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7593A - 구아바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노인냄새 제거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구아바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노인냄새 제거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7593A
KR20240037593A KR1020220116292A KR20220116292A KR20240037593A KR 20240037593 A KR20240037593 A KR 20240037593A KR 1020220116292 A KR1020220116292 A KR 1020220116292A KR 20220116292 A KR20220116292 A KR 20220116292A KR 20240037593 A KR20240037593 A KR 202400375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derly
composition
odor
guava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6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운중
Original Assignee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116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7593A/ko
Publication of KR20240037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759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5/00Anti-perspirants or body deodora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아바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노인냄새 제거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노네날을 제거함으로써 노인냄새를 제거하는 효과를 가지며, 이와 더불어 항균, 항산화, 미백, 주름개선 효능을 가짐으로써 천연 소재로서 화장품, 식품, 의약품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구아바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노인냄새 제거용 조성물{Composition for removing elderly smell comprising extract of Psidium guajava leaf}
본 발명은 구아바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노인냄새 제거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노인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실버세대를 위한 미용 및 개인 건강관리 제품의 필요성과 다양성이 요구되고 있다.
노년기가 되면 피지에 포함된 지방산인 시스-9-헥사데세노익산(cis-9-hexadecenoic acid)이 산화 또는 피부 장재균에 의해 분해되어 노네날(2-Nonenal)이 생성되는데, 이로 인해 특유의 노인성 냄새가 발생한다. 노네날은 불포화 알데하이드 물질로, 3-헥실-2-프로페날(3-hexyl-2-propenal), 3-헥실아크로레인(3-hexylacrolein), 헵틸이데네아세탈데하이드(heptylideneacetaldehyde), 베타-헥실아크로레인(β-hexylacrolein), 알파-노네닐 알데하이드(α-nonenyl aldehyde), 노닐레닉 알데하이드(nonylenic aldehyde) 또는 트랜스-2-노네날(trans-2-nonenal)로도 불린다.
노네날은 주로 고령층에서 많이 생성되지만 만성질환을 앓고 있거나 거동이 힘든 환자들에게서도 발생한다. 신진대사가 원활하지 않아 피부에 노폐물이 더 많이 쌓이게 되고, 이들 피지선에서 불포화 지방산이 분해되면서 노네날이 많이 만들어져 퀴퀴한 냄새가 배출된다. 따라서, 노인성 냄새의 주요 원인물질인 노네날을 제거함으로써 노인냄새를 소취하기 위한 천연 소재들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구아바(Guava, Psidium guajava)는 도금양과(Myrtaceae)의 상록 관목 또는 교목으로 아프리카, 남미 및 동남아시아의 열대 또는 아열대 지역에 널리 분포한다. 구아바 잎은 당뇨병, 설사, 기침, 생리통, 고혈압 치료 용도로 민간 의약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상처의 감염 저해제 및 방부제로 작용하여 여드름, 치아우식, 잇몸감염 및 인후염의 치료 용도로도 사용되었다. 구아바 잎은 트리테르페노이드(Triterpenoids), 세스퀴테르펜(Sesquiterpene), 플라보노이드(Flavonoid), 방향유(essentialoil) 및 탄닌(Tannin)을 다량 포함하고 있다고 보고되었으며, 최근에는 구아바 잎 추출물들이 항염증 효과, 정자보호 효능, 및 화학물질에 의한 손상예방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구아바 잎은 국내 식약처에서 건강기능식품으로 개별 인증되어 있어 기능성 소재로서 활용가치가 높다.
한편, 구아바 잎 추출물의 노인냄새 제거 효과에 대해서는 연구된 바가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54537호 한국등록특허 제10-2205201호
본 발명은 구아바(Psidiuma guajav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인냄새 제거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아바(Psidiuma guajav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인냄새 제거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구아바 추출물은 구아바 잎 추출물이며, 물, C1~C4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한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에탄올로 추출한 것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0% 에탄올로 추출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노인냄새의 원인물질은 노네날, 옥타날, 노나날 및 데카날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노네날(trans-2-nonenal)일 수 있다.
또한,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구아바 잎을 물, C1~C4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에 침지하는 단계; 구아바 잎 추출액을 여과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 및 불순물이 제거된 구아바 잎 추출액을 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아바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인냄새 제거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구아바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인냄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노인냄새 제거용 조성물은 노네날을 제거하여 노인냄새를 제거하는 효과를 가지며, 이외에도 항산화, 항균, 피부미백, 주름개선 효과를 가져 화장품, 건강기능식품, 의약품 등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아바 잎 추출물의 항균 효과를 분석한 이미지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구아바(Psidiuma guajav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인냄새 제거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구아바 추출물은 구아바 잎 추출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아바 추출물은 물, C1~C4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한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에탄올로 추출한 것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0% 에탄올로 추출한 것일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50% 에탄올로 추출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노인냄새의 원인물질은 노네날, 옥타날, 노나날 및 데카날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노네날(trans-2-nonenal)일 수 있다.
또한,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구아바 잎을 물, C1~C4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에 침지하는 단계; 구아바 잎 추출액을 여과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 및 불순물이 제거된 구아바 잎 추출액을 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아바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인냄새 제거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구아바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인냄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적인 유화 제형 및 가용화 제형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유화 제형의 화장품으로는 영양화장수, 크림, 에센스 등이 있으며, 가용화 제형의 화장품으로는 유연화장수가 있다. 또한, 화장품 이외에도 피부 과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함으로써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국소 적용 또는 전신 적용할 수 있는 보조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제한되지는 않으나 스킨로션, 스킨 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 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팩, 비누, 샴푸, 클렌징 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저, 유액, 스프레이 및 파우더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각각의 제형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 외 제형의 종류 또는 사용 목적 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른 성분들이 적절히 배합될 수 있다.
또한, 최종 제품의 품질이나 기능에 따라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 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및 화장료 조성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료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보조제 및 그 혼합 비율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바람직한 성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화장품 뿐만 아니라, 식품, 의약품, 생활용품 등의 제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와 실험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시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구아바 잎 추출물 제조
구아바 잎 50 g을 30% 에탄올 1 ℓ에 24시간 동안 침지한 후 evaporator로 농축하여 구아바 잎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구아바 잎 추출물 제조
구아바 잎 50 g을 50% 에탄올 1 ℓ에 24시간 동안 침지한 후 evaporator로 농축하여 구아바 잎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구아바 잎 추출물 제조
구아바 잎 50 g을 70% 에탄올 1 ℓ에 24시간 동안 침지한 후 evaporator로 농축하여 구아바 잎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GC-MS 성분 분석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질량분석기(gas chromatograph-mass spectrometer; GC-MS)를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구아바 잎 추출물에 대한 성분 분석을 실시하였다.
1-Octadecene 함량(%) 1-Docosene 함량(%)
실시예 1 15.1 10.5
실시예 2 45.5 37.3
실시예 3 35.6 23.7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3의 구아바 잎 추출물에서 항산화 및 항균 효과를 나타내는 유효성분인 옥타데센(1-Octadecene) 및 도코센(1-Docosene)이 추출되었으며, 그 중 50% 에탄올 구아바 잎 추출물인 실시예 2에서 옥타데센 45.5% 및 도코센 37.3%로 가장 많이 함량이 추출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DPPH 라디칼 소거능 분석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구아바 잎 추출물을 50 ㎕/㎖의 농도로 조제한 후 희석한 구아바 잎 추출물 100 ㎕를 0.12 mM DPPH 용액 900 ㎕와 혼합하여 암실에서 30분간 방치하였다. UV-vis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을 이용하였으며, 아스코르브산을 0.1 ㎕/㎖의 농도로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IR(%) R2 IC50
Ascorbic acid Y=17.9x+7.4 0.94 2.37
실시예 1 Y=14.5x-2.1 0.96 3.59
실시예 2 Y=18.1x-1.9 0.98 2.87
실시예 3 Y=19.8x-1.2 0.97 2.59
상기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DPPH 라디칼 소거능에 따른 항산화 효능 분석 결과, 50% 에탄올 추출물(실시예 2) 및 70% 에탄올 추출물(실시예 3)이 대조군인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과 유사한 IC50 값을 가짐에 따라 높은 항산화 효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항균 효능 분석
디스크 확산법(Disc Diffusion method; ASTM E2149-20)을 이용하여 항균 효능을 분석하였으며, 균주는 아토피 유발 균주인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을 이용하였다. 먼저, 고체배지에 배양한 액체배지를 100 ㎕ spreading하였다. Weighing dish에 paper disc를 놓고 구아바 잎 추출물을 disc 위에 첨가하였다. Disc를 건조 후 37℃ incubator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초기 균 수 1시간 후 균 수 균 감소율(%)
대조군 2.5×105 3.0×105 -
실시예 1 2.5×105 <30 99.9
실시예 2 2.5×105 <30 99.9
실시예 3 2.5×105 <30 99.9
항균 활성 분석 결과, 상기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3 모두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해 99.9% 항균 활성을 보임에 따라 매우 우수한 항균 효능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노인냄새 제거 효능 분석
상기 실시예 1 내지 3의 구아바 잎 추출물 1 g을 각각 에탄올 100 ㎖에 희석한 후 노네날(Nonenal) 표준용액 100 ㎕를 혼합하여 30분간 분산시켰다. Fehling solution A, B를 각각 150 ㎕씩 가하고 50℃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UV-vis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3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흡광도 (300 nm) 2-Nonenal 제거율(%)
대조군 1.482 -
실시예 1 1.019 31.2
실시예 2 0.705 52.4
실시예 3 0.993 33.0
상기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노네날(trans-2-nonenal) 펠링반응 결과, 모든 추출물에서 노네날 농도가 감소하여 노인냄새 제거 효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며, 그 중 50% Ethanol 추출물(실시예 2)이 노인냄새 제거 효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5]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저해활성 분석
티로시나아제(Tyrosinase)는 피부의 표피 기저층에 존재하는 멜라노 사이트에서 티로신(Tyrosine)을 산화시켜 멜라닌의 생성을 촉진시키는 효소로서 이들의 활성 억제는 피부 미백과 노화 방지에 매우 중요하다. 이에 상기 실시예 1 내지 3의 구아바 잎 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 저해활성을 분석하였으며, 멜라닌 생합성 경로에 관여하는 티로시나아제의 활성 부위에 포함되어 있는 구리 이온을 킬레이트 시킴으로써 멜라닌 활성을 저해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코직산(Kojic acid)을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먼저, 67 mM 소듐 포스페이트 버퍼(sodium phosphate buffer, pH 6.8), 10 mM L-도파(3,4-dihydroxyphenylalanine; L-dopa) 및 125 units/㎖ tyrosinase를 제조하였다. Kojic acid 0.002 g을 증류수 10 ㎖에 녹여 양성대조군을 제조하였다.
67 mM 소듐 포스페이트 버퍼(sodium phosphate buffer, pH 6.8) 0.4 ㎖에 10 mM L-DOPA 0.2 ㎖ 및 시료용액 0.2 ㎖의 혼합액에 mushroom tyrosinase (125 units/㎖) 0.2 ㎖을 첨가하여 25℃에서 30분간 반응시켜 반응액 중에 생성된 DOPA chrome 475 ㎚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티로시나아제 저해활성은 시료용액의 첨가구와 무 첨가구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내었다. 효소를 첨가하지 않은
저해율(%)=(1-시료 첨가구의 흡광도/무 첨가구의 흡광도)×100
티로시나아제 활성저해율(%)
Kojic acid 87.9
실시예 1 81.5
실시예 2 87.2
실시예 3 99.1
상기 표 5를 참조하면, 구아바 잎 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 활성저해 효과를 분석한 결과, 50% 에탄올 구아바 잎 추출물(실시예 2)은 87.2%의 티로시나아제 활성저해율을 보여 87.9%의 티로시나아제 활성저해율을 갖는 양성대조군과 유사한 티로시나아제 저해활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70% 에탄올 구아바 잎 추출물(실시예 3)은 양성대조군보다 더 높은 99.1%의 티로시나아제 활성저해율을 보여 티로시나아제 저해활성이 매우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로써 50% 및 70% 에탄올 구아바 잎 추출물의 피부 미백 효과가 뛰어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6] 콜라게나아제(Collegenase) 저해활성 분석
콜라게나아제(Collagenase)는 콜라겐을 가수분해하는 효소이다. 콜라겐은 피부조직을 구성하는 주요 구조 단백질들(structural proteins) 중 하나로, 세포의 구조 유지 및 강도 부여 등 세포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피부 내 진피층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콜라겐이 분해되면 피부의 탄력이 저하되어 주름과 모공이 생기는 등의 피부노화가 촉진되는데, 콜라게나아제의 콜라겐 분해반응을 저해하여 피부노화의 진행을 억제할 수 있다. 콜라게나아제는 4-Phenylazobenzyloxycarbonyl-Pro-Leu-Gly-Pro-D-Arg를 색깔을 띄는 4-Phenylazobenzyloxycarbonyl-Pro-Leu-OH와 무색의 Gly-Pro-D-Arg-OH로 절단한다. Orange-yellow 색의 아실 펩타이드(acyl peptide)는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에 잘 용해되기 때문에 에틸 아세테이트를 사용하여 산성화된 혼합물로부터 4-Phenylazobenzyloxycarbonyl-Pro-Leu-OH를 추출하고 분광광도계로 이를 정량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3의 구아바 잎 추출물의 주름개선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콜라게나아제(Collagenase) 저해활성을 분석하였으며,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을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먼저, 콜라게나아제 활성 측정용 기질로 사용되는 4-Phenylazobenzyloxycarbonyl-Pro-Leu-Gly-Pro-D-Arg를 콜라게나아제 버퍼(Collegenase buffer, pH 7.5)에 용해시켜 1.2 ㎎/㎖의 기질 용액을 제조하였다. 0.35 mM 염화칼슘(CaCl2)을 포함하는 TES buffer (50 mM, pH 7.4)에 collagenase를 첨가한 효소용액(0.4 ㎎/㎖)을 제조하였다. 기질 용액 0.25 ㎖와 시료용액 0.1 ㎖를 혼합한 후 collagenase(0.4 ㎎/㎖)를 0.15 mL를 첨가하여 37℃에서 30분간 반응시킨다. 반응이 끝나면 20% citric acid 0.25 ㎖를 넣어 반응을 정지시킨 후, ethyl acetate 1.2 ㎖를 첨가하여 10분간 120 rpm으로 교반하였다. 원심분리 후 상등액을 취해 320 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콜라게나아제 저해활성은 시료용액의 첨가구와 무 첨가구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내었다.
저해율(%)=(1-시료 첨가구의 흡광도/무 첨가구의 흡광도)×100
콜라게나아제 활성저해율(%)
Ascorbic acid 95.2
실시예 1 84.6
실시예 2 93.1
실시예 3 76.2
상기 표 6을 참조하면, 구아바 잎 추출물의 콜라게나아제 활성저해 효과를 분석한 결과, 양성대조군인 아스코르브산의 콜라게나아제 활성저해율은 95.2%로 나타났으며, 50% 에탄올 구아바 잎 추출물이 93.1%의 콜라게나아제 활성저해율을 보여 양성대조군인 아스코르브산과 유사한 콜라게나아제 억제활성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30% 및 70% 에탄올 구아바 잎 추출물인 실시예 1 및 3은 각각 84.6%, 76.2%의 콜라게나아제 활성저해율을 보여 50% 에탄올 구아바 잎 추출물(실시예 2)에 비해 다소 낮은 콜라게나아제 저해활성을 보였다. 이로써 50% 에탄올 구아바 잎 추출물의 콜라게나아제 저해활성이 가장 우수하며, 주름개선 효과가 뛰어남을 알 수 있다.
종합해볼 때, 본 발명에 따른 구아바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항산화, 항균, 미백, 주름개선, 노네날 제거 효과가 뛰어나 천연 기능성 소재로서 다양한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Claims (9)

  1. 구아바(Psidiuma guajav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인냄새 제거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아바 추출물은 구아바 잎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인냄새 제거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아바 추출물은 물, C1~C4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인냄새 제거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아바 추출물은 에탄올로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인냄새 제거용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에탄올은 30% 내지 70% 에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인냄새 제거용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인냄새의 원인물질은 노네날, 옥타날, 노나날 및 데카날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인냄새 제거용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노인냄새의 원인물질은 노네날(trans-2-nonena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인냄새 제거용 조성물
  8. 구아바 잎을 물, C1~C4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에 침지하는 단계;
    구아바 잎 추출액을 여과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 및
    불순물이 제거된 구아바 잎 추출액을 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아바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인냄새 제거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구아바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인냄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20116292A 2022-09-15 2022-09-15 구아바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노인냄새 제거용 조성물 KR202400375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6292A KR20240037593A (ko) 2022-09-15 2022-09-15 구아바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노인냄새 제거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6292A KR20240037593A (ko) 2022-09-15 2022-09-15 구아바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노인냄새 제거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7593A true KR20240037593A (ko) 2024-03-22

Family

ID=90481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6292A KR20240037593A (ko) 2022-09-15 2022-09-15 구아바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노인냄새 제거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7593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4537B1 (ko) 2014-03-17 2015-10-0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인성 체취 제거용 소취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05201B1 (ko) 2019-01-31 2021-01-19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고추 추출물을 함유하는 노인성 냄새 및 노네날 제거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4537B1 (ko) 2014-03-17 2015-10-0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인성 체취 제거용 소취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05201B1 (ko) 2019-01-31 2021-01-19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고추 추출물을 함유하는 노인성 냄새 및 노네날 제거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1509413A (ja) カポックの木の花抽出物、及びそれを含有する美容、医薬又は皮膚科用組成物
JP4179971B2 (ja) 保湿性植物抽出物並びに該抽出物を含有する外用剤、化粧料、浴用剤及び洗剤
EP2100593B1 (de) Mischungen mit Collagensynthese steigernder Wirkung
KR102525467B1 (ko) 병아리꽃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1744889B1 (ko) 항산화,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를 갖는 조성물
KR100861186B1 (ko) 크립토탄시논을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화장료
KR100879094B1 (ko) 천연 정유 성분 및 그의 하이드로졸 성분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US20090232915A1 (en) Mixtures with a collagen synthesis boosting action
KR102303644B1 (ko)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혼합 추출액을 함유한 얼굴 화장용 발효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25901B1 (ko) 지면패랭이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0926073B1 (ko) 비타민 c와 백년초 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각질박리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14500B1 (ko)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RU2671511C1 (ru) Косме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ухода за волосами и кожей головы (варианты)
EP1586336A1 (en) Compositions containing copper salts and soy products
KR20240037593A (ko) 구아바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노인냄새 제거용 조성물
JP2002370962A (ja) 美白用化粧料および皮膚老化防止・改善用化粧料
KR20220138649A (ko) 쌀, 갈대, 옥촉서예, 당아욱 및 알로에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16816B1 (ko) 금은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신생, 미백 및 항염용 조성물
KR100427556B1 (ko) 루시놀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H107582A (ja) 皮膚外用剤
KR20070089327A (ko)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040056079A (ko)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KR20240037594A (ko) 금불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인냄새 제거용 조성물
KR20150116504A (ko) 티트리 추출물 및 소금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RU2806599C1 (ru) Косме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с антивозрастной активностью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старения и корректировки возрастных изменений кожи, ее применение (вариант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