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4913B1 - 필터를 갖춘 회로 장치 및 상기 회로 장치의 작동 방법 - Google Patents

필터를 갖춘 회로 장치 및 상기 회로 장치의 작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4913B1
KR100394913B1 KR10-2001-0014876A KR20010014876A KR100394913B1 KR 100394913 B1 KR100394913 B1 KR 100394913B1 KR 20010014876 A KR20010014876 A KR 20010014876A KR 100394913 B1 KR100394913 B1 KR 1003949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filter
signal
mixer
devi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4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2712A (ko
Inventor
안드레아스 호프만
Original Assignee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 아게 filed Critical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 아게
Publication of KR20010092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27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4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49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04B1/26Circuits for superheterodyne receiv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JTUNING RESONANT CIRCUITS; SELECTING RESONANT CIRCUITS
    • H03J7/00Automatic frequency control; Automatic scanning over a band of frequencies
    • H03J7/02Automatic frequency control
    • H03J7/04Automatic frequency control where the frequency control is accomplished by varying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a non-mechanically adjustable element or where the nature of the frequency controlling element is not significan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JTUNING RESONANT CIRCUITS; SELECTING RESONANT CIRCUITS
    • H03J3/00Continuous tuning
    • H03J3/02Details
    • H03J3/04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variations of physical values, e.g. 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uperheterodyne Receivers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예를 들어 대역-필터인 필터를 갖춘 회로 장치, 및 예컨대 목표 주파수(FO)와 실제 중심 주파수간의 주파수 편차(ΔF)를 보상할 수 있도록 상기 회로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회로 장치에서는, 필터(FI) 앞에 접속된 제 1 믹서(MI1) 및 필터(FI) 뒤에 접속된 제 2 믹서(MI2)가 제공되며, 상기 믹서의 각각 하나의 입력에는 발진 주파수(LO1, LO2)를 갖는 신호가 제공된다. 상기 발진 주파수(LO1, LO2)는, 중간 주파수(ZF)를 갖는 신호가 허용 오차와 관련이 있는 필터(FI)의 필터링 특성 곡선에 매칭되도록 주파수 편차에 따라 주파수 발생기(PLL1, PLL2)내에서 믹싱된다. 그럼으로써, WCDMA-이동 무선통신에 적용하기 위한 높은 요구 조건을 충족시키지만 제조로부터 기인되는 지나치게 높은 중심 주파수-편차를 갖는 필터가 예를 들어 헤테로다인-수신기에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필터를 갖춘 회로 장치 및 상기 회로 장치의 작동 방법 {CIRCUIT ARRANGEMENT WITH A FILTER AND METHOD FOR OPERATING A CIRCUIT ARRANGEMENT WITH A FILTER}
본 발명은, 필터 및 믹서를 갖춘 회로 장치 및 상기 회로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이동 무선통신에 적용되는 고주파-기술에서는 필터, 예를 들어 대역-필터가 중간 주파수-필터로서 사용된다. 상기 중간 주파수는 통상적으로, 송/수신 주파수와 베이스밴드 사이의 범위에 놓이거나 또는 상기 송/수신 주파수 위의 범위에 놓일 수 있는 고정 주파수이다. 상기와 같은 대역-필터에는 낮은 삽입 손실 또는 적은 전송 손실과 관련하여 높은 요구 조건들이 제기된다. 또한, 선행하는 회로 및 후속될 회로에 필터를 가급적 우수하게 매칭시킬 수 있기 위해서는 필터의 적은 입/출력-임피이던스가 필요하다. UTM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또는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와 같은 최근의 효과적인 이동 무선통신 방법에서는 필터, 예컨대 대역-필터의 전송 손실 및 입/출력-임피이던스에 대한 요구 조건이 매우 높다.
예를 들어 리튬-탄탈산염-기판상에 구현되는 필터는 삽입 손실 및 임피이던스와 관련하여 우수한 특성을 갖는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제조-허용 오차가 비교적 높다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리튬-탄탈산염-기술로 구성되는 회로 및 부품은 예를 들어 대역-필터에서의 중심 주파수 또는 3dB-임계 주파수와 같은 중요 주파수와 관련하여 상당히 높은 온도 드리프트를 갖는다.
예를 들어 대역-필터인 석영 필터는 중심 주파수와 관련하여 적은 제조 허용 오차 및 중심 주파수의 적은 온도 드리프트를 갖는다. 그러나 석영 필터는 단점으로 작용하는 높은 삽입 손실 및 전송 손실, 그리고 높은 입/출력-임피이던스를 갖는다. 적은 허용 오차를 가져야 하는 추가의 증폭단 및 추가의 적응-소자에 의해서 상기 석영 필터의 단점들이 보상될 수 있다. 그러나 추가의 증폭단은 더 큰 전력 소비를 야기하고, 추가의 비용을 발생시키며, 구현을 위한 추가의 표면을 필요로 한다. 상기 추가의 적응-소자도 마찬가지로 비교적 높은 비용을 발생시키고, 더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한다. 이동 무선통신-기술에서는 전력 소비의 감소, 공간 필요의 감소 및 비용의 감축이 중요한 개발 목적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필터 허용 오차를 보상하기 위해서 필터를 갖춘 회로 장치 및 상기 회로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원리적인 블록 회로도.
도 2는 온도에 의존하는 주파수 편차를 보상하기 위한 블록 회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FE : 수신 주파수 FI : 필터
FO : 목표 주파수 LO : 발진 주파수
MI : 믹서 MP : 마이크로 프로세서
PLL : 주파수 발생기 T : 온도 신호
TS : 온도 센서 ZF : 중간 주파수
ΔF : 주파수 편차
회로 장치와 관련한 상기 목적은, 하나의 제 1 입력 및 제 2 입력 그리고 하나의 출력을 갖는 제 1 믹서; 상기 제 1 믹서의 출력에 접속되는 하나의 필터 입력 및 필터 출력을 갖는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가 목표 주파수로부터 특성 주파수의 주파수 편차를 가지며; 필터 출력에 접속되는 하나의 제 1 입력 및 제 2 입력 그리고 하나의 출력을 갖는 제 2 믹서; 주파수 편차를 나타내는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고, 상기 제 1 믹서의 제 2 입력에 접속되는 제 1 주파수 발생기; 및 주파수 편차를 나타내는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고, 상기 제 2 믹서(MI2)의 제 2 입력에 접속되는 제 2 주파수 발생기(PLL2)를 포함하는 회로 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
방법과 관련한 상기 목적은, 중간 주파수-신호를 형성하여 제 1 믹서내에서 제 1 발진 주파수를 갖는 신호와 수신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믹싱하는 단계; 목표 주파수와 특성 주파수간의 주파수 편차를 갖는 중간 주파수-신호를 필터내에서 필터링하는 단계; 상기 필터링된 중간 주파수-신호를 제 2 발진 주파수를 갖는 신호와 제 2 믹서내에서 믹싱하는 단계; 및 제 1 발진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 1 주파수 발생기 및 제 2 발진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 2 주파수 발생기로 주파수 편차를 나타내는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필터를 갖춘 회로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에 의해서 달성된다.
필터는 제 1 믹서와 제 2 믹서 사이에 배치된다. 이를 위해 필터 입력은 제 1 믹서의 출력과 접속된다. 필터 출력은 제 2 믹서의 제 1 입력과 접속된다. 제 1 믹서 및 제 2 믹서는 제 2 입력에 인가되는 신호와 제 1 입력 신호를 믹싱하는데, 이 경우 상기 신호들은 각각 하나의 주파수 발생기내에서 발생된다. 필터는 목표 주파수로부터 주파수 편차를 갖는다. 상기 주파수 편차는 제 1 주파수 발생기 및 제 2 주파수 발생기에 제공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주파수 발생기로부터 발생될 수 있는 신호의 주파수는 필터의 주파수 편차에 의존한다. 그럼으로써, 필터에 제공될 수 있고 제 1 믹서의 출력에 인가되는 중간 주파수 신호는 필터의 공지된 주파수 편차에 매칭될 수 있게 된다.
2개의 주파수 발생기 및 2개의 믹서를 전술한 방식으로 배치함으로써, 필터에 제공될 수 있는 신호를 필터의 공지된 주파수 편차에 매칭시키는 전술한 원리에 의해서는, 적은 전송 손실 및 적은 입/출력-임피이던스를 갖지만 주파수 편차를 야기할 수 있는 온도 드리프트 및 제조 허용 오차에 의존하는 필터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은 가능성은 예를 들어 리튬-탄탈산염-기판을 갖는 필터에서 제공된다. 전술한 원리는 적은 전송 손실, 적은 입/출력-임피이던스, 및 제조로부터 기인되는 또는 온도로부터 기인되는 주파수 편차의 허용 오차 보상의 장점들을조합한다. 그럼으로써, 추가의 전력 소비, 추가의 비용 및 추가의 칩 표면을 의미하는 추가의 증폭단이 필요 없게 된다. 기술된 장치는 WCDMA-헤테로다인-수신기의 수신기-설계에 매우 적합한데, 그 이유는 상기 수신기-설계시에는 적은 전송 손실, 적은 입/출력-임피이던스 그리고 장치로부터 기인되는 통과-주파수 요구 사항 및 차단-주파수 요구 사항을 준수하는 것으로 충분하기 때문이다. 전술한 주파수 발생기 및 2개의 믹서는 상기와 같은 장치내에 이미 존재한다. 어쨌든 상기와 같은 장치의 주파수 발생기는, 발생 가능한 출력 신호의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거나 이조시킬 수 있는 입력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제 1 주파수 발생기로부터 발생될 수 있는 신호의 주파수는 제 1 믹서의 제 1 입력에 인가되는 신호의 수신 주파수 + 필터의 목표 주파수 + 필터의 주파수 편차이다.
동일한 가치를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제 1 주파수 발생기로부터 발생될 수 있는 신호의 주파수는 제 1 믹서의 제 1 입력에 인가되는 수신 신호의 수신 주파수 - 필터의 목표 주파수 - 필터의 주파수 편차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제 2 주파수 발생기로부터 발생될 수 있는 신호의 주파수는 필터의 목표 주파수 + 필터의 주파수 편차이다. 그럼으로써 필터링될 신호는, 허용 오차와 관련이 있고 주파수 편차(ΔF)를 갖는 필터의 통과 주파수 및 차단 주파수 그리고 필터 특성 곡선에 정확하게 매칭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추가 실시예에서는 필터가 대역-필터이며, 주파수 편차(ΔF)는 대역-필터의 실제 중심 주파수와 상기 대역-필터의 목표-중심 주파수간의편차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추가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SAW(Surface Acoustic Wave)-필터일 수 있는 필터는 리튬-탄탈산염-기판 또는 압전 특성 곡선을 갖는 다른 세라믹 기판을 포함한다.
목표 주파수로부터 주파수 편차를 갖는 필터를 갖춘 회로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은, 중간 주파수-신호를 형성하여 제 1 믹서내에서 제 1 발진 주파수를 갖는 신호와 수신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믹싱하는 제 1 방법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중간 주파수-신호는, 목표 주파수로부터 주파수 편차를 갖는 제 1 필터내에서 필터링된다. 제 2 믹서내에서는, 필터링된 중간 주파수-신호가 제 2 발진 주파수를 갖는 신호와 믹싱된다. 제 2 믹서의 출력에서는 출력 신호가 유도될 수 있다. 필터의 공지된 주파수 편차는 제 1 및 제 2 주파수 발생기의 입력에 제공된다. 상기 주파수 편차에 따라 주파수 발생기내에서 제 1 및 제 2 발진 주파수가 발생된다. 상기 발진 주파수는 주파수 발생기와 관련된 믹서에 제공된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서는 중간 주파수-신호의 주파수 특성 곡선이 필터의 필터링 특성 곡선에 매칭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개선예에서 제 1 주파수 발생기의 출력 신호의 주파수는, 방정식 제 1 발진 주파수 = 수신 주파수 + 필터의 목표 주파수 + 필터의 주파수 편차 또는 방정식 제 1 발진 주파수 = 수신 주파수 - 필터의 목표 주파수 - 필터의 주파수 편차에 따라 형성되고, 제 2 발진 주파수를 갖는 신호는 방정식 제 2 발진 주파수 = 필터의 목표 주파수 + 필터의 주파수 편차에 따라 형성된다.
필터의 주파수 편차는 제조로부터 기인되는 제 1 주파수 편차 및 온도로부터 기인되는 제 2 주파수 편차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필터의 주파수 편차는 필터의 제조로부터 기인되는 주파수 편차와 온도로부터 기인되는 주파수 편차를 합산함으로써 얻어진다. 필터의 주파수 편차의 제조로부터 기인되는 부분은 예를 들어 필터의 차단 특성 곡선 및 통과 특성 곡선이 측정됨으로써 검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은 전술한 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제 1 믹서의 제 1 입력에는 각각 공지된 주파수를 갖는 연속 신호가 차례로 인가되고, 제 2 믹서의 출력에서는 제 2 믹서의 출력에서 개별 주파수의 진폭을 유도할 수 있는 신호가 측정됨으로써 이루어진다. 필터의 주파수 편차의 온도로부터 기인되는 부분은 예를 들어 온도 센서에서 주변 온도를 측정함으로써, 온도에 관련된 신호를 온도 센서로부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제공함으로써, 및 실제의 주변 온도를 재료에 의존하는 온도 계수를 고려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내에서 공지된, 온도에 따른 주파수 편차로 변환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고려해야 할 것은, 제조로부터 기인되는 제 1 주파수 편차는 공지된 정상 온도에서 추출되며, 온도 편차는 상기 정상 온도로부터 제 2 주파수 편차로 변환된다는 사실이다. 이 경우 보상될 실제 주파수 편차는 제조로부터 기인되는 주파수 편차와 온도로부터 기인되는 주파수 편차의 총합이다.
본 발명의 세부 사항 및 실시예는 종속항에서 기술된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는 하기의 실시예에서 자세히 설명된다.
도 1은 이동 무선통신-수신기내에 있는 수신 경로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여준다. 제 1 믹서(MI1)의 제 1 입력에는 수신 주파수(FE)를 갖는 신호가 제공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 상기 제 1 믹서의 제 1 입력은 예를 들어 송/수신 안테나에 연결될 수 있다. 제 1 믹서(MI1)의 제 2 입력에는 제 1 발진 주파수(LO1)를 갖는 신호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경우에는 하향 믹서인 제 1 믹서(MI1)의 출력에서는 중간 주파수(ZF)를 갖는 신호가 유도될 수 있다. 제 1 믹서의 출력은 필터(FI)의 입력에 접속된다. 실시예에서 상기 필터(FI)는 대역-필터이다. 필터(FI)의 출력은 제 2 믹서(MI2)의 제 1 입력에 접속된다. 따라서 제 2 믹서의 제 1 입력에는 필터링된 중간 주파수-신호가 제공될 수 있다. 제 2 믹서(MI2)의 제 2 입력에는 제 2 발진 주파수(LO2)를 갖는 신호가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마찬가지로 하향 믹서인 제 2 믹서(MI2)의 출력에서는 베이스밴드-신호가 사용되며, 상기 신호는 예를 들어 베이스밴드-모듈에 제공될 수 있다. 필터(FI)는 목표 주파수(FO)로부터 주파수 편차(ΔF)를 갖는다. 대역-필터가 이용되기 때문에, 상기 목표 주파수(FO)는 대역-필터의 목표-중심 주파수일 수 있다. 따라서 주파수 편차(ΔF)는 필터(FI)의 목표-중심 주파수(FO)와 필터의 실제 중심 주파수간의 주파수 편차(ΔF) 또는 그 차이다. 필터(FI)의 주파수 편차(ΔF)는 제 1 및 제 2 주파수 발생기(PLL1, PLL2)의 입력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주파수 발생기는 예를 들어 PLL(Phase Locked Loop)-합성기일 수 있다. 제 1 주파수 발생기(PLL1)의 출력은 믹서(MI1)의 제 2 입력에 접속되고, 제 2 주파수 발생기(PLL2)의 출력은 제 2 믹서(MI2)의 제 2 입력에 접속된다. 2개의 주파수 발생기(PLL1, PLL2)는 제 1 및 제 2 발진 주파수(LO1, LO2)를 갖는 신호를 각각 하나씩 형성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제 1 믹서(MI1)는 예를 들어 2100 MHz에 달하는 수신 주파수(FE)를 갖는 신호를 대략 2400 MHz에 달하는 제 1 발진 주파수(LO1)와 믹싱한다. 하향 믹서(MI1)가 신호 주파수의 차를 형성함으로써, 제 1 믹서의 출력 신호는 대략 300 MHz의 중간 주파수(ZF)를 갖게 된다. 그에 따라 대역-필터인 필터(FI)의 목표-중심 주파수(FO)는 300 MHz에 달하게 된다. 대역-필터(FI)는 중간 주파수-신호(ZF)로부터 유효 신호를 필터링한다. 필터링된 상기 중간 주파수-신호는 제 2 믹서(MI2)의 제 1 입력에 제공되어, 그곳에서 제 2 발진 주파수(LO2)를 갖는 신호와 믹싱된다. 상기 제 2 발진 주파수(LO2)가 예를 들어 300 MHz에 달함으로써, 제 2 믹서(MI2)의 출력에서는 베이스밴드-신호의 반송 주파수가 0 MHz에 달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제조로부터 또는 온도로부터 기인되는 필터(FI)의 실제 중심 주파수가 목표 주파수(FO)로부터 예를 들어 0.2 MHz의 주파수 편차(ΔF)를 가지면, 중간 주파수-신호의 주파수 응답이 필터(FI)의 실제 중심 주파수에 매칭되도록, 발진 주파수(LO1, LO2)를 갖는 신호들이 주파수 발생기(PLL1, PLL2)내에서 서로 매칭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필터(FI)의 실제 중심 주파수와 목표-중심 주파수(FO)간의 차(ΔF)로부터 형성되는 예컨대 0.2 MHz의 주파수 편차가 제 1 및 제 2 주파수 발생기(PLL1, PLL2)에 제공된다. 제 1 주파수 발생기(PLL1)내에서는 제 1 발진 주파수(LO1)가 수신 주파수(FE) + 목표-중심 주파수(FO) + 주파수 편차(ΔF)로부터 산출된다. 이것은 결과적으로 제 1 발진 주파수(LO1) = 2100 MHz + 300 MHz + 0.2 MHz = 2400.2 MHz의 식을 형성한다. 제 1 믹서내에서는 2400.2 MHz의 제 1 발진 주파수(LO1)를 갖는 신호가 2100 MHz의 수신 주파수를 갖는 신호와 믹싱됨으로써, 제 1 믹서의 출력에서 중간 주파수-신호의 주파수는 300.2 MHz에 달하게 된다. 따라서 중간 주파수-신호는 실제로 300.2 MHz에 달하는 필터(FI)의 중심 주파수에 매칭된다. 그러나 중간 주파수의 이와 같은 의도적인 변동은 재차 보상되어야만 한다. 이 목적을 위해 제 2 주파수 발생기(PLL2)내에서는, 목표-주파수(FO) + 필터(FI)의 주파수 편차(ΔF) = 제 2 발진 주파수(LO2)를 갖는 신호가 형성된다. 실시예에서 LO2 = FO + ΔF = 300 + 0.2 MHz이다. 제 2 믹서(MI2)의 2개의 입력에는 300.2 MHz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가 인가되기 때문에, 출력 신호의 반송 주파수는 0 MHz인 동시에 상기 반송 주파수는 베이스밴드-모듈내에서 추가의 처리를 위해 적합하게 된다. 믹서가 입력-신호 주파수의 차를 형성하기 때문에, 제 1 발진 주파수(LO1)는 대안적으로 방정식 LO1 = FE - FO - ΔF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서는 LO1 = 2100 MHz - 300 MHz - 0.2 MHz = 1799.8 MHz인 방정식이 적용된다. 2100 MHz의 수신 주파수(FE)와 제 1 발진 주파수(LO1)의 믹싱은 결과적으로 재차 300.2 MHz의 중간 주파수를 갖는 중간 주파수-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제조로부터 기인되는 성분 및 온도로부터 기인되는 성분을 가질 수 있는 주파수 편차(ΔF)를 획득하기 위해, 도 2에는 블록 회로도가 도시되어 있다. 제조로부터 기인되는 제 1 주파수 편차(ΔF1)는 합산 노드에서 온도로부터 기인되는 제 2 주파수 편차와 합산되며, 이 경우에는 실제 주파수 편차가(ΔF)가 총합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제조로부터 기인되는 주파수 편차(ΔF1)는 필터(FI)의 주파수-특성 곡선 또는 차단-특성 곡선 및 통과-특성 곡선을 측정함으로써 검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1 믹서(MI1)의 입력에는 가변 주파수를 갖는 신호가 인가되고, 제 2 믹서의 출력에서는 인가된 상기 신호의 진폭 스펙트럼이 분석된다. 상부 및 하부 3dB-임계 주파수의 검출은 필터(FI)의 실제 중심 주파수의 산출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200 KHz로부터 단계적으로 이조될 수 있는 제 1 주파수 발생기(PLL1)내에서의 측정-주파수의 형성은 간단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필터(FI)의 제조로부터 기인되는 주파수 편차(ΔF1)의 측정이 고정된 온도, 예를 들어 정상 온도에서 이루어지면, 필터(FI)의 온도로부터 기인되는 주파수 편차(ΔF2)는 간단한 방식으로 검출될 수 있다. 그 이유는 하나의 필터의 중심 주파수의 온도 의존성이 선험적으로 공지되어 있기 때문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FI)의 주변 온도를 검출하기 위해 온도 센서(TS)가 제공되는데, 상기 센서는 주변 온도에 온도 신호(T)를 할당하고, 상기 신호는 마이크로 프로세서(MP)에 제공된다. 온도에 의존하는 필터(FI)의 중심 주파수의 의존성이 저장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MP)는 정상 온도와 실제 주변 온도간의 차를 고려하여 온도 신호(T)에 제 2 주파수 편차(Δ2)를 제공한다. 상기 편차는 합산 노드에서 제조로부터 기인되는 주파수 편차(ΔF1)와 합산되어 주파수 편차(ΔF)가 된다.
예를 들어 UMTS에 따른 이동 무선통신 장치의 수신 경로내에는 조절 가능한 출력-신호 주파수(LO1, LO2)를 갖는 주파수 발생기가 존재한다. 따라서, 주파수 편차(ΔF)에 의존하는 발진 주파수의 형성은 간단한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다.
기술된 상기 원리는, 예를 들어 종속되는 허용 오차를 갖는 필터가 존재하는 송신 경로내에서도 상응하는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회로 장치 및 방법에 의해서 필터의 허용 오차가 보상되었다.

Claims (14)

  1. - 하나의 제 1 입력 및 제 2 입력 그리고 하나의 출력을 갖는 제 1 믹서(MI1),
    - 상기 제 1 믹서(MI1)의 출력에 접속되는 하나의 필터 입력 및 필터 출력을 갖는 필터(FI)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가 목표 주파수(FO)로부터 특성 주파수의 주파수 편차(ΔF)를 가지며,
    - 필터 출력에 접속되는 하나의 제 1 입력 및 제 2 입력 그리고 하나의 출력을 갖는 제 2 믹서(MI2),
    - 주파수 편차(ΔF)를 나타내는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고, 상기 제 1 믹서(MI1)의 제 2 입력에 접속되는 제 1 주파수 발생기(PLL1), 및
    - 주파수 편차(ΔF)를 나타내는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고, 상기 제 2 믹서(MI2)의 제 2 입력에 접속되는 제 2 주파수 발생기(PLL2)를 포함하며,
    상기 주파수 편차(ΔF)는 제조로부터 기인되는 주파수 편차(ΔF1)와 온도로부터 기인되는 주파수 편차(ΔF2)의 총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주파수 발생기(PLL1)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신호의 제 1 발진 주파수(LO1)는 제 1 믹서(MI1)의 제 1 입력에 제공될 수 있는 수신 신호의 수신 주파수(FE) + 목표 주파수(FO) + 필터(FI)의 주파수 편차(ΔF)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주파수 발생기(PLL1)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신호의 제 1 발진 주파수(LO1)는 제 1 믹서(MI1)의 제 1 입력에 제공될 수 있는 수신 신호의 수신 주파수(FE) - 목표 주파수(FO) - 필터(FI)의 주파수 편차(ΔF)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제 2 주파수 발생기(PLL2)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신호의 제 2 발진 주파수(LO2)는 목표 주파수(FO) + 주파수 편차(ΔF)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FI)는 대역-필터이며, 주파수 편차(ΔF)는 상기 대역 필터(FI)의 실제 중심 주파수와 대역-필터(FI)의 목표-중심 주파수(FO)간의 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FI)는 고역 패스-필터 또는 저역 패스-필터이며, 주파수 편차(ΔF)는 상기 필터의 목표-3dB-임계 주파수와 실제 3dB-임계 주파수간의 차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FI)는 대역 차단 필터이며, 주파수 편차(ΔF)는 목표-공진 주파수와 실제 공진 주파수간의 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장치.
  8. 삭제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FI)가 세라믹 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FI)가 리튬-탄탈산염-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장치.
  11. - 중간 주파수-신호(ZF)를 형성하기 위해 제 1 믹서(MI1)내에서 제 1 발진 주파수(LO1)를 갖는 신호와 수신 주파수(FE)를 갖는 신호를 믹싱하는 단계,
    - 목표 주파수(FO)와 특성 주파수의 주파수 편차(ΔF)를 갖는 중간 주파수-신호(ZF)를 필터(FI)내에서 필터링하는 단계,
    - 상기 필터링된 중간 주파수-신호(ZF)를 제 2 발진 주파수(LO2)를 갖는 신호와 제 2 믹서(MI2)내에서 믹싱하는 단계, 및
    - 제 1 발진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 1 주파수 발생기(PLL1) 및 제 2 발진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 2 주파수 발생기(PLL2)로 주파수 편차(ΔF)를 나타내는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주파수 편차(ΔF)는 제조로부터 기인되는 부분(ΔF1) 및 온도로부터 기인되는 부분(ΔF2)를 포함하며,
    주파수 편차(ΔF)의 제조로부터 기인되는 부분(ΔF1)은 상이한 주파수의 신호를 제 1 믹서(MI1)의 제 1 입력에 연속적으로 인가하고 정상 온도에서 제 2 믹서(MI2)의 출력에서 진폭 스펙트럼을 측정함으로써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를 갖춘 회로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관계식 LO1 = FE + FO + ΔF에 따라서 또는 관계식 LO1 = FE - FO - ΔF에 따라서 제 1 발진 주파수(LO1)를 갖는 신호를 형성하고, 관계식 LO2 = FO + ΔF에 따라 제 2 발진 주파수(LO2)를 갖는 신호를 형성하며, 상기 식에서 LO1은 제 1 발진 주파수(LO1)이고, LO2는 제 2 발진 주파수(LO2)이며, FE는 수신 주파수(FE)이고, FO는 목표-주파수(FO)이며, ΔF는 주파수 편차(ΔF)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삭제
  14. 제 11 항에 있어서,
    주파수 편차(ΔF)의 온도에 의존하는 부분(ΔF2)은 온도 센서(TS)에서 주변 온도를 검출함으로써, 상기 주변 온도에 관련된 온도 신호(T)를 온도 센서(TS)내에서 형성하고, 상기 온도 신호(T)를 마이크로 프로세서(MP)에 제공하여 상기 온도 신호에 관련된 주파수 편차(ΔF2)를 마이크로 프로세서(MP)내에서 형성함으로써 측정되며, 상기 주파수 편차(ΔF)는 제조로부터 기인되는 주파수 편차(ΔF1)와 온도로부터 기인되는 주파수 편차(ΔF2)를 합산함으로써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1-0014876A 2000-03-22 2001-03-22 필터를 갖춘 회로 장치 및 상기 회로 장치의 작동 방법 KR1003949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0106267A EP1137178A1 (de) 2000-03-22 2000-03-22 Schaltungsanordnung mit einem Filter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r Schaltungsanordnung mit einem Filter
EP00106267.8 2000-03-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2712A KR20010092712A (ko) 2001-10-26
KR100394913B1 true KR100394913B1 (ko) 2003-08-19

Family

ID=8168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4876A KR100394913B1 (ko) 2000-03-22 2001-03-22 필터를 갖춘 회로 장치 및 상기 회로 장치의 작동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847811B2 (ko)
EP (1) EP1137178A1 (ko)
JP (1) JP3732104B2 (ko)
KR (1) KR1003949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16880B4 (de) * 2001-04-04 2010-12-16 Rohde & Schwarz Gmbh & Co. Kg Verfahren zum Optimieren des Frequenzaufbereitungszuges eines Hochfrequenz-Überlagerungsempfänger
JP2003124834A (ja) * 2001-10-12 2003-04-25 Toshiba Corp チューナ用ic入力回路
US7356098B2 (en) 2001-11-14 2008-04-08 Ipwireless, Inc. Method,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unit for synchronisation for multi-rate communication
JP2005524275A (ja) * 2002-04-23 2005-08-11 トムソン ライセンシング ソシエテ アノニム チューニング装置
JP2008288640A (ja) * 2007-05-15 2008-11-27 Nec Corp 周波数変換器、受信装置、送信装置、通信装置、および周波数変換方法
DE102018117416A1 (de) * 2018-07-18 2020-01-23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Montagebauteil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34127A (en) * 1989-07-18 1991-01-23 Nec Corp Compensating for temperature-dependent frequency shift of a filter in a receiver
JPH04365230A (ja) * 1991-06-13 1992-12-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ダブルスーパチューナ
JPH057227A (ja) * 1991-06-27 1993-01-14 Hitachi Ltd Msk受信機
JPH11196064A (ja) * 1996-08-23 1999-07-21 Jisedai Digital Television Hoso System Kenkyusho Ofdm受信装置
JPH11289268A (ja) * 1998-04-01 1999-10-19 Sharp Corp ダブルコンバージョンチューナ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33737A (ja) * 1983-01-20 1984-08-01 Toshiba Corp 中間周波ブロツク
US4644297A (en) * 1986-03-03 1987-02-17 Motorola, Inc. Frequency locked loop for the temperature compensation of phase coded surface acoustic wave devices
US4910473A (en) * 1987-07-02 1990-03-20 Seiko Electronic Components Ltd. Digitally temperature-compensated oscillator
US5204972A (en) * 1989-07-18 1993-04-20 Nec Corporation Arrangement for compensating for temperature dependent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surface acoustic wave filter
JPH042148U (ko) * 1990-04-20 1992-01-09
JPH0468907A (ja) * 1990-07-09 1992-03-04 Kinseki Ltd 周波数変換回路
JPH08125580A (ja) 1994-10-20 1996-05-17 Fujitsu General Ltd スペクトラム拡散信号受信装置
JPH10145257A (ja) 1996-11-08 1998-05-29 Nec Corp 周波数変換装置
JPH10285063A (ja) 1997-04-02 1998-10-23 Kokusai Electric Co Ltd 通信機用帯域通過フィルタ
JP2001044873A (ja) 1999-07-29 2001-02-16 Alps Electric Co Ltd 二重周波数変換器
US6463266B1 (en) * 1999-08-10 2002-10-08 Broadcom Corporation Radio frequency control for communications system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34127A (en) * 1989-07-18 1991-01-23 Nec Corp Compensating for temperature-dependent frequency shift of a filter in a receiver
JPH04365230A (ja) * 1991-06-13 1992-12-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ダブルスーパチューナ
JPH057227A (ja) * 1991-06-27 1993-01-14 Hitachi Ltd Msk受信機
JPH11196064A (ja) * 1996-08-23 1999-07-21 Jisedai Digital Television Hoso System Kenkyusho Ofdm受信装置
JPH11289268A (ja) * 1998-04-01 1999-10-19 Sharp Corp ダブルコンバージョンチュー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2712A (ko) 2001-10-26
EP1137178A1 (de) 2001-09-26
JP3732104B2 (ja) 2006-01-05
US6847811B2 (en) 2005-01-25
JP2001308734A (ja) 2001-11-02
US20010049272A1 (en) 2001-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56143B2 (en) Frequency multiplier circuit and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JP4083116B2 (ja) 低漏洩局部発振器システム
US6057735A (en) Amplifier for continuous high gain, narrowband signal amplification
US7509106B2 (en) Test signal generation circuit, and reception circuit
EP1775843A1 (en) Local oscillator with injection pulling suppression and spurious products filtering
US5410742A (en) SAW electric part and frequency conversion circuit
KR100394913B1 (ko) 필터를 갖춘 회로 장치 및 상기 회로 장치의 작동 방법
US6646497B2 (en) Filter apparatus
US6374086B1 (en) Radio transmitter/receiver
KR101016390B1 (ko) Fsk수신기
US8436693B2 (en) Filter-tracking and control method
US7383025B2 (en) Method for processing RF signals for receiving and transmission
JP2007043455A (ja) 無線送信機
CA2218861A1 (en) Spurious signal reduction in rf transmitter integrated circuits
JP4679763B2 (ja) 受信機
KR101007211B1 (ko) 항공전자용 광대역 고주파 주파수 합성기
US7103334B1 (en) Method and system for tuning quality factor in high-Q, high-frequency filters
EP1540834B1 (en) Dual conversion tuner having a first IF filter without accurate center frequency
JP3801493B2 (ja) 局部発振器を用いた送受信装置
KR0169610B1 (ko) 주파수변환회로
JP4113838B2 (ja) 受信機および複合部品
JP2002335125A (ja) 電圧制御発振器及びそれを用いた通信機
KR100385619B1 (ko) 기준주파수 변경에 따른 수신부 노이즈 최적화 회로
JPH07235893A (ja) 無線電話用の中間周波数信号の形成方法とその装置
JPS6148236A (ja) 送信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