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5253A - 수전구 고정대 및 이를 이용한 수전구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수전구 고정대 및 이를 이용한 수전구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35253A KR20160035253A KR1020140126603A KR20140126603A KR20160035253A KR 20160035253 A KR20160035253 A KR 20160035253A KR 1020140126603 A KR1020140126603 A KR 1020140126603A KR 20140126603 A KR20140126603 A KR 20140126603A KR 20160035253 A KR20160035253 A KR 2016003525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support plate
- fastening
- hole
- extens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1—Devices for positioning or connecting of water supply line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2—Arrangements on taps for wash-basins or baths for connecting to the wal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전구 고정대에 관한 것으로, 지면에 직립된 상태로 설치되는 받침부와; 일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받침부에 삽입 설치되며 단부에 체결공이 관통 형성된 연장부와; 수도가 연결되는 수전구가 구비되며, 상기 연장부에 형성된 상기 체결공에 나사 체결되어 고정되도록 고정공이 관통 형성된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체결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수전구 고정대를 이용하여 수전구를 나사 체결 및 고정못에 의하여 편리하게 고정시키고, 수전구를 높이 방향 및 폭 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공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인건비를 절감함과 동시에 수전구 고정대를 콘크리트로 양생된 바닥면에 매립된 형태로 고정하지 않으므로 수전구 고정대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건축 자재의 낭비를 방지하고, 수전구의 둘레에 형성되는 사춤 공간이 최소한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전구 고정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전구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전구 고정대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나 주택 등의 세대내 위생배관에서 원수관이 계량기를 통과한 후 이중관공법으로 여러곳의 위생기구 및 수전류의 수전금구(수도꼭지)들과 체결하는 각각의 수전구(수전이음관, 관이음관)가 철근 콘크리트 벽체나 조적벽체에 미리 매설 또는 사전에 설치하는데 이때 수전구의 선단과 상기 벽체의 마감선이 일치 및 수평 하도록 매설 및 사전설치되어야 이후 수전구의 나사에 결합되는 수전금구를 설치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의 수전구는 수전구의 몸체를 벽체에 직접 매설하던가 수전구를 출입하도록 그들의 선단이 거의 일치하게 하여 수전구케이스내에 수전구를 내장 보호되도록 벽체에 매설하는데 종래의 방법으로는 선출원된 등록실용 20-0427623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수전구와 수전구케이스는 그 몸체가 비교적 작아서 벽체내에 매설하기전 고정방법이 마땅하지가 않아 조적벽에 사전설치시(매설)에는 수전구나 수전구케이스 몸체에 고정부를 이형철근으로 별도의 지지대를 가공해서 형성시키고, 고정부에 소정길이로 된 고정대를 결합(용접)하여 콘크리트 벽체 및 슬라브에 고정한후 조적벽에 시공하여 매설하고 있다.
하지만 콘크리트벽체 및 특히 조적벽에 매설 및 사전설치하는 수전구나 수전구케이스는 고정방법이 마땅하지 않어 콘크리트 타설전에는 고정하기위하여, 설치되는 거푸집의 면에 구멍을 가공하여 수전구나 수전구가 내장된 수전구케이스를 거푸집면 구멍에 밀착시킨후 바깥쪽에서 플러그를 채워서 고정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콘크리트가 타설된 후 거푸집을 해체하기전 별도의 인력이 투입하여 플러그를 제거하여야 하므로 공사기간이 길어지고 구멍이 가공된 거푸집은 재사용이 불가능해지는 단점이 있다.
조적벽에 설치하는 수전구는 영구지지대를 바닥면에 고정하여 직립되도록 한 후에 수전구케이스를 영구지지대의 상단에 용접하고, 이를 앞,뒤 흔들리지 않게 하기위해서 사선으로 철근으로 콘크리트 슬라브와 수전구케이스에 한번더 용접하여, 이중으로 지지해야만 함으로써 수구전구를 고정시키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영구지지대에 수전구케이스를 용접에 의하여 고정해야 하므로 시공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수전구를 설치하는 위치를 상하, 좌우 방향으로 가변시킬 수가 없으므로 초기에 영구지지대를 바닥면에 고정시에 신중하게 높이와 폭을 결정한 후에 시공되도록 해야 한다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진(前進)수전구 고정대를 이용하여 수전구를 나사 체결 및 기존 용접고정이 아닌 간편한 고정못에 의하여 편리하게 고정시키고, 수전구를 높이 방향 및 폭 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공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인건비와 타공정간의 간섭의 최소화하여 서로 상생, 품질 및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수전구 고정대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수전구 고정대를 콘크리트로 양생된 바닥면에 매립된 형태로 고정하지 않으므로 수전구 고정대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건축 자재의 낭비를 방지하고, 수전구의 둘레에 형성되는 사춤 공간이 최소한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어, 타공종(방수)과도 상생 및 품질을 높일 수 있는 수전구 고정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전구 고정대는, 지면에 직립된 상태로 설치되는 받침부와; 일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받침부에 삽입 설치되며 단부에 체결공이 관통 형성된 연장부와; 수도가 연결되는 수전구가 구비되며, 상기 연장부에 형성된 상기 체결공에 나사 체결되어 고정되도록 고정공이 관통 형성된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체결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체결공에 삽입되는 체결나사와, 일단이 상기 체결나사의 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가 고정 되도록 하며 타단에 제1너트가 고정 결합된 이음부재와, 상기 제1너트에 체결되는 볼트부재와, 상기 볼트부재를 상기 체결공에 체결시키는 제2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나사가 삽입되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판면에는 양단이 절곡 형성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걸림되는 보조플레이트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트부재가 삽입되는 상기 체결공 주연부의 상기 연장부의 양측면에는 각각 와셔가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지지플레이트가 상기 연장부에 설치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체결공은 상기 연장부의 높이 방향을 따라 세로로 일정 길이를 갖는 장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에 설치되는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폭 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고정공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가로로 일정 길이를 갖는 장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상기 연장부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받침부는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면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받침부는 지면에 고정되는 판상의 받침플레이트와, 상기 받침플레이트의 중앙 영역에서 상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며 상면이 개구 형성된 다각 형상의 돌출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는 상기 돌출부재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돌출부재와 동일한 횡단면을 갖는 다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전구 고정대를 이용한 수전구 시공방법은, 수전구 연결파이프가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지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하는 제1단계와; 상기 받침부를 상기 지면에 고정시키고 상기 받침부에 상기 연장부를 삽입한 후에 상기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 수전구가 구비된 지지플레이트를 체결하는 제2단계와; 상기 수전구 연결파이프를 상기 수전구에 연결하는 제3단계와; 상기 수전구 연결파이프 및 상기 수전구의 주연부에 조적벽체를 세우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하는 제4단계와; 상기 콘크리트의 양생 완료 후에 수전구 고정대를 제거하는 제5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진(前進)수전구 고정대는, 수전구 고정대를 이용하여 수전구를 나사 체결 및 기존 용접고정이 아닌 간편한 고정못 에 의하여 편리하게 고정시키고, 수전구를 높이 방향 및 폭 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공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전구 고정대를 콘크리트로 양생된 바닥면에 매립된 형태로 고정하지 않으므로 수전구 고정대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건축 자재의 낭비를 방지하고, 수전구의 둘레에 형성되는 사춤 공간이 최소한으로 형성하여, 타공종(방수)과도 상생 및 품질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전구 고정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수전구 고정대의 구조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수전구 고정대를 정면에서 바라본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수전구 고정대를 측면에서 바라본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전구 고정대가 콘크리트 벽체에 시공된 구조를 도시한 시공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전구 고정대가 조적벽체에 시공된 구조를 도시한 시공상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전구 고정대를 시공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기재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도 1의 수전구 고정대의 구조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수전구 고정대를 정면에서 바라본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수전구 고정대를 측면에서 바라본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전구 고정대가 콘크리트 벽체에 시공된 구조를 도시한 시공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전구 고정대가 조적벽체에 시공된 구조를 도시한 시공상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전구 고정대를 시공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기재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전구 고정대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전구 고정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수전구 고정대의 구조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수전구 고정대를 정면에서 바라본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수전구 고정대를 측면에서 바라본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전구 고정대가 콘크리트 벽체에 시공된 구조를 도시한 시공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전구 고정대가 조적벽체에 시공된 구조를 도시한 시공상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전구 고정대를 시공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기재한 흐름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전구 고정대은, 지면에 직립된 상태로 설치되는 받침부(100)와, 일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받침부(100)에 삽입 설치되며 단부에 체결공(210)이 관통 형성된 연장부(200)와, 수도와 연결되는 수전구(310)가 구비되며, 연장부(200)에 형성된 체결공(210)에 나사 체결되어 고정되도록 고정공(320)이 관통 형성된 지지플레이트(300)와, 연장부(200)의 단부에 지지플레이트(300)를 체결하는 체결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받침부(100)는 지면에 고정되는 판상의 받침플레이트(110)와, 받침플레이트(110)의 중앙 영역에서 상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며 상면이 개구 형성된 다각 형상의 돌출부재(120)로 구성되어 있다.
받침플레이트(110)는 연장부(200)의 상부에 체결되며 수전구(310)가 구비된 지지플레이트(3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지면과 접촉되는 일정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재(120)는 받침플레이트(110)의 중앙 영역에서 돌출부재(12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로 돌출되어 연장부(200)를 받침부(100)에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돌출부재(120)는 연장부(200)가 삽입된 상태에서 임의로 회전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다각 형상의 횡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전구 고정대의 경우에는 사각 형상의 횡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연장부(200)는 수전구를 일정 높이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높이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된 부재로서 돌출부재(120)에 삽입시에 임의로 회전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돌출부재(120)와 동일한 사각 형상의 횡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연장부(200)의 상부에는 지지플레이트(300)를 연장부(200)의 상부 일측에 체결시킬 수 있도록 하는 체결공(310)이 관통 형성되는데, 체결공(310)은 지지플레이트(300)가 연장부(200)에 설치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연장부(2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세로로 일정 길이를 갖는 장공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결공(310)이 장공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수전구 연결파이프(1)의 높이에 따라 수전구(310)가 구비된 지지플레이트(300)의 설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지지플레이트(300)는 한 쌍의 수전구(310)가 구비된 판상의 부재로서 연장부(200)의 상부 일측에 체결되어 수전구(310)가 일정한 높이에서 지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지지플레이트(300)를 연장부(200)의 상부 일측에 체결시킬 수 있도록 그 판면에는 고정공(320)이 관통 형성되는데, 고정공(320)는 연장부(200)에 설치되는 지지플레이트(300)를 폭 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지지플레이트(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가로로 일정 길이를 갖는 장공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공(320)이 장공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수전구 연결파이프(1)의 단부 위치에 따라 지지플레이트(300)가 연장부(200)의 단부에 체결되는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지지플레이트(300)는 연장부(200)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됨으로써
체결수단(400)은 체결공(210)에 삽입되는 체결나사(410)와, 일단이 체결나사(410)의 단부에 체결되어 지지플레이트(300)가 고정 되도록 하며 타단에 제1너트(421)가 고정 결합된 이음부재(420)와, 제1너트(421)에 체결되는 볼트부재(430)와, 볼트부재(430)를 체결공(210)에 체결시키는 제2너트(4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체결나사(410)는 일반적인 볼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원활한 체결을 위하여 체결나사(410) 머리의 직경은 적어도 체결공(210)의 폭보다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체결나사(410)가 삽입되는 지지플레이트(300)의 판면에는 양단이 절곡 형성되어 지지플레이트(300)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걸림되는 별도의 보조플레이트(450)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보조플레이트(450)에 의하여 장공 형상으로 형성된 체결공(210)의 폭이 변형되어 벌어지게 되더라도 체결나사(410)의 머리가 체결공(210)에서 이탈됨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조플레이트(450)의 양단이 절곡 형성되어 지지플레이트(200)의 양측면과 접촉되어 있으므로 지지플레이트(200)가 일측으로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음부재(420)는 일단의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체결나사(410)와 결합되고, 체결나사(410)와 결합되는 영역의 반대편인 타단에는 제1너트(421)가 고정 결합되어 있다.
제1너트(421)의 직경은 고정공(210)의 폭보다는 크게 형성됨으로써 제1너트(421)의 일측면이 체결공(210)의 주연부와 접촉됨으로써 연장부(200)에 지지플레이트(300)의 체결이 가능하도록 한다.
볼트부재(430)는 제1너트(421)에 체결되어 이음부재(420)의 길이를 더 길게 연장시킴으로써 지지플레이트(300)가 연장부(200)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볼트부재(430)가 제1너트(421)에 체결됨과 동시에 연장부(200)의 체결공에 체결될 수 있도록 볼트부재(430)의 외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볼트 머리는 존재하지 않는 봉 형상의 부재로 형성된다.
볼트부재(430)의 길이는 제2너트(440)를 단부에 체결할 수 있도록 연장부(200)의 체결공(210)을 관통하여 일부가 체결공(21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어야 한다.
그리고, 볼트부재(430)가 삽입되는 체결공(210) 주연부의 연장부(200) 양측면에는 각각 와셔(460)가 구비됨으로써 제2너트(440)를 볼트부재(430)의 단부에 체결시에 연장부(200)의 외면이 손상됨을 방지함과 동시에 지지플레이트(300)를 연장부(200)의 단부에 체결시에 접촉면적이 확장되도록 하여 용이하게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전구 고정구를 이용하여 수전구를 시공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수전구 연결파이프(1)가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지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함으로써 바닥면을 형성한 후에 받침부(100)를 상기 지면에 고정시키고 상기 받침부(100)에 연장부(200)를 삽입한 후에 체결수단(400)을 이용하여 연장부(200)의 단부에 수전구(310)가 구비된 지지플레이트(300)를 체결하게 된다.
지지플레이트(300)를 체결시에 연장부(200)의 단부에 구비된 체결고(210) 및지지플레이트(300)의 판면에 구비된 고정공(310)이 각각 장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지지플레이트(300)가 설치되는 상,하 높이와 좌,우 간격을 조절하게 된다.
상술한 과정에 의하여 수전구 고정대의 설치가 완료되면, 바닥의 상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구비된 수전구 연결파이프(1)와 지지플레이트(300)에 구비된 수전구(310)를 연결하게 된다.
그 후, 상기 수전구 연결파이프(1) 및 상기 수전구(310)의 주연부에 조적벽체를 세우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하고,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수전구 고정대를 해체하여 제거함으로써 수전구 고정대를 이용한 수전구의 시공이 완료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수전구 고정대는 수전구 고정대를 이용하여 수전구를 나사 체결에 의하여 편리하게 고정시키고, 수전구를 높이 방향 및 폭 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공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받침부
110 : 받침플레이트
120 : 돌출부재 200 : 연장부
210 : 체결공 300 : 지지플레이트
310 : 수전구 320 : 고정공
400 : 체결수단 410 : 체결나사
420 : 이음부재 430 : 볼트부재
440 : 제2너트 450 : 보조플레이트
460 : 와셔
120 : 돌출부재 200 : 연장부
210 : 체결공 300 : 지지플레이트
310 : 수전구 320 : 고정공
400 : 체결수단 410 : 체결나사
420 : 이음부재 430 : 볼트부재
440 : 제2너트 450 : 보조플레이트
460 : 와셔
Claims (11)
- 지면에 직립된 상태로 설치되는 받침부(100)와;
일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받침부(100)에 삽입 설치되며 단부에 체결공(210)이 관통 형성된 연장부(200)와;
수도가 연결되는 수전구(310)가 구비되며, 상기 연장부(200)에 형성된 상기 체결공(210)에 나사 체결되어 고정되도록 고정공(320)이 관통 형성된 지지플레이트(300)와;
상기 연장부(200)의 단부에 상기 지지플레이트(300)를 체결하는 체결수단(400)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구 고정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400)은 상기 체결공(210)에 삽입되는 체결나사(410)와, 일단이 상기 체결나사(410)의 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300)가 고정 되도록 하며 타단에 제1너트(421)가 고정 결합된 이음부재(420)와, 상기 제1너트(421)에 체결되는 볼트부재(430)와, 상기 볼트부재(430)를 상기 체결공(210)에 체결시키는 제2너트(44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구 고정대.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나사(410)가 삽입되는 상기 지지플레이트(300)의 판면에는 양단이 절곡 형성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300)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걸림되는 보조플레이트(45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구 고정대.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부재(430)가 삽입되는 상기 체결공(210) 주연부의 상기 연장부(200)의 양측면에는 각각 와셔(46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구 고정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300)가 상기 연장부(200)에 설치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체결공(210)은 상기 연장부(2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세로로 일정 길이를 갖는 장공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구 고정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200)에 설치되는 상기 지지플레이트(300)를 폭 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고정공(310)은 상기 지지플레이트(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가로로 일정 길이를 갖는 장공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구 고정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300)는 상기 연장부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수전구 고정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100)는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구 고정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100)는 지면에 고정되는 판상의 받침플레이트(110)와, 상기 받침플레이트(110)의 중앙 영역에서 상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며 상면이 개구 형성된 다각 형상의 돌출부재(1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구 고정대.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200)는 상기 돌출부재(120)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돌출부재(120)와 동일한 횡단면을 갖는 다각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구 고정대. -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수전구 고정대를 이용한 수전구 시공방법으로서,
수전구 연결파이프(1)가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지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하는 제1단계와;
상기 받침부(100)를 상기 지면에 고정시키고 상기 받침부(100)에 상기 연장부(200)를 삽입한 후에 상기 체결수단(400)을 이용하여 상기 연장부(200)의 단부에 수전구(310)가 구비된 지지플레이트(300)를 체결하는 제2단계와;
상기 수전구 연결파이프(1)를 상기 수전구(310)에 연결하는 제3단계와;
상기 수전구 연결파이프(1) 및 상기 수전구(310)의 주연부에 조적벽체를 세우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하는 제4단계;
상기 콘크리트의 양생 완료 후에 수전구 고정대를 제거하는 제5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구 고정대를 이용한 수전구 시공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26603A KR101623728B1 (ko) | 2014-09-23 | 2014-09-23 | 수전구 고정대 및 이를 이용한 수전구 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26603A KR101623728B1 (ko) | 2014-09-23 | 2014-09-23 | 수전구 고정대 및 이를 이용한 수전구 시공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35253A true KR20160035253A (ko) | 2016-03-31 |
KR101623728B1 KR101623728B1 (ko) | 2016-05-24 |
Family
ID=55651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26603A KR101623728B1 (ko) | 2014-09-23 | 2014-09-23 | 수전구 고정대 및 이를 이용한 수전구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23728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06169B1 (ko) * | 2023-01-07 | 2023-11-23 | 최순자 | 블록적재지그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43915A (ko) | 2022-04-06 | 2023-10-13 | 서세영 | 수전구 포지션 세팅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59505Y1 (ko) * | 1995-08-21 | 1999-10-15 | 이구택 | 배관 누설부 차단장치 |
KR200410775Y1 (ko) * | 2005-12-29 | 2006-03-08 | 성옥 조 | 바닥 또는 벽체에 시공되는 카본 페이퍼를 이용한 마감재 |
KR200449246Y1 (ko) * | 2008-05-27 | 2010-06-25 | 김대식 | 내진용 배관지지가대 |
KR100981455B1 (ko) * | 2010-01-20 | 2010-09-13 | (주)나이스엔테크 | 조적용 수전구 거치대 |
-
2014
- 2014-09-23 KR KR1020140126603A patent/KR10162372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06169B1 (ko) * | 2023-01-07 | 2023-11-23 | 최순자 | 블록적재지그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23728B1 (ko) | 2016-05-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81455B1 (ko) | 조적용 수전구 거치대 | |
KR101623728B1 (ko) | 수전구 고정대 및 이를 이용한 수전구 시공방법 | |
KR20110124476A (ko) | 조립식 트렌치 및 이를 이용한 트렌치 구조 | |
KR20140021421A (ko) | 벽체매립형 수전함과 원형수전구 지지대의 위치조절가능한 고정구조 | |
KR20130001712A (ko) | 배관 거치대 | |
KR101469845B1 (ko) | 배관 고정용 지그 | |
KR20120106172A (ko) | 배관 거치대 | |
KR200475757Y1 (ko) | 수전 고정대 | |
KR20120100553A (ko) | 유로폼 지지파이프 고정장치 | |
KR101114266B1 (ko) | 측벽형 스프링클러 헤드를 설치하기 위한 벽체 관통용 슬리브 | |
KR200486198Y1 (ko) | 전선 배선용 호스 지지구 | |
KR200382026Y1 (ko) | 수전이음쇠의 고정장치 | |
KR101052830B1 (ko) | 석재패널 고정철물 | |
KR20150135000A (ko) | 층상배관용 슬리브지지체 | |
KR101403385B1 (ko) | 건축시설물 배관의 지지가대 고정용 브라켓 | |
KR100737995B1 (ko) | 천장 마감재 설치용 인서트 | |
KR100711588B1 (ko) | 낙하물 방지망 설치구조 | |
KR100619272B1 (ko) | 상하수도 연결관의 높이조정장치 | |
KR101414729B1 (ko) | 건축물의 수전구가 결합된 플레이트 고정장치 | |
CN216280866U (zh) | 一种可承重的暗装深型灯头盒 | |
KR950018994A (ko) | 공동주택의 온돌바닥 시공방법 및 그 장치 | |
KR100904507B1 (ko) | 수전용 벽체 매입형 헤더 | |
KR101066638B1 (ko) | 집합건물용 케이블 배전박스 | |
KR101273598B1 (ko) | 세면기 배수관의 위치 고정장치 | |
JP2012117550A (ja) | 床下配管の立上支持具及びそれを用いた床下配管の立ち上げ支持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