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7066B1 - 참깨종자로부터유도된세서미놀3배당체를함유하는식품재료 - Google Patents

참깨종자로부터유도된세서미놀3배당체를함유하는식품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7066B1
KR100407066B1 KR1019960042931A KR19960042931A KR100407066B1 KR 100407066 B1 KR100407066 B1 KR 100407066B1 KR 1019960042931 A KR1019960042931 A KR 1019960042931A KR 19960042931 A KR19960042931 A KR 19960042931A KR 100407066 B1 KR100407066 B1 KR 1004070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esame seeds
sesame
extraction
extraction sol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2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1088A (ko
Inventor
마사토 스기우라
마사노리 이나요시
시게오 사쿠라이
케니치 이구치
토시히코 오오사와
Original Assignee
다케모토 유시 가부시키 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코르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케모토 유시 가부시키 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코르남 filed Critical 다케모토 유시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970021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10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7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70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7/00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hetero atoms of saccharide radicals
    • C07H17/04Heterocyclic radicals containing only oxygen as ring hetero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7/00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hetero atoms of saccharide radicals
    • C07H17/02Heterocyclic radicals containing only nitrogen as ring hetero at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7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characterised by ingredients other than fatty acid triglycer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00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of sugar derivatives
    • C07H1/06Separation; Purification
    • C07H1/08Separation; Purification from natural products

Abstract

실질적으로 추출용제를 함유하지 않고 참깨 종자로부터의 세서미놀 3 배당체를 고농도로 함유하고 있으며, 또한 식품재료로서 우수한 색조, 향미 및 식감을 갖는 신규한 식품재료를 제공한다.
탈피 참깨 종자에 특정한 용제추출처리, 특정한 함수처리 및 특정한 잔류용제 증류제거처리를 이 순서로 조합시켜 적용하였다.

Description

참깨 종자로부터 유도된 세서미놀 3 배당체를 함유하는 식품재료
본 발명은 참깨 종자로부터의 세서미놀 3 배당체를 함유하는 식품재료에 관한 것이다.
각종의 참깨 종자 가공품이 특유의 풍미를 갖는 식퓸재료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이들 참깨 종자 가공품은 참깨 종자중에 생리활성물질로서 세서민, 세서미놀, 세서몰리놀 등과 같은 유용성 리그난 이외에 피놀레디놀 배당체, 세서미놀 배당체 등과 같은 수용성 리그난 배합체가 함유되어 있는 점으로부터 기능성 식품으로서도 주목되고 있다. 본 발명은 참깨 종자로부터의 수용성 리그난 배당체인 세서미놀 3 배당체를 고농도로 함유하는 신규한 식품재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종래의 참깨 종자 가공품으로서 볶은 참깨, 볶은 참깨를 간 참깨, 볶은 참깨를 잘게 갈아서 이긴 참깨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참깨 종자 가공품은 50 중량% 정도의 지질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너무 고칼로리이고, 특히 볶을때에 상기한 수용성 리그난 배당체가 거의 분해되어 버리기 때문에 그 함유량이 극히 적다.
또한, 대량의 참깨 종자가 참깨유의 제조원료로서 사용되고 있다. 참깨유는 일반적으로 참깨 종자를 기계적 압착으로 착유한 것이다. 그러나, 이 참깨유에는 그의 성질상 상기한 수용성 리그난 배당체가 함유되어 있지 않다. 한편, 상기와 같이 참깨유를 착유하면 그 압착 잔사로서 소위 참깨 찌꺼기가 발생한다. 그러나, 이 참깨 찌꺼기도 참깨유의 착유공정에서 상당한 열을 받음으로써 수용성 리그난 배당체가 거의 분해되어 버리기 때문에 그 함유량이 극히 적고, 처음부터 단백분해물이나 유지산패물 등에 기인하여 어두운 빛깔을 나타내며, 이상한 맛과 냄새를 갖기 때문에 식품재료로서는 제공하기 어렵다. 소위 참깨 찌꺼기는 사료 또는 비료로서 사용하는데 불과한 실정이다.
참깨 종자로부터 상기한 수용성 리그난 배당체를 분리하는 방법은 공지되어 있다(일본국 특허 공개공보 평6-116282호, 특허 공개공보 평6-306093호). 그러나 이들 방법은 그 조작이 매우 번거롭고, 상기한 수용성 리그난 배당체의 수율도 낮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의 참깨 종자 가공품에서는 생리활성물질인 수용성 리그난 배당체, 그중에서도 세서미놀 3 배당체의 함유량이 적고, 또한 처음부터 식품재료로서는 제공하기 어려운 색조, 향미 및 식감을 갖는 점이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참깨 종자로부터의 세서미놀 3 배당체를 고농도로 함유하고 있고, 동시에 식품재료로서 우수한 색조, 향미 및 식감을 갖는 신규한 식품재료를 얻기 위해 연구한 결과, 탈피 참깨 종자에 소정의 처리를 행한 것이 알맞다는 것을 밝혀냈다.
즉, 본 발명은 하기의 제 1 공정, 제 2 공정 및 제 3공정을 거쳐 수득되는 참깨 종자로부터의 세서미놀 3 배당체를 함유하는 식품재료에 관한 것이다.
제 1 공정 : 탈피 참깨 종자를 120℃ 이하의 온도로 추출용제로서 지방족 탄화수소를 사용하여 추출처리하고, 그 추출계로부터 용액분을 제거하여 그 추출용제를 10 중량% 이하의 비율로 함유하는 고형분을 수득하는 공정
제 2 공정 : 제 1 공정에서 수득한 고형분에 물을 가하여 함수물을 수득하는 공정
제 3 공정 : 제 2 공정에서 수득한 함수물로부터 20 내지 120℃ 의 온도에서 잔류하는 추출용제를 증류시켜 제거하고, 실질적으로 추출용제를 함유하지 않고 또한 건조물(乾物) 1g 당 세서미놀 3 배당체를 3.0mg 이상의 비율로 함유하는 식품재료를 수득하는 공정
제 1 공정에서는 탈피 참깨 종자를 120℃ 이하의 온도로 추출용제로서 지방족 탄화수소를 사용하여 추출처리하고, 그 추출계로부터 용액분을 제거하여 그 추출용제를 10 중량% 이하의 비율로 함유하는 고형분을 수득한다.
제 1 공정에 제공하는 탈피 참깨 종자로서는 참깨 종자를 공지된 방법으로 박피한 것을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박피방법으로서는 참깨 종자를 물의 존재하에서 서로 마찰시킴으로써 박피하는 소위 기계박피법, 참깨 종자를 알카리 수용액을 사용하여 교반함으로써 박피하는 소위 약제박피법 등이 있다. 제 1 공정에 공급하는 탈피 참깨 종자로서는 이렇게 참깨 종자를 박피하고 건조시킨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파쇄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탈피 참깨 종자로부터의 탈지 효율을 높이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탈피 참깨 종자는 상기와 같이 참깨 종자를 박피한 것, 박피한 것을 추가로 건조시킨 것, 건조시킨 것을 추가로 파쇄한 것을 의미한다.
제 1 공정에서는 상기와 같은 탈피 참깨 종자를 용제를 사용하여 추출처리한다. 사용하는 추출용제는 부탄, 펜탄, 헥산, 헵탄 등과 같은 지방족 탄화수소이지만, 헥산이 바람직하다. 추출처리에는 공지된 추출장치를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추출장치로서는 회분식 추출장치, 반향류다단식 추출장치, 향류연속식 추출장치 등이 있다.
추출처리는 120℃ 이하의 온도에서 행하지만 실온 내지 80℃ 의 온도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온도가 120℃를 넘으면 참깨 종자중에 함유되는, 따라서 탈피 참깨 종자중에 함유되는 수용성의 세서미놀 3 배당체가 급격히 분해되기 때문이다.
이렇게 하여 탈피 참깨 종자를 용제를 사용하여 추출처리한후, 그 추출계로부터 용액분을 제거하여 고형분을 수득한다. 용액분의 제거에는 공지된 방법을 적용할 수 있고, 이러한 방법으로서는 원심분리, 가압여과, 감압여과 등이 있으나, 용액분을 제거할 때에는 상압하 또는 감압하에 추출용제를 증류시켜 제거하는 방법을 조합시킬 수도 있다. 어느 쪽이든 이들은 120℃ 이하의 온도에서 행한다. 필요에 따라 추출계로부터 제거한 용액분으로부터 참깨유를 회수할 수도 있다.
추출계로부터 용액분을 제거하여 수득한 고형분은 그 고형분중에 있어서의추출용제의 함유비율을 10 중량% 이하의 것으로 하는 것이 중요하다. 후술하는 제 2 공정에 있어서 이러한 고형분중으로의 물의 흡수를 용이하게 하기 때문이다.
제 2 공정에서는 제 1 공정에서 수득한 고형분에 물을 가하여 함수물을 수득한다. 통상적으로는 제 1 공정에서 수득한 고형분 100 중량부당 물을 10 내지 200 중량부의 비율로 가하지만, 물을 20 내지 80 중량부의 비율로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함수물을 수득하는 방법으로서는 제 1 공정에서 수득한 고형분에 물을 가하여 교반하는 방법, 물을 분무하면서 교반하는 방법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제 2 공정에서는 물과 함께 에틸알코올을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물 100 중량부당 에틸알코올을 50 내지 200 중량부의 비율로 가하지만, 에틸알코올을 75 내지 150 중량부의 비율로 가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에틸알코올을 함께 사용할 경우 처음부터 소정 농도의 에틸알코올 수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제 2 공정에서는 물로서 pH 7 내지 9의 완충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완충수로서는 공지된 것을 적용할 수 있으나 식품의 안정성으로 보아 인산이수소칼륨-수산화나트륨 완충액을 사용한 완충수, 또는 글리신 · 염화나트륨-수산화나트륨 완충액을 사용한 완충수가 바람직하다.
제 2 공정에서 물과 함께 에틸알코올을 병용하면, 또는 물로서 pH 7 내지 9 의 완충수를 사용하면, 또는 pH 7 내지 9 의 완충수와 함께 에틸알코올을 병용하면 후술하는 제 3 공정에 있어서 수용성 리그난 배당체인 세서미놀 3 배당체를 보다 고농도로 함유하고, 또한 색조, 향미 및 식감이 보다 좋은 식품재료를 수득할 수있다.
제 3 공정에서는 제 2 공정에서 수득한 함수물로부터 이것에 잔류하는 추출용제를 증류시켜 제거하여 실질적으로 추출용제를 함유하지 않는 식품재료를 수득한다. 추출용제를 증류시켜 제거하는데는 공지된 방법 및 장치를 적용할 수 있으나, 어느 쪽이든 20 내지 120℃ 의 온도에서 행하는 것이 중요하고, 이 범위내이더라도 가급적이면 저온에서 단시간으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3 공정에서 수득되는 식품재료는 그 수분을 통상적으로는 10 중량% 이하로 하지만, 바람직하게는 5 중량% 이하로 한다. 수분이 10 중량%를 넘으면 특히 12 중량% 이상이 되면 보존조건에 따라서는 부패 등에 의한 이상한 맛, 냄새 및 착색을 발생시키기 쉽기 때문이다.
참깨 종자에 함유되는 수용성 리그난 배당체로서는, 1) 세서미놀, 세서몰리놀 및 피놀레디놀 등을 아글리콘으로 하는 리그난 분자중의 수산기에 대하여 다분자의 글루코스가 결합된 구조불명의 리그난 다배당체(일본국 특허 공개공보 소62-238287호), 2) 이들의 세서미놀 다배당체에 β-글루코시다제를 작용시켜 수득되는 모두 구조가 결정된 세서미놀 모노글루코시드 및 세서미놀 디글루코시드(일본국 특허 공개공보 평6-306093호), 3) 구조가 결정된 피놀레디놀 트리글루코시드(일본국 특허 공개공보 평6-116282호)가 알려져 있다. 제 3 공정에서 수득되는 식품재료에는 이러한 수용성 리그난 배당체로서 세서미놀 트리글루코시드(세서미놀 3 배당체)가 건조물 1g 당 3.0mg 이상, 통상적으로는 3.0 내지 6.0mg 의 비율로 함유되어 있고, 상기한 그외의 리그난 배당체는 거의 함유되어 있지 않다.
이상 설명한 제 1 공정, 제 2 공정 및 제 3 공정을 거쳐 수득되는 식품재료는 실질적으로 추출용제를 함유하지 않고, 건조물 1g 당 세서미놀 3 배당체를 3.0mg 이상의 비율로 함유하고 있으며, 또한 식품재료로서 우수한 색조, 향미 및 식감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식품재료는 단순한 식품으로서뿐만 아니라 기능성 식품으로서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능성 식품으로서 제공할때에는 제 3 공정에서 수득한 식품재료를 분쇄, 분급, 과립화 등의 수단에 의해 임의의 입도나 형상을 갖는 것으로 가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로서는 하기의 1) 내지 5)가 포함된다. 어느 경우라도 실질적으로 추출용제를 함유하지 않고, 건조믈 1g 당 세서미놀 3 배당체를 4.0mg 이상의 비율로 함유하고 있으며, 식품재료로서 우수한 색조, 향미 및 식감을 갖는 것을 수득할 수 있다.
1) 우선, 시판하는 탈피 참깨 종자를 롤압편하고 이것에 헥산을 가하여 50℃에서 1 시간 추출처리한후, 실온하에서 흡인여과에 의해 용액분을 분리하여 헥산을 1.5 중량% 함유하는 고형분을 수득한다(제 1 공정). 다음에, 이 고형분 100 중량부당 물을 40 중량부의 비율로 분무하면서 교반하여 함수물을 수득한다(제 2 공정). 마지막으로, 이 함수물로부터 1KPa 의 감압하에 80℃에서 추출용제를 증류시켜 제거하고 본 발명의 식품재료를 수득한다.
2) 상기한 1)에 있어서의 물 40 중량부 대신에 물/에틸알코올=100/80(중량비)의 에틸알코올 수용액 72 중량부를 사용하고, 그 이외에는 상기 1) 과 동일하게 하여 본 발명의 식품재료를 수득한다.
3) 상기한 1) 에 있어서의 물 40 중량부 대신에 물/에틸알코올=100/120(중량비)의 에틸알코올 수용액 88 중량부를 사용하고, 그 이외에는 상기 1) 과 동일하게 하여 본 발명의 식품재료를 수득한다.
4) 상기한 1) 에 있어서의 물 40 중량부 대신에 pH 7.1 의 완충수 40 중량부를 사용하고, 그 이외에는 상기 1) 과 동일하게 하여 본 발명의 식품재료를 수득한다.
5) 상기한 1) 에 있어서의 물 40 중량부 대신에 pH 8.8의 완충수/에틸알코올=100/100(중량비)의 에틸알코올 수용액 80 중량부를 사용하고, 그 이외에는 상기 1) 과 동일하게 하여 본 발명의 식품재료를 수득한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부는 중량부를, %는 중량%를 의미한다.
실시예
시험구분 1 (제 2 공정에서 물을 사용할 경우의 식품재료의 제조, 그 분석 및 평가)
식품재료의 제조
다음의 각 예의 식품재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우선, 시판하는 탈피 참깨 종자를 롤압편기에 의해 파쇄하고, 그 파쇄물 1kg을 교반기가 붙어 있는 용기에 넣어 헥산 1ℓ를 가하고 50℃ 의 온도에서 1 시간교반한후, 내용물을 실온하에서 흡인여과기에 걸어 고형분과 용액분으로 분리하였다. 여기에서 수득한 고형분의 추출용제 함유율은 1.5% 였다(제 1 공정). 다음에, 이 고형분 200g 에 물 80g을 분무하고 교반하여 함수물을 수득하였다(제 2 공정). 마지막으로, 이 함수물 280g 을 진공건조기로 옮긴후 1KPa의 감압하, 80℃에서 5 시간에 걸쳐 추출용제를 증류시켜 제거하고 식품재료 180g 을 수득하였다(제 3 공정).
실시예 2
실시예 1 의 제 3 공정에 있어서, 함수물 280g 을 열풍건조기에 옮긴후, 80℃에서 7 시간 정치상태에서 추출용제를 증류시켜 제거하고, 그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식품재료 184g 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 의 제 2 공정에 있어서, 물 80g 대신에 물 120g 으로 하고, 그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식품재료 180g 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4
우선, 시판하는 탈피 참깨 종자 1kg 을 압착기(expeller)에 의해 압착하고, 그 압착 잔사(잔류지분 30%) 1kg 을 교반기가 붙어 있는 오토클레이브에 넣고 헥산 1ℓ를 가하여 1MPa 의 가압하, 100℃ 의 온도에서 1 시간 교반한후, 내용물을 실온하에서 원심분리기에 걸어 고형분과 용액분으로 분리하였다. 여기에서 수득한 고형분의 추출용제 함유율은 4.3% 였다(제 1 공정). 다음에, 이 고형분 200g 에 물 180g 을 분무하고 교반하여 함수물을 수득하였다(제 2 공정). 마지막으로, 이 함수물 280g 을 열풍건조기로 옮긴후, 110℃에서 4 시간 정치상태에서 추출용제를 증류시켜 제거하고 식품재료 172g 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 의 제 1 공정에서 수득한 고형분을 제 2 공정을 경유하지 않고 그대로 진공건조기에 옮긴후 1KPa 의 감압하, 80℃에서 5 시간동안 추출용제를 증류시켜 제거하였으나, 이 시점에서 340ppm 의 잔류 헥산이 검출되었기 때문에 추가로 감압하, 150℃에서 3 시간동안 계속 추출용제를 증류시켜 제거하고 식품재료 177g 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 의 제 1 공정에 있어서, 흡인여과 대신에 자연여과를 행하고 추출용제 함유율 20% 의 고형분을 수득하였다. 이 고형분에 대하여 실시예 1 과 동일한 제 2 공정 및 제 3 공정을 경유하였다. 그러나, 제 3 공정에 있어서 1KPa의 감압하, 80℃에서 5 시간동안 추출용제를 증류시켜 제거하였으나, 이 시점에서 230ppm 의 잔류 헥산이 검출되었기 때문에 추가로 감압하, 150℃에서 3 시간동안 계속 추출용제를 증류시켜 제거하고 식품재료 144g 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1 의 제 3 공정에 있어서 추출용제의 증류제거를 1KPa 의 감압하, 80℃에서 5 시간 행하는 대신에 상압하, 150℃에서 3 시간 행하고, 그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식품재료 177g 을 수득하였다.
제조한 식품재료의 분석 및 평가
제조한 각 예의 식품재료에 대하여 그들의 분석 및 평가를 하기의 방법에 의해 행하여 잔류 헥산, 세서미놀 3 배당체 및 수분을 분석하고, 또한 색조를 측정하며 추가로 향기, 맛 및 식감을 관능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1 및 표 2 에 나타냈다.
잔류헥산
각 예의 식품재료 3g 을 2, 2, 4-트리메틸펜탄 30㎖ 와 증류수 20㎖ 와의 혼합액으로 분산하였다. 이 분산물을 2, 2, 4-트리메틸펜탄이 증류되는 조건하에서 증류하여 헥산과 2, 2, 4-트리메틸펜탄과의 혼합액 20㎖ 을 증류하였다. 이 혼합액에 내부표준으로서 노르말 도데칸 1000ppm 을 가한 후, 2, 2, 4-트리메틸펜탄으로 25㎖ 에 메스업하여 분석시료로 하였다. 이 분석시료를 하기의 조건에서 가스크로마토그래피로 잔류 핵산을 분석하였다. 또한, 측정치가 신뢰한계의 5ppm 이하인 경우에는 검출되지 않는다고 표시하였다. 검출되지 않는다고 표시한 식품재료는 실질적으로 추출용제로서 사용한 헥산을 함유하고 있지 않음을 의미한다.
가스크로마토그래피의 조건
고정상 : 가스크로공업사제의 TC-1
칼럼 지름 : 0.53mm, 칼럼 길이 : 30m
캐리어 가스 : 질소, 캐리어 가스 유속 : 6㎖/분
주입구 온도 : 150℃ 검출기 온도 : 200℃
칼럼 온도 : 50℃ 에 8 분간 유지한 후 1 분동안에 10℃ 의 승온속도로 200℃ 까지 승온, 200℃에서 2 분간 유지
검출기 : FID
검량선용 표준액 : 헥산성분으로서 2-메틸펜탄, 3-메틸펜탄, 노르말헥산 및 메틸사이클로펜탄올, 또한 내부표준으로서 노르말 도데칸을 각각 사용하고, 이들을 2, 2, 4-트리메틸펜탄으로 소정 농도로 희석하여 검량선용 표준액으로 하였다. 또한, 잔류 헥산은 2-메틸펜탄, 3-메틸펜탄, 노르말헥산 및 메틸사이클로펜탄의 합계량으로 표시하였다.
세서미놀 3 배당체
각 예의 식품재료 50g 을 교반기가 붙은 용기에 넣고 80% 에탄올 수용액 250㎖ 를 가하여 실온에서 12 시간 교반하였다. 불용물을 원심분리하고 상등액을 수득하였다. 이 상등액을 밀리포어필터로 여과하여 그 여액을 세서미놀 3 배당체의 분석시료로 하였다. 이 분석시료를 하기의 조건으로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에 걸어 세서미놀 3 배당체를 분석하였다. 또한, 표준시료로서의 세서미놀 3 배당체는 Phytochemistry 35 권, 773∼776(1994) 에 기재된 방법으로 수득한 것을 사용하였다.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의 조건
고정상 : 노무라(野村)화학사제의 데베로실 ODS-10
칼럼 지름 : 6mm, 칼럼 길이 : 250mm
전개용제 : 30% 메틸알코올 수용액으로부터 80% 메틸알코올 수용액까지 40 분동안의 선형구배
전개용제유량 : 1㎖/분
검출기 : UV (290nm)
색조
각 예의 식품재료에 대하여 색채색차계(미놀타카멜라사제의 CR-100)로 L 값, a 값, b 값을 측정하였다. 측정은 3 회 행하고 평균치를 표시하였다.
관능평가
각 예의 식품재료에 대하여 향기, 맛 및 식감을 하기의 50 인의 평가인단에 의해 관능평가하였다. 평가는 1 내지 5 점의 5 점법으로 행하고, 평가 점수는 양호한 것일수록 높은 점수로 하였다. 각 평가항목마다 50 인의 평가인단의 평가결과를 집계하여 그 평균치 및 표준편차를 표시하였다.
평가인단 : 20 세∼29 세의 남성 6 명과 여성 6 명, 30 세∼39 세의 남성 7 명과 여성 7 명, 40 세∼49 세의 남성 5 명과 여성 5 명, 50 세∼59 세의 남성 4 명과 여성 4 명, 60 세∼69 세의 남성 3 명과 여성 3 명, 이상 합계 50 명.
표 1.
표 1 에 있어서,
* 1 : 용제의 증류제거를 1KPa 의 감압하에서 행하였다. 이하 동일.
첨가수량 : 제 1 공정에서 수득한 고형분 100 부에 대한 물의 첨가량. 이하 동일.
** : 표 2 의 비교예 1 에 대하여 각 실시예가 1% 이하의 위험율로 유의적임을 나타낸다. 이하 동일.
표 2.
표 2 에 있어서,
* 2 : 용제의 증류제거를 1KPa 의 감압하, 80℃에서 5 시간 행한후에 추가로 상압하 150℃에서 3 시간 행하였다.
시험구분 2 (제 2 공정에서 에틸알코올 수용액을 사용할 경우의 식품재료의 제조, 그 분석 및 평가)
다음 각 예의 식품재료를 제조하고 이들을 시험구분 1 과 동일하게 분석 및 평가하여 결과를 표 3 에 나타냈다.
실시예 5 및 6
실시예 1 의 제 2 공정에 있어서의 물 80g 대신에 실시예 5 에서는 물/에틸알코올=80/64(중량비)의 에틸알코올 수용액 144g 을, 또한 실시예 6 에서는 물/에틸알코올=80/96(중량비)의 에틸알코올 수용액 176g 을 사용하고, 그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5 에서는 식품재료 181g 을, 또한 실시예 6 에서는 식품재료 180g 을 수득하였다.
표 3.
표 3 에 있어서,
에틸알코올의 비율 : 물 100 중량부에 대한 에틸알코올의 첨가량, 이하 동일.
시험구분 3 (제 2 공정에서 완충수를 사용할 경우의 식품재료의 제조, 그 분석 및 평가)
다음 각 예의 식품재료를 제조하고 이들을 시험구분 1 과 동일하게 분석 및 평가하여 결과를 표 4 에 나타냈다.
실시예 7 및 8
실시예 1 의 제 2 공정에 있어서의 물 80g 대신에 실시예 7 에서는 인산이수소칼륨-수산화나트륨 완충액에 의해 pH 7.1 로 한 완충수 80g 을, 또한 실시예 8 에서는 글리신 ·염화나트륨-수산화나트륨 완충액에 의해 pH 8.8 로 한 완충수/에틸알코올=80/80(중량비)의 에틸알코올 수용액 160g 을 사용하고, 그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7 에서는 식품재료 182g 을, 또한 실시예 8 에서는 식품재료 181g 을 수득하였다.
표 4.
이미 명확하듯이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는 실질적으로 추출용제를 함유하지 않고 참깨 종자로부터의 세서미놀 3 배당체를 고농도로 함유하고 있으며, 또한 식품재료로서 우수한 색조, 향미 및 식감을 갖는 신규한 식품재료를 수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하기의 제 1 공정, 제 2 공정 및 제 3 공정을 거쳐 수득되는 참깨 종자로부터의 세서미놀 3배당체를 함유하는 참깨 종자 가공품.
    제 1 공정: 탈피 참깨 종자를 120℃ 이하의 온도로 추출용제로서 지방족 탄화수소를 사용하여 추출처리하고, 그 추출계로부터 용액분을 제거하여 그 추출용제를 10중량% 이하의 비율로 함유하는 고형분을 수득하는 공정,
    제 2 공정: 제 1 공정에서 수득한 고형분에 물을 가하여 함수물을 수득하는 공정,
    제 3 공정: 제 2 공정에서 수득한 함수물로부터 20 내지 120℃의 온도에서 잔류하는 추출용제를 증류시켜 제거하고, 실질적으로 추출용제를 함유하지 않고 또한 건조물(乾物)1g 당 세서미놀 3 배당체를 3.0mg 이상의 비율로 함유하는 참깨 종자 가공품을 수득하는 공정.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공정에 있어서 물과 함께 몰 100 중량부당 50 내지 200 중량부의 비율로 에틸알코올을 가하는 참깨 종자로부터의 세서미놀 3 배당체를 함유하는 참깨 종자 가공품.
  3.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제 2 공정에 있어서 물로서 pH 7 내지 9의 완충수를 사용하는 참깨 종자로부터의 세서미놀 3 배당체를 함유하는 참깨 종자 가공품.
KR1019960042931A 1995-10-02 1996-09-30 참깨종자로부터유도된세서미놀3배당체를함유하는식품재료 KR1004070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79697/1995 1995-10-02
JP27969795A JP3618857B2 (ja) 1995-10-02 1995-10-02 ゴマ種子処理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1088A KR970021088A (ko) 1997-05-28
KR100407066B1 true KR100407066B1 (ko) 2004-03-20

Family

ID=17614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2931A KR100407066B1 (ko) 1995-10-02 1996-09-30 참깨종자로부터유도된세서미놀3배당체를함유하는식품재료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846593A (ko)
JP (1) JP3618857B2 (ko)
KR (1) KR100407066B1 (ko)
CN (1) CN1083250C (ko)
AU (1) AU701128B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80001A (ja) * 1997-09-08 1999-03-23 Toshihiko Osawa 高脂血症予防剤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71081A1 (en) * 1990-02-20 1992-02-19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Production and use of antioxidant glycoside
JPH06306093A (ja) * 1993-02-25 1994-11-01 Takemoto Oil & Fat Co Ltd セサミノール配糖体、これを含有する胡麻処理物及びこれらの製造方法
JPH07107939A (ja) * 1993-10-12 1995-04-25 Nisshin Oil Mills Ltd:The 肥満予防剤
JPH07145066A (ja) * 1993-11-22 1995-06-06 Nisshin Oil Mills Ltd:The リグナン配糖体およびリグナン類の製造法
KR950026406A (ko) * 1994-03-08 1995-10-16 김광희 참깨에 함유되어 치는 천연 항산화성 성분의 분리방법
KR970000236A (ko) * 1995-06-14 1997-01-21 천연 항산물질로서 세사민의 추출방법 및 그 세사민 함유조성물의 사용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93535A (en) * 1974-10-30 1976-11-23 Dravo Corporation Multiple effect evaporation process
US5606035A (en) * 1994-01-25 1997-02-25 Kawakishi; Shunrou Sesaminol glucoside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71081A1 (en) * 1990-02-20 1992-02-19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Production and use of antioxidant glycoside
JPH06306093A (ja) * 1993-02-25 1994-11-01 Takemoto Oil & Fat Co Ltd セサミノール配糖体、これを含有する胡麻処理物及びこれらの製造方法
JPH07107939A (ja) * 1993-10-12 1995-04-25 Nisshin Oil Mills Ltd:The 肥満予防剤
JPH07145066A (ja) * 1993-11-22 1995-06-06 Nisshin Oil Mills Ltd:The リグナン配糖体およびリグナン類の製造法
KR950026406A (ko) * 1994-03-08 1995-10-16 김광희 참깨에 함유되어 치는 천연 항산화성 성분의 분리방법
KR970000236A (ko) * 1995-06-14 1997-01-21 천연 항산물질로서 세사민의 추출방법 및 그 세사민 함유조성물의 사용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Phytochemistry 1994 Feb;35(3):773-6 *
농업과학논문집 v.36-1, 199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6799296A (en) 1997-04-10
JP3618857B2 (ja) 2005-02-09
KR970021088A (ko) 1997-05-28
US5846593A (en) 1998-12-08
CN1152411A (zh) 1997-06-25
AU701128B2 (en) 1999-01-21
CN1083250C (zh) 2002-04-24
JPH0998750A (ja) 1997-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33936B2 (en) Dried flakes with active ingredients
EP1239734A1 (en) Antioxidant compositions extracted from olives and olive by-products
US3920815A (en) Taste-modifying composition
WO1993006190A1 (en) Antioxidant oleoresin compositions and a process for their production
FR2643073A1 (fr) Procede de preparation d'extraits polyphenoliques de type flavane-3-ol purifies et extraits obtenus
CN110475478B (zh) 切断/分级分离植物起始材料中成分的工艺经济的方法及其生产和用途
WO1999025197A1 (en) Fenugreek compositions having reduced taste and odor and methods of use
KR100407066B1 (ko) 참깨종자로부터유도된세서미놀3배당체를함유하는식품재료
JP2821946B2 (ja) アントシアニン系色素の精製方法
JP3845923B2 (ja) 食品用ビタミンk補給組成物の製造方法
CN109562054A (zh) 栗皮提取物
DE2436130C3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Extrakten, die die den Geruch und den Geschmack bildenden Bestandteile von Pflanzen bzw. Blüten und Nahrungsmitteln enthalten
JPH10136968A (ja) アルコール性飲料
JP2014097932A (ja) ゴマ由来の水熱処理抽出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利用物品
KR102645351B1 (ko) 감귤 꽃을 이용한 천연 식품향료 및 이의 제조방법
DE10227151A1 (de) Extrakt aus Nebenprodukten der Schalenobst- und Hülsenfruchtverarbeitung,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nd dessen Verwendung
JP4306987B2 (ja) 表面硬質の固形物からの有効成分の抽出法および該有効成分を含有する食用組成物
EP3599901A1 (de) Verfahren zur desintegration/separation sowie aufschluss von pflanzlichen hüllmaterialien und konstituenten zur gewinnung und herstellung von pflanzeninhaltsstoffen und pflanzlichen faserprodukten
US3824323A (en) Method of preparing taste-modifying composition
JP4677393B2 (ja) 精製クチナシ抽出物
JP3675095B2 (ja) セサミノール3配糖体を含有する胡麻種子由来の食品材料
JP7273427B1 (ja) 水溶性こんにゃく芋抽出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663393B2 (ja) ピノレジノール配糖体及びこれを用いる脂質の酸化防止方法
JP4451055B2 (ja) こんにゃく芋抽出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137211A (ja) 風味の改良されたギムネマシルベスタエキスおよびそ の製造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