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7128B1 - 송화가루 또는 송화가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 Google Patents

송화가루 또는 송화가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7128B1
KR100407128B1 KR10-2001-0052859A KR20010052859A KR100407128B1 KR 100407128 B1 KR100407128 B1 KR 100407128B1 KR 20010052859 A KR20010052859 A KR 20010052859A KR 100407128 B1 KR100407128 B1 KR 1004071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nal preparation
extract
skin
pine pollen
ac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2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3313A (ko
Inventor
이범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리
Publication of KR20020003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33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7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71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3Coniferophyta (gymnosperms)
    • A61K36/15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7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0Anti-acne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12Face or body powders for grooming, adorning or absorb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Dermat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rd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드름 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의 생장을 억제하고 면포 감소효과를 나타냄으로써 여드름 예방 및 치료에 유효한 성질을 갖고 있는 송화가루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외용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송화가루 추출물은 피부외용제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5~50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송화가루 또는 송화가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SKIN EXTERNAL PREPARATION CONTAINING PINE POLLEN OR PINE POLLEN EXTRACT}
본 발명은 송화가루 또는 송화가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여드름 균에 대한 우수한 항균력 및 면포 감소효과를 갖고 있는 송화가루 또는 송화가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에 관한 것이다.
여드름은 심상성좌창이라고 하는데 성장기의 피부 특징의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여드름의 생성원인은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지만 사람에 따라 차이가 있고 몇몇의 요인이 상호 작용하여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주된 요인은 첫째 남성호르몬(androgenic hormone)인 테스토스테론의 활발한 피지생성 작용에 의해 생성된 과잉의 피지이며, 둘째 과각화된 모낭에 의한 모공의 폐쇄로 생성된 과잉의 피지가 모낭 내에 정체되어 미면세포의 형성을 촉진하여 그 결과 여드름 균이 증가하게 된다. 셋째 피부상재균인 여드름 균(propionibacterium acnes: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으로 리파아제라는 효소를 분비하여 피지선의 비대증식과 모낭공의 각화항진으로 생성된 과잉의 피지성분의 하나인 트리글리세라이드를 분해하여 유리지방산을 생성시킨다.
이렇게 생성된 유리지방산은 피부상피에 작용하여 각종 효소를 생성하고 모낭벽을 파괴하여 모낭 주위의 결합조직에 염증을 일으키며 구진 (papule), 농포(pustule), 낭종(cyst), 결절(nodule)로 그 정도가 심해지며 최악의 상태에는 반흔(scar)을 일으킨다.
이러한 여드름을 예방 및 치료하기 위하여 여드름 균에 대한 항균물질로 테트라사이클린 등의 항생물질을 사용할 경우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 내성균의 출현 또는 광과민 작용 등의 부작용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현재까지 알려져 있다. 또한 케라틴의 제거를 주효능으로 하는 살리실산이나 레티노인산 제제, 그리고 화농균을 억제하는 벤조일퍼옥사이드 제제나 국소 항생제 등은 부작용이 많고 효능 면에서도 여드름을 완치시키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살리실산 제제는 화농성 피부염에 사용이 불가능하며 피부발적 및 홍반을 일으킬 수 있고, 벤조일퍼옥사이드 제제는 알레르기성 피부염 및 홍반이 발생할 수 있다. 레티노인산 제제는 발적, 부종이 나타날 수 있으며 계속 사용할 경우 과색소침착증이 발생한다는 보고가 있다. 기타 국소 항생제는 임산부 및 수유부에 안전성이 확립되어 있지 않으며 항생제 과민성 환자에게는 사용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또한 최근에는 5 알파-리덕타아제 활성을 억제하는 물질의 발명에 많은 연구가 행해졌고 몇 개의 물질이 개발되었으나 그 효과가 미미하고 실용적인 측면에서 사용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본 발명자는 상기 서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천연물을 장기간 탐색한결과, 송화가루 또는 이의 추출물이 여드름 치료에 탁월한 효능을 나타내며 부작용이 전혀 없고 안전성이 높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를 계속한 결과, 송화가루 또는 이의 추출물이 여드름 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에 대한 우수한 항균력을 나타내며 면포의 감소효과 및 여드름의 치료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동시에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여드름 치료제의 부작용과 단점들을 개선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발견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드름 균에 대한 우수한 항균효과 및 면포 감소 효과를 가짐으로써 여드름의 예방 및 치료에 유효한 동시에, 종래의 여드름 치료제의 부작용과 단점을 개선할 수 있는 피부외용제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송화가루 또는 송화가루 추출물을 여드름의 예방 및 치료에 유효한 양으로 함유하는 피부외용제를 제공한다. 상기 송화가루 또는 송화가루 추출물의 유효량은 피부외용제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약 0.05 내지 약 50 중량%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약 2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10 중량% 이다. 상기 송화가루 또는 송화가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는 약학적 도포용 치료제, 화장수, 크림, 팩, 로숀, 화운데이션, 썬스크린, 베이비파우더, 비누, 세안폼(foam), 헤어샴푸, 바디샴푸의 형태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송화가루는 예로부터 풍기 예방, 만성설사 및 종기와 피부 습진의 치료에 효험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또한 지혈작용이 있어 창상 치료에 사용되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송화가루 추출물은 여드름 균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작용을 나타내었으며 피부외용제에 적용하였을 경우에도 피부외용제의 물성에 관계없이 항균효과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임상실험을 한 결과, 상기 송화가루 추출물은 여드름 치료 효과가 우수하며 장시간 반복 사용하여도 피부에 대한 부작용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송화가루 자체 또는 송화가루 추출물은 피부외용제에 적용되는 경우, 상기 외용제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5~50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0.05%이하의 양으로 적용할 경우 여드름 치료 효과 및 항균효과가 미약한 반면에, 50% 이상의 양으로 적용할 경우 치료의 상승 효과가 미약할 뿐 아니라 제품의 상안정성(phase stability)이 불량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송화가루 또는 송화가루 추출물의 더욱 바람직한 함량은 1 내지 20 중량% 이고, 가장 바람직한 함량은 2 내지 10 중량% 이다.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에서 사용한 베이스의 예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비누, 세안폼(foam) 등 인체의 세정효과를 목적으로 사용하는 세정제 및 크림, 팩, 화장수, 로션, 화운데이션 등 미용을 목적으로 하는 화장품이 있으며, 상기 베이스의 성상은 액상, 고체상, 크림상, 페이스트상 중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다음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아니함을 밝혀 둔다.
[실시예 1]
송화가루 추출물의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에 대한 항균력 평가
송화가루 추출물의 항균력 실험은, 액체 배지에서 배양시킨 여드름 균에 일정한 농도의 상기 추출물을 가하여 혐기성 배양조에서 배양한 후, 여드름균 (Propionibacterium acnes ATCC 6919)의 발육을 억제하는 최소억제농도(MIC)를 측정함으로써 수행되었다. 실험과정은 아래와 같다.
1. 배양 방법
미국 ATCC 로부터 구입한 대표적 여드름 균이고 Type Strain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 ATCC 6919균을 Reinforced Clostridial Media에서 3일간 배양하여(37℃) 활력이 좋아질 때까지 계속 계대 배양한다. 배양 방법은 다음과 같다.
a) 액체배양: Reinforced Clostridial Media를 Screw Cap Tube에 10㎖을 넣고 멸균함(121℃, 20분). 멸균이 끝나면 바로 별개로 멸균한 Liquid Paraffin 0.5㎖을 액체배지 위에 떨어뜨려 산소와의 접촉을 막는다. 배지가 식으면 균을 접종하여 37℃에서 배양하며 통상 72시간 배양을 한다.
b) 고체배양: 균주보관용 고체배지는 Reinforced Clostridial Media에 Agar 1.0%를 추가하여 배지를 제조하고 Screw Cap Tube에 10㎖을 넣고 멸균한다(121℃, 20분). 배지가 식으면 백금 Loop로 균을 접종하여 Stab Culture한다.(37℃, 72시간)
c) Plate배양: Plate배양 배지는 고체배양 배지와 같으며 Plate에 멸균한 Agar배지를 부은 후 식힌다. 완전히 식어 굳어지면 접종을 하여 Anaerobic Jar에 넣고 Gas-Pak에 10㎖의 물을 넣은 후 뚜껑을 닫아 37℃ 온도에서 72시간 배양한다.
2. 송화가루 추출물의 제조방법
a) 송화가루 100g을 추출기에 넣고 50% 에탄올 2리터를 부어 잘 섞은 후 60℃에서 3일간 추출한다.
b) 추출이 끝나면 추출물을 Wattman Filter Paper No.2 여과지로 여과 후 나온 여과액을 취하고 여과에서 걸린 찌꺼기는 버린다.
c) 여과액을 농축 Flask에 넣고 진공 농축을 하여 에탄올을 전부 제거하고 잔존한 물 역시 농축하여 대부분 제거한다.
d) 농축된 송화가루 추출물액을 -80℃의 Deep Freezer에서 얼린 후 Freeze-Drying하여 가루로 만든다. (20g의 송화가루 추출물 획득)
3. 송화가루 추출물의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 ATCC 6919 균에 대한 억제 실험
a) 충분히 계대 배양을 한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 ATCC 6919균의 배양액 1㎖을 취하여 Reinforced Clostridial Media 9㎖씩 넣은 배지에 접종하여 잘 섞는다.(10배 희석됨)
b)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계속 희석하여 10-1∼10-5배까지의 희석배양액을 만든다.
c) Freeze-Drying하여 만든 송화가루 추출물 10g을 10㎖의 50% 에탄올에 잘 녹인 후 2배씩 희석하여 각 농도별 송화가루 추출물 용액을 만든다. 이 용액을 0.2㎛의 Membrane Filter를 이용하여 제균여과 한다.
d) Reinforced Clostridial Agar Media를 멸균한 후 50℃로 식히고 상기 c)의 제균여과한 추출물을 최종 농도가 10㎎/㎖~0.1㎎/㎖로 되도록 각각 첨가하여 골고루 잘 섞는다.
e) 상기 b)의 희석배양액 1㎖씩을 각각 취하여 Petri Dish에 분주하고 각 농도별 Agar Media를 분주하여 골고루 잘 섞이도록 흔든 후 정치하여 Agar배지를 경화한다.
f) 배지가 경화하면 Anaerobic Jar에 넣고 Gas-Pak을 장치한 후 37℃에서 3일간 배양 후 나타난 Colony수를 측정하여 대조구와 비교, 억제율을 계산한다. 콜로니수 및 억제율의 결과는 하기 표 2 에서 보여진다.
여드름 균에 대한 살균력 평가 결과, 본 발명의 송화가루 추출물은 하기의 표 1 에서와 같이, 0.06%의 아주 낮은 농도에서 살균력이 나타나기 시작하여 0.1% 이상에서 여드름 균을 완전 살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기 송화가루 추출물은 여드름균에 대한 매우 탁월한 항균효과를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 ATCC 6919 에 대한 최소억제농도(MIC) 측정결과
추출물 농도(%) 여드름 균의 성장 여부
1.0 -
0.5 -
0.25 -
0.125 -
0.063 ±
0.031
0.016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 ATCC 6919 에 대한 항균효과 실험 결과
추출물 농도 대조구 10㎎/㎖ 5㎎/㎖ 2.5㎎/㎖ 1.25㎎/㎖ 0.63㎎/㎖ 0.32㎎/㎖ 0.16㎎/㎖ 0.08㎎/㎖
CFU(마리/㎖) 417 - - - - 2 50 123 265
억제율 (%) - 100 100 100 100 99.52 88.01 70.50 36.45
[실시 예 2]
송화가루 추출물의 면포 감소효과
면포 감소실험을 위한 실험동물은 뉴질랜드산 흰토끼를 사용하였으며 4개월령 전후의 2~3㎏의 건강한 수컷을 입수 후 1주일의 순화 과정을 거쳐 육안으로 보아 건강한 동물만 사용하였다. 면포실험용 실험물질은 송화가루 추출물의 엑기스를 에탄올에 용해시켜 1% 용액이 되도록 사용하였다. 실험방법은 다음과 같다.
30마리의 토끼에 면포 유발물질인 이소프로필 이리스테이트(IPM)를 토끼의 양쪽 귀에 매일 1회 1㎖씩 7일간 도포하여 면포를 유발시켰으며 전형적인 면포가 형성된 25마리를 골라 각 군당 5마리씩 5군으로 분류하여 실험하였다.
면포 감소효과 실험은 면포가 유발된 오른쪽 귀에 상기 제조방법으로 만든 송화가루 추출물의 실험물질을 매일 1회 1㎖씩을 투여한 다음 면봉으로 고르게 도포 하였으며 왼쪽 귀에는 기제로 사용한 에탄올을 1㎖씩을 투여한 다음 면봉으로 10회 정도 고르게 도포 하여 오른쪽 귀와 비교하였다.
면포 치유기간은 2주간 진행하였으며 실험물질을 투여하면서 면포의 병변 진행정도와 면포 감소효과를 평가하였으며 실험이 끝난 후 각 실험군을 안락사 시켜양쪽 귀를 잘라 낸 후 기저부의 조직을 약 2.5cm x 1.5cm로 잘라 50℃ 의 물에 2분간 담갔다가 꺼내 표피를 박리한 후 슬라이드 글라스에 안쪽 면이 위로 오도록 얹어 건조시킨 후 입체현미경으로 관찰하고 화상분석기로 조직의 면포 수와 면적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 치료군의 면포 면적이 현저히 감소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송화가루 추출물 적용 2주 후의 면포 감소율
실 험 군
1군 2군 3군 4군 5군
A: 왼쪽귀의면포면적/수(㎠) 0.28+0.01 0.30+0.01 0.32+0.02 0.31+0.02 0.29+0.01
B: 오른쪽귀의면포면적/수(㎠) 0.07+0.01 0.08+0.01 0.10+0.02 0.09+0.02 0.07+0.01
면포 감소율(%) 75 73.3 68.8 71 75.9
* 면포 감소율 = (A - B)/A × 100
[실시 예 3]
송화가루 추출물을 함유한 팩 제제의 여드름 균에 대한 항균력
상기에 전술한 송화가루 추출물을 팩 제제에 적용하였을 경우의 여드름 균에 대한 항균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팩 제제를 만들어 여드름 균에 대한 항균효과를 측정하였다. 송화가루 추출물을 함유한 팩 제제는 통상적인 팩 제조방법에 의해서 제조하였으며 그 조성은 다음과 같다.
송화가루 추출물을 함유한 팩 제제의 조성(중량%)
성분 함량(중량%)
대조구 제1시험군 제2시험군 제3시험군 제4시험군 제5시험군
카올린 15.0 15.0 15.0 15.0 15.0 15.0
글리세린 5.0 5.0 5.0 5.0 5.0 5.0
에탄올 5.0 5.0 5.0 5.0 5.0 5.0
벤토나이트 4.0 4.0 4.0 4.0 4.0 4.0
글리세릴모노스테이트아레이트 3.0 3.0 3.0 3.0 3.0 3.0
세토스테아릴 알콜 3.0 3.0 3. 3.0 3.0 3.0
폴리옥시에틸렌모노스테아린산 에스테르 2.0 2.0 2.0 2.0 2.0 2.0
산화티탄 2.0 2.0 2.0 2.0 2.0 2.0
송화가루 추출물 - 1.0 5.0 10.0 15.0 20.0
정제수 61.0 60.0 56.0 51.0 46.0 41.0
상기와 같이 제조된 팩 제제의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 ATCC 6919에 대한 항균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충분히 활성화 된 여드름 균의 배양액을 10, 100, 1000배까지 희석한 각각의 100㎕를 적당한 배지가 함유된 페트리디쉬에 접종한 후 고르게 도포하고 혐기성 배양액에서 3일간 배양하여 자란 콜로니(colony)를 측정하였다(A). 동시에 상기 표 4 의 각 실험군 5% 수용액 100㎕ 를 여드름 균의 배양액의 희석액과 함께 페트리디쉬에 접종하고 고르게 도포하여 혐기성 배양조에서 3일간 배양하여 자란 콜로니를 측정하여(B) 항균효과를 측정하였다. 살균율이 90% 이상일 때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살균율의 측정은 다음과 같은 식에 의거하여 측정하였고 팩 제제의 항균효과는 표 5 에 나타내었다.
송화가루 추출물을 함유한 팩 제제의 여드름 균에 대한 항균효과
콜로니colony 실 험 군
대조군 제1시험군 제2시험군 제3시험군 제4시험군 제5시험군
A(cfu/㎖) 1533 1416 1629 1473 596 1509
B(cfu/㎖) 1050 252 69 12 11 6
살균율(%) 31.5 82.2 95.8 99.2 99.3 99.6
* 살균율(%) = [(A-B)/A] × 100
송화가루 추출물이 함유된 팩 제제의 여드름 균에 대한 항균효과는 상기 표에서 보듯이 대조군보다 월등했으며 송화가루 추출물이 5% 이상 함유되었을 때 95% 이상의 항균효과를 나타내었고 10% 이상에서는 살균율이 모두 99% 이상을 나타내어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되어도 항균효과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실시 예 4]
송화가루 추출물을 함유한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팩 제제의 면포 감소 효과
송화가루 추출물을 함유한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팩 제제의 면포 감소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예 3 에서 제조한 임상실험용 팩 제제를 사용하였고 면포감소실험을 위한 실험동물은 뉴질랜드산 흰토끼를 사용하였으며 4개월령 전후의 2~3kg의 건강한 수컷을 입수 후 1주일의 순화 과정을 거쳐 육안으로 보아 건강한 동물만 사용하였다. 실험방법은 다음과 같다.
30마리의 토끼에 면포 유발물질인 이소프로필 이리스테이트(IPM)를 토끼의 양쪽귀에 매일 1회 1㎖씩 7일간 도포하여 면포를 유발시켰으며 전형적인 면포가 형성된 25마리를 골라 각 군당 5마리씩 5군으로 분류하여 실험하였다.
면포 감소효과 실험은 면포가 유발된 오른쪽 귀에 상기 제조방법으로 만든 송화가루 추출물이 함유된 각각의 팩 제제를 매일 1회 2g을 투여한 다음 면봉으로 고르게 도포하였다. 왼쪽 귀에는 대조군인 송화가루 추출물이 함유되지 않은 팩 제제를 매일 1회 2g씩 투여한 다음 면봉으로 10회 정도 고르게 도포하여 오른쪽 귀와 비교하였다.
면포 치유기간은 2주간 진행하였으며 팩 제제는 도포 후 충분히 씻어 내거나 떼어내는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팩 제제를 투여하면서 면포의 병변 진행정도와 면포 감소효과를 평가하였으며 실험이 끝난 후 각 실험군을 안락사 시킨 후 실시예 2 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면포 감소효과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치료군의 면포 면적이 현저히 감소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송화가루 추출물이 함유된 팩 제제의 면포 감소효과는 표 6 에 나타내었다.
송화가루 추출물이 함유된 팩 제제의 면포 감소효과
측 정 군 실 험 군
1군 2군 3군 4군 5군
A: 대조군(왼쪽귀)의면포면적/수(㎠) 0.31+0.01 0.30+0.01 0.29+0.02 0.32+0.02 0.30+0.01
B: 치료군(오른쪽귀)의 면포면적/수(㎠) 0.11+0.01 0.07+0.01 0.05+0.02 0.05+0.02 0.04+0.01
면포 감소율(%) 64.5 76.7 82.8 84.4 86.7
* 면포 감소율 = (A - B)/A × 100
[실시예 5]
송화가루 추출물을 함유한 팩 제제의 임상실험
실시예 3 에서 제조한 팩 제제를 사용하여 여드름 예방 및 치료에 대한 임상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실험대상자는 여드름으로 고생하는 표 7 에서의 3등급 내지 9등급에 해당하는 10대 중반에서 30대 중반의 남녀 각각 30명씩을 선정하여 10명씩 실험군 팩 하나를 선택하여 1일 1회씩 한 달간 사용하도록 한 후 그 결과를 평가하였다. 임상 실험 결과는 다음 표 8 에서 보여진다.
육안관찰에 의한 피부등급 기준
등 급 피 부 상 태
0 정상
1 면포의 수나 크기가 매우 작거나 염증이 진행되지 않은 상태
2 면포의 수나 크기가 중간 정도로 염증이 진행되지 않은 상태
3 작은 염증성 구진이 부분적으로 존재하는 상태
4 작은 염증성 구진이 광범위하게 존재하는 상태
5 커다란 염증성 구진이 광범위하게 존재하는 상태
6 구진 내부에 고름이 잡힌 농포가 부분적으로 발생한 상태
7 많은 수의 농포가 존재하는 상태
8 심한 결절성 낭종이 부분적으로 존재하는 상태
9 심한 낭종이 얼굴 전체에 존재하는 상태
송화가루 추출물을 함유한 팩 제제의 임상실험 결과(명)
효 과 실 험 군
대조구 제1시험군 제2시험군 제3시험군 제4시험군 제5시험군
우 수 0 0 6 9 9 10
양 호 1 4 3 0 1 0
무변화 7 6 1 1 0 0
악 화 2 0 0 0 0 0
부작용 0 0 0 0 0 0
10 10 10 10 10 10
상기의 표 8 에서 보듯이 송화가루 추출물을 함유한 팩 제제(실험군 1~5)의 여드름 치료효과는 대조구에 비해 월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송화가루 추출물이 1% 함유된 팩 제제(제1시험군)의 경우 대조구보다 약간의 효과가 더 있었으며 5% 이상 함유된 팩 제제(제2~5시험군)는 매우 우수한 치료효과를 보였고 부작용도 전혀 발견되지 않았다. 상기 임상실험 결과는 육안 관찰에 의한 것이다.
[실시예 6]
송화가루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외용제의 제조
송화가루 추출물을 함유한 비누, 크림, 화장수, 로숀, 화운데이션 제제의 임상실험을 위하여, 통상의 제조방법에 따라 하기와 같은 조성비로 피부외용제를 만들었다.
송화가루 추출물을 함유한 비누 제제의 조성
성 분 함량(중량%)
비누베이스 93.77
향료 1.2
색소 0.01
항산화제 0.02
송화가루 추출물 5.0
송화가루 추출물을 함유한 크림 제제의 조성
성 분 함량(중량%)
마카데미아오일 2.0
스쿠알란 3.0
스테아린산 7.0
바셀린 3.0
1,3-부틸렌글리콜 7.0
모노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1.3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2.7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나트륨 0.05
글리세린 4.0
향료 0.25
방부제 적량
산화방지제 적량
송화가루 추출물 10.0
정제수 잔부
송화가루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수 제제의 조성
성 분 함량(중량%)
구연산 0.1
살리실산 0.5
1,3-부틸렌글리콜 5.0
폴리옥시에틸렌오레일에테르 0.8
에탄올 30.0
향료 0.15
방부제 적량
송화가루 추출물 2.0
정제수 잔부
송화가루 추출물을 함유한 로숀 제제의 조성
성 분 함량(중량%)
스테아린산 0.5
에탄올 10.0
바셀린 1.0
스쿠알란 2.5
유동파라핀 6.0
모노올레인산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1.5
1,3-부틸렌글리콜 8.0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나트륨 0.05
트리에탄올아민 0.8
향료 0.2
방부제 적량
산화방지제 적량
송화가루 추출물 4.0
정제수 잔부
송화가루 추출물을 함유한 화운데이션 제제의 조성
성 분 함량(중량%)
스테아린산 2.0
1,3-부틸렌글리콜 2.0
세틸스텔아릴알콜 0.5
액상 라놀린 1.5
유동 파라핀 3.5
미리스틴산 이소프로필 4.5
카르복시에틸셀룰로오스 나트륨 0.3
벤토나이트 1.0
글리세린 1.0
이산화티탄 5.0
탈크 6.0
착색안료 적량
향료 0.15
방부제 적량
산화방지제 적량
송화가루 추출물 2.0
정제수 잔부
상기의 조성비로 만든 각각의 제제들을 사용하여 여드름 예방 및 치료에 대한 임상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실험대상자는 표 7 에서의 3등급 내지 9등급에 해당하는 남녀 각 5명을 선정하였다(화운데이션 제제는 여성만 사용함). 비누, 크림,로션, 화장수는 동시에 1일 2회씩 한 달간, 화운데이션은 1일 1회씩 한 달간 사용하여 그 결과를 평가하였다.
평가방법은 실험 시작 전후에 표 7 과 같은 판정기준으로 육안관찰에 의해 등급을 매긴 후 3등급 이상의 상태 호전이 나타나면 우수, 1~2등급의 호전은 양호 등으로 판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 표 14 에서 보여진다.
효 과
우수 양호 무변화 악화 부작용
7 2 1 0 0 10
[실시예 7]
송화가루 자체의 여드름 예방 및 치료효과에 대한 임상실험
송화가루 자체의 여드름 예방 및 치료효과에 대한 임상실험을 위하여 송화가루와 바셀린을 1:2로 혼합하여 크림성상의 제제를 만들었다. 실험대상자는 표 7 에서의 3등급 내지 9등급에 해당하는 남녀 각 5명을 선정하여 1일 1회씩 한 달간 사용하여 그 결과를 평가하였다.
송화가루 고유의 색상과 제제의 성상 때문에 외출 시에는 사용할 수가 없어서 밤에만 사용하였다. 평가방법은 실험 시작 전후에 표 7 과 같은 판정기준으로 육안관찰에 의해 등급을 매긴 후 3등급 이상의 상태 호전이 나타나면 우수, 1~2등급의 호전은 양호 등으로 판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 표 15 에서 보여진다.
효 과
우수 양호 무변화 악화 부작용
4 4 2 0 0 10
제품의 성상에 따라 송화가루 자체를 적용할 수도 있으나, 송화가루 자체 보다는 그 추출물을 적용하는 것이 사용감과 여드름에 대한 효능 면에 있어서 월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송화가루 또는 송화가루 추출물은 여드름 균에 대한 우수한 항균효과 및 면포 감소효과를 나타냈으며 장기간 사용하여도 부작용이 전혀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따라서, 상기 송화가루 또는 송화가루 추출물은 여드름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각종 피부외용제의 주요 성분으로 이용될 수 있다.

Claims (7)

  1. 송화가루 또는 송화가루 추출물을, 여드름의 예방 및 치료에 유효한 양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외용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외용제는 약학적 도포용 치료제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외용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외용제는 화장수, 크림, 팩, 로숀, 화운데이션, 썬스크린 및 베이비파우더로부터 선택되는 화장품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외용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외용제는 비누, 세안폼(foam), 헤어샴푸, 바디샴푸로부터 선택되는 세정제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외용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량은 상기 피부외용제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약 0.05 내지 약 5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외용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량은 상기 피부외용제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약 1 내지 약 2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외용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량은 상기 피부외용제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약 2 내지 약 1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외용제.
KR10-2001-0052859A 2000-10-20 2001-08-30 송화가루 또는 송화가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KR1004071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00062071 2000-10-20
KR1020000062071 2000-10-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3313A KR20020003313A (ko) 2002-01-12
KR100407128B1 true KR100407128B1 (ko) 2003-11-28

Family

ID=19694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2859A KR100407128B1 (ko) 2000-10-20 2001-08-30 송화가루 또는 송화가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40058023A1 (ko)
EP (1) EP1328283A4 (ko)
JP (1) JP2004511524A (ko)
KR (1) KR100407128B1 (ko)
CN (1) CN100391429C (ko)
AU (1) AU2002212769A1 (ko)
WO (1) WO200203244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57818A (zh) * 2017-06-28 2017-09-15 上海润素日化有限公司 一种枯矾松花粉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8855B1 (ko) * 2002-02-28 2004-07-05 주식회사 바이오리 송화가루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치료용 경구제
DE102004046391A1 (de) * 2004-09-24 2006-04-06 Bioveta Ag Neuer Impfstoff für veterinäre und humanmedizinische Prophylaxe und Therapie
WO2006136871A1 (en) * 2005-06-21 2006-12-28 Codex V S.R.L. Use of pollen extracts to treat infections, neoplasms and to balance the immune response
CN100367872C (zh) * 2006-01-17 2008-02-13 南京农业大学 柠檬酸提取梨花粉原生质体的方法
JP4836923B2 (ja) * 2006-10-31 2011-12-14 株式会社山田養蜂場本社 コラーゲンとヒアルロン酸の産生促進剤
US10434123B2 (en) 2013-08-12 2019-10-08 Decima Health Limited Reaction platform and method for making pollen based materials and uses thereof
AU2014313866B2 (en) 2013-08-12 2019-11-21 Decima Health Limited Reaction platform and method for making pollen based materials in combination with beeswax and uses thereof
CN106389260A (zh) * 2016-12-02 2017-02-15 湖北研妆实业有限公司 一种宝宝平安粉
CN106580785A (zh) * 2016-12-20 2017-04-26 吴中区穹窿山福顺生物技术研究所 一种花粉提取物安神洗发香波及其制备方法
KR102133074B1 (ko) 2017-06-30 2020-07-10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여드름 원인 세균에 대한 특이적 항균 활성을 가지는 오이풀 냉수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32514B1 (ko) 2017-06-30 2020-08-05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여드름 원인 세균에 대한 특이적 항균 활성을 가지는 오이풀 열수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7961323B (zh) * 2017-12-21 2021-02-19 云南润海药用植物研究开发有限公司 一种痤疮药膏及其制备方法
WO2023243935A1 (ko) * 2022-06-14 2023-12-21 이승창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CN115010772A (zh) * 2022-06-16 2022-09-06 国珍健康科技(北京)有限公司 含烟酰胺单核苷酸的松花粉提取液、提取物及其制备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3359A (ko) * 1987-08-12 1989-04-14 김옥동 피부보호 미용제
JPH01283215A (ja) * 1988-05-07 1989-11-14 Nori Oomura 入浴用薬用的効果物品および入浴剤
EP0565313A2 (en) * 1992-04-02 1993-10-13 Kabushiki Kaisha Hayashibara Seibutsu Kagaku Kenkyujo Method to improve taste preference of pine extract, and orally administrable product obtained thereby
US5453276A (en) * 1992-02-10 1995-09-26 Takasago International Corporation Antimicrobial compositions of indole and naturally occurring antimicrobials
KR0154597B1 (ko) * 1995-08-08 1998-11-16 원종철 구강 및 피부질환 치료용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1144084B1 (ko) * 2009-08-31 2012-05-23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고쿠사이 덴키 기판 처리 장치 및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LU83173A1 (fr) * 1981-02-27 1981-06-05 Oreal Nouvelles compositions cosmetiques pour le traitement des cheveux et de la peau contenant une poudre resultant de la pulverisation d'au moins une plante et un agent de cohesion
US4533631A (en) * 1982-01-15 1985-08-06 Bristol-Myers Company Fermentation process for preparation of antibiotic Bu-2517
US4409210A (en) * 1982-01-15 1983-10-11 Bristol-Myers Company Antibiotic compound
IT1276374B1 (it) * 1995-06-09 1997-10-31 Luciano Pecchiai Uso di essenze aromatiche estrattive e di trasudati-essudati delle piante, particolarmente in campo medico, zootecnico ed agronomico.
CN1144084A (zh) * 1995-08-28 1997-03-05 承德县酒厂 油松花粉美容品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3359A (ko) * 1987-08-12 1989-04-14 김옥동 피부보호 미용제
JPH01283215A (ja) * 1988-05-07 1989-11-14 Nori Oomura 入浴用薬用的効果物品および入浴剤
US5453276A (en) * 1992-02-10 1995-09-26 Takasago International Corporation Antimicrobial compositions of indole and naturally occurring antimicrobials
EP0565313A2 (en) * 1992-04-02 1993-10-13 Kabushiki Kaisha Hayashibara Seibutsu Kagaku Kenkyujo Method to improve taste preference of pine extract, and orally administrable product obtained thereby
KR0154597B1 (ko) * 1995-08-08 1998-11-16 원종철 구강 및 피부질환 치료용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1144084B1 (ko) * 2009-08-31 2012-05-23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고쿠사이 덴키 기판 처리 장치 및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57818A (zh) * 2017-06-28 2017-09-15 上海润素日化有限公司 一种枯矾松花粉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058023A1 (en) 2004-03-25
AU2002212769A1 (en) 2002-04-29
CN100391429C (zh) 2008-06-04
EP1328283A4 (en) 2005-04-06
JP2004511524A (ja) 2004-04-15
EP1328283A1 (en) 2003-07-23
WO2002032442A1 (en) 2002-04-25
CN1476332A (zh) 2004-02-18
KR20020003313A (ko) 2002-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7128B1 (ko) 송화가루 또는 송화가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KR101018352B1 (ko)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202367B1 (ko) 회화나무꽃 추출물의 누룩 발효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조성물
KR20090038648A (ko) 편백 오일를 함유한 여드름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JP3590369B2 (ja) クリプトタンシノンを含むニキビ予防及び治療用化粧料組成物
KR101094220B1 (ko) 천연 항생물질을 포함하는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79878B1 (ko)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79094B1 (ko) 천연 정유 성분 및 그의 하이드로졸 성분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23653B1 (ko) 여드름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US8334001B2 (en) Composition comprising mucilaginous polysaccharides derived from aloe barbadensis and method for obtaining same and use thereof
KR100438855B1 (ko) 송화가루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치료용 경구제
KR100610951B1 (ko) 죽여추출물을 함유한 피부외용제
KR20210020817A (ko) 망고스틴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원인균에 대한 항균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여드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제제
KR20130079683A (ko) 폴리라이신 및 아연 피리치온을 포함하는 항진균 조성물
KR19990039050A (ko) 말벌 독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및 치료제
KR20130079684A (ko) 폴리라이신을 포함하는 항진균 조성물
KR102172758B1 (ko) 키토올리고당-갈산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드름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090071529A (ko) 비타민 케이1 또는 비타민 케이3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항균 및 항진균 활성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100538142B1 (ko) 창포 오일을 포함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을 위한 화장료조성물
KR20110068203A (ko)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014769A (ko) 여드름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001268A (ko) 백리향유를 포함하는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KR20240037593A (ko) 구아바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노인냄새 제거용 조성물
KR20040056080A (ko) 남실 추출물을 함유한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082331A (ko) 유산균을 함유하는 비립종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50610

Effective date: 2006013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