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9683A - 폴리라이신 및 아연 피리치온을 포함하는 항진균 조성물 - Google Patents

폴리라이신 및 아연 피리치온을 포함하는 항진균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9683A
KR20130079683A KR1020110148003A KR20110148003A KR20130079683A KR 20130079683 A KR20130079683 A KR 20130079683A KR 1020110148003 A KR1020110148003 A KR 1020110148003A KR 20110148003 A KR20110148003 A KR 20110148003A KR 20130079683 A KR20130079683 A KR 201300796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dandruff
zinc pyrithione
polylysine
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8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기훈
조성민
윤혜지
이지혜
최윤환
최태근
박상후
Original Assignee
코오롱생명과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생명과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생명과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48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79683A/ko
Publication of KR20130079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968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4Synthetic polymeric materials
    • A61K31/785Polymers containing nitro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555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eavy metals, e.g. hemin, hematin, melarsop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라이신 및 아연 피리치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말라세지아속( Malassezia sp.) 진균에 대한 항균조성물, 상기 항균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듬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및 상기 항균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듬증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의 조성물은 기존에 사용되던 아연 피리치온의 사용량을 최소화하면서도 비듬의 주 원인균인 말라세지아속(Malassezia sp.) 진균에 대한 우수한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어, 비듬증에 대한 개선, 예방 또는 치료와 두피 가려움증 완화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폴리라이신 및 아연 피리치온을 포함하는 항진균 조성물{AN ANTIFUNGAL COMPOSITION COMPRISING POLYLYSINE AND ZINC PYRITHIONE}
본 발명은 말라세지아 속(Malassezia sp.) 진균에 대한 항진균활성을 갖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은 늘어난 스트레스와 공기나 물의 오염으로 인해 두피 가려움과 비듬 또는 탈모증세로 고민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상기 비듬과 가려움은 반드시 동일한 원인에서 나타나는 증상은 아니다. 상기 비듬이 있는 사람은 거의 가려움이 수반되나 가려움이 있다고 해서 반드시 비듬증상이 있는 것은 아니다.
다만, 비듬이 많이 발생하면 가려움 등으로 인해 두피를 과도하게 문지르게 되고, 이에 의해 상처가 생기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염증을 일으키기도 하며, 탈모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상기 비듬이란 피부 세포의 일반적 주기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 발생하는 것으로, 주로 피지선이 활발하게 활동하는 사춘기 이후에 주로 발생하나, 출생 직후의 남녀 모두에게서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비듬은 크게 증상이 가벼운 일반 비듬(common dandruff), 인설(Scurf)이 많이 박리되는 건선성 비듬(Psoriasis)과 과도한 피지 분비와 함께 인설이 두피에 축적되는 지루성 비듬(Seborrheic-dandruff) 등이 있다.
상기 비듬의 발생원인은 명확하게 밝혀진 것은 아니나, 일반적으로 내분비 호르몬의 불균형, 편식과 같은 영양대사의 불균형과 소화불량, 스트레스 등의 신경적 요인, 두피 세포의 지나친 증식에 의한 상피조직의 생화학적 변화 등의 신체내적인 원인과 두피 미생물의 과다 증식 및 활성증대, 의약품이나 화장품 등의 외부 물질에 의한 염증, 오염된 대기나 자외선의 과다 노출 등과 같은 외부적인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요인으로 인해 발생되는 가려움이나 비듬에서 벗어나기 위해 항비듬용 의약품, 의약부외품, 화장품 등의 피부처리제(Topical treatment)를 사용하는데, 이 때 쓰이는 항비듬제들이 사용되어 왔다. 상기 항비듬제는 적절한 살균력(adequate bacteriocidal activity), 항염증성(anti-inflammatory effect), 각질분해성(keratolitic effect) 및 세포과분화 방지능(anti-hyperproliferration activity)이 요구되어왔다.
가려움과 비듬현상은 상기와 같은 기능을 갖는 적절한 치료제를 사용할 경우 해소될 수 있으나, 현재까지 개발된 제품의 경우 항비듬 또는 항가려움의 효과가 지속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에 비듬의 원인이 되는 균이 진균 즉, 효모균이라는 것은 알려졌으며, 특히 두피 등의 피부에 정상균총으로 상존하고 있는 말라세지아속(Malassezia sp.) 효모균이 주 원인인 것으로 밝혀졌다.
구체적으로, 스트레스, 기후변화, 땀, 음식 등의 환경적 유발요인에 의해 상기 말라세지아속 진균이 과대 증식할 경우 인설, 가려움증 등 비듬 증상이 나타나게 되고, 과대 증식이 심할 경우, 지루성 피부염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 되었다.
상기한 연구 결과에 따라, 비듬 및 가려움증의 치료, 예방 또는 개선을 목적으로 조성물의 경우, 비듬 발생의 주 원인균인 말라세지아속(Malassezia sp.) 진균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는 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필수 요건으로 하고 있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조성물은 항진균제인 케토코나졸(ketoconazole), 아연 피리치온(zinc pyrithion), 이트라코나졸(itraconazole) 또는 피록톤올아민(Piroctone Olamine)등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
또한, 가려움증과 인설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타르, 유황 및 살리실산 등이 사용되어 왔고, 표피세포의 과다증식을 억제하기 위하여 셀레늄 설파이드(selenium sulfide) 등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비듬치료를 위해 사용된 상기 항진균제들은 비듬치료에 좋은 효과를 거두고 있는 반면, 대부분 인위적으로 합성된 물질이기 때문에 인체 안전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예를 들어, 국내에서 시판되는 니조랄과 같은 비듬치료제의 유효성분인 케토코나졸을 장기간 사용할 경우, 내분비계에 역효과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또한, 아연 피리치온은 두피 과각화 억제 및 항진균제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지만, 불수용성이며 비중이 크므로 조성물 중에 균일하게 분사시키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눈에 대한 자극성이 크고 1% 이상을 첨가해야만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고 되어 있다. 특히, 아연 피리치온은 피부에 접촉성 피부염을 일으키며, 환경독성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고 보고 되어 있으므로, 고농도로 모발 화장료에 적용하기는 곤란한 것으로 보고 되어 있다.
또한, 케토코나졸을 대체하기 위해 연구된 이트라코나졸(itraconazole)의 경우, 인간과 관련된 많은 병원성 곰팡이류들에 대해 매우 효과이고, 케라틴성 조직에 대해 높은 친화력을 보이는 특성을 가지나, 케토로나졸과 같이 땀샘을 통해 운반되지 않기 때문에 구강제로 복용시 수송이 다소 느리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아연 피리치온의 결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연구된 피록톤올아민이나 살균 및 각질용해제로 주로 사용되는 살리실산은 비듬의 원인균에 대한 살균력이 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항염증 효과가 탁월하여 가려움과 비듬의 치료에 효과적인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류(Corticosteroids)는 부신피질호르몬류는 빈발하는 부작용 때문에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환자의 경우 여러 종류의 약을 동시에 처방 받고 있으나, 혼합제의 투약은 간세포에 독성과 면역체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한 약제의 효율성이나 역효과를 가중시킬 수 있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며, 두통이나 메스꺼움과 같은 증상을 유발하기도 한다.
비듬은 인간의 생명이 단축되거나 심각한 질병은 아니지만 대다수의 사람들에게 심리적인 스트레스를 주는 대상이다. 이러한 비듬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방법 또는 성분들이 계속적으로 연구되고 있으나, 상기한 바와 같이 생태계 친화적이고 환경과 인간에 무해하며, 비듬균의 수적인 감소를 가져올 수 있는 성분에 대한 연구결과는 여전히 미비한 실정이다.
KR 20110108816 A KR 20110050899 A KR 0980254 B KR 0621191 B
Bergbrant I. M. Seborrhoeic dermatitis and Pityrosporum yeasts. Current Topics in Medical Mycology. 6: 95-112(1995) Gene A. Hyde and Mark M. Auerbach, Formulation techniques for zinc pyrithione antidandruff shampoos. Cosmetics and Toiletries, 94, 57, April(1979) The effects of a shampoo containing zinc pyrithione on the control of dandruff. Br J. Dermatol. 112. 415(198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안전성 및 부작용이 문제되지 아니한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듬증의 원인균인 말라세지아속(Malassezia sp.) 진균에 대한 항균조성물, 특히, 아연 피리치온의 함량을 최소화하는 말라세지아속 진균에 대한 항균조성물,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듬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듬증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리라이신 및 아연 피리치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말라세지아속(Malassezia sp.) 진균에 대한 항균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항균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듬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항균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듬증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모발 및/또는 두피에 적용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항균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듬증 예방 또는 개선용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항균조성물이란 항미생물제를 총칭하는 의미인 항생제와 같은 의미일 수 있고, 항진균제, 살균제, 방부제, 보존제 또는 제균제와 같은 의미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비듬증 등의 피부질환의 원인이 되는 말라세지아속(Malassezia sp.) 진균을 포함하는 병원성 미생물, 특히 진균의 발육과 생활 기능을 저지 또는 억제할 수 있는 물질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비듬(dandruff)은 두부의 피부 즉, 두피의 각질층 세포가 단순히 염증 없이 떨어져 나온 것으로 건성 혹은 습기나 기름기가 있는 상태의 인설로 나타난다. 상기 비듬이 병적으로 많은 경우를 비듬증이라 하며, 의학적으로는 건성지루라고 한다.
상기 건성지루가 악화되는 경우 지루성 피부염(dermatitis seborrheica)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지루성 피부염은 대량의 건성 인설의 박탈과 가려움을 수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성지루로 인한 비듬이 만성적으로 심한 경우 발생하는 탈모증을 지루성 탈모증(alopecia seborrheica)이라고 한다. 상기 비듬증의 주 원인균은 진균인 말레세지아 속(Malassezia sp.) 균주, 구체적으로 말레세지아 푸르푸르(Malassezia furfur)로 보고 되어있다. 따라서, 상기 비듬증을 치료하기 위하여는 원인균인 말레세지아 속 균주, 구체적으로 말레세지아 푸르푸르에 대한 항균활성이 있는 물질을 처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폴리라이신 및 아연 피리치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말라세지아속 진균에 대한 항균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폴리라이신은 라이신(Lysine)의 폴리펩티드로, 일 예로 박테리아의 발효로 생산되는 필수아미노산인 L-라이신의 폴레펩티드인 ε-폴리라이신일 수 있다. 상기 ε-폴리라이신은 필수아미노산인 L-라이신이 ε 위치에 곧은사슬 모양으로 20 내지 40개 연결되어 있는 폴리펩타이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라이신은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화학식일 수 있고, 일 예로, 상기 ε-폴리라이신의 화학식은 C180H362N60O31.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n은 20 내지 40이다.
상기 화학식 1에서 n은 20 내지 40일 수 있고, 25 내지 35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7 내지 32일 수 있다.
상기 ε-폴리라이신은 흡습성이 강한 엷은 노란색 가루로서 약간의 쓴맛을 가지고 있는 식품 보존료로, 방선균의 일종인 Streptomyces albulus를 배양한 후 배양여액을 이온교환수지에 흡착, 분리 및 정제하여 얻어지는 물질이다.
상기 폴리라이신은 물에 잘 녹고, pH 4 내지 pH 9의 넓은 pH 범위에서도 매우 안정적이며, 현재 식품보존료의 역할로서 식품 첨가물로 사용되는 등 인체에 안전하고 부작용도 문제되지 아니하여, 인체에 대한 자극과 안전성이 문제가 되고, 물에 대한 용해도가 낮아 주로 수용성 제재인 샴푸 등의 모발 또는 두피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등에 사용되는 경우, 침전 등에 의한 분리 현상을 유발하고, 철이온 등에 대한 변색 등으로 제품의 품질에 문제를 일으키는 아연 피리치온(zinc pyrithion)에 비해 현저하게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상기 폴리라이신은 내열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가열 가공 공정에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연 피리치온(zinc pyrithion)은 방향족 아연 화합물로, 주로 모발컨디셔닝제 또는 살균 보존제에 포함되는 성분으로, 화학식은 C10H10N2O2S2Zn일 수 있다.
상기 폴리라이신 및 아연 피리치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말라세지아속 진균에 대한 항균조성물에 포함된 폴리라이신 및 아연 피리치온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중량을 기준으로 3:1(폴리라이신:아연 피리치온) 내지 1:1(폴리라이신:아연 피리치온)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말라세지아속 진균은 말라세지아속에 속하는 진균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말레세지아 푸르푸르(Malassezia furfur)일 수 있다.
상기 항균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유효성분을 0.001 내지 99.99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99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나, 상기 항균조성물의 사용방법 및 사용목적에 따라 유효성분의 함량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균조성물은 유효성분 즉, 폴리라이신 및 아연 피리치온 외에 당질, 단백질, 지질, 비타민류 및 미네랄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당질, 단백질, 지질, 비타민류 또는 미네랄류는 그 사용 목적 및 용도에 따라 적의 선택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상기 당질은 벌꿀, 덱스트린, 수크로오스, 팔라티노스, 포도당, 과당, 물엿, 당알콜(sugar alcohol), 소르비톨, 크실리톨, 말티톨일 수 있고 상기 단백질은 카제인(casein), 유청 단백질(whey protein) 등의 우유 유래 단백질, 대두 단백질, 이들 단백질의 트립신, 펩신 등의 동물 유래 효소 및 뉴트라아제(neutrase), 알칼라아제(alkilase)에 의한 가수분해물일 수 있으며, 상기 지질은 제1가 포화지방산, 다가 불포화지방산을 포함하는 해바라기유, 채종유(rapeseed oil), 올리브유, 홍화유(safflower oil), 옥수수유, 대두유, 팜유(palm oil), 야자유 등의 각종 식물 유래 유지, 중쇄 지방산(middle-chain fatty acid), EPA, DHA, 대두유래 인지질, 우유 유래 인지질일 수 있고, 상기 미네랄류는 인산칼륨, 탄산칼륨, 염화칼륨, 염화나트륨, 유산칼슘, 글루콘산칼슘, 판토텐산칼슘, 카제인칼슘, 염화마그네슘, 황산제1철, 탄산수소나트륨일 수 있으나, 각각의 예에 의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당질, 단백질, 지질, 비타민류 및 미네랄류 중 어느 것에 대해서도, 조성물의 항균성이 유지되는 한 상기 구체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함량은 항균성이 유지되는 한 제한되지 아니하고, 바람직하게는 전체 조성물 대비 0.1 내지 15 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 중량%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항균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유지하고, 상기 첨가되는 성분에 의한 부작용을 발행시키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상기 유효성분 외에 말라세지아 속 진균의 살균 목적을 위한 다양한 화장료 조성물의 성분 및 피부병학의 첨가제, 바람직하게는 통상의 비듬방지 성분인 케토코나졸(ketoconazole), 이트라코나졸(itraconazole), 피록톤올아민(Piroctone Olamine), 셀레늄 설파이드, 타르, 유황 및 살리실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추가 성분 또는 첨가제는 조성물의 다른 구성으로 방해될 수 없게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항균조성물은 항균 활성이 요구되는 다양한 목적 및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병원성 미생물, 일예로 병원성 진균의 생육억제를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병원성 진균, 바람직하게는 말라세지아속 진균의 소독이나 상기 말라세지아속 진균이 원인균인 비듬증의 치료, 예방 또는 개선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항균조성물은 상기 말라세지아속 진균 중, 비듬의 원인이 되는 원인균인 말레세지아 푸르푸르(Malassezia furfur)에 대하여 항균활성이 있어서, 비듬증의 치료, 개선 또는 예방에 현저하게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므로, 비듬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이나 모발 및 두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에 적용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에 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항균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듬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폴리라이신 및 아연 피리치온은 말라세지아속 진균, 보다 구체적으로는 비듬증의 원인균인 말레세지아 푸르푸르에 대한 항진균 활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 항균조성물은 비듬증에 대한 예방 및 치료 효과를 갖는다.
상기 비듬증은 죽은 세포가 떨어지는 증상으로, 구체적으로 상기 비듬증은 머리의 피부인 두피의 죽은 세포가 정상보다 빨라, 다량으로 떨어져 생기는 피부 증상을 말한다.
본 발명의 비듬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인간을 포함한 동물에 직접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동물은 식물에 대응하는 생물군으로 주로 유기물을 영양분으로 섭취하며, 소화나 배설 및 호흡기관이 분화되어 있는 것을 말하고, 바람직하게는 포유류, 더욱 바람직하게는 인간일 수 있다.
상기 비듬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상기 항균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단독으로 포함할 수 있고, 이외 제형, 사용방법 및 사용목적에 따라 추가성분 즉, 약제학적으로 허용되거나 영양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희석제 또는 부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비듬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외에 추가로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중진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는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이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키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루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덱스트린, 칼슘카보네이드, 프로필렌글리콜, 리퀴드 파라핀, 생리식염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이상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 모두 사용가능하다.
상기 성분들은 상기 유효성분인 항균조성물에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추가될 수 있다.
상기 비듬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항균조성물을 0.001 중량% 내지 99.9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중량% 내지 99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중량% 내지 1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가성분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항진균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1 내지 20 중량부 범위에서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듬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약제화하는 경우, 통상의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또는 방부제 등을 더욱 포함할 수 있으며, 경구 또는 비경구 모두 사용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항균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형태는 크림, 연고, 드레싱 용액, 분무제, 기타 도포제 등의 국소투여제 등의 비경구제제일 있다. 상기 국소 투여제의 제형의 일예로는, 유효성분인 항진균 조성물 또는 비듬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천연 섬유 또는 합성 섬유로 만든 거즈 등의 담체에 함침시킨 것일 수 있다.
상기 비경구투여를 위한 형태인 비경구제제로 제제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재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될 수 있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 61(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 또는 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크림 또는 연고의 경우, 비듬증 질환의 환부나 그 주위에 직접 도포하는데 적합할 수 있다. 상기 분무제의 경우, 유효성분으로 항균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통상적인 분무제 제조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고, 압축용기나 기타 분무용기에 충전포장하여 비듬증 부위에 수시로 분무도포하여 비듬증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비듬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제형은 사용방법에 따라 바람직한 형태일 수 있으며, 특히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채택하여 제형화할 수 있다.
구체적인 제형의 예로는 경고제, 과립제, 로션제, 리니멘트제(liniments), 리모나데제(limonades), 방향수제, 산제, 시럽제, 안연고제, 액제, 에어로솔제(aerosols), 엑스제(extracts), 엘릭실제(elixier, 연고제, 유동엑스제, 유제, 현탁제, 전제, 침제, 점안제, 정제, 좌제, 주사제, 주정제, 카타플라스마제(cataplasma), 캅셀제, 크림제, 환제, 트로키제(troches), 틴크제(tincture), 파스타제(pasta), 연질 또는 경질 젤라틴 캅셀 등이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비듬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당해 기술 분야의 공지된 적절한 방법을 사용하여 또는 레밍턴의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최근판),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바람직하게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듬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투여량은, 투여방법, 복용자의 연령, 성별 및 체중, 및 질환의 중증도 등을 고려하여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의 비듬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상기 항균조성물을 기준으로 할 때, 0.0001 mg/kg 내지 1000 mg/kg으로, 보다 효과적이기 위해서는 0.01 mg/kg 내지 100 mg/kg으로 투여할 수 있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비듬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상기 항균조성물 또는 상기 항균 조성물으 유효성분인 폴리라이신 및 아연 피리치온 이외에 공지의 비듬증의 억제활성을 갖는 화합물 또는 식물 추출물을 더욱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항균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각각 0.0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항균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듬증 예방 또는 개선용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세정제 조성물은 모발 및/또는 두피에 적용하거나 피부에 적용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항균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듬증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모발 및/또는 두피에 적용하거나 피부에 적용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모발은 체모와 두발의 총칭으로 사람의 털을 의미하나, 바람직하게는 모발을 의미하며, 머리의 모근, 모낭, 머리카락 및 모낭 근처의 두피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두피는 머리 부위를 덮고 있는 피부를 말하며, 보통 모발(머리털)이 나 있는 부위이다.
상기 세정제 조성물은 모발 및 두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에 적용하거나, 피부에 적용할 수 있으며, 피부에 적용하는 경우 바디 클렌져 조성물이라고도 한다.
상기 항균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정제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그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물질, 일예로 계면활성제, 세정보조기제, pH 조정제, 천연보습성분 및 천연 식물성 오일 등의 보습제, 산화방지제, 금속이온 봉쇄제, 방부제, 용제, 착향료 및 색소 등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항균 효과를 유지하고, 인체에 자극을 주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인 항균 물질 또는 살균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정제 조성물이란 냉수 및 온수에서 적당한 기포력을 가지고, 피부 표면에 부착된 유성 및 수성오염이나 노폐물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하는 조성물로, 최근에는 피부의 수분을 공급하는 등의 함과 동시에 수분이 증발되지 않도록 보습효과를 부여하거나, 피부 유연성을 증대시키거나, 피지 제거능을 증대시키는 등의 추가적인 기능을 부여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상기 세정제 조성물의 피부 저자극성이 강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피부의 염증은 모공 내의 피지에 세균이 침투하거나, 알레르기성 인자에 의해 발생하게 되는데, 세정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세정할 때 그 함유 성분에 따라 피부 피지제거 및 살균 효과를 얻음으로써 피부 상태가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정제 조성물에서 노폐물 또는 피지를 제거하는 역할은 계면활성제가 주로 하고, 세균 감염 방지는 살균제 또는 항균 물질에 의해 수행되는데, 현재 사용되는 살균제 또는 항균 물질은 주로 화학 합성 물질이므로, 화학 합성 물질에 민감한 피부에 사용하거나 일정 수준 이상의 과도한 사용한 경우에는 피부와의 접촉에 의한 피부손상을 가져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살균제 또는 항균 물질을 피부 저자극 또는 무해한 천연 물질로 대체하려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으며, 이러한 점에서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항균조성물의 항균 성분은 넓은 pH와 온도 범위에서 안전성을 갖고, 식용가능한 인체에 안전하고 부작용이 문제되지 아니한 식품보존료 즉, 식품 첨가물인 폴리라이신을 사용하여 아연 피리치온의 함량을 최소화하면서도, 항균 효과를 향상시킨 조합을 확인하여 완성한 것이다.
상기 항균조성물은 비듬의 원인균인 말라세지아속 진균, 구체적으로 말레세지아 푸르푸르(Malassezia furfur)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내므로,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세정제 조성물의 기본적 기능인 세정 및 보습 효과를 가지고 있고, 저자극적이며, 비듬증을 개선 또는 예방할 수 있다는 점에서 현저하게 우수한 효과가 인정된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음이온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일예로 암모늄 라우릴 술포숙시네이트, 암모늄 라우릴 설페이트, 소디움 코코일 이세시오네이트, 소디움 라우릴 이세시오네이트, 소디움 라우릴 설페이트, 트리에탄올아민 라우릴 설페이트 또는 소디움 라우릴 에테르 설페이트 등일 수 있다.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일예로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솔베이트 80, 경화 피마자유 유도체,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등일 수 있다.
상기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일예로 3급 지방족 아민염, 알킬트리메칠암모늄클로라이드 또는 디알칼디메칠암모늄클로라이드 등일 수 있다.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일예로 베타인, 아미드베타인형, 설포베타인형 또는 스테아르트리모늄클로라이드 등일 수 있다.
상기 pH 조정제는 일예로 시트르산, 숙신산, 타르타르산, 락트산, 말산, 푸마르산, 말레산, 글리콜산 등의 유기산, 염산, 황산, 인산, 질산 등이거나 이들 산의 나트륨염, 칼륨염 또는 암모늄염 등을 조합한 것일 수 있으며, 트리에탄올아민, 소듐클로라이드, 수산화나트륨 또는 수산화칼륨 등일 수 있다.
상기 보습제는 보습용도로 사용되는 통상의 오일, 일예로 식물성 오일 또는 유동파라핀이나,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솔비톨, 콜라겐 등일 수 있다. 상기 보습제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부 함유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방부제는 일예로 벤조산,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 메틸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의 혼합물, 페녹시에탄올, 디엠디엠히단토인, 메틸파라벤, 에틸파라벤 또는 프로필파라벤 등일 수 있다.
상기 용제는 일예로 정제수, 에탄올, 트윈 20, 사이클로메치콘, 미네랄오일 또는 디메치콘일 수 있고, 상기 착항제 및 색소는 본원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적의 선택할 수 있는 일반적인 세정제 조성물에 사용되는 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정제 조성물은 액상, 고형의 비누 또는 분말로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항균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듬증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일 예로, 항비듬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 이외에 그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물질, 일예로 계면활성제, 세정보조기제, pH 조정제, 천연보습성분 및 천연 식물성 오일 등의 보습제, 산화방지제, 금속이온 봉쇄제, 방부제, 용제, 착향료 및 색소 등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항균조성물의 항균 성분은 넓은 pH와 온도 범위에서 안전성을 갖고, 식용가능한 인체에 안전하고 부작용이 문제되지 아니한 식품보존료 즉, 식품 첨가물인 폴리라이신을 사용하여 아연 피리치온의 함량을 최소화하면서도, 항균 효과를 향상시킨 조합을 확인하여 완성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항균조성물은 비듬의 원인균인 말라세지아속 진균, 구체적으로 말레세지아 푸르푸르(Malassezia furfur)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내므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저자극적이며, 비듬증을 개선 또는 예방할 수 있어서, 항비듬 효과를 갖는다는 점에서 현저하게 우수한 효과가 인정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유지하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인 항균 물질 또는 살균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모발 및/또는 두피에 적용하기 위한 것일 수 있으며, 일예로 모발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모발화장료 조성물인 경우에는 헤어컨디셔너, 헤어 토닉, 헤어크림, 헤어로션, 헤어 페이스, 헤어 겔, 헤어 팩, 헤어 마사지, 헤어리퀴드, 헤어스프레이, 헤어 무스, 비에어로졸 무스, 비에어로졸 스프레이, 에어로졸 무스, 에어로졸 스프레이, 파마제, 탈색제, 수 분산액, 파우더 또는 오일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각 제형의 조성물은 그 제형의 제제화에 필요하고 적절한 각종의 기제와 첨가물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의 종류와 양은 상기 유효성분의 효과를 유지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게 용이하게 선정될 수 있다.
상기 모발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타,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발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락토스, 탈크, 실라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특히 상기 제형이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르히드록카본, 프로판, 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발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발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 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모발 및 두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에 적용하기 위한 경우에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샴푸, 린스, 샴푸와 린스 혼합형, 트리트먼트, 비누, 피부를 세정하기에 적합한 바 또는 타블렛, 비누 바 또는 비누 타블렛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는 세정효과 향상을 위한 계면활성제, 진주박 보조제, 방부제, 점증제, 점도 조절제, pH 조절제, 향료 또는 염료 등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진주박 보조제는 에틸렌글리콜모노스테아레이트 또는 에틸렌글리콜디스테아레이트일 수 있고, 상기 방부제는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메틸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 메틸이소치아졸리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상기 점증제 및 점도 조절제는 염화나트륨, 염화암모늄 또는 프로필렌글리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pH 조절제는 구연산, 인산, 수산화나트륨 또는 수산화칼륨일 수 있으며, 상기 염료는 수용성 타르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모발 또는 두피용 화장료 조성물인 경우,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추가로 폴리쿼터늄-10, 폴리쿼터늄-7, 메틸폴리실록산, 디메틸콘코폴리올 또는 가수분해 동물성 단백질 등과 같은 모발 컨디셔닝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모발 및 두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에 적용하기 위한 경우에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구체적으로 항비듬 모발 화장료 조성물, 일 예로 항비듬 샴푸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항비듬 샴퓨 조성물에는 추가로 세정제, 점증 및 기포 안정제, 폴리머형 컨디셔너, 분산제, 중화제, 보습제, 에몰리엔트(emollient), 유탁제, 펄화제, 컨디셔닝제, 모발윤기부여 및 촉감 향상제, 비타민류, 방부제, 향료, 산성도 조정제 또는 금속이온봉쇄제 등이 더욱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세정제는 모발 및 두피의 클린징 효과 즉, 세정효과의 향상을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계면활성제일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일 수 있으나, 구체적으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일 수 있다.
일 예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주로 알킬황산염류, 알킬에테르황산염류, 카아복실레이트류, 디소듐알킬설포 석시네이트류, 단백계 또는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들일 수 있고, 일 예로, 알킬설페이트 또는 알킬에테르설페이트일 수 있다.
상기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조세정용 또는 순한 세정용 세정제로 사용되기도 하며, 코카미도 프로필베타인이나 라우아미도 프로필베타인 등과 같은 베타인계, 코코암포카르복시 글리시네이트 등 이미다졸계, 라우아민옥사이드 등의 알킬아민옥사이드류가 사용될 수 있고, 일 예로, 상기 베타인계 계면활성제는 알킬베타인 또는 알킬아미도프로필베타인일 수 있다. 또한, 코카미도 프로필셀테인(cocamidopropylsultaine) 등의 설테인계 등의 계면활성제들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알카놀아미드 또는 알킬아민옥사이드일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선택 사용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음이온 계면활성제와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배합비는 항자극 효과와 컨디셔닝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30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점증 및 기포 안정제는 일 예로 라우린산디에탄올아미드, 코카미드디에탄올아미드, 라우로일디에탄올아미드 또는 코카미드모노에탄올 아미드일 수 있다.
상기 폴리머형 컨디셔너는 수용성 폴리머, 구체적으로 셀룰로우스유도체 또는 구아빈유도체 등의 천연 유래 폴리머 또는 PVP, PVA 또는 카르보머(Carbomer) 등의 합성 폴리머 유도체일 수 있으며, 일 예로, 4급화된 양이온성 폴리머, 더욱 구체적으로 폴리쿼터늄-7, 폴리쿼터늄-10, 폴리쿼터늄-11, 폴리쿼터늄-22 또는 구아히드록시 프로필트리모늄클로라이드일 수 있다. 상기 폴리머형 컨디셔너는 전체 조성물 중량을 기준으로, 0.1중량% 내지 1.5 중량% 또는 0.12 중량% 내지 0.7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분산제는 카아보머류,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류, 아크릴레이트 크로스 폴리머류 또는 잔탄검일 수 있다. 상기 중화제는 KOH, TEA, MEA 또는 DEA일 수 있다.
상기 보습제는 또는 상기 진정제(emollient)는 1,2-핵산디올,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이나 헥실렌글리콜 등의 다가 알코올류, 젖산나트륨이나 피롤리돈카아복시산나트륨염(PCA-Na), 고급 알코올 에스테르류 또는 라놀린유도체 등이 사용된다. 상기 다가 알코올류는 점도강하제로도 작용될 수 있다. 상기 보습제 또는 상기 진정제는 전체 조성물 중량을 기준으로, 0.1중량% 내지 3 중량% 또는 0.25 중량% 내지 1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유탁제 또는 펄광택제는 스테아린산염과 그 유도체류, 스테아릴 알코올, 폴리비닐 아세테이트류, 스티렌계 폴리머류 또는 지방산 알카놀아미드류 등일 수 있으며, 일 예로 글리콜스테아레이트류일 수 있다. 상기 유탁제 또는 펄광택제는 전체 조성물 중량을 기준으로, 0.1중량% 내지 3 중량% 또는 0.25 중량% 내지 1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컨디셔닝제는 알킬트리메칠암모늄 클로라이드, 디알킬디메칠암모늄 클로라이드, 트리알킬메칠암모늄 클로라이드일 수 있다. 상기 컨디셔닝제는 전체 조성물 중량을 기준으로, 0.1중량% 내지 3 중량% 또는 0.25 중량% 내지 1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모발윤기부여 및 촉감 향상제 즉, 윤기부여제 또는 모발코팅제는 디메치콘(Dimethicone) 또는 아모디메치콘(Amodimethicone, Aminosilicone)과 같은 실리콘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디메치콘의 중합도는 점도로 표시하여, 5,000cps-검(Gum)까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윤기부여제 또는 모발코팅제는 전체 조성물 중량을 기준으로, 0.1중량% 내지 4.5 중량% 또는 0.25 중량% 내지 1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모발코팅제는 모발의 광택유지를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일 예로 세칠알코올, 스테아릴알콜 또는 베헤닐알콜(Behenyl alcohol)과 같은 알코올일 수 있다. 상기 모발코팅제는 조성물 중량을 기준으로, 0.1중량% 내지 3.5 중량% 또는 0.25 중량% 내지 1 중량%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항비듬 샴퓨 조성물에는 단백계 모발영양제 또는 피부나 모발에 대한 보호기능이 있는 동식물성 추출물이 더욱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항비듬 샴푸 조성물에는 두피의 상쾌함을 더하기 위해 엘-멘톨, 캄파 또는 민트 오일 등이 더욱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라이신 및 아연 피리치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조성물은 비듬의 원인균인 말라세지아속(Malassezia sp.) 진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갖고 있으므로, 비듬증에 대한 우수한 예방 또는 치료용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의 자극성이나 부작용 등이 문제되었던 아연 피리치온을 최소화하여, 기존 출시된 항비듬 조성물 또는 항비듬용 샴푸 등의 문제점을 해결한 것이므로, 산업적으로 그 효과가 매우 크다 할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예시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 실시예에 해당될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 실시예에 기재된 비율은 생성된 최종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나타낸 것이다.
실험예 1: 폴리라이신 및 아연 피리치온의 항균력 측정 - 액체배지희석법에 의한 항균력 측정
1-1. 항균력 측정
여러 비듬원인 중에서 미생물이 비듬 악화인자라는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비듬의 원인균으로 알려진 말라세지아 푸르푸르(Malassezia furfur)를 이용하여 항비듬제의 항균력을 최소생육 억제농도(MIC)로 측정하였다.
상기 항균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된 액체배지는 변형된 리밍 배지(modified Leeming's medium)이다. 상기 변형된 리밍 배지는 글루코오스(glucose) 1 g/L, 박토펩톤(bactopeptone) 1 g/L, 효모추출물(Yeast extract) 2 g/L, 글리세롤(glycerol) 1 ml/L, 트윈 40(Tween 40) 5 ml/L, 소 담즙(Ox gall) 8 g/L을 증류수에 첨가한 후, 121 ℃ 및 1 bar의 조건에서 15분간 멸균시키는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상기 액체배지에 말라세지아 속(Malassezia sp.) 균주인 말라세지아 푸르푸르(Malassezia furfur)를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KCTC)에서 분양받아 사용했고, 상기 균주는 하기 조성을 가지는 배양배지를 이용하여 32℃의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상기 말라세지아 푸르푸르에 대한 항균 활성은 상기 ε-폴리라이신 및 아연 피리치온(ε-Polylysine, C180H362N60O31)을 용해시킨 용액을 첨가하면서, 최소생육억제농도(MIC)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액체배지에 상기 말라세지아 푸르푸르를 접종하고, 53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OD 값(OD530)이 0.12가 되도록 배양한 후, 상기 배양액 4 ml을 분리하여, 상기 폴리라이신 및 아연 피리치온 용액을 각각 농도 별로 첨가하고, 32?에서 7일간 더 배양하면서, 혼탁도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생육을 저해하는 가장 낮은 폴리라이신 및 아연 피리치온 용액의 농도를 각각 관찰하여, 최종적으로 최소생육억제농도(MIC)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시험물질 최소생육억제농도(MIC)
폴리라이신 아연 피리치온
말라세지아 푸르푸르(Malassezia furfur) 6 ppm 8 ppm
상기 표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폴리라이신은 기존에 항균 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아연 피리치온 보다 낮은 최소생육억제농도가 확인되어, 우수한 생육억제농도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최소생육억제농도(MIC)이상에서의 시험균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다는 의미를 가지며, 폴리라이신은 비듬균주에 대해 가장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징크피리치온과 대등한 또는 이 보다 우수한 항균력을 보여 항비듬물질로 사용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1-2. 최적 항균 조합 확인
화합물의 상승작용은 Kull, F. C. et al.의 논문(App.Microbial.0:538~544(1961))에 발표된 방법에 따라, 하기 계산식에 의하여 측정된 비율을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QA/Qa와 QB/Qb의 합이 1보다 작은 경우, 상승 작용이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상기 화학물 A는 폴리라이신(polylysine)이고, 화합물 B는 아연 피리치온이며, 상기 Qa는 화합물 A 단독의 MIC 값이고, 상기 Qb는 화합물 B단독의 MIC 값이며, 상기 QA는 혼합물 중 화합물 A의 MIC 값이고, 상기 QB는 혼합물 중 화합물 B의 MIC 값이다.
[계산식]
상승지수(SI) = (QA/Qa)+(QB/Qb)
상기 계산식에 의해 계산될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Qa Qb QA QB QA/Qa QB/Qb SI
1 6 8 3 2 0.51 0.25 0.75
2 6 8 2 2 0.33 0.25 0.58
3 6 8 1 3 0.17 0.38 0.55
4 6 8 1 4 0.17 0.5 0.67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폴리라이신과 아연 리치온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각각의 화합물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SI 값이 적게 나타나 살균상승 효과가 크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혼합비율에 있어서, 중량비를 기준으로 폴리라이신과 징크피리치온의 중량비가 3:1 내지 1:1 인 경우 SI 값이 0.6 이하로 측정되고, 이를 벗어나나 경우, 0.6을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사익 폴리라이신과 징크피리치온의 중량비가 3:1 내지 1:1 인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2: 폴리라이신 및 아연 피리치온의 항비듬 효과 측정 - 항비듬 샴푸 조성물의 효과
2-1. 항비듬 샴푸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험예 1에서 항비듬 효과가 확인된 폴리라이신 및 아연 피리치온을 이용하여, 하기 표 3 내지 표 5의 여러 함량의 항비듬용 샴푸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상기 샴푸 조성물의 항균 효과, 항비듬 효과 및 가려움증 방지 효과를 확인하였다.
원료 조성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카아보머 0.2 0.2 0.2 0.2 0.2 0.2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 15.0 15.0 15.0 15.0 15.0 15.0
코마미도프로필베타인 3.0 3.0 3.0 3.0 3.0 3.0
코카미드디이에이 3.0 3.0 3.0 3.0 3.0 3.0
폴리쿼터늄-10 0.3 0.3 0.3 0.3 0.3 0.3
양이온화가수분해단백질 0.2 0.2 0.2 0.2 0.2 0.2
프로필렌글리콜 1.0 1.0 1.0 1.0 1.0 1.0
에틸렌글리콜스테아레이트 1.0 1.0 1.0 1.0 1.0 1.0
EDTA-2Na 0.05 0.05 0.05 0.05 0.05 0.05
트리에탄올아민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아연 피리치온분산액(48%) 2.0 2.0 2.0 2.0 2.0 2.0
폴리라이신(Polylysine) 0.01 0.1 0.5 1.0 2.0 5.0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소금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순수 100까지 100까지 100까지 100까지 100까지 100까지
원료 조성
실시예7 실시예8 실시예9 실시예10 실시예11 실시예12
카아보머 0.2 0.2 0.2 0.2 0.2 0.2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 15.0 15.0 15.0 15.0 15.0 15.0
코마미도프로필베타인 3.0 3.0 3.0 3.0 3.0 3.0
코카미드디이에이 3.0 3.0 3.0 3.0 3.0 3.0
폴리쿼터늄-10 0.3 0.3 0.3 0.3 0.3 0.3
양이온화가수분해단백질 0.2 0.2 0.2 0.2 0.2 0.2
프로필렌글리콜 1.0 1.0 1.0 1.0 1.0 1.0
에틸렌글리콜스테아레이트 1.0 1.0 1.0 1.0 1.0 1.0
EDTA-2Na 0.05 0.05 0.05 0.05 0.05 0.05
트리에탄올아민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아연 피리치온분산액(48%) 0.1 0.3 0.5 1.0 1.5 2.0
폴리라이신(Polylysine) 1.0 1.0 1.0 1.0 1.0 1.0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소금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순수 100까지 100까지 100까지 100까지 100까지 100까지
원료 조성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순수 100까지 100까지 100까지
카아보머 0.5 0.5 0.5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 15.0 15.0 15.0
코마미도프로필베타인 3.0 3.0 3.0
코카미드디이에이 3.0 3.0 3.0
폴리쿼터늄-10 0.3 0.3 0.3
양이온화가수분해단백질 0.2 0.2 0.2
프로필렌글리콜 1.0 1.0 1.0
에틸렌글리콜스테아레이트 1.0 1.0 1.0
EDTA-2Na 0.05 0.05 0.05
트리에탄올아민 적량 적량 적량
아연 피리치온분산액(48%) 2.0 1.0 0.5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소금 적량 적량 적량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순수 100까지 100까지 100까지
상기 표 3 내지 표 5의 조성 및 함량으로 제조된 항비듬용 샴푸 조성물의 액성은 pH 4.5 내지 pH 7.5일 수 있으나,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 항비듬용 샴푸 조성물의 pH를 25℃에서 pH 5.5 내지 pH 6.5의 범위로 조절하고, 점성을 25℃에서 5,000 mPa 내지 7,000 mPa으로 조절하여 최종 제품을 제조하였다.
2-2. 항비듬 샴푸 조성물의 항균효과
상기 항비듬 샴푸 조성물의 항균효과는 디스크 확산법(Disc diffusion test)을 통해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여러 비듬원인 중에서 미생물이 비듬 악화인자라는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비듬의 원인균으로 알려진 말라세지아 푸르푸르(Malassezia furfur)를 이용하여 항비듬제의 항균력을 디스크 확산법으로 측정하였다.
상기 항균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된 고체배지는 변형된 딕슨 배지(modified Dixon's medium)이었다. 상기 변형된 딕슨 배지는 맥아 추출물 36 g/L, 박토펩톤 6 g/L, 소 담즙(Ox gall) 12 g/L, 트윈 40(Tween 40) 10 ml/L, 글리세롤 2 ml/L, 올레인산나트륨(Sodium oleate) 2 g/L 및 한천(agar) 12 g/L을 증류수에 첨가한 후, 121 ℃ 및 1 bar의 조건에서 15분간 멸균시키고, 상기 10 ml를 지름 90 mm 원형 페트리 디쉬(petridish)에 부어 하부 한천 고형배지를 제조하였다.
추가로 상기 변형된 딕슨 배지와 같이 맥아 추출물 36 g/L, 박토펩톤 6 g/L, 소 담즙(Ox gall) 12 g/L, 트윈 40(Tween 40) 10 ml/L, 글리세롤 2 ml/L 및 올레인산나트륨(Sodium oleate) 2 g/L에 한천(agar) 8 g/L을 증류수에 첨가한 후, 121 ℃ 및 1 bar의 조건에서 15분간 멸균시켜 한천 배지를 제조한 후, 상기 한천 배지에 상기 실험예 1의 상기 OD 값(OD530)이 0.12가 되도록 배양한 말라세지아 푸르푸르(Malassezia furfur)를 접종한 배지 10 ml를 부어 굳혔다.
상기 제조된 한천 배지 위에 지름 10 mm의 종이 디스크를 올리고, 상기 실험예 2-1에서 제조된 실시와 비교예를 각각 50 ul씩 디스크에 투여한 후, 32?의 조건으로 배양기에서 5일간 배양하면서 생육억제환(inhibition zone)의 크기를 측정하여, 그 결과 값을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6에 나타낸 생육억제환의 크기의 단위는 mm이었다.
구분 유효성분 함량 생육억제환
비교예1 아연 피리치온 2% 22
비교예2 아연 피리치온 1% 16
비교예3 아연 피리치온 0.5% 13
실시예1 아연 피리치온 분산액 2% + 폴리라이신 및 아연 피리치온 0.01% 23
실시예2 아연 피리치온 분산액 2% + 폴리라이신 및 아연 피리치온 0.1% 24
실시예3 아연 피리치온 분산액 2% + 폴리라이신 및 아연 피리치온 0.5% 27
실시예4 아연 피리치온 분산액 2% + 폴리라이신 및 아연 피리치온 1.0% 31
실시예5 아연 피리치온 분산액 2% + 폴리라이신 및 아연 피리치온 2.0% 33
실시예6 아연 피리치온 분산액 2% + 폴리라이신 및 아연 피리치온 5.0% 35
실시예7 폴리라이신 및 아연 피리치온 1% + 아연 피리치온 분산액 0.1% 22
실시예8 폴리라이신 및 아연 피리치온 1% + 아연 피리치온 분산액 0.3% 23
실시예9 폴리라이신 및 아연 피리치온 1% + 아연 피리치온 분산액 0.5% 25
실시예10 폴리라이신 및 아연 피리치온 1% + 아연 피리치온 분산액 1.0% 28
실시예11 폴리라이신 및 아연 피리치온 1% + 아연 피리치온 분산액 1.5% 29
실시예12 폴리라이신 및 아연 피리치온 1% + 아연 피리치온 분산액 2.0% 31
상기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연피리티온을 단독으로 사용한 것에 비하여, 폴리라이신 및 아연 피리치온을 첨가하는 경우, 항균 활성이 증가됨이 확인되었고, 특히, 비교예 1 및 실시예 5와 비교예 2 및 실시예 7을 비교하는 경우, 아연피리티온과 동일한 함량의 폴리라이신 및 아연 피리치온을 첨가하는 경우 현저하게 우수한 항균 활성이 증가가 확인되었다. 또한, 상기 폴리라이신 및 아연 피리치온의 혼합 사용에 의해 항균 활성도 증가됨이 확인되었다.
2-3. 항비듬 샴푸 조성물의 관능실험 결과
상기 실시예 2-1에서 제조된 모발샴푸에 대한 관능실험을 수행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12 및 비교예 1 내지 3에 대해 각각 비듬이 있거나 가려움에 민감한 20대 내지 40대 남녀 성인 25명씩을 관능실험을 위한 피험자로 선정하였다.
각 시험군별로 각 제품을 3주간 3일마다 사용하게 하고 결과를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를 항가려움 효과 및 항비듬 효과로 구분하여 각각 하기 표 7 및 표 8에 기재하였다.
구체적으로, 하기 표 7에 나타낸 항가려움 효과는 가려움의 정도는 피시험자들이 관능으로 느낀 것을 가려움이 심해졌다, 사용전과 변함없다, 가려움이 경감되었다 및 가려움이 없어졌다의 4단계로 구분하여 실험 전과 3주간의 실험 이후에 각각 답하게 하고, 25명중 각 해당 인원수를 %로 환산하여 가려움이 경감됐거나 없어진 경우를 유효율(%)로 계산하였다.
가려움이
심해졌다
사용전과 변함없다 가려움이 경감됐다 가려움이 사라졌다 유효율(%)
비교예1 2/25 5/25 15/25 3/25 72.0
비교예2 3/25 7/25 13/25 2/25 60.0
비교예3 3/25 10/25 11/25 1/25 48.0
실시예1 1/25 5/25 16/25 3/25 76.0
실시예2 1/25 4/25 14/25 6/25 80.0
실시예3 0/25 4/25 13/25 8/25 84.0
실시예4 0/25 2/25 11/25 12/25 92.0
실시예5 0/25 2/25 10/25 13/25 92.0
실시예6 0/25 1/25 11/25 13/25 96.0
실시예7 2/25 4/25 14/25 5/25 76.0
실시예8 2/25 4/25 13/25 6/25 76.0
실시예9 1/25 4/25 12/25 8/25 80.0
실시예10 0/25 3/25 11/25 11/25 88.0
실시예11 0/25 2/25 12/25 11/25 92.0
실시예12 0/25 2/25 11/25 12/25 92.0
상기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연 피리치온을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보다 폴리라이신과 아연피리치온을 소량씩 혼용한 경우, 제품의 항가려움듬 효과가 뛰어난 것이 확인되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폴리라이신 및 아연피리치온을 함께 처방할 경우, 항가려움에 대한 상호보완 작용을 통해 현저한 효과 상승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구체적으로 하기 표 8에 나타낸 항비듬 효과는 비듬의 정도나 양을 Schrader 법과 Dietrich-Bollert 법을 이용하여 증세가 심각해졌다, 사용전과 변함없다, 증세가 경감됐다 및 증세가 없어졌다의 4단계로 구분하여 실험 전과 3주간의 실험 이후에 각각 답하게 하고, 25명중 각 해당 인원수를 %로 환산하여 비듬의 증상이 경감됐거나 없어진 경우를 유효율(%)로 계산하였다.
증세가 심해졌다 사용전과 변함없다 증세가 경감됐다 증세가 사라졌다 유효율(%)
비교예1 1/25 6/25 16/25 2/25 72.0
비교예2 3/25 7/25 14/25 1/25 60.0
비교예3 4/25 10/25 10/25 1/25 44.0
실시예1 1/25 6/25 15/25 3/25 72.0
실시예2 1/25 3/25 15/25 6/25 84.0
실시예3 0/25 4/25 12/25 9/25 84.0
실시예4 0/25 2/25 12/25 11/25 92.0
실시예5 0/25 2/25 11/25 12/25 92.0
실시예6 0/25 2/25 11/25 12/25 92.0
실시예7 2/25 4/25 13/25 6/25 76.0
실시예8 2/25 3/25 13/25 7/25 80.0
실시예9 1/25 3/25 13/25 8/25 84.0
실시예10 0/25 3/25 11/25 11/25 88.0
실시예11 0/25 2/25 10/25 13/25 92.0
실시예12 0/25 1/25 12/25 12/25 96.0
상기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연 피리치온을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보다 폴리라이신과 아연 피리치온을 소량씩 혼용한 경우 제품의 항비듬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상기 폴리라이신 및 아연 피리치온은 함께 사용하는 경우, 특히 1:1 내지 3:1의 범위로 사용하는 경우 그 효과가 상승됨을 확인하였고, 이로부터 아연 피리치온의 사용을 제한하면서 우수한 항비듬 효과, 구체적으로 말라세지아 속 미생물에 대한 우수한 항균 활성을 갖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Claims (5)

  1. 폴리라이신 및 아연 피리치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말라세지아속(Malassezia sp.) 진균에 대한 항균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라이신 및 아연 피리치온의 함량비는 중량비를 기준으로 3:1(폴리라이신:아연 피리치온) 내지 1:1(폴리라이신:아연 피리치온)인 말라세지아속(Malassezia sp.) 진균에 대한 항균조성물.
  3. 제1항의 항균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듬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4. 제1항의 항균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듬증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의 항균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듬증 예방 또는 개선용 세정제 조성물.
KR1020110148003A 2011-12-31 2011-12-31 폴리라이신 및 아연 피리치온을 포함하는 항진균 조성물 KR201300796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8003A KR20130079683A (ko) 2011-12-31 2011-12-31 폴리라이신 및 아연 피리치온을 포함하는 항진균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8003A KR20130079683A (ko) 2011-12-31 2011-12-31 폴리라이신 및 아연 피리치온을 포함하는 항진균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9683A true KR20130079683A (ko) 2013-07-11

Family

ID=48992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8003A KR20130079683A (ko) 2011-12-31 2011-12-31 폴리라이신 및 아연 피리치온을 포함하는 항진균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7968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6093B1 (ko) * 2014-03-11 2014-12-24 주식회사 명진뉴텍 피록톤 올아민을 포함하는 물티슈 조성물
WO2016076653A1 (ko) * 2014-11-14 2016-05-19 코오롱생명과학 주식회사 아연 피리치온을 포함하는 항균성 수분산 조성물
CN115337213A (zh) * 2021-12-07 2022-11-15 博汇美萃生物工程技术(广东)有限公司 一种去屑止痒护发产品及其制备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6093B1 (ko) * 2014-03-11 2014-12-24 주식회사 명진뉴텍 피록톤 올아민을 포함하는 물티슈 조성물
WO2016076653A1 (ko) * 2014-11-14 2016-05-19 코오롱생명과학 주식회사 아연 피리치온을 포함하는 항균성 수분산 조성물
CN115337213A (zh) * 2021-12-07 2022-11-15 博汇美萃生物工程技术(广东)有限公司 一种去屑止痒护发产品及其制备方法
CN115337213B (zh) * 2021-12-07 2024-05-17 博汇美萃生物工程技术(广东)有限公司 一种去屑止痒护发产品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64208B2 (en) Topical compositions
KR101503922B1 (ko) 검은 곡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 화장료조성물
US10835572B2 (en) Composition for external application
EP2275104B1 (en) Pharmaceutical and cosmetic composition including lactoferrin, ciclopirox and etidronic acid
KR20110131498A (ko) 패각 또는 패산호로부터 추출한 알카리용액에 은이온을 포함하는 항균제와 이를 포함하여 조성된 조성물.
KR101756812B1 (ko) 발효추출물과 산소수를 포함한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94661B1 (ko) 흑마늘박 발효물을 포함하는 두피 또는 모발 케어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00977A (ko) 장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121328B1 (ko) 효모, 금, 프로폴리스, 인삼, 마치현, 정향, 하수오를 혼합한 복합추출물이 함유된 두피 및 모발 개선제용 조성물
KR100846356B1 (ko) 파래 속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진균 조성물
KR20130079683A (ko) 폴리라이신 및 아연 피리치온을 포함하는 항진균 조성물
WO2018084112A1 (ja) アクネ菌株選択的抗菌剤
JP2018020970A (ja) プロトンポンプ機能促進剤
KR20130079684A (ko) 폴리라이신을 포함하는 항진균 조성물
WO2016033899A1 (zh) 一种调节头皮油脂平衡的去屑组合物
AU2018382466A1 (en) Propanediol monoacetate mononitrate
KR100852204B1 (ko) 산호말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진균 조성물
US11191772B2 (en) Use
KR100852203B1 (ko) 다시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진균 조성물
US20190167549A1 (en) Preservation booster
WO2019007792A1 (en) TOPICAL COMPOSITIONS
EP3648734A1 (en) Topical compositions
KR20090071529A (ko) 비타민 케이1 또는 비타민 케이3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항균 및 항진균 활성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JP2006241018A (ja) 発毛促進剤、白髪防止及び/又は治療剤、止痒性組成物及び創傷治癒促進組成物
KR20140086040A (ko) 아연 피리치온 및 요소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진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