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5619B1 - 기준주파수 변경에 따른 수신부 노이즈 최적화 회로 - Google Patents

기준주파수 변경에 따른 수신부 노이즈 최적화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5619B1
KR100385619B1 KR10-2000-0087177A KR20000087177A KR100385619B1 KR 100385619 B1 KR100385619 B1 KR 100385619B1 KR 20000087177 A KR20000087177 A KR 20000087177A KR 100385619 B1 KR100385619 B1 KR 100385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reference frequency
intermediate frequency
local
noise optim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7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9020A (ko
Inventor
나정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87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5619B1/ko
Publication of KR20020059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90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5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56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0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 H04B1/1027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assessing signal quality or detecting noise/interference for the received signal
    • H04B1/1036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assessing signal quality or detecting noise/interference for the received signal with automatic suppression of narrow band noise or interference, e.g. by using tuneable notch fil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0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 H04B1/1027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assessing signal quality or detecting noise/interference for the received signal
    • H04B2001/1072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assessing signal quality or detecting noise/interference for the received signal by tuning the receiver freque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oise Elimination (AREA)
  • Superheterodyne Re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데이터의 수신을 위한 아이에스엠(ISM) 광대역 염가형 통신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1 중간주파수를 생성하기 위한 기준주파수를 10.625㎒로 생성하고 제2 중간주파수를 생성하기 위해 제1 중간주파수와 믹싱하여야 하는 주파수를 상기 기준주파수로 대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준주파수 변경에 따른 수신부 노이즈 최적화 회로를 제공하면 10.25㎒의 기준주파수를 별도로 구현하고 이를 기준으로 복조기 내부에 있는 2차 로칼을 조정하는 중간주파수 튜닝 코일을 적용하였던 종래의 방식에서 탈피하여 10.625㎒의 기준주파수를 구현한 후 2차 로칼로 공용화함으로써 중간주파수 튜닝 코일(IFT) 없이 기대치에 호응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기준주파수 변경에 따른 수신부 노이즈 최적화 회로{Rx noise optimization according to changing reference frequency}
본 발명은 아이에스엠(ISM) 광대역 염가형 모델에서의 수신단에 관한 것으로 특히, 10.25㎒의 기준주파수를 별도로 구현하고 이를 기준으로 복조기 내부에 있는 2차 로칼을 조정하는 중간주파수 튜닝 코일을 적용하였던 종래의 방식에서 탈피하여 10.625㎒의 기준주파수를 구현한 후 2차 로칼로 공용화함으로써 중간주파수 튜닝 코일 없이 기대치에 호응하는 수신단을 제공하기 위한 기준주파수 변경에 따른 수신부 노이즈 최적화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첨부한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아이에스엠(ISM) 광대역 염가형 모델에서는 10.25㎒의 기준주파수(b)가 발진자를 통해 발진되고 이때 발진되는 기준주파수(b)는 믹서(e)와 전하펌프(A,B) 등에 의해 증폭 및 안정화되어진 후 제1 밴드패스필터(BPF1)에 의해 원하는 주파수의 대역만을 필터링된 후 증폭기로 인가되고, 증폭기에서 증폭되어진 주파수 신호는 제2 밴드패스필터(BPF2)에 의해 중간주파수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제1 중간주파수로 출력된다.
이때, 제2 로칼 주파수(c)와 중간주파트랜스 코일(d)에 의해 발진되는 주파수 신호와 함께 믹싱되어진 후 제2 중간주파수로 변환되어 출력되어진다.
즉, 종래의 방식은 제1 중간 주파수가 제2 밴드패스필터(BPF2)거쳐 믹서(e)에 입력되고, 중간 주파수트랜스 코일(d)에 의해 발진된 제2 로칼 주파수(c)가 상기 믹서(e)에 입력되어 저주파(A/F) 출력을 얻게 된다.그러나, 종래 방식에서는 실제적으로 제2 로칼 주파수 발진부의 주파수 영역이 10.625㎒정도이기 때문에 10.25㎒의 기준주파수와 연계하는 경우 거의 동일한 주파수를 생성함에도 불구하고 구비되어 있어 생산단가의 상승으로 경쟁력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10.25㎒의 기준주파수를 별도로 구현하고 이를 기준으로 복조기 내부에 있는 2차 로칼을 조정하는 중간주파수 튜닝 코일을 적용하였던 종래의 방식에서 탈피하여 10.625㎒의 기준주파수를 구현한 후 2차 로칼로 공용화함으로써 중간주파수 튜닝 코일 없이 기대치에 호응하는 수신단을 제공하기 위한 기준주파수 변경에 따른 수신부 노이즈 최적화 회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아이에스엠(ISM) 광대역 염가형 모델에서의 수신단의 구성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준주파수 변경에 따른 수신부 노이즈 최적화 회로의 구성 예시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무선 데이터의 수신을 위한 아이에스엠(ISM) 광대역 염가형 통신기기에 있어서. 제1 중간주파수를 생성하기 위한 기준주파수를 10.625㎒로 생성하고 제2 중간주파수를 생성하기 위해 제1 중간주파수와 믹싱하여야 하는 주파수를 상기 기준주파수로 대치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아이에스엠(ISM) 광대역 염가형 모델에서 기준주파수 변경에 따른 수신부 노이즈 최적화 회로의 구성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상기한 아이에스엠(ISM)은, Industrial, Scientific, Medical의 약자로서 주로 미주지역에서 사용되는 전파 규격을 의미한다.ISM 주파수 대역은 근거리 통신이나 측정용 주파수 대역으로서, 별도의 복잡한 인증과정 없이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대역이다.ISM의 약자가 산업, 과학, 의학의 약자인 것처럼 미약한 전파를 다룰 용도가 있을 때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전달거리 범위가 수∼수십M 정의 은 거리에서만 사용이 가능하게 규정되어 있으므로, 근거리에서 공교롭게도 동일한 채널과 방식을 이용하지 않는 한 간섭이 일어날 확률은 적은 것이다.특히, 고주파(RF)측에서는 블루투스(Bluetooth), 무선랜, 홈 RF와 같은 소규모, 근거리 데이터 통신용으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ISM 밴드는 900MHZ 대역(902MHZ∼928MHZ), 2.4GHZ 대역(2.4GHZ∼2.4835GHZ) 5.8GHZ 대역(5.725GHZ∼5.850GHZ)인 3가지 대역이 있다.본 발명에 따른 아이에스엠(ISM) 광대역 염가형 모델에서는 10.625㎒의 기준주파수가 참조번호 "b"로 지칭되는 발진자를 통해 발진되고 이때 발진되는 기준주파수(b)는 믹서와 전하펌프(A,B) 등에 의해 증폭 및 안정화되어진 후, 제2 밴드패스필터(BPF2)에 의해 중간주파수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제1 중간주파수로 출력된다.
이때, 제2 중간주파수로 변환하기 위하여 10.625㎒의 주파수와 믹싱되어져야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미 기준 주파수를 10.625㎒의 주파수로 설정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상기 참조번호 "b"로 지칭되는 발진자를 통해 발진되는 10.625㎒의 기준주파수와 믹싱되어 제2 중간주파수로 변환되어지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제1 중간 주파수가 제2 밴드패스필터(BPF2)를 거쳐 믹서(e)에 입력되고, 기준 주파수(b)가 곧바로 믹서(e)에 입력되어 저주파(A/F) 출력을 얻게 된다.이 때, 기준주파수가 제2 로칼 주파수(c)와 공용으로 사용되어 중간 주파트랜스(IFT)를 사용하지 않고, 또한 IFT를 조정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특히 상기한 기준주파수(b)는 TCXO(Temperature Compensated X-tal Oscillator)로 온도보상회로가 첨부되어 외부온도의 영향에 둔감하도록 설계되어 있어 높은 주파수 안정도를 갖고 있기 때문에 제2 로칼 주파수로 사용되는데에는 별 문제가 없다.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방식에 비하여 로칼 주파수 발진수단이 필요없게 되어 기준주파수 변경에 따른 수신부 노이즈의 최적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에 따른 기준주파수 변경에 따른 수신부 노이즈 최적화 회로를 제공하면 10.25㎒의 기준주파수를 별도로 구현하고 이를 기준으로 복조기 내부에 있는 2차 로칼을 조정하는 중간주파수 튜닝 코일을 적용하였던 종래의 방식에서 탈피하여 10.625㎒의 기준주파수를 구현한 후 2차 로칼로 공용화함으로써 중간주파수 튜닝 코일 없이 기대치에 호응하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무선 데이터의 수신을 위한 아이에스엠(ISM) 광대역 염가형 통신기기에 있어서.
    제1 중간주파수를 생성하기 위한 기준주파수를 10.625㎒로 생성하고, 제2 중간주파수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제1 중간주파수와 믹싱하여야 하는 주파수를 상기 기준주파수로 대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준주파수 변경에 따른 수신부 노이즈 최적화 회로.
KR10-2000-0087177A 2000-12-30 2000-12-30 기준주파수 변경에 따른 수신부 노이즈 최적화 회로 KR100385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7177A KR100385619B1 (ko) 2000-12-30 2000-12-30 기준주파수 변경에 따른 수신부 노이즈 최적화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7177A KR100385619B1 (ko) 2000-12-30 2000-12-30 기준주파수 변경에 따른 수신부 노이즈 최적화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9020A KR20020059020A (ko) 2002-07-12
KR100385619B1 true KR100385619B1 (ko) 2003-05-28

Family

ID=27690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7177A KR100385619B1 (ko) 2000-12-30 2000-12-30 기준주파수 변경에 따른 수신부 노이즈 최적화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561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9020A (ko) 2002-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0206415A (pt) Controle de perdas de oscilador local no processo de conversão direta
US20120274370A1 (en) Reducing Spurs in Injection-Locked Oscillators
CN110212929A (zh) 一种谐波抑制发射机
CN100448164C (zh) 具有镜频抑制的混合器电路,尤其对于零或低中频的射频接收机
US6374086B1 (en) Radio transmitter/receiver
KR100385619B1 (ko) 기준주파수 변경에 따른 수신부 노이즈 최적화 회로
US6912376B1 (en) Mobile phone transceiver
US8180313B2 (en) Mixer and transceiver having the mixer
CN207853874U (zh) 一种小型化微波宽带捷频上下变频系统
US10439575B1 (en) Wideband distributed differential power amplifier utilizing metamaterial transmission line conception with impedance transformation
KR100394913B1 (ko) 필터를 갖춘 회로 장치 및 상기 회로 장치의 작동 방법
WO2002056483A1 (fr) Procede de reception et de transmission d'un signal haute frequence
CN107437969B (zh) 一种低噪放频点检测装置
KR100765007B1 (ko) Rfid 송수신 시스템
CN101727734A (zh) 无线遥控接收装置
KR100316903B1 (ko) 통신 시스템의 송수신 장치
KR101131801B1 (ko) 다중채널 수신기
KR100319401B1 (ko) 2.4~2.5㎓ 대역 수신기의 주파수 혼합기.
KR100359081B1 (ko) 통신 시스템의 송수신 장치
KR101909678B1 (ko) W대역 fmcw레이더의 다이렉트 컨버전 수신기
TWI411242B (zh) Wireless remote control receiver
KR100430079B1 (ko) 원격검침기용 고주파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KR101372060B1 (ko) 변조주파수 다중화를 이용한 rfid 수신 시스템
KR101231381B1 (ko) 위상 보상 시스템
JPH06188808A (ja) 送信電力制御機能付送受信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