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1170B1 - 스위치모드전원공급회로및이를포함한화상디스플레이장치 - Google Patents

스위치모드전원공급회로및이를포함한화상디스플레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1170B1
KR100411170B1 KR1019960706925A KR19960706925A KR100411170B1 KR 100411170 B1 KR100411170 B1 KR 100411170B1 KR 1019960706925 A KR1019960706925 A KR 1019960706925A KR 19960706925 A KR19960706925 A KR 19960706925A KR 100411170 B1 KR100411170 B1 KR 100411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voltage
circuit
control circuit
standb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6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703640A (ko
Inventor
아드리아누스 안토니우스 마리누스 마리아
로우이스 구이 더본드트 바울
에마누엘 패트릭 스미트스 제라두스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970703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7036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1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11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0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flyback converters
    • H02M3/3352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flyback converters with galvanic isolation between input and output of both the power stage and the feedback loop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1/0006Arrangements for supplying an adequate voltage to the control circuit of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1/0032Control circuits allowing low power mode operation, e.g. in standby mo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대기 모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모드 전원 공급 회로는 고효율로 대기 전압(Vo1)을 공급하기 위해 감소된 2차 전압들(Vo1, Vo2)을 갖는 버스트 모드에서 동작될 수 있다. 전원 공급 회로의 정규 동작 모드에서, 제어 회로(1)는 전원 공급 회로에 의해 발생된 전원 공급 전압(Vcc)에 의해 온-상태로 유지된다. 제어 회로(1)가 전원 공급 회로를 스위칭하기 위한 제어 펄스들(Vd)을 공급한다. 버스트 모드는 어느 다른 준비들 없이도 그 제어 회로(1)가 어떤 제어 펄스(Vd)도 발생되지 않는 오프-상태에 도달하는 범위로 제어 회로(1)에 발생된 전원 공급 전압(Vcc)을 감소시킴으로써 얻어진다. 대기 모드에서, 제어 회로(1)는 전원 공급 수단(4)에 의해 전류가 공급된다. 오프-상태에서 제어 회로(1)는 공급할 수 있는 것보다 전원 공급 수단(4)으로부터의 더 작은 전원 공급 전류(Icc)를 취하고, 전원 공급 전압 (Vcc)은 제어 회로(1)가 온-상태에 도달하여, 제어 펄스(Vd)를 발생시키기 시작할 때까지 증가한다. 온-상태에서, 제어 회로(1)는 공급하는 것보다 전원 공급 수단 (4)으로부터의 더 큰 전류를 취하고, 전원 공급 전압(Vcc)은 제어 회로(1)가 오프-상태에 다시 도달할 때까지 감소한다. 이런 점에서, 대기 모드에서의 전원 공급 회로는 제 1 주기동안 매번 활성이고, 제 2 주기동안 비활성이다. 전원 공급 전압을 대기 모드로 되게 하기 위해, 제어 회로(1)에 발생된 전원 공급 전압(Vcc)은 상기 2차 전압들(Vs1, Vs2)이 감소되는 방법으로 감소된다.

Description

스위치 모드 전원 공급 회로 및 이를 포함한 화상 디스플레이 장치
공지된 전원 공급 회로에는 1차 권선 및 복수의 2차 권선들을 갖는 변압기가 제공된다. 제 1의 2차 권선이 동작 모드 및 대기 모드 둘 모두에서 대기 전압을 공급한다. 동작 모드에서, 제 2의 2차 권선으로부터의 동작 전압은 피드백 회로를 통해 제어 회로로 피드백된다. 그 제어 회로는 제 2의 2차 권선에 의해 발생된 동작 전압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1차 권선과 직렬로 배치된 반복성 스위치 트랜지스터의 온 및 오프 시간을 제어한다. 피드백 회로는 DC 분리를 통해 전원 공급 회로의 2차 측으로부터 1차 측으로 피드백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옵토커플러(optocoupler)를 포함한다.
제어 회로는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통한 피크 전류가 주어진 값 아래로 떨어질 경우에 전원 공급 회로가 대기 모드가 되도록 하며, 이는 2차 측에서의 전력 소모가 상당히 감소하는 경우이다. 동작 전압으로부터 취해진 전류가 동작 전압에 접속된 회로를 비활성화시키거나, 이러한 회로를 그 동작 전압으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상당히 감소될 경우에, 2차 측에서의 전력 소모가 상당히 감소한다. 대기 전압은 동작 전압을 안정화시킴으로써 대기 모드에서 간접적으로 안정화된다. 전원 공급 회로가 작은 전력을 공급하는 대기 모드에서의 전원 공급 회로의 효율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스위칭 트랜지스터는 동작 모드의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에서 스위칭된다.
공지된 전원 공급 회로는 대기 모드에서의 효율이 소망되는 만큼 높지 않고, 대기 모드에서 동작 전압들에 접속된 회로들을 비활성화시키거나, 이러한 동작 전압들로부터 이러한 회로들을 분리시키기 위해 특별한 준비들이 필요하다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정규 동작 모드 및 대기 모드에 동작하도록 적응되어 있는 스위치 모드 전원 공급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그 전원 공급 회로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로서, 상기 제어 회로는 전원 공급 전압이 오프-레벨 (off-level)로 감소하는 경우에 상기 제어 회로를 오프-상태(off-state)로 되게 하고, 상기 전원 공급 전압이 개시 레벨(starting level)로 증가하는 경우에 상기 제어 회로를 온-상태(on-state)로 되게 하기 위해 전원 공급 전압을 수신하도록 결합된 전압-검출 수단을 포함하는, 상기 제어 회로와, 1차 권선을 가지며 상기 스위치와 직렬 배치로 통합되어 있는 변압기로서, 상기 직렬 배치는 DC 입력 전압원에 결합되고, 상기 변압기는 상기 전압-검출 수단에 결합된 전원 공급 권선을 더 가지며, 상기 전원 공급 권선은 상기 제어 회로가 온-상태에 있는 값에서 정규 동작 모드로 테이크-오버 전압(take-over voltage)을 공급하는, 상기 변압기 및 전원 공급 전류를 상기 제어 회로에 인가하기 위한 입력 전류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DC 입력 전압원에 결합된 전원 공급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그러한 스위치 모드 전원 공급 회로가 제공된 화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스위치 모드 전원 공급 회로는 특히 정규 동작 상태나 대기 상태에서 있을 수 있는 전자 장치들 내에 이용될 수 있다. 대기 상태에서, 이런 장치는 전력 소모가 적다.
그러한 스위치 모드 전원 공급 회로(전원 공급 회로로도 언급됨)는 타입 넘버 MC44603을 갖는 전원 공급 회로를 제어하기 위한 집적 회로(제어 회로로도 언급됨)가 기재된 모토로라 반도체 기술 데이터 "높은 유연성의 그린 SMPS 제어기(high flexibility green SMPS controller)"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정규 온-상태(동작 모드라고도 언급됨)에서, 이런 공지된 전원 공급 회로는 동작 모드에서 활성이어야 하는 전자 장치내의 회로들에 전압을 인가하는 복수의 동작 출력 DC 전압들(동작 전압들로도 언급됨)을 발생시킨다. 공지된 전원 공급 회로는 대기 모드에서 활성이어야 하는 회로들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대기 모드 및 동작 모드 둘 모두에서 대기 출력 DC 전압(대기 전압이라고도 언급됨)을 발생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모드 전원 공급 회로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모드 전원 공급 회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A 내지 도 3D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는 시간 다이어그램.
도 4A 내지 도 4C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는 시간 다이어그램.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스위치 모드 전원 공급 회로의 2차 부분의 일부에 대한 대안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모드 전원 공급 회로가 제공된 화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의 블록 다이어그램.
도 7A 및 도 7B는 개시 레벨과 오프-레벨간의 차이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설명하는 시간 다이어그램.
도 8A 및 도 8B는 정규 동작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의 전원 공급 회로의 변환을 설명하는 시간 다이어그램.
도 9는 대기 모드에서 정규 동작 모드로의 전원 공급 회로의 변환을 설명하는 전원 공급 전압의 시간 다이어그램.
도 10은 전원 공급 회로의 검출된 변환에 응답하여 제어 회로(1)를 오프-상태로 스위칭하는 회로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목적은 저렴하고 보다 효율적인 방식으로 대기 전압이 대기 모드에서 발생되는 스위치 모드 전원 공급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 1 양상은 서두에 기재된 형태의 스위치 모드 전원 공급 회로를 제공하며, 이는 전원 공급 회로는 대기 모드에서 대기 모드 표시 신호에 응답하여 테이크-오버 전압을 상기 제어 회로가 번갈아 상기 온-상태 및 상기 오프-상태로 될 수 있는 값으로 감소시키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양상은 청구항 17항에 정의되어 있는 바와 같은 그러한 전원 공급 회로가 제공된 화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는 종속항들에서 기술된다.
이후 기재되는 바와 같이, 청구항 1항에 언급된 수단들로 다음이 달성된다. 오프-상태의 제어 회로는 전원 공급 수단으로부터 입력 전류보다 작은 전원 공급 전류를 인출하여 그 전원 공급 전압은 제어 회로가 온-상태로 바뀌는 개시 레벨까지 증가하며, 온-상태의 제어 회로는 전원 공급 수단으로부터 입력 전류보다 큰 전원 공급 전류를 인출하여 그 전원 공급 전압은 제어 회로가 오프-상태로 바뀌는 값까지 감소한다. 그러므로, 전원 공급 회로는 주기적인 반복으로 그 스위치가 제 1 주기동안에는 스위칭 온 및 오프되고, 제 2 주기동안에는 스위칭되지 않는 버스트 모드내의 대기 모드동안 동작한다. 제 1 주기동안에는 전원 공급 회로는 작동하고 대기 전압은 증가하는 반면에, 제 2 주기동안에는 전원 공급 회로는 작동하지 않으며 대기 전압은 대기 전압에 접속된 회로들의 전력 소모에 기인하여 감소한다. 스위치 모드 전원 공급 회로의 효율은 특히, 스위치, 클램프 및 dV/dT 스너버 (snubber)에서 스위칭 손실에 의해 결정된다. 전원 공급 회로가 제 1(단락)주기동안에만 스위칭되기 때문에, 전원 공급 손실은 매우 낮다. 더욱이, 대기 모드의 테이크-오버 전압(결과적으로 또한 다른 발생된 전압, 그러므로 또한 개방 스위치의 경우에 1차 권선 양단의 전압)이 감소되므로, 클램프 및 스너버의 손실들은 여분의 상당한 범위까지 감소할 것이다.
대기 모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전원 공급 회로는 다음과 같이 기능한다. 그제어 회로가 오프-상태에 있다고 가정하자, 오프-상태에서, 그 제어 회로는 대기 전압이 감소하도록 제어 펄스들을 발생시키지 않으며, 더욱이, 그 제어 회로는 전원 공급 전압이 증가하도록 그 공급 수단에 의해 수신된 전류보다 작은 공급 전류를 전원 공급 수단으로부터 인출한다. 전원 공급 전압이 개시 레벨에 도달하자마자, 그 제어 회로는 동작 모드로 되어, 대기 전압이 증가하도록 제어 펄스들을 발생시키기 시작한다. 이제 전원 공급 전류가 전원 공급 수단에 의해 수신된 전류 보다 크므로, 그 전원 공급 전압은 오프-레벨에 도달할 때까지 감소할 것이며, 여기에서 그 제어 회로는 다시 오프-상태로 되며, 그 후 전원 공급 전압은 개시 레벨에 도달할 때까지 다시 증가하기 시작할 것이며, 앞서 말한 것이 반복된다. 버스트 모드가 실현되어, 전원 공급 회로의 오프-시간은 전원 공급 전압이 오프-레벨에서 온-레벨로 증가하도록 요구된 시간에 의해 결정된다.
전원 공급 회로는 대기 모드 표시 신호에 응답하여 테이크-오버 전압을 오프 -레벨 아래로 감소시킴으로써 동작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 변한다. 테이크-오버 전압의 감소에 기인하여, 그 제어 회로에 대한 전원 공급 전압은 전원 공급 수단에 의해 수신된 전류, 제어 회로에 의해 취해진 전원 공급 전류, 오프-레벨 및 온-레벨에 의해 단지 결정된다. 이러한 테이크-오버 전압의 감소는, 동작 모드에서 출력 DC 전압들 중 하나를 이러한 출력 DC 전압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제어 회로로 피드백하는 피드백 시에 동작하거나, 대기 모드에서의 저전압(예를 들어, 대기 전압)에서 그 대기 전압보다 높은 전압을 동작 모드에서 공급하는 2차 권선을(예를 들어, 제 2 제어 루프에 의해) 클램핑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테이크-오버 전압이 대기 모드에서 감소되므로, 다른 2차 권선들은 또한 감소된 출력 전압을 공급할 것이고, 이러한 출력 전압들에 접속된 회로들을 비활성화시키거나, 이러한 출력 전압들로부터 이 회로들을 분리하기 위한 특정의 대책을 세울 필요가 없다.
전원 공급 회로는 미국특허출원 제4,766,528호에서 공지되어 있으며, 이는 1차 권선 및 복수의 2차 권선들을 갖는 변압기가 제공되고, 상기 회로는 동작 모드에서 전자 장치내의 회로에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출력 전압들을 발생시킨다. 제 1의 2차 권선에서 나온 제 1 출력 전압은 피드백 회로를 통해 제어 회로로 피드백된다. 제어 회로는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온 및 오프 시간을 제어하며, 이는 제 1 출력 전압을 안정화시키기 위해 1차 권선과 직렬로 배치된다. 그 피드백 회로는 DC 분리를 통해 피드백 정보를 전원 공급 회로의 2차 측에서 1차 측으로 전달하기 위한 옵토커플러를 포함한다. 제 1의 2차 권선은 단지 동작 모드에서 활성일 필요가 있는 제 1 회로에 제 1 출력 전압을 공급한다. 제 2의 2차 권선은 안정화 회로를 통해 안정화된 대기 전압을 대기 모드에서 활성인 회로에 공급하기 위한 대기 전압을 공급한다. 전원 공급 회로는 제 2의 2차 권선과 피드백 회로 사이에 배치된 스위치를 폐쇄함으로써 대기 모드가 된다. 스위치를 폐쇄한 결과로써, 모든 2차 전압들은 감소하고, 대기 모드에서, 모든 출력 전압들은 동작 모드에서의 출력 전압보다 상당히 낮은 값을 갖는다. 안정화된 대기 전압이 제 2의 2차 권선에 의해 공급된 대기 전압의 감소에 기인하여 감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다른 스위치가 제 2의 2차 권선보다 높은 전압을 공급하는 제 3의 2차 권선과 직렬로 배치된다.대기 모드의 다른 스위치를 폐쇄함으로써, 제 3의 2차 권선은 고전압을 안정화 회로에 공급한다.
미국특허출원 제4,766,528호에 공지된 전원 공급 회로에 의해 대기 모드에서 공급될 소전력을 고효율로 발생시키기 위해서, 이런 전원 공급 회로는 버스트 모드에서 동작되고: 그 전원 공급 회로는 대안으로 제 1의 단지 짧은 주기동안 활성이고, 제 2의 긴 주기 동안 비활성이다. 활성 주기에서, 대기 전압은 최대로 소망의 레벨에 도달할 때까지 증가하고, 대기 전압과 피드백 회로 사이에 배치된 시간-결정 소자가 활성화될 때까지 증가한다. 피드백 회로를 통해, 이런 시간-결정 소자는 제 2의 긴 주기동안 제 1 스위치를 개방(open) 상태에 있게 한다. 결과적으로, 대기 전압은 감소한다. 긴 주기들 후에, 전원 공급 회로는 최대의 소망의 레벨에 다시 도달할 때까지 짧은 주기 동안에 다시 활성화된다. 그 시간-결정 소자는 단지 대기 모드에서만 활성화된다. 이런 공지된 전원 공급 회로는 피드백 회로의 하나의 (값비싼) DC 분리 포토커플러를 통해 동작 모드에서 제 1 전압으로부터 유도된 피드백 정보와 대기 모드에서 대기 전압으로부터 유도된 피드백 정보를 2차 측에서 1차 측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분리 시간-결정 소자가 2차 측(즉, 주 전압으로부터 분리된 DC측)에 배치되어야 한다는 결점을 갖고 있다. 그러므로, 전원 공급 회로의 1차 측에서 한 집적 회로(IC) 내의 제어 회로와 함께 시간-결정 소자를 수용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모드 전원 공급 회로는(대기 모드에서 전원 공급 회로의 오프-시간을 결정하기 위한) 시간-결정 소자가 필요치 않는 미국특허출원 제4,766,528호에 공지된 전원 공급 회로로부터 유리하게 식별된다. 이는 전원 공급 회로에 의해 발생된 테이크-오버 전압이 오프-레벨 이하로 감소하도록 함으로써 저렴한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어 회로에 의해 이런 오프-시간이 실현될 수 있다는 인식에 기초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모드 전원 공급 회로의 실시예에 있어서, 청구항 2 항에 청구된 바와 같이, 대기 전압은 동작 모드에서의 제 1의 2차 권선에 의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기 모드에서, 이러한 제 1의 2차 권선에 의해 공급된 전압은 또한 감소된다. 이 감소된 전압은 대기 전압으로서 이용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높아야 한다. 이는 동작 모드에서 제 1의 2차 권선이 매우 높은 전압을 공급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고전압은 안정화된 대기 전압을 공급하기 위해 대기 전압에 결합된 안정화 회로내에서 큰 소산(dissipation)을 초래한다. 동작 모드에서 큰 소산은 동작 모드에서 제 1의 2차 권선에 의해 발생된 전압을 대기 전압보다 약간 높게 선택함으로써 방지될 수 있다. 대기 모드에서, 또 다른 2차 권선이 필요하며, 대기 전압으로서 이용될 전압을 공급한다. 이러한 다른 2차 권선은 접속 수단(예를 들어, 사이리스터(thyristor)와 같은 단방향 스위치)을 통해 제 1의 2차 권선에 결합된 제 2의 2차 권선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모드 전원 공급 회로의 다른 실시예에서, 청구항 3항에 청구된 바와 같이, 테이크-오버 전압(take-over voltage)은 동작 전압을 감소시킴으로써 감소된다. 이는 이미 존재하는 접속 수단을 이용함으로써 그리고 대기 전압을 제한하는 클램핑 회로에 의해서 간단한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다. 그 클램핑 회로는 대기 전압에 접속된 제너 다이오드(zener diode)를 구성할 수 있다. 접속수단을 폐쇄함으로써, 제 2의 2차 권선은 대기 전압에 접속되고, 제 2의 2차 전압은 클램핑 회로에 의해 대기 전압을 제한함으로써 감소된다. 결과적으로, 테이크-오버 전압은 감소되고, 전원 공급 회로는 버스트 모드에서 동작을 개시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 회로의 다른 실시예에서, 청구항 4 항에 청구된 바와 같이, 대기 전압이 주어진 최대 레벨을 초과하지 않으며, 안정화 회로에서의 소산은 대기 모드에서 작다는 이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최대 레벨에 도달할 때, 피드백 신호가 활성화되고, 제어 펄스들의 발생은 대기 전압이 더 이상 증가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영향을 받는다.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모드 전원 공급 회로의 다른 실시예에서, 청구항 5 항에 청구된 바와 같이, 이미 제어 회로(집적 회로)내에 존재하는 과전압 안전 회로(overvoltage safety circuit)가 대기 전압이 최대값에 도달하자마자 제어 펄스들의 발생을 중단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어 펄스들의 발생을 중단시킴으로써, 대기 전압은 감소할 것이다. 이러한 방식에서, 그 전원 공급 회로의 활동 주기는 가능한 짧다.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모드 전원 공급 회로의 다른 실시예에서, 청구항 6항에 청구된 바와 같이, 대기 전압의 리플(ripple)이 작다는 이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활성 피드백 신호는 제어 회로의 전원 공급 전압이 오프-레벨로 감소할 때까지 대기 전압을 안정화하기 위해 대기 전압의 최대값에 도달할 시에 스위치의 온 및 오프-시간의 제어를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모드 전원 공급 회로의 다른 실시예에서, 청구항 7항에 청구된 바와 같이, 전원 공급 수단의 간단한 구현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원 공급 전압인 캐패시터 양단의 전압은 레지스터에 의해 캐패시터에 공급된 전류 및 제어 회로에 의해 캐패시터로부터 취해진 전원 공급 전류에 의해 대기 모드에서 결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모드 전원 공급 회로의 다른 실시예에서, 청구항 8항에 청구된 바와 같이, 접속 수단이 전류를 작은 값으로 유지시킴으로써 저렴하게 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기 모드 표시 신호는 임의 순간에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임의 순간에서 제 2의 2차 권선의 전류는 최대(예를 들어, 수평 편향 회로를 공급하고, 고전압 발생을 위해 요구되는 10A)일 수 있다. 대기 전압을 유지하기 위해 접속 수단을 통해 흐르는 전류는 작다(예를 들어, 마이크로컴퓨터를 공급하는데 요구되는 평균 10mA). 접속 수단을 통해 전류를 제한하기 위한 수단은 이런 큰 전류가 접속 수단을 통해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모드 전원 공급 회로의 다른 실시예에서, 청구항 9항에 청구된 바와 같이, 접속 수단을 통한 전류는 매우 저렴한 방식으로 제한된다는 이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모드 전원 공급 회로의 다른 실시예에서, 청구항 10항에 청구된 바와 같이, 접속 수단내의 전류는 여분의 소산없이 제한되고, 동작 전압은 접속 수단과 직렬로 전류-제한 수단 양단의 전압 드롭(drop)에 의해 증가되지 않는 이점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기 모드 표시 신호는 예를 들어 제어 입력을 통해, 또는 과전압 검출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제어 펄스들의 발생이 정지하게 하기 위한 오프-회로를 활성화시킨다. 제어 회로의 전원 공급 전압은 다시 감소하기 시작한다. 오프-레벨(또는 오프-레벨 바로 위의 레벨)에 도달할 경우, 소프트 -개시 수단(soft-start means)은 초기 상태로 된다. 오프-레벨에 도달한 경우, 그 제어 회로는 오프-상태로 되고, 전원 공급 전압은 증가하기 시작한다. 개시 레벨에 도달할 경우, 그 제어 회로는 초기 상태에 존재하는 소프트-개시 수단에 기인하여 1차 권선 및 2차 권선 내의 작은 피크 전류를 초래하는 제어 펄스들을 발생시키기 시작한다. 이런 작은 피크 전류는 그 스위치가 짧은 시간동안에만 폐쇄되도록 예를 들어 제어 펄스들의 듀티 사이클(duty cycle)을 작게 유지함으로써 도달된다. 피크 전류의 매우 정확한 제한은 1차 권선에서 피크 전류의 소망의 변동에 의존하여 듀티 사이클의 변동을 제어함으로써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모드 전원 공급 회로의 다른 실시예에서, 청구항 11항에 청구된 바와 같이, 전압 검출 수단은 개시 레벨과 오프-레벨간의 차이를 획득하도록 적응되어 있으며, 이런 차이는 정규 동작 모드동안보다 대기 모드동안에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정규 동작 모드동안의 개시 레벨과 오프-레벨간의 큰 차이는 적어도 다음의 이유들에 유리하다. 스위치 모드 전원 공급 회로는 제어 펄스들을 발생시키기 위해 개시함으로써, 그리고 테이크-오버 전압이 상승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대기 모드에서 정규 동작 모드로 변화한다. 한편, 제어 회로의 전원 공급 전압은 제어 회로가 온-상태에 있을 시에 감소할 것이고, 다른 한편, 전원 공급 회로가 오프-레벨 위의 테이크-오버 전압을 발생시키기 전의 어느 때를 취할 것이다. 그래서, 오프-레벨이 너무 높게 선택될 경우, 그 제어 회로의 전원 공급 전압은 이런 오프-레벨 위의 테이크-오버 전압을 생성하기 전에 오프-레벨에 도달할 것이며, 그 결과, 제어 회로는 오프-상태에 진입할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전원 공급 회로는 대기 모드에서 정규 동작 모드로 변화시키기 위해 여러 번의 시도들을 필요로 하고, 또는 심지어 이런 변화의 실패들도 필요로 한다. 더욱이, 테이크-오버 전압에 대한 허용오차(tolerance) 및 리플은 또한 개시 레벨과 테이크-오버 레벨간의 매우 충분한 차이를 필요로 한다. 동일한 이론이 정규 동작까지 제 1 개시를 유지한다. 그러나, 그러한 큰 차이가 대기 모드동안 제어 펄스의 버스트들의 낮은 반복 주파수를 야기한다. 대기 전압은 이러한 버스트들간에서 감소한다. 대기 전압상의 리플은 큰 평활 캐패시터(smoothing capacitor)를 대기 전압에 접속시킴으로써 작게 유지될 수 있다. 개시 레벨과 오프-레벨간의 보다 작은 차이는 제어 펄스들의 버스트들의 보다 높은 반복 주파수들을 야기한다. 이것은 대기 전압상의 보다 작은 리플을 유발시키거나, 보다 작은 평활 캐패시터를 이용하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개시 레벨과 오프-레벨간의 차이의 감소는 대기 모드 표시 신호 또는 그로부터 유도된 신호에 응답하여 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모드 전원 공급 회로의 다른 실시예에서, 청구항 12항에 청구된 바와 같이, 제어 회로는 전원 공급 회로의 모드의 변화가 발생하자마자 오프-상태로 스위칭된다. 그 모드 변화는 대기 모드에서 정규 동작 모드로의 변환일 수 있거나, 다른 방식으로의 변환일 수 있다. 모드 변화가 대기 모드 표시 신호 또는 그로부터 유도된 신호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도 7A 내지 도 8B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대기 전압상의 전압 딥(voltage dip)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모드 전원 공급 회로의 다른 실시예에서, 청구항 13항에 청구된 바와 같이, 전원 공급 회로의 2차와 1차 측 사이의 장벽(barrier)을 브릿징하는 현존하는 피드백 경로가 대기 모드 표시 신호의 변화를 전달하는 데에 이용되는 이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 현존하는 피드백 경로는 이미 2차 전압을 안정화시키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모드 전원 공급 회로의 다른 실시예에서, 청구항 14항에 청구된 바와 같이, 피드백 경로는 옵토커플러를 포함하며, 정규 동작 모드로부터 대기 모드로의 변화를 나타내는 대기 모드 표시 신호의 변화는 옵토커플러를 통해 여분의 전류를 야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모드 전원 공급회로의 다른 실시예에서, 청구항 16 항에 청구된 바와 같이, 대기 모드동안 피크 전류는 변압기에 의해 유발된 귀에 거슬리는 잡음을 방지하도록 제한될 수 있는 이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기 모드동안 허용 가능한 피크 전류의 레벨은 정규 동작 모드동안 허용 가능한 피크 전류의 레벨과 무관하게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대기 모드동안에만 피크 전류 제한을 활성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양상들이 아래에 기술되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명백해 질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모드 전원 공급 회로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두 실시예들의 공통 부분이 먼저 기재될 것이다. 변압기(T)의 1차 권선(Lp)의 한 측은 DC 입력 전압원(Vdc)의 단자에 결합된다. 1차 권선(Lp)의 다른 측은 스위치(S1)(이 경우에서는 FET의 드레인 소스 경로)를 통해 DC 입력 전압원(Vdc)의 또 다른 단자(1차 어스로도 언급됨)에 결합된다. 변압기(T)의 제 1의 2차 권선 (Ls1)은 제 1 정류 다이오드(D1)를 통해 제 1 출력 DC 전압(Vo1)(대기 전압으로도 언급됨)을 공급한다. 제 1 정류 다이오드(D1)는 제 1의 2차 권선(Ls1)에 결합된 애노드 및 다른 단자가 접지에 접속되는 제 1의 출력 평활 캐패시터(C1)에 결합된 캐소드를 갖는다. 안정화 회로(3)는 제 1 정류 다이오드(D1)의 캐소드에 결합된 입력 및 안정화된 대기 전압(Vols)을 공급하기 위한 출력을 갖는다. 변압기(T)의 제 2의 2차 권선(Ls2)은 제 2 정류 다이오드(D2)를 통해 제 2 출력 DC 전압(Vo2)(동작 전압으로도 언급됨)을 공급한다. 제 2 정류 다이오드(D2)는 제 2의 2차 권선(Ls2)에 결합된 애노드 및 다른 단자가 접지에 접속되는 제 2 출력 평활 캐패시터(C2)에 결합된 캐소드를 갖는다. 제 4 다이오드(D4)와 제 4 캐패시터(C4)의 직렬 배치는 FET의 드레인과 FET의 드레인에서 피크 전압을 제한하기 위한 1차 어스 사이에 결합된다. 제 4 다이오드(D4)의 애노드는 FET의 드레인에 결합된다. 제 4 다이오드(D4)와 제 4 캐패시터(C4)의 접합 포인트는 제 4 저항(R4)을 통해 제 4 캐패시터(C4)를 방전하기 위한 입력 전압원(Vdc)에 결합된다.
제어 회로(1)(예를 들어, 모토로라의 IC MC 44603)는 전원 공급 전압 검출회로(10), 제어 회로(11), 펄스 제어 회로(12) 및 검출 회로(13)를 포함한다. 제어 회로(1)는 제어 회로(1)내의 회로들에 전원 공급 전압을 제공하기 위해 전원 공급 전압(Vcc)을 수신하기 위한 전원 공급 전압 입력(T2)을 갖는다. 안정화 제어 회로 (11)는 피드백 정보(Vf)를 수신하기 위한 제어 회로(1)의 제어 입력(T1)에 결합된다. 제어 안정화 회로(11)는 제어 신호(Vc)를 펄스 제어 회로(12)에 공급한다. 펄스 제어 회로(12)는 제어 펄스들(Vd)을 FET의 게이트에 공급하기 위한 제어 회로 (1)의 제어 펄스 출력(T4)에 결합된다. 제어 펄스들(Vd)의 온 및 오프-시간은 제어 신호(Vc)에 의해 결정된다. 제어 회로(1)의 형태에 의해, 제어 펄스들(Vd)의 반복 주파수는 또한 제어 신호(Vc)에 의존하여 제어될 수 있다. 검출 회로(13)는 제어 회로(1)의 검출 입력(T3)에 결합된다. 검출 입력(T3)에 제공된 신호가 활성화될 경우, 그 검출 회로(13)는 펄스 제어 회로(12)가 어느 다른 제어 펄스들(Vd)도 발생시키지 않도록 명령한다(스위치(S1)는 더 이상 폐쇄되지 않는다). 전원 공급 전압 검출 회로(10)는 전원 공급 전압 입력(T2)에 결합된다. 전원 공급 전압 검출 회로 (10)는 전원 공급 전압(Vcc)이 오프-레벨과 동등한 값에 도달할 경우 그 제어 회로 (1)가 오프-상태가 되도록 한다. 전원 공급 전압 검출 회로(10)는 전원 공급 전압 (Vcc)이 개시 레벨과 동등한 값에 도달할 경우 그 제어 회로(1)가 온-상태가 되도록 한다.
변압기(T)는 테이크-오버 전압(Vo3)을 발생시키는 3차 권선(Ls)이 더 제공된다. 3차 권선(Ls)은 동작 모드에서 제 3 정류 다이오드(Ds)를 통해 전원 공급 전압 (Vcc)을 공급한다. 제 3 정류 다이오드(Ds)는 3차 권선(Ls)에 결합된 애노드 및 전원 공급 전압 입력(T2)에 결합된 캐소드를 갖는다.
동작 모드에서, 동작 전압(Vo2)은 제 1의 2차 권선(Ls1)이 대기 전압(Vo1)(예를 들어, 7V)을 공급하는 동안, 예를 들어 수평 편향 회로에 대한 전원 공급 전압(예를 들어, 140V)이며, 전원 공급 권선(Ls)은 제어 회로(1)가 스위치 모드 전원 공급 회로의 동작 모드에서 연속적으로 온-상태에 있도록 오프-레벨 이상의 값을 가진 전원 공급 전압(Vcc)을 공급한다.
전원 공급 회로가 대기 모드가 되도록 하기 위해, 테이크-오버 전압(Vo3)을 감소시키기 위한 수단(S2, 2b)이 제공된다. 도 1 및 도 2에서, 이러한 수단은 제 2 정류 다이오드(D2)의 애노드와 제 1 정류 다이오드(D1)의 캐소드 사이에 결합된 접속 수단(S2)(단방향 스위치, 예를 들어 사이리스터)과, 제 1의 2차 권선(Ls1)과 접지 사이에 결합된 전압-클램핑 회로(2b)를 포함한다. 대기 모드에서, 단방향 스위치(S2)는 대기 모드 표시 신호(Vs)의 적절한 값의 결과로서 폐쇄된다. 이어서 단방향 스위치(S2)는 제 2의 2차 권선에서 제 1의 2차 권선으로 전류를 도통시킨다. 단방향 스위치(S2)의 폐쇄는 제 1 출력 직류 전압(Vo1)이 전압 클램핑 회로(2b)에 의해 결정된(안정화된 대기 전압(Vols) 약간 위의) 값으로 감소시키는 결과를 갖는다. 그 전압 클램핑 회로(2b)는 단지 제너 다이오드(Z1)를 구성할 수 있다.
도 1에서, 그 전압 클램핑 회로(2b)는 제 1 제너 다이오드(Z1)와, 옵토커플러 다이오드(Do)와 제 1 저항(R1)의 병렬 회로와, 제 2 저항(R2)의 직렬 배치를 포함한다. 제 1 제너 다이오드(Z1)의 캐소드는 제 1 다이오드(D1)의 캐소드에 결합된다. 옵토커플러 다이오드(Do)의 애노드는 제 1 제너 다이오드(Z1)의 애노드에 결합된다.
도 2에서, 전압 클램핑 회로(2b')는 옵토커플러 다이오드(Do)와, 제 2 제너 다이오드(Z1)와, 제 2 저항(R2)의 직렬 배치를 포함한다. 옵토커플러 다이오드(Do)의 애노드가 제 1 다이오드(D1)의 캐소드에 결합된다. 제 1 제너 다이오드(Z1)의 캐소드가 옵토커플러 다이오드(Do)의 캐소드에 결합된다.
앞서 기재된 방식으로 동작 전압(Vo2)을 감소시킴으로써 테이크-오버 전압 (Vo3)의 감소는 전원 공급 회로가 단방향 스위치(S2)를 폐쇄할 시에 대기 모드가 되도록 할뿐만 아니라, 그 대기 모드에서의 대기 전압(Vo1)이 대기 전압(Vo1)을 공급하는 데에 필요한 제 2의 2차 권선(Ls2)과 다를 바 없이 충분히 높게 유지된다는 이점을 갖는다. 엄밀히 제 2 전압(Vo2)이 감소되는 것이 본 발명에 대해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제 1의 2차 권선(Ls1)에 의해 발생된 전압의 감소, 또는 (예를 들어 제 1의 2차 권선(Ls1) 또는 테이크-오버 권선(Ls) 양단에 클램핑 회로를 배치함으로써) 테이크-오버 전압(Vo3)의 감소, 또는 (예를 들어, 제 3 다이오드(D3)를 스위치 오프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테이크-오버 전압(Vo3)의 중단 (interruption) 또한 전원 공급 회로가 대기 모드가 되도록 한다.
제 2 전압(Vo2)을 감소시키기 위한 수단의 활성화(activation) 후에, 3차 권선(Ls)에 의해 공급된 테이크-오버 전압(Vo3)은 어떤 다른 수단들 없이 오프-레벨 아래로 감소할 것이다. 대기 모드의 제어 회로(1)에 전원 공급 전압(Vcc)을 공급하기 위하여, 전원 공급 회로(4)는 DC 입력 전압원(Vdc) 및 제어 회로(1)의 전원 공급 전압 입력(T2) 사이에 결합된다. 도 1 및 도 2에서, 이러한 전원 공급 회로(4)는 DC 입력 전압원(Vdc)으로부터 입력 전류(Is)를 전류 요소로서 취하기 위해 전원 공급 전압 입력(T2)과 DC 입력 전압원(Vdc) 사이에 결합된 저항(Rs)을 포함한다. 제어 회로(1)에 의해 취해진 전원 공급 전류(Icc) 및 입력 전류(Is)에 의존하는 전원 공급 전압(Vcc)의 값을 전류 저장 요소로서 결정하기 위해, 캐패시터(Cs)가 전원 공급 전압 입력(T2)과 1차 어스 사이에 결합된다. 저항(Rs) 및 캐패시터(Cs)는 또한 DC 입력 전압(Vdc)의 증가동안 전원 공급을 개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전원 공급 전압(Vcc)이 오프-레벨 아래로 감소한다고 가정하자. 앞서 진술된 바와 같이, 전원 공급 전압 검출 회로(10)는 제어 회로(1)가 오프-상태가 되도록 하며, 게다가 그 제어 회로(1)는 제어 펄스들(Vd)을 발생시키지 않으며, 그 제어 회로(1)는 전류 요소(Rs)에 의해 공급된 입력 전류(Is)보다 작은 전원 공급 전압 입력(T2)으로부터 공급 전류(Icc)를 끌어낸다. 결과적으로, 전원 공급 전압(Vcc)은 개시 레벨이 도달될 때까지 증가하기 시작할 것이고, 전원 공급 전압 검출 회로 (10)는 제어 회로(1)가 온-상태가 되도록 한다. 온-상태에서, 그 제어 회로(1)는 적어도 얼마(some time)동안 제어 펄스들(Vd)을 발생시키며, 그 제어 회로(1)는 입력 전류(Is)보다 큰 전원 공급 전압 입력(T2)으로부터의 전원 공급 전류(Icc)를 끌어낸다. 제어 회로(1)는 이제 전원 공급 전압(Vcc)이 오프-레벨로 다시 감소할 때까지 제어 펄스들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전원 공급 회로는 제어 회로(1)가 번갈아 오프-상태와 단기간동안 온-상태인 버스트 모드로 동작한다.
도 1 및 도 2에 따른 실시예들은 앞서 기재된 기본 원리의 다른 상세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은 대기 모드에서 대기 전압(Vo1)의 최대값을 제한하고, 동작 모드에서 동작 전압(Vo2)을 안정화시키는 전원 공급 회로의 일실시예를 도시한다. 대기 전압 (Vo1)을 제한하기 위해, 앞서 언급된 전압-클램핑 회로(2b)는 제 1 정류 다이오드 (D1)의 캐소드와 접지 사이에 배치된다. 옵토커플러 다이오드(Do)는 옵토커플러 트랜지스터(Tro)에 광학적으로 결합된다. 옵토커플러 트랜지스터(Tro)는 제어회로(1)의 전원 공급 전압 입력(T2)에 결합된 콜렉터 및 피드백 전압(Vfb)을 제 3 저항 (R3)을 통해 제어 회로(1)의 검출 입력(T3)에 공급하는 에미터를 갖는다. 옵토커플러 트랜지스터(Tro)와 제 3 저항(R3)의 직렬 배치는 피드백 네트워크(2a, 2b)의 1차 부분(2a)을 구성한다. 펄스 제어 회로(12)에 의해 대기 모드에서의 제어 펄스들 (Vd)의 발생동안, 대기 전압(Vo1)은 증가한다. 대기 전압(Vo1)이 제너 다이오드 (Z1)의 제너 전압에 의해 결정된 최대값으로 증가할 때, 전류가 옵토커플러 다이오드(Do)를 통해 흐르기 시작할 것이고, 옵토커플러 다이오드(Do)는 발광할 것이다. 옵토커플러 트랜지스터(Tro)는 도통하기 시작하고, 검출 입력(T3)에서의 전압은 검출 회로(13)가 어떤 다른 제어 펄스들(Vd)도 발생시키지 않도록 펄스 제어 회로 (12)에 명령하는 검출 레벨로 증가한다. 이제 대기 전압(Vo1)은 다시 감소하기 시작한다. 전원 공급 전압(Vcc)은 오프-레벨에 도달할 때까지 감소를 계속하고, 제어 회로(1)는 오프-상태가 된다. 이제, 전원 공급 전압(Vcc)은 다시 증가하기 시작한다. 제어 펄스들(Vd)이 발생되는 주기는 개시 레벨에 도달하는 순간에 시작해서, 대기 전압(Vo1)이 최대 레벨에 도달하는 순간에 종료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어 펄스들의 발생은 피드백 네트워크(2a, 2b)를 통해 대기 전압(Vo1)의 최대값에 도달할 때, 대기 전압(Vo1)이 더 이상 증가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영향을 받는다. 대기 전압(Vo1)의 최대값은 또한 대기 전압(Vo1)보다는 오히려 동작 전압(Vo2) 또는 테이크-오버 전압(Vo3)과 같은 대기 전압(Vo1)에 연관된 전압에 피드백 네트워크(2a, 2b)를 접속함으로써 제한될 수 있다.
전원 공급 회로의 동작 모드에서, 동작 전압(Vo2)은 전원 공급 회로의 1차 측에서 피드백에 의해 안정화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5 다이오드(D5)와 조정 가능 저항(Rv)의 직렬 배치는 제어 회로(1)의 제어 입력(T1)과 전원 공급 권선(Ls) 사이에 배치된다. 제 5 다이오드(D5)의 애노드는 제 3 정류 다이오드(Ds)의 애노드에 결합되고, 제 5 다이오드(D5)의 캐소드는 조정 가능 저항(Rv)의 제 1 단부에 결합된다. 조정 가능 저항(Rv)은 제어 입력(T1)에 결합된 와이퍼 및 1차 어스에 결합된 제 2 단자를 갖는다. 제 5 다이오드(D5)의 애노드는 피드백 정보(Vf)를 평활하기 위한 제 5 커패시터(C5)를 통해 1차 어스에 결합된다. 전원 공급 권선(Ls)에 의해 발생된 테이크-오버 전압(Vo3)은 테이크-오버 전압(Vo3) 및 연관된 동작 전압 (Vo2)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제어 회로(11)를 통해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제어 펄스들(Vd)의 온 및 오프 시간에 영향을 끼친다. 이 경우에 테이크-오버 전압 (Vo3)이 예를 들어 제 5 다이오드(D5)의 접합점을 접속하고, 다른 저항을 통해 다른 스위치(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조정 가능 저항(Rv)을 제어 입력(T1)에 접속시킴으로써 피드백시의 동작으로 감소된다면, 전원 공급 회로가 또한 대기 모드에 도달할 것임이 명백하다.
도 2는 대기 모드에서 대기 전압(Vo1)의 최대값을 제한하고, 동작 모드에서동작 전압(Vo2)을 안정화시키는 전원 공급 회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대기 전압(Vo1)을 제한하기 위해, 전압-클램핑 회로(2b')는 제 1 정류 다이오드(D1)의 캐소드와 접지 사이에 배치된다. 전압-클램핑 회로(2b')는 옵토커플러 다이오드 (Do)와 제너 다이오드(Z1)와 제 2 저항(R2)의 직렬 배치를 포함한다. 옵토커플러 다이오드(Do)의 애노드는 제 1 다이오드(D1)의 애노드에 결합된다. 제너 다이오드 (Z1)의 캐소드는 옵토커플러 다이오드(Do)의 캐소드에 결합된다. 제 7 저항(R7)은 제너 다이오드(Z1) 양단의 제너 전압의 보다 양호한 안정화를 위해 제너 다이오드 (Z1)의 바이어스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옵토커플러 다이오드(Do)와 병렬로 배치될 수 있다. 그 옵토커플러 다이오드(Do)는 옵토커플러 트랜지스터(Tro)에 광학적으로 결합된다. 옵토커플러 트랜지스터(Tro)는 제어 회로(1)의 전원 공급 전압 입력(T2)에 결합된 콜렉터 및 제 3 저항(R3)을 통해 제어 회로(1)의 제어 입력(T1)에 결합된 에미터를 갖는다. 제 5 저항(R5)은 옵토커플러 트랜지스터(Tro)의 에미터와 옵토커플러 트랜지스터(Tro)를 통해 전류를 조정하기 위한 1차 어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6 저항(R6)은 제어 입력(T1)과 제어 회로(11)의 이득 계수(gain factor)를 조정하기 위한 제어 회로(11)의 다른 입력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옵토커플러 트랜지스터(Tro)와 제 3 저항(R3)의 직렬 배치는 피드백 네트워크(2a, 2b')의 1차 부분(2a)을 구성한다. 옵토커플러 다이오드(Do)의 캐소드는 또한 제 1 저항(R1)을 통해 제어가능 전압원(6)(예를 들어, 모토로라의 TL431)의 출력에 결합된다. 제어가능 전압원(6)은 차동 증폭기(60) 및 제너 다이오드(61)를 포함한다. 차동 증폭기(60)는 조정 가능 저항(Rv)의 와이퍼에 결합된 반전 입력, 제너 다이오드(61)의 캐소드에 결합된 비반전 입력, 및 제 1 저항(R1)에 결합된 출력을 갖는다. 제너 다이오드(Z1)의 애노드는 접지에 결합된다. 조정 가능 저항(Rv)은 접지에 결합된 하나의 단부, 및 동작 전압(Vo2)을 수신하도록 결합된 또 다른 단부를 갖는다.
전원 공급 회로의 대기 모드에서, 동작 전압(Vo2)은 너무 낮아서 제어가능 전압원(6)이 옵토커플러 다이오드(Do)를 통한 전류에 아무런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대기 모드에서 펄스 제어 회로(12)에 의한 제어 펄스들(Vd)의 발생동안, 대기 전압(Vo1)은 증가한다. 대기 전압(Vo1)이 제너 다이오드(Z1)의 제너 전압 및 옵토커플러 다이오드(Do) 양단의 순반향 전압에 의해 결정되는 최대값으로 증가할 때, 옵토커플러 다이오드(Do)는 발광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옵토커플러 트랜지스터 (Tro)는 도통하기 시작할 것이고, 제어 입력(T1)에서의 전압은 증가하는 반면에, 제어 회로(1)는 대기 전압(Vo1)을 안정화하기 위해 변압기(T)에 대한 에너지 공급을 감소시킬 것이다. 에너지 공급의 감소는 예를 들어 제 1 스위치(S1)의 온 및 오프 시간을 감소시킴으로써 또는 제어 펄스들(Vd)의 주파수를 감소시킴으로써 가능하다. 한편, 전원 공급 전압(Vcc)은 오프-레벨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해서 감소하고, 제어 회로(1)는 오프-상태가 된다. 이제, 전원 공급 전압(Vcc)은 다시 증가하기 시작한다. 제어 펄스들(Vd)이 발생되는 주기는 개시 레벨에 도달하는 순간에 시작해서, 전원 공급 전압(Vcc)이 오프-레벨에 도달하는 순간에 종료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대기 전압(Vo1)을 더 이상 증가시키지 않기 위한 제어 펄스들의 발생은 피드백 네트워크(2a, 2b)를 통해 대기 전압(Vo1)의 최대값에 도달할 때 영향을 받는다. 이제, 대기 전압(Vo1)의 최대값은 또한 대기 전압(Vo1)보다는 오히려 동작 전압(Vo2) 또는 테이크-오버 전압(Vo3)과 같은 대기 전압(Vo1)에 연관된 전압에 피드백 네트워크(2a, 2b)를 접속함으로써 제한될 수 있다. 대기 전압(Vo1)을 안정화시키는 이점은 제어 펄스들(Vd)이 보다 긴 주기동안 발생될지라도, 대기 전압(Vo1)의 리플이 작게 유지될 수 있고, 대기 전압(Vo1)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안정화 회로(3)의 보다 작은 소산(dissipation)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전원 공급 회로의 동작 모드에서, 동작 전압(Vo2)은 제어가능 전압원(6)을 통해 옵토커플러 다이오드(Do)를 통한 전류에 영향을 끼침으로써 안정화된다. 제어 회로(1)로서 모토로라 IC MC 44603을 이용할 때, 보다 높은 동작 전압(Vo2)은 제어가능 전압원(6) 양단에 보다 작은 전압을 초래하므로, 옵토커플러 다이오드(Do)를 통해 보다 큰 전류를 유발시키는 반면에, 옵토커플러 트랜지스터(Tro)에 의해 제어 회로(1)의 제어 입력(T1)에 공급된 피드백 전압(Vfb)은 증가하고, 그 제어 회로(1)는 스위치(S1)의 온-시간을 감소시킨다. 제어 회로(1)에 대한 다른 IC를 이용할 때, 피드백 전압(Vfb)의 다른 극성이 필요하다. 이제, 전원 공급 회로는 이 경우에 테이크-오버 전압(Vo3)이 예를 들어 다른 스위치(도시되지 않음)에 의한 동작 전압(Vo2)을 다른 저항을 통해 제어가능 전압원(6)의 반전 입력에 접속함으로써 피드백 경로에서의 동작으로 감소된다.
도 2에서, 저항(Ry)은 스위치(S1)와 직렬로 삽입된다. 이러한 저항(Ry) 양단의 전압은 1차 권선(Lp)을 통해 흐르는 전류의 측정값이다. 펄스 제어 회로(12)는 공지되어 있는 방식으로 1차 권선을 통해 피크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저항(Ry) 양단의 전압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을 갖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대기 모드동안 변압기의 성가신 청각 잡음을 방지하는데 요구되는 레벨 이하로 피크 전류를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3A, 도 3B, 도 3C, 도 3D는 대기 모드에서 도 1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에의 동작을 도시한 다이어그램이다. 도 3A는 대기 전압(Vo1)의 변동을 도시하며, 도 3B는 제어 회로(1)의 전원 공급 전압(Vcc)의 변동을 도시한 것이며, 도 3C는 제어 펄스들(Vd)을 도시한 것이며, 도 3D는 전원 공급 전류(Icc)의 변동을 도시한 것이다. 순간(t0)전에, 제어 회로(1)는 온-상태에 있고, 대기 전압(Vo1)은 증가하며, 전원 공급 전압(Vcc)은 감소한다. 순간(t1)에서, 전원 공급 전압(Vcc)은 오프-레벨 (Voff)로 감소하며, 제어 회로(1)는 오프-상태가 되어, 전원 공급 전압(Vcc)이 증가하고(전원 공급 전류(Icc)는 입력 전류(Is)보다 작은 값(Iccoff)을 가짐), 대기 전압(Vo1)은 감소한다. 전원 공급 전압(Vcc)은 순간(t2)에서 개시 레벨(Von)에 도달할 때까지 증가하고, 제어 회로(1)는 제어 펄스들(Vd)을 발생시키기 시작한다. 결과적으로, 대기 전압(Vo1)은 증가하고, 전원 공급 전압(Vcc)은 감소한다(전원 공급 전류(Icc)는 이제 입력 전류(Is)보다 큰 값(Iccon)을 가짐). 순간(t0')에서, 대기 전압(Vo1)은 옵토커플러 다이오드(Do)가 전류를 전달하기 시작하는 최대값 (Vmax)으로 증가하고, 제어 회로(1)의 검출 입력(T3)에서의 전압은 검출 레벨 이상으로 증가한다. 검출 회로(13)는 펄스 제어 회로(12)를 통해 다른 제어 펄스들(Vd)의 발생을 중지시킨다. 대기 전압(Vo1)은 감소하기 시작하고, 전원 공급 전압(Vcc)은 오프-레벨(Voff)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 감소하고, 다음의 사이클이 다시 시작한다.
도 4A, 도 4B, 도 4C는 대기 모드에서 도 2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한 시간 다이어그램이다. 도 4A는 대기 전압(Vo1)의 변동을 도시하고, 도 4B는 전원 공급 전압(Vcc)의 변동을 도시하며, 도 4C는 제어 펄스들(Vd)을 도시한다. 순간(t0) 바로 전에, 제어 회로(1)는 온-상태에 있으며: 제어 펄스들(Vd)이 발생되며, 대기 전압(Vo1)은 안정화되며, 전원 공급 전압(Vcc)은 감소한다. 순간(t1)에서, 전원 공급 전압(Vcc)은 오프-레벨(Voff)까지 감소하고, 제어 회로(1)는 오프 -상태가 되어, 전원 공급 전압(Vcc)은 증가하고, 대기 전압(Vo1)은 감소한다. 전원 공급 전압(Vcc)은 순간(t2)에서 개시 레벨(Von)에 도달할 때까지 증가하며, 그 후 그 제어 회로(1)는 제어 펄스들(Vd)을 발생시키고, 대기 전압(Vo1)은 증가하며, 전원 공급 전압(Vcc)은 감소한다. 순간(t0')에서, 대기 전압(Vo1)은 옵토커플러 다이오드(Do)가 전류를 전달하기 시작하는 최대값(Vmax)으로 증가하고, 제어 회로(1)의 제어 입력(T1)에서의 전압은 대기 전압(Vo1)을 안정화시키기 위해 활성화된다. 그러므로, 대기 전압(Vo1)은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고, 전원 공급 전압(Vcc)은 오프-레벨(Voff)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 감소하고, 다음의 사이클이 다시 시작한다.
도 5는 스위치 모드 전원 공급 회로의 2차 부분의 일부의 대안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시된 전원 공급 회로의 2차 부분은 도 2에 도시된 2차 부분에 대한 대안이다. 간소화를 위해, 제 1 저항(R1), 제어가능 전압원(6) 및 조정가능 저항(Rv)을 포함하는 피드백 네트워크는 생략되었다. 저항(Rs2)이 전원 공급 회로가 동작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 변화하는 동안, 전류를 제한하기 위해 단방향스위치(S2)와 직렬로 배치될 수 있다. 단방향 스위치(S2)내의 전류는 또한 오프-회로(5) 및 소프트-개시 회로(11, 12)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소프트-개시 회로는 스위치(S1)가 단지 단기간동안 매번 폐쇄되도록 제어 펄스들(Vd)의 듀티 사이클을 제한하기 위해 제어 회로(11) 및 펄스 제어 회로(12)를 구성할 수 있다.
오프-회로(5)는 옵토커플러 다이오드(Do)의 캐소드와 바이폴라 npn 트랜지스터(Tr1)의 콜렉터 사이에 결합된 제 3 저항(R3)을 포함하며, 상기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는 접지에 결합되고, 그의 베이스는 제 4 저항(R4)을 통해 또한 접지에 결합된다. 바이폴라 npn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는 한 측에는 포지티브 전압이 제공되는 제 5 저항(R5)과, 다른 측에는 접지에 접속된 제 3 스위치(S3)의 접합점과 제 5 캐패시터(C5)를 통해 더 접속된다. 제 3 스위치(S3)는 대기 모드 표시 신호(Vs)에 결합된 스위칭 입력을 갖는다. 대기 모드 표시 신호(Vs)가 활성화될 경우, 제 3 스위치(S3)는 개방될 것이다. 제 5 저항(R5) 및 제 5 캐패시터(C5)를 통해, 바이폴라 npn 트랜지스터(Tr1)는 제 5 캐패시터(C5)를 충전하는 데에 필요한 주어진 시간 주기동안 도통하기 시작한다. 그 도통하는 제 1 트랜지스터(Tr1)는 옵토커플러 다이오드(Do)를 통해 큰 전류를 유발시켜, 그에 의해 그 큰 전류는 도 2를 참조하여 기재된 방식으로 옵토커플러 트랜지스터(Tro)에서 흐르기 시작할 것이다. 옵토커플러 트랜지스터(Tro) 내의 큰 전류에 기인하여, 제어 펄스들(Vd)에는 주어진 시간주기 동안 안정화한 제어 회로(11)를 통해 0의 듀티 사이클이 제공된다(스위치(S1)는 더 이상 폐쇄되지 않음). 주어진 시간 주기는 여전히 온-상태에 있는 제어 회로(1)의 전원 공급 전압(Vcc)이 적어도 오프-레벨(또는 오프-레벨 바로 위의 레벨)까지 감소하는 긴 시간동안 지속해야 한다. 이러한 레벨에 도달할 때, 소프트-개시 회로 (11, 12)는 먼저 초기 상태가 되고, 다음으로 제어 회로(1)가 오프 상태가 되는 반면, 전원 공급 전압(Vcc)은 증가하기 시작한다. 개시 레벨에 도달할 때, 제어 회로 (1)는 소프트-개시 회로(11, 12)의 제어 하에서 제어 펄스들(Vd)을 발생시킨다. 초기 상태에 있는 소프트-개시 회로(11, 12)는 1차 권선(Lp)에서 그리고 2차 권선들 (Ls1, Ls2)에서 작은 피크 전류를 공급한다. 다음으로, 소프트-개시 회로들(11, 12)은 듀티 사이클의 느린 증가를 제공한다. 작은 듀티 사이클은 이러한 피크 전류가 시간에 대해 소망의 변동에 따라 증가하도록 하기 위해 1차 권선(Lp)에서 측정된 피크 전류 변동을 이용함으로써 정확하게 제어될 수 있다.
제 6 다이오드(D6) 및 제 6 캐패시터(C6)의 병렬 배치는 캐소드와 사이리스터(S2)의 스위칭 입력 사이에 결합된다. 제 6 다이오드(D6)의 애노드가 사이리스터 (S2)의 캐소드에 결합된다. 제 6 캐패시터(C6)는 사이리스터(S2)가 전원 공급 전압 (Vcc)이 오프-레벨에 도달하기 전에 도통을 시작하지 않음을 보장한다. 이어서, 그 제어 회로는 사이리스터가 도통하기 시작하는 순간에 어느 제어 펄스들(Vd)을 더 이상 발생시키지 않는다. 그 사이리스터(S2)는 제어 회로(1)가 온-상태에 도달하는 순간 폐쇄되어야 한다.
대기 모드 표시 신호(Vs)가 활성화될 때, 제어 펄스들(Vd)의 발생은 옵토커플러 트랜지스터(Tro)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출 입력(T3)에 결합될 경우, 오프-회로(5)를 통해 즉시 중단될 것이다. 검출 회로(13)는 오프-레벨에 도달할 때까지 제어 펄스들(Vd)의 발생을 억제한다. 이어서, 캐패시터(C5)에 의해 결정된 시간 주기는 제어 펄스들(Vd)의 억제(suppression)와 관련하여 더 이상 중요하지 않다. 그러나, 이러한 주어진 시간 주기는 오프-레벨에 보다 신속히 도달하는 것이 여전히 중요하다. 사실상, 옵토커플러 트랜지스터(Tro)를 통한 큰 전류는 전원 공급 전압(Vcc)이 보다 신속하게 감소하도록 할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모드 전원 공급 회로가 제공된 화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입력 회로(A)가 AC 전압(Vac)(예를 들어 주 전압)을 수신하여, DC 입력 전압(Vd)을 스위치 모드 전원 공급 회로(B)(전원 공급 회로라고도 언급됨)에 공급한다. 전원 공급 회로(B)는 대기 전압(Vo1)을 동작 수단(D)(예를 들어, 마이크로컴퓨터)에 공급하고, 동작 전압(Vo2)을 어드레싱 회로 (C)에 공급한다. 어드레싱 회로(C)는 디스플레이될 화상 정보(Pi)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유니트(E)를 제어한다. 동작 수단은(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주어진) 동작 명령들(Cc)을 수신하고, 대기 모드 표시 신호(Vs)를 전원 공급 회로 (B)에 공급하고, 동작 정보(Ci)를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된 화상 정보(Pi)의 휘도 제어를 위한, 도시되지 않은) 다른 회로들에 공급한다. 화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모드에서, 전원 공급 회로(B)는 동작 전압(Vo2)(예를 들어, 140V)과 대기 전압 (Vo1)(예를 들어, 5V) 둘 모두를 발생시키는 반면, 어드레싱 회로(C) 및 동작 수단 (D)은 활성이다. 대기 모드에서, 대기 전압(Vo1)은 유지되고, 동작 전압(Vo2)은 대기 전압(Vo1)(예를 들어, 7V)과 대략적으로 동일한 값으로 감소된다. 대기 모드에서 최소 전력 소모에 도달하기 위하여, 대기 모드에서의 어드레싱 회로(C)는 동작 전압(Vo2)으로부터 임의의 전력(또는 매우 작은 전력)을 소모하지 않음이 보장되어야 한다. 이는 동작 전압(Vo2)을 분리하거나 이러한 전압을 비활성화시키기 위한 어드레싱 회로(C)의 임의의 특정 (값비싼) 설비들을 이용할 필요없이 동작 전압 (Vo2)의 상당한 감소에 기인하여 가능해진다. 동작 수단(D)은 소망된다면 화상 디스플레이 장치가 동작 모드가 되도록 하기 위해 대기 모드에서 활성화된다.
도 7A 및 도 7B는 개시 레벨(Von)과 오프-레벨(Voff)간의 차이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설명하는 시간 다이어그램을 도시한 것이다. 도 7A는 제어 회로(1)에 의해 수신된 전원 공급 전압(Vcc)을 도시한 것이다. 도 7B는 대기 전압(Vo1)을 도시한 것이다. Von은 개시 레벨이고, Voffn은 정규 동작 모드에서 사용된 정규 오프-레벨이며, Voffs는 개시 레벨(Von) 및 정규 오프-레벨(Voffn)간의 레벨에서 선택된 신규 대기 오프-레벨이다. 대기 모드에서, 도 7A 및 도 7B에서 점선들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공급 전압(Vcc)은 개시 레벨(Von)과 정규 오프-레벨(Voffn)간에서 흐르고, 어떤 제어 펄스들(Vd)도 긴 시간(t2 내지 t0')동안 발생되지 않을 것이며, 대기 전압(Vo1)은 Vmax에서 Vmin1로 떨어질 것이다. 대기 모드에서, 실선들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공급 전압(Vcc)은 개시 레벨(Von)과 대기 오프-레벨(Voffs)간에 흐르고, 어떤 제어 펄스들(Vd)도 시간(t1 내지 t3)의 보다 짧은 주기 동안 발생되지 않으며, 대기 전압(Vo1)은 단지 Vmax에서 Vmins로 떨어질 것이다. 대기 전압 (Vo1)상의 리플을 최소화하는 대신에, 보다 작은 평활 캐패시터(C1)를 대기 전압 (Vo1)에 접속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도 8A 및 도 8B는 정규 동상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의 전원 공급 회로의 변환을 설명한 시간 다이어그램이다. 도 8A는 전원 공급 전압(Vcc)을 도시하고, 도 8B는 대기 전압(Vo1)을 도시한다. 전원 공급 회로는 변환 순간(tt)에서 정규 동작 모드로부터 대기 모드로의 소망의 변환을 나타내는 명령(대기 모드 표시 신호)을 수신한다. 순간(tt) 전에, 전원 공급 회로는 정규 동작 모드에 있고, 전원 공급 전압 (Vcc)은 테이크-오버 전압(Vo3)에 의해 결정된 값(Vccn)을 갖는다. 그 값(Vccn)은 제어 회로(1)가 온-상태에 있고, 제어 펄스들(Vd)을 연속적으로 발생시키도록 정규 오프-레벨(Voffn) 및 개시 레벨(Von)간에 놓여야 한다. 예로서, 값(Vccn)은 대기 오프-레벨(Voffs) 이하에서 폐쇄되는 것으로 가장된다(Vccn은 Voffn 이상의 임의의 값을 갖는다).
특정 설비들 없이, 제어 회로(1)는 도 8A의 점선을 보면, 변환 순간(tt) 후에 제어 펄스들(Vd)을 계속 발생시키고, 전원 공급 전압(Vcc)은 감소하기 시작한다. 전원 공급 회로의 정규 동작 모드에서, 제어 회로(1)는 전원 공급 회로가 전원 공급 전압(Vcc)이 개시 레벨(Von)에 도달하는 순간에만 동작해야 하는 모드를 체크한다. 전원 공급 전압(Vcc)은 순간(t3)에서 정규 오프-레벨(Voffn)에 도달하고 제어 회로(1)는 오프-상태로 변화하며, 그 후 그 전원 공급 전압(Vcc)은 순간(t5)에서 온-레벨(Von)에 도달할 때까지 증가하기 시작한다. 이제, 제어 회로(1)는 온-상태로 변화하고, 대기 모드에 대한 변환이 시작될 필요가 있음을 검출한다. 그러므로, 정규 오프-레벨(Voffn)은 대기 오프-레벨(Voffs)로 변화된다. 순간들(t3 과 t5)간의 주기동안, 도 8B의 점선을 보면, 제어 회로(1)는 오프-상태에 있고, 대기 전압(Vo1)은 최소 전압(Vmin1)까지 감소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어 회로(1)는 도 8A의 실선을 보면, 변환 순간(tt)에서 강제로 오프-상태가 되며, 전원 공급 전압(Vcc)은 즉시 상승하기 시작하며, 순간(t1)에서 온 레벨(Von)에 도달한다. 이러한 경우에, 전원 공급 회로는 도 8B의 실선을 보면, 시간(tt 내지 t1)의 짧은 주기 내에 대기 모드로 변하고, 대기 전압 (Vo1)은 이 짧은 주기동안 단지 감소하며, 그러므로 훨씬 더 작은 전압 딥(dip) (Vmins)을 나타낸다.
제어 회로(1)가 대기 모드에 대한 변환이 수행될 필요가 있는지를 모든 활성 사이클마다 체크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한 변환이 검출될 경우, 정규 오프-레벨 (Voffn)은 즉시 대기 오프-레벨로 변환된다. 그러나, 그러한 시스템은 외란 (disturbance)들에 더욱 민감하다.
도 9는 대기 모드에서 정규 동작 모드로의 전원 공급 회로의 변환을 설명할 전원 공급 전압(Vcc)의 시간 다이어그램이다. 전원 공급 회로는 변환 순간(tt' 또는 tt)에서 대기 모드로부터 정규 동작 모드로의 소망의 변환을 나타내는 명령을 수신한다. 변환 순간(tt' 또는 tt)전에, 전원 공급 회로는 대기 모드에 있고, 전원 공급 전압(Vcc)은 개시 레벨(Von)과 대기 오프-레벨(Voffs)간에 흐른다.
제어 회로(1)가 오프-상태에 있는 주기동안 명령이 순간(tt')에서 발생하면, 제어 회로(1)는 개시 레벨(Von)이 순간(t1)에 도달될 때까지 오프-상태에 머물 것이다. 이제, 그 제어 회로는 온-상태에 들어가고, 전원 공급 회로가 모드를 변화시켜야 하는지를 체크한다. 이 경우에, 제어 회로(1)는 정규 동작 모드가 입력되어야 하고, 결과적으로 대기 오프-레벨(Voffs)을 정규 오프-레벨(Voffn)까지 낮추며, 제어 펄스들(Vd)을 발생시키기 시작한다. 전원 공급 전압(Vcc)은 감소하기 시작하고,테이크-오버 전압(Vo3)은 증가하기 시작한다. 테이크-오버 전압(Vo3)은 관계된 전원 공급 전압(Vcc)이 순간(t3) 전에 정규 오프-레벨(Voffn) 위에 있는 그러한 값에 도달할 필요가 있다. 이것이 그 경우가 아니라면, 그 제어 회로(1)는 순간(t3)에서 오프-상태로 변화하고, 그 전원 공급 회로는 1 사이클 내의 정규 동작 모드에서 동작하지 않는다. 이는 대기 전압(Vo1)에서 원치 않는 딥을 야기한다. 그래서, 상기로부터 테이크-오버 전압(Vo3)은 순간들(t1과 t3)간의 시간 주기 내에서 전원 공급 전압(Vcc)이 정규 오프-레벨(Voffn) 위에 있도록 빠르게 상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 명백해진다. 도 9에서, 전원 공급 전압(Vcc)은 순간(t2)에서 레벨(Vccn)에 도달한다.
이제, 그 명령은 대기 오프-레벨(Voffs)에 도달하는 순간 바로 전의 순간 (tt)에서 일어난다고 가정하자. 대기 동안 제어 회로(1)의 온-상태에서, 제어 회로 (1)는 전원 공급 회로가 정규 동작 모드로 변화할 필요가 있는지를 계속적으로 체크한다. 순간(tt)에서 정규 동작 모드로의 변화를 나타내는 명령이 검출되고, 그 제어 회로(1)는 대기 오프-레벨(Voffs)을 정규 오프-레벨(Voffn)로 변화시킨다. 이는 제어 회로(1)가 활성으로 머물도록 하므로, 전원 공급 전압(Vcc)이 더 감소한다. 테이크-오버 전압(Vo3)은 순간(tt)에서 증가하기 시작하고, 다시 순간(t5) 전에 충분히 높아질 필요가 있으므로, 전원 공급 회로의 1-사이클 시작을 제공하기 위해 테이크-오버 전압(Vo3)에 이용가능한 시간은 이전의 경우보다 작은 주기(t4 내지 tt)이다. 대기 모드에서, 제어 회로(1)는 오프-레벨(Voff)에 적응할 뿐만 아니라, 변압기 내의 피크 전류가 소망의 레벨 이하로 변압기에 의해 발생된 잡음을유지하도록 제한되며, 느린-시작 옵션이 디스에이블된다. 제어 회로(1)가 정규 동작 모드로 변하는 순간에, 또한 피크 전류 제한은 스위치 오프되어야 하고, 느린-개시 옵션은 인에이블되어야 한다.
대기 전압이 전원 공급 회로의 일실시예에서 순간(tt) 전에 최대 레벨에 도달하면, 제어 펄스들(Vd)의 발생은 정지된다. 결과적으로, 어떤 제어 펄스들(Vd)도 개시 레벨(Von)에 도달할 때까지 발생되지 않을 것이며, 이는 대기 전압(Vo1)의 큰 딥을 야기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어 회로(1)는 변환 순간(tt)에서 강제로 오프-상태가 된다. 도 9의 실선을 보면, 전원 공급 전압(Vcc)은 즉시 증가하기 시작하고, 순간(t6)에서 온 레벨(Von)에 도달한다. 이제, 제어 회로(1)는 온-상태로 변화하며, 전원 공급 회로가 정규 동작 모드에서 더 동작해야 함을 검출한다. 전원 공급 전압 (Vcc)은 순간(t6)에서 감소하기 시작하고, 테이크-오버 전압(Vo3)은 정규 오프-레벨에 도달하는 순간(t7)전에 충분히 높아야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최대 시간은 다시 전원 공급의 1-사이클 시작을 제공하기에 충분히 높은 값에 도달할 테이크-오버 전압(Vo3)에 이용할 수 있다.
도 10은 전원 공급 회로의 검출된 변환에 응답하여 제어 회로(1)를 오프-상태로 스위칭하는 회로를 도시한다. 대기 모드 표시 신호(Vs)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동일한 요소들을 포함하는 오프-회로(5)에 공급된다. 오프-회로(5)의 저항 (R3)은 옵토커플러 다이오드(Do)의 캐소드에 접속된다. 전압-클램핑 회로(2b")는 옵토커플러 다이오드(Do), 제너 다이오드(Z1), 제 2 저항(R2) 및 스위치(S4)의 직렬 배치를 포함한다. 옵토커플러 다이오드(Do)의 애노드가 대기 전압(Vo1)을 수신하기 위해 제 1 다이오드(D1)의 애노드에 결합된다. 제너 다이오드(Z1)의 캐소드는 옵토커플러 다이오드(Do)의 캐소드에 결합된다. 스위치(S4)는 저항(R2)과 1차 어스간에 결합되고, 대기 모드 표시 신호(Vs)를 수신하기 위해 제어 입력을 갖는다. 저항(Rx)은 그러한 직렬 배치와 병렬로 접속된다. 옵토커플러 다이오드(Do)에 광학적으로 결합된 옵토커플러 트랜지스터(Tro)는 전원 공급 전압(Vcc)에 결합된 콜렉터, 및 저항(R6)을 통해 2차 어스에 접속된 에미터를 갖는다. 옵토커플러 트랜지스터 (Tro)의 에미터는 전압 검출 회로(10)의 부분이 될 수 있는 결정 회로(14)의 입력 (I1)에 더 접속된다. 결정 회로(14)는 기준 전압(Vref2)에 접속된 반전 입력, 저항 (104)을 통해 입력(I1)에 접속된 비반전 입력, 모드 표시 신호(Mi)를 공급할 출력, 및 스위치(113)를 통해 공급 전압(Vb)에 결합된 다른 입력을 포함한다. 비교기 (102)의 비반전 입력은 저항(105)과 모드 표시 신호(Mi)에 의해 제어되는 스위치 (101)의 직렬 배치를 통해 접지에 접속된다. 세트-리세트 플립플롭(set-reset flipflop)(107)은 반전기(108)를 통해 비교기(102)의 출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리세트 입력(Re1), 전원 공급 전압(Vcc)이 개시 레벨(Von)에 도달함을 나타내는 신호(On1)를 수신하기 위한 세트 입력(S1), 및 스위치(113)를 제어하기 위한 출력 (D1)을 갖는다. 비교기(103)는 기준 전압(Vref3)을 수신할 반전 입력, 모드 표시 신호(Mi)에 의해 제어된 스위치(100)를 통해 입력(I1)에 접속되고, 저항(106)을 통해 Vf를 공급하는 결정 회로(14)의 출력(01)에 접속된 비반전 입력, 및 OR 게이트 (109)의 제 1 입력에 접속된 출력을 갖는다. OR 게이트(109)는 모드 표시 신호(Mi)를 수신할 제 2 입력을 갖는다. 세트-리세트 플립플롭(110)은 OR 게이트(109)의 출력에 접속된 세트 입력(S2), 신호(On1)를 수신하기 위한 리세트 입력(Re2), 및 AND 게이트(112)의 제 1 입력에 접속된 출력(D2)을 갖는다. AND 게이트(112)는 반전기 (111)를 통해 모드 표시 신호(Mi)를 수신하기 위한 제 2 입력, 및 오프-신호(Of)를 공급하기 위한 출력을 갖는다.
도 10의 회로의 동작을 명료하게 하기 위해, 정규 동작 모드에 대해 전원 공급 시작, 정규 동작 모드, 정규 동작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의 변환, 대기 모드, 및 대기 모드로부터 정규 동작 모드로의 변환이 연속적으로 기재된다.
정규 동작 모드에 대한 제 1 개시에서, 어떤 전류도 옵토커플러 트랜지스터 (Tro)를 통해 흐르지 않을 것이다. 제어 회로가 활성이 아닌 한, 스위치들(100, 101)은 개방되고, 저항(R6)은 입력(I1)에서의 전압이 낮음을 보증한다. 제어 회로 (1)는 전원 공급 전압(Vcc)이 개시 레벨(Von)에 도달하자마자 활성화되는 반면, 스위치(100)는 개방되고, 스위치들(101, 113)은 폐쇄된다. 비교기(102)의 출력은 입력(I1)상의 전압이 낮기 때문에 낮게 된다. 그래서, 모드 표시 신호(Mi)는 정규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낮은 레벨을 가지며, 그러므로 정규 오프-레벨(Voffn)이 선택된다. 모드 표시 신호(Mi)의 낮은 레벨은 반전기(108) 및 플립플롭(107)을 통해 스위치(113)를 개방하며, 그러므로 비교기(102)는 디스에이블되어, 그 출력에서 낮은 레벨을 계속해서 공급한다. 낮은 모드 표시 신호(Mi)는 스위치(100)가 폐쇄되도록 하고, 스위치(101)가 개방되도록 한다. 옵토커플러 트랜지스터(Tro) 전류는 동작 전압(Vo2)을 안정화하기 위해 스위치(S1)의 스위칭을 제어하기 위해 제어 회로(11)에 의해 사용되도록 결정 회로(14)의 출력(01)에 완전히 공급될 것이다.
전원 공급 회로의 정규 동작 모드에서, 대기 모드 표시 신호(Vs) 및 오프-회로(5)는 비활성이다. 옵토커플러 다이오드(Do)를 통한 전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이러한 동작 전압(Vo2)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동작 전압(Vo2)에 의해 결정된다. 정규 동작 모드동안 옵토커플러 트랜지스터(Tro)를 통한 최대 전류, 저항(106)의 값들, 및 기준 전압(Vref3)의 값은 비교기(103)가 그의 출력에서 낮은 레벨을 공급하도록 선택된다. 비교기(103)의 출력 전압이 낮기 때문에, 플립플롭 (110)의 출력(D2)은 낮게 되고, 오프-신호(Of)도 낮으며, 이는 제어 회로가 오프-상태로 스위칭되어서는 안됨을 나타낸다. 결정 회로(14)는 정규 동작 모드동안 앞서 기재된 상황에 있을 것이다. 그 상황은 비교기(103)가 비반전 입력 전압이 기준 전압(Vref3)을 초과하는 옵토커플러 트랜지스터(Tro)를 통해 그러한 큰 전류를 검출할 경우에 변화하며, 이것은 대기 모드에 대한 변환이 소망되는 경우이다. 신호 (On1)는 전원 공급 전압(Vcc)이 개시 레벨(Von)에 도달하는 순간에 높게 된다. 정규 동작 모드동안, 전원 공급 전압(Vcc)은 테이크-오버 전압(Vo3)에 의해 결정되고, 결코 온-레벨(Von)에 도달하지 않는다.
이제 정규 동작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의 변환이 기재될 것이다 오프-회로(5)는 대기 모드 신호(Vs)가 활성화되자마자 임의의 시간주기 동안 옵토커플러 다이오드(Do)를 통해 큰 전류를 발생시킨다. 이는 스위치(100)가 폐쇄되고, 스위치(101)가 개방되기 때문에, 옵토커플러 트랜지스터(Tro) 및 저항(106)을 통해 큰 전류를 유발시킨다. 비교기(103)의 출력은 높게 되고, 플립플롭(110)은 세트된다. 비교기(102)가 아직 디스에이블이기 때문에, 그 출력은 낮게 된다. AND 게이트(112)는 두 입력에서 높은 레벨을 수신하므로, 높은 레벨 오프-신호(Of)를 공급한다. 높은 레벨 오프-신호(Of)는 제어 회로(1)가 즉시 오프-상태로 스위칭되도록 한다. 대기 모드에 대한 변환은 전원 공급 전압(Vcc)이 개시 레벨(Von)에 도달하자마자 완료된다. 신호(On1)가 높게 되는 순간에, 플립플롭(107)은 세트되고, 비교기(102)는 활성화된다. 대기 모드에서, 스위치(S4)를 폐쇄함으로써 옵토커플러 다이오드(Do)를 통해 전류가 야기된다. 이 전류는 전원 공급 회로가 조절되지 않는 한 저항(Rx)에 의해 결정된다. 그 전류는 또한 전원 공급 회로가 규칙적인 주기동안 제너 다이오드(Z1)에 의해 결정된다. 옵토커플러 트랜지스터(Tro)를 통해 관련된 전류는 입력 (I1)에서의 전압이 매우 높게 되도록 하여, 비교기(102)의 출력은 높은 레벨로 변화하고, 스위치(100)는 개방하며, 스위치(101)는 폐쇄하며, 플립플롭(110)은 세트된다. 높은 모드 표시 신호(Mi)는 대기 모드를 나타내므로, 대기 오프-레벨(Voffs)이 선택된다. 신호(Of)는 낮은 레벨을 갖는다. 스위치(100)가 개방되고, 기준 전압 (Vref3)은 비반전 입력에서의 전압보다 높게 유지되기 때문에, 비교기(103)는 낮은 레벨을 공급한다. 옵토커플러(Do, Tro)는 소망된다면, a) 정규 동작 모드에서 전원 공급 회로의 출력 전압을 안정화시키고, b) 전원 공급 회로가 대기 모드 동작으로 변경해야 함을 나타내며, c) 전원 공급 회로가 대기 모드 동작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며, d) 대기 모드 동안 전원 공급 회로의 출력 전압을 안정화시키도록, 전원 공급 회로의 2차 측에서 1차 측으로 정보를 전달하는데 이용됨이 상기 내용으로부터 명백해진다.
대기 모드로부터 정규 동작 모드로의 변환이 이제 기재될 것이다.
첫째, 도 10에 도시된 회로 동작은 대기 모드 표시 신호(Vs)가 정규 동작 모드로의 변화를 나타내는 순간에 오프-상태(전원 공급 전압(Vcc)이 상승함)인 상황에서 명백해진다. 스위치(S4)는 개방되고, 옵토커플러 트랜지스터(Tro)를 통한 전류는 0으로 떨어진다. 전원 공급 전압(Vcc)은 개시 레벨(Von)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 상승한다. 이어서 정확히 같은 상황이 정규 모드에 대해 제 1 개시에서 앞서 기재된 바와 같이 일어난다.
둘째, 그 동작은 대기 모드 표시 신호(Vs)가 정규 동작 모드로의 변화를 나타내는 순간에 제어 회로(1)가 온-상태(전원 공급 전압(Vcc)은 감소함)에 있는 경우에 명료해 진다. 스위치(S4)는 개방되고, 옵토커플러 트랜지스터(Tro)를 통한 전류는 0으로 떨어진다. 아직 활성인 비교기(102)는 입력(I1)에서의 낮은 전압을 검출하고, 낮은 레벨 모드 표시 신호(Mi)를 공급한다. 오프-신호(Of)는 반전기(111) 및 이미 세트된 플립플롭(110)(대기 모드 동안, 상기 참조)을 통해 낮은 레벨 모드 표시 신호(Mi)에 기인하여 제어 회로를 오프-상태로 즉시 스위칭하도록 높은 레벨로 변화시킨다.
기재된 실시예들의 가능한 변형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음이 명백할 것이다. 예를 들어, 스위치(S1)는 또한 예를 들어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이다. 옵토커플러는 예를 들어 펄스 변환기(pulse transformer)와 같은 주 분리(mains separation)를 통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다른 구성요소들로 대체될 수 있다. 펄스 변환기가 이용된다면, 명백한 변경들이 피드백 회로(2s, 2b; 2a, 2b')에서 실현될 수 있다. 어떠한 주 분리도 필요하지 않을 경우, 자동 변환기가 이용될 수 있다. 스위치(S1)는 또한 사이리스터와 같은 다른 반도체 스위칭 소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은 아래와 같이 요약될 수 있다. 대기 모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모드 전원 공급 회로가 매우 높은 효율로 대기 전압(Vo1)을 공급하기 위해 감소된 2차 전압들(Vo1, Vo2)을 가진 버스트 모드로 동작될 수 있다. 전원 공급 회로의 정규 동작 모드에서, 제어 회로(1)는 전원 공급 회로에 의해 발생된 전원 공급 전압(Vcc)에 의해 온-상태로 유지된다. 제어 회로(1)는 전원 공급 회로를 스위칭하는 제어 펄스들(Vd)을 공급한다. 버스트 모드는 어느 다른 설비들 없이 제어 회로(1)가 어떤 제어 펄스들(Vd)도 발생되지 않는 오프-상태에 도달하는 범위까지 제어 회로(1)에 대해 발생된 전원 공급 전압(Vcc)을 감소시킴으로써 획득된다. 대기 모드에서, 제어 회로(1)는 전원 공급 수단(4)에 의해 전류로 공급된다. 오프-상태에서, 제어 회로(1)는 공급할 수 있는 것보다 전원 공급 수단(4)으로부터 더 작은 전원 공급 전류(Icc)를 취하고, 제어 회로(1)가 온-상태에 도달하여, 제어 펄스(Vd)를 발생시키기 시작할 때까지 전원 공급 전압(Vcc)은 증가한다. 온-상태에서, 제어 회로(1)는 공급할 수 있는 것보다 전원 공급 수단(4)으로 부터의 더 큰 전류를 취하고, 전원 공급 전압(Vcc)은 제어 회로(1)가 오프-상태에 다시 도달할 때까지 감소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대기 모드에서의 전원 공급 회로는 제 1 주기동안 매번 활성이고, 제 2 주기동안 비활성이다. 전원 공급 전압을 대기모드로 되게 하기 위하여, 제어 회로(1)에 발생된 전원 공급 전압(Vcc)은 2차 전압(Vs1,Vs2)이 감소되는 식으로 감소된다.
앞서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제한하기보다는 명료하게 하는 것이며,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들이 청구 범위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많은 대안의 실시예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임을 유의해야 한다. 청구범위에 포함된 괄호 속의 참조 부호들은 이런 청구범위들을 제한하는 것으로 설명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은 특히 제어 회로(1)는 서로 다른 소자들을 갖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고, 및/또는 적절히 프로그램된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두 구현들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Claims (17)

  1. 정규 동작 모드 및 대기 모드로 동작하도록 적응된 스위치 모드 전원 공급 회로로서,
    스위치(S1)와,
    상기 스위치(S1)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1)로서, 상기 제어 회로(1)는 전원 공급 전압(Vcc)이 오프-레벨(off-level)로 감소하는 경우에 상기 제어 회로 (1)를 오프-상태(off-state)로 되게 하고, 상기 전원 공급 전압(Vcc)이 개시 레벨 (starting level)로 증가하는 경우에 상기 제어 회로(1)를 온-상태(on-state)로 되게 하기 위해 전원 공급 전압(Vcc)을 수신하도록 결합된 전압-검출 수단(10)을 포함하는, 상기 제어 회로(1)와,
    1차 권선(Lp)을 가지며 상기 스위치(S1)와 직렬 배치로 통합되어 있는 변압기(T)로서, 상기 직렬 배치(Lp, S1)는 DC 입력 전압원(Vdc)에 결합되고, 상기 변압기(T)는 상기 전압-검출 수단(10)에 결합된 전원 공급 권선(Ls)을 더 가지며, 상기 전원 공급 권선(Ls)은 상기 제어 회로(1)가 온-상태에 있는 값에서 상기 정규 동작 모드로 테이크-오버 전압(take-over voltage)(Vo3)을 공급하는, 상기 변압기(T), 및
    전원 공급 전류(Icc)를 상기 제어 회로(1)에 인가하기 위한 입력 전류(Is)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DC 입력 전압원(Vdc)에 결합된 전원 공급 수단(4)을 포함하는, 상기 스위치 모드 전원 공급 회로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 회로는 상기 대기 모드에서 대기 모드 표시 신호(VS)에 응답하여 상기 테이크-오버 전압(Vo3)을 상기 제어 회로(1)가 번갈아 상기 온-상태와 상기 오프-상태로 될 수 있는 값으로 감소시키기 위한 수단(S2, 2b; S2, 2b')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모드 전원 공급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압기(T)는 동작 모드에서 대기 전압(Vo1) 및 동작 전압(Vo2)을 각각 공급하기 위한 제 1 및 제 2의 2차 권선(Ls1, Ls2)을 더 가지며,
    상기 전원 공급 회로는 상기 대기 모드 표시 신호(Vs)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는 접속 수단(S2)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접속 수단(S2)은 상기 대기 모드에서 상기 제 2의 2차 권선(Ls2)으로부터 상기 제 1의 2차 권선(Ls1)으로 전류를 도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모드 전원 공급 회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크-오버 전압(Vo3)을 감소시키기 위한 상기 수단(S2,2b; S2,2b')은,
    상기 접속 수단(S2), 및
    상기 대기 전압(Vo1)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제 1의 2차 권선(Ls1)에 결합된 전압-클램핑 회로(2b; 2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모드 전원 공급 회로.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 회로는:
    제어 펄스들(Vd)을 상기 스위치(S1)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스위치(S1)의 제어 입력에 결합된 출력을 가진 펄스 제어 회로(12), 및
    상기 대기 전압(Vo1)에 관련된 피드백 전압이 최대 레벨에 도달할 경우 상기 대기 모드에서 활성화된 피드백 신호(Vfb)를 상기 제어 회로(1)에 공급하기 위한 상기 피드백 전압을 수신하도록 결합된 피드백 수단(2a,2b; 2a,2b')으로서, 상기 제어 회로(1)는 상기 대기 전압(Vo1)이 더 이상 증가하지 않음을 보장하도록 상기 활성화된 피드백 신호(Vfb)를 수신한 후에 상기 제어 펄스들(Vd)에 영향을 주는, 상기 피드백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모드 전원 공급 회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1)는 피드백 신호(Vfb)를 수신하기 위한 검출 입력(T3)을 갖는 검출 회로(13)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검출 회로(13)는 상기 피드백 신호(Vfb)가 활성화된 후에 상기 스위치(S1)를 개방(open)으로 유지하기 위해 상기 제어 펄스들 (Vd)의 발생을 중단시키기 위하여 상기 펄스 제어 회로(12)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모드 전원 공급 회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1)는 상기 피드백 신호(Vfb)를 수신하기 위한 제어 입력 (T1), 및 상기 피드백 신호(Vfb)가 활성화된 후에 상기 대기 전압(Vo1)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Vc)를 상기 펄스 제어 회로(12)에 공급하기 위한 출력을 갖는 안정화 제어 회로(1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모드 전원 공급 회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 수단(4)은
    상기 전원 공급 전압 입력(T2)과, 상기 DC 입력 전압원(Vdc)의 단자와 상기 1차 권선(Lp)의 접점 사이에 결합된 저항(Rs), 및
    상기 전원 공급 전압 입력(T2)과 상기 DC 입력 전압원(Vdc)의 다른 단자 사이에 결합된 캐패시터(Cs)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모드 전원 공급 회로.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모드 전원 공급 회로는 상기 접속 수단(S2)을 통해 상기 전류를 제한하기 위한 전류 제한 수단(Rs2;5,11,1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모드 전원 공급 회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제한 수단(Rs2;5,11,12)은 상기 접속 수단(S2)과 직렬로 배치된 저항(Rs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모드 전원 공급 회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제한 수단(Rs2;5,11,12)은
    상기 대기 모드 표시 신호(Vs)를 수신하기 위한 입력 및 상기 제어 회로에 결합된 출력을 갖고, 상기 전원 공급 전압(Vcc)이 상기 오프-레벨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대기 모드 표시 신호(Vs)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 펄스들(Vd)의 발생이 중단되도록 하기 위한 오프-회로(5), 및
    상기 전원 공급 전압(Vcc)이 상기 개시 레벨에 도달한 후에 상기 1차 권선 (Lp) 내의 작은 피크 전류로 상기 전원 공급 회로를 개시하기 위해 상기 제어 펄스들(Vd)의 온 및 오프 시간에 영향을 주기 위해 상기 제어 회로(1)에 제공된 소프트 -개시 수단(11, 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모드 전원 공급 회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검출 수단(10)은 상기 대기 모드동안 상기 개시 레벨과 상기 오프 -레벨간의 차이를 감소시키도록 적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모드 전원 공급 회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검출 수단(10)은 상기 스위치 모드 전원 공급 회로의 모드의 변화를 표시하는 상기 대기 모드 표시 신호(Vs)의 변화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 회로(1)가 상기 오프-상태가 되도록 하기 위한 결정 수단(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모드 전원 공급 회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수단(2b;2b')의 2차 부분이 상기 대기 모드 표시 신호(Vs)를 수신하도록 적응되어 있고, 상기 결정 수단(14)은 상기 대기 모드 표시 신호(Vs)의 레벨 변화에 의해 야기된 상기 피드백 신호(Vfb)의 변화를 검출하도록 상기 피드백 수단(2a;2a')의 1차 부분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모드 전원 공급 회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수단(2b;2b')의 상기 2차 부분은 상기 정규 동작 모드로부터 상기 대기 모드로의 변화를 표시하는 상기 대기 모드 표시 신호(Vs)의 변화에 응답하여 옵토커플러 다이오드(optocoupler diode)(Do)를 통해 부가 전류(additional current)를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대기 모드 표시 신호(Vs)를 수신하도록 결합된 오프 회로(5) 및 상기 옵토커플러 다이오드(Do)를 포함하고, 상기 피드백 수단 (2a;2a')의 상기 1차 부분은 상기 옵토커플러 다이오드(Do)에 광학적으로 결합된옵토커플러 트랜지스터(Tro)를 포함하며, 상기 결정 수단(14)은 상기 옵토커플러 다이오드(Do)를 통해 부가 전류에 의해 야기된 상기 옵토커플러 트랜지스터(Tro)를 통한 상기 부가 전류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 회로(1)가 상기 오프-상태가 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옵토커플러 트랜지스터(Tro)를 통한 전류를 수신하도록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모드 전원 공급 회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수단(14)은 상기 옵토커플러 다이오드(Do)를 통한 상기 부가 전류가 상기 대기 모드로부터 상기 정규 동작 모드로의 변화를 표시하는 상기 대기 모드 표시 신호(Vs)에 응답하여 스위치 오프될 경우에 상기 제어 회로(1) 또한 상기 오프-상태가 되도록 적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모드 전원 공급 회로.
  16. 제 1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1)는 상기 대기 모드동안 상기 변압기(T)의 상기 1차 권선 (Lp)을 통한 상기 피크 전류를 제한하기 위한 피크 제한기(1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모드 전원 공급 회로.
  17. 화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AC 입력 전압(Vac)을 수신하고 DC 입력 전압(Vdc)을 공급하기 위한 입력 회로(A)와,
    동작 전압(Vo2) 및 대기 전압(Vo1)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DC 입력 전압(Vdc)을 수신하도록 결합된 제 1 항에서 청구된 바와 같은 스위치 모드 전원 공급 회로 (B)와,
    디스플레이 유니트(E)를 어드레스하기 위해 상기 동작 전압(Vo2)을 수신하도록 결합된 어드레싱 회로(C), 및
    상기 대기 전압(Vo1) 및 동작 명령들(Cc)을 수신하도록 결합되어 있고, 상기 대기 모드 표시 신호(Vs)를 공급하기 위한 동작 수단(D)을 포함하는, 화상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960706925A 1995-04-05 1996-03-28 스위치모드전원공급회로및이를포함한화상디스플레이장치 KR1004111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246,230 1994-05-18
EP95200860.5 1995-04-05
EP95200860 1995-04-05
EP96200248 1996-02-05
EP96200248.1 1996-02-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703640A KR970703640A (ko) 1997-07-03
KR100411170B1 true KR100411170B1 (ko) 2004-03-30

Family

ID=26139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6925A KR100411170B1 (ko) 1995-04-05 1996-03-28 스위치모드전원공급회로및이를포함한화상디스플레이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689407A (ko)
EP (1) EP0765541B1 (ko)
JP (1) JPH10501960A (ko)
KR (1) KR100411170B1 (ko)
CN (1) CN1053772C (ko)
DE (1) DE69609681T2 (ko)
WO (1) WO19960319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15382A (en) * 1996-05-06 1998-09-29 Motorola, Inc. Tracking circuit for power supply output control
GB9623612D0 (en) * 1996-11-13 1997-01-08 Rca Thomson Licensing Corp Separate power supplies for standby operation
US5995384A (en) * 1997-07-31 1999-11-30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oration Functional on/off switch for switched-mode power supply circuit with burst mode operation
US5812383A (en) * 1997-07-31 1998-09-22 Philips Electronics North North America Corporation Low power stand-by for switched-mode power supply circuit with burst mode operation
DE19801499C2 (de) * 1998-01-16 2000-05-18 Siemens Ag Getaktete Stromversorgung
DE19809905A1 (de) * 1998-03-07 1999-09-09 Philips Patentverwaltung Spannungsversorgung während des Stand-by-Mode
JP2000116027A (ja) * 1998-03-10 2000-04-21 Fiderikkusu:Kk 電源装置
KR100263031B1 (ko) * 1998-05-16 2000-08-01 김덕중 대기 모드를 가지는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
DE19826152A1 (de) * 1998-06-12 1999-12-16 Thomson Brandt Gmbh Anordnung mit einem Schaltnetzteil und einem Mikroprozessor
US5986897A (en) * 1998-06-29 1999-11-16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oration Switched-mode power supply having a circuit arrangement for turning the switching device when a voltage on the switching device is at a minimum
KR100273439B1 (ko) * 1998-08-11 2001-01-15 구자홍 전원 공급 장치의 전력 소모 저감 장치 및 방법
US6137696A (en) * 1999-04-12 2000-10-24 Semicondu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Switching regulator for power converter with dual mode feedback input and method thereof
US6191959B1 (en) * 1999-05-14 2001-02-20 U.S. Philips Corporation Switched-mode power supply with capacitor controlled power supply
DE69942955D1 (de) 1999-06-01 2010-12-30 Semiconductor Components Ind Vorrichtung zur Pulsbreitenmodulationssteuerung mit Standby-Modus
EP1058375B1 (en) 1999-06-01 2010-11-24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PWM controller
JP3173503B2 (ja) * 1999-06-09 2001-06-04 日本電気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US6057607A (en) * 1999-07-16 2000-05-02 Semtech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voltage regulation in multi-output switched mode power supplies
US6157549A (en) * 1999-10-22 2000-12-05 Thomson Licensing S.A. Power supply with multiple mode operation
US6462437B1 (en) * 1999-11-12 2002-10-0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ystem and method for alternating standby mode
US6538419B1 (en) 2000-01-11 2003-03-25 Thomson Licensing S.A. Power supply with synchronized power on transition
JP3475888B2 (ja) 2000-01-11 2003-12-1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US6895009B1 (en) * 2000-04-07 2005-05-17 Omneon Video Networks Method of generating timestamps for isochronous data
US6587357B1 (en) * 2000-11-08 2003-07-01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tegrated low power self-supply in switched mode power supplies
EP1217719B1 (en) * 2000-12-21 2010-11-17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audible noise in a power supply transformer
EP1368886A2 (en) * 2001-03-06 2003-12-1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tart-up circuit for switched mode power supply
KR100418197B1 (ko) * 2001-08-28 2004-02-11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버스트모드 동작의 스위치모드 파워서플라이
JP3496673B2 (ja) * 2002-01-11 2004-02-16 サンケン電気株式会社 直流電源装置
GB2384328A (en) * 2002-01-16 2003-07-23 Mitel Knowledge Corp Regulated power supply starting circuit
DE10205706B4 (de) * 2002-02-12 2005-11-17 Infineon Technologies Ag Ansteuerschaltung für einen Schalter in einem Schaltnetzteil
WO2003071792A1 (en) * 2002-02-23 2003-08-28 Thomson Licensing S.A. Power supply unit comprising a switched-mode power supply
JP3919624B2 (ja) * 2002-07-24 2007-05-30 三菱電機株式会社 パワーデバイス駆動回路
US6882218B2 (en) * 2002-08-26 2005-04-19 Broadcom Corporation Transimpedance amplifier and offset correction mechanism and method for lowering noise
US6888108B2 (en) * 2002-10-11 2005-05-03 Perfect Fit Industries, Inc. Low voltage power supply system for an electric blanket or the like
US6967585B2 (en) * 2003-05-30 2005-11-22 Adc Dsl Systems, Inc. Input voltage sense circuit in a line powered network element
US6862194B2 (en) * 2003-06-18 2005-03-01 System General Corp. Flyback power converter having a constant voltage and a constant current output under primary-side PWM control
CN100456606C (zh) * 2004-11-29 2009-01-28 新巨企业股份有限公司 多重调变模式的电源控制方法
US7262561B2 (en) * 2004-12-13 2007-08-28 Zippy Technology Corp.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supply through multiple modulation modes
DE102005022859B3 (de) * 2005-03-11 2006-08-10 Friwo Mobile Power Gmbh Ansteuerschaltung für den Schalter in einem Schaltnetzteil
CN101164220B (zh) * 2005-04-21 2012-05-23 半导体元件工业有限责任公司 电源控制方法及其结构
JP4373995B2 (ja) * 2005-06-24 2009-11-25 フリボ モバイル パワー ゲーエムベーハー スイッチモード電源における電流および電圧を制御するための制御回路
KR101274214B1 (ko) * 2006-11-30 2013-06-14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스위치 모드 파워 서플라이 및 그 구동 방법
US7855899B2 (en) * 2007-01-23 2010-12-21 System Genreal Corp. Controller with loop impedance modulation for power converter
JP2009005498A (ja) * 2007-06-21 2009-01-08 Ngk Insulators Ltd パルス電源回路
TW200917014A (en) * 2007-10-15 2009-04-16 Andyson Internat Co Ltd Sectional start-up timing control method
KR101436320B1 (ko) * 2007-11-12 2014-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WO2009140404A2 (en) * 2008-05-13 2009-11-19 Igo , Inc. Circuit and method for ultra-low idle power
US7770039B2 (en) * 2008-05-29 2010-08-03 iGo, Inc Primary side control circuit and method for ultra-low idle power operation
US7779278B2 (en) * 2008-05-29 2010-08-17 Igo, Inc. Primary side control circuit and method for ultra-low idle power operation
US7795760B2 (en) * 2008-07-25 2010-09-14 Igo, Inc. Load condition controlled power module
US7795759B2 (en) * 2008-06-27 2010-09-14 iGo, Inc Load condition controlled power strip
US7800252B2 (en) * 2008-06-27 2010-09-21 Igo, Inc. Load condition controlled wall plate outlet system
KR101431143B1 (ko) * 2008-08-13 2014-08-21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전력 변환기, 그 스위칭 제어 장치 및 구동 방법
CN102224665B (zh) * 2009-02-02 2014-06-18 三垦电气株式会社 开关电源装置
CN101827476A (zh) * 2009-03-04 2010-09-08 立锜科技股份有限公司 具有交直流直接转换控制功能的led驱动电路与相关方法和集成电路
TWI465896B (zh) * 2009-05-14 2014-12-21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電源供應電路與其方法
JP2010279188A (ja) * 2009-05-29 2010-12-09 Sanyo Electric Co Ltd 過電流保護回路
CN102185468B (zh) * 2011-04-27 2013-05-01 大连连顺电子有限公司 高压启动开关和检测晶体管复用电路及开关电源
WO2013061207A1 (en) * 2011-10-26 2013-05-0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 low power standby shutdown circuit
TWI496396B (zh) * 2012-02-18 2015-08-11 Richtek Technology Corp 隔離式電源轉換器電路及其中之控制電路與控制方法
JP6161374B2 (ja) * 2013-04-05 2017-07-12 キヤノン株式会社 電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287937B2 (ja) * 2015-04-10 2018-03-07 オンキヨー&パイオニア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電源システム
US10291134B2 (en) 2016-08-29 2019-05-14 Silanna Asia Pte Ltd Switching mode power supply with an anti-windup circuit including a voltage clamping circuit
US10135439B2 (en) 2017-04-20 2018-11-2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Current limiting I/O interface and isolated load switch driver IC
EP3422029B1 (de) * 2017-06-28 2022-08-31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frequenzcharakterisierung eines elektronischen systems
TWI733483B (zh) * 2020-06-04 2021-07-11 立錡科技股份有限公司 返馳式電源轉換電路與轉換控制電路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23371A (en) * 1963-11-14 1967-06-06 Honeywell Inc Superconductive transducer
US4688159A (en) * 1985-08-26 1987-08-18 U.S. Philips Corporation Switched-mode power supply having a standby state
KR900015425A (ko) * 1989-03-07 1990-10-26 죠셉 제이. 랙스 텔레비젼 장치의 스위치 모드 전원 공급장치
KR920001536U (ko) * 1990-06-21 1992-01-28 삼성전자 주식회사 스텐바이 겸용 스위칭 모드 전원장치
US5126930A (en) * 1989-12-29 1992-06-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Switched mode power supply controller having a stand-by state using a frequency divided burst mode
JPH0529976A (ja) * 1991-07-19 1993-02-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源電圧制御切換え回路
KR930003717Y1 (ko) * 1989-06-02 1993-06-21 가부시기가이샤 고이도세이사꾸쇼 착탈식 회전등
US5351177A (en) * 1992-09-17 1994-09-27 Rca Thomson Licensing Corporation Switch mode power supply with standby mode operatio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323371A1 (de) * 1983-06-29 1985-01-17 Telefunken Fernseh Und Rundfunk Gmbh, 3000 Hannover Schaltnetzteil fuer ein geraet mit bereitschaftsbetrieb, insbesondere einen fernsehempfaenger
DE3731645A1 (de) * 1987-09-19 1989-03-30 Thomson Brandt Gmbh Schaltnetzteil
FI113507B (fi) * 1989-03-07 2004-04-30 Rca Licensing Corp Purskemoodin lepotilatoiminnalla varustettu hakkuriteholähde
JPH05344726A (ja) * 1992-06-09 1993-12-24 Kofu Nippon Denki Kk 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
JPH07123709A (ja) * 1993-10-28 1995-05-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源装置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23371A (en) * 1963-11-14 1967-06-06 Honeywell Inc Superconductive transducer
US4688159A (en) * 1985-08-26 1987-08-18 U.S. Philips Corporation Switched-mode power supply having a standby state
US4766528A (en) * 1985-08-26 1988-08-23 U.S. Philips Corporation Switched-mode power supply having a standby state
KR900015425A (ko) * 1989-03-07 1990-10-26 죠셉 제이. 랙스 텔레비젼 장치의 스위치 모드 전원 공급장치
KR930003717Y1 (ko) * 1989-06-02 1993-06-21 가부시기가이샤 고이도세이사꾸쇼 착탈식 회전등
US5126930A (en) * 1989-12-29 1992-06-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Switched mode power supply controller having a stand-by state using a frequency divided burst mode
KR920001536U (ko) * 1990-06-21 1992-01-28 삼성전자 주식회사 스텐바이 겸용 스위칭 모드 전원장치
JPH0529976A (ja) * 1991-07-19 1993-02-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源電圧制御切換え回路
US5351177A (en) * 1992-09-17 1994-09-27 Rca Thomson Licensing Corporation Switch mode power supply with standby mode ope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765541A1 (en) 1997-04-02
CN1053772C (zh) 2000-06-21
KR970703640A (ko) 1997-07-03
DE69609681D1 (de) 2000-09-14
WO1996031940A1 (en) 1996-10-10
EP0765541B1 (en) 2000-08-09
JPH10501960A (ja) 1998-02-17
CN1154766A (zh) 1997-07-16
US5689407A (en) 1997-11-18
DE69609681T2 (de) 2001-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1170B1 (ko) 스위치모드전원공급회로및이를포함한화상디스플레이장치
US6157179A (en) Switched-mode power supply for charging a capacitance during a first period, forming a resonant circuit with an inductance, and discharging the capacitance into a load during a second period disjunct from the first period
EP1215808B1 (en) A power supply circuit and method thereof to detect demagnitization of the power supply
EP1178591B1 (en) Power supply device with detection of malfunctioning
US20090097289A1 (en) Feedback communication technique for switched mode power supply
US20090201705A1 (en) Energy converting apparatus, and semiconductor device and switching control method used therein
US6493245B1 (en) Inrush current control for AC to DC converters
US5089947A (en) Power supply circuit featuring minimum parts count
KR20030011323A (ko) 스위치 모드 파워 서플라이를 위한 스타트업 회로
US20020181252A1 (en) Switching power source device
US652594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detection of circuit irregularities and for circuit protection of a power supply
US11703550B2 (en) Resonance voltage attenuation detection circuit, semiconductor device for switching power, and switching power supply
EP0903005B1 (en) Switched-mode power supply
US6538419B1 (en) Power supply with synchronized power on transition
US6532159B2 (en) Switching power supply unit
EP0854563B1 (en) Low power and wide input voltage range DC to DC switching converter
US6208533B1 (en) Switching power supply for stabilizing a DC output voltage
EP0332095B1 (en) A switch-mode power supply
US6191959B1 (en) Switched-mode power supply with capacitor controlled power supply
US11979090B2 (en) Power converter controller with branch switch
JP2001119941A (ja) 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
KR19980031193A (ko)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의 전력 손실 방지 회로
JPH0686549A (ja) 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