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0069U - 파이프 행거 - Google Patents

파이프 행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0069U
KR20100010069U KR2020090003953U KR20090003953U KR20100010069U KR 20100010069 U KR20100010069 U KR 20100010069U KR 2020090003953 U KR2020090003953 U KR 2020090003953U KR 20090003953 U KR20090003953 U KR 20090003953U KR 20100010069 U KR20100010069 U KR 2010001006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pipe
hook
cover
hook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39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5260Y1 (ko
Inventor
박흥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중앙씨엠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중앙씨엠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중앙씨엠아이
Priority to KR20200900039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5260Y1/ko
Publication of KR201000100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006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52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526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tubing, both being made of thin band material completely surrounding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14Hangers in the form of bands or ch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물의 천장에 설치되는 각종 배관 파이프를 지지하고 고정시키는 파이프 행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호 결합되어 파이프의 외연을 감싸 지지하는 제1몸체와 제2몸체의 결합과 해체가 간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이들의 결합과 해체를 위해 별도의 볼트, 드라이버 등의 별도의 공구가 필요치 않은 파이프 행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파이프 행거는 제1몸체; 하단이 상기 제1몸체 하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몸체와 함께 파이프의 외연을 감싸 지지하는 제2몸체; 앙카볼트가 체결되는 체결부를 갖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에 연결되고 후크돌기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수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몸체 상단에 구비되는 체결부재; 상기 후크돌기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몸체 상단에 구비되는 체결판; 상기 체결판에 구비되고, 상기 삽입홀에 삽입된 상기 후크돌기가 후크식으로 결합고정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파이프, 행거, 텐션부배, 후크돌기

Description

파이프 행거{HANGER FOR PIPE}
본 고안은 건물의 천장에 설치되는 각종 배관 파이프를 지지하고 고정시키는 파이프 행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호 결합되어 파이프의 외연을 감싸 지지하는 제1몸체와 제2몸체의 결합과 해체가 간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이들의 결합과 해체를 위해 별도의 볼트, 드라이버 등의 별도의 공구가 필요치 않은 파이프 행거에 관한 것이다.
산업시설, 건축물 등에는 가스 배관, 상수도 및 하수도 배관, 냉난방용 배관, 각종 전기 및 통신 시설 관련 배관 등과 같은 다양한 배관 파이프가 설비된다. 이러한 배관 파이프는 건축물의 천정을 따라서 어느 한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연장된다. 그리고 이 연장되는 배관 파이프는 다수의 행거에 의해 천정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지지 고정된다.
이렇게 배관 파이프를 지지 고정하는 행거는 다양한 종류의 것이 공지되었고, 도1은 종래의 일반적인 파이프 행거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파이프 행거는
앙카볼트(100)가 결합되는 너트(102)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지지부(101)와, 결속부(105)를 통해 상호 연결되는 클램프1(106)과 클램프2(107)로 이루어지고,
클램프1.2(106.107)와 지지부(101)에 관통 되어 있는 체결공(108)에는 체결볼트(103)가 회전되어 삽입되고 체결너트(104)로 체결하는 구조로 되어있다.
이러한 종래의 일반적인 파이프 행거는 파이프 외연을 감싸 지지하는 두 클램프의 결합과 해체를 위해 체결볼트, 체결너트, 드라이버 등의 공구가 별도로 필요하고,
체결볼트(103)를 회전시켜 체결공(108)에 삽입 전진되는 구조로서, 체결볼트를 회전시켜 끝까지 전신시키는 작업시간이 장기간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고,
체결볼트(103)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체결너트(103)가 필요하고, 이를 체결볼트에 체결하는 작업이 별도로 필요하고, 체결너트는 부피가 작아 분실하기 쉬워, 자재비를 증가시키고 작업시간이 장기간 소요되는 문제를 갖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파이프의 외연을 감싸 지지하는 두 몸체의 결합과 해체가 간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두 몸체의 결합과 해체를 위해 볼트, 너트, 드라이버 등의 별도의 공구를 준비할 필요가 없어 작업시간 단축과 인건비 절감과 자재비 절감 등이 탁월한 파이프 행거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파이프 행거는
제1몸체;
하단이 상기 제1몸체 하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몸체와 함께 파이프의 외연을 감싸 지지하는 제2몸체;
앙카볼트가 체결되는 체결부를 갖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에 연결되고 후크돌기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수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몸체 상단에 구비되는 체결부재;
상기 후크돌기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몸체 상단에 구비되는 체결판;
상기 체결판에 구비되고, 상기 삽입홀에 삽입된 상기 후크돌기가 후크식으로 결합고정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체결판 일면에 결합되고, 상기 후크돌기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커버와,
상기 커버에 내장되고 상기 후크돌기가 후크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커버 외부로 노출되고 누르는 외력에 의해 상기 결합부의 후크결합을 해제시키는 누름부를 포함하는 텐션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후크돌기는 두 개가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각각의 단부 내면에는 상기 텐션부재의 결합부가 접촉되는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경사부 내측에는 상기 결합부가 걸리는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텐션부재의 결합부는 일체를 이루는 마주보는 두 탄성봉이 상부에서 하부로 가면서 이격거리가 멀어지는 구조로 되어 탄성을 갖고, 상기 누름부는 상기 두 탄성봉의 하단에 각각 연결되고 단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커버의 테두리에는 체결판과 커버 사이에 상기 텐션부재가 수용되는 공간이 확보되도록 하는 단턱부가 절곡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턱부에는 절곡되어 상기 체결판의 타면에 접촉 고정되는 다수의 고정부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판의 테두리에는 절곡되는 상기 고정부가 안착되는 다수의 안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버의 내면과 테두리 단턱부에는 수용되는 체결부재의 위치를 잡아주는 가이드돌기와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제2몸체의 하단을 제1몸체의 하단에 결합시킨 후에 제2몸체의 상단에 구비되어 있는 체결판을 제1몸체의 상단에 구비되어 있는 체결부재의 수직부로 밀기만 하면 후크돌기가 체결수단에 후크식으로 결합되어 제1몸체와 제2몸체가 원형으로 결합되어 파이프 외연을 지지하고, 제1몸체와 제2몸체의 해체는 체결수단의 텐션부재 누름부를 누른 상태에서 제2몸체의 체결판을 바깥으로 젖히기만 하면 되는 파이프 행거로서, 제1몸체와 제2몸체의 결합 및 해체가 간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자재비와 인건비가 절약되는 등 경제성이 탁월하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행거에 의해 지지되는 파이프의 사시도이고, 도3은 본 고안에 따fms 파이프 행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행거는 제1몸체(10), 제2몸체(20), 체결부재(30), 체결판(40), 체결수단(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몸체(10)와 제2몸체(20)는 반원의 형상을 하고 있으며, 상단과 하단 이 상호 조립결합되어 전체적으로 원형의 형상을 이루고 파이프(P)의 외연을 감싸 지지한다.
상기 제1몸체(10)와 제2몸체(20)의 하단에는 이들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연결편(11)과 상기 연결편(11)이 관통 삽입되는 관통홀(2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홀(21) 주변에는 상기 연결편(11)이 수용되어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수용홈(2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몸체(10)와 제2몸체(20)의 상단에는 각각 체결부재(30)와 체결판(40)이 구비되고, 이들이 후크식으로 결합되도록 체결부재(30)에는 후크돌기(37)가 구비되고 체결판(40)에는 삽입홀(41)과 체결수단(50)이 구비된다.
상기 제1몸체(10) 상단에 구비되는 체결부재(30)는 앙카볼트(B)가 체결되는 체결부(32)를 갖는 수평부(31)와, 상기 수평부(31)에 수직으로 연결되고 후크돌기(37)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수직부(3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을 하고 있으며 제1몸체(10)와 일체를 이룬다.
상기 수평부(31)의 체결부(32)는 수평부(31)에 천공되고 내면에 앙카볼트(B)의 나사산과 맞물리는 나사탭이 형성되어 있는 나사공일 수 있고, 도면과 같이 앙카볼트(B)가 스크류결합되는 별도의 너트일 수 있다.
상기 수직부(36)는 상기 수평부(31)에서 하방을 향해 수직으로 절곡되고, 외측을 향해 두 개의 후크돌기(37)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후크돌기(37)는 두 개가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각 단부 내면에는 텐션부재(57)의 탄성봉(58)에 접촉되어 전진하는 두 탄성봉(58)의 이격거리를 좁히도록 경사진 경사부(38)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경사부(38) 안쪽에는 이격거리가 좁혀졌던 두 탄성봉(58)이 탄성에 의해 이격거리가 다시 멀어져 걸리는 걸림부(3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몸체(20) 상단에 구비되는 체결판(40)은 상기 체결부재(30)의 수직부(36)에 접하고, 상기 후크돌기(37)가 삽입되는 삽입홀(41)이 형성되어 있고, 테두리에는 상기 체결수단(50)의 커버(51) 테두리에 구비되어 있는 고정부(54)가 절곡되어 안착되는 안착부(43)가 다수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착부(43)는 고정부(54)가 절곡되는 위치를 가이드하고, 절곡된 고정부(54)가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체결수단(50)은 삽입홀(41)에 전진 삽입된 후크돌기(37)를 후크식으로 결합고정시키고, 커버(51)와 텐션부재(5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커버(51)는 상기 체결판(40) 일면에 결합되고, 상기 텐션부재(57)를 내 장한다.
상기 커버(51)에는 상기 삽입홀(41)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후크돌기(37)가 삽입되는 삽입공(52)이 형성되어 있고,
커버(51)의 테두리에는 체결판(40)과 커버(51) 사이에 텐션부재(57)가 자유롭게 수용되도록 단턱부(53)가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턱부(53)에는 커버(51)를 체결판(40)에 고정시키는 고정부(54)가 다수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54)는 절곡되어 체결판(40)의 타면에 접촉지지되어 커버(51)를 체결판(40)에 고정시키고, 절곡부위는 체결판(40)의 안착부(43)에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51)의 내면에는 내장되는 텐션부재(57)의 위치를 잡아주고, 내장된 후에는 텐션부재(57)가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는 거리를 제한하여 후크돌기(37)가 두 탄성봉(58) 사이로 삽입되도록 하는 가이드돌기(55)가 돌출형성되어 있고, 커버(51)의 테두리 즉, 단턱부(53)에는 텐션부재(57)의 내장 위치를 잡아주고 외력에 의해 내측으로 이동하는 누름부(59)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5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텐션부재(57)는 상기 후크돌기(37)가 후크식으로 결합고정되고, 집게 형상의 결합부(58)와, 'ㄷ'자 형상의 누름부(5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텐션부재는 스테인레스재질로 제작하여 탄성을 강화하고, 부식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 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부(58)는 일체를 이루는 두 탄성봉(58)이 상부에서 절곡되어 서로 마주보되 상부에서 하부를 가면서 마주보는 이격거리가 점차 길어지는 집게 형상으로 이루어져 탄성을 갖는다.
그리하여 두 탄성봉(58)이 전진하는 후크돌기(37)에 접촉되어 이격거리가 좁아져 응축되고, 후크돌기(37)가 완전히 전진한 후에는 탄성에 의해 다시 이격거리가 멀어지도록 복귀되어 후크돌기(37)의 걸림부(39)에 걸리게 된다.
상기 누름부(59)는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단이 상기 탄성봉(58)의 하단에 연결된다. 그리고 일측의 일부는 커버(51)에 노출되어 작업자가 누르는 외력을 받는다.
그리하여 작업자가 커버(51)에 노출된 누름부(59)를 누르면 누름부(59)는 가이드홈(56)을 따라 내측으로 전진하여 탄성봉(58)의 하단을 밀어 두 탄성봉(58)의 이격거리를 좁히게 되고, 후크돌기(37)는 두 탄성봉(58)에 걸림이 없이 체결수단(50)에서 분리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파이프 행거를 이용하여 파이프(P)를 지지하는 공정을 간략히 설명하면,
우선, 천정에 매설된 앙카볼트(B)에 제1몸체(10)의 상단에 구비된 체결부 재(30)의 체결부(32)를 체결시키고,
다음으로 파이프(P)를 반원형의 제1몸체(10)에 안치시킨 후에 제1몸체(10)의 높??이를 조절하여 파이프(P)를 예비 지지한다.
그리고 제2몸체(20)의 하단을 제1몸체(10)의 하단에 결합시킨 후에, 제2몸체(20)를 위로 젖혀 체결판(40)의 삽입홀(41)에 체결부재(30)의 후크돌기(37)를 삽입시킨다.
그러면 후크돌기(37)가 체결판(40)의 삽입홀(41)과 체결수단(50)의 삽입공(52)에 삽입되면서 텐션부재(57)의 두 탄성봉(58)을 내측으로 밀면서 전진하고, 완전히 전진한 후에는 두 탄성봉(58)이 탄성에 의해 벌어저 후크돌기(37) 내측의 걸림부(39)에 걸림으로서 제1몸체(10)와 제2몸체(20)의 상단이 조립결합되어 파이프(P)의 외연을 감싸 지지하게 된다.
해체 시에는 작업자가 커버(51)에 돌출되어 있는 누름부(59)를 누른 상태에서 제2몸체(20)의 상단을 아래로 젖히면 후크돌기(37)에서 삽입홀(41)과 삽입공(52)이 자연스럽게 빠지면서 제1몸체(10)와 제2몸체(20)의 상단이 분리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파이프 행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 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 은 종래의 파이프 행거 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행거로 지지된 파이프의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행거의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1몸체 20 : 제2몸체
30 : 체결부재 37 : 후크돌기
40 : 체결판 41 : 삽입홀
50 : 체결수단 51 : 커버
52 : 삽입공 53 : 단턱부
54 : 고정부 55 : 가이드돌기
56 : 가이드홈 57 : 텐션부재
58 : 결합부 59 : 누름부

Claims (4)

  1. 제1몸체;
    하단이 상기 제1몸체 하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몸체와 함께 파이프의 외연을 감싸 지지하는 제2몸체;
    앙카볼트가 체결되는 체결부를 갖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에 연결되고 후크돌기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수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몸체 상단에 구비되는 체결부재;
    상기 후크돌기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몸체 상단에 구비되는 체결판;
    상기 체결판에 구비되고, 상기 삽입홀에 삽입된 상기 후크돌기가 후크식으로 결합고정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파이프 행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체결판 일면에 결합되고, 상기 후크돌기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커버와,
    상기 커버에 내장되고 상기 후크돌기가 후크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커버 외부로 노출되고 누르는 외력에 의해 상기 결합부의 후크결합을 해제시키는 누름부를 포함하는 텐션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행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돌기는 두 개가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각각의 단부 내면에는 상기 텐션부재의 결합부가 접촉되는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경사부 내측에는 상기 결합부가 걸리는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텐션부재의 결합부는 일체를 이루는 마주보는 두 탄성봉이 상부에서 하부로 가면서 이격거리가 멀어지는 구조로 되어 탄성을 갖고, 상기 누름부는 상기 두 탄성봉의 하단에 각각 연결되고 단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행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테두리에는 체결판과 커버 사이에 상기 텐션부재가 수용되는 공간이 확보되도록 하는 단턱부가 절곡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턱부에는 절곡되어 상기 체결판의 타면에 접촉 고정되는 다수의 고정부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판의 테두리에는 절곡되는 상기 고정부가 안착되는 다수의 안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버의 내면과 테두리 단턱부에는 수용되는 체결부재의 위치를 잡아주는 가이드돌기와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행거.
KR2020090003953U 2009-04-06 2009-04-06 파이프 행거 KR2004552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3953U KR200455260Y1 (ko) 2009-04-06 2009-04-06 파이프 행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3953U KR200455260Y1 (ko) 2009-04-06 2009-04-06 파이프 행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069U true KR20100010069U (ko) 2010-10-14
KR200455260Y1 KR200455260Y1 (ko) 2011-08-29

Family

ID=44200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3953U KR200455260Y1 (ko) 2009-04-06 2009-04-06 파이프 행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5260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3835B1 (ko) * 2013-05-08 2014-04-10 주식회사 스마트에어 스마트 행거
KR101487132B1 (ko) * 2014-04-10 2015-01-28 최규섭 원터치 행거
KR101538269B1 (ko) * 2014-05-02 2015-07-23 하경도 간편착탈식 덕트지지행거
KR20180053050A (ko) * 2016-11-11 2018-05-21 강한표 배관용 파이프 행거
CN114811243A (zh) * 2021-01-19 2022-07-29 威乐水泵有限公司 管紧固组件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189B1 (ko) 2006-06-27 2007-08-09 김태식 배관용 보조파이프 행거
KR100889578B1 (ko) 2007-03-12 2009-03-23 주식회사 비앤아이 배관설치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3835B1 (ko) * 2013-05-08 2014-04-10 주식회사 스마트에어 스마트 행거
KR101487132B1 (ko) * 2014-04-10 2015-01-28 최규섭 원터치 행거
KR101538269B1 (ko) * 2014-05-02 2015-07-23 하경도 간편착탈식 덕트지지행거
KR20180053050A (ko) * 2016-11-11 2018-05-21 강한표 배관용 파이프 행거
CN114811243A (zh) * 2021-01-19 2022-07-29 威乐水泵有限公司 管紧固组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5260Y1 (ko) 2011-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5260Y1 (ko) 파이프 행거
KR101825017B1 (ko) 건축용 에이치 빔 파이프 행거 고정용 클램프
KR200448917Y1 (ko) 배관용 원터치 행거
KR101774758B1 (ko) 공동주택용 파이프 고정장치
KR102393613B1 (ko) 파이프 행거 구조체
KR101222943B1 (ko) 파이프 행거
KR200467285Y1 (ko) 내구성이 향상된 조적용 서포트장치
KR200444230Y1 (ko) 배관 파이프 지지용 행거
KR20090010869U (ko) 전선관 고정용 클램프
KR200440987Y1 (ko) 원터치형 파이프 클램프
KR20130001712A (ko) 배관 거치대
CN102421971A (zh) 将物体附接到带有未附接的天花板镶板和天花板梁的天花板上和上方的方法和设备
KR101916114B1 (ko) 배관용 파이프 행거
KR20100010367U (ko) 천정 배관용 행거
KR101634925B1 (ko) 전선관 원터치 고정 장치
KR20160045470A (ko) 파이프 행거 지지용 슬래브 인서트 앵커너트 및 그 제작방법
KR101370455B1 (ko) 기능성 클램프
KR20120106172A (ko) 배관 거치대
KR20200095776A (ko) 파이프 행거용 클램프
KR200453064Y1 (ko) 건물의 파이프용 행거
KR101120705B1 (ko) 안전 난간대 장치
KR100886970B1 (ko) 고정클램프
KR200436258Y1 (ko) 천장패널 지지용 행거
KR102488206B1 (ko) 건축용 전력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KR200452852Y1 (ko) 배관지지용 행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