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9474B1 - 소독가스 무해화 탈취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소독가스 무해화 탈취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9474B1
KR100399474B1 KR10-2000-7005601A KR20007005601A KR100399474B1 KR 100399474 B1 KR100399474 B1 KR 100399474B1 KR 20007005601 A KR20007005601 A KR 20007005601A KR 100399474 B1 KR100399474 B1 KR 100399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disinfection
main pipe
blower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5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2365A (ko
Inventor
기리하라치카오
오노다카노리
노가미마모루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메디에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메디에이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메디에이트
Publication of KR20010032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23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9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94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6Catalytic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6Catalytic processes
    • B01D53/8668Removing organic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B01D53/8603 - B01D53/8665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0Gaseous substances, e.g. vapou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A61L2/28Devices for testing the effectiveness or completeness of sterilisation, e.g. indicators which change colou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 Exhaust Gas Treatment By Means Of Catalyst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Food Preservation Except Freezing, Refrigeration, And Drying (AREA)

Abstract

소독챔버에 대하여, 일단이 소독가스입구, 타단이 처리가스출구로 되는 주관로와, 주관로의 도중에 상기 입구측에 접속된 송풍기와, 송풍기로부터 출구측으로 순차 접속된 예열수단, 산화분해수단 및 냉각수단과, 주관로의 송풍기로부터 냉각수단을 포함하는 부분에 대하여 설치된 바이패스관로를 포함하는 소독가스무해화 탈취장치를 접속하고, 소독장치를 소정시간운전하여 소독하고, 소독행정의 종료 바로 전에, 소독가스무해화 탈취장치를 운전하여, 주관로와, 바이패스관로의 사이를 소정시간 가스를 아이들링순환시키고, 다음에, 소독챔버와 주관로 사이를 순환시켜 무해화처리하고, 다음에, 중화제를 소독챔버에 도입하고, 그 후, 소독약의 경우와 동일하게 처리한다.

Description

소독가스 무해화 탈취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DETOXIFYING AND DEODORIZING STERILIZING GAS}
그러나, 포르말린소독은 많은 이점을 가지고 있지만, 커다란 단점이 있다. 그것은, 포르말린 특유의 강한 자극적인 냄새가 있고, 그것이 잔류가스로서 피소독물에 남긴채로 있으면, 소독업무작업자, 입원환자등에게 포름알데히드가스를 끼얹는 것으로 되고, 건강상 커다란 장해가 있다. 또한, 배기덕트를 통해서 대기로 방출하는 것은, 주변지역의 환경보존을 위협하는 것으로도 되어 커다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고, 소독후, 배기를 행하지않고 소독약냄새가잔류하지않도록, 콤팩트한 설비로 가능한한 소독가스무해화 탈취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소독가스무해화 탈취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현재, 의료시설등에 있어서 소독방법은, 피소독물마다 고압증기멸균기, 가스멸균기, 자외선살균기 등을 사용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포르말린가스 소독기가 약액 코스트도 저렴하고 게다가 살균력이 강해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포르말린가스로부터 생기는 포름알데히드가스의 중화방법으로서, 암모니아가스를 이용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는데, 완전히 중화하는 것은 곤란하다. 이때문에, 완전히 중화시키지않은채, 포름알데히드가스 및 암모니아가스등을 소독기챔버로부터 배기덕트를 통해 외부로 방출하는 것이 실정(예를들면, 일본 특개평 8-57027호 공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계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계통도이다.
도 3은 제습겸냉각기의 종단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를 개발한 것이고, 소독완료후 챔버내에 충만하고 있는 포름알데히드가스등을 외부로 일체 방출하지않고, 소독기 챔버내에 충만하고 있는 포름알데히드가스를 보내어 정화하는 순환식 소독가스 정화장치이다. 그리고, 완전히 포름알데히드가스등을 제거하고나서 챔버내 온도와 습도를 조절한 후에, 피소독물을 취출한다고 하는 획기적인 방법 및 장치이고, 환경보존대책에 크게 기여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다음과 같이 되어있다. 즉, 제 1 구성의 방법은, 소독챔버에 대하여, 일단이 소독가스입구, 타단이 처리가스출구로 되는 주관로와, 이 주관로의 도중에 상기 입구측에 접속된 송풍기와, 이 송풍기로부터 상기 출구측에 순차 접속된 예열수단, 산화분해수단 및 냉각수단을 포함하는 소독가스무해화 탈취장치를 접속하고, 상기 소독장치를 소정시간 운전하여 소독하고, 다음에 상기 소독가스 무해화 탈취장치를 소정시간 운전하여, 소독챔버와의 사이에서 가스를 순환시켜 무해화처리하는 것이다.
제 2 구성의 방법은, 소독챔버에 대하여, 일단이 소독가스입구, 타단이 처리가스출구로 되는 주관로와, 이 주관로의 도중에 상기 입구측에 접속된 송풍기와, 이 송풍기로부터 상기 출구측에 순차 접속된 예열수단, 산화분해수단 및 냉각수단과, 상기 주관로의 송풍기로부터 냉각수단을 포함하는 부분에 대하여 설치된 바이패스관로를 포함하는 소독가스무해화 탈취장치를 접속하고, 상기 소독장치를 소정시간 운전하여 소독하고, 이 소독행정의 종료 바로 전에, 상기 소독가스무해화 탈취장치를 운전하고, 상기 주관로와, 상기 바이패스관로와의 사이를 소정시간 가스를 아이들링순환시키고, 다음에, 소독챔버와 주관로사이를 순환시켜 무해화처리하고, 다음에, 중화제를 소독챔버에 도입하고, 그후, 상기 소독약의 경우와 동일하게 처리하는 것이다.
제 3 구성의 방법은, 소독챔버에 대하여, 일단이 소독가스입구, 타단이 처리가스출구로 되는 주관로와, 이 주관로의 도중에 상기 입구측에 접속된 송풍기와, 이 송풍기로부터 상기 출구측에 순차 접속된 예열수단, 산화분해수단 및 냉각수단과, 상기 주관로의 산화분해수단과 냉각수단의 사이에 설치된 분기관을 포함하는 소독가스무해화 탈취장치를 접속하고, 상기 소독장치를 소정시간 운전하여 소독하고, 이 소독행정이 종료하면, 상기 소독가스무해화 탈취장치를 운전하여, 상기 주관로, 상기 분기관 및 상기 소독챔버의 사이를 소정시간 가스를 아이들링순환시키고, 다음에, 상기 분기관을 닫아서, 소독챔버와 주관로사이를 순환시켜 무해화처리하고, 다음에, 중화제를 소독챔버에 도입하고, 그후, 상기 소독약의 경우와 동일하게 처리를 하는 것이다.
제 4 구성의 장치는, 일단이 소독가스입구, 타단이 처리가스출구로 되는 주관로와, 이 주관로의 도중에 상기 입구측에 접속된 송풍기와, 이 송풍기로부터 상기 출구측에 순차 접속된 예열수단, 산화분해수단 및 냉각수단을 포함하는 것이다.
제 5 구성의 장치는, 일단이 소독가스입구, 타단이 처리가스출구로 되는 주관로와, 이 주관로의 도중에 상기 입구측에 접속된 송풍기와, 이 송풍기로부터 상기 출구측에 순차 접속된 예열수단, 산화분해수단 및 냉각수단과, 상기 주관로의 송풍기로부터 냉각수단을 포함하는 부분에 대하여 설치된 바이패스관로를 포함하는 것이다.
제 6 구성의 장치는, 일단이 소독가스입구, 타단이 처리가스출구로 되는 주관로와, 이 주관로의 도중에 상기 입구측에 접속된 송풍기와, 이 송풍기로부터 상기 출구측에 순차 접속된 예열수단, 산화분해수단 및 냉각수단과, 상기 주관로의 산화분해수단과 냉각수단과의 사이에 설치된 분기관을 포함하고 있다.
제 7 구성의 장치는, 상기의 어느하나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냉각수단은, 처리가스의 입구 및 출구를 가지는 케이스와, 이 케이스내에 수용된 냉각코일과, 이 냉각코일에 접촉되어 상기 출구에 접속되어, 출구측의 처리가스를 유도하도록 된 금속통을 포함하고 있다.
제 8 구성의 장치는, 제 4 구성 또는 제 5 구성 또는 제 6 구성에 더하여, 소독챔버가 상기 처리가스의 입구 및 출구에 접속되어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챔버외로 모든 챔버내 가스 및 챔버내 공기를 보내지않기(보내지않아도 됨)때문에, 배기덕트를 필요로 하지않는다. 고온으로 살균한 경우도, 시스템에 부속하는 냉각장치, 제습장치가 강력하게 작동하여 소독챔버내를 상온가까이 까지 저하시키므로, 안전하게 문을 열 수 있다.
또한, 바이패스관로나 분기관에 의해, 가스를 아이들링순환시키므로, 가스의 온도가 상승하여 안정된 상태로 되기 때문에, 분해되지않은 가스가 냉각수단에 들어가서 결로(結露)에 유해가스가 녹아들어가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포름알데히드가스만 아니고 암모니아가스 그외도 안전, 간단하게 완전무해 무취화될 수 있으므로, 의료기관외에, 여러가지 분야에서도 이용할 수 있는 고성능장치이다. 더욱이, 소독챔버측의 온도를 조절하고, 또한, 제습겸냉각기로 습도를 낮출 수 있으므로, 정밀의료기기로부터 베드, 매트리스, 리넨그외에, 피소독물을 가리지않고 다른 메이커의 소독기에 대응가능하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도시하는 일실시예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소독장치(10)에서 생성된 소독가스를 무해화로 처리하도록, 소독가스무해화 탈취장치(20)가 접속되어있다. 소독장치(10)에 있어서, 소독챔버(11)내에는 약액기화기(12)가 설치되고, 이것에 대하여, 챔버외의 펌프(13) 및 약액탱크(14)가 접속되어있다. 또한, 소독챔버(11)에는 챔버내 가온히터(15)가 설치되고, 챔버내의 가스를 순환시키도록 챔버내 가온송풍기(16)가 덕트(17)의 도중에 설치되어있다.
상기 소독가스무해화 탈취장치(20)는, 일단이 소독가스입구, 타단이 처리가스출구로 되는 주관로(21)와, 이 주관로의 도중에 상기 입구측에 접속된 분해처리 송풍기(23)와, 이 송풍기로부터 상기 출구측에 순차 접속된 예열수단(24), 촉매로 이루어지는 산화분해수단(25) 및 냉각수단인 제습겸냉각기(26)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소독장치(10)에 대하여, 주관로(21)가 흡입밸브(22a), 토출밸브(22b)를 통해서 접속된다. 또한, 상기 주관로(21)의 송풍기(23)로부터 냉각수단(26)을 포함하는 부분에 대하여, 바이패스관로(30)가, 제 1전환밸브(31), 제 2전환밸브(32)를 통해서 접속된다.
그런데 여기서, 상기 제습겸냉각기(26)는, 열교환기(261)와, 냉동유니트(262) 및 배수밸브(263)로 이루어져있다. 더욱이, 도 3, 도 4에 도시하는 것처럼, 상기 열교환기(261)는, 처리가스의 입구 및 출구를 가지는 케이스(261a)와, 이 케이스내에 수용된 냉각코일(261b)과, 이 냉각코일에 접촉되어 상기 출구에 접속되고, 출구측의 처리가스를 도입하도록 한 금속통(261c)으로 되어있다.
이하에 상기 일실시예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① 피소독물을 소독챔버(11)내에 들여보내 문을 닫는다. 흡입밸브(22a)와 토출밸브(22b)를 닫고, 무해화 탈취장치(20)에 챔버내로부터 소독약이 들어가지않도록 하고, 바이패스관로(30)가 즉시 사용될 수 있도록 전환밸브(31,32)는 열어둔다.
② 소독기(10)의 운전을 개시하고, 챔버내 가온용 송풍기(16)와 가온용 히터(15)를 사용하여 챔버내를 60℃까지 상승시키면서,소독약(포르말린농도12~13%, 200cc)을 기화시킨다.
③ 미리 정해져있는 소독시간(90분)의 종료 10분전에, 무해화 탈취장치(20)의 동작을 시작한다(소독 종료시의 포르말린농도는 3000PPM으로, 습도는 40%). 종료 10분전에 제습겸냉각기(26)의 동작을 개시하고, 종료 5분전에 송풍기(23)와 예열기(24)의 동작을 시작하고, 바이패스관로(30)에서 순환시키면서 분해처리의 동작을 안정시킨다(예열기(24)에 의한 가열온도는 230℃).
④ 소독시간이 지나서 소독이 종료하면, 소독챔버내의 분해처리를 개시한다. 즉, 전환밸브(31,32)를 닫고 바이패스관로(30)를 폐쇄하고, 흡입밸브(22a)와 토출밸브(22b)를 열고 소독약을 포함한 공기를 예열기(24)로 가열하고, 촉매로 무해화 탈취한 후에, 제습겸냉각기(26)로 제습을 행하고, 상온(20~35℃)까지 냉각하여, 소독챔버내로 복귀시킨다.
⑤ 소독챔버내의 분해처리를 30분간 행한 후, 챔버내의 분해처리를 정지한다. 챔버내 송풍기(16)로 순환시키고, 그후에 중화제(암모니아농도 12~13%, 100cc)를 기화시킨다. 흡입밸브(22a)와 토출밸브(22b)를 닫고, 전환밸브(31,32)를 열어서 무해화탈취장치(20)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⑥ 중화시간(20분간)의 종료 10분전에, 무해화탈취장치(20)의 동작을 시작한다. 종료 10분전에 제습겸냉각기(26)의 동작을 개시, 종료 5분전에 송풍기(23)와 예열기(24)의 동작을 시작하고, 바이패스관로(30)에서 순환시키면서 분해처리의 동작을 안정시킨다(예열기(24)에서의 가열온도는 260℃).
⑦ 중화시간이 지나서 중화가 종료하면, 소독챔버내의 분해처리를 개시한다. 전환밸브(31,32)를 닫아서 바이패스관로(30)를 폐쇄하고, 흡입밸브(22a)와 토출밸브(22b)를 열어서 중화제를 포함한 공기를 예열기(24)로 가열하고, 촉매로 무해화 탈취한 후, 제습겸냉각기(26)로 제습을 행하고, 상온(20~35℃)까지 냉각하여 챔버내로 복귀시킨다.
⑧ 소독챔버내의 분해처리를 20분간 행한 후, 챔버내의 분해처리를 정지하고, 그 후에, 소독기(10)의 운전을 정지한다(운전종료시의 포르말린농도는, 0.03 PPM이하)(운전종료시의 상대습도는 10%). 그리고, 흡입밸브(22a)와 토출밸브(22b)를 닫고, 전환밸브(31,32)를 열어서 무해화 탈취장치(20)의 동작을 정지한다.
이와같은 운전의 결과, 소독챔버내에 충만하고 있는 살균후의 포름알데히드가스를 모두 소독챔버외로 방출시키지않고, 농도 0.03PPM이하를 실현시킨, 환경오염을 발생시키지않는 획기적 시스템이다(처리시간 30~60분). 제습겸냉각기의 열교환기(261)에서는, 가열된 가스가 냉각코일(261b)에 접하고, 또한, 출구측에서 금속통(261c)의 내측에 접하고, 효율좋게 냉각된다. 특히 금속통(261c)이 냉각코일(261b)에 접하고 있으므로, 냉매의 저온이 잘 전도된다. 이 때문에, 전체로서 콤팩트한 장치가 가능해진다.
도 2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상기 주관로(21)의 산화분해수단(25)과 냉각수단(26)과의 사이에, 제 2토출밸브(42)를 통해서 분기관(41)을 소독챔버(11)에 접속한 것이다. 그외의 부분은 도 1의 것과 동일하다.
다음에 이외의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① 피소독물을 소독챔버(11)내에 넣고 문을 닫는다. 모든 밸브를 닫고 무해화 탈취장치(20)에 소독챔버내로부터 소독약이 들어가지않도록 한다.
② 소독기(10)의 운전을 개시하고, 챔버내 가온용 송풍기(16)와 가온용 히터(15)를 사용하여 챔버내를 60℃까지 상승시킨후, 소독약(포르말린농도12~13%, 200cc)을 기화시킨다.
③ 미리 정해져있는 소독시간(90분)이 지나서 소독이 종료하면, 다음의 5분간, 분기관(41)에 의해 아이들링순환을 행하기 위해서, 무해화 탈취장치(20)의 동작을 시작한다(소독종료시의 포르말린농도는 3000PPM으로, 습도는 40%). 소독종료시에 흡입밸브(22a)와 제 2토출밸브(42)를 열고, 제 3전환밸브(33)를 닫고, 제습겸냉각기(26) 및 송풍기(23)와 예열기(24)의 동작을 시작하고, 소독약을 포함한 공기를 예열기로 230℃까지 가열하고, 촉매로 무해화 탈취한 후에 소독챔버내로 복귀한다.
④ 소독이 종료하고 5분후, 소독챔버내의 분해처리를 개시한다. 제 2토출밸브(42)를 닫고, 제 3전환밸브(33)와 제 1토출밸브(22b)를 열어서 촉매로 무해화 탈취한 후, 소독챔버내로 복귀한 공기를 제습겸냉각기(26)를 통과시켜서 제습을 행하고 상온(20~35℃)까지 냉각하고, 소독챔버(11)내로 복귀시킨다.
⑤ 소독챔버내의 분해처리를 30분간 행한 후, 챔버내의 분해처리를 정지한다. 그후에, 중화제(암모니아농도 12~13%, 100cc)를 기화시킨다. 예열기(24)의 히터를 끊고, 5분후에 제 2토출밸브(42)를 열고, 제 3전환밸브(33)와 제 1토출밸브(22b)를 닫으면서 제습겸냉각기(26)를 정지시킨다(무해화 탈취장치의 동작정지).
⑥ 중화시간이 종료되면, 다음의 5분간, 분기관(41)에 의한 아이들링순환을 행하기 위해서, 무해화 탈취장치(20)의 동작을 시작한다. 중화행정종료시에 흡입밸브(22a)와 제 2토출밸브(42)를 열고, 제 3전환밸브(33)를 닫고 제습겸냉각기(26) 및 송풍기(23)와 예열기(24)의 동작을 시작하고, 중화제, 소독약을 포함한 공기를 예열기로 260℃까지 가열하고, 촉매로 무해화 탈취한 후 소독챔버(11)내로 복귀시킨다.
⑦ 중화시간이 종료하고 5분후, 소독챔버(11)내의 분해처리를 개시한다. 제 2토출밸브(42)를 닫고, 제 3전환밸브(33)와 제 1토출밸브(22b)를 열어서 촉매로 무해화 탈취한 후, 소독챔버내로 복귀한 공기를 제습겸냉각기(26)를 통과시켜서 제습을 행하고 상온(20~35℃)까지 냉각하고, 소독챔버(11)내로 복귀시킨다.
⑧ 소독챔버(11)내의 분해처리를 20분간 행한 후, 챔버내의 분해처리를 정지하고, 그후에, 소독기(10)의 운전을 정지한다(운전종료시의 포르말린농도는, 0.03PPM이하)(운전종료시의 상대습도는 10%). 예열기(24)의 히터를 끊고, 5분후에 제 2토출밸브(42)를 열고, 제 3전환밸브(33)와 제 1토출밸브(22b)를 닫은후 제습겸냉각기(26)를 정지시킨다(무해화 탈취장치의 동작정지).
여기서, 상기 구성의 주요부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예열기는, 촉매로 반응시키기 쉽게하기 위해서 온도를 230~260℃로 올려둔다. 촉매는, 소독가스를 산화분해한다(포르말린의 경우 3000PPM에서 0.03PPM이하로). 제습겸냉각기는, 공기중의 습도를 제거하고(소독챔버내 습도60%에서 5%로), 온도를 상온으로 복귀시킨다. 흡입밸브는 소독챔버내의 가스가 분해처리계통에 들어가지않도록 한다. 토출밸브는, 소독챔버내의 가스가 분해처리계통에 들어가지않도록 한다. 전환밸브는, 소독챔버내의 분해처리를 하든가, 않하든가를 전환한다.
여기서, 시험에 사용된 것의 주요부의 사양은 다음과 같다.
예열기는, 열원은 니크롬선을 사용하고, 전동블로워로 송풍을 행하였다(히터용량5KW, 블로워0.1KW). 촉매는, 벌집모양 구조의 백금·로듐을 사용한다. 제습겸냉각기는, 냉동응축유니트를 사용한 냉동기(냉매프론22)의 열교환기에 가열가스를 통과시켜서 냉각과 제습을 행하였다. 또한, 치수(mm)는 다음과 같다. 케이스 가로500, 세로250, 높이700, 냉매관직경15, 길이15m, 코일직경150, 금속통직경65, 길이600. 흡입밸브는, 2방향밸브(전동), 토출밸브는, 2방향밸브(전동), 전환밸브는 2방향밸브(전동). 또한, 측정방법에 관하여, 포르말린농도는 검지관방식(Gastec), 습도는 습도검출기 RHS-302, SRF-106(Yamatake-Honeywell)로 측정을 행하였다.
또한, 상기 제습겸냉각기(26)의 앞에 공냉식의 냉각기를 설치하면, 냉각에 요하는 전력량이 전체로서 적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의 범위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않고 여러가지의 변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소독가스 무해화 탈취방법 및 장치에 이용된다.

Claims (8)

  1. 소독챔버에 대하여, 일단이 소독가스입구, 타단이 처리가스출구로 되는 주관로와, 이 주관로의 도중에 상기 입구측에 접속된 송풍기와, 이 송풍기로부터 상기 출구측으로 순차 접속된 예열수단, 산화분해수단 및 냉각수단을 포함하는 소독가스무해화 탈취장치를 접속하고,
    상기 소독장치를 소정시간 운전하여 소독하고, 다음에 상기 소독가스 무해화 탈취장치를 소정시간 운전하여, 소독챔버와의 사이에서 가스를 순환시켜 무해화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독가스 무해화 탈취방법.
  2. 소독챔버에 대하여, 일단이 소독가스입구, 타단이 처리가스출구로 되는 주관로와, 이 주관로의 도중에 상기 입구측에 접속된 송풍기와, 이 송풍기로부터 상기 출구측으로 순차 접속된 예열수단, 산화분해수단 및 냉각수단과, 상기 주관로의 송풍기로부터 냉각수단을 포함하는 부분에 대하여 설치된 바이패스관로를 포함하는 소독가스 무해화 탈취장치를 접속하고,
    상기 소독장치를 소정시간 운전하여 소독하고, 이 소독행정의 종료 바로전에, 상기 소독가스 무해화 탈취장치를 운전하여, 상기 주관로와 상기 바이패스관로의 사이를 소정시간 가스를 아이들링순환시키고,
    다음에, 소독챔버와 주관로사이를 순환시켜 무해화처리하고, 다음에 중화제를 소독챔버에 도입하고, 그 후, 상기 소독약의 경우와 동일하게 처리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독가스 무해화 탈취방법.
  3. 소독챔버에 대하여, 일단이 소독가스입구, 타단이 처리가스출구로 되는 주관로와, 이 주관로의 도중에 상기 입구측에 접속된 송풍기와, 이 송풍기로부터 상기 출구측으로 순차 접속된 예열수단, 산화분해수단 및 냉각수단과,
    상기 주관로의 산화분해수단과 냉각수단과의 사이에 설치된 분기관을 포함하는 소독가스 무해화 탈취장치를 접속하고,
    상기 소독장치를 소정시간 운전하여 소독하고, 이 소독행정이 종료하면 상기 소독가스 무해화 탈취장치를 운전하여, 상기 주관로, 상기 분기관 및 상기 소독챔버의 사이를 소정시간, 가스를 아이들링순환시키고,
    다음에, 상기 분기관을 폐쇄하여, 소독챔버와 주관로사이를 순환시켜 무해화처리하고,
    다음에, 중화제를 소독챔버에 도입하고, 그 후, 상기 소독약의 경우와 동일한 처리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독가스무해화 탈취방법.
  4. 일단이 소독가스입구, 타단이 처리가스출구로 되는 주관로와, 이 주관로의 도중에 상기 입구측에 접속된 송풍기와, 이 송풍기로부터 상기 출구측으로 순차 접속된 예열수단, 산화분해수단 및 냉각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독가스 무해화 탈취장치.
  5. 일단이 소독가스입구, 타단이 처리가스출구로 되는 주관로와, 이 주관로의 도중에 상기 입구측에 접속된 송풍기와, 이 송풍기로부터 상기 출구측으로 순차 접속된 예열수단, 산화분해수단 및 냉각수단과,
    상기 주관로의 송풍기로부터 냉각수단을 포함하는 부분에 대하여 설치된 바이패스관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독가스 무해화 탈취장치.
  6. 일단이 소독가스입구, 타단이 처리가스출구로 되는 주관로와, 이 주관로의 도중에 상기 입구측에 접속된 송풍기와, 이 송풍기로부터 상기 출구측으로 순차 접속된 예열수단, 산화분해수단 및 냉각수단과,
    상기 주관로의 산화분해수단과 냉각수단의 사이에 설치된 분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독가스 무해화 탈취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소독가스 무해화 탈취장치로서, 상기 냉각수단은 처리가스의 입구 및 출구를 가지는 케이스와, 이 케이스내에 수용된 냉각코일과, 이 냉각코일에 접촉하여 상기 출구에 접속되고, 출구측의 처리가스를 도입하도록 한 금속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독가스 무해화 탈취장치.
  8. 제 4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소독챔버가 상기 주관로의 소독가스입구 및 처리가스출구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독가스 무해화 탈취장치.
KR10-2000-7005601A 1998-09-25 1999-06-03 소독가스 무해화 탈취방법 및 장치 KR1003994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288721 1998-09-25
JP28872198A JP3558894B2 (ja) 1998-09-25 1998-09-25 ホルマリンガス無害化脱臭方法および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2365A KR20010032365A (ko) 2001-04-16
KR100399474B1 true KR100399474B1 (ko) 2003-09-29

Family

ID=17733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5601A KR100399474B1 (ko) 1998-09-25 1999-06-03 소독가스 무해화 탈취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6599470B1 (ko)
EP (1) EP1064983B1 (ko)
JP (1) JP3558894B2 (ko)
KR (1) KR100399474B1 (ko)
CN (1) CN1146464C (ko)
AT (1) ATE386549T1 (ko)
CA (1) CA2310746C (ko)
CY (1) CY1110374T1 (ko)
DE (1) DE69938175T2 (ko)
DK (1) DK1064983T3 (ko)
ES (1) ES2302378T3 (ko)
PT (1) PT1064983E (ko)
WO (1) WO20000184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90538B2 (ja) * 2000-02-03 2010-06-30 株式会社テクノ菱和 ホルムアルデヒド分解装置、ホルムアルデヒド分解用触媒を備えた空調機、ホルムアルデヒド発生装置と分解装置を備えた燻蒸システム及びホルムアルデヒド発生・分解装置
DE102007001970A1 (de) * 2007-01-13 2008-07-17 Khs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rilisation von Behältern aus Metall
CN101983099A (zh) * 2007-07-12 2011-03-02 许盟来 用于去除气体混合物的味道的设备和方法
JP2010069256A (ja) * 2008-09-22 2010-04-02 Sanyo Electric Co Ltd アイソレータ
CN103690979B (zh) * 2013-12-23 2015-11-04 北京克力爱尔生物实验室工程有限公司 福尔马林中和箱
JP2018110793A (ja) * 2017-01-13 2018-07-19 三浦工業株式会社 低温蒸気ホルムアルデヒド滅菌装置
US11130091B2 (en) * 2019-07-11 2021-09-28 Durr System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solvent recovery from drying process
US11052347B2 (en) * 2018-12-21 2021-07-06 Entegris, Inc. Bulk process gas purification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9455B2 (ja) * 1980-02-29 1985-03-11 株式会社千代田製作所 ホルムアルデヒド消毒装置
JPS59190248U (ja) * 1983-06-06 1984-12-17 株式会社 ほくさん ホルマリン消毒装置
US5120512A (en) * 1986-02-24 1992-06-09 Senichi Masuda Apparatus for sterilizing objects to be sterilized
US5229071A (en) * 1988-08-19 1993-07-20 Meo Iii Dominic Catalytic oxidizer for treating fixed quantities of gases
JPH04161160A (ja) * 1990-10-26 1992-06-04 Mercian Corp ホルマリン燻蒸滅菌装置
JPH04364846A (ja) * 1991-03-30 1992-12-17 Kawaju Bosai Kogyo Kk 無菌ベッド装置
DE4138321C2 (de) * 1991-11-21 1995-05-18 Herco Kuehltechnik Hermanns Un Verfahren und Anlage zur Rückgewinnung eines Sterilisiergases
JP3502111B2 (ja) * 1992-06-08 2004-03-02 荏原実業株式会社 薫蒸装置及びその薫蒸装置を用いたオゾン薫蒸方法
JP2851534B2 (ja) * 1994-08-25 1999-01-27 一丸産業株式会社 消毒乾燥方法
JP3238294B2 (ja) * 1995-01-26 2001-12-10 株式会社大氣社 空調用殺菌・脱臭装置
JPH10127739A (ja) * 1996-10-31 1998-05-19 Tokyu Car Corp 滅菌装置
JPH10290826A (ja) * 1997-04-17 1998-11-04 Zexel Corp オゾン殺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938175T2 (de) 2009-02-26
EP1064983B1 (en) 2008-02-20
JP2000093747A (ja) 2000-04-04
KR20010032365A (ko) 2001-04-16
CN1286645A (zh) 2001-03-07
ES2302378T3 (es) 2008-07-01
JP3558894B2 (ja) 2004-08-25
ATE386549T1 (de) 2008-03-15
US6599470B1 (en) 2003-07-29
EP1064983A1 (en) 2001-01-03
PT1064983E (pt) 2008-05-05
DK1064983T3 (da) 2008-06-16
CN1146464C (zh) 2004-04-21
WO2000018495A1 (fr) 2000-04-06
EP1064983A4 (en) 2004-12-29
DE69938175D1 (de) 2008-04-03
CA2310746A1 (en) 2000-06-04
CA2310746C (en) 2007-05-22
CY1110374T1 (el) 2015-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55637B2 (ja) 蒸気相殺菌を行う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8221679B2 (en) Free radical sterilization system and method
ES2291514T3 (es) Descontaminacion de superficies contaminadas con una sustancia infectada por priones con agentes oxidantes gaseosos.
CA2403824C (en) Control of gaseous sterilization
US8758681B2 (en) Free radical sterilization system and method
Krause et al. Biodecontamination of animal rooms and heat-sensitive equipment with vaporized hydrogen peroxide
WO1991005573A1 (en) Recirculation, vapor and humidity control in a sealable enclosure
JP2007505715A (ja) 領域内の殺菌剤濃度を増加させ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0399474B1 (ko) 소독가스 무해화 탈취방법 및 장치
JP2006116095A (ja) 除染用ガス投入排気システム
USRE49474E1 (en) Free radical sterilization system and method
JP3681538B2 (ja) 滅菌方法、滅菌装置及び無菌試験装置
CN113874113B (zh) 隔离器及其灭菌方法
JPH03111026A (ja) 内視鏡洗浄消毒装置
JP2005312792A (ja) 減圧・常圧併用の消毒方法および消毒装置
JP2851534B2 (ja) 消毒乾燥方法
JP2003339639A (ja) 内視鏡用滅菌装置
JP2004180902A (ja) 殺菌浄化装置及び殺菌浄化方法
JP4405722B2 (ja) 消毒ガス分解除去装置
JP2003093484A (ja) ホルマリンガス無害化脱臭方法および装置
JP2004121326A (ja) ガス消毒方法および装置
CN113701262B (zh) 一种洁净室灭菌系统及灭菌方法
JP2002272827A (ja) 処置室・解剖室等用感染防止システム
CN220256838U (zh) 一种多功能医用设备管路消毒系统
JPH09266944A (ja) 室内自動殺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6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