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8779B1 - 밴드 클램프 체결구 - Google Patents

밴드 클램프 체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8779B1
KR100238779B1 KR1019940018806A KR19940018806A KR100238779B1 KR 100238779 B1 KR100238779 B1 KR 100238779B1 KR 1019940018806 A KR1019940018806 A KR 1019940018806A KR 19940018806 A KR19940018806 A KR 19940018806A KR 100238779 B1 KR100238779 B1 KR 1002387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fastener
protrusion
hook
band
no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8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3647A (ko
Inventor
파스칼 데따블
미쉘 앙드레
Original Assignee
니꼴 베르네드
에따블리스망 까이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꼴 베르네드, 에따블리스망 까이요 filed Critical 니꼴 베르네드
Publication of KR950003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36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8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87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3/00Flexible elongated elements, e.g. straps, for bundling or supporting articles
    • B65D63/02Metallic straps, tapes, or bands; Joints between end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02Hose-clips
    • F16L33/035Hose-clips fixed by means of teeth or hoo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14Bale and package ties, hose clamps
    • Y10T24/1457Metal ban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14Bale and package ties, hose clamps
    • Y10T24/1457Metal bands
    • Y10T24/1478Circumferentially swagged band clam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14Bale and package ties, hose clamps
    • Y10T24/1457Metal bands
    • Y10T24/148End-to-end integral band end conn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14Bale and package ties, hose clamps
    • Y10T24/1457Metal bands
    • Y10T24/1482Ratchet and tool tightened band clam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 Diaphragms And Bellows (AREA)
  • Adornment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형의 금속밴드로 구성된 밴드 클램프 체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이 밴드 클램프의 일단부에는 연장부를 가지는 걸림턱이 구비되고, 타단부에는 후크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연장부에는 후크의 자유단부의 횡방향 치수보다 작은 횡방향 치수를 구비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는 상기 클램프 체결구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이 돌출부는 상기 클램프 체결구가 체결되지 않은 상태일 때 소정의 예비체결수단과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후크의 자유단부에는 상기 돌출부의 치수를 수용할 수 있는 치수의 노치가 구비되며, 상기 돌출부와 노치는 밴드의 횡방향으로 서로 어긋나게 위치한다. 상기 후크의 자유단부의 일부는 상기 돌출부와 동일선상에 위치함과 동시에 이 돌출부의 이면에 체결될 수 있는 구성이다.

Description

밴드 클램프 체결구
제1도는 본발명에 따른 밴드 클램프 체결구의 체결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밴드 클램프 체결구의 부분평면도.
제3도는 제1도의 밴드 클램프 체결구의 후크가 걸림턱의 후면에 체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정면도.
제4도는 제1도의 밴드 클램프 체결구의 후크가 연장부의 돌출부의 후면에 체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정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 체결구의 체결상태를 보여주는 부분정면도.
제6도는 제5도의 클램프 체결구의 부분사시도.
제7a도는 클램프 체결구의 단부에 형성된 후크를 보여 주는 제 5도의 화살표(F) 방향에서 본 도면.
제7b도는 클램프 체결구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턱을 보여 주는 제5도의 화살표(G) 방향에서 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금속 밴드 2, 12 : 걸림턱
3, 13 : 후크 4, 14 : 연장부
4a, 14a : 돌출부 5, 15 : 노치
6 : 예비체결부 6a : 만곡경사부
본 발명은 원형의 금속밴드로 구성된 밴드 클램프 체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이 밴드 클램프의 양단부중의 일단부측에 인접한 부위에는 이 클램프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한 적층형상의 걸림턱 및 클램프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된 연장부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밴드의 타단부측에는 본 클램프 체결구의 체결시 상기 걸림턱에 체결될 수 있는 후크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연장부에는 후크의 자유단부의 횡방향 치수보다 작은 횡방향 치수를 구비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는 상기 클램프 체결구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이 돌출부는 상기 클램프 체결구가 체결되지 않은 상태일 때 소정의 예비체결수단과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종래 위와 같은 종류의 클램프 체결수단의 일례로서는 유럽특허 EP0 079 252호에 기재되어 있는 것을 들 수 있는데, 이 클램프 체결구의 장점을 예비체결수단을 구비하고 있다는 점에 있다. 이 예비체결수단은 체결대상물체의 직경보다 약간 큰 직경을 유지하는 상태로 그 체결대상물에 접촉유지될 수 있으므로 클램프 체결구를 체결대상물에 설치하는 작업 및 그에 이은 체결작업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클램프 체결구는 예비체결상태로 부터 클램프를 풀어서 체결대상물체를 통과하여 이동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그 작업이 용이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클램프 체결구는 어떠한 상황하에서도 그 체결상태가 단단히 유지되어야 하는데, 전술한 종래기술의 클램프 체결구는 작업의 신속성 및 신뢰성은 갖추고 있으나, 클램프 체결구의 체결상태가 불완전한 경우에는 기계적 조립체를 파지하는 파지력 혹은 강성의 튜브에 공급호스 파이프를 체결하는 경우 등에는 그 체결력이 불충분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기술의 클램프 체결구를 개량함으로써 그 예비 체결상태로부터 해제상태로의 전환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음과 동시에 원하지 않는 때에 위와 같은 전환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클램프 체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클램프 체결구가 불완전하게 체결된 경우에도 체결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안전장치를 구비한 클램프 체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후크의 자유단부에는 그 횡방향 치수 및 반경방향 높이가 돌출부의 횡방향 치수 및 반경방향 높이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하나의 노치가 구비되어 있다. 이 노치와 돌출부는 밴드의 횡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어긋나게 형성되어 있는 한편, 상기 돌출부는 밴드의 원주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걸림턱으로부터 적어도 상기 후크의 자유단부의 두께만큼 이격되어 있다. 상기 예비체결 수단은 후크의 자유단부에 형성된 소위 "예비체결부"라고 하는 부재를 포함한다. 이 "예비체결부"는 상기 돌출부의 후측부에 체결되는 것으로서, 이는 상기 노치에 인접해 있고, 또한 상기 돌출부와 동일선상에 위치한다.
상기 노치의 횡방향 치수는 적어도 돌출부의 횡방향 치수와 동일하게 구성되는 한편, 그 반경방향의 높이는 상기 돌출부의 반경방향의 높이와 거의 동일하게 구성된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돌출부는 압력을 가하지 않아도 후크의 하측부에 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으므로 예비체결상태로부터 해제상태로 또는 그 반대로의 전환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노치와 돌출부가 횡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클램프 체결구의 일단부가 타단부에 대해 횡방향으로 변위되어 상기 노치와 돌출부가 동일선상에 위치해야만 본 클램프 체결구의 예비체결상태로부터 해제상태로의 또는 그 반대로의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클램프 체결구가 그 예비체결상태로부터 불시에 해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크와 걸림턱의 체결상태가 불완전한 경우에는 본 클램프 체결구의 자체 탄성에 의해 돌출부 및 후크의 자유단부상에 형성된 예비체결부의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걸림턱과 돌출부가 자동적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클램프 체결구가 부분적으로 해제된 경우에도 상기 후크는 적어도 돌출부의 후측에 체결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돌출부는 연장부의 만곡된 단부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출원인의 특허출원 제 93 06045호는 걸림턱에 스토퍼를 일체로 형성한 클램프 체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위 스토퍼는 후크가 걸림턱에 체결되어 있을 때 후크의 내면에 접촉되어 클램프 체결구의 체결작업시에 탄성한계를 초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인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장부의 만곡단부가 그와 같은 스토퍼 기능을 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클램프 체결구의 체결상태를 팽팽하게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클램프 체결구가 팽팽해진 상태에서 상기 연장부가 주지의 지지체를 형성하게 된다. 이 경우, 돌출부는 연장부의 일부를 절단하여 절곡가공한 부분에 의해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4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밴드 클램핑 체결구는 금속밴드(1)로 구성되어 있다. 이 금속밴드의 일단부의 인접부에는 두 겹의 적층체(2a)(2b)로 구성된 걸림턱(2)이 상기 클램핑 체결구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걸림턱(2)은 체결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약간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금속밴드(1)의 타단부에는 후크(3)가 형성되어 있다. 제3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후크(3)는 본 클램핑 체결구의 체결시에 상기 걸림턱(2)의 후면에 체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턱(2)에는 이 클램프 체결구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된 연장부(4)가 구비되어 있다. 이 연장부(4)의 말단부에는 본 클램프 체결구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4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4a)의 횡방향 치수(ls)는 상기 후크(3)의 자유단부(3a)의 횡방향치수(lc)보다 작게 되어 있다.
상기 후크(3)의 자유단부(3a)에는 상기 돌출부(4a)를 통과시킬 수 있는 노치(5)가 형성되어 있다. 이 노치(5)의 횡방향 치수(le)는 적어도 상기 돌출부(4a)의 치수와 동일하게 구성하고, 또한 노치(5)의 높이와 상기 돌출부(4a)의 높이는 동일한 치수로 구성한다.
상기 노치(5)와 돌출부(4a)는 상기 금속밴드의 횡방향으로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다.
제1도에는 위와 같은 노치(5)와 돌출부(4a)의 어긋남을 표시하기 위해 본 클램프 체결구의 길이방향을 따라 노치(5)의 중심선(L1)과 돌출부(4a)의 중심선(L2)이 일점쇄선으로 도시되어 있고, 이들 두 선 사이의 거리는 d로 표시되어 있다.
제4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예비체결상태에서 상기 돌출부(4a)는 후크(3)의 자유단부(3a)의 예비체결부(6)와 결합한다.
제2도에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예비체결부(6)는 상기 돌출부(4a)와 일직선상에, 즉 선(L2) 상에 놓이게 된다.
본 클램핑 체결구에는 제1도에 도시된 비체결상태로부터 밴드의 양단부를 접근시켜 체결상태로 하는 경우에 이용할 수 있는 상기 노치(5)의 횡방향 위치 및 상기 돌출부(4a)의 횡방향 위치를 일치시키기 위한 정렬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예비체결부(6)에는 전술한 정렬수단으로서 상기 후크의 자유단부(3a)의 외면상에 형성된 만곡경사부(6a)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만곡경사부(6a)는 본 금속 밴드(1)의 횡축선(T)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후크의 내측으로 경사를 이룸과 동시에 상기 노치(5)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예비체결부(6)는 상기 후크의 자유단부(3a), 즉 상기 노치(5)의 반경반향 단부에 인접한 부위에 형성된다.
상기 노치(5)의 양측부에는 두 개의 융기부(8a)(8b)가 형성되어 있다. 이 융기부는, 상기 후크(3)가 걸림턱(2)에 체결될 때, 걸림턱(2)의 적층부(2b)에 인접해 있는 중앙만곡부(9)와 결합하도록 된 것으로서, 이에 의해 상기 걸림턱(2)과 후크(3)의 상대이동을 안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만곡경사부(6a)는 노치(5)에 인접해 있는 융기부(8b)의 양면에 형성되어 있게 된다.
위의 만곡경사부(6a)의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돌출부(4a)는 축(T)에 대해 각()을 형성함으로써, 이 돌출부(4a)가 상기 만곡경사부(6a)에 거의 평행을 이루게 된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금속 밴드(1)의 양단부를 전술한 예비체결 위치로 접근시키면, 상기 만곡경사부(6a)와 돌출부(4a)는 서로 체결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돌출부는 후크에 대해 화살표방향(i)으로 약간 이동하게 된다. 그 결과, 두 중심선(L1)(L2)은 합쳐져서 이들 사이의 간격(d)이 없어지게 된다.
상기 돌출부(4a)가 만곡경사부(6a)로부터 이탈되는 순간, 즉 돌출부(4a)가 후크의 하측에 위치하는 순간에 본 클램프 체결구의 자체탄성에 의해 상기 두 중심선(L1)(L2)간의 간격(d)이 회복되고, 이에 의해 만곡경사부(6a)는 돌출부(4a)의 후면에 체결된다.
본 클램프 체결구를 위와 같은 예비체결위치로부터 해제시키기 위해서는 간단히 상기 돌출부(4a)와 후크(3)를 상기 두 중심선(L1)(L2)이 다시 합쳐지는 위치까지 상대이동시킴에 의해 상기 돌출부(4a)가 예비체결부(6a)로부터 이탈하여 노치(5)의 내부로 진입하도록 하면 된다.
상기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돌출부(4a)의 자유단부(4b)는 적어도 후크(3)의 자유단부(3a)의 두께와 동일한 거리만큼 걸림턱(2)으로 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후크(3)가 걸림턱(2)에 체결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위의 이격거리는 클램프 체결구의 원주에 대해 거의 평행한 후크 중앙부(3b)의 길이보다는 작게 설정해주어야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본 클램프 체결구가 체결되었을 때, 상기 돌출부(4a)는 후크(3)의 내면(3c)에 가까스로 접촉을 이루게 된다.
또한, 중앙융기부(9)를 형성한 경우에는 돌출부(4a)와 이 중앙융기부(9) 사이의 거리를 적어도 후크(3)의 자유단부(3a)의 두께와 동일한 거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도에 도시한 체결상태가 불완전한 경우에는 후크(3) 자체의 탄성에 의해 그 자유단부(3a)가 걸림턱(2)과 돌출부(4a) 사이에 개재되어 제4도에 도시한 예비체결상태로 전환될 수 있으므로 전술한 본 발명의 밴드 클램프 체결구는 그 안전성이 확실하게 보장될 수 있다.
만일 체결이 불완전하게 이루어지면 후크(3)의 자유단부(3a)가 걸림턱(2)으로부터 이탈되어 이 걸림턱(2)으로부터 충분한 거리만큼 이격배치된 돌출부(4a)에 체결유지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예비체결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상기 돌출부(4a)의 단부(4b)의 반경방향의 높이가 후크(3)의 자유단부(3a)의 말단부(3d)의 반경방향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도면상에서 상기 돌출부(4a)의 단부(4b)의 반경방향 높이는 걸림턱(2)의 반경방향 높이에 비해 낮게 형성되어 있으나, 이들 두 높이는 거의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도, 상기 돌출부(4a)의 단부(4b)의 반경방향 높이는 후크(3)의 중앙부(3b)의 내면의 반경방향 위치에 의해 제한을 받는다.
제1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부(4a)는 연장부(4)의 말단부를 만곡시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만곡된 말단부의 외면(4c)은 스토퍼 기능을 가지며, 또한 본 클램프 체결구의 체결시에 클램프 체결구가 그 탄성한계를 초과하는 것을 예방하는 작용을 한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클램프 체결구의 연장부(4)는 상기 걸림턱(2)에 인접한 위치에 이 걸림턱(2)과 거의 동일한 횡방향 치수의 제1요소(7a) 및 그 자유단부에 돌출부(4a)가 형성되어 있는 제2요소(7b)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2요소(7b)의 횡방향 치수는 돌출부(4a)의 폭(ls)과 거의 동일한 치수이며, 제1요소(7a)의 치수보다는 작게 구성되어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해 돌출부(4a)는 용이하게 노치(5)내로 진입할 수 있게 된다.
실제로, 상기 제1요소(7a)에는 융기부(9)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2요소(7b)의 길이는 적어도 후크의 자유단부의 두께(e)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
제1도 내지 제4도에 걸쳐 도시된 실시예의 밴드 클램프 체결구는 단면이 U자형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이 밴드 클램프 체결구를 이용하여 임의의 두 개의 관을 연결하는 경우에 상기 U자홈 내에 각 관의 확대단부를 끼워넣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상의 실시예는 전술한 유럽특허에 기술되어 있는 평면 밴드 클램프 체결구에도 채용할 수 있다.
제5, 6, 7a 및 7b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위 도면에서, 제1도 및 제2도를 통해 이미 설명된 구성요소는 제1도 및 제2도에서 사용한 참조번호에 10을 더한 숫자를 사용하여 표시하였으며,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걸림턱(12)에는 연장부(14)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연장부는 본 클램프 체결구의 둘레와 거의 동일한 선상으로 따라 연장되어 있다. 상기 걸림턱(12)으로부터 상기 연장부(14)까지의 거리는 후크(13)의 중앙부(13b)의 길이보다 약간 길게 형성되어 있어서 본 클램프 체결구가 체결상태일 때 연장부(14)는 클램프 체결구의 확실한 체결상태를 보장하기 위한 지지체 기능을 한다. 이같은 연장부(14)의 지지체기능에 의해, 클램프 체결구의 체결력은 체결대상물의 전체 외주면에 걸쳐 작용할 수 있다.
위의 타실시예에서, 돌출부(14a)는 연장부(14)의 중심부에 랜싱가공(lancing)에 의해 절단한 후 반경방향외측으로 곧게 세움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이 돌출부(14a)는 체결방향에 역방향으로 약간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경사도는 걸림턱(12)의 경사도보다 크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6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돌출부(14a)를 형성함으로써 생긴 절단공(14d)은 상기 연장부(14)의 중앙에 위치하므로 절단공(14d)의 외측부(14e)는 체결대상물체에 접촉됨으로써 본 클램프 체결구의 체결동작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상하로 배치된 제7a도 및 제7b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밴드의 종축선에 일치하는 돌출부(14a)의 중심선(L12)과 노치(15)의 중심선(L11)은 횡방향으로 간격(d')만큼 어긋나 있다.
또한, 예비체결부(16)는 중심선(L12)상에 위치하는 후크(13)의 자유단부(13a)에 의해 형성된다.

Claims (6)

  1. 원형의 금속밴드로 구성된 밴드 클램프 체결구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체결구의 일단부의 인접부에는 이 클램프 체결구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한 이중 적층상 걸림턱 및 상기 클램프 체결구의 대략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된 하나의 연장부가 구비되며, 상기 클램프 체결구의 타단부에는 이 클램프 체결구가 체결된 후에 상기 걸림턱의 후측부에 체결되는 하나의 후크가 구비되며, 상기 연장부에는 상기 후크의 자유단부의 횡방향 치수보다 적은 횡방향 치수를 가지는 돌출부가 구비되며, 이 돌출부는 상기 클램프 체결구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됨과 동시에 상기 클램프 체결구의 비체결상태에서 예비체결수단에 체결될 수 있으며, 상기 후크의 자유단부에는 상기 돌출부의 횡방향 치수와 반경방향 높이를 수용할 수 있는 횡방향 치수와 반경방향 높이를 구비하는 하나의 노치가 구비되며, 상기 노치와 상기 돌출부는 상기 밴드의 횡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호 어긋나게 배치되며, 상기 돌출부는 적어도 상기 후크의 자유단부의 두께와 동일한 거리만큼 상기 걸림턱으로부터 원주방향으로 따라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예비체결수단은 상기 노치에 근접해 있음과 동시에 상기 돌추부와 동일선상에 위치하여 상기 돌출부의 후측에 체결될 수 있는 "예비체결부"라 칭하는 후크의 자유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클램프 체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 클램프 체결구에는 이 밴드 클램프 체결구의 양단부가 상호접근하는 동안에 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상기 노치와 돌출부의 횡방향 위치를 일치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클램프 체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체결부에는 상기 금속밴드의 횡축선을 기준으로 하여 후크의 내측으로 경사를 이룸과 동시에 적어도 상기 노치에 인접한 부위까지 연장된 만곡경사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만곡경사부의 경사면과 거의 평행을 이루는 경사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클램프 체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연장부의 만곡단부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클램프 체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에는 횡방향 치수가 상기 걸림턱의 횡방향 치수와 거의 동일하고 상기 걸림턱에 인접한 한 제1요소와, 그 자유단부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2요소가 구비되며, 이 제2요소와 상기 돌출부의 각 횡방향 치수는 거의 동일한 한편 상기 제1요소의 횡방향 치수 보다는 작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클램프 체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체결구가 체결상태에 있고, 상기 연장부가 지지체 역할을 함과 동시에 이 연장부가 적어도 상기 후크의 하측까지 연장되는 경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지지체 역할을 하는 연장부를 절단하여 이 연장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시킨 부분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클램프 체결구.
KR1019940018806A 1993-07-30 1994-07-30 밴드 클램프 체결구 KR1002387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3-09407 1993-07-30
FR9309407A FR2708708B1 (fr) 1993-07-30 1993-07-30 Collier de serr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3647A KR950003647A (ko) 1995-02-17
KR100238779B1 true KR100238779B1 (ko) 2000-01-15

Family

ID=9449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8806A KR100238779B1 (ko) 1993-07-30 1994-07-30 밴드 클램프 체결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459906A (ko)
EP (1) EP0636826B1 (ko)
JP (1) JP3073133B2 (ko)
KR (1) KR100238779B1 (ko)
AT (1) ATE147488T1 (ko)
DE (1) DE69401399T2 (ko)
DK (1) DK0636826T3 (ko)
ES (1) ES2098879T3 (ko)
FR (1) FR27087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2393A (ja) * 1994-09-13 1996-03-26 Toyoda Spinning & Weaving Co Ltd ホースクランプ
DE19650675C2 (de) * 1996-12-06 2002-10-31 Rasmussen Gmbh Profilschelle
DE19650674A1 (de) * 1996-12-06 1998-06-18 Rasmussen Gmbh Einteilige Flachbandschelle
US5819376A (en) * 1997-12-24 1998-10-13 Barnes Group Inc. Hose clamp
DE19818562C1 (de) 1998-04-25 2000-02-17 Rasmussen Gmbh Profilschelle
FR2785966B1 (fr) 1998-11-18 2001-02-02 Caillau Ets Agrafe de liaison et d'entretoisement pour deux colliers de serrage
FR2794819B1 (fr) * 1999-06-08 2001-09-07 Caillau Ets Collier de serrage
FR2818352B1 (fr) * 2000-12-19 2003-04-18 Caillau Ets Collier de serrage
FR2818351B1 (fr) * 2000-12-19 2003-04-04 Caillau Ets Collier de serrage
FR2932856B1 (fr) * 2008-06-18 2010-08-13 Caillau Ets Collier de serrage a ergot d'accrochage embouti
EP2372213A1 (de) 2010-03-24 2011-10-05 Geberit International AG Klemmrin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solchen Klemmings
DE102013212629A1 (de) * 2012-06-29 2014-01-02 Behr Gmbh & Co. Kg Verbindungselement
FR3101118B1 (fr) 2019-09-23 2021-10-01 Caillau Collier de serrage
FR3101127B1 (fr) * 2019-09-23 2021-10-01 Caillau Collier de serrage
DE102020113297A1 (de) * 2020-05-15 2021-11-18 Norma Germany Gmbh Profilschelle zum Verbinden zweier rohrförmiger Körper
FR3119650B1 (fr) * 2021-02-09 2023-04-14 Caillau Collier de serrage ayant un organe de retenue et un crochet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16181A1 (fr) * 1981-11-06 1983-05-13 Caillau Ets Collier de serrage
FR2598473B2 (fr) * 1986-02-25 1988-12-02 Caillau Ets Collier de serrage.
FR2616879B1 (fr) * 1987-06-22 1989-11-17 Caillau Ets Collier de serrage metallique perfectionne
FR2617266B1 (fr) * 1987-06-23 1989-12-22 Caillau Ets Collier de serrage
FR2632049B1 (fr) * 1988-05-25 1990-10-05 Caillau Ets Collier de serrage
JPH0618113Y2 (ja) * 1989-06-26 1994-05-11 加藤発条株式会社 ホースクラン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401399T2 (de) 1997-07-10
FR2708708B1 (fr) 1995-10-27
US5459906A (en) 1995-10-24
ES2098879T3 (es) 1997-05-01
EP0636826A1 (fr) 1995-02-01
DK0636826T3 (da) 1997-06-16
EP0636826B1 (fr) 1997-01-08
KR950003647A (ko) 1995-02-17
DE69401399D1 (de) 1997-02-20
JP3073133B2 (ja) 2000-08-07
ATE147488T1 (de) 1997-01-15
JPH0755080A (ja) 1995-03-03
FR2708708A1 (fr) 1995-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8779B1 (ko) 밴드 클램프 체결구
JP4243744B2 (ja) 位置決め具付きホースクリップ
US5542155A (en) Spread diameter locking mechanism for a spring biased hose clip
US7441311B2 (en) T-bolt clamp quick attach latch
KR20080098663A (ko) 호스 클램프
JPH04134993U (ja) ホースクランプ
KR0145309B1 (ko) 클램프
KR100391196B1 (ko) 홀더가 없는 호스 클램프
JPH066253Y2 (ja) クランプ装置
JP3696764B2 (ja) ホースクランプ
US5979020A (en) Hose clip and releasing bar tool therefor
JPH0451712B2 (ko)
JPH1061855A (ja) ホースクリップ
JPS5916628Y2 (ja) 締付クランプ
JPH0425368Y2 (ko)
JP2560667Y2 (ja) ホースクリップ
JP2560665Y2 (ja) ホースクリップ
JP3654573B2 (ja) ホースクランプ
JPH109465A (ja) ホース締付装置
JPS63120907A (ja) 環状クランプ部材
JPH0713388Y2 (ja) バンド用留め具
JPH0634392Y2 (ja) ゴム紐通し具
JP2594978Y2 (ja) 締付けバンドの構造
JP2574966Y2 (ja) バンドクランプ
JP2571360Y2 (ja) ホースクリ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15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