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1085B1 - 카트리지용 도료충전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카트리지용 도료충전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1085B1
KR100391085B1 KR10-2001-7000098A KR20017000098A KR100391085B1 KR 100391085 B1 KR100391085 B1 KR 100391085B1 KR 20017000098 A KR20017000098 A KR 20017000098A KR 100391085 B1 KR100391085 B1 KR 1003910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nt
cartridge
valve
thinner
feed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0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9492A (ko
Inventor
호소다도시오
다케다도모아키
다니신지
도다기미오
모리다카노부
야마자키이사무
Original Assignee
에이비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비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이비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79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9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1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10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21/00Accessories or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19/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3/0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 B05B3/02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 B05B3/1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discharging over substantially the whole periphery of the rotating member, i.e. the spraying being effected by centrifugal forces
    • B05B3/1064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discharging over substantially the whole periphery of the rotating member, i.e. the spraying being effected by centrifugal forces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sprayed being axially supplied to the rotating member through a hollow rotating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14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supplying a selected one of a plurality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r several in selected proportions to a spray apparatus, e.g. to a single spray out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14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supplying a selected one of a plurality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r several in selected proportions to a spray apparatus, e.g. to a single spray outlet
    • B05B12/1463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supplying a selected one of a plurality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r several in selected proportions to a spray apparatus, e.g. to a single spray outlet separate containers for different materials to be sprayed being moved from a first location, e.g. a filling station, where they are fluidically disconnected from the spraying apparatus, to a second location, generally close to the spraying apparatus, where they are fluidically connected to the la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3/0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 B05B3/02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 B05B3/1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discharging over substantially the whole periphery of the rotating member, i.e. the spraying being effected by centrifugal forces
    • B05B3/1092Means for supplying shaping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5/00Electrostatic spraying apparatus; Spraying apparatus with means for charging the spray electrically; Apparatus for spra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other electric means
    • B05B5/025Discharge apparatus, e.g. electrostatic spray guns
    • B05B5/04Discharge apparatus, e.g. electrostatic spray guns characterised by having rotary outlet or deflecting elements, i.e. spraying being also effected by centrifugal forces

Landscapes

  • Electrostatic Spraying Apparatus (AREA)
  • Spray Control Apparatus (AREA)
  • Nozzle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트리지(25)내에 도료를 충전하여 대기중에 도료의 호흡을 행하는 도료충전장치이다. 충전대(52)에 부착한 카트리지(25)의 도료수용실(30)에 도료를 공급, 배출하는 충전밸브(61)와, 압출시너를 시너수용실(31)에 공급, 배출하는 도료호흡밸브(91)를 설치한다. 충전밸브(61)를 배출측으로 전환하여 도료호흡밸브(91)로부터 압출시너를 공급함으로써, 도료수용실(30)내의 도료를 압출한다. 또 충전밸브(61)를 공급측으로 전환하여 도료호흡밸브(91)로부터 압출시너를 배출함으로써, 도료수용실(30)에 도료를 공급한다. 이에 의하여 카트리지(25)내의 도료는 호흡동작을 행하여 도료중의 안료의 분리를 방지한다.

Description

카트리지용 도료충전방법 및 그 장치{CARTRIDGE PAINT-CHARGING METHOD AND DEVICE THEREFOR}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몸체 등의 피도장물을 도장하는 도장장치로서는 회전무화헤드형 도장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 현재로서는 색상교체 작업시에 폐기되는 도료와 용제의 양을 줄일 것과 많은 도색에 대응할 수 있을 것 등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폐기도료, 용제의 삭감, 도색의 증대에 대응한 회전무화헤드형 도장장치로서 예를 들어 일본국 특개평8-229446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이 회전무화헤드형 도장장치는 각 색상마다의 도료가 충전된 카트리지를 자동차의 몸체를 도장할 때마다 교환하여 부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회전무화헤드형 도장장치는 앞쪽이 도장기를 부착하는 도장기부착부가 되고 뒤쪽이 카트리지를 부착하는 카트리지부착부가 되는 하우징과, 회전축을 가지는 에어모터와 이 에어모터의 앞쪽에 위치하여 회전축에 설치된 회전무화헤드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의 도장기부착부에 부착된 도장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 도장기를 구성하는 에어모터의 회전축내에는 전단이 상기 회전무화헤드로 개구하고 후단이 상기 하우징의 카트리지부착부로 개구하는 피드튜브 삽입구멍이 축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장장치에는 하우징의 카트리지부착부에 교환하여 부착하기 위하여 각 색상마다 별개의 카트리지를 구비하고 있다. 이 카트리지는 내부에 도료가 충전되는 봄베와 이 봄베의 선단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신장하는 피드튜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카트리지는 상기 봄베가 하우징의 카트리지부착부내에 교환가능하게 부착됨과 동시에, 피드튜브가 상기 피드튜브 삽입구멍에 삽입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카트리지에는 봄베내를 피드튜브와 연통하는 도료수용실과 압출에어수용실로 획성하는 가동격벽과, 상기 압출에어수용실으로 압출에어를 공급하는 카트리지측 압출에어통로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에는 카트리지측 압출에어통로와 연통하는 하우징측 압출에어통로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하우징측 압출에어통로 및 카트리지측 압출에어통로는 압출에어수용실을 향하여 압출에어를 유통시킴으로써, 가동격벽을 변위시켜 도료수용실내의 도료를 피드튜브로부터 회전무화헤드에 유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회전무화헤드형 도장장치에서는 각 색상의 카트리지로부터 도장에 사용하는 도색의 카트리지를 선택하여 이 카트리지를 하우징의 카트리지부착부에 부착한다. 그리고 카트리지의 압출에어수용실에 에어를 적절히 공급함으로써 카트리지의 도료수용실내의 도료를 피드튜브로부터 회전무화헤드를 향하여 토출한다. 이에 의하여 회전무화헤드는 이 도료를 피도장물을 향하여 분무한다.
또 색상교체를 행하는 경우에는 카트리지를 다른 색상의 카트리지로 교환하는 것만으로 도료, 용제를 폐기하지 않고 색상교체를 행할 수 있다.
한편 도장작업이 종료하여 색상교체작업에 의해 하우징으로부터 떼어내진 카트리지는 도료수용실내의 도료의 잔량이 적어져 있기 때문에 이 카트리지에 도료를 충전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에 도료를 충전할 때에 사용되는 도료충전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종래기술에 의한 카트리지용 도료충전장치는 각 색상마다의 도료순환배관으로부터 신장하는 퀵조인트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료충전장치에 의해 카트리지의 도료수용실내에 도료를 충전하는 경우에는 카트리지를 하우징으로부터 떼어 내어 배치대로 되돌리게 된다. 다음으로, 피드튜브와 별개로 카트리지에 설치된 도료공급구에 퀵조인트를 접속하고, 이 퀵조인트로부터 카트리지내에 도료를 충전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에 의한 카트리지용 도료충전장치에서는 카트리지에 피드튜브와 별개로 도료공급구를 설치하고, 이 도료공급구로부터 도료를 충전하도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카트리지의 구성이 복잡해져 제조비용의 상승을 초래하는 데다가 도료누설의 가능성이 있는 부위가 증가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 카트리지에 설치된 도료공급구에 도료순환배관으로부터 신장하는 퀵조인트를 접속하여 도료의 충전을 행하고 있다. 이 때문에 도료공급구와 퀵조인트의접속작업에 시간을 필요로 하여 작업시간이 증대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카트리지는 다음번 도장에 사용되기 까지는 도료수용실에 도료를 충전한 상태 또는, 도료수용실에 사용되지 않은 도료가 남은 상태에서 다음번의 도장작업의 순서를 기다리고 있다. 이 때문에 도장대기상태가 계속되면 카트리지내의 도료에 포함된 안료가 분리되어 침강하는 경우가 있고, 특히 알루미늄편, 운모편 등의 안료는 단시간중에 분리하여 침강한다.
이 결과, 도료수용실내의 도료는 안료의 균일한 분산이 손상되기 때문에 이 도료를 도장하였을 때에 도장면에 색상얼룩 등이 생겨 도장품질이 저하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 분리하여 침강한 안료가 피드튜브 등의 도료통로를 폐쇄하는 경우가 있어 도료통로로서 기능하지 않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각 색상마다의 카트리지를 교환하여 사용하는 도장장치의 카트리지에 도료를 충전하는 데 적합하게 사용되는 카트리지용 도료충전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도료충전장치를 회전무화헤드형 도장장치 및 도장용 로봇 등과 함께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회전무화헤드형 도장장치를 나타내는 확대 종단면도,
도 3은 카트리지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4는 도 2에 있어서의 도료밸브, 시너밸브, 급속이음매 등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요부 확대 종단면도,
도 5는 도 4에 있어서의 급속이음매를 폐쇄상태로 확대하여 나타내는 요부 확대 종단면도,
도 6은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도료충전장치를 카트리지와 함께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7은 도 6에 있어서의 접속부재, 코일스프링, 피드튜브 등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요부 확대 종단면도,
도 8은 도 6에 있어서의 도료충전장치를 카트리지를 장착하기 전의 상태에서 확대하여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9는 도료충전장치를 카트리지내의 도료를 배출하고 있는 상태로 나타내는 도 8과 동일한 종단면도,
도 10은 도료충전장치를 카트리지에 도료를 공급하고 있는 상태로 나타내는 도 8과 동일한 종단면도,
도 11은 도료충전장치를 카트리지에 시너를 공급하고 있는 상태로 나타내는 도 8과 동일한 종단면도,
도 12는 도료충전장치를 카트리지내의 시너를 배출하고 있는 상태로 나타내는 도 8과 동일한 종단면도,
도 13은 비교적 도장빈도가 높은 전용색상의 도료를 충전하는 도료충전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14는 비교적 도장빈도가 낮은 도료를 충전하는 도료충전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15는 비교적 도장빈도가 높은 전용색상의 도료를 충전하는 도료충전장치로 카트리지에 도료를 충전할 때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임챠트,
도 16은 비교적 도장빈도가 높은 전용색상의 도료를 충전하는 도료충전장치로 카트리지 등을 시너로 세정할 때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임챠트,
도 17은 비교적 도장빈도가 낮은 도료를 충전하는 도료충전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임챠트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카트리지의 구성을 간략화함과 동시에 카트리지에 대한 도료충전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한 카트리지용 도료충전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장대기중에 카트리지내의 도료중의 안료가 분리되어 침강하는 것을 방지하여 도장품질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한 카트리지용 도료충전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한 카트리지용 도료충전방법은가동격벽에 의해 도료수용실과 압출액체수용실로 구획된 카트리지에 도료를 충전하는 카트리지용 도료충전방법으로서, 상기 카트리지를 사용한 다음번의 도장작업까지 시간이 있는 도장대기상태의 경우, 상기 카트리지내의 가동격벽이 도료의 흡입동작과 압출동작을 반복하여 카트리지의 도료수용실과 도료공급원 사이에서 도료를 호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카트리지를 사용한 다음번의 도장작업까지 시간이 있는 도장대기상태의 경우에는 카트리지내의 가동격벽에 의해 도료의 흡입동작과 압출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이들 사이에서 도료를 호흡하여 도료중의 안료가 분리되어 침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관한 카트리지용 도료충전장치는 봄베와 이 봄베로부터 축방향으로 신장한 피드튜브에 의해 구성되고, 이 봄베내가 가동격벽에 의해 상기 피드튜브와 연통하는 도료수용실과, 압출액체가 유출입하는 압출액체수용실로 구획된 카트리지에 도료를 충전하기 위하여 상기 피드튜브의 선단을 도료공급원에 접속하는 접속부재와, 상기 봄베의 압출액체수용실과 접속되고 상기 압출액체수용실으로 압출액체를 공급, 배출함으로써, 상기 카트리지의 도료수용실내의 도료를 상기 도료공급원 사이에서 압출, 흡입을 행하는 도료호흡수단에 의해 구성한 데에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도장작업이 종료하면 카트리지의 피드튜브 선단을 접속부재를 개재하여 도료공급원에 접속하고, 도료호흡수단에 의해 카트리지의 압출액체수용실내의 압출액체를 배출함으로써, 도료공급원으로부터 접속부재 및 피드튜브의 선단을 개재하여 카트리지의 도료수용실에 도료를 흡입한다.
이와 같이 도료의 충전이 행하여진 카트리지는 다음번의 도장작업까지 대기시간이 있는 경우에는 도료호흡수단은 카트리지의 압출액체수용실으로 압출액체를 공급하여 카트리지의 도료수용실내의 도료를 피드튜브를 개재하여 도료공급원으로 압출한다. 또 도료호흡수단이 카트리지의 압출액체수용실내의 압출액체를 배출하면 카트리지의 도료수용실에 도료를 흡입한다.
따라서 도장대기상태에서는 도료호흡수단은, 도료공급원으로부터 도료수용실로 도료를 흡입하는 동작과 도료수용실내의 도료를 도료공급원으로 압출하는 동작을 반복하는 호흡동작을 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카트리지용 도료충전장치는 봄베와 이 봄베로부터 축방향으로 신장한 피드튜브에 의해 구성되고, 이 봄베내가 가동격벽에 의해 상기 피드튜브와 연통하는 도료수용실과 압출액체가 유출입하는 압출액체수용실로 구획된 카트리지에 도료를 충전하기 위하여 상기 카트리지의 피드튜브가 삽입되는 피드튜브 삽입구멍이 축방향으로 신장하여 설치되고, 개구측이 상기 봄베를 지지하는 봄베지지부가 된 충전대와, 상기 피드튜브 삽입구멍보다도 안쪽부에 위치하여 상기 충전대에 설치되고 상기 피드튜브의 선단을 도료공급원에 연속해 있는 도료통로와 접속하는 접속부재와, 상기 도료통로를 개재하여 상기 접속부재에 접속하여 설치되어 상기 도료통로를 연통, 차단하는 충전밸브와, 상기 충전대에 설치되고 상기 봄베지지부에 의해 상기 봄베를 지지하였을 때에 상기 압출액체수용실과 접속되는 압출액체급배통로와, 이 압출액체급배통로에 접속하여 설치되어 상기 충전밸브에 의해 도료통로를 연통한 상태에서 상기 압출액체수용실으로 압출액체를 공급, 배출함으로써 상기 카트리지의 도료수용실내의 도료를 상기 도료공급원과의 사이에서 압출, 흡입을 행하는 도료호흡수단에 의해 구성한 데에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카트리지는 카트리지용 도료충전장치의 충전대에 형성된 봄베지지부에 부착하고, 그 피드튜브를 피드튜브 삽입구멍에 삽입하여 상기 피드튜브의 선단을 접속부재에 끼워맞춘다. 이 상태에서 도료호흡수단에 의해 카트리지의 압출액체수용실내의 압출액체를 배출함으로써, 도료공급원으로부터 도료수용실로 도료를 흡입한다.
또 다음번의 도장작업까지 대기시간이 있는 경우에는, 도료호흡수단은 카트리지의 압출액체수용실으로 압출액체를 공급함으로써, 카트리지의 도료수용실내의 도료를 도료공급원으로 압출하거나 카트리지의 압출액체수용실내의 압출액체를 배출함으로써, 카트리지의 도료수용실로 도료를 흡입한다.
따라서 도장대기상태에서는 도료호흡수단은 도료공급원과 도료수용실 사이에서 호흡동작을 함으로써 도료를 상시 유동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사용하는 접속부재는 충전대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접속부재와 충전대 사이에는 접속부재를 피드튜브를 향하여 가세하는 스프링부재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한 데에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카트리지를 충전대에 부착하면 피드튜브의 선단이 접속부재에 끼워맞춰진다. 이 때에 접속부재는 피드튜브의 선단위치에 맞추어 축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접속부재는 스프링부재에 의해 피드튜브에 가압되어 피드튜브 선단에 확실하게 끼워맞춰진다.
또 본 발명에 사용하는 충전밸브는 도료공급원과 접속되는 도료유입구와, 이도료유입구를 접속부재에 접속하는 도료유출구와, 이 도료유출구를 세정액체 공급원에 접속하는 세정액체 공급구와, 상기 도료유출구를 드레인측에 접속하는 세정액체 배출구와, 상기 도료유입구를 연통 및 차단하는 도료급배 밸브와, 상기 세정액체 공급구를 연통 및 차단하는 세정액체 공급밸브와, 상기 세정액체 배출구를 연통 및 차단하는 세정액체 배출밸브에 의해 구성한 데에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도료급배 밸브가 도료유입구를 차단하고 세정액체 공급밸브가 세정액체 공급구를 연통한 상태에서는, 접속부재가 세정액체 공급밸브를 개재하여 세정액체 공급원에 접속되므로, 도료호흡수단은 압출액체수용실내의 압출액체를 배출함으로써 세정액체 공급원으로부터 카트리지의 도료수용실로 세정유체를 흡입한다.
한편, 세정액체공급 밸브가 세정액체 공급구를 차단하고, 세정액체 배출밸브가 세정액체 배출구를 연통한 상태에서는 접속부재가 세정액체 배출밸브를 개재하여 드레인측에 접속되므로, 도료호흡수단은 압출액체수용실으로 압출액체를 공급함으로써 카트리지의 도료수용실내의 세정액체를 세정액체공급원으로 압출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도료수용실에 대하여 세정액체의 흡입 및 압출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상기 도료수용실, 피드튜브 등을 세정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사용하는 도료호흡수단은 압출액체공급원과 접속되는 압출액체공급구와, 압출액체저류탱크와 접속되는 압출액체배출구와, 압출액체급배통로에 접속되는 압출액체호흡구와, 이 압출액체호흡구를 상기 공급구 또는 배출구로 전환하는 전환밸브에 의해 구성한 데에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카트리지의 도료수용실에 도료를 충전할 때에는 전환밸브는 압출액체급배통로를 압출액체배출구로 전환하면, 카트리지의 압출액체수용실은 압출액체저류탱크에 접속되므로, 도료는 도료공급원측의 공급압력에 의해압출액체수용실로부터 압출액체를 배출하면서 도료수용실내로 흡입된다.
한편 전환밸브가 압출액체급배통로를 압출액체공급구에 접속한 때에는 카트리지의 압출액체수용실은 압출액체공급원에 접속되므로, 압출액체가 압출액체수용실에 공급되고, 이 압출액체에 의해 도료수용실내에 쌓여져 있는 도료를 도료공급원측으로 압출한다.
한편 접속부재에는 피드튜브의 선단을 위치결정하는 피드튜브 위치결정부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피드튜브의 선단을 접속부재에 끼워맞출 때에는 피드튜브 위치결정부에 의해 피드튜브의 선단을 접속부재에 대하여 위치결정할 수있다.
또 충전대의 봄베지지부에는 카트리지의 봄베 앞면측이 걸어맞춰짐으로써 상기 봄베를 위치결정하는 봄베 위치결정부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카트리지를 충전대의 봄베지지부에 부착하였을 때에는 카트리지의 봄베 앞전면측이 봄베 위치결정부에 걸어맞춰지기 때문에 이 봄베를 봄베지지부의 소정위치에 위치결정할 수 있다.
또한 충전대의 봄베지지부에는 카트리지의 봄베와의 사이에서 획성되는 음압공간을 설치하고, 충전대에는 상기 음압공간으로 개구하는 에어흡인통로를 설치하여 이 에어흡인통로를 경유하여 상기 음압공간내의 에어를 흡인함으로써 봄베지지부에 대하여 봄베를 고정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충전대의 봄베지지부에 카트리지의 봄베를 끼워맞춘다. 이 상태에서 봄베지지부와 카트리지의 봄베와의 사이에서 획성되는 음압공간내의 에어를 에어흡인통로를 경유하여 흡인함으로써, 카트리지를 끌어 당겨 봄베지지부에 대하여 카트리지를 고정할 수 있다. 또 카트리지를 떼어 내는 경우에는 음압공간내에 에어를 공급함으로써 음압상태를 해제하여 카트리지를 충전대로부터 떼어 낼 수 있다.
또한 충전대에는 카트리지에 설치된 도료밸브에 파일럿에어를 공급하는 파일럿에어통로를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도료를 충전할 때에는 파일럿에어통로를 경유하여 파일럿에어를 공급한다. 이에 의하여 카트리지내의 도료밸브가 개방되기 때문에 피드튜브내의 통로를 거쳐 도료를 충전할 수 있다. 또 도료의 충전작업이 종료하면 파일럿에어의 공급을 중단한다. 이에 의하여 도료밸브가 폐쇄되기 때문에 피드튜브로부터의 도료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카트리지용 도료충전방법 및 그 장치를, 회전무화헤드형 도장장치에 교환 가능하게 부착되는 카트리지에 도료를 충전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 1 내지 도 17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1은 도장작업기가 되는 도장용 로봇이고, 이 도장용 로봇(1)은 기초대(2)와, 이 기초대(2)상에 회전가능하고 또한 요동가능하게 설치된 수직아암(3)과, 이 수직아암(3)의 선단에 요동가능하게 설치된 수평아암(4)과, 이 수평아암(4)의 선단에 설치된 손목(5)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11은 도장용 로봇(1)에 설치된 회전무화헤드형 도장장치[이하, 도장장치(11)라 함]이고, 이 도장장치(11)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뒤에서 설명하는 하우징(12), 피드튜브 삽입구멍(17, 24), 도장기(18), 카트리지(25), 도료밸브(35), 시너밸브(43) 등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12는 예를 들어 PTFE, PEEK, PEI, POM, PI, PET 등의 고기능 수지재료(엔지니어링플라스틱)에 의해 형성되고, 손목(5)의 선단에 부착된 하우징이고, 이 하우징(12)은 도장용 로봇(1)의 손목(5) 선단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네크부(13)와, 이 네크부(13)의 선단에 일체로 형성된 헤드부(14)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헤드부(14)의 앞쪽에는 도장기부착부(15)가 오목한 둥근통형상으로 형성되고, 또 헤드부(14)의 뒤쪽에는 카트리지부착부(16)가 오목한 둥근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카트리지부착부(16)의 바닥부(16A)에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雌)접속부(16B)와 수(雄)접속부(16C)가 별개로 형성되고, 이 암접속부 (16B)에는 뒤에서 설명하는 봄베(26)의 수접속부(26A)가 끼워맞춰지고, 수접속부 (16C)에는 봄베(26)의 암접속부(26B)가 끼워맞춰진다. 그리고 카트리지부착부(16)의 암접속부(16B), 수접속부(16C)는 봄베(26)를 상기 카트리지부착부(16)에 부착할 때에 상기 봄베(26)를 둘레방향에 위치결정하는 것이다.
17은 헤드부(14)의 도장기부착부(15)와 카트리지부착부(16) 사이에 연통하여 설치된 하우징측 피드튜브 삽입구멍이고, 이 하우징측 피드튜브 삽입구멍(17)은 그 앞쪽이 작은 지름의 피드튜브삽입부(17A)가 되고, 뒤쪽이 원뿔형상으로 지름이 축소된 원뿔형상 지름축소부(17B)로 되어 있다. 여기서 피드튜브 삽입부(17A)는 뒤에서 설명하는 도장기측 피드튜브 삽입구멍(24)과 동일한 축에 형성되어 있다. 또원뿔형상 지름축소부(17B)는 뒤에서 설명하는 카트리지(25)의 원뿔형상 볼록부(27)가 접촉하여 끼워맞춰지고, 이것을 축방향, 지름방향에 위치결정하는 것이다.
18은 헤드부(14)의 도장기부착부(15)내에 설치된 도장기이고, 이 도장기(18)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케이스(19A), 회전축(19B), 에어터어빈(19C) 및 에어베어링(19D)으로 이루어지는 에어모터(19)와, 이 에어모터(19)에 의해 회전되어 공급된 도료를 원심무화하고 미립화하여 피도장물을 향하여 분무하는 회전무화헤드(20)와, 상기 에어모터(19)의 전단(前端)측에 설치된 세이핑에어링(21)으로 대략 구성되어 있다. 또 세이핑에어링(21)에는 그 바깥 둘레측에 다수의 세이핑에어분출구멍(21A, 21A)이 앞쪽을 향하여 뚫려 있다. 이 세이핑에어 분출구멍(21A)은 회전무화헤드(20)의 방출끝 가장자리를 향하여 세이핑에어를 분출하고, 상기 회전무화헤드(20)로부터 방출된 도료입자의 패턴성형을 행하는 것이다.
22는 하우징(12)의 네크부(13)에 설치된 고전압발생기이고, 이 고전압발생기 (22)는 예를 들어 콕크로프트회로에 의해 구성되고, 전원장치(도시 생략)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60 내지 -120kV로 승압하는 것이다. 그리고 고전압발생기(22)의 출력측은 예를 들어 에어모터(19)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이에 의하여 고전압발생기(22)는 에어모터(19)의 회전축(19B)을 개재하여 회전무화헤드(20)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도료에 직접 대전시킨다.
23은 하우징(12)의 네크부(13)에 설치되고, 제어에어원(도시 생략)에 접속된 복수개의 에어통로이며, 이 각 에어통로(23)는 에어모터(19)을 제어하기 위한 터어빈에어, 베어링에어, 브레이크에어, 도료의 분무패턴을 성형하기 위한 세이핑에어 등을 공급하는 것이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대표적으로 1개의 에어통로만을 나타내고 있다.
24는 에어모터(19)를 구성하는 회전축(19B)의 축방향을 관통하여 설치된 도장기측 피드튜브 삽입구멍이고, 이 도장기측 피드튜브 삽입구멍(24)의 기초단측은 하우징측 피드튜브 삽입구멍(17)의 피드튜브 삽입부(17A)로 개구하고, 선단측은 회전무화헤드(20)내로 개구하고 있다. 또 도장기측 피드튜브 삽입구멍(24)은 하우징측 피드튜브 삽입구멍(17)의 피드튜브삽입부(17A)와 동일한 축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피드튜브 삽입구멍(17, 24)에는 카트리지(25)의 피드튜브(28)가 삽입 이탈가능하게 삽입된다.
25a, 25b, …25n 및 25p는 a 색상, b 색상, …n 색상 및 그 밖의 도료를 개별로 쌓아 회전무화헤드(20)를 향하여 공급하기 위한 카트리지[이하, 전체로서 카트리지(25)라 함)이다. 그리고 이 각 카트리지(25)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뒤에서 설명하는 봄베(26)와, 이 봄베(26)의 전단면에 설치된 원뿔형상 볼록부(27)와, 이 원뿔형상 볼록부(27)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출하여 설치된 피드튜브(28)와, 상기 봄베(26)내에 설치된 가동격벽으로서의 피스톤(29)과, 압출액체로서의 시너를 공급하는 카트리지측 시너통로(32)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a 색상, b 색상, …n 색상의 도료는 비교적 도장빈도가 높은 전용색이 되는 것으로, 한 색마다 전용의 카트리지(25a, 25b, …25n)를 가지고 있다. 한편 그 외의 도료가 되는 r 색상, s 색상, …z 색상의 도료는 비교적 도장빈도가 낮은 것으로 1개의 카트리지(25p)를 공용하고 있다.
26은 카트리지(25)의 본체를 이루는 봄베이고, 이 봄베(26)는 하우징(12)과 동일한 고기능 수지재료 등으로 이루어져 카트리지부착부(16)에 삽입, 이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지름치수를 가진 통형상체(실린더)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 봄베(26)의 앞면에는 카트리지부착부(16)의 암접속부(16B)에 대응한 위치에 수접속부(26A)가 설치되고, 카트리지부착부(16)의 수접속부(16C)에 대응한 위치에 암접속부(26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봄베(26)의 후부에는 카트리지(25)를 교환할 때에 파지되는 파지돌기(26C)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수접속부(26A), 암접속부(26B)는 봄베(26)를 도장장치(11)의 카트리지부착부(16)에 부착할 때에 상기 봄베(26)를 둘레방향에 위치결정하는 것이다. 또 수접속부(26A), 암접속부(26B)는 봄베(26)를 뒤에서 설명하는 도료충전장치(51)의 봄베지지부(57)에 부착할 때에도 상기 봄베(26)를 둘레방향에 위치결정한다.
27은 봄베(26)의 앞면측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원뿔형상 볼록부이며, 이 원뿔형상 볼록부(27)는 카트리지(25)의 봄베(26)를 도장장치(11)의 카트리지부착부(16)에 부착한 상태로 원뿔형상 지름축소부(17B)에 접촉하여 걸어맞추고 봄베(26)를 축방향, 지름방향에 위치결정하는 것이다. 또 원뿔형상 볼록부(27)는 카트리지(25)를 도료충전장치(51)의 봄베지지부(57)에 부착한 때에도 상기 봄베지지부(57)에 형성된 원뿔형상 지름축소부(56A)에 접촉하여 걸어맞추어 카트리지(25)의 봄베(26)를 축방향, 지름방향에 위치결정한다.
또 28은 원뿔형상 볼록부(27)의 선단측에 설치된 피드튜브이고, 이 피드튜브 (28)내에는 동일한 축으로 신장하는 도료공급로(28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료공급로(28A)의 기초끝측은 뒤에서 설명하는 도료수용실(30)에 접속되고, 선단측은 회전무화헤드(20)를 향하여 개구하고 있다. 또 피드튜브(28)의 선단 안 둘레측에는 도료공급로(28A)를 지름을 축소하여 밸브시이트부(28B)가 설치되고, 이 밸브시이트부(28B)에는 뒤에서 설명하는 도료밸브(35)의 밸브체(35B)가 이탈 또는 고정된다. 또한 피드튜브(28)의 선단 바깥 둘레측에는 선단측을 향하여 점차 지름이 축소되어 원뿔형상 볼록면(28C)이 형성되고, 이 원뿔형상 볼록면(28C)은 뒤에서 설명하는 접속부재(59)의 원뿔형상 오목면(59C)에 접촉하여 걸어맞추어 피드튜브(28)의 선단을 상기 접속부재(59)의 중앙에 위치결정한다. 또한 피드튜브(28)의 길이 치수는 카트리지(25)를 하우징(12)의 카트리지부착부(16)에 설치한 상태에서 그 선단이 회전무화헤드(20)내로 연장하는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피드튜브(28)는 도료수용실(30)로부터 공급되는 도료를 도료공급로 (28A)내에서 유통하고, 이 도료공급로(28A)의 선단으로부터 회전무화헤드(20)를 향하여 유출하는 것이다. 또 피드튜브(28)는 도료수용실(30)내에 도료를 충전하는 경우에는 그 선단을 접속부재(59)에 접속함으로써 도료의 충전구로서 이용된다.
한편, 29는 봄베(26)내에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 피스톤이며, 이 피스톤(29)은 봄베(26)내를 피드튜브(28)의 도료공급로(28A)에 연통로(30A)를 개재하여 연통하는 도료수용실(30)과, 압출액체로서의 시너를 수용하는 시너수용실 (31)로 획성하고 있다.
32는 카트리지측 시너통로이고, 이 카트리지측 시너통로(32)는 봄베(26)의 바깥 둘레측을 축방향으로 신장하여 설치되며, 그 한쪽 끝은 봄베(26)의 수접속부(26A) 선단면에 개구하고, 다른쪽 끝은 시너수용실(31)과 연통하고 있다. 그리고 카트리지측 시너통로(32)는 시너수용실(31)내에 시너를 공급함으로써 피스톤(29)을 피드튜브(28)측으로 밀어 이동하고, 이에 의하여 피스톤(29)은 도료수용실(30)내에 충전된 도료를 회전무화헤드(20)를 향하여 압출한다.
또한 압출액체로서의 시너는 고전압발생기(22)에 의한 고전압이 상기 시너를 통하여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절연성 또는 전기저항이 높은 것이 사용되고 있다. 또 압출액체로서 시너를 사용함으로써 이 시너는 피스톤(29)이 변위할 때에 봄베(26)의 내벽에 도료가 건조하여 고착하는 것을 방지하고 봄베(26)의 내벽을 항상 습윤상태로 유지한다. 이에 의하여 피스톤(29)과 봄베(26)의 내벽 사이의 마찰저항이 안정되어 피스톤(29)을 원활하게 밀어 이동할 수 있다. 또 피스톤(29)과 봄베(26)의 내벽 사이의 밀봉성도 향상할 수 있다.
33은 봄베(26)의 수접속부(26A)내에 위치하여 카트리지측 시너통로(32)의 개구끝에 설치된 급속이음매이고, 이 급속이음매(33)는 상기한 봄베(26)의 수접속부 (26A)를 포함하여 체크밸브로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급속이음매(33)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접속부(26A)와 선단이 상기 수접속부(26A)로부터 돌출한 단붙임 원주형상의 밸브체(33A)와, 이 밸브체(33A)를 돌출방향으로 가세하는 코일스프링(33B)과, 상기 밸브체(33A)의 바깥 둘레측에 설치되어 수접속부(26A)와의 사이를 밀봉하는 고무 등의 탄성링(33C)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급속이음매(33)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부착부(16)에 카트리지(25)를 부착하고, 암접속부(16B)에 수접속부(26A)를 끼워맞추게 하였을 때에 밸브체(33A)의 선단이 암접속부(16B)의 바닥부에 접촉하여 밸브개방하고, 카트리지측 시너통로(32)를 뒤에서 설명하는 하우징측 시너통로(37)와 연통하여 시너의유통을 허용한다.
한편,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부착부(16)로부터 봄베(26)를 떼어 내어 수접속부(26A)가 암접속부(16B)로부터 이탈한 때에는 코일스프링(33B)에 의해 밸브체(33A)를 탄성링(33C)에 가압하여 카트리지측 시너통로(32)를 폐쇄하여 이 시너통로(32)로부터 시너가 유출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이 급속이음매(33)의 개폐동작은 카트리지(25)를 뒤에서 설명하는 충전대(52)의 봄베지지부(57)에 착탈한 경우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34는 봄베(26)내에 설치된 도료밸브수용부이고, 이 도료밸브수용부(34)는 피드튜브(28)와 도료수용실(30) 사이에 위치하여 봄베(26)내의 축중심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35는 도료밸브수용부(34)에 설치된 도료밸브이고, 이 도료밸브(35)는 도료밸브수용부(34)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 피스톤부(35A)와, 기초끝측이 상기 피스톤부(35A)에 부착되고, 선단측이 피드튜브(28)의 도료공급로(28A)내를 신장하고그 선단부가 밸브시이트부(28B)에 이탈 또는 고정되는 길이가 긴 밸브체(35B)와, 상기 피스톤부(35A)를 개재하여 상기 밸브체(35B)가 밸브시이트부(28B)에 고정되도록 가세하는 밸브스프링(35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 피스톤부(35A)는 도료밸브수용부(34)를 상기 밸브스프링(35C)을 수용하는 스프링실(35D)과, 파일럿에어가 유입하는 수압실(35E)로 획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도료밸브(35)는 에어파일럿식 전환밸브로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료밸브(35)는 상시는 밸브스프링(35C)의 가세력에 의해 밸브체(35B)가 피드튜브(28)의 밸브시이트부(28B)에 고정되어 도료공급로(28A)를 차단하여 회전무화헤드(20)에 대한 도료의 공급을 정지하고 있다. 한편 도료밸브용 파일럿에어원으로부터 파일럿에어배관(모두 도시 생략), 하우징측 파일럿에어통로(38),카트리지측 파일럿에어통로(36)를 경유하여 수압실(35E)에 파일럿에어가 공급되었을 때에는 밸브스프링(35C)에 저항하여 밸브체(35B)가 밸브시이트부(28B)로부터 이탈하여 회전무화헤드(20)에 대하여 도료수용실(30)내의 도료의 공급을 행하는 것이다. 여기서 파일럿에어통로(36)는 한쪽 끝이 봄베(26)의 암접속부(26B) 안 둘레면에 개구하고, 다른쪽 끝이 도료밸브(35)의 수압실(35E)과 연통하고 있다.
다음으로, 37은 하우징(12)에 설치된 하우징측 시너통로이고, 이 시너통로 (37)는 네크부(13)내를 축방향으로 신장하여 암접속부(16B)의 위치에서 뒤쪽으로 굴곡된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측 시너통로(37)는 한쪽 끝이 시너공급장치(도시 생략)에 접속되고, 다른쪽 끝이 카트리지부착부(16)의 암접속부 (16B) 바닥부에 개구하고 있다. 또 하우징측 시너통로(37)의 굴곡부위는 뒤에서 설명하는 시너밸브(43)의 밸브체(43B)가 이탈 또는 고정하는 밸브시이트부(37A)로 되어있다.
38은 하우징(12)에 설치된 하우징측 파일럿에어통로이고, 이 파일럿에어통로 (38)는 그 한쪽 끝이 파일럿에어배관을 개재하여 도료밸브용 파일럿에어원(모두 도시 생략)에 접속되어 있다. 또 파일럿에어통로(38)의 다른쪽 끝은 카트리지측 파일럿에어통로(36)에 대응하도록 카트리지부착부(16)의 바닥부(16A)에 설치된 수접속부(16C)의 둘레면으로 개구하고 있다.
39는 하우징(12)에 설치되고, 카트리지부착부(16)의 바닥부(16A)에 개구한 에어흡인통로이며, 이 에어흡인통로(39)는 음압배관을 개재하여 음압발생원(모두 도시 생략)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에어흡인통로(39)는 카트리지부착부(16)의 안쪽부에 위치하여 카트리지(25)의 봄베(26) 사이에서 획성되는 음압공간(40)(도 4중에 도시)의 에어를 흡인함으로써, 카트리지(25)를 끌어 당겨 카트리부착부(16)에 대하여 고정한다.
또 41은 하우징(12)에 설치되고, 카트리지부착부(16)의 바닥부(16A)에 개구한 떼어 냄 에어 공급통로이고, 이 떼어 냄 에어 공급통로(41)는 에어배관을 거쳐 떼어 냄용 에어원(모두 도시 생략)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떼어 냄 에어 공급통로 (41)는 음압공간(40)에 떼어 냄 에어를 공급함으로써 카트리지부착부(16)에 대한 카트리지(25)의 고정상태를 해제하여 카트리지(25)의 떼어 냄을 허용하는 것이다.
42는 하우징(12)의 헤드부(14)에 설치된 시너밸브수용부, 43은 이 시너밸브수용부(42)에 설치된 시너밸브를 나타낸다. 여기서 시너밸브(43)는 도료밸브(35)와 대략 동일하게 시너밸브수용부(42)내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 피스톤부 (43A)와, 기초끝측이 상기 피스톤부(43A)에 부착되고, 선단측이 하우징측 시너통로 (37)내를 신장하여 그 선단부가 밸브시이트부(37A)에 이탈 또는 고정하는 밸브체 (43B)와, 상기 피스톤부(43A)를 개재하여 상기 밸브체(43B)가 밸브시이트부(37A)에 고정하도록 가세하는 밸브스프링(43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 피스톤부(43A)는 시너밸브수용부(42)를 상기 밸브스프링(43C)을 수용하는 스프링실(43D)과 파일럿에어가 유입하는 수압실(43E)로 획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시너밸브(43)는 에어파일럿식 전환밸브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시너밸브(43)는 상시는 밸브스프링(43C)의 가세력에 의해 밸브체 (43B)가 하우징측 시너통로(37)의 밸브시이트부(37A)에 고정되고, 상기 시너통로 (37)를 차단하여 시너수용실(31)에 대한 시너의 공급을 정지하고 있다. 한편 시너밸브용 파일럿에어원으로부터 파일럿에어배관(모두 도시 생략), 파일럿에어통로 (44)를 경유하여 수압실(43E)로 파일럿에어가 공급되었을 때에는 밸브스프링(43C)에 저항하여 밸브체(43B)가 밸브시이트부(37A)로부터 이탈하여 시너수용실(31)에 대하여 시너의 공급을 행하는 것이다. 여기서 파일럿에어통로(44)는 한쪽 끝이 파일럿에어배관을 개재하여 시너밸브용 파일럿에어원에 접속되고, 다른쪽 끝이 시너밸브(43)의 수압실(43E)과 연통하고 있다.
한편 45는 카트리지교환장치이고, 이 카트리지교환장치(45)는 도장용 로봇 (1)의 근방에 위치하여 도장부스내 등에 설치되어 있다(도 1참조). 여기서 카트리지교환장치(45)는 도장에 의해 소비한 도료를 카트리지(25)의 도료수용실(30)에 충전하는 뒤에서 설명하는 카트리지용 도료충전장치(51, 105)와, 이 카트리지용 도료충전장치(51, 105)와, 하우징(12)의 카트리지부착부(16) 사이에서 카트리지(25)를 착탈하는 카트리지착탈장치 등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카트리지착탈장치에 의한 착탈작업위치의 근방에는 회전무화헤드(20) 등에 부착된 이전 색상 도료를 세정하는 무화헤드세정장치(모두 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카트리지교환장치(45)의 일부를 구성하는 카트리지용 도료충전장치에 대하여 도 6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51a, 51b, …51n은 카트리지교환장치(45)에 a 색상, b 색상, …n 색상의 도료마다 설치된 카트리지용 도료충전장치[이하, 도료충전장치(51)라 함)이고, 이 도료충전장치(51)는 비교적 도장빈도가 높은 전용색이 되는 a 색상, b 색상, …n 색상의 도료를 대응하는 카트리지(25)에 충전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료충전장치(51)는 뒤에서 설명하는 충전대(52)와, 충전대측 피드튜브삽입구멍(56)과, 접속부재 (59)와, 충전밸브(61)등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52a, 52b, …52n은 도료충전장치(51a, 51b, …51n)를 구성하는 충전대[이하, 충전대(52)라 함]이고, 이 충전대(52)는 카트리지교환장치(45)의 옆판(45A)상에 볼트고정 등에 의해 부착된 다리부(53)와, 이 다리부(53)로부터 상, 하방향으로 신장한 기둥부(54)와, 이 기둥부(54)의 위쪽을 지름을 확장하여 설치된 바디시이트부 (55)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또한 충전대(52)에는 전용색상의 도료에 대응한 충전대 (52a, 52b, …52n) 외에 도장빈도가 낮은 도료에 대응한 카트리지용 도료충전장치 (105)에 사용되는 충전대(52p)가 있다(도 14참조).
56은 충전대(52)의 기둥부(54)내를 상, 하방향으로 신장하여 설치된 충전대측 피드튜브삽입구멍이고, 이 피드튜브삽입구멍(56)에는 카트리지(25)의 피드튜브 (28)가 삽입상태로 끼워맞춰진다. 그리고 충전대측 피드튜브삽입구멍(56)의 선단측은 원뿔형상으로 지름이 축소된 봄베위치결정부를 이루는 원뿔형상 지름축소부 (56A)가 되고, 이 원뿔형상 지름축소부(56A)는 봄베(26)의 앞면측에 설치된 원뿔형상 볼록부(27)가 접촉하여 걸어맞춰짐으로써, 봄베(26)를 축방향, 지름방향에 위치결정하는 것이다.
57은 바디시이트부(55)의 축방향 한쪽(위쪽)에 설치된 봄베지지부이고, 이 봄베지지부(57)는 카트리지(25)의 봄베(26)가 부착되는 것으로, 충전대측 피드튜브삽입구멍(56)의 개구측에 오목한 둥근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봄베지지부 (57)의 바닥부(57A)에는 도 8 내지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봄베(26)의 수접속부(26A)가 끼워맞춰지는 암접속부(57B)와, 봄베(26)의 암접속부(26B)에 끼워맞춰지는 수접속부(57C)가 별개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암접속부(57B), 수접속부(57C)는 봄베(26)를 봄베지지부(57)에 부착할 때에 상기 봄베(26)를 둘레방향에 위치결정하는 봄베위치결정부를 이루는 것이다.
58은 충전대측 피드튜브삽입구멍(56)보다도 안쪽에 위치하여 충전대(52)의 축방향 다른쪽에 설치된 접속부재 수용구멍이고, 이 접속부재 수용구멍(58)은 피드튜브삽입구멍(56)을 지름을 확장하도록 설치된 원형상 구멍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접속부재 수용구멍(58)의 아래쪽은 단부(58A)를 개재하여 지름이 축소되어 아래쪽으로 관통하고 있다.
59는 접속부재 수용구멍(58)에 상, 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접속부재이고, 이 접속부재(59)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부가 도료통로(59A)가 되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스프링받이(59B)가 지름이 확장되어 설치되어 있다. 또 접속부재(59)에는 도료통로(59A)의 위쪽 근처에 위치하여 피드튜브 위치결정부를 이루는 원뿔형상 오목면(59C)이 설치되어 있다. 이 원뿔형상 오목면 (59C)은 피드튜브(28)의 원뿔형상 볼록면(28C)이 접촉하여 걸어맞춰짐으로써 피드튜브(28)의 선단을 도료통로(59A)의 중앙부에 위치결정하는 것이다. 또한 도료통로(59A)는 뒤에서 설명하는 도료호스(63)를 개재하여 충전밸브(61)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접속부재(59)는 피드튜브(28)의 선단부가 도료통로(59A)에 접속함으로써 상기 피드튜브(28)의 도료공급로(28A)를 도료호스(63) 등을 개재하여 도료순환배관(67)과 접속하는 것이다.
60은 접속부재(59)의 바깥 둘레측에 설치된 스프링부재로서의 코일스프링이고, 이 코일스프링(60)은 접속부재(59)의 스프링받이(59B)와 접속부재 수용구멍 (58)의 단부(58A)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코일스프링(60)은 접속부재 (59)를 충전대측 피드튜브삽입구멍(56)의 방향이 되는 위쪽을 향하여 가세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접속부재(59)는 상, 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코일스프링(60)은 이 접속부재(59)를 피드튜브(28)에 저항하도록 가세하고 있다. 이 때문에 피드튜브(28)가 상, 하방향으로 위치가 어긋나더라도 이 위치 어긋남은 접속부재(59)의 상, 하방향의 이동에 의해 흡수할 수 있다. 또한 피드튜브(28)는 코일스프링(60)에 의해 접속부재(59)에 확실하게 끼워맞출 수 있다.
다음으로, 61은 도료호스(63)를 개재하여 접속부재(59)에 접속하여 설치된 충전밸브이고, 이 충전밸브(61)는 도료호스(63) 등으로 이루어지는 도료통로를 연통 및 차단함으로써, 카트리지(25)에 대하여 도료의 공급 및 정지를 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충전밸브(61)는 상기한 전용색상이 되는 a 색상, b 색상, …n 색상의 도료를 충전함으로써, 뒤에서 설명하는 매니폴드(62), 도료급배밸브(64), 시너공급밸브(70), 시너배출밸브(76) 등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62는 충전밸브(61)의 밸브케이스를 이루는 매니폴드이고, 이 매니폴드(62)는 도료유입구(62A)와, 이 도료유입구(62A)에 접속되는 도료유출구(62B)와, 이 도료유출구(62B)에 접속되는 시너공급구(62C)와, 상기 도료유출구(62B)에 접속되는 시너배출구(62D)와, 이들을 연통하는 연통로(62E)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63은 충전밸브(61)와 접속부재(59) 사이에 설치되어 도료통로의 일부를 이루는 도료호스이고, 이 도료호스(63)는 가요성을 가지는 재료로 이루어지고, 그 한쪽 끝이 매니폴드(62)의 도료유출구(62B)에 접속되고, 다른쪽 끝이 접속부재(59)의 도료통로(59A)에 접속되어 있다.
64는 도료호스(63)와 저항하도록 매니폴드(62)에 부착된 도료급배밸브이고, 이 도료급배밸브(64)는 밸브케이스(64A)와, 이 밸브케이스(64A)에 설치되어 매니폴드(62)의 도료유입구(62A)에 접속된 도료유입구(64B)와, 상기 밸브케이스(64A)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도료유입구(64B)를 개폐하는 밸브체(64C)와, 이 밸브체(64C)를 폐쇄방향으로 가세하는 밸브스프링(64D)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또 도료유입구(64B)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료공급라인(65)과 도료리턴라인(66)과 도료순환배관(67)을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다. 또 도료급배밸브(64)는 밸브스프링(64D)에 저항하여 밸브체(64C)를 개방하기 위한 도료급배밸브용 파일럿에어원(68)에 파일럿에어배관(69)을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도료급배밸브(64)는 상시는 밸브스프링(64D)에 의해 밸브체(64C)를 가세함으로써, 도 11,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밸브체(64C)에 의해 도료유입구(64B)를 차단한다. 한편 도료급배밸브용 파일럿에어원(68)으로부터 파일럿에어배관(69)을 개재하여 파일럿에어가 공급되었을 때에는 도 9,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료급배밸브(64)는 밸브스프링(64D)에 저항하여 밸브체(64C)가 변위한다. 이에 의하여 밸브체(64C)는 도료유입구(64B)를 연통하여 매니폴드(62)의 도료유입구(62A), 도료유출구(62B)를 개재하여 도료호스(63)를 도료순환배관(67)과 연통하여 도료가 유통하는 것을 허용한다.
여기서 도료공급라인(65), 도료리턴라인(66), 도료순환배관(67)은 도료공급원을 구성하고 있고, 도료공급라인(65)은 도료탱크(도시 생략)내의 도료를 압송공급하는 것이다. 또 도료리턴라인(66)은 상기 도료탱크를 향하여 도료를 되돌리는 것이다. 또한 도료순환배관(67)은 상류측이 상기 도료공급라인(65)에 접속되고, 하류측이 상기 도료리턴라인(66)에 접속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뒤에서 설명하는 도료의 호흡동작을 행하였을 때에는 도료탱크와 카트리지(25)의 도료수용실(30) 사이에서 도료가 순환유통한다.
70은 매니폴드(62)에 부착된 세정액체공급밸브로서의 시너공급밸브이고, 이 시너공급밸브(70)는 상기한 도료급배밸브(64)와 대략 동일하게 밸브케이스(70A)와, 이 밸브케이스(70A)에 설치되어 매니폴드(62)의 시너공급구(62C)에 접속된 시너공급구(70B)와, 상기 밸브케이스(70A)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시너공급구 (70B)를 개폐하는 밸브체(70C)와, 이 밸브체(70C)를 폐쇄방향으로 가세하는 밸브스프링(70D)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또 시너공급구(70B)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너배관(71), 프레셔 레귤레이터(72)를 개재하여 세정액체공급원이 되는 시너공급라인(73)에 접속되어 있다. 또 시너공급밸브(70)는 밸브체(70C)를 개방하기 위한 시너공급밸브용 파일럿에어원(74)에 파일럿에어배관(75)을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시너공급밸브(70)는 상시는 밸브스프링(70D)에 의해 밸브체(70C)를 가세함으로써, 도 9, 도 10,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밸브체(70C)로 시너공급구(70B)를 차단한다. 한편 시너공급밸브용 파일럿에어원(74)으로부터 파일럿에어배관(75)을 개재하여 파일럿에어가 공급되었을 때에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너공급밸브(70)는 밸브스프링(70D)에 저항하여 밸브체(70C)가 변위한다. 이에 의하여 밸브체(70C)는 시너공급구(70B)를 연통하여 시너공급라인(73)으로부터 매니폴드(62)의 시너공급구(62C), 연통로(62E), 도료유출구(62B)를 개재하여 도료호스(63)에 시너를 공급하는 것이다.
76은 시너공급밸브(70)와 대항하도록 매니폴드(62)에 부착된 시너배출밸브이고, 이 시너배출밸브(76)는 상기한 도료급배밸브(64), 시너공급밸브(70)와 대략 동일하게 밸브케이스(76A)와, 이 밸브케이스(76A)에 설치되어 매니폴드(62)의 시너배출구(62D)에 접속된 시너배출구(76B)와, 상기 밸브케이스(76A)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시너배출구(76B)를 개폐하는 밸브체(76C)와, 이 밸브체(76C)를 폐쇄방향으로 가세하는 밸브스프링(76D)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시너배출밸브(76)는 도 9, 도 10,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시는 밸브스프링(76D)에 의해 밸브체(76C)를 가세하여 이 밸브체(76C)로 시너배출구(76B)를 차단하고 있다. 한편 시너배출밸브용 파일럿에어원(78)으로부터 파일럿에어배관(79)을 개재하여 파일럿에어가 공급되었을 때에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너배출밸브(76)는 밸브체(76C)를 개방하고 시너배출구(76B)를 연통하여 카트리지(25)측의 도료 등을 도료호스(63)로부터 매니폴드(62)의 도료유출구(62B), 연통로(62E), 시너배출구(62D)를 개재하여 드레인배관(77)측으로 배출하는 것이다.
또 시너배출밸브(76)는 카트리지(25)의 도료수용실(30)내에 도료를 충전한 후에 개방함으로써, 도료수용실(30), 피드튜브(28)의 도료공급로(28A)내 등에 남는 압력(잔압)만큼의 도료를 배출하여 대기압상태로 하는 잔압뽑기밸브로서도 기능한다.
다음으로, 80은 바디시이트부(55)에 설치된 충전대측 파일럿에어통로이고, 이 파일럿에어통로(80)의 한쪽 끝은 파일럿에어배관(81)을 개재하여 도료밸브용 파일럿에어원(82)에 접속되어 있다. 또 파일럿에어통로(80)의 다른쪽 끝은 카트리지측 파일럿에어통로(36)에 대응하도록 봄베지지부(57)의 수접속부(57C)의 주위면에 개구하고 있다. 이에 의하여 충전대측 파일럿에어통로(80)는 충전대(52)의 봄베지지부(57)에 카트리지(25)를 설치하였을 때에 카트리지측 파일럿에어통로(36)와 연통하여 도료밸브용 파일럿에어원(82)으로부터의 파일럿에어를 도료밸브(35)를 향하여 공급하는 것이다.
83은 바디시이트부(55)에 설치되고 봄베지지부(57)의 바닥부(57A)에 개구한 에어흡인통로이고, 이 에어흡인통로(83)는 음압배관(84)을 개재하여 음압발생원 (85)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에어흡인통로(83)는 봄베지지부(57)의 안쪽부에 위치하여 카트리지(25)의 봄베(26) 사이에서 획성되는 음압공간(86)의 에어를 흡인함으로써, 카트리지(25)를 끌어 당겨 봄베지지부(57)에 대하여 고정한다.
또 87은 바디시이트부(55)에 설치되고 봄베지지부(57)의 바닥부(57A)에 개구한 떼어 냄 에어 공급통로이고, 이 떼어 냄 에어 공급통로(87)는 에어배관(88)을 개재하여 떼어 냄용 에어원(89)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떼어 냄 에어 공급통로 (87)는 음압공간(86)에 떼어 냄 에어를 공급함으로써 봄베지지부(57)에 대한 카트리지(25)의 고정상태를 해제하고 충전대(52)로부터의 카트리지(25)의 떼어 냄을 허용하는 것이다.
한편 90은 충전대(52)의 바디시이트부(55)에 카트리지(25)의 시너수용실(31)과 접속 가능하게 설치된 압출액체 급배통로를 이루는 시너급배통로이고, 이 시너급배통로(90)는 그 한쪽 끝이 봄베지지부(57)의 암접속부(57B)에 개구하고, 다른쪽 끝이 뒤에서 설명하는 도료호흡밸브(91)에 접속되어 있다.
다음으로 91은 도료호흡수단을 이루는 도료호흡밸브이고, 이 도료호흡밸브 (91)는 도료순환배관(67)으로부터 카트리지(25)의 도료수용실(30)로 도료를 흡입하거나 또는 카트리지(25)의 도료수용실(30)내의 도료를 도료순환배관(67)으로 압출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료호흡밸브(91)는 뒤에서 설명하는 매니폴드(92), 시너공급밸브(94), 시너배출밸브(100) 등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92는 도료호흡밸브(91)의 매니폴드이고, 이 매니폴드(92)에는 시너공급구 (92A), 시너배출구(92B) 및 시너공급구(92A)와 시너배출구(92B)과 연통하는 시너호흡구(92C)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매니폴드(92)의 시너호흡구(92C)는 시너호스 (93)를 개재하여 충전대(52)에 설치된 시너급배통로(90)에 접속되어 있다.
94는 매니폴드(92)에 설치된 시너공급밸브이고, 이 시너공급밸브(94)는 밸브케이스(94A)와, 이 밸브케이스(94A)에 설치되어 매니폴드(92)의 시너공급구(92A)에 접속된 시너공급구(94B)와, 상기 밸브케이스(94A)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시너공급구(94B)를 개폐하는 밸브체(94C)와, 이 밸브체(94C)를 폐쇄방향으로 가세하는 밸브스프링(94D)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시너공급구(94B)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너배관(95), 프레셔 레귤레이터(96)를 개재하여 압출액체공급원으로서의 시너공급라인(97)에 접속되어 있다. 또 시너공급밸브(94)는 밸브스프링(94D)에 저항하여 밸브체(94C)를 개방하기 위한 시너공급밸브용 파일럿에어원(98)에 파일럿에어배관(99)을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다. 또한 시너공급라인 (97)에 의한 시너의 공급압력은 도료공급라인(65)에 의한 도료의 공급압력, 시너공급라인(73)에 의한 시너의 공급압력보다도 높은 압력으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시너공급밸브(94)는 상시는 밸브스프링(94D)에 의해 밸브체(94C)를 가세함으로써 도 10,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밸브체(94C)로 시너공급구 (94B)를 차단한다. 한편 시너공급밸브용 파일럿에어원(98)으로부터 파일럿에어배관(99)을 개재하여 파일럿에어가 공급되었을 때에는 도 9,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너공급밸브(94)는 밸브스프링(94D)에 저항하여 밸브체(94C)가 변위한다. 이에 의하여 밸브체(94C)는 시너공급구(94B)를 연통함으로써, 매니폴드(92)의 시너공급구(92A), 시너호흡구(92C), 시너호스(93)를 개재하여 시너급배통로(90)를 시너공급라인(97)과 연통하는 것이다.
100은 시너공급밸브(94)에 대항하도록 매니폴드(92)에 부착된 시너배출밸브이고, 이 시너배출밸브(100)는 상기한 시너공급밸브(94)와 대략 동일하게 밸브케이스(100A)와, 이 밸브케이스(100A)에 설치되어 매니폴드(92)의 시너배출구(92B)에 접속된 시너배출구(100B)와, 상기 밸브케이스(100A)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시너배출구(100B)를 개폐하는 밸브체(100C)와, 이 밸브체(100C)를 폐쇄방향으로 가세하는 밸브스프링(100D)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시너배출구(100B)는 시너배관(101)을 개재하여 압출액체저류탱크로서의 시너저류탱크(102)에 접속되어 있다. 또 시너배출밸브(100)는 밸브스프링(100D)에 저항하여 밸브체(100C)를 개방하기 위한 시너배출밸브용 파일럿에어원(103)에 파일럿에어배관(104)을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시너배출밸브(100)는 상시는 도 9,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밸브체(100C)로 시너배출구(100B)를 차단한다. 한편 시너배출밸브용 파일럿에어원 (103)으로부터 파일럿에어가 공급되었을 때에는 도 10,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너배출밸브(100)는 밸브체(100C)에 의해 시너배출구(100B)를 연통함으로써 시너호스(93), 매니폴드(92)의 시너호흡구(92C), 시너배출구(92B)를 개재하여 시너급배통로(90)를 시너저류탱크(102)와 연통하고 카트리지(25)측의 시너가 시너저류탱크(102)로 되돌아가는 것을 허용하는 것이다.
도료호흡밸브(91)는 이와 같이 구성되나, 도료순환배관(67)으로부터 카트리지(25)의 도료수용실(30)에 도료를 공급할 때, 또는 시너공급라인(73)으로부터 도료수용실(30)에 시너를 공급할 때에는 시너공급밸브(94)를 폐쇄함과 동시에 시너배출밸브(100)를 개방한다. 이에 의하여 시너급배통로(90), 시너호스(93)는 매니폴드(92)의 시너호흡구(92C)를 개재하여 시너배출구(100B), 시너배관(101)측으로 전환된다. 그 결과 카트리지(25)의 시너수용실(31)이 대기압상태가 되므로 도료수용실(30)에는 도료순환배관(67), 충전밸브(61)를 개재하여 도료를 흡입할 수 있고, 또 시너공급라인(73), 충전밸브(61)를 개재하여 시너를 흡입할 수 있다.
또 카트리지(25)의 도료수용실(30)내의 도료를 도료순환배관(67)으로 압출할 때, 또는 도료수용실(30)내의 시너를 드레인측으로 압출할 때에는 시너공급밸브 (94)를 개방함과 동시에 시너배출밸브(100)를 폐쇄한다. 이에 의하여 시너급배통로(90), 시너호스(93)는 시너호흡구(92C)를 개재하여 시너공급구(94B), 시너배관 (95)측으로 전환된다. 그 결과 카트리지(25)의 시너수용실(31)에는 도료공급라인 (65)에 의한 도료의 공급압력, 시너공급라인(73)에 의한 시너의 공급압력보다도 높은 압력으로 설정된 시너공급라인(97)으로부터 시너가 공급된다. 따라서 시너수용실(31)로 유입하는 시너에 의해 도료수용실(30)내의 도료는 충전밸브(61)를 개재하여 도료순환배관(67)으로 압출할 수 있고, 또 도료수용실(30)내의 시너를 충전밸브 (61)를 개재하여 드레인배관(77)측으로 압출할 수 있다.
한편 105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교환장치(45)에 설치된 다른 카트리지용 도료충전장치이고, 이 도료충전장치(105)는 비교적 도장빈도가 낮은 r 색상, s 색상, …z 색상의 도료를 카트리지(25p)에 충전하는 것이다.
106은 카트리지용 도료충전장치(105)의 충전밸브이고, 이 충전밸브(106)는 뒤에서 설명하는 매니폴드(107), 도료급배밸브(108r, 108s, …108z), 시너공급밸브 (114), 시너배출밸브(115) 등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107은 충전밸브(106)의 매니폴드이고, 이 매니폴드(107)에는 상기한 도료호스(63), 뒤에서 설명하는 도료급배밸브(108r, 108s, …108z), 시너공급밸브(114), 시너배출밸브(115)가 설치되어 있다.
108r, 108s, …108z는 매니폴드(62)에 부착된 r 색상, s 색상, …z 색상의 도료급배밸브이고, 이 도료급배밸브(108r)는 r 색상의 도료가 유통하는 도료공급라인(109r)과 도료리턴라인(110r)과 연통하는 도료순환배관(111r)에 접속되어 있다. 또 도료급배밸브(108s)는 s 색상의 도료가 유통하는 도료공급라인(109s)과, 도료리턴라인(110s)과 연통하는 도료순환배관(111s)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료급배밸브(108z)는 z 색상의 도료가 유통하는 도료공급라인(109z)과 도료리턴라인(110z)과 연통하는 도료순환배관(111z)에 접속되어 있다. 또 도료급배밸브(108r, 108s, … 108z)는 각각 독립하여 도료급배밸브용 파일럿에어원(112)(1개만 도시)에 파일럿에어배관(113)을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다.
114는 매니폴드(107)에 부착된 시너공급밸브, 115는 매니폴드(107)에 부착되어 시너배출밸브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충전밸브(106)는 도료급배밸브(108r, 108s, …108z)를 개폐함으로써 r 색상, s 색상, …z 색상의 도료로부터 1 색상의 도료를 선택하여 공통의 카트리지(25p)에 공급하는 것이다. 또 색상교체시에는 시너공급밸브(114), 시너배출밸브 (115)를 교대로 개폐함으로써 카트리지(25p)의 도료수용실(30), 도료호스(63) 등에 부착된 이전 색상의 도료를 세정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도료충전장치(51, 105)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다음에 카트리지에 대한 도료의 충전방법을 도 8 내지 도 12에 나타내는 단면도와 도 15 내지 도 17에 나타내는 타임챠트를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일 처음에 도료의 충전공정에 앞서 도장작업이 종료한 카트리지(25)를 도료충전장치(51)에 장착하는 경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장작업이 종료하면 하우징(12)의 카트리지부착부(16)에 부착되어 있는 카트리지(25)는 카트리지착탈장치(도시 생략)에 의해 하우징(12)의 카트리지부착부(16)로부터 떼어내진다. 그리고 예를 들어 a 색상의 도장작업이 종료한 것으로 하면 카트리지(25a)는 a 색상의 도료를 충전하는 도료충전장치(51a)의 충전대 (52a)에 부착된다.
이와 같이 카트리지(25)를 충전대(52)에 부착할 때에는 피드튜브(28)를 충전대측 피드튜브삽입구멍(56)에 삽입하면서 봄베(26)를 봄베지지부(57)내로 삽입한다.
또 카트리지(25)를 봄베지지부(57)에 부착하였을 때에는 에어흡인통로(83)에 의해 봄베(26) 사이에서 획성되는 음압공간(86)내의 에어를 흡인함으로써, 충전대 (52)에 대하여 카트리지(25)를 고정한다.
또한 카트리지(25)의 봄베(26)를 충전대(52)의 봄베지지부(57)에 설치하였을 때에는 봄베(26)의 수접속부(26A), 암접속부(26B)가 봄베지지부(57)의 암접속부 (57B), 수접속부(57C)에 걸어맞춤상태로 끼워맞춰지므로, 봄베(26)는 봄베지지부 (57)에 대하여 둘레방향에 위치결정된다. 또 이 때에는 봄베(26)의 원뿔형상 볼록부(27)가 충전대측 피드튜브삽입구멍(56)의 원뿔형상 지름축소부(56A)에 걸어맞춤상태로 끼워맞춰지므로 봄베(26)는 봄베지지부(57)에 대하여 축방향, 지름방향에 위치결정된다.
또 피드튜브(28)를 충전대측 피드튜브삽입구멍(56)에 삽입하면 이 피드튜브 (28)의 선단이 접속부재(59)의 도료통로(59A)에 끼워맞춰진다. 이 때에는 피드튜브(28)의 선단에 형성된 원뿔형상 볼록면(28C)이 접속부재(59)의 원뿔형상 오목면 (59C)에 걸어맞춰진다. 이 때문에 피드튜브(28)의 선단개구는 접속부재(59)의 도료통로(59A)의 중앙부에 위치결정된다.
또한 피드튜브(28)의 선단을 접속부재(59)에 끼워맞추게 하였을 때에는 피드튜브(28)의 상, 하방향위치에 따라 접속부재(59)가 이동하기 때문에 피드튜브(28)의 상, 하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흡수할 수 있다. 또 코일스프링(60)은 접속부재 (59)를 피드튜브(28)를 향하여 가세하고 있으므로, 피드튜브(28)에 접속부재(59)를 액밀하게 끼워맞출 수 있다.
다음으로, 카트리지용 도료충전장치(51)에 의해 비교적 도장빈도가 높은 전용색상의 도료를 충전하는 경우의 동작에 대하여 도 15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료를 충전하는 데 있어서 전회의 도장작업에 사용된 카트리지(25a) 내에 잔존한 사용 종료의 도료를 배출하기 위하여 도료배출공정을 행할 필요가 있다.
이 도료배출공정에서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료밸브용 파일럿에어원 (82)으로부터 도료밸브(35)에 파일럿에어를 공급하고, 이 도료밸브(35)를 개방함과 동시에, 도료급배밸브용 파일럿에어원(68)으로부터 도료급배밸브(64)에 파일럿에어를 공급하여 상기 도료급배밸브(64)를 개방한다. 또 시너공급밸브용 파일럿에어원 (98)으로부터 도료호흡밸브(91)의 시너공급밸브(94)에 파일럿에어를 공급하여 상기 시너공급밸브(94)를 개방한다.
이에 의하여 카트리지(25a)의 도료수용실(30)은 도료호스(63), 매니폴드(62)의 도료유출구(62B), 도료급배밸브(64)의 도료유입구(64B) 등을 개재하여 도료순환배관(67)과 연통한다. 또 카트리지(25a)의 시너수용실(31)은 시너급배통로(90), 시너호스(93), 매니폴드(92)의 시너호흡구(92C), 시너공급구(92A), 시너배관(95) 등을 개재하여 시너공급라인(97)과 연통한다. 여기서 시너공급라인(97)에 의한 시너의 공급압력은 도료공급라인(65)[도료순환배관(67)]에 의한 도료의 공급압력보다도 높은 압력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도료수용실(30)내의 도료는 시너수용실(31) 내에 공급되는 시너에 의해 가압되어 도료순환배관(67)으로 압출되고, 도료리턴라인(66)으로부터 도료탱크로 되돌아간다.
다음으로, 카트리지(25a)의 도료수용실(30)이 비게 되면 이 도료수용실(30)내에 새롭게 도료를 충전하는 도료충전공정으로 옮긴다.
따라서 도료충전공정에서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너공급밸브(94)를 폐쇄함과 동시에, 시너배출밸브용 파일럿에어원(103)으로부터 시너배출밸브(100)에 파일럿에어를 공급하여 상기 시너배출밸브(100)를 개방한다. 이에 의하여 시너급배통로(90), 시너호스(93)는 시너배출밸브(100)의 시너배출구(100B), 시너배관 (101)을 개재하여 시너저류탱크(102)와 연통하기 때문에 시너수용실(31)내가 대략 대기압상태가 된다. 따라서 도료순환배관(67)을 유통하는 도료의 공급압력이 시너수용실(31)내의 압력보다도 높아지므로, 도료순환배관(67)으로부터 공급되는 도료를 도료수용실(30)내로 흡입할 수 있다.
여기서 카트리지(25a)를 사용한 다음번의 도장작업까지 시간이 있는 경우에는 도장대기상태가 된다. 이 도장대기상태에서는 안료가 분리되어 침강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료호흡공정으로 옮긴다.
이 도료호흡공정에서는 상기한 도료의 압출동작과 도료의 흡입동작과 동일한 동작을 반복한다. 즉 카트리지(25)의 도료수용실(30)내의 도료를 도료순환배관 (67)으로 압출함으로써, 도료를 도료리턴라인(66)으로부터 도료탱크로 되돌리는 동작과 도료공급라인(65)으로부터 도료순환배관(67)을 개재하여 카트리지(25)의 도료수용실(30)내로 도료를 흡입하는 동작을 반복한다. 이에 의하여 카트리지(25)의 도료수용실(30)과 도료공급라인(65), 도료리턴라인(66) 사이에서 상시 도료를 호흡 (순환)시켜 안료가 분리되어 침강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카트리지(25a)를 도장작업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도료호흡공정의 동작을 도료의 흡입동작이 완료하였을 때에 정지하고, 다음의 잔압뽑기공정으로 옮긴다.
이 잔압뽑기공정은 시너배출밸브(76)를 개방함으로써, 도료수용실(30), 피드튜브(28), 도료호스(63)내에 남는 압력(잔압)만큼의 도료를 드레인배관(77)측으로 배출하여 대기압상태로 한다. 마지막으로 도료밸브(35)를 폐쇄함으로써 카트리지 (25a)의 도료수용실(30)에 도료를 충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카트리지(25a)를 사용하는 도장작업의 도장준비가 정리되면카트리지교환공정으로 옮기기 위하여 음압에어의 흡인을 정지하고, 떼어 냄 에어를 공급하여 카트리지(25a)의 고정을 해제함으로써 충전대(52)로부터 카트리지(25a)를 떼어 낼 수 있다.
한편 도장라인을 장기간 정지하는 경우에는 카트리지(25), 충전대(52), 도료호스(63), 매니폴드(62) 등의 도료의 접액부에 도료가 고착하지 않도록 세정작업이 행하여진다. 여기서 카트리지(25) 등의 세정동작에 대하여 도 16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카트리지(25)내에 잔존한 도료를 배출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도료배출공정에서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25)의 도료밸브(35), 충전밸브(61)의 도료급배밸브(64) 및 도료호흡밸브(91)의 시너공급밸브(94)를 개방하여 전회의 도장작업에서 남은 도료를 도료수용실(30)로부터 도료순환배관(67)으로 압출한다.
그리고 잔존한 도료의 배출공정이 종료하면 카트리지(25) 등에 부착된 도료를 세정하는 세정공정으로 옮긴다. 이 세정공정에서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료급배밸브(64)를 폐쇄함과 동시에 시너공급밸브(70)를 개방하고, 또한 시너공급밸브(94)를 폐쇄함과 동시에 시너배출밸브(100)를 개방한다. 이에 의하여 시너공급라인(73)으로부터 시너배관(71), 시너공급밸브(70)의 시너공급구(70B), 매니폴드(62)의 시너공급구(62C), 연통로(62E), 도료유출구(62B), 도료호스(63), 피드튜브(28) 등을 개재하여 카트리지(25)의 도료수용실(30)로 시너를 흡입한다.
다음으로,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너공급밸브(70)를 폐쇄함과 동시에시너배출밸브(76)를 개방하고, 또 시너배출밸브(100)를 폐쇄함과 동시에 시너공급밸브(94)를 개방한다. 이에 의하여 도료수용실(30)내의 시너를 도료호스(63) 및 드레인배관(77)등을 개재하여 드레인측으로 압출한다.
그리고 상기한 시너의 흡입동작과 시너의 압출동작을 반복하고, 마지막으로 도료수용실(30)에 시너를 충전한 상태로 함으로써 피드튜브(28), 도료수용실(30), 도료호스(63)등에 부착된 이전 색 도료를 세정하고 시너를 충전한 장기 정지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카트리지용 도료충전장치(105)에 의해 비교적 도장빈도가 낮은 도료를 색상교체하여 충전하는 경우의 동작에 대하여 도 14, 도 17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이전 색 도료가 되는 예를 들어 r 색상의 도료를 카트리지(25p)로부터 배출하여 카트리지(25p)에 부착된 r 색상의 도료를 세정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r 색상의 도료배출공정에서는 카트리지(25p)가 충전대(52p)에 부착되면 카트리지(25p)의 도료밸브(35), 충전밸브(106)의 도료급배밸브(108r) 및 도료호흡밸브(91)의 시너공급밸브(94)를 개방하여 카트리지(25p)의 도료수용실(30)내에 전회의 도장에서 남은 r 색상의 도료를 도료순환배관(111r)으로 압출한다.
다음으로, 피드튜브(28), 도료수용실(30), 도료호스(63) 등에 부착된 r 색 도료를 세정하기 위하여 세정 색상교체공정으로 옮긴다. 이 세정 색상교체공정에서는 먼저 r 색도료 세정공정이 되며 도료급배밸브(108r)를 폐쇄함과 동시에 시너공급밸브(114)를 개방하고, 또 시너공급밸브(94)를 폐쇄함과 동시에 시너배출밸브(100)를 개방한다. 이에 의하여 시너공급라인(73)으로부터 도료호스(63), 피드튜브(28) 등을 개재하여 도료수용실(30)로 시너를 흡입한다.
계속해서 시너공급밸브(114)를 폐쇄함과 동시에 시너배출밸브(115)를 개방하고, 또 시너배출밸브(100)를 폐쇄함과 동시에 시너공급밸브(94)를 개방한다. 이에 의하여 도료수용실(30)내의 시너를 도료호스(63) 등을 개재하여 드레인측으로 압출한다. 그리고 시너의 흡입동작, 시너의 압출동작(호흡동작)을 반복하여 피드튜브 (28), 도료수용실(30), 도료호스(63) 등에 부착된 r 색 도료를 세정한다.
다음으로 r 색 도료로 교체하고 s 색 도료를 카트리지(25p)에 충전하는 s 색 도료충전공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도료급배밸브(108s)를 개방하고, 또 시너공급밸브(94)를 폐쇄함과 동시에 시너배출밸브(100)를 개방한다. 이에 의하여 도료순환배관(111s)으로부터 도료호스(63) 등을 개재하여 도료수용실(30)로 s 색 도료를 흡입한다.
그리고 카트리지(25p)를 도장작업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잔압뽑기공정이 되고, 시너배출밸브(115)를 개방하여 도료수용실(30) 등의 잔압을 뽑아 대기압상태로 한 후, 도료밸브(35)를 폐쇄함으로써 충전대(52p)로부터 카트리지(25p)를 떼어 낼수 있다.
또 s 색 도료가 충전된 카트리지(25p)를 사용한 다음번의 도장작업까지 시간이 있는 경우에는 도장대기상태가 되고, 이 도장대기상태에서는 도료호흡공정으로 옮겨 상기한 도료의 흡입동작과, 시너배출밸브(100)를 폐쇄함과 동시에 시너공급밸브(94)를 개방하여 도료수용실(30)내의 도료를 도료순환배관(111s)으로 압출하는도료의 압출동작을 반복한다.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카트리지(25)의 시너수용실(31)에 압출액체로서 시너를 공급, 배출함으로써 도료수용실(30)내의 도료를 도료순환배관(67, 111)으로 압출, 흡입을 행하는 도료호흡밸브(91)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하여 카트리지(25)를 충전대(52)에 설치한 상태에서 다음번의 도장작업까지 대기하고 있는 경우에도 도료호흡밸브(91)에 의해 도료공급원측의 도료순환배관(67, 111)과 도료수용실(30) 사이에서 도료를 흡입하고, 압출하는 호흡동작을 행할 수 있다. 그 결과, 도료를 상시 순환유동시킬 수 있어 도료중의 안료는 분리하여 침강하는 일 없이 균일한 분산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피드튜브(28)의 도료공급로(28A) 등의 폐쇄를 방지할 수 있으며, 또 도장시에 균일하게 안료가 분산된 도료를 도장기에 공급할 수 있으므로 도장품질을 향상할 수 있다.
또 도료충전장치(51, 105)는 위쪽에 봄베지지부(57)를 가지는 충전대(52)와, 이 충전대(52)내를 축방향으로 신장한 충전대측 피드튜브 삽입구멍(56)과 이 피드튜브 삽입구멍(56)보다도 안쪽부에 위치하여 피드튜브(28)의 선단에 액밀하게 끼워맞추는 접속부재(59)에 의해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피드튜브(28)를 충전대측 피드튜브 삽입구멍(56)에 삽입하면서 카트리지(25)를 충전대(52)의 봄베지지부(57)에 부착하고, 피드튜브(28)의 선단을 접속부재(59)에 끼워맞춤으로써 도료를 유출하는 피드튜브(28)의 선단 개구를 충전구로서 이용하여 카트리지(25)의 봄베(26)내에 도료를 충전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기술과 같이 피드튜브와는 별개로 도료를 충전하기 위한 도료공급구를 카트리지에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카트리지(25)의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어 조립작업성의 향상, 제조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도료공급구를 폐지함으로써, 도료누설이 생길 염려가 있는 부위를 삭감할 수 있으므로, 도료누설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충전을 위한 접속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 충전대(52)에는 피드튜브(28)의 선단이 끼워맞춰지는 접속부재(59)를 상, 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하고, 이 접속부재(59)는 코일스프링(60)에 의해 피드튜브(28)를 향하여 가세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피드튜브(28)의 선단을 접속부재(59)에 끼워맞추게 하였을 때에는 피드튜브(28)의 상, 하방향 위치에 따라 접속부재(59)를 이동할 수 있어 피드튜브(28)의 상, 하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흡수할 수있다. 또 접속부재(59)는 코일스프링(60)에 의해 피드튜브(28)에 액밀하게 끼워맞출 수 있어 도료 충전작업시의 도료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충전밸브(61, 106)에는 시너공급밸브(70, 114)와 시너배출밸브(76, 115)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도장라인을 장기간 정지하는 경우에는 카트리지(25) 등에 부착된 도료를 시너에 의해 세정할 수 있어 카트리지(25) 등에 도료가 고착하여 생기는 동작불량 등을 방지할 수 있고,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 접속부재(59)에는 피드튜브(28)의 선단에 설치된 원뿔형상 볼록면(28C) 에 걸어맞춰지는 원뿔형상 오목면(59C)을 설치하고 있다. 이에 의하여 원뿔형상 오목면(59C)은 피드튜브(28)의 선단 개구를 접속부재(59)의 도료통로(59A)의 중앙부에 위치결정할 수 있고, 피드튜브(28)를 접속부재(59)에 액밀하게 끼워맞출 수있다.
한편, 충전대(52)의 봄베지지부(57)에는 카트리지(25)의 봄베(26) 앞면측에 설치된 수접속부(26A), 암접속부(26B)에 걸어맞추는 암접속부(57B), 수접속부(57C)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봄베(26)를 봄베지지부(57)에 대하여 둘레방향에 위치결정할 수 있다.
또 충전대(52)에는 카트리지(25)의 봄베(26) 앞면측에 설치된 원뿔형상 볼록부(27)에 걸어맞추는 원뿔형상 지름축소부(56A)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봄베(26)를 봄베지지부(57)에 대하여 축방향, 지름방향으로 위치결정할 수 있다.
또 충전대(52)의 봄베지지부(57)의 바닥부(57A)에는 에어흡인통로(83)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에어흡인통로(83)에 의해 봄베(26)와의 사이의 음압공간 (86)의 에어를 흡인함으로써, 카트리지(25)를 충전대(52)에 대하여 고정할 수 있어 카트리지(25)를 빠짐방지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 떼어 냄 에어 공급통로(87)로부터 음압공간(86)에 떼어 냄 에어를 공급함으로써 봄베지지부(57)에 대한 카트리지(25)의 고정을 해제하여 카트리지(25)를 충전대(52)로부터 떼어 낼 수 있다.
또한 충전대(52)에는 도료밸브(35)를 작동시키는 충전대측 파일럿에어통로 (80)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도료를 충전할 때에는 파일럿에어통로(80)를 경유하여 파일럿에어를 공급하고, 카트리지(25)내의 도료밸브(35)를 개방함으로써 피드튜브(28)내의 도료공급로(28A)를 개재하여 도료를 충전할 수 있다. 또 도료의 충전작업이 종료하면 파일럿에어의 공급을 중단함으로써 도료밸브(35)가 폐쇄된다. 이에 의하여 피드튜브(28)로부터의 도료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에서는 도장용 로봇(1)의 수평아암(4)에 회전무화헤드형 도장장치(11)를 부착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어 레시프로케이터 등의 다른 도장작업기에 도장장치(11)를 부착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실시형태에서는 가동격벽으로서 피스톤(29)을 사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것을 대신하여 예를 들어 가동격벽을 주름상자형상의 벨로즈, 가요성을 가지는 자루체로 하고, 이들 내부를 피드튜브측과 연통시키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한편, 실시형태에서는 도료호흡밸브(91)를 시너호스(93)를 개재하여 충전대 (52)의 시너급배통로(90)에 접속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도료호흡밸브(91)를 충전대(52)에 일체적으로 부착하여 시너급배통로(90)에 직접 접속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또 실시형태에서는 도료호흡밸브(91)를 2포트 2위치의 개폐밸브로 이루어지는 2개의 시너공급밸브(94), 시너배출밸브(100)에 의해 구성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어 도료호흡밸브를 1 개의 3포트 3위치의 전환밸브에 의해 구성하여도 좋다.
또 실시형태에서는 압출액체로서 시너를 사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도료의 종류, 고전압의 인가방법 등에 따라 물 등의 다른 압출액체를 적용하여도 좋다.
또한 실시형태에서는 동일한 색상의 도료를 연속하여 도장할 때의 색상교체작업성을 고려하여 카트리지(25)를 각 색상마다 각각 2개 이상 설치하여도 된다.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카트리지용 도료충전방법에 의하면 카트리지를 사용한 다음번의 도장작업까지 시간이 있는 도장대기상태의 경우, 카트리지내의 가동격벽이 도료의 흡입동작과 압출동작을 반복하여 카트리지의 도료수용실과 도료공급원 사이에서 도료를 호흡시키고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를 사용한 다음번의 도장작업까지 시간이 있는 도장대기상태의 경우에는 카트리지내의 가동격벽에 의해 도료의 흡입동작과 압출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이들 사이에서 도료를 호흡하여 도료중의 안료를 분리하여 침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도장품질을 향상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카트리지용 도료충전장치를 피드튜브의 선단을 도료공급원에 접속하는 접속부재와, 봄베의 압출액체 수용실과 접속하여 압출액체 수용실에 압출액체를 공급, 배출함으로써, 카트리지의 도료수용실내의 도료를 도료공급원과의 사이에서 압출, 흡입을 행하는 도료호흡수단에 의해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도장작업이 종료하면, 카트리지의 피드튜브 선단을 접속부재를 개재하여 도료공급원에 접속한다. 이 상태에서 도료호흡수단에 의해 카트리지의 압출액체 수용실내의 압출액체를 배출함으로써, 도료공급원으로부터의 도료를 접속부재, 피드튜브의 선단을 개재하여 카트리지의 도료수용실에 도료를 흡입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피드튜브의 선단을 충전구로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기술과 같이 피드튜브와는 별개로 도료를 충전하기 위한 도료공급구를 카트리지에 설치할 필요가 없어진다. 그 결과, 카트리지의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어 조립작업성의 향상, 제조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도료공급구를 폐지함으로써, 도료누설이 생길 염려가 있는 부위를 삭감할 수 있기 때문에, 도료누설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도료의 충전이 행하여진 카트리지가 다음번의 도장작업까지 대기시간이 있는 경우에는 도료호흡수단은 카트리지의 압출액체 수용실에 압출액체를 공급하고 카트리지의 도료수용실내의 도료를 피드튜브를 개재하여 도료공급원으로 압출하는 동작과, 도료호흡수단이 카트리지의 압출액체 수용실내의 압출액체를 배출하고 카트리지의 도료수용실에 도료를 흡입하는 동작을 반복하는 호흡동작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도료를 상시 유동하여 도료중의 안료를 분리하여 침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도장품질을 향상하여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카트리지용 도료충전장치를 카트리지의 피드튜브가 삽입되는 피드튜브 삽입구멍이 축방향으로 신장하여 설치되고, 개구측이 봄베를 지지하는 봄베지지부가 되는 충전대와, 피드튜브 삽입구멍보다도 안쪽부에 위치하여 상기 충전대에 설치되고 피드튜브의 선단을 도료공급원에 연결하는 도료통로와 접속하는 접속부재와, 상기 도료통로를 개재하여 상기 접속부재에 접속하여 설치되고 상기 도료통로를 연통, 차단하는 충전밸브와, 상기 충전대에 설치되고 상기 봄베지지부에 의해 봄베를 지지하였을 때에 상기 압출액체 수용실과 접속되는 압출액체 급배통로와, 이 압출액체 급배통로에 접속하여 설치되고 상기 충전밸브에 의해 도료통로를 연통한 상태에서 상기 압출액체 수용실로 압출액체를 공급, 배출함으로써, 상기 카트리지의 도료수용실내의 도료를 상기 도료공급원과의 사이에서 압출, 흡입을 행하는 도료호흡수단에 의해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를 충전대의 봄베지지부에 부착하고, 그 피드튜브를 피드튜브 삽입구멍에 삽입하여 접속부재에 끼워맞춘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충전밸브를 개방함으로써 도료를 피드튜브의 선단 개구를 충전구로서 이용하고, 이 충전구로부터 피드튜브내를 통하여 봄베내에 충전할 수 있다.
그 결과, 카트리지의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어 조립작업성의 향상, 제조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도료누설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 다음번의 도장작업까지 시간이 있는 도장대기상태에서는 도료호흡수단이 도료공급원과 도료수용실과의 사이에서 도료를 흡입하고 압출하는 동작(호흡동작)을 반복하여 행함으로써 이들 사이에서 도료를 상시 유동할 수 있다.

Claims (10)

  1. 가동격벽에 의해 도료수용실과 압출액체수용실로 구획된 카트리지에 도료를 충전하는 카트리지용 도료충전방법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를 사용한 다음번의 도장작업까지 시간이 있는 도장대기상태의 경우에는 상기 카트리지내의 가동격벽이 도료의 흡입동작과 압출동작을 반복하여 카트리지의 도료수용실과 도료공급원과의 사이에서 도료를 호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용 도료충전방법.
  2. 봄베와 이 봄베로부터 축방향으로 신장한 피드튜브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봄베내가 가동격벽에 의해 상기 피드튜브와 연통하는 도료수용실과 압출액체가 유출입하는 압출액체수용실로 구획된 카트리지에 도료를 충전하는 카트리지용 도료충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드튜브의 선단을 도료공급원에 접속하는 접속부재와,
    상기 봄베의 압출액체수용실과 접속되어 상기 압출액체수용실로 압출액체를 공급, 배출함으로써, 상기 카트리지의 도료수용실내의 도료를 상기 도료공급원과의 사이에서 압출, 흡입을 행하는 도료호흡수단에 의해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용 도료충전장치.
  3. 봄베와 이 봄베로부터 축방향으로 신장한 피드튜브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봄베내가 가동격벽에 의해 상기 피드튜브와 연통하는 도료수용실과 압출액체가 유출입하는 압출액체수용실로 구획된 카트리지에 도료를 충전하는 카트리지용 도료충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의 피드튜브가 삽입되는 피드튜브 삽입구멍이 축방향으로 신장하여 설치되고, 개구측이 상기 봄베를 지지하는 봄베지지부가 된 충전대와,
    상기 피드튜브 삽입구멍보다도 안쪽부에 위치하여 상기 충전대에 설치되어 상기 피드튜브의 선단을 도료공급원에 연결하는 도료통로와 접속하는 접속부재와,
    상기 도료통로를 개재하여 상기 접속부재에 접속하여 설치되어 상기 도료통로를 연통, 차단하는 충전밸브와,
    상기 충전대에 설치되고, 상기 봄베지지부에 의해 상기 봄베를 지지하였을 때에 상기 압출액체수용실과 접속되는 압출액체 급배통로와,
    상기 압출액체 급배통로에 접속하여 설치되고, 상기 충전밸브에 의해 도료통로를 연통한 상태에서 상기 압출액체수용실로 압출액체를 공급, 배출함으로써 상기카트리지의 도료수용실내의 도료를 상기 도료공급원과의 사이에서 압출하고, 흡입을 행하는 도료호흡수단에 의해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용 도료충전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는 상기 충전대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접속부재와 충전대와의 사이에는 상기 접속부재를 상기 피드튜브를 향하여 가세하는스프링부재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카트리지용 도료충전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밸브는 상기 도료공급원과 접속되는 도료유입구와, 이 도료유입구를 상기 접속부재에 접속하는 도료유출구와, 이 도료유출구를 세정액체 공급원에 접속하는 세정액체 공급구와, 상기 도료유출구를 출구측에 접속하는 세정액체 배출구와, 상기 도료유입구를 연통, 차단하는 도료급배밸브와, 상기 세정액체 공급구를 연통, 차단하는 세정액체 공급밸브와, 상기 세정액체 배출구를 연통, 차단하는 세정액체 배출밸브에 의해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카트리지용 도료충전장치.
  6.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도료호흡수단은 압출액체 공급원과 접속되는 압출액체 공급구와, 압출액체저류탱크와 접속되는 압출액체 배출구와, 상기 압출액체 급배통로에 접속되는 압출액체 호흡구와, 이 압출액체 호흡구를 상기 공급구 또는 배출구로 전환하는 전환밸브에 의해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카트리지용 도료충전장치.
  7.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에는 상기 피드튜브의 선단을 위치결정하는 피드튜브 위치결정부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카트리지용 도료충전장치.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대의 봄베지지부에는 상기 카트리지의 봄베 앞면측이 걸어맞춰짐으로써 상기 봄베를 위치결정하는 봄베위치결정부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카트리지용도료충전장치.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대의 봄베지지부에는 상기 카트리지의 봄베와의 사이에서 획성되는 음압공간을 설치하고, 상기 충전대에는 상기 음압공간에 개구하는 에어흡인통로를 설치하며, 이 에어흡인통로를 경유하여 상기 음압공간내의 에어를 흡인함으로써 상기 봄베지지부에 대하여 봄베를 고정하는 구성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카트리지용 도료충전장치.
  10.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대에는 상기 카트리지에 설치된 도료밸브에 파일럿에어를 공급하는 파일럿에어통로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카트리지용 도료충전장치.
KR10-2001-7000098A 1999-05-06 2000-04-25 카트리지용 도료충전방법 및 그 장치 KR1003910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2646699A JP3306024B2 (ja) 1999-05-06 1999-05-06 カートリッジ用塗料充填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11-126466 1999-05-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9492A KR20010079492A (ko) 2001-08-22
KR100391085B1 true KR100391085B1 (ko) 2003-07-12

Family

ID=14935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0098A KR100391085B1 (ko) 1999-05-06 2000-04-25 카트리지용 도료충전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612345B1 (ko)
EP (1) EP1093858B1 (ko)
JP (1) JP3306024B2 (ko)
KR (1) KR100391085B1 (ko)
CA (1) CA2336100C (ko)
DE (1) DE60044229D1 (ko)
WO (1) WO20000679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311011T3 (es) * 2000-04-25 2009-02-01 Abb K.K. Sistema de pintura del tipo cartucho.
DE10214759A1 (de) * 2002-04-03 2003-10-16 Lactec Ges Fuer Moderne Lackte Ventil
WO2003099455A1 (fr) * 2002-05-23 2003-12-04 Abb K.K. Cartouche d'application de peinture
JP4121804B2 (ja) * 2002-08-09 2008-07-23 タクボ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塗料供給用シリンジポンプ
JP4230811B2 (ja) * 2003-04-25 2009-02-25 タクボ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塗装に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塗料カートリッジの搬送方法
DE102004053819A1 (de) * 2004-11-04 2006-05-11 Tecnobless Gmbh Sprühanlage mit auswechselbaren Sprühmittelbehältern
JP4709585B2 (ja) * 2005-06-09 2011-06-22 トリニティ工業株式会社 塗布材充填方法及び装置
JP4799918B2 (ja) * 2005-06-17 2011-10-26 ハジメ産業株式会社 塗料タンクおよびその加工方法
JP4705818B2 (ja) * 2005-07-29 2011-06-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静電塗装装置
GB0518637D0 (en) 2005-09-13 2005-10-19 Itw Ltd Back pressure regulator
US7828527B2 (en) * 2005-09-13 2010-11-09 Illinois Tool Works Inc. Paint circulating system and method
EP2810719B1 (de) 2005-10-07 2018-06-20 Dürr Systems AG Beschichtungsmittel-Versorgungseinrichtung und zugehöriges Betriebsverfahren
US8020784B2 (en) * 2005-10-07 2011-09-20 Durr Systems Inc. Coating material supply installation and associated operating procedure
TWI302493B (en) * 2006-06-13 2008-11-01 Advanced Semiconductor Eng System for supplying molding compound
US20080011333A1 (en) * 2006-07-13 2008-01-17 Rodgers Michael C Cleaning coating dispensers
JP4841342B2 (ja) * 2006-07-14 2011-12-21 トリニティ工業株式会社 塗料漏れ検知装置、塗料充填システム
JP4955709B2 (ja) * 2007-02-08 2012-06-20 Abb株式会社 エア霧化型塗装装置
JP5023828B2 (ja) * 2007-06-14 2012-09-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塗料供給経路の洗浄方法
JP4357552B2 (ja) * 2007-08-31 2009-11-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塗料充填装置
US8939328B2 (en) * 2007-09-11 2015-01-27 Graco Minnesota Inc. Cleaning fluid cartridge
ES2435570T3 (es) * 2007-11-29 2013-12-20 Ransburg Industrial Finishing K.K. Robot de pintura
AU2008200606B2 (en) * 2008-02-08 2014-05-15 Ransburg Industrial Finishing K.K. Electrostatic coating system
JP5508052B2 (ja) * 2009-02-16 2014-05-28 東メンシステム株式会社 静電塗装システム
JP5389532B2 (ja) * 2009-06-01 2014-01-15 タクボ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塗装システム
JP5596951B2 (ja) * 2009-09-23 2014-09-24 ランズバーグ・インダストリー株式会社 塗料カートリッジ及び静電塗装機
JP5586110B2 (ja) * 2009-09-23 2014-09-10 ランズバーグ・インダストリー株式会社 静電塗装機用の塗料カートリッジの洗浄方法及び塗料バッグ
JP4812871B2 (ja) 2009-10-21 2011-11-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塗料充填装置
JP4850944B2 (ja) * 2009-10-21 2012-01-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塗料供給方法
WO2012060153A1 (ja) * 2010-11-03 2012-05-10 Abb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用塗料充填装置及びその塗料充填方法
CA2943337C (en) * 2014-03-25 2018-04-03 Honda Motor Co., Ltd. Electrostatic coating device
JP6293626B2 (ja) * 2014-09-19 2018-03-14 トリニティ工業株式会社 塗装方法及び塗装装置
US9713816B2 (en) 2015-03-19 2017-07-25 Paccar Inc Zero waste color change system
DE102017222187A1 (de) * 2017-05-31 2018-12-06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Kleberkit sowie Anwendungseinrichtung zur Verwendung des Kleberkits und Verfahren zu seiner Verwendung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5213B2 (ja) * 1987-03-03 1994-05-11 大日本スクリーン製造株式会社 フレキソ印刷版
JPH0483549A (ja) * 1990-07-25 1992-03-17 Toyota Motor Corp 多色塗装装置
US5238029A (en) * 1991-10-04 1993-08-24 Fanuc Robotics North America, Inc. Method and system for fluid transfer and non-contact sensor for use therein
US5549755A (en) * 1994-12-08 1996-08-27 Nordson Corporation Apparatus for supplying conductive coating materials including transfer units having a combined shuttle and pumping device
JP3013734B2 (ja) * 1995-03-01 2000-02-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回転霧化静電塗装装置、および回転霧化静電塗装装置の塗装ガン本体へ塗料タンクユニットを装着する方法、並びに回転霧化静電塗装装置の塗料タンクユニット
WO1997034707A1 (en) * 1996-03-18 1997-09-25 Behr Systems, Inc. Paint system with color change canisters
JP3299206B2 (ja) * 1998-12-18 2002-07-08 エービービー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用塗料充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317360A (ja) 2000-11-21
CA2336100A1 (en) 2000-11-16
EP1093858A4 (en) 2008-07-23
EP1093858B1 (en) 2010-04-21
KR20010079492A (ko) 2001-08-22
WO2000067913A1 (fr) 2000-11-16
JP3306024B2 (ja) 2002-07-24
EP1093858A1 (en) 2001-04-25
CA2336100C (en) 2005-03-15
DE60044229D1 (de) 2010-06-02
US6612345B1 (en) 2003-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1085B1 (ko) 카트리지용 도료충전방법 및 그 장치
KR100436834B1 (ko) 카트리지식 도장시스템
US6179217B1 (en) Coating method for rotary atomizing head type coating device
KR101021894B1 (ko) 에어 무화형 도장 장치
KR100320343B1 (ko) 회전무화헤드형 도장장치
KR100404439B1 (ko) 자동도장장치
WO2000037182A1 (fr) Procede automatise pour peinture et dispositif a cet effet
KR100355332B1 (ko) 카트리지용 도료 충전장치
JP3453078B2 (ja) 回転霧化頭型塗装装置
CN111318398B (zh) 盒用涂料填充装置
JP3639222B2 (ja) カートリッジ式塗装システム
JP3621592B2 (ja) 回転霧化頭型塗装装置の塗装方法
JP2004344889A (ja) 回転霧化頭型塗装装置の塗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