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6012B1 - 열간 압연기 - Google Patents

열간 압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6012B1
KR100396012B1 KR10-2000-7004924A KR20007004924A KR100396012B1 KR 100396012 B1 KR100396012 B1 KR 100396012B1 KR 20007004924 A KR20007004924 A KR 20007004924A KR 100396012 B1 KR100396012 B1 KR 100396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ing mill
plate
roll
mill
hot ro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4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1851A (ko
Inventor
아다찌아끼오
다까하시마사노리
긱까와다네히로
다까오까신지
찌꾸시이찌로
Original Assignee
가와사끼 쥬고교 가부시끼 가이샤
가부시끼 가이샤 나까야마 세이꼬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와사끼 쥬고교 가부시끼 가이샤, 가부시끼 가이샤 나까야마 세이꼬쇼 filed Critical 가와사끼 쥬고교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31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18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6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60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22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 B21B1/24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in a continuous or semi-continuous process
    • B21B1/26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in a continuous or semi-continuous process by hot-rolling, e.g. Steckel hot mi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3/00Metal-rolling stands, i.e. an assembly composed of a stand frame, rolls, and accessories
    • B21B13/02Metal-rolling stands, i.e. an assembly composed of a stand frame, rolls, and accessories with axes of rolls arranged horizontally
    • B21B13/023Metal-rolling stands, i.e. an assembly composed of a stand frame, rolls, and accessories with axes of rolls arranged horizontally the axis of the rolls being other tha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product, e.g. cross-r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3/00Metal-rolling stands, i.e. an assembly composed of a stand frame, rolls, and accessories
    • B21B13/14Metal-rolling stands, i.e. an assembly composed of a stand frame, rolls, and accessories having counter-pressure devices acting on rolls to inhibit deflection of same under load; Back-up rolls
    • B21B13/142Metal-rolling stands, i.e. an assembly composed of a stand frame, rolls, and accessories having counter-pressure devices acting on rolls to inhibit deflection of same under load; Back-up rolls by axially shifting the rolls, e.g. rolls with tapered ends or with a curved contour for continuously-variable crown CV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5/00Arrangements for performing additional metal-working operation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2015/0057Coiling the rolled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67/00Roll parameters
    • B21B2267/02Roll dimensions
    • B21B2267/06Roll diameter
    • B21B2267/065Top and bottom roll have different diameters; Asymmetrical r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69/00Roll bending or shifting
    • B21B2269/12Axial shifting the rolls
    • B21B2269/14Work ro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73/00Path parameters
    • B21B2273/12End of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28Control of flatness or profile during rolling of strip, sheets or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28Control of flatness or profile during rolling of strip, sheets or plates
    • B21B37/44Control of flatness or profile during rolling of strip, sheets or plates using heating, lubricating or water-spray cooling of the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04Heating the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 Rolling (AREA)
  • Control Of Metal Rolling (AREA)

Abstract

열간 압연기의 마무리 압연기(30)를 전방단(31)과 후방단(32)으로 구분하고, 전방단(31)에 2 기 이상의 스탠드로 된 CVC 밀(31A, 31B)을 배치하는 동시에, 후방단(32)에 2 기 이상의 스탠드로 된 이경 롤 밀(32A, 32B)을 배치한다. 이에 의해, 두께가 1.2 mm 정도 이하인 얇은 판의 압연을 행할 때 크라운이나 엣지 드롭의 발생을 억제하고, 또한 판의 미단부에 교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원활하게 압연판의 제조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Description

열간 압연기{HOT ROLLING MILL}
열간 압연에 의해서 박판을 제조하는 경우, 판의 두께를 균일하게 하는 데에 아울러, 판의 미단부를 각 압연기에 원활하게 통과시키는 것이 중요한 과제이다. 롤에 의해서 판을 압연하는 경우, 판의 폭방향으로 중앙 부근이 두꺼워지는 크라운(본체 크라운)이나 판의 양단부(귀의 부분)에서 두께가 급격하게 감소하는 엣지 드롭이 발생하여 두께가 불균일해지기 쉬운 이외에, 특히 판두께가 얇은 경우에 판의 미단부가 절곡되어 압연기를 통과하는「교축」(Pincher)이라고 불리는 문제점이 자주 발생하기 때문이다. 상기 크라운이라 함은, 롤의 굽힘 변형에 기초하여 진폭의 중앙 부근이 두꺼워지는 현상이며, 엣지 드롭이라 함은, 롤의 판을 협지하는 부분(판에 압접하는 부분)과 협지하지 않는 부분(판의 폭의 외측 부분)의 경계선에 있어서 롤 주위면에 호형의 단차부가 형성되는 것에 기인하여 판의 양단부에 두께가 외측을 향하여 호형으로 감소하도록 급구배가 지는 현상이다. 또한, 교축이라 함은, 압연기 사이에서 장력이 부여되지 않아서 불안정해지는 판의 미단부가 측방의 가이드 등에 맞닿아 절곡되고, 절곡된 상태로 압연기의 롤 사이로 진입하는 현상이다. 크라운이나 엣지 드롭이 발생하면 판두께에 대한 치수 정밀도가 저하되고, 교축이 발생하면 롤에 흠집이 생겨서 그 롤을 재연마해야 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생산이 현저하게 지체되게 된다.
판의 미단부에 있어서의 교축은 판두께가 얇을수록 발생하기 쉽다. 그 이유는 판두께를 얇게 하기 위해서는 압하량이 많아지므로 압연 하중이 커지고, 판을 횡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는 힘도 그 양만큼 커지기 때문이며, 또한 압연기의 바로 전방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 등에 판이 맞닿았을 때, 그 단부가 절곡되기 쉽기 때문이다. 그로 인해, 열간 압연기에 있어서 현실적으로 압연 가능한 강판의 두께는 1.2 mm가 하한으로 되어 있었다.
교축의 발생을 방지하면서 두께 1.2 mm 정도 이하의 강판을 원활하게 열간 압연하기 위한 기술은, 일본 철강 협회 강연회 예비 원고집(CAMP-ISIJ VOL.10(1997)-1088)의「(280) 지바 3 H0T에 있어서의 무단 압연의 전체 개요」, 및 일본 특허 공개 평6-106207호 공보 등에 기재되어 있다. 이들 간행물에 기재된 기술은 마무리 압연기의 바로 전방에 있어서 판(시트 바아)의 미단부에 다음 판의 선단부를 접합함으로써, 장력을 받지 못하는 미단부의 부위수를 적게 하는 것이다. 또한, 이 경우, 미단부로 되는 것을 회피할 수 없는 부분에 대해서는 두께가 1.6 mm 이상으로 압연함으로써 교축의 발생을 방지한다.
상기 간행물에 기재된 기술에 의해서 박판을 원활하게 제조하려면, 종래의 열간 압연기에 비해 필요한 설비 비용이 상당히 상승한다. 왜냐하면, 단시간으로 판을 순조롭게 접합하는 특수한 접합 장치가 필요한 점이나 절단 장치 등의 추가에아울러, 열간 압연기의 라인 전체의 배치를 변경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미 설치되어 있는 열간 압연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상기의 기술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대폭적인 개조가 필요하며, 개조 공사의 기간이 장기화되어 조업을 장시간 정지하지 않을 수 없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수단만으로는 교축의 발생을 방지할 수는 있어도, 크라운이나 엣지 드롭이 판에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는 일은 곤란하다.
본 발명은 두께가 1.2 mm 정도 이하인 박판을 생산하는 경우에도 크라운이나 엣지 드롭의 발생을 억제하는 동시에, 미단부에 교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구성이 간단한 열간 압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두께가 균일한 박판(강판)을 원활하게 제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열간 압연기에 관한 것이다.
도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열간 압연기의 계통도이다.
도1b는 도1a에 있어서의 b-b선 화살표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으로서 CVC 밀의 요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1c는 도1b에 있어서 작업 롤이 축선 방향으로 변위하여 롤 갭이 변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d는 도1a에 있어서의 d 부분의 상세도이며 이경 롤 밀의 요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2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열간 압연기의 계통도이다.
도2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열간 압연기의 계통도이다.
도2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열간 압연기의 계통도이다.
도3은 페어 크로스 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4는 마무리 압연기의 입구측에서의 판의 온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박판의 열간 압연기는 전방단과 후방단에 의해 구성되는 마무리 압연기를 구비하고,
① 전방단이 2 기 이상의 스탠드로 된 CVC 밀 또는 페어 크로스 밀에 의해 구성되고,
② 후방단이 2 기 이상의 스탠드로 된 이경 롤 밀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①의 CVC 밀이라 함은, 축길이 방향으로 외경이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롤로서, 축길이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한 것(CVC 롤)을 포함하는 공지의 압연기를 의미한다. 또한, 페어 크로스 밀이라 함은, 한 쌍의 작업 롤과 백업 롤을 동시에 평행하지 않으며 중앙부 부근에서 가장 접근하는 크로스형으로 배치하여 상호의 위치 관계(각도 등)를 변경 가능하게 한 공지의 압연기를 의미한다. 이들 압연기는모두 롤 갭 형상의 변경 능력을 가진 것이다. 즉, CVC 밀의 경우는 상기와 같은 외경 변화를 갖는 CVC 롤을 축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또한 페어 크로스 밀의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크로스형으로 배치한 롤의 위치 관계를 변경함으로써 각각 롤 갭 형상을 변경할 수 있다. 게다가, 이와 같은 밀은 단순히 롤 벤딩을 행하는 등의 수단에 비해 롤 갭 형상의 변경 능력이 크다.
한편, 상기의 ②의 이경 롤 밀이라 함은, 한 쌍의 작업 롤에 대하여 직경이 동일하지 않고, 또한 대경의 작업 롤만이 회전 구동되는 압연기를 의미한다. 이경 롤 밀은 우선 한 쪽의 작업 롤이 소경이므로, 작은 압하력으로도 압하량을 크게 하기 쉬우며, 또한 대경의 작업 롤만을 구동함으로써 압연 재료에 전단력을 작용시킬 수 있는 점으로부터, 작업 롤의 직경이 모두 큰(동일 직경임) 일반 압연기와 비교하여 압하율을 크게 취하는 것이 용이하다. 그리고, 그로 인해 이경 롤 밀은 일반 압연기나 전방단 부분에 설치한 상기 ①의 압연기 등과 비교하여 그 압연 압력을 낮게 한 경우에도, 이들 각 압연기와 동등한 압하율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또한 스탠드 수가 적은 소형의 배치로 이루어진 경우에도 전술한 작용을 발휘하며, 게다가 충분한 압하율을 실현할 수 있다고도 할 수 있다. 또, 이경 롤 밀은 작업 롤의 직경이 모두 큰 일반적인 압연기에 경미한 개조(즉, 한 쪽의 롤을 소경의 것으로 변경하는 등)를 가하는 것만에 의해서도 구성될 수 있으므로, 유용할 수 있는 이미 설치되어 있는 압연기가 있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열간 압연기를 간단하고 또한 저비용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게 한다.
상기한 ① 및 ②의 배치를 갖는 본 발명의 열간 압연기에 의하면, 박판에 크라운이나 엣지 드롭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면서, 동시에 미단부에 교축이 발생하는 빈도를 저감할 수 있다. 이것은 하기의 a) 내지 c)의 작용에 의거한다.
a) 마무리 압연기 중 전방단의 ① 부분에 있어서 롤 갭 형상의 변경 제어를 행함으로써, 판에 발생하는 크라운을 억제할 수 있다. 판의 크라운은 압연기의 롤이 구부러짐으로써 진폭 방향(즉, 롤의 축길이 방향)으로 롤 갭이 불균일해짐으로써 발생하지만, ①의 압연기에 의해서 그 롤 갭을 적절하게 변경하여 제어하면 판의 크라운을 작게 하고, 또한 최적의 크라운을 갖는 판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롤 갭을 변경함에 따른 크라운의 제어는 판의 평탄도 등을 저하시키는 경우가 많지만, 이러한 제어를 마무리 압연기 중 전방단 부분에서 행하므로, 중간단 또는 후방단 부분에서 그 평탄도 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전방단 부분에서 이렇게 함으로써 크라운을 작게 해 두면, 후방단 부분 등에서는 이를 유지시키는 압연을 행하면 되며, 후술하는 이경 롤 압연의 조업을 안정된 것으로 할 수 있다.
b) 마무리 압연기 중 후방단의 ② 부분에 있어서 압연 압력이 낮은 압연을 행함으로써, 판의 미단부에 교축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교축은 장력이 부여되지 않는 판의 미단부가 가로(패스 라인의 우측 또는 좌측)로 흔들려서 압연기의 가이드 등에 맞닿음으로써 발생하는데, 조사의 결과, 압연 압력이 낮은 편이 미단부가 가로로 흔들리기 어렵다는 사실이 명백해졌다. 그 이유는, 압연하는 수단이 완전하게 좌우 대칭으로는 제조되지 못하는 데에 있다고 추측된다. 즉, 압연기나 압연롤이 엄밀하게는 좌우 대칭이 아닌 점에 기초하여 판에는 좌우의 어느 한 쪽을 향하는 비대칭의 힘이 작용한다고 생각되며, 그로 인해 압연 압력이 작을수록 판을 좌우로 향하게 하는 힘도 작아져서 미단부가 흔들리기 어려워지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이 압연기에서는 상당히 얇은 판을 압연할 때라도 미단부에 교축이 발생하는 문제가 일어나기 어렵다. 또한, 마무리 압연기에 있어서 판의 미단부가 가로로 흔들리는 양(진폭)은 후방단의 압연기에 있어서 일수록 확대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동압연기 중 후방단 부분에서 압연 압력이 낮은 압연을 행하는 것이 교축 방지에 관하여 효과적이다.
c) 역시 후방단의 ② 부분에 있어서 압연 압력이 낮은 압연을 행하므로, 엣지 드롭의 발생도 억제할 수 있다. 엣지 드롭은 롤의 판에 압접하는 부분과 판의 폭의 외측 부분의 경계선에 있어서 롤면에 호형의 단차부가 형성되는 것에 기인하여 발생하므로, 압연 압력을 낮게 하여 판에 압접하는 부분에서 롤에 발생하는 오목부를 얕게 함으로써 이를 작게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 열간 압연기에서는 상기 ①의 압연기(CVC 밀 또는 페어 크로스 밀)를 2 기 이상의 스탠드를 배치하므로 판의 크라운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데다가, ②의 압연기(이경 롤 밀)도 2 기 이상의 스탠드를 배치하므로 압연 압력을 현저하게 저하시킴으로써 교축 및 엣지 드롭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면서 필요한 압하율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열간 압연기에서는 상기에 부가하여, 상류측에 배치된 조압연기(의 최종 스탠드)와 상기한 마무리 압연기(의 최전방 스탠드) 사이에 판의 온도 강하를 방지하는 수단을 배치할 수 있다. 온도 강하를 방지하는 수단으로서는, 터널로나 시트 바아 권취·권출 장치, 시트 바아 히터 등이 있다.
마무리 압연기로 보내지기 전의 판은 마무리 압연기 출구측의 속도에 의해 결정되는 낮은 속도로 되므로, 체류 시간이 길고, 판의 후방(미단부 부근)이 됨에 따라서 온도가 강하되기 시작한다. 그리고, 마무리 압연기에 있어서도 후방단 부분으로 나아갈수록 그 판의 온도는 내려간다. 그러나, 이 열간 압연기에서는 판의 온도 강하를 방지하는 상기의 수단에 의해서, 마무리 압연기로 보내지기 전의 판에 대하여 온도를 유지시키며, 또한 해당 온도를 상승시킨다. 판의 온도가 충분히 높으면,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마무리 압연에 필요한 압연 압력이 낮아도 충분하다. 그로 인해, 상기 수단에 의해서 판의 온도 강하를 방지하는 이 열간 압연기에서는 마무리 압연(특히 그 후방단 부분)을 낮은 압연 압력에 의해서 행할 수 있다. 또한, 판의 선단부와 후방 단부의 온도를 같게 할 수 있으므로, 압연 하중의 변동도 없고, 안정된 압연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엣지 드롭이나 교축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a는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열간 압연기(A)를 전체적으로 도시하고, 도1b는 도1a에 도시한 열간 압연기(A)의 CVC 밀의 한 쌍의 작업 롤(31a, 31b)을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도1a의 b-b 화살표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 도1b에 있어서 작업 롤 외경의 변화는 과장하여 도시되어 있다. 도1c는 작업 롤이 축선 방향으로 변위하여 롤 갭이 변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1d는 도1a에 있어서의 열간 압연기(A)에서의 이경 롤 밀(32a, 32b)을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도1a에 있어서의 d 부분의 상세도).
이 열간 압연기(A)에는 다음과 같은 기기를 배치하고 있다. 우선, 가장 상류 부분(도1a의 좌측)에는 가열로(1)가 위치되고, 그에 이어서 조압연기(10)가 배치되어 있다. 가열로(1)는 재료로 하는 연속 주조편(슬래브)을 1200 ℃ 정도로까지 가열하는 수단이고, 조압연기(10)는 가열된 슬래브를 30 mm 전후의 두께로 압연한다. 조압연기(10)로서 도면에는 1 기의 스탠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복수 스탠드를 배치하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조압연기(10)의 하류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6 기의 스탠드로 된 마무리 압연기(30)가 배치되어 있으며, 그 끝에는 압연된 판의 권취기(4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열간 압연기(A)에서는 두께 1.2 mm 이하(특히, 1.0 mm 이하)의 얇은 강판이더라도 형상 정밀도가 높은 것을 원활하게 생산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마무리 압연기(30) 중 전방단(31)을 구성하는 3 기의 스탠드(31A, 31B, 31C)는 소위 CVC 밀(롤 직경이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밀)로 구성되어 있다. 즉, 이들은 도1a와 같이 작업 롤(31a, 31b)과 백업 롤(31c, 31d)로 이루어진 4중의 압연기로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스탠드의 작업 롤(31a, 31b)에는 도1b에 도시한 바와 같은 크라운(CVC, 즉 직경의 연속적 변화)을 갖게 하고 있다. 작업 롤(31a, 31b)은 도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시에 반대의 축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이동에 의해서 작업 롤(31a, 31b) 사이의 위치 관계를 조정하면, 그 사이의 롤 갭(판(x)에 접촉하는 부분)의 형상을 변경할 수 있다. 각 스탠드의 작업 롤(31a, 31b)에 대하여 또한 공지의 롤 벤더를 부설하는 것도 좋다.
마무리 압연기(30) 중 후방단(32)을 구성하는 3 기의 스탠드(32A, 32B, 32C)는 소위 이경 롤 밀로서 구성되어 있다. 즉, 이들은 도1a와 같이 작업 롤(32a, 32b)과 백업 롤(32c, 32d)로 이루어진 4중의 압연기로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스탠드의 작업 롤(32a, 32b)로서는 도1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경이 다른 것을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작업 롤(32a, 32b) 중 하부에 있는 대경의 롤(32b)만을 모터 등(도시 생략)으로 회전 구동하고, 상부의 소경의 롤(32a)은 회전 가능하게 하여 그것에 구동력이 걸리지 않게 하고 있다. 또한, 각 스탠드에는 공지의 작업 롤 벤더(도시 생략)를 부설하여, 작업 롤(32a, 32b)에 벤딩을 가한다. 이경 롤 밀로서의 이들 3 기의 스탠드(32A, 32B, 32C)는 한 쪽(상방)의 작업 롤(32a)이 소경인 점과, 다른 쪽(하방)의 작업 롤(32b)만을 구동하므로 판(x)에 전단력이 작용하는 점과, 상부 롤이 소경인 점에 의해서 비교적 낮은 압연 압력으로도 충분한 압하율로 압연을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열간 압연기(A)에서는, 우선 마무리 압연기(30) 중 전방단(31)의 3 기의 스탠드(31A, 31B, 31C)에 있어서, 도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 롤(31a, 31b)을 축방향으로 변위시키고, 각 CVC 롤의 롤 갭을 적절하게 변경시킴으로써 두께나 폭에 관계없이 판(x)의 크라운을 수정하여 최적의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이경 롤 밀인 후방단(32)의 3 기의 스탠드(32A, 32B, 32C)에 있어서 낮은 압연 압력의 압연을 행함으로써, 판(x)에 대하여 엣지 드롭을 적게 할 수 있다. 즉, 이들 6 기의 스탠드의 마무리 압연기(30)를 포함하는 열간 압연기(A)에 의해서 크라운과 엣지 드롭을 억제한 형상 정밀도가 높은 판을 생산할 수 있다. 종래의 열간 압연기에 의해서 두께 1.2 mm·폭 1220 mm의 강판을 압연하는 경우에는 판의 폭 단부(엣지)로부터 25 mm의 위치에 평균 약 50 ㎛의 크라운이 판에 발생했지만, 발명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이 압연기(A)로 두께 1.2 mm·폭 1220 mm의 강판 또는 두께 1.O mm·폭 1OOO mm의 강판을 생산하는 경우의 어떠한 상황에도, 엣지로부터 25 mm의 위치에서의 크라운의 평균값을 15 ㎛ 정도, 최대값을 30 ㎛ 정도로 할 수 있다.
이 압연기(A)에서는 동시에 후방단(32)의 3 기의 스탠드(32A, 32B, 32C)에 있어서 저압력의 압연을 행함으로써, 판(x)의 미단부에 교축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왜냐하면, 압연 압력을 낮게 함으로써 각 작업 롤(32a, 32b)이 판(x)에 미치게 되는 비대칭의(즉, 좌우 어느 한 쪽으로의) 힘을 억제하여 좌우로의 판의 흔들림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압연기(A)에서는 판(x)이 두께 1.2 mm 이하의 얇은 것이더라도, 교축의 발생 빈도를 억제하여 원활한 생산을 계속할 수 있다. 종래의 열간 압연기로 두께 1.2 mm·폭 1220 mm의 강판을 생산하는 경우에는 약 3 %(100회당 3회)의 빈도로 교축이 발생했지만, 발명자들의 시험에서는 이 압연기(A)에서의 교축의 발생 빈도를 상기 치수의 강판을 얻을 때 0.5 % 정도로, 또한 두께 1.0 mm·폭 1220 mm의 강판을 얻을 때 3 % 정도로 할 수 있다.
도2a, 도2b, 도2c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다. 우선, 도2a에 도시한 열간 압연기(B)는 조압연기(10)의 최종 스탠드와 마무리 압연기(30)의 제1 스탠드(31A) 사이에 터널로(21)를 설치한 것이다. 터널로(21)는 판의 패스 라인을 따른 터널형의 노이며, 내부에 배치한 도시하지 않은 가열 수단(버너 등)에 의해서 판을 가열할 수 있다. 조압연기(10)의 최종 스탠드와 마무리 압연기(30)의 제1 스탠드(31A) 사이에서는 판의 이송 속도에 차이가 있고(전자에서의 속도가 후자의 속도를 상회함), 전자를 빠져 나온 판은 마무리 압연기(30)의 출구측 속도에 의해 결정되는 낮은 속도로 압연되므로, 마무리 압연기(30)의 입구측 온도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단부를 향해 저하되어 간다. 그 온도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서터널로(21)를 설치하는 것이다. 이에 의해 판의 온도 저하를 방지함으로써, 그렇게 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마무리 압연에 필요한 압연 압력을 낮게 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압연 압력을 낮게 할 수 있고, 또한 선단부와 미단부의 압연 압력을 대략 동일하게 할 수 있으므로, 마무리 압연기(30)의 각 스탠드, 특히 후방단(32)의 이경 롤 밀(32A, 32B, 32C)에 있어서의 압연 압력을 상당히 낮게 설정할 수 있으며, 엣지 드롭 및 교축의 발생을 한층 더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판의 미단부는 통상적으로 가장 온도 강하폭이 크므로, 터널로(21)가 교축의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가 크며, 이 열간 압연기(B)에서는(또한, 후술하는 열간 압연기(C, D)에서도 마찬가지임) 전술한 열간 압연기(A)의 경우보다도 한층 더 교축의 발생 빈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또, 이 열간 압연기(B)에서는 도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무리 압연기(30)로서 합계 7 기의 스탠드를 배치하고 있다. 즉, 후방단(32)의 3 기의 스탠드(32A, 32B, 32C)를 이경 롤 밀로 한 것은 도1a의 열간 압연기(A)와 동일하지만, 도1b에 도시한 CVC 롤로 이루어진 전방단(31)을 4 기의 스탠드(31A, 31B, 31C, 31D)로 구성한 점에서 압연기(A)와 상이하다. 이와 같이, 마무리 압연기(30)에 있어서의 압연기(스탠드)의 수는 조압연기(10)의 스탠드 수와 마찬가지로, 판의 두께나 강의 종류, 생산 속도 등에 따라서 적절하게 변경하면 된다. 또한, 마무리 압연기(30) 중 전방단(31)의 스탠드의 적어도 일부를, 롤 갭 형상의 변경이 가능한 도3에 도시한 공지의 페어 크로스 밀(36)로 할 수 있다. 페어 크로스 밀(36)은 한 쌍의 작업 롤(36a, 36b)과 백업 롤(36c, 36d)을 동시에, 평행하지 않으며 중앙부 부근에서 가장 접근하는 크로스형(교차형)으로 배치하여 상호의 위치 관계(각도 등)를 변경 가능하게 한 압연기이다. 또, 후방단(32)의 스탠드를 CVC 롤을 포함하는 이경 롤 밀로 하거나 하는 일 등도, 발명의 범위내에 있어서의 설계 변경으로서 적절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변경이 가능한 것은 도2b, 도2c에 도시한 하기의 열간 압연기(C, D) 및 도1a의 열간 압연기(A)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도2b의 열간 압연기(C)에서는 조압연기(10)의 최종 스탠드와 마무리 압연기(30)의 최전방 스탠드(31A) 사이에 시트 바아의 권취·권출 장치(22)를 설치하고 있다. 권취·권출 장치(22)는 판(시트 바아)의 권취와 되감기를 행하는 장치이며, 예를 들어 Steltech Ltd.(캐나다)가 Coilbox의 상품명으로 시판하고 있는 장치이다. 마무리 압연기(30)로 진입하기 전의 판이 상기와 같이 자주 온도 강하되는 것을 고려하여 긴 판을 코일형으로 권취함으로써 그 온도 강하를 적게 하고, 권취된 판을 다시 풀어내어 마무리 압연기(30)로 보내도록 한다. 이에 의해 판의 온도 강하를 작게 하면, 상기와 마찬가지로 마무리 압연에 필요한 압연 압력을 낮게 할 수 있고, 엣지 드롭이나 교축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2c에 도시한 열간 압연기(D)는 도1b의 권취·권출 장치(22)에 이어서 마무리 압연기(30)의 전방에 시트 바아 히터(23)를 설치한 것이다. 시트 바아 히터(23)는 판의 선단부와 미단부를 버너 등으로 가열하는 수단이며, 권취·권출 장치(22)에 있어서 코일로 했다고 해도 온도가 강하되기 쉬운 판의 선단부와 미단부에 대하여 온도 상승을 도모한다. 교축은 판의 미단부에 있어서 발생하는 현상이므로 이 시트 바아 히터(23)로 판의 미단부를 가열하면, 그 부분의 압연 압력을효과적으로 낮게 할 수 있고, 교축의 발생율을 대폭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박판의 열간 압연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즉,
1) 판에 크라운이나 엣지 드롭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면서, 동시에 미단부에 교축이 발생하는 빈도를 저감할 수 있다. 상당히 얇은 판이라도 교축이 발생하기 어려우므로, 예를 들어 두께가 1.2 mm 정도 이하인 박판에 대해서도 두께의 정밀도가 높은 것을 안정적으로 생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2) 특수한 기기·장치를 반드시 필요로 하지는 않으므로, 설비 비용이 낮은 이외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열간 압연기에 간단한 개조를 실시함으로써 단기간 내에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유용할 수 있는 이미 설치되어 있는 일반적인 압연기가 있는 경우에는, 경미한 개조를 가함으로써 매우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는 잇점도 있다.
3) 또, 조압연기와 마무리 압연기 사이에 판의 온도 강하를 방지하는 수단을 설치한 경우에는 엣지 드롭이나 교축이 발생하는 것을 한층 더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왜냐하면, 마무리 압연기로 보내지기 전의 판에 대하여 온도 강하를 방지함으로써, 마무리 압연을 한층 더 낮은 압연 압력에 의해 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Claims (14)

  1. 마무리 압연기(30)를 구비한 열간 압연기(A)에 있어서,
    마무리 압연기(30)는 전방단(31)과 후방단(32)을 갖고,
    상기 전방단(31)은 2 기 이상의 스탠드로 된 CVC 밀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후방단(32)은 2 기 이상의 스탠드로 된 이경 롤 밀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 압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경 롤 밀은 회전 구동되는 대경 롤(32b)과,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소경 롤(32a)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 압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경 롤(32b)은 하부 롤이고, 상기 소경 롤(32a)은 상부 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 압연기.
  4. 제1항에 있어서, 마무리 압연기(30)의 상류측에 조압연기(10)를 구비하고, 이 조압연기(10)와 마무리 압연기(30) 사이에 판의 온도 강하를 방지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 압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판의 온도 강하를 방지하는 수단은 가열 수단을 갖고 또한 내부에 판을 통과시키는 터널로(2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 압연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판의 온도 강하를 방지하는 수단은 판의 권취·권출 장치(2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 압연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판의 온도 강하를 방지하는 수단은 판의 선단부와 미단부를 가열하는 히터(2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 압연기.
  8. 마무리 압연기(30)를 구비한 열간 압연기(A)에 있어서,
    마무리 압연기(30)는 전방단(31)과 후방단(32)을 갖고,
    상기 전방단(31)은 2 기 이상의 스탠드로 된의 페어 크로스 밀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후방단(32)은 2 기 이상의 스탠드로 된 이경 롤 밀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 압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경 롤 밀은 회전 구동되는 대경 롤(32b)과,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소경 롤(32a)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 압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대경 롤(32b)은 하부 롤이고, 상기 소경 롤(32a)은 상부 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 압연기.
  11. 제8항에 있어서, 마무리 압연기(30)의 상류측에 조압연기(10)를 구비하고, 이 조압연기(10)와 마무리 압연기(30) 사이에 판의 온도 강하를 방지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 압연기.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판의 온도 강하를 방지하는 수단은 가열 수단을 갖고 또한 내부에 판을 통과시키는 터널로(2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 압연기.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판의 온도 강하를 방지하는 수단은 판의 권취·권출 장치(2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 압연기.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판의 온도 강하를 방지하는 수단은 판의 선단부와 미단부를 가열하는 히터(2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 압연기.
KR10-2000-7004924A 1998-09-08 1999-09-06 열간 압연기 KR1003960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253161 1998-09-08
JP10253161A JP2933923B1 (ja) 1998-09-08 1998-09-08 薄板の熱間圧延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1851A KR20010031851A (ko) 2001-04-16
KR100396012B1 true KR100396012B1 (ko) 2003-08-27

Family

ID=17247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4924A KR100396012B1 (ko) 1998-09-08 1999-09-06 열간 압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033182A4 (ko)
JP (1) JP2933923B1 (ko)
KR (1) KR100396012B1 (ko)
CN (1) CN1126613C (ko)
TW (1) TW425316B (ko)
WO (1) WO200001381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3851B1 (ko) * 2010-12-27 2013-04-12 주식회사 포스코 마무리압연에서 열연 후물재 에지 업 저감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02821A1 (de) 2001-01-23 2002-07-25 Sms Demag Ag Walzwerk zur Herstellung planer Walzbänder mit gewünschter Bandprofilüberhöhung
US7076983B2 (en) 2001-03-16 2006-07-18 Nakayama Steel Works,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hot rolling
ATE307687T1 (de) * 2001-03-16 2005-11-15 Nakayama Steel Works Ltd Warmwalzwerk und warmwalzverfahren
JP3413181B2 (ja) * 2001-08-03 2003-06-03 川崎重工業株式会社 連続熱間圧延設備
DE10339191A1 (de) * 2003-08-22 2005-03-17 Sms Demag Ag Coilbox zwischen Vorstraße und Fertigstraße im Warmwalzwerk
CN100450653C (zh) * 2006-11-28 2009-01-14 中冶南方工程技术有限公司 防止0.4mm以下的薄板高速轧制工况下带钢颤动的方法
CN101992215B (zh) * 2009-08-13 2012-07-04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cvc工作辊轴向移动控制方法
DE102012004826A1 (de) * 2012-03-08 2013-09-1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rofilleisten und Hohlprofilkörpern und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JP2014061528A (ja) * 2012-09-20 2014-04-10 Ihi Corp 連続圧延設備
TWI551366B (zh) * 2013-12-25 2016-10-01 The use of round steel wire rolling forming thin steel sheet and steel fiber forming method
JP5854177B1 (ja) * 2014-03-19 2016-02-09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高炭素鋼の熱間圧延方法
EP3208673B1 (de) * 2016-02-22 2019-06-05 Primetals Technologies Austria GmbH Inline-kalibrierung des walzspalts eines walzgerüst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37102U (ko) * 1986-02-24 1987-08-29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31242B2 (ja) * 1980-03-17 1983-07-0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ペア−クロス式4段圧延機
DE3038865C1 (de) * 1980-10-15 1982-12-23 SMS Schloemann-Siemag AG, 4000 Düsseldorf Walzgeruest mit axial verschiebbaren Walzen
JPS62137102A (ja) * 1985-12-09 1987-06-20 Nippon Steel Corp 表面性状の良いチタン熱延板の製造方法
JPS62197209A (ja) * 1986-02-25 1987-08-31 Kobe Steel Ltd 板材の熱間圧延におけるキヤンバ制御方法
JP2616917B2 (ja) * 1987-01-24 1997-06-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ロールシフト圧延機による圧延方法
US5174144A (en) * 1990-04-13 1992-12-29 Hitachi, Ltd. 4-high rolling mill
JPH06106207A (ja) * 1992-09-24 1994-04-19 Kawasaki Steel Corp 鋼片の連続熱間圧延設備
TW319720B (ko) * 1995-07-10 1997-11-11 Kawasaki Steel Co
EP1129796B1 (en) * 1996-07-18 2004-09-29 JFE Steel Corporation Rolling method for reducing edge drop of strip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37102U (ko) * 1986-02-24 1987-08-29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3851B1 (ko) * 2010-12-27 2013-04-12 주식회사 포스코 마무리압연에서 열연 후물재 에지 업 저감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6613C (zh) 2003-11-05
EP1033182A1 (en) 2000-09-06
EP1033182A4 (en) 2005-06-01
KR20010031851A (ko) 2001-04-16
CN1277568A (zh) 2000-12-20
JP2000084601A (ja) 2000-03-28
JP2933923B1 (ja) 1999-08-16
TW425316B (en) 2001-03-11
WO2000013812A1 (fr) 2000-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6012B1 (ko) 열간 압연기
EP1230991B1 (en) Tandem rolling mill facility and rolling method using the same
JPH08117829A (ja) 薄鋼板の冷間圧延方法
JPS62176603A (ja) プラネタリ−ミルライン圧延方法
JPH105842A (ja) 熱間板材圧延設備における圧延材の曲がり修正方法及び装置、熱間圧延設備並びに可逆テーパ状サイドガイド
JP2698830B2 (ja) 鋼帯の調質圧延機
JPS63260604A (ja) 薄鋼板の連続熱間圧延方法
JP3337966B2 (ja) 帯状金属板の熱間または温間圧延方法及び熱間または温間圧延設備
JP3553294B2 (ja) 金属箔の圧延方法
JP7226381B2 (ja) 冷間圧延方法
JP3848462B2 (ja) H形鋼の圧延方法
JP3801350B2 (ja) 圧延設備
JP4077804B2 (ja) 金属板材の圧延方法
JPS608121B2 (ja) 複数同時圧下圧延機の形状調節装置
JP3541973B2 (ja) 冷間圧延におけるエッジドロップ制御方法
JPS62282710A (ja) 圧延方法
JPH02117708A (ja) 薄鋼板の湿式調質圧延方法
JP2002066619A (ja) 鋼帯の冷間圧延方法
JP2755133B2 (ja) ステンレス冷延鋼帯幅方向反り付与方法
JPS63273502A (ja) 幅圧延機
JP3302411B2 (ja) 片クラウン金属帯の圧延における板クラウン制御方法
KR20010021377A (ko) 열간 압연 설비 및 압연 방법
JP2002102905A (ja) クラスター型圧延機における高光沢金属帯の冷間圧延方法
JP3224918B2 (ja) 圧延中にワークロールシフトを行う板材の冷間圧延方法
JPH11104728A (ja) 連続圧延機における圧延材尾端部の蛇行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5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