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9034B1 - 면섬유 열전사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면섬유무늬인쇄방법 - Google Patents

면섬유 열전사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면섬유무늬인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9034B1
KR100409034B1 KR10-2001-0002106A KR20010002106A KR100409034B1 KR 100409034 B1 KR100409034 B1 KR 100409034B1 KR 20010002106 A KR20010002106 A KR 20010002106A KR 100409034 B1 KR100409034 B1 KR 1004090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thermal transfer
parts
printing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2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5650A (ko
Inventor
김재훈
Original Assignee
김재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훈 filed Critical 김재훈
Priority to KR10-2001-0002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9034B1/ko
Publication of KR20010025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56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9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90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5/00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 C09J5/06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involving heating of the applied adhesiv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1Paper; Textile fabr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00/00Presence of inorganic and organic materials
    • C09J2400/20Presence of organic materials
    • C09J2400/26Presence of textile or fabric
    • C09J2400/263Presence of textile or fabric in the substr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loring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크릴계 바인더에 아크릴계 모노머, 용제 등을 혼합하여 얻어진 아크릴계 접착제를 면 원단에 도포하고 건조한 다음, 열전사하여 문양을 인쇄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통상적으로 나염을 통해 문양을 인쇄함으로써 발생되는 폐액으로 인한 환경오염의 문제를 방지하면서도 우수한 외관을 갖도록 면 원단에 문양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면섬유 열전사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면섬유 무늬인쇄방법{Adhesives composition and thermal transfer method using it}
본 발명은 면섬유 열전사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면섬유 무늬인쇄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면섬유에 문양을 열전사를 통해 수행할 수 있도록 조성된 접착제와 이를 사용한 무늬인쇄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면 섬유를 비롯하여 제반섬유에 문양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통상 나염 또는 본염과정을 거친다.
나염은 통상 인나, 건조, 증열, 수세 및 후가공의 공정을 거치는 것으로서, 수세 과정 등을 통해 발생되는 폐액이 수질 오염 등의 요인이 되므로, 이와같은 전통적인 문양인쇄 방법은 사양길에 접어들고 있다.
따라서, 나염이나 본염을 거치지 않고 문양의 인쇄를 가능케 하는 열전사 방법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어 왔는 바, 그 결과로 폴리에스테르와 같이 소수성이고 조직이 조밀한 섬유에의 열전사 방법은 개발되었다.
그러나, 폴리에스테르와는 그 섬유적 특성이 다른 면 섬유에 대한 열전사 방법을 아직까지 그 개발이 미미하며, 특히 환경에의 문제를 일으키지 않도록 수성계인 열전사 방법은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는 면섬유에의 열전사 방법을 통한 문양의 인쇄를 가능케 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던 중, 새로운 조성의 아크릴계 접착제 조성을 면 원단에 도포하고 통상의 열전사 시스템을 통해 열전사한 결과, 폐액의 발생이 없으면서 통상의 방법에 따른 문양인쇄에서와 동등이상의 외관을 나타냄을 알게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면직물에의 열전사를 가능케할 수 있는 아크릴계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면 원단에 아크릴계 접착제 조성물을 도포한 후 열전사를 통해 면직물에 무늬를 인쇄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도 그 목적이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면직물의 열전사용 아크릴계 접착제 조성물은 아크릴계 바인더 40∼50중량부, 아크릴계 모노머 20∼40중량부, 크실렌 0.1∼20중량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0.1∼30중량부, 디메틸포름아마이드와 에틸아세테이트의 혼합용제 0.2∼30중량부, 소듐 디옥틸 설포석시네이트 0.3∼30중량부, 증점제 0.2∼20중량부 및 발포제 0.1∼0.3중량부로 이루어진 것임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조성의 아크릴계 접착제를 면섬유에 도포한 후 건조한 다음, 열전사지를 라미네이션하여 열전사하여 무늬를 인쇄하는 방법에도 그 특징이 있다.
이와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면섬유의 열전사를 가능케 하는 것은 아크릴계 접착제로서, 면섬유는 일반적으로 열전사를 통해 무늬인쇄를 해오던 폴리에스테르 섬유와는 다른 섬유적 특성으로 인해 면섬유에는 바로 열전사를 수행할 수 없다.
따라서, 별도의 접착제를 먼저 면섬유상에 도포하여 건조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 개발한 접착제는 아크릴계 바인더, 구체적으로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바인더를 포함한다.
본 발명 접착제에서 사용된 아크릴계 바인더는 응고점이 약 0℃이고, 비등점이 100℃이며, pH는 6∼8정도이고, 물에 용해된다.
이와같은 특성을 갖는 아크릴계 바인더는 통상 면 섬유에 날염을 하던것과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그 함량은 전체 접착제 조성중 40∼50중량부이다. 만일, 그 함량이 40중량부 미만이면 문양이 희미하고, 50중량부 초과면 세탁시 색도가 떨어지며 원단이 빳빳해지는 문제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은 이와같은 아크릴계 바인더와 함께 아크릴계 모노머를 포함하는 바, 아크릴계 모노머로는 통상의 모노머를 포함한다.
이같은 아크릴계 모노머는 접착제 중에서 색도를 잡아주는 접착제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만일 그 함량이 접착제 조성 중 20중량부 미만이면 원단이 빳빳해지고 색도가 떨어지며, 40중량부 초과면 면원단에 얼룩이 생겨 문양의 인쇄에 불리하다.
그리고, 크실렌을 전체 접착제 조성 중 0.1∼20중량부로 포함하는 바, 크실렌은 열전사시 색을 안착시키고 휘발되는 용제로서 작용한다. 만일, 그 함량이 0.1중량부 미만이면 색도가 좋지 않고, 20중량부 초과면 바인더가 응고되어 색도의 변질을 일으킨다.
또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를 0.1∼30중량부로 포함하는 바, 만일 그 함량이 0.1중량부 미만이면 세제에 약하고, 30중량부 초과면 원단이 뒤틀린다.
그리고, 디메틸포름아마이드와 에틸아세테이트의 혼합용매를 전체 접착제 중 0.2∼30중량부로 사용하는 바, 이들은 색도와 세탁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만일 그 함량이 0.2중량부 미만이면 문양이 흐릿해지고, 30중량부 초과면 바인더가 응고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유화제(emulsifier)로서 소듐 디옥틸 설포석시네이트를 0.3∼30중량부로 첨가한다. 만일, 그 함량이 0.3중량부 미만이면 면섬유가 빳빳해지고, 30중량부 초과면 세제에 약하다.
그밖에 점도 증가를 위해 증점제를 포함하는 바, 그 함량은 0.2∼20중량부이다. 만일 20중량부를 초과하여 첨가할 경우 점도가 증가되어 도포가 불가능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발포제를 0.1∼0.3중량부로 소량 첨가하는 바, 만일 그 함량이 0.3중량부보다 많으면 문양에 구멍이 생기게 된다.
이와같은 조성의 아크릴계 접착제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배합하여 면 원단에 접착코팅한 다음, 건조한다.
건조온도는 62∼230℃인 것이 바람직하며, 건조시간은 3∼25분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나서, 폴리비닐알콜, 분산염료로 색상을 낸 다음, 열로라 전사시스템을 사용하여 무늬가 인쇄된 종이를 합지시켜 열전사하여 원하는 문양을 인쇄한다.
열전사 방법은 통상의 열전사와 같은 바, 문양이 인쇄된 열전사지를 상기 아크릴계 접착제를 도포한 면 원단에 라미네이션하고, 열전사 시스템을 사용하여 전사시키면 원단에 문양이 인쇄된다.
이와같이 하면, 별도의 폐액의 발생이 없이도 문양의 인쇄가 가능하며, 아크릴계 접착제가 날염의 효과를 발현하여 종래의 날염후 문양을 염색하던 방법과 그 외관에 있어서의 차이가 없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 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아크릴계 접착제의 제조
아크릴계 공중합체인 헬리차린 바인더 4574(Helizarin binder 4574) 40g, 아크릴계 모노머인 Bisomer 20g, 크실렌 0.5g,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10g 및 디메틸포름아마이드와 에틸아세테이트의 혼합액 0.9g, 소듐디옥틸 설포석시네이트 10g, 증점제 0.5g 및 발포제 0.1g을 배합하여 3,000rpm 속도로 교반혼합하여 아크릴계접착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아크릴계 접착제의 제조
아크릴계 공중합체인 헬리차린 바인더 4574(Helizarin binder 4574) 50g, 아크릴계 모노머인 Bisomer 20g, 크실렌 0.5g,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10g 및 디메틸포름아마이드와 에틸아세테이트의 혼합액 15g, 소듐디옥틸 설포석시네이트 10g, 증점제 0.5g 및 발포제 0.1g을 배합하여 3,000rpm 속도로 교반혼합하여 아크릴계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아크릴계 접착제의 제조
아크릴계 공중합체인 헬리차린 바인더 4574(Helizarin binder 4574) 60g, 아크릴계 모노머인 Bisomer 50g, 크실렌 0.5g,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20g 및 디메틸포름아마이드와 에틸아세테이트의 혼합액 10g, 소듐디옥틸 설포석시네이트 10g, 증점제 0.5g 및 발포제 0.1g을 배합하여 3,000rpm 속도로 교반혼합하여 아크릴계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면 원단에의 열전사 인쇄
전사지의 표면은 유성, 수성의 색소로 디자인을 형성시키고, 62inch규격의 면 원단 표면에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아크릴계 접착제를 나이프를 사용하여 도포한 다음, 130℃에서 10분간 건조한 후, 열전사프린트기의 온도조절에 의해 전사지의 디자인을 인쇄하였다.
실시예 4: 면 원단에의 열전사 인쇄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면 원단에 문양을 인쇄하되, 다만 아크릴계 접착제로서 상기 실시예 2에서 얻어진 아크릴계 접착제를 사용하였다.
비교예 2: 면 원단에의 열전사 인쇄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면 원단에 문양을 인쇄하되, 다만 아크릴계 접착제로서 상기 비교예 1에서 얻어진 아크릴계 접착제를 사용하였다.
비교예 3: 면 원단에의 열전사 인쇄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면 원단에 문양을 인쇄하되, 다만 아크릴계 접착제 대신에 폴리비닐알콜계 접착제를 사용하였다.
비교예 4: 면 원단에의 열전사 인쇄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면 원단에 문양을 인쇄하되, 다만 아크릴계 접착제를 도포하지 않고 열전사를 수행하였다. 그러나, 열전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상기 실시예 3∼4를 통해 생산된 제품은 균일하게 접착층을 형성하여 원단에 접착되며, 그 위에 열전사로 형성된 디자인 또한 미려하였다. 그리고, 별도의 수세 과정 등이 필요없으므로 폐액의 발생도 없었다.
반면에 비교예 1과 같이 조성물의 함량 범위가 본 발명을 벗어나는 경우에는 색도가 좋지 않으며, 종래 타섬유의 열전사에 사용된 접착제를 도포한 경우나 어떠한 접착제도 도포하지 않을 경우 모두 면원단에는 열전사 무늬를 형성하지 못하였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아크릴계 바인더에 아크릴계 모노머, 용제 등을 혼합하여 얻어진 아크릴계 접착제를 면 원단에 도포하고 건조한 다음, 열전사하여 문양을 인쇄하는 경우 종래 나염을 통해 문양을 인쇄하는 데서 발생되는 폐액으로 인한 환경오염의 문제를 방지하면서도 우수한 외관을 갖도록 면 원단에 문양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아크릴계 바인더 40∼50중량부, 아크릴계 모노머 20∼40중량부, 크실렌 0.1∼20중량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0.1∼30중량부, 디메틸포름아마이드와 에틸아세테이트의 혼합용제 0.2∼30중량부, 소듐 디옥틸 설포석시네이트 0.3∼30중량부, 증점제 0.2∼20중량부 및 발포제 0.1∼0.3중량부로 이루어진 면섬유 열전사용 접착제 조성물.
  2. 제 1 항의 아크릴계 접착제를 면섬유에 도포한 후 건조한 다음, 열전사지를 라미네이션하여 열전사하여 무늬를 인쇄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아크릴계 접착제를 면섬유에 도포한 후 건조는 62∼230℃에서 3∼25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섬유의 무늬인쇄방법.
KR10-2001-0002106A 2001-01-15 2001-01-15 면섬유 열전사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면섬유무늬인쇄방법 KR1004090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2106A KR100409034B1 (ko) 2001-01-15 2001-01-15 면섬유 열전사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면섬유무늬인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2106A KR100409034B1 (ko) 2001-01-15 2001-01-15 면섬유 열전사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면섬유무늬인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5650A KR20010025650A (ko) 2001-04-06
KR100409034B1 true KR100409034B1 (ko) 2003-12-11

Family

ID=19704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2106A KR100409034B1 (ko) 2001-01-15 2001-01-15 면섬유 열전사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면섬유무늬인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90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2427B1 (ko) * 2002-09-05 2004-01-07 박정희 나염처리방법
KR20040021898A (ko) * 2002-09-05 2004-03-11 박정희 발포접착제를 이용한 문양형성방법
CN115726195A (zh) * 2022-10-31 2023-03-03 广东康派环创科技有限公司 热升华印花用纱线、热升华印花织唛及其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4787A (ko) * 1997-03-27 1998-11-05 서청길 폴리에틸렌 시트를 이용한 전사지 및 이를 이용한 전사방법
KR20000011093A (ko) * 1996-05-16 2000-02-25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접착제 조성물 및 그의 사용 방법
KR20000054601A (ko) * 2000-06-13 2000-09-05 전동철 디자인이 인쇄된 전사지를 이용한 바탕물질에의 전사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1093A (ko) * 1996-05-16 2000-02-25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접착제 조성물 및 그의 사용 방법
KR19980074787A (ko) * 1997-03-27 1998-11-05 서청길 폴리에틸렌 시트를 이용한 전사지 및 이를 이용한 전사방법
KR20000054601A (ko) * 2000-06-13 2000-09-05 전동철 디자인이 인쇄된 전사지를 이용한 바탕물질에의 전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5650A (ko) 200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70394B2 (en) Colorized retroreflective material and method
JPH11511405A (ja) 再帰反射性転写シートおよびアップリケ
TW201408838A (zh) 分散染料的冷轉移印花法
US5665476A (en) Transfer paper and a process for transferring photocopies to textiles
KR100409034B1 (ko) 면섬유 열전사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면섬유무늬인쇄방법
EP1851070B1 (en) A decalcomania product, a related manufacturing process, and a decalcomania process using such product.
CZ295217B6 (cs) Způsob výroby reflexního transferu sítotiskovým procesem, reflexní transfer a substrát pro reflexní transfer
CN111880252A (zh) 温变反光膜
WO2015030770A1 (en) Colorized retroreflective material and method of formation
CN112721517A (zh) 热转印膜及其制备和应用方法
GB2073259A (en) Sublimation dye transfer printing of fabrics
US2450902A (en) Decoration of glass fabrics
EP1072719B1 (en) Process for producing printed articles
KR20010074112A (ko) 직물지의 전사인쇄 표면처리재
KR930006935B1 (ko) 다변색 가능한 투습방수포의 제조방법
KR20170025564A (ko) 컬러 반사층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반사원단의 제조방법
KR19990086128A (ko) 수전사 염착필름의 인쇄방법
JP2000043244A (ja) インクジェット捺染方法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捺染物
US2222582A (en) Method of decorating textile fabrics
WO2013128725A1 (ja) インクジェット捺染方法、インクジェット捺染用インク組成物、及び布帛
KR200344020Y1 (ko) 후로킹 전사지
KR930006936B1 (ko) 변색성포지의 제조방법
JP3765597B2 (ja) 絵付け方法、水彩絵の具
JPS5945186A (ja) 転写シ−ト
US1854363A (en) Dye materials and process for mak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1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