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7132B1 - 원터치 행거 - Google Patents

원터치 행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7132B1
KR101487132B1 KR20140042848A KR20140042848A KR101487132B1 KR 101487132 B1 KR101487132 B1 KR 101487132B1 KR 20140042848 A KR20140042848 A KR 20140042848A KR 20140042848 A KR20140042848 A KR 20140042848A KR 101487132 B1 KR101487132 B1 KR 101487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portions
fixing
hook
toot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42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규섭
Original Assignee
최규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규섭 filed Critical 최규섭
Priority to KR20140042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71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7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7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83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the two members being hooked in on one side and fastened together on the other 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14Hangers in the form of bands or ch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10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pivoting ja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22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 F16B2/24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of metal
    • F16B2/248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of metal of wi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 F16B7/048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for rods or for tubes without using the innerside thereof
    • F16B7/0493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for rods or for tubes without using the innerside thereof forming a crossed-over conn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tubing, both being made of thin band material completely surrounding the pipe
    • F16L3/1025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tubing, both being made of thin band material completely surrounding the pipe the members being joined by quick ac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75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the two members being joined with a hinge on one side and fastened together on the other 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터치 행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관용 파이프 등을 벽체 등에 고정하기 위한 원터치 행거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에 후크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결합부가 형성된 제1부재와; 일측이 상기 결합부에서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후크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면서 파이프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2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부재는 상기 후크부와 상기 결합부 사이에 형성된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행거를 제공하여, 배관파이프 등을 보다 용이하고 간편하게 고정하되, 고정 뒤에도 높낮이 조절 등 위치 조절이 용이한 강점이 있다.

Description

원터치 행거{An one-touch hanger}
본 발명은 원터치 행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관용 파이프 등을 벽체 등에 고정하기 위한 원터치 행거에 관한 것이다.
행거는 건축물에 제공되는 상수도 및 하수도 배관, 냉난방용 배관, 도시 가스 배관 등 각종 배관을 건축물의 천정이나 벽면에 고정하기 위한 부재를 가리킨다.
이와 같은 배관은 일정 길이를 형성하기 때문에 행거가 배관의 단부에서 배관에 끼워지는 것은 극히 곤란하다.
따라서, 종래의 행거는 배관의 측면을 통해 삽입되거나 체결되는 구조를 갖고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와 같은 불편함을 개선하고자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44230호는 서로 간편하게 체결 가능한 제1부재와 제2부재를 포함하는 배관 파이프 지지용 행거를 제공한다.
이러한 종래의 배관용 행거는 배관에 쉽게 체결이 가능하도록 서로 결합 가능한 반원형의 부재 두 개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두 개의 부재를 각각 배관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덧대고 두 개의 부재를 서로 체결한 뒤 체결된 행거를 천정 등에 기 설치된 고정부에 고정 시키는 구조를 취하였다.
위와 같은 종래의 행거는 파이프에 체결까지는 원터치로 가능하나 파이프에 체결된 행거를 벽체나 천정 등에 기설치된 고정부에 고정하는 또 다른 작업이 수반되어야만 했기 때문에 여전히 파이프를 벽체에 고정하는 것은 복잡한 작업일 수 밖에 없는 문제를 여전히 안고 있었다.
또한, 위와 같은 종래의 행거는 파이프를 고정한 후에 높이 조절 등 위치 조정이 필요할 시 다시 고정부를 어렵게 해제시켜야만 하는 곤란함이 존재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고자,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21489호는 파이프를 수용한 원터치 클램프가 천정등에 기 설치된 지지부에서 일방향으로 위치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배관 파이프 지지용 행거 유니트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21489호의 배관 파이프 지지용 행거 유니트는 일방향으로의 위치 이동만이 가능하여 높낮이 조절에는 한계가 있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44230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21489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천정이나 벽체 등에 기설치된 지지부에 배관용 파이프 등을 고정하기 용이하면서도 고정 뒤에도 높낮이 등의 위치 조정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원터치 행거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측에 후크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결합부가 형성된 제1부재와; 일측이 상기 결합부에서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후크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면서 파이프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2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부재는 상기 후크부와 상기 결합부 사이에 형성된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행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제1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톱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행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에는 걸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행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에는 착탈 가능한 홀더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행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홀더는 일측이 상기 고정부의 일단에 걸리는 만곡부를 포함하고, 타측이 상기 고정부의 타단에서 착탈 가능하게 형성된 손잡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만곡부와 상기 손잡이부 사이에는 상기 제1부재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톱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행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톱니는 서로 이격된 채 대향하는 제1톱니부 및 제2톱니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톱니부가 형성된 제1홀딩부와 상기 제2톱니부가 형성된 제2홀딩부는 지지편으로 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행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지편은 반원형 고리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행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파이프수용공간 중심으로부터 방사상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행거를 포함한다.
또한, 제2결합부재의 단부에는 고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리부는 상기 후크부에 결합된 체결부재와 원터치로 고정 또는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행거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배관파이프 등을 보다 용이하고 간편하게 고정하되, 고정 뒤에도 높낮이 조절 등 위치 조절이 용이한 강점이 있다.
둘째, 고정부에 톱날이 형성되기 때문에 고정이 용이하며, 벽체 등에 기 설치된 지지부에 고정시에 접촉면도 동시에 증가 되어 지지력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셋째, 고정부에는 걸림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고정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홀더가 용이하게 설치 가능해진다.
넷째, 홀더는 일측에 만곡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손잡이부가 형성되므로 홀더를 고정부에 착탈이 보다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다섯 째, 홀더에는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된 채 대향되는 제1톱니부와 제2톱니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지지부에 형성된 나사산에 보다 용이하게 체결되어 지지력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여섯 째, 홀더에는 제1홀딩부와 제2홀딩부를 서로 연결하는 지지편이 형성되므로 홀더의 체결 강도를 높여주는 효과가 있다.
일곱 째, 홀더에 형성된 지지편은 반원형 고리 형상을 하고 있기 때문에 하중의 집중이 방지됨으로써 변형이 방지되면서 지지력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여덟 째, 고정부는 파이프수용공간을 중심으로 방사상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고정부를 지지부에 보다 용이하게 결합가능해지는 장점이 있다.
아홉 째, 제2결합부재 단부에 고리부가 형성되고, 고리부는 후크부에 결합된 체결부재에 원터치로 고정 또는 분리가 가능한 구조를 하고 있기 때문에 원터치 행거의 설치가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2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행거가 지지부에 설치된 모습을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기술되어야 할 것이다.
1. 구성요소의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부재(100)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2부재(200)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300)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행거(500)가 지지부(600)에 설치된 모습을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홀더(400)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홀더(1400)의 사시도이다.
도 1과 같이 본 발명의 원터치 행거(500)는 크게 제1부재(100)와 제2부재(200), 그리고 제1부재(100)와 제2부재(200)를 단속하는 체결부재(300), 그리고 서로 결합된 제1부재(100)와 제2부재(200)를 지지부(600)에 고정하는 홀더(400,1400)로 대분된다.
원터치 행거(500)는 배관 파이프 등을 수용하는 수용공간(700)이 형성되면서 지지부(600)에 고정될 수 있다.
이하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와 같이 제1부재(100)는 일측에 후크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결합부가 형성된다.
다시 말해, 제1부재(100)는 상단의 제1후크부(141)와 하단의 제1결합부(170) 그리고 제1후크부(141)와 제1결합부(170) 사이에 형성된 고정부(110)로 대분 된다.
제1부재(100)는 전체적으로 반원형의 라운드진 판재로서 일단에는 제1공간부(131)가 형성된 제1후크부(141)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1후크부(141)에서 연장되는 제1편평부(149)와, 제1편평부(149)로부터 곡률을 갖고 연장되는 제1라운드면(123)을 포함하며, 제1라운드면(123)의 단부에서 경사를 갖고 연장되는 경사면(117)과, 경사면(117)의 단부에 형성되는 고정부(110)를 포함한다.
제1편평부(149)와 제1후크부(141) 및 제1라운드면(123)이 형성시키는 공간으로는 전선 등 선재가 지나갈 수 있는 전선공간(미도시)이 마련되게 됨도 일러둔다.
제1결합부(170)는 제1후크부(141)의 반대편인 제1부재(100)의 타측에서 마련되고 있다.
제1보강부(121)는 제1라운드면(123)으로부터 방사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있으면서 제1부재(10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2보강부(122)는 제1결합부(170)에서 제1보강부(121)와 마찬가지로 방사 방향으로 돌출되면서 제1부재(10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3보강부(143)는 제1후크부(141)의 단부에서 제1공간부(131)의 곡률을 따라서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있다.
제1부재(100)는 제1라운드면(123)의 우측 단부에서 상방향으로 라운드진 제1라운드부(151)를 갖고, 제1라운드부(151)의 상단에는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편평부(149)를 포함한다.
제2편평부(145)는 제1편평부(149) 상단에 형성된 제2라운드부(147)에서 좌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다.
제2편평부(145)는 제1공간부(131) 및 제2공간부(132)를 포함한다.
제1공간부(131)는 제1편평부(149)의 측면 방향으로 개구된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제1공간부(131)의 개구부의 지름은 제1공간부(131) 중심의 직경보다 조금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라운드부(147)는 제3공간부(133)를 사이에 두고 좌측 방향으로 라운드져 형성되어 있다.
제2공간부(132)는 제1공간부(131)와 제3공간부(133)의 사이에서 형성되고 있으며, 하방향으로 함몰된 형상으로 공간을 이룬다.
제3공간부(133)는 제2공간부(132)와 연통되고 있다.
제6공간부(146)는 제1공간부(131)와 제2공간부(132)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110)에는 제1부재(100)의 길이 방향으로 톱날이 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고정부(110)는 경사면(117)의 단부에서 편평한 제3편평부(113)를 포함하고 있으며, 제3편평부(113)에는 일정거리 이격된 채로 대향되는 톱날이 한 쌍 포함된다.
경사면(117)에는 톱날과 이어지는 라운드진 절개부가 포함되면서 제5공간부(115)가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제5공간부(115)는 이하에서 설명될 지지부(600)에 지지되는 부분으로서 지지부(60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면 족한 것이어서 라운드 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형상은 그에 한정되지 않음을 일러둔다.
한편, 고정부(110)에 형성되어 있는 톱날 한 쌍의 이격 거리는 지지부(600)의 직경보다 같거나 조금 더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걸림부는 한 쌍의 톱날 중 어느 하나의 반대측에 형성된 제1걸림부(111)와, 제1걸림부(111)의 반대측 단부에 오목한 홈으로 형성된 제2걸림부(118)를 포함한다.
고정부(110)에는 편평부에서 일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구멍(119)이 형성되고, 구멍(119)에는 나사가 결합될 수 있다.
고정부(110)에는 탈부착이 가능한 홀더(400,1400)가 결합된다.
제1결합부(170)는 제2보강부의 하측에서 제2보강부(122)의 중앙부로부터 길이 방향을 따라 아래로 가늘고 좁게 절개된 슬릿(135)이 형성된다.
제1결합부(170)의 하단에는 제1단부(160)가 마련되며, 제4공간부(134)는 제2보강부(122)와 제1단부(160) 사이 공간으로 형성된다.
제4공간부(134)의 폭은 슬릿(135)의 폭 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슬릿(135)의 폭은 제1단부(160)의 두께 보다 조금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슬릿(135)의 상단과 제1단부(160) 까지의 최장 거리는 제1부재(100)의 폭 보다 조금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2부재(200)의 사시도이다.
제2부재(200)는 상단에 형성되는 제2후크부(241)와 하단에 형성되는 제2결합부(270), 그리고 제2후크부(241)와 제2결합부(270)를 연결하는 제2라운드면(223) 및 제4보강부(221)로 대별된다.
제2후크부(241)는 제2라운드면(223)의 상단에서 수직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4연장부(215)를 갖는다.
제1고리부(211)는 제4연장부(215)에서 좌측 방향으로 뻗어 고리 형상을 하면서 끝이 뾰족하게 형성된 제1팁부(213)를 포함한다.
제2고리부(212)는 제4연장부(215)에서 좌측 방향으로 뻗어 고리 형상을 하면서 끝이 뾰족하게 형성된 제2팁부(214)를 포함한다.
제1팁부(213)와 제2팁부(214)는 각각 제4연장부(215) 방향으로 향하도록 라운드져 있다.
제4보강부(221)는 제2라운드면(223)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2라운드면(223)의 중앙부에서 방사방향으로 조금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제2단부(250)는 제4보강부(221)의 하단부에서 제2라운드면(223)에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제3단부(260)는 제2단부(250)와 일정거리 이격된 채로 연결부(255)에 의해 제2단부(250)에 연결된다.
연결부(255)는 제2단부(250)와 제3단부(260)의 중심을 서로 연결하되, 연결부(255)의 폭은 제2단부(250) 또는 제3단부(260)의 폭 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연결부(255)의 두께는 슬릿(135)의 두께 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 또한 바람직하다.
도 4와 같이 체결부재(300)는 원형 고리 형상을 한 제1파지부(310) 및 제2파지부(320)를 포함한다.
제1파지부(310)와 제2파지부(320)는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된다.
제1로드(313)는 제1파지부(310)에서 제2파지부(320)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로드(315)에 연결된다.
제2로드(315)는 제1로드(313)와 수직하게 연장되어 있으며 제3로드(317)에 연결된다.
제3로드(317)는 제2로드(315)와 수직하게 형성되고 있으며 단턱에서 제4로드(319)에 연결된다.
제5로드(323)는 제2파지부(320)에서 제1파지부(310)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6로드(325)에 연결된다.
제6로드(325)는 제5로드(323)와 수직하게 연장되어 있으며 제7로드(327)에 연결된다.
제7로드(327)는 제6로드(325)와 수직하게 형성되고 있으며 단턱에서 제8로드(329)에 연결된다.
제4로드(319)와 제8로드(329) 사이에는 제9로드(330)로 연결된다.
체결부재(300)는 제1파지부(310)와 제2파지부(320)를 파지할 때, 제9로드(330)를 중심으로 제1파지부(310)와 제2파지부(320)가 서로 인접되는 방향으로 움직이며 파지를 해제할 때 탄성적으로 움직여 원위치가 가능하다.
도 5와 같이 체결부재(300)의 제9로드(330)는 제1부재(100)에 형성된 록킹부에 걸려서 고정될 수 있다.
체결부재(300)의 제4로드(319) 및 제8로드(329)는 제1부재(100)에 형성된 함몰부에 의해 형성되는 제2공간부(132)를 통과한다.
제4로드(319)와 제3로드(317) 사이의 단턱과 제8로드(329)와 제7로드(327)의 단턱은 함몰부의 일단에서 걸릴 수 있다.
제2부재(200)에 형성된 제2고리부(212)는 제2로드(315)에 걸릴 수 있으며, 제1고리부(211)는 제6로드(325)에 걸려 고정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지지부(60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있으며, 나사산의 일측에는 제1부재(100)의 고정부(110)에 형성된 톱날이 결합되고, 나사산의 타측에는 홀더(400,1400)에 형성된 제1톱니부(410,1410) 및 제2톱니부(420,1420)가 고정된다.
조임수단(800)은 앞서 언급된 구멍(119)에 결합 가능하기 때문에, 홀더(400,1400)는 리벳이나 볼트 등 조임수단(800)을 통해 제1부재(10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홀더(400,1400)는 원터치 행거(500)가 지지부(600)에서 높낮이 조절이 용이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홀더(400,1400)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2 . 실시예의 설명
< 제1실시예 >
홀더(400)는 일측이 고정부(110)의 일단에 걸리는 만곡부(447)를 포함하고, 타측이 고정부(110)의 타단에서 착탈 가능하게 형성된 손잡이부를 포함하되, 만곡부(447)와 손잡이부 사이에는 제1부재(10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톱니를 포함한다.
톱니는 서로 이격된 채 대향하는 제1톱니부(410) 및 제2톱니부(420)를 포함하되, 제1톱니부(410)가 형성된 제1홀딩부(411)와 제2톱니부(420)가 형성된 제2홀딩부(421)는 지지편으로 서로 연결된다.
지지편은 반원형 고리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6과 같이 홀더(400)는 일측이 고정부(110)의 일단에 걸리는 만곡부(447)를 포함하고, 타측이 고정부(110)의 타단에서 착탈 가능하게 형성된 손잡이부를 포함하되, 만곡부(447)와 손잡이부 사이에는 제1부재(10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톱니를 포함한다.
톱니는 서로 이격된 채 대향하는 제1톱니부(410) 및 제2톱니부(420)를 포함하되,제1톱니부(410)가 형성된 제1홀딩부(411)와 제2톱니부(420)가 형성된 제2홀딩부(421)는 지지편으로 서로 연결된다.
지지편은 반원형 고리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홀딩부(411)와 제2홀딩부(421)는 일정간격 이격된 채로 대향하여 형성된다.
제1홀딩부(411)의 일측에는 벽체 등에 기 설치된 지지부(600)의 나사산에 결합 가능한 제1톱니부(410)가 형성되고 타측에도 벽체 등에 기 설치된 지지부(600)의 나사산에 결합 가능하도록 제2톱니부(420)가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제1톱니부(410)와 제2톱니부(420)는 서로 대향하며, 제1톱니부(410)와 제2톱니부(420) 사이에 지지부(600)가 결합되는 것이다.
제1지지편(431)의 일측은 제1홀딩부(411)의 일측에 연결되고, 제1지지편(431)의 타측은 제2홀딩부(421)의 일측에 연결된다.
제2지지편(432)의 일측은 제1홀딩부(411)의 타측에 연결되고, 제2지지편(432)의 타측은 제2홀딩부(421)의 타측에 연결된다.
제1지지편(431)과 제2지지편(432)은 위로 볼록한 반원형 고리 형상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만곡부(447)는 제1홀딩부(411)에서 우측으로 연장된 제1연장부(451)에서 하방향으로 라운드져 형성되고, 만곡부(447)의 단부는 제1연장부(451)를 향하도록 라운드져 있다.
제1손잡이부(452)는 제2홀딩부(421)로부터 좌측으로 연장된 제2연장부(451)의 단부에서 하방향으로 꺽여 형성된다.
제1손잡이부(452)는 제1부재(100)에 형성된 고정부(110)에서 제2걸림부(118)에 결합가능하며, 만곡부(447)는 고정부(110)에 형성된 제1걸림부(111)에 고정 가능하다.
조임수단(800)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홀더(400)가 고정부(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구멍(119)에 체결됨으로써 홀더(400)를 제1부재(100)에 견고하게 고정한다.
< 제2실시예 >
다음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인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7과 같이 홀더(1400)는 일측이 고정부(110)의 일단에 걸리는 만곡부(1447)를 포함하고, 타측이 고정부(110)의 타단에서 착탈 가능하게 형성된 손잡이부를 포함하되, 만곡부(1447)와 손잡이부 사이에는 제1부재(10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톱니를 포함한다.
톱니는 서로 이격된 채 대향하는 제1톱니부(1410) 및 제2톱니부(1420)를 포함하되,제1톱니부(1410)가 형성된 제1홀딩부(1411)와 제2톱니부(1420)가 형성된 제2홀딩부(1421)는 지지편으로 서로 연결된다.
지지편(1431,1432)은 반원형 고리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홀딩부(1411)와 제2홀딩부(1421)는 일정간격 이격된 채로 대향하여 형성된다.
제1홀딩부(1411)의 일측에는 벽체 등에 기 설치된 지지부(600)의 나사산에 결합 가능한 제1톱니부(1410)가 형성되고 타측에도 벽체 등에 기 설치된 지지부(600)의 나사산에 결합 가능하도록 제2톱니가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제1톱니부(1410)와 제2톱니부(1420)는 서로 대향하며, 제1톱니부(1410)와 제2톱니브(1420) 사이에 지지부(600)가 결합되는 것이다.
제1지지편(1431)의 일측은 제1홀딩부(1411)의 일측에 연결되고, 제1지지편(1431)의 타측은 제2홀딩부(1421)의 일측에 연결된다.
제2지지편(1432)의 일측은 제1홀딩부(1411)의 타측에 연결되고, 제2지지편(1432)의 타측은 제2홀딩부(1421)의 타측에 연결된다.
제1지지편(1431)과 제2지지편(1432)은 위로 볼록한 반원형 고리 형상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제1연장편(1451)은 제2홀딩부(1421)에서 우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제2연장편(1452)은 제1연장편(1451)의 우측단부에서 우하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며 연장된다.
제3연장편(1453)은 제2연장편(1452)의 우측단부에서 좌하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면서 연장되고, 제4연장편(1454)은 제3연장편(1453)의 하측단부에서 좌측으로 연장된다.
제5연장편(1455)은 제4연장편(1454)으로부터 좌측 상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면서 연장되고, 제6연장편(1456)은 제5연장편(1455)으로부터 수직 하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손잡이부(1457)는 제6연장편(1456)의 하단부에서 우측방향으로 연장된다.
제7연장편(1441)은 제1홀딩부(1411)로부터 좌측으로 연장되며, 제8연장편(1443)은 제7연장편(1441)의 좌측단부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된다.
만곡부(1447)는 제8연장편(1443)의 하단으로부터 좌측으로 갈수록 라운드져 단부가 제8연장편(1443)을 향하도록 휘어져 형성된다.
만곡부(1447)는 제1부재(100)의 제1걸림부(111)에 걸릴 수 있으며, 손잡이부가 연결된 제1연장편(1451) 내지 제6연장편(1456) 부분은 제2걸림부(118)에 결합될 수 있다.
3. 작동원리의 설명
제1부재(100)는 제1후크부(141)에 형성된 제1공간부(131)를 통해 벽체나 천정 등에 기설치된 지지부(600)에 걸린다.
제1부재(100)에 형성된 고정부(110)에는 톱날이 형성되고 있기 때문에 지지부(600)에 형성된 나사산에 치합된다.
제2부재(200)는 일측에 형성된 제2결합부(270)가 제1부재(100)의 제1결합부(170)에 결합되고 타측에 형성된 제2후크부(241)가 제1부재(100)의 제1후크부(141)와 결합되면서 파이프 수용공간(700)을 형성시킨다.
파이프 등 배관은 제1부재(100)와 제2부재(200)가 형성시킨 수용공간(700)에 수용된다.
체결부재(300)는 제1부재(100)의 제1후크부(141)의 제3공간부(133)와 제2공간부(132)를 차례로 진입하면서 제6공간부(146)에서 제9로드(330)가 고정된다.
체결부재(300)는 제2부재(200)에 형성된 제2후크부(241)의 제1고리부(211) 및 제2고리부(212)에 체결됨으로써 제2부재(200)와 제1부재(100)를 결합시킨다.
홀더(400,1400)는 고정부(110)의 제1걸림부(111) 및 제2걸림부(118)에 걸릴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홀더(400,1400)에 형성된 제1톱니부(410,1410)와 제2톱니부(420,1420)가 각각 지지부(600)의 나사산과 치합되면서 원터치 행거(500)를 지지부(600)에 고정시킨다.
이 때, 홀더(400)는 조임수단(800)을 통해 제1부재(100)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지지부(600)에 고정된 원터치 행거(500)의 높낮이 조절이 필요한 경우에는, 위와 반대 과정으로서 홀더(400,1400)를 고정부(110)로부터 분리시킨 뒤 높이조절을 한 다음 다시 홀더(400,1400)를 고정부(110)에 체결함으로써 원터치 행거(500)의 높이 조절이 간단하게 해결된다.
또한, 제2부재(200)와 제1부재(100)를 분리하고자 할 때에는 체결부재(300)의 제1파지부(310)와 제2파지부(320)가 서로 인접되는 방향으로 제1파지부(310)와 제2파지부(320)를 가압함으로써 제2후크부(241)와 제1후크부(141)의 분리를 이루어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원터치 행거(500)는 천정이나 벽체 등에 기설치된 지지부(600)의 측면에 설치되는 것 또한 바람직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제1부재 110 : 고정부
111 : 제1걸림부 113 : 제3편평부
115 : 제5공간부 117 : 경사면
118 : 제2걸림부 119 : 구멍
121 : 제1보강부 122 : 제2보강부
123 : 제1라운드면 131 : 제1공간부
132 : 제2공간부 133 : 제3공간부
134 : 제4공간부 135 : 슬릿
141 : 제1후크부 143 : 제3보강부
145 : 제2편평부 146 : 제6공간부
147 : 제2라운드부 149 : 제1편평부
151 : 제1라운드부 160 : 제1단부
170 : 제1결합부 200 : 제2부재
211 : 제1고리부 212 : 제2고리부
213 : 제1팁부 214 : 제2팁부
215 : 제4연장부 221 : 제4보강부
223 : 제2라운드면 241 : 제2후크부
250 : 제2단부 255 : 연결부
260 : 제3단부 270 : 제2결합부
300 : 체결부재 310 : 제1파지부
313 : 제1로드 315 : 제2로드
317 : 제3로드 319 : 제4로드
320 : 제2파지부 323 : 제5로드
325 : 제6로드 327 : 제7로드
329 : 제8로드 330 : 제9로드
400, 1400 : 홀더 410, 1410 : 제1톱니부
411, 1411 : 제1홀딩부 420, 1420 : 제2톱니부
421, 1421 : 제2홀딩부 431, 1431 : 제1지지편
432, 1432 : 제2지지편 447, 1447 : 만곡부
443 : 제1연장부 451 : 제2연장부
452 : 제1손잡이부 500 : 원터치행거
600 : 지지부 700 : 수용공간
800 : 조임수단 1441 : 제7연장편
1443 : 제8연장편 1451 : 제1연장편
1452 : 제2연장편 1453 : 제3연장편
1454 : 제4연장편 1455 : 제5연장편
1456 : 제6연장편 1457 : 제2손잡이부

Claims (9)

  1. 일측에 후크부(14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결합부(170)가 형성된 제1부재(100)와;
    일측이 상기 결합부(170)에서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후크부(14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면서 파이프 수용공간(700)을 형성하는 제2부재(200);를 포함하고,
    상기 제1부재(100)는,
    상기 후크부(141)와 상기 결합부(170) 사이에 형성된 고정부(11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110)에는 착탈 가능한 홀더(400,1400)가 결합되되,
    상기 홀더(400,1400)는,
    일측이 상기 고정부(110)의 일단에 걸리는 만곡부(447,1447)를 포함하고,
    타측이 상기 고정부(110)의 타단에서 착탈 가능하게 형성된 손잡이부(452,1457)를 포함하되,
    상기 만곡부(447,1447)는 상기 고정부(110)의 제1걸림부(111)에 걸리고, 상기 손잡이부(452,1457)는 상기 고정부(110)의 제2걸림부(118)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행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10)에는 상기 제1부재(100)의 길이 방향으로 톱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행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톱니는,
    서로 이격된 채 대향하는 제1톱니부(410,1410) 및 제2톱니부(420,1420)를 포함하되,
    상기 제1톱니부(410,1410)가 형성된 제1홀딩부(411,1411)와 상기 제2톱니부(420,1420)가 형성된 제2홀딩부(421,1421)는 지지편(431,432,1431,1432)으로 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행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431,432,1431,1432)은 반원형 고리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행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10)는,
    상기 파이프 수용공간(700) 중심으로부터 방사상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행거.
  9. 제1항에 있어서,
    제2부재(200)의 단부에는 제1고리부(211) 및 제2고리부(212)가 형성되고,
    체결부재(300)의 제9로드(330)는 상기 제1부재(100)에 형성된 록킹부에 걸려 고정되고,
    상기 제2고리부(212)는 상기 체결부재(300)에 형성된 제2로드(315)에 걸려 고정됨으로써 상기 제1부재(100)와 상기 제2부재(200)가 서로 원터치로 고정 또는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행거.

KR20140042848A 2014-04-10 2014-04-10 원터치 행거 KR101487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42848A KR101487132B1 (ko) 2014-04-10 2014-04-10 원터치 행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42848A KR101487132B1 (ko) 2014-04-10 2014-04-10 원터치 행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7132B1 true KR101487132B1 (ko) 2015-01-28

Family

ID=52592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42848A KR101487132B1 (ko) 2014-04-10 2014-04-10 원터치 행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713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2058A (ko) * 2015-04-13 2016-10-21 주식회사 에어텍 원터치 스위치 행거
NL2022521B1 (en) * 2019-02-06 2020-08-19 Ubbink Bv Mounting bracket for a tube
WO2022020727A1 (en) * 2020-07-24 2022-01-27 Erico International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a hanger for supporting a threaded object
KR102421935B1 (ko) * 2022-03-24 2022-07-20 부흥감리이엔지 주식회사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소방 안전 관리시스템
KR102529677B1 (ko) * 2022-03-24 2023-05-10 부흥감리이엔지 주식회사 공동주택의 소방시설 자동 제어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7679U (ja) * 1992-10-21 1994-05-20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配管支持金具
KR20080085348A (ko) * 2007-03-19 2008-09-24 구성회 배관용 행거 클램프
KR20090116861A (ko) * 2008-05-08 2009-11-12 홍두표 건물의 파이프용 행거
KR20100010069U (ko) * 2009-04-06 2010-10-14 주식회사 중앙씨엠아이 파이프 행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7679U (ja) * 1992-10-21 1994-05-20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配管支持金具
KR20080085348A (ko) * 2007-03-19 2008-09-24 구성회 배관용 행거 클램프
KR20090116861A (ko) * 2008-05-08 2009-11-12 홍두표 건물의 파이프용 행거
KR20100010069U (ko) * 2009-04-06 2010-10-14 주식회사 중앙씨엠아이 파이프 행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2058A (ko) * 2015-04-13 2016-10-21 주식회사 에어텍 원터치 스위치 행거
KR101672162B1 (ko) 2015-04-13 2016-11-02 주식회사 에어텍 원터치 스위치 행거
NL2022521B1 (en) * 2019-02-06 2020-08-19 Ubbink Bv Mounting bracket for a tube
WO2022020727A1 (en) * 2020-07-24 2022-01-27 Erico International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a hanger for supporting a threaded object
KR102421935B1 (ko) * 2022-03-24 2022-07-20 부흥감리이엔지 주식회사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소방 안전 관리시스템
KR102529677B1 (ko) * 2022-03-24 2023-05-10 부흥감리이엔지 주식회사 공동주택의 소방시설 자동 제어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7132B1 (ko) 원터치 행거
US20130075540A1 (en) Multiple position pipe hanger clamp
US450127A (en) Device for securing fixtures to walls or ceilings
JP2013503725A (ja) 絵画用ハンガ
US20020071718A1 (en) Retainer clip
US8464987B1 (en) Adjustable conduit clamp
KR101095818B1 (ko) 배관용 파이프 행거
JP2009270719A (ja) 螺子棒用取付クリップ
US2925977A (en) Pipe hangers and the like
KR101645922B1 (ko) 배관 설치용 행거
KR101766601B1 (ko) 파이프용 지지장치
KR101026419B1 (ko) 튜브 클램프
KR101559987B1 (ko) 다양한 구조의 건축 자재 연결이 가능한 클램프
US20100314519A1 (en) Universal Support
KR101916114B1 (ko) 배관용 파이프 행거
JP5686451B1 (ja) 仮設足場用連結器具
US11913665B2 (en) Pipe connection structure of air-conditioning system
US20070234853A1 (en) Tool for holding a bolt
JP5342723B2 (ja) 配線・配管材支持具連結体
KR20090078498A (ko) 원터치 작동식 튜브 클램프
KR101416271B1 (ko) 호스 고정용 클램프
CN213361316U (zh) 一种可调节的装修管线定位固定装置
KR20180048283A (ko) 파이프용 지지장치
JP5415188B2 (ja) 配線・配管材固定具
JP3235525U (ja) 仮設配電ボックスの取付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