케이스(2)를 닫는 경우는,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6캠 홈부(86)를 진행하는 캠폴로어(78)는 밸브부재(87)를 밀어 열어 제1캠부 홈(81)으로 진입할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뚜껑체 케이스(2)를 닫은 상태로 캠폴로어(78)가 제1캠부 홈(81)의 시단위치로부터 조금 진행한 위치에 설치되도록 각 부재의 상대위치를 조정하면, 뚜껑체 케이스(2)를 닫은 상태에서는, 원동스프링(5)이 발휘하는 축방향의 탄성가세력에 의해 뚜껑체 구동부재(71)는, 뚜껑체 케이스(2)의 닫는 방향의 회전 가세력을 받게되어 뚜껑체 케이스(2)는 본체케이스(1)에 압박 접촉된 상태로 닫혀진다.
따라서 확실한 닫힘 상태를 얻게된다.
본 실시예의 폴더형 휴대전화기에 의하면,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질 뿐만 아니라,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뚜껑체 케이스(2)의 개방각도를 복수단으로 조정할 수가 있다.
또, 뚜껑체 케이스(2)를 도중의 개방각도에 설정한 상태로부터, 조작버튼(41)을 눌러 조작하면, 뚜껑체 케이스(2)를 다시 전개방위치까지 열 수가 있다.
또, 도 9에 나타내는 캠 홈(8)의 형상에 의해 뚜껑체(2)는 전개방위치에서 전폐쇄위치까지 매끄럽게 닫을 수가 있다.
또한, 캠 홈(8)의 형상은 루프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9에 나타내는 제1캠부 홈(81) 및 제2캠 홈부(82)로 이루어지는 원호형상으로서, 제2캠 홈부(82)의 도중에, 제4캠 홈부(84) 및 제5캠 홈부(85)의 기능을 수행할 캠 홈부를 오목하게 설치한 형상도 채용할 수도 있다.
제3실시예
본 실시예의 폴더형 휴대전화기는 도 7에 나타내는 제2실시예의 힌지어셈블리(7)에 뚜껑체 케이스(2)가 열리는 과정에서 뚜껑체 케이스(2)의 개방속도를 도중에 감속시키기 위한 댐퍼기구를 장착한 것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뚜껑체 구동부재(71)의 원판부(73)의 우측면에 180°의 위상차로 한 쌍의 마찰저항부(73a, 73a)를 설치함과 동시에, 원통형상부재(74)의 플랜지부(75)의 좌측면에 180°의 위상차로 상기 한 쌍의 마찰저항부(73a, 73a)와 슬라이딩 접촉할 한 쌍의 원판형상의 볼록부(75a, 75a)를 형성하고 있다.
마찰저항부(73a, 73a)는, 예를 들면 원판부(73)에 미세한 요철을 각설하거나 혹은, 펠트부재를 접착 고정시키는 것에 의해 형성할 수가 있다.
또, 뚜껑체 구동부재(71)에는, 한 쌍의 마찰저항부(73a, 73a) 사이의 원호형상의 영역에, 상기 볼록부(75a, 75a)가 슬라이딩 접촉할 단면이 반 원형상의 융기부(73c)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뚜껑체 케이스(2)의 개방동작에 수반하여, 뚜껑체 구동부재(71)의 원판부(73)는 회전하는 바, 원통형상부재(74)의 플랜지부(75)는 정지한 상태대로 이므로 원판부(73)와 플랜지부(75) 사이에는 상대회전이 일어난다.
또, 뚜껑체 구동부재(71)의 원판부(73)에 한 쌍의 볼록부(75a, 75a)를 형성함과 동시에, 원통형상부(74)의 플랜지부(75)에 한 쌍의 마찰저항부(73a, 73a)를 형성할 수도 있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뚜껑체 케이스(2)가 전폐쇄위치에서 전개방위치까지 열리는 과정에서, 전반(前半)의 회전각도 θ1(약 90°)의 범위에서는, 뚜껑체 구동부재(71)의 마찰저항부(73a, 73a)는 원통형상부재(74)의 볼록부(75a, 75a)와 접촉하지 않고, 융기부(73c)와 슬라이딩 접촉하여 마찰저항이 저감되기 때문에 상기 원동스프링(5)의 회전 가세력에 의해, 뚜껑체 케이스(2)는 비교적 빠른 속도로 열린다.
그 후, 후반의 회전각도 θ2(약 75°)의 범위에서는, 뚜껑체 구동부재(71)의 마찰저항부(73a, 73a)가 원통형상부재(74)의 볼록부(75a, 75a)와 접촉하여, 뚜껑체 케이스(2)의 회전에 제동력을 미치게 한다.
이 결과, 뚜껑체 케이스(2)는, 전개방위치까지 비교적 느린 속도로 열리게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뚜껑체 케이스(2)의 개방속도가 도중에 감속되기 때문에, 뚜껑체 케이스(2)가 대형의 디스플레이(21)를 장착하여 큰 중량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도, 뚜껑체 케이스(2)가 전개방위치에 도달하였을 때의 충격력은 작아진다.
따라서, 비교적 약한 힘으로 본체케이스(1)를 파지하고 있는 경우에도, 뚜껑체 케이스(2)를 열었을 때의 충격력에 의해 전화기를 떨어뜨릴 우려는 없다.
또, 상기 댐퍼기구는 제1실시예의 힌지어셈블리(4)에 장착할 수도 있다.
또한, 댐퍼기구로서는, 마찰저항을 이용한 것 이외에, 액체의 유동저항을 이용한 것 등, 주지하는 각종의 기구를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댐퍼기구의 설치위치에 대해서도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뚜껑체 케이스(2)와 함께 회전 또는 이동하는 뚜껑체 케이스(2)측의 부재와, 본체케이스(1)와 함께 회전 또는 이동하는 본체케이스(1)측의 부재가 대향하는, 임의의 부위에 배치할 수가 있다.
제4실시예
본 실시예의 폴더형 휴대전화기는 도 14∼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케이스(1)와 뚜껑체 케이스(2)의 연결부의 좌우 양측에, 한 쌍의 힌지기구(10, 10)를 배치한 것이다.
단, 우측의 힌지기구(10)에는 도 4에 나타내는 제1실시예의 힌지어셈블리(4)를 그대로 배치하지만, 좌측의 힌지기구(10)에는 도 4에 나타내는 힌지어셈블리(4)와는 좌우대칭의 구조를 갖는 것을 제작하여 배치한다.
또한, 제1실시예의 힌지어셈블리(4) 대신에 제2실시예 또는 제3실시예의 힌지어셈블리(7)를 채용할 수도 있다.
본체케이스(1)에는, 원통형상의 제1팁부(13) 및 제2팁부(15)가 돌출 설치되는 한편, 뚜껑체 케이스(2)에는 원통형상의 제1팁부(22) 및 제2팁부(23)가 돌출 설치되며, 이들 팁부는 동일 축 상에 배치되어 있다.
우측의 힌지기구(10)를 구성하는 힌지어셈블리(4)는 본체케이스(1)의 제1팁부(13) 및 뚜껑체 케이스(2)의 제1팁부(22)에 삽입되며, 본체구동부재(44)가 본체케이스(1)의 제1팁부(13)의 내주면에 결합함과 동시에, 뚜껑체 구동부재(43)가 뚜껑체 케이스(2)의 제1팁부(22)의 내주면에 결합하고 있다.
좌측의 힌지기구(10)를 구성하는 힌지어셈블리(4)는 본체케이스(1)의 제2팁부(15) 및 뚜껑체 케이스(2)의 제2팁부(23)에 삽입되며, 본체구동부재(44)가 본체케이스(1)의 제2팁부(15)의 내주면에 결합함과 동시에, 뚜껑체 구동부재(43)가 뚜껑체 케이스(2)의 제2팁부(23)의 내주면에 결합하고 있다.
그리고, 양 힌지기구(10, 10)의 조작버튼(41, 41)이 본체케이스(1)의 양측으로 노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폴더형 휴대전화기에 있어서는, 좌우 한 쌍의 조작버튼(41, 41)를 동시에 눌러서 조작하는 것에 의해 양 힌지어셈블리(4, 4)가 동작하여, 뚜껑체 케이스(2)가 열리게 된다.
따라서, 휴대용 전화기를 가방 등에 넣어서 휴대하고 있을 때에, 어느 한쪽의 조작버튼(41)이 눌렸을 경우에도 뚜껑체 케이스(2)는 열리지 않기 때문에 안전하다.
또, 뚜껑체 케이스(2)는 그 양 측부에, 좌우 한 쌍의 힌지어셈블리(4, 4)가 발휘하는 회전력을 받기 때문에, 예를 들면 대형의 디스플레이(21)의 장착에 의해 뚜껑체 케이스(2)의 중량이 크게 되어도, 뚜껑체 케이스(2)를 개방시키는데 필요한 충분한 토크가 얻어진다.
또한, 뚜껑체 케이스(2)를 개방할 때에는, 좌우 한 쌍의 조작버튼(41, 41)을 양측으로부터 누르게 되므로, 필연적으로 본체케이스(1)에 대한 파지력이 크게 되어, 뚜껑체 케이스(2)가 열렸을 때의 충격력으로 전화기를 떨어뜨릴 우려는 없다.
또, 한 쌍의 조작버튼(41, 41)을 조작하여 뚜껑체 케이스(2)를 개방할 때에도 14와 같이 본체케이스(1)에 돌출 설치된 안테나(11)에 손이 저촉되어 안테나성능을 저해할 우려도 없다.
그 밖에, 제1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원터치 조작으로 용이하게 뚜껑체 케이스를 개방시킬 수 있는 폴더형 휴대전화기가 실현된다.
또, 뚜껑체 케이스의 중량이 비교적 큰 경우에도 원터치 조작으로 용이하게 뚜껑체 케이스를 개방시킬 수가 있는 폴더형 휴대전화기가 실현된다.
또한, 뚜껑체 케이스의 중량이 비교적 큰 경우에도 뚜껑체 케이스가 열렸을 때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폴더형 휴대전화기가 실현된다.
또, 뚜껑체 케이스의 개방각도를 복수단으로 조정할 수가 있는 폴더형 휴대전화기가 실현된다.

Claims (21)

  1. 조작키(12)가 배치된 본체케이스(1)에, 힌지기구를 통해 상기 조작키(12)를 덮기 위한 뚜껑체 케이스(2)를 연결하여 구성되는 폴더형 휴대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힌지기구는,
    본체케이스(1)의 단부에 연결되어 외주면에 소정의 각도차로 형성된 한쌍의 돌기에 의해 본체케이스(1)와 일체로 회전하며, 일측에 슬라이딩 접촉이 이루어지는 캠면이 형성된 둥근 축 형상의 본체구동부재(44)와,
    상기 본체구동부재(44)와 동일 축 상에 배치되어 상호 축 방향으로 상대이동 및 상대회전이 가능하게 걸어 맞춤되며, 뚜껑체 케이스(2)의 단부에 연결되어 외주면에 소정의 각도차로 형성된 한 쌍의 돌기에 의해 뚜껑체 케이스(2)와 일체로 회전하고, 상기 본체구동부재(44)와의 마주 보는 대향부에 서로 슬라이딩 접촉이 이루어지는 캠면이 형성된 뚜껑체 구동부재(43)와,
    본체구동부재(44)와 뚜껑체 구동부재(43) 사이에 개재하여, 뚜껑체 케이스(2)의 개방방향으로 뚜껑체 구동부재(43)를 회전시키는 힘을 발휘하는 원동기구와,
    뚜껑체 케이스(2)를 닫은 상태에서, 그 뚜껑체 케이스(2)를 닫은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유지기구와,
    뚜껑체 케이스(2)를 개방할 때에 조작할 조작버튼(41)과,
    조작버튼(41)의 조작에 따라 유지기구에 의한 유지상태를 해제하는 유지해제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휴대전화기.
  2. 복수의 조작키(12)가 배치된 본체케이스(1)에 힌지기구를 통해 상기 조작키(12)를 덮기 위한 뚜껑체 케이스(2)를 연결하여 구성되는 폴더형 휴대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힌지기구는,
    본체케이스(1) 및 뚜껑체 케이스(2)에 각각 돌출 설치되어 동일 축 상에 배치된 원통형상의 팁부(13, 22)와, 그 팁부(13, 22)의 중앙구멍을 관통하여 배치된 둥근 축 형상의 힌지어셈블리(4)로 구성되며,
    상기 힌지어셈블리(4)는,
    본체케이스(1)의 팁부(13)에 상대회전 불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에 슬라이딩 접촉이 이루어지는 캠면이 형성된 둥근 축 형상의 본체구동부재(44)와,
    상기 본체구동부재(44)와 동일 축 상에 배치되어 상호 축 방향으로 상대이동 및 상대회전이 가능하게 걸어 맞춤되며, 상기 본체구동부재(44)와의 마주보는 대향부에 서로 슬라이딩 접촉이 이루어지는 캠면이 형성되고, 상기 뚜껑체 케이스(2)의 팁부(22)에 상대회전 불가능하게 결합된 뚜껑체 구동부재(43)와,
    본체구동부재(44)와 뚜껑체 구동부재(43) 사이에 개재하여, 뚜껑체 케이스(2)의 개방방향으로 뚜껑체 구동부재(43)를 회전시키는 힘을 발휘하는 원동기구와,
    뚜껑체 케이스(2)를 닫은 상태로, 그 뚜껑체 케이스(2)를 닫은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유지기구와,
    본체케이스(1) 및 뚜껑체 케이스(2)의 팁부(13, 22)로부터 외측으로 노출하여 배치되며, 뚜껑체 케이스(2)를 개방할 때에 조작할 조작버튼(41)과,
    조작버튼(41)의 조작에 따라, 유지기구에 의한 유지상태를 해제하는 유지해제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휴대전화기.
  3. 제 2항에 있어서,
    본체구동부재(44)와 뚜껑체 구동부재(43)의 결합부에는 캠 기구가 형성됨과 동시에, 본체구동부재(44)와 뚜껑체 구동부재(43) 사이에는, 뚜껑체 케이스(2)의 개방방향으로 뚜껑체 구동부재(43)를 회전시키는 힘을 발휘하는 탄성부재가 개재되어 있으며,
    상기 캠 기구는, 뚜껑체 케이스(2)가 닫은 위치로부터 개방위치까지 회전하는 과정의 전반 및 후반에서 각각 동작할 제1캠 곡선부 및 제2캠 곡선부를 갖고, 제1캠 곡선부는, 상기 탄성부재가 발휘하는 힘에 의해 뚜껑체 케이스(2)의 닫는 방향으로 뚜껑체 구동부재(43)를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한 캠 곡선으로 형성되며, 제2캠 곡선부는, 탄성부재가 발휘하는 힘에 의해 뚜껑체 케이스(2)의 개방방향으로 뚜껑체 구동부재(43)를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한 캠 곡선으로 형성되고, 제1캠 곡선부 및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유지기구가 구성됨과 동시에, 제2캠 곡선부 및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원동기구가 구성되며, 조작버튼(41)의 조작에 의해 캠 기구를 제1캠 곡선부의 동작상태로부터 제2캠 곡선부의 동작상태로 이행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휴대전화기.
  4. 복수의 조작키(12)가 배치된 본체케이스(1)에, 동일 축 상에 배치된 한 쌍의 힌지기구(10, 10')를 통해, 상기 조작키(12)를 덮기 위한 뚜껑체 케이스(2)를 연결하여 구성되는 폴더형 휴대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힌지기구(10, 10') 중, 한쪽의 힌지기구(10)는, 본체케이스(1)의 단부에 연결된 본체구동부재(44)와, 뚜껑체 케이스(2)의 단부에 연결된 뚜껑체구동부재(43)와, 본체구동부재(44)와 뚜껑체 구동부재(43)의 결합부에 형성된 캠 기구와, 본체구동부재(44)와 뚜껑체 구동부재(43) 사이에 개재하여 뚜껑체 케이스(2)의 개방방향으로 뚜껑체 구동부재(43)를 회전시키는 힘을 발휘하는 탄성부재와, 뚜껑체 케이스(2)를 열 때에 조작할 조작버튼(41)과, 조작버튼(41)의 조작력을 캠 기구로 전달하기 위한 조작력 전달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캠 기구는, 뚜껑체 케이스(2)가 닫은 위치로부터 개방위치까지 회전하는 과정의 전반 및 후반에서 각각 동작할 제1캠 곡선부 및 제2캠 곡선부를 갖고, 제1캠 곡선부는, 탄성부재가 발휘하는 힘에 의해 뚜껑체 케이스(2)의 닫는 방향으로 뚜껑체 구동부재(43)를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한 캠 곡선으로 형성되며, 제2캠 곡선부는, 탄성부재가 발휘하는 힘에 의해 뚜껑체 케이스(2)의 개방방향으로 뚜껑체 구동부재(43)를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한 캠 곡선으로 형성되어 있고, 조작버튼(41)의 조작에 의해 캠 기구를 제1캠 곡선부의 동작상태로부터 제2캠 곡선부의 동작상태로 이행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휴대전화기.
  5. 제4항에 있어서,
    본체케이스(1) 및 뚜껑체 케이스(2)에는 각각 원통형상의 팁부(13, 22)가 돌출 설치되어 상호 동일 축 상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본체구동부재, 뚜껑체 구동부재, 캠 기구, 탄성부재, 조작버튼(41) 및 조작력 전달부재는 둥근 축 형상을 나타내는 힌지어셈블리로 조립되며, 상기 힌지어셈블리는, 상기 본체케이스(1) 및 뚜껑체 케이스(2)의 팁부(13, 22)에 끼워 넣어지고, 본체구동부재는 본체케이스(1)의팁부(13)에 상대회전 불가능하게 결합되는 한편, 뚜껑체 구동부재는 뚜껑체 케이스(2)의 팁부(22)에 상대회전 불가능하게 결합되며, 조작버튼(41)은 팁부(13)로부터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휴대전화기.
  6. 제5항에 있어서,
    뚜껑체 구동부재(43) 및 본체구동부재(44)는 각각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상호 끼워 결합하고, 축 방향의 상대이동이 가능함과 동시에 상대회전이 가능하며, 뚜껑체 구동부재(43)와 본체구동부재(44) 사이에 상기 탄성부재가 되는 원동스프링(5)이 개재하고, 뚜껑체 구동부재(43)와 본체구동부재(44)의 대향부에는 서로 슬라이딩 접촉하는 캠면(6, 61)이 형성되어, 상기 캠기구를 구성하고 있으며, 양 캠면(6, 61)에 상기 제1캠 곡선부 및 제2캠 곡선부가 형성되고, 원동스프링(5)의 탄성력에 의해 양 캠면(6, 61)이 상호 축 방향으로 압박 접촉됨과 동시에, 뚜껑체 케이스(2)의 개방방향으로 뚜껑체 구동부재(43)에 회전력이 부여되며, 조작버튼(41)은 조작력 전달부재를 통하여 뚜껑체 구동부재(43)에 연결되어 있고, 조작버튼(41)의 조작에 의해 뚜껑체 구동부재(43)를 축 방향으로 압박하는 것에 의해, 양 캠면(6, 61)의 제1캠 곡선부에 있어서의 축 방향의 압박 접촉력을 약화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휴대전화기.
  7. 제5항에 있어서,
    뚜껑체 구동부재(71) 및 본체구동부재(72)는 각각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상호 끼워 결합하며, 축 방향의 상대이동이 가능함과 동시에 상대회전이 가능하며, 뚜껑체 구동부재(71)와 본체구동부재(72) 사이에 상기 탄성부재가 되는 원동스프링(5)이 개재하고, 본체구동부재(72)에는 캠 홈(8)이 개설됨과 동시에, 뚜껑체 구동부재(71)에는 상기 캠 홈(8)에 결합하는 캠폴로어(78)가 돌출 설치되어, 상기 캠기구를 구성하고 있으며, 캠 홈(8)에 상기 제1캠 곡선부 및 제2캠 곡선부가 형성되고, 원동스프링(5)의 탄성력에 의해, 뚜껑체 구동부재(71)와 본체구동부재(72) 사이에 상대적인 회전력이 부여되며, 조작버튼(41)은 조작력 전달부재를 통하여 뚜껑체 구동부재(71)에 연결되어 있고, 조작버튼(41)의 조작에 의해 뚜껑체 구동부재(71)를 축 방향으로 압박하는 것에 의해, 캠폴로어(78)를 캠 홈(8)의 제1캠 곡선부로부터 제2캠 곡선부로 추진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휴대전화기.
  8. 복수의 조작키(12)가 배치된 본체케이스(1)에, 동일 축 상에 배치된 한 쌍의 힌지기구(10, 10)를 통해, 상기 조작키(12)를 덮기 위한 뚜껑체 케이스(2)를 연결하여 구성되는 폴더형 휴대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힌지기구(10, 10)는 각각 본체케이스(1)의 단부에 연결되어 외주면에 소정의 각도차로 형성된 한 쌍의 돌기에 의해 본체케이스(1)와 일체로 회전하며, 일측에 슬라이딩 접촉이 이루어지는 캠면이 형성된 둥근 축 형상의 본체구동부재(44)와,
    상기 본체구동부재(44)와 동일 축 상에 배치되어 상호 축 방향으로 상대이동 및 상대회전이 가능하게 걸어 맞춤되며, 뚜껑체 케이스(2)의 단부에 연결되어 외주면에 소정의 각도차로 형성된 한 쌍의 돌기에 의해 뚜껑체 케이스(2)와 일체로 회전하고, 상기 본체구동부재(44)와의 마주보는 대향부에 서로 슬라이딩 접촉이 이루어지는 캠면이 형성된 뚜껑체 구동부재(43)와,
    본체구동부재(44)와 뚜껑체 구동부재(43) 사이에 개재하여, 뚜껑체 케이스(2)의 개방방향으로 뚜껑체 구동부재(43)를 회전시키는 힘을 발휘하는 원동기구와,
    뚜껑체 케이스(2)를 닫은 상태로, 그 뚜껑체 케이스(2)를 닫은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유지기구와,
    뚜껑체 케이스(2)를 개방할 때에 조작할 조작버튼(41)과,
    조작버튼(41)의 조작에 따라, 유지기구에 의한 유지상태를 해제하는 유지해제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휴대전화기.
  9. 복수의 조작키(12)가 배치된 본체케이스(1)에, 동일 축 상에 배치된 한 쌍의 힌지기구(10, 10)를 통해, 상기 조작키(12)를 덮기 위한 뚜껑체 케이스(2)를 연결하여 구성되는 폴더형 휴대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힌지기구(10, 10)는 각각, 본체케이스(1)의 단부에 연결된 본체구동부재(44)와, 뚜껑체 케이스(2)의 단부에 연결된 뚜껑체 구동부재(43)와, 본체구동부재(44)와 뚜껑체 구동부재(43)의 결합부에 형성된 캠기구와, 본체구동부재(44)와 뚜껑체 구동부재(43) 사이에 개재하여, 뚜껑체 케이스(2)의 개방방향으로 뚜껑체 구동부재(43)를 회전시키는 힘을 발휘하는 탄성부재와, 뚜껑체 케이스(2)를 열 때에 조작할 조작버튼(41)과, 조작버튼(41)의 조작력을 캠 기구로 전달하기 위한 조작력 전달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캠 기구는, 뚜껑체 케이스(2)가 닫은 위치로부터 개방위치까지 회전하는 과정의 전반 및 후반에서 각각 동작할 제1캠 곡선부 및 제2캠 곡선부를 갖고, 제1캠 곡선부는, 탄성부재가 발휘하는 힘에 의해 뚜껑체 케이스(2)의 닫는 방향으로 뚜껑체 구동부재(43)를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한 캠 곡선으로 형성되며, 제2캠 곡선부는, 탄성부재가 발휘하는 힘에 의해 뚜껑체 케이스(2)의 개방방향으로 뚜껑체 구동부재(43)를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한 캠 곡선으로 형성되어 있고, 조작버튼(41)의 조작에 의해 캠 기구를 제1캠 곡선부의 동작상태로부터 제2캠 곡선부의 동작상태로 이행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휴대전화기.
  10. 제9항에 있어서,
    본체케이스(1)에는, 원통형상의 제1팁부(13) 및 제2팁부(15)가 돌출 설치되는 한편, 뚜껑체 케이스(2)에는 원통형상의 제1팁부(22) 및 제2팁부(23)가 돌출 설치되고, 이들 팁부는 동일 축 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하나의 힌지기구(10)를 구성하는 본체구동부재(44), 뚜껑체 구동부재(43), 캠 기구, 탄성부재, 조작버튼(41), 및 조작력 전달부재는, 둥근 축 형상을 나타내는 힌지어셈블리로 조립되며, 한쪽의 힌지기구(10)를 구성하는 힌지어셈블리는, 상기 본체케이스(1) 및 뚜껑체 케이스(2)의 제1팁부(13, 22)에 삽입되어 있고, 다른 쪽의 힌지기구(10)를 구성하는 힌지어셈블리는, 상기 본체케이스(1) 및 뚜껑체 케이스(2)의 제2팁부(15, 23)에 삽입되어 있으며, 양 힌지기구(10, 10)의 조작버튼(41, 41)이 본체케이스(1)의 양측으로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휴대전화기.
  11. 제10항에 있어서,
    하나의 힌지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뚜껑체 구동부재(43) 및 본체구동부재(44)는 각각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상호 끼워 결합하고, 축 방향의 상대이동이 가능함과 동시에 상대회전이 가능하며, 뚜껑체 구동부재(43)와 본체구동부재(44) 사이에 상기 탄성부재가 되는 원동스프링(5)이 개재하고, 뚜껑체 구동부재(43)와 본체구동부재(44)의 대향부에는 상호 슬라이딩 접촉하는 캠면(6, 61)이 형성되어, 상기 캠기구를 구성하고 있으며, 양 캠면(6, 61)에 상기 제1캠 곡선부 및 제2캠 곡선부가 형성되고, 원동스프링(5)의 탄성력에 의해 양 캠면(6, 61)이 상호 축 방향으로 압박 접촉됨과 동시에, 뚜껑체 케이스(2)의 개방방향으로 뚜껑체 구동부재(43)에 회전력이 부여되며, 조작버튼(41)은 조작력 전달부재를 통하여 뚜껑체 구동부재(43)에 연결되어 있고, 조작버튼(41)의 조작에 의해 뚜껑체 구동부재(43)를 축 방향으로 압박하는 것에 의해, 양 캠면(6, 61)의 제1캠 곡선부에 있어서의 축 방향의 압박 접촉력을 약화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휴대전화기.
  12. 제10항에 있어서,
    하나의 힌지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뚜껑체 구동부재(71) 및 본체구동부재(72)는 각각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끼워 결합하고, 축 방향의 상대이동이 가능함과 동시에 상대회전이 가능하며, 뚜껑체 구동부재(71)와 본체구동부재(72) 사이에 상기 탄성부재가 되는 원동스프링(5)이 개재하고, 본체구동부재(72)에는 캠 홈(8)이 개설됨과 동시에, 뚜껑체 구동부재(71)에는 상기 캠 홈(8)에 결합하는캠폴로어(78)가 돌출 설치되어, 상기 캠기구를 구성하고 있으며, 캠 홈(8)에 상기 제1캠 곡선부 및 제2캠 곡선부가 형성되고, 원동스프링(5)의 탄성력에 의해, 뚜껑체 구동부재(43)와 본체구동부재(44) 사이에 상대적인 회전력이 부여되며, 조작버튼(41)은 조작력 전달부재를 통하여 뚜껑체 구동부재(71)에 연결되어 있고, 조작버튼(41)의 조작에 의해 뚜껑체 구동부재(71)를 축 방향으로 압박하는 것에 의해, 캠폴로어(78)를 캠 홈(8)의 제1캠 곡선부로부터 제2캠 곡선부로 추진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휴대전화기.
  13. 조작키(12)가 배치된 본체케이스(1)에, 힌지기구를 통해, 상기 조작키(12)를 덮기 위한 뚜껑체 케이스(2)를 연결하여 구성되는 폴더형 휴대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힌지기구는,
    본체케이스(1)의 단부에 연결되어 본체케이스(1)와 일체로 회전하는 본체구동부재(44)와,
    뚜껑체 케이스(2)의 단부에 연결되어 뚜껑체 케이스(2)와 일체로 회전하는 뚜껑체 구동부재(43)와,
    본체구동부재(44)와 뚜껑체 구동부재(43) 사이에 개재하여, 뚜껑체 케이스(2)의 개방방향으로 뚜껑체 구동부재(43)를 회전시키는 힘을 발휘하는 원동기구와,
    뚜껑체 케이스(2)를 닫은 상태로, 그 뚜껑체 케이스(2)를 닫은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유지기구와,
    뚜껑체 케이스(2)를 개방할 때에 조작할 조작버튼(41)과,
    조작버튼(41)의 조작에 따라, 유지기구에 의한 유지상태를 해제하는 유지해제기구와,
    뚜껑체 케이스(2)가 열리는 과정의 후반에 있어서, 뚜껑체 케이스(2)의 회전에 제동력을 미치게 하는 댐퍼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휴대전화기.
  14. 복수의 조작키(12)가 배치된 본체케이스(1)에, 동일 축 상에 배치된 한 쌍의 힌지기구를 통해, 상기 조작키(12)를 덮기 위한 뚜껑체 케이스(2)를 연결하여 구성되는 폴더형 휴대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힌지기구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힌지기구(10)는, 본체케이스(1) 및 뚜껑체 케이스(2)에 각각 돌출 설치되며 동일 축 상에 배치된 원통형상의 팁부(13, 22)와, 그 팁부(13, 22)의 중앙구멍을 관통하여 배치된 둥근 축 형상의 힌지어셈블리(4)로 구성되며,
    상기 힌지어셈블리(4)는,
    본체케이스(1)의 팁부(13)에 상대회전 불가능하게 결합하는 본체구동부재(44)와, 뚜껑체 케이스(2)의 팁부(22)에 상대회전 불가능하게 결합하는 뚜껑체 구동부재(43)와,
    본체구동부재(44)와 뚜껑체 구동부재(43) 사이에 개재하여, 뚜껑체 케이스(2)의 개방방향으로 뚜껑체 구동부재(43)를 회전시키는 힘을 발휘하는 원동기구와,
    뚜껑체 케이스(2)를 닫은 상태로, 그 뚜껑체 케이스(2)를 닫은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유지기구와,
    본체케이스(1) 및 뚜껑체 케이스(2)의 팁부(13, 22)로부터 외측으로 노출하여 배치되며, 뚜껑체 케이스(2)를 개방할 때에 조작할 조작버튼(41)과,
    조작버튼(41)의 조작에 따라, 유지기구에 의한 유지상태를 해제하는 유지해제기구와,
    뚜껑체 케이스(2)가 열리는 과정의 후반에 있어서, 뚜껑체 케이스(2)의 회전에 제동력을 미치게 하는 댐퍼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휴대전화기.
  15. 제14항에 있어서,
    본체구동부재(44)와 뚜껑체 구동부재(43)의 결합부에는 캠 기구가 형성됨과 동시에, 본체구동부재(44)와 뚜껑체 구동부재(43) 사이에는, 뚜껑체 케이스(2)의 개방방향으로 뚜껑체 구동부재(43)를 회전시키는 힘을 발휘하는 탄성부재가 개재되어 있으며, 상기 캠 기구는, 뚜껑체 케이스(2)가 닫은 위치로부터 개방위치까지 회전하는 과정의 전반 및 후반에서 각각 동작할 제1캠 곡선부 및 제2캠 곡선부를 갖고, 제1캠 곡선부는, 상기 탄성부재가 발휘하는 힘에 의해 뚜껑체 케이스(2)의 닫는 방향으로 뚜껑체 구동부재(43)를 회전시킬 수 있는 캠 곡선으로 형성되며, 제2캠 곡선부는, 탄성부재가 발휘하는 힘에 의해 뚜껑체 케이스(2)의 개방방향으로 뚜껑체 구동부재(43)를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한 캠 곡선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1캠 곡선부 및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유지기구가 구성됨과 동시에, 제2캠 곡선부 및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원동기구가 구성되며, 조작버튼(41)의 조작에 의해 캠 기구를 제1캠 곡선부의 동작상태로부터 제2캠 곡선부의 동작상태로 이행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휴대전화기.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기구는, 뚜껑체 케이스(2)의 개방동작에 수반하여 상호 상대이동을 일으키는 2개의 부재 중, 한쪽의 부재에, 다른 쪽의 부재가 슬라이딩 접촉할 마찰저항부를 형성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휴대전화기.
  17. 삭제
  18. 복수의 조작키(12)가 배치된 본체케이스(1)에, 힌지기구를 통해, 상기 조작키(12)를 덮기 위한 뚜껑체 케이스(2)를 연결하여 구성되는 폴더형 휴대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힌지기구(10)는, 본체케이스(1)의 단부에 연결된 본체구동부재(72)와, 뚜껑체 케이스(2)의 단부에 연결된 뚜껑체 구동부재(71)와, 본체구동부재(72)와 뚜껑체 구동부재(71)의 결합부에 형성된 캠기구와, 본체구동부재(72)와 뚜껑체 구동부재(71) 사이에 개재하여 뚜껑체 케이스(2)의 개방방향으로 뚜껑체 구동부재(71)를 회전시키는 힘을 발휘하는 탄성부재와, 뚜껑체 케이스(2)를 열 때에 조작할 조작버튼(41)과, 조작버튼(41)의 조작력을 캠 기구로 전달하기 위한 조작력 전달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캠 기구는, 뚜껑체 케이스(2)가 닫은 위치로부터 개방위치까지회전하는 과정의 전반 및 후반에서 각각 동작할 제1캠 곡선부 및 제2캠 곡선부와, 뚜껑체 케이스(2)가 개방위치로부터 닫은 위치까지 회전하는 과정에서 동작할 제3캠 곡선부를 갖고, 제1캠 곡선부는, 탄성부재가 발휘하는 힘에 의해 뚜껑체 케이스(2)의 닫는 방향으로 뚜껑체 구동부재(71)를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한 캠 곡선으로 형성되며, 제2캠 곡선부는, 탄성부재가 발휘하는 힘에 의해 뚜껑체 케이스(2)의 개방방향으로 뚜껑체 구동부재(71)를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한 캠 곡선으로 형성되고, 제3캠 곡선부는, 탄성부재가 발휘하는 힘에 의해 뚜껑체 케이스(2)를 하나 또는 복수의 개방각도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캠 곡선으로 형성되며, 조작버튼(41)의 조작에 의해 캠 기구를 제1캠 곡선부의 동작상태로부터 제2캠 곡선부의 동작상태로 이행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휴대전화기.
  19. 제18항에 있어서,
    본체케이스(1) 및 뚜껑체 케이스(2)에는 각각 원통형상의 팁부(13, 22)가 돌출 설치되어 상호 동일 축 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구동부재(72), 뚜껑체 구동부재(71), 캠 기구, 탄성부재, 조작버튼(41) 및 조작력 전달부재는, 둥근 축 형상을 나타내는 힌지어셈블리(7)로 조립되고, 상기 힌지어셈블리(7)는, 상기 본체케이스(1) 및 뚜껑체 케이스(2)의 팁부(13, 22)에 삽입되어 있으며, 본체구동부재(72)는 본체케이스(1)의 팁부(13)에 상대회전 불가능하게 결합되는 한편, 뚜껑체 구동부재(71)는 뚜껑체 케이스(2)의 팁부(22)에 상대회전 불가능하게 결합되며, 조작버튼(41)은 팁부(13, 22)로부터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휴대전화기.
  20. 제18항에 있어서,
    뚜껑체 구동부재(71) 및 본체구동부재(72)는 각각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끼워 결합하고, 축 방향의 상대이동이 가능함과 동시에 상대회전이 가능하며, 뚜껑체 구동부재(71)와 본체구동부재(72) 사이에 상기 탄성부재가 되는 원동스프링(5)이 개재하고, 본체구동부재(72)에는 캠 홈(8)이 개설됨과 동시에, 뚜껑체 구동부재(71)에는 상기 캠 홈(8)에 결합하는 캠폴로어(78)가 돌출 설치되어, 상기 캠기구를 구성하고 있으며, 캠 홈(8)에 상기 제1캠 곡선부, 제2캠 곡선부 및 제3캠 곡선부가 형성되고, 원동스프링(5)의 탄성력에 의해, 뚜껑체 구동부재(71)와 본체구동부재(72) 사이에 상대적인 회전력이 부여되며, 조작버튼(41)은 조작력 전달부재를 통해 뚜껑체 구동부재(71)에 연결되어 있으며, 조작버튼(41)의 조작에 의해 뚜껑체 구동부재(71)를 축 방향으로 압박하는 것에 의해, 캠폴로어(78)를 캠 홈(8)의 제1캠 곡선부로부터 제2캠 곡선부로 추진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휴대전화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캠 홈(8)은, 상기 제1캠 곡선부, 제2캠 곡선부 및 제3캠 곡선부를 루프형상으로 연결하여 형성되며, 제3캠 곡선부의 후반에는, 탄성부재가 발휘하는 힘에 의해 뚜껑체 케이스(2)의 닫는 방향으로 뚜껑체 구동부재(71)를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한 캠 곡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휴대전화기.
KR10-2001-0010380A 2000-03-03 2001-02-28 폴더형 휴대전화기 KR1004199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58088 2000-03-03
JP2000058090A JP3459606B2 (ja) 2000-03-03 2000-03-03 折り畳み式携帯電話機
JP2000058088A JP3392801B2 (ja) 2000-03-03 2000-03-03 折り畳み式携帯電話機
JP2000058089A JP3459605B2 (ja) 2000-03-03 2000-03-03 折り畳み式携帯電話機
JP2000-058091 2000-03-03
JP2000-058090 2000-03-03
JP2000-058089 2000-03-03
JP2000058091A JP2001251399A (ja) 2000-03-03 2000-03-03 折り畳み式携帯電話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7236A KR20010087236A (ko) 2001-09-15
KR100419927B1 true KR100419927B1 (ko) 2004-02-25

Family

ID=27481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0380A KR100419927B1 (ko) 2000-03-03 2001-02-28 폴더형 휴대전화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459887B2 (ko)
KR (1) KR1004199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2418B1 (ko) * 2000-06-28 2002-07-02 이형도 휴대전화기의 폴더 구동장치
KR100369652B1 (ko) * 2001-02-16 2003-02-06 삼성전자 주식회사 자동 및 수동 겸용 접이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의서브바디 개폐제어 최적화 방법
TWI241822B (en) * 2001-03-22 2005-10-11 Nifco Inc Rotary actuator for hinge
JP3686845B2 (ja) * 2001-05-21 2005-08-24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折り畳み型携帯電話機
TW482229U (en) * 2001-07-17 2002-04-01 Hinge Basestrong Co Ltd Rotating axle structure with lift and close function
DK200101486A (da) * 2001-10-09 2003-04-10 Lego As Legetøjsbyggesæt
JP2003120655A (ja) * 2001-10-15 2003-04-23 Ohashi Technica Inc ヒンジ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携帯電話機
JP3986794B2 (ja) * 2001-10-19 2007-10-03 株式会社オーハシテクニカ ヒンジ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携帯電話機
JP3764092B2 (ja) * 2001-11-26 2006-04-05 加藤電機株式会社 電子機器用ヒンジ並びにこのヒンジを用いた電子機器
KR100454965B1 (ko) * 2001-12-29 2004-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가 닫힌 상태에서 카메라 렌즈 개방수단을 구비한휴대용 통신장치
KR200273898Y1 (ko) * 2002-01-17 2002-04-27 김봉영 Pc의 방열구조
KR100450581B1 (ko) * 2002-02-28 2004-09-30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 장치 및 그를 채용한 휴대용 단말기
TW576081B (en) * 2002-03-01 2004-02-11 Benq Corp Hinge device
TW545614U (en) * 2002-04-18 2003-08-01 Quanta Comp Inc Flat panel display and its foldable base
TW553576U (en) * 2002-04-18 2003-09-11 Quanta Comp Inc Flat panel display and the folded base thereof
US6728557B1 (en) * 2002-05-17 2004-04-27 Motorola, Inc. Hinge assembly for a multi-configura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6975889B2 (en) * 2002-05-30 2005-12-13 Quanta Computer Inc. Cover-ejecting mechanism for a communication unit
US7111362B2 (en) * 2002-06-13 2006-09-26 Motorola, Inc. Electronics devices with spring biased hinges and methods therefor
JP2004040710A (ja) * 2002-07-08 2004-02-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開閉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携帯電話機器
JP3849623B2 (ja) * 2002-09-05 2006-11-22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通信機器
JP2004116665A (ja) * 2002-09-26 2004-04-15 Nifco Inc 折り畳み式電子機器
KR20040028115A (ko) * 2002-09-28 2004-04-03 김흥기 댐퍼힌지
JP3972795B2 (ja) * 2002-10-31 2007-09-0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開閉装置
JP4371258B2 (ja) * 2002-11-06 2009-11-25 株式会社エンプラス 電動開閉機構
KR100496592B1 (ko) * 2002-12-09 2005-06-22 피닉스코리아 주식회사 힌지장치
JP2005083432A (ja) * 2003-09-05 2005-03-31 Nidec Copal Corp モータ付き電動ヒンジ装置
EP1605792B1 (en) * 2003-01-24 2010-04-14 Bruce A. Rogers Adjustable hair holding device
JP4026506B2 (ja) * 2003-02-14 2007-12-2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開閉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TW566817U (en) * 2003-03-11 2003-12-11 Benq Corp Electronic device and hinge assembly thereof
EP1463272A1 (en) * 2003-03-26 2004-09-29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Clamshell-type mobile terminal with a better access to input keys
US7426406B2 (en) * 2003-04-23 2008-09-16 Nokia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with synchronising hinge
US20060034601A1 (en) * 2003-04-23 2006-02-16 Tage Andersson Multi-function two panel electronic device with 360° relative motion
US7512426B2 (en) * 2003-04-23 2009-03-31 Nokia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with synchronising hinge
US7155266B2 (en) * 2004-04-21 2006-12-26 Nokia Corporation Hinge for fold phone
KR100547726B1 (ko) * 2003-04-25 2006-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무선 단말기 폴더의 회전 멈춤 장치
TW572564U (en) * 2003-05-19 2004-01-11 Benq Corp Clammer-typed electronic device
US7065834B2 (en) * 2003-06-09 2006-06-27 Southco, Inc. Bistable hinge with dampening mechanism
US7895710B2 (en) * 2003-07-23 2011-03-01 Fujitsu Limited Hinge device
TWM244656U (en) * 2003-08-27 2004-09-21 Hon Hai Prec Ind Co Ltd Hinge mechanism
US6985580B2 (en) * 2003-09-08 2006-01-10 Shin Zu Shing Co., Ltd. Auto-released hinge for a mobile phone
KR100566276B1 (ko) * 2003-10-17 2006-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스윙 힌지 모듈
JP4048435B2 (ja) 2003-10-23 2008-02-20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
TWM250024U (en) * 2003-11-07 2004-11-11 Fih Co Ltd Hinge assembly
TWI230003B (en) * 2003-11-13 2005-03-21 Benq Corp Cellular phone and flip structure thereof
KR100640452B1 (ko) * 2003-12-06 2006-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통신 장치
CN1332547C (zh) * 2003-12-16 2007-08-15 明基电通股份有限公司 移动电话及掀盖机构
US7140074B2 (en) * 2004-01-20 2006-11-28 Phoenix Korea Co., Ltd. Hand-hel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hinge device
US20050220294A1 (en) * 2004-02-02 2005-10-06 Amphenol-T&M Antennas Push-button hinge for handheld devices
CN2699630Y (zh) * 2004-02-26 2005-05-1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铰链结构
CN100502624C (zh) * 2004-08-27 2009-06-17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铰链结构
US7580518B2 (en) * 2004-12-01 2009-08-25 Motorola, Inc. Dual-axes hinge part for hinged components
CN1942647B (zh) * 2004-12-02 2010-10-06 三星精密工业株式会社 用于消除关门的噪音的缓冲器
US7499540B2 (en) * 2004-12-30 2009-03-03 Motorola, Inc. Device having pivotable hinges
TWI250790B (en) * 2005-01-07 2006-03-01 Asustek Comp Inc Display device having rotational image-capturing module
TWM274472U (en) * 2005-01-25 2005-09-01 Nano Prec Corp Torque adjusting module
US7414834B2 (en) * 2005-04-21 2008-08-19 Nokia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with synchronising hinge
CN100446645C (zh) * 2005-05-13 2008-12-24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铰链结构
CN1933706B (zh) * 2005-09-16 2011-07-27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折叠式电子装置及其盖体与滑动结构
US8365356B2 (en) * 2005-10-28 2013-02-05 Caldwell Manufacturing Company North America, LLC Friction adjuster for window balance carriers
JP4643654B2 (ja) * 2005-11-16 2011-03-0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カード型装置
WO2007106077A2 (en) * 2006-03-02 2007-09-20 Southco, Inc. Drop-in damped hinge module
TWM304172U (en) * 2006-07-11 2007-01-01 Quanta Comp Inc Hand held apparatus and an active flip device for a foldable cover thereof
KR100849318B1 (ko) * 2006-08-22 2008-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JP5114035B2 (ja) * 2006-09-08 2013-01-09 日本電気株式会社 ヒンジ構造及びこれを用いた折り畳み型携帯端末
CN101169153A (zh) * 2006-10-24 2008-04-3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铰链结构及应用该铰链结构的折叠式电子装置
JP2008106803A (ja) * 2006-10-24 2008-05-08 Omron Corp ヒンジ機構および携帯端末
JP4696049B2 (ja) * 2006-10-26 2011-06-08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話機
JP4317210B2 (ja) * 2006-12-07 2009-08-19 東芝テック株式会社 表示装置
US20080166180A1 (en) * 2007-01-08 2008-07-10 Shin Zu Shing Co., Ltd. Pivotal device
FR2911662B1 (fr) * 2007-01-20 2009-02-27 Fresenius Vial Soc Par Actions Verrou pour dispositif de fixation.
JP5068556B2 (ja) * 2007-02-07 2012-11-07 日本電気株式会社 折り畳み型携帯機器におけるストラップ取り付け部の構造
US8019394B2 (en) 2007-06-29 2011-09-13 Motorola Mobility, Inc. Component packaging for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US7596830B2 (en) * 2007-09-06 2009-10-06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Hinge
US20090170571A1 (en) * 2007-12-31 2009-07-02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artial flip-open assist of ultra thin clam communication devices
US20100321882A1 (en) * 2008-03-31 2010-12-23 Tracy Mark S Computing Device Locking Mechanisms
US8204560B2 (en) 2008-12-17 2012-06-19 Motorola Mobility, Inc. Clamshell phone with edge access
FR2940986B1 (fr) * 2009-01-15 2011-01-07 Saint Gobain Pont A Mousson Ensemble d'articulation et dispositif de voirie correspondant
CN101876338B (zh) * 2009-04-29 2013-10-0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铰链结构及采用该铰链结构的电子装置
US20100315041A1 (en) * 2009-06-15 2010-12-16 Qing Song Tan Portable phone holder and charger with quick release feature
JP5898842B2 (ja) 2010-01-14 2016-04-06 任天堂株式会社 携帯型情報処理装置、携帯型ゲーム装置
EP2355526A3 (en) 2010-01-14 2012-10-31 Nintendo Co., Lt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stored therein display control program, display control apparatus, display control system, and display control method
JP5800501B2 (ja) 2010-03-12 2015-10-28 任天堂株式会社 表示制御プログラム、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システム、及び、表示制御方法
US8384770B2 (en) * 2010-06-02 2013-02-26 Nintendo Co., Ltd. Image display system, image display apparatus, and image display method
US8633947B2 (en) 2010-06-02 2014-01-21 Nintendo Co., Lt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stored therein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5647819B2 (ja) 2010-06-11 2015-01-07 任天堂株式会社 携帯型電子機器
EP2395768B1 (en) 2010-06-11 2015-02-25 Nintendo Co., Ltd. Image display program, image display system, and image display method
JP5739674B2 (ja) 2010-09-27 2015-06-24 任天堂株式会社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US8854356B2 (en) 2010-09-28 2014-10-07 Nintendo Co., Ltd. Storage medium having stored therein image processing program,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system, and image processing method
TWI485345B (zh) * 2011-09-20 2015-05-21 Compal Electronics Inc 顯示器支撐架
US11794650B2 (en) * 2016-06-10 2023-10-24 SMR Patents S.à.r.l. Folding joint for rear view display device
CN106122367B (zh) * 2016-07-11 2018-07-24 重庆工商职业学院 单向旋转阻尼器
CN107327471B (zh) * 2017-08-31 2020-07-24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8986A (ko) * 1997-12-11 1999-07-05 윤종용 플립형 휴대폰의 플립커버 개폐장치
KR20000014986A (ko) * 1998-08-26 2000-03-15 윤종용 플립형 무선 단말기의 커버 개폐장치
KR200176939Y1 (ko) * 1999-11-13 2000-04-15 구승엽 폴더형 휴대폰의 개폐구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59019A (en) * 1991-04-08 1993-11-0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Apparatus providing for a curved device with hinged cover
JP3268467B2 (ja) * 1992-09-08 2002-03-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話機
JP2689913B2 (ja) * 1994-07-15 1997-12-10 日本電気株式会社 自動開放型折畳み携帯無線機
JPH08139793A (ja) * 1994-11-15 1996-05-31 Kato Electrical Mach Co Ltd 携帯用電話器の開閉装置
US5649309A (en) * 1995-05-18 1997-07-15 Motorola, Inc.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n axially aligned cover release mechanism
US6151486A (en) * 1998-10-30 2000-11-21 Ericsson Inc. Magnetic latch and release device and radiotelephones incorporating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8986A (ko) * 1997-12-11 1999-07-05 윤종용 플립형 휴대폰의 플립커버 개폐장치
KR20000014986A (ko) * 1998-08-26 2000-03-15 윤종용 플립형 무선 단말기의 커버 개폐장치
KR200176939Y1 (ko) * 1999-11-13 2000-04-15 구승엽 폴더형 휴대폰의 개폐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7236A (ko) 2001-09-15
US20010019946A1 (en) 2001-09-06
US6459887B2 (en) 2002-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9927B1 (ko) 폴더형 휴대전화기
JP3392801B2 (ja) 折り畳み式携帯電話機
JP3459606B2 (ja) 折り畳み式携帯電話機
JP3686845B2 (ja) 折り畳み型携帯電話機
JP4167070B2 (ja) ロータリーアクチュエータを備えたヒンジ構造
JP3732619B2 (ja) ヒンジ装置
EP0713313B1 (en) Foldable and portable telephone
US7653968B2 (en) Hinge device and electronic instrument using the hinge device
JP5007236B2 (ja) 開閉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携帯機器
US20060188092A1 (en) Mobile terminal with a hinge, a method of operating the mobile terminal and a hinge
US20010036265A1 (en)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mobile phones
JP2001251399A (ja) 折り畳み式携帯電話機
JP3145652B2 (ja) ヒンジ装置
JP3544949B2 (ja) ヒンジ装置並びにヒンジ装置を用いた携帯式電子機器
JP3459605B2 (ja) 折り畳み式携帯電話機
KR100428423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커버 개폐장치
JP2004060697A (ja) 多段階展開ヒンジ装置
KR100352619B1 (ko) 폴더형 휴대폰의 덮개 펼침 장치
KR100435214B1 (ko) 휴대폰의 커버 힌지장치
JP3656041B2 (ja) ヒンジ装置並びにヒンジ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JP3665744B2 (ja) ヒンジ装置並びにヒンジ装置を用いた携帯式電子機器
JP3727271B2 (ja) ヒンジ装置並びにヒンジ装置を用いた携帯式電子機器
JP2009047258A (ja) ヒンジ機構および携帯端末
JPH1198228A (ja) 折畳み型携帯電話
KR200235541Y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커버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