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1196B1 - 홀더가 없는 호스 클램프 - Google Patents

홀더가 없는 호스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1196B1
KR100391196B1 KR10-2000-0055429A KR20000055429A KR100391196B1 KR 100391196 B1 KR100391196 B1 KR 100391196B1 KR 20000055429 A KR20000055429 A KR 20000055429A KR 100391196 B1 KR100391196 B1 KR 100391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ch
clamp ring
stopper
clamp
h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5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0556A (ko
Inventor
야마다사토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파이오락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파이오락꾸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파이오락꾸스
Publication of KR20010050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0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1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11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02Hose-cl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02Hose-clips
    • F16L33/03Self-locking elastic cli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14Bale and package ties, hose clamps
    • Y10T24/1457Metal ban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14Bale and package ties, hose clamps
    • Y10T24/1457Metal bands
    • Y10T24/1484Spring closed band clam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호스 클램프는 그 양단부가 서로 겹쳐진 고리 모양으로 감긴 금속 스트립제의 클램프 링을 구비한다. 제1 및 제2 핀치는 금속 스트립의 양단부로부터 방사상 방향으로 돌출된다. 제1 핀치는 그 내측에 개구를 한정하는 프레임과, 프레임의 구석으로부터 내측의 개구의 내부로 불룩하게 튀어 나온 스토퍼 벽을 가진다. 제2 핀치는 클램프 링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 조작 편을 가진다. 스토퍼는 제2 핀치의 뿌리 가까이에서 클램프 링으로부터 상승된다. 호스 클램프는 제1 및 제2 핀치가 서로 떨어져 있는 클램핑 위치와, 제1 및 제2 핀치가 서로 매우 가깝게 있는 이완 위치를 가진다. 이완 위치에서, 제2 핀치의 조작 편은 클램프 링으로부터 클램프 링의 폭 방향으로 튀어나온다.

Description

홀더가 없는 호스 클램프{Holderless hose clamp}
본 특허 출원은 1999년 9월 24일에 제출된 보다 빠른 일본국 특허 출원 제 H11-269837호의 이익을 주장하며, 그 개시내용은 여기에 참고로 병합된다.
본 발명은 고무 호스를 연결 파이프의 단부에 접속하기 위한 호스 클램프의 개선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호스 클램프를 이완 위치에서 유지하기 위한 분리된 홀더를 요구하지 않는 호스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호스 클램프(hose clamp)는 고무 호스를 파이프에 접속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호스 클램프는 호스를 파이프의 외부 벽에 대해 단단하게 죄기 위한 클램핑 위치와, 파이프의 단부가 호스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이완 위치를 가진다. 클램프를 이완 위치에서 유지하기 위한 분리된 홀더(holder)를 요구하지 않는 홀더가 없는 유형의 호스 클램프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 출원 공개 제 10-61855호에서 제안되었다.
도 1a 및 도 1b는 그러한 홀더가 없는 유형의 호스 클램프의 예를 도시한다.호스 클램프(1)는 그 양단부가 서로 겹쳐진 고리 모양으로 감긴 스프링 판의 스트립(strip)으로 만들어진 클램프 링(2)으로 구성된다. 제1 핀치(pinch, 6) 및 제2 핀치(9)는 클램프 링(2)의 양단부로부터 연장되며, 클램프 링(2)의 방사상 방향으로 돌출된다. 제1 핀치(6)는 클램프 링(2)과 동일한 폭을 가지며 개구(opening)와 결합된 프레임을 포함한다. 개구는 클램프 링(2) 내에 형성된 안내 홈(guide groove)과 연결된다. 프레임은 방사상 방향으로 연장된 돌기(7)를 가진다. 스토퍼(stopper, 11)는 프레임으로부터 내측의 개구쪽으로 뻗어 나오며 그 단부(12)는 지그재그 형태로 아래로 굽혀진다. 제2 핀치(9)의 폭은 제1 핀치(6)의 폭보다 좁으며, 안내 홈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제2 핀치(9)는 외력하에서 제2 핀치(9)의 축방향 이동에 의해 옮겨질 수 있는 톱니(tooth, 14)와 시프팅 엣지(shifting edge, 9a)를 가진다.
통상의 상태에서, 클램프 링(2)은 그 자신의 복원력에 의해 클램핑 위치에 있다. 파이프를 수용하도록 클램프 링(2)을 이완하기 위해서, 클램프 링(2)의 외주를 따라 제1 핀치(6)와 제2 핀치(9)를 서로 가깝게 가져오기 위해 한 쌍의 플라이어(plier)가 사용된다. 제2 핀치(9)의 톱니(14)는 제1 핀치(6)의 스토퍼(11) 뒤로 가며, 그 다음에 스토퍼(11)와 맞물린다. 이 상태에서, 클램프 링(2)은 이완 위치에서 고정되며, 파이프는 호스 내로 삽입된다.
톱니(14)와 스토퍼(11) 사이의 맞물림을 해제하기 위하여, 제2 핀치(9)의 시프팅 엣지(9a)는 플라이어에 의해 방사상 방향으로 옮겨지며, 이로 인해 스토퍼(11)로부터 물러난다. 시프팅 엣지(9a)의 이동은 톱니(14)가 스토퍼(11)로부터 벗어나도록 한다. 그 결과, 클램프 링(2)은 그 자신의 복원력을 가지는 클램핑 위치로 복원하며, 호스를 파이프에 대해 단단하게 죈다.
이 유형의 전통적인 호스 클램프는 클램프 링(2)이 이완 위치로 유지되도록 핀치들을 보다 가까운 위치에서 유지하기 위한 분리된 홀더를 요구하지 않는다.
그러나,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전통적인 호스 클램프는 크기와 스토퍼(11)로부터 톱니(14)의 확실한 맞물림에 있어서 문제점을 가진다. 맞물림을 해제함에 있어서, 제1 핀치(6)의 돌기(7)의 가장자리와 제2 핀치(9)의 시프팅 엣지(9a)는 한 쌍의 플라이어에 의해 물린다. 그리고 클램프 링(2)의 축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이유로, 플라이어가 돌기(7)의 가장자리와 시프팅 엣지(9a)를 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1 핀치(6)의 돌기(7)와 제2 핀치(9)의 시프팅 엣지(9a)는 충분한 크기를 가져야 한다. 이는 핀치들(6, 9)이 방사상 방향으로 보다 작게 만들어질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만약 핀치들(6, 9)이 너무 작게 만들어지면, 둘 다 클램프 링(2)의 방사상 방향으로 연장된 돌기(7)와 시프팅 엣지(9a)가 불충분하게 되기 때문에 그들은 플라이어에 의해 물려질 수 없다. 개구의 내부로 뻗어 있는 스토퍼(11) 또한 플라이어가 시프팅 엣지(9a)를 확실하게 잡는 것을 방해한다. 부가하여, 시프팅 엣지(9a)가 전체적으로 제1 핀치(6)의 프레임의 폭 내에 위치하기 때문에, 플라이어는 시프팅 엣지(9a)로부터 매우 미끄러지기 쉽다.
본 발명은 전통적인 호스 클램프에 있어서의 이들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해고안되었으며,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홀더가 없는 유형의 호스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그리고 잇점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함께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전통적인 호스 클램프를 도시하며, 여기에서 도 1a는 클램핑 위치에서의 호스 클램프를 보여주고, 도 1b는 클램프 링이 이완 위치로부터 어떻게 해제되는가를 보여주며;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호스 클램프를 두 개의 다른 도면으로 도시하며;
도 3은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호스 클램프의 측면도이며;
도 4는 도 2a 및 도 2b의 호스 클램프가 이완 위치에서 어떻게 유지되는가를 사시도로 도시하며;
도 5는 도 2a 및 도 2b의 호스 클램프가 이완 위치에서 어떻게 유지되는가를 측면도로 도시하며;
도 6은 도 2a 및 도 2b의 호스 클램프가 이완 위치로부터 어떻게 해제되는가를 도시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호스 클램프 101...클램프 링
102...제1 핀치 102a...프레임
103...제2 핀치 105...스토퍼 벽
105a...후크 106...조작 편
107...스토퍼 108...안내 홈
108a...개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호스 클램프는 그 양단부가 서로 겹쳐진 고리 모양으로 감긴 금속 스트립제의 클램프 링을 포함한다. 상기 클램프 링은 복원력을 가진다. 제1 및 제2 핀치가 상기 금속 스트립의 양단부로부터 방사상 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1 핀치는 그 내측에 개구를 한정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구석으로부터 상기 내측의 개구의 내부로 불룩하게 튀어 나온 스토퍼 벽을 가진다. 상기 제2 핀치는 상기 제1 핀치의 상기 개구를 통과하며, 그래서 상기 제1 및 상기 제2 핀치가 서로 교차한다. 상기 제2 핀치는 상기 클램프 링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 조작 편을 가진다. 스토퍼는 상기 제2 핀치의 뿌리 가까이에서 상기 클램프 링으로부터 상승한다.
상기 호스 클램프는 상기 제1 및 제2 핀치가 서로 떨어져 있는 클램핑 위치와, 상기 제1 및 제2 핀치가 서로 매우 가깝게 있는 이완 위치를 가진다. 이완 위치에서, 상기 제2 핀치의 상기 조작 편은 상기 클램프 링으로부터 상기 클램프 링의 폭 방향으로 튀어나온다.
상기 호스 클램프가 이완 위치로 될 때,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1 핀치의 상기 개구 밖으로 나가며, 이완 위치에서 상기 스토퍼 벽의 배면에 맞닿은다. 이로 인해 상기 클램프 링은 이완 위치에서 유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토퍼 벽은 이완 위치에서 상기 스토퍼가 상기 스토퍼벽으로부터 미끄러져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후크를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후크는 상기 스토퍼 벽과 일체로 만들어진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들과 함께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른 호스 클램프(100)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호스 클램프(100)의 특징은 제1(즉, 보다 넓은) 핀치(pinch, 102)와 제2(즉, 보다 좁은) 핀치(103)의 형상 내에 존재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호스 클램프(100)는 고리 모양으로 감긴 금속 스트립제의 클램프 링(101)과 상기 클램프 링(101)의 양단부로부터 방사상 방향으로 돌출되며 서로 교차하는 한 쌍의 핀치(102, 103)를 구비한다. 상기 제1 핀치(102)는 클램프 링(101)과 같은 폭을 가지는 프레임(102a)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102a)은 개구(opening, 108a)를 그 내측에 한정한다. 안내 홈(guide groove, 108)은 제1 핀치(102) 가까이에서 클램프 링(101)을 따라 뻗어 있으며, 개구(108a)와 연결된다. 상기 제1 핀치(102)는 또한 프레임(102a)의 구석으로부터 내측의 개구(108a)의 내부로 불룩하게 튀어 나온 스토퍼 벽(stopper wall, 105)을 가진다. 상기 스토퍼 벽(105)은 도 2b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즉, 제2 핀치(103)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굽혀진 작은 후크(hook, 105a)를 가진다.
상기 제2 핀치(103)는 제1 핀치(102)의 개구(108a)를 통과하며, 안내 홈(108) 내에 위치된다. 그래서 제1 핀치(102)와 제2 핀치(103)는 서로 교차한다. 상기 제2 핀치(103)는 클램프 링(101)의 축 방향으로 연장된 조작 편(operation chip, 106)을 포함한다. 상기 클램프 링(101)은 제2 핀치(103)의 뿌리로부터 상승된스토퍼(stopper, 107)를 가진다.
통상의 상태에서, 상기 클램프 링(101)은 그 자신의 복원력하에서 클램핑 위치(clamping position)에 있다. 상기 클램프 링(101)을 이완 위치(loosened position)로 가져오기 위해서는, 제2 핀치(103)를 클램프 링(101)의 폭 방향으로 약간 이동시키면서 제1 핀치(102)와 제2 핀치(103)를 서로 가깝게 가져오도록 외력이 인가된다. 즉, 상기 제2 핀치(103)는 제1 핀치(102)의 불룩한 스토퍼 벽(105)으로부터 벗어나도록 약간 밀려진다. 외력하에서, 상기 제2 핀치(103)는 안내 홈(108)을 따라 제1 핀치(102)쪽으로 이동하며, 그리고 제2 핀치(103)의 뿌리로부터 상승된 스토퍼(107)는 개구(108a) 밖으로 나간다. 그 다음에, 만약 외력이 제거되면,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17)는 제1 핀치(102)의 스토퍼 벽(105)의 배면에 맞닿는다. 이 상태에서, 상기 클램프 링(101)은 스토퍼(107)와 스토퍼 벽(105) 사이의 접촉으로 인해 클램핑 위치로 복원되는 것이 방지되며, 이완 위치에서 유지된다. 그 다음에, 파이프가 호스 내에 삽입되며, 느슨해진 호스 클램프(100)에 의해 감겨진다.
상기 제1 핀치(102)의 스토퍼 벽(105)의 후크(105a)는 클램프 링(101)이 이완 위치에서 유지될 때 스토퍼(107)가 스토퍼 벽(105)에서 미끄러져 벗겨지는 것을 방지한다. 달리 말하면, 상기 후크(105a)는 스토퍼(107)가 클램프 링(101)을 확실한 방법으로 느슨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클램프 링(101)을 이완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한 쌍의 플라이어에 의해 외력이 인가되며, 이는 제1 핀치(102)와 제2 핀치(103)를 서로 가깝게 가져온다. 이완 위치에서, 만약 외력이 제거되면, 제2 핀치(103)의 조작 편(106)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핀치(102)의 일측 가장자리(104a)로부터 클램프 링(101)의 폭 방향으로 튀어나온다.
상기 스토퍼(107)와 스토퍼 벽(105) 사이의 맞물림을 해제하기 위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핀치(103)의 조작 편(106)과 제1 핀치(102)의 타측 가장자리(104b)는 플라이어에 의해 물려진다. 조작 편(106)의 가장자리와 제1 핀치(102)의 타측 가장자리(104b)는 어떠한 장애물도 없이 서로 클램프 링(101)의 폭 방향으로 튀어나오기 때문에, 그들은 플라이어에 의해 확실하게 물려진다.
그 다음에, 상기 제1 핀치(102)와 제2 핀치(103)는 스토퍼(107)가 스토퍼 벽(105)에서 벗겨지는 그러한 방법으로 클램프 링(101)의 폭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미끄러진다. 일단 상기 스토퍼(107)가 스토퍼 벽(105)으로부터 벗어나면, 클램프 링(101)은 그 자신의 복원력에 의해 클램핑 위치로 되돌아간다.
본 발명의 특징으로서, 방사상 방향으로 연장된 돌기(또는 조작 편)를 가지는 전통적인 호스 클램프와는 달리, 상기 제2 핀치(103)의 조작 편(106)은 측방향으로 즉, 클램프 링(101)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조작 편(106)은 방사상 방향에서의 크기에 있어서 제한되지 않으므로 크게 만들어질 수 있는 반면에, 상기 제2 핀치(103) 자신은 매우 작게 만들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호스 클램프(100)는 콤팩트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클램프 링(101)의 폭 밖으로 튀어나오는 상기 조작 편(106)의 충분한 크기는 플라이어가 제1 핀치(102)와 제2 핀치(103)를 확실하게 물 수 있도록 하며, 그리고 스토퍼(107)가 스토퍼 벽(105)으로부터 확실하게 벗어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스토퍼 벽(105)의 후크(105a)는 스토퍼 벽(105)이 스토퍼(107)를 실패 없이 멈출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클램프 링(101)을 이완 위치에서 확실한 방법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후크(105a)는 스토퍼 벽(105)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클램프 링(101)의 제조 과정을 쉽게 한다.
이미 위에서 언급된 것들 이외에도, 많은 수정과 변형들이 본 발명의 새롭고 유익한 특징들로부터 이탈됨이 없이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스토퍼가 스토퍼 벽으로부터 미끄러져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비록 스토퍼 벽과 일체로 제조되는 후크가 사용된다 할지라도, 어떠한 다른 적합한 수단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분리된 조각 또는 고무가 스토퍼의 배면 불룩한 부분의 정점 가까이에 부착될 수 있다. 그러한 모든 수정과 변형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호스 클램프가 콤팩트하게 만들어질 수 있으며, 사용자가 쉽게 그리고 확실하게 호스 클램프를 이완하거나 단단하게 죌 수 있게 된다. 부가하여, 호스 클램프는 이완 위치에서 안전한 방법으로 유지될 수 있다.

Claims (7)

  1. 그 양단부가 서로 겹쳐진 고리 모양으로 감긴 금속 스트립제의 클램프 링;
    상기 금속 스트립의 양단부로부터 상기 클램프 링의 방사상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그 내측에 개구를 한정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구석으로부터 상기 개구의 내부로 불룩하게 튀어 나온 스토퍼 벽을 가지는 제1 핀치와, 상기 클램프 링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 조작 편을 가지는 제2 핀치; 및
    상기 제2 핀치의 뿌리 가까이에서 상기 클램프 링으로부터 상승되며, 상기 제1 핀치와 교차하도록 상기 제1 핀치의 상기 개구를 통과하여 상기 제1 핀치와 맞물리는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클램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 클램프는 상기 제1 및 제2 핀치가 서로 떨어져 있는 클램핑 위치와, 상기 제1 및 제2 핀치가 서로 가깝게 있으며 상기 제2 핀치의 상기 조작 편이 상기 클램프 링으로부터 그 폭 방향으로 튀어나오는 이완 위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클램프.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링은 복원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클램프.
  4. 제 2항에 있어서,
    만약 상기 호스 클램프가 상기 이완 위치로 되면,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1 핀치의 상기 개구 밖으로 나가며, 상기 이완 위치에서 상기 스토퍼 벽의 배면에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클램프.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벽은 상기 이완 위치에서 상기 스토퍼가 상기 스토퍼 벽의 배면으로부터 미끄러져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후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클램프.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상기 스토퍼 벽과 일체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클램프.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링은 상기 제1 핀치의 상기 개구로부터 연결되는 홈을 가지며, 상기 제2 핀치는 상기 클램핑 위치와 상기 이완 위치 사이에서 상기 홈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클램프.
KR10-2000-0055429A 1999-09-24 2000-09-21 홀더가 없는 호스 클램프 KR1003911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6983799A JP3665238B2 (ja) 1999-09-24 1999-09-24 ホースクランプ
JP11-269837 1999-09-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0556A KR20010050556A (ko) 2001-06-15
KR100391196B1 true KR100391196B1 (ko) 2003-07-12

Family

ID=17477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5429A KR100391196B1 (ko) 1999-09-24 2000-09-21 홀더가 없는 호스 클램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438801B1 (ko)
EP (1) EP1087165B1 (ko)
JP (1) JP3665238B2 (ko)
KR (1) KR100391196B1 (ko)
AT (1) ATE266172T1 (ko)
DE (1) DE60010394D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3708B1 (ko) 2011-08-17 2012-06-07 유신정밀공업 주식회사 호스 클램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01101A1 (en) * 2001-06-25 2003-01-03 Progeral Industria De Artefatos Plasticos Ltda. A self-locking clamp for a hose
KR20080098663A (ko) 2006-03-17 2008-11-11 가부시키가이샤 파이오락꾸스 호스 클램프
JP4864799B2 (ja) * 2007-04-06 2012-02-01 株式会社東郷製作所 ホースクランプ
EP2293962B1 (en) * 2008-05-22 2014-03-12 A. Raymond et Cie. Airbag clamp
RU2506487C2 (ru) * 2009-09-18 2014-02-10 Пайолэкс, Инк. Хомут для шланга
US8850664B2 (en) * 2010-02-12 2014-10-07 Togo Seisakusyo Corporation Hose clamp
DE112012000479B4 (de) * 2011-01-14 2021-01-14 Togo Seisakusyo Corporation Schlauchschelle
JP5809173B2 (ja) * 2011-01-14 2015-11-10 株式会社東郷製作所 ホースクランプ
CN103299119B (zh) * 2011-01-14 2015-03-25 株式会社东乡制作所 软管夹
KR101416271B1 (ko) * 2013-02-07 2014-08-13 주식회사 피케이에프씨 호스 고정용 클램프
BR112019010822B1 (pt) * 2016-11-28 2022-06-07 Wayne Fueling Systems Llc Grampo de mangueira e dispensador de combustível
US20180216767A1 (en) 2017-02-02 2018-08-02 North American Pipe Corporation Apparatus for conduit squeeze retainer
CA3017732C (en) 2017-09-18 2021-02-16 North American Pipe Corporatio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debris shield for squeeze-activated retainer for a conduit
JP7009635B2 (ja) * 2018-08-08 2022-01-25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ホースクランプ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33486C1 (de) * 1986-10-02 1988-05-05 Muhr & Bender Schlauchklemme
US4713863A (en) * 1987-01-20 1987-12-22 Triad Metal Products Company Reuseable clamp with an outwardly projecting ear on each opposing end and having a hook shaped projection on one ear adapted for interlocking coaction with an opening in the other ear
US4958273A (en) 1987-08-26 1990-09-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ultiprocessor system architecture with high availability
DE3832875C1 (ko) * 1988-09-28 1989-08-24 Fa. Muhr Und Bender, 5952 Attendorn, De
JPH0618113Y2 (ja) * 1989-06-26 1994-05-11 加藤発条株式会社 ホースクランプ
JPH0650713Y2 (ja) * 1991-06-05 1994-12-21 株式会社カネサン製作所 ホースクランプ
GB2266120B (en) * 1992-04-13 1996-08-14 Togo Seisakusho Kk Hose clip
DE59510856D1 (de) * 1994-11-23 2004-03-18 Muhr & Bender Schlauchklemme
DE4441439C2 (de) * 1994-11-23 1996-10-02 Muhr & Bender Schlauchklemme mit Überdehnungsschutzeinrichtung
US5820166A (en) * 1996-03-08 1998-10-13 Acd Tridon Inc. Hose clamp with positioning device
US6095251A (en) * 1997-07-22 2000-08-01 Primex Technologies, Inc. Dual stage fire extinguisher
US5855044A (en) * 1997-08-12 1999-01-05 Acd Tridon Inc. Hose clamp with claw
US5915739A (en) * 1997-08-12 1999-06-29 Acd Tridon Inc. Clamp retention device
US5819376A (en) * 1997-12-24 1998-10-13 Barnes Group Inc. Hose clamp
JP3907840B2 (ja) * 1998-07-02 2007-04-18 株式会社東郷製作所 ホースクリップ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3708B1 (ko) 2011-08-17 2012-06-07 유신정밀공업 주식회사 호스 클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87165B1 (en) 2004-05-06
US6438801B1 (en) 2002-08-27
JP2001090886A (ja) 2001-04-03
EP1087165A3 (en) 2002-07-24
JP3665238B2 (ja) 2005-06-29
EP1087165A2 (en) 2001-03-28
KR20010050556A (ko) 2001-06-15
DE60010394D1 (de) 2004-06-09
ATE266172T1 (de) 2004-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1196B1 (ko) 홀더가 없는 호스 클램프
US10859192B2 (en) Reusable clamp with latch release arm for connecting conduit sections and associated methods
JP4243744B2 (ja) 位置決め具付きホースクリップ
EP0303505B1 (en) Hose clamp
JP4842055B2 (ja) ホース接続装置
US6473943B1 (en) Hose clamp
KR100238779B1 (ko) 밴드 클램프 체결구
US4948178A (en) Hose fitting with deformable sleeve
JP2005509119A (ja) クランプ
JP3843137B2 (ja) ホースクリップとそれのための固定用部材
US5979020A (en) Hose clip and releasing bar tool therefor
US6056015A (en) Protecting and identifying fittings
JPH0451712B2 (ko)
JPH1061855A (ja) ホースクリップ
KR101300824B1 (ko) 호스용 클램프
JP7280708B2 (ja) ホースクランプ用仮保持ホルダー
KR100223101B1 (ko) 스프링 밴드 클램프
JP2007255674A (ja) クランプホルダ
JPH066882U (ja) ホースクリップ
JP2000146065A (ja) 管継手
JPH0728470Y2 (ja) ホースクランプ
JP3000520U (ja) ホースクリップ
JP2848167B2 (ja) チューブ開閉クランプ
KR100269190B1 (ko) 탄성밴드클램프
JPH01791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