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6271B1 - 호스 고정용 클램프 - Google Patents

호스 고정용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6271B1
KR101416271B1 KR1020130013775A KR20130013775A KR101416271B1 KR 101416271 B1 KR101416271 B1 KR 101416271B1 KR 1020130013775 A KR1020130013775 A KR 1020130013775A KR 20130013775 A KR20130013775 A KR 20130013775A KR 101416271 B1 KR101416271 B1 KR 1014162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tongue
hose
present
lo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3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케이에프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케이에프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케이에프씨
Priority to KR1020130013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62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6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62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06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 F16B7/0426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for rods or for tubes without using the innerside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02Hose-clips
    • F16L33/025Hose-clips tightened by deforming radially extending loops or fo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통상적으로 기존의 클램프를 제작하기 위해 버려지던 부분(텅부)을 이용하여 클램프를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미리 벌려진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클램핑 홀더 기능을 갖게 함으로써, 별도의 비용 추가 없이도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면서도 클램핑 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 호스 고정용 클램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텅부를 연장하여 손잡이 기능을 갖게 함으로써, 별도의 공구 없이도 바로 이 손잡이를 잡아 위로 젖히는 동작을 통해 클램핑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 호스 고정용 클램프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러한 텅부 부분이 클램핑 동작후 클램프로부터 분리되게 함으로써, 클램핑된 부분을 쉽게 분리하지 못하게 할 뿐만 아니라 이 텅부에 의해 작업자에게 입힐 수 있는 상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한 호스 고정용 클램프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호스 고정용 클램프{CLAMP FOR FITTING HOSES}
본 발명은 호스 고정용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클램프 자체에 고정기능을 갖게 함으로써 별도의 공구를 이용하지 않고서도 클램핑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게 한 호스 고정용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이나 엔진과 같은 기기 등에는 연료나 윤활유 그리고 외기 등을 공급하기 위하여 연질의 호스가 많이 이용된다. 특히, 이러한 연질의 호스는 쉽게 휘어지기 때문에 장착하는 위치에 맞게 쉽게 그 형상을 변형시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호스는, 경우에 따라 엔진의 주입구와 같이, 니플이나 다른 호스 그리고 튜브 등에 연결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때 이들 호스와 니플 또는 튜브의 연결에 클램프가 이용된다. 도 1에서, 클램프(20)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호스(H)와 파이프(P)를 클램핑한다. 이는 호스(H)에 클램프(20)를 끼운 다음 이 호스(H)에 파이프(P)를 끼워 연결한 다음에 수행된다. 이 클램프(20)의 클램핑 동작은, 상기 클램프(20)의 양단을 잡아 클램프(20)를 넓게 벌린 다음 호스(H)와 파이프(P)가 겹쳐진 부분 위에 클램프(20)가 위치하게 한 다음 클램프(20)에서 외력을 제거하면 완료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클램프는, 클램프(20)를 벌리기 위해 그 양단을 쥐기 위해서는 별도의 공구를 필요로 하게 되었다. 이에 미리 클램프가 벌어지게 하여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클램프 홀더가 개발되어 있다.
특허문헌1에는 이러한 클램프 홀더가 게시되어 있다. 클램프 홀더는, 파이프와 호스의 연결부위에 호스클램프를 용이하게 체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클램프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걸이부(110)와; 상기 걸이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일정거리 이격되어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 다수개의 고정단(120)으로 구성되어, 작업자가 별도의 제거수단 없이 파이프와 호스의 연결부위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어 조립편의성을 증대시키며, 작업시간을 단축시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클램프 홀더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였다.
(1) 클램프와 상관없이 별도의 클램프 홀더를 제작하여야 하기 때문에 그만큼 제조비용이 더 추가되었다.
(2) 한 번 사용하고 난 클램프 홀더는 산업 폐기물로서 버려지기 때문에 처리에 있어서도 문제가 발생하였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2-0045152호(공개일: 2002년 06월 19일)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통상적으로 기존의 클램프를 제작하기 위해 버려지던 부분(텅부)을 이용하여 클램프를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미리 벌려진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클램핑 홀더 기능을 갖게 함으로써, 별도의 비용 추가 없이도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면서도 클램핑 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 호스 고정용 클램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텅부를 연장하여 손잡이 기능을 갖게 함으로써, 별도의 공구 없이도 바로 이 손잡이를 잡아 위로 젖히는 동작을 통해 클램핑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 호스 고정용 클램프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러한 텅부 부분이 클램핑 동작후 클램프로부터 분리되게 함으로써, 클램핑된 부분을 쉽게 분리하지 못하게 할 뿐만 아니라 이 텅부에 의해 작업자에게 입힐 수 있는 상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한 호스 고정용 클램프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호스 고정용 클램프는, 띠편 형상의 클램프 몸체가 원 형태로 감겨져서 양단이 서로 마주보게 절곡되고, 일단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되며, 타단에는 이 장공에 끼워지며, 양단이 서로 마주 보게 눌러서 고정을 해제하는 호스 고정용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장공에는 이 장공을 형성하기 위하여 절개한 부분으로 텅부가 형성되고, 상기 텅부는 그 단부가 상기 장공에 끼워진 클램프 몸체의 타단이 걸려지도록 절곡되어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호스 고정용 클램프는, 띠편 형상의 클램프 몸체가 원 형태로 감겨져서 양단이 서로 마주보게 절곡되고, 일단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되며, 타단에는 이 장공에 끼워지며, 양단이 서로 마주 보게 눌러서 고정을 해제하는 호스 고정용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장공에는 이 장공을 형성하기 위하여 절개한 부분으로 텅부가 형성되고, 상기 텅부에는 상기 장공에 끼워진 클램프 몸체의 타단이 걸려지도록 절개되어 형성된 걸림턱 및 이 걸림턱으로부터 연장된 손잡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장공으로부터 텅부가 접히는 부분에는, 이 텅부가 쉽게 파단될 수 있도록, 절취선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호스 고정용 클램프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별도의 구성요소를 더 추가하지 않고 기존의 클램프에서 제작과정에서 버려지던 부분을 이용하여 클램핑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2)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클램핑 제작에 별도의 비용이 추가되지 않고서도 간단하게 클램핑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3)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클램프가 벌어질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다.
(4) 클램핑 동작시 걸림턱 기능을 하는 텅부가 클램프로부터 분리되게 하여 작업자에게 부상을 입히지 않게 하여 안정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5) 이처럼 텅부가 분리되더라도 기존의 클램프와 동일한 형태로서 클램프의 장착과 탈착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클램프의 일예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클램프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클램프의 클램핑 동작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클램프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클램프는,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클램핑을 위해 그 직경을 넓히기 위해 종래의 제작과정에서 버려지는 텅부(130)를 이용하여 클램프 몸체(100)의 타단부를 고정시켜 줌으로써, 별도의 추가적인 구성이나 공구 없이도 클램핑 동작이 가능하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클램프 몸체(100)는 자체 탄성력을 갖는 띠편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전체적으로는 원형과 같은 형태로 감겨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이 클램프 몸체(100)는 일단부(100a)에 그 길이방향으로 장공(110)이 형성되며, 그 타단부(100b)는 이 장공(110)과 동일하거나 약간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일단부(100a)는 그 단부가 바깥쪽으로 벌어지게 절곡되게 되고, 타단부(100b)는 상기 장공(110)에 끼워져서 일단부(100a)의 절곡된 단부와 마주보게 절곡된다.
한편, 상기 장공(110)에는 텅부(130)가 형성된다. 텅부(130)는 이 장공(110)을 형성하기 위하여 클램프 몸체(100)를 절개함에 따라 구성된다. 즉, 상기 장공(110)이 폭보다 길이가 긴 직사각형이라고 가정할 때에, 어느 한 쪽의 폭 부분을 제외하고 나머지 세 변을 절개함에 따라 장공(110)이 형성되면서 절개된 세 변에 의해 둘러싸인 부분이 텅부(130)를 구성하게 된다.
이러한 텅부(130)는 그 단부를 바깥쪽으로 절곡하여 상기 타단부(100b)가 걸릴 수 있도록 걸림턱(131)을 형성하게 된다.
특히, 상기 걸림턱(131)은 도 3과 같이 타단부(100b)가 걸려짐에 따라 클램프 몸체(100)의 내경이 커지게 하여 클램핑 동작이 이루어지기 전에 상태가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 걸림턱(131)이 타단부(100b)로부터 이탈됨에 따라 도 4와 같이 타단부(100b)를 포함하는 구간이 원래 위치로 되돌아 가면서 클램핑 동작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도 3에서, 일점 쇄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클램핑 동작 후의 직경으로서, 튜브나 호스의 직경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타단부(100b)는 절곡되는 단부의 높이가 너무 높지 않게 함으로써, 걸림턱(131)이 클램프 몸체(100)로부터 너무 많이 바깥쪽으로 돌출되지 않게 하는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장공(110)에는 텅부(130)가 접히는 부분, 즉 장공(110)으로부터 텅부(130)가 분리되지 않도록 절개하지 않았던 부분에 절취선(134)을 더 구성할 수도 있다.
절취선(134)은, 도 4와 같이, 텅부(130)가 클램프 몸체(100)의 바깥쪽으로 젖혀져서 타단부(100b)로부터 이탈됨에 따라 장공(110)으로부터 쉽게 절취되어 분리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절취선(134)으로 인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클램핑 동작이 완료되게 되면, 클램프 몸체(100)의 바깥쪽으로 돌출되었던 텅부(130)가 분리되게 된다. 이에 이 텅부(130)에 의해 작업자가 다치거나 다른 구성요소들을 긁히게 하는 등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실시예1의 클램프는, 걸림턱(131)에 타단부(100b)가 걸려지게 한 상태에서 서로 연결하고자 하는 호스(또는 파이프) 등을 끼운 다음, 텅부(130)를 젖혀서 걸림턱(131)을 클램프 몸체(100)의 바깥쪽으로 젖힘에 따라 클램프 몸체(100)가 원래 상태로 되돌아 가면서 클램핑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텅부(130)를 젖히는 데에는 손으로 할 수도 있으나, 클램프가 커서 센 장력 등이 필요한 경우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절취선(134)에 의해 클램프 몸체(100)로부터 텅부(130)가 분리되면서 클램핑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는, 기존과 같은 방법으로 탈거하여 재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클램프는, 실시예1과 비교해 볼 때에 도 5와 같이, 텅부(130')의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이에 실시예1과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번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2의 클램프는, 도 5와 같이, 텅부(130')에 손잡이(133)를 연장하여 형성한 것이다. 즉, 상기 텅부(130')에는 클램프 몸체(100)의 타단부(100b)가 걸려질 수 있도록 걸림턱(132)이 형성되고, 이 걸림턱(132)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손잡이(133)가 형성되게 되는 것이다.
이는 상기 장공(110)의 길이를 길게 형성함에 따라 이에 비례하여 텅부(130')에 길이도 길어지기 때문에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걸림턱(132)은 상술한 실시예1과 같이 절곡시켜서 형성할 수도 있으나, 도 5와 같이 텅부(130')를 형성하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절개하여 형성하는 것이 좋다. 이는 손잡이(133) 부분이 있기 때문에 절곡에 어려움이 있으나, 절개하는 방법의 경우 프레스 등을 통해 쉽고 신속하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실시예2의 클램프는, 손잡이(133)를 잡고 클램프 몸체(100)의 바깥쪽으로 회전시키듯이 젖히기만 하면 실시예1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0 : 클램프 몸체
110 : 장공
130, 130' : 텅부
131, 132 : 걸림턱
133 : 손잡이
134 : 절취선

Claims (3)

  1. 띠편 형상의 클램프 몸체(100)가 원 형태로 감겨져서 양단이 서로 마주보게 절곡되고, 일단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장공(110)이 형성되며, 타단은 이 장공(110)에 끼워지며, 양단이 서로 마주 보게 눌러서 고정을 해제하는 호스 고정용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장공(110)에는 이 장공(110)을 형성하기 위하여 절개한 부분으로 텅부(130)가 형성되고,
    상기 텅부(130)는 그 단부가 상기 장공(110)에 끼워진 클램프 몸체(100)의 타단이 걸려지도록 절곡되어 걸림턱(131)이 형성되고,
    상기 장공(110)으로부터 텅부(130)가 접히는 부분에는, 이 텅부(130)가 쉽게 파단될 수 있도록, 절취선(134)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고정용 클램프.
  2. 띠편 형상의 클램프 몸체(100)가 원 형태로 감겨져서 양단이 서로 마주보게 절곡되고, 일단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장공(110)이 형성되며, 타단은 이 장공(110)에 끼워지며, 양단이 서로 마주 보게 눌러서 고정을 해제하는 호스 고정용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장공(110)에는 이 장공(110)을 형성하기 위하여 절개한 부분으로 텅부(130)가 형성되고,
    상기 텅부(130)에는 상기 장공(110)에 끼워진 클램프 몸체(100)의 타단이 걸려지도록 절개되어 형성된 걸림턱(132) 및 이 걸림턱(132)으로부터 연장된 손잡이(133)가 구비되고,
    상기 장공(110)으로부터 텅부(130)가 접히는 부분에는, 이 텅부(130)가 쉽게 파단될 수 있도록, 절취선(134)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고정용 클램프.

  3. 삭제
KR1020130013775A 2013-02-07 2013-02-07 호스 고정용 클램프 KR1014162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3775A KR101416271B1 (ko) 2013-02-07 2013-02-07 호스 고정용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3775A KR101416271B1 (ko) 2013-02-07 2013-02-07 호스 고정용 클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6271B1 true KR101416271B1 (ko) 2014-08-13

Family

ID=51748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3775A KR101416271B1 (ko) 2013-02-07 2013-02-07 호스 고정용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62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09511A (zh) * 2018-02-06 2018-07-24 北京迈迪顶峰医疗科技有限公司 介入瓣膜装载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28090U (ja) * 1984-02-01 1985-08-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ホ−スクランプ
US6098251A (en) * 1999-02-23 2000-08-08 Rotor Clamp, Inc. Hose clamp
JP3665238B2 (ja) * 1999-09-24 2005-06-29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ホースクランプ
KR200431505Y1 (ko) 2006-08-17 2006-11-23 주식회사 두원공조 자동차용 호스 클램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28090U (ja) * 1984-02-01 1985-08-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ホ−スクランプ
US6098251A (en) * 1999-02-23 2000-08-08 Rotor Clamp, Inc. Hose clamp
JP3665238B2 (ja) * 1999-09-24 2005-06-29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ホースクランプ
KR200431505Y1 (ko) 2006-08-17 2006-11-23 주식회사 두원공조 자동차용 호스 클램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09511A (zh) * 2018-02-06 2018-07-24 北京迈迪顶峰医疗科技有限公司 介入瓣膜装载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16660B2 (en) Cable tie
JP2006174613A (ja) 長尺部材用クランプ
JP5821048B2 (ja) クランプ具
JP2014176289A (ja) 差込固定式ケーブルタイ
JP2017518831A5 (ko)
KR101416271B1 (ko) 호스 고정용 클램프
KR101487132B1 (ko) 원터치 행거
JP5265774B2 (ja) ホースクランプ
CA2989472C (en) Hose clamp
CN204493899U (zh) 管路固定装置
JP2017103994A (ja) ワイヤハーネス固定具およびそれを用いたワイヤハーネスの固定構造
JP5797592B2 (ja) 間接活線用先端工具
JP3863698B2 (ja) ホースクランプ
US20110061209A1 (en) Cable tie
JP2009165200A (ja) ワイヤーハーネス用締結具
JP2010151320A (ja) バンドクランプ
JP2015154568A (ja) ワイヤハーネス形状保持体及び形状保持体付きワイヤハーネス
KR101169933B1 (ko) 케이블 안내유닛
KR101622961B1 (ko) 호스 고정용 클램프
KR200485555Y1 (ko) 케이블타이
US8956175B2 (en) Extension cord retention device
JP2010174525A (ja) スリーブ固定具
KR101427228B1 (ko) 타이 클램프
KR200467862Y1 (ko) 밴드 케이블
JP2005076760A (ja) ホースクラ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