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1271B1 - 작업차의 곡물 반송장치 - Google Patents

작업차의 곡물 반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1271B1
KR100401271B1 KR10-2001-0039683A KR20010039683A KR100401271B1 KR 100401271 B1 KR100401271 B1 KR 100401271B1 KR 20010039683 A KR20010039683 A KR 20010039683A KR 100401271 B1 KR100401271 B1 KR 1004012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tank
discharge pipe
blower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9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3843A (ko
Inventor
오오사키마사미
이시카와미치오
토미타오사무
Original Assignee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1-0039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1271B1/ko
Publication of KR20030003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38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1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12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6Mechanical grain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콤바인 등의 작업차에 탑재되며, 대두, 소두, 쌀, 보리, 메밀 등의 곡물이 일시적으로 고이는 곡물탱크의 곡물반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동차체 위에 설치되고 곡물을 저장하는 곡물탱크와, 곡물탱크의 하부로부터 계속하여 반출되는 곡물이 곡물 배출구쪽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곡물 배출파이프와, 상기 곡물 배출파이프 내의 곡물을 반송하는 송풍기를 갖는 곡물 반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를 곡물탱크와 일체로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작업차의 곡물 반송장치{Grain conveyor}
본 발명은 콤바인 등의 작업차에 탑재되며, 대두, 소두, 쌀, 보리, 메밀 등의 곡물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곡물탱크의 곡물반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공지된 일본 실용신안등록 제3000996호 공보에는 주행장치의 상부에 곡물탱크를 설치하고, 상기 곡물탱크 내의 곡물을 연속적으로 반출하여 아래로 흘려보내면서, 블로워(blower)의 송풍을 이용하여 곡물 공급파이프 내의 곡물을 곡물 취입구로부터 곡물 반출구로 반송하고, 이를 경유하여 기계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일부분은 풍력에 의하므로, 스크류 반송형태에 의한 곡물의 손상이 생기지 않는 점에서 유리하다.
그러나, 종래 공지된 이러한 형태에서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터리 밸브와 블로워를 갖고 있지만, 로터리 밸브의 구동구성이나 블로워의 구동구성에 대해서는 개시가 없고, 개량의 여지가 있다.
또한, 송풍기를 엔진구동형태로 하는 경우는 송풍력이 저하하여 연속배출기구가 구동되는 결과, 곡물의 막힘이 발생할 염려가 있다.
더욱이, 상기 종래의 공지된 형태에서는, 곡물탱크로 탈곡을 완료한 곡물을 회수하는 경우에 곡물탱크 상부에 확산수단으로서의 확산날개가 설치되어 있지않기 때문에, 탱크내로 균일하게 장입되지 않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블로워의 구동구성을 개량하고, 곡물의 막힘이 없으며, 곡물탱크 내부로 곡물이 균일하게 장입될 수 있는 작업차의 곡물반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하고 있다.
도1은 콤바인의 전체 측면도이다.
도2는 곡물탱크의 측면도이다.
도3은 곡물탱크의 평면도이다.
도4는 곡물탱크의 배면도이다.
도5는 곡물탱크의 정면도이다.
도6은 곡물탱크의 사시도이다.
도7은 블로워의 구동계통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8은 블로워의 구동계통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9는 블로워의 구동계통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10은 블로워의 구동계통에 대한 확대 평면도이다.
도11은 비교예의 측면도이다.
도12는 비교예의 측면도이다.
도13은 비교예의 평면도이다.
도14는 제어 블록도이다.
도15는 진동장치의 측면도이다.
도16은 연속배출기구의 단면도이다.
도17은 연속배출기구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콤바인, 2 … 주행궤도,
3 … 주행차체, 4 … 탈곡부,
5 … 곡물탱크, 9 … 연속배출기구,
10 … 전동모터, 22 … 블로워,
33 … 곡물 배출파이프.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했다.
즉, 청구항 1의 발명에서는, 이동차체 위에 설치되고 곡물을 저장하는 곡물탱크와, 곡물탱크의 하부로부터 계속하여 반출되는 곡물이 곡물 배출구쪽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곡물 배출파이프와, 상기 곡물 배출파이프 내의 곡물을 반송하는 송풍기를 갖는 곡물 반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를 곡물탱크와 일체로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곡물 반송장치로 한다.
또한, 청구항 2에서는, 이동차체 위에 설치되고 곡물을 저장하는 곡물탱크와, 곡물탱크의 하부로부터 계속하여 반출되는 곡물이 곡물 배출구쪽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곡물 배출파이프와, 상기 곡물 배출파이프 내의 곡물을 반송하는 송풍기를 갖는 곡물 반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곡물탱크 하부에 설치한 연속배출기구와, 상기 연속배출기구를 구동하는 구동부와, 곡물 공급부를 곡물탱크에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곡물 반송장치로 한다.
또한, 청구항 3에서는,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탱크는 세로축 주위로 자유롭게 회동하도록 기계본체에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곡물 반송장치로 한다.
또한, 청구항 4에서는, 이동차체 위에 설치되고 곡물을 저장하는 곡물탱크와, 곡물탱크의 하부로부터 계속하여 반출되는 곡물이 곡물 배출구쪽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곡물 배출파이프와, 상기 곡물 배출파이프 내의 곡물을 반송하는 송풍기를 갖는 곡물 반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곡물탱크 하부에 설치한 연속배출기구를 구동하는 구동부와 상기 송풍기로의 클러치수단을, 송풍기로 동력을 전달하도록 클러치수단을 바꾼 후에 상기 연속배출기구를 구동하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곡물 반송장치로 한다.
또한, 청구항 5에서는, 주행장치를 구동하는 엔진을 탑재한 이동자체 위에 설치되고 곡물을 저장하는 곡물탱크와, 곡물탱크의 하부로부터 계속하여 반출되는 곡물이 곡물 배출구쪽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곡물 배출파이프와, 상기 곡물 배출파이프 내의 곡물을 반송하는 송풍기를 갖는 곡물 반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곡물탱크 내의 곡물을 배출하기 위한 곡물 배출레버는, 상기 엔진과 송풍기 사이에 동력전달이 가능하게 설치한 클러치수단을 연결, 차단 작동하도록 구성함과 동시에연속배출기구를 구동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곡물 배출레버의 클러치 연결상태 판정수단과 상기 엔진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엔진회전 검출수단을 설치하며, 상기 곡물 배출레버를 연결한 상태로 한 경우에, 상기 엔진회전 검출수단의 측정치가 소정의 값 이하인 경우는 상기 연속배출기구의 구동을 견제하는 제어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곡물 반송장치로 한다.
청구항 6에 기재한 발명은, 제1항, 제2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 배출파이프가 유연성을 갖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곡물 반송장치로 한다.
청구항 7에 기재한 발명은, 이동차체 위에 설치되고 곡물을 저장하는 곡물탱크와, 곡물탱크의 하부로부터 계속하여 반출되는 곡물이 곡물 배출구쪽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곡물 배출파이프와, 상기 곡물 배출파이프 내의 곡물을 반송하는 송풍기를 갖는 곡물 반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곡물 배출파이프는 세로방향의 부분을 지지하는 세로 보강프레임에 관통하여 삽입되고, 더욱이 상기 세로 보강프레임의 상부에 있어서 가로방향으로 지지된 가로 보강프레임에 지지되며, 세로 보강프레임을 선회작동하는 구동수단과 가로 보강프레임을 승강제어하는 유압실린더 기구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곡물 반송장치로 한다.
청구항 8에 기재한 발명은, 이동차체 위에 설치되고 곡물을 저장하는 곡물탱크와, 곡물탱크의 하부로부터 계속하여 반출되는 곡물이 곡물 배출구쪽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곡물 배출파이프와, 상기 곡물 배출파이프 내의 곡물을 반송하는 송풍기를 갖는 곡물 반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곡물탱크의 상부에는 탈곡이 끝난 곡물을 받아서 곡물탱크 내에 장입하는 확산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곡물 반송장치로 한다.
[실시예]
이하에서는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1은 콤바인(1)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주행궤도(crawler, 2)를 갖는 주행차체(3)의 위에 탈곡부(4)와 곡물탱크(5)를 좌우 가로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하고 있다.
수확부(7)로 수확한 대두, 소두, 메밀, 보리, 쌀 등의 곡물은 도시하지 않은 반송장치에 의해 탈곡부(4)(기계본체 왼쪽)로 안내되고, 여기에서 탈곡된 후, 곡물탱크(5)(기계본체 오른쪽)로 회수된다. 곡물탱크(5)는 뒤쪽의 세로축을 중심으로 하여 앞쪽이 가로방향 바깥쪽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곡물탱크(5)의 하부는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깔때기 형상의 밑판(5a)의 하부에는 곡물탱크(5) 내의 곡물을 배출하는 연속배출기구(9)를 설치하고 있다. 연속배출기구(9)는 전동모터(10)에 의한 회전작용을 받는 것이고,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인스프라켓 등의 전달수단(12)을 통해서 연속배출기구(9)를 구동한다. 연속배출기구(9)는 전후방향을 따라서 설치한 회전축(13)과 상기 회전축(13)에 부착되어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판체(14)로 구성되며, 회전하면서 곡물을 소정량씩 받아들여서 하부의 공급부(15)로 반출하도록 구성되어있다. 상술하면(도16참조), 곡물탱크(5)의 하단의 플랜지부(5b)와 공급부(15)의 플랜지부(15a)의 사이에 상하로 상기 플랜지부(5b, 15a)에 접합하는 플랜지부(16a,16b)를 구비한 연속배출 케이스(16)를 설치한 구성으로, 상기 케이스(16)는 곡물을 소정영역으로 배출하도록 안내하는 슈트(chute, 17)를 내장하는 상부 케이스부(16A), 상기 판체(14)를 수용하는 원통 케이스부(16B), 소정 폭으로 개구한 하부 케이스부(16C)를 일체로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원통 케이스(16B)는 판체(14)의 외주부에 설치한 날개체(18)를 접하도록 안내하는 벽부로 형성된 것이지만,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16A) 측은 판체(14)의 회전 상승쪽으로부터 상사점 부근에 걸쳐서 개구하고, 한편 하부 케이스(16C) 측은 판체(14)의 하사점 부근으로부터 회전 전후로 거의 동일한 각도 범위에 걸쳐서 개구하도록 성형된 배출개구로 이루어져 있다. 상부 케이스부(16A)의 슈트(17)는 케이스(16A)에 고정한 고정 슈트에서 연장하도록 연장 슈트(17a)를 외부로부터 자유롭게 슬라이드 조정하도록 설치한 구성으로 하고, 마주하는 케이스(16A) 벽체를 단면이 꺾여있는 형태로 형성하여 곡물탱크(5)로부터의 곡물을 회전하는 판체(14)의 'V'자형의 사이에 공급하는 구성이다. 즉, 회전축(13)의 회전(a)에 따라서 판체(14)가 상승회전하는 쪽으로 곡물을 공급하고, 판체(14)의 상기 'V'자형 사이에 곡물을 받아들이며, 이 상태로 슈트(17) 하단을 넘어서는 범위까지 받아들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19는 상사점 부근에 설치한 접절체(摺切體)로서의 접절판(摺切板)으로, 상기 날개체(18)에 접하는 구성이고, 판체(14)의 사이에 받아들여진 곡물의 과잉분을 깎아내서 상기 설치위치 이하로의 끼어 들어감을 방지하고 있다.
또, 상기 날개체(18)는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체에 의해서 구성되고, 판체(14) 선단에 접하는 탄성 날개체(18) 두께(T) 보다도 얇은 두께(t(<T))를갖는 컬러(18a)를 개재하여 볼트, 너트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그래서, 탄성재의 과도한 변형을 억제할 수 있고, 케이스 내벽면위 접하는 작용을 양호하게 유지한다. 더욱이, 박판(18b)을 개재하여 탄성 날개체(18)의 국부 변형을 방지하고 있다.
20은 곡물탱크(5) 전체부분에 부착된 앞판으로, 상기 앞판(20)에는 송풍기인 블로워(22)를 수용하는 블로워 케이스(24)가 복수개의 볼트(25)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도9참조). 도1에서 알 수 있듯이, 블로워 케이스(24)는 곡물탱크(5)의 경사진 밑판(5a)과 앞판으로 형성되는 공간부에 수용되어 있으므로, 공간을 차지하지 않아 소형으로 설치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기계본체의 전후중심 근방에 블로워(22)를 배치할 수 있으므로, 비교적 중량이 큰 블로워를 선택하여도 전후 균형을 양호하게 유지한다.
26은 블로워(22)를 회전시키는 입력축으로, 상기 입력축(25)의 앞단부에는 입력풀리(27)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입력풀리(27)를 구동하는 동력의 전동계통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블로워 케이스(24)의 뒷면에는 열을 방사하기 위한 복수개의 리브(24a)가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24)의 뒷면 하부에는 외기를 받아들이기 위한 원형의 흡기구(29)와, 흡입된 공기를 압축하여 송출하는 원형의 배기구(30)가 좌우로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도5참조). 배기구(30)에는 덕트(32)가 접속되고, 다른 단부는 상기 공급부(15)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스(24)의 흡기구(29)와 연통하는 흡기통(34)은, 그 외주부가 소음기(34a)를 구성하는 소음재로 둘러싸인 구성으로 되어 있다.
공급부(15)의 반대쪽에 있어서는, 투명한 수지재로서 유연성 있는 주름이 잡힌 곡물 배출파이프(33)가 원터치 연결부재(35)를 통해서 착탈이 자유롭게 접속되어 있다(도6 및 도9참조). 즉, 상기 곡물 배출파이프(33)를 공급부(15)의 출구쪽에 접속할 때는 곡물 배출파이프(33)의 차입구(差入口, 33a)를 눌러서 끼우고, 이 상태로 공급부(15)의 횡측부(橫側部)에 부착한 후크(37)에 'U'자 형상의 철편(38)을 걸며, 레버(40)를 지지점을 넘겨서 고정한다. 연속배출기구(9)의 안을 점검하는 등, 곡물 배출파이프(33)를 빼낼 때에는, 상기와 반대의 조작을 한다(도10참조).
그리고, 곡물 배출파이프(33)는 기계본체 뒤쪽 모퉁이부에 설치된 세로 보강프레임으로서의 세로관(42) 내에 관통하여 삽입, 지지되고, 더욱이 상기 세로관(42)의 상부에 있어서 가로방향으로 지지된 가로 보강프레임으로서의 가로관(44) 내에 관통하여 삽입, 지지되고 있다. 43은 가로관(44)을 지지하기 위한 봉체(棒體)이다. 세로관(42)은 모터(41)에 의해 세로축 주위로 자유롭게 회동한다. 가로관(44)은 일단이 세로관(42)에, 다른 단이 상기 봉체(43)에 고정된 유압실린더(45)에 의해 자유롭게 승강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상기 유압실린더(45)에 작동유를 공급하면 가로관(44)은 위로 이동하고, 작동유를 배출하면 하강하도록 되어 있다. 가로관(44)의 선단에는 곡물 배출구(48)가 설치되며, 블로워(22)의 송풍력에 의해 곡물 배출파이프(33)를 통해서 공기에 의해 반송된 곡물을 상기 곡물 배출구(48)로부터 기계 밖으로 배출하도록 되어있다.
또, 곡물탱크(5)로부터 블로워(22)의 압축된 바람에 의해 곡물을 반송하는 경우에는, 곡물을 공기에 의해 반송하기 때문에 곡물 배출파이프(33)와 곡물 간의마찰에 의해 정전기가 발생하고, 스파크가 생길 우려가 있으므로, 곡물 배출파이프(33)를 정전방지 타입으로 한다. 정전방지 타입으로서는, 어떠한 형태의 것도 사용할 수 있지만, 절연성 고무, 합성수지 타입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곡물 배출파이프(33)는 유연성 있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연속배출기구(9)의 접속부분으로부터 세로관(42)에 이르는 사이에 있어서는, 완만하게 굽혀서 구성하고 있다. 더욱이, 곡물 배출파이프(33)는 세로관(42)으로부터 가로관에 이르는 사이에 있어서도, 완만하게 굽혀서 구성하고 있다. 이것은 곡물 배출파이프(33) 내를 통과하는 공기와 곡물에 가해지는 저항을 작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로 인해, 곡물은 곡물 배출구를 향하여 부드럽게 반송된다.
따라서, 세로관(42)이 선회하는 때에는, 곡물 배출파이프(33)에는 비틀림 힘이 작용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곡물 배출파이프(33)는 유연성이 있으므로 문제는 없다. 또한, 가로관(44)이 승강하는 때에는, 곡물 배출파이프(33)에는 신장과 압축력이 작용하지만, 곡물 배출파이프(33)는 유연성이 있으므로 문제는 없다.
상기 곡물 배출파이프(33)를 완만하게 굽히는 데 있어서, 공기와 곡물에 가해지는 저항을 작게 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곡물 배출파이프(33) 내경의 10배는 필요하다. 그러나, 콤바인의 구성 상, 곡물 배출파이프(33) 내경의 10배로 하는 구성은 곤란하다. 설사 이와 같이 구성한다 해도 곡물 배출파이프(33)가 뒤쪽으로 돌출되어 버리고, 콤바인의 전체 길이가 크게 길어져 버린다. 그러므로, 적어도 곡물 배출파이프(33)의 내경의 약 5배까지는 허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를 위해서는, 블로워(22)의 성능을 향상시켜서 송풍력을 증가시키면 좋다. 이로 인해, 곡물배출파이프(33)가 뒤쪽으로 돌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곡물의 공기에 의한 배출반송 타입의 콤바인에 있어서, 전체길이를 짧게 할 수 있고, 콤바인을 소형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도2 내지 도4에 기초하여 곡물탱크(5) 내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물탱크(5)의 탈곡부(4)를 향하는 쪽의 측벽 상부에 직사각형의 개구부(50)를 설치하고, 상기 개구부(50)에 1번나선(螺旋, 도시생략)과 연통하는 양곡관(揚穀管, 51)의 배출구를 향하게 한다. 따라서, 곡물탱크(5)가 닫힌 통상의 상태에서는 배출구와 곡물탱크(5)의 개구부(50)가 일치하여 탈곡부에 의해 탈곡된 곡물이 양곡관(51)을 통해서 곡물탱크(5) 내로 반입되도록 하고 있다.
곡물탱크(5)의 상부에는 개폐덮개(55)가 설치되고, 상기 개폐덮개(55)는 지지점(56)을 중심으로 앞쪽이 위쪽으로 열리게 되어 있다. 개폐덮개(55)의 안쪽에는 전동식 모터(57)가 고정되며, 상기 전동식 모터(57)에 의해 확산날개(58)를 갖는 회전축(59)을 회전구동시키도록 하고 있다. 개구부(50)에 대한 확산날개(58)의 위치는 확산날개(58)가 약간 뒤쪽이 되어, 곡물탱크(5) 안쪽을 향하여 방출되는 곡물이 고루 퇴적되도록 하고 있다. 즉, 개구부(50)로부터 들어오는 곡물을 상기 확산날개(58)에 의해 뒤쪽(도2에서는 오른쪽)으로 날려서 곡물탱크(5) 내의 뒷부분으로 반입되게 작용하는 것이다. 상기 확산날개(58)는 곡물을 뒤쪽으로 날리는 것 뿐만 아니라 곡물탱크(5) 내에 쌓이는 곡물을 곡물탱크(5) 내에서 고루 퍼지도록 뒤섞는 것이다.
또한, 상기 확산날개(58)는 축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하로 이동하여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곡물의 크기 및 곡물탱크(5) 내에서의 흐름의 용이성 등에 따라서 고정 높이를 변경하고, 조절 후에는 볼트(60)에 의해 축(59)에 고정한다. 또, 확산날개(58)는 충전되지 않은 장소의 뒤쪽까지 곡물을 날릴 수 있도록, 더욱이 손상이 없도록 날개에는 후퇴각을 가지고 있다(도3참조).
또, 상기 실시예와 같이 확산날개(58)를 구동하는 모터(57)를 개폐덮개(55)쪽에 설치하는 것에 의해서 구동부의 내구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곡물탱크(5) 내의 상하방향의 중앙부 보다 약간 위쪽에 있는 탱크 측벽에는 확산날개(58)의 구동을 시작하는 시동센서(61)가 부착되고, 그 위쪽에 개구부(50)와 거의 같은 높이에 해당하는 부위에는 차단센서(62)가 설치되어 있다.
곡물이 시동센서(61)의 높이까지 도달하면 모터(57)가 회전을 시작하고, 확산날개(58)를 회전시키며, 차단센서(62)의 위치까지 도달하면 회전을 정지시키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곡물이 거의 가득 찬 상태에서는 확산날개(58)가 회전하지 않으므로 장치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고, 확산날개(58)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축(59)의 상부에 먼지 배출팬(64)을 고정하고, 확산날개(58)가 회전하는 때에 상기 먼지 배출팬(64)도 동시에 회전하도록 하면 곡물탱크(5) 내의 먼지를 기계 외부로 간단하게 배출할 수 있다. 도2는 탈곡기쪽에서 본 도면으로서, 부호46은 개폐덮개(55)를 고정하기 위한 잠금장치이다. 도3은 곡물탱크(5)를 위쪽에서 본 도면으로서, 상기 도면에서는 먼지 배출팬(64)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3에 나타난 부호 47은 연결튜브로서, 곡물탱크(5)의 뒤판(21)과 블로워 케이스(24)쪽을 연결하며, 프레임 강성을 높이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도4는 곡물탱크(5)를 뒤쪽에서 본 도면이다. 도4에서 부호49는 곡물탱크(5)를 닫은 때에 탈곡기 쪽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이다.
다음에 블로워(22)의 구동계통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행차체(3)의 위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된 엔진(65)의 크랭크축(66)에는 풀리(67)가 고정되고, 상기 풀리(67)와, 주행차체(3)의 오른쪽 모퉁이에 설치되어서 기어박스(68)의 입력축(70)에 부착된 풀리(72)의 사이에는 벨트(74)가 감겨있고, 상기 벨트(74)의 상부에는 상기 엔진(65)과 블로워(22) 사이의 동력을 연결, 차단하는 클러치 수단으로서의 텐션풀리(75)가 결합, 분리가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76은 상기 텐션풀리(75)의 회동 지지점이다. 텐션풀리(75)는 조종석 근방에 설치된 곡물 배출레버(78)와 와이어(63)를 통해서 연동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배출레버(78)를 클러치 연결쪽으로 조작하면 크랭크축(66)쪽의 회전동력이 기어박스(68)의 입력축(70)으로 전달되도록 하고 있다.
입력축(70)의 안쪽에는 베벨기어(79)가 부착되고, 상기 베벨기어(79)에는 다른 베벨기어(80)가 기어물림된다. 81은 베벨기어(80)와 일체로 회전하는 출력축으로, 상기 출력축(81)의 축의 끝단에는 연결 커플러(coupler, 82)를 통해서 1개의 긴 구동축(84)이 연결되어 있다. 85는 구동축(84)의 후단을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 86은 상기 구동축(84)의 후단부에 고정된 풀리이다.
상기 풀리(86)와 상기 블로워(22)의 입력축(26) 단부에 고정된 풀리(27)의사이에는 벨트(88)가 감기고, 엔진(65)쪽의 동력을 블로워(22)쪽으로 전달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90은 상기 벨트(88)를 항상 팽팽하게 하기 위한 텐션풀리이다(도8참조). 상기 풀리(90)를 고정하고 있는 아암(91)의 중간부는 지지핀(92)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가능하게 피봇 고정되고, 아암(91)과 일체인 봉 형상의 스테이(stay, 93)는 스프링(94), 로드(95)를 통해서 인장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고 있다. 로드(95)의 단부에는 나사가 설치되고, 앞판(20)에 고정된 플레이트(97)에 대하여 로드(95)를 나사결합하는 것에 의해 텐션풀리(90)를 벨트(88)로 강하게 눌러서 접하게 하여 벨트(88)를 팽팽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벨트(88)를 교환하는 등 장력을 느슨하게 할 때에는 스테이(93)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고, 후크(99)에 건다. 이 상태에서는 벨트(88)가 느슨해지고, 양 풀리(86, 87)로부터 벨트(88)를 간단하게 빼내는 것이 가능하다. 곡물탱크(5)의 앞판(20) 하부에는 앞쪽을 향하여 돌출하는 원기둥(100)을 부착하고, 주행차체(3)쪽에 부착한, 정면에서 보아 ‘C'자 형의 봉받이(101)의 오목부에 상기 원기둥(100)을 끼워 넣는다.
봉받이(101)의 하부에는 잠금레버(102)가 핀(103)을 통해서 피봇 고정되며, 상기 잠금레버(102)를 세워서 봉받이(101)의 상부에 설치한 후크(105)를 잠금레버(102)의 핀(107)에 걸어서 상기 잠금레버를 세운 상태로 고정하도록 하고 있다. 곡물탱크(5)를 바깥쪽으로 회동시킬때에는 벨트(88)를 빼낸 후, 잠금레버(102)의 잠금을 해제하고, 곡물탱크(5)를 뒤쪽의 회동축 주위로 회동시킨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벨트(88)를 떼어 내어 곡물탱크(5)를 바깥쪽으로 간단하게 회동시킬 수 있다.
도14에는 제어수단(110)에 관한 블록도가 나타나있다. 제어수단(110)의 입력측에는 곡물 배출레버(78)의 클러치수단 접속측(입력)을 검출하는 스위치(78a)와 엔진(65)의 회전수 검출수단(65a)이 접속되고, 한편 출력측에는 연속배출기구(9)의 구동모터(57), 엔진(65)의 연료차단모터(65) 및 경보수단(111)이 신호출력된다. 상기 경보수단(111)은 적당한 조작부에 설치한 모니터(111a)로의 표시와 부저 (111b)로 구성되어, 한쪽 또는 양쪽으로 경보를 출력하는 것이다.
상기 제어수단(110)은,
1. 엔진(65)의 회전수가 소정의 값 이하인 경우에는 곡물 배출레버(78)의 연결검출이 있어도, 전동모터(10)로의 구동지령신호를 출력하지 않도록 구성하고 있다.
2. 또한, 엔진(65)의 회전수가 소정의 값 이상인 경우에 있어서는, 곡물 배출레버(78)를 연결상태로 하면, 제어수단(110) 내에 있어서, 프로그램상 연속배출기구(9)의 전동모터(10)의 스위치는 연결 상태로 되지만, 실제로는 상기 모터(10)로의 출력신호는 송신하지 않는 상태로 된다. 그리고, 같은 프로그램상에서 소정시간 카운트 후에 바로 모터(10)로의 송신을 실행하도록 한다.
3. 경보수단(111)에 의해 경보를 출력한 후, 엔진(65)의 구동을 정지하도록 한다. 엔진(65)의 정지는 연료차단모터(65b)에 의해 연료를 차단하여 실행하도록 한다.
4. 연속배출기구(9)의 정지 후, 제어수단(110)에 의해 엔진(65)의 구동을 소정시간 후 자동으로 정지하는 구성으로 한다.
5. 엔진(65)의 시동시에 있어서, 곡물 배출레버(78)가 연결상태로 되어 있는 때에는, 엔진(65)의 시동을 견제하도록 한다.
등의 기능을 갖는다.
다음에 상기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콤바인(1)의 운전석에 앉아서 기계본체를 전진시키고, 벼를 베어서 수확하고, 이것을 반송장치를 통해서 탈곡부(4)로 유도한다. 탈곡부(4)에서 탈곡된 곡물은 도시하지 않은 1번나선으로부터 양곡관(51)의 배출구를 통해서 곡물탱크(5) 내에 저장된다.
곡물이 반 이상 충전되어 시동센서(61)가 ON작동하면 확산날개(58)를 구동하는 전동모터(57)에 통전되고, 확산날개(58)가 회전을 시작한다. 이로 인해, 곡물탱크(5)의 개구부(50)로부터 들어온 곡물은 상기 확산날개(58)의 회전작용을 받아서 곡물탱크(5) 내 뒤쪽으로 방출되어 곡물탱크(5) 내에 균등하게 충전되게 된다. 곡물이 곡물탱크(5) 내에 더욱 저장되면, 차단센서(62)가 ON 작동하여, 확산날개(58)의 회전이 정지된다.
한편, 가득 찬 곡물탱크(5) 내의 곡물을 기계 밖으로 배출할 때에는, 콤바인(1)을 논밭의 끝까지 이동시키고, 대기하고 있는 트럭의 근처까지 접근시킨다. 그리고, 곡물 배출구(48)를 적재대의 소정 위치 위쪽으로 위치시키도록 세로관(42)을 회전시키면서, 가로관(44)을 적재대의 소정의 장소를 향하게 하고, 그 상태에서 배출레버(78)를 클러치 연결쪽으로 밀어넣고, 텐션풀리(75)를 벨트(74)에 압접시켜 엔진(65)쪽의 동력을 블로워(22)쪽으로 전달한다.
곡물 배출레버(78)를 클러치 연결쪽으로 조작하면 스위치(78a)가 ON 작동하고, 이와 함께 전동모터(10)가 소정시간후 통전되어 회전구동된다. 따라서, 블로워(22)의 회전에 약간 지연되어 연속배출기구(9)를 구동하는 전동모터(10)의 전원이 연결조작되고, 연속배출기구(9)가 회전구동되어 소정량씩 곡물이 공급부(15)로 반송된다. 그리고, 블로워(22)의 풍력을 받아서 곡물은 덕트(33)를 통해서 곡물 배출구(48)로부터 기계 밖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즉, 회전축(13)이 회전하면(예를 들어 35RPM), 상기 회전을 따라서 앞쪽끝에 날개체(18)를 갖는 판체(14)가 도16에 있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a)하고, 안내슈트(17)로부터의 곡물을 단면이 'V’자 형상인 공간부로 받아들인다. 슈트(17) 하단을 통과할 때까지 곡물을 받아들이지만, 그 위치는 상사점 보다 앞(도시된 예에서는 각도50도 전후)에 설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상사점 부근에서 공급을 받아들일 수 없기 때문에 상기 'V'자형 사이에는 넘쳐나는 상태로 쌓이지 않게 적당량을 받아들이며, 상기 상사점부에서는 치우친 상태에 있는 곡물을 접절판(19)의 작용에 의해 'V'자형 공간부 안으로 떨어뜨리는 것이다. 더욱이 회전(a)에 따라서, 'V'자형 공간부는 뒷면쪽의 케이스 내벽부와의 사이에서 폐쇄된 채 아래쪽으로 도달하고, 하부 케이스부(16C)에 있는 개구단부로부터 공급부(15) 내의 공간으로 안내되면서 낙하하는 것이다. 공급부(15)에는 블로워(22)의 풍력작용을 받아서 배출쪽을 향하여 이동한다.
상기와 같이 접절판(19)을 갖는 것에 의해, 회전 뒤쪽으로의 곡물이동에 의해서 원통케이스부(16B) 내벽부로 곡물이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곡물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통 케이스부(16B)에 있어서, 받아들이는 위쪽 및 아래쪽 중 어느 한쪽에 있어서도, 판체(14)와 탄성 날개체(18)가 항상 적어도 2개소 이상에서 접하고 있으므로, 아래쪽에서 블로워(22)에 의한 기류가 생겨도 그 압축된 바람이 불려 올라가지 않는다. 또, 원통케이스부(16B)의 내벽부와 탄성 날개체(18)의 선단부의 간극을 0~0.5mm로 설정하면 상기와 같이 불려 올라가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어서 유리하다.
상기 연속배출기구(9)에 있어서 곡물의 연속 배출에서는, 하부 케이스(16C)쪽은 판체(14)의 하사점 부근으로부터 회전 전후로 거의 균등한 각도범위를 따라서 개구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므로, 상기 범위에 도달한 ‘V'자형 공간내의 곡물이 차례로 아래쪽의 공급부(15)로 낙하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실시예에서는 앞쪽 끝의 탄성 날개체(18)의 선단 회전속도를 약 0.5m/sec로 하고 있다. 이보다 빠른 속도로 설정하면, 전후의 개구범위와의 관계에서 곡물의 잔류가 발생하여 적정한 낙하를 방해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고, 더 나아가서는 위를 향한 곡물 배출이 생길수도 있다. 또한, 블로워(22)에 의해 바람을 일으키는 것은, 곡물 배출파이프(33) 내에서 18m/sec ~ 30m/sec 정도의 속도가 발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통상 부유(浮遊)속도가 약 10m/sec인 곡물, 예를 들어 대두, 벼, 보리, 메밀 등을 부유와 동시에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파이프(33) 내에서 막히는 일이 없으며, 손상이나 오염을 방지한다.
또한, 곡물탱크(5) 하부의 연속배출기구(9)는 전후방향을 따르도록 한 회전축(13)에 방사형으로 복수개의 판체(회전날개)를 설치한 것에 의해, 상기 축방향을따라서 곡물 배출파이프(33)의 이송방향을 설정한 것이므로, 연속하여 배출되는 곡물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범위에서 흘러내려가게 되고, 길이방향으로 받아들일 수 있어, 일개소로 집중하지 않게 되어 분산화가 가능하고, 곡물이 막힘이 없는 상태로 곡물 배출파이프(33)쪽으로 인계되어, 블로워(22)에 의한 반송이 원활하다.
또, 115는 블로워(22)쪽 덕트(32)에 접속하는 쪽에 설치한 압력검출수단으로, 덕트(32)내 압력이 소정의 값 이상으로 상승할 때, 연속배출기구(9)의 전동모터(10)의 전원을 차단하여 곡물의 연속 배출을 정지제어하거나 동시에 블로워(22)로의 전동 클러치수단을 차단하도록 연동하는 것 등을 하여 곡물의 막힘을 미연에 방지한다.
다음에, 도12, 13에 나타난 비교예에 대하여 구성을 간단히 설명한다.
여기서 설명하는 것은 송풍기인 풍량형 팬(121)을 곡물탱크(5)의 뒤쪽에 배치하여 곡물을 배출하도록 한 것이다. 가로로 배치한 엔진(122)의 크랭크축(124)에 풀리(125)를 부착하고, 상기 풀리(125)와 탈곡카운터(127)쪽의 풀리(128)의 사이에 벨트(129)를 감아 걸고, 탈곡카운터(127)쪽의 풀리(130)와 곡물탱크(5)의 가로방향 안쪽에 설치한 카운터 풀리(131)의 사이에는 벨트(133)을 감아 걸며, 상기 벨트(133)에 텐션클러치(135)를 장착, 분리가 자유롭게 설치하고 있다. 카운터 풀리(131)쪽과 팬(121)쪽의 풀리(134)의 사이에는 벨트(135)를 감아 걸고 있다.
따라서, 엔진(122)쪽의 회전동력은 크랭크 축(124), 풀리(125), 벨트(129), 풀리(130), 벨트(133), 카운터 풀리(131), 풀리(134), 벨트(135)를 차례로 통해서 팬(121)을 구동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 비교예와 같이, 팬(121)을 기계본체의뒤쪽에 설치하면 탈곡부(4)와 곡물탱크(5)로 형성하는 공간부에 전동기구를 컴팩트하게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연속배출기구(135)는 상기 회전축(136)이 곡물 배출파이프(137)의 배출방향과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어, 차례로 연속하여 배출되는 곡물을 곡물 배출파이프(137)를 접속하는 곡물 수입부(138)로 연속하여 배출하는 것이다.
부호 140은 진동장치로서, 곡물탱크(5)의 경사벽(5a)의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경사벽(5a)에 바깥으로부터 진동을 가하여, 곡물탱크(5) 내의 낙하하기 어려운 곡물, 예를 들어 식품용 메밀, 젖은 대두 및 벼 등을 신속하게 자연낙하시킨다. 이로 인해, 곡물이 곡물탱크(5)의 내벽면에 부착하여 손상되거나, 오염되어 버리는 등의 현상이 생기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 진동장치(140)의 상세는 도1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모터(141)와 상기 모터(141)의 한쪽면에 부착된 단면이 ‘U'자형인 강판(142)을 부착하고, 무게추(143)는 상기 모터(141)의 회전축(141a)에 고정한 회전체(144)에 부착되며, 상기 회전체(144)가 회전하면 무게추(143)가 상기 회전체(144)와 일체로 회전하므로, 단면이 ’U'자형인 강판(142)이 진동하고, 상기 강판(142)의 진동으로 무게추(143)가 공진한다. 상기 무게추(143)의 공진에 의해 곡물탱크(5)의 벽면이 진동하여, 경사벽(5a) 상의 곡물이 자연낙하한다.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곡물탱크에 저장한 곡물을 송풍에 의해 반송하여 기계 외부로 배출하므로, 대두와 같은 작물의 경우에도 벗겨짐, 오염 또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송풍기를 곡물탱크에 일체로 취부하여 이루어지므로, 곡물탱크 아래쪽 주변의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하는 상태로 구성할 수 있어 조립성이 양호해지고, 또한 장치가 곡물탱크 하부에 집중되어 소형화의 면에서 유리하다.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곡물탱크 하부에 설치한 연속배출기구와, 상기 연속배출기구를 구동하는 구동부와, 곡물 공급부를 곡물탱크에 설치하게 되므로 조립이 용이하게 된다. 또, 청구항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곡물탱크를 외부로 개방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면, 송풍기도 함께 개방할 수 있으므로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다.
청구항 4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송풍기로의 동력을 전달하도록 클러치수단을 바꾼 후에 연속배출기구를 구동하는 구성이므로, 먼저 송풍기가 작동하여 곡물의 연속배출기구 아래쪽의 곡물 배출파이프 내부에 바람이 불게 되고, 그 후에 연속배출기구가 작동하여 곡물이 바람이 부는 상태속으로 낙하하므로 곡물의 반송을 확실하게 하여 막힘을 방지한다.
청구항 5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통상의 엔진회전을 유지하는 때에는 곡물 배출레버의 연결조작에 의해 송풍기 및 연속배출기구가 함께 작동하여 곡물탱크 내의 곡물을 순차적으로 연속하여 배출하고 송풍에 의해 반송되게 되는데, 엔진회전이 낮아지면, 곡물 배출레버를 연결한 상태로 해도, 상기 엔진회전 검출수단의 검출값이 소정의 값 이하인 경우는 상기 연속배출기구의 구동을 견제하므로, 송풍력이 약한 상태에서 곡물이 연속적으로 반출되는 것이 금지되어 곡물의 막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곡물탱크로부터 원하는 곡물 배출구에 이르는 곡물 배출파이프의 반송경로를 임의로 구성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곡물 배출파이프는 세로 보강프레임에 지지되고, 더욱이 상기 세로 보강프레임의 상부에 있어서 가로방향으로 지지된 가로 보강프레임에 지지되며, 세로 보강프레임을 선회구동하는 수단과 가로 보강프레임을 승강제어하는 유압실린더 기구를 설치한 것이어서, 배출구를 선회 및 상하로 이동시키므로, 원하는 위치로 송풍에 의해 반송곡물을 배출할 수 있다.
청구항 8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이동차체 위에 설치되고 곡물을 저장하는 곡물탱크와, 곡물탱크의 하부로부터 계속하여 반출되는 곡물이 곡물 배출구쪽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곡물 배출파이프와, 상기 곡물 배출파이프 내의 곡물을 반송하는 송풍기를 갖는 곡물 반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곡물탱크의 상부에는 탈곡이 끝난 곡물을 받아서 곡물탱크 내에 장입하는 확산수단을 설치한 것이므로, 곡물탱크 내의 수용공간 내에 탈곡이 끝난 곡물을 다량으로 회수하는 것이 가능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곡물을 송풍기의 풍력을 이용하여 기계 외부로 배출할 수 있으므로 곡물의 손상이 없어 상품가치가 하락하는 일이 없다.

Claims (8)

  1. 이동차체 위에 설치되고 곡물을 저장하는 곡물탱크와, 곡물탱크의 하부로부터 계속하여 반출되는 곡물이 곡물 배출구쪽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곡물 배출파이프와, 상기 곡물 배출파이프 내의 곡물을 반송하는 송풍기를 갖는 곡물 반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를 곡물탱크와 일체로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곡물 반송장치.
  2. 이동차체 위에 설치되고 곡물을 저장하는 곡물탱크와, 곡물탱크의 하부로부터 계속하여 반출되는 곡물이 곡물 배출구쪽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곡물 배출파이프와, 상기 곡물 배출파이프 내의 곡물을 반송하는 송풍기를 갖는 곡물 반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곡물탱크 하부에 설치한 연속배출기구와, 상기 연속배출기구를 구동하는 구동부와, 곡물 배출파이프의 곡물 수입부를 곡물탱크에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곡물 반송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탱크는 세로축 주위로 자유롭게 회동하도록 기계본체에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곡물 반송장치.
  4. 이동차체 위에 설치되고 곡물을 저장하는 곡물탱크와, 곡물탱크의 하부로부터 계속하여 반출되는 곡물이 곡물 배출구쪽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곡물 배출파이프와, 상기 곡물 배출파이프 내의 곡물을 반송하는 송풍기를 갖는 곡물 반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곡물탱크 하부에 설치한 연속배출기구를 구동하는 구동부와 상기 송풍기로의 클러치수단을, 송풍기로 동력을 전달하도록 클러치수단을 바꾼 후에 상기 연속배출기구를 구동하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곡물 반송장치.
  5. 주행장치를 구동하는 엔진을 탑재한 이동자체 위에 설치되고 곡물을 저장하는 곡물탱크와, 곡물탱크의 하부로부터 계속하여 반출되는 곡물이 곡물 배출구쪽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곡물 배출파이프와, 상기 곡물 배출파이프 내의 곡물을 반송하는 송풍기를 갖는 곡물 반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곡물탱크 내의 곡물을 배출하기 위한 곡물 배출레버는, 상기 엔진과 송풍기 사이에 동력전달이 가능하게 설치한 클러치수단을 연결, 차단 작동하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연속배출기구를 구동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곡물 배출레버의 클러치 연결상태 판정수단과 상기 엔진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엔진회전 검출수단을 설치하며, 상기 곡물 배출레버를 연결한 상태로 한 경우에, 상기 엔진회전 검출수단의 겁출값이 소정의 값 이하인 경우는 상기 연속배출기구의 구동을 견제하는 제어수단을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곡물 반송장치.
  6. 제1항, 제2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 배출파이프가 유연성을 갖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곡물 반송장치.
  7. 이동차체 위에 설치되고 곡물을 저장하는 곡물탱크와, 곡물탱크의 하부로부터 계속하여 반출되는 곡물이 곡물 배출구쪽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곡물 배출파이프와, 상기 곡물 배출파이프 내의 곡물을 반송하는 송풍기를 갖는 곡물 반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곡물 배출파이프는 세로방향의 부분을 지지하는 세로 보강프레임에 관통하여 삽입되고, 더욱이 상기 세로 보강프레임의 상부에 있어서 가로방향으로 지지된 가로 보강프레임에 지지되며, 세로 보강프레임을 선회작동하는 구동수단과 가로 보강프레임을 승강제어하는 유압실린더 기구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곡물 반송장치.
  8. 이동차체 위에 설치되고 곡물을 저장하는 곡물탱크와, 곡물탱크의 하부로부터 계속하여 반출되는 곡물이 곡물 배출구쪽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곡물 배출파이프와, 상기 곡물 배출파이프 내의 곡물을 반송하는 송풍기를 갖는 곡물 반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곡물탱크의 상부에는 탈곡이 끝난 곡물을 받아서 곡물탱크 내에 장입하는 확산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곡물 반송장치.
KR10-2001-0039683A 2001-07-04 2001-07-04 작업차의 곡물 반송장치 KR1004012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9683A KR100401271B1 (ko) 2001-07-04 2001-07-04 작업차의 곡물 반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9683A KR100401271B1 (ko) 2001-07-04 2001-07-04 작업차의 곡물 반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3843A KR20030003843A (ko) 2003-01-14
KR100401271B1 true KR100401271B1 (ko) 2003-10-17

Family

ID=37416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9683A KR100401271B1 (ko) 2001-07-04 2001-07-04 작업차의 곡물 반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127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3843A (ko) 2003-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0051287A (ja) コンバイン
KR100401271B1 (ko) 작업차의 곡물 반송장치
WO2018016321A1 (ja) コンバイン
JP2011087531A (ja) コンバイン
JP2013009633A (ja) コンバイン
JP2007228943A (ja) ロールベーラ付コンバイン
KR101974302B1 (ko) 콤바인 및 탈곡 장치에 있어서의 채프 시브 구조
JP5259222B2 (ja) コンバイン
JP4038603B2 (ja) コンバインの排出装置
JP4257454B2 (ja) コンバイン
JP3997006B2 (ja) 汎用コンバインの刈取部
JP3733670B2 (ja) コンバイン
JP3831680B2 (ja) コンバインベーラ
KR100450884B1 (ko) 콤바인
JPH0229884Y2 (ko)
JPH0142445Y2 (ko)
JP4051455B2 (ja) コンバインの排出装置
JP2002171825A (ja) コンバインの穀粒排出装置
JPH0347474Y2 (ko)
JP4138097B2 (ja) 作業車両の走行装置
JP2001352833A (ja) コンバインの排出装置
JP3977937B2 (ja) 汎用コンバイン
JP3858619B2 (ja) 穀粒搬送装置
JP2004159615A (ja) エア−式穀粒排出装置を有するグレンタンク
JP2001346433A (ja) コンバインの排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4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2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7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