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2074B1 - 살균효과를 가지는 싸이아졸 유도체 - Google Patents

살균효과를 가지는 싸이아졸 유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2074B1
KR100392074B1 KR10-2000-0056263A KR20000056263A KR100392074B1 KR 100392074 B1 KR100392074 B1 KR 100392074B1 KR 20000056263 A KR20000056263 A KR 20000056263A KR 100392074 B1 KR100392074 B1 KR 1003920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azole
iii
aromatic ring
ome
bactericidal eff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6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4487A (ko
Inventor
최일영
이재현
박창식
임희종
김진철
Original Assignee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화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0-0056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2074B1/ko
Publication of KR20020024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44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2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20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7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nitrogen atoms and oxygen or sulfur atoms as ring hetero atoms
    • A01N43/7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nitrogen atoms and oxygen or sulfur atoms as ring hetero atoms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nd either one oxygen atom or one sulfur atom in positions 1,3
    • A01N43/781,3-Thiazoles; Hydrogenated 1,3-thiazo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 C07D41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17/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directly linked by a ring-member-to-ring-member bo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Thiazole And Isothizaole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살균효과를 가지는 신규한 싸이아졸 유도체와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아마이드로부터 신규한 싸이아졸 유도체를 제조할 수 있으며, 전기 싸이아졸 유도체는 벼도열병, 벼잎집무늬마름병, 오이잿빛곰팡이병, 토마토역병, 밀녹병, 밀붉은녹병 또는 보리흰가루병을 각각 일으키는 피리큐라리아 오라이제 카바라(Pyricularia oryzae Cavara), 라이족토니아 솔라니(Rhizoctonia solaniAG-1), 보트리티스 시네레아(Botrytis cinerea KCI), 파이토프소라 인페스탄스(Phytophthora infestans), 푸치니아 레콘디타(Puccinia recondita), 에리시페 그라미니스 포마 스페셜리스 호르데이(Erysiphe graminisf.sp.hordei)에 대하여 살균효과를 나타내는 바, 본 발명의 싸이아졸 유도체는 살균제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살균효과를 가지는 싸이아졸 유도체{Thiazole Derivatives with Fungicidal Activity}
본 발명은 살균효과를 가지는 신규한 싸이아졸 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식물병원균에 대하여 우수한 살균효과를 가지는 하기 일반식(Ⅰ)의 신규한 싸이아졸 유도체, 전기 유도체의 제조방법 및 전기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살균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식에서,
X는 알킬, 싸이클로알킬, 치환된 방향족 고리,
치환되지 않은 방향족 고리 또는 헤테로고리이며;
A는 탄소 또는 질소이고; 및,
R은 메톡시 또는 메틸아민기이다.
농약에 대한 균주의 내성에 대한 기전은 여러가지로 분류될 수 있는데, 우선 벼의 도열병균에 대한 블라스티시딘-S(blasticidin-S), 알터나리아(Alternaria)에 대한 폴리옥신 D(polyoxin D)의 경우와 같이, 균체의 세포벽을 약제가 투과할 때, 약제에 대하여 균체의 감수성과 저항성에 차이를 보임으로써, 약제침투이행량이 감소되어 약제저항성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외에도, 벤즈이미다졸(benzimidazole)에 대한 버티실리움(Verticillium), 유기수은제에 대한 피레노포라(Pyrenophora), 유기인제에 대한 피리큐라리아(Pyricularia)의 경우와 같이 약효가 불활성화되어 살균제의 약효가 감소되는 경우도 있다.
농약제에 대하여 내성을 가지게 되는 다른 원인으로는, 농약의 작용점에서의 약제작용의 감소를 들 수 있는데, 이러한 기전은 균의 효소계와 같은 생리적 조건이 변화하여 약제와의 친화력이 저하되어 약제작용이 감소되어 발생될 수 있는데, 옥수수깜부기 병균(Ustilago maydis)에 대한 카르복신(carboxin, Vitavax), 아스퍼질러스에 대한 벤즈이미다졸, 피리쿨라리아에 대한 카수가마이신(kasugamycin)의 경우가 그 예이며, 이 중 옥수수깜부기 병균의 저항성은 염색체 상의 동일한 좌위(座位)의 변이에 의하여 발생된다고 알려져 있다. 아울러, 농약의 작용점에서 균의 생리적 조건이 양적으로 증가하여 약제의 반응성이 상대적으로 저하되어 작용점에서 약제작용이 감소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이의 검은별무늬병균(Cladosporium cucumerinum)에서 6-아자우라실(6-azauracil)에 대한 목표효소가 활성이 증대하여 약제에 대하여 저항성을 가지게 되는 경우이다.
상술한 단일 농약제에 대한 내성이외에도, 트리아리몰(triarimol)에 저항성을 지닌 오이의 검은별무늬병균이 트리포린(triforine)이나 덴마트(denmart)에 대해서 저항성을 가지게 되는 경우, 베노밀(benomyl)에 대하여 저항성을 갖는 병균이 티오파나메이트-메틸(thiophanamate-methyl, Topsin-M)에 대하여 저항성을 갖는 경우, 또는 카르벤다짐(carbendazim)에 대하여 내성을 갖는 병균이 화학적으로 유사한 티아벤다졸(thiabendazole)이나 푸리다졸(furidazole)에 대해서도 내성을 갖게되는 경우와 같이, 1개의 약제에 대하여 저항성을 지니게 된 균이 다른 약제에 대하여 저항성을 가지게 되는 교차저항성이 농약제를 선택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관건이 되고 있다.
한편,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 프로피오코나졸(propioconazole, TiltㆍDesmelㆍCGA 64250, 1-[2-(2,4-dichlorophenyl)-4-propyl-1,3-dioxolan-2-ylmethyl]-1H-1,2,4-triazole), 에타코나졸(etaconazole, CGA 64251ㆍVangardㆍSonax, 1-[2-(2',4'-dichlorophenyl)-4-ethyl-1,3-dioxolan-2-ylmethyl]-1H-1,2,4-triazole), 플루실라졸(flusilazol, NewstarㆍDPX-H 6573)과 같은 트리아졸계(Triazole) 살균제들은 에르고스테롤(erogosterol)의 생합성을 저해함으로써 살균효과를 나타내는데, 특히 프로피오코나졸은 각종 작물의 녹병과 흰가루병에, 에타코나졸은 사과나무의 검은별무늬병과 흰가루병에, 플루실라졸은 사과나무ㆍ배나무의 검은별무늬병, 붉은별무늬병ㆍ흰가루병이나 채소류의 흰가루병에 선택적으로 살균작용을 나타낸다.
그러나, 전기 트리아졸계 살균제들은 우수한 살균효과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구조의 유사체가 계속 개발됨에 따라 표적 병원균주들이 해당 유사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농약에 대하여 내성을 가지게 되었다. 따라서, 살균제에 대하여 내성을 가지는 병원균에 대하여 약제를 선택하는데 있어서,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 살균제들에 대하여 병원균들이 내성을 갖게 되어, 실제 살균에 필요한 유효성분량이 상대적으로 많이 소요되어 환경오염을 일으킨다는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이외에도, 스트로빌리루린(Strobiliurin)의 경우는 빛에 대한 낮은 안정성때문에 실제 살균제로 사용되는 데는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따라, 안정성이 뛰어나면서도 살균효과가 우수한 살균제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기존의 살균제와는 구조적으로 다르면서도 현저한 살균효과를 갖는 신규한 유도체를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신규한 싸이아졸 유도체를 합성하는데 성공하였으며, 전기 유도체가 식물병원균에 대하여 소량으로도 강력한 살균효과를 가짐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결국,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신규한 싸이아졸 유도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기 싸이아졸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기 싸이아졸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농업용 살균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음의 일반식(Ⅰ)의 싸이아졸 유도체, 전기 유도체의 제조방법 및 전기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살균제를 제공한다.
상기 식에서,
X는 알킬, 싸이클로알킬, 치환된 방향족 고리,
치환되지 않은 방향족 고리 또는 헤테로고리이며;
A는 탄소 또는 질소이고; 및,
R은 메톡시 또는 메틸아민기이다.
전기 본 발명의 싸이아졸 유도체 중, R이 메톡시인 경우에는 싸이오아마이드를 다이클로로에탄에 용해시켜 염기의 존재하에 다이클로로아세톤과 48 내지 72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한 다음, 싸이오닐 클로라이드의 산 조건하에 탈수시켜 클로로메틸 싸이아졸을 수득하는 공정; 및, 전기 클로로메틸 싸이아졸의 염소원자를 소디움 아이오다이드를 사용하여 아이오딘 원자로 치환시킨 후, 2-(2-하이드록시페닐)-3-메톡시아크릴산 메틸에스테르 또는 2-메톡시이미노-(2-하이드록시페닐)-아세트산 메틸에스테르와 반응시켜 다음 일반식(Ⅰ)(단, R=OCH3)으로 표시되는 싸이아졸 유도체를 수득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다. 아울러, R이 메틸아민인 경우에는 전기에서 수득한 싸이아졸 유도체(Ⅰ)(단, R=OCH3)를 메틸아민과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싸이아졸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공정별로 나누어 설명하고자 한다.
제 1공정: 클로로메틸 싸이아졸의 수득
싸이오아마이드(Ⅱ)를 염기의 존재하에 다이클로로에탄에 용해시켜 다이클로로아세톤과 48 내지 72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한 다음, 싸이오닐 클로라이드로 탈수시켜 클로로메틸 싸이아졸(Ⅲ)을 수득한다: 이때, 싸이오아마이드는 산염화물과 암모니아수를 상온에서 반응시켜 아세트아마이드를 수득한 후, 전기 아세트아마이드를 톨루엔, 벤젠 등의 용매에 용해시켜 P2S5또는 로슨시약(Lawesson's reagent)를 사용하여 60 내지 110℃,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0℃, 가장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70℃에서 5분 내지 20분 동안 반응시킴으로써 싸이오아마이드를 수득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싸이오아마이드를 소디움바이카보네이트(sodium bicarbonate)의 염기 존재하에 다이클로로에탄, 클로로포름, 1,4-다이옥산 등의 용매에 용해시켜 반응시키고, 싸이오닐 클로라이드(SOCl2), 포스포러스 펜타클로라이드(PCl5), 포스포러스 트리클로라이드(PCl3) 또는 설포닐 클로라이드(SO2Cl2) 등의 산 존재하에, 바람직하게는 싸이오닐 클로라이드(SOCl2)를 사용하여 탈수시킴으로써 클로로메틸 싸이아졸(Ⅲ)을 수득한다
제 2공정: 싸이아졸 유도체의 제조
전기 수득된 클로로메틸 싸이아졸(Ⅲ)의 염소원자를 소디움 아이오다이드를 사용하여 아이오다인 원자로 치환시킨 후, 2-(2-하이드록시페닐)-3-메톡시아크릴산 메틸에스테르(단, A=C) 또는 2-메톡시아미노-(2-하이드록시페닐)-아세트산 메틸에스테르(단, A=N)를 반응시켜 싸이아졸 화합물(Ⅰ)(단, R=OCH3)을 제조한다: 이때, 클로로메틸 싸이아졸의 염소원자는 반응성이 낮으므로, 쉽게 요오드 원자로 치환이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DMF 및 K2CO3의 존재하에 NaI를 가하여 요오드 원자로 치환시킨다.
상기 식에서,
X는 알킬, 싸이클로알킬, 치환된 방향족 고리,
치환되지 않은 방향족 고리 또는 헤테로고리이며;
A는 탄소 또는 질소이고; 및,
R은 메톡시이다.
한편, 전기 수득한 싸이아졸 유도체(I)(단, R=OCH3)를 메틸아민과 반응시켜 다음 일반식(I)(단, R=NHCH3)의 싸이아졸 유도체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식에서,
X는 알킬, 싸이클로알킬, 치환된 방향족 고리,
치환되지 않은 방향족 고리 또는 헤테로고리이며;
A는 탄소 또는 질소이고; 및,
R은 메틸아민이다.
한편, 상술한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싸이아졸 유도체의 바람직한 예는 후술하는 표 1-3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싸이아졸 유도체의 예는 상기 일반식 (Ⅰ)에서, X는 메톡시페닐, A는 탄소 및 R은 메톡시인 경우, 즉 3-메톡시-2-{2-[2-(4-메톡시페닐)싸이아졸-4-일-메톡시]-페닐}-아크릴산 메틸 에스테르인 경우이다.
본 발명의 싸이아졸 유도체의 살균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벼도열병, 벼잎집무늬마름병, 오이잿빛곰팡이병, 토마토역병, 밀녹병, 밀붉은녹병 및 보리흰가루병을 각각 일으키는 피리큐라리아 오라이제 카바라(Pyricularia oryzae Cavara), 라이족토니아 솔라니(Rhizoctonia solaniAG-1), 보트리티스 시네레아(Botrytis cinerea KCI), 파이토프소라 인페스탄스(Phytophthora infestans), 푸치니아 레콘디타(Puccinia recondita), 에리시페 그라미니스 포마 스페셜리스 호르데이(Erysiphe graminisf.sp.hordei)를 대상으로 살균력을 시험한 결과, 소량으로도 우수한 살균효과를 나타내며, 특히 밀녹병, 보리흰가루병의 병원균에 대해 선택적으로 우수한 살균력을 보이며, 약해가 없어서 전기 병원균에 대하여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존의 살균제에 대하여 내성을 가진 균주에 대하여 더욱 효과적인 농업용 살균제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싸이아졸 유도체는 곡류, 과수, 채소류, 커피, 차나무, 잔디, 임업용 및 관상용 묘목, 화훼류의 지상부 및 지하부, 그리고 종자 또는 농산물의 저장 과정에서, 식물에 병을 일으키는 병원곰팡이에 대하여 저약량으로 강력한 살균효과를 나타내는데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싸이아졸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하고, 보조제를 포함하는 살균제를 단제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으며, 약효를 증진시키거나 적용범위를 확대하기 위하여 혼합제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보조제로서는 탄화수소류·할로겐화탄화수소·알코올류·케톤류·에테르류·에스테르류·아마이드류 등의 용제, 탈크·산성백토·석회분말·카올린·벤토나이트·제올라이트 등의 고체증량제, 카제인·젤라틴·아교·고무질수지·폴리비닐알코올 등의 고착제, 방향족아민·고급지방산 등의 안정제, CCl3F·CCl2F2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인 분사제, 또는 계면활성제 등이 사용되며, 전기 보조제와 함께 혼합되어 유제, 액제, 수용제, 수화제, 플로우어블(flowable), 유제, 미량살포제 등의 액제 또는 분제, DL분제(driftless dust), 플로우더스트제(flow dust, FD), 입제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싸이아졸 유도체의 제조
실시예 1-1: 4-클로로벤즈아마이드의 수득
4-클로로벤조일 클로라이드(2.00g, 11.4mmol)를 테트라하이드로퓨란(10㎖)에용해시키고, 암모니아수(5㎖)를 가하고 상온에서 약 30분간 교반한 후, 에틸에스테르로 추출하고 건조한 다음, 용매를 제거하여 흰색의 고체를 정량적으로 수득하였다.
실시예 1-2: 4-클로로싸이오벤즈아마이드의 수득
전기 4-클로로벤즈아마이드(2.00g, 12.8mmol)를 톨루엔(10㎖)에 용해시킨 다음, 로슨시약(Lawesson's reagent, 3.11g, 7.68mmol)을 가하고 온도를 65 내지 70℃로 5분간 유지 하였다. 이어, 생성된 침전을 제거한 후, 잔여 용액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 아세테이트=4:1)로 분리하여 생성물을 수득(1.70g, 수율 77 %)하고 이를 분석한 결과, 하기의 NMR 자료를 근거로 4-클로로싸이오벤즈아마이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1H NMR(200MHz, CDCl3): δ0.75-1.03(m, 4H), 1.39-2.07(m, 3H),
5.97(brs, 2H)
실시예 1-3: 3-클로로메틸-2-(4-클로로페닐)-싸이아졸의 수득
전기 4-클로로싸이오벤즈아마이드(2.50g, 14.5mmol)를 1,2-다이클로로에탄(50㎖)에 용해시킨 후, 1,3-다이클로로아세톤(2.03g, 16.0mmol)과 NaHCO3(2.67g, 31.8mmol)를 가하고 48시간동안 교반 하였다. 이어, 침전물을 여과하고 건조시킨 후, 1,2-다이클로로에탄(50㎖) 및 싸이오닐 클로라이드(1㎖)를 가한 다음, 60 내지 70℃로 유지하면서 30분간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감압하에 용매와 싸이오닐 클로라이드를 제거시켜서 고체의 생성물을 수득(2.1g, 수율 68%)하였으며, 하기에 전기 생성물의 분석결과를 기재하였고, 3-클로로메틸-2-(4-클로로페닐)-싸이아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1H NMR(200 MHz, CDCl3): δ4.73(s, 2H), 7.31(s, 1H), 7.37-7.44(m, 2H),
7.84-7.01(m, 2H).
실시예 1-4: 2-2-[2-(4-클로로페닐)싸이아졸-4-일 메톡시]-페닐-3-메톡시-아크릴산 메틸 에스테르의 수득
전기 3-클로로메틸-2-(4-클로로페닐)싸이아졸(244mg, 1.00mmol)을 디메틸 포름아마이드(2㎖)에 용해시키고, 요오드화 나트륨(165mg, 1.10mmol), 탄산칼륨(166mg, 1.20mmol) 및 2-(2-하이드록시페닐)-3-메톡시 아크릴산 메틸에스테르(250mg, 1.20mmol)를 가한 후, 50 내지 60℃로 밤새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물을 가하고 에테르(3×5㎖)로 추출한 후, 무수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켜 용매를 제거하고 수득한 생성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젤, 헥산:에틸아세테이트=4:1)하여 순수한 2-2-[2-(4-클로로페닐)싸이아졸-4-일 메톡시]-페닐-3-메톡시-아크릴산 메틸 에스테르를 수득(262mg, 수율 63%)하였다.
실시예 1-5: 2-[2-(4-클로로페닐)싸이아졸-4-일 메톡시]-페닐-메톡시이미노-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의 수득
전기 3-클로로메틸-2-(4-클로로페닐)싸이아졸(100mg, 0.47mmol)을 다이메틸 포름아마이드(1㎖)에 용해시키고 탄산칼륨(78mg, 0.56mmol)및 2-메톡시이미노-(2-하이드록시페닐)-아세트산 메틸에스테르(138mg, 0.56mmol)를 가한 후 밤새 교반 하였다. 이어, 물을 가하고 에테르 5㎖로 3회 추출하고 무수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한 후, 용매를 제거하여 수득한 불순한 생성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실리카젤, 헥산:에틸 아세테이트=4:1)로 분리하여 순수한 2-[2-(4-클로로페닐)싸이아졸-4-일 메톡시]-페닐-메톡시이미노-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를 수득(67mg, 수율 41%)하였다.
실시예 1-6: 2-2-[2-(4-클로로페닐)싸이아졸-4-일메톡시]-페닐-2-메톡시이미노 -N-메틸아세트아마이드의 수득
전기 2-[2-(4-클로로페닐)-싸이아졸-4-일 메톡시]-페닐-메톡시이미노 아세트산 메틸에스테르(50mg, 0.144mmol)를 테드라하이드로퓨란(1mL)에 용해시킨 다음 메틸아민(1㎖)을 가하고 밤새 교반하였다. 이어, 용매를 감압하에 제거시킨 후, 컬럼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젤, 헥산:에틸 아세테이트=4:1)로 분리하여 순수한 2-2-[2-(4-클로로페닐)싸이아졸-4-일메톡시]-페닐-2-메톡시이미노-N-메틸아세트아마이드를 수득(42mg, 수율 84%)하였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싸이아졸 유도체의 대표적인 예는 하기 표 1 내지 4에 기재하였으며, 표에서 X 및 Y는 본 발명의 명세서의 일반식(Ⅰ)의 X 및 Y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싸이아졸 유도체(단, R=메톡시이다)
번호 X Y 1H NMR(CDCl3, δ)
1 CH3 E-OMe 2.70(s, 3H), 3.65(s, 3H), 3.80(s, 3H). 5.18(s, 2H),6.90-7.07(m, 3H), 7.20-7.26(m, 2H), 7.52(s, 1H)
2 C6H11 E-OMe 1.22-2.19(m, 10H), 2.85-3.06(m, 1H), 3.65(s, 3H),3.80(s, 3H), 5.19(s, 2H), 6.90-7.08(m, 3H),7.20-7.28(m, 2H), 7.52(s, 1H)
3 Ph E-OMe 3.67(s, 3H), 3.83(s, 3H), 5.29(s, 2H), 6.97-7.01(m, 2H),7.23-7.25(m, 3H), 7.42-7.45(m, 3H), 7.55(s, 1H),7.92-7.97(m, 2H)
4 4-CH3Ph E-OMe 2.39(s, 3H), 3.67(s, 3H), 3.81(s, 3H), 5.28(s, 2H),6.96-7.03(m, 2H), 7.20-7.30(m, 2H), 7.82(d, 2H),7.54(s, 1H)
5 2-ClPh E-OMe 3.68(s, 3H), 3.84(s, 3H), 5.33(s, 2H), 6.98-7.05(m, 2H),7.23-7.54(m, 6H), 7.55(s, 1H), 8.19-8.24(m, 1H)
6 4-ClPh E-OMe 3.67(s, 3H), 3.83(s, 3H), 5.27(s, 2H), 6.96-7.05(m, 2H),7.23-7.30(m, 3H), 7.36-7.44(m, 2H), 7.54(s, 1H),7.86(s, 1H), 7.90(s, 1H)
7 3,4-Cl2Ph E-OMe 3.67(s, 3H), 3.84(s, 3H), 5.28(s, 3H), 6.95-7.05(m, 2H),7.23-7.31(m, 3H), 7.49-7.55(m, 2H), 7.73-7.78(m, 1H),8.07(d, 1H)
8 3,5-Cl2Ph E-OMe 3.67(s, 3H), 3.84(s, 3H), 5.28(s, 3H),6.99(dd, J=7.4, 13.8Hz, 2H), 7.26-7.33(m, 1H),7.33(brs, 1H), 7.39-7.41(m, 2H), 7.55(s, 1H),7.83(J=1.8Hz, 2H)
9 2-CH3OPh E-OMe 3.67(s, 3H), 3.83(s, 3H), 4.03(s, 3H), 5.32(s, 2H),6.97-7.13(m, 4H), 7.22-7.45(m, 4H), 7.55(s, 1H)
10 3-CH3OPh E-OMe 3.67(s, 3H0, 3.83(s, 3H), 3.89(s, 3H), 5.29(s, 2H),6.90-7.05(m, 3H), 7.12-7.38(m, 4H), 7.48-7.55(s, 1H)
11 4-CNPh E-OMe 3.67(s, 3H), 3.84(s, 3H), 5.30(s, 2H), 6.95-7.06(m, 2H),7.24-7.31(m, 1H), 7.38(s, 1H), 7.55(s, 1H),7.73(d, J=8.5Hz, 2H), 8.06(d, J=8.3Hz, 2H)
12 PhOPh E-OMe 3.70(s, 3H), 3.81(s, 3H), 5.32(s, 2H), 6.98-7.30(m, 13H),7.53(s, 1H), 8.43(m, 1H)
13 3-C5H3N E-OMe 3.68(s, 3H), 3.81(s, 3H), 5.20(s, 2H),6.93-7.08(m, 2H0, 7.23-7.43(m, 4H), 7.55(s, 1H),8.20-8.26(m, 1H), 8.63-8.67(m, 1H)
14 2-C3H3N2 E-OMe 3.66(s, 3H), 3.82(s, 3H), 5.29(s, 2H0, 6.98-7.04(m, 3H),7.21-7.32(m, 2H),7.53(s, 1H), 8.58(m, 2H), 9.40(s, 1H)
15 CH3 E-OMe 2.71(s, 3H), 3.66(s, 3H), 4.02(s, 3H).5.16(s, 2H),6.91-7.08(m, 3H), 7.25-7.47(m, 2H),7.69(dd, J=1.7, 7.6Hz, 1H)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싸이아졸 유도체(단, R은 메톡시이다)
번호 X Y 1H NMR(CDCl3, δ)
16 C3H5 E-OMe 1.05-1.20(m, 4H), 2.27-2.35(m, 1H), 3.67(s, 3H),4.03(s, 3H), 5.14(s, 2H), 6.95-7.14(m, 2H), 7.14(s, 1H),7.33-7.42(m, 1H), 7.70(dd, J=1.7, 12.6Hz, 1H)
17 C6H11 E-OMe 2.48(s, 3H), 3.82(s, 3H), 4.06(s, 3H).5.22(s, 2H), 6.49(s, 1H), 7.01-7.51(m, 8H)
18 Ph E-OMe 3.67(s, 3H), 4.04(s, 3H), 5.28(s, 2H), 7.00-7.07(m, 2H),7.36-7.48(m, 5H), 7.70-7.75(m, 1H), 7.93-7.98(m, 2H)
20 3-CH3Ph E-OMe 2.39(s, 3H), 3.64(s, 3H), 4.01(s, 3H). 5.25(s, 2H),6.98(d, J=6Hz, 2H), 7.19-7.41(m, 4H), 7.67-7.75(m, 3H)*융점: 122.5-124℃
21 4-CH3Ph E-OMe 2.34(s, 3H), 3.65(s, 3H), 4.03(s, 3H), 5.26(s, 2H),6.98-7.05(d, 2H), 7.22-7.43(m, 4H),7.70(dd, J=2.0, 8.0Hz, 1H), 7.82(d, J=8.3Hz, 2H)
22 2-CF3Ph E-OMe 3.74(s, 3H), 4.07(s, 3H), 5.32(s, 2H), 7.01-7.09(m, 2H),7.28-7.45(m, 1H), 7.56-7.85(m, 6H)
23 2-ClPh E-OMe 3.65(s, 3H), 4.07(s, 3H), 5.30(s, 2H), 6.99-7.06(m, 2H),7.33-7.57(m, 5H), 7.58(s, 1H), 7.71(dd, J=1.18, 8.0Hz, 1H),8.20-8.24(m, 1H)
24 4-ClPh E-OMe 3.69(s, 3H), 4.06(s, 3H), 5.28(s, 2H), 7.01-7.09(m, 2H),7.38-7.45(m, 4H), 7.71-7.75(m, 1H), 7.89-7.93(m, 2H)
25 3-CH3OPh E-OMe 3.66(s, 3H), 3.88(s, 3H), 4.04(s, 3H), 5.26(s, 2H),6.95-7.06(s, 3H), 7.30-7.53(m, 5H),7.71(dd, J=1.9, 8.1Hz, 1H)
26 4-CNPh E-OMe 3.66(s, 3H), 4.03(s, 3H), 5.27(s, 2H), 6.98-7.06(m, 2H),7.34-7.43(m, 1H), 7.54(s, 1H), 7.68-7.73(m, 3H),8.80-8.06(m, 2H)
27 2-PhOPh E-OMe 3.61(s, 3H), 4.03(s, 3H), 5.29(s, 2H), 6.94-7.73(m, 12H),7.70(d, J=6.3Hz, 1H), 8.43(d, J=6.3Hz, 1H)
28 4-PhPh E-OMe 3.69(s, 3H), 4.06(s, 3H), 5.30(s, 2H), 7.01-7.08(m, 2H),7.30-7.51(m, 5H), 7.56-7.76(m, 5H), 8.00(d, J=8.0Hz, 2H)
29 2,4-Cl2Ph E-OMe 3.70(s, 3H), 4.08(s, 3H), 5.22(s, 2H), 7.05(d, J=8.8Hz, 2H),7.37-7.48(m, 2H), 7.56(d, J=2.1Hz, 1H), 7.63(s, 1H),7.75(dd, J=2.1, 8.4Hz, 1H), 5H), 8.26(d, J=8.6Hz, 1H)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싸이아졸 유도체(단, R은 메톡시이다)
번호 X Y 1H NMR(CDCl3, δ)
30 3,5-Cl2Ph E-OMe 3.66(s, 3H), 4.02(s, 3H), 5.25(s, 2H), 6.96-7.06(m, 2H), 7.34-7.52(m, 3H), 7.81d, J=1.8Hz, 2H)*융점: 121-122℃
31 3,4-Cl2Ph E-OMe 3.69(s, 3H), 4.06(s, 3H), 5.28(s, 2H), 7.00-7.09(m, 2H),7.37-7.55(m, 3H), 7.71-7.80(m, 2H), 8.80(d, J=2.1Hz, 1H)
32 2,6-FClPh E-OMe 3.70(s, 3H), 4.05(s, 3H), 5.34(s, 2H), 7.00-7.17(m, 3H), 7.29-7.44(m, 3H), .70-7.74(m, 2H)
33 2-C4H3S E-OMe 3.69(s, 3H), 4.03(s, 3H), 5.34(s, 2H), 95-7.09(m, 3H),7.32-7.42(m, 3H), 7.51-7.67(m, 1H), 7.70-7.71(m, 1H)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싸이아졸 유도체(단, R은 메틸아민기이다)
번호 X Y 1H NMR(CDCl3, δ)
34 3-CH3 E-OMe 2.44(s, 3H), 2.79(d, J=5.0Hz, 3H), 4.01(s, 3H).5.26(s, 2H), 6.73-6.80(m, 1H), 6.98-7.07(m, 2H)7.25-7.54(m, 5H), 7.72-7.79(m, 2H)
35 2-Cl E-OMe 2.72(d, J=5.0Hz, 3H), 3.98(s, 3H), 5.24(s, 2H),6.96-7.05(m, 2H), 7.19-7.66(m, 7H), 8.13-8.17(m, 1H)
36 2-CH3O Z-OMe 2.75(s,J=5.0Hz, 3H), 3.99(s, 3H), 4.04(s, 3H),5.28(s, 2H), 6.68-6.78(m, 1H), 6.98-7.16(m, 4H),7.34-37(m, 4H), 8.32-8.38(m, 1H)
37 3-CH3O E-OMe 2.78(s, J=5.0Hz, 3H), 3.88(s, 3H), 3.98(s, 3H),5.23(s, 2H), 6.72-6.83(m, 1H), 6.92-7.05(m, 3H),7.31-39(m, 3H), 7.44-7.52(m, 3H)
38 2-PhO Z-OMe 2.74(s, J=5.0Hz, 3H), 3.98(s, 3H), 5.27(s, 2H),6.66-6.69(m, 1H), 6.95-7.52(m, 13H),8.42(dd, J=1.8, 7.8Hz, 1H)
39 4-Ph E-OMe 2.80(s, 3H), 4.00(s, 3H), 5.27(s, 2H), 6.69-6.78(m, 1H),6.98-7.07(m, 2H), 7.36-7.53(m, 6H), 7.60-7.71(m, 4H),8.02(d, J=8.4Hz, 2H)
40 3,4-Cl2 E-OMe 2.83(s, J=5.0Hz, 3H), 4.03(s, 3H), 5.28(s, 2H),6.64-6.68(m, 1H), 6.97-7.08(m, 2H), 7.34-43(m, 1H),7.48-7.57(m, 3H), 7.77(dd, J=1.0, 17.3Hz, 1H),8.08(d, J=2.0Hz, 1H)
41 3,5-Cl2 Z-OMe 2.84(s, J=5.0Hz, 3H), 4.04(s, 3H), 5.29(s, 2H),6.64-6.68(m, 1H), 7.02(dd, J=7.5, 16.1Hz, 2H),7.35-54(m, 4H)
42 2,6-ClF E-OMe 2.76(s, J=5.0Hz, 3H), 4.01(s, 3H), 5.31(s, 2H),6.72-6.81(m, 1H), 6.97-7.19(m, 3H), 7.28-54(m, 4H),7.68(s, 3H)
실시예 2: 싸이아졸 유도체의 살균효과 시험
전기 제조된 제조된 싸이아졸 유도체가 살균효과를 가지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시험을 실시하였다. 아울러, 후술하는 살균효과의 시험을 위하여, 전기 싸이아졸 유도체를 10% 아세톤 용액에 용해시킨 용액을 제조한 다음, 트윈-20(tween-20)을 250ppm이 되도록 첨가하여 용액을 제조한 후, 일정크기의 기주식물에 50㎖씩 엽면 살포하였다. 약제를 살포한 식물은 실내온도에서 24시간 방치하여 용매와 물을 휘산시킨 후, 각각의 준비된 병원균을 하기의 방법으로 접종하여 병원균에 대한 약제효과를 측정하였고, 모든 살균효과 시험과정은 2회 반복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1: 벼도열병에 대한 살균효과
벼도열병(Rice Blast, 일명 RCB)의 병원균인 피리큐라리아 오라이제 카바라(Pyricularia oryzae Cavara) 균주를 쌀겨 한천배지(쌀겨 20g, 덱스트로스 10g, 한천 15g, 증류수 1ℓ)에 접종하여 26℃ 배양기에서 2주간 배양하였다. 그런 다음, 병원균이 자란 배지를 고무 쓸개(Rubber Polishman)로 배지표면을 긁어 기중균사를 제거하고, 형광등이 켜진 선반(25 내지 28℃)에서 48시간 동안 포자를 형성시켰다. 전기 형성시킨 분생포자를 살균 증류수를 이용하여 채집하여 일정농도의 포자 현탁액(106포자/㎖)을 만든 후, 벼도열병에 감수성인 낙동벼(3 내지 4엽기)에 전기 포자 현탁액을 흘러내릴 정도로 충분히 분무하여 병원균을 접종하였다. 이어, 병원균이 접종된 벼는 습실상태에서 암상태로 24시간 동안 방치하여 병원균을 침입시킨 후에, 상대습도 90% 이상이며 온도가 26±2℃인 항온 항습실에서 5일간 놓아 둠으로써 발병시켜 벼 잎에 형성된 발병면적을 조사하였다.
병조사는 3 내지 4엽기 벼의 최상위 엽 바로 밑의 완전 전개된 잎에 형성 병반면적율을 표준이병면적율 대비표에 준하여 조사하였다.
실시예 2-2: 벼잎집무늬마름병에 대한 살균효과 시험
벼잎집무늬마름병(Rice Sheath Blight, 일명 RSB)에 대한 본 발명의 싸이아졸 유도체의 효과를 시험하기 위하여 하기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즉, 적당한 양의 밀기울을 1ℓ 배양병에 넣고 멸균한 후, 감자 한천배지(PDA)에서 3일간 자란 병원균인 라이족토니아 솔라니(Rhizoctonia solaniAG-1)의 한천 조각을 접종하였다. 그런 다음. 배양된 균사 덩어리를 적당히 잘게 마쇄하여 2 내지 3 엽기의 낙동벼가 자란 포트(직경: 5 cm)에 고르게 접종하여 습실상(28±1℃)에서 배양한 후, 상대습도 80% 이상인 항온 항습실에서 5일간 방치한 다음, 벼잎집무늬마름병의 발생을 조사하였다.
발병 조사는 3 엽기 유모의 잎집에 발병된 병반의 면적율을 잎집 면적에 대한 병반 면적이 차지하는 비율을 기준으로 하여 작성한 이병 면적율 대비표에 준하여 조사하였다.
실시예 2-3: 오이잿빛곰팡이병에 대한 살균 효과 시험
오이잿빛곰팡이병(Cucumber gray mould, 일명 CGM)으로부터 분리한 균주인 보트리티스 시네레아(Botrytis cinerea KCI)에 대한 본 발명의 싸이아졸 유도체의 살균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즉, 전기 균주를 감자 한천배지(PDA)에 접종하고 25℃의 배양기에 플레이트를 놓아 광암상태하에서 15일간배양하여 포자를 형성시켰다. 이어, 플레이트당 10㎖의 증류수를 첨가한 후, 붓으로 포자를 긁어 이를 가아제로 걸러서 배지에 형성된 포자를 수확한 다음 포자농도가 10개/㎖가 되게 하고, 1엽의 면적율을 조사하였다.
실시예 2-4: 토마토역병에 대한 살균효과 시험
토마토역병(Tomato Late Blight, 일명 TLB)균 파이토프소라 인페스탄스 (Phytophthora infestans)를 V-8 쥬스 한천배지(V-8 쥬스 200㎖, CaCO34.5 g, 한천 15g, 증류수 800㎖)에 올려 놓고 20℃ 에서 16시간 동안 광처리한 후, 8시간 동안 암처리하여 14일간 배양하여 포자를 수확하였다. 이 때 플레이트에 살균 증류수를 넣고 흔들어서 유주자낭을 균총으로부터 떼어낸 후 4겹 헝겊조각을 사용하여 유쥬자낭을 길렀다. 수확한 유주자낭의 농도를 10개/㎖로 조정하였고, 이 접종원을 토마토 유묘에 분무접종하여 20℃ 습실상에서 1일 동안 습실처리한 후 온도 20℃, 상대습도 80% 이상의 항온 항습실로 옮겨 4일 동안 발병시킨 다음, 토마토 1엽과 2엽의 병반 면적율(%)을 조사하였다.
실시예 2-5: 밀붉은녹병에 대한 살균효과 시험
밀붉은녹병(Wheat Leaf Rust, 일명 WLR)병원균인 푸치니아 레콘디타(Puccinia recondita)는 실험실에서 식물체에 직접 계대배양하여 사용하였다. 균주의 계대배양 및 약효조사를 위해서 1회용 포트(직경: 6.5cm)에 15립 씩의 밀종자(은파)를 파종하여 온실에서 7일간 재배한 1엽기의 밀에 포자를 털어서 접종하였다. 그런 다음, 접종한 1엽기의 밀은 20℃의 습실상에서 1일간 습실 처리한 후, 상대습도가 70% 인 20℃의 항온 항습실로 옮겨서 발병을 유도하고 접종 10일 후에 발명을 조사하였다. 발병조사는 녹병포자를 접종한지 10일 후에 병반면적율을 조사하였다.
실시예 2-6: 보리흰가루병에 대한 살균효과 시험
보리흰가루병(Barley Powdery Mildew, 일명 BPM)의 병원균인 에리시페 그라미니스 포마 스페셜리스 호르데이(Erysiphe graminisf.sp.hordei)는 실험실에서 계대배양하여 사용하였다. 균주의 계대배양 및 약효조사를 위해서 1회용 포트(직경: 6.5 cm)에 15립 씩의 보리종자(동보리 1호)를 파종하여 온실(25±5℃)에서 7일간 재배한 1엽기의 보리에 포자를 털어서 접종하여 발병시켰다. 상술한 방법으로 접종된 식물을 상대습도가 50%이며 22 내지 24℃ 정도의 항온 항습실로 옮겨 7일간 발병을 유도한 후에 병반면적율을 조사하였다.
상기 실시예 2-1 내지 2-6까지의 시험 결과에 대하여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방제가(control value)를 산출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5 내지 7에 나타내었다.
이때, 방제가 0%는 살균효과가 전혀 없는 경우를 나타내고;
100%는 병원균이 완전히 사멸했을 때를 나타내며; 및,
70% 이상이면 실질적으로 그 병원균에 대하여 살균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한다.
싸이아졸 유도체의 살균효과에 대한 1차 검색 결과
화합물번호 농도(ppm) 방제가(%)
벼도열병 벼잎집무늬병 오이잿빛곰팡이병 토마토역병 빌붉은녹병 보리흰가루병
1 100 0 20 27 39 86 99
2 250 100 25 53 97 100 100
3 250 96 75 72 90 100 100
4 250 100 40 57 98 100 100
5 250 97 92 74 80 100 100
6 250 92 80 61 85 100 100
8 250 95 80 22 72 100 100
9 250 95 92 72 77 100 100
10 250 95 85 72 84 100 100
18 100 58 50 0 30 73 99
19 250 16 25 0 17 70 96
20 100 0 15 17 16 0 98
22 250 0 15 28 3 98 100
23 100 0 0 29 3 0 98
24 250 0 10 0 3 73 95
25 250 90 25 33 52 66 100
27 100 41 15 5 16 26 100
28 250 0 20 0 3 16 95
31 100 0 15 5 16 0 97
32 100 16 0 17 14 60 96
33 100 16 10 23 3 0 96
36 250 0 55 16 45 96 98
37 250 80 15 55 9 31 98
38 100 0 5 17 33 0 96
42 250 100 40 53 58 100 98
싸이아졸 유도체의 살균효과에 대한 2차 검색 결과
화합물 번호 병원균 방제가(%)
250ppm 50ppm 1ppm 2ppm
2 벼잎집 무늬병 100 100 63 0
밀붉은녹병 100 100 100 97
보리흰가루병 100 97 93 16
3 벼도열병 96 91 33 10
토마토 역병 90 82 51 0
밀붉은녹병 100 95 83 65
보리흰가루병 100 97 96 8
4 벼도열병 100 95 33 0
토마토 역병 98 93 84 17
밀붉은녹병 100 94 88 43
보리흰가루병 100 98 80 0
5 벼도열병 97 90 75 75
밀붉은녹병 100 98 96 90
보리흰가루병 100 96 92 0
6 벼도열병 92 93 41 0
밀붉은녹병 100 99 94 90
보리흰가루병 100 95 76 0
8 벼도열병 95 95 0 0
밀붉은녹병 100 99 86 46
보리흰가루병 100 99 50 8
9 벼도열병 95 98 90 89
벼잎집무늬마름병 92 90 78 56
밀붉은녹병 100 99 94 56
보리흰가루병 100 99 98 71
10 벼열도병 95 93 16 0
밀붉은녹병 100 98 95 85
보리흰가루병 100 98 95 80
보리흰가루병에 대한 싸이아졸 유도체의 효과
화합물 번호 방제가(%)
250ppm 50ppm 10ppm 2ppm
18 100 100 86 16
19 96 96 91 66
20 98 98 96 80
21 97 95 83 0
22 100 100 98 80
23 98 98 86 41
24 95 95 41 16
25 100 98 86 8
27 100 100 99 91
29 95 97 21 25
31 97 88 58 16
32 96 96 95 91
33 96 97 86 25
36 98 93 86 0
38 96 97 96 95
40 96 88 58 16
42 98 98 94 91
상기 표 4 내지 6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싸이아졸 유도체는 각종 식물 병원균에 대하여 우수한 살균효과를 나타내며, 특히 보리흰가루병에 대해서는 우수한 살균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하고 입증하였듯이, 본 발명은 살균효과를 가지는 신규한 싸이아졸 유도체와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아마이드로부터 신규한 싸이아졸 유도체를 제조할 수 있으며, 전기 싸이아졸 유도체는 벼도열병, 벼잎집무늬마름병, 오이잿빛곰팡이병, 토마토역병, 밀녹병, 밀붉은녹병 및 보리흰가루병을 각각 일으키는 피리큐라리아 오라이제 카바라(Pyricularia oryzae Cavara), 라이족토니아 솔라니(Rhizoctonia solaniAG-1), 보트리티스 시네레아(Botrytis cinerea KCI), 파이토프소라 인페스탄스(Phytophthorainfestans), 푸치니아 레콘디타(Puccinia recondita), 에리시페 그라미니스 포마 스페셜리스 호르데이(Erysiphe graminisf.sp.hordei)에 대하여 살균효과를 나타내는 바, 본 발명의 싸이아졸 유도체는 살균제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0)

  1. 다음의 일반식(Ⅰ)으로 표시되는 싸이아졸(thiazole) 유도체:
    상기 식에서,
    X는 알킬, 싸이클로알킬, 치환된 방향족 고리,
    치환되지 않은 방향족 고리 또는 헤테로고리이며;
    A는 탄소 또는 질소이고; 및,
    R은 메톡시 또는 메틸아민기이다.
  2. 삭제
  3. (ⅰ) 싸이오아마이드(Ⅱ)를 다이클로로에탄에 용해시킨 후, 염기의 존재하에다이클로로아세톤과 48 내지 72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한 다음, 싸이오닐 클로라이드의 산 조건하에 탈수시켜 클로로메틸 싸이아졸(Ⅲ)을 수득하는 공정; 및,
    (ⅱ) 전기 클로로메틸 싸이아졸(Ⅲ)의 염소원자를 소디움 아이오다이드를 사용하여 요오드 원자로 치환시킨 후, 2-(2-하이드록시페닐)-3-메톡시아크릴산 메틸에스테르(Ⅳ)(A=C인 경우) 또는 2-메톡시이미노-(2-하이드록시페닐)-아세트산 메틸에스테르(Ⅳ)(A=N인 경우)와 반응시켜 다음 일반식(Ⅰ)(단, R=OCH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수득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싸이아졸 화합물의 제조방법:
    상기 식에서,
    X는 알킬, 싸이클로알킬, 치환된 방향족 고리,
    치환되지 않은 방향족 고리 또는 헤테로고리이며;
    A는 탄소 또는 질소이고; 및,
    R은 메톡시이다.
  4. 제 3항에 있어서,
    싸이오아마이드는 산염화물과 암모니아수를 상온에서 반응시켜
    아세트아마이드를 수득한 후, 전기 아세트아마이드를 P2S5또는
    로슨시약(Lawesson's reagent)를 사용하여 60 내지 70℃로
    5분 내지 20분 동안 반응시켜 수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싸이아졸 유도체의 제조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클로로메틸 싸이아졸(Ⅲ)의 염소 원자를 소디움 아이오다이드를
    사용하여 DMF 및 K2CO3의 촉매하에 40 내지 60℃에서 아이오딘 원자로
    치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싸이아졸 유도체의 제조방법.
  6. (ⅰ) 싸이오아마이드(Ⅱ)를 다이클로로에탄에 용해시켜 염기의 존재하에 다이클로로아세톤과 48 내지 72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한 다음, 싸이오닐 클로라이드의 산 존재하에 탈수시켜 클로로메틸 싸이아졸(Ⅲ)을 수득하는 공정;
    (ⅱ) 전기 클로로메틸 싸이아졸(Ⅲ)의 염소원자를 소디움 아이오다이드을 사용하여 아이오딘 원자로 치환시킨 후, 2-(2-하이드록시페닐)-3-메톡시아크릴산 메틸에스테르(Ⅳ)(A=C인 경우) 또는 2-메톡시이미노-(2-하이드록시페닐)-아세트산 메틸에스테르(Ⅳ)(A=N인 경우)와 반응시켜 다음 일반식(Ⅰ)(단, R=OCH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수득하는 공정; 및,
    (ⅲ) 전기 수득한 싸이아졸 유도체(Ⅰ)(단, R=OCH3)를 메틸아민과 반응시켜 다음 일반식(Ⅰ)(단, R=NHCH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수득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싸이아졸 유도체의 제조방법:
    상기 식에서,
    X는 알킬, 싸이클로알킬, 치환된 방향족 고리,
    치환되지 않은 방향족 고리 또는 헤테로고리이며;
    A는 탄소 또는 질소이고; 및,
    R은 메톡시 또는 메틸아민기이다.
  7. 제 1항의 싸이아졸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하고, 보조제를 포함하는 농업용 살균제.
  8. 제 7항에 있어서,
    피리큐라리아 오라이제 카바라(Pyricularia oryzae Cavara),
    라이족토니아 솔라니(Rhizoctonia solaniAG-1),
    보트리티스 시네레아(Botrytis cinerea KCI),
    파이토프소라 인페스탄스(Phytophthora infestans),
    푸치니아 레콘디타(Puccinia recondita), 에리시페 그라미니스 포마
    스페셜리스 호르데이(Erysiphe graminisf.sp.hordei)에 대하여
    살균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살균제.
  9. 제 2항의 싸이아졸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하고, 보조제를 포함하는 농업용 살균제.
  10. 제 9항에 있어서,
    피리큐라리아 오라이제 카바라(Pyricularia oryzae Cavara),
    라이족토니아 솔라니(Rhizoctonia solaniAG-1),
    보트리티스 시네레아(Botrytis cinerea KCI),
    파이토프소라 인페스탄스(Phytophthora infestans),
    푸치니아 레콘디타(Puccinia recondita), 에리시페 그라미니스 포마
    스페셜리스 호르데이(Erysiphe graminisf.sp.hordei)에 대하여
    살균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살균제.
KR10-2000-0056263A 2000-09-25 2000-09-25 살균효과를 가지는 싸이아졸 유도체 KR1003920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6263A KR100392074B1 (ko) 2000-09-25 2000-09-25 살균효과를 가지는 싸이아졸 유도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6263A KR100392074B1 (ko) 2000-09-25 2000-09-25 살균효과를 가지는 싸이아졸 유도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4487A KR20020024487A (ko) 2002-03-30
KR100392074B1 true KR100392074B1 (ko) 2003-08-19

Family

ID=19690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6263A KR100392074B1 (ko) 2000-09-25 2000-09-25 살균효과를 가지는 싸이아졸 유도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20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8895B1 (ko) * 2008-10-02 2011-03-04 주식회사 동부한농 농업용 살균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56667A2 (en) * 1986-08-06 1988-02-24 Imperial Chemical Industries Plc Substituted phenyl-2-propenoic acid derivatives useful in agriculture
EP0402246A1 (fr) * 1989-06-06 1990-12-12 Roussel-Uclaf Nouveaux thiazolylalkoxyacrylates, leur procédé de préparation, leur application comme fongicides et leurs intermédiaires de préparation
WO1991007385A1 (en) * 1989-11-18 1991-05-30 Schering Agrochemicals Limited Preparation of propenoic acid derivatives
WO1991017152A1 (en) * 1990-05-02 1991-11-14 Schering Agrochemicals Limited Preparation of propenoic acid derivatives
EP0487409A1 (fr) * 1990-11-21 1992-05-27 Roussel Uclaf Procédé de préparation de thiazolylalcoxyacrylates et intermédiaires mis en oeuvre
US5332752A (en) * 1989-01-11 1994-07-26 Schering Agrochemicals Limited Acrylate fungicide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56667A2 (en) * 1986-08-06 1988-02-24 Imperial Chemical Industries Plc Substituted phenyl-2-propenoic acid derivatives useful in agriculture
US5332752A (en) * 1989-01-11 1994-07-26 Schering Agrochemicals Limited Acrylate fungicides
EP0402246A1 (fr) * 1989-06-06 1990-12-12 Roussel-Uclaf Nouveaux thiazolylalkoxyacrylates, leur procédé de préparation, leur application comme fongicides et leurs intermédiaires de préparation
WO1991007385A1 (en) * 1989-11-18 1991-05-30 Schering Agrochemicals Limited Preparation of propenoic acid derivatives
WO1991017152A1 (en) * 1990-05-02 1991-11-14 Schering Agrochemicals Limited Preparation of propenoic acid derivatives
EP0487409A1 (fr) * 1990-11-21 1992-05-27 Roussel Uclaf Procédé de préparation de thiazolylalcoxyacrylates et intermédiaires mis en oeuv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4487A (ko) 2002-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6317B1 (ko) 4-시클로프로필-1,2,3-티아디아졸 화합물 및 농원예용 식물병해 방제제 그리고 그 사용 방법
JP2017522290A (ja) ジフルオロメチル−ニコチン酸−インダニルカルボキサミド類
WO2007108483A1 (ja) N-2-(ヘテロ)アリールエチルカルボキサミド誘導体及びこれを含有する有害生物防除剤
PL215623B1 (pl) Tiazolilokarboksyanilidy, sposób ich wytwarzania, srodek do zwalczania niepozadanych mikroorganizmów, zastosowanie tiazolilokarboksyanilidów, sposób zwalczania niepozadanych mikroorganizmów oraz sposób wytwarzania srodków do zwalczania niepozadanych mikroorganizmów
JP2897789B2 (ja) アルコキシイミノ酢酸アミド化合物およびその農業用殺菌剤としての用途
TWI500386B (zh) 新穎雜環烷醇衍生物類
US5104886A (en) Amide derivatives, processes for production thereof, and agricultural-horticultural fungicide containing them
US5770614A (en) 2-(substituted phenyl)-2-alkoxyimino-N-alkylacetamide compounds and fungicides containing the same
BRPI1006006B1 (pt) Compostos, composição fungicida e método para o controle de fungos fitopatogênicos de culturas
JPS626548B2 (ko)
US5135927A (en) Microbicidal composition
KR100392074B1 (ko) 살균효과를 가지는 싸이아졸 유도체
KR100392075B1 (ko) 살균효과를 가지는 옥사졸 유도체
JPS5924980B2 (ja) 1,3,4−チアジアゾ−ル−2−カルボン酸誘導体並びにこれを含有する殺菌剤及び線虫撲滅剤
KR100270599B1 (ko) 메톡시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톡시이미노 아세테이트 유도체,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살균제 조성물
KR100501146B1 (ko) 트리아졸 유도체,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농원예용 살균제 조성물
KR100295818B1 (ko) 1-아미노피롤리딘유도체및이를포함하는농원예용살균제조성물
HU180301B (en) Fungicide compositions containing 1-bracket-branched alkyl-carobnyl-bracket closed-3-bracket-3,5-dihalogeno-phenyl-bracket closed-imidasolidine-2,4-dione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active agents
KR100417705B1 (ko) 4-아졸일-2-퀴놀리논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살균제조성물
JPH02174758A (ja) 含窒素五員環化合物、それらの製造方法及びそれらを含有する有害生物防除剤
CN113788798A (zh) 氘代的杀菌化合物及其制法和用途
KR100295736B1 (ko) 농원예용 살균제
TW201443045A (zh) 殺真菌性之3-{苯基[(雜環基甲氧基)亞胺]甲基}-噁二唑酮衍生物
KR0183540B1 (ko) 1,2,4-옥사디아졸-5-온 유도체와 그의 제조방법
CN111601796A (zh) 农用化学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