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1712A - 배관 거치대 - Google Patents

배관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1712A
KR20130001712A KR1020120131544A KR20120131544A KR20130001712A KR 20130001712 A KR20130001712 A KR 20130001712A KR 1020120131544 A KR1020120131544 A KR 1020120131544A KR 20120131544 A KR20120131544 A KR 20120131544A KR 20130001712 A KR20130001712 A KR 201300017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ixing piece
coupled
lower fixing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1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필
Original Assignee
(주)나이스엔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나이스엔테크 filed Critical (주)나이스엔테크
Priority to KR1020120131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1712A/ko
Publication of KR20130001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17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5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 E04C2/521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ventilating, heating or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024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 F16L1/06Accessories therefor, e.g. anchors
    • F16L1/10Accessories therefor, e.g. anchors for alig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1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 F16L3/2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allowing movement in transverse direction
    • F16L3/205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allowing movement in transverse direction having supporting springs
    • F16L3/2053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allowing movement in transverse direction having supporting springs the axis of each spring being parallel with the direction of the movement of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1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 F16L3/2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allowing movement in transverse direction
    • F16L3/205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allowing movement in transverse direction having supporting springs
    • F16L3/21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allowing movement in transverse direction having supporting springs providing constant supporting spring fo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건물의 조적벽체에 내설되는 수전 설치용 배관이 정확하게 설계 위치가 유지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여 배관에 작용하는 응력을 최소화 함과 동시에 배관의 하자 발생을 막아 공사비 절감과 함께 보다 효율적으로 배관 설치 공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배관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건물의 벽체 내에 설치되는 배관(400)을 정확한 위치에 수평으로 맞추기 위해 거치하는 배관거치대(100)에 있어서, 큰원형파이프(10)의 상부 일측에 니은자형으로 걸림홈(11)을 형성하고, 상기 큰원형파이프(10)의 상부 공간을 통하여 삽입되는 상,하부가 막힌 작은원형파이프(20)와, 상기 작은원형파이프(20)는 일측 중간에 상기 걸림홈(11)에 끼워져 고정되는 걸림돌기(21)와 상부중앙에 볼트(22)을 형성하고, 상기 볼트(22)에 배관(400)을 고정시킬 수 있는 배관고정구(30)을 설치하며, 하측 내부에 스프링(40)과 가이드판(41)을 삽입하고, 상기 큰원형파이프(10)에 결합된 작은원형파이프(20)의 하단에 밀착되게 스프링(60)과 원형판(61)을 삽입하며, 상기 큰원형파이프(10)의 하단에 중앙에 나사홀이 형성된 파이프막음판(10a)을 설치하며, 상기 파이프막음판(10a)의 나사홀을 통해 위치고정너트(41)가 체결된 높낮이볼트의 상측이 끼워지게 높낮이조절구(40)가 결합되고, 상기 높낮이조절구(40)의 하측이 고정홀(52)이 형성된 지지판(50)의 중앙 리브(51)와 고정되게 구성되고, 상기 배관거치대(100)의 배관고정구(30)를 배관(400)과 결합하여 바닥면에서 지지하여 상기 배관(400)이 정확한 위치에 수평을 유지하게 맞추고 콘크리트벽으로 부터 조적벽를 타설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관 거치대{pipe stands}
본 발명은 배관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건물의 조적벽체에 내설되는 수전 설치용 배관이 정확하게 설계 위치가 유지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여 배관에 작용하는 응력을 최소화 함과 동시에 배관의 하자 발생을 막아 공사비 절감과 함께 보다 효율적으로 배관 설치 공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배관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조적벽체 내부에는 벽체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수전과 연결되도록 수도 배관이 내장 설치되는 것으로, 이 경우 벽체를 조적하기 이전에 벽체에 내장 설치되는 수도 배관의 위치 제어와 함께 수도 배관을 지지해 주기위한 다양한 형태의 지지수단이 안출, 사용되고 있는 것이었다.
이와 같이 건물의 조적벽체 내에 내설되는 수도 배관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배관 지지수단은, 작업 현장에서 작업자들이 그때그때 철근이나 목재등을 이용하여 각종 형태의 지지대를 현장 제작한 상태에서 이 지지대 상에 수도 배관이 받쳐지도록 하여 수도 배관 작업을 실시하거나 또는 소규모 공사시에는 콘크리트 대못을 이용하여 이 콘크리트 대못에 별도의 결속선을 묶은 상태에서 수도 배관이 결속선에 의해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수전 설치 위치에 대응하는 정해진 위치에 수도 배관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배관을 지지하기 위해 작업 현장에서 그때그때 제작하여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지지대는, 앵커 설치 후 각종 형태로 되는 철근 지지대를 세워 설치하기 위해 지지대 하단부와 앵커에 대한 용접 공정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지지대가 정확한 규정에 의해 제작되는 것이 아니므로 설치될 수전의 높이와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아 수도 배관 공사의 작업성을 해칠 뿐만 아니라 설치된 수도 배관의 수평 및 수직도가 떨어지게 되고, 또한 지지대 상에 얹혀지는 수도 배관에 대한 지지력이 약하게 되어 벽체 조적 시공시 수도 배관의 설치 위치가 변화되게 되어 배관의 뒤틀림 현상 및 편심응력을 발생시켜 배관 라인 전체에 대해 영향을 주게 되므로 배관 라인의 사용 수명을 단축시킴과 동시에 시공 완료된 벽체에 대한 균열의 원인으로 작용하게 되는 등 정밀한 시공이 불가능 하게 되어 부실 공사의 우려가 매우 높은 문제와 아울러 현장에서 제작된 지지대는 일회성에 지나지 않는 것이어서 그만큼 지지대 제작을 위한 자재 및 작업 인력이 요구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각종 건물의 조적벽체에 내설되는 수전 설치용 배관이 정확하게 설계 위치가 유지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여 배관에 작용하는 응력을 최소화 함과 동시에 배관의 하자 발생을 막아 공사비 절감과 함께 보다 효율적으로 배관 설치 공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배관 거치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공자 누구나 손쉽게 배관 거치대를 이용하여 배관의 높이에 따른 수평을 일정하게 맞출수 있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배관 거치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관 거치대를 이용하여 배관을 바닥에서 지지할 수 있고 배관을 벽체에서 지지하여 높이에 따른 수평을 일정하게 맞출 수 있는 배관 거치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물의 벽체 내에 설치되는 배관을 정확한 위치에 수평으로 맞추기 위해 거치하는 배관거치대에 있어서, 큰원형파이프의 상부 일측에 니은자형으로 걸림홈을 형성하고, 상기 큰원형파이프의 상부 공간을 통하여 삽입되는 상,하부가 막힌 작은원형파이프와, 상기 작은원형파이프는 일측 중간에 상기 걸림홈에 끼워져 고정되는 걸림돌기와 상부중앙에 볼트을 형성하고, 상기 볼트에 배관을 고정시킬 수 있는 배관고정구을 설치하며, 하측 내부에 스프링과 가이드판을 삽입하고, 상기 큰원형파이프에 결합된 작은원형파이프의 하단에 밀착되게 스프링과 원형판을 삽입하며, 상기 큰원형파이프의 하단에 중앙에 나사홀이 형성된 파이프막음판을 설치하며, 상기 파이프막음판의 나사홀을 통해 위치고정너트가 체결된 높낮이볼트의 상측이 끼워지게 높낮이조절구가 결합되고, 상기 높낮이조절구의 하측이 고정홀이 형성된 지지판의 중앙 리브와 고정되게 구성되고, 상기 배관거치대의 배관고정구를 배관과 결합하여 바닥면에서 지지하여 상기 배관이 정확한 위치에 수평을 유지하게 맞추고 콘크리트벽으로 부터 조적벽를 타설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관고정구는 하부에 너트을 이룬 상부에 반원형 하부고정편과 상기 하부고정편과 대향되게 상부에 상부고정편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고정편의 양측에 형성된 리브의 홀을 통하여 상기 하부고정편의 양측에 형성된 리브의 볼트홀에 볼트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관고정구는 하부에 너트을 이룬 상부에 반원형 하부고정편과 상기 하부고정편과 대향되게 상부에 상부고정편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고정편과 상부고정편의 일측에는 힌지로 결합되며, 상기 상부고정편의 타측에 형성된 리브의 홀을 통하여 상기 하부고정편의 타측에 형성된 리브의 볼트홀에 볼트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관고정구는 하부에 너트을 이룬 상부에 반원형 하부고정편과 상기 하부고정편과 대향되게 상부에 상부고정편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고정편의 양측 상부에는 내측에 톱니형상을 이룬 결합부와, 상기 상부고정편의 양측 하부에는 외측에 톱니형상을 이룬 결합부를 형성하여 상기 하부고정편의 결합부와 상기 상부고정편의 결합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관고정구는 하부에 너트을 이룬 상부에 반원형 하부고정편과 상기 하부고정편과 대향되게 상부에 상부고정편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고정편과 상부고정편의 일측은 힌지로 결합되고, 상기 상부고정편의 타측은 걸림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고정편의 타측에는 상하로 이동시키수 있도록 힌지 결합된 레버와, 상기 레버에 상기 걸림돌기와 결합되게 연결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각종 건물의 조적벽체에 내설되는 수전 설치용 배관이 정확하게 설계 위치가 유지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여 배관에 작용하는 응력을 최소화 함과 동시에 배관의 하자 발생을 막아 공사비 절감과 함께 보다 효율적으로 배관 설치 공사가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공자 누구나 손쉽게 배관 거치대를 이용하여 배관의 높이에 따른 수평을 일정하게 맞출수 있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관 거치대를 이용하여 배관을 바닥에서 지지할 수 있고 배관을 벽체에서 지지하여 높이에 따른 수평을 일정하게 맞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배관거치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배관거치대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배관거치대에 배관이 설치된 상태의 일부 단면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배관거치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배관거치대에 배관이 설치된 상태의 일부 단면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의 배관거치대의 높낮이조절구 단면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의 배관거치대의 높낮이조절구 단면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배관고정구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배관고정구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배관고정구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배관거치대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배관거치대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배관거치대에 배관이 설치된 상태의 일부 단면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배관거치대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배관거치대에 배관이 설치된 상태의 일부 단면구성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의 배관거치대의 높낮이조절구 단면구성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의 배관거치대의 높낮이조절구 단면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배관고정구 구성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배관고정구 구성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배관고정구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조적용 배관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건물의 조적벽체에 내설되는 수전 설치용 배관이 정확하게 설계 위치가 유지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여 배관에 작용하는 응력을 최소화 함과 동시에 배관의 하자 발생을 막아 공사비 절감과 함께 보다 효율적으로 배관 설치 공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조적용 배관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과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관거치대를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은 건물의 벽체 내에 설치되는 배관(400)을 정확한 위치에 수평으로 맞추기 위해 거치하는 배관거치대(100)에 있어서,
큰원형파이프(10)의 상부 일측에 니은자형으로 걸림홈(11)을 형성하고, 상기 큰원형파이프(10)의 상부 공간을 통하여 삽입되는 상,하부가 막힌 작은원형파이프(20)와, 상기 작은원형파이프(20)는 일측 중간에 상기 걸림홈(11)에 끼워져 고정되는 걸림돌기(21)와 상부중앙에 볼트(22)을 형성하고, 상기 볼트(22)에 배관(400)을 고정시킬 수 있는 배관고정구(30)을 설치하며, 하측 내부에 스프링(40)과 가이드판(41)을 삽입하고, 상기 큰원형파이프(10)에 결합된 작은원형파이프(20)의 하단에 밀착되게 스프링(60)과 원형판(61)을 삽입하며, 상기 큰원형파이프(10)의 하단에 중앙에 나사홀이 형성된 파이프막음판(10a)을 설치하며, 상기 파이프막음판(10a)의 나사홀을 통해 위치고정너트(41)가 체결된 높낮이볼트의 상측이 끼워지게 높낮이조절구(40)가 결합되고, 상기 높낮이조절구(40)의 하측이 고정홀(52)이 형성된 지지판(50)의 중앙 리브(51)와 고정되게 구성된 것이다.
상기 배관거치대(100)의 배관고정구(30)을 배관(400)과 결합하여 바닥면에서 지지하고, 상기 배관거치대(100)의 배관고정구(30)을 배관(400)과 결합하여 벽체에서 지지하여 상기 배관(400)이 정확한 위치에 수평을 유지하게 맞추고 콘크리트벽으로 부터 조적벽를 타설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배관고정구(30)는 하부에 너트(32)을 이룬 상부에 반원형 하부고정편(31)과 상기 하부고정편(31)과 대향되게 상부에 상부고정편(33)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고정편(33)의 양측에 형성된 리브의 홀(33a)을 통하여 상기 하부고정편(31)의 양측에 형성된 리브의 볼트홀(31a)에 볼트(70)가 결합된 것이다.
상기 배관고정구(30)는 하부에 너트(32)을 이룬 상부에 반원형 하부고정편(31)과 상기 하부고정편(31)과 대향되게 상부에 상부고정편(33)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고정편(31)과 상부고정편(33)의 일측에는 힌지(34)로 결합되며, 상기 상부고정편(33)의 타측에 형성된 리브의 홀을 통하여 상기 하부고정편(31)의 타측에 형성된 리브의 볼트홀에 볼트(70)가 결합된 것이다.
상기 배관고정구(30)는 하부에 너트(32)을 이룬 상부에 반원형 하부고정편(31)과 상기 하부고정편(31)과 대향되게 상부에 상부고정편(33)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고정편(31)의 양측 상부에는 내측에 톱니형상을 이룬 결합부(35)와, 상기 상부고정편(33)의 양측 하부에는 외측에 톱니형상을 이룬 결합부(36)를 형성하여 상기 하부고정편(31)의 결합부(35)와 상기 상부고정편(33)의 결합부(36)가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배관고정구(30)는 하부에 너트(32)을 이룬 상부에 반원형 하부고정편(31)과 상기 하부고정편(31)과 대향되게 상부에 상부고정편(33)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고정편(31)과 상부고정편(33)의 일측은 힌지(34)로 결합되고, 상기 상부고정편(33)의 타측은 걸림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고정편(31)의 타측에는 상하로 이동시키수 있도록 힌지 결합된 레버(37)와, 상기 레버(37)에 상기 걸림돌기(39)와 결합되게 연결링(38)이 설치된 것이다.
도 4, 5와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배관거치대를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은 건물의 벽체 내에 설치되는 배관(400)을 정확한 위치에 수평으로 맞추기 위해 거치하는 배관거치대(100)에 있어서,
사각파이프(110)의 상부면 중앙에 볼트(112)를 형성하고, 상기 볼트(112)에 배관(400)을 고정시킬 수 있는 배관고정구(30)을 설치하며, 상기 사각파이프(110)의 하측에 양측면 내측으로 관통되게 고정된 고정핀(111)을 설치하고, 상기 고정핀(111)이 설치된 하측 내부에 스프링(140)과 가이드판(141)을 삽입하고, 상기 사각파이프(110)의 하단에 중앙에 나사홀이 형성된 파이프막음판(110a)을 설치하며, 상기 파이프막음판(110a)의 나사홀을 통해 위치고정너트(122)가 체결된 높낮이볼트(121)의 상측이 끼워지게 높낮이조절구(120)가 결합된 것이다.
상기 배관고정구(30)는 하부에 너트(32)을 이룬 상부에 반원형 하부고정편(31)과 상기 하부고정편(31)과 대향되게 상부에 상부고정편(33)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고정편(33)의 양측에 형성된 리브의 홀(33a)을 통하여 상기 하부고정편(31)의 양측에 형성된 리브의 볼트홀(31a)에 볼트(70)가 결합된 것이다.
상기 배관고정구(30)는 하부에 너트(32)을 이룬 상부에 반원형 하부고정편(31)과 상기 하부고정편(31)과 대향되게 상부에 상부고정편(33)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고정편(31)과 상부고정편(33)의 일측에는 힌지(34)로 결합되며, 상기 상부고정편(33)의 타측에 형성된 리브의 홀을 통하여 상기 하부고정편(31)의 타측에 형성된 리브의 볼트홀에 볼트(70)가 결합된 것이다.
상기 배관고정구(30)는 하부에 너트(32)을 이룬 상부에 반원형 하부고정편(31)과 상기 하부고정편(31)과 대향되게 상부에 상부고정편(33)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고정편(31)의 양측 상부에는 내측에 톱니형상을 이룬 결합부(35)와, 상기 상부고정편(33)의 양측 하부에는 외측에 톱니형상을 이룬 결합부(36)를 형성하여 상기 하부고정편(31)의 결합부(35)와 상기 상부고정편(33)의 결합부(36)가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배관고정구(30)는 하부에 너트(32)을 이룬 상부에 반원형 하부고정편(31)과 상기 하부고정편(31)과 대향되게 상부에 상부고정편(33)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고정편(31)과 상부고정편(33)의 일측은 힌지(34)로 결합되고, 상기 상부고정편(33)의 타측은 걸림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고정편(31)의 타측에는 상하로 이동시키수 있도록 힌지 결합된 레버(37)와, 상기 레버(37)에 상기 걸림돌기(39)와 결합되게 연결링(38)이 설치된 것이다.
상기 배관거치대(100)는 배관(400)을 바닥면에서 지지할 수 있고, 상기 배관거치대(100)는 배관(400)을 벽체에서 지지할 수 있으며, 상기 배관(400)의 높이에 따른 수평을 일정하게 맞출 수 있는 것이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배관거치대를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 6에서 배관거치대의 사각파이프(110)의 상측은 도 4와 동일한 구성이다.
본 발명은 건물의 벽체 내에 설치되는 배관(400)을 정확한 위치에 수평으로 맞추기 위해 거치하는 배관거치대(100)에 있어서,
사각파이프(110)의 상부면 중앙에 볼트(112)를 형성하고, 상기 볼트(112)에 배관(400)을 고정시킬 수 있는 배관고정구(30)을 설치하며, 상기 배관고정구(30)는 상기 볼트(112)와 결합되게 너트(32)을 이룬 상부에 반원형 하부고정편(31)과 상기 하부고정편(31)과 대향되게 상부에 상부고정편(33)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고정편(33)의 양측에 형성된 리브의 홀(33a)을 통하여 상기 하부고정편(31)의 양측에 형성된 리브의 볼트홀(31a)에 볼트(70)가 결합되고, 상기 상기 사각파이프(110)의 상기 사각파이프(110)의 하단에 내부가 암나사(221a)가 형성된 고정체(221)를 고정되게 설치하며, 상기 고정체(221)의 암나사(221a)에 체결되어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하부에 숫나사(220b)와 중앙에 조절손잡이(220a)가 형성된 높낮이조절구(220)를 설치하며, 상기 높낮이조절구(220)의 하부 숫나사(220b)가 체결되도록 내부에 암나사(222a)가 형성된 받침고정체(222)를 결합하는 것이다.
상기 배관거치대(100)의 배관고정구(30)을 배관(400)과 결합하여 바닥면에서 지지하고, 상기 배관거치대(100)의 배관고정구(30)을 배관(400)과 결합하여 벽체에서 지지하여 상기 배관(400)이 정확한 위치에 수평을 유지하게 맞추고 콘크리트벽으로 부터 조적벽를 타설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도 7 내지 도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배관거치대를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 7에서 배관거치대(100)의 사각파이프(110)의 상측은 도 4와 동일한 구성이다.
본 발명은 건물의 벽체 내에 설치되는 배관(400)을 정확한 위치에 수평으로 맞추기 위해 거치하는 배관거치대(100)에 있어서,
사각파이프(110)의 상부면 중앙에 볼트(112)를 형성하고, 상기 볼트(112)에 배관(400)을 고정시킬 수 있는 배관고정구(30)을 설치하며, 상기 사각파이프(110)의 하측에 양측면 내측으로 관통되게 고정된 고정핀(111)을 설치하고, 상기 고정핀(111)이 설치된 하측 내부에 암나사(331)를 이룬 사각부싱(330)을 끼우고, 상기 사각파이프(110)의 하단에 중앙에 홀이 형성된 파이프막음판(110a)을 고정되게 설치하며, 상기 파이프막음판(110a)의 홀을 통해 상기 사각부싱(330)의 암나사(331)에 체결되도록 하측에 조절손잡이(320a)가 형성되고 상측에 숫나사가 형성된 높낮이볼트(321)를 이룬 높낮이조절구(320)가 설치된 것이다.
상기 배관고정구(30)는 하부에 너트(32)을 이룬 상부에 반원형 하부고정편(31)과 상기 하부고정편(31)과 대향되게 상부에 상부고정편(33)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고정편(33)의 양측에 형성된 리브의 홀(33a)을 통하여 상기 하부고정편(31)의 양측에 형성된 리브의 볼트홀(31a)에 볼트(70)가 결합된 것이다.
상기 배관고정구(30)는 하부에 너트(32)을 이룬 상부에 반원형 하부고정편(31)과 상기 하부고정편(31)과 대향되게 상부에 상부고정편(33)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고정편(31)과 상부고정편(33)의 일측에는 힌지(34)로 결합되며, 상기 상부고정편(33)의 타측에 형성된 리브의 홀을 통하여 상기 하부고정편(31)의 타측에 형성된 리브의 볼트홀에 볼트(70)가 결합된 것이다.
상기 배관고정구(30)는 하부에 너트(32)을 이룬 상부에 반원형 하부고정편(31)과 상기 하부고정편(31)과 대향되게 상부에 상부고정편(33)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고정편(31)의 양측 상부에는 내측에 톱니형상을 이룬 결합부(35)와, 상기 상부고정편(33)의 양측 하부에는 외측에 톱니형상을 이룬 결합부(36)를 형성하여 상기 하부고정편(31)의 결합부(35)와 상기 상부고정편(33)의 결합부(36)가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배관고정구(30)는 하부에 너트(32)을 이룬 상부에 반원형 하부고정편(31)과 상기 하부고정편(31)과 대향되게 상부에 상부고정편(33)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고정편(31)과 상부고정편(33)의 일측은 힌지(34)로 결합되고, 상기 상부고정편(33)의 타측은 걸림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고정편(31)의 타측에는 상하로 이동시키수 있도록 힌지 결합된 레버(37)와, 상기 레버(37)에 상기 걸림돌기(39)와 결합되게 연결링(38)이 설치된 것이다.
상기 배관거치대(100)의 배관고정구(30)을 배관(400)과 결합하여 바닥면에서 지지하고, 상기 배관거치대(100)의 배관고정구(30)을 배관(400)과 결합하여 벽체에서 지지하여 상기 배관(400)이 정확한 위치에 수평을 유지하게 맞추고 콘크리트벽으로 부터 조적벽를 타설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조적벽에 매설하는 배관(400)에 배관거치대(100)를 용이하게 고정하여 수평을 맞추어 시공성을 높일 수 있고, 시공자 누구나 손쉽게 배관거치대(100)를 이용하여 배관(400)의 높이에 따른 수평을 일정하게 맞출 수 있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배관거치대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큰원형파이프 11:걸림홈
20:작은원형파이프 21:걸림돌기
22:볼트 30:배관고정구
31:하부고정편 33:상부고정편
40:높낮이조절구 41:위치고정너트
50:지지판 51:리브
52:고정홀 60:스프링
61:원형판 70:볼트
100:배관거치대 110:사각파이프
111:고정핀 112:볼트
110a:파이프막음판 120:높낮이조절구
121:높낮이볼트 122:위치고정너트
140:스프링 141:가이드판
220:높낮이조절구 221:고정체
222:받침고정체 220a:조절손잡이
320:높낮이조절구 321:높낮이볼트
320a:조절손잡이 330:사각부싱
400:배관

Claims (5)

  1. 건물의 벽체 내에 설치되는 배관(400)을 정확한 위치에 수평으로 맞추기 위해 거치하는 배관거치대(100)에 있어서,
    큰원형파이프(10)의 상부 일측에 니은자형으로 걸림홈(11)을 형성하고, 상기 큰원형파이프(10)의 상부 공간을 통하여 삽입되는 상,하부가 막힌 작은원형파이프(20)와, 상기 작은원형파이프(20)는 일측 중간에 상기 걸림홈(11)에 끼워져 고정되는 걸림돌기(21)와 상부중앙에 볼트(22)을 형성하고, 상기 볼트(22)에 배관(400)을 고정시킬 수 있는 배관고정구(30)을 설치하며, 하측 내부에 스프링(40)과 가이드판(41)을 삽입하고, 상기 큰원형파이프(10)에 결합된 작은원형파이프(20)의 하단에 밀착되게 스프링(60)과 원형판(61)을 삽입하며, 상기 큰원형파이프(10)의 하단에 중앙에 나사홀이 형성된 파이프막음판(10a)을 설치하며, 상기 파이프막음판(10a)의 나사홀을 통해 위치고정너트(41)가 체결된 높낮이볼트의 상측이 끼워지게 높낮이조절구(40)가 결합되고, 상기 높낮이조절구(40)의 하측이 고정홀(52)이 형성된 지지판(50)의 중앙 리브(51)와 고정되게 구성되고, 상기 배관거치대(100)의 배관고정구(30)를 배관(400)과 결합하여 바닥면에서 지지하여 상기 배관(400)이 정확한 위치에 수평을 유지하게 맞추고 콘크리트벽으로 부터 조적벽를 타설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거치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고정구(30)는 하부에 너트(32)을 이룬 상부에 반원형 하부고정편(31)과 상기 하부고정편(31)과 대향되게 상부에 상부고정편(33)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고정편(33)의 양측에 형성된 리브의 홀(33a)을 통하여 상기 하부고정편(31)의 양측에 형성된 리브의 볼트홀(31a)에 볼트(70)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거치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고정구(30)는 하부에 너트(32)을 이룬 상부에 반원형 하부고정편(31)과 상기 하부고정편(31)과 대향되게 상부에 상부고정편(33)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고정편(31)과 상부고정편(33)의 일측에는 힌지(34)로 결합되며, 상기 상부고정편(33)의 타측에 형성된 리브의 홀을 통하여 상기 하부고정편(31)의 타측에 형성된 리브의 볼트홀에 볼트(70)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거치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고정구(30)는 하부에 너트(32)을 이룬 상부에 반원형 하부고정편(31)과 상기 하부고정편(31)과 대향되게 상부에 상부고정편(33)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고정편(31)의 양측 상부에는 내측에 톱니형상을 이룬 결합부(35)와, 상기 상부고정편(33)의 양측 하부에는 외측에 톱니형상을 이룬 결합부(36)를 형성하여 상기 하부고정편(31)의 결합부(35)와 상기 상부고정편(33)의 결합부(36)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거치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고정구(30)는 하부에 너트(32)을 이룬 상부에 반원형 하부고정편(31)과 상기 하부고정편(31)과 대향되게 상부에 상부고정편(33)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고정편(31)과 상부고정편(33)의 일측은 힌지(34)로 결합되고, 상기 상부고정편(33)의 타측은 걸림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고정편(31)의 타측에는 상하로 이동시키수 있도록 힌지 결합된 레버(37)와, 상기 레버(37)에 상기 걸림돌기(39)와 결합되게 연결링(38)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거치대.
KR1020120131544A 2012-11-20 2012-11-20 배관 거치대 KR201300017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1544A KR20130001712A (ko) 2012-11-20 2012-11-20 배관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1544A KR20130001712A (ko) 2012-11-20 2012-11-20 배관 거치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4090A Division KR20120106172A (ko) 2011-03-18 2011-03-18 배관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1712A true KR20130001712A (ko) 2013-01-04

Family

ID=47834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1544A KR20130001712A (ko) 2012-11-20 2012-11-20 배관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171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2691A (ko) * 2014-07-25 2016-02-03 장용호 석면함유건축자재의 유지보수를 위한 이동식 보양틀
CN106870825A (zh) * 2017-04-20 2017-06-20 成都亨通兆业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天然气输送管路的支撑结构
CN106996482A (zh) * 2017-04-20 2017-08-01 成都亨通兆业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天然气输送系统的支撑构架
CN114923034A (zh) * 2022-04-08 2022-08-19 陈荣军 一种便于安装和调节的水利工程用管道安装支架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2691A (ko) * 2014-07-25 2016-02-03 장용호 석면함유건축자재의 유지보수를 위한 이동식 보양틀
CN106870825A (zh) * 2017-04-20 2017-06-20 成都亨通兆业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天然气输送管路的支撑结构
CN106996482A (zh) * 2017-04-20 2017-08-01 成都亨通兆业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天然气输送系统的支撑构架
CN114923034A (zh) * 2022-04-08 2022-08-19 陈荣军 一种便于安装和调节的水利工程用管道安装支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01712A (ko) 배관 거치대
KR100733149B1 (ko) 건축천정 설비배관 매달기 레벨조정장치
KR20120106172A (ko) 배관 거치대
KR200457795Y1 (ko) 입상관 층막음 고정구
KR20170011274A (ko) 비계베이스
KR200455260Y1 (ko) 파이프 행거
KR20140021421A (ko) 벽체매립형 수전함과 원형수전구 지지대의 위치조절가능한 고정구조
CN204201296U (zh) 竖向泵管固定架
KR20110050113A (ko) 조립식 배관 트레이
KR20160118556A (ko)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대
KR102039439B1 (ko) 잭베이스 서포터
US2013720A (en) Adjustable support for bathing devices
KR100988270B1 (ko) 슬래브용 레벨러에 방미장용 레벨러를 연결 사용하여 공사단계별 바탕면 마감높이를 표시한 레벨 스페이서 장치
KR101469845B1 (ko) 배관 고정용 지그
KR20160035253A (ko) 수전구 고정대 및 이를 이용한 수전구 시공방법
KR200475758Y1 (ko) 수전 고정대
KR20170036438A (ko) 콘크리트 매립형 인서트
EP3431674A1 (en) Installation device for a sanitary appliance mounting structure and use thereof in a method of installation of a sanitary appliance mounting structure
JP4718361B2 (ja) 床板支持装置及び床板の補強構造
KR102436146B1 (ko) 보일러 배관커버 어셈블리
JP7397700B2 (ja) アンカーボルトの鉛直据付方法
JP2019065514A (ja) 排水管支持具
JP7202849B2 (ja) ユニットルームの架台取付構造
JP2013036286A (ja) ボックスカルバート及びその施工方法
KR20120002954A (ko) 철근 및 행커볼트 고정 기능을 갖는 받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