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2403B1 - 기록/재생장치 - Google Patents

기록/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2403B1
KR100402403B1 KR10-2001-7002957A KR20017002957A KR100402403B1 KR 100402403 B1 KR100402403 B1 KR 100402403B1 KR 20017002957 A KR20017002957 A KR 20017002957A KR 100402403 B1 KR100402403 B1 KR 1004024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et
cartridge
opening
recording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2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9762A (ko
Inventor
이사오 사토
카주노리 코노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79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97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2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24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41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43Direct insertion, i.e. without external loading means
    • G11B17/0434Direct insertion, i.e. without external loading means with mechanism for subsequent vertical movement of the dis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 G11B15/67544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with movement of the cassette parallel to its main side and subsequent movement perpendicular thereto, i.e. front loading
    • G11B15/67547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with movement of the cassette parallel to its main side and subsequent movement perpendicular thereto, i.e. front loading the two movements being made by the cassette hold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401Details
    • G11B17/0405Closing mechanism, e.g. door

Landscapes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카트리지의 삽입ㆍ꺼냄을 행하는 착탈시 이외의 카트리지 비장착상태 및 장착완료상태에 있어서 더욱더 박형인 기록/재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록/재생수단을 보유하고 상방이 개구한 제 1캐비넷(2)에 대해서, 이 제 1캐비넷(2)의 상기 개구를 덮는 제 2캐비넷(2)의 연결상태가, 카트리지(7)의 삽입ㆍ꺼냄을 행하는 착탈시 이외의 카트리지 비장착상태 및 장착완료상태에서는 (b)와 같이 제 1캐비넷(2)의 두께의 범위 내에 제 2캐비넷(1)이 침입한 자세로 되고, 카트리지(7)의 출입시에는 (a)와 같이 제 1캐비넷(2)에 대해서 제 2의 캐비넷(1)이 d만큼 이탈하여, 카트리지(7)의 삽입구가 열린다.

Description

기록/재생장치{RECORDING/REPRODUCING DEVICE}
카트리지를 사용하는 기록/재생장치의 일예로서, 휴대가능한 휴대용 미니디스크플레이어가 있다.
이 휴대용 미니디스크플레이어(이하, 휴대용 MD라 함)에 관해서,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종래장치에 관해서 설명한다.
우선, 종래의 장치의 제 1의 예로서, 도 14에 나타내는 것이 있다. 즉, 휴대용 MD의 덮개체 캐비넷(51)은, 휴대용 MD의 본체캐비넷(52)측에 회전이동 지지점 (53)을 중심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개방위치와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폐쇄장치에 회전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본체 캐비넷(52)측에는 디스크 회전구동기구(54)와 광픽업(55)(모두 도 14(b)참조)이 내장되어 있다. 또한, 덮개체 캐비넷(51)의 이면에는 홀더(56)가 설치되어 있고, 덮개체 캐비넷(51)을 개방위치로 하여 MD 카트리지(57)를 홀더(56)에 삽입하고, 이 상태에서 덮개체 캐비넷(51)을 닫으면, 카트리지(57)에 내장된 디스크가 본체 캐비넷(52)측의 디스크 회전구동기구(54)에 연결되어서 디스크가 회전구동되고, 광픽업(55)이 디스크에 액세스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 1의 종래예의 휴대용 MD에 있어서, 카트리지(57)의 꺼냄, 삽입의 조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우선, 카트리지(57)를 꺼냄에는, 덮개체 캐비넷(51)을 열기 위하여 오픈 조작버튼(58)를 슬라이드시켜서 잠금고리(59)와 덮개체 캐비넷(51)의 결합을 분리하고, 덮개체 캐비넷(51)의 양측면(51a, 51b)을 잡고 끌어올림으로써, 덮개체 캐비넷 (51)이 회전이동하여 카트리지(57)가 도 14(a)의 실선위치에 튀어나오기 때문에, 이것을 손가락으로 잡아당겨서 꺼낸다라는 조작을 행한다.
또한, 카트리지(57)를 삽입하는 경우에도, 덮개체 캐비넷(51)이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폐쇄위치의 상태에서, 일단, 오픈 조작버튼(58)를 슬라이드시켜서 잠금고리(59)와 덮개체 캐비넷(51)의 결합을 분리하며, 덮개체 캐비넷(51)을 잡고서 회전이동 지지점(53)을 중심으로 회전이동하도록 끌어올리고, 홀더(56)에 카트리지(57)를 삽입하고, 그 후에 덮개체 캐비넷(51)을 닫는다라는 것이었다.
다음으로, 종래의 장치의 제 2의 예로서 일본 특개평9-223386호 공보가 있다. 이것은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도 15(a)가 카트리지를 삽입완료한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5(b)가 카트리지의 삽입ㆍ꺼냄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이 예는, 캐비넷(61)의 측면에 설치한 개구부(62)로부터, MD 카트리지(63)를 슬라이드시키면서 삽입하고, 꺼냄은 삽입 조작손잡이(도시안함)의 조작에 의해 슬라이드 배출하는 것이다.
즉, 캐비넷(61) 내에는 상하이동하는 카트리지 홀더(64)를 구비함과 아울러, 샤시(65)에 설치한 디스크 회전구동기구(66)와 광픽업(67) 등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카트리지홀터(64)는, 카트리지(63)를 개구부(62)로부터 삽입가능한 도 15(b)의 위치와, 카트리지(63)를 디스크 회전구동기구(66) 상에 장착하여 기록/재생가능한 장착상태와의 사이에서 상하이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68은 개구부(62)에 설치된 덮개이고, 삽입 조작손잡이의 조작에 연동하여 개폐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카트리지의 꺼냄ㆍ삽입의 조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15(a)의 상태로부터 카트리지(63)를 꺼냄에는, 삽입 조작에 의해 카트리지 홀더(64)를 일단 상승시키고, 도 15(b)의 위치로 하고나서, 카트리지 배출용 미는힘(도시안함)에 의해, 카트리지(63)를 도 15(b)에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더욱 배출되게 된다.
여기서, 카트리지홀더(64)를 일단 상승시킬 필요가 있는 것은, 카트리지(63)의 디스크회전구동기구(66)와의 결합상태를 이탈시켜, 카트리지(63)의 슬라이드에 대한 디스크 회전구동기구(66)의 장해가 없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카트리지(63)를 장착하기에는, 우선 도 1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68)를 열어서 카트리지(63)를 삽입하고, 이 카트리지(63)의 삽입완료위치에서 카트리지 홀더(64)를 하강시킴으로써, 도 15(a)의 상태로 되어 카트리지(63)의 장착이 완료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예에서는, 우선, 도 14에 나타내는 제 1의 예의 경우, 이와 같은 덮개 캐비넷(51)의 개폐와 카트리지(57)의 꺼냄쪽에서는, 덮개체 캐비넷 (51)의 측면(51a, 51b)을 잡아서 여는 조작과, 손가락을 집어넣어서 카트리지를 잡아야만 하는 조작이 필요하기 때문에, 조작성이 나쁘다라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도 15에 나타내는 제 2의 예의 경우는, 제 1의 예에 비해서 조작성은 향상한 것, 제 1의 예의 것이 캐비넷 전체의 두께(본체(51) 및 덮개체(52))의 치수가 T(캐비넷 내의 디스크회전구동기구(54) 상의 치수가, MD 카트리지(57)와 홀더 (56)의 두께에 상당)인 것에 대해서, 카트리지 홀더(64)가 상하이동하는 치수(S)만큼, 캐비넷의 전체로서의 두께가 두껍게 된다라는 것이고, 더욱더 박형인 휴대용 MD의 출현이 기대되고 있는 것이 현재 상황이다.
본 발명은, 캐비넷의 측면에 있는 삽입구로부터 카트리지를 슬라이드삽입하여 세트하도록 구성한 기록/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록/재생장치의 실시형태의 MD 플레이어의 카트리지 착탈상태와 이 이외의 카트리지 비장착상태 및 장착완료 상태의 외관사시도이다.
도 2는, 동 실시형태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동 실시형태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동 실시형태의 가동 캐비넷과 홀더와 그 주변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동 실시형태의 가동 캐비넷과 홀더와의 조립품에 샤시를 맞붙이는 상태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동 실시형태의 홀더의 잠금수단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동 실시형태의 앞면 패널과 중간 캐비넷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동 실시형태의 측면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9는, 동 실시형태의 카트리지 착탈상태와 이 이외의 카트리지 비장착상태 및 장착완료상태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10은, 동 실시형태의 카트리지 삽입 전의 잠금수단을 나타내는 정면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1은, 동 실시형태의 카트리지 삽입 후에 오픈 조작버튼의 조작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2는, 동 실시형태의 카트리지 삽입후를 나타내는 정면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3은, 동 실시형태의 카트리지 삽입전후의 잠금수단의 요부의 확대배면도를 나타낸다.
도 14는, 종래의 MD 플레이어의 외관사시도와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5는, 다른 종래예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캐비넷의 측면에 있는 삽입구로부터 카트리지를 슬라이드삽입하여 세트하도록 구성하여 조작성이 양호함과 아울러, 카트리지의 삽입ㆍ꺼냄을 행하는 착탈시 이외의 카트리지의 비장착상태 및 장착완료상태에서 더욱더 박형으로 구성되는 기록/재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기록/재생장치는, 기록/재생수단을 보유하고 상방이 개구한 제 1캐비넷에 대하여, 이 제 1캐비넷의 상기 개구를 덮는 제 2캐비넷의 연결상태가, 카트리지의 삽입ㆍ꺼냄을 행하는 착탈시 이외의 카트리지 비장착상태 및 장착완료상태에서는 제 1캐비넷의 두께의 범위 내에 제 2캐비넷의 적어도 일부가 침입한 자세로 되고, 카트리지의 출입시에는 제 1캐비넷의 두께방향에 대해서 제 2의 캐비넷이 이동하도록 연결되며, 이 상태에서 카트리지의 삽입구가 열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캐비넷에 제 2캐비넷의 일부가 칩입한 자세로 됨으로써, 카트리지의 삽입ㆍ꺼냄을 행하는 착탈시 이외의 카트리지의 비장착상태 및장착완료상태의 두께를 종래보다 얇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의 특징의 기록/재생장치는, 카트리지에 수납된 기록매체에 대한 기록/재생수단을 보유하는 제 1캐비넷과, 제 1캐비넷에 대해서 그 두께방향에 있어서 접근한 제 1의 위치와 이탈한 제 2의 위치로 이동가능하게 제 1캐비넷에 연결되고, 바람직하게는 일체로 연결된 홀더를 보유하는 제 2캐비넷과, 제 2캐비넷을 제 1캐비넷에 접근한 제 1의 위치의 방향으로 항시 미는 탄성수단과, 제 2캐비넷을 상기 탄성수단에 의한 미는힘에 저항하여 상기 제 1의 위치로부터 제 2의 위치로 이탈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개방수단과, 상기 개방수단에 의한 제 2캐비넷의 제 1캐비넷에 대한 이탈 시에 개구하는 삽입구를 구비한 것이다. 게다가 상기 삽입구는, 개방수단에 의한 제 2캐비넷의 제 2의 위치로의 이탈시에만 개구하고, 바람직하게는 삽입구를 막는 삽입구 덮개를 보유하고, 또한 삽입구 덮개는 카트리지의 접촉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경사부를 보유하는 입술형상의 개구접촉부를 형성한다.
본 장치에 의하면, 개방수단에 의한 삽입구의 개구시만, 제 2캐비넷을 탄성수단에 의한 미는힘에 저항하여 제 1캐비넷에 접근한 제 1의 위치로부터 제 2의 위치로 이탈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카트리지의 착탈(즉 삽입ㆍ꺼냄)을 행하기 위하여, 캐비넷에 대한 카트리지의 착탈의 조작성을 향상할 수 있고, 또한, 이 카트리지를 착탈시 이외의 카트리지의 비장착상태 및 장착완료상태에서는, 제 2캐비넷을 제 1캐비넷에 대해서 그 두께방향에 있어서 접근한 상태로 하여, 캐비넷의 두께가 전체로서 박형으로 구성되고, 게다가 개방수단과 연동하는 입술형상의 개구접촉부를 형성하는 삽입구 덮개도 구비함으로써 카트리지를 직접 이 삽입구 덮개에접촉시켜서 삽입하는 것만으로 삽입구 덮개를 개방하여 카트리지를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를 수납 중에 이 카트리지의 수납을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이 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개방수단을 잠그는 잠금수단을 구비하고, 카트리지를 수납 중에 다른 카트리지를 삽입할 수 없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캐비넷의 앞측면에 오픈 조작버튼를 구비하고, 이 오픈 조작버튼와 개방수단이 연동하여, 오픈 조작버튼의 조작에 의해서 삽입구를 개구가능하게 구성하고, 카트리지 꺼냄시의 조작성도 더욱더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를 수납 중에 이 카트리지의 수납을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그 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개방수단을 잠그는 잠금수단을 구비하고, 잠겨진 개방수단에 연동하는 오픈 조작버튼의 정지위치가 수납 중의 카트리지의 유무에 따라 다르도록 구성하고, 이 오픈 조작버튼의 정지위치에 의해 카트리지의 유무를 삽입구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 수납 중에 있어서의 개방수단의 잠금수단에 의한 잠금상태는, 오픈 조작버튼의 개방조작에 의해서만 해제되어서 삽입구를 개구가능하게 구성하고, 다른 카트리지의 잘못된 삽입을 회피할 수 있다.
게다가, 제 2캐비넷에, 수납 중의 카트리지를 배출하는 방향으로 미는 카트리지 배출용 제 2의 탄성수단을 설치하고, 제 2캐비넷이 개방수단에 의해 제 1의 위치로부터 제 2의 위치로 이탈이동하였을 때에, 수납 중의 카트리지를 상기 제 2의 탄성수단에 의해 배출하도록 구성하고, 카트리지의 꺼냄 시의 조작성을 더욱양호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의 특징의 기록/재생장치는, 삽입구에 설치된 개폐덮개를 개방하여 카트리지를 슬라이드삽입하고 홀더에 세트하도록 한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카트리지에 수납된 기록매체에 대한 기록/재생수단을 보유하는 제 1캐비넷과, 상기 제 1캐비넷에 보유하는 기록/재생장치에 대향하여 근접한 제 1의 위치와 이탈한 제 2의 위치로 이동가능하게 이 제 1캐비넷에 설치된 제 2캐비넷과, 상기 제 2캐비넷과 일체로 이동하여 상기 제 2의 위치에서 삽입구로부터 삽입된 카트리지를 수취하여 상기 제 1의 위치에서 기록/재생수단에 의해 기록/재생할 수 있도록 이송하는 홀더와, 상기 제 2캐비넷과 홀더를 제 1캐비넷에 보유하는 기록/재생수단에 근접하여 기록/재생가능한 상기 제 1의 위치로 미는 제 1의 탄성수단과, 상기 홀더로부터 카트리지를 배출하는 방향으로 미는 카트리지 배출용 제 2의 탄성수단과, 상기 홀더의 삽입구에 설치되어서 삽입구를 막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 삽입구 덮개와, 상기 삽입구 덮개의 해방시에 상기 제 1의 탄성수단에 의한 제 2캐비넷의 제 1의 위치방향으로의 미는힘에 저항하여 이 제 2캐비넷을 제 2의 위치로 이동시키고 덮개개방상태로 되게 하는 개방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상기 개방수단에 의한 삽입구 덮개의 개방 시에 있어서의 제 2캐비넷의 제 2의 위치상태 시에 카트리지를 삽입하고, 이 카트리지의 삽입완료 후에 상기 제 1의 탄성수단에 의한 미는힘에 의해서 제 2캐비넷을 이동시키고, 삽입구 덮개를 덮개폐쇄상태로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12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덮개개폐장치를 구비한 MD 플레이어를 나타내고 있다.
이 MD 플레이어는, 카트리지(7)를 착탈시에만 홀더(6)를 구비한 가동 캐비넷 (1)이, 도 1의 (a)와 도 2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플레이어(2)의 상면개구부(10)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량d만큼 이동하고, 카트리지의 삽입ㆍ꺼냄을 행하는 착탈시 이외의 카트리지 비장착상태 및 장착완료상태(기록/재생시를 포함)에서는 도 1(b)와 도 2(b)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캐비넷(1)이 본체 플레이어(2)의 내부에 이동하여 침입한 상태, 즉 캐비넷의 두께방향에 있어서 근접한 상태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체 캐비넷(2)의 내부에 가동 캐비넷(1)이 침입한 상태에서, 카트리지(7)의 장착상태에 있어서는, 카트리지(7)에 내장된 디스크가, 본체플레이어 (2)측의 디스크 회전구동기구(4)에 연결되어서 디스크가 회전구동되고, 광픽업(5)이 디스크에 액세스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카트리지(7)를 장착한 사용상태에서의 휴대용 MD의 두께는 카트리지(7)의 비장착상태와 동일 두께로 할 수 있고, 박형을실현할 수 있다.
다음에, 본체 캐비넷(2)측에 대한 가동 캐비넷(1)의 구체적인 설치구조 및, 카트리지(7)의 착탈시의 조작성을 종래와 비교하여 개선할 수 있는 구체적인 구조를 도 3 내지 도 13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3은 휴대용 MD의 분해사시도이고, 가동 캐비넷(1)과 홀더(6)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립되어 있다.
홀더(6)의 양측면(6a, 6b)에서 홀더(6)의 삽입구(6c)의 근방에는, 우측면 (6a)에 지지축(11)이 심어설치되어 있고, 이것에 대응하는 좌측면(6b)에는 비스 (12a)가 나사결합되는 나사구멍(13)이 형성되어 있다. 홀더(6)의 삽입구(6c)를 개폐하는 삽입구 덮개(14)에는, 좌우양측에 지지암(14L, 14R)이 형성되어 있고, 지지암(14L, 14R)의 중간부에는 관통구멍(15)이 형성되어 있다.
가동 캐비넷(1)을 홀더(6)의 위를 덮어서 가동 캐비넷(1)의 구멍(1a, 1b, 1c)으로부터 홀더(6)로 비스(12a, 12b, 12c)를 나사박음함에 있어서, 삽입구 덮개 (14)의 지지암(14R)의 관통구멍(15)에 홀더(6)의 지지축(11)을 삽입통과하고, 또한 지지축(11)의 선단을 가동 캐비넷(1)의 구멍(1d)에 삽입통과한다.
비스(12a)는 가동 캐비넷(1)의 구멍(1a)으로부터 지지암(14L)의 관통구멍 (15)을 통해서 홀더(6)의 나사구멍(13)에 나사박음되어, 삽입구 덮개(14)는 양측이 지지축(11)과 비스(12a)로 홀더(6)에 회전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회전이동 캐비넷(1)의 후단측의 구멍(1b, 1c)으로부터 홀더(6)의 나사구멍 (16)에 비스(12b, 12c)를 나사결합시킴에 있어서는, 홀더(6)의 후단에 형성된 보스부(17)를 링크판(18R, 18L)의 기단에 뚫린 구멍(18a)에 삽입통과하여, 보스부(17)의 중앙에 설치된 나사구멍(16)에 비스(12b, 12c)를 나사결합시켜서 링크판(18R, 18L)이 홀더(6)로부터 탈락되지 않도록 하여 회전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의 자형의 링크앵글(19)의 우측의 단부에 형성된 결합홈(19R)은, 가동 캐비넷(1)의 내측과 지지암(14R)과의 사이에 끼워지는 위치에서 홀더(6)의 지지축 (11)에 결합되어 있다. 링크앵글(19)의 좌측의 단부에 형성된 결합홈(19L)은, 지지암(14L)과 홀더(6)와의 사이에 끼워지는 위치에서 비스(12a)에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맞붙여진 링크판(18R, 18L)과 링크앵글(19)는, 링크앵글(19)에 잘라올림 가공으로 형성된 결합편(19a)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링크판(18R)의 중간부에 형성된 홈부(20)에 결합하고, 링크앵글(19)에 잘라올림 가공으로 형성된 결합편(19b)이 마찬가지로 링크판(18L)의 중간부에 형성된 홈부(20)에 결합하고 있다.
도 5 및 도 1에 나타내는 샤시(21)에는, 디스크 회전구동기구(4)와 광픽업 (5) 및 프린트배선기판(22)이 맞붙여져 있다. 샤시(21)의 우절곡편(21R)과 좌절곡편(21L)에는, 설치홈(21a)이 형성되어 있고, 좌절곡편(21L)에는 설치홈(21a)의 바로 앞측에 또한 절결부(23)가 형성되어 있다.
이 샤시(21)와 도 4에서 맞붙여진 가동 캐비넷 블럭이 도 5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캐비넷(1)이 샤시(21)의 우절곡편(21R)과 좌절곡편(21L)의 내측에 위치하고, 링크판(18R, 18L)의 선단에 심어설치된 회전지지축(24)이 샤시 (21)의 우절곡편(21R)과 좌절록편(21L)의 설치홈(21a)에 각각 결합되도록 조합되어있다.
도 5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홀더(6)의 우측의 전단부에는 홀더가이드축(25R)이 심어설치되어 있고, 홀더(6)의 좌측의 전단부에는 홀더가이드축(25L)이 심어설치되어 있다. 이 홀더가이드축(25R, 25L)은, 비스(12d, 12e)에서 상기 샤시(21)의 전면부에 전면 캐비넷(26) 등과 모두 합해서 설치되는 승강구동 유닛(27)에 결합하고 있다.
승강구동 유닛(27)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홀더(6)의 홀더가이드축 (25R, 25L)의 이동경로를 규정하는 상하가이드구멍(28R, 28L)과 중앙부에 레버축 삽입통과구멍(29)이 형성되어 있는 승강가이드판(30)과, 핀(31a, 31b)이 삽입통과하는 긴구멍(32a, 32b)이 형성되고 승강가이드판(30)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중합된 슬라이드판(33)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핀(31a, 31b)은 승강가이드판(30)에 압입되어 있다.
승강가이드판(30)과 슬라이드판(33)의 사이에는 잡아당기는 코일스프링(34)이 사이에 장착되어 있어서 슬라이드판(33)은 도 10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화살표A방향)으로 힘이 가해져 있다.
슬라이드판(33)의 중앙에 절곡가공으로 형성된 조작레버(33a)는, 승강가이드판(30)의 레버축 삽입통과구멍(29)을 관통하여, 도 1과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면 캐비넷(26)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설치된 오픈 조작버튼(26a)에 결합되어 있다.
슬라이드판(33)의 양단에는, 도 6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승강가이드판(30)의 상하가이드구멍(28R, 28L)에 결합하는 상기 홀더가이드축(25R, 25L)이 삽입통과되는 관통구멍(33R, 33L)이 형성되어 있고, 이 관통구멍(33R, 33L)의 일부에는 경사변(3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드판(33)에는 승강가이드판(30)으로부터 슬라이드판(33)측에 절곡해서 형성된 절곡편(35a, 35b)이 삽입통과되는 긴구멍(32c, 32d)이 상기 긴구멍 (32a, 32b)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고, 이 긴구멍(32c, 32d)을 관통한 절곡편(35a, 35b)과 상기 홀더가이드축(25R, 25L)의 사이에는, 중앙에 핀(31a, 31b)이 삽입통과된 비틀림코일스프링(36a, 36b)이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이에 장착되어 있다.
게다가, 슬라이드판(33)의 긴구멍(32d)을 삽입통과하여 승강가이드판(30)에 압입된 핀(31c)에는, 선단(37a)이 비틀림코일스프링(36c)에 의해서 상방으로 밀고, 장전된 카트리지(7)에 접촉해서 상기 비틀림코일스프링(36c)의 미는힘에 저항하여 선단이 하방으로 회전이동하는 검출레버(37)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승강구동 유닛(27)이 맞붙여진 조립품에 대해서, 도 7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승강구동 유닛(27)이 설치된 정면(B)을 제거하는 양측면(C, D)과 배면(E)을 덮도록자형의 중간 캐비넷(38)이 설치되어진다. 이 중간 캐비넷(38)의 양단의 내측에는, 샤시(21)의 상기 설치홈(21a)에 결합시킨 링크판(18R, 18L)의 회전지지축(24)이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위치규제하는 오목부(38a, 38b)가 형성되어 있다. 중간 캐비넷(38)의 배면의 내측에는, 도 5와 도 7과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링크앵글(19)의 코너부에 형성된 절결부(19c, 19d)에 결합하는돌출부(38c, 28d)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중간 캐비넷(38)의 좌측면(38L)의 내측에서 상기 오목부(38b)보다도 앞부근의 위치에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샤시 (21)의 좌절곡편(21L)에 형성된 상기 절결부(23)를 통과하여 선단이 상기 삽입구 덮개(14)의 지지암(14L)의 선단에 결합하는 돌기(38e)가 형성되어 있다.
이 중간 캐비넷(38)의 우측선단(38f)은, 앞면 캐비넷(26)의 우단의 배면에 돌출한 돌기(26b)에 결합하여 걸려지고, 중간 캐비넷(38)의 좌측선단(38g)은 상기 승강가이드판(30)의 구멍(30a)에 비스(12f)로 고정되어 있다.
중간 캐비넷(38)의 배면은 비스(12g, 12h)로 샤시(21)에 링크앵글(19)과 바닥부 덮개(39)와 함께 체결되어 고정된다.
도 8(a)와 도 9(a)가 조립끝난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가동 캐비넷(1)과 홀더(6)은 도 10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틀림코일스프링(36a, 36b)에 의해서 샤시(21)에 근접하는 하강위치(도 1의 (b))에 밀어지고 있다. 또한, 샤시(21)와 삽입구 덮개(14)의 지지암(14R)의 사이에는, 도 4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이 홀더(6)의 지지축(11)에 삽입통과된 비틀림코일스프링(40)이 사이에 장착되어 있어서, 삽입구 덮개(14)는 비틀림코일스프링(40)에 의해서 폐쇄위치로 밀고 있다.
카트리지(7)를 장전하기 전의 상태에서는, 검출레버(37)는 비틀림코일스프링 (36c)에 의해 밀어져서 도 10에 나타내는 위치에 있다. 도 13(a)는 이 상태를 배면 (도 6의 화살표F-F'방향)으로부터 바라본 경우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이 도 13에서는 승강가이드판(30)과 슬라이드판(33)을 구별하기 쉽도록, 바로앞측에 있는 슬라이드판(33)에는 해칭을 기입하여 표시하고 있다.
도 8(a)와 도 9(a)에 나타내는 이 상태로부터 카트리지(7)를 장전하는 경우에는, 전면 캐비넷(26)과 삽입구 덮개(14)에 형성되어 있는 경사부를 보유하는 입술형상의 개구접촉부분(G)에 카트리지(7)를 밀어붙여서 도 1(a)와 같이 쑤셔넣으면, 삽입구 덮개(14)가 비틀림코일스프링(40)의 미는힘에 저항하여 폐쇄위치로부터 개방위치로 회전이동하고, 삽입구 덮개(14)의 지지암(14R, 14L)의 선단이 샤시(21)에 접촉하여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홀더(6)의 입구측을 상방으로 들어올린다.
이 때, 링크앵글(19)는 절결부(19c, 19d)와 중간 캐비넷(38)의 돌출부(38c, 38d)와의 결합부를 제 1의 지지점(H1)으로서 회전이동한다. 또한, 홀더(6)의 후부는 링크판(18R, 18L)을 통해서 샤시(21)의 설치홈(21a)에 지지되어 있고 링크앵글 (19)이 도 8(a)로부터 도 8(b)에 회전이동함으로써, 링크판(18R, 18L)의 중간부분이 링크앵글(19)의 결합편(19a, 19b)에 의해서 상방으로 밀어올려져, 링크판(18R, 18L)의 회전지지축(24)과 샤시(21)의 설치홈(21a)과의 결합부를 제 2의 지지점(H2)으로 하여 링크판(18R, 18L)이 회전이동하며, 삽입구 덮개(14)의 폐쇄위치로부터 개방위치로 회전이동에 따라서 홀더(6)가 샤시(21)에 대해서 평행하게 상승한다. 이 홀더(6)의 상승은, 비틀림코일스프링(36a, 36b)의 미는힘에 저항하여 행해진다.
홀더(6)의 배면에 잘라올려서 형성된 스프링부(6d)에 저항하여 카트리지(7)를 홀더(6)에 쑤셔넣어 행하면, 전면 캐비넷(26)의 상부 가장자리와 카트리지(7)의 결합을 분리하여, 카트리지(7)에 의한 삽입구 덮개(14)를 개방하는 힘이 해제되어서, 삽입구 덮개(14)가 비틀림코일스프링(40)의 미는힘으로 폐쇄위치에 회전이동함과 아울러, 카트리지(7)가 장전된 홀더(6)가, 비틀림코일스프링(36a, 36b)의 미는힘에 의해서 하강하여 도 12에서 나타내는 상태로 변화한다. 이 상태에서는, 카트리지(7)에 내장된 디스크가 디스크 회전구동기구(4)에 연결되고, 광픽업(5)이 디스크에 액세스가능하다.
도 12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검출레버(37)의 선단이 장전된 카트리지(7)에 접촉하여 비틀림코일스프링(36c)의 미는힘에 저항하여 도 1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이동한다.
검출레버(37)의 중간에는 절곡가공으로 결합돌기(37b)가 형성되어 있고, 이 결합돌기(37b)는 슬라이드판(33)의 중앙의 개구(33b)를 관통하여 승강가이드판(30)의 레버삽입구멍(29)에 삽입통과되어 있고, 검출레버(37)가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이동함으로써 슬라이드판(33)의 개구(33b)의 일부에 형성된 층계부(33c)와의 결합을 분리하여, 잡아당김 코일스프링(34)으로 힘이 가해져 있는 슬라이드판 (33)은, 도 13(a)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도 1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살표 A방향으로 거리J만큼 슬라이딩한다.
장전된 카트리지(7)를 꺼내는 조작은, 전면 캐비넷(26)의 오픈 조작버튼 (26a)를 화살표A방향과 역방향으로 조작하는 것만으로, 카트리지(7)가 자동적으로 배출되어서, 종래와 같이 가동 캐비넷(1)의 양측면을 잡아서 끌어올리는 번거로운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도 13(b)에 나타내는 상태에 있어서 오픈 조작버튼(26a)를 화살표A방향과 역방향으로 조작하면, 잡아당김 코일스프링(34)의 미는힘에 의해서 도 13(a)에 나타내는 상태를 경유하고 또한 오픈 조작버튼(26a)를 조작하면, 홀더(6)의 홀더가이드축(25R, 25L)이, 화살표A방향과 역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판(33)의 관통구멍 (33R, 33L)의 경사변(35)에 의해서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승강가이드판(30)의 상하가이드구멍(28R, 28L)을 따라서 밀어올려진다.
홀더(6)가 비틀림코일스프링(36a, 36b)의 미는힘에 저항하여 슬라이드판(33)의 경사변(35)에 의해서 밀어올려질 때에, 삽입구 덮개(14)의 지지암(14L)의 선단이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간 캐비넷(38)의 돌기(38e)에 결합하여 삽입구 덮개(14)가 비틀림코일스프링(40)의 미는힘에 저항하여 개방방향으로 회전이동하고, 전면 캐비넷(26)의 배면과 카트리지(7)와의 접촉이 없게 되었을 때에, 카트리지(7)는 홀더(6)의 스프링부(6d)에 의해서 홀더(6)로부터 도 1(a)에 나타내는 상태로 자동배출된다.
게다가, 이 실시형태에서는 카트리지(7)가 장전되어 있는 상태인 것에 상관없이 이용자가 다른 카트리지를 홀더(6)에 삽입하고자 하여도, 이 조작을 잘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카트리지(7)의 장전 전의 상태에서는, 홀더(6)의 홀더가이드축(25R, 25L)은 도 1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가이드구멍(28R, 28L)을 따라서 상승할 수 있는 상태로서, 카트리지(7)의 삽입에 따라 홀더(6)가 평행하게 상승하여 삽입구 덮개(14)가 개방되었지만, 카트리지(7)의 장전상태에서는, 도 1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검지레버(37)와 슬라이드판(33)의 층계부(33c)의 결합을 분리하여 슬라이드판(33)의 관통구멍(33R, 33L)의 일부에 형성된 스토퍼(33d)가, 승강가이드판(30)의 상하가이드구멍(28R, 28L)과 동일한 경로 중에 돌출하여, 다른 카트리지를 삽입하고자 하여도 홀더가이드축(25R, 25L)이 슬라이드판(33)의 스토퍼 (33d)에 충돌하여 그 이동이 금지되기 때문에, 삽입구 덮개(14)가 개방되지 않는 상태로 되어 있고, 다른 카트리지를 잘못해서 중복장전하는 사태의 발생이 방지가능하다.
또한, 카트리지(7)의 장전상태인지 아닌지는, 전면 캐비넷(26)의 오픈 조작버튼(26a)의 위치를 확인하는 것으로 판별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도 9(a)가 카트리지(7) 장전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카트리지(7)의 장전상태를 도 9(b)에 나타내었다. 카트리지(7)를 장전하면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판(33)이 승강가이드판(30)에 대해서 거리J만큼 슬라이딩하고, 슬라이드판(33)의 조작레버(33a)에 연결되어 있는 오픈 조작버튼(26a)의 위치도 동일한 거리J만큼 슬라이딩하고, 이 거리J의 슬라이딩에 의해서 지금까지 오픈 조작버튼(26a)의 하면에 숨어 있는 지시기(41)가 나타나므로 장전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지시기(41)의 구체예로서는, 전면 캐비넷(26)의 일부를 주위와는 다른 색으로 착색하는 예를 들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의 디스크 회전구동기구(4), 광픽업(5)이 청구범위에 있어서의 기록매체에 대한 기록/재생수단에 대응하고 있고, 본체 캐비넷(2) 및 이것을 구성하는 바닥부 덮개(39), 중간 캐비넷(38)이 특허청구범위에 있어서의 제 1캐비넷에 대응하고 있다. 가동 캐비넷(1)은 특허청구범위에 있어서의 제 2캐비넷에 대응하고 있다.
실시형태의 비틀림코일스프링(36a, 36b)이 청구범위에 있어서의 제 1의 탄성수단에 대응하고 있다. 실시형태의 스프링부(6d)는 청구범위에 있어서의 카트리지 배출용 제 2의 탄성수단에 대응하고 있다.
실시형태의 삽입구 덮개(14), 비틀림코일스프링(40)은 청구범위에 있어서의 삽입구 덮개에 대응하고 있다.
실시형태의 삽입구 덮개(14)에 형성된 지지암(14L, 14R)은 청구범위에 있어서의 제 1의 탄성수단에 의한 제 2캐비넷의 제 1의 위치방향으로의 미는힘에 저항하여 제 2캐비넷을 제 2의 위치로 이동시켜 덮개개방상태로 되게 하는 덮개개방수단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캐비넷으로서의 본체 캐비넷(2)에 대해서 제 2캐비넷으로서의 가동 캐비넷(1)이 접근한 제 1의 위치(도 1(b))와 이탈한 제 2의 위치(도 1(a))로 이동하고, 제 2의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가동 캐비넷(1)에 설치한 삽입구덮개(14)가 홀더(6)의 삽입구(6c)를 개방하였지만, 삽입구덮개 (14)는 필수요건은 아니고, 제 1의 위치에 있어서의 본체 캐비넷(2)의 일부가 홀더 (6)의 삽입구(6c)를 폐쇄하고, 가동 캐비넷(1)이 제 2의 위치에 이동함으로써 홀더 (6)의 삽입구(6c)가 개방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1캐비넷으로서의 본체 캐비넷(2)에 대해서 제 2캐비넷으로서의 가동 캐비넷(1)이 접근한 제 1의 위치(도 1(b))와 이탈한 제 2의 위치(도 1(a))로 이동하고, 본체 캐비넷(2)이 가동 캐비넷(1)에 접근한 상태에서는, 가동 캐비넷(1)의 전체부가 본체 캐비넷(2)의 내측에 수용되었지만, 가동 캐비넷(1)의 적어도 일부가 본체 캐비넷(2)의 내측에 수용함으로써도, 종래기술에 비교해서 카트리지의 삽입ㆍ꺼냄을 행하는 착탈시 이외의 카트리지 비장착상태 및 장착완료상태에서의 캐비넷의 박형화를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는 MD 플레이어이기 때문에 카트리지(7)는 MD 카트리지이었지만, 광디스크 카트리지 외에, 자기디스크 카트리지나 카세트테이프플레이어의 경우의 테이프 카트리지이어도 좋다.

Claims (10)

  1. 캐비넷의 측면에 있는 삽입구로부터 카트리지를 슬라이드삽입하여 세트하도록 구성한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카트리지(7)에 수납된 기록매체에 대한 기록/재생수단(4, 5)을 보유하는 제 1캐비넷(2)과,
    상기 제 1캐비넷(2)에 대하여 그 두께방향에 있어서 접근한 제 1의 위치와 이탈한 제 2의 위치로 이동가능하게 이 제 1캐비넷(2)에 연결된 제 2캐비넷(1)과,
    상기 제 2캐비넷(1)을 제 1캐비넷(2)에 접근한 제 1의 위치의 방향으로 항시 미는 탄성수단(36a, 36b)과,
    상기 탄성수단(36a, 36b)에 의한 미는힘에 저항하여 상기 제 2캐비넷(1)을 상기 제 1의 위치로부터 제 2의 위치로 이탈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개방수단 (27)과,
    상기 개방수단(27)에 의한 제 2캐비넷(1)의 제 1캐비넷(2)에 대한 이탈 시에 개구하는 삽입구(6c)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구(6d)는, 개방수단(27)에 의한 제 2캐비넷(1)의 제 2의 위치로의 이탈 시에만 개구하여 카트리지(7)를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구(6c)는, 삽입구를 막는 삽입구덮개(14)를 보유하고, 이 삽입구덮개(14)가 상기 개방수단(27)과 연동하여 삽입구(6c)를 개구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구(6c)를 막는 삽입구덮개(14)에, 카트리지 (7)의 접촉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경사부를 보유하는 입술형상의 개구접촉부(G)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접촉부에 카트리지(7)를 직접 접촉시켜서 눌러넣음으로써 삽입구덮개(14)를 개방하여 카트리지(7)를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캐비넷(1)에, 이 제 2캐비넷(1)과 일체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된 홀더(6)를 구비하고, 카트리지(7)가 상기 홀더(6)에 슬라이드삽입되어서 세트되고, 카트리지(7)가 홀더(6) 및 제 2캐비넷(1)과 함께 이동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장치.
  5. 제 1한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7)를 수납 중에 이 카트리지(7)의 수납을 검출하는 검출수단(37)과, 그 검출수단(37)에 의해 상기 개방수단(27)을 잠그는 잠금수단(33d)을 구비하고, 카트리지(7)를 수납 중에 다른 카트리지(7)를 삽입할 수 없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넷(2)의 측면에 오픈 조작버튼(26a)를 구비하고,이 오픈 조작버튼(26a)과 상기 개방수단(27)이 연동하여, 오픈 조작버튼(26a)의 조작에 의해서 삽입구(6c)가 개구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7)를 수납 중에 이 카트리지(7)의 수납을 검출하는 검출수단(37)과, 이 검출수단(37)에 의해 상기 개방수단(27)을 잠그는 잠금수단(33d)을 구비하고, 잠겨진 개방수단(37)에 연동한 오픈 조작버튼(26a)의 정지위치가 수납 중의 카트리지(7)의 유무에 따라 다르도록 구성하고, 이 오픈 조작버튼(26a)의 정지위치에 의해 카트리지(7)의 유무를 삽입구면(26)에 표시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수납 중에 있어서의 개방수단 (27)의 잠금수단(33d)에 의한 잠금상태는, 오픈 조작버튼(26a)의 개방조작에 의해서만 해제되어서 삽입구(6c)를 개구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장치.
  9. 제 1항, 제 2항, 제 3항, 제 4항, 제 6항, 제 7항 또는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캐비넷(1)에, 수납 중의 카트리지(7)를 배출하는 방향으로 미는 카트리지 배출용 제 2의 탄성수단(6d)을 설치하고,
    제 2캐비넷(1)이 개방수단(27)에 의해 제 1의 위치로부터 제 2의 위치로 이탈이동하였을 때에, 수납 중의 카트리지(7)가 상기 제 2의 탄성수단(6d)에 의해 배출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장치.
  10. 삽입구(6c)에 설치된 개폐덮개(14)를 개방하여 카트리지(7)를 슬라이드삽입하여 홀더(6)에 세트되도록 한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카트리지(7)에 수납된 기록매체에 대한 기록/재생수단(4, 5)을 보유하는 제 1캐비넷(2)과,
    상기 제 1캐비넷(2)에 보유하는 기록/재생수단(4, 5)에 대향하여 근접한 제 1의 위치와 이탈한 제 2의 위치로 이동가능하게 이 제 1캐비넷(2)에 설치된 제 2캐비넷(1)과,
    상기 제 2캐비넷(1)과 일체로 이동하여 상기 제 2의 위치에서 삽입구(6c)로부터 삽입된 카트리지(7)를 수취하여 상기 제 1의 위치에서 기록/재생수단(4, 5)에 의해 기록/재생할 수 있도록 이송하는 홀더(6)와,
    상기 제 2캐비넷(1)과 홀더(6)를 제 1캐비넷(2)에 보유하는 기록/재생수단 (4, 5)에 근접하여 기록/재생가능한 상기 제 1의 위치로 미는 제 1의 탄성수단 (36a, 36b)과,
    상기 홀더(6)로부터 카트리지(7)를 배출하는 방향으로 미는 카트리지 배출용 제 2의 탄성수단(6d)과,
    상기 홀더(6)의 삽입구(6c)에 설치되어서 삽입구(6c)를 막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 삽입구덮개(14)와,
    상기 삽입구덮개(14)의 해방 시에 상기 제 1의 탄성수단에 의한 제 2캐비넷(1)의 제 1의 위치방향으로의 미는힘에 저항하여 이 제 2캐비넷(1)을 제 2의 위치로 이동시켜 덮개개방상태로 되게 하는 덮개개방수단(14L, 14R)을 구비하고,
    상기 덮개개방수단(14L, 14R)에 의한 삽입구덮개(14)의 개방 시에 있어서의 제 2캐비넷(1)의 제 2의 위치상태 시에 카트리지(7)를 삽입하고, 이 카트리지(7)의삽입완료 후에 상기 제 1의 탄성수단(36a, 36b)에 의한 미는힘에 의해서 제 2캐비넷(1)을 이동시켜, 삽입구덮개(14)를 덮개폐쇄상태로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장치.
KR10-2001-7002957A 1998-09-07 1999-09-01 기록/재생장치 KR1004024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5168798A JP3236264B2 (ja) 1998-09-07 1998-09-07 記録/再生装置
JP98-251687 1998-09-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9762A KR20010079762A (ko) 2001-08-22
KR100402403B1 true KR100402403B1 (ko) 2003-10-22

Family

ID=17226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2957A KR100402403B1 (ko) 1998-09-07 1999-09-01 기록/재생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657941B1 (ko)
JP (1) JP3236264B2 (ko)
KR (1) KR100402403B1 (ko)
CN (1) CN1141704C (ko)
DE (1) DE19983581T1 (ko)
GB (1) GB2357627B (ko)
WO (1) WO20000147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08416A (ja) * 2011-06-24 2013-01-10 Seiko Epson Corp 光ディスク処理装置およびその光学ドライブ着脱機構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97761A (en) * 1986-06-13 1989-01-10 Polaroid Corporation Telescoping disk drive assembly
KR0120540B1 (ko) * 1993-07-26 1997-10-27 김광호 테이프 레코더의 도어장치
US5999364A (en) * 1995-12-26 1999-12-07 Sony Corporation Cassette mounting and ejection mechanism
JPH10208457A (ja) * 1997-01-24 1998-08-07 Sony Corp 電子機器
JP3804236B2 (ja) * 1997-12-04 2006-08-02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媒体装填装置及び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H11312353A (ja) * 1998-04-28 1999-11-09 Sony Corp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装填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ディスク記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17137A (zh) 2001-10-10
WO2000014737A1 (fr) 2000-03-16
GB2357627A (en) 2001-06-27
JP3236264B2 (ja) 2001-12-10
GB0105592D0 (en) 2001-04-25
JP2000090535A (ja) 2000-03-31
GB2357627B (en) 2002-11-06
KR20010079762A (ko) 2001-08-22
DE19983581T1 (de) 2001-08-09
US6657941B1 (en) 2003-12-02
CN1141704C (zh) 2004-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53042A (en) Cassette loading apparatus
JP2816120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装置
KR20020092696A (ko) 저장매체의 착탈 장치
WO1997002565A1 (fr) Support d'enregistrement et appareil d'enregistrement et/ou de reproduction equipe dudit support d'enregistrement
KR100402403B1 (ko) 기록/재생장치
US5481520A (en) Disk player door assembly
JP3693506B2 (ja) 記録/再生装置
US6922839B2 (en) Cartridge for protecting optical recording media
JP3618230B2 (ja) 記録/再生装置
US5249088A (en) Cassette loading apparatus with resilient guide slot for prevention of jamming
JP3428456B2 (ja) 記録/再生装置
JPH1116333A (ja) 記録担体用の再生装置
US6125006A (en) Voice coil motor actuated video data cartridge release
JP2903585B2 (ja) ディスクのローディング機構
JP4264402B2 (ja) 記録媒体装着装置
JP3729223B2 (ja) 記録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JP2558657B2 (ja) 磁気デイスク装置
KR0113722Y1 (ko)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장치
JP3277396B2 (ja) 記録媒体挿入部における開閉蓋構造
JP2675404B2 (ja) 記録媒体演奏装置
JP4480250B2 (ja) 記録/再生装置
JP3198650B2 (ja) コンピュータ制御電子機器
JPH0563856B2 (ko)
JPH09251766A (ja) 車載用電子機器
JPH07320369A (ja) ディス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