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7201A - 수분산 불소계 발수발유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수분산 불소계 발수발유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7201A
KR20030097201A KR1020020034467A KR20020034467A KR20030097201A KR 20030097201 A KR20030097201 A KR 20030097201A KR 1020020034467 A KR1020020034467 A KR 1020020034467A KR 20020034467 A KR20020034467 A KR 20020034467A KR 20030097201 A KR20030097201 A KR 200300972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meth
fluorine
oil repellent
acry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4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재
이형달
김희철
정종국
남정윤
주민혁
Original Assignee
니카코리아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카코리아 (주) filed Critical 니카코리아 (주)
Priority to KR1020020034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97201A/ko
Publication of KR20030097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7201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8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for application to surfaces to minimize adherence of ice, mist or water thereto; Thawing or antifreeze materials for application to surfa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22Esters containing haloge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26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Salts or esters thereof
    • D06M15/27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Salts or esters thereof containing fluorin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200/00Functionality of the treatment composition and/or properties imparted to the textile material
    • D06M2200/10Repellency against liquids
    • D06M2200/11Oleophobic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200/00Functionality of the treatment composition and/or properties imparted to the textile material
    • D06M2200/10Repellency against liquids
    • D06M2200/12Hydrophobic propert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terials Applied To Surfaces To Minimize Adherence Of Mist Or Water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분산 불소계 발수발유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발수발유제의 제조공정시 투입되는 유기용제를 비위험물 유기용제로 대체, 사용함으로써 인화점을 상승시켜 화재등의 위험성을 저하시키고, 유기용제의 사용량을 저감시켜 인체나 환경에 악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함을 이루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폴리플로로알킬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와 이러한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하며 불소를 함유하지 않은 단량체, 개시제, 계면활성제를 주요성분으로 하여 유화중합에 의해 생성되며,
상기 수분산 불소계 발수발유제는 하기 화학구조식(1)의 구조를 가지는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 혼합물용매를 사용하여 유화중합에 의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구조식 (1) ---------- HO(C2H4O)m(C3H6O)nH
상기 화학구조식(1)에서 평균분자량은 200이며,
m,n은 0 - 5의 정수를 나타냄

Description

수분산 불소계 발수발유제 및 그 제조방법{Water-based emulsion-type water/oil repellents and their preparation method}
본 발명은 수분산 불소계 발수발유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불소계 발수발유제의 제조공정에서 유화보조용으로 투입되는 유기용제를 비등점이 높은 유기용제로 대체하도록 한 수분산 불소계 발수발유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분산 불소계 발수발유제는,
과불소알킬기를 함유하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와 같은 비닐계 단량체 및 이와 공중합이 가능한 불소를 포함하지 않은 비닐계 단량체를 혼합하여 유화중합 수분산(水分散)공정을 통해 생성된다.
상기와 같이 수분산을 통해 생성되는 불소계 발수발유제는 하기 표 1에서와 같은 다양한 분야에 걸쳐 각종 용도에 걸쳐 활용되는 고부가가치의 정밀화학제품이다.
-하기-
<표 1>
분 야 용도예
도료분야 목재도료, 금속도료, 방청도료, 방수/방오도료, 건축용도료 등
섬유분야 부직포바인더, 카펫보호제, 나염바인더, 기능성첨가제, 계면활성제 등
종이분야 함침, 내침, 라미네이트 등
접착제분야 종이용접착제, 목재용접착제, 수지용접착제, 금속용접착제 등
수지/고무분야 수지개질, 타이어코드접착, 폼라버, 침적 등
토목건축분야 몰탈개질, 코팅제, 건축재접착, 아스팔트개질 등
이상과 같이 다양한 분야에 걸쳐 광범위하게 적용되는 수분산 불소계 발수발유제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유화중합법 과정에서 발수발유제에 적용되는 단량체의 종류에 따라 유화상태를 향상시키기 위해 여러 가지의 유기용제(유기용제)가 적용된다.
이러한 유기용제로는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클로르포름, 1,1,2-트리클로로트리플로로에탄, 에틸아세테이트,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디메틸포름알데하이드 등이 사용되며, 전체 단량체의 40 - 80중량% 정도가 적용된다.
상기 유기용제는 생성된 불소계 발수발유제를 이루는 불소계 단량체와 같은 소수성모노마가 포함된 에멀젼입자의 에멀젼형성을 향상시키고, 에멀젼입자의 미세화에 기여하며, 나아가 발수발유제가 섬유에 적용될 경우 섬유로의 침투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수분산 불소계 발수발유제의 제조과정에 투입되는 유기용제는 소수성 단량체와의 상용성 문제로 인해 아세톤등과 같은 저비점의 용제가 사용되며, 이로 인하여 생성된 발수발유제의 인화점이 낮아 각종 제조공정을 비롯하여 운송시 화재등의 위험성이 존재하였다.
그리하여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일본 공개특허공보 60-40182호에서는 아세톤등에 포화다가알코올을 용매로 사용하는 방법을 제시하였으나, 이와 같은 용매를 통해 생성된 발수발유제는 안정성 및 발수발유성이 충분하지 못하였으며, 나아가 투입되는 용매가 전체 단량체에 대해 60 - 100중량%에 달하는 사용량으로 인해 비경제적인 문제점을 야기하였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5-263070호에서는 단량체에 가용인 글리콜에테르, 글리콜에스테르등의 유기용제를 용매로 사용하여 유화중합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나, 이 역시 전형적인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드등은 마취성이 있어, 작업자 및 사용자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을 안고 있어 범용성이 취약하다.
이와 같이 수분산 불소계 발수발유제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저비점의 유기용제는 각종 안정성결여와 이를 억제하기 위한 대체용매의 과다사용으로 환경오염유발등의 문제점등 제조와 사용상의 취약성을 나타내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아세톤등의 저비점 유기용제를 대체하여 비위험물 유기용제를 사용하여 수분산 불소계 발수발유제를 제조함으로써 화재등의 위험성을 저하시키고, 나아가 인체나 환경에 악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함을 그 목적으로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수분산 불소계 발수발유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폴리플로로알킬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와 이러한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하며 불소를 함유하지 않은 단량체의 혼합물을,
하기 화학구조식(1)의 구조를 가지는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이 함유된 수용액에서 유화중합법을 통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구조식 (1) ---------- HO(C2H4O)m(C3H6O)nH
상기 화학구조식(1)에서 평균분자량은 200이며, m,n은 0 - 5의 정수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을 유기용제로 사용하여 생성되는 본 발명인 수분산 불소계 발수발유제는, 아세톤을 유기용제로 사용하여 생성된 발수발유제에 비하여 비점이 상승하여 보다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인체나 환경에의 악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해 생성되는 수분산 불소계 발수발유제에서 폴리플로로알킬기를 가지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에는 폴리플로로알킬기의 탄소수가 3- 21인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6 - 18인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하기 화학구조식 (2), (3), (4), (5), (6), (7)중에서 선택된 폴리플로로알킬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을 그 특징으로 한다.
화학구조식(2) ---------- CnF2n+1CH2OCOCR1=CH2
화학구조식(3) ---------- CnF2n+1SO2NR2(CH2)mOCOCR1=CH2
화학구조식(4) ---------- CnF2n+1CH2CH(OH)(CH2)mOCOCR1=CH2
화학구조식(5) ---------- CnF2n+1(CH2)mOCOCR1=CH2
화학구조식(6) ---------- ClCnF2n(CH2)mOCOCR1=CH2
화학구조식(7) ---------- HCnF2n(CH2)mOCOCR1=CH2
상기 화학구조식에서,
R1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
R2는 메틸기, 에틸기 또는 프로필기,
m은 2 내지 6의 정수,
n은 3 내지 21의 정수이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비불소계 단량체는,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아지리디닐(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3-클로로-2-히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등의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와;
(메타)아크릴아미드, N-메틸올(메타)아크릴아미드, 디아세톤(메타)아크릴아미드, 메틸올화디아세톤아크릴아미드등의 (메타)아크릴아미드와;
기타 말레산알킬에스테르, 프탈산알킬에스테르, 알킬렌디올(메타)아크릴레이트, 염화비닐, 염화비닐리덴, 에틸렌, 초산비닐, 스트렌, α-메틸스티렌, β-메틸스티렌, 비닐알킬에테르, 할로겐화알킬비닐에테르, 비닐알킬케톤, 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말레산무수몰, 부타디엔, 이소프렌, 클로로프렌등 함유하는 단량체중에서 단독 또는 2종이상을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불소계 발수발유제는,
상기 폴리플로로알킬기를 함유하는 단량체와, 이와 공중합 가능하며 불소를 함유하지 않은 단량체를 주요성분으로 하는 화합물을 물을 통한 유화중합법으로 생성되며, 이 때 유기용제로써 폴리옥시(에틸렌)프로필렌글리콜 혼합물을 첨가하여 제조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수분산 불소계 발수발유제의 유기용제로 사용되는 폴리옥시(에틸렌)프로필렌글리콜 혼합물은 전체 단량체에 대해 10 - 50중량%만을 사용하여도 안정화된 발수발유제의 제조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제조된 발수발유제에 함유된 고형분 농도는 10중량%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10 - 45중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폴리플로로알킬기를 함유하는 단량체 성분은 전체 단량체량의 20중량%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30 - 80중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불소를 함유하지 않은 단량체의 경우 70중량%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70 - 20중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인 불소계 발수발유제의 제조공정에서 투입되는 계면활성제 및 개시제의 종류로는 비이온계면활성제, 양이온계면활성제, 음이온계면활성제, 영성계면활성제 등 거의 대부분의 계면활성제가 적용 가능하며, 개시제로는 유기과산화물, 아조화합물, 과황산염 등의 중합개시제등이 적용된다.
이하 본 발명을 각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폴리플로로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3원공중합체 조성물 교반기가 장착된 500㎖ 플라스크에
CnF2n+1CH2CH2OCOCH=CH2(n=6,8,10,12,14;평균 8) 80g,
부틸아크릴레이트 25g,
메틸메타크릴레이트 10g,
폴리옥시(에틸렌)프로필렌글리콜 혼합물 50g,
폴리옥시에틸렌(10몰)라우릴에테르 15g,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6g,
증류수 240g을 투입 교반하여 45℃의 조건하에서 용해시키고, 이어 온도를 70℃로 승온하여 수용성 개시제 1.5g을 증류수 37.5g에 용해시켜 상기 플라스크에 투입하여 15시간동안 반응시켜 공중합체 조성물인 불소계 발수발유제를 제조한다.
상기 실시예를 통해 제조되는 불소계 발수발유제와 아세톤등과 같이 저비점의 유기용제를 첨가한 불소계 발수발유제의 물성비교를 실시하였으며, 이러한 비교내용을 하기 각 비교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유화중합을 실시하되,
폴리플로로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3원공중합체 조성물 교반기가 장착된 500㎖ 플라스크에
CnF2n+1CH2CH2OCOCH=CH2(n=6,8,10,12,14;평균 8) 80g,
부틸아크릴레이트 25g,
메틸메타크릴레이트 10g,
아세톤 50g,
폴리옥시에틸렌(10몰)라우릴에테르 15g,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6g,
증류수 240g을 투입 교반하여 45℃의 조건하에서 용해시키고, 이어 온도를 70℃로 승온하여 수용성 개시제 1.5g을 증류수 37.5g에 용해시켜 상기 플라스크에 투입하여 15시간동안 반응시켜 공중합체 조성물인 불소계 발수발유제를 제조한다
<비교예 2>
폴리플로로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3원공중합체 조성물 교반기가 장착된 500㎖ 플라스크에
CnF2n+1CH2CH2OCOCH=CH2(n=6,8,10,12,14;평균 8) 80g,
부틸아크릴레이트 25g,
메틸메타크릴레이트 10g,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50g,
폴리옥시에틸렌(10몰)라우릴에테르 15g,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6g,
증류수 240g을 투입 교반하여 45℃의 조건하에서 용해시키고, 이어 온도를 70℃로 승온하여 수용성 개시제 1.5g을 증류수 37.5g에 용해시켜 상기 플라스크에 투입하여 15시간동안 반응시켜 공중합체 조성물인 불소계 발수발유제를 제조한다
<비교예 3>
폴리플로로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3원공중합체 조성물 교반기가 장착된 500㎖ 플라스크에
CnF2n+1CH2CH2OCOCH=CH2(n=6,8,10,12,14;평균 8) 80g,
부틸아크릴레이트 25g,
메틸메타크릴레이트 10g,
3-메톡시-3-메틸-1-부탄올 50g,
폴리옥시에틸렌(10몰)라우릴에테르 15g,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6g,
증류수 240g을 투입 교반하여 45℃의 조건하에서 용해시키고, 이어 온도를70℃로 승온하여 수용성 개시제 1.5g을 증류수 37.5g에 용해시켜 상기 플라스크에 투입하여 15시간동안 반응시켜 공중합체 조성물인 불소계 발수발유제를 제조한다.
상기와 같이 각 비교예를 통해 제조된 불소계 발수발유제를 비롯한 본 발명인 불소계 발수발유제는,
ASTM D93A에 준하는 측정방법을 통해 공중합체 조성물의 인화점을 측정하고,
공중합체 조성물을 45℃에서 2주간 보존하였을 때의 안정성을 측정하였으며, 이러한 측정에 사용된 시료로는 면포로 실시예 1을 비롯한 비교예 1-3의 불소계 발수발유제 3중량% 수용액에 패딩처리한 후 120℃에서 1분간 건조하고, 160℃에서 2분간 열처리하여 표 3에서와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상기 발수,발유의 평가기준은 각각 표 1과 표 2에서와 같은 기준으로 산정된다.
<표 1>
발수성 상태
100 표면에 부착습윤이 없는 것
90 표면에 약간의 부착습윤을 나타내는 것
80 표면에 수적상으로 습윤을 나타내는 것
70 표면에 부분적 습윤을 나타내는 것
50 표면에 습윤을 나타내는 것
0 표면전체에 습윤을 나타내는 것
발수검사는 JIS L 1092 Waterspray법에 의해 발수성을 평가하며, 평가기준으로는 표 1에 기재된 0 - 100의 6단계 평가를 사용하였다.
<표 2>
발유성 시험용액 표면장력(dyne/cm, 25℃)
8 n-헵탄 20.0
7 n-옥탄 21.8
6 n-데칸 23.5
5 n-도데칸 25.0
4 n-테트라데칸 26.7
3 n-헥사데칸 27.3
2 n-헥사데칸/Nujol(35/65)혼합용액 29.6
1 Nujol 31.2
0 1미만 0
발유검사는 시험용액을 시료포상의 2개소에 수차 적하하여 두고, 30초 후의 침투상태에 의해 판정하였다(AATCC Test method 118-1966법)
*Nujol은 액체 파라핀이다.
<표 3>
유기용매 인화점 안정성 발수 발유
초기 L-5
WR OR WR OR
실시예 1 폴리옥시(에틸렌)프로필렌글리콜 >100℃ 100 4 50 2
비교예 1 아세톤 15℃ × 100 4+ 50 2+
비교예 2 디프로필렌그리콜모노메틸에테르 >100℃ 100- 3 50 1
비교예 3 3-메톡시-3메틸-1-부탄올 >100℃ 100- 3 50 1
상기 <표 3>에서 안정성의 표시인,
○; 외관변화가 없는 것, ×; 유화중합품에 침강, 분리가 인지된 것이며,
발유성에서,
+; 성능이 그 값보다 약간 양호, -; 성능이 그 값보다 약간 저하되는 것을 의미하며,
WR; 발수성, OR; 발유성을 나타내며,
L-5; KSK 0114기계세탁법에 의한 세탁 5회를 의미한다.
<실시예 2>
폴리플로로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4원공중합제 조성물을 교반기가 장착된 1000㎖ 플라스크에
CnF2n+1CH2CH2OCOCH=CH2(n=6,8,10,12,14;평균 8) 100g,
부틸아크릴레이트 18g,
메틸메타크릴레이트 5g,
폴리옥시(에틸렌)프로필렌글리콜 혼합물 50g,
폴리옥시에틸렌(10몰)라우릴에테르 15g,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6g,
증류수 250g을 투입 교반하여 45℃의 조건하에서 용해시키고, 이어 온도를 70℃로 승온하여 수용성 개시제 1.5g을 증류수 37.5g에 용해시켜 상기 플라스크에 투입하고, 이어 염화비닐 20g을 투입하여 플라스크를 밀봉한 후 70℃에서 15시간동안 반응시켜 공중합체 조성물인 불소계 발수발유제를 제조한다
상기 실시예를 통해 제조되는 불소계 발수발유제와 아세톤등과 같이 저비점의 유기용제를 첨가한 불소계 발수발유제의 물성비교를 실시하였으며, 이러한 비교내용을 하기 각 비교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비교예 4>
폴리플로로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4원공중합제 조성물을 교반기가 장착된 1000㎖ 플라스크에
CnF2n+1CH2CH2OCOCH=CH2(n=6,8,10,12,14;평균 8) 100g,
부틸아크릴레이트 18g,
메틸메타크릴레이트 5g,
아세톤 50g,
폴리옥시에틸렌(10몰)라우릴에테르 15g,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6g,
증류수 250g을 투입 교반하여 45℃의 조건하에서 용해시키고, 이어 온도를 70℃로 승온하여 수용성 개시제 1.5g을 증류수 37.5g에 용해시켜 상기 플라스크에 투입하고, 이어 염화비닐 20g을 투입하여 플라스크를 밀봉한 후 70℃에서 15시간동안 반응시켜 공중합체 조성물인 불소계 발수발유제를 제조한다
<비교예 5>
폴리플로로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4원공중합제 조성물을 교반기가 장착된 1000㎖ 플라스크에
CnF2n+1CH2CH2OCOCH=CH2(n=6,8,10,12,14;평균 8) 100g,
부틸아크릴레이트 18g,
메틸메타크릴레이트 5g,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50g,
폴리옥시에틸렌(10몰)라우릴에테르 15g,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6g,
증류수 250g을 투입 교반하여 45℃의 조건하에서 용해시키고, 이어 온도를 70℃로 승온하여 수용성 개시제 1.5g을 증류수 37.5g에 용해시켜 상기 플라스크에 투입하고, 이어 염화비닐 20g을 투입하여 플라스크를 밀봉한 후 70℃에서 15시간동안 반응시켜 공중합체 조성물인 불소계 발수발유제를 제조한다
<비교예 6>
폴리플로로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4원공중합제 조성물을 교반기가 장착된 1000㎖ 플라스크에
CnF2n+1CH2CH2OCOCH=CH2(n=6,8,10,12,14;평균 8) 100g,
부틸아크릴레이트 18g,
메틸메타크릴레이트 5g,
3-메톡시-3-메틸-1-부탄올 50g,
폴리옥시에틸렌(10몰)라우릴에테르 15g,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6g,
증류수 250g을 투입 교반하여 45℃의 조건하에서 용해시키고, 이어 온도를 70℃로 승온하여 수용성 개시제 1.5g을 증류수 37.5g에 용해시켜 상기 플라스크에 투입하고, 이어 염화비닐 20g을 투입하여 플라스크를 밀봉한 후 70℃에서 15시간동안 반응시켜 공중합체 조성물인 불소계 발수발유제를 제조한다
상기와 같이 각 비교예를 통해 제조된 불소계 발수발유제를 비롯한 본 발명인 불소계 발수발유제는 상기 실시예 1과 비교예 1 - 3에서와 같이 다양한 측정방법을 통해 <표 4>에서와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표 4>
유기용매 인화점 안정성 발수 발유
초기 L-5
WR OR WR OR
실시예 2 폴리옥시(에틸렌)프로필렌글리콜 >100℃ 100 6 80 4
비교예 4 아세톤 15℃ × 100 6 80+ 4+
비교예 5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100℃ 90 5 70 3
비교예 6 3-메톡시-3-메틸-1-부탄올 >100℃ 90+ 6- 70 4-
상기 <표 4>에서
안정성의 표시인 ○; 외관변화가 없는 것, ×; 유화중합품에 침강, 분리가 인지된 것이며,
발유성에서,
+; 성능이 그 값보다 약간 양호, -; 성능이 그 값보다 약간 저하되는 것을 의미하며,
WR; 발수성, OR; 발유성을 나타내며,
L-5; KSK 0114기계세탁법에 의한 세탁 5회를 의미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인 불소계 발수발유제는 유화중합시 투입되는 유화용제로 비위험물을 가지는 폴리옥시(에틸렌)프로필렌글리콜 혼합물을 이용함으로써, 비점상승에 따른 인화등의 위험성이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발수발유성의 향상으로 코팅처리된 섬유의 품질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며, 나아가 기존 유기용제에 비하여 본 발명에 적용되는 유기용제는, 적은 양으로 동일 내지는 향상된 효과를 도출하여 유기용제 사용 감소로 인한 인체 및 환경에의 악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4)

  1. 수분산 불소계 발수발유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폴리플로로알킬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와 이러한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하며 불소를 함유하지 않은 단량체, 개시제, 계면활성제를 주요성분으로 하여 유화중합법에 의해 생성되는 수분산 불소계 발수발유제에 있어서;
    상기 수분산 불소계 발수발유제는,
    하기 화학구조식(1)의 구조를 가지는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 혼합물을 유화제로 사용하여 유화중합법에 의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수분산 불소계 발수발유제의 제조방법.
    화학구조식 (1) ---------- HO(C2H4O)m(C3H6O)nH
    상기 화학구조식(1)에서 평균분자량은 200이며,
    m,n은 0 - 5의 정수를 나타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산 불소계 발수발유제에 함유된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는 하기 화학구조식 (2), (3), (4), (5), (6), (7)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산 불소계 발수발유제의 제조방법.
    화학구조식(2) ---------- CnF2n+1CH2OCOCR1=CH2
    화학구조식(3) ---------- CnF2n+1SO2NR2(CH2)mOCOCR1=CH2
    화학구조식(4) ---------- CnF2n+1CH2CH(OH)(CH2)mOCOCR1=CH2
    화학구조식(5) ---------- CnF2n+1(CH2)mOCOCR1=CH2
    화학구조식(6) ---------- ClCnF2n(CH2)mOCOCR1=CH2
    화학구조식(7) ---------- HCnF2n(CH2)mOCOCR1=CH2
    상기 화학구조식에서,
    R1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
    R2는 메틸기, 에틸기 또는 프로필기,
    m은 2 내지 6의 정수,
    n은 3 내지 21의 정수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산 불소계 발수발유제에 사용되는 비불소계 단량체는,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아지리디닐(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3-클로로-2-히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등의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와;
    (메타)아크릴아미드, N-메틸올(메타)아크릴아미드, 디아세톤(메타)아크릴아미드, 메틸올화디아세톤아크릴아미드등의 (메타)아크릴아미드와;
    기타 말레산알킬에스테르, 프탈산알킬에스테르, 알킬렌디올(메타)아크릴레이트, 염화비닐, 염화비닐리덴, 에틸렌, 초산비닐, 스트렌, α-메틸스티렌, β-메틸스티렌, 비닐알킬에테르, 할로겐화알킬비닐에테르, 비닐알킬케톤, 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말레산무수몰, 부타디엔, 이소프렌, 클로로프렌등 함유하는 단량체중에서 단독 또는 2종이상을 함께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산 불소계 발수발유제의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산 불소계 발수발유제의 고형분 농도는 10 - 45중량%이고,
    상기 고형분 가운데 폴리플로로알킬기를 함유하는 단량체 성분은 전체 단량체량의 30 - 80중량%이며,
    불소를 함유하지 않은 단량체의 경우 70 - 2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산 불소계 발수발유제의 제조방법.
KR1020020034467A 2002-06-20 2002-06-20 수분산 불소계 발수발유제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972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4467A KR20030097201A (ko) 2002-06-20 2002-06-20 수분산 불소계 발수발유제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4467A KR20030097201A (ko) 2002-06-20 2002-06-20 수분산 불소계 발수발유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7201A true KR20030097201A (ko) 2003-12-31

Family

ID=32387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4467A KR20030097201A (ko) 2002-06-20 2002-06-20 수분산 불소계 발수발유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97201A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63070A (ja) * 1992-03-17 1993-10-12 Daikin Ind Ltd 高引火点撥水撥油剤およびその製法
JPH06287548A (ja) * 1993-04-02 1994-10-11 Asahi Glass Co Ltd 水分散型フッ素系撥水撥油剤組成物の製造法
JPH07173772A (ja) * 1993-12-21 1995-07-11 Asahi Glass Co Ltd 水分散型フッ素系撥水撥油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00016701A (ko) * 1996-06-21 2000-03-25 이노우에 노리유끼 수분산형 불소계 발수발유제
JP2000212549A (ja) * 1999-01-25 2000-08-02 Asahi Glass Co Ltd 撥水撥油剤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01032820A1 (de) * 1999-10-30 2001-05-10 Henkel Kommanditgesellschaft Auf Aktien Wasch- oder reinigungsmittel
KR20010081962A (ko) * 2000-02-22 2001-08-29 에모리 미키오 공중합체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발수발유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63070A (ja) * 1992-03-17 1993-10-12 Daikin Ind Ltd 高引火点撥水撥油剤およびその製法
JPH06287548A (ja) * 1993-04-02 1994-10-11 Asahi Glass Co Ltd 水分散型フッ素系撥水撥油剤組成物の製造法
JPH07173772A (ja) * 1993-12-21 1995-07-11 Asahi Glass Co Ltd 水分散型フッ素系撥水撥油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00016701A (ko) * 1996-06-21 2000-03-25 이노우에 노리유끼 수분산형 불소계 발수발유제
JP2000212549A (ja) * 1999-01-25 2000-08-02 Asahi Glass Co Ltd 撥水撥油剤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01032820A1 (de) * 1999-10-30 2001-05-10 Henkel Kommanditgesellschaft Auf Aktien Wasch- oder reinigungsmittel
KR20010081962A (ko) * 2000-02-22 2001-08-29 에모리 미키오 공중합체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발수발유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59219B2 (ja) 含フッ素重合体および撥水撥油剤
JP5536663B2 (ja) フルオロポリマーエマルション
EP3015480B1 (en) Surface treatment agent
JP5167649B2 (ja) 含フッ素重合体からなる汚れ脱離剤
EP2799458B1 (en) Fluorine-containing composition and fluorine-containing polymer
JP2004352976A (ja) 含フッ素重合体を含んでなる表面処理剤
EP2762504A1 (en) Water-repellent and oil-repellent composition
JP5862745B2 (ja) 含フッ素重合体および処理剤
KR101635306B1 (ko) 불소 함유 중합체의 제조 방법
CA2528501A1 (en) Silicon-containing fluorochemical surface-treating agent
TWI746965B (zh) 撥水撥油劑及纖維製品
TW201321442A (zh) 含氟組成物
WO2013058336A1 (ja) 含フッ素組成物および表面処理剤
JPS5859277A (ja) 撥水撥油剤
TW201326216A (zh) 含氟組成物及其用途
EP2177550A1 (en) Fluorine-containing fiber processing agent having alcohol repellency and soil release properties
TW201321418A (zh) 含氟組成物及含氟聚合物
KR100404806B1 (ko) 공중합체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발수발유제
KR20030097201A (ko) 수분산 불소계 발수발유제 및 그 제조방법
JP5895975B2 (ja) 表面処理剤および含フッ素重合体
KR101129971B1 (ko) 저온 경화형 수분산 불소계 발수발유제의 제조방법
KR100550442B1 (ko) 비닐기를 가지는 알킬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한 내구성비염소계 불소발수발유제 및 그 제조방법
JPH04272988A (ja) 撥水撥油剤組成物
JP2005132956A (ja) 撥水撥油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