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7115B1 - 회전형 엔코더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회전형 엔코더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7115B1
KR100397115B1 KR10-2001-0004339A KR20010004339A KR100397115B1 KR 100397115 B1 KR100397115 B1 KR 100397115B1 KR 20010004339 A KR20010004339 A KR 20010004339A KR 100397115 B1 KR100397115 B1 KR 1003971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exposed
conductive pattern
gas
conductive patter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4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8165A (ko
Inventor
미야케도시카즈
노지아키에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78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81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7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71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 H01H1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of switch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08Bases; Stationary contacts mounted there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e Of Switches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 Transmission And Conversion Of Sensor Element Outpu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저렴한 회전형 엔코더 및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회전형 엔코더에 있어서, 도전패턴(2, 3)의 구멍(1a) 측에 위치하는 안 둘레 가장자리부(2c, 3e)의 끝부에는 인접하는 도전패턴(2, 3) 사이를 분리한 절단부(2d, 3f)가 설치되고, 안 둘레 가장자리부(2c, 3e)는 절연기체 (1)의 구멍(1a)의 안쪽 면으로부터 바깥 방향에서 벗어난 위치에 배치됨과 동시에, 절단부(2d, 3f)가 절연기체(基體)(1)의 구멍(1a)의 안쪽 면으로부터 노출되었기 때문에 안 둘레에 이음부(19)에 의해서 지지된 상태에서 도전패턴(2, 3)이 절연기체(1)에 매설할 수 있어 도전패턴(2, 3)이 구부러지거나 변형이 없고, 동일면상에 배치할 수 있으며 성능이 좋고, 저렴하고 제조가 용이한 회전형 엔코더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회전형 엔코더 및 그 제조방법{ROTARY ENCOD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자기기 등에 사용되는 회전형 엔코더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회전형 엔코더를 도 8 내지 도 10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합성수지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절연기체(基體)(31)는, 중앙부에 설치된 원형상의 구멍(31a)과, 일면측에 설치된 원형의 오목부(31b)를 가지며, 이 절연기체(31)에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도전패턴(32, 33)이 동일 원주상에 배치되고 서로 분리된 상태로 매설되어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공통용 1개의 도전패턴(32)은 부채형상의 접점부(32a)와, 접점부 (32a)의 중앙으로부터 돌출하여 설치된 단자부(32b)와, 접점부(32a)의 안 둘레 가장자리에 설치된 절단부(32c)를 가지고 있다.
이 도전패턴(32)은 접점부(32a)의 안 둘레부가 절연기체(31)의 안 둘레부에 형성된 지지부(31c)로 지지되고, 또 단자부(32b)가 절연기체(31)의 제 1 옆가장자리(31d)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함과 동시에, 접점부(32a)가 노출된 상태에서 절연기체(31)에 부착되어 있다.
또 변환용 2개의 도전패턴(33)은 부채형상의 부분에 복수개의 관통구멍 (33a)을 설치하여 관통구멍(33a) 사이에 형성된 접점부(33b)와, 바깥쪽의 위치에서 복수개의 접점부(33b) 끼리를 연결하는 바깥쪽 연결부(33c)와, 안쪽의 위치에서 복수개의 접점부(33b) 끼리를 연결하는 안쪽 연결부(33d)와, 접점부(33b)의 한쪽 끝으로부터 돌출하여 설치된 단자부(33e)와, 안쪽 연결부(33d)의 안 둘레 가장자리에 설치된 절단부(33f)와, 접점부(33b)의 다른쪽 끝으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33g)와, 접점부(33b)와 단자부(33e)를 연결하는 접속편(33h)의 측부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 (33j)를 가진다.
그리고 2개의 도전패턴(33)은 구멍(31a)을 둘러 싸도록 배치되고 접점부 (33b)의 안 둘레부에 위치하는 안쪽 연결부(33d)가 절연기체(31)의 안 둘레부에 형성된 지지부(31c)에서 지지됨과 동시에, 이 지지부(31c)에 절단부(33f)가 매설되고, 또 단자부(33e)가 절연기체(31)의 제 1 옆가장자리(31d)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함과 동시에, 접점부(33b)가 노출된 상태에서 절연기체(31)에 부착되어 있다.
또 돌출부(33g, 33j) 및 접속편(33h)도 절연기체(31)에 매설되어 돌출부 (33g)의 절단부가 절연기체(31)의 제 2 옆가장자리(31e)로부터 노출함과 동시에 돌출부(33j)의 절단부가 제 3과 제 4 옆가장자리(31f, 31g)로부터 노출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전패턴(32, 33)의 접점부(32a, 33b)가 절연기체(31)의 표면에서 고리형상으로 노출된 절연기체(31)에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멍(31a)에 삽입된 지지부(34a)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유지된 회전체(34)가 부착되고, 이 회전체 (34)를 회전시킴으로써 회전체(34)에 부착된 접촉편(도시 생략)을 도전패턴(32, 33)에 슬라이딩 접촉시켜 소망하는 펄스를 발생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회전형 엔코더의 제조방법을 도 11 내지 도 13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프재(41)가 이송구멍(41a)에 의해 차례로 보내지고, 후프재(41)를 프레스가공하여 후프재(41)의 이송방향(A)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2줄의 기초부(42, 43)와, 이 기초부(42, 43) 사이를 연결하는 2줄의 살부(44)(bridge)와, 이 기초부(42, 43)와 살부(44)로 둘러싸인 사이에 펀칭 형성되고, 도전패턴(32, 33)의 접점부(32a, 33b)를 형성하기 위한 원판형상부(45)와, 이 원판형상부(45)로부터 접속편(33h)을 거쳐 연장되어 기초부 (42)에 연결된 2개의 단자부(33e)와, 2개의 단자부(33e) 사이에서 원판형상부(45)로부터 연장되어 기초부(42)에 연결된 단자부(32b)와, 원판형상부(45)로부터 연기되어 기초부(43)에 연결된 제 1 접속부(46)와, 한 쌍의 접속편(33h)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살부(44)에 연결된 제 2 접속부(47)가 형성됨과 동시에, 인접하는 원판형상부(45) 사이에 살부 (44)를 배치하고,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구비한 반제품이 차례로 펀칭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개의 관통구멍(33a)을 설치함과 동시에, 원판형상부(45)의 바깥 둘레에 절결부(48)를 설치하여 인접하는 도전패턴 (32, 33) 사이를 구분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후프재(41)를 도금조로 반송하여 은도금처리를 행한 후, 도 12의 2점 차선으로 나타내는 원판형상의 부분(49)을 펀칭하여 서로 분리된 도전패턴(32, 33)을 형성하고,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성형가공에 의해 절연기체 (31)를 후프재(41)로 형성한다.
그리고 절연기체(31)를 형성한 후, 제 1 접속부(46), 제 2 접속부(47)를 절단하여 단자부(32b, 33e)를 기초부(42)로부터 분리하면 그 제조가 완료되어 도 8 내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회전형 엔코더가 얻어진다.
또 도 12의 상태에서 은도금처리를 행하는 이유는 도 12에 나타내는 상태에 있어서 원판형상의 부분(49)을 펀칭하여 서로 분리된 도전패턴(32, 33)을 형성하면공통용 도전패턴(32)의 중앙부에 있어서의 지지가 없어지고, 이 도전패턴(32)이 도금처리에서의 반송도상에 있어서 구부러지기 때문이다.
종래의 회전형 엔코더는 도전패턴(32, 33)의 안 둘레부가 서로 분리된 상태로 절연기체(31)가 형성되기 때문에, 도전패턴(32, 33)이 변형되거나 동일면상에 형성될 수 없어 성능이 나빠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 그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도금처리가 완료할 때까지 원판형상의 동일 원주상에 위치한 복수개의 도전패턴(32, 33)의 중앙부가 원판형상의 부분(49)으로 연결된 상태이기 때문에 은도금처리에 있어서의 도금부분이 많아져 고비용이 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 절연기체(31)의 성형시에 있어서 그 수지압에 의해 후프재(41)에 굴곡이생기기 쉬우며 그 방지를 위해서는 큰 수지압을 가할 수 없어 취하는 개수를 많게 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그 제조에 있어서 평행한 한 쌍의 기초부(42, 43)와, 기초부(43)와 원판형상부(45)를 연결하는 제 1 접속부(46)를 가지기 때문에 후프재(41)의 폭이 커져 고비용이 될 뿐만 아니라 스크랩이 많아져 수율이 나쁘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저렴한 회전형 엔코더 및 저렴한 회전형 엔코더를 얻을 수 있는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회전형 엔코더의 절연기체(基體)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2-2선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3-3선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회전형 엔코더의 절연기체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회전형 엔코더의 절연기체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회전형 엔코더의 절연기체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회전형 엔코더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
도 8은 종래의 회전형 엔코더의 절연기체의 평면도,
도 9는 도 8의 9-9선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10-l0선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11은 종래의 회전형 엔코더의 절연기체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12는 종래의 회전형 엔코더의 절연기체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13은 종래의 회전형 엔코더의 절연기체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절연기체 1a : 구멍
1b : 오목부 1c : 오목부
1d : 안쪽 지지부 1e : 바깥쪽 지지부
1f : 부착부 1g : 제 1 옆가장자리
1h : 제 2 옆가장자리 1j : 제 3 옆가장자리
2 : 도전패턴 2a : 접점부
2b : 단자부 2c : 안 둘레 가장자리부
2d : 절단부 3 : 도전패턴
3a : 관통구멍 3b : 접점부
3c : 바깥쪽 연결부 3d : 안쪽 연결부
3e : 안 둘레 가장자리부 3f : 절단부
3g : 접속부 3h : 단자부
3j : 돌출부 4 : 회전체
4a : 지지부 11 : 후프재
11a : 이송구멍 12 : 기초부
13 : 살부(bridge) 14 : 패턴군
15 : 고리형상부 16 : 접속부
17 : 절결부 18 : 노치 구멍
19 : 이음부 A : 이송방향
H : 폭 20 : 푸시스위치
21 : 박스체 22 : 푸시버튼
23 : 접촉편 24 : 회전체
25 : 부착부재 26 : 조작축
26a : 회전멈춤부 27 : 손잡이
28 : 조작부재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1 해결수단으로서, 중앙부에 구멍을 가지는 절연기체와, 도전성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복수개가 동일 원주상에 서로 분리된 상태로 배치되어 상기 절연기체에 매설된 도전패턴을 구비하고, 상기 도전패턴은 상기 절연기체의 일면에서 고리형상으로 노출한 노출부를 설치하여 상기 절연기체에 매설되고, 상기 도전패턴의 상기 구멍측에 위치하는 안 둘레 가장자리부의 끝부에는 인접하는 상기 도전패턴 사이를 분리한 절단부가 설치되고, 상기 절단부가 상기 절연기체의 상기 구멍의 안쪽 면으로부터 노출된 구성으로 하였다.
또 제 2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절단부는 상기 안 둘레 가장자리부보다도 중심부측으로 돌출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 제 3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도전패턴은 동일 반경상에 형성된 복수개의 관통구멍과, 이 관통구멍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접점부와, 반경방향의 바깥쪽의 위치에서 상기 복수개의 접점부끼리를 연결하는 바깥쪽 연결부와, 반경방향으로안쪽의 위치에서 복수개의 상기 접점부끼리를 연결하는 안쪽 연결부를 가지며, 적어도 상기 접점부가 상기 절연기체로부터 노출된 구성으로 하였다.
또 제 4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바깥쪽 연결부와 상기 안쪽 연결부가 상기 절연기체에 매설되고, 상기 절연기체의 바깥쪽에는 상기 바깥쪽 연결부를 지지하는 바깥쪽 지지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절연기체의 안쪽에는 중앙에 상기 구멍을 가지는 안쪽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 둘레 가장자리부가 상기 안쪽 지지부에 의해 매설된 상태로 함과 동시에, 상기 안쪽 지지부의 중앙에 설치된 상기 구멍의 안쪽 면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를 노출시킨 구성으로 하였다.
또 제 5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안쪽 지지부에는 상기 구멍과 연달아 설치되고, 상기 구멍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구멍의 일부를 형성하는 오목부가 설치되고, 이 오목부의 안쪽 면에 상기 절단부가 노출된 구성으로 하였다.
또 제 6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절연기체의 상기 구멍에 삽입된 상태에서 축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한 조작축이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조작축에는 상기 오목부에 걸어맞추는 회전멈춤부를 설치하고, 상기 조작축의 이동에 의해 푸시스위치를 조작하도록 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 제 7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도전패턴은 각각 단자부를 가지며 이들 단자부가 상기 절연기체의 동일한 옆가장자리측으로부터 병렬하여 바깥쪽으로 돌출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 제 8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도전패턴의 적어도 하나가 공통 도전패턴으로 형성된 구성으로 하였다.
또 제 9 해결수단으로서, 중앙에 노치구멍을 설치하여 복수개가 동일 원주상에 배치된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도전패턴과, 이 도전패턴의 안 둘레 가장자리부보다도 중심부측으로 돌출하고, 인접하는 상기 도전패턴끼리를 상기 안 둘레 가장자리부의 끝부에서 연결하는 이음부가 후프재를 프레스가공하여 형성된 후, 합성 수지의 성형에 의해 상기 도전패턴의 일부가 노출된 노출부를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도전패턴을 매설하는 절연기체를 형성하고, 그 후 상기 절연기체의 안쪽에 위치하는 상기 이음부를 절단함으로써 인접하는 상기 도전패턴 사이를 분리하도록 한 제조방법으로 하였다.
또 제 10 해결수단으로서, 동일 원주상에 배치된 복수개의 상기 도전패턴으로 이루어지는 패턴군이 상기 후프재를 프레스가공함으로써 일렬로 간격을 두고 병설되고, 인접하는 상기 패턴군끼리가 상기 패턴군의 고리형상부의 직경의 폭내에 있어서 배치된 접속부에서 접속됨과 동시에, 상기 접속부와 평행하게 배치된 1개의 기초부가 살부에 의해 상기 접속부와 연결되고, 이 접속부가 상기 절연기체를 형성한 후에 절단되어 상기 절연기체를 상기 후프재로부터 분리하도록 한 제조방법으로 하였다.
또 제 11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도전패턴의 각각에 설치된 단자부는 상기 절연기체의 동일한 옆가장자리측으로부터 병렬하여 바깥쪽으로 돌출한 상태에서 상기기초부에 연결되고, 상기 단자부는 상기 절연기체를 형성한 후에 상기 기초부로부터 분리하도록 한 제조방법으로 하였다.
또 제 12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노치구멍을 가지는 상기 도전패턴, 상기 이음부, 상기 접속부, 상기 기초부, 상기 살부 및 상기 단자부를 형성한 상기 후프재에 은도금의 처리를 행하기 전, 또는 행한 후에 상기 절연기체를 형성한 제조방법으로 하였다.
또 제 13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절연기체에는 상기 도전패턴의 상기 노출부의 바깥쪽에 설치되어 상기 도전패턴을 지지하는 바깥쪽 지지부와, 상기 노출부의 안쪽에 설치되어 상기 도전패턴의 안쪽을 지지하는 안쪽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쪽 지지부의 중앙에 설치된 구멍으로부터 상기 이음부가 노출하도록 한 제조방법으로 하였다.
또 제 14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안쪽 지지부에는 상기 구멍과 연달아 설치되고 상기 구멍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기되어 상기 구멍의 일부를 형성하는 오목부가 설치되고, 이 오목부내에 상기 이음부가 노출된 제조방법으로 하였다.
본 발명의 회전형 엔코더 및 그 제조방법을 도 1 내지 도 6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회전형 엔코더의 절연기체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2-2선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3-3선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회전형 엔코더의 절연기체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회전형 엔코더의 구성을 도 1 내지 도 3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절연기체(1)는 중앙부에 설치된 원형상의 구멍(1a)과, 일면측에 설치된 원형의 오목형상의 오목부(1b)와, 구멍(1a)에 연달아 접속되고 구멍(1a)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구멍(1a)의 일부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오목부(1c)와, 구멍(1a)의 주위에 설치된 고리형상의 안쪽 지지부(1d)와,오목부(1b)의 바깥 둘레 바닥벽에 위치하는 고리형상의 바깥쪽 지지부(1e)와, 오목부(1b)와 반대면에 설치되어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복수개의 부착부(1f)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절연기체(1)에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도전패턴(2, 3)이 동일 원주상에 배치되어 서로 분리된 상태로 매설되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공통용 1개의 도전패턴(2)은 부채형상의 접점부(2a)와, 접점부(2a)의 중앙으로부터 돌출하여 설치된 단자부(2b)와, 접점부(2a)의 안쪽에 설치된 원호형상의 안 둘레 가장자리부(2c)와, 이 안 둘레 가장자리부(2c)의 양쪽 끝부에 설치되어 안 둘레 가장자리부(2c)보다도 구멍(1a)의 중심부측으로 돌출함과 동시에 인접하는 도전패턴 사이를 분리하는 절단부(2d)를 가지고 있다.
이 도전패턴(2)은 접점부(2a)의 안 둘레부의 안 둘레 가장자리부(2c)가 절연기체(1)로 매설된 상태에서 그 안 둘레부가 절연기체(1)의 안 둘레부에 형성된 안쪽 지지부(1d)로 지지됨과 동시에, 이 안쪽 지지부(1d)의 중앙에 형성된 구멍(1a)과 연달아 설치하는 오목부(1c)의 안쪽 면에는 절단부(2d)가 노출하고, 또 단자부 (2b)가 절연기체(1)의 제 1 옆가장자리(1g)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함과 동시에, 접점부(2a)가 절연기체(1)의 일면측으로부터 노출된 상태로 절연기체(1)에 설치되어 있다.
또 직사각형파 출력용 2개의 도전패턴(3)은 부채형상의 부분에 복수개의 관통구멍(3a)을 설치하고, 관통구멍(3a) 사이에 형성된 접점부(3b)와, 바깥쪽의 위치에서 복수개의 접점부(3b)끼리를 연결하는 바깥쪽 연결부(3c)와, 안쪽의 위치에서복수개의 접점부(3b) 끼리를 연결하는 안쪽 연결부(3d)와, 이 안쪽 연결부(3d)의 안쪽에 설치된 원호형상의 안 둘레 가장자리부(3e)와, 이 안 둘레 가장자리부(3e)의 양쪽 끝부에 설치되어 안쪽 연결부(3d)보다도 구멍(1a)의 중심부측으로 돌출함과 동시에 인접하는 도전패턴 사이를 분리하는 절단부(3f)와, 접점부(3b)의 한쪽 끝으로부터 접속편(3g)을 거쳐 설치된 단자부(3h)와, 바깥쪽 연결부(3c)로부터 지름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3j)를 가진다.
그리고 2개의 도전패턴(3)은 구멍(1a)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접점부(3b)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바깥쪽 연결부(3c)가 바깥쪽 지지부(1e)에 의해 지지됨과 동시에 안 둘레 가장자리부(3e)가 절연기체(1)로 매설된 상태에서 안쪽에 위치하는 안쪽 연결부(3d)가 안쪽 지지부(1d)로 지지되고, 또 이 안쪽 지지부(1d)의 중앙에 형성된 구멍(1a)과 연달아 설치되는 오목부(1c)의 안쪽 면에는 절단부(3f)가 노출하고, 또한 단자부(3h)가 절연기체(1)의 제 1 옆가장자리(1g)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함과 동시에 접점부(3b)가 절연기체(1)의 일면으로부터 노출한 상태로 절연기체(1)에 부착되어 있다.
또 돌출부(3j)도 절연기체(1)에 매설되어 돌출부(3j)의 절단부가 제 2와 3 옆가장자리(1h, 1j)로부터 노출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도전패턴(2, 3)은 제조공정에 있어서 도 1의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은 이음부(19)가 오목부(1c)내에 위치하여 설치되고, 이 이음부(19)에 의해 인접하는 도전패턴(2, 3)의 안 둘레 가장자리부(2c, 3e)의 양쪽 끝끼리가 연결되고, 이 이음부(19)가 오목부(1c)의 위치에서 절단됨으로써 절단부(2d, 3f)가 형성됨과 동시에 이 이음부(19)를 절단함으로써 서로 인접하는 도전패턴(2, 3) 사이를 분리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전패턴(2, 3)의 접점부(2a, 3b)가 절연기체(1)의 표면에서 고리형상으로 노출된 절연기체(1)에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멍(1a)에 삽입된 지지부(4a)에 의해 절단부(2d, 3f)에 접촉하는 일 없이 회전체(4)가 회전가능하게 유지되어 이 회전체(4)를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회전체(4)에 부착된 접촉편(도시 생략)을 도전패턴(2, 3)에 슬라이딩접촉시켜 소망하는 펄스를 발생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회전형 엔코더의 절연기체(1)의 제조방법을 도 4 내지 도 6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프재(11)가 이송구멍(11a)에 의해 차례로 보내지고 후프재(11)를 프레스가공하여 후프재(11)의 이송방향(A)으로 형성된 직선형상의 1줄의 기초부(12)와, 이 기초부(12)로부터 직각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2줄의 살부(13)와, 이 기초부(12)와 2줄의 살부(13)로 둘러싸인 사이에 펀칭 형성된 복수개의 도전패턴(2, 3)으로 이루어지는 패턴군(14)과, 이 패턴군(14)의 고리형상부(15)의 직경의 폭(H)내에 있어서 패턴군(14)의 이송방향(A)의 양측과 살부(13)를 연결하는 한 쌍의 접속부(16)가 형성된다.
또한 패턴군(14)에는 서로 인접하는 패턴(2, 3) 사이에 설치한 절삭부(17)와, 중앙에 설치한 노치구멍(18)과, 이 노치구멍(18)에 의해 형성된 안 둘레 가장자리부(2c, 3e) 및 이 안 둘레 가장자리부(2c, 3e) 보다도 중심측으로 돌출하고, 인접하는 도전패턴(2, 3) 끼리를 안 둘레 가장자리부(2c, 3e)의 끝부에서 연결하는이음부(19)와, 복수개의 관통구멍(3a)을 설치하여 형성된 접점부(3b)와, 단자부(2b, 3h)가 형성됨과 동시에 단자부(2b, 3h)가 기초부(12)에 병렬하여 연결된 상태로 펀칭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공된 후프재(11)를 도금조로 반송하여 은도금 처리를 행한 후,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형성가공에 의해 절연기체 (1)를 후프재(11)에 형성한다.
그리고 이 절연기체(1)의 가공에 의해 중앙에는 구멍(1a)과 이 구멍(1a)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된 오목부(1c)가 형성됨과 동시에, 이 오목부(1c)내에 이음부(19)가 위치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절연기체(1)를 형성한 후,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먼저 이음부 (19)를 절단하고, 다음으로 단자부(2b, 3h)를 기초부(12)로부터 분리한 후, 단자부 (2b, 3h)를 구부려 가공하고, 마지막으로 접속부(16)를 절단하여 후프재(11)로부터 절연기체(1)를 분리하면 그 제조가 완료되어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회전형 엔코더의 코드판이 얻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이어서는 안 둘레 가장자리부의 양쪽 끝부는 인접하는 도전패턴이 이음부(19)로 유지되고, 바깥 둘레는 접속부와 단자부에 의해 후프재에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하중이 가해진 경우에 변형의 염려가 적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금후에 성형하고 있으나, 성형한 후에 도금을 행하여도 된다.
또 도 7은 본 발명의 회전형 엔코더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며, 이 실시예는푸시스위치부의 회전형 엔코더로서 푸시스위치(20)는 고정접점, 가동접점(도시 생략)을 수납한 박스체(21)와, 이 박스체(21)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부착된 푸시버튼 (22) 등으로 구성되고, 이 푸시스위치(20)가 절연기체(1)의 부착부(1f)에 의해 절연기체(1)에 부착되어 있다.
또 접촉편(23)을 부착한 회전체(24)가 부착부재(25)에 의해 절연기체(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이 회전체(24)의 중심부에는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조작축(26)이 부착되고, 이 조작축(26)은 절연기체(1)의 구멍(1a)에 삽입됨과 동시에 오목부(1c)에 걸어맞추어 조작축(26)의 회전을 저지하는 회전멈춤부(26a)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체(24)에 부착된 손잡이(27)를 회전하면 접촉편(23)이 도전패턴 (2, 3)상을 슬라이딩 접촉하여 펄스를 발생하고, 또 조작축(26)에 부착된 조작부재 (28)를 가압하면 조작축(26)을 거쳐 푸시버튼(22)이 눌러져 푸시스위치(20)의 접점의 변환이 행하여지고, 또 조작부재(28)의 가압을 해제하면 푸시스위치(20)측의 스프링력에 의해 푸시버튼(22)과 조작축(26) 및 조작부재(28)는 원래의 상태로 복귀한다.
이 가압조작시에 있어서는 조작축(26)의 회전멈춤부(26a)가 오목부(1c)에 걸어맞춰져 있기 때문에 조작축(26)의 회전동작이 없고, 조작성이 양호해진다.
또 이 때에 조작축(26)은 절단부(2d, 3f)와 접하지 않기 때문에 원활한 푸시조작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회전형 엔코더에 있어서 도전패턴(2, 3)의 구멍(1a)측에 위치하는 안 둘레 가장자리부(2c, 3e)의 끝부에는 인접하는 도전패턴(2, 3)사이를 분리한 절단부(2d, 3f)가 설치되고, 안 둘레 가장자리부(2c, 3e)는 절연기체(1)의 구멍(1a)의 안쪽 면으로부터 바깥 방향에서 벗어난 위치에 배치됨과 동시에, 절단부(2d, 3f)가 절연기체(1)의 구멍(1a)의 안쪽 면으로부터 노출되었기 때문에 안 둘레에 이음부(19)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도전패턴(2, 3)을 구부러지거나 변형없이 절연기체(1)에 매설할 수 있고, 동일면상에 배치할 수 있으며, 성능이 좋고, 저렴하고 제조가 용이한 회전형 엔코더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절단부(2d, 3f)는 안 둘레 가장자리부(2c, 3e)보다도 중심부측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안 둘레 가장자리부(2c, 3e)를 절연기체(1)로 매설한 상태로 절단부 (2d, 3f)를 형성할 수 있어 그 제조가 용이함과 동시에, 회전체(4)와 절단부(2d, 3f)가 접촉하지 않는 구성으로 할 수 있고, 회전체(4)의 원활한 회전을 할 수 있는 회전형 엔코더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도전패턴(3)은 동일 반경상에 형성된 복수개의 관통구멍(3a)과, 이 관통구멍(3a)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접점부(3b)와, 반경방향의 바깥쪽의 위치에서 복수개의 접점부(3B)끼리를 연결하는 바깥쪽 연결부(3c)와, 반경방향에 안쪽의 위치에서 복수개의 접점부(3b) 끼리를 연결하는 안쪽 연결부(3d)를 가지기 때문에, 접점부(3b)의 지지가 확실하고 구부러짐이 없는 도전패턴(3)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바깥쪽 연결부(3c)와 안쪽 연결부(3d)가 바깥쪽 지지부(1e)와 안쪽 지지부(1d)에 의해 절연기체(1)에 매설되기 때문에, 바깥쪽 연결부(3c)와 안쪽 연결부(3d)가 바깥쪽 지지부(1e)와 안쪽 지지부(1d)에 의해 절연기체(1)에 매설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도전패턴(3)의 절연기체(1)에 대한 부착이 확실해진다.
또 안쪽 지지부(1d)에는 구멍(1a)과 연달아 설치되어 구멍(1a)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구멍(1a)의 일부를 형성하는 오목부(1c)가 설치되고, 이 오목부 (1c)의 안쪽 면에 절단부(2d, 3f)가 노출되었기 때문에 회전체(4)와 절단부(2d, 3f)가 접촉하지 않는 구성으로 할 수 있고, 회전체(4)의 원활한 회전을 할 수 있는 회전형 엔코더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절연기체(1)의 구멍(1a)에 삽입된 상태에서 축방향으로 직선이동 가능한 조작축(26)이 배치됨과 동시에 조작축(26)에는 오목부(1c)에 걸어맞추는 회전멈춤부(26a)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조작축(26)의 이동에 의해 푸시스위치(20)를 조작할 때에는 조작축(26)은 회전동작을 하지않고, 조작성이 양호한 푸시스위치가 부착된 회전형 엔코더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도전패턴(2, 3)은 각각 단자부(2b, 3h)를 가지며, 이들 단자부(2b, 3h)가 절연기체(1)의 동일한 옆가장자리(1g)측으로부터 병렬하여 바깥쪽으로 돌출하였기 때문에 소형이고, 재료의 취함이 양호한 것이 얻어진다.
또 도전패턴의 적어도 하나가 공통 도전패턴(2)으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여러가지의 형태에 대응할 수 있는 회전형 엔코더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중앙에 노치구멍(18)을 설치하여 복수개가 동일 원주상에 배치된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도전패턴(2, 3)과, 이 도전패턴(2, 3)의 안 둘레 가장자리부(2c, 3e)보다도 중심부측으로 돌출하고, 인접하는 도전패턴(2, 3) 끼리를 안 둘레 가장자리부(2c, 3e)의 끝부에서 연결하는 이음부(19)가 후프재(11)를 프레스가공하여형성된 후, 합성수지의 성형에 의해 도전패턴(2, 3)의 일부가 노출된 노출부를 설치한 상태로 도전패턴(2, 3)을 매설하는 절연기체(1)를 형성하고, 그 후 절연기체 (1)의 안쪽에 위치하는 이음부(19)를 절단함으로써 인접하는 도전패턴(2, 3) 사이를 분리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내부지지를 위한 원판형상의 부분(49)이 불필요하게 되므로 은도금처리에서의 도금부분이 적어져, 저렴한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동일 원주상에 배치된 복수개의 도전패턴(2, 3)으로 이루어지는 패턴군 (14)이 후프재(11)를 프레스가공함으로써, 일렬로 간격을 두고 병설되어 인접하는 패턴군(14) 끼리가 패턴군(14)의 고리형상부(15)의 직경의 폭(H)내에 있어서 배치된 접속부(16)로 접속됨과 동시에 접속부(16)와 평행하게 배치된 1개의 기초부(12)가 살부(13)에 의해 접속부(16)와 연결되고, 이 접속부(16)가 절연기체(1)를 형성한 후에 절단되어 절연기체(1)를 후프재(11)로부터 분리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종래 와 같은 2줄의 기초부(42, 43)를 가지는 것과 비교하여 후프재(11)의 폭을 작게 할수 있고, 또 스크랩도 적어 저렴한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도전패턴(2, 3)의 각각에 설치된 단자부(2b, 3h)는 절연기체(1)의 동일 한 옆가장자리(1g)측으로부터 병렬하여 바깥쪽으로 돌출한 상태로 기초부(12)에 연결되고, 단자부(2b, 3h)는 절연기체(1)를 형성한 후에 기초부(12)로부터 분리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제조공정도상에 있어서의 패턴군(14)의 지지가 확실함과 동시에 재료이 취함이 좋고 제조성이 양호해진다.
또 노치구멍(18)을 가지는 도전패턴(2, 3), 이음부(19)와, 접속부(16)와, 기초부(12)와, 살부(13) 및 단자부(2b, 3h)를 형성한 후프재(11)에 은도금의 처리를 행한 후에 절연기체(1)를 형성하기 때문에 종래와 비교하여 은도금처리에서의 도금부분이 적어져 저렴한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 절연기체(1)에는 도전패턴(3)의 노출부의 바깥쪽에 설치되어 도전패턴을 지지하는 바깥쪽 지지부(1e)와, 노출부의 안쪽에 설치되어 도전패턴(3)의 안쪽을 지지하는 안쪽 지지부(1d)가 형성되고, 안쪽 지지부(1d)의 중앙에 설치된 구멍(1a)으로부터 이음부(19)가 노출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이음부(19)의 절단작업에 있어서 구멍(1a)의 안 둘레를 가이드로 하여 절단할 수 있어 그 제조에 있어서의 절단작업이 용이해진다.
또 안쪽 지지부(1d)에는 구멍(1a)과 연달아 설치되고, 구멍(1a)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구멍(1a)의 일부를 형성하는 오목부(1c)가 설치되어 이 오목부 (1c)내에 이음부(19)가 노출되었기 때문에, 이음부(19)의 절단작업에 있어서 오목부 (1c)의 안 둘레를 가이드로 하여 절단할 수 있어 그 제조에 있어서의 절단작업이 한층 더 용이해진다.

Claims (14)

  1. 중앙부에 구멍을 가지는 절연기체와, 도전성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복수개가 동일 원주상에 서로 분리된 상태로 배치되어 상기 절연기체에 매설된 도전패턴을 구비하고, 상기 도전패턴은 상기 절연기체의 일면에서 고리형상으로 노출한 노출부를 설치하여 상기 절연기체에 매설되고, 상기 도전패턴의 상기 구멍측에 위치하는 안 둘레 가장자리부의 끝부에는 인접하는 상기 도전패턴 사이를 분리하는 절단부가 설치되고, 상기 절단부가 상기 절연기체의 상기 구멍의 안쪽 면으로부터 노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엔코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상기 안 둘레 가장자리부보다도 중심부측으로 돌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엔코더.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패턴은 동일 반경상에 형성된 복수개의 관통구멍과, 이 관통구멍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접점부와, 반경방향의 바깥쪽의 위치에서 상기 복수개의 접점부끼리를 연결하는 바깥쪽 연결부와, 반경방향으로 안쪽의 위치에서 복수개의 상기 접점부끼리를 연결하는 안쪽 연결부를 가지며, 적어도 상기 접점부가 상기 절연기체로부터 노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엔코더.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바깥쪽 연결부와 상기 안쪽 연결부가 상기 절연기체에 매설되고, 상기 절연기체의 바깥쪽에는 상기 바깥쪽 연결부를 지지하는 바깥쪽 지지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절연기체의 안쪽에는 중앙에 상기 구멍을 가지는 안쪽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 둘레 가장자리부가 상기 안쪽 지지부에 의해 매설된 상태로 함과 동시에, 상기 안쪽 지지부의 중앙에 설치된 상기 구멍의 안쪽 면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를 노출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엔코더.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안쪽 지지부에는, 상기 구멍과 연달아 설치되고 상기 구멍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구멍의 일부를 형성하는 오목부가 설치되고, 이 오목부의 안쪽 면에 상기 절단부가 노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엔코더.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기체의 상기 구멍에 삽입된 상태로 축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한 조작축이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조작축에는 상기 오목부에 걸어맞추는 회전멈춤부를 설치하고, 상기 조작축의 이동에 의해 푸시스위치를 조작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엔코더.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패턴은 각각 단자부를 가지고 이들 단자부가 상기 절연기체의 동일한 옆가장자리측으로부터 병렬하여 바깥쪽으로 돌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엔코더.
  8. 제 1항 내지 제 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패턴의 적어도 하나가 공통(common) 도전패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엔코더.
  9. 중앙에 노치구멍을 설치하여 복수개가 동일 원주상에 배치된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도전패턴과, 이 도전패턴의 안 둘레 가장자리부보다도 중심부측으로 돌출하고, 인접하는 상기 도전패턴끼리를 상기 안 둘레 가장자리부의 끝부에서 연결하는 이음부가 후프재를 프레스가공하여 형성된 후, 합성 수지의 성형에 의해 상기 도전패턴의 일부가 노출된 노출부를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도전패턴을 매설하는 절연기체를 형성하고, 그 후 상기 절연기체의 안쪽에 위치하는 상기 이음부를 절단함으로써, 인접하는 상기 도전패턴 사이를 분리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엔코더.
  10. 제 9항에 있어서,
    동일 원주상에 배치된 복수개의 상기 도전패턴으로 이루어지는 패턴군이 상기 후프재를 프레스가공함으로써 일렬로 간격을 두고 병설되고, 인접하는 상기 패턴군끼리가 상기 패턴군의 고리형상부의 직경의 폭내에 있어서 배치된 접속부에서 접속됨과 동시에, 상기 접속부와 평행하게 배치된 1개의 기초부가 살부에 의해 상기 접속부와 연결되고, 이 접속부가 상기 절연기체를 형성한 후에 절단되어 상기 절연기체를 상기 후프재로부터 분리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엔코더.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패턴의 각각에 설치된 단자부는 상기 절연기체의 동일한 옆가장자리측으로부터 병렬하여 바깥쪽으로 돌출한 상태에서 상기 기초부에 연결되고, 상기 단자부는 상기 절연기체를 형성한 후에 상기 기초부로부터 분리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엔코더.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구멍을 가지는 상기 도전패턴, 상기 이음부, 상기 접속부, 상기 기초부, 상기 살부 및 상기 단자부를 형성한 상기 후프재에 은도금의 처리를 행하기 전, 또는 행한 후에 상기 절연기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엔코더.
  13. 제 9항 내지 제 1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기체에는 상기 도전패턴의 상기 노출부의 바깥쪽에 설치되어 상기 도전패턴을 지지하는 바깥쪽 지지부와, 상기 노출부의 안쪽에 설치되어 상기 도전패턴의 안쪽을 지지하는 안쪽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쪽 지지부의 중앙에 설치된 구멍으로부터 상기 이음부가 노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엔코더.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안쪽 지지부에는 상기 구멍과 연달아 설치되고 상기 구멍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기되어 상기 구멍의 일부를 형성하는 오목부가 설치되고, 이 오목부내에 상기 이음부가 노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엔코더.
KR10-2001-0004339A 2000-01-31 2001-01-30 회전형 엔코더 및 그 제조방법 KR1003971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27248 2000-01-31
JP2000027248A JP3869991B2 (ja) 2000-01-31 2000-01-31 回転型エンコーダ、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8165A KR20010078165A (ko) 2001-08-20
KR100397115B1 true KR100397115B1 (ko) 2003-09-06

Family

ID=18552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4339A KR100397115B1 (ko) 2000-01-31 2001-01-30 회전형 엔코더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869991B2 (ko)
KR (1) KR100397115B1 (ko)
CN (1) CN1150573C (ko)
TW (1) TW47607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7369A (ja) * 2001-09-06 2003-03-14 Mitsumi Electric Co Ltd トリガースイッチ
JP4075590B2 (ja) 2002-11-27 2008-04-1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回転型電子部品
JP2006012701A (ja) * 2004-06-29 2006-01-12 Alps Electric Co Ltd 回転型電気部品
US8093516B2 (en) * 2007-08-14 2012-01-10 Fluke Corporation Digital multimeter having improved rotary switch assembly
US7934657B2 (en) * 2008-06-25 2011-05-03 Xerox Corporation Encoder home position sensing method and system
JP2011096683A (ja) * 2011-02-18 2011-05-12 Hokuriku Electric Ind Co Ltd プッシュオン式スイッチの製造方法
JP5804066B2 (ja) * 2011-08-19 2015-11-04 株式会社安川電機 エンコーダ製造装置、エンコーダ製造方法、サーボモータ製造方法
CN108063524A (zh) * 2016-11-08 2018-05-22 苏州博拉腾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防水功能的混合编码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216858A (ja) 2001-08-10
TW476078B (en) 2002-02-11
CN1307348A (zh) 2001-08-08
JP3869991B2 (ja) 2007-01-17
CN1150573C (zh) 2004-05-19
KR20010078165A (ko) 2001-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7788B1 (ko) 푸쉬스위치를지닌회전조작형전자부품및이를제조하는방법
KR100397115B1 (ko) 회전형 엔코더 및 그 제조방법
JP2008293814A (ja) クリック付き回転操作型電子部品
US3798763A (en) Method of making a rotary switch stator
US6107586A (en) Push-on switch
KR100327285B1 (ko) 로터리스위치
US6856261B2 (en) Rotary encoder
KR100382004B1 (ko) 모터의 원반형 정류자 및 그 제조방법
US4267412A (en) Electrical switch
WO1989007328A1 (en) A method of producing a keyboard switch and a keyboard switch
JP2002133977A (ja) プッシュスイッチ付回転型エンコーダ、及びその製造方法
US6975249B2 (en) Rotary electronic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3167852A (en) Method of making an electrical switch
US3254164A (en) Molded plastic switch with inwardly projecting contacts and rotor positioning structure
JP3589269B2 (ja)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付き回転操作型電子部品
JP3560347B2 (ja) ロータリースイッチ
GB1565041A (en) Rotary electric switch
JP3936183B2 (ja) 整流子及びその製造方法
US2854554A (en) Electric switch stator assembly
JP3360093B2 (ja) 極小径組立式整流子の製造方法
JP3467371B2 (ja) 回転型パルススイッチ
JPH0541139A (ja) 多回路多接点ロータリスイツチ
JPH0613137A (ja) 多極コネクタ
EP0004420A2 (en) Coded electric switch
JPH024594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