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4302B1 - 콤바인 및 탈곡 장치에 있어서의 채프 시브 구조 - Google Patents

콤바인 및 탈곡 장치에 있어서의 채프 시브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4302B1
KR101974302B1 KR1020180003699A KR20180003699A KR101974302B1 KR 101974302 B1 KR101974302 B1 KR 101974302B1 KR 1020180003699 A KR1020180003699 A KR 1020180003699A KR 20180003699 A KR20180003699 A KR 20180003699A KR 101974302 B1 KR101974302 B1 KR 1019743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orting
screw conveyor
air cleaner
chaff she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3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9053A (ko
Inventor
다까유끼 오오노
히로아끼 야마모또
유우끼 후꾸이
스에조오 우에다
신 히라따
마사유끼 호리우찌
마사유끼 다까기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924360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1087517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9243599A external-priority patent/JP540056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9244743A external-priority patent/JP5438459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180009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90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4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43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60Grain tan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46/00Surgical drapes
    • A61B46/20Surgical drap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 A61B46/23Surgical drap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with means to retain or hold surgical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30Straw separators, i.e. straw walkers, for separating residual grain from the straw
    • A01F12/32Straw separators, i.e. straw walkers, for separating residual grain from the straw with shaker screens or siev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4Grain cleaners; Grain separ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03Needle locating or gui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17/3421Cannulas
    • A61B17/3423Access ports, e.g. toroid shape introducers for instruments or ha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94Trocars; Puncturing needles with safety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cutting or pricking, e.g. limiting insertion depth, pressure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3/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 B60K13/02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concerning inta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46/00Surgical drapes
    • A61B46/20Surgical drap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 A61B46/23Surgical drap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with means to retain or hold surgical implements
    • A61B2046/234Surgical drap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with means to retain or hold surgical implements with means for retaining a cathe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365Plasters use
    • A61F2013/00412Plasters use for use with needles, tubes or cathe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곡물 탱크의 용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덧붙여 배출 오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콤바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배출 오거(12)는, 세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와 중간 스크류 컨베이어(16)와 가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17)를 구비하고, 배출 오거(12)가 지지 위치(P2)에 위치한 상태에 있어서, 가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17)의 배출구(17)가 예취부(C)에 있어서의 탈곡 장치(E)측의 단부보다도 좌우 중앙측에 위치하고 또한 가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17)의 몸통부(17b)가 세로 반송 장치(1)보다도 탈곡 장치(E)측에 위치하도록 중간 스크류 컨베이어(16)의 길이를 설정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엔진 흡기계의 프리 에어 클리너를 운전 좌석의 바로 뒤에 설치하여 프리 에어 클리너의 청소를 운전부로부터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도한 발명이다.
승강 가능한 예취부(308)의 후방의 주행 기체 가로 일측에 운전 좌석(303)을 구비한 운전부(304)를 설치하고, 운전부(304)의 후방에 곡립 저류부(306)를, 곡립 저류부(306)의 횡측에 탈곡기(307)를 각각 설치하고, 운전 좌석(303)의 하부의 엔진 보닛(321) 내에 엔진(319)을 탑재하고, 엔진(319)에 엔진 흡기계의 에어 클리너(331)를 연통 접속하고, 에어 클리너(331)에 프리 에어 클리너(332)를 연통 접속한 콤바인이며, 프리 에어 클리너(332)를 운전 좌석(303)의 등받이 후방 근방에 배치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채프 시브를 최소 간격으로 설정한 완전 폐쇄 상태라도 양호하게 선별할 수 있는 탈곡 장치의 채프 시브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선별판(553)의 하부에, 선별판(553)의 판면에 대해 상방으로 굴곡하는 절곡부(553a)를 형성하는 동시에, 선별판(553)의 상하 중간부에, 폭 방향 전체 폭 또는 폭 방향 광폭에 걸쳐 선별판(553)의 판면에 대해 하방측으로 팽출하는 팽출부(553d)를 형성하고 있다.

Description

콤바인 및 탈곡 장치에 있어서의 채프 시브 구조{COMBINE AND CHAFF SIEVE STRUCTURE IN THRESHING APPARATUS}
본 발명은, 기체의 전방부에 배치된 운전부 및 예취부와, 상기 기체의 후방부에 있어서 좌우로 나뉘어 배치된 곡물 탱크 및 탈곡 장치와, 상기 곡물 탱크와 탈곡 장치 사이에 끼워진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탈곡 장치에 의해 회수된 곡립을 상기 곡물 탱크에 공급하는 세로 반송 장치와, 상기 곡물 탱크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곡물 탱크에 저류된 곡립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 오거와, 상기 탈곡 장치의 상방의 지지 위치에서 상기 배출 오거를 지지하는 받침부를 구비한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주행하면서 예취와 탈곡을 하는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콤바인이나 하베스터(harvester)에 탑재되는 탈곡 장치에 있어서의 채프 시브(chaff sieve)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콤바인에서는, 배출 오거는 세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와, 세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의 상단부로부터 세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의 축심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종축심 주위에서 선회 이동 가능한 중간 스크류 컨베이어와, 중간 스크류 컨베이어의 선단부로부터 중간 스크류 컨베이어의 축심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횡축심 주위에서 기복 요동 가능한 가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를 구비하여, 배출 오거를 지지 위치(배출 오거를 받침부에 지지시킨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 있어서, 평면에서 볼 때, 가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의 몸통부가 세로 반송 장치 및 곡물 탱크에 중복되는 것이 있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의 도 1 및 도 2 참조).
또한, 종래 콤바인으로서, 예를 들어 특허 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주행 기체의 전방에 승강 가능한 예취부를 설치하고, 예취부의 후방이며, 주행 기체의 전방부의 가로 일측에 운전 좌석을 구비한 운전부를 설치하고, 운전부의 후방에 곡립 저류부를 설치하고, 곡립 저류부의 횡측에 탈곡기를 설치하고, 운전 좌석의 하부의 엔진 보닛 내에 엔진을 탑재하고, 엔진에 제1 흡기로를 통해 엔진 흡기계의 에어 클리너를 연통 접속하고, 에어 클리너에 제2 흡기로를 통해 프리 에어 클리너를 연통 접속한 것이 알려져 있다.
상기한 콤바인에서는, 운전 좌석의 등받이의 후방 근방에 에어 클리너를 설치하고, 이 에어 클리너에 접속되어 있는 프리 에어 클리너를, 탈곡기의 횡측방의 곡립 탱크의 리프팅(lifting) 장치의 설치를 위해 형성한 리프팅 장치 설치용 공간에 배치하고 있었다.
또한, 종래 예를 들어 특허 문헌 3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탈곡기의 전방 측벽에 탈곡 기체 횡방향으로 배열하여 지지된 급동(threshing drum) 구동 풀리와 가이드 풀리를 구비하고, 상기 전방 측벽의 하부의 주행 기체 전방측에 설치한 전동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전동 케이스에 상기 급동 구동 풀리의 하방에 배치하여 설치한 출력 풀리와, 상기 가이드 풀리와, 상기 급동 구동 풀리에 걸쳐 권회된 전동 벨트를 구비한 콤바인이 알려져 있다.
상기한 후자의 콤바인은, 전동 벨트가 가이드 풀리에 의한 가이드에 의해 탈곡기의 전방측에 위치하는 곡물대 공급로에 인입되지 않도록 하여 급동에 동력 전달하는 것이다.
특허 문헌 3에 기재된 콤바인의 탈곡기에서는, 급동 구동 풀리, 제2 중간 풀리(가이드 풀리에 상당), 미션(전동 케이스에 상당), 출력 풀리, 전동 벨트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종래, 특허 문헌 4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탈곡 장치의 급실(threshing chamber)의 하방에 위치하는 선별부에, 수망으로부터 낙하한 탈곡 처리물을 선별하는 채프 시브를 구비한 시브 케이스를 전후 요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동시에, 채프 시브를, 복수의 선별판이 소정 피치로 전후로 병렬 배치되고, 복수의 선별판이 횡축심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복수의 선별판에 걸쳐 전후로 긴 지지 프레임이 접속되고, 지지 프레임의 전후 이동에 연동하여 복수의 선별판의 각도가 변경되어 채프 시브의 개방도가 설정되도록 구성한 것이 알려져 있다.
특허 문헌 4의 도 2,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선별판의 하단부에 선별면에 대해 대략 직각으로 전방을 향한 절곡부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선별판의 선별면 및 그 이면은 편평하게 형성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8-199974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2-95331호 공보(단락〔0013, 0016〕, 도 1, 도 2) [특허 문헌 3]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7-274678호 공보(단락〔0018〕, 도 1, 도 10) [특허 문헌 4]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0-262138호 공보
종래의 콤바인에 있어서는, 배출 오거의 지지 위치를, 평면에서 볼 때, 가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의 몸통부가 세로 반송 장치 및 곡물 탱크에 중복되는 위치로 설정하고 있으므로, 가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의 몸통부가 세로 반송 장치 및 곡물 탱크에 간섭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가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의 몸통부의 하단부의 상하 높이보다도, 세로 반송 장치의 배출구의 상단부 및 곡물 탱크의 상단부(천장면)의 상하 높이를 낮게 할 필요가 있다. 이로 인해, 곡물 탱크의 용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곡물 탱크의 용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덧붙여 배출 오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콤바인을 제공하는 점에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구성을 채용하면, 탈곡기의 상방의 고소(高所) 위치에서 곡립 탱크에 형성된 공간에 프리 에어 클리너를 배치하게 되므로, 프리 에어 클리너에 부유(浮遊) 볏짚이 근접하는 일이 적어져, 프리 에어 클리너에 흡입되는 공기에 부유 볏짚이나 진애의 흡입량이 적어진다고 하는 이점이 있지만, 프리 에어 클리너가 운전부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로 되어 있으므로, 농번기에는 매일 청소되어야 할 프리 에어 클리너의 청소 작업에 대해, 작업자가 매번 운전부로부터 나와 탈곡기 위에 타고 작업해야만 한다고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에어 클리너와 프리 에어 클리너가 이격되어 있으므로 이들을 접속하는 긴 고무 호스가 별도로 필요하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프리 에어 클리너의 청소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콤바인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에어 클리너와 프리 에어 클리너 사이에 긴 고무 호스를 접속하지 않아도 되도록 하는 데 있다.
특허 문헌 3에 개시되어 있는 콤바인에서는, 탈곡 기체의 전방 측벽에 전동 벨트의 장력에 의한 하중이 가해지는 것으로, 그 하중 등에 견디는 강도를 전방 측벽에 구비시킬 필요가 있다. 전방 측벽에 보강 리브 등을 일체 성형하는 등의 보강 수단을 채용하면, 금형 제작 등의 면으로부터 전방 측벽의 제작에 드는 비용이 높아지고 있었다.
본 발명의 제3 목적은, 전방 측벽에 적절한 강도를 구비시킬 수 있으면서 저렴하게 얻을 수 있는 콤바인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선별면의 선별판이 편평하면, 채프 시브가 완전 개방 또는 완전 개방에 가까운 상태(선별판이 기립한 상태)에 있을 때에는, 선별면을 따라 낙하하는 선별 처리물은 절곡부까지 낙하하고, 여기서 비로소 채프 시브의 요동에 의해 선별 처리물이 요동 선별되게 되지만, 이 위치로부터 선별 처리물을 요동시켜도 충분한 바람 선별을 행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따라서, 도 37의 참고예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별판의 상하 중간부에, 폭 방향 광폭에 걸쳐 선별판의 판면에 대해 상방으로 팽출하는 팽출부를 형성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선별판에 낙하해 온 선별 처리물은, 먼저 상방의 팽출부에 의해 낙하가 억제되어 요동 선별이 행해지기 쉬워진다.
그러나 특허 문헌 4의 것도 도 37의 참고예에 도시하는 것도, 하부의 절곡부 및 중간의 팽출부를 포함하는 선별판의 선별면에 직교하는 방향의 두께가 얇으므로, 채프 시브를 인접하는 선별판끼리의 전방측의 선별판과 후방측의 선별판의 하부의 절곡부 사이가 소정의 최소 간격이 되는 폐쇄 상태로 설정하면, 도 37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별판의 선별면이 크게 도복(倒伏)되어 수평에 가까운 상태가 된다. 선별판의 선별면이 수평에 근접하면 선별 처리물이 습기가 있는 경우에는 선별 처리물이 낙하하기 어려워져, 선별 불량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본 발명은, 채프 시브를 최소 간격으로 설정한 완전 폐쇄 상태라도 양호하게 선별할 수 있는 탈곡 장치의 채프 시브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콤바인은, 기체의 전방부에 배치된 운전부 및 예취부와, 상기 기체의 후방부에 있어서 좌우로 나뉘어 배치된 곡물 탱크 및 탈곡 장치와, 상기 곡물 탱크와 탈곡 장치 사이에 끼워진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탈곡 장치에 의해 회수된 곡립을 상기 곡물 탱크에 공급하는 세로 반송 장치와, 상기 곡물 탱크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곡물 탱크에 저류된 곡립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 오거와, 상기 탈곡 장치의 상방의 지지 위치에서 상기 배출 오거를 지지하는 받침부를 구비한 것이며,
그 제1 특징 구성은, 상기 배출 오거는, 세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와, 당해 세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세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의 축심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종축심 주위에서 선회 이동 가능한 중간 스크류 컨베이어와, 당해 중간 스크류 컨베이어의 선단부로부터 상기 중간 스크류 컨베이어의 축심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횡축심 주위에서 기복 요동 가능한 가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를 구비하고, 상기 배출 오거가 상기 지지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 있어서, 평면에서 볼 때, 상기 가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의 배출구가 상기 예취부에 있어서의 탈곡 장치측의 단부보다도 좌우 중앙측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가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의 몸통부가 상기 세로 반송 장치보다도 탈곡 장치측에 위치하도록, 중간 스크류 컨베이어의 길이를 설정하고 있는 점에 있다.
배출 오거가 지지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 있어서, 평면에서 볼 때, 가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의 몸통부를 세로 반송 장치로부터 탈곡 장치측에 위치시키면, 가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의 몸통부가 세로 반송 장치 및 곡물 탱크에 간섭하지 않게 되므로, 가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의 몸통부의 하단부의 상하 높이보다도, 세로 반송 장치의 배출구의 상단부 및 곡물 탱크의 상단부의 상하 높이를 낮게 할 필요가 없어져, 곡물 탱크의 용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배출 오거가 지지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 있어서, 스크류 컨베이어의 배출구가 예취부로부터 좌우 외측으로 밀려 나오는 경우가 있어, 예취부로부터 좌우 외측으로 밀려 나온 가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의 선단부가 나뭇가지나 전신주 등에 접촉하여, 배출 오거가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배출 오거가 지지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 있어서, 평면에서 볼 때, 가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의 배출구를 예취부에 있어서의 탈곡 장치측의 단부로부터 좌우 중앙측에 위치시키면, 배출 오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가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의 몸통부가 세로 반송 장치 및 곡물 탱크에 간섭하는 경우가 있고, 그러한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가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의 몸통부의 하단부의 상하 높이보다도, 세로 반송 장치의 배출구의 상단부 및 곡물 탱크의 상단부의 상하 높이를 낮게 할 필요가 있다. 이로 인해, 곡물 탱크의 용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구성과 같이, 상기 배출 오거가 상기 지지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 있어서, 평면에서 볼 때, 상기 가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의 배출구가 상기 예취부에 있어서의 탈곡 장치측의 단부보다도 좌우 중앙측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가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의 몸통부가 상기 세로 반송 장치보다도 탈곡 장치측에 위치하도록 중간 스크류 컨베이어의 길이를 설정한다.
이에 의해, 가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의 몸통부의 하단부의 상하 높이보다도, 세로 반송 장치의 배출구의 상단부 및 곡물 탱크의 상단부의 상하 높이를 낮게 할 필요가 없어져, 곡물 탱크의 용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면서도, 스크류 컨베이어의 배출구가 예취부로부터 좌우 외측으로 밀려 나오는 일이 없으므로, 가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의 선단부가 나뭇가지나 전신주 등에 접촉하여, 배출 오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특징 구성은, 상기 배출 오거의 선회 조작 범위를, 상기 지지 위치와, 상기 받침부에 대해 상기 운전부와는 반대측으로 선회하여 상기 탈곡 장치와는 반대측의 기체 가로 외측을 향하는 배출 위치 사이로 설정하고 있고, 상기 곡물 탱크에, 상기 중간 스크류 컨베이어와 상기 가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에 걸쳐 형성된 엘보부가 인입 가능한 오목부를 형성하고 있는 점에 있다.
본 구성에 따르면, 배출 오거의 선회 조작 범위를, 상기 지지 위치와, 상기 받침부에 대해 상기 운전부와는 반대측으로 선회하여 상기 탈곡 장치와는 반대측의 기체 가로 외측을 향하는 배출 위치 사이로 설정하고 있으므로, 배출 오거가 배출 위치와 지지 위치 사이를 선회 이동할 때에, 배출 오거가 운전부, 세로 반송 장치, 곡물 탱크의 상방을 통과하는 일은 없어진다. 따라서, 배출 오거가 운전부, 세로 반송 장치, 곡물 탱크의 상방을 통과할 때에 배출 오거를 자동적으로 기립 조작하는 기능을 장비할 필요가 없어져, 구조의 간소화 및 비용의 저렴화를 도모하면서, 배출 오거를 지지 위치에 적절하게 선회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곡물 탱크에, 상기 중간 스크류 컨베이어와 상기 가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에 걸쳐 형성된 엘보부가 인입 가능한 오목부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엘보부가 곡물 탱크에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곡물 탱크와 배출 오거 사이의 공간을 적게 하여, 곡물 탱크의 용량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특징 구성은, 상기 받침부에 의해 상기 배출 오거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곡물 탱크의 천장면부를 상기 배출 오거와 동일한 높이로 설정하고 있는 점에 있다.
본 구성에 따르면, 상기 받침부에 의해 상기 배출 오거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곡물 탱크의 천장면부를 상기 배출 오거와 동일한 높이로 설정하고 있으므로, 콤바인의 운반 중이나 운전 중에, 상기 곡물 탱크가 나뭇가지나 전신주 등에 접촉하여 곡물 탱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곡물 탱크의 용량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특징 구성은, 엔진의 흡기를 청정하게 하는 프리 클리너를, 상기 운전부의 운전 좌석과 상기 곡물 탱크 사이에 구비하고, 상기 프리 클리너를 상기 곡물 탱크보다도 낮게 또한 상기 운전 좌석보다도 높게 설정하고 있는 점에 있다.
본 구성에 따르면, 엔진의 흡기를 청정하게 하는 프리 클리너를, 상기 운전부의 운전 좌석과 상기 곡물 탱크 사이에 구비하고 있으므로, 운전부의 운전 좌석과 곡물 탱크 사이의 공간을 유효하게 활용하여 프리 클리너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리 클리너를 상기 곡물 탱크보다도 낮게 또한 상기 운전 좌석보다도 높게 설정하고 있으므로, 콤바인의 운반 중이나 운전 중에, 프리 클리너가 나뭇가지나 전신주 등에 접촉하여 프리 클리너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프리 클리너를 최대한 높게 위치시켜 진애가 적은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프리 클리너의 수명 장기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5 발명의 구성]
또한, 본 제5 발명은, 주행 기체의 전방에 승강 가능한 예취부를 설치하고, 예취부의 후방이며, 주행 기체의 전방부의 가로 일측에 운전 좌석을 구비한 운전부를 설치하고, 운전부의 후방에 곡립 저류부를 설치하고, 곡립 저류부의 횡측에 탈곡기를 설치하고, 운전 좌석의 하부의 엔진 보닛 내에 엔진을 탑재하고, 엔진에 제1 흡기로를 통해 엔진 흡기계의 에어 클리너를 연통 접속하고, 에어 클리너에 제2 흡기로를 통해 프리 에어 클리너를 연통 접속한 콤바인에 있어서, 프리 에어 클리너를 운전 좌석의 등받이의 후방 근방에 배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5 발명의 작용]
본 제5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프리 에어 클리너를 운전 좌석의 등받이의 후방 근방에 배치하고 있으므로, 프리 에어 클리너를 운전부로부터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
[제5 발명의 효과]
본 제5 발명에 따르면, 예취 수확 작업의 개시 전, 혹은 작업 종료 후마다 청소하면 좋다는 프리 에어 클리너의 청소를 하기 위해, 매번 운전부로부터 떨어진 위치까지 이동하는 일도 없고, 조종자가 운전부에 앉은 채로 프리 에어 클리너의 청소를 행할 수 있으므로, 청소 작업에 번거로움이 없어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제6 발명의 구성]
본 제6 발명은, 제5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에어 클리너를 운전 좌석의 등받이의 후방 근방에 배치하고, 에어 클리너의 상방에 프리 에어 클리너를 배치하고 있다.
[제6 발명의 작용 효과]
본 제6 발명에 따르면, 운전 좌석의 하부의 엔진 보닛 내의 엔진에 대해 흡기계의 에어 클리너와 프리 에어 클리너를 접속하기 위해, 엔진의 상부에 위치하는 운전 좌석의 등받이의 후방의 에어 클리너의 상부에, 프리 에어 클리너를 운전 좌석으로부터 크게 이격시키지 않는 운전 좌석의 등받이 근방 위치에 배치하고 있으므로, 에어 클리너와 프리 에어 클리너가 근접하여 배치되게 되어, 양자를 직결할 수 있게 되므로 긴 호스를 폐지하여 저렴한 구성으로 할 수 있었다(양자를 직결하지 않아도 짧은 호스로 행할 수 있었음).
[제7 발명의 구성]
본 제7 발명은, 제5 발명 또는 제6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프리 에어 클리너를 정면에서 볼 때 운전 좌석의 등받이 상단부의 상방 근방에 배치하고 있다.
[제7 발명의 작용 효과]
본 제7 발명에서는, 프리 에어 클리너를 운전 좌석의 등받이의 후방 근방이며, 등받이 상단부의 상방 근방에 배치하고 있다. 즉, 프리 에어 클리너를 운전 좌석에 근접한 후방 상방에 배치하고 있으므로, 프리 에어 클리너가 운전 좌석으로부터 가까워 관리하기 쉬운 높이에 있어, 프리 에어 클리너를 운전부의 위치로부터 용이하게 관리를 행할 수 있다.
[제8 발명의 구성]
본 제8 발명은, 제5 발명 내지 제7 발명 중 어느 하나의 구성에 있어서, 프리 에어 클리너를 운전 좌석의 등받이와 곡립 저류부 사이의 공간에 배치하고 있다.
[제8 발명의 작용 효과]
콤바인에서는 일반적으로, 운전 좌석의 등받이와 곡립 저류부(곡립 탱크나 곡립 호퍼 등) 사이에 공간이 발생되어 있으므로, 본 제8 발명에서는 전술한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이 공간에 프리 에어 클리너를 배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운전 좌석의 등받이나 곡립 저류부 등에 있어서, 프리 에어 클리너를 배치하는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개조 등을 실시할 필요없이, 프리 에어 클리너를 무리없이 배치할 수 있다.
[제9 발명의 구성]
본 제9 발명은, 탈곡기의 전방 측벽에 탈곡 기체 횡방향으로 배열하여 지지된 급동 구동 풀리와 가이드 풀리를 구비하고, 상기 전방 측벽의 하부의 주행 기체 전방측에 설치한 전동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전동 케이스에 상기 급동 구동 풀리의 하방에 배치하여 설치한 출력 풀리와, 상기 가이드 풀리와, 상기 급동 구동 풀리에 걸쳐 권회된 전동 벨트를 구비한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전방 측벽을 주행 기체 하방측으로부터 지지하는 막대 형상의 지지 부재를, 상기 전동 벨트의 상기 출력 풀리와 상기 가이드 풀리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따르게 하여 설치하고 있다.
[제9 발명의 작용 효과]
본 제9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전동 벨트의 장력에 의해 전방 측벽에 가해지는 하중에 지지 부재를 효율적으로 대항시켜, 전방 측벽의 보강을 지지 부재에 의해 효과적으로 행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전방 측벽을 지지 부재에 의해 보강시켜 급동을 탈곡 부하에 저항하여 강고하게 구동할 수 있는 등 우수한 탈곡기 강도를 갖는 것이면서, 막대 형상의 지지 부재를 설치한 간단한 구조의 보강 대책에 의해 저렴해지는 콤바인을 얻을 수 있다.
[제10 발명의 구성]
본 제10 발명은, 제9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의 상기 전방 측벽측과는 반대측이 상기 전동 케이스에 지지되어 있다.
[제10 발명의 작용 효과]
본 제10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본 제9 발명의 구성이 구비하는 작용 효과에 더하여, 다음의 작용 효과도 구비한다.
본 제10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지지 부재를 전방 측벽과 주행 기체의 기체 프레임에 걸쳐 설치하는 것에 비해, 지지 부재를 전방 측벽과 전동 케이스에 걸치는 짧은 부재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지 부재를 짧은 부재로 함으로써 구조 간단한 보강 대책에 의해 보다 저렴해지는 콤바인을 얻을 수 있다.
[제11 발명의 구성]
본 제11 발명은, 제9 발명 또는 제10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전방 측벽을 주행 기체 하방측으로부터 지지하는 막대 형상의 보강 부재를, 상기 지지 부재보다도 탈곡 피드 체인측에 배치하여 설치하고 있다.
[제11 발명의 작용 효과]
본 제11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본 제9 또는 제10 발명의 구성이 구비하는 작용 효과에 더하여, 다음 작용 효과를 구비한다.
본 제11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전방 측벽에 가해지는 하중에 상기 지지 부재에 의해 대항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지지 부재보다도 탈곡 피드 체인측에 있어서 보강 부재에 의해서도 대항시켜 전방 측벽의 보강을 지지 부재와 보강 부재에 의해 효과적으로 행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전방 측벽을 지지 부재와 보강 부재에 의해 보강시켜 급동을 탈곡 부하에 저항하여 강고하게 구동할 수 있는 등 우수한 탈곡기 강도를 갖는 콤바인을 얻을 수 있다.
[제12 발명의 구성]
본 제12 발명은, 제7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 및 상기 보강 부재를 상기 전방 측벽에 연결하도록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보강 부재에 걸쳐 연결된 탈곡 기체 횡방향의 연결 부재를 설치하고 있다.
[제12 발명의 작용 효과]
본 제12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본 제11 발명의 구성이 구비하는 작용 효과를 구비하는 것에 더하여, 다음 작용 효과를 구비한다.
본 제12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전방 측벽의 연결 부재가 연결되는 탈곡 기체 횡방향에서의 범위이며, 지지 부재나 보강 부재의 탈곡 기체 횡방향에서의 크기보다도 넓은 범위에 지지 부재 및 보강 부재를 지지 작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막대 형상의 지지 부재나 보강 부재를 설치한 구조 간단한 보강 수단을 채용하는 것이면서, 전방 측벽이 탈곡 기체 횡방향에서의 광범위에 걸쳐 지지 부재 및 보강 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우수한 탈곡기 강도를 발휘하는 콤바인을 얻을 수 있다.
[제13 발명의 구성]
제13 발명은, 탈곡 장치의 급실의 하방에 위치하는 선별부에, 수망으로부터 낙하한 탈곡 처리물을 선별하는 채프 시브를 구비한 시브 케이스를 전후 요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채프 시브를, 복수의 선별판이 소정 피치로 전후로 병렬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선별판이 횡축심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복수의 선별판에 걸쳐 전후로 긴 지지 프레임이 접속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의 전후 이동에 연동하여 복수의 선별판의 각도가 변경되어 상기 채프 시브의 개방도가 설정되도록 구성하고 있는 탈곡 장치에 있어서의 채프 시브 구조에 있어서,
상기 선별판의 하부에, 당해 선별판의 판면에 대해 상방으로 굴곡하는 절곡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선별판의 상하 중간부에, 폭 방향 전체 폭 또는 폭 방향 광폭에 걸쳐 당해 선별판의 판면에 대해 하방측으로 팽출하는 팽출부를 형성하고 있다.
[제13 발명의 작용]
제13 발명에 따르면, 채프 시브를 개방 상태로 하였을 때에는, 선별 처리물이 통과하는 인접하는 전방측의 선별판의 팽출부의 이면과 후방측의 선별판의 전방면 위치의 간극은 비교적 넓고, 또한 채프 시브를 개방 상태로 하였을 때에는 선별판이 비교적 급경사로 상승하고 있으므로, 선별 처리물이 인접하는 선별판 사이를 통과하기 쉬운 상태에 있다.
즉, 제13 발명에 따르면, 선별판의 전방면에 형성되는 선별면에 대해, 팽출부를 후방으로 팽출시키고 있으므로, 선별판이 팽출부를 후방으로 팽출시킨 분만큼, 선별판의 선별면에 직교하는 방향의 두께를 두껍게 할 수 있어, 이에 의해 채프 시브를 인접하는 선별판끼리의 전방측의 선별판의 이면과 후방측의 선별판의 하부의 절곡부 사이의 간극이 소정의 최소 간격이 되는 완전 폐쇄 상태로 설정해도, 선별판의 선별면이 크게 도복되지 않는다.
[제13 발명의 효과]
제13 발명에 따르면, 선별판의 선별면의 경사각이 비교적 큰 상태에서 채프 시브의 완전 폐쇄 상태를 출현할 수 있으므로, 선별 처리물이 다소 습기가 있어도 선별 처리물을 양호하게 낙하시킬 수 있어, 채프 시브의 전체 범위의 개폐 상태에 있어서 양호한 선별 처리를 행할 수 있는 것에 이르렀다.
[제14 발명의 구성]
제14 발명은, 제13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채프 시브를 인접하는 선별판의 간격이 최소 간격으로 되는 완전 폐쇄 상태로 설정하였을 때에, 상기 선별판의 상하 중간부에 형성한 팽출부의 이면과, 그 후방에 인접하는 선별판의 하부에 형성한 상방으로 굴곡하는 절곡부의 상단부 모서리가 대향하여, 인접하는 전방측의 상기 팽출부의 이면과 후방측의 상기 절곡부 사이에 소정의 간극을 형성하고 있다.
[제14 발명의 작용 효과]
제14 발명에 따르면, 팽출부와 절곡부의 상하 2단으로 선별 처리물에 낙하 저항을 부여할 수 있는 동시에, 전방측의 선별판의 팽출부와 후방에 인접하는 선별판의 절곡부가 대향하여 인접함으로써, 채프 시브를 완전 폐쇄 상태로 하였을 때의 전방측의 선별판의 팽출부와 후방측의 선별판의 절곡부에서 선별 처리물에 낙하 저항을 부여하여, 양자의 협동으로 채프 시브가 완전 폐쇄 상태에서의 선별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채프 시브를 완전 폐쇄 상태로 하였을 때에, 선별판의 절곡부와 팽출부에 의해 선별판의 선별면에 직교하는 방향의 두께를 두껍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전방측의 선별판의 팽출부의 이면과 후방측의 선별판의 절곡부로 최소 간격을 확실하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채프 시브를 완전 폐쇄 상태로 하였을 때에 선별판의 선별면의 경사각을 비교적 크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선별 처리물이 다소 습기가 있어도 선별 처리물을 양호하게 낙하시킬 수 있어, 채프 시브의 전체 범위의 개폐 상태에 있어서 양호한 선별 처리를 행할 수 있는 것에 이르렀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선별판의 선별면의 경사각이 비교적 큰 상태에서 채프 시브의 완전 폐쇄 상태를 출현할 수 있으므로, 선별 처리물이 다소 습기가 있어도 선별 처리물을 양호하게 낙하시킬 수 있어, 채프 시브의 전체 범위의 개폐 상태에 있어서 양호한 선별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팽출부와 절곡부의 상하 2단으로 선별 처리물에 낙하 저항을 부여할 수 있는 동시에, 전방측의 선별판의 팽출부와 후방에 인접하는 선별판의 절곡부가 대향하여 인접함으로써, 채프 시브를 완전 폐쇄 상태로 하였을 때의 전방측의 선별판의 팽출부와 후방측의 선별판의 절곡부에서 선별 처리물에 낙하 저항을 부여하여, 양자의 협동으로 채프 시브가 완전 폐쇄 상태에서의 선별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채프 시브를 완전 폐쇄 상태로 하였을 때에, 선별판의 절곡부와 팽출부에 의해 선별판의 선별면에 직교하는 방향의 두께를 두껍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전방측의 선별판의 팽출부의 이면과 후방측의 선별판의 절곡부로 최소 간격을 확실하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채프 시브를 완전 폐쇄 상태로 하였을 때에 선별판의 선별면의 경사각을 비교적 크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선별 처리물이 다소 습기가 있어도 선별 처리물을 양호하게 낙하시킬 수 있어, 채프 시브의 전체 범위의 개폐 상태에 있어서 양호한 선별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도 1은 콤바인을 도시하는 우측 횡측면도.
도 2는 콤바인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3은 콤바인을 도시하는 좌측 횡측면도.
도 4는 세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를 도시하는 횡측면도.
도 5는 세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6은 배출 오거와 리프팅 스크류 컨베이어의 배치 관계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7은 배기관을 도시하는 횡측면도.
도 8은 도 7의 VIII-VIII 화살표 단면도.
도 9는 제어 블록을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제1 실시 형태의 콤바인의 측면도.
도 11은 제1 실시 형태의 콤바인의 평면도.
도 12는 제1 실시 형태의 운전부의 평면도.
도 13은 제1 실시 형태의 운전부와 원동부의 측면의 부분 단면도.
도 14는 제1 실시 형태의 운전부와 원동부의 정면의 부분 단면도.
도 15는 제1 실시 형태의 원동부의 배면의 부분 단면도.
도 16은 제1 실시 형태의 운전 좌석측의 천장판을 도시하는 부분 평면도.
도 17은 제1 실시 형태의 오거의 스위치 조작 부재를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
도 18은 제2 실시 형태의 콤바인의 전체 측면도.
도 19는 제2 실시 형태의 콤바인의 전체 평면도.
도 20은 제2 실시 형태의 탈곡기의 종단 측면도.
도 21은 제2 실시 형태의 급동 전동 구조와 전방 측벽 지지 구조의 정면도.
도 22는 제2 실시 형태의 급동 전동 구조와 전방 측벽 지지 구조의 측면도.
도 23은 제2 실시 형태의 급동의 단면도.
도 24는 제2 실시 형태의 텐션 아암 지지 구조의 단면도.
도 25는 제2 실시 형태의 텐션 아암의 측면도.
도 26은 탈곡 장치의 개략 종단 측면도.
도 27은 탈곡 장치의 부분 정면도.
도 28은 급실 전방의 부분 종단 측면도.
도 29는 수망의 전개도.
도 30은 채프 시브의 개방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파단 측면도.
도 31은 채프 시브의 완전 폐쇄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파단 측면도.
도 32는 채프 시브의 선별판의 좌반부와 조작 부재와 탈곡 장치의 좌측벽을 도시하는 일부 종단 정면도.
도 33은 채프 시브의 선별판의 좌반부를 도시하는 일부 종단 정면도.
도 34는 채프 시브와 조작구의 조립 장착도.
도 35의 (a)는 채프 시브의 개방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종단 측면도, (b)는 채프 시브의 완전 폐쇄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종단 측면도.
도 36의 (a)는 참고예의 채프 시브의 개방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종단 측면도, (b)는 동 참고예의 채프 시브의 완전 폐쇄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종단 측면도.
[전체 구성]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콤바인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콤바인은, 좌우 한 쌍의 크롤러식 주행 장치(A)를 장비한 기체 프레임(B)(기체의 일례)과, 그 기체 프레임(B)의 전방부에 배치된 운전부(D) 및 예취부(C)와, 기체 프레임(B)의 후방부에 있어서 좌우로 나뉘어 배치된 곡물 탱크(4) 및 탈곡 장치(E)와, 곡물 탱크(4)와 탈곡 장치(E) 사이에 끼워진 공간에 배치된 리프팅 스크류 컨베이어(1)(세로 반송 장치의 일례)와, 곡물 탱크(4)의 후방에 배치된 곡립 배출부(2)와, 운전부(D)의 횡측에 설치된 받침부(3)를 구비하고 있다.
(리프팅 스크류 컨베이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리프팅 스크류 컨베이어(1)는, 배출구(1a)를 갖고, 탈곡 장치(E)에 의해 회수된 곡립(1번물)을 리프팅하여, 배출구(1a)로부터 곡물 탱크(4)에 형성된 구멍부(4g)를 통해 곡물 탱크(4)에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곡물 탱크)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곡물 탱크(4)는 곡립을 저류하는 것이며, 기체 프레임(B)의 후방부의 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곡물 탱크(4)는, 전방 벽부(4b)와, 후방 벽부(4c)와, 좌측 벽부(4d)와, 우측 벽부(4e)와, 천장면부(4f)를 구비하고 있다. 좌측 벽부(4d)의 상측에는, 리프팅 스크류 컨베이어(1)의 배출구(1a)에 연통되는 구멍부(4g)가 형성되어 있다. 천장면부(4f)와 후방벽부(4c)에 걸쳐 후술하는 엘보부(31)가 인입 가능한 절결부(5)(오목부의 일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결부(5)는 경사 형상의 후방면부(5a)와 하면부(5b)를 구비하여, 절결부(5)의 상방, 후방, 우측 및 좌측이 개방되어 있고, 후방면부(5a)와 하면부(5b)가 이루는 각이 직각보다도 약간 큰 둔각으로 설정되어 있다.
(곡립 배출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곡립 배출부(2)는 곡물 탱크(4)의 저면부에 전후 방향을 따르는 상태로 배치된 저부 스크류 컨베이어(11)와, 그 저부 스크류 컨베이어(11)에 접속하여 곡물 탱크(4)에 저류된 곡립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 오거(12)를 구비하고 있다.
(저부 스크류 컨베이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저부 스크류 컨베이어(11)는, 컨베이어 스크류(11a)를 구비하고 있다. 컨베이어 스크류(11a)의 반송 시단부측의 단부는, 곡물 탱크(4)의 전방 벽부(4b)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컨베이어 스크류(11a)의 반송 시단부측의 단부에는, 출력 풀리(13)가 장착되어 있다. 출력 풀리(13)와 다른 한쪽의 풀리(도시하지 않음)에 걸쳐 벨트(도시하지 않음)를 감아 걸어, 벨트 텐션식의 배출 클러치로 구성하고 있다.
상기 컨베이어 스크류(11a)의 반송 종단부측의 단부는, 곡물 탱크(4)의 후방벽부(4c)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곡물 탱크(4)의 후방 벽부(4c)에는, 컨베이어 스크류(11a)의 반송 종단부측의 단부를 둘러싸는 동시에 곡물 탱크(4)에 연통 접속되는 로워 케이스(14)가 고정되어 있다.
(배출 오거)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배출 오거(12)는, 곡물 탱크(4)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고,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15)와, 세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15)의 상단부로부터 세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15)의 축심에 직교하는 방향(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간 스크류 컨베이어(16)와, 중간 스크류 컨베이어(16)의 선단부로부터 중간 스크류 컨베이어(16)의 축심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횡축심(X2) 주위로 기복 요동 가능한 가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17)를 구비하고 있다.
(세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세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15)는, 저부 스크류 컨베이어(11)의 컨베이어 스크류(11a)에 베벨 기어식 연동 기구(18)를 통해 연동 연결된 컨베이어 스크류(15a)와, 그 컨베이어 스크류(15a)를 둘러싸는 동시에 로워 케이스(14)에 연통 접속되는 원통 케이스(15b)를 구비하고 있다. 세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15)의 원통 케이스(15b)는, 로워 케이스(14)에 대해 종축심(X1)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중간 스크류 컨베이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중간 스크류 컨베이어(16)는 세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15)의 컨베이어 스크류(15a)에 베벨 기어식 연동 기구(19)를 통해 연동 연결된 컨베이어 스크류(16a)와, 그 컨베이어 스크류(16a)를 둘러싸는 동시에 세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15)의 원통 케이스(15b)에 접속되는 원통 케이스(16b)를 구비하고 있다.
(가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17)는 중간 스크류 컨베이어(16)의 컨베이어 스크류(16a)에 베벨 기어식 연동 기구(20)를 통해 연동 연결된 컨베이어 스크류(17a)와, 그 컨베이어 스크류(17a)를 둘러싸는 동시에 중간 스크류 컨베이어(16)의 원통 케이스(16b)에 연통 접속되는 원통 케이스(17b)와, 그 원통 케이스(17b)의 선단부에 형성된 곡립 배출용 배출구(17c)를 구비하고 있다. 중간 스크류 컨베이어(16)와 가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17)를 접속하는 엘보부(31)가 형성되어 있고, 그 엘보부(31)는 원통 케이스(17b)에 연결되는 동시에, 원통 케이스(16b)에 대해 횡축심(X2)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이에 의해, 엘보부(31) 및 가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17)의 원통 케이스(17b)는, 중간 스크류 컨베이어(16)의 원통 케이스(16b)에 횡축심(X2)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보유 지지 부재)
도 1, 도 4,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기체 프레임(B)의 후단부에는 지지 기둥(21)이 세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15)를 따라 기립 설치되어 있다. 그 지지 기둥(21)에는 세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15)의 원통 케이스(15b)를 회전 가능하게 보유 지지하는 하측의 제1 보유 지지 부재(22)가 장착되어 있다. 곡물 탱크(4)의 후방 벽부(4c)에는, 원통 케이스(15b)를 회전 가능하게 보유 지지하는 상측의 제2 보유 지지 부재(23)가 장착되어 있다.
(선회 구동 수단)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보유 지지 부재(22)에는, 배출 오거(12)를 종축심(X1) 주위로 선회 구동하는 전동 모터(M)(선회 구동 수단의 일례)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 보유 지지 부재(22)에는 브래킷(24)이 고정되고, 브래킷(24)의 하면에는 피니언 기어(25)를 갖는 전동 모터(M)가 지지 고정되어 있다. 세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15)의 원통 케이스(15b)에는, 링 기어(26)가 고착되어 있고, 전동 모터(M)의 피니언 기어(25)가 링 기어(26)에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동 모터(M)의 회전 구동에 의해, 피니언 기어(25), 그 피니언 기어(25)에 맞물리는 링 기어(26), 그 링 기어(26)가 고착된 세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15)를 구동시켜, 배출 오거(12)를 선회 조작하도록 되어 있다.
(기복 구동 수단)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간 스크류 컨베이어(16)와 가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17)에 걸쳐, 배출 오거(12)를 횡축심(X2) 주위로 기복 구동하는 유압 실린더(CY)(기복 구동 수단의 일례)가 설치되어 있다. 유압 실린더(CY)의 신축 작동에 의해, 배출 오거(12)[가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17)]를 기복 조작하도록 되어 있다.
(받침부)
도 1,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기체 프레임(B)의 전방부에는, 우측 엔드 위치(P2)(지지 위치)에서 배출 오거(12)를 받아내어 지지하는 받침부(3)가 장비되어 있다. 받침부(3)는, 기체 프레임(B)의 중심부에 기립 설치된 지지 기둥(도시 생략)과, 그 지지 기둥의 상단부에 장착되어 배출 오거(12)를 받아내어 지지하는 오거 지지부(3b)를 구비하고 있다. 오거 지지부(3b)는, 탈곡 장치(E)의 전방측 상방이며 운전 좌석(63)보다도 약간 후방측에 위치하고 있다.
(받아냄 검출 수단)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오거 지지부(3b)에는, 받아냄 검출 스위치(SW1)(받아냄 검출 수단의 일례)가 장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오거 지지부(3b)에 의해 배출 오거(12)가 받아내어져 지지되면, 받아냄 검출 스위치(SW1)는 배출 오거(12)를 받아낸 것을 검출한다.
(엔드 위치 검출 수단)
도 1, 도 4,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브래킷(24)의 상면에는, 요동 가능한 레버(29)를 갖는 제1 리미트 스위치(SW2)(우측 엔드 위치 검출 수단의 일례) 및 요동 가능한 레버(30)를 갖는 제2 리미트 스위치(SW3)(좌측 엔드 위치 검출 수단의 일례)가 나뉘어 배치되어 있다.
상기 배출 오거(12)가 우측 엔드 위치(P2)로 선회하면, 링 기어(26)에 기립 설치된 핀(28)이 제1 리미트 스위치(SW2)의 레버(29)에 접촉한다. 이에 의해, 제1 리미트 스위치(SW2)가 배출 오거(12)의 우측 엔드 위치(P2)를 검출한다. 또한, 배출 오거(12)가 좌측 엔드 위치(P1)(배출 위치)로 선회하면, 링 기어(26)에 기립 설치된 핀(28)이 제2 리미트 스위치(SW3)의 레버(30)에 접촉한다. 이에 의해, 제2 리미트 스위치(SW3)가 배출 오거(12)의 좌측 엔드 위치(P1)를 검출한다.
여기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우측 엔드 위치(P2)라 함은, 배출 오거(12)의 원통 케이스(17b)(몸통부)가 곡물 탱크(4) 및 탈곡 장치(E)의 상방의 위치이다. 또한, 좌측 엔드 위치(P1)라 함은, 배출 오거(12)의 원통 케이스(17b)가 받침부(3)로부터 운전부(D)와는 반대측으로 선회하고, 탈곡 장치(E)의 상방 및 기체 후방을 선회하여 탈곡 장치(E)와는 반대측의 기체 가로 외측을 향하는 위치이다.
(배출 오거의 배치)
도 2,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출 오거(12)가 우측 엔드 위치(P2)에 위치한 상태에 있어서, 평면에서 볼 때, 가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17)의 배출구(17c)가 예취부(C)에 있어서의 탈곡 장치(E)측의 단부로부터 좌우 중앙측에 위치하고, 또한 가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17)의 원통 케이스(17b)가 리프팅 스크류 컨베이어(1)로부터 탈곡 장치(E)측에 위치하도록, 중간 스크류 컨베이어(16)의 길이(d)를 설정하고 있다.
상기 중간 스크류 컨베이어(16)의 길이(d)는, 이하와 같이 구해진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15)의 중심 위치를 P3(a3, 0)으로 하고, 리프팅 스크류 컨베이어(1)의 중심 위치를 P4(a4, b4)로 하고, 가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17)의 배출구(17c)의 위치를 P5(0, b5)로 한다. 세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15)[원통 케이스(15b)], 중간 스크류 컨베이어(16)[원통 케이스(16b)] 및 가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17)[원통 케이스(17b)]의 반경을 r1로 하고, 리프팅 스크류 컨베이어(1)의 반경을 r2로 한다.
우선, P5[가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17)의 배출구(17c)의 위치]와 P6[엘보부(31)의 위치]을 연결하는 직선 L : y=mx+n을 구한다.
직선 L은 P5를 지나므로, n은 b5가 된다. 직선 L과 P4의 거리는 r1+r2이므로, 점과 직선의 거리의 공식에 의해, m은 [(r1+r2)2+a4 2]m2+2a4(b4-b5)m+[(r1+r2)2-(b4-b5)2]=0을 만족시키는 해이다.
직선 L과 P3의 거리는 중간 스크류 컨베이어(16)의 길이(d)이므로, 점과 직선의 거리의 공식에 의해, 이하와 같이 구해진다.
Figure 112018003384012-pat00001
따라서, 중간 스크류 컨베이어(16)의 길이(d)는, 이하의 부등식을 만족시키면 좋다.
Figure 112018003384012-pat00002
여기서, a3≥d라고 되어 있는 것은, 배출 오거(12)의 엘보부(31)가 콤바인으로부터 기체 가로 외측으로 밀려 나오지 않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중간 스크류 컨베이어(16)의 길이(d)를 설정하고 있음으로써,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받침부(3)에 의해 배출 오거(12)를 지지한 상태에서, 평면에서 볼 때, 예취부(C)에 있어서의 운전부(D)와는 반대인 좌측 단부의 제1 분초구(分草具)(64)와 상기 제1 분초구(64)의 우측 옆의 제2 분초구(65) 사이이고 또한 그들 분초구(64, 65)의 전단부보다도 후방측의 위치에, 가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17)의 배출구(17c)가 위치한다. 리프팅 스크류 컨베이어(1)의 배출구(1a)의 좌측 옆[탈곡 장치(E)측의 옆]에, 가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17)의 원통 케이스(17b)가 위치한다.
이에 의해, 가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17)의 원통 케이스(17b)의 상면의 상하 높이와, 리프팅 스크류 컨베이어(1)의 배출구(1a) 및 곡물 탱크(4)의 천장면부(4f)의 상하 높이를 거의 동일한 높이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곡물 탱크(4)의 용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면서도, 가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17)의 배출구(17c)가 예취부(C)로부터 좌우 외측으로 밀려 나오는 일이 없어, 가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17)의 배출구(17c)가 나뭇가지나 전신주 등에 접촉하여, 배출 오거(12)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출 오거(12)가 우측 엔드 위치(P2)에 위치한 상태에 있어서, 평면에서 볼 때, 가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17)와 곡물 탱크(4)의 좌측 코너가 약간 중복되어 있다. 그러나 가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17)가 곡물 탱크(4)의 절결부(5)의 좌측에 인입되어 있으므로, 가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17)가 곡물 탱크(4)에 간섭하는 일은 없다.
즉, 곡물 탱크(4)의 절결부(5)는, 배출 오거(12)가 우측 엔드 위치(P2)에 위치한 상태에 있어서, 가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17)가 인입되는 동시에, 배출 오거(12)가 좌측 엔드 위치(P1)에 위치한 상태에 있어서, 엘보부(31)가 인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배기관)
도 1, 도 7,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체 프레임(B)의 전방부이며 운전부(D)의 하방에는 엔진(41)이 배치되고, 엔진(41)의 상측에는 머플러(42)가 배치되어, 엔진(41)의 배기구와 머플러(42)의 일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머플러(42)의 타단부로부터 파이프(43)가 경사 후방 하방을 향해 연장되어 있고, 파이프(43)의 선단부로부터 배기관(44)이 경사 후방 하방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배기관(44)은 직선 형상으로, 배기 가스가 배기관(44)에 접촉하여 배기관(44)에 히트 스폿이 형성되는 일은 적다.
상기 배기관(44)은, 선단부측의 관부(45)와, 중간의 관부(46)와, 기단부측의 관부(47)를 구비하고 있다. 각 관부(45, 46, 47)의 기단부에는, 각각 직경 확장부(45a, 46a, 47a)가 형성되어 있다. 선단부측의 관부(45)의 선단부에는, 선단부측의 관부(45)의 배기구(45b)의 상측을 덮는 커버(48)가 장착되어 있다. 중간의 관부(46) 및 기단부측의 단부(47)의 선단부에는, 각각 연결 금속 부재(49)가 주위 방향을 따라 복수 장착되어 있다. 선단부측의 관부(45)에는, 제1 고정 금속 부재(50) 및 제2 고정 금속 부재(51)가 장착되어 있다. 기단부측의 관부(47)에는, 제3 고정 금속 부재(52)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연결 금속 부재(49)에 의해, 선단부측의 관부(45)와 중간의 관부(46)를 연결하는 동시에, 중간의 관부(46)와 기단부측의 관부(47)를 연결한다. 이와 같이 하여, 배기관(44)을 조립한다. 이때, 중간 관부(46)의 선단부가 선단부측의 관부(45)의 직경 확장부(45a)에 인입되는 동시에, 기단부측의 관부(47)의 선단부가 중간의 관부(46)의 직경 확장부(46a)에 인입된다.
상기 제1 고정 금속 부재(50)를, 기체 프레임(B)에 지지 고정하고, 제2 고정 금속 부재(51)를, 기체 프레임(B)에 설치된 제1 지지 금속 부재(53)에 지지 고정하고, 제3 고정 금속 부재(52)를, 기체 프레임(B)에 기립 설치되고 또한 프리 클리너(61) 및 에어 클리너(62)를 지지하는 지지 기둥(54)의 도중에 설치된 제2 지지 금속 부재(55)에 지지 고정한다. 이와 같이 하여 배기관(44)을 콤바인에 장착한다. 이때, 파이프(43)의 선단부가 기단부측의 관부(47)의 직경 확장부(47a)에 인입된다.
이에 의해, 배기 가스가 파이프(43)의 선단부로부터 배기관(44) 내로 유입될 때에, 이젝터 작용에 의해 파이프(43)의 선단부와 기단부측의 관부(47)의 직경 확장부(47a)의 간극(56)(외기 취입부의 일례), 기단부측의 관부(47)의 선단부와 중간의 관부(46)의 직경 확장부(46a)와의 간극(57)(외기 취입부의 일례) 및 중간의 관부(46)의 선단부와 선단부측의 관부(45)의 직경 확장부(45a)와의 간극(58)(외기 취입부의 일례)으로부터, 공기가 배기관(44) 내에 유입되어 배기 가스에 공기가 혼합하면서 유동한다. 따라서, 배기 가스가 배기관(44)의 선단부에 도달할 때에는, 배기 가스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간극(57)의 수를 증감 가능하다.
[제어 구성]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부(H)는 배출 오거(12)를 선회 조작하는 선회 스위치(SW4)(선회 조작 수단의 일례)와, 배출 오거(12)를 기복 조작하는 기복 스위치(SW5)(기복 조작 수단의 일례)와, 배출 오거(12)를 받아낸 것을 검출하는 받아냄 검출 스위치(SW1)와, 배출 오거(12)의 우측 엔드 위치(P2)를 검출하는 제1 리미트 스위치(SW2)와, 배출 오거(12)의 좌측 엔드 위치(P1)를 검출하는 제2 리미트 스위치(SW3)와, 그들 각 스위치(SW1 내지 SW5)의 지령 정보 및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전동 모터(M), 유압 실린더(CY)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 수단(60)을 구비하고 있다.
도 1,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운전부(D)에는 엔진(41)의 흡기를 청정하게 하는 프리 클리너(61), 에어 클리너(62), 선회 스위치(SW4), 기복 스위치(SW5) 등이 장비되어 있다. 프리 클리너(61)는, 운전부(D)의 운전 좌석(63)과 곡물 탱크(4) 사이에 구비되어 있고, 프리 클리너(61)를 곡물 탱크(4)의 천장면부(4f)보다도 낮게 또한 운전부(D)의 운전 좌석(63)보다도 높게 설정하고 있다.
(선회 제어)
배출 오거(12)의 선회 제어에 대해 설명한다. 작업자가 선회 스위치(SW4)를 우측 선회 위치로 전환 조작하면, 배출 오거(12)의 우측 선회 조작을 제어 수단(60)에 지령한다. 제어 수단(60)은, 선회 스위치(SW4)로부터 우측 선회 조작이 지령되어 있는 동안, 배출 오거(12)를 우측 선회시키도록 전동 모터(M)를 구동한다. 작업자가 선회 스위치(SW4)를 중립 위치로 전환 조작하면, 배출 오거(12)의 중립 조작을 제어 수단(60)에 지령한다. 제어 수단(60)은, 선회 스위치(SW4)로부터 중립 조작이 지령되어 있는 동안 전동 모터(M)를 정지한다. 작업자가 선회 스위치(SW4)를 좌측 선회 위치로 전환 조작하면, 배출 오거(12)의 좌측 선회 조작을 제어 수단(60)에 지령한다. 제어 수단(60)은 선회 스위치(SW4)로부터 좌측 선회 조작이 지령되어 있는 동안, 배출 오거(12)를 좌측 선회시키도록 전동 모터(M)를 구동한다. 제어 수단(60)은 제1 리미트 스위치(SW2)에 의해 배출 오거(12)의 우측 엔드 위치(P2)(지지 위치)가 검출되거나, 혹은 제2 리미트 스위치(SW3)에 의해 배출 오거(12)의 좌측 엔드 위치(P1)(배출 위치)가 검출되면, 전동 모터(M)를 정지한다. 이에 의해, 배출 오거(12)의 선회 조작 범위를 좌측 엔드 위치(P1)와 우측 엔드 위치(P2) 사이로 설정하고 있다.
(기복 제어)
배출 오거(12)의 기복 제어에 대해 설명한다. 작업자가 기복 스위치(SW5)를 기립 위치로 전환 조작하면, 배출 오거(12)의 기립 조작을 제어 수단(60)에 지령한다. 제어 수단(60)은, 기복 스위치(SW5)로부터 배출 오거(12)의 기립 조작이 지령되면, 기복 스위치(SW5)로부터 기립 조작이 지령되어 있는 동안, 배출 오거(12)를 기립시키도록 유압 실린더(CY)를 구동한다. 작업자가 기복 스위치(SW5)를 중립 위치로 전환 조작하면, 배출 오거(12)의 중립 조작을 제어 수단(60)에 지령한다. 제어 수단(60)은 기복 스위치(SW5)로부터 배출 오거(12)의 중립 조작이 지령되면, 기복 스위치(SW5)로부터 중립 조작이 지령되어 있는 동안, 유압 실린더(CY)를 정지한다. 작업자가 기복 스위치(SW5)를 도복 위치로 전환 조작하면, 배출 오거(12)의 도복 조작을 제어 수단(60)에 지령한다. 제어 수단(60)은, 기복 스위치(SW5)로부터 배출 오거(12)의 도복 조작이 지령되면, 기복 스위치(SW5)로부터 도복 조작이 지령되어 있는 동안, 배출 오거(12)를 도복시키도록 유압 실린더(CY)를 구동한다. 제어 수단(60)은, 받아냄 검출 스위치(SW1)에 의해 배출 오거(12)를 받아내어 지지한 것을 검출하면, 유압 실린더(CY)를 정지한다.
[다른 실시 형태]
(1)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세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15)의 원통 케이스(15b)는 로워 케이스(14)에 종축심(X1)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중간 스크류 컨베이어(16)의 원통 케이스(16b)는 세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15)의 원통 케이스(15b)에 접속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지만, 이러한 구성 대신에 세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15)의 원통 케이스(15b)는, 로워 케이스(14)에 고정 지지되고, 중간 스크류 컨베이어(16)의 원통 케이스(16b)는, 세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15)의 원통 케이스(15b)에 종축심(X1)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접속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2)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받침부(3)에 의해 배출 오거(12)를 지지한 상태에서, 가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17)의 원통 케이스(17b)의 상면의 상하 높이와, 곡물 탱크(4)의 천장면부(4f)의 상하 높이를 거의 동일한 높이로 하고 있는 구성을 예시하였지만, 이러한 구성 대신에 곡물 탱크(4)의 천장면부(4f)를 가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17)의 원통 케이스(17b)의 상면보다도 약간 높게 설정해도 좋다.
또한,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와 제2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콤바인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콤바인의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콤바인은, 크롤러식 주행 장치(301)에 의해 자주(自走)하면서 벼, 보리 등을 수확하는 것으로, 기체 프레임(302)에, 주행 기체 전방부의 우측에 배치된 운전 좌석(303)을 구비한 운전부(304)와, 운전 좌석(303)의 하방에 배치된 원동부(305)와, 운전 좌석(303)의 후방에 배치된 곡립 저류부로서의 곡립 탱크(306)와, 곡립 탱크(306)의 가로 좌측에 배치된 탈곡기(307)를 구비하는 동시에, 기체 프레임(302)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연결한 예취부(308)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예취부(308)는 예취부 프레임(309)이 유압 실린더(도시 생략)에 의해 기체 프레임(302)에 대해 상하로 요동 조작됨으로써, 예취부(308)의 전단부에 위치하는 분초구(310)가 지면 부근으로 하강한 하강 작업 상태와, 분초구(310)가 지면으로부터 높게 상승한 상승 비작업 상태로 승강한다.
예취부(308)를 하강 작업 상태로 하여 주행 기체를 주행시키면, 예취부(308)는 직립 곡물대를 분초구(310)에 의해 기립 장치(311)에 도입하여 기립 처리하고, 기립 처리되는 직립 곡물대를 클리퍼형의 예취 장치(312)에 의해 예취 처리하고, 예취 곡물대를 공급 반송 장치(도시 생략)에 의해 주행 기체 후방으로 반송하여 탈곡기(307)의 탈곡 피드 체인(도시 생략)에 공급한다. 탈곡기(307)는 탈곡 피드 체인에 의해 예취 곡물대의 밑동측을 후방으로 끼움 지지 반송하고, 이 반송 곡물대의 이삭 끝측을 급실(도시 생략)에 공급하여 탈곡 처리한다.
상기 곡립 탱크(306)는 탈곡기(307)로부터의 탈곡립을 회수하여 저류한다. 곡립 탱크(306)는 상자 형상으로 구성되고, 그 하부측이 아래로 좁아지게 구성되고, 그 저부에 전후 방향을 따른 바닥 스크류(313)가 배치되어 있다. 이 바닥 스크류(313)의 후단부는, 상기 곡립 탱크(306)의 후방벽(306a)보다 후방으로 연장되어 리프팅 통(314)에 내장한 리프팅 스크류(315)에 연동 연결되어 있다. 리프팅 통(314)의 상단부에는, 종축심(Z) 주위 및 횡축심(P) 주위로 요동 조작 가능하게 지지한 오거(316)를 접속하고 있다. 오거(316)는 리프팅 스크류(315)에 연동 연결된 가로 이송 스크류(317)와 가로 이송 통(318)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바닥 스크류(313)의 축을 곡립 탱크(306)의 전방벽(306b)의 전방으로 돌출시키고, 그 전단부에 설치한 입력 풀리(N1)로부터 동력을 받아, 바닥 스크류(313)의 회전력은 리프팅 스크류(315) 및 가로 이송 스크류(317)에 전달된다. 곡립 탱크(306) 내의 곡립은 리프팅 통(314)을 통해 오거(316)의 선단부로부터 배출된다.
상기 오거(316)는 도 11에 도시하는 저장 상태의 위치로부터는 상기 종축심(Z) 주위로 반시계 방향으로만 선회 가능하고, 저장 위치로부터 각도 a만큼 선회하면 오거(316)는 정후방이 되고, 또한 각도 b(약 90도)만큼 선회시키면 우측 횡방향이 된다. 각도 b의 범위가 통상의 곡립을 배출시키는 범위이고, 각도 c의 범위에서는 오거(316)가 선회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 곡립의 배출이 완료된 후에는, 오거(316)를 시계 방향으로 선회시켜 저장 위치에 저장할 수 있다. 선회 불능 범위(c)는 리미트 스위치 또는 포텐시오미터로 이루어지는 위치 검출 센서(도시 생략)에 의한 위치 검출에 의해 선회 위치를 검지시켜 오거(316)의 선회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오거(316)의 하강 하한 위치는 오거(316)의 수평 자세로부터 하방으로 약 10도로 설정되어 있다.
도 12는 운전부(304)의 평면도, 도 13은 운전부(304)와 원동부(305)의 측면의 부분 단면도, 도 14는 운전부(304)와 원동부(305)의 정면의 부분 단면도, 도 15는 원동부(305)의 배면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동부(305)는 엔진(319)과 이 엔진(319)보다도 주행 기체 가로 외측에 위치한 엔진 냉각 라디에이터(320)와, 이 엔진 냉각 라디에이터(320) 및 엔진(319)을 덮는 엔진 보닛(321)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엔진 보닛(321)은, 엔진(319)의 상방에 위치하는 천장판(322)과, 엔진(319)의 전방측에 위치하는 전방 커버(323)와, 후방측에 위치하는 후방 커버(324)와, 우측에 위치하는 우측 가로 커버(325)와, 좌측에 위치하는 좌측 가로 커버(326)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좌측 가로 커버(326)는 상반부에만 실시되어 있고, 하반부는 개방되어 있다. 좌측 가로 커버(326)의 전후 방향에서 운전 좌석(303)의 전단부보다도 후방측은 판금제의 펀칭 메탈(344)로, 대략 운전 좌석(303)보다도 전방측은 고무제의 험프(345)로 구성되어 있다. 좌측 가로 커버(326)를 구비함으로써, 엔진룸 내에 예취 반송되어 있는 곡물대의 검불의 침입이 저감되는 동시에, 엔진(319)의 냉각 성능의 향상 및 엔진(319)으로부터의 동력을 취하기 쉽고, 메인터넌스도 행하기 쉽게 되어 있다. 주행 기체의 우측 가로 외측의 우측 가로 외측벽(327)에는, 엔진 냉각풍의 흡기구(328)를 구비하고, 엔진 보닛(316)의 우측 가로 커버(325)와 일체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엔진 보닛(321)의 천장판(322)으로 상기 운전 좌석(303)을 지지하고 있다.
엔진 보닛(321)의 후단부의 후방 커버(324)를 천장판(322)의 높이까지 연장 설치하고, 후방 커버(324)를 따라 설치한 단면 직사각형의 지지 기둥(329)을 기립 설치하여 하단부를 기체 프레임(302)에 고정하고, 지지 기둥(329)에 후방 커버(324)를 지지하고 있다. 지지 기둥(329)은 정면에서 볼 때, 운전 좌석(303)의 좌우 방향 대략 중앙에 위치하고, 후방 커버(324)에 있어서의 지지 기둥(329)이 위치하는 전방면에 스테이(330)를 설치하고, 이 스테이(330)에, 엔진(319)의 흡기계의 에어 클리너(331)를 장착하는 동시에, 에어 클리너(331)의 바로 상방 위치에 프리 에어 클리너(332)를 배치하고 있다. 프리 에어 클리너(332)는 지지 기둥(329)의 상단부에 장착한 스테이(333)에 고정되어 있다.
즉, 에어 클리너(331)는 운전 좌석(303)의 등받이(334)의 후방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프리 에어 클리너(332)는, 운전 좌석(303)의 등받이(334)의 후방 근방이며, 에어 클리너(331)의 상방에 위치하고, 정면에서 볼 때는 하면 운전 좌석(303)의 등받이(334)의 상단부의 상방 근방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측면에서 볼 때에는, 에어 클리너(331) 및 프리 에어 클리너(332)를 운전 좌석(303)의 등받이(334)와 곡립 탱크(306)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어 있다.
도 12, 도 13,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리 에어 클리너(332)는 흡기관(335)으로 이루어지는 프리 흡기로(제2 흡기로)에 의해 에어 클리너(331)에 연통되어 있다. 에어 클리너(331)는 엔진 보닛(321)의 천장판(322)을 관통한 흡기관(336)으로 이루어지는 흡기로(제1 흡기로)에 의해 엔진(319)의 흡기부(337)에 연통된다.
즉, 엔진(319)은 엔진 보닛(321) 외부의 공기를 프리 에어 클리너(332)와 에어 클리너(331)에 의해 제진 처리한 후에 연소용 공기로서 도입한다.
엔진 보닛(321)의 천장판(322)은,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운전 좌석측 부분(322a)과 에어 클리너측 부분(322b)으로 라인(L1, L2)의 개소에서 분리되어 있다. 즉,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시를 생략한 에어 클리너측 부분(322b)과 도시하고 있는 운전 좌석측 부분(322a)으로 라인(L1, L2)의 개소에서 분리되어 있어, 천장판(322)의 운전 좌석측 부분(322a)과 전방 커버(323)와 우측 가로 커버(325)의 엔진 보닛 부분이, 바닥판(350), 레버 가이드 측벽(351)으로부터 이격되어, 전후 축심(P1) 주위에서 외측으로 회전시켜 엔진룸을 개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바닥 스크류(313)의 입력 풀리(N1)에 대해 동력을 연결/해제하는 클러치(도시 생략)를 조작하는 탱크 곡립 배출 레버(338)를 안내하는 레버 가이드판(339)을, 프리 클리너 스테이(333)와 함께 지지 기둥(329)에 고정하고 있다. 탱크 곡립 배출 레버(338) 및 레버 가이드판(339)에 있어서, 클러치의 연결 위치가 프리 에어 클리너(332)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고, 클러치의 해제 위치가 프리 에어 클리너(332)의 후방으로부터 가로 외측[도 12의 지면(紙面) 우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수평한 레버 가이드판(339)의 전방측에 이것과 일체로 전방 하방으로 경사지게 한 오거 조작판편(340)을 설치하고 있다.
오거 조작판편(340)에는, 오거(316)를 승강 조작하기 위한 승강 스위치 조작 부재(341)와, 그 하측에 오거를 선회 조작하기 위한 선회 스위치 조작 부재(342)를 배치하고 있다. 승강 스위치 조작 부재(341)는 좌우 폭보다도 상하 방향으로 길게, 선회 스위치 조작 부재(342)는 상하 폭보다도 좌우로 길게 되어 있다. 승강 스위치 조작 부재(341)는, 중립 가압된 시소식 스위치로, 그 스위치 조작 부재(341)의 상측을 누르면 상승 스위치(도시 생략)가 온(ON)으로 되어 오거(316)가 상승하고, 하측을 누르면 하강 스위치(도시 생략)가 온으로 되어 오거(316)가 하강하고, 승강 스위치 조작 부재(341)로부터 손을 떼면 조작하고 있었던 스위치가 오프(OFF)되어 오거(316)의 승강이 정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선회 스위치 조작 부재(342)는, 그 스위치 조작 부재(342)의 좌측을 누르면 좌측 선회 스위치(도시 생략)가 온으로 되어 오거(316)가 좌측 방향(도 11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선회하고, 우측을 누르면 우측 선회 스위치(도시 생략)가 온으로 되어 오거(316)가 우측 방향(도 11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선회하고, 선회 스위치 조작 부재(342)로부터 손을 떼면 조작하고 있었던 스위치가 오프되어 오거의 선회가 정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양 스위치 조작 부재(341, 342)의 배치와 형상에 의해 스위치 조작 부재를 보지 않고도 식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오거(316)를 조작하는 조작구로서 다른 것을 채용해도 좋고, 예를 들어 요동 조작식 레버를 오거 조작판편(340)으로부터 전방 상방으로 돌출 설치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제2 실시 형태]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콤바인의 전체 측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콤바인의 전체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콤바인은, 크롤러식 주행 장치(430)에 의해 자주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운전 캐빈(431)이 장비된 운전부를 가진 주행 기체를 구비하고, 이 주행 기체의 기체 프레임(432)의 전방부에 연결된 예취부(433)를 구비하고, 상기 기체 프레임(432)의 후방부측에 주행 기체 횡방향으로 배열하여 설치한 탈곡기(434)와 곡립 탱크(435)를 구비하고 있다.
이 콤바인은, 벼, 보리 등의 수확 작업을 행한다.
즉, 예취부(433)는 예취부 프레임(433a)이 유압 실린더(도시 생략)에 의해 기체 프레임(432)에 대해 상하로 요동 조작됨으로써, 예취부(433)의 전단부에 주행 기체 횡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분초구(433b)가 지면 부근으로 하강한 하강 작업 상태와, 상기 분초구(433b)가 지면으로부터 높게 상승한 상승 비작업 상태로 승강된다.
예취부(433)를 하강 작업 상태로 하여 주행 기체를 주행시키면, 예취부(433)는 상기 각 분초구(433b)에 의해 직립 곡물대를 주행 기체 횡방향으로 나열되는 기립 장치(433c) 중의 대응하는 기립 장치(433c)에 도입하고, 각 기립 장치(433c)에 의해 기립 처리되는 직립 곡물대를 하나의 클리퍼형의 예취 장치(433d)에 의해 예취 처리하고, 예취 곡물대를 공급 장치(433e)에 의해 주행 기체 후방으로 반송하여 탈곡기(434)에 공급한다.
상기 탈곡기(434)는 상기 공급 장치(433e)로부터의 예취 곡물대를 탈곡 처리한다. 상기 곡립 탱크(435)는 탈곡기(434)로부터의 탈곡립을 회수하여 저류하고, 저류한 탈곡립을 스크류 컨베이어로 이루어지는 반출 장치(436)에 의해 반출한다.
상기 탈곡기(434)에 대해 상세하게 서술한다. 도 20은 상기 탈곡기(434)의 종단 측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탈곡기(434)는 탈곡 기체(401)와, 이 탈곡 기체(401)의 전단부측에 있어서의 상부의 내측에 설치한 급실(402)을 가진 탈곡부(A)와, 상기 탈곡 기체(401)의 내부의 상기 급실(402)의 하방에 설치한 요동 선별 장치(403)를 가진 선별부(B)와, 상기 탈곡 기체(401)의 내부의 상기 급실(402)의 후방에 구동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처리 회전체(408)와, 상기 탈곡 기체(401)의 내측의 저부에 설치한 1번 스크류 컨베이어(404) 및 2번 스크류 컨베이어(405)와, 상기 탈곡 기체(401)의 내부의 상기 급실(402)의 후방에 설치한 배출 볏짚 반송 장치(406)와, 상기 탈곡 기체(401)의 후방부에 연결한 배출 볏짚 처리 장치(407)를 구비하고 있다.
이 탈곡기(434)는 예취부(433)로부터의 예취 곡물대를 탈곡 처리하는 것 외에, 탈곡 배출 볏짚을 세단(細斷) 처리하여 방출하거나, 긴 볏짚 상태로 방출하거나 한다.
즉, 상기 탈곡부(A)는, 상기 급실(402)을 구비하는 것 외에, 이 급실(402)에 탈곡 기체 전후 방향의 급동 회전 축심(P) 주위로 구동 가능하게 설치한 급동(410)과, 상기 급실(402)의 하부에 급동(410)의 주위 방향과 급동 회전 축심 방향을 따르게 하여 설치한 수망(411)과, 상기 탈곡 기체(401)의 가로 외측에 구동 가능하게 설치한 탈곡 피드 체인(412)을 구비하고 있다.
*즉, 탈곡부(A)는 예취부(433)로부터의 예취 곡물대의 밑동측을 상기 탈곡 피드 체인(412)에 의해 끼움 지지하여 예취 곡물대를 탈곡 기체 후방으로 반송하고, 이에 의해 예취 곡물대의 이삭 끝측을 탈곡 기체(401)의 전방측에 안내 저판(409)에 의해 형성된 곡물대 공급로(R)와 곡물대 공급구(C)(도 21 참조)로부터 상기 급실(402)에 공급하고, 급동(410)과 수망(411) 사이를 탈곡 기체(401)의 탈곡구(threshing port)(D)(도 21 참조)를 따르게 하여 급동 회전 축심 방향으로 이송하면서 급동(410)과 수망(411)에 의해 탈곡 처리하고, 탈곡립 등의 탈곡 처리물을 수망(411)으로부터 낙하시켜, 탈곡 배출 볏짚을 급실(402)의 후단부에 위치하는 송진구(送塵口)(413)로부터 탈곡 피드 체인(412)에 의해 배출한다.
상기 처리 회전체(408)는, 급실(402)로부터 배출된 탈곡 배출 볏짚에 긁어냄 갈고리를 작용시켜, 탈곡 배출 볏짚에 박힌 곡립을 탈곡 배출 볏짚으로부터 긁어낸다.
상기 선별부(B)는, 상기 요동 선별 장치(403)를 구비하는 것 외에, 이 요동 선별 장치(403)의 전단부의 하방에 설치한 풍구(416)와, 상기 요동 선별 장치(403)의 후단부의 상방에 설치한 배진(排塵) 팬(417)을 구비하고 있다.
즉, 선별부(B)는 상기 수망(411)으로부터 낙하한 탈곡 처리물을 상기 요동 선별 장치(403)에 의해 받아내고, 이 요동 선별 장치(403)에 의한 요동 선별과, 상기 풍구(416)에 의해 탈곡 기체 후방으로 공급되는 선별풍(選別風)에 의해 곡립과 진애로 선별하고, 곡립을 요동 선별 장치(403)로부터 낙하시키고, 진애를 선별풍과 함께 배진 팬(417)을 내장한 배진 케이스의 배출구(418), 혹은 탈곡 기체(401)의 후방부에 위치하는 배진구(419)로부터 탈곡 기체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 1번 스크류 컨베이어(404)는, 요동 선별 장치(403)로부터의 곡립 중 1번물을 수납하여 탈곡 기체 횡방향으로 반송하여 탈곡 기체(401)의 가로 외측으로 반출한다. 1번 스크류 컨베이어(404)로부터의 1번물은, 스크류 컨베이어를 이용한 양곡(grain lifting) 장치(404a)에 의해 상기 곡립 탱크(435)에 공급된다. 상기 2번 스크류 컨베이어(405)는, 요동 선별 장치(403)로부터의 곡립 중 2번물을 수납하여 탈곡 기체 횡방향으로 반송하여 탈곡 기체(401)의 가로 외측으로 반출한다. 2번 스크류 컨베이어(405)로부터의 2번물은, 스크류 컨베이어 등으로 이루어지는 환원 장치(420)에 의해 탈곡 기체(401)의 횡벽의 상부에 위치하는 환원구에 리프팅하고, 이 환원구로부터 탈곡 기체 내에 투입하여 요동 선별 장치(403)의 시단부측으로 환원한다.
상기 배출 볏짚 반송 장치(406)는, 상기 탈곡 피드 체인(412)으로부터 탈곡 배출 볏짚을 이어받고, 이어받은 탈곡 배출 볏짚을 옆으로 쓰러짐 자세로 이삭 끝측을 탈곡 기체(401)의 횡벽측에 가까이 대면서 탈곡 기체 후방측으로 반송하고, 탈곡 기체(401)의 후방부에 위치하는 배출 볏짚 반출구(421)로부터 탈곡 기체(401)의 외부로 반출하여 상기 배출 볏짚 처리 장치(407)의 커터 케이스(425) 상에 낙하시킨다.
상기 배출 볏짚 처리 장치(407)는, 커터 케이스(425)의 상부에 설치한 배출 볏짚 수납구(426)와, 이 배출 볏짚 수납구(426)를 개폐하는 요동 개폐 가능한 덮개판(427)과, 상기 커터 케이스(425)의 내부에 구동 가능하게 설치한 한 쌍의 회전 커터(428, 428)를 구비하고 있다.
즉, 상기 배출 볏짚 처리 장치(407)는 상기 덮개판(427)이 상승 개방 조작되면, 상기 배출 볏짚 반송 장치(406)로부터 낙하한 탈곡 배출 볏짚을 배출 볏짚 수납구(426)로부터 커터 케이스(425)의 내부로 낙하시키고, 커터 케이스(425)로 들어간 탈곡 배출 볏짚을 회전하는 상기 한 쌍의 회전 커터(428, 428)에 의해 볏대 방향으로 세단하고, 세단 볏짚을 커터 케이스(425)의 하부로부터 탈곡 기체(401)의 후방으로 낙하시킨다.
상기 배출 볏짚 처리 장치(407)는, 상기 덮개판(427)이 하강 폐쇄 조작되면, 상기 배출 볏짚 반송 장치(406)로부터 낙하한 탈곡 배출 볏짚을 덮개판(427) 상에 낙하시켜 긴 볏짚 상태로 덮개판(427)으로부터 커터 케이스(425)의 후방으로 낙하시킨다.
도 21은 상기 급동(410)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급동 전동 구조의 정면도이다. 도 22는 상기 급동 전동 구조의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급동 전동 구조는 탈곡 기체(401)의 전방 측벽(401a)의 상부의 표면측에 탈곡 기체 횡방향으로 배열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급동 구동 풀리(444)와 대직경의 가이드 풀리(445)를 구비하고, 상기 전방 측벽(401a)의 상부의 표면측에 탈곡 기체 상하 방향으로 배열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한 쌍의 소직경의 가이드 풀리(446, 446)를 구비하고, 상기 전방 측벽(401a)의 하부(401b)의 주행 기체 전방측에 배치하여 상기 기체 프레임(432)에 지지시킨 전동 케이스(440)와, 상기 전동 케이스(440)에 상기 급동 구동 풀리(444)의 하방에 배치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출력 풀리(442)와, 상기 전동 케이스(440)가 구비하는 지지부(440a)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텐션 아암(447)을 구비하고, 상기 출력 풀리(442)와, 상기 급동 구동 풀리(444)와, 상기 3개의 가이드 풀리(445, 446, 446)와, 상기 텐션 아암(447)이 지지축(447a)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텐션 윤체(448)에 걸쳐 권회된 전동 벨트(443)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급동 구동 풀리(444)는, 급동(410)의 회전 지지축(410a)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대직경의 가이드 풀리(445) 및 상기 상하 한 쌍의 소직경의 가이드 풀리(446, 446)는, 상기 급동 구동 풀리(444)에 대해 탈곡 피드 체인측과는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텐션 아암(447)은, 상기 지지축(447a)으로부터 연장된 아암(447b)에 연결된 텐션 스프링(449)에 의해 요동 가압되고, 이에 의해 상기 텐션 윤체(448)를 전동 벨트(443)에 대고 가압하여 전동 벨트(443)에 전동용의 긴장력을 부여한다.
즉, 급동 전동 구조는, 상기 전동 벨트(443)를 상기 곡물대 공급로(R)에 인입되지 않도록 상기 가이드 풀리(445, 446)에 의해 가이드하고, 상기 전동 케이스(440)가 상기 출력 풀리측과는 반대측의 단부에 구비하고 있는 입력 풀리(441)에 의해 전동 케이스(440)에 입력된 엔진 구동력을 상기 출력 풀리(442)에 전달하고, 이 출력 풀리(442)의 구동력을 상기 전동 벨트(443)에 의해 급동 구동 풀리(444)에 전달하여 급동(410)의 회전 지지축(410a)에 전달한다.
상기 탈곡기(434)는 상기 전방 측벽(401a)이 상기 전동 벨트(443)의 장력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 등에 저항한 강도를 구비하도록 전방 측벽(401a)의 표면측에 설치한 원형 강관재로 이루어지는 막대 형상의 지지 부재(451)를 가진 전방 측벽 지지 구조(450)를 구비하고 있다.
도 21은 상기 전방 측벽 지지 구조(450)의 정면도이다. 도 22는 상기 전방 측벽 지지 구조(450)의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전방 측벽 지지 구조(450)는 상기 지지 부재(451)를 구비하는 것 외에, 이 지지 부재(451)보다도 탈곡 피드 체인측에 상기 지지 부재(451)와 탈곡 기체 횡방향으로 배열하여 설치한 원형 강관재로 이루어지는 막대 형상의 보강 부재(452)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 부재(451)와 상기 보강 부재(452)의 하단부측에 걸쳐 연결된 주행 기체측의 연결 부재(453)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 부재(451)와 상기 보강 부재(452)의 상단부측에 걸쳐 연결된 탈곡 기체 횡방향의 전방 측벽측의 연결 부재(454)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주행 기체측의 연결 부재(453)는, 상기 지지 부재(451) 및 상기 보강 부재(452)의 하단부측과, 상기 전동 케이스(440)의 상단부에 걸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전동 케이스(440)를 기체 프레임(432)에 설치된 지지 부재에 이용하여 지지 부재(451)와 보강 부재(452)를 지지시키도록, 지지 부재(451) 및 보강 부재(452)의 하단부측을 전동 케이스(440)에 지지시키고 있다. 이 연결 부재(453)는 이것의 탈곡 기체 횡방향에서의 일단부에 연결된 스프링 홀더(455)를 구비하고, 이 스프링 홀더(455)에 의해 상기 텐션 스프링(449)의 일단부측을 지지하고 있다.
상기 전방 측벽측의 연결 부재(454)는, 상기 지지 부재(451) 및 상기 보강 부재(452)의 상단부측과, 상기 전방 측벽(401a)의 상기 곡물대 공급구(C)의 하방에 위치하는 부위로 나누어 연결되어 있고, 또한 전방 측벽(401a)의 곡물대 공급구 하방에서의 부위에 탈곡 기체 횡방향을 따라 위치하는 탈곡 기체 횡방향의 연결 부재로 되어 있고, 전방 측벽(401a)의 곡물대 공급구(C)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는 부위에 지지 부재(451)와 보강 부재(452)를 주행 기체 하방측으로부터 지지 작용시키고, 또한 지지 부재(451) 및 보강 부재(452)의 지지 작용이 전방 측벽(401a)의 곡물대 공급구 하방 부위의 탈곡 기체 횡방향에서의 광범위에 걸쳐 미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지지 부재(451)는 상기 전동 벨트(443)의 상기 출력 풀리(442)와 상기 가이드 풀리(445)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443a)을 따른 조립 장착 자세로 설치되어 있고, 전동 벨트(443)의 장력에 의해 전방 측벽(401a)에 가해지는 하중에 효율적으로 대항하는 상태에서 전방 측벽(401a)에 지지 작용한다.
도 23은 상기 급동(410)의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급동(410)의 회전 지지축(410a)은 이것의 전단부에 고주파 켄칭이 처리 범위(W)에 걸쳐 실시된 강도 향상부(410b)를 구비하고, 이 강도 향상부(410b)에 의해 상기 급동 구동 풀리(444)와, 급동 드럼 전단부측의 연결 보스(410c)를 일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급동(410)의 회전 지지축(410a)은 회전 지지축(410a)의 급실 후방벽(402a)으로부터 돌출된 단부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전동 풀리(460)를 구비하고, 급동(410)의 구동력을 상기 전동 풀리(460)로부터 전동 벨트(461)를 통해 상기 배출 볏짚 반송 장치(406)로 전달한다.
도 23,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급실 후방벽(402a)은 상기 회전 지지축(410a)을 베어링(462)을 통해 지지하도록 급실 후방벽(402a)의 외면측에 고정된 베어링 케이스(463)와, 이 베어링 케이스(463)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텐션 아암(464)을 구비하고 있다. 도 17,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텐션 아암(464)은, 텐션 스프링(465)에 의해 요동 가압됨으로써, 텐션 윤체(466)를 상기 전동 벨트(461)에 대고 전동 벨트(461)를 전동용 긴장 상태로 유지한다.
[다른 실시 형태]
상기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서는 곡립 저류부로서 곡립 탱크를 설치하였지만, 곡립 저류부로서 호퍼의 아래에 부대를 설치한, 부대를 채울 벼를 저류하는 곡립 호퍼를 채용해도 좋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26은 콤바인에 탑재되는 탈곡 장치(501)의 종단 측면도, 도 27은 탈곡 장치의 부분 정면도, 도 28은 급실 전방의 부분 종단 측면도를 도시한다. 이 탈곡 장치(501)에서는 탈곡부(502), 선별부(503), 회수부(504) 각각을 상부, 중간부, 하부에 배치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탈곡부(502)는 급실(505) 내에 전후 방향 자세의 지지축(506)과 일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급동(507)과, 이 급동(507)의 하측을 따라 배치한 수망(508)을 구비하는 동시에, 급실(505)의 측면에 피드 체인(509)과 끼움 지지 레일(510)로 이루어지는 끼움 지지 반송 기구(511)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선별부(503)는 요동 선별 장치(512)와, 이 요동 선별 장치(512)로 선별풍을 보내는 풍구(513)로 구성되고, 요동 선별 장치(512)는 수망(508)으로부터 누하(漏下)된 처리물을 전방부 위치의 파형으로 성형된 곡물 팬(514)에 의해 받아내는 동시에, 요동에 의해 후방으로 이송하면서 채프 시브(515)에 의해 대략 선별을 행한 후, 곡물 시브(516)에 의해 곡립만을 선별하여 누하시키고, 또한 긴 볏짚은 스트로우 랙(517)에 의해 탈곡 장치 밖으로 송출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회수부(504)는 요동 선별 장치(512)의 곡물 시브(516)에 의해 선별된 곡립을 회수하는 1번 스크류(518)와, 곡물 시브(516)의 후단부로부터 방출되었거나, 혹은 스트로우 랙(517)으로부터 누하된 2번물을 회수하는 2번 스크류(519)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1번 스크류(518)에 의해 회수된 곡립은 곡립 저류부(도시 생략)로 보내지고, 2번 스크류(519)에 의해 회수된 볏짚이나 가지가 달린 곡립 등의 처리물은 환원 장치(520)에 의해 요동 선별 장치(512)의 전방부로 복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탈곡 장치(501)의 후방부에는 장치 내의 진애를 흡인하여 배출하는 배진 팬(521)을 구비하고 있다.
도 26, 도 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급실(505)은 곡물대 공급구(526)측의 벽이 되는 전방벽(522)과, 송진구(527)측의 벽이 되는 후방벽(523)과, 탈곡구(528)측의 벽이 되는 좌측벽(524)과, 이들의 상부를 덮는 위치에 배치되는 천장벽(525)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동시에, 급동(507)의 지지축(506)은 전방벽(522)과 후방벽(523)에 가설되고, 전방벽(522)에는 곡물대 공급구(526)가 형성되고, 후방벽(523)에는 송진구(527)가 형성되고, 좌측벽(524)에는 곡물대 공급구(526)와 송진구(527)에 연결되는 탈곡구(52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좌측벽(524) 중, 탈곡구(528)의 상부 근방의 부분을 포함하는 상부 개소의 좌측벽 부분을 상부 립 플레이트(upper lip plate)(524a)라 칭하고, 탈곡구(528)의 하부 근방의 부분을 포함하는 하부 개소를 하부 립 플레이트(lower lip plate)(524b)라 칭하고, 상부 립 플레이트(524a)의 외면에 대해 끼움 지지 레일(510)이 지지되고, 하부 립 플레이트(524b)의 외벽에 대해 피드 체인(509)이 지지되어 있다.
도 27, 도 28에 도시하는 상기 전방벽(522)의 전방에는 탈곡 장치(501)의 프론트 커버(529)가 설치되어 있다. 전방벽(522)의 전방에 위치하는 급동(507)의 지지축(506)에는 구동 풀리(530)가 배치되어 있고, 이 구동 풀리(530)는 프론트 커버(529)로 덮여 있다.
프론트 커버(529)에는 고무제의 험프(531)가 험프 압박판(532)으로 압박되어, 나사(533)에 의해 고정되어 매달려 있다. 프론트 커버(529)의 상부는, 커버 장착용 브래킷(534)에 고정한 핀(535) 등을 통해, 전방벽(522)에 연속 설치된 커버 지지판(536)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프론트 커버(529)는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험프(531)의 고정부의 하방 부분에 다단으로 제1 절곡 커버 부분(529a), 제2 절곡 커버 부분(529b) 및 수평으로 되는 제3 절곡 커버 부분(529c)을 형성하고 있다. 피드 체인(509)에 의해 끼움 지지 반송되어 온 예취 곡물대가 곡물대 공급구(526)로 반송되어 오면 험프(531)가,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절곡 커버 부분(529a, 529b, 529c)을 따라 절곡되지만, 절곡 단수를 많게 함으로써 인접하는 제1 내지 제3 절곡 커버 부분(529a, 529b, 529c)에 의한 굴곡 각도를 작게 할 수 있어, 험프(531)의 굴곡에 의한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송진구(527)의 후방에 구동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처리 회전체(537)를 구비하고 있다. 이 처리 회전체(537)는, 급실(505)로부터 배출된 탈곡 배출 볏짚에 긁어냄 갈고리(537a)를 작용시켜, 탈곡 배출 볏짚에 박혀 있는 곡립을 긁어낸다.
상기 급실(502)의 후방에는 탈곡된 배출 볏짚을 경사 후방으로 반송하는 배출 볏짚 반송 장치(538)와 배출 볏짚 반송 장치(538)에 의해 반송된 배출 볏짚을 처리하는 배출 볏짚 처리 장치(539)를 구비하고 있다. 배출 볏짚 반송 장치(538)는, 피드 체인(509)으로부터 탈곡 배출 볏짚을 이어받고, 이어받은 탈곡 배출 볏짚을 옆으로 쓰러짐 자세로 이삭 끝측을 탈곡 기체의 피드 체인(509)과는 반대측의 횡벽측에 가까이 대면서 탈곡 기체 후방측으로 반송하고, 탈곡 기체의 후방부에 위치하는 배출 볏짚 반출구(540)로부터 탈곡 기체의 외부로 반출하여 배출 볏짚 처리 장치(539)의 커터 케이스(541) 상에 낙하시킨다.
상기 배출 볏짚 처리 장치(539)는 커터 케이스(541)의 상부에 설치한 배출 볏짚 수납구(542)와, 이 배출 볏짚 수납구(542)를 개폐하는 요동 개폐 가능한 덮개판(543)과, 커터 케이스(541)의 내부에 구동 가능하게 설치한 한 쌍의 회전 커터(544, 544)를 구비하고 있다.
즉, 상기 배출 볏짚 처리 장치(539)는, 덮개판(543)이 상승 개방 조작되면, 배출 볏짚 반송 장치(538)로부터 낙하한 탈곡 배출 볏짚을 배출 볏짚 수납구(542)로부터 커터 케이스(541)의 내부로 낙하시키고, 커터 케이스(541)로 들어간 탈곡 배출 볏짚을 회전하는 한 쌍의 회전 커터(544, 544)에 의해 볏대 방향으로 세단하고, 세단 볏짚을 커터 케이스(541)의 하부로부터 탈곡 기체(501)의 후방으로 낙하시킨다. 덮개판(543)이 폐쇄되면, 배출 볏짚 반송 장치(538)로부터 낙하한 탈곡 배출 볏짚을 덮개판(543) 상에 낙하시켜 긴 볏짚 상태로 덮개판(543)으로부터 커터 케이스(541)의 후방에 낙하시킨다.
도 29는 상기 수망(508)의 전개도이다. 도 26, 도 28, 도 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망(508)은 급실(505)의 전단부측과 후단부측에 설치한 지지 레일(545)에 급동 주위 방향으로 배열하여 지지된 2개의 분할 수망(508a, 508a)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수망(508)의 전방 영역(F)은 2개의 분할 수망(508a, 508a)의 전방부(508af)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수망(508)의 전방 영역(F)보다도 후방측부의 후방 영역(R)은 2개의 분할 수망(508a, 508a)의 후방부(508ar)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각 분할 수망(508a)은 수망(508)의 전후 방향(급동 회전 축심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수평 레일(546)과, 수망(508)의 횡방향(급동 주위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선재(547)와, 분할 수망(508a)의 양 가로 단부에 위치한 수망(508)의 전후 방향의 프레임(548)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각 수평 레일(546)은 급동 주위면을 따른 원호형의 띠판이고, 각 선재(547)는 둥근 막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각 분할 수망(508a)의 선재(547)의 횡방향의 배열 피치는 동일한 배열 피치로 되어 있다. 각 분할 수망(508a)의 수평 레일(546)의 전후 방향의 배열 피치에 대해서는,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전방 영역(F)의 쪽이 후방 영역(R)보다도 대체로 넓은 배열 피치로 설정되어 있다.
상기 각 분할 수망(508a)에는, 도 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방 영역(F)에 있어서의 인접하는 수평 레일(546)의 배열 피치로서, 제1 배열 피치(P1), 제2 배열 피치(P2), 제3 배열 피치(P3), 제4 배열 피치(P4), 제5 배열 피치(P5), 제6 배열 피치(P6)를 구비하고, 후방 영역(R)에 있어서의 인접하는 수평 레일(546)의 배열 피치로서 제7 배열 피치(P7)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내지 제7 배열 피치(P1, P2, P3, P4, P5, P6, P7)의 길이 관계는,「제1 배열 피치(P1)<제7 배열 피치(P7)<제6 배열 피치(P6)<제5 배열 피치(P5)<제4 배열 피치(P4)<제2 배열 피치(P2)<제3 배열 피치(P3)」라고 하는 관계로 되어 있다. 즉, 전방 영역(F)의 제1 배열 피치(P1) 이외는, 후방 영역(R)의 제7 배열 피치(P7)보다도 전방 영역(F)의 제2 내지 제6 배열 피치(P2 내지 P6)의 쪽이 광폭으로 형성되어 있고, 전방 영역(F)의 전단부측 2개의 제1 배열 피치(P1)의 눈금(549) 이외의 제2 내지 제6 배열 피치(P2 내지 P6)의 5열로 배열된 눈금(550)은, 후방 영역(R)에 위치하는 눈금(551)보다도 큰 면적을 가진 큰 눈금으로 되어 있다.
즉, 상기 수망(508)은, 전방 영역(F)의 작은 눈금(549)에 의한 수평 레일(546)의 소(小)배열 피치에 의해 우수한 수망 강도를 전방 영역(F)에 갖고, 이 전방 영역(F)에 있어서 착립량(着粒量)이 많은 상태에 있는 곡물대를 탈곡 처리하여 탈곡립을 큰 눈금(551)에 의해 수망(508)으로부터 신속히 선별부(503)로 낙하시키고, 후방 영역(R)에 있어서 착립량이 적어진 상태의 곡물대를 탈곡 처리하여 전방 영역(F)의 큰 눈금(550)보다도 면적이 작은 눈금(551)에 의해 진애를 수망(508)으로부터 낙하하기 어렵게 하면서 탈곡립을 수망(508)으로부터 선별부(503)에 낙하시킨다.
도 30 내지 도 3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요동 선별 장치(512)는 시브 케이스(552)의 좌우의 측판(552a)에, 채프 시브(515)가 장착되어 있다. 채프 시브(515)의 개방도를 조절하는 구조는 이하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채프 시브(515)는 전후 방향에 대략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고, 다수의 선별판(553)이 소정 간격을 두고 전후로 병렬 배치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선별판(553)은, 조작구(558)에 연결된 중앙의 선별판(553A)과, 이 이외의 전후의 선별판(553B)으로 이루어진다. 중앙의 선별판(553A)은 하단부로 흘러 내려온 선별 처리물을 받아내는 보강을 겸한 절곡부(553a)를 형성한 판재(553b)와, 판재(553b)의 상단부에 고정 설치한 둥근 막대로 이루어지는 지지축(557)과, 판재(553b)의 하단부의 좌우에, 삽입 분리 가능한 지지축을 겸하는 조작축(555)과, 판재(553b)의 좌우에 배치되고, 지지축(557)을 고정하는 동시에 조작축(555)을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판(553c) 및 판재(553b)의 좌우의 단부에 고정한 보강판(553j)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선별판(553A)에 있어서의 절곡부(553a)의 상단부에, 상기 절곡부(553a)에 대하여 전방으로 굴곡하는 상기 절곡부(553a)와는 다른 제2 절곡부(553a-1)를 형성한다. 채프 시브를 완전 폐쇄 상태로 설정했을 때에, 측면에서 볼 때, 후방측의 선별판에 있어서의 제2 절곡부(553a-1)가, 판면에 평행한 전후 방향에 있어서, 전방측의 선별판 중 팽출부(553d)가 형성된 범위내에 위치한다. 보강판(553j)의 좌우의 외측 위치에 있어서의 조작축(555)과 지지축(557)에 걸쳐 보유 지지 링크(553h)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전후의 선별판(553B)은, 하단부로 흘러 내려온 선별 처리물을 받아내는 보강을 겸한 절곡부(553a)를 형성한 판재(553b)와, 판재(553b)의 좌우측 단부에 배치한 U자 형상의 둥근 막대로 형성한 상부의 지지축(557a)과 하부의 지지축(555a)과, 이것을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판(553g)을 구비하고 있다. 지지축(555a, 557a)은 판재(553b)와 보유 지지판(553g) 사이에서 고정되어 있다. 선별판(553B)의 상부 모서리는 대략 전체 폭에 걸쳐 파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하 중간부는 폭 방향 대략 전체 폭의 광폭에 걸쳐 선별판(553B)의 판재(553b)의 판면에 대해 하방(후방)측으로 팽출시킨 보강용 팽출부(553d)를 형성하고 있다. 절곡부(553a)의 상면과, 판재(553b)의 전방면이 오목하게 들어간 팽출부(553d)의 하단부 내면(553e)은, 선별 처리물이 선별판(553B)을 흘려 내려왔을 때에, 선별 처리물을 일단 받아내고, 요동 바람 선별을 받아, 가벼운 껍질이나 줄기와 잎이 바람 선별되므로, 보강재로서의 기능과 선별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중앙의 선별판(553A)에 대해서는, 지지축(557)을 채프 시브 장착 프레임(569)에 형성한 구멍에 삽입 관통하고, 조작축(555)을 보유 지지 링크(553h)와 지지 프레임(554)의 구멍에 삽입 관통함으로써, 선별판(553A), 보유 지지 링크(553h), 지지 프레임(554) 및 채프 시브 장착 프레임(569) 등이 조립 장착된다. 상기 전후의 선별판(553B)에 대해서는, 각 지지축(557a)을 채프 시브 장착 프레임(569)에 형성한 구멍에 삽입 관통하여, 지지축(557a)에 분할 핀(570)을 고정 장착하여 채프 시브 장착 프레임(569)에 대한 빠짐 방지를 실시하고, 지지축(555a)을 지지 프레임(554)의 구멍에 삽입 관통하여, 지지축(555a)에 분할 핀(571)을 고정 장착하여 지지 프레임(554)의 빠짐 방지를 실시함으로써, 선별판(553B), 지지 프레임(554) 및 채프 시브 장착 프레임(569) 등이 조립 장착된다.
도 32 내지 도 3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채프 시브 장착 프레임(569)의 복수 개소에, 구멍(572)을 천공하고, 채프 시브 장착 프레임(569)의 내측의 구멍(572) 주위에 너트(573)를 고정하고 있다. 채프 시브(515)를 좌우 측판(552a, 552a) 사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볼트(575)를 시브 케이스(552)의 측판(552a)에 형성한 구멍(574)에 통과시켜 너트(573)에 나사 결합하여 채프 시브(515)를 시브 케이스(552)에 고정한다.
상기 시브 케이스(552)에 장착된 선별판(553A, 553B)은, 지지 프레임(554)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이것에 연동하여 복수의 선별판(553A, 553B)의 각도가 변경되도록 되어 있다. 즉, 지지 프레임(554)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각 선별판(553A, 553B)의 각도가 완만해져 채프 시브(515)의 개방도가 작아지고, 반대로 지지 프레임(554)을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각 선별판(553A, 553B)의 판면이 하향의 급각도로 되어 채프 시브(515)의 개방도가 커지는 것이다.
상기 중앙의 선별판(553A)은, 채프 시브(515)의 개방도를 변경하는 조작구(558)에 연계되어 있다. 즉, 도 3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구(558)에는 지지축을 겸하는 조작축(555)이 고정되어 있다. 조작축(555)은, 시브 케이스(552)의 좌측판(552a)에 형성된 원호 형상의 긴 구멍(556)을 통해, 지지 프레임(554)의 구멍, 보유 지지 링크(553h)의 구멍 및 보강판(553j)의 구멍으로부터 중앙의 선별판(553A)[보유 지지판(553c)]의 하부에 형성된 구멍(553f)에 삽입 관통되어 있다. 중앙의 선별판(553A)의 상단부의 지지축(557)은, 채프 시브 장착 프레임(569)에 지지되어 있을 뿐이며, 지지축(557)은 조작구(558)에는 장착되어 있지 않고, 좌측판(552a)의 구멍(576)과 동심상에 좌측판(552a)에 지지되어 있다. 즉, 시브 케이스(552)의 좌측판(552a)에, 구멍(576)을 천공하고, 도 32, 도 3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측판(552a)의 내측의 구멍(576) 주위에, 축심을 지지축(557)의 축심(횡축심) a와 일치 또는 대략 일치시킨 상태에서 너트(577)를 고정하고 있다. 조작축(555)을 구멍(553f)에 삽입 관통한 상태에서의 조작축(555)의 축심 c와 지지축(557)의 축심 a 사이의 거리와 동등하거나 또는 대략 동등한 거리만큼 조작축(555)의 축심 c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된 조작구(558)의 상부의 위치에 구멍(578)을 천공하고, 이 구멍(578)에 플랜지가 형성된 링(579)을 끼워 맞춤시키고, 링 구멍(580)을 통해 볼트(581)를 너트(577)에 나사 결합하여 조작구(558)를 장착한다. 조작구(558)의 상부에 형성한 구멍(578)은, 이것에 끼워 맞춤되는 플랜지가 형성된 링(579)의 외경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고, 이에 의해 조작축(555)을 선별판(553A)의 구멍(553f)에 삽입 관통하여 너트(577)에 볼트(581)를 삽입 관통하였을 때의 제작·장착 오차를 허용하도록 되어 있다.
도 3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조작구(558)에는 상부의 구멍(578)의 축심 a의 동심원상에 원주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11개의 구멍(566)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시브 케이스(552)의 좌측판(552a)에는, 조작구(558)를 고정하기 위한 2개의 원형의 구멍(559)이 형성되고, 구멍(559)의 중심과 너트의 중심이 일치하는 상태에서 좌측판(552a)의 내측면에 너트(559a)가 고정되어 있다. 상측의 너트(577)의 중심과 너트(559a)의 중심의 거리가, 조작구(558)의 상부의 구멍(578)의 중심과 하부의 상기 구멍(566)의 중심 사이의 거리와 동등하고, 또한 11개의 구멍(566)에 있어서의 인접하는 구멍(566) 사이의 피치의 5배의 피치간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2개의 너트(559a)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조작구(558)를 고정하는 경우, 조작구(558)가 전방으로 요동된 위치일수록 채프 시브(515)의 개방도가 작아지는 방향으로 설정되고, 반대로 조작구(558)가 후방으로 요동될수록 채프 시브(515)의 개방도가 커지는 방향으로 설정된다. 도 31은 채프 시브의 완전 폐쇄 상태를 도시하고, 도 30은 개방 상태(절반 개방 상태)를 도시한다. 상기 조작구(558)를 고정할 때에는, 11개의 구멍(566) 중, 5 피치(5개의 구멍)를 이격한 2개의 구멍(566)에 위치 결정용 고정 부재로서의 2개의 볼트(560)를 삽입 관통하여, 각 볼트(560)를 좌측벽(552a)에 형성한 구멍(559)에 통과시켜 너트(559a)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조작구(558)가 고정된다.
도 30 내지 도 3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선별부(503)의 좌측벽(563)에는 조작구(558)의 외측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561)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개구(561)가 착탈 가능한 개폐 덮개(562)로 폐색되어 있다. 채프 시브(515)의 개방도를 변경할 때에는, 개폐 덮개(562)를 제거하여 조작구(558)를 요동 조작하여 볼트 고정하는 구멍(559)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채프 시브(515)의 개방도를 변경한다.
또한, 상기 시브 케이스(552)의 좌우의 측판(552a)의 상단부에는, 시브 케이스(552)의 측판(552a)과 선별부(503)의 측판(563) 사이로부터 처리물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제의 험프(567)를 볼트(568)로 고정 장착하고 있다.
도 35의 (a)는 채프 시브(515)를 개방 상태로 하였을 때의 상세한 도면을 도시하는 일부 종단 측면도로, 채프 시브(515)가 개방 상태일 때에는, 선별 처리물이 통과하는 인접하는 전방측의 선별판(553B)의 배면 위치[팽출부(553d)의 이면]와 후방측의 선별판(553B)의 전방면 위치[절곡부(553a)의 전단부 위치]의 거리(처리물 통과폭)(S1)는 비교적 넓게, 또한 채프 시브(515)가 개방 상태일 때에는 선별판(553B)이 비교적 급경사로 상승하고 있으므로, 선별 처리물이 인접하는 선별판(553B, 553B) 사이를 통과하기 쉽다.
도 3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와 대비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36의 참고예는 선별판(553B)의 팽출 방향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구조와 반대이고, 도 36의 것은 선별판(553B)의 상하 중간부에, 폭 방향 광폭에 걸쳐 선별판(553B)의 판재(553b)의 판면에 대해 상방으로 팽출되는 팽출부(553k)를 형성하고 있다. 이 경우, 도 36의 (a)에 도시하는 채프 시브(515)의 개방 상태에서는, 인접하는 전방측의 선별판(553B)의 배면 위치[판재(553b)의 이면]와 후방측의 선별판(553B)의 전방면 위치[절곡부(553a)의 전단부 위치]의 거리(처리물 통과폭)(S1)는 비교적 넓게 확보할 수 있다.
도 36의 참고예의 것에서는, 팽출부(553k)가 전방측으로 팽출되어 있으므로, 하부의 절곡부(553a) 및 중간의 팽출부(553k)를 포함하는 선별판(553B)의 선별면에 직교하는 방향의 두께가 얇아지므로, 도 36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방측의 선별판(553B)의 이면과 후방측의 선별판(553B)의 하부의 절곡부(553a) 사이의 간극이 소정의 최소 간격(S0)으로 되는 완전 폐쇄 상태로 설정하면, 선별판(553B)의 선별면이 크게 도복되어 선별면[판재(553b)의 전방면]이 수평에 가까운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선별판(553B)의 선별면이 수평에 근접하면 탈곡 처리물이 습기가 있는 경우에는 선별 처리물이 낙하하기 어려워져, 선별 불량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는, 도 3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팽출부(553d)를 선별면에 대해 하방(후방)으로 팽출시키고 있으므로, 하부의 절곡부(553a) 및 중간의 팽출부(553d)를 포함하는 선별판(553B)의 선별면에 직교하는 방향의 두께가, 도 36에 도시하는 참고도에 도시하는 것보다도 팽출부(553d)를 하방(후방)으로 팽출시킨 분만큼 두꺼워진다. 이에 의해, 도 35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방측의 선별판(553B)의 이면과 후방측의 선별판(553B)의 하부의 절곡부(553a) 사이의 간극이 소정의 최소 간격(S0)으로 되는 완전 폐쇄 상태로 설정해도, 선별판(553B)의 선별면이 도 36의 (b)와 같이 크게 도복되지 않는다. 이 도 35의 (b)에 도시하는 완전 폐쇄 상태에 있어서, 전방측의 선별판(553B)의 팽출부(553d)의 이면과, 후방측의 선별판(553B)의 하부의 절곡부(553a)의 상단부 모서리가 대향하고 있다.
즉, 도 35의 (b)와 도 36의 (b)에 있어서, 최소 간격(S0)이 동일해질 때까지 선별판(553B)을 경사지게 한 경우, 도 35의 (b)에 도시하는 선별판(553B)의 경사는 도 36의 (b)의 선별판(553B)의 경사 자세에 비해, 판재(553b)의 이면으로부터 팽출부(553d)를 하방(후방)으로 팽출시킨 분만큼 전방의 경사 상태에서 최소 간격(S0)으로 되기 때문에, 도 35에 도시하는 채프 시브(515)는 도 36에 도시하는 선별판(553B)의 선별면의 경사각이 큰 상태에서 채프 시브(515)가 완전 폐쇄 상태로 된다(최소 간격 S0). 따라서, 도 35에 도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는, 채프 시브(515)가 완전 폐쇄 상태로 되어도 선별판(553B)의 선별면의 경사각이 비교적 큰 상태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선별 처리물이 다소 습기가 있어도 선별 처리물을 양호하게 낙하시킬 수 있어, 채프 시브(515)의 전체 범위의 개폐 상태에 있어서 양호한 선별 처리를 행할 수 있다.
[그 외의 실시 형태]
(1) 주된 실시 형태에서는, 하나의 선별판(553)에 대해 팽출부(553d)를 1개소만 설치하였지만, 팽출부(553d)를 상하로 이격시킨 상태에서 2개소 이상 설치해도 좋다. 또한, 하나의 선별판(553)에 대해 팽출부(553d)를 복수 개소 설치한 경우, 모든 팽출부(553d)를 선별판(553)의 이면측으로 팽출시켜도 좋고, 선별판(553)의 판면에 대해 전방측과 후방측의 양방향으로 팽출하도록 설치해도 좋다.
(2) 주된 실시 형태에서는, 선별판(553)의 상하 중간부에, 폭 방향 광폭에 걸쳐 선별판(553)의 판면에 대해 하방(후방)으로 팽출하는 팽출부(553d)를 형성하였지만, 상기 팽출부(553d)를 선별판(553)의 폭 방향 전체 폭에 걸쳐 형성해도 좋다.
(3) 주된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구(558)에 11개의 구멍(566)을 형성하였지만, 도 34에 도시하는 구멍(559)과 너트(559a)를 등간격으로 11개 설치하여, 조작구(558)에 구멍(559)의 피치의 5배의 피치간 거리를 두고 2개의 구멍(566)을 형성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구(558)는 6종류의 각도 변경을 행할 수 있지만, 선별판(553)의 완전 개방으로부터 완전 폐쇄의 범위에서 적절하게 각도 변경할 수 있는 수를 증감시켜도 좋다. 또한, 고정용 볼트(560)를 2개로 하였지만, 1개로 해도 좋다[이 경우, 상기한 예에서는, 11개의 구멍(566 또는 559)은 6개가 됨].
본 발명은, 자탈형 콤바인뿐만 아니라, 보통형 콤바인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전간 투입형의 보통형 콤바인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탈형 콤바인뿐만 아니라, 하베스터나 보통형 콤바인의 탈곡 장치에 적용할 수도 있다.
1 : 세로 반송 장치
3 : 받침부
4 : 곡물 탱크
4f : 곡물 탱크의 천장면부
5 : 오목부
12 : 배출 오거
15 : 세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
16 : 중간 스크류 컨베이어
17 : 가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
17b : 몸통부
17c : 배출구
31 : 엘보부
41 : 엔진
61 : 프리 클리너
63 : 운전 좌석
B : 기체
C : 예취부
D : 운전부
E : 탈곡 장치
P1 : 배출 위치
P2 : 지지 위치
X1 : 종축심
X2 : 횡축심
303 : 운전 좌석
304 : 운전부
306 : 곡립 저류부(곡립 탱크)
307 : 탈곡기
308 : 예취부
319 : 엔진
321 : 엔진 보닛
331 : 에어 클리너
332 : 프리 에어 클리너
334 : 등받이
335 : 제2 흡기로
336 : 제1 흡기로
401 : 탈곡 기체
401a : 전방 측벽
401b : 전방 측벽의 하부
412 : 탈곡 피드 체인
434 : 탈곡기
440 : 전동 케이스
442 : 출력 풀리
443 : 전동 벨트
444 : 급동 구동 풀리
445 : 가이드 풀리
451 : 지지 부재
452 : 보강 부재
454 : 연결 부재
501 : 탈곡 장치
503 : 선별부
505 : 급실
508 : 수망
515 : 채프 시브
552 : 시브 케이스
553 : 선별판
553a : 절곡부
553d : 팽출부
554 : 지지 프레임
a : 횡축심
S0 : 최소 간격

Claims (3)

  1. 탈곡 장치의 급실의 하방에 위치하는 선별부에, 수망으로부터 낙하한 탈곡 처리물을 선별하는 채프 시브를 구비한 시브 케이스를 전후 요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채프 시브를, 복수의 선별판이 소정 피치로 전후로 병렬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선별판이 횡축심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복수의 선별판에 걸쳐 전후로 긴 지지 프레임이 접속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의 전후 이동에 연동하여 복수의 선별판의 각도가 변경되어 상기 채프 시브의 개방도가 설정되도록 구성하고 있는 탈곡 장치에 있어서의 채프 시브 구조에 있어서,
    상기 선별판을, 평탄형 판재의 하부에, 당해 선별판의 판면에 대해 상방으로 굴곡하는 절곡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판재의 상하 중간부에, 폭 방향 전체 폭 또는 폭 방향 광폭에 걸쳐 상기 판재의 판면에 대해 단차형으로 하방측으로 팽출하는 팽출부를 형성하여 구성하고,
    상기 선별판에 있어서의 상기 절곡부의 상단부에, 상기 절곡부에 대하여 전방으로 굴곡하는 상기 절곡부와는 다른 제2 절곡부를 형성하고,
    상기 채프 시브를 인접하는 선별판의 간격이 최소 간격으로 되는 완전 폐쇄 상태로 설정했을 때에, 상기 팽출부의 이면과, 그 후방에 인접하는 선별판의 상기 절곡부의 상단부 모서리가 대향하여, 인접하는 전방측의 상기 팽출부의 이면과 후방측의 상기 절곡부와의 사이에, 상기 최소 간격으로 되는 소정의 간극이 형성되고,
    상기 채프 시브를 상기 완전 폐쇄 상태로 설정했을 때에, 측면에서 볼 때, 후방측의 상기 선별판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절곡부가, 상기 판면에 평행한 전후 방향에 있어서, 전방측의 상기 선별판 중 상기 팽출부가 형성된 범위내에 위치하는 탈곡 장치에 있어서의 채프 시브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팽출부의 저부는 평탄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탈곡 장치에 있어서의 채프 시브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채프 시브를 상기 완전 폐쇄 상태로 설정했을 때에, 전방측의 상기 선별판에 있어서의 상기 팽출부의 저부와, 후방측의 상기 선별판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절곡부가, 대략 평행이 되는 탈곡 장치에 있어서의 채프 시브 구조.
KR1020180003699A 2009-10-22 2018-01-11 콤바인 및 탈곡 장치에 있어서의 채프 시브 구조 KR1019743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43599 2009-10-22
JP2009243600A JP2011087517A (ja) 2009-10-22 2009-10-22 コンバイン
JPJP-P-2009-243600 2009-10-22
JP2009243599A JP5400566B2 (ja) 2009-10-22 2009-10-22 脱穀装置におけるチャフシーブ構造
JP2009244743A JP5438459B2 (ja) 2009-10-23 2009-10-23 コンバイン
JPJP-P-2009-244743 2009-10-23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8845A Division KR101820164B1 (ko) 2009-10-22 2010-09-10 콤바인 및 탈곡 장치에 있어서의 채프 시브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9053A KR20180009053A (ko) 2018-01-25
KR101974302B1 true KR101974302B1 (ko) 2019-04-30

Family

ID=4404905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8845A KR101820164B1 (ko) 2009-10-22 2010-09-10 콤바인 및 탈곡 장치에 있어서의 채프 시브 구조
KR1020180003699A KR101974302B1 (ko) 2009-10-22 2018-01-11 콤바인 및 탈곡 장치에 있어서의 채프 시브 구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8845A KR101820164B1 (ko) 2009-10-22 2010-09-10 콤바인 및 탈곡 장치에 있어서의 채프 시브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18201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13235B2 (ja) * 2020-11-11 2024-01-15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1003A (ja) 2005-08-31 2007-03-15 Iseki & Co Ltd 脱穀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6311Y2 (ja) * 1992-09-25 1998-12-02 株式会社クボタ 脱穀装置の選別構造
JP2654371B2 (ja) 1995-02-17 1997-09-17 株式会社クボタ 脱穀装置
JP3411521B2 (ja) 1999-03-18 2003-06-03 株式会社クボタ 脱穀装置のシーブケース構造
JP2002095331A (ja) 2000-09-22 2002-04-02 Kubota Corp コンバイン
JP3665320B2 (ja) * 2003-06-27 2005-06-29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2008199974A (ja) 2007-02-21 2008-09-04 Kubota Corp コンバイン
JP4971839B2 (ja) * 2007-03-12 2012-07-11 株式会社クボタ 穀粒搬送装置
JP4700666B2 (ja) * 2007-09-27 2011-06-15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1003A (ja) 2005-08-31 2007-03-15 Iseki & Co Ltd 脱穀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4137A (ko) 2011-04-28
KR20180009053A (ko) 2018-01-25
KR101820164B1 (ko) 2018-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2202549B2 (en) Combine header with crop compression rollers
KR101961602B1 (ko) 콤바인
KR101820266B1 (ko) 콤바인
US20120167536A1 (en) Harvesting Machine With A Transport Unit For The Installation And Removal Of A Crop Processing Unit
KR101974302B1 (ko) 콤바인 및 탈곡 장치에 있어서의 채프 시브 구조
JP4988381B2 (ja) コンバイン
JP2013183714A (ja) コンバインの穀粒搬送貯留構造
JP2013009633A (ja) コンバイン
JP5788169B2 (ja) 作業車両
KR101711216B1 (ko) 자탈형 콤바인
CN108925250B (zh) 联合收割机
JP5672477B2 (ja) 汎用コンバイン
JP6016491B2 (ja) 普通型コンバインの脱穀装置
JP2007174999A (ja) 全稈投入形コンバインの排稈処理構造
JP5731793B2 (ja) コンバイン
JP4413187B2 (ja) 脱穀装置の選別構造
JP4257454B2 (ja) コンバイン
JP2022097217A (ja) 収穫機
JP2001161157A (ja) コンバイン
JP4395962B2 (ja) コンバイン
JP4171328B2 (ja) 汎用コンバイン
JPH09172854A (ja) オーガ排出口移動装置
JP2828627B2 (ja) 藺草ハーベスタ
JP5293855B2 (ja) 脱穀機
JP3353587B2 (ja) コンバインのグレンタン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