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6611B1 - 광학 주사 장치 - Google Patents

광학 주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6611B1
KR100396611B1 KR10-1999-0044875A KR19990044875A KR100396611B1 KR 100396611 B1 KR100396611 B1 KR 100396611B1 KR 19990044875 A KR19990044875 A KR 19990044875A KR 100396611 B1 KR100396611 B1 KR 1003966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light beam
lens
light
incid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4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7538A (ko
Inventor
세끼가와요시히또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00047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75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6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66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10Scanning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10Scanning systems
    • G02B26/12Scanning systems using multifaceted mirrors
    • G02B26/123Multibeam scanners, e.g. using multiple light sources or beam spli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43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4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 combination of scanning and modulation of light
    • B41J2/471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 combination of scanning and modulation of light using dot sequential main scanning by means of a light deflector, e.g. a rotating polygonal mirror
    • B41J2/473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 combination of scanning and modulation of light using dot sequential main scanning by means of a light deflector, e.g. a rotating polygonal mirror using multiple light beams, wavelengths or colou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6Colour picture communication systems
    • H04N1/50Picture reproducers
    • H04N1/506Reproducing the colour component signals picture-sequentially, e.g. with reproducing heads spaced apart from one another in the subscanning dir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Optical Scanning Systems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광빔을 출사하는 복수 빔 광학 주사 장치의 부품 점수를 최소한으로 억제하고, 저비용화, 소형화, 고성능화를 도모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광빔을 주주사 방향과 대응하는 방향으로 등각속도로 편향하는 편향기(22)의 수를 최소한 1개로 함과 동시에, 편향기(22)의 다면경(26)의 수 및 회전 구동부(28)의 수도 각각 최소한 1개로 하고, 또한 광빔을 소정의 크기로 수속하고 또한 광빔의 스팟을 대략 등속도로 주사하기 위한 fθ 렌즈계를 fθ 렌즈계(20A, 20B)의 2조로서 편향기(22)의 양측에 배치한다. fθ 렌즈계(20A, 20B)에는 각각 2개의 광빔을 입출사하게 하고, 편향기(22)에 의하여 4개의 광빔의 주주사를 한다.

Description

광학 주사 장치{OPTICAL SCANNING DEVICE}
본 발명은 레이저빔을 화상 정보에 따라서 감광체 상에 주사 노광함으로써 화상을 기록하는 레이저 프린터나 디지탈 복사기 등의 화상기록 장치에 사용되는 광학 주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레이저빔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화상을 중첩하여 1개의 화상을 얻는 다색 화상 형성 장치에 적합하게 이용되는 광학 주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자 사진 방식을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대전된 감광체에 광학 주사 장치에 의하여 화상 정보에 따른 광빔을 주사하여 잠상을 형성하고, 이 잠상을 현상한 현상상을 용지에 전사하여 화상 형성하는 것이 행하여지고 있다.
근년, 문서의 컬러화가 진행됨에 따라서 이 전자 사진 방식에 의하여 블랙(K),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의 각 색에 대해서 현상상을 형성하고, 이것을 순차로 전사하여 풀컬러 화상을 형성하는 풀컬러 화상 형성 장치가 개발되어 왔다.
그 중에서도 특히 고속인 화상 형성 속도를 필요로 하는 용도에 대해서 복수의 독립한 화상 형성 장치를 구비하고, 여기서 형성된 현상상을 단일의 전사 매체 상에 연속적으로 전사하여, 1사이클로 풀컬러 화상을 형성하는 소위, 탠덤(tandem) 방식의 풀컬러 화상 형성 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여기서, 종래의 풀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일례를 도 5a, 도 5b를 따라 설명한다.
도 5a,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지 반송 벨트(114)의 용지 반송 방향 상류측으로부터 블랙(K),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의 순으로, 화상 형성 장치(118K), 화상 형성 장치(118Y), 화상 형성 장치(118M), 화상 형성 장치(118C)의 순으로 설치되고, 각 화상 형성 장치에는 상파지체로서의 감광 드럼(122)의 주위에 전자 사진 프로세스를 구성하는 서브유니트가 배치되어 있다.
이 장치에서는 대전 장치(124)에 의하여 감광 드럼(122)을 대전한 후 광학 주사 장치(120)에 의하여 화상 정보에 따른 광빔을 노광 주사하여 잠상을 형성한다.
다음에 현상 장치(126)에 의하여 잠상을 현상한 후, 일정 속도로 반송되는 용지(112)에 전사를 한다.
이 프로세스를 K, Y, M, C의 순으로 하고, 도시하지 않은 정착 장치에 의하여 전사상을 용지(112)에 고정한 후 배출한다.
광학 주사 장치(120)는 화상 정보에 따라서 점등되는 레이저 광원(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출사된 광빔을 회전 다면경(128)에 의하여 등각속도로 편향하고, 2매의 fθ 렌즈(130)에 의해서 감광 드럼(122) 상에 등속도로 주사하는 스팟에 결상하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도 5a, 도 5b에 나타내는 구성에서는 각 광학 주사 장치(120)가 각각 회전 다면경(28)을 구비하고 있다.
또 일본 특개소62-189420호 공보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컬러 화상 형성 장치는 복수의 광학 주사 장치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고비용, 장치의 대형화, 화상 흐트러짐이라는 문제가 있다고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의 다면경을 회전 구동원인 1개의 모터로 구동하고, 광학 주사 장치를 단일의 패키지로 함으로써 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고 하고 있다.
그러나 일본 특개소62-189420호 공보에 개시된 광학 주사 장치에는 이하의 문제점이 있다.
① 공보의 명세서 도 1, 도 2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면경이 복수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고가이다. 또 각각의 다면경의 각 반사면의 평면도(平面度), 각 반사면의 부주사 방향의 경사 각도가 다름에 의해서 색마다 초점 모임, 세로선의 요동, 주사선의 소밀(소위 밴딩)의 정도가 달라져 버리게 되고, 서로 중첩한 컬러의 화상으로서는 받아들이기 어렵게 되어 버린다.
② 공보의 명세서 도 1~ 도 5의 실시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fθ 렌즈가 빔의 개수조만큼 배치되어 있어 고가가 된다.(이것은 일반의 fθ 렌즈에서는 광학 성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빔이 광축을 통과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③ 다면경을 4개 이용한 실시예(공보의 명세서 도 1, 도 2 참조.)에서는 회전 구동부인 모터에 걸리는 부하가 커서 비용, 소비 전력을 감안하면 비현실적이 된다.
④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면경(140)의 양측을 동시에 사용하고, 다면경(140)의 매수를 2매로 삭감한 실시예에서는 실사용상은 현실적이지만, fθ 렌즈(142), 반사 미러(144) 등의 광학 부품을 다면경(140)의 양측에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광학 주사 장치 전체가 횡방향으로 매우 크게 되어 있다.
반사 미러(144)를 다수매 이용하여 다소의 컴팩트화는 가능하지만, 그 경우에는 반사 미러(144)가 증가된 만큼의 비용 상승 뿐 아니라, 광로 엇갈림을 방지하기 위한 조정 기구 혹은 고정밀도인 기계 치수가 필요하게 되어 상당한 비용 상용을 수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사실을 고려하여, 복수의 광빔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화상을 중첩하여 1개의 화상을 얻는 다색 화상 형성 장치에 이용하는 광학 주사 장치를, 부품 점수를 최소한으로 억제함으로써 저비용으로 하고, 소형화, 고성능인 것으로서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광학 주사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광학 주사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광학 주사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광학계에 더블 패스·정면 입사 방식을 적용한 경우의 다면경의 축직각 방향으로부터 본 측면도.
도 5a는 4개의 화상 형성 장치를 직렬로 배치한 종래의 풀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고, 도 5b는 그 평면 단면도.
도 6은 종래예(일본 특개소62-189420호 공보)의 실시예의 측면 단면도.
도 7은 종래의 광학계에 더블 패스·정면 입사 방식을 적용한 경우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광학계에 더블 패스·정면 입사 방식을 적용한 경우의 측면도.
(부호의 설명)
10 광학 주사 장치
14A~14D 광원
18A~18C 평면 미러(제1 반사 미러)
20A, 20B fθ 렌즈
22 편향기
24A~24D 실린드리컬 미러(제2 반사 미러)
26 다면경
28 회전 구동부
청구항1에 기재한 발명은, 복수의 광빔에 의하여 감광체 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화상을 중첩하여 1개의 다색 화상을 얻는 다색 화상 형성 장치에 이용되는 광학 주사 장치로서, 단일의 다면경 및 상기 다면경을 회전시키는 단일의 회전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다면경에 입사한 광빔을 주주사 방향으로 반사 편향하는 단일의 편향기와, 상기 다면경의 회전축과 교차하는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복수의 광빔을 상기 다면경에 대하여 입사시키는 복수의 광원과, 상기 다면경의 회전축과 교차하는 방향의 양측에 배치되고, 적어도 상기 다면경에서 반사 편향된 광빔을 투과하여 감광체 상에 스팟 형상으로 결상시키는 2조의 fθ 렌즈를 갖고, 상기 다면경의 회전축과 교차하는 방향의 양측에서 복수의 광빔이 입출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다음에 청구항1에 기재한 광학 주사 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청구항1에 기재한 광학 주사 장치에서는 다면경을 회전 구동부에 의하여 등각속도로 회전함으로써 다면경에 입사한 광빔을 주주사 방향으로 반사 편향할 수 있다.
다면경에서 반사 편향한 광빔은 fθ 렌즈를 투과함으로써 감광체 상에서 소정의 크기의 스팟으로 수속됨과 동시에 대략 등속도로 주사된다.
여기서 광빔을 주주사 방향과 대응하는 방향으로 등각속도로 편향하는 편향기의 수를 최소한 1개로 함과 동시에, 편향기에 포함되는 다면경의 수도 최소한 1개로 하고, 또한 광빔을 소정의 크기로 수속하고 또한 광빔의 스팟을 대략 등속도로 주사하기 위한 fθ 렌즈를 2조로 하고 있으므로, 광빔마다 다면경 및 fθ 렌즈를 구비한 종래의 장치보다도 부품 점수를 적게 구성할 수 있어 저비용을 달성할수 있다.
청구항2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1에 기재한 광학 주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면경에 입사하는 상기 복수의 광빔은 상기 양측의 각 측에서 부주사 방향의 입사각도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다음에 청구항2에 기재한 광학 주사 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청구항2에 기재한 광학 주사 장치에서는 다른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복수의 광빔이 각 측에서 부주사 방향으로 다른 각도로 입사한다. 이 때문에 다른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복수의 광빔은 다면경으로 반사되지만, 이들 복수의 광빔은 각 측에서 부주사 방향과도 다른 각도로 반사하고, 다면경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광빔과 광빔의 간격이 넓어져 간다.
청구항3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1 또는 청구항2에 기재한 광학 주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면경에 입사하는 양측의 복수의 광빔이 부주사 방향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다면경의 회전축에 직교하는 평면에 대하여 각도를 갖고서 입사하는 경우, 상기 양측의 각 측에서 상기 평면과 이루는 입사각이 큰 광빔이 상기 다면경에 입사하는 입사점은, 상기 평면과 이루는 입사각이 작은 광빔이 상기 다면경에 입사하는 입사점보다도 상기 부주사 방향의 일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다음에 청구항3에 기재한 광학 주사 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미리 다면경 상에서 각 광빔 간의 부주사 방향 간격을 확보하고 있으므로, 다면경에 의하여 반사된 광빔 간격이 다면경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넓어짐과 동시에 fθ 렌즈를 통과한 후의 각 광빔의 간격이 가일층 넓어진다.
청구항4에 기재한 발명은, 복수의 광빔에 의하여 감광체 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화상을 중첩하여 1개의 다색 화상을 얻는 다색 화상 형성 장치에 이용되는 광학 주사 장치로서, 1 또는 2개의 다면경 및 상기 다면경을 회전시키는 단일의 회전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다면경에 입사한 광빔을 주주사 방향으로 반사 편향하는 단일의 편향기와, 상기 다면경의 회전축과 교차하는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복수의 광빔을 상기 다면경에 대하여 입사시키는 복수의 광원과, 상기 다면경의 회전축과 교차하는 방향의 양측에 배치되고, 적어도 상기 다면경에서 반사 편향된 광빔을 투과하여 감광체 상에 스팟 형상으로 결상시키는 2조 또는 4조의 fθ 렌즈와, 상기 fθ 렌즈를 투과한 복수의 반사 편향된 광빔을 상기 회전축의 일방향 측으로 되돌려지는 복수의 제1 반사 미러와, 상기 회전축의 일방향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반사 미러에서 반사된 광빔을 상기 회전축의 타방향 측에 배치된 감광체를 향해서 반사하는 제2 반사 미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다음에 청구항4에 기재한 광학 주사 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청구항4에 기재한 광학 주사 장치에서는 다면경을 회전 구동부에 의하여 등각속도로 회전함으로써 다면경에 입사한 광빔을 주주사 방향으로 반사 편향할 수 있다.
다면경에서 반사 편향한 광빔은 fθ 렌즈를 투과함으로써 감광체 상에서 소정의 크기의 스팟으로 수속됨과 동시에 대략 등속도로 주사된다.
여기서, 광빔을 주주사 방향과 대응하는 방향으로 등각속도로 편향하는 편향기의 수를 1개로 함과 동시에, 편향기에 포함되는 다면경의 수도 1 또는 2개로 하고, 또한 광빔을 소정의 크기로 수속하고 또한 광빔의 스팟을 대략 등속도로 주사하기 위한 fθ 렌즈를 2조 또는 4조(다면경의 수가 2개인 경우)로 하고 있으므로, 광빔마다 다면경 및 fθ 렌즈를 구비한 종래의 장치보다도 부품 점수를 적게 구성할 수 있어 저비용을 달성할 수 있다.
특히, 다면경의 회전축과 교차하는 방향의 양측에 광학계를 배치하는 경우에는 효과적이다.
또 단일의 편향기로 편향된 각각의 광빔이 제1 반사 미러에 의하여 회전축의 일방향 측으로 되돌려지고, 또한 제2 반사 미러에 의하여 회전축의 타방향 측에 배치된 감광체를 향해서 반사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으므로, 광로가 장치 양측(다면경에 광빔이 입출사하는 측)으로 뻗지 않아 다면경의 회전축과 교차하는 방향의 장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청구항5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4에 기재한 광학 주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 미러는 fθ 렌즈를 투과한 복수의 반사 편향된 적어도 1개의 광빔을 상기 회전축의 일방향측으로 또한 상기 회전 다면경을 건너지르는 방향으로 되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다음에 청구항5에 기재한 광학 주사 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청구항5에 기재한 광학 주사 장치에서는 단일의 편향기로 편향된 복수의 광빔의 적어도 1개가 제1 반사 미러에 의하여 회전축의 일방향측으로, 또한 회전 다면경을 건너지르는 방향으로 되돌려진다. 광빔이 회전 다면경을 건너지르는 방향으로 되돌려지므로, 다면경의 회전축과 교차하는 방향의 장치 치수를 억제하면서 장치 내에서 광로를 더욱 연장할 수 있다.
청구항6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4 또는 청구항5에 기재한 광학 주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 구동부는 상기 다면경의 감광체측과는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다음에 청구항6에 기재한 광학 주사 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청구항6에 기재한 광학 주사 장치에서는 회전 구동부가 다면경에 대하여 제1 반사 미러에 의하여 되돌려진 광빔이 통과하는 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회전 구동부가 다면경의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크기 만큼 장치의 축방향의 치수도 작게 할 수 있다.
청구항7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4~ 청구항6의 어느 1항에 기재한 광학 주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fθ 렌즈는 상기 제2 반사 미러와 감광체 간에 배치되어 있고, 제2 반사 미러에서 반사된 광빔은 상기 fθ 렌즈의 근방을 상기 fθ 렌즈의 광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통과하여 상기 감광체에 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다음에 청구항7에 기재한 광학 주사 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청구항7에 기재한 광학 주사 장치에서는 제2 반사 미러에서 반사된 각각의 광빔은 fθ 렌즈의 근방을 fθ 렌즈의 광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통과하여 감광체에 도달한다.
즉 장치 내부를 재차 통과(횡단)하게 되기 때문에, 역방향으로 반사되는 타입의 장치와 비교하여 장치의 축방향 치수를 작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장치와 감광체를 접근시킬 수 있다.
청구항8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1~ 청구항7의 어느 1항에 기재한 광학 주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fθ 렌즈는 상기 다면경에 입사하는 광빔과, 상기 다면경에 의하여 반사 편향된 광빔을 투과함과 동시에, 상기 반사 편향된 광빔이 이루는 주사각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다면경에 광빔이 입사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다면경에 입사하는 광빔은 주주사 방향의 폭이 다면경의 회전 방향측의 면폭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다음에 청구항8에 기재한 광학 주사 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청구항8에 기재한 광학 주사 장치에서는 다면경에 입사시키는 광빔과 다면경에서 반사 편향된 광빔이 함께 fθ 렌즈를 투과하고, 또한 반사 편향된 광빔이 이루는 주사 각도의 중심에서 다면경에 광빔을 입사시키도록 했으므로, 종래의 다면경의 기울기(주사 각도의 중심으로 대하여)로부터 광빔이 입사되는 타입의 장치와 비교하여 다면경을 작게 할 수 있고, 또한 감광체 상의 광빔의 스팟 지름의 균일성 등의 광학 성능의 좌우 대칭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면경에 입사시키는 광빔과 다면경에서 반사 편향된 광빔이 함께 fθ 렌즈를 투과하고, 또한 반사 편향된 광빔이 이루는 주사 각도의 중심으로부터 다면경에 광빔을 입사시키는 광학계는 정면 입사ㆍ더블 패스 광학계라고 불리고 있다.
또 다면경에 입사하는 광빔의 주주사 방향의 폭을 다면경의 회전 방향측의 반사면의 면폭보다 크게 한, 소위 오버 필드 타입으로 함으로써 다면경의 면폭을 작게 할 수 있고, 면수가 증가하여도 다면경의 대직경화를 회피할 수 있으며, 경량화 및 관성 모멘트의 소화에 의하여 고속 회전에 대응이 가능해진다.
청구항9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8에 기재한 광학 주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fθ 렌즈는 주주사 방향으로만 파워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다음에 청구항9에 기재한 광학 주사 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면 입사ㆍ 더블 패스 광학계에서는 종래의 부주사 방향(도 7의 화살표A방향)에도 파워를 갖는 fθ 렌즈계(150)를 다면경(152)의 정면에 배치한 경우, 광빔(LB)이 부주사 방향으로도 굴절되므로, 광원(반도체 레이저)(152)을 fθ 렌즈계(150)의 광축(CL)으로부터 비교적 떨어진 위치에 배치하여야만 한다.
이에 반해, 청구항9에 기재한 발명에서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fθ 렌즈계(154)는 부주사 방향(화살표A방향)으로 파워를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다면경(152)에 대하여 광빔(LB)은 일직선으로 입사하고, 일직선으로 출사한다.
따라서 청구항9에 기재한 발명의 장치에서는 도 7에 나타내는 종래예와 비교하여 광원(152)을 fθ 렌즈계(154)의 광축(CL)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할 수 있고, 또 fθ 렌즈계(154)의 편평화도 가능해지기 때문에, 장치 전체의 편평화에 기여할 수 있다.
청구항10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1~ 청구항9의 어느 1항에 기재한 광학 주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fθ 렌즈, 제1 반사 미러 및 제2 반사 미러를 연직 방향으로 배열하고, 연직 방향으로 배열한 복수의 감광체의 측면에 광빔을 입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10에 기재한 광학 주사 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청구항10에 기재한 광학 주사 장치에서는 복수의 fθ 렌즈, 제1 반사 미러 및 제2 반사 미러를 연직 방향으로 배열하고, 편향한 광빔을 연직 방향으로 배열한 복수의 감광체의 측면에 입사시키므로, 장치의 횡폭(수평 방향의 치수)을 짧게 할 수 있다.
청구항11에 기재한 광학 주사 장치는, 다면경 및 다면경을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다면경에 입사한 광빔을 주주사 방향으로 반사 편향하는 편향기와, 광빔을 상기 다면경에 대하여 입사시키는 적어도 1개의 광원과, 상기 다면경의 회전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적어도 상기 다면경에서 반사 편향된 광빔을 투과하여 감광체 상에 스팟 형상으로 결상시키는 fθ 렌즈와, 상기 편향기, 광원 및 fθ 렌즈를 장착하는 장착면을 갖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의 장착면은 수평 방향과는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다음에 청구항11에 기재한 광학 주사 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청구항11에 기재한 광학 주사 장치에서는 다면경을 회전 구동부에 의하여 등각속도로 회전시킴으로써 다면경에 입사된 광빔을 주주사 방향으로 반사 편향시킬 수 있다.
다면경에서 반사 편향된 광빔은 fθ 렌즈를 투과함으로써 감광체 상에서 소정의 크기의 스팟으로 수속됨과 동시에, 대략 등속도로 주사된다.
여기서 편향기, 광원 및 fθ 렌즈는 하우징의 장착면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하우징의 장착면은 수평 방향과는 교차하는 방향, 즉 연직 방향이나 수평 방향에 대하여 경사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광학 주사 장치의 수평 방향의 치수를 짧게 할 수 있고, 광학 주사 장치를 이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수평 방향의 치수를 짧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단일의 감광체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이용한 경우에는 광원을 1개로 하고, 광빔의 수를 1개로 하여도 좋지만, 복수의 감광체를 구비하는 다색의 화상 형성 장치에 이용하는 경우에는 감광체의 수에 따라 광원을 다수 설치하고, 복수의 광빔을 1개의 다면경에서 반사 편향하여도 좋다. 이 경우 다면경의 회전축과 교차하는 방향의 양측에서 복수의 광빔을 입출사하게 하여도 좋다. 또 광빔의 수에 따라 fθ 렌즈를 복수 설치하여도 좋다.
(실시예)
본 발명의 광학 주사 장치의 1 실시예를 도 1~ 도 4를 따라 설명한다.
도 1~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광학 주사 장치(10)는 하우징(12), 광원(14A, 14B, 14C, 14D), 평면 미러(16A, 16B), 평면 미러(17A, 17B), 평면 미러(18A, 18B, 18C, 18D), fθ 렌즈계(20A, 20B), 편향기(22), 실린드리컬 미러(24A, 24B, 24C, 24D)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fθ 렌즈계(20A, 20B)는 각각 fθ 렌즈(21)와 fθ 렌즈(23)로 구성되어 있다.
이 광학 주사 장치(10)의 화살표 R 방향 측에는 다색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 부품인 시안(C)용의 감광체(38A), 마젠타(M)용의 감광체(38B), 옐로우(Y)용의 감광체(38C), 블랙(K)용의 감광체(38D)가 연직 방향(화살표 U방향 및 화살표 D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편향기(22)는 다면경(26)을 구비하고 있고 다면경(26)의 화살표 L 방향측에는 다면경(26)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구동부(28)가 설치되어 있다.
편향기(22)는 하우징(12)의 중앙에 회전축(S)이 수평 방향(화살표 L 방향 및 화살표 R 방향)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편향기(22)의 상측에 각각 fθ 렌즈계(20A), 평면 미러(18A, 18B), 평면 미러(17A)가 배치되어 있고, 편향기(22)의 하측에 fθ 렌즈계(20B), 평면 미러(18C, 18D), 평면 미러(17B)가 배치되어 있다.
또 fθ 렌즈계(20A)의 화살표 L 방향측에는 실린드리컬 미러(24A, 24B)가 배치되어 있고, fθ 렌즈계(20B)의 화살표 L 방향측에는 실린드리컬 미러(24C, 24D)가 배치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 미러(17A)의 화살표 B방향에는 광원(14A)이 배치되어 있고, 광원(14A)의 화살표 L 방향측에는 평면 미러(16A) 및 광원(14B)이 배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평면 미러(17B)의 화살표 B방향에는 광원(14D)이 배치되어 있고, 광원(14D)의 화살표 L 방향측에는 평면 미러(16B) 및 광원(14C)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1에서 광원(14A~14C)의 위치는 설명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서 굳이 다른 위치에 기재하고 있다.
광원(14A~14D)은 각각 광빔을 출사하는 반도체 레이저(30), 입사한 광빔을 평행 광속으로 하는 콜리메이터 렌즈(32), 빔폭을 정형하는 슬릿(34), 광빔을 주주사 방향 및 부주사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발산한 광속으로 하는 실린드리컬 렌즈(36)를 구비하고 있다.
광원(14A~14D)은 주주사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에서의 확대각이 부주사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에서의 확대각보다도 큰 확산광인 광빔을 조사한다.
반도체 레이저(30)는 콜리메이터 렌즈(32)의 초점 위치보다도 내측에 배치되어 있고, 반도체 레이저(30)로부터 출사된 광빔은 콜리메이터 렌즈(32)에 의해서 부주사 방향 및 주주사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완만한 발산광으로 된다.
완만한 발산광으로 된 광빔은 슬릿(34)에 의하여 부주사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의 빔폭이 제한된다(또한 본 실시예는 오버 필드 광학계이므로, 주주사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의 빔폭은 다면경(26)의 편향면(26A)의 면폭(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폭)으로 제한된다.).
슬릿(34)을 통과한 광빔은 실린드리컬 렌즈(36)에 의해서 부주사 방향에 대응한 방향에서만 수속하는 수속광으로 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면경(26)에는 상하 양측으로부터 각각 2개씩의 광빔, 즉 상측으로부터 광빔(14Aa, 14Ba), 하측으로부터 광빔(14Ca, 14Da)이 입사되고 있다.
다음에 광빔(14Aa) 및 광빔(14Ba)에 대해서 설명한다.
광원(14A)으로부터 출사한 광빔(14Aa) 및 광원(14B)으로부터 출사한 광빔(14Ba)은 주주사 방향에 대응하는 편향에만 파워를 갖는 fθ 렌즈계(20A)를 투과하여 다면경(26)의 편향면(26A)에 입사한다.
편향면(26A)에 입사된 광빔(14Aa, 14Ba)은 부주사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에서 이 편향면(26A)의 표면 근방에 수속한다.
이 때, 각 편향면(26A)의 면폭은 광빔(14Aa, 14Ba)의 주주사 방향에 대응한 방향의 폭보다도 작기 때문에, 이들 광빔(14Aa, 14Ba)은 다면경(26)의 표면에서 복수의 편향면(26A)에 걸치는 가늘고 긴 선상(線像)으로 된다.
광빔(14Aa, 14Ba)은 주주사 방향으로 긴 선상 중, 편향면(26A)의 일면에 조사하고 있는 것만이 반사 편향되어 다시 fθ 렌즈계(20A)에 입사한다(소위 오버 필드 광학계가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fθ 렌즈계(20A)를 투과한 광빔(14Aa)은 평면 미러(18A)에서 편향기(22)의 화살표 L 방향측으로 경사지게 반사된 후, 실린드리컬 미러(24C)에 도달하고, 실린드리컬 미러(24C)에서 화살표 R 방향측의 감광체(38C)를 향해서 수평 방향으로 반사된다. 그리고 fθ 렌즈계(20A)에 입사한 광빔(14Aa)은 이 fθ 렌즈계(20A)의 주주사 방향에 대응한 방향의 파워에 의해서 주주사 방향에서 감광체(38C)의 표면 근방에 결상된다.
한편, fθ 렌즈계(20A)를 투과한 광빔(14Ba)은 평면 미러(18B)에서 편향기(22)의 화살표 L 방향측으로 비스듬하게 반사된 후, 실린드리컬 미러(24D)에 도달하고, 실린드리컬 미러(24D)에서 화살표 R 방향측의 감광체(38D)를 향해서 수평 방향으로 반사된다. 그리고 fθ 렌즈계(20A)에 입사한 광빔(14Ba)은 이 fθ 렌즈계(20A)의 주주사 방향에 대응한 방향의 파워에 의해서 주주사 방향에서 감광체(38D)의 표면 근방에 결상된다.
이 때, 광빔(14Aa)은 부주사 방향에서는 실린드리컬 렌즈(36)와 실린드리컬 미러(24C)에 의한 작용, 주주사 방향에서는 fθ 렌즈계(20A)의 작용의 각각 작용에 의하여 감광체(38C)의 표면 근방에 수속되고, 감광체(38C)의 표면에 소정의 지름의 스팟으로서 조사되고, 또 fθ 렌즈계(20A)의 작용에 의해서 감광체(38C)의 표면에 주주사 방향으로 대략 등속도로 주사된다. 마찬가지로, 광빔(14Ba)은 부주사 방향에서는 실린드리컬 렌즈(36)와 실린드리컬 미러(24D)에 의한 작용, 주주사 방향에서는 fθ 렌즈계(20A)의 작용의 각각 작용에 의하여 감광체(38D)의 표면 근방에 수속되고, 감광체(38D)의 표면에 소정의 지름의 스팟으로서 조사되며, 또 fθ 렌즈계(20A)의 작용에 의해서 감광체(38D)의 표면을 주주사 방향으로 대략 등속도로 주사된다.
또한 실린드리컬 미러(24D)는 부주사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에만 파워를 갖고 있고, 다면경(26)의 각 편향면(26A)의 면 경사에 의하여 발생하는 감광체(38D)의 표면 상에서의 스팟의 부주사 방향의 위치 편차를 작게 하도록 작용하고, 마찬가지로 실린드리컬 미러(24C)는 부주사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만 파워를 갖고 있고, 다면경(26)의 각 편향면(26A)의 면 경사에 의하여 발생하는 감광체(38C)의 표면 상에서의 스팟의 부주사 방향의 위치 편차를 작게 하도록 작용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광학계에서는 도 4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또한 도 4에 있어서, 광원(14A, 14B)과 다면경(26) 간의 광학 부품은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다면경(26)의 한쪽 편(여기서는 상측)에 입사하는 2개의 광빔(14Aa, 14Ba)은 각각 다면경(26)의 두께 방향 중심을 지나 회전축(S)과 직교하는 가상 평면(M)보다도 화살표 L 방향측으로부터 입사하고, 또 부주사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의 입사각(θ)(다면경(26)의 회전축(S)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대한 각도)이 다르게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광원(14B)으로부터 출사한 광빔(14Ba)의 입사각이 광원(14A)으로부터 출사한 광빔(14Aa)의 입사각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 그리고 입사각(θ)이 작은 광빔(14Aa)의 다면경(26)에서의 입사점은 입사각(θ)이 큰 광빔(14Ba)의 다면경(26)에서의 입사점보다도 다면경(26)의 광빔 입사측, 즉 화살표 L 방향 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광원(14C, 14D), 평면 미러(16B), 평면 미러(18C, 18D), fθ 렌즈계(20B) 및 실린드리컬 미러(24A, 24B)는 도 1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술한 광원(14A, 14B), 평면 미러(16A), 평면 미러(18A, 18B), fθ 렌즈계(20A) 및 실린드리컬 미러(24C, 24D)와는 편향기(22)의 회전축(S)을 사이에 두고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광원(14C)을 출사한 광빔(14Ca) 및 광원(14D)을 출사한 광빔(14Ca)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덧붙여서 광원(14C)을 출사한 광빔(14Ca)은 감광체(38A), 광원(14D)을 출사한 광빔(14Da)은 감광체(38B)에 입사한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광학 주사 장치(10)의 작용을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광원(14A)으로부터 출사한 광빔(14Aa)은 감광체(38C), 광원(14B)으로부터 출사한 광빔(14Ba)은 감광체(38D)에 입사하여 감광체 표면에 잠상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광빔을 주주사 방향과 대응하는 방향으로 등각속도로 편향하는 편향기(22)의 수를 최소한 1개로 함과 동시에, 편향기(22)에 이용하는 다면경(26)의 수도 최소한 1개로 하고, 또한 4개의 광빔을 소정의 크기로 수속하고 또한 광빔의 스팟을 대략 등속도로 주사하기 위한 fθ 렌즈계를 fθ 렌즈(20A) 및 fθ 렌즈(20B)의 2조로 하고 있으므로, 종래보다도 부품 점수를 적게 구성할 수 있어 저비용을 달성할 수 있다.
또 광원(14A)으로부터 출사한 광빔(14Aa)과 광원(14B)으로부터 출사한 광빔(14Ba)을 다면경(26)에 대하여 부주사 방향으로 다른 각도에서 입사시키고, 마찬가지로 광원(14C)으로부터 출사한 광빔(14Ca)과 광원(14D)으로부터 출사한 광빔(14Da)을 다면경(26)에 대하여 부주사 방향으로 다른 각도에서 입사시키고 있으므로, 광원(14A~14D)의 배치에 자유도를 가지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다면경(26) 및 fθ 렌즈(20A, B)의 부주사 방향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만일 광원(14A)으로부터 출사한 광빔(14Aa)과 광원(14B)으로부터 출사한 광빔(14Ba)을 다면경(26)에 대하여 부주사 방향으로 동일한 각도에서 입사시킨 경우에는 광빔(14Aa)과 광빔(14Ba)을 부주사 방향으로 멀어지게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광원(14A) 및 광원(14B)의 배치에 제약이 발생하고, 또 광빔(14Aa)과 광빔(14Ba)을 부주사 방향으로 멀어지게 하는 만큼 다면경(26) 및 fθ 렌즈(20A)의 부주사 방향의 두께가 두껍게 되어 버린다.
또 광빔(14Aa)과 광빔(14Ba)을 부주사 방향으로 다른 각도에서 입사시키면, 다면경(26)에서 반사된 광빔(14Aa)과 광빔(14Ba)의 간격이 다면경(26)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넓어지기 때문에, fθ 렌즈(20A)를 통과한 후의 광빔(14Aa) 및 광빔(14Ba)에 대하여 평면 미러(18A, 18B) 등의 광학 부품을 배치하기 쉽게 된다. 또한 이것은 광빔(14Ca)과 광빔(14Da)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예를 들면 만일 광빔(14Aa)과 광빔(14Ba)을 부주사 방향으로 동일한 각도에서 입사시키면, 다면경(26)에서 반사된 광빔(14Aa)과 광빔(14Ba)의 간격은 바뀌지 않기 때문에, 미리 빔 간격을 넓게 취하여 두지 않으면 fθ 렌즈(20A)를 통과한 후의 광빔(14Aa) 및 광빔(14Ba)에 대하여 배치하는 평면 미러(18A, 18B) 등의 광학 부품이 서로 간섭하여 버린다. 또한 이것은 광빔(14Ca)과 광빔(14Da)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부주사 방향의 입사각(θ)이 큰 광빔(14Ba)은 입사각(θ)이 작은 광빔(14Aa)보다도 다면경(26) 상에서는 광원(14A) 및 광원(14B)이 배치되어 있는 측의 반대측에 입사하는 구성으로 하고, 미리 다면경(26) 상에서 광빔(14Aa)과 광빔(14Ba)의 부주사 방향 간격을 확보하고, 또한 다면경(26)에 의하여 반사된 광빔(14Aa)과 광빔(14Ba)의 간격이 넓어져 가는 것에 맞추어 fθ 렌즈계(20A)를 투과한 후의 광빔(14Aa)과 광빔(14Ba)의 간격을 한층 확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fθ 렌즈계(20A, 20B)보다도 감광체측의 광로 상에 배치되는 광학 부품, 본 실시예에서는 평면 미러(18A~18C), 실린드리컬 미러(24A~24C)의 배치가 지극히 용이해진다.
또 fθ 렌즈계(20A)를 투과한 광빔(14Aa)과 광빔(14Ba)은 평면 미러(18A, 18B)에서 부주사 방향의 각도가 조정되고, 편향기(22)를 넘어 실린드리컬 미러(24C, 24D)에 도달하여, 실린드리컬 미러(24C, 24D)에서 반사된 광빔(14Aa)과 광빔(14Ba)은 fθ 렌즈계(20B)의 근방을 fθ 렌즈계(20B)를 건너지르도록 통과한다.
또 편향기(22)에서 편향 가능한 주사각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감광체(38A~38D) 상에서 소정의 주사폭(예를 들면, A4용의 용지폭, A3의 용지폭 등의 비교적 넓은 폭)을 확보하려고 하면 편향기(22)로부터 감광체(38A~38D)까지의 광로 길이를 길게 확보할 필요가 대두되지만, 광빔(14Aa)과 광빔(14Ba)은 장치 내를 횡단하도록 통과해서 적어도 장치 내부를 재차 통과(횡단)하는 만큼 광로 길이를 길게 잡으므로, 광학 주사 장치(10)의 축방향(S)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광학 주사 장치(10)와 감광체(38A~38D)를 근접 배치할 수 있다.
또 회전 구동부(28)가 다면경(26)에 대하여 평면 미러(18A~18C)에 의하여 반사 굴절된 광빔(14Aa, 14Ba, 14Ca, 14Da)이 통과되는 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회전 구동부(28)가 다면경(26)의 축방향(S)으로 돌출하는 크기 만큼 장치의 축방향(S)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광학 부품을 상하 방향으로 배열하여 광학 주사 장치(10)를 세로로 길게 했으므로, 다색 화상 형성 장치의 횡폭(수평 방향의 치수)을 작게 함으로써 작은 설치 스페이스에 다색 화상 형성 장치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부의 치수 등을 이하와 같이 하면, 복수의 광빔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화상(시안의 화상, 마젠타의 화상, 옐로우의 화상, 블랙의 화상)을 중첩하여 1개의 다색(컬러) 화상을 얻는 다색 화상 형성 장치에 이용하는 광학 주사 장치(10)를 저비용, 소형, 고성능인 것으로서 제공할 수 있다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다면경(26)으로의 광빔(14Ba, 14Ca)의 입사각 θ=2.7°
다면경(26)으로의 광빔(14Aa, 14Da)의 입사각 θ=1.2°
또 광빔(14Aa, 14Da)이 나아가는 궤적 상에서의 광학계의 레이아웃 및 각 부의 치수 등을 이하에 설명한다.
다면경(26)의 면수:12면
면다면경(26)의 지름(면간 내접경):19mm
다면경(26)의 부주사 방향 높이:6mm
다면경(26)과 fθ 렌즈(21)의 간격:11.3mm
fθ렌즈(21)의 다면경(26)측의 곡률 반경(주주사 방향만):127.97mm
fθ 렌즈(21)의 중심 두께:3mm
fθ 렌즈(21)의 다면경(26)로부터 먼 측의 곡률:∞
fθ 렌즈(21)의 굴절률:1.608851(파장=787nm)
fθ 렌즈(23)의 다면경(26)측의 곡률 반경:∞
fθ 렌즈(23)의 중심 두께:6.5mm
fθ 렌즈(23)의 다면경(26)으로부터 먼 측의 곡률 반경(주주사 방향만) : 94.96mm
fθ 렌즈(23)의 굴절률:1.711899(파장=787nm)
fθ 렌즈(23)와 평면 미러(18A, 18D)의 거리:46.6mm
평면 미러(18A)와 실린드리컬 미러(24C)의 거리, 및 평면 미러(18D)와 실린드리컬 미러(24B)의 거리:129.3mm
실린드리컬 미러(24B, 24C)의 반사면의 곡률 반경(부주사 방향만):187.1mm
실린드리컬 미러(24B, 24C)로의 입출사의 각도 θ:=68°
실린드리컬 미러(24B, 24C)와 감광체(38B, 38C)의 간격:119.8mm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광빔(14Aa, 14Ba, 14Ca, 14Da)을 평면 미러(18A~18C)에 의하여 되돌렸지만, 광빔(14Aa, 14Ba)을 1매의 평면 미러로 되돌리고, 마찬가지로 광빔(14Ca, 14Da)을 1매의 평면 미러로 되돌릴 수도 있다. 이에 의해서 광학 부품을 더욱 삭감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편향기(22)에는 다면경(26)이 1개밖에 설치되어 있지 않았지만, 더욱 광빔의 개수가 많은 경우 등에는, 경우에 따라서는 1개의 회전 구동부(28)에서 2개의 다면경(26)을 회전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추가한 다면경(26)의 양측에 fθ 렌즈계를 배치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광학 주사 장치에서는 광빔을 주주사 방향과 대응하는 방향으로 등각속도로 편향하는 편향기의 수를 최소한 1개로 함과 동시에, 편향기에 포함되는 다면경의 수도 최소한 1개로 하고, 또한 광빔을 소정의 크기로 수속하고 또한 광빔의 스팟을 대략 등속도로 주사하기 위한 fθ 렌즈를 2조로 하고 있어, 종래보다도 부품 점수를 적게 구성할 수 있고, 저비용을 달성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를 가진다.

Claims (11)

  1. 복수의 광빔에 의하여 감광체 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화상을 중첩하여 1개의 다색 화상을 얻는 다색 화상 형성 장치에 이용되는 광학 주사 장치로서,
    단일의 다면경 및 상기 다면경을 회전시키는 단일의 회전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다면경에 입사한 광빔을 주주사 방향으로 반사 편향하는 단일의 편향기와,
    상기 다면경의 회전축과 교차하는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복수의 광빔을 상기 다면경에 대하여 입사시키는 복수의 광원과,
    상기 다면경의 회전축과 교차하는 방향의 양측에 배치되고, 적어도 상기 다면경에서 반사 편향된 광빔을 투과하여 감광체 상에 스팟 형상으로 결상시키는 2조의 fθ 렌즈
    를 갖고,
    상기 다면경의 회전축과 교차하는 방향의 양측에서 복수의 광빔이 입출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주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면경에 입사하는 상기 복수의 광빔은 상기 양측의 각각의 측에서 부주사 방향의 입사각도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주사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면경에 입사하는 양측의 복수의 광빔이 부주사 방향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다면경의 회전축에 직교하는 평면에 대하여 각도를 갖고서 입사하는 경우,
    상기 양측의 각각의 측에서 상기 평면과 이루는 입사각이 큰 광빔이 상기 다면경에 입사하는 입사점은, 상기 평면과 이루는 입사각이 작은 광빔이 상기 다면경에 입사하는 입사점보다도 상기 부주사 방향의 일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주사 장치.
  4. 복수의 광빔에 의하여 감광체 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화상을 중첩하여 1개의 다색 화상을 얻는 다색 화상 형성 장치에 이용되는 광학 주사 장치로서,
    1 또는 2개의 다면경 및 상기 다면경을 회전시키는 단일의 회전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다면경에 입사한 광빔을 주주사 방향으로 반사 편향하는 단일의 편향기와,
    상기 다면경의 회전축과 교차하는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복수의 광빔을 상기 다면경에 대하여 입사시키는 복수의 광원과,
    상기 다면경의 회전축과 교차하는 방향의 양측에 배치되고, 적어도 상기 다면경에서 반사 편향된 광빔을 투과하여 감광체 상에 스팟 형상으로 결상시키는 2조 또는 4조의 fθ 렌즈와,
    상기 fθ 렌즈를 투과한 복수의 반사 편향된 광빔을 상기 회전축의 일방향 측으로 되돌리는 복수의 제1 반사 미러와,
    상기 회전축의 일방향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반사 미러에서 반사된 광빔을 상기 회전축의 타방향 측에 배치된 감광체를 향해서 반사하는 제2 반사 미러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주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 미러는 fθ 렌즈를 투과한 복수의 반사 편향된 적어도 1개의 광빔을 상기 회전축의 일방향 측으로 또한 상기 회전 다면경을 건너지르는 방향으로 되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주사 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구동부는 상기 다면경의 감광체 측과는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주사 장치.
  7.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fθ 렌즈는 상기 제2 반사 미러와 감광체 간에 배치되어 있고, 제2 반사 미러에서 반사된 광빔은 상기 fθ 렌즈의 근방을 상기 fθ 렌즈의 광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통과하여 상기 감광체에 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주사 장치.
  8. 제1항, 제2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fθ 렌즈는 상기 다면경에 입사하는 광빔과 상기 다면경에 의하여 반사 편향된 광빔을 투과함과 동시에, 상기 반사 편향된 광빔이 이루는 주사각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다면경에 광빔이 입사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다면경에 입사하는 광빔은 주주사 방향의 폭이 다면경의 회전 방향측의 면폭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주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fθ 렌즈는 주주사 방향으로만 파워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주사 장치.
  10. 제1항, 제2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fθ 렌즈, 제1 반사 미러 및 제2 반사 미러를 연직 방향으로 배열하고, 연직 방향으로 배열한 복수의 감광체의 측면에 광빔을 입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주사 장치.
  11. 다면경 및 다면경을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다면경에 입사한 광빔을 주주사 방향으로 반사 편향하는 편향기와,
    광빔을 상기 다면경에 대하여 입사시키는 적어도 1개의 광원과,
    상기 다면경의 회전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적어도 상기 다면경에서 반사 편향된 광빔을 투과하여 감광체 상에 스팟 형상으로 결상시키는 fθ 렌즈와,
    상기 편향기, 광원 및 fθ 렌즈를 장착하는 장착면을 갖는 하우징
    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의 장착면은 수평 방향과는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주사 장치.
KR10-1999-0044875A 1998-12-18 1999-10-16 광학 주사 장치 KR1003966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361358 1998-12-18
JP36135898A JP3233117B2 (ja) 1998-12-18 1998-12-18 光学走査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7538A KR20000047538A (ko) 2000-07-25
KR100396611B1 true KR100396611B1 (ko) 2003-09-02

Family

ID=18473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4875A KR100396611B1 (ko) 1998-12-18 1999-10-16 광학 주사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304360B1 (ko)
JP (1) JP3233117B2 (ko)
KR (1) KR1003966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84896B2 (en) * 2000-03-30 2006-08-01 Pentax Corporation Multi-beam scanning device
JP2002031772A (ja) * 2000-05-10 2002-01-31 Canon Inc 走査光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20020031980A (ko) * 2000-10-25 2002-05-03 윤종용 멀티빔 스캐닝 장치
US20030112316A1 (en) * 2001-11-27 2003-06-19 Seiko Epson Corporation Image forming apparatus
JP4120311B2 (ja) * 2002-08-09 2008-07-16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タンデム型のレーザー走査装置
KR100433432B1 (ko) 2002-09-19 2004-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레이저프린터의 광주사장치
JP4593886B2 (ja) * 2003-06-04 2010-12-08 キヤノン株式会社 光走査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2005326794A (ja) * 2003-11-20 2005-11-24 Ricoh Co Ltd 光走査装置と画像形成装置
JP2005331595A (ja) * 2004-05-18 2005-12-02 Canon Inc 光走査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4845448B2 (ja) * 2004-08-05 2011-12-28 キヤノン株式会社 光学走査装置
JP4654004B2 (ja) * 2004-11-12 2011-03-1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695901B2 (ja) * 2005-03-15 2011-06-08 キヤノン株式会社 走査光学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4819446B2 (ja) * 2005-09-02 2011-11-24 キヤノン株式会社 走査光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6091879A (ja) * 2005-09-16 2006-04-06 Fuji Xerox Co Ltd 光走査装置
JP2007199143A (ja) 2006-01-24 2007-08-09 Kyocera Mita Corp 光走査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7199142A (ja) 2006-01-24 2007-08-09 Kyocera Mita Corp 光走査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20090052945A1 (en) * 2006-07-10 2009-02-26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apparatus
WO2008041616A1 (fr) * 2006-10-02 2008-04-10 National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Dispositif optique de formation d'image à deux points
JP4591442B2 (ja) * 2006-12-28 2010-12-0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光走査装置
JP5063194B2 (ja) * 2007-05-31 2012-10-31 キヤノン株式会社 光走査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2010066679A (ja) * 2008-09-12 2010-03-25 Canon Inc 光走査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KR101747302B1 (ko) 2010-11-19 2017-06-14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광주사장치 및 이를 채용한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형성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4718A (ja) * 1995-12-15 1997-06-24 Hitachi Koki Co Ltd 光走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89420A (ja) 1986-02-17 1987-08-19 Ricoh Co Ltd レ−ザプリンタ
US5251055A (en) * 1989-03-23 1993-10-05 Canon Kabushiki Kaisha Optical scanning apparatus
JPH03174507A (ja) * 1989-12-04 1991-07-29 Canon Inc 走査光学装置
JPH03264970A (ja) * 1990-03-15 1991-11-26 Ricoh Co Ltd レーザ書込装置
US5333008A (en) * 1992-10-22 1994-07-26 Xerox Corporation Imaging module mounting apparatus
JP3529454B2 (ja) * 1994-10-19 2004-05-24 株式会社東芝 光走査装置
JP3348551B2 (ja) * 1994-12-19 2002-11-2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光学走査装置
JP3104618B2 (ja) * 1996-05-10 2000-10-3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光学走査装置及び光学レンズ
JP3124741B2 (ja) * 1996-07-22 2001-01-15 株式会社リコー 多色画像形成装置の光走査装置
JP3622389B2 (ja) * 1996-12-25 2005-02-2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の駆動システム
JP3840723B2 (ja) * 1997-01-28 2006-11-0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光走査装置
JP3569412B2 (ja) * 1997-03-25 2004-09-22 株式会社リコー 多色画像形成装置の光走査装置
JPH1172727A (ja) * 1997-09-01 1999-03-16 Minolta Co Ltd 走査光学系及び走査光学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4718A (ja) * 1995-12-15 1997-06-24 Hitachi Koki Co Ltd 光走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180750A (ja) 2000-06-30
KR20000047538A (ko) 2000-07-25
US6304360B1 (en) 2001-10-16
JP3233117B2 (ja) 2001-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6611B1 (ko) 광학 주사 장치
JP3451473B2 (ja) マルチビーム走査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100856591B1 (ko) 주사광학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컬러화상형성장치
US20080068691A1 (en) Optical scann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507830B1 (ko) 광주사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화상형성장치
JP2001330788A (ja) マルチビーム走査装置・マルチビーム走査方法・マルチビーム走査における同期ビーム検出方法・画像形成装置
US7034973B2 (en) Scanning optical system, optical scann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6184750A (ja) 画像形成装置
US7321378B2 (en) Optical multi-beam scann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H1164754A (ja) マルチビーム走査装置
JPH09304720A (ja) 光学走査装置及び光学レンズ
KR101747302B1 (ko) 광주사장치 및 이를 채용한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형성장치
US7016092B2 (en) Optical scann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H07111509B2 (ja) 光走査装置
JP4715418B2 (ja) 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5173221A (ja) 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104633B2 (ja) 光学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7012723B2 (en) Optical scanning device and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7322876A (ja) 光走査装置、画像形成装置、光走査方法
JP2001311895A (ja) マルチビーム走査装置・マルチビーム走査方法・マルチビーム走査装置用の光源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20010002152A1 (en) Optical scanner assembly
JP2012145702A (ja) 光走査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0066679A (ja) 光走査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KR100503059B1 (ko) 회절 편향 빔 주사장치
JPH02129614A (ja) 光走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