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8269B1 - 간편착탈식 덕트지지행거 - Google Patents

간편착탈식 덕트지지행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8269B1
KR101538269B1 KR1020140053371A KR20140053371A KR101538269B1 KR 101538269 B1 KR101538269 B1 KR 101538269B1 KR 1020140053371 A KR1020140053371 A KR 1020140053371A KR 20140053371 A KR20140053371 A KR 20140053371A KR 101538269 B1 KR101538269 B1 KR 1015382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duct
fastening
clamp
circular c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3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경도
Original Assignee
하경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경도 filed Critical 하경도
Priority to KR1020140053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82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8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82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14Hangers in the form of bands or ch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편착탈식 덕트지지행거에 관한 것으로서, 절단된 양단이 벌어지거나 오므려지면서 덕트를 감싸 지지하는 원형클램프와, 상기 원형클램프의 일단에서 상향 절곡되는 연결편과, 수평단의 양단에서 제1/제2수직단이 하향 절곡되되, 제1수직단은 상기 연결편에 결합되는 클램프지지편과, 상기 수평단에 구비되어 앵커볼트와 체결되는 너트뭉치와, 상기 제2수직단의 하단에서 받침단이 수평으로 절곡되고, 상기 받침단에서 끼움단이 상향 절곡되는 체결편과, 상기 원형클램프의 타단에서 상향 절곡되며, 상기 체결편의 끼움단이 통과 가능하게 관통개구가 상향으로 형성된 체결지지편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간편하게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함과 함께 체결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덕트의 설치 및 분리에 따른 작업성을 향상키시고 작업시간과 인력을 대폭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 있다.

Description

간편착탈식 덕트지지행거 {Easy attachment type duct hanger}
본 발명은 간편착탈식 덕트지지행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별도의 체결공구없이 간편하게 원터치방식으로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하여 덕트의 설치 및 분리에 따른 작업성을 향상키시고 작업시간과 인력을 대폭 절감시킬 수 있는 간편착탈식 덕트지지행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축물에는 건축물의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냉방기나 난방기 등과 같은 다양한 공기조화장치와, 실내와 외부를 연통시켜 공기등 유체를 순환시키는 덕트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덕트는 공기 등 유체가 흐르는 통로 및 구조물을 지칭하는 용어로서, 이러한 덕트는 건축물의 내부 미관이나 안전성 등을 고려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주로 건축물의 천정을 따라서 설치가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를 위해 천정에 일정한 간격으로 앵커볼트를 고정시키고 상기 앵커볼트 하단에 덕트지지행거를 결합시키게 되며, 상기 덕트지지행거에 의해서 덕트가 지지되도록 설치가 이루어지게 된다.
종래의 덕트지지행거를 살펴보면, 종래의 덕트지지행거는 반원형으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하단부에는 상호 연결을 위한 연결편이 형성되고 각각의 상단부에는 상호 대면하는 연장편이 형성된 한쌍의 클램프부재와, 수평단과 상기 수평단의 양단에서 하향 절곡되면서 하단부는 상호 밀착되는 수직단으로 구성된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수평단 중앙부에 구비되는 너트뭉치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종래 덕트지지행거를 통한 덕트의 설치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건축물의 천정에 고정된 앵커볼트에 상기 너트뭉치를 체결시킴으로써 천정에 연결부재를 설치 고정한다.
그리고 지지하고자 하는 덕트를 한 쌍의 클램프부재로 감싸면서 각각의 하단에 형성된 연결편을 상호 연결시킨 후, 각각의 상단부에 형성된 연장편 사이에 상기 앵커볼트에 고정된 연결부재의 수직단이 삽입되도록 위치시키며, 이 상태에서 연장편과 수직단을 관통하도록 볼트를 체결하면 덕트의 설치과정이 완료된다.
또한, 설치된 덕트를 덕트지지행거로부터 분리시킬 때는 먼저 볼트의 체결을 해체시킨 후 한 쌍의 클램프부재를 연결부재에서 분리한 상태에서 한 쌍의 클램프부재 사이에 위치한 덕트를 인출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덕트지지행거의 경우, 덕트의 설치 및 분리작업이 불편하여 작업성이 좋지 않음과 함께 작업시간이 장시간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덕트의 설치 및 분리 과정에서, 한 쌍의 클램프부재를 볼트를 이용하여 연결부재에 결합시키거나, 볼트를 제거하여 연결부재로부터 분리시켜야만 하기 때문에 볼트의 체결이나 해체작업에 따라 작업시간이 장시간 소요될 수 밖에 없으며, 특히 길이가 긴 덕트를 다수의 덕트지지행거를 이용하여 천정에 설치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모든 덕트지지행거에 볼트를 조이거나 볼트를 해체하는 시간과 인력이 과다하게 소요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볼트체결 전에 한 쌍의 클램프부재를 연결편을 통해 연결시키는 작업이 선행되어야만 하고, 볼트를 체결 및 분리할 때도 작업자 혼자서 수행하기가 곤란함과 함께, 공간이 넓지 않은 천정의 특성상 이러한 볼트의 체결 및 분리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하기가 어려워 전체적인 작업성이 떨어질 수 밖에 없으며, 그에 따라 숙련된 기술자라 하더라도 설치시간이 장시간 수요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의 해소를 위하여 볼트체결이 아닌 탄성편을 이용한 끼움구조로 개선한 행거가 국내실용신안등록 제20-0381958호에 개시되기도 했는데, 상기 개시된 종래기술은 일측 지지부재를 가압하여 타측 지지부재로 이동시킨 후 가압을 해체하면 체결되는 구조로서, 가압하는데 많은 힘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체결된 지지부재들을 분리할 때에는 드라이버와 같은 별도의 도구를 사용해야만 하므로 작업상의 불편함이 여전히 존재하며, 또한 클램프부재 자체는 여전히 연결편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구조이므로 클램프부재의 연결작업에 따른 불편함과 시간지연은 전혀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체결공구를 전혀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간편한 원터치방식으로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함과 함께 체결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단일의 원형클램프로 구성되어 연결편의 연결공정이 제거됨으로써 전체적으로 덕트의 설치 및 분리에 따른 작업성을 향상키시고 작업시간과 인력을 대폭 절감시킬 수 있는 간편착탈식 덕트용 행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해결수단으로서,
절단된 양단이 벌어지거나 오므려지면서 덕트를 감싸 지지하는 원형클램프와, 상기 원형클램프의 일단에서 상향 절곡되는 연결편과, 수평단의 양단에서 제1/제2수직단이 하향 절곡되되, 제1수직단은 상기 연결편에 결합되는 클램프지지편과, 상기 수평단에 구비되어 앵커볼트와 체결되는 너트뭉치와, 상기 제2수직단의 하단에서 받침단이 수평으로 절곡되고, 상기 받침단에서 끼움단이 상향 절곡되는 체결편과, 상기 원형클램프의 타단에서 상향 절곡되며, 상기 체결편의 끼움단이 통과 가능하게 관통개구가 상향으로 형성된 체결지지편을 포함하는 간편착탈식 덕트지지행거가 개시된다.
여기서, 상기 제2수직단의 상단에서 경사걸림편이 하향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체결지지편의 상단에는 상기 경사걸림편에 끼워져 걸림되는 경사단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끼움단의 상부에는 폭이 증가된 확장끼움단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개구의 하부에는 상기 확장끼움단의 통과가 가능한 확장개구가 연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형클램프의 내주면에는 지지된 덕트의 진동을 흡수하는 쿠션패드가 부착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간편착탈식 덕트지지행거에 의하면,
끼움과 걸림을 통해 착탈이 이루어지므로 덕트의 설치와 분리작업이 매우 용이하여 작업성이 향상됨과 함께 작업에 따라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지하는 덕트의 하중방향과 동일하게 상하방향의 체결구조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덕트가 지지된 상태에서 덕트에 진동 등이 계속적으로 발생하더라도 상기 체결이 해체될 위험성이 전혀 없어 덕트를 지지하는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일체인 원형클램프로 구성됨으로써 종래와 같은 클램프의 조립과정이 생략되므로 작업이 보다 편리함과 함께 제조 또한 용이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명시한 효과 이외에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으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되고 기대될 수 있는 특유한 효과 또한 본 발명의 효과에 포함될 수 있음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편착탈식 덕트지지행거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주요부분의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서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편착탈식 덕트지지행거를 통한 덕트의 설치과정을 일 예시한 설치예시도들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간편착탈식 덕트지지행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으로서, 첨부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크기, 요소간의 간격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축소되거나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아울러,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원칙적으로 관련된 공지의 기능이나 공지의 구성과 같이 이미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편착탈식 덕트지지행거를 나타내는 도면들로서, 상기 도면들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편착탈식 덕트지지행거(100, 이하, “덕트지지행거”라 약칭함.)는 원형클램프(10)와, 연결편(20)과, 클램프지지편(30)과, 너트뭉치(40)와, 체결편(50)과, 경사걸림편(60)과, 체결지지편(7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원형클램프(10)는 원의 형상이면서 일부가 절단된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원형클램프(10)는 도 4에 예시된 것처럼 절단된 양단이 상호 이격되게 벌어짐으로써 내부로 덕트(200)를 인입하게 되고, 도 5에 예시된 것처럼 벌어진 양단이 근접되도록 오므림으로써 인입된 덕트(200)를 감싸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원형클램프(10)는 벌림과 오므림이 가능하도록 플렉시블(flexible)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 예로서 연성의 금속판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결편(20)은 상기 원형클램프(10)의 일단에서 상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연결편(20)은 상기 원형클램프(10)와 후술하는 상기 클램프지지편(30)을 서로 연결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클램프지지편(30)은 상기 원형클램프(10)가 앵커볼트(300)에 지지되도록 하는 기능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클램프지지편(30)은 수평단(31)과, 상기 수평단(31)의 양단에서 하향으로 절곡되는 제1수직단(32) 및 제2수직단(3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수직단(32)은 상기 연결편(20)에 결합 고정되며, 그에 따라 클램프지지편(30)과 원형클램프(10)가 서로 연결된다.
상기 너트뭉치(40)는 상기 클램프지지편(30)의 수평단(31)에 고정 설치되며, 앵커볼트(300)와 체결이 되면서 클램프지지편(30)을 앵커볼트(300)와 결합시키게 된다.
상기 체결편(50)은 상기 클램프지지편(30)의 제2수직단(33)에 형성되는데, 이러한 체결편(50)은 받침단(51)과 끼움단(52)과, 확장단(5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받침단(51)은 상기 제2수직단(33)의 하단에서 수평하게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끼움단(52)은 상기 받침단(51)에서 상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확장단(53)은 상기 끼움단(52)의 상부에서 끼움단(52)보다 상대적으로 폭이 증가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편(50)은 후술하는 상기 체결지지편(70)에 체결됨으로써 절단된 원형클램프(10)의 양단을 서로 결합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경사걸림편(60)은 상기 제2수직단(33)의 상단에서 하향으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사걸림편(60)에는 상기 체결편(50)이 체결지지편(70)에 끼워져 체결될 때 체결지지편(70) 상단의 경사단(71)이 끼워져 걸리면서 체결상태가 임의로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체결지지편(70)은 상기 원형클램프(10)의 절단된 타단에서 상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전술한 것처럼 상기 체결편(50)과 체결됨으로써 절단된 원형클램프(10)의 양단을 서로 결합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체결지지편(70)의 상단에는 경사단(71)이 절곡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사단(71)은 전술한 것처럼 체결편(50)이 체결지지편(70)에 끼워져 체결될 때 상기 경사걸림편(60)에 끼워져 걸림으로써 체결상태를 유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또한, 체결지지편(70)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경사단(71)의 하측까지는 상기 끼움단(52)의 통과가 가능한 관통개구(72)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개구(72)의 하부에는 상기 확장단(53)의 통과가 가능하게 폭이 증가된 확장개구(73)가 연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은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원형클램프(10)의 내주면에 부착 고정되는 쿠션패드(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쿠션패드(80)는 원형클램프(10)에 지지된 덕트(200)와의 밀착력을 향상시켜 지지된 덕트(200)의 유동을 방지함과 함께, 유체이동에 따라 덕트(200)에서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진동을 흡수함으로써 덕트(200)의 진동에 의해 원형클램프(10)가 요동하는 것을 최소화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설명하였는 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지지행거(100)의 작용, 즉 덕트지지행거(100)를 통해 덕트(200)를 설치하는 과정을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간단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천정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앵커볼트(300)를 클램프지지편(30)에 설치된 너트뭉치(40)에 체결함으로써 본 발명의 덕트지지행거(100)를 앵커볼트(300)에 결합 고정시킨다.
이 때, 본 발명의 경우 원형클램프(10)가 일부만이 절단된 단일의 원형체이므로 종래와 같이 반원형의 클램프를 연결편으로 서로 연결시키는 조립과정은 생략됨을 알 수 있다.
이렇게 덕트지지행거(100)가 앵커볼트(300)에 고정되면, 설치대상인 덕트(200)가 원형클램프(10)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도록 원형클램프(10)의 절단된 양단을 벌려준다.
그리고 원형클램프(10)의 양단이 벌어진 상태에서 덕트(200)를 원형클램프(10)의 내부로 진입시킨 후, 벌어진 원형클램프(10)의 양단이 근접되도록 다시 오므려줌으로써 원형클램프(10)가 덕트(200)를 감싸도록 해준다.
이 때, 원형클램프(10)를 오무려주는 과정에서 체결편(50)을 체결지지편(70)에 끼워 서로 체결시킴으로써 덕트(200)의 설치과정을 곧바로 완료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체결편(50)과 체결지지편(70)의 체결과정을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원형클램프(10)를 오므리면서 먼저, 체결편(50)의 확장단(53)을 체결지지편(70)의 확장개구(73)을 통해 상향으로 통과시킨 후, 이어서 끼움단(52)을 관통개구(72)로 통과시켜 체결지지편(70)을 따라 위쪽으로 끼워지도록 해준다.
이렇게 끼움단(52)이 관통개구(72)를 위쪽으로 통과하다 보면, 체결지지편(70)의 상단에 형성된 경사단(71)의 끝단부와 제2수직단(33)의 상부에 형성된 경사걸림편(60)의 끝단부가 서로 간섭되게 된다.
이 때, 살짝 힘을 주어 체결지지편(70)을 하방으로 눌러주게 되면, 경사단(71)이 경사걸림편(60)을 하향 통과한 후 경사단(71)이 경사걸림편(60)에 끼워져 걸림이 발생하게 되면서 체결편(50)과 체결지지편(70)의 견고한 체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간편착탈식 덕트지지행거에 의하면, 앵커볼트와 너트뭉치를 체결하고, 원형클램프에 덕트를 인입시킨 후 바로 체결지지편에 체결편을 끼워주면 덕트의 설치가 간단하게 완료되므로 덕트설치에 따른 작업성이 향상됨과 함께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을 절감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라 할 것이다.
첨부된 도면들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0: 원형클램프 20: 연결편
30: 클램프지지편 40: 너트뭉치
50: 체결편 60: 경사걸림편
70: 체결지지편 80: 쿠션패드

Claims (4)

  1. 절단된 양단이 벌어지거나 오므려지면서 덕트(200)를 감싸 지지하는 원형클램프(10);
    상기 원형클램프(10)의 일단에서 상향 절곡되는 연결편(20);
    수평단(31)의 양단에서 제1 및 제2수직단(32, 33)이 하향 절곡되되, 제1수직단(32)이 상기 연결편(20)에 결합되는 클램프지지편(30);
    상기 수평단(31)에 구비되어 앵커볼트(300)와 체결되는 너트뭉치(40);
    상기 제2수직단(33)의 하단에서 받침단(51)이 수평으로 절곡되고, 상기 받침단(51)에서 끼움단(52)이 상향 절곡되는 체결편(50);
    상기 제2수직단(33)의 상단에서 하향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는 경사걸림편(60);
    상기 원형클램프(10)의 타단에서 상향 절곡되며, 상기 체결편(50)의 끼움단(52)이 통과 가능하게 관통개구(72)가 상향으로 형성되고, 상단에는 상기 경사걸림편(60)에 끼워져 걸림되는 경사단(71)이 형성되는 체결지지편(70);을 포함하는 간편착탈식 덕트지지행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단(52)의 상부에는 폭이 증가된 확장단(53)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개구(72)의 하부에는 상기 확장단(53)의 통과가 가능한 확장개구(73)가 연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착탈식 덕트지지행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클램프(10)의 내주면에 부착되어 지지된 덕트(200)의 진동을 흡수하는 쿠션패드(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착탈식 덕트지지행거.
KR1020140053371A 2014-05-02 2014-05-02 간편착탈식 덕트지지행거 KR1015382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3371A KR101538269B1 (ko) 2014-05-02 2014-05-02 간편착탈식 덕트지지행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3371A KR101538269B1 (ko) 2014-05-02 2014-05-02 간편착탈식 덕트지지행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8269B1 true KR101538269B1 (ko) 2015-07-23

Family

ID=53875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3371A KR101538269B1 (ko) 2014-05-02 2014-05-02 간편착탈식 덕트지지행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82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133U (ko) 2019-03-20 2020-10-05 (주)디에스에어테크 덕트지지행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9027A (ja) * 2004-03-03 2005-09-15 Takayama Metal Industrial Co Ltd パイプハンガー
KR20090001723U (ko) * 2007-08-20 2009-02-25 유병호 배관 고정용 행거
KR20100001396U (ko) * 2008-07-30 2010-02-09 이종근 파이프 행거용 방진패드
KR20100010069U (ko) * 2009-04-06 2010-10-14 주식회사 중앙씨엠아이 파이프 행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9027A (ja) * 2004-03-03 2005-09-15 Takayama Metal Industrial Co Ltd パイプハンガー
KR20090001723U (ko) * 2007-08-20 2009-02-25 유병호 배관 고정용 행거
KR20100001396U (ko) * 2008-07-30 2010-02-09 이종근 파이프 행거용 방진패드
KR20100010069U (ko) * 2009-04-06 2010-10-14 주식회사 중앙씨엠아이 파이프 행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133U (ko) 2019-03-20 2020-10-05 (주)디에스에어테크 덕트지지행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88006B2 (en) Bracket mount assembly for light fixtures
KR101598100B1 (ko) 배관 고정장치
KR101969052B1 (ko) 배수관 고정용 이지 클램프
US20210372602A1 (en) Mount interface for light fixtures
JP2010529392A (ja) クランプおよび耐震遥動補強
KR101538269B1 (ko) 간편착탈식 덕트지지행거
KR101881914B1 (ko) 스파이럴 덕트용 원터치 행거
JP6009365B2 (ja) 鳥害防止具
KR200438815Y1 (ko) 수직배기덕트 연결 및 지지겸용 밴드
KR20140101909A (ko) 케이블 가설용 행거
KR101916114B1 (ko) 배관용 파이프 행거
KR101243678B1 (ko) 중계기 설치용 브라켓
US20170307191A1 (en) Hub for lighting at grid intersection
KR200446654Y1 (ko) 방화용 입상배관 고정 클램프
KR200438817Y1 (ko) 행거기능이 구비된 덕트 연결용 밴드
KR100874232B1 (ko) 공기조화기용 실외기의 열교환기 고정구조
KR101186501B1 (ko) 배관 고정장치
JP4878380B2 (ja) エアコン室外機の据付方法、治具および据付架台
KR101389958B1 (ko) 천장 루버
KR200479751Y1 (ko) 에어덕트 시스템의 플랜지 연결구조를 갖는 슬리브
KR101027121B1 (ko) 가스배관 고정구
KR20150098503A (ko) 전선관 원터치 고정 장치 및 고정 방법
CN205534943U (zh) 一种安装架
KR200483237Y1 (ko) 배관 고정 장치
KR200269701Y1 (ko) 케이블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5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