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3597B1 - 진동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진동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3597B1
KR100413597B1 KR10-2001-0061305A KR20010061305A KR100413597B1 KR 100413597 B1 KR100413597 B1 KR 100413597B1 KR 20010061305 A KR20010061305 A KR 20010061305A KR 100413597 B1 KR100413597 B1 KR 1004135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piezoelectric
generating device
vibration generating
piezoelectric vibrat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1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0546A (ko
Inventor
와카마츠히로시
와카마츠토시오
니시우라요시노리
마츠모토케이수케
Original Assignee
강상배
(주)테루모공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상배, (주)테루모공업 filed Critical 강상배
Publication of KR20020040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05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3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35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6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piezoelectric effect or with electrostri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7Vibrating means for incoming calls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으로 큰 진동을 얻고, 또한 소형경량화도 용이한 진동발생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진동발생장치(振動發生裝置)는, 진동판의 한면 또는 양면에 압전소자(壓電素子)가 부착된 복수개의 압전진동자(壓電振動子)를 갖고 있고, 상기 복수개의 압전진동자를 연결판으로 서로 연결하여 적층시킴으로써, 압전진동자 전체의 진폭은 연결판을 기점으로 한 각각의 압전진동자 진폭보다 크게 된다. 이처럼, 아주 간단한 구성으로 큰 진동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추(錘) 등도 불필요하기 때문에 소형경량화가 쉽다. 또한 진동특성의 변화가 거의 없기 때문에 호출진동과 통화음성 쌍방을 발생시키는 경우에도 적합하며, 음질이나 음량의 변화도 거의 없다.

Description

진동발생장치{THE APPARATUS FOR GENERATING VIBRATIONS}
본 발명은, 압전진동자를 이용하여 저주파의 진동을 발생시켜, 예를 들면 휴대전화기나 무선호출기 등의 휴대용 통신기기의 착신알림기 등으로서 이용될 수 있는 진동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휴대전화기 등에 있어서는, 착신을 알리기 위하여 음성이나 진동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특히 주위의 소음이 문제가 되는 장소나 착신음이 주위사람들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는 장소 등에서는, 음성신호로서 인식되지 않는 저주파 호출진동을 발생시킴으로서, 사용자에게 진동을 체감시켜 착신을 알려주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휴대전화기에 있어서, 호출음성을 발생시키는 장치로서는 종전부터 전자스피커나 압전진동자를 이용한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상기 호출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장치로서는 전자모터에 편심추를 연결한 것이다. 압전진동자를 이용한 것 등이 소개되고 있었다.
그러나, 호출음성을 발생시키기 위한 진동발생장치와 호출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진동발생장치는 종래 별개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휴대전화기의 휴대 기기 소형화를 추진하는데에 곤란하고, 부품수도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일본 특개평(特開平)7-274230호 공보에는 호출음성과 호출진동을 한 개의 부품으로 발생시킬 수 있는 압전알림기가 개시되었다.
상기 압전알림기에서는 긴막대형의 압전소자가 이용되고, 이 긴막대형의 압전소자가 긴쪽방향의 양끝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압전소자의 중앙 부근에 진동을 휴대자에게 전달하는 진동유도체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호출음성 및 호출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가청주파수 영역내의 구동전계와 가청주파수 영역보다도 낮은 주파수의 구동 전계중 어느 것이든 한쪽을 선택적으로 발생시키는 전기회로를 갖추고, 상기 양 구동전계를 전환하여 압전소자에 입력하는 전환입력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압전알림기에서는 긴막대형의 단층 압전소자가 긴쪽 방향의 양 끝에 고정되어 있고, 그 압전소자의 긴쪽 방향 중앙부근에 진동유도체가 연결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압전소자를 진동시키고 호출진동을 발생시킬 경우, 압전소자의 진폭이 충분히 커지지 않아, 휴대자가 쉽게 체감할 수 있는 강한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이 어려웠다.
한편, 사용자가 체감 할 수 있는 강한 진동을 낼 수 있는 압전진동장치로서, 일본 특개평(特開平)8-79891호 공보에서는, 원형으로 평판상의 진동판 표면에 전압체가 붙어있지 않는 압전진동자를 이용한 압전진동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예로서는 상기 원판상 압전진동자는 중앙부에서 지지되고 수지 또는 금속으로 된 케이스에 수납되어 있다.
상기 압전진동장치에서는 원형의 압전진동자가 중앙을 기점으로 하고, 그 주변부가 최대진폭이 되도록 진동시키기 위하여 주변부는 자유단으로서 쉽게 변위한다. 따라서 비교적 진폭이 크게 저주파 진동을 낼 수 있고, 소형이면서도 강한 진동을 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일본 특개평(特開平)7-274230호 공보에 기재된 압전알림기는 가청주파수역의 호출음성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긴막대형의 압전소자를 양끝에 고정하고, 그것을 중앙에서 지지하는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그 때문에 호출음성과 호출진동 쌍방을 발생시킬 수 있으나, 저주파역에서 강한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를 갖고 있다.
또한, 일본 특개평(特開平)8-79891호 공보에 기재된 압전진동장치에서는, 원판상의 압전진동자를 중앙에서 지지하는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저주파역에서는 비교적 강한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으나, 그 진동의 강도는 충분하지 못했다. 그뿐만 아니라, 상기 압전진동장치는 상기 호출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에 불과하고, 부품수가 많아 소형화에 지장을 준다는 문제를 남기고 있었다.
그래서, 하나의 압전진동자를 이용하여, 보다 큰 호출음성이나 통화음성, 보다 강한 호출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진동발생장치로서 일본 특개 (特開) 2000-167468 공보에 개시된 진동발생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이 진동발생장치는, 판상의 압전진동자 중앙에, 압전진동자를 지지함과 동시에 압전진동자에서 발생한 진동을 외부로 전달하는 진동전달부재가 연결되고, 압전진동자 외주부에 있어서 압전진동자에 대한 진동을 증폭시키는 질량부하부재가 연결되어 있다.
그렇지만, 상기진동발생장치는 진동을 증폭시키기 위하여 질량부하부재를 연결하고 있기 때문에 장치자체가 무거워지고, 특히 경량화를 추구할 필요가 있는 휴대정보기기에는 맞지 않았다. 또한, 압전진동자에 질량부하부재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강한 호출진동을 발생시키기에는 적당하나, 질량부하부재에 의하여 진동특성이 변화하고, 호출음성이나 통화음성을 발생시킬 경우에 음질이나 음량이 변화하기 쉽다. 그 때문에 호출진동과 통화음성 쌍방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장치로서도 적당하지 않았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한 것으로, 간단한 구성으로 큰 진동을 얻을 수 있고, 더구나 소형경량화도 용이한 진동발생장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진동발생장치는 한쪽 또는 양면에 압전소자가 부착된 복수개의 압전진동자를 갖고 있고, 상기 복수개의 압전진동자를적층시킨 상태에서 압전진동자가 겹쳐지는 부분의 일부에서 압전진동자끼리 연결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진동발생장치는 진동판의 한면 또는 양면에 압전소자가 부착된 복수개의 압전진동자를 갖고 있고, 상기 복수개의 압전진동자를 연결판으로 서로 연결하여 적층시켰다. 이 때문에 적층된 압전진동자 전체의 진폭은 연결부를 기점으로 한 각각의 압전진동자 진폭보다 크게 된다. 이처럼, 아주 간단한 구성으로 큰 진동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추 등도 불필요하기 때문에 소형경량화가 쉽다. 또한 진동특성의 변화가 거의 없기 때문에, 예를 들면 호출진동과 통화음성 쌍방을 발생시키도록 하는 경우에도 적합하다.
본 발명의 진동발생장치에 있어서, 압전진동자간의 연결판이, 압전진동자의 끝부분 근방에 존재하고 있는 경우에는 압전진동자가 끝부분 근방의 연결판을 기점으로 하여 고정되어있지 않은 다른 끝부분이 최대진폭이 되도록 진동하기 때문에 소형 압전진동자로 진폭이 보다 크고 강한 진동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진동발생장치에 있어서, 압전진동자간의 연결판이, 압전진동자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겸하고 있는 경우에는 연결판에서 각 압전진동자를 지지하기 때문에 고정구조가 간단하고 구조적인 손실이 적어지게 되고, 소형경량화나 가격면 등에서 유리하다.
본 발명의 진동발생장치에 있어서, 압전진동자 간의 연결판이, 압전진동자에서 발생한 진동을 외부로 전달하는 진동전달부를 겸하고 있는 경우에는, 연결판에서 진동을 외부로 전달하기 때문에 고정구조가 간단하며 구조적인 손실이 적어지고, 소형경량화나 가격 면에서 유리하다.
본 발명의 진동발생장치에 있어서, 압전진동자가 소정 간격을 두고 적층되는 경우에는 압전진동자끼리 서로의 진동을 간섭하지 않기 때문에 진동을 방해하지 않고 보다 강력한 진동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진동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전진동자를 구동하는 구동회로를 갖추고, 상기 구동회로가 가청주파수역의 제1 구동전계와 가청주파수역 보다도 낮은 주파수역의 제2 구동전계를 선택적으로 전환하여 전기 압전진동자에 인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경우, 예를 들어 휴대전화기 등에 적용한 경우에 착신시 호출음성과 호출진동을 선택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진동발생장치의 하나의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는 그림이고 (a)는 측면도, (b)는 정면도이다.
도2는 상기 진동발생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는 측면도이고 (a)는 종래 예의 대기상태, (b)는 종래 예의 진동상태, (c)는 실시 예의 대기상태, (d)는 실시 예의 진동상태이다.
도3은 상기 진동발생장치의 구동파형(驅動波形)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4는 상기 진동발생장치의 구동회로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진동발생장치 제2 실시 형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a)는 대기상태, (b)는 진동상태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진동발생장치 제3 실시 형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a)는 대기상태, (b)는 진동상태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진동발생장치 제4 실시 형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a)는 대기상태, (b)는 진동상태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진동발생장치 제5 실시 형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a)는 대기상태, (b)는 진동상태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진동발생장치 제6 실시 형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진동발생장치 제7 실시 형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진동발생장치 제8 실시 형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진동발생장치 제9 실시 형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의 진동발생장치 제10 실시 형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면에 대한 부호의 상세한 설명
1 : 압전진동자 3 : 진동판
4 : 압전소자 5 : 연결판
6 : 케이스 7 : 지지부재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도1은 본 발명의 진동발생장치의 하나의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이 진동발생장치는 복수개(예를 들어 2개)의 압전진동자(1)를 갖추고 있다.
상기 압전진동자(1)는, 원판상의 금속판으로 된 진동판(3)의 한쪽 면에 진동판(3)보다 직경이 작은 원판상 압전소자(4)가 부착되어 구성된 이른바 유니몰프(Unimorph)형의 압전진동자(1)이다.
상기 압전소자(4)는, 원판상 압전세라믹판의 양면에 전극(그림에 표시하지 않음)이 접속된 기본구조를 갖고 있다. 그 예로서는, 진동판(3)이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압전소자(4)의 진동판(3)쪽에 설치된 전극을 생략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 진동발생장치에서는, 상기 압전진동자(1)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적층되고, 각 압전진동자(1)의 진동판(3) 끝부분이 연결판(5)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져 있다. 이처럼 압전진동자(1)가 소정의 간격을 두어 적층되어 있기 때문에 압전진동자(1)끼리 상호 진동을 간섭하지 않기 때문에 진동을 방해하지 않고 보다 강한 진동을 얻을 수 있다. 그 예로서는 각 압전진동자(1)는, 압전소자(4)가 같은 쪽을 향하도록 설치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상기 연결판(5)은, 케이스(6)에 고정되고 각 압전진동자(1)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겸하고 있으며, 각 압전진동자(1)에서 발생한 진동을 케이스(6)에 개재시켜서 외부로 전달시키는 진동전달부도 겸하고 있다. 이처럼 연결판(5)이 압전진동자의 지지부나 진동전달부를 겸하고 있기 때문에 고정구조가 간단하고 구조적인 손실이 적어지며, 소형경량화나 가격 면에서 유리하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진동발생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우선, 압전진동자(1)의 진동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대기상태의 압전진동자(1)는, 도2의 (a)에 나타낸 것과 같이, 단부가 케이스(6)에 고착된 상태에서 평판상을 보이고 있다. 이 상태에서 압전소자(4)에 전압을 인가하면 도2의 (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압전소자(4)를 구성하는 압전소자가 충전되고 압전효과에 의하여 판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수축된다(도면의 화살표 방향). 이 때, 진동판(3)은 수축하지 않기 때문에 압전진동자(1)의 진동판(3)이 압전소자(4)쪽으로 휘어 변형된다.
그리고 도3에 나타낸 것처럼, 대기상태의 최저 구동전압 VL과 최고 구동전압VH의 전환을 반복하는 구동파형을 압전소자(4)에 입력하면, 압전소자가 충전과 방전을 거듭함에 따라 변형과 복귀를 반복하고, 압전진동자(1)가 진폭 WO에서 진동하는 것이다. 그 때, 최저 구동전압 VL을 어스전압으로 설정하는 것에 의하여, 대기상태에서의 전력소비가 적어지기 때문에 기기에 탑재되는 배터리를 작게 할 수 있어 소형경량화에 유리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진동발생장치의 진동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대기 상태의 양 압전진동자(1)는, 도2의 (c)에 나타낸 것과 같이 연결판(5)이 케이스(6)에 고착된 상태에서 평판상을 보이고 있다. 이 상태에서 압전소자(4)에 도3과 같은 구동파형을 입력하면 도2의 (d)에 나타낸 것처럼 각 압전진동자(1)가 위에서 서술한 것과 같은 일정한 진폭으로 진동한다.
이 때, 본 발명의 진동발생장치에서는, 압전진동자(1)의 척층체 전체의 진폭W1이 연결판(5)를 기점으로 한 각각의 압전진동자(1) 진폭 WO보다 크게 되기 때문에 크고 강한 진동을 얻을 수 있다.
도4는 상기 진동발생장치에 연결된 구동회로를 나타낸 블록그림이다.
상기 구동회로는, 진동발생장치(10)에 가청주파수역의 제1 구동전계를 인가하는 호출음성회로(12) 및 수화음성회로(13)와 진동발생장치(10)에 가청주파수역보다도 낮은 주파수역의 제2 구동전계를 인가하는 저주파발진회로(11)를 갖추고 있다. 그리고 스위치(14)의 접속을 전환함에 따라서, 상기 제1 구동전계와 제2 구동전계를 선택적으로 전환하여 압전진동자(1)에 인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저주파발진회로(11)는 능동소자와 주변회로로 구성된다.진동발생장치(10)를 저주파발진회로(11)에 접속하도록 스위치(14)를 조작하면 저주파발진회로(11)에 의하여, 압전진동자(1)는 설정된 가청주파수보다 낮은 음성 인식되지 않는 주파수역에서 진동하며, 그 진동이 연결판(5)을 통하여 케이스(6)에 전해진다.
이것에 의하여, 사용자는 케이스(6)에 전달된 호출진동을 체감할 수 있다. 스위치(14)를 전환하여 진동발생장치(10)를 호출음성회로(12)에 접속시키면, 호출음성회로(12)의 메모리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음성신호가 진동유니트에 의하여 가청주파수역의 진동으로 변환되어 호출음성을 발생시킨다.
또한, 호출음성 혹은 호출진동에 의한 착신확인 후에는 스위치(14)를 전환하여 진동발생장치(10)를 음성수화회로(13)에 접속시키는 것에 의하여, 진동발생장치(10)를 수화용 스피커로서 이용할 수 있고, 통화음성을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처럼 상기 진동발생장치(10)를 사용함에 따라서, 휴대전화기 등이 착신할 때, 호출음성 혹은 호출진동을 선택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호출진동을 발생시킬 때는, 적층된 압전진동자(1) 전체 진폭W1이 연결판(5)을 기점으로 한 각각의 압전진동(1)의 진폭 WO보다 크게 되기 때문에 크고 강한 진동을 얻을 수 있다. 더구나 추 등이 없으므로 통화음성을 발생시킬 때의 진동특성 변화가 거의 없고, 음질이나 음량의 변화도 거의 없다.
상기 진동발생장치(10)는, 휴대전화기나 무선호출기 등의 착신알림기 등에 적용할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마사지기와 같은 진동을 발생시키는 기기라면 여러 곳에 적용시킬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진동발생장치를 나타낸다. 이 장치에서는 도5의 (a)에 나타낸 것처럼, 각 압전진동자(1)가 대기상태에서 미리 진동판(3)쪽으로 휘어 있다. 그리고 구동전압을 인가하면 도5의 (b)에 나타난 것처럼 각 압전진동자(1)가 압전소자(4)쪽으로 휘고, 충반전을 반복함에 따라서 진폭 W2로 진동한다. 그 이외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같고, 같은 부분에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있다. 이 진동발생장치에 의하면 대칭성이 높은 안정된 진동을 얻을 수 있고, 보다 강한 진동을 발생시키기에 바람직하다. 그 외는 상기 제1의 실시형태와 같은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진동발생장치를 나타낸다. 이 장치에서는 도6의 (a)에 표시한대로, 압전진동자(1)가 압전소자(4)의 장착면이 대면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전압을 인가하면 도6의 (b)에 나타낸 것처럼 각 압전진동자(1)가 압전소자(4)쪽으로 휘어, 충방전을 반복함에 따라 진폭 W3으로 진동한다. 그 이외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같고, 같은 부분에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있다. 이 진동발생장치에서는 장치 자체를 박형화 할 수 있고, 압전진동자(1)를 진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압전진동자(1)끼리를 접촉시키고, 진동뿐만이 아니라 음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대칭성이 높은 안정된 진동을 얻을 수 있고, 보다 강한 진동을 발생시키는데 바람직하다. 그 이외는 상기 제1의 실시형태와 같은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의 진동발생장치를 나타낸다. 이 장치에서는도7의 (a)에 나타낸 것처럼 압전진동자(10)가 진동판(3)과 대면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전압을 인가하면 도7의 (b)에서처럼, 각 압전진동자(1)가 압전소자(4)쪽으로 휘고, 충방전을 반복함에 따라서 진폭 W4로 진동한다. 그 이외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같고, 같은 부분에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있다. 이 진동발생장치에 의하면 대칭성이 높은 안정된 진동을 얻을 수 있고, 보다 강한 진동을 발생시키기에 바람직하다. 그 이외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의 진동발생장치를 나타낸다. 이 장치에서는 도8의 (a)에 표시한 것처럼, 압전진동자(1)가 대기상태에서 미리 진동판(3)쪽으로 휘어 있다. 또한 각 압전진동자(1)가 진동판(3)과 대면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전압을 인가하면 도8의 (b)에 나타낸 것처럼 각 압전진동자(1)가 압전소자(4)쪽으로 휘고, 충방전을 반복함에 따라 진폭 W5로 진동한다. 그 이외는, 상기 제1 실시형태와 같고, 같은 부분에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있다.
이 진동발생장치에 의하면 대칭성이 높은 안정된 진동을 얻을 수 있고, 보다 강한 진동을 발생시키기에 바람직하다. 또한 압전진동자(1)를 진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압전진동자(1)끼리 접촉시켜서 진동뿐만이 아니라 음도 발생시킬 수 있다. 그 이외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의 진동발생장치를 나타낸다. 이 장치에서는 3개의 압전진동자(1)가 소정 간격을 두고 적층되고, 각 압전진동자(1)의 진동판 끝부분이 연결판(5)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 이외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같고, 같은부분에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있다. 이 장치에서도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작용효과를 얻는다.
도10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의 진동발생장치를 나타낸다. 이 장치에서는 3개의 압전진동자(1)가 소정 간격을 두고 적층되고, 각 압전진동자(1)의 진동판 끝부분이 연결판(5)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도10의 좌측에 위치하는 2개의 압전진동자(1)는 압전소자(4)가 같은 쪽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도10의 우측 압전진동자(1)는 압전소자(40)가 다른 2개의 압전진동자(10)와 반대측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 이외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같고, 같은 부분에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있다. 이 장치에서도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작용효과를 얻는다.
도11은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의 진동발생장치를 나타낸다. 이 장치에서는 4개의 압전진동자(1)의 압전소자(4)가 같은 쪽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소정 간격을 두고 적층되고 있다. 그리고 중앙부에 위치한 2개의 압전진동자(1)는, 케이스(6)쪽의 끝부분이 연결판(5)을 사이에 두고 연결됨과 동시에 케이스(6)에 고착되어 있다. 한편, 양쪽 끝부분에 위치한 압전진동자(1)는 연결판(5)에 의하여 케이스(6)와 반대측 끝부분이 근접하는 압전진동자(1)와 연결되고 있다. 그 이외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같고, 같은 부분에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있다. 이 장치에서도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작용효과를 얻는다.
도12는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의 진동발생장치를 나타낸다. 이 장치에서는 진동판(3)의 양면에 압전소자(4)가 부착된 이른바 바이몰프(Bimorph)형 압전진동자(1)가 사용되고 있다. 그 이외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같고, 같은 부분에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있다. 이 장치에서도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작용효과를 얻는다.
도13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 형태의 진동발생장치를 나타낸다. 이 장치에서는 각 압전진동자(1)가 진동판(3)과 대면하도록 배치되고, 각 진동판(3)의 중앙부가 연결판(5)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판(5)이 지지부재(7)로 지지되어 케이스(6)에 고정되어 있다. 그 이외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같고, 같은 부분에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있다. 이 진동발생장치에 의하면 대칭성이 높은 안정된 진동을 얻을 수 있고, 보다 강한 진동을 발생시키기에 바람직하다. 그 이외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작용효과를 얻는다.
더욱이,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압전진동자(1)로서 원판형태의 진동판(3)을 갖는 것을 이용했지만, 그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진동판의 형상으로서는 정사각형, 직사각형, 다각형 등 각종 평면형상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압전소자(4)의 평면형상에 대해서도 원형에 한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고 사각형이나 다각형 등의 다른 평면 형상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진동판(3)으로서 금속판을 이용한 압전진동자(1)를 적용한 예를 나타냈지만, 그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진동판(3)에 세라믹 등의 재질을 이용한 압전진동자(1)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각 압전진동자(1)의 끝부분끼리 또는 중앙 끼리를 연결판(5)으로 연결했는데, 압전진동자(1)끼리가 겹쳐지는 부분의 일부가 연결되어 있다면 그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진동발생장치에 의하면, 적층된 압전진동자 전체의 진폭은 연결부를 기점으로 한 각각의 압전진동자의 진폭보다 크게 된다. 이처럼 지극히 간단한 구성으로 커다란 진동을 얻을 수 있고, 추 등도 불필요하므로 소형경량화가 용이하다. 또한 진동특성의 변화가 거의 없기 때문에 호출진동과 통화음성의 쌍방을 발생시키도록 하는 경우에도 적합하다.

Claims (6)

  1. 진동발생장치에 있어서, 진동판의 한면 또는 양면에 압전소자(4)가 부착된 복수개의 압전진동자(1)를 보유하고, 상기 복수개의 압전진동자를 연결판(5)으로 서로 연결시켜 적층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발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압전진동자(1)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판(5)이 압전진동자의 끝부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발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압전진동자(1)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판(5)이 압전진동자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겸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발생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에 있어서, 압전진동자(1)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판(5)이 압전진동자에서 발생한 진동을 외부에 전달하는 진동전달부를 겸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발생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에 있어서, 압전진동자(1)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발생장치.
  6. 진동발생장치에 있어서, 진동판(3)의 한면 또는 양면에 압전소자(4)가 부착된 복수개의 압전진동자(1)를 보유하고, 상기 복수개의 압전진동자를 연결판(5)으로 서로 연결시켜 적층되어 있으며, 압전진동자를 구동하는 구동회로를 갖추고, 구동회로가 가청주파수역인 호출음성회로(12)와 수화음성회로(13)의 제1 구동전계와 가청주파수역보다 낮은 주파수역의 저주파발진회로(11)의 제2 구동전계를 스위치(14)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전환하여 압전진동자(1)에 인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진동발생장치.
KR10-2001-0061305A 2000-11-22 2001-10-05 진동발생장치 KR1004135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356594 2000-11-22
JP2000356594A JP2002159917A (ja) 2000-11-22 2000-11-22 振動発生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0546A KR20020040546A (ko) 2002-05-30
KR100413597B1 true KR100413597B1 (ko) 2004-01-03

Family

ID=18828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1305A KR100413597B1 (ko) 2000-11-22 2001-10-05 진동발생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2159917A (ko)
KR (1) KR1004135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2093B1 (ko) * 2002-08-30 2005-03-10 주식회사 헬스피아 저주파 세라믹 진동자
JP3912249B2 (ja) * 2002-09-30 2007-05-09 日本電気株式会社 燃料電池の運転方法および燃料電池を搭載した携帯機器
KR100502782B1 (ko) * 2003-02-27 2005-07-20 스마트전자 주식회사 압전형 진동장치
JP2007096386A (ja) * 2005-09-27 2007-04-12 Akita Denshi Systems:Kk スピーカ
DE102006053421A1 (de) 2006-11-13 2008-05-15 Epcos Ag Vibrationsgenerator
JPWO2009141970A1 (ja) 2008-05-19 2011-09-2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振動装置
KR100916928B1 (ko) * 2008-06-04 2009-09-1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핸드헬드 기기의 촉감생성 장치
WO2010007735A1 (ja) * 2008-07-14 2010-01-2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圧電発電装置
JP5304791B2 (ja) * 2008-08-27 2013-10-0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振動装置
DE102010021867A1 (de) * 2010-05-28 2011-12-01 Eurocopter Deutschland Gmbh Kraftgenerator zur Anbringung an einer Struktur
KR101325148B1 (ko) * 2012-03-09 2013-11-06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코일 스프링 형태의 미세압전진동자가 구비된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
JP6269822B2 (ja) 2014-04-24 2018-01-3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振動装置
CN108355942A (zh) * 2018-04-26 2018-08-03 谭江新 一种压电陶瓷振动电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9891A (ja) * 1994-08-31 1996-03-22 Hokuriku Electric Ind Co Ltd 圧電振動装置
JPH10336792A (ja) * 1997-05-29 1998-12-18 Aloka Co Ltd 超音波振動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167486A (ja) * 1998-12-01 2000-06-20 Murata Mfg Co Ltd 振動発生装置
KR20000057689A (ko) * 1996-12-20 2000-09-25 제프리 씨. 제이틀린 진동 패널들을 구비한 전기 음향 변환기
KR20010045689A (ko) * 1999-11-06 2001-06-05 이석순 통신기기용 진동/음향발생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9891A (ja) * 1994-08-31 1996-03-22 Hokuriku Electric Ind Co Ltd 圧電振動装置
KR20000057689A (ko) * 1996-12-20 2000-09-25 제프리 씨. 제이틀린 진동 패널들을 구비한 전기 음향 변환기
JPH10336792A (ja) * 1997-05-29 1998-12-18 Aloka Co Ltd 超音波振動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167486A (ja) * 1998-12-01 2000-06-20 Murata Mfg Co Ltd 振動発生装置
KR20010045689A (ko) * 1999-11-06 2001-06-05 이석순 통신기기용 진동/음향발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0546A (ko) 2002-05-30
JP2002159917A (ja) 2002-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3597B1 (ko) 진동발생장치
KR100396416B1 (ko) 구동 회로, 전기기계 음향 변환기 및 휴대 단말 장치
JP2000233157A (ja) 振動発生装置
JPH07213997A (ja) 圧電振動装置
JP5939160B2 (ja) 発振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H1093672A (ja) 加振器、加振装置及び携帯端末装置
JP2001212508A (ja) 駆動回路、電気機械音響変換装置および携帯端末装置
JP3529559B2 (ja) 電気機械音響変換器とそれを用いた携帯端末装置
JP2000167486A (ja) 振動発生装置
JPH1119590A (ja) 振動発生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携帯用通信装置
JPH09173979A (ja) 圧電型のバイブレーション機構とそれを用いた携帯電話機
KR20050044828A (ko) 1개의 보이스 코일과 1개의 무빙 코일을 이용한 다기능마이크로 스피커
JPH1056498A (ja) 携帯電話器用着信報知装置
JPH11146491A (ja) 電気機械変換部品
KR101014190B1 (ko) 전자음향변환기
JP2001309472A (ja) 移動体通信機
JPH10285253A (ja) 着信振動装置および着用振動装置付携帯受信装置
JP2931559B2 (ja) 報知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携帯用通信装置
JPH06224824A (ja) 無線呼出用受信機
KR20020045666A (ko) 진동 스피커
JPH10192782A (ja) 着信振動装置および着用振動装置付携帯受信装置
KR100360116B1 (ko) 멀티 액튜에이터
WO2000054549A2 (en) Vibration exciters for driving bending wave panels
KR100336988B1 (ko) 신호 변환장치의 요크 구조
KR100355850B1 (ko) 진동 스피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