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9426B1 - 케이블 단부를 안내 레일에 고정하기 위한 케이블 부착 장치를 갖는 견인식 엘리베이터 - Google Patents
케이블 단부를 안내 레일에 고정하기 위한 케이블 부착 장치를 갖는 견인식 엘리베이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399426B1 KR100399426B1 KR10-1999-0038570A KR19990038570A KR100399426B1 KR 100399426 B1 KR100399426 B1 KR 100399426B1 KR 19990038570 A KR19990038570 A KR 19990038570A KR 100399426 B1 KR100399426 B1 KR 10039942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ble
- guide rail
- counterweight
- lift
- suppor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6—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with hoisting rope or cable positively attached to a winding dru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66B7/08—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for connection to the cars or cages, e.g. coup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함 안내 레일(cage guide rail)을 따라 승강로(elevator shaft)를 승강하도록 구성된 승강함과, 평형추 안내 레일(counterweight guide rail)을 따라 승강로를 승강하도록 구성된 평형추와, 승강함과 평형추를 현가하여 접속하도록 구성된 케이블과, 케이블에 동력을 공급하여 승강함과 평형추를 구동하도록 구성된 구동 장치와, 승강함 안내 레일 또는 평형추 안내 레일에 설치되어 케이블의 일단을 고정하도록 구성된 케이블 부착 장치(cable hitch)를 포함한 엘리베이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승객의 승강함을 구동하는 케이블의 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케이블 부착 장치를 갖는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승강함 속도를 케이블 속도의 절반으로 설정하도록 구성된 종래의 2:1 로핑 방식의 견인식 엘리베이터를 일례를 나타낸다. 도 1에서 승강함 활차(cage sheave)(104)는 이 승강함 활차(104)의 둘레에 결쳐있는 케이블(103)에 의해 현가된 승강함(101)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케이블(103)은 모터(도시하지 않음)로 구동되는 구동 활차(107)와 편향 활차(deflector sheave)(108)의 둘레에 걸쳐지고, 평형추(102)의 상부에 설치된 평형추 활차(105)의 둘레에 걸쳐있다.
케이블(103)의 양단부는 2개의 케이블 부착 장치(106)에 의해 기계실(펜트하우스)의 머신 빔(machine beam)(도시하지 않음)에 고정되어 있다.
그러나 구동 활차(107)를 포함한 구동 장치를 갖는 2:1 로핑 방식의 엘리베이터 중에는 모터 등을 기계실(109) 대신에 건물의 승강로(110)의 내부에 배치하는 형식의 것이 있다. 이러한 종류의 엘리베이터에는 기계실(109)이 존재하지 않는다. 그 결과, 케이블 부착 장치(106)를 도 1에 나타낸 엘리베이터와 같이 기계실(109) 내의 머신 빔에 설치할 수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중 하나는 승강로에 적절하게 설치된 케이블 부착 장치를 갖는 신규의 견인식 엘리베이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2:1 로핑 방식의 견인식 엘리베이터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2:1 로핑 방식의 엘리베이터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케이블 부착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케이블 부착 장치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케이블 부착 장치의 측면도.
도 6은 도 5에 나타낸 케이블 부착 장치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케이블 부착 장치의 측면도.
도 8은 도 7에 나타낸 케이블 부착 장치의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케이블 부착 장치의 측면도.
도 10은 도 9에 나타낸 케이블 부착 장치의 X-X선을 따른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의 케이블 부착 장치의 측면도.
도 12는 도 11에 나타낸 케이블 부착 장치의 Y-Y선을 따른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의 케이블 부착 장치의 측면도.
도 14는 도 13에 나타낸 케이블 부착 장치의 Z-Z선을 따른 정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의 케이블 부착 장치의 정면도.
도 16은 도 15에 나타낸 케이블 부착 장치의 측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의 케이블 부착 장치의 정면도.
도 18은 도 17에 나타낸 케이블 부착 장치의 측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의 케이블 부착 장치의 정면도.
상기 및 기타 목적은 승강함 안내 레일을 따라 승강로를 승강하도록 구성된 승강함과, 평형추 안내 레일을 따라 승강로를 승강하도록 구성된 평형추와, 승강함과 평형추를 현가하여 접속하도록 구성된 케이블과, 케이블에 동력을 공급하여 승강함과 평형추를 구동하도록 구성된 구동 장치와, 승강함 안내 레일 및 평형추 안내 레일 중의 하나에 설치되어 케이블의 일단을 상기 승강함 안내 레일 및 평형추 레일 중의 하나에 고정하도록 구성된 케이블 부착 장치를 포함한 신규의 개선된 엘리베이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실시예
아래에 도면, 특히 도 2∼4를 참조하여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2:1 로핑 방식의 엘리베이터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2:1 로핑 방식 엘리베이터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는 건물의 승강로(110)에 설치된 한 쌍의 승강함 안내 레일(5a, 5b)과, 승강함 안내 레일(5a, 5b)을 따라 승강하는 승강함(113)과, 승강함(113)의 하부에 설치된 한 쌍의 승강함 활차(112)와, 한 쌍의 평형추 안내 레일(5c, 5d)을 따라 승강하는 평형추(114)와, 평형추(114)의 상부측에 설치된 평형추 활차(116)를 포함한다.
평형추 활차(116) 및 승강함 활차(112)의 둘레에는 3개의 케이블(2)(도면에는 1개만 표시)이 걸쳐 있으며, 구동 장치(111)로 구동되어 승강함(113)과 평형추(114)를 승강시킨다. 구동 장치(111)는 승강로(110)에 배치되어 있으며, 승강로(110)의 하부에는 댐퍼(11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엘리베이터는 승강로(110)의 케이블(2) 양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한 쌍의 케이블 부착 장치(3)를 포함한다. 하나의 케이블 부착 장치(3)는 승강함 안내 레일(5a)에 설치되고, 다른 하나의 케이블 부착 장치(3)는 평형추 안내 레일(5d)에 설치되어 있다.
도 3은 제1 실시예의 케이블 부착 장치(3)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케이블 부착 장치(3)의 정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블(2)의 단부에 부착된 3개의 섀클 롯(shackle rod)(1)이 케이블 부착 장치(3)에 의해 승강함 안내 레일(5a)의 정상부에 고정되어 있다. 다른 케이블 부착 장치(3)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케이블 부착 장치(3)와 마찬가지 방법으로 평형추 안내 레일(5d)의 정상부에 설치되어, 케이블의 다른 단부를 지지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편의를 위해 승강함 안내 레일(5a) 상에 설치된 케이블 부착 장치(3)만을 설명한다.
케이블 부착 장치(3)는 승강함 안내 레일(5a)의 정상부에 설치된 L형 부재(4)를 포함하고 있다. 부재(4)의 수직 단면은 역 L자 형상을 하고 있다. L형 부재(4)는 수직연장부와 수평연장부로 구성된다.
수직연장부는 승강함 안내 레일(5a)의 배면측에 고정된 베이스부(4a)를 형성하고, 수평연장부는 케이블(2)의 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부(4b)를 형성하고 있다. 지지부(4b)는 반대측 승강함 안내 레일(5b) 쪽으로 연장함으로써, 케이블(2)이 케이블 부착 장치(3)에 지지된 부분이 승강함 안내 레일(5b)측으로부터 오프셋되어 있다.
L형 부재(4)의 베이스(4a)는 6개의 볼트(3개만이 도시됨)에 의해 승강함 안내 레일(5a)의 배면측에 고정되어 있다. 베이스(4a)는 볼트(6) 대신에 용접에 의해 승강함 안내 레일(5a)에 고정하여도 좋다.
L형 부재(4)의 측면에는 보강판(7a, 7b)이 설치되어, 섀클 롯(1)에 대한 지지를 강화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하면, 케이블 부착 장치(3)가 승강함 안내 레일(5a)의 정상부에 설치되어 케이블(2)의 단부를 지지하고 있으므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블 부착 장치(3)를 기계실 내에 설치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2:1 로핑 방식의 엘리베이터에 기계실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승강로(110)의 크기가 기계실이 존재하는 엘리베이터의 승강로의 크기와 같게 취할수 있어서, 건물의 옥상으로부터 돌출하는 기계실용 공간이 필요 없게 되어, 케이블(2)의 단부를 지장 없이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 및 후술하는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함 활차(112)가 승강함(113)의 하부에 부착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류의 엘리베이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상부에 승강함 활차를 갖는 엘리베이터나 2:1 포프 방식의 모든 종류의 엘리베이터에 적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케이블 부착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낸 케이블 부착 장치의 정면도이다.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의 구성의 일부를 변경한 것이다. 하기에는 도 2∼4에 나타낸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부분과 상이한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제2 실시예에서는 지지부(4b)는 승강함 안내 레일(5a)를 통과시킬 수 있는 절삭부(4c)를 갖는다. 승강함 안내 레일(5a)은 절삭부(4c)를 통과하여, L형 부재(4)는 L형 부재(4)가 승강함(113) 또는 평형추(114)의 평상 이동과 접촉(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승강함 안내 레일(5a)의 정상부로부터 떨어져서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직 단면이 역 L자 형상이 되도록 L형 부재(4)를 승강함 안내 레일(5a)에 설치하고 있지만, 수직 단면의 형성이 역 L자 형상이 되지 않도록 L형 부재(4)를 승강함 안내 레일(5a)에 설치할 수도 있다.
제2 실시예에 의하면 절삭부(4c)가 지지부(4b)에 설치되어 승강함 안내 레일(5a)을 통과시킬 수 있게 하고 있으므로, L형 부재(4)가 승강함(113) 또는 평형추(114)와 접촉(간섭)하지 않은 한, L형 부재(4)를 승강함 안내 레일(5a)의 정상부뿐 아니라 승강함 안내 레일(5a)의 정상부 아래에 설치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케이블 부착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낸 케이블 부착 장치의 정면도이다. 제3 실시예는 제1 실시예의 케이블 부착 장치(3)를 변경한 것이다. 이후에는 도 2∼4에 나타낸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부분과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함 안내 레일(5a)의 정상부 아래에는 케이블 부착 장치(10)에 의해 케이블(2)의 단부에 부착된 섀클 롯(1)이 고정되어 있다. 케이블 부착 장치(10)는 승강함 안내 레일(5a)의 상부에 설치할 수도 있어서, 승강함 안내 레일(5a)의 정상부의 케이블(2)의 단부를 지지한다.
케이블 부착 장치(10)는 수평 단면이 U형이 되도록 승강함 안내 레일(5a)의 중간에 설치한 U형 부재(31)를 포함한다. U형 부재(31)는 승강함 안내 레일(5a)의 배면에 고정한 베이스(31a)와, 베이스(31a)의 양쪽 단부로부터 수평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지지 암(31b)으로 구성되어 있다.
승강함 안내 레일(5a)의 배면측에는 6개의 볼트(6)(3개만 도시함)에 의해 U형 부재(31)의 베이스(31a)가 고정되어 있다. 베이스(31a)는 볼트(6) 대신에 용접에 의해 승강함 안내 레일(5a)에 고정할 수도 있다.
지지 암(31b)의 상부측에는 지지판(32)이 교가(橋架)하여 설치되어, 섀클 롯(1)을 지지하고 있다. 베이스(31a)와 지지판(32) 사이에는 승강함 안내 레일(5a)을 통과시킬 수 있는 허용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제3 실시예에 의하면, 승강함 안내 레일(5a)에 케이블 부착 장치(10)가 설치되어 케이블(2)의 단부를 지지하므로,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계실 내에 케이블 부착 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케이블 부착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케이블 부착 장치의 정면도이다. 제4 실시예는 제1 실시예에 일부 부분을 추가한 것이다. 따라서 도 2∼도 4와 다른 부분만을 설명한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나의 케이블 부착 장치(11)는 승강함 안내 레일(5a, 5b)의 각 정상부에 설치된 한 쌍의 L형 부재(4)로 구성되어, 케이블(2)의 일 단부를 지지하고 있다. 다른 케이블 부착 장치(11)도 평형추 안내 레일(5c, 5d)의 각 정상부에 설치된 한 쌍의 L형 부재(4)로 구성되어, 케이블(2)의 다른 단부를 지지하고 있다. 승강함 안내 레일(5a, 5b)의 정상부에는 케이블(2)의 단부에 부착된 섀클 롯(1)이 케이블 부착 장치(11)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편의상 승강함 안내 레일(5a, 5b)에 설치된 케이블 부착 장치(11)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승강함 안내 레일(5a, 5b)에는 그 수직 단면이 역 L자 형상이 되도록 한 쌍의 L형 부재(4)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L형 부재(4)는 볼트(6)에 의해 승강함 안내 레일에 고정하지만, 볼트(6) 대신에 용접에 의해 승강함 안내 레일(5a, 5b)에 고정할 수도 있다.
L형 부재(4)의 각 지지부(4b)에는 지지판(42)의 양단이 고정되어 있다. 지지판(42)은 볼트(47) 및 앵글 브래킷(angle brackets)(46a, 46b)에 의해 지지부(4b)에 고정된다. 지지판(42)은 볼트(47) 및 앵글 브래킷(46a, 46b) 대신에 용접에 의해 지지부(4b)에 고정할 수도 있다.
지지판(42)에는 케이블(2)의 단부를 지지하는 섀클 롯(1)이 고정되고, 케이블(2)의 설치 위치는 승강함 안내 레일(5a, 5b)로부터 오프셋되어 있다. 지지판(42) 대신에 L형 단면이나 C형 단면을 갖는 판 등의 비교적 굴곡 강도가 강한 판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제4 실시예에 의하면 한 쌍의 L형 부재(4)가 각각 승강함 안내 레일(5a, 5b)에 설치되고, 지지판(42)의 양단이 L형 부재(4)의 각 지지부(4b)에 고정되어 케이블(2)을 지지하므로, 지지판(42)은 케이블(2)의 설치 위치가 승강함 안내 레일(5a, 5b)로부터 오프셋됨으로써 발생하는 굴곡 모멘트를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지판(42)의 내하중이 도 3에 나타낸 케이블 부착 장치(3) 등의 외팔보(cantilever) 구조보다 크므로, 승강함 안내 레일(5a, 5b)과 케이블(2)의 설치 위치 사이의 거리를 크게 취할 수 있다. 그 결과 케이블(2)의 설치 위치를 더욱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L형 부재 대신에 도 7에 나타낸 U형 부재(31)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의 케이블 부착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나타낸 케이블 부착 장치의 정면도이다. 제5 실시예는 제2 실시예에 일부 부분을 추가한 것이다. 도 5 및 도 6의 제2 실시예에서 설명한 부분과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나의 케이블 부착 장치(12)는 승강함 안내 레일(5a, 5b)의 각 상부로부터 떨어져서 설치된 한 쌍의 L형 부재(4)로 구성된다. 각 L형 부재(4)는 같은 높이에 위치하며, 승강함 안내 레일(5a, 5b)을 통과시키는 절삭부(4c)를 갖는다. 다른 케이블 부착 장치(12)도 평형추 안내 레일(5c, 5d)의 각 상부로부터 떨어져서 설치된 한 쌍의 L형 부재(4)로 구성된다. 각 L형 부재(4)는 같은 높이에 위치하며, 평형추 안내 레일(5c, 5d)을 통과시키는 절삭부(4c)를 갖는다. 승강함 안내 레일(5a, 5b)의 중간에는 케이블 부착 장치(12)에 의해 케이블(2)의 단부에 부착된 3개의 섀클 롯(1)(2개만 도시)이 고정되어 있다. 평형추 안내 레일(5c, 5d)의 중간에 설치된 케이블 부착 장치(12)는 같은 방법으로 지지되어, 케이블(2)의 다른 단부를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편의상 승강함 안내 레일(5a, 5b)에 설치된 케이블 부착 장치(12)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각 승강함 안내 레일(5a, 5b)에는 수직 단면이 역 L자 형상이 되도록 한 쌍의 L형 부재(4)가 설치되어, 볼트(6)에 의해 승강함 안내 레일(5a, 5b)에 고정되어 있다. L형 부재(4)는 볼트(6) 대신에 용접에 의해 승강함 안내 레일(5a, 5b)에 고정할 수도 있다. 또한 L형 부재(4)는 수직 단면이 역 L자 형상이 되지 않도록 승강함 안내 레일(5a, 5b)에 설치할 수도 있다.
L형 부재(4)의 각 지지부(4b)에는 볼트(47) 및 앵글 브래킷(46a, 46b)에 의해 지지판(42)의 양단이 고정되어 있다. 지지판(42)은 볼트(47) 및 앵글(46a, 46b) 대신에 용접에 의해 지지부(4b)에 고정할 수도 있다.
지지판(42)에는 케이블(2)의 단부를 지지하는 섀클 롯(1)이 고정되고, 케이블(2)의 설치 위치는 승강함 안내 레일(5a, 5b)로부터 오프셋되어 있다. 지지판(42) 대신에 L형 단면이나 C형 단면 등의 비교적 굴곡 강도가 강한 판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제5 실시예에 의하면 한 쌍의 L형 부재(4)가 각각 승강함 안내 레일(5a, 5b)에 설치되고, 지지판(42)의 양단이 L형 부재(4)의 각 지지부(4b)에 고정되어 케이블(2)을 지지하므로, 지지판(42)은 케이블(2)의 설치 위치가 승강함 안내 레일(5a, 5b)로부터 오프셋됨으로써 발생하는 굴곡 모멘트를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지판(42)의 내하중이 도 3에 나타낸 케이블 부착 장치(3) 등의 외팔보 구조보다 크므로, 승강함 안내 레일(5a, 5b)과 케이블(2)의 설치 위치 사이의 거리를 크게 취할 수 있다. 그 결과 케이블(2)의 설치 위치를 더욱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L형 부재(4)는 승강함 안내 레일(5a, 5b)의 정상부 아래에 설치되므로, L형 부재(4)가 승강함(113) 및 평형추(114)와 접촉(간섭)하지 않은 한, 케이블(2)의 수직 설치 위치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의 케이블 부착 장치(13)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나타낸 케이블 부착 장치(13)의 정면도이다.
도 13,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11의 제5 실시예의 L형 부재(4) 대신에 도 7에 나타낸 U형 부재(31)를 사용할 수도 있다. 기타 부분은 제5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6 실시예도 제5 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의 케이블 부착 장치(14)의 정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나타낸 케이블 부착 장치(14)의 측면도이다. 제7 실시예는 제1 실시예의 일부분을 변형한 것이다. 이후에는 도 2∼도 4에 나타낸 제1 실시예의 경우와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15,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블 부착 장치(14)는 수직 단면이 C자 형상이 되도록 승강함 안내 레일(5a)의 배면측에 설치된 C형 부재(71)로 구성되어 있다. C형 부재(71)는 수직연장부와 한 쌍의 수평으로 연장하는 부분을 갖는다.
수직연장부는 승강함 안내 레일(5a)의 배면측에 고정되는 베이스(71a)를 형성하고, 수평연장부의 상부측은 케이블(2)의 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부(71b)를 형성한다.
C형 부재(71)의 베이스(71a)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6개의 볼트(73)에 의해 승강함 안내 레일(5a)의 폭보다 넓게 승강함 안내 레일(5a)의 배면측에 고정되어 있다. 베이스(71a)는 볼트(73) 대신에 용접에 의해 승강함 안내 레일(5a)의 배면측에 용접할 수도 있다.
C형 부재(71)의 지지부(71b)에는 지지판(74)이 고정되어, 케이블(2)의 단부에 부착된 섀클 롯(1)을 지지하고 있다. 지지판(74)은 볼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지지부(71b)에 고정된다. 지지판(74)은 용접에 의해 지지부(71b)에 고정할 수도 있다.
C형 부재(71)에는 한 쌍의 삼각형상의 보강판(72a, 72b)이 용접됨으로써, 지지판(74)을 보강하고 있다.
또한 승강함 안내 레일(5a)의 C형 부재(71) 부착 위치에는 보조판(75)의 일 단부가 고정되어, 볼트(73)에 의해 일체적으로 C형 부재(71)에 고정되어 있다. 보조판(75)의 다른 단부는 앵커 볼트(76)에 의해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함 안내 레일(5a)의 반대측에 위치한 승강로(110)의 벽(117)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보조판(75)의 나머지 단부는 승강함 안내 레일(5a)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건물의 스틸 프레임 등의 승강로(110)의 고정 소자에 고정될 수도 있다. 보조판(75)은 볼트(73) 대신에 용접에 의해 C형 부재(71)에 용접할 수도 있다.
제7 실시예에 의하면 케이블 부착 장치(14)가 승강함 안내 레일(5a)의 정상부 또는 중간에 설치되어 케이블(2)의 단부를 지지하고 있으므로, 케이블 부착 장치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계실 내에 설치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2:1 로핑 방식의 엘리베이터에 기계실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승강로의 크기를 기계실이 존재하는 엘리베이터의 승강로의 크기와 같게 취할 수 있어서, 건물의 옥상으로부터 돌출하는 기계실용 공간이 필요 없게 되어, 케이블(2)의 단부를 지장 없이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조판(75)에 의해 지지되고 일 단부가 벽(117)에 고정된 C형 부재(71)를 설치하면, 안정성과 C형 부재(71)에 작용하는 모멘트에 대한 강도가 증가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의 케이블 부착 장치(15)의 정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나타낸 케이블 부착 장치(15)의 측면도이다. 제8 실시예는 제6 실시예의 일부분을 변형한 것으로서, 한 쌍의 승강함 안내 레일(5a, 5b) 중의 하나와 한 쌍의 평형추 안내 레일(5c, 5d) 중의 하나의 배면측들이 서로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한다. 이후에는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낸 제7 실시예의 경우와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블 부착 장치(15)는 볼트(73)에 의해 승강함 안내 레일(5a, 5b)의 배면측에 일 단부가 고정되고, 평형추 안내 레일(5c, 5d)의 배면측에 다른 단부가 고정되어 각각 동일 높이에 위치한 C형 부재(81)로 구성되어 있다. C형 부재(81)는 볼트(73) 대신에 용접에 의해 승강함 안내 레일(5a) 또는 평형추 안내 레일(5c)에 고정할 수도 있다.
C형 부재(81)는 수직연장부와 한 쌍의 수평연장부로 구성된다. 수직연장부는 승강함 안내 레일(5a)과 평형추 안내 레일(5c)의 배면들측에 고정되는 베이스(81a)를 형성하고, 수평연장부의 상부측은 케이블(2)의 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부(81b)를 형성한다.
C형 부재(81)의 지지부(81b)에는 지지판(74)이 고정되어, 케이블(2)의 단부에 부착된 섀클 롯(1)을 지지한다. 지지판(74)은 볼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지지부(81b)에 고정되어 있다. 지지판(74)은 볼트 대신에 용접에 의해 지지부(81b)에 고정할 수도 있다.
C형 부재(81)에는 삼각형상의 판으로 구성된 한 쌍의 보강판(82a, 82b)이 용접됨으로써, 지지판(74)을 보강하고 있다.
제8 실시예에 의하면 C형 부재(81)의 일 단부가 승강함 안내 레일(5a, 5b)의 배면측에 고정되고, 그 반대측 단부가 평형추 안내 레일(5c, 5d)의 배면측에 고정되고 케이블(2)을 지지하므로, 지지판(74)은 케이블(2)의 설치 위치가 승강함 안내 레일(5a, 5b)로부터 오프셋됨으로써 발생하는 굴곡 모멘트를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 부착 장치(15)의 내하중이 도 15에 나타낸 케이블 부착 장치(14) 등의 외팔보 구조보다 크므로, 승강함 안내 레일(5a, 5b)과 케이블(2)의 설치 위치 사이의 거리를 크게 취할 수 있다. 그 결과 케이블(2)의 설치 위치를 더욱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케이블 부착 장치(15)는 도 15에 나타낸 한 쌍의 C형 부재(71)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 C형 부재(71)는 각각 승강함 안내 레일(5a)과 평형추 안내 레일(5c)에 같은 높이로 설치되고, C형 부재(71)의 각 지지부(71b)에는 지지판(74)의 양 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의 케이블 부착 장치의 정면도이다. 제9 실시예는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제4 실시예에 일부 부분을 추가한 것이다. 이후에는 제4 실시예의 경우와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95)이 지지판(42) 위에서 부착 장치 스프링(92)에 의해 지지되어 승강하고, 판(95)에는 섀클 롯(1)이 부착 장치 스프링(91)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지지판(42)의 중앙에는 스위치(94)가 부착되고, 스위치(94)와 대면하고 있는 위치에는 핀(93)이 배치되어 있다.
승강함(113)의 하중이 증가하면, 부착 장치 스프링(91)은 부착 장치 스프링(91)의 반력에 의해 압축됨으로써, 핀(93)이 하방으로 이동하여 스위치(94)를 작동시킨다. 이렇게 해서 승강함(113)의 하중을 검출할 수 있다.
핀(93)은 판(95)의 내부에 나사 체결되어 핀(93)의 돌출 길이가 조절된다. 따라서 핀(93)은 승강함(113)의 하중이 승강함(113)의 정격 하중을 초과할 경우에 스위치(94)가 작동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제9 실시예에 의하면, 승강함(113)의 하중을 부착 장치 스프링(92)의 변형에 의해 검출할 수 있다. 또한 검출될 하중은 스위치(94)와 핀(93) 사이의 거리를 조정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주지를 바탕으로 한 여러 가지 변형이나 변경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첨부한 청구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이외의 것도 실시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케이블 부착 장치에 의해 케이블의 단부를 안내 레일에 고정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엘리베이터와 같이 기계실에 케이블 부착 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기계실이 존재하지 않은 2:1 로핑 방식의 견인식 엘리베이터에서도 케이블 단부의 고정을 지장 없이 수행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2)
- 승강함 안내 레일을 따라 승강로내에서 승강하도록 구성된 승강함과;평형추 안내 레일을 따라 상기 승강로내에서 승강하도록 구성된 평형추와;상기 승강함과 상기 평형추를 현가하여 접속하도록 구성된 케이블과;상기 케이블에 동력을 공급하여 상기 승강함과 상기 평형추를 구동하도록 구성된 구동 장치와;상기 승강함 안내 레일 및 상기 평형추 안내 레일 중의 하나의 정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블의 일단부를 고정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부착 장치를 구비하고,상기 케이블 부착 장치는 상기 승강함 안내 레일 및 상기 평형추 안내 레일 중의 상기 하나의 배면측에 고정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케이블의 상기 단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지지부를 구비하고, 역 L자 형상의 수직 단면을 가지며, 상기 베이스로서 기능하는 수직 연장부와 상기 지지부로서 기능하는 수평 연장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 삭제
- 삭제
- 승강함 안내 레일을 따라 승강로내에서 승강하도록 구성된 승강함과;평형추 안내 레일을 따라 상기 승강로내에서 승강하도록 구성된 평형추와;상기 승강함과 상기 평형추를 현가하여 접속하도록 구성된 케이블과;상기 케이블에 동력을 공급하여 상기 승강함과 상기 평형추를 구동하도록 구성된 구동 장치와;상기 승강함 안내 레일 및 상기 평형추 안내 레일 중의 하나의 정상부로부터 떨어져서 설치되어 상기 케이블의 일단부를 고정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부착 장치를 구비하고,상기 케이블 부착 장치는 상기 승강함 안내 레일 및 상기 평형추 안내 레일 중의 상기 하나의 배면측에 고정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케이블의 상기 단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지지부를 구비하고, 역 L자 형상 및 역 L자 형상이 아닌 것 중 하나의 수직 단면을 갖고, 상기 승강함 안내 레일 및 상기 평형추 안내 레일 중의 상기 하나를 통과시킬 수 있는 절삭부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로서 기능하는 수직 연장부와 상기 지지부로서 기능하는 수평 연장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 승강함 안내 레일을 따라 승강로내에서 승강하도록 구성된 승강함과;평형추 안내 레일을 따라 상기 승강로내에서 승강하도록 구성된 평형추와;상기 승강함과 상기 평형추를 현가하여 접속하도록 구성된 케이블과;상기 케이블에 동력을 공급하여 상기 승강함과 상기 평형추를 구동하도록 구성된 구동 장치와;상기 승강함 안내 레일 및 상기 평형추 안내 레일 중의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블의 일단부를 고정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부착 장치를 구비하고,상기 케이블 부착 장치는 U형 수평 단면을 가지며, 상기 승강함 안내 레일 및 상기 평형추 안내 레일 중의 상기 하나의 배면측에 고정된 베이스와, 상기 케이블의 상기 단부를 지지하고 상기 베이스의 양측 연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지지 암과, 상기 케이블의 상기 단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상기 지지암에 설치된 지지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 승강함 안내 레일을 따라 승강로내에서 승강하도록 구성된 승강함과;평형추 안내 레일을 따라 상기 승강로내에서 승강하도록 구성된 평형추와;상기 승강함과 상기 평형추를 현가하여 접속하도록 구성된 케이블과;상기 케이블에 동력을 공급하여 상기 승강함과 상기 평형추를 구동하도록 구성된 구동 장치와;상기 승강함 안내 레일 및 상기 평형추 안내 레일 중의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블의 일단부를 고정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부착 장치를 구비하고,상기 케이블 부착 장치는, 상기 승강함 안내 레일 및 상기 평형추 안내 레일 중의 상기 하나의 배면측에 고정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케이블의 상기 단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지지부를 각각 갖고, 한 쌍의 상기 승강함 안내 레일의 같은 높이에 설치된 한 쌍의 L형 부재와; 상기 L형 부재의 상기 지지부의 양쪽에 고정되어 상기 케이블의 상기 단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지지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 삭제
- 승강함 안내 레일을 따라 승강로내에서 승강하도록 구성된 승강함과;평형추 안내 레일을 따라 상기 승강로내에서 승강하도록 구성된 평형추와;상기 승강함과 상기 평형추를 현가하여 접속하도록 구성된 케이블과;상기 케이블에 동력을 공급하여 상기 승강함과 상기 평형추를 구동하도록 구성된 구동 장치와;상기 승강함 안내 레일 및 상기 평형추 안내 레일 중의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블의 일단부를 고정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부착 장치와,상기 케이블 부착 장치가 부착된 상기 승강함 안내 레일 및 상기 평형추 안내 레일 중의 상기 하나의 부분에 일 단부가 고정되며, 상기 승강함 안내 레일 및 상기 평형추 안내 레일 중의 상기 하나로부터 상기 케이블 부착 장치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상기 승강로의 벽 및 상기 승강로의 고정 부재 중의 하나에 다른 단부가 고정되도록 구성된 보조판을 구비하고,상기 케이블 부착 장치는 상기 승강함 안내 레일 및 상기 평형추 안내 레일 중의 상기 하나의 배면측에 고정되어 수평으로 연장하도록 구성된 베이스와; 상기 케이블의 상기 단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지지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 제8항에 있어서,상기 케이블 부착 장치는 C형 수직 단면, 상기 베이스로서 기능하는 수직 연장부 및 상기 케이블의 상기 단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수평 연장하는 지지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 승강함 안내 레일을 따라 승강로내에서 승강하도록 구성된 승강함과;평형추 안내 레일을 따라 상기 승강로내에서 승강하도록 구성된 평형추와;상기 승강함과 상기 평형추를 현가하여 접속하도록 구성된 케이블과;상기 케이블에 동력을 공급하여 상기 승강함과 상기 평형추를 구동하도록 구성된 구동 장치와;상기 승강함 안내 레일 및 상기 평형추 안내 레일 중의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블의 일단부를 고정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부착 장치를 구비하고,상기 케이블 부착 장치는 상기 승강함 안내 레일 및 상기 평형추 안내 레일 중의 상기 하나의 배면측에 고정되어 수평으로 연장하도록 구성된 베이스와; 상기 케이블의 상기 단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에서 상기 한 쌍의 승강함 안내 레일 중의 하나 및 상기 한 쌍의 평형추 안내 레일 중의 하나의 배면측에 동일 평면이 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 승강함 안내 레일을 따라 승강로내에서 승강하도록 구성된 승강함과;평형추 안내 레일을 따라 상기 승강로내에서 승강하도록 구성된 평형추와;상기 승강함과 상기 평형추를 현가하여 접속하도록 구성된 케이블과;상기 케이블에 동력을 공급하여 상기 승강함과 상기 평형추를 구동하도록 구성된 구동 장치와;상기 승강함 안내 레일 및 상기 평형추 안내 레일 중의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블의 일단부를 고정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부착 장치를 구비하고,상기 케이블 부착 장치는, 상기 승강함 안내 레일 및 상기 평형추 안내 레일 중의 상기 하나의 배면측에 고정되어 수평으로 연장하도록 구성된 베이스와 상기 케이블의 상기 단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지지부를 갖고, 상기 한 쌍의 승강함 안내 레일 중의 하나 및 상기 한 쌍의 평형추 안내 레일 중의 하나의 배면측에 같은 높이로 동일 평면이 되게 부착되는 C형 부재와; 상기 C형 부재의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블의 일 단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지지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 제1항, 제4항 내지 제6항,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 부착 장치 사이에 배치된 탄성 부재와;상기 탄성 부재의 변형에 의하여 상기 승강함의 하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하중 검출기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10260498A JP2000086114A (ja) | 1998-09-14 | 1998-09-14 | エレベータ装置 |
JP98-260498 | 1998-09-14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23059A KR20000023059A (ko) | 2000-04-25 |
KR100399426B1 true KR100399426B1 (ko) | 2003-09-29 |
Family
ID=17348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9-0038570A KR100399426B1 (ko) | 1998-09-14 | 1999-09-10 | 케이블 단부를 안내 레일에 고정하기 위한 케이블 부착 장치를 갖는 견인식 엘리베이터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6234276B1 (ko) |
EP (1) | EP0987212B1 (ko) |
JP (1) | JP2000086114A (ko) |
KR (1) | KR100399426B1 (ko) |
CN (1) | CN1117023C (ko) |
DE (1) | DE69922113T2 (ko) |
MY (1) | MY122180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2145851B1 (en) * | 1998-03-23 | 2015-09-09 |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 Rope supporting apparatus for an elevator |
FI981887A (fi) * | 1998-09-04 | 2000-03-05 | Kone Corp | Hissijärjestely hissikoneiston moottorin lähtömomentin asettamiseksi |
US7150342B2 (en) * | 2000-02-03 | 2006-12-19 | Otis Elevator Company | Elevator structure mounting system having horizontal member for reducing building loads at top of hoistway |
JPWO2003018458A1 (ja) * | 2001-08-23 | 2004-12-09 | 三菱電機株式会社 | 調速機及びエレベータ装置 |
JP4102760B2 (ja) | 2002-02-28 | 2008-06-18 |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 測定装置 |
JP4229633B2 (ja) * | 2002-04-26 | 2009-02-25 |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 マシンルームレスエレベータ |
JP4416381B2 (ja) * | 2002-06-14 | 2010-02-17 |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 マシンルームレスエレベータ |
KR100978170B1 (ko) * | 2003-01-31 | 2010-08-25 |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 엘리베이터 기계, 도르래, 및 종결부를 위한 일체화된지지체 |
NL1022815C2 (nl) * | 2003-03-01 | 2004-09-06 | Adrianus Cornelis J Swanenberg | Systeem voor het ophangen, geleiden en transporteren van lastdragende kabels. |
BR0318355B1 (pt) * | 2003-06-20 | 2012-07-24 | elevador. | |
JP4351211B2 (ja) * | 2003-08-06 | 2009-10-28 |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 緩衝懸架装置 |
EP1510493A1 (de) * | 2003-08-12 | 2005-03-02 | Inventio Ag | Aufzugsanlage mit belastungsabhängigem Tragmittelfixpunkt |
EP1508545B1 (de) * | 2003-08-12 | 2015-12-23 | Inventio AG | Aufzugsanlage mit belastungsabhängigem Tragmittelfixpunkt |
US7793763B2 (en) * | 2003-11-14 | 2010-09-14 | University Of Maryland, Baltimore County | System and method for damping vibrations in elevator cables |
WO2005047724A2 (en) * | 2003-11-14 | 2005-05-26 | University Of Maryland, Baltimore County | System and method for damping vibrations in elevator cables |
FI119769B (fi) * | 2003-11-17 | 2009-03-13 | Kone Corp | Menetelmä hissin asentamiseksi ja hissi |
FI116562B (fi) * | 2003-11-17 | 2005-12-30 | Kone Corp | Menetelmä hissin asentamiseksi |
JP2005219917A (ja) * | 2004-02-09 | 2005-08-18 | Toshiba Elevator Co Ltd | エレベータ用ロープ取付装置 |
ZA200506660B (en) | 2004-09-13 | 2006-05-31 | Inventio Ag | Belt end connection for fastening a belt end in a lift installation and method for protecting and checking a belt end connection in a lift installation |
JP2006089259A (ja) * | 2004-09-27 | 2006-04-06 | Toshiba Elevator Co Ltd | エレベータのロープ固定装置 |
WO2007149079A1 (en) * | 2006-06-21 | 2007-12-27 | Otis Elevator Company | Governor for an elevator system |
ES2294944B1 (es) * | 2006-09-25 | 2009-02-16 | Orona S. Coop | Elemento de suspension y traccion para aparatos elevadores y aparato elevador. |
JP5232390B2 (ja) * | 2007-01-22 | 2013-07-10 |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 エレベータの積載荷重検出装置 |
KR20090122934A (ko) * | 2007-03-12 | 2009-12-01 | 인벤티오 아게 | 승강기 |
JP2010285277A (ja) * | 2009-06-15 | 2010-12-24 | Toshiba Elevator Co Ltd | エレベータの積載荷重検出装置 |
CN102791605B (zh) * | 2010-03-12 | 2014-10-15 | 三菱电机株式会社 | 电梯的悬挂体支承装置 |
CN107428505B (zh) | 2015-03-27 | 2020-02-18 | 奥的斯电梯公司 | 电梯系统悬挂构件端接 |
MX2018005075A (es) * | 2015-11-06 | 2018-05-28 | Inventio Ag | Disposicion de suspension para un elevador. |
CN109019271B (zh) * | 2018-08-21 | 2021-02-02 | 日立电梯(中国)有限公司 | 一种电梯驱动主机的固定结构及固定方法 |
WO2024079376A1 (en) * | 2022-10-10 | 2024-04-18 | Kone Corporation | Elevator arrangement and method for constructing elevator |
KR102629971B1 (ko) * | 2023-05-26 | 2024-01-25 | 고영로 | 승강로 내벽 설치형 와이어 소켓 고정장치 |
KR102682811B1 (ko) * | 2024-01-22 | 2024-07-05 | 고영로 | 엘리베이터의 구동 와이어 및 가이드레일 지지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282374A (en) * | 1914-09-10 | 1918-10-22 | John H Buckley | Shock-absorber. |
US1418089A (en) * | 1919-06-18 | 1922-05-30 | Otis Elevator Co | Spring cable hitch |
US1881459A (en) * | 1931-09-18 | 1932-10-11 | Evans Elevator Equalizer Compa | Strain equalizing device |
US2322774A (en) * | 1941-05-06 | 1943-06-29 | Sidney L Polack | Counterweight apparatus for elevators |
US4537286A (en) * | 1983-10-07 | 1985-08-27 | Westinghouse Electric Corp. | Elevator system |
US5149922A (en) * | 1989-09-08 | 1992-09-22 |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 Elevator load detector device using movable detector plates |
US5080201A (en) * | 1990-04-02 | 1992-01-14 | Otis Elevator Company | Diversion of airflow around an elevator counterweight |
JPH05229766A (ja) * | 1992-02-18 | 1993-09-07 |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 エレベーターの昇降体固定装置 |
US5353893A (en) * | 1993-07-12 | 1994-10-11 | Otis Elevator Company | Elevator cab and/or counterweight compensation rope hitch assembly |
US5490577A (en) * | 1994-06-22 | 1996-02-13 | Otis Elevator Company | Flexible elevator hitch |
FI100516B (fi) * | 1994-09-27 | 1997-12-31 | Kone Oy | Järjestelyt hissiköyden kiinnittämiseksi ja johteen käyttämiseksi hiss in kannatuselimenä |
US5611412A (en) * | 1995-07-07 | 1997-03-18 | Otis Elevator Company | Elevator car hitch |
US5899300A (en) * | 1996-12-20 | 1999-05-04 | Otis Elevator Company | Mounting for an elevator traction machine |
FI107249B (fi) * | 1996-12-20 | 2001-06-29 | Kone Corp | Menetelmä ja laitteisto hissin kuorman mittaamiseksi |
JPH10231077A (ja) | 1997-02-19 | 1998-09-02 | Hitachi Ltd | エレベーター装置 |
US6085874A (en) * | 1998-12-22 | 2000-07-11 | Otis Elevator Company | Rail-climbing elevator counterweight having flat machines |
US6065569A (en) * | 1998-12-24 | 2000-05-23 |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 Virtually active elevator hitch |
-
1998
- 1998-09-14 JP JP10260498A patent/JP2000086114A/ja active Pending
-
1999
- 1999-09-09 MY MYPI99003903A patent/MY122180A/en unknown
- 1999-09-10 CN CN99119350A patent/CN1117023C/zh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9-09-10 KR KR10-1999-0038570A patent/KR10039942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9-09-14 EP EP99117915A patent/EP0987212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9-09-14 DE DE69922113T patent/DE69922113T2/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9-09-14 US US09/396,348 patent/US6234276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0987212B1 (en) | 2004-11-24 |
US6234276B1 (en) | 2001-05-22 |
CN1247833A (zh) | 2000-03-22 |
MY122180A (en) | 2006-03-31 |
KR20000023059A (ko) | 2000-04-25 |
EP0987212A2 (en) | 2000-03-22 |
CN1117023C (zh) | 2003-08-06 |
DE69922113D1 (de) | 2004-12-30 |
EP0987212A3 (en) | 2002-01-30 |
JP2000086114A (ja) | 2000-03-28 |
DE69922113T2 (de) | 2005-11-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399426B1 (ko) | 케이블 단부를 안내 레일에 고정하기 위한 케이블 부착 장치를 갖는 견인식 엘리베이터 | |
EP0995712B1 (en) | Rope support device for elevator | |
KR100754124B1 (ko) | 엘리베이터 조립체 및 승강로를 통해 엘리베이터 조립체의 장착 위치로 기계장치 조립체를 들어올리는 방법 | |
US7261184B2 (en) | Elevator system and triangulated support structure for the same | |
US5947232A (en) | Swing arm to prevent sway of elevator ropes | |
KR100430112B1 (ko) | 안내 레일 지지의 구동 장치를 갖는 엘리베이터 | |
KR100780499B1 (ko) |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 |
CN101061055B (zh) | 电梯绳索配置 | |
WO2001074704A1 (en) | Machine-room-less elevator installation structure with traction machine mounted at a rooftop | |
EP1123891A2 (en) | Dead end hitch for elevator rope | |
JP4091326B2 (ja) | エレベーター装置 | |
WO2001079105A1 (en) | Machine-room-less elevator installation structure with traction machine mounted in an extended pit | |
WO2002079068A1 (fr) | Mecanisme de fixation pour monte-charge | |
US6595331B2 (en) | Bracket for securing elevator components | |
KR100514339B1 (ko) | 엘리베이터 장치 | |
JP2507636B2 (ja) | 仮設エレベ―タの機械台支持装置 | |
JP4601771B2 (ja) | エレベーターの昇降路装置 | |
JP2002060158A (ja) | エレベーターの据付工法 | |
JP2002128415A (ja) | エレベーター昇降路天井面近傍高さ位置への駆動機の吊上げ方法及び装置 | |
JP4914030B2 (ja) |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ー | |
JPH0624668A (ja) | エレベータ制御用テールコードの振止装置 | |
JP2001019316A (ja) | エレベーター装置 | |
JPH08169662A (ja) | エレベーターの吊上装置 | |
JPH0348114B2 (ko) | ||
JPH09240967A (ja) | エレベータ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811 Year of fee payment: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