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8816Y1 - 배기덕트 연결용 밴드 - Google Patents

배기덕트 연결용 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8816Y1
KR200438816Y1 KR2020070018808U KR20070018808U KR200438816Y1 KR 200438816 Y1 KR200438816 Y1 KR 200438816Y1 KR 2020070018808 U KR2020070018808 U KR 2020070018808U KR 20070018808 U KR20070018808 U KR 20070018808U KR 200438816 Y1 KR200438816 Y1 KR 2004388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shaped
duct
band body
shaped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88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명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일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일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일테크
Priority to KR20200700188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88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88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881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 F16L21/065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tightened by tangentially-arranged threaded p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8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덕트의 양끝단에 플랜지부를 형성하지 않고 연결할 수 있도록 하여 덕트의 연결작업이 매우 신속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작업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아니라, 공정수를 줄이고, 플랜지부의 생략된 길이만큼 자재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덕트의 직경에 비하여 링형상밴드체의 직경이 작거나 큼에 따라 발생하는 링형상밴드체의 연결부 양끝단이 벌어지는 현상과 링형상밴드체의 연결부 끝단이 접촉하여 링형상밴드체를 더 이상 조이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별도의 부품을 증가시키지 않아 제작 및 부품관리가 용이한 배기덕트 연결용 밴드를 개시한다.
본 고안의 배기덕트 연결용 밴드는, 띠형상의 판재를 일측이 개방된 원형으로 형성한 링형상밴드체와, 상기 링형상밴드체의 개방부 양쪽에 용접등의 고정수단으로 고정되고 체결을 위한 관통구멍이 형성된 체결브라켓과, 상기 양쪽의 체결브라켓을 조여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링형상밴드체는, 상기 링형상밴드체 양쪽에서 끼워지는 덕트의 양끝단부가 걸림유지되는 U형상걸림유지부를 내측으로 돌출형성하고, 상기 U형상걸림유지부의 양쪽으로 날개커버부를 연장형성하며, 양쪽 날개커버부의 끝단에 덕트의 바깥둘레면에 밀착하는 경사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단면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링형상밴드체와 동일한 U형상걸림유지부, 날개커버부 및 경사부로 이루어진 단면구조를 가지는 밴드연장부를 상기 링형상밴드체의 개방부 일측 끝단으로부터 연장 형성하고, 상기 밴드연장부의 U형상걸림유 지부, 날개커버부 및 경사부는 링형상밴드체의 개방부 타측 끝단의 U형상걸림유지부, 날개커버부 및 경사부 안쪽면에 끼워져 상기 체결브라켓의 조임시 링형상밴드체의 원주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배기덕트 연결용 밴드{BAND FOR CONNECTING EXHAUST DUCT}
본 고안은 배기덕트 연결용 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기덕트의 연결끝단부에 이음용 플랜지를 형성할 필요가 없고 배기덕트의 직경과 링형상밴드체의 직경 차이에 의해서 발생하는 양쪽 링형상밴드체의 개방부 끝단 사이의 틈새 또는 양쪽 링형상밴드체의 개방부 끝단이 접촉하여 링형상밴드체를 더 이상 조일 수 없게 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한 배기덕트 연결용 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등의 다층 건축물에는 주방과 화장실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배출하기 위한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DRY AIR DUCT SYSTEM)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은 피브이씨(PVC) 소재나 갈바륨(알루미늄 아연도금) 소재를 이용한 덕트를 각 층마다 연결하여 옥탑에서 자연배기 되도록 하고 있다.
도 1은 상기한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을 나타낸 것으로, 다수의 입상 덕트(2)를 연결하여 이루어진 메인덕트(1)가 건축물의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각층의 주방 또는 화장실과 연결된 분기덕트(3)는 상기 메인덕트(1)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메인덕트(1)의 최상부에는 배기팬(4)이 설치된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배기팬(4)에 의해 각 층의 주방 및 화장실 공기가 분기덕트(3) 및 메인덕트(1)를 통해 외부로 강제 배출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이때 상기 메인덕트(1)를 구성하는 다수의 입상 덕트(2)는 연결용 밴드(5)에 의해 연결되는 것으로, 입상 덕트(2)의 연결부 양쪽 끝단에 형성된 플랜지부(2a)를 밴드(5)에 형성한 브이형상커버부(6a)로 감싼 후 밴드(5)를 조여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도 2는 종래의 연결용 밴드에 의한 덕트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종래의 연결용 밴드(5)는 띠형상의 판재를 일측이 개방된 원형으로 형성한 링형상밴드체(6)와, 상기 링형상밴드체(6)의 개방부(5a) 양끝단에 용접등의 고정수단으로 고정된 체결브라켓(7)과, 상기 양쪽의 체결브라켓(7)을 당겨 링형상밴드체(6)를 조이기 위한 고정부재(8)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링형상밴드체(6)의 단면구조는, 중앙에 덕트(2)의 플랜지부(2a)를 감싸는 브이형상커버부(6a)와, 이 브이형상커버부(6a)의 양쪽으로 연장된 날개커버부(6b)로 구성되어 있고(도 1의 상세도 참조), 상기 체결브라켓(7)은 링형상밴드체(6)의 양측 날개커버부(6b)에 용접등의 고정수단으로 고정된 수평고정부(7a)와 이 수평고정부(7a)로부터 직각으로 형성된 체결고정부(7b)로 이루어지며, 상기 체결고정부(7b)에는 관통구멍(7c)이 형성되어 고정부재(8), 예를 들면 볼트 및 너트를 관통시켜 양쪽의 체결브라켓(7)을 조여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도 3 참조). 이때 링형상밴드체(6)의 개방부(5a) 반대쪽 브이형상커버부(6a)에는 링형상밴드체(6)의 개방부(5a)가 용이하게 벌어지도록 절취된 다각 형상의 개방유도구 멍(6c)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 덕트(2)의 연결부에 구비된 플랜지부(2a)에 링형상밴드체(6)의 브이형상커버부(6a)를 일치시켜 덕트(2)의 연결부에 밴드(5)를 끼우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의 체결브라켓(7)을 고정부재(8)로 당겨 조이게 되면, 양쪽의 체결브라켓(7)의 사이 간격이 좁아지면서 링형상밴드체(6)의 직경을 좁히게 되므로 링형상밴드체(6)가 덕트(2)의 바깥둘레면에 가압되어 밀착되고, 이로써 양쪽 덕트(2)가 견고히 고정됨과 동시에, 양쪽 덕트(2)의 연결부인 플랜지부(2a)가 브이형상커버부(6a) 및 양쪽의 날개커버부(6b)에 의해 밀폐되므로 덕트(2) 내부로 흐르는 공기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덕트 연결구성은, 체결브라켓(7)의 조임 길이를 충분히 감안하여 덕트(2)의 직경에 알맞은 링형상밴드체(6)의 직경을 가지는 밴드(5)를 제작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덕트(2)를 연결함에 있어서 링형상밴드체(6)의 직경과 덕트(2)의 직경 차이에 따라 링형상밴드체(6)의 개방부(5a) 양끝단이 벌어져 틈새가 형성되거나 반대로 링형상밴드체(6)의 개방부(5a) 양끝단이 충분히 조이기도 전에 접촉되어 더 이상 조일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즉 덕트(2)의 직경에 비해 링형상밴드체(6)의 직경이 너무 작은 경우는, 양쪽 체결브라켓(7)을 완전히 조인 상태에서 링형상밴드체(6)의 개방부(5a) 양쪽 끝단이 밀착되지 않게 되므로 링형상밴드체(6)의 개방부(5a) 양쪽 끝단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고, 이로 인해 덕트(2)의 플랜지부(2a)를 완전히 밀폐시킬 수 없어 덕트(2) 내부의 공기가 누설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반대로 덕트(2)의 직경에 비해 링형상밴드체(6)의 직경이 너무 큰 경우는, 양쪽 체결브라켓(7)을 완전히 조이지 못한 상태에서 링형상밴드체(6)의 개방부(5a) 양쪽 끝단이 접촉하게 되므로 덕트(2)의 연결부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덕트(2)와 링형상밴드체(6) 사이에 유격이 생겨 흔들림을 유발하게 되며, 역시 유격으로 인한 틈새로 덕트(2) 내부의 공기가 누설되는 문제가 있다.
도 3은 상기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링형상밴드체(6)의 개방부(5a) 양끝단 사이에 소정길이의 보조밴드편(9)을 더욱 구비한 구성이고, 상기 보조밴드편(9)은 링형상밴드체(6)와 동일한 브이형상커버부(9a)와 양쪽의 날개커버부(9b)를 가지는 단면구조를 가지고, 링형상밴드체(6)와 동일한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양쪽 덕트(2)의 연결부에 구비된 플랜지부(2a)에 링형상밴드체(6)의 브이형상커버부(6a)를 일치시켜 덕트(2)의 연결부에 밴드(5)를 끼우고, 이어서 보조밴드편(9)을 링형상밴드체(6)의 개방부(5a) 양끝단 사이의 안쪽에 끼워 링형상밴드체(6)와 덕트(2) 사이에 위치시킨 후, 양쪽의 체결브라켓(7)을 고정부재(8)로 조이게 되면, 링형상밴드체(6)가 조여지면서 덕트(2)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때 보조밴드편(9)에 의해서 링형상밴드체(6)의 직경이 덕트(2)의 직경에 비해 작아, 양쪽 체결브라켓(7)을 완전히 조인 상태에서 링형상밴드체(6)의 개방부(5a) 양끝단 사이가 이격되는 경우에도 보조밴드편(9)이 틈새를 커버하게 되고, 또한 보조밴드편(9)에 의해 체결브라켓(7)의 조임 길이를 충분히 설정할 수 있게 되므로 링형상밴드체(6)의 개방부(5a) 양끝단이 접촉되어 체결브라켓(7)을 더 이상 조일 수 없게 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배기덕트 연결용 밴드는, 덕트(2)의 연결부 양쪽 끝단에 플랜지부(2a)를 형성하고, 이 플랜지부(2a)를 밴드(5)에 형성한 브이형상커버부(6a)로 감싼 후, 밴드(5)를 조여 고정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덕트(2)의 양끝단에 플랜지부(2a)를 형성하는 작업이 매우 번거로워 덕트 연결시 작업성을 저하시킬 뿐만아니라, 공정수를 증가시키고 플랜지부(2a)의 형성길이 만큼 자재비용을 증가시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덕트(2)의 플랜지부(2a)가 덕트의 바깥둘레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것이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8)를 완전히 분리한 후, 밴드(5)의 개방부(5a)를 최대한 크게 하여 링형상밴드체(6)의 직경을 플랜지부(2a)의 돌출직경보다 크게 해야만 끼워넣을 수 있기 때문에, 고정부재(8)를 풀고 링형상밴드체(6)의 개방부(5a)를 벌려 플랜지부(2a)에 끼운후, 다시 고정부재(8)를 조여야 하므로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하여 역시 작업의 효율성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덕트(2)의 플랜지부(2a)를 감싸는 브이형상커버부(6a)내에 접착기능과 방수 및 기밀성 유지를 위해 실란트를 충진하는 경우, 밴드(5)로 덕트(2)를 완전히 고정한 상태에서 개방유도구멍(6c)을 통해 실란트를 충진하고 있으나, 충진 작업이 용이하지 않아 플랜지부(2a)의 둘레 전체에 고르게 충진되지 않기 때문에, 덕트 연결부에서의 방수 및 기밀성 유지성능을 효율적으로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종래의 배기덕트 연결용 밴드는, 별도의 보조밴드편(9)을 구비해야 하므로 제작 및 부품관리에 어려움이 있고, 덕트(2)의 연결시 보조밴드편(9)을 밴드(5)의 링형상밴드체(6)와 덕트(2) 사이에 끼워 넣어야 하는 불편함과 링형상밴드체(6)의 개방부(5a) 양끝단 사이에 위치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양쪽 체결브라켓(7)의 조임작업시 보조밴드편(9)이 링형상밴드체(6)와 덕트(2) 사이에서 유동하지 않도록 고정해야 하므로 덕트 연결작업이 매우 불편하고 작업시간을 지연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덕트의 양끝단에 플랜지부를 형성하지 않고 연결할 수 있도록 하며, 덕트의 바깥둘레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플랜지부를 제거함에 따라 고정부재를 완전히 분리하지 않고 어느 정도 결합한 상태에서 링형상밴드체의 직경을 적어도 덕트의 직경보다 크게 하는 것만으로 덕트에 끼워 넣는 것이 가능하여 덕트의 연결작업이 매우 신속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작업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아니라, 공정수를 줄이고, 플랜지부의 생략된 길이만큼 자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배기덕트 연결용 밴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밴드의 날개커버부와 덕트의 바깥둘레면 사이에 고무패킹을 설치하여 덕트 연결부의 방수 및 기밀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배기덕트 연결용 밴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덕트의 직경에 비하여 링형상밴드체의 직경이 작거나 큼에 따라 발생하는 링형상밴드체의 연결부 양끝단이 벌어지는 현상과 링형상밴드체의 연결부 끝단이 접촉하여 링형상밴드체를 더 이상 조이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별도의 부품을 증가시키지 않아 제작 및 부품관리가 용이한 배기덕트 연결용 밴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띠형상의 판재를 일측이 개방된 원 형으로 형성한 링형상밴드체와, 상기 링형상밴드체의 개방부 양쪽에 용접등의 고정수단으로 고정되고 체결을 위한 관통구멍이 형성된 체결브라켓과, 상기 양쪽의 체결브라켓을 조여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로 구성되는 배기덕트 연결용 밴드에 있어서, 상기 링형상밴드체는, 상기 링형상밴드체 양쪽에서 끼워지는 덕트의 양끝단부가 걸림유지되는 U형상걸림유지부를 내측으로 돌출형성하고, 상기 U형상걸림유지부의 양쪽으로 날개커버부를 연장형성하며, 양쪽 날개커버부의 끝단에 덕트의 바깥둘레면에 밀착하는 경사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단면구조를 가지는 배기덕트 연결용 밴드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링형상밴드체와 동일한 U형상걸림유지부, 날개커버부 및 경사부로 이루어진 단면구조를 가지는 밴드연장부를 상기 링형상밴드체의 개방부 일측 끝단으로부터 연장 형성하고, 상기 밴드연장부의 U형상걸림유지부, 날개커버부 및 경사부는 링형상밴드체의 개방부 타측 끝단의 U형상걸림유지부, 날개커버부 및 경사부 안쪽면에 끼워져 상기 체결브라켓의 조임시 링형상밴드체의 원주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구성된 배기덕트 연결용 밴드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링형상밴드체의 날개커버부 안쪽면에 링형상밴드체와 덕트 사이의 방수 및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고무패킹을 더욱 구비하는 배기덕트 연결용 밴드에 특징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배기덕트 연결용 밴드에 의하면, 링형상밴드체의 내측으로 U형상걸림유지부가 돌출형성되어 링형상밴드체 양쪽에서 끼워지는 덕트의 양끝단부 를 U형상걸림유지부에 걸림유지시켜 연결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종래에 덕트의 바깥둘레면으로부터 돌출형성하였던 플랜지부가 필요 없게 되고, 이로인해 플렌지 형성에 따른 공정수가 줄어 들고 플랜지부의 생략된 길이만큼 자재비용이 절감되는 이점이 있으며, 덕트의 연결시 링형상밴드체의 직경을 적어도 덕트의 바깥직경보다 크게 형성하면, 덕트를 끼워 넣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고정부재를 완전히 분리하지 않고 어느 정도 결합한 상태에서 링형상밴드체의 양쪽에서 덕트를 끼운 후, 고정부재를 완전히 조이기만 하면 고정이 완료되어 덕트 연결작업이 매우 신속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져 작업성 및 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고정부재의 조임작업에 의해 링형상밴드체의 날개커버부 끝단에 형성된 경사부가 탄성변형하면서 덕트의 바깥둘레면에 밀착되므로, 경사부의 탄성변형에 의한 복원력으로 더욱 강하게 밀착되고, 더욱이 날개커버부와 덕트 사이에 구비된 고무패킹도 덕트의 바깥둘레면에 더욱 밀착됨에 따라 덕트 연결부에서의 방수 및 기밀유지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링형상밴드체의 개방부 일측 끝단에 밴드연장부가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덕트의 직경에 비하여 링형상밴드체의 직경이 작거나 큼에 따라 발생하는 링형상밴드체의 연결부 양끝단이 벌어지는 현상과 링형상밴드체의 연결부 끝단이 접촉하여 링형상밴드체를 더 이상 조이지 못하는 문제가 해소되고, 또한 이를 위해 별도의 부품이 증가되지 않아 제작 및 부품관리가 용이하며, 링형상밴드체의 조임시 밴드연장부가 자동적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개방부의 틈새를 커버하게 되므로 덕트의 연결작업이 매우 간단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지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배기덕트 연결용 밴드의 사시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덕트의 연결과정을 나타낸 덕트 연결부의 종단면도이며, 도 6a 및 6b는 고정부재의 조임과정을 나타낸 밴드의 평면도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밴드(10)는, 일측이 개방된 원형으로 형성되어 덕트(2)의 연결부위를 감싸도록 된 링형상밴드체(20)와, 상기 링형상밴드체(20)의 개방부(20a) 양끝단에 구비된 체결브라켓(30)과, 상기 체결브라켓(30)을 조여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40)로 구성된다.
상기 링형상밴드체(20)는 띠형상의 판재를 일측이 개방된 원형으로 형성하여 구성되고, 단면구조는 상기 링형상밴드체(20) 양쪽에서 끼워지는 덕트(20)의 양끝단부가 걸림유지되는 U형상걸림유지부(21)를 내측으로 돌출형성하고, 상기 U형상걸림유지부(21)의 양쪽으로 날개커버부(22)를 연장형성하며, 양쪽 날개커버부(22)의 끝단에 덕트(2)의 바깥둘레면에 밀착하도록 내측으로 경사진 경사부(23)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날개커버부(22)의 안쪽둘레면에는 링형상밴드체(20)와 덕트(2) 사이의 방수 및 기밀유지를 위한 고무패킹(24)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링형상밴드체(20)의 개방부(20a) 양쪽 끝단에 구비된 체결브라켓(30)은, 링형상밴드체(20)의 양쪽 날개커버부(22)에 용접 등의 고정수단으로 고정된 수 평고정부(31)와, 이 수평고정부(31)로부터 직각으로 형성된 체결고정부(32)로 이루어지며, 상기 체결고정부(32)에 관통구멍(32a)이 형성되어 고정부재(40), 예를 들면 볼트 및 너트를 관통시켜 양쪽의 체결브라켓(30)을 당겨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 링형상밴드체(20)와 동일한 U형상걸림유지부(51), 날개커버부(52) 및 경사부(53)로 이루어진 단면구조를 가지는 밴드연장부(50)를 구비한다. 상기 밴드연장부(50)는 상기 링형상밴드체(20)의 개방부(20a) 일측 끝단으로부터 일체로 연이어 연장 형성되고, 상기 밴드연장부(50)의 U형상걸림유지부(51), 날개커버부(52) 및 경사부(53)는, 도 6a 및 도 6b의 부분 상세단면도에서와 같이 링형상밴드체(20)의 개방부(20a) 타측 끝단의 U형상걸림유지부(21), 날개커버부(22) 및 경사부(23) 안쪽면에 양쪽 체결브라켓(30)의 조임동작시 링형상밴드체(20)의 원주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끼워져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들 들면,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설치되는 상,하측의 덕트(2)를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 먼저 도 5a에서와 같이 하측의 덕트(2) 끝단에 링형상밴드체(20)를 끼우면, 링형상밴드체(20)의 U형상걸림유지부(21)의 하측이 덕트(2)의 끝단에 걸림유지되므로, 링형상밴드체(20)의 한쪽에 덕트(2)를 조립할 수 있다.
이러한 조립작업은, 덕트(2) 끝단에 종래의 플렌지부를 형성하지 않음에 따라 링형상밴드체(20)의 직경을 적어도 덕트(2)의 바깥직경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에 의해 가능하게 되고, 이로써 고정부재(40)를 도 4에서와 같이 완전히 분리하지 않 고도 도 6a 및 도 6b에서와 같이 고정부재(40)를 어느 정도 조인 상태에서 링형상밴드체(20)의 직경이 덕트(2)의 바깥직경보다 약간 크게 하면, 링형상밴드체(20) 내에 덕트(2)를 끼워 조립할 수 있고, 추후에 고정부재(40)를 완전히 조일 때, 어느 정도 조여진 상태이므로, 조임작업이 신속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진다.
마찬가지로, 도 5b에서와 같이, 상측의 덕트(2)를 링형상밴드체(20) 내에 끼워넣게 되면, 상측의 덕트(2) 끝단이 U형상걸림유지부(21)의 상측에 걸림유지되어 조립되고, 이어서 고정부재(40)를 강하게 조임으로써 상,하측 덕트(2)의 연결작업이 매우 간단하게 완료된다.
이때, 고정부재(40)를 강하게 조이게 되면, 링형상밴드체(20)의 경사부(23)가 덕트(2)의 바깥둘레면에 강하게 밀착하면서 탄성변형하게 되고, 이 탄성변형에 의한 탄성복원력이 덕트(2)에 작용하여 밀착력을 더욱 증대시키게 되므로 링형상밴드체(20)에 의한 덕트(2)의 고정력을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으며, 날개커버부(22)의 내측에 구비된 고무패킹(24)은, 고정부재(40)의 조임력에 의해 날개커버부(22)와 덕트(2) 사이에서 압착되어 이들 사이의 방수 및 기밀성을 유지하게 된다.
또한 도 6a 및 도 6b에서와 같이, 링형상밴드체(20)의 일끝단으로부터 연장된 밴드연장부(50)의 U형상걸림유지부(51), 날개커버부(52) 및 경사부(53)를 개방부(20a) 반대쪽 링형상밴드체(20)의 U형상걸림유지부(21), 날개커버부(22) 및 경사부(23) 안쪽면에 끼우고, 양쪽의 체결브라켓(30)에 구비된 고정부재(40)를 조이게 되면, 링형상밴드체(20)가 조여지면서 덕트(2)를 견고히 고정하게 되며, 밴드연장부(50)는 도 6a 및 도 6b의 부분 상세단면도에서와 같이 개방부(20a) 반대쪽 링형 상밴드체(20)의 안쪽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링형상밴드체(20)와 덕트(2) 사이에서 가압되어 밀착됨으로써 링형상밴드체(20)와 덕트(2) 사이에서의 공기누설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밴드연장부(50)에 의해서는, 덕트(2)의 직경과 링형상밴드체(20)의 직경 차이에 의해 링형상밴드체(20)의 개방부(20a) 끝단이 벌어져 틈새를 형성하는 경우에도, 상기 틈새가 밀폐되므로 덕트(2)의 연결부에서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밴드연장부(50)에 의해 체결브라켓(30)을 당겨 조일 수 있는 길이를 길게 설정할 수 있게 되므로, 링형상밴드체(20)의 개방부(20a) 끝단이 접촉하여 체결브라켓(30)을 충분히 조일 수 없게 되는 종전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더욱이 본 고안은 밴드연장부(50)가 링형상밴드체(20)의 개방부(20a) 일끝단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밴드연장부(50)를 별도로 제작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작이 용이하고 부품수가 증가되지 않아 부품관리에도 어려움이 없다. 또한 덕트(2)의 연결작업시 밴드연장부(50)를 밴드(10)의 링형상밴드체(20)와 덕트(2) 사이에 끼워 넣거나 링형상밴드체(20)의 개방부(20a) 양끝단 사이에 위치시키기 위한 번거로운 작업이 필요 없고, 양쪽 체결브라켓(30)의 당김 작업시 밴드연장부(50)가 링형상밴드체(20)의 조임 길이만큼 자동적으로 원주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므로 개방부(20a)의 이격 길이에 대응하여 항상 개방부(20a)의 틈새가 커버됨으로써 덕트(2) 연결부에서의 누설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지금까지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과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
도 2는 종래의 밴드를 사용한 덕트연결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또 다른 종래의 덕트연결구성을 나타낸 밴드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밴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의 밴드에 의한 덕트의 연결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6a 및 6b는 본 고안에 따른 밴드의 덕트연결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밴드 20 : 링형상밴드체
20a : 개방부 21,51 : U형상걸림유지부
22,52 : 날개커버부 23,53 : 경사부
24 : 고무패킹 30 : 체결브라켓
40 : 고정부재 50 : 밴드연장부

Claims (3)

  1. 띠형상의 판재를 일측이 개방된 원형으로 형성한 링형상밴드체(20)와, 상기 링형상밴드체(20)의 개방부(20a) 양쪽에 용접등의 고정수단으로 고정되고 체결을 위한 관통구멍이 형성된 체결브라켓(30)과, 상기 양쪽의 체결브라켓(30)을 조여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40)로 구성되는 배기덕트 연결용 밴드에 있어서,
    상기 링형상밴드체(20)는, 상기 링형상밴드체(20) 양쪽에서 끼워지는 덕트(2)의 양끝단부가 걸림유지되는 U형상걸림유지부(21)를 내측으로 돌출형성하고, 상기 U형상걸림유지부(21)의 양쪽으로 날개커버부(22)를 연장형성하며, 양쪽 날개커버부(22)의 끝단에 덕트(2)의 바깥둘레면에 밀착하는 경사부(23)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단면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덕트 연결용 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형상밴드체(20)와 동일한 U형상걸림유지부(51), 날개커버부(52) 및 경사부(53)로 이루어진 단면구조를 가지는 밴드연장부(50)를 상기 링형상밴드체(20)의 개방부(20a) 일측 끝단으로부터 연장 형성하고, 상기 밴드연장부(50)의 U형상걸림유지부(51), 날개커버부(52) 및 경사부(53)는 링형상밴드체(20)의 개방부(20a) 타측 끝단의 U형상걸림유지부(21), 날개커버부(22) 및 경사부(23) 안쪽면에 끼워져 상기 체결브라켓(30)의 조임시 링형상밴드체(20)의 원주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덕트 연결용 밴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링형상밴드체(20)의 날개커버부(22) 안쪽면에 링형상밴드체(20)와 덕트(2) 사이의 방수 및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고무패킹(24)을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덕트 연결용 밴드.
KR2020070018808U 2007-11-22 2007-11-22 배기덕트 연결용 밴드 KR2004388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8808U KR200438816Y1 (ko) 2007-11-22 2007-11-22 배기덕트 연결용 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8808U KR200438816Y1 (ko) 2007-11-22 2007-11-22 배기덕트 연결용 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8816Y1 true KR200438816Y1 (ko) 2008-03-06

Family

ID=41626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8808U KR200438816Y1 (ko) 2007-11-22 2007-11-22 배기덕트 연결용 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881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98891B2 (en) Chimney lining and venting apparatus for use with emissions from an appliance, and method of assembly
TW201124591A (en) Sealing cover assembly for an underground utility box
US10487963B2 (en) Clamp assembly and method of clamping
KR20150065458A (ko) 보일러의 배기관과 연도관의 연결구조
KR200438815Y1 (ko) 수직배기덕트 연결 및 지지겸용 밴드
JP2022544328A (ja) ゲートウェイ装置
JP5985935B2 (ja) 管接続具、当該管接続具の固定構造及び止水部材
KR200438816Y1 (ko) 배기덕트 연결용 밴드
US2007023520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ical Box Repair Cover
KR20210003036A (ko) 입상관 고정구
KR20120029524A (ko) 비계용 클램프
KR200438817Y1 (ko) 행거기능이 구비된 덕트 연결용 밴드
KR200438130Y1 (ko) 배기덕트의 누설방지용 브이밴드
KR101179435B1 (ko) 분기관 접속 연결구
KR200479751Y1 (ko) 에어덕트 시스템의 플랜지 연결구조를 갖는 슬리브
JP2003232056A (ja) 配管構造
KR20160004511U (ko) 배관용 파이프의 홀더장치
CN220628858U (zh) 一种电缆管道封堵器
CA3056161A1 (fr) Dispositif d&#39;etancheite entre deux conduits coaxiaux et assemblage
KR200251657Y1 (ko) 균등안전대가 형성된 접이형 플랜지를 이용한 파이프의연결구조
JP2003083495A (ja) 接続口部の止水構造
KR200484224Y1 (ko) 세면대용 배수구 연결구
EP4075056A1 (en) A fixture
KR100586415B1 (ko) 지관 연결장치
JP2011231523A (ja) 屋根上取付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3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