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4042B1 - 다침식 재봉기 - Google Patents

다침식 재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4042B1
KR100394042B1 KR10-1999-0047578A KR19990047578A KR100394042B1 KR 100394042 B1 KR100394042 B1 KR 100394042B1 KR 19990047578 A KR19990047578 A KR 19990047578A KR 100394042 B1 KR100394042 B1 KR 1003940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box
needle bar
respect
sew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7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5115A (ko
Inventor
이노우에가즈시
오리히토미
나카노모토나리
노자키요시히사
Original Assignee
부라더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라더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부라더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00035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5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4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40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5/00Needle holders; Needle ba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5/00Needle holders; Needle bars
    • D05B55/10Needle bars for multiple-needle sew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11/00Devices for guiding, feeding, handling, or treating the threads in embroidering machines; Machine needles; Operating or control mechanisms therefor
    • D05C11/02Machine needles
    • D05C11/04Arrangements for fastening or inserting in bars or 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침식 재봉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원주부(圓柱部)(63)는 대략 "ㄷ"자형의 침봉 가이드(71)와 일체로 되어 있다. 침봉 가이드(71)는 그 상하위치 A, B에 형성된 관통공에 침봉(3)을 통과시킴으로써 침봉(3)을 지지한다. 따라서 원주부(63)를 보스(61) 내에서 회전시키면 침봉 가이드(71)도 회전되고, 침(67)의 선단(先端)이 직선 L을 축으로 하여 요동된다. 또, 원주부(63)를 보스(61) 내에서 전후(도면에서는 좌우 방향)로 이동시키면 침(67)의 선단도 마찬가지로 이동된다. 따라서 침(67)과 도시되지 않은 로터리훅과의 상대위치를 각 침(67)에 대하여 조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침식 재봉기 {SEWING MACHINE WITH MULTIPLE NEEDLES}
본 발명은 하나의 헤드에 복수의 침봉(針棒) 및 실채기(thread take-up)를 구비하고, 이것을 전환함으로써 복수색의 봉제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다침식 재봉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하나의 헤드에 복수의 침봉 및 실채기를 구비하고, 이것을 전환하여 봉제동작을 연속적으로 행하는 재봉기가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97-38367호 및 제97-75569호에 도시되어 있는 재봉기가 그 예이다.
이와 같은 재봉기를 사용하면 복수색의 실을 사용한 봉제동작을 작업자가 하나 하나 실을 바꾸지 않고 자동적으로 실을 바꾸면서 연속적으로 행할 수 있다.
그런데, 봉제작업의 고능률화의 요구에 응답하기 위해 이와 같은 재봉기의 고속화가 시도되고 있다. 예를 들면 자수(刺繡) 재봉기의 경우, 종래에는 상축(上軸)의 회전수로서 1000∼1200rpm 정도가 한계이었던 것을 더욱 고속화하고자 하는 요구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복수의 침봉을 구비하고 있으면 각 침봉의 위치가 가공정밀도 및 조립정밀도에 따라 편차가 있다. 그 결과 침봉의 하단에 부착되는 침과 로터리훅(rotary hook)의 위치도 침마다 편차가 생겨서, 고속화하였을 때의 봉제품질을 저하시켜왔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침마다에 발생하는 편차를 조정가능하게 함으로써 고속운전시에도 봉제품질이 유지될 수 있는 다침식 재봉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다침식 자수재봉기(1)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다침식 자수재봉기(1)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다침식 자수재봉기(1)의 박스(6) 부근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박스(6)에서 하우징을 벗긴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다침식 자수재봉기(1)의 침봉 조정부를 나타내는 측면도 및 침봉(3)의 저면도이다.
도 6은 다침식 자수재봉기(1)의 실채기 기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다침식 자수재봉기, 3…침봉, 5…실채기, 6…박스, 7…선단부, 9…제2 포크부, 27…상축, 33…침봉구동 로드, 37, 37a, 37b…지지체, 39…본체 프레임, 41…좌우 샤프트, 43…전후 샤프트, 45…모터, 47…플레이트, 49…홀, 51…핀, 61…보스, 63…원주부, 65…나사, 67…침, 71…침봉 가이드, 81…침봉 클램프, 83…체결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청구항 1 기재의 다침식 재봉기는, 좌우방향으로 병렬된 복수의 침봉(針棒), 상기 복수의 침봉을 지지하는 박스와, 상기 침봉을 상하운동시키는 침봉 구동부와, 침봉 구동부를 구비하는 본체 프레임과, 상기 박스를 본체 프레임에 대하여 좌우로 이동시키는 박스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박스 구동부가 상기 박스를 좌우로 이동시킴으로써, 소망의 침봉만을 상기 침봉 구동부로부터의 구동력(驅動力)을 전달가능하게 배치하는 다침식 재봉기에 있어서, 상기 침봉의 선단(先端)에 설치되는 침과, 상기 침을 통과한 상사(上絲)를 포착하는 로터리훅과의 상대위치를 상기 각 침봉에 대해 조정하기 위한 침위치 조정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다침식 재봉기에서는, 침봉의 선단에 설치된 침과 로터리훅의 상대위치를 각 침봉에 대해 조정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청구항 1 기재의 다침식 재봉기에 의하면, 가공정밀도나 조립정밀도에 따라 침의 위치가 어긋나는 일이 있어도 침위치 조정부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또한, 각 침에 대해 조정할 수 있으므로 다른 침봉에 일체 영향을 주지 않고 조절이 가능하다. 따라서 고속 동작시킬 경우에도 봉제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청구항 2 기재의 본 발명에서는, 청구항 1 기재의 다침식 재봉기에 있어서, 상기 침위치 조정부가 상기 박스에 대하여 각각 개별로 좌우 방향으로 조정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각 침봉을 대략 연직으로 지지하는 침봉 가이드(needle bar guide)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청구항 2 기재의 다침식 재봉기에 의하면, 침과 로터리훅의 사이에 생긴 좌우 방향의 위치 편차를 각 침에 대해 조정할 수 있다.
한편 청구항 3 기재의 본 발명에서는, 청구항 1 기재의 다침식 재봉기에 있어서, 상기 침위치 조정부가 상기 박스에 대하여 각각 개별로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각 침봉을 대략 연직으로 지지하는 침봉가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청구항 3 기재의 다침식 재봉기에 의하면, 침과 로터리훅의 사이에 생긴 전후 방향의 위치 편차를 각 침에 대해 조정할 수 있다.
청구항 4 기재의 본 발명은 청구항 2 또는 3 기재의 다침식 재봉기에 있어서, 상기 침봉 가이드가 대략 "ㄷ"자형 부재이고, 그 상하 2개소에 형성된 관통공으로 상기 각 침봉을 관통 장착하여 침봉을 대략 연직으로 지지하며,
상기 침봉 가이드 중의 상기 침봉을 관통 장착하는 쪽과 반대쪽으로 수평으로 돌출된 원주부(圓柱部), 및 상기 원주부를 끼워맞추기 위해 전후 방향에 따라 상기 박스에 형성된 샤프트홀(shaft hole)을 구비하고, 상기 샤프트홀에 대하여 상기 원주부를 끼워맞추는 양(量) 및 회전각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침과 상기 로터리훅과의 상대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다침식 재봉기에 있어서는, 샤프트홀에 대하여 원주부를 끼워맞추는 양을 변화시킴으로써 침봉 가이드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샤프트홀 내에서 원주부를 회전시킴으로써 침봉의 선단을 좌우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즉, 청구항 4 기재의 다침식 재봉기는 청구항 3 기재의 다침식 재봉기에의한 효과와, 청구항 2 기재의 다침식 재봉기에 의한 효과를 모두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청구항 5 기재의 본 발명에 있어서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기재의 다침식 재봉기에 있어서, 상기 침위치 조정부가 상기 침봉의 하단부에 배설되고, 또한 상기 침봉의 축선(軸線)에 대하여 편심되게 하여 상기 침을 지지하는 침 삽입공을 구비한 침 지지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다침식 재봉기에서는, 침 지지부를 회전시키면 침봉의 축과 침의 축의 상대위치가 변화한다.
따라서, 청구항 5 기재의 디침식 재봉기에 의하면, 침과 로터리훅 사이에 생긴 위치 편차를 침 지지부의 회전에 의해 수정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조정할 수 있다.
단, 이 구성만으로는 좌우 방향의 편차와 전후 방향의 편차를 각각 독립적으로 조정할 수 없다. 예를 들면 전후 방향으로만 벗어나는 경우에 침 지지부를 회전시키면 좌우 방향의 편차가 발생한다.
청구항 6 기재의 본 발명은 이것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기재의 다침식 재봉기에 있어서, 상기 박스측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침봉의 수와 동수(同數)이고, 상기 침봉과 동일한 간격으로 상기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며, 각각 홀이 형성된 복수의 플레이트, 및 상기 프레임 측에 배치된 돌몰(突沒) 가능한 부재이고, 상기 플레이트에 형성된 홀 중의 하나에 맞물리는 핀을 구비하고, 상기 플레이트 각각이 상기 좌우 방향으로 독립하여 위치조절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다침식 재봉기에 있어서는, 먼저 침 지지부를 회전시켜서 침과 로터리훅과의 전후 방향의 상대위치를 맞추고, 이 결과로 생긴 좌우 방향의 편차를 이 침에 대응하는 플레이트를 좌우 방향으로 조정함으로써 수정한다.
또한 청구항 6 기재의 본 발명은 청구항 5 기재의 침 지지부를 회전시키는 것과 조합시키는 것 뿐 아니라, 청구항 3 기재의 침을 전후로 조정할 수 있는 것과 조합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또 청구항 5 기재의 침 지지부를 회전시켜 침과 로터리훅과의 전후 방향의 상대위치를 맞추고 이 결과 생긴 좌우 방향의 편차를 청구항 2 기재의 침봉 가이드의 좌우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수정할 수도 있다.
따라서 청구항 6 기재의 다침식 재봉기에 의하면, 좌우 방향으로 생긴 편차를 조정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하여온 다침식 재봉기에 의하면, 침위치 조정부에 의해 침과 로터리훅과의 상대위치를 조정할 수 있으나, 침봉 구동부의 가공정밀도나 침봉의 조립정밀도 이외에 박스 전체가 본체 프레임에 대해 벗어나고 있는 것도 원인인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이것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 청구항 7 기재의 본 발명으로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기재의 다침식 재봉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박스의 전후 위치를 조절하는 박스 위치 조절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다침식 재봉기에 의하면 박스 전체가 전후 방향으로 벗어난 경우에는 박스 위치 조절부로 조정할 수 있다. 또 이것에 의해서도 각 침과 로터리훅과의 상대 위치가적절하게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침위치 조정부에 의해 조정하면 된다. 또, 미리 박스 위치 조절부에 의해 모든 침에 공통인 전후 방향의 편차를 조정하여 놓으면 침위치 조정부에 의한 조정의 양을 최소한으로 억제하는 것도 가능하다.
청구항 8 기재의 다침식 재봉기에 있어서는, 청구항 7 기재의 다침식 재봉기에 있어서, 상기 박스 위치 조절부가 상기 본체 프레임을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의 양단부측 각각에 있어서 상기 박스를 연결위치를 전후로 조절하는 연결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청구항 8 기재의 다침식 재봉기에 의하면, 샤프트의 좌우 각각에 있어서 전후로 조정할 수 있으므로, 연직방향의 축으로써 박스가 회전하도록 벗어나는 경우에도 조정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다침식 자수 재봉기(1)의 정면도이다. 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침식 자수 재봉기(1)는 5개의 침봉(3)을 갖추고 있고, 이것에 대응하여 5개의 실채기(5)가 정면 바로 앞쪽에 배열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침봉(3) 및 실채기(5)를 구비하는 박스(6)가 이 도면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각 침봉(3) 및 실채기(5)가 전환되고 이들에 통과된 상사(上絲)를 사용하여 자수동작을 행한다. 박스(6)의 하부에 있어서 좌우 양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지지체(37)는 박스(6)를 그 하부로 본체 프레임(39)에 대하여 지지하는 부분이다.
도 2에 다침식 자수 재봉기(1)의 우측면도를 나타낸다. 또한 이 도면에서는다침식 자수 재봉기(1)의 뒷부분을 일부 생략하고 있다. 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체(37)는 박스(6)에서 후방(이 도면에서는 오른쪽)으로 연장되고 그 도중에 지지체(37a, 37b)로 전후로 나누어져 있다. 뒤쪽의 지지체(37b) 는 본체 프레임(39)을 좌우 방향(이 도면에서는 도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관통하는 좌우 샤프트(41)를 파지(把持)한다. 또 지지체(37)에는 전후 샤프트(43)가 내장되어 있다.
또한, 모터(45)는 박스(6)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동력원으로, 본 발명의 박스 구동부에 상당한다. 플레이트(47)는 모터(45)에 의해 이동된 박스(6)를 위치결정하기 위한 것이며, 플레이트(47)에 형성된 홀(49)에 핀(51)이 삽입됨으로써 박스(6)의 좌우 방향의 위치가 규제된다. 즉, 핀(51)이 본 발명의 핀에 상당한다. 실린더(53)는 핀(51)을 돌몰(突沒)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3에 박스(6)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레이트(47)는 5매로 분리되어 있고(그 중 1매는 실린더(53)에 가리워져 도시되지 않음), 각각이 나사(55)로 베이스플레이트(57)에 고정되어 있다. 나사(55)를 이완시킴으로써 5매의 플레이트(47)를 각각 약 0.2mm씩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다. 나사(59)는 전후 샤프트(43)와 지지체(37a, 37b)를 고정하고 있으므로, 이것을 이완시킴으로써 좌우 샤프트(41)에 대한 박스(6)의 자세를 조정할 수 있다. 전후 샤프트(43) 및 나사(59)가 본 발명의 연결부에 상당하고, 좌우 샤프트(41)가 본 발명의 샤프트에 상당한다.
침봉(3)의 위치를 조정하는 기구(이하, 침봉 조정부라고 함)에 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정면도에서 박스(6)의 하우징을 벗긴 모습을 나타낸다. 또한 실채기(5) 등이 배치되어 있는 상부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본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박스(6) 내에는 각 침봉(3)에 대응하여 보스(boss; 61)가 배치되어 있고, 보스(61)에 형성된 샤프트홀 내에 삽입된 원주부(63)를 나사(65)로 고정하고 있다. 나사(65)를 이완시켜 원주부(63)를 회전시키거나 전후(이 도면에서는 도면에 수직인 방향)로 움직이게 함으로써 각 침봉(3)의 보스(61)의 중심축 주위로의 회전 및 전후 방향으로의 위치조정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5(a)는 침봉 조정부를 옆쪽에서 본 모습을 나타낸다. 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주부(63)는 대략 "ㄷ"자형의 침봉 가이드(71)와 일체로 되어 있다. 침봉 가이드(71)는 그 상하위치 A, B에 형성된 관통공에 침봉(3)을 통과시킴으로써 침봉(3)을 회전운동 및 상하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따라서 원주부(63)를 보스(61) 내에서 회전시키면 침봉 가이드(71)도 회전되고, 침(67)의 선단이 직선 L을 축으로 하여 요동(搖動)된다. 또 원주부(63)를 보스(61) 내에서 전후(본 도에서는 좌우 방향)로 이동시키면 침(67)의 선단도 마찬가지로 이동된다. 또 침봉 가이드(71)의 상하위치 A, B 사이에서, 침봉(3)에는 침봉 구동부의 전달력을 받아들이는 침봉 클램프(needle bar clamp)(81)가 도면에 생략된 나사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침봉 클램프(81)에는 돌기부(81a)가 배설되어 있고, 또 침봉 가이드(71)에는 그 돌기부(81a)와 맞물리는 긴 홈(71a)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침봉(3)은 통상적으로는 그 돌기부(81a)에 의해 침봉 클램프(81)와 함께 회전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또 침봉(3)의 하단부에는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중심축선 M에 대하여 0.5mm 정도 편심된 위치에 침(67)이 삽입 지지되는 침 삽입공(3a)이 형성되어 있다. 침봉(3)의 하단부가 본 발명의 침 지지부에 상당한다. 그리고, 침봉 클램프(81)의 나사를 이완시켜 침봉(3)을 회전 가능하게 한 후, 침봉(3)을 회전하여 침(67)의 선단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한다. 또 침봉(3)에 대하여 침(67)도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침봉(3)을 회전시켜 침(67)의 위치를 조정한 후 침(67)을 회전시켜 침(67)의 홀이 정면을 향하도록 조정한다. 또한 암(arm)(73)은 침봉(3)을 그 상하운동의 상사점(上死點; top dead point)에 위치시키는 것으로, 스프링(75)에 의한 힘을 받아 침봉(3)이 구비하는 핀(77)에 접하여 침봉(3)을 상사점까지 끌어 올린다. 침봉(3)을 상하운동시킬 때에는 도시되지 않은 실린더에 의해 핀(79)이 하강하여 암(73)의 선단을 내리고, 침봉(3)을 대기시킬 때에는 핀(79)이 상승하여(이 도면의 상태) 침봉(3)을 상사점에 위치시킨다.
실채기 구동부에 관하여 도 6에 나타낸다. 이 도면은 다침식 자수 재봉기(1)의 내부를 도 1의 오른쪽에서 본 도면이다(도 5(a)에 나타낸 침봉 가이드(71)는 생략되어 있다). 실채기(5)는 점 P를 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있고, 이 점 P에 관하여 선단부(7)와 대략 대칭 위치에 형성된 제2 포크부(second fork part)(9)에 끼워진 제1 원통부(11)가 상하 운동됨에 따라 요동된다. 또한 제1 원통부(11)는 이 도면의 깊이방향으로 연장될 뿐 아니라 그 부위에서는 직경이 제2 포크부(9)와는 약간 틈이 벌어질 정도로 되어 있다. 실채기(5)를 다른 실채기(5)로 전환할 때에는 침봉(3)이 그 상사점에 대응하는 자세로 실채기(5)가 정지되고,본 도에 수직인 방향(또는 이의 역방향)으로 박스(6)(이 도면의 왼쪽 부분)가 이동되고, 다른 실채기(5)의 제2 포크부(9)가 제1 원통부(11)를 끼운다.
제1 원통부(11)는 실채기구동 로드(13)에 고정되어 있고, 실채기구동 로드(13)의 중앙보다 약간 하부에서 뒤쪽(이 도면의 오른쪽)으로 돌출된 제2 원통부(15)가 상하 운동됨으로써 구동된다. 제2 원통부(15)를 상하 운동시키는 것이 요동축(rocking shaft)(17)이며, 그 전단(前端)(이 도면에서는 좌단)에 형성된 제1 포크부(19)가 제2 원통부(15)를 끼우고, 요동축(17)이 요동됨으로써 제2 원통부(15), 실채기구동 로드(13), 및 제1 원통부(11)를 상하 이동시켜 실채기(5)를 요동시킨다.
요동축(17)을 요동시키는 기구가 암부(21), 슬라이딩부재(23), 크랭크(25), 및 상축(27)이다. 상축(27)은 도시되지 않은 모터에 의해 정속(定速)으로 회전되고, 그 기어(29, 31)를 거쳐 크랭크(25)에 전달된다. 크랭크(25)에는 슬라이딩부재(23)가 상축(27)에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배설되어 있고, 또 슬라이딩부재(23)에는 암부(21)가 관통 장착되어 있다. 암부(21)는 요동축(17)에 수직으로 배설되어 있고, 이 상태에서 상축(27)이 정속 회전되면 요동축(17)이 요동한다.
침봉구동 로드(33)의 측면에 배설된 체결부(engaging part)(83)는 침봉 클램프(81) 내에 삽입되어 있고, 상축(27)이 회전되면 침봉구동 로드(33)가 도시되지 않은 크랭크 기구를 거쳐 상하 운동됨으로써 침봉(3)은 구동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다침식 자수 재봉기(1)에 의하면 침봉(3)마다 침 위치조정기구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각부의 가공정밀도나 조립정밀도 등에 따라 각 침봉(3)에 생긴 편차를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원주부(63)를 보스(61) 내에서 회전시킴으로써 침봉(3)이 직선 L(도 5 참조)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하고, 침(67)의 선단이 좌우로 이동한다. 그리고 원주부(63)를 직선 L에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침(67)의 선단을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 침봉(3)을 회전시키는 것으로도 침(67)의 선단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단, 이 경우는 좌우와 전후를 서로 독립적으로 조정할 수 없으므로, 침(67)의 전후위치를 결정한 후 플레이트(47)의 위치를 좌우로 조정함으로써 좌우위치를 조정한다.
또, 박스(6) 전체가 연직방향을 축으로 하는 회전방향으로 벗어난 경우 또는 전후방향으로 벗어난 경우는 나사(59)를 이완시키고, 박스(6)를 좌우 샤프트(41)에 대해 이동시킴으로써 편차가 없게 할 수 있다.
이상의 조정작업을 편차의 상태에 따라 행함으로써 모든 침(67)의 선단과 로터리훅과의 상대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로서 다침식 자수 재봉기(1)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형태에 전혀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수 재봉기 이외의 다침식 재봉기에 대해 적용할 수도 있다. 또, 침봉(3)을 6개 이상 구비하는 다침식 재봉기나 2∼4개 구비하는 다침식 재봉기에 적용할 수도 있다. 또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86-37194호에 기재된 재봉기와 같이 본체 프레임에 대하여 박스를 회전운동시킴으로써 박스를 좌우로 이동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또, 침봉(3)을 회전운동시킴으로써 침(67)의 위치를 조정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침봉의 선단부에 회전가능한 침 지지체를 별도로 설치하여 그것의 침봉 지지체를 침봉에 대해 회전운동시킴으로써 침 위치를 조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침봉(3)의 좌우 방향만의 위치조정을 행하는 구성은 침봉 가이드(71)를 직선 L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침봉 가이드(71)와 보스(61) 대신에 침봉(3)을 좌우로 슬라이드 가능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기재된 구성 전부를 구비할 필요는 없으며, 필요에 따라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위치조정 가능한 5매의 플레이트(47) 및 핀(51)을 구비한 것이면 침봉 가이드(71)를 직선 L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구성은 없어도 되므로 원주부(63)를 각주부(角柱部)로 하는 동시에 보스(61)의 샤프트홀을 각진 구멍으로 하고, 지지체(37)가 전후 방향으로만 이동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발명의 구성에 기술된 내용 참조.

Claims (8)

  1. 좌우방향으로 병렬된 복수의 침봉(針棒), 상기 복수의 침봉을 지지하는 박스, 상기 침봉을 상하운동시키는 침봉 구동부, 침봉 구동부를 구비하는 본체 프레임, 및 상기 박스를 본체 프레임에 대하여 좌우로 이동시키는 박스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박스 구동부가 상기 박스를 좌우로 이동시킴으로써, 소망의 침봉만을 상기 침봉 구동부로부터의 구동력(驅動力)을 전달가능하게 배치하는 다침식 재봉기에 있어서,
    상기 침봉의 선단(先端)에 설치되는 침과, 상기 침을 통과한 상사(上絲)를 포착하는 로터리훅(rotary hook)과의 상대위치를 상기 각 침봉에 대해 조정하기 위한 침위치 조정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침식 재봉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위치 조정부가 상기 박스에 대하여 각각 개별로 좌우 방향으로 조정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각 침봉을 대략 연직(鉛直)으로 지지하는 침봉 가이드(needle bar guid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침식 재봉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위치 조정부가 상기 박스에 대하여 각각 개별로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각 침봉을 대략 연직으로 지지하는 침봉 가이드인 것을특징으로 하는 다침식 재봉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침봉 가이드가 대략 "ㄷ"자형 부재이고, 그 상하 2개소에 형성된 관통공으로 상기 각 침봉을 관통 장착하여 침봉을 대략 연직으로 지지하며,
    상기 침봉 가이드 중의 상기 침봉을 관통 장착하는 쪽과 반대쪽으로 수평으로 돌출된 원주부, 및 상기 원주부를 끼워맞추기 위해 전후 방향에 따라 상기 박스에 형성된 샤프트홀(shaft hole)을 구비하고,
    상기 샤프트홀에 대하여 상기 원주부를 끼워맞추는 양(量) 및 회전각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침과 상기 로터리훅과의 상대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침식 재봉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침위치 조정부가 상기 침봉의 하단부에 배설되고, 또한 상기 침봉의 축선(軸線)에 대하여 편심되게 하여 상기 침을 지지하는 침 삽입공을 구비한 침 지지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침식 재봉기.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측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침봉의 수와 동수(同數)이고, 상기 침봉과 동일한 간격으로 상기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며, 각각 홀이 형성된 복수의 플레이트, 및 상기 프레임 측에 배치된 돌몰(突沒) 가능한 부재이고, 상기 플레이트에 형성된 홀 중의 하나에 맞물리는 핀을 구비하고, 상기 플레이트 각각이 상기 좌우 방향으로 독립하여 위치조절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침식 재봉기.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박스의 전후 위치를 조절하는 박스 위치조절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침식 재봉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 위치조절부가 상기 본체 프레임을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의 양단부측 각각에 있어서 상기 박스를 연결위치를 전후로 조절하는 연결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침식 재봉기.
KR10-1999-0047578A 1998-11-17 1999-10-29 다침식 재봉기 KR1003940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327118 1998-11-17
JP10327118A JP2000154454A (ja) 1998-11-17 1998-11-17 多針式ミシ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5115A KR20000035115A (ko) 2000-06-26
KR100394042B1 true KR100394042B1 (ko) 2003-08-06

Family

ID=18195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7578A KR100394042B1 (ko) 1998-11-17 1999-10-29 다침식 재봉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170415B1 (ko)
JP (1) JP2000154454A (ko)
KR (1) KR100394042B1 (ko)
CN (1) CN1109787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46456B2 (en) * 2001-09-28 2004-06-08 Ethicon, Inc. Needle array suturing/sewing anastomosis device and method for anastomosis
WO2004110257A2 (en) 2003-06-09 2004-12-23 The University Of Cincinnati Power system for a heart actuation device
WO2006074413A2 (en) * 2005-01-07 2006-07-13 University Of Cincinnati Prosthetic anchor and method of making same
US8753392B2 (en) 2005-01-07 2014-06-17 University Of Cincinnati Elements for versatility of a prosthetic anchor
US7715918B2 (en) * 2005-10-18 2010-05-11 University Of Cincinnati Muscle energy converter with smooth continuous tissue interface
JP2007229291A (ja) * 2006-03-02 2007-09-13 Brother Ind Ltd 刺繍ミシン
CN103361899B (zh) * 2013-07-12 2014-05-21 宁波舒普机电科技有限公司 用于缝纫机的多针杆模块
CN104988677A (zh) * 2015-07-24 2015-10-21 宁波高新区宁源科技服务有限公司 多色绣花机绣针机构
CN109112738B (zh) * 2018-07-18 2021-04-30 安徽工程大学 一种自动换针装置
CN109591377A (zh) * 2018-12-27 2019-04-09 瑞安市鑫达包装机械有限公司 一种新型无纺布烫把缝边横切一体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2379A (ja) * 1992-11-03 1994-05-24 Brother Ind Ltd 多針式ミシンの針棒ケース支持装置
JPH0938367A (ja) * 1995-08-01 1997-02-10 Tokai Ind Sewing Mach Co Ltd ミシン
KR19980076716A (ko) * 1997-04-12 1998-11-16 박상곤 다침재봉기
KR19980079449A (ko) * 1997-03-11 1998-11-25 시바따 요시오 다두 다침 재봉틀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9797A (ja) * 1982-09-16 1984-03-22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ミシンの針棒変換安全装置
GB8330289D0 (en) * 1983-11-14 1983-12-21 Lieuse Techn Ltd Wheelchair
US4531467A (en) * 1984-03-30 1985-07-30 Golia Jr Dominick Thread take-up arm mechanism for automatic color change embroidery machinery
JPS6137194A (ja) * 1984-07-27 1986-02-22 株式会社 バルダン ミシン
JPS62120888A (ja) * 1985-11-20 1987-06-0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ミシンの天秤装置
JPH0333342Y2 (ko) * 1985-12-27 1991-07-15
JP2850592B2 (ja) * 1991-08-30 1999-01-2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ミシンの針棒駆動装置
JPH0556082U (ja) * 1991-12-27 1993-07-27 ジューキ株式会社 ジグザグミシン
JPH0975569A (ja) * 1995-09-13 1997-03-25 Tokai Ind Sewing Mach Co Ltd 多頭ミシン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2379A (ja) * 1992-11-03 1994-05-24 Brother Ind Ltd 多針式ミシンの針棒ケース支持装置
JPH0938367A (ja) * 1995-08-01 1997-02-10 Tokai Ind Sewing Mach Co Ltd ミシン
KR19980079449A (ko) * 1997-03-11 1998-11-25 시바따 요시오 다두 다침 재봉틀
KR19980076716A (ko) * 1997-04-12 1998-11-16 박상곤 다침재봉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154454A (ja) 2000-06-06
US6170415B1 (en) 2001-01-09
CN1109787C (zh) 2003-05-28
KR20000035115A (ko) 2000-06-26
CN1263178A (zh) 2000-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4042B1 (ko) 다침식 재봉기
JPH07275537A (ja) ミシン頭部駆動装置
JP2958945B2 (ja) 刺繍ミシン用帽子枠構造
JP3156574B2 (ja) ミシン
JP2007061248A (ja) ミシンの針棒駆動装置及びミシン
US7497178B2 (en) Apparatus for driving embroidery frame of embroidery machine
KR100633205B1 (ko) 자수기
US6012404A (en) Zigzag pattern changing device for a sewing machine
EP1947228A2 (en) Apparatus for driving embroidery frame of embroidery machine
JP2682346B2 (ja) 針送り機能付きミシンの針送り/下送り切換え装置
JP2001070680A (ja) ミシンの送り装置
JP2845062B2 (ja) 多針式ミシンの針棒ケース支持装置
JP2958947B2 (ja) 刺繍ミシン用帽子枠装置
JP2579686Y2 (ja) 多針式ミシンの針棒ケース支持装置
JPH06126070A (ja) 多頭ミシンの駆動装置
JPH0790765A (ja) 刺繍機における帽子枠駆動装置
JP2000140471A (ja) 多針式ミシン
JP3404447B2 (ja) 多頭式縫製装置
JP3522558B2 (ja) 2本針ミシンの釜位置調節機構
KR200273167Y1 (ko) 자수헤드의 니들가동체 수평안내장치
JP2821852B2 (ja) ミシンの針棒揺動案内装置
JPH11222762A (ja) 刺繍ミシン
JPH06126061A (ja) 多針ミシンにおける天秤装置
JP2003326005A (ja) 針送りミシン
JP3151901B2 (ja) ミシ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