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4806B1 - 공중합체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발수발유제 - Google Patents

공중합체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발수발유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4806B1
KR100404806B1 KR10-2000-0069443A KR20000069443A KR100404806B1 KR 100404806 B1 KR100404806 B1 KR 100404806B1 KR 20000069443 A KR20000069443 A KR 20000069443A KR 100404806 B1 KR100404806 B1 KR 1004048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rylate
methacrylate
ococh
copolymer composition
oco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9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1962A (ko
Inventor
하타나카타카히로
이케바타카즈히코
미도리코지
Original Assignee
닛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81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19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4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48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22Esters containing halogen
    • C08F220/24Esters containing halogen containing perhaloalkyl rad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22Esters containing hal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12Polymerisation in non-solvents
    • C08F2/16Aqueous mediu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26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Salts or esters thereof
    • D06M15/27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Salts or esters thereof containing fluorin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200/00Functionality of the treatment composition and/or properties imparted to the textile material
    • D06M2200/10Repellency against liquids
    • D06M2200/11Oleophobic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200/00Functionality of the treatment composition and/or properties imparted to the textile material
    • D06M2200/10Repellency against liquids
    • D06M2200/12Hydrophobic propert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terials Applied To Surfaces To Minimize Adherence Of Mist Or Water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Abstract

플루오로알킬기를 가지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과, 플루오로알킬기를 가지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와 공중합가능하며 불소를 함유하지 않은 단량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을, 3-메틸-3-메톡시부탄올을 함유하는 수성액중에서 유화중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공중합체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공중합체조성물을 포함하는 발수발유제.

Description

공중합체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발수발유제 {Process for production of copolymer composition and water-repellent, oil-repellent agent}
본 발명은, 공중합체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발수발유제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인화점이 높아 인화 위험성이 낮고, 안정한 수성분산액을 형성할 수 있으며, 피처리물에 대해 고도의 발수발유성을 부여하는 것을 가능하도록 하는 공중합체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러한 공중합체 조성물을 함유하는 발수발유제에 관한 것이다.
플루오로알킬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레이트화합물을 단량체로 하여 얻어지는 중합체의 수성분산액을 포함하는 발수발유제가 종래기술로서 알려져 있다. 수성분산액인 이 발수발유제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유기용매를 사용하는 유화중합에 의해 합성을 행할 필요가 있는데, 이 때 사용되는 유기용매는 상기 단량체와의 상용성의 관점에서 아세톤과 같은 저비점의 용제를 사용하지 않으면 안되며, 그 때문에 얻어지는 중합체조성물의 인화점이 낮아져, 이러한 위험을 상쇄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60-40182호에는 아세톤대신에 포화다가알콜을 용매로 사용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으로 얻어지는 수성분산액은, 안정성 및 발수발유성이 공히 충분하지 않으며, 또 단량체에 대해 60~100중량%에 달하는 양의 포화다가알콜을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비용적인 측면에서도 불리하다.
또,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5-263070호에는, 단량체에 가용인 글리콜에테르나 글리콜에스테르 등의 유기용제를 용매로 하여 중합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 있어서도, 전형적인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등은 마취성이 있어, 인체에의 악영향을 방지하는 등의 노동안전위생면에서의 충분한 대응을 취할 필요가 있어, 범용성이 부족하다.
본 발명은, 충분한 발수발유성을 가지며, 인화 등의 위험성이 적고, 또 인체나 환경에의 악영향이 적은 수분산성의 발수발유제로서 유용한 공중합체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공중합체조성물을 이용한 발수발유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상기 과제에 대해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본 발명자들은 상기 단량체를 사용하여 유화중합함에 있어서, 용매로서 3-메틸-3-메톡시부탄올을 포함하는 수성액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발견하여, 이러한 지견을 기초로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은 플루오로알킬기를 가지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과, 상기 플루오로알킬기를 가지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와 공중합가능하며 불소를 포함하지 않는 단량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을, 3-메틸-3-메톡시부탄올을 함유하는 수성액중에서 유화중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공중합체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러한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공중합체조성물을 함유하는 발수발유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플루오로알킬기를 가지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플루오로알킬기의 탄소수가 3~21인 것이 바람직하며, 6~18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플루오로알킬기를 가지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로서 바람직한 것은, 예컨대 다음과 같은 화합물을 들 수 있다.
1. CF3(CF2)4CH2OCOC(CH3)=CH2
2. CF3(CF2)7(CH2)2OCOC(CH3)=CH2
3. CF3(CF2)7(CH2)2OCOCH=CH2
4. (CF3)2CF(CF2)4(CH2)2OCOCH=CH2
5. CF3(CF2)7SO2N(C3H7)(CH2)2OCOCH=CH2
6. CF3(CF2)7(CH2)4OCOCH=CH2
7. CF3(CF2)7SO2N(CH3)(CH2)2OCOC(CH3)=CH2
8. CF3(CF2)7SO2N(C2H5)(CH2)2OCOCH=CH2
9. CF3(CF2)7CONH(CH2)2OCOCH=CH2
10. (CF3)2CF(CF2)6(CH2)3OCOCH=CH2
11. (CF3)2CF(CF2)6CH2CH(OCOCH3)OCOC(CH3)=CH2
12. (CF3)2CF(CF2)6CH2CH(OH)CH2OCOCH=CH2
13. CF3(CF2)9(CH2)2OCOCH=CH2
14. CF3(CF2)9(CH2)2OCOC(CH3)=CH2
15. CF3(CF2)9CONH(CH2)2OCOC(CH3)=CH2
16. (CF2Cl)(CF3)CF(CF2)7CONH(CH2)2OCOCH=CH2
17. H(CF2)10CH2OCOCH=CH2
18. (CF2Cl)(CF2)10CH2OCOC(CH3)=CH2
19. (CF2Cl)(CF3)CF(CF2)7(CH2)2OCOCH=CH2
본 발명에 있어 사용되는 플루오로알킬기를 가지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와 공중합가능하며 불소를 포함하지 않는 단량체에는 특별히 제한이 없지만, 그들의 예로는, 라우릴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 스테아릴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타크릴레이트, 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아지리디닐아크릴레이트, 아지리디닐메타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3-클로로-2-히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벤질아크릴레이트, 벤질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산에스테르 및 메타크릴산에스테르;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N-메틸올아크릴아미드, N-메틸올메타크릴아미드, 디아세톤아크릴아미드, 디아세톤메타크릴아미드, 메틸올화 디아세톤아크릴아미드 등의 아크릴아미드 및 메타크릴아미드; 기타 말레산알킬에스테르, 프탈산알킬에스테르, 알킬렌디올아크릴레이트, 알킬렌디올디메타크릴레이트, 염화비닐, 염화비닐리덴, 에틸렌, 초산비닐, 스티렌, α-메틸스티렌, β-메틸스티렌, 비닐알킬에테르, 할로겐화 알킬비닐에테르, 비닐알킬케톤, 시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 말레산무수물, 부타디엔, 이소프렌, 클로로프렌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공중합체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상기 예시된 것과 같은 플루오로알킬기를 가지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과, 상기 플루오로알킬기를 가지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와 공중합가능하며 불소를 함유하지 않는 단량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을 물에 유화시킬 때, 3-메틸-3-메톡시부탄올을 첨가하여, 이 수성액중에서 유화중합함으로써 공중합체조성물을 얻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공중합체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용매로서 상기의 물, 3-메틸-3-메톡시부탄올 이외에, 종래부터 유화중합시에 사용되고 있는 수용성 케톤, 에스테르 또는 에테르류의 용매를 병용할 수도 있지만, 이들 유기용매를 사용하면 인화점이낮아질 염려가 있기 때문에, 이들 용매의 사용은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하지 않을 정도로 한정할 필요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유화중합에서 사용되는 유기용매의 양은 유화중합에 사용되는 전체 단량체 100중량부에 대해 60~100중량부 정도가 필요하였다. 그렇지만, 본 발명의 공중합체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유화중합시의 유화분산상태가 비약적으로 개선되기 때문에, 유기용매의 사용량을 대폭 줄일 수가 있어, 유화중합에 사용되는 전단량체 100중량부에 대해서 10~50중량부로 유화중합이 가능하게 되며, 이렇게 해서 얻어지는 공중합체조성물은 안정한 유화분산액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 공중합체조성물을 발수발유제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환경오염에의 염려가 경감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얻어지는 공중합체조성물에 있어서, 플루오로알킬기를 가지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의 비율은, 전체 단량체 100중량부에 대해서 30중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40~80중량부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이 플루오로알킬기를 가지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와 공중합가능하며 불소를 포함하지 않는 단량체의 비율은, 전체 단량체 100중량부에 대해서 70중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60~20중량부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공중합체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유화중합시에 사용되는 계면활성제, 중합개시제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종래부터 유화중합에 사용되고 있는 유화제인 비이온계면활성제, 음이온계면활성제, 양이온계면활성제 또는 양성계면활성제 등의 계면활성제는 모두 사용가능하다. 중합개시제로서는, 유기과산화물, 아조화합물, 과황산염 등의 중합개시제나, 나아가서는 γ선과 같은 전리성 방사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수발유제는, 피처리물의 종류에 따라 적의 선택된 임의의 방법으로 피처리물에 처리할 수 있다. 예컨대, 침지법, 도포법, 스프레이법 등에 의해 피처리물의 표면에 발수발유제를 부착시키고, 건조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 필요에 따라서는 적당한 가교제를 병용하고, 큐어링을 실시하여 피처리물에 고착시킬 수도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발수발유제에는, 필요에 따라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다른 발수제나 발수발유제를 병용하여도 되며, 또 방충제, 난연제, 대전방지제, 염료안정제, 방추제 등의 다른 가공약제를 병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발수발유제로 처리되는 피처리물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각종재료의 것이 포함된다. 예컨대, 섬유제품, 유리, 종이, 나무, 피혁, 모피, 플라스틱, 도장면, 석고 등을 들 수 있다. 섬유제품으로는 면, 마, 양모, 견 등의 천연섬유,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비닐알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우레탄 등의 합성섬유, 레이온, 아세테이트, 트리아세테이트 등의 반합성섬유, 유리섬유, 탄소섬유, 석면섬유 등의 무기섬유, 또는 이들의 2종 이상의 섬유로 이루어지는 복합섬유 등을 들 수 있다. 섬유제품의 형태로는 섬유, 사, 직물, 편물, 부직포 등을 들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서는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하등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플루오로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아크릴레이트 및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의 3원공중합체조성물
500㎖ 플라스크에 CnF2n+1CH2CH2COOCH=CH2(n = 6, 8, 10, 12, 14: 평균 8) 85g, 스테아릴아크릴레이트 60g,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5g, 순수 240g, 3-메틸-3-메톡시부탄올 50g, 폴리옥시에틸렌(10몰)라우릴에테르 15g,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6g을 넣어, 45℃에서 교반혼합하고, 초음파에 의해 유화분산시켰다. 다음으로, 아조비스(이소부틸아미딘)이염산염 1.5g을 첨가하고, 50℃에서 4시간 반응시켜 공중합체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 1~3
실시예 1의 3-메틸-3-메톡시부탄올 대신에 표 3에 나타낸 유기용매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수순으로 공중합체조성물을 얻었다.
하기의 방법으로 실시예 1 및 비교예 1~3의 공중합체조성물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인화점
JIS K-2265에 준하여 공중합체조성물의 인화점을 측정하였으며,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안정성
공중합체조성물을 45℃에서 2주간 보존하였을 때의 안정성을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으며,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 : 외관 변화가 없는 것
× : 유화중합품에 침강, 분리가 인지된 것
발수발유성 평가용 시료
면포를 실시예 1 또는 비교예 1, 2 또는 3의 공중합체조성물의 2중량% 수성액에 패딩처리(픽업: 50%)한 후, 120℃에서 1분간 건조하고, 160℃에서 1분간 열처리하여, 발수 및 발유성의 평가에 제공하였다.
발수성
JIS L-1092의 스프레이법에 의해 발수성을 평가하였다. 평가기준으로는 표 1에 기재된 5~1의 5단계 평가를 사용하였으며,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발수성 상태
5 표면에 부착습윤이 없는 것
4 표면에 약간의 부착습윤을 나타내는 것
3 표면에 부분적 습윤을 나타내는 것
2 표면에 습윤을 나타내는 것
1 표면 전체에 습윤을 나타내는 것
발유성
표 2에 나타낸 시험용액을 시료포상의 2개소에 수차 적하하여 두고(직경: 약 4㎜), 30초 후의 침투상태에 의해 판정하였다(AATCC-TM118-1966법).
판정의 결과는 표 3에 나타내었다.
발유성 시험용액 표면장력(dyne/㎝ 25℃)
8 n-헵탄 20.0
7 n-옥탄 21.8
6 n-데칸 23.5
5 n-도데칸 25.0
4 n-테트라데칸 26.7
3 n-헥사데칸 27.3
2 n-헥사데칸/Nujol (35/65) 혼합용액 29.6
1 Nujol 31.2
0 1 미만
표 2에서의 Nujol은 액체 파라핀이다.
또, 표 3에 있어서, 발유성의 "+" 표는 성능이 그 값보다 약간 양호하다는 것을 나타내며, "-" 표는 성능이 그 값보다 약간 떨어지는 것을 나타낸다.
유기용매 인화점 안정성 발수 및 발유성
초기 L-5 후
WR OR WR OR
실시예 1 3-메틸-3-메톡시부탄올 100℃ 5 3 4 2
비교예 1 아세톤 15℃ × 5 3+ 4 2+
비교예 2 트리프로필렌글리콜 100℃ × 4 2 3 1
비교예 3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100℃ 4 2 3 1
표 3에 있어서, OR은 발유성을 나타내고, WR은 발수성을 나타내며, L-5는 JIS L-0217-103법에 의한 세탁 5회를 나타낸다.
실시예 2
플루오로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및 염화비닐 4원공중합체조성물
500㎖ 플라스크에 CnF2n+1CH2CH2COOCH=CH2(n = 6, 8, 10, 12, 14: 평균 8) 100g, 스테아릴아크릴레이트 15g,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3g, 순수 250g, 3-메틸-3-메톡시부탄올 50g, 폴리옥시에틸렌(10몰)라우릴에테르 18g,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4g을 넣어, 45℃에서 교반혼합하고, 초음파에 의해 유화분산시켰다. 얻어진 유화물을 1000㎖ 오토클레이브에 넣고, 아조비스(이소부틸아미딘)이염산염 1.5g을 첨가하였다. 오토클레이브를 밀봉한 후, 염화비닐 20g을 불어넣고, 60℃에서 6시간 반응시켜 공중합체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 4~6
실시예 2의 3-메틸-3-메톡시부탄올 대신에 표 4에 나타낸 유기용매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수순으로 공중합체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2 및 비교예 4~6의 공중합체 조성물을 사용하여, 인화점, 안정성, 발수 및 발유성을 상기와 동일하게 평가하여,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또, 발수 및 발유성 평가의 시료는, 다음과 같이 준비하였다.
발수 및 발유성 평가용 시료
폴리에스테르포를 실시예 2 또는 비교예 4, 5 또는 6의 공중합체조성물의 2중량% 수용액으로 패딩처리(픽업: 50%)한 후, 120℃에서 1분간 건조하고, 180℃에서 30초간 열처리하여, 발수 및 발유성의 평가에 제공하였다.
표 4에 있어서, 발수성의 "+" 표는 성능이 그 값보다 약간 양호한 것을 나타내며, "-" 표는 성능이 그 값보다 약간 떨어지는 것을 나타낸다.
유기용매 인화점 안정성 발수 및 발유성
초기 L-5 후
WR OR WR OR
실시예 2 3-메틸-3-메톡시부탄올 100℃ 5 6 4 4
비교예 4 아세톤 15℃ × 5 6 4 4
비교예 5 트리프로필렌글리콜 100℃ × 4+ 5 3 2
비교예 6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100℃ 4- 6- 3 3
표 4에 있어서, OR은 발유성을 나타내고, WR은 발수성을 나타내며, L-5는JIS L-0217-103법에 의한 세탁 5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의하여 신규한 공중합체조성물을 얻을 수 있는데, 이 조성물은 충분한 발수발유성을 가지며, 인화 등의 위험성이 적고, 또 인체나 환경에의 악영향이 적은 수분산성의 발수발유제로서 유용하다.

Claims (7)

  1. 적어도 하나의 플루오로알킬기를 가지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루오로알킬기를 가지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와 공중합가능하며 불소를 포함하지 않는 단량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을, 3-메틸-3-메톡시부탄올을 함유하는 수성액중에서 유화중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공중합체조성물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루오로알킬기를 가지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의 탄소수가 3 내지 2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합체조성물의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루오로알킬기를 가지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는,
    CF3(CF2)4CH2OCOC(CH3)=CH2,
    CF3(CF2)7(CH2)2OCOC(CH3)=CH2,
    CF3(CF2)7(CH2)2OCOCH=CH2,
    (CF3)2CF(CF2)4(CH2)2OCOCH=CH2,
    CF3(CF2)7SO2N(C3H7)(CH2)2OCOCH=CH2,
    CF3(CF2)7(CH2)4OCOCH=CH2,
    CF3(CF2)7SO2N(CH3)(CH2)2OCOC(CH3)=CH2,
    CF3(CF2)7SO2N(C2H5)(CH2)2OCOCH=CH2,
    CF3(CF2)7CONH(CH2)2OCOCH=CH2,
    (CF3)2CF(CF2)6(CH2)3OCOCH=CH2,
    (CF3)2CF(CF2)6CH2CH(OCOCH3)OCOC(CH3)=CH2,
    (CF3)2CF(CF2)6CH2CH(OH)CH2OCOCH=CH2,
    CF3(CF2)9(CH2)2OCOCH=CH2,
    CF3(CF2)9(CH2)2OCOC(CH3)=CH2,
    CF3(CF2)9CONH(CH2)2OCOC(CH3)=CH2,
    (CF2Cl)(CF3)CF(CF2)7CONH(CH2)2OCOCH=CH2,
    H(CF2)10CH2OCOCH=CH2,
    (CF2Cl)(CF2)10CH2OCOC(CH3)=CH2
    (CF2Cl)(CF3)CF(CF2)7(CH2)2OCOCH=CH2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합체조성물의 제조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루오로알킬기를 가지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와 공중합가능하며 불소를 함유하지 않는 단량체는,
    라우릴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 스테아릴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타크릴레이트, 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아지리디닐아크릴레이트, 아지리디닐메타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3-클로로-2-히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벤질아크릴레이트 및 벤질메타크릴레이트와 같은 아크릴산에스테르 및 메타크릴산에스테르;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N-메틸올아크릴아미드, N-메틸올메타크릴아미드, 디아세톤아크릴아미드, 디아세톤메타크릴아미드 및 메틸올화 디아세톤아크릴아미드와 같은 아크릴아미드 및 메타크릴아미드;
    말레산알킬에스테르, 프탈산알킬에스테르, 알킬렌디올아크릴레이트, 알킬렌디올디메타크릴레이트, 염화비닐, 염화비닐리덴, 에틸렌, 초산비닐, 스티렌, α-메틸스티렌, β-메틸스티렌, 비닐알킬에테르, 할로겐화 알킬비닐에테르, 비닐알킬케톤, 시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 말레산무수물, 부타디엔, 이소프렌 및 클로로프렌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합체조성물의 제조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루오로알킬기를 가지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와 공중합가능하며 불소를 함유하지 않는 단량체는,
    라우릴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 스테아릴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타크릴레이트, 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아지리디닐아크릴레이트, 아지리디닐메타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3-클로로-2-히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벤질아크릴레이트 및 벤질메타크릴레이트와 같은 아크릴산에스테르 및 메타크릴산에스테르;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N-메틸올아크릴아미드, N-메틸올메타크릴아미드, 디아세톤아크릴아미드, 디아세톤메타크릴아미드 및 메틸올화 디아세톤아크릴아미드와 같은 아크릴아미드 및 메타크릴아미드;
    말레산알킬에스테르, 프탈산알킬에스테르, 알킬렌디올아크릴레이트, 알킬렌디올디메타크릴레이트, 염화비닐, 염화비닐리덴, 에틸렌, 초산비닐, 스티렌, α-메틸스티렌, β-메틸스티렌, 비닐알킬에테르, 할로겐화 알킬비닐에테르, 비닐알킬케톤, 시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 말레산무수물, 부타디엔, 이소프렌 및 클로로프렌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합체조성물의 제조방법.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제조되는 공중합체 조성물이 발수발유제로서 사용되는 공중합체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합체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00-0069443A 2000-02-22 2000-11-22 공중합체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발수발유제 KR1004048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50464 2000-02-22
JP2000050464A JP2001233906A (ja) 2000-02-22 2000-02-22 共重合体組成物の製造方法及び撥水撥油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1962A KR20010081962A (ko) 2001-08-29
KR100404806B1 true KR100404806B1 (ko) 2003-11-07

Family

ID=18572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9443A KR100404806B1 (ko) 2000-02-22 2000-11-22 공중합체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발수발유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1127898B1 (ko)
JP (1) JP2001233906A (ko)
KR (1) KR100404806B1 (ko)
DE (1) DE60010848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7201A (ko) * 2002-06-20 2003-12-31 니카코리아 (주) 수분산 불소계 발수발유제 및 그 제조방법
CN100404567C (zh) * 2006-12-29 2008-07-23 陕西科技大学 无有机溶剂型含氟无皂乳液的制备方法
CN100413897C (zh) * 2006-12-29 2008-08-27 陕西科技大学 表面活性剂低迁移性能的含氟乳液的制备方法
EP2233633A1 (de) * 2009-03-28 2010-09-29 Huntsman Textile Effects (Germany) GmbH Fluorfreie wässrige Dispersion für die Behandlung von textilen Flächengebilden
JP2011201981A (ja) * 2010-03-25 2011-10-13 Daikin Industries Ltd 撥水撥油剤分散液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9024059B (zh) * 2018-07-27 2021-03-05 西安工程大学 羊毛短纤维湿法毡的加工方法
CN113279257B (zh) * 2021-06-08 2022-04-19 广东德美精细化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无氟防水剂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63070A (ja) * 1992-03-17 1993-10-12 Daikin Ind Ltd 高引火点撥水撥油剤およびその製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0182A (ja) * 1983-08-16 1985-03-02 Asahi Glass Co Ltd 高引火点を有する撥水撥油剤
JPH0674409B2 (ja) * 1985-05-31 1994-09-2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撥水撥油剤水性分散液
FR2722791B1 (fr) * 1994-07-22 1996-09-06 Atochem Elf Sa Procede de fabrication d'emulsions aqueuses de copolymeres fluor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63070A (ja) * 1992-03-17 1993-10-12 Daikin Ind Ltd 高引火点撥水撥油剤およびその製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27898A1 (en) 2001-08-29
DE60010848D1 (de) 2004-06-24
DE60010848T2 (de) 2005-07-28
KR20010081962A (ko) 2001-08-29
JP2001233906A (ja) 2001-08-28
EP1127898B1 (en) 2004-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26849A (en) Aqueous dispersion-type fluorinated water- and oil-repellent
JP6008002B2 (ja) 撥水撥油剤
JP5459219B2 (ja) 含フッ素重合体および撥水撥油剤
US5055538A (en) Novel copolymer and water- and oil-repellent comprising the same
JP5862745B2 (ja) 含フッ素重合体および処理剤
EP2762504A1 (en) Water-repellent and oil-repellent composition
JPWO2009104728A1 (ja) 水性重合体分散組成物および撥水撥油剤
JPS6040182A (ja) 高引火点を有する撥水撥油剤
US6130298A (en) Soil-resistant finish
JP3744035B2 (ja) 安定性に優れる水分散型撥水撥油剤組成物
JPH0617034A (ja) 撥水撥油剤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404806B1 (ko) 공중합체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발수발유제
WO2013058334A1 (ja) 含フッ素組成物
JP2010222382A (ja) 汚れ脱離性を有する含フッ素繊維加工剤
JP5392081B2 (ja) 撥アルコール性および汚れ脱離性を有する含フッ素繊維加工剤
WO2013058336A1 (ja) 含フッ素組成物および表面処理剤
JPS5859277A (ja) 撥水撥油剤
JPH05263070A (ja) 高引火点撥水撥油剤およびその製法
JPH07173772A (ja) 水分散型フッ素系撥水撥油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7683317A (zh) 表面处理剂组合物
KR100550442B1 (ko) 비닐기를 가지는 알킬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한 내구성비염소계 불소발수발유제 및 그 제조방법
JP2968366B2 (ja) 撥水撥油剤組成物
JP2968364B2 (ja) 耐久性の優れた撥水撥油剤および撥水撥油剤組成物
US5242487A (en) Water- and oil-repellant composition
JPH10245783A (ja) 撥水撥油剤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