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0696B1 - 절첩식 써레장치 - Google Patents

절첩식 써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0696B1
KR100390696B1 KR10-2000-0067563A KR20000067563A KR100390696B1 KR 100390696 B1 KR100390696 B1 KR 100390696B1 KR 20000067563 A KR20000067563 A KR 20000067563A KR 100390696 B1 KR100390696 B1 KR 100390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row
rotary
coupling
fold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7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7239A (ko
Inventor
노오섭
Original Assignee
(주)광산엠.티.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광산엠.티.시 filed Critical (주)광산엠.티.시
Priority to KR10-2000-0067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0696B1/ko
Publication of KR20020037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72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0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06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9/00Harrows with non-rotating tools
    • A01B19/02Harrows with non-rotating tools with tools rigidly or elastically attached to a tool-fram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23/00Elements, tools, or details of harrows
    • A01B23/04Frames; Drawing-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73/00Means or arrangements to facilitate transportation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e.g. folding frames to reduce overall width
    • A01B73/02Folding frames

Abstract

본 발명은 써레장치가 써레장착구에 의해 로터리에 결합되어짐에 있어 로터리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써레부와 로터리 사이의 결합부분을 최소화 하기 위한 것으로, 써레날부(20)가 로터리(A)에 장착되어짐에 있어 써레연결구(600)의 힌지부(611)에 의해서만 결합되어진 상태이고, 제 2유압실린더는 유연한 오일공급관(701)에 의해서 제 1유압실린더에 연결된 상태이므로 로터리로 부터 가해지는 물리적 영향은 최소화되어 양질의 써레작업이 가능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로터리에 어느부분도 용접하지 않은 상태로 써레를 장착할 수 있으며, 모두 조립식이므로 로터리의 구조와 크기에 상관없이 장착할 수 있으며, 누구라도 신속하고 용이하게 써레장치를 로터리에 장착 및 탈착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또한 써레날부(20)만 떼어내고 쟁기날(D)를 달면 쟁기작업도 가능하게 되어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절첩식 써레장치{Harrow device}
본 발명은 절첩식 써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써레날의 양단에 보조써레날이 형성된 써레장치에 있어서 원만한 써레작업을 위하여 로터리로 부터 써레날에 가해지는 물리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절첩식 써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써레장치는 논밭을 경작할 때 로터리(rotovator)에 의해 잘게 부셔진 흙덩어리들을 넓고 평탄하게 펼쳐주기 위한 것으로, 특히 모내기를 위한 논의 평탄작업에는 반드시 필요한 장치이다. 따라서 작업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트랙터 한번의 이동시 넓은 면적을 써레작업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써레날의 길이가 길것을 요구하게 된다. 왜냐하면 써레날의 길이가 짧을 수록 트랙터의 한번 이동에 작업할 수 있는 면적은 좁아지므로 여러번 왕복할 수 밖에 없고, 작업능률이 저하됨은 물론, 연료의 소비, 작업시간의 연장등의 단점을 갖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자를 위시하여 수많은 사람들이 하나밖에 없던 써레날의 양단에 보조써레날을 달고, 상기 보조써레날의 보관 및 이동시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절첩될 수 있도록 하는 써레를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보조써레날이 달린 써레장치의 경우 경작의 신속함과 효율을 높이는데는 효과가 있으나, 보조써레날까지 완전히 펼칠 경우 써레날의 길이는 상당한 길이가 되며 이로인해 하나의 써레날을 구비하는 종래의 써레에 비해 로터리장치치(이하 로터리라 한다)의 움직임에 대해 더 많은 영향을 더 받게 된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특허출원 제 10-1997-0038771호 "트랙터용 써레"와 같은 경우 외측써레날(보조써레날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는 것임)을 구비하는 통상의 써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측써레날을 절첩하기 위한 수단으로 외측써레날에 결합된 암을 로터리 상부에 연결된 유압실린더에 고정시킨 두개의 링크로 밀어 외측써레날을 접을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으나, 이는 외측써레날의 암에 직접 연결되어 외측써레날을 접고 펴기위한 링크가 로터리 상부에 결합된 유압실린더와 직접 연결되어있고, 또한 중앙써레판이 역시 로터리에 직접 결합된 프레임과 직접 연결된 구조이므로 트랙터에 의해 견인되어지는 로터리에서 전해지는 물리적 영향, 즉진동 및 충격이 링크에 의해 그대로 중앙써레판과 외측써레날로 전달되어지므로 상기 써레날들은 로터리의 움직임을 그대로 반영하게 되어 양질의 써레작업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폐단을 갖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써레장치와 같이 지금까지 안출된 거의 모든 써레장치는 로터리에 브라켓을 용접하여 결합하고, 상기 브라켓에 써레를 장착하는 구조를 갖는 것이므로, 한번 제작된 써레는 종류가 다르거나 폭이 다른 로터리에는 전혀 사용할 수 없다는 호환성 부족의 단점을 가지는 것이다.
또 평탄작업시에만 사용하는 써레장치는 다른 작업을 하거나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대개 분리시켜 보관했다가 다시 사용할 때 장착하게 되는데 이는 전문가에게도 상당한 시간과 공력을 필요로 하는 일이어서 보다 손쉬운 장착이 가능한 써레의 개발이 어느때보다 절실한 시점이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써레장치가 써레장착구에 의해 로터리에 결합되어짐에 있어 로터리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써레날부와 로터리 사이의 결합부분을 최소화 하므로써 이를 해결하였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은 로터리에 직접 결합되는 로터리장착구와 써래날부를 직접적인 결합이 아닌 써래연결구를 통한 간접적인 결합방법을 선택하였으며, 더구나 보조써레날을 절첩하기 위한 수단도 로터리의 물리적 영향을 전혀 받지 않도록 분리시키므로써 양질의 써레작업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 - 본 발명 써레장치의 일부를 분리한 사시도.
도 2 -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 - 도 1의 B-B선 단면도.
도 4 - 본 발명에 있어서 써레장착구의 분리사시도.
도 5 - 본 발명에 있어서 써레연결구의 분리사시도.
도 6 - 도 5의 C-C선 단면도.
도 7 - 본 발명에 있어서 써레날부의 분리사시도.
도 8 - 본 발명에 있어서 써레날의 정면도.
도 9 - 본 발명에 있어서 절첩구의 결합상태를 보이기위한 것으로,
9a는 절첩구가 축에 의해 결합된 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도.
9b는 절첩구가 힌지부에 의해 결합된 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도.
도 10 - 본 발명의 유압구성도.
도 11 - 본 발명이 로터리에 장착되어 보조써레날이 펼쳐진 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도.
도 12 - 본 발명이 로터리에 장착되어 보조써레날이 접혀진 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도.
도 13 -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예시하기 위한 참고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써레장치 10: 써레장착구
20: 써레날부 100,100a: 로터리결합구
200,200a: 거상대 300: 제 1유압실린더
400: 써레결합구 500: 연결봉
600: 써레연결구 700: 제 2유압실린더
800: 써레날 900,900a: 보조써레날
1000,1000a: 절첩구 1100: 유압구동장치
A: 로터리 B: 구동축 케이스
C: 브라켓 D: 쟁기날
상기한 바와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 써레장치(1)는 크게 로터리(A)에 결합되는 써레장착구(10)와, 써레날(800)과 보조써레날(900,900a)로 구성되는 써레날부(20)와, 상기 써레날부(20)와 써레장착구(10)를 연결하기 위한 써레연결구(6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써레장착구(10)는 또한 로터리 결합구(100,100a)와, 상기 로터리 결합구에 회동가능토록 결합되는 거상대(200,200a)와, 상기 거상대의 중간부에 설치되는 유압실린더(300)와, 상기 유압실린더의 로드 끝단에 결합되는 써레결합구(400)와, 상기 거상대(200,200a)의 선단부와 써레결합구(400)의 선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봉(500)으로 구성되어진다.
상기 로터리 결합구(100,100a)는 로터리(A)의 상단에 형성된 원통형의 구동축케이스(B)에 결합하기 위한 U자형 볼트(130)와, 상기 U자형 볼트가 내삽되어 결합되어지는 브라켓(120)과, 상기 브라켓이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로터리 상단면에 얹혀 고정용 볼트(112)에 의해 고정되는 회동방지대(110)로 구성된다.
상기 회동방지대(110)는 브라켓(120)이 U자형 볼트(130)와 너트(140)에 의해 구동축케이스(B)에 결합된 상태에서 유압실린더(300)에 의해 거상대(200)가 들어올려질 때 브라켓(120)이 거상대(200)와 함께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상기 회동방지대(110)의 후방에는 고정용 볼트(112)가 나사결합되어지는 볼트결합공(111)이 형성되어 있어 고정용 볼트(112)를 조이게 되면 상기 고정용 볼트의 끝단은 로터리의 상단면을 누르면서 고정되어지는 것이므로 브라켓(120)의 고정위치를 작업자의 마음대로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로터리 결합구(100,100a)에 의해 종래의 써레장치처럼 브라켓을 로터리(A)의 상단에 용접하지 않아도 써래의 결합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이는 본 발명에 있어 매우 중요한 구성으로 이로인해 본 발명 써레장치(1)는 로터리의 종류나 폭의 길이에 상관없이 써레를 장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브라켓(120)에는 축공(122)이 형성되어 거상대(200,200a)의 힌지부(210)가 축(220)과 핀(230)에 의해 회동가능토록 결합되어진다.
거상대(200,200a)는 일단에 힌지부(210)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연결봉 결합구(240)가 형성된 파이프(250)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봉 결합구(240)의 상단에는 고정용 볼트(241)가 나사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용 볼트(241)에 의해 연결봉 결합구(240)에 내삽되어 결합되는 연결봉(500)을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연결봉(500)에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같이 써레날부(20)를 떼어낸 상태에서 쟁기날(D)를 장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연결봉(500)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거상대(200,200a) 사이에 설치되는 유압실린더(300)는 양단에 힌지부(302,303)가 형성되어 있으며, 일단의 힌지부(303)는 로터리 상단에 형성된 브라켓(C)에 축(330)과 핀(340)에 의해 회동가능토록 결합되고, 타단, 즉 실린더로드(301)의 끝에 형성된 힌지부(302)는 써레결합구(400)의 상부에 형성된 브라켓(410)의 축공(411)에 축(310)과 핀(320)에 의해 역시 회동가능토록 결합되어진다.
상기 유압실린더(300)에 연결되는 써레결합구(400)는 써레연결구(600)를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연결봉(500)이 내삽되는 연결봉 결합구(420)와, 상기 연결봉 결합구에 형성되는 축공(411)과 회동축 결합공(412)을 구비하는 브라켓(410)과, 상기 회동축 결합공(412)에 회동가능토록 결합되는 축공(431)을 구비하는 회동축(430)과, 연결봉 결합구의 하단에 형성되는 장공(441)을 구비하는 브라켓(440)과, 상기 장공(441)과 축공(431)을 관통하는 축(450)과, 상기 축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핀(460)으로 구성된다.
상기 장공(441)은 전방에서 가해지는 충격으로 부터 써레날부(20)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장공(441)은 써레날부(20)가 전방으로 부터 충격이 있을 경우 축(450)이 회동축(430)을 중심으로 뒷부분이 들리게 되는데 이를 감안하여 상하로 길게 천공해 둔 것이다.
이처럼 축(450)이 장공(441)에 의해 회동(廻動)가능한 약간의 유격(有隔)을 가지므로 상기 축(450)에 힌지부(611)가 결합되어진 써레연결구(600) 역시 회동가능한 약간의 유격을 가지게 되고, 결국 상기 써레연결구(600)에 의해 결합된 써레날부(20) 역시 뒷부분이 들림에 있어 유격이 있게 되므로 전방으로 부터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써레연결구(600)는 본 발명에 있어서 로터리에서 전해지는 충격을 완화시켜 써레날부(20)에 전달하기 위한 수단으로, 그 구성은 다음과 같다.
즉 중앙 상단에 힌지부(611)을 구비하는 가로대(610)과, 상기 가로대의 양단에 형성되는 결합대 하우징(620)과, 상기 결합대 하우징에 스프링(630)에 의해 신축성을 갖도록 내장되는 써레결합대(640)와, 상기 결합대 하우징(620) 측면에 형성되는 스프링(61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써레결합대(640)는 핀공(643)이 형성된 스프링 결합대(642)와 축공이 형성된 결합대(641)로 구성되며, 상기 스프링 결합대(642)에 스프링(630)을 끼운체 결합대 하우징(620)에 내장하고, 하우징 후방으로 노출된 스프링 결합대(630)의 핀공에 핀(650)을 꽂아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써레결합대(640)는 써레날부(20)의 브라켓(820)에 축(830)과 핀(831)에 의해 결합된다.
또한 결합대 하우징(620)의 양단 상부에는 고무캡(612)이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는 써레연결구(600)가 써레장착구(10)에 결합되었을 때 충격을 완화시키기위한 것이며, 스프링(613) 역시 써레연결구(600)의 균형을 유지하면서 써레장착구(10)로 부터의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해 필요한 구성이다.
써레날부(20)는 써레날(800)과 보조써레날(900,900a), 상기 써레날(800)과 보조써레날(900,900a)을 연결하는 절첩구(1000,1000a)와, 상기 절첩구(1000,1000a)를 구동하기 위한 제 2유압실린더(700)로 구성되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 보조써레날(900,900a)을 절첩하기 위한 수단으로는 크게 절첩구(1000,1000a)와 제 2유압실린더(700)로 구성된다 할 것이다.
상기 써레날(800)의 구성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에 형성된 두개의 브라켓(820)과, 제 2유압실린더(700)를 결합하기 위한 중앙 상단에 형성된 브라켓(810)과, 양쪽 상단에는 절첩구(1000,1000a)의 결합관(1030)이 회동가능토록 결합하기 위한 축(840)이 형성된 것이다.
상기 축(840)의 양쪽 측방향으로는 보조써레날(900,900a)이 써레날(800)과 일직선상에 놓이도록 각을 조절하기 위한 각조절판(850)과 각조절용 나사(860)가 형성되어진다. 따라서 각조절판(850)에 나사결합된 각조절용 나사(860)를 조여 절첩구(1000,1000a)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보조써레날(900,900a)의 일측 상단, 즉 써레날(800)에 접하는 부분의 상단에도 역시 축(910)이 형성되어지는데, 이는 로터리방향으로 일정각도 기울어져 있다.
이는 보조써레날(900,900a)이 제 2유압실린더(700)에 의해 접어질 때에 절첩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축(910)에 의해 보조써레날(900,900a)이 로터리에 부딪치지 않도록 위로 들리면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어지게 되는 것이다.
도 9는 절첩구(1000,1000a)의 구성과 작용을 보다 상세하기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절첩구는 도 9a에 도시한 바와같이 브라켓(1040)을 구비하는 수직의 결합관(1030)과, 안전브라켓(1050)을 구비하는 경사진 결합관(1020)과, 상기 결합관(1020,1030)들을 서로 연결하는 바(1010)로 구성된다. 상기 결합관(1020,1030)은 와셔(1070)와 볼트(1080)에 의해 축(840,910)에 결합되어진다.
또 상기 절첩구는 도 9b에 도시한 바와같이 바(1010)의 일단에는 브라켓(1040)을 구비하는 보강대(1011)를 형성하고, 타단에는 안전브라켓(1050)을 구비하는 경사진 결합관(1020)을 형성하되, 상기 보강대의 하단에는 축공(1013)을 구비하는 힌지부(1012)를 형성하므로써 상기 힌지부가 써레날(800)의 전방에 형성된 브라켓(870)에 핀(1014)에 의해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안전브라켓(1050)은 보조써레날(900,900a)의 전방에 형성된 안전브라켓(920)에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며, 안전핀(1060)에 의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보조써레날(900,900a)이 전방에서 가해진 충격을 이기지 못할 때에는 안전핀이 부러지면서 보조써레날(900,900a)이 뒤로 꺽어지도록 하므로써 써레날부(20)를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절첩구(1000,1000a)의 브라켓(1040)은 제 2유압실린더(700)의 결합구(720)에 연결되며, 상기 결합구(720)는 스프링(730)을 구비하는 결합축(740)에 의해 연결봉(711)에 결합되어진다. 상기 연결봉은 다시 제 2유압실린더(700)의 실린더 로드(710)에 결합되어진다.
상기 제 2유압실린더(700)는 실린더 몸체(702)의 중앙 하단에 형성된 브라켓(750)에 의해 써레날(800)의 중앙 상단에 형성된 브라켓(810)에 결합되어지며, 하나의 실린더에 두개의 피스톤이 내장된 구조를 가지며, 실린더 몸체(702)는 완만한 V자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피스톤에 연결된 실린더로드(710)는 동시에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실린더 몸체(702)의 중앙과 양쪽 단부에는 오일공급관(701)이 연결되어지며, 이는 제 1유압실린더(300)의 오일공급관과 서로 연결되어진다.
다만 제 1유압실린더(300)의 오일유입공(미도시함)의 직경이 제 2유압실린더(700)의 오일유입공보다 직경이 크다. 따라서 유압구동장치(1100)에 의해 공급되는 고압의 오일은 먼저 제 1유압실린더(300)를 구동하게 되고 다음 제 2유압실린더(700)를 구동하게 된다.
즉 먼저 제 1유압실린더(300)의 후방에 형성된 오일공급관으로 오일이 유입되어진다면 실린더 로드(301)는 앞으로 전진하게 되어 들어올려졌던 거상대(200,200a)를 내리게 되고 이로인해 써레날부(20)가 바닥으로 내려지게 된다. 이처럼 상기 제 1유압실린더(300) 실린더 몸체내에 오일이 가득차게 되면 다음 제 2유압실린더(700)의 양끝단에 연결된 오일공급관(701)을 통해 실린더 몸체(702)로 오일이 유입되어져 제 2유압실린더(700)의 실린더 로드(710)는 당겨지게 되고 이로인해 절첩구(1000,1000a) 의 브라켓(1040) 이 당겨지면서 접혀있던 보조써레날(900,900a)이 펼쳐지게 되는 것이다.
물론 보조써레날(900,900a)이 접혀지고 거상대(200,200a)가 들어올려지는 경우는 반대로 동작되어질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은 써레날부(20)가 로터리(A)에 장착된 로터리장착구(10)에 결합되어짐에 있어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써레연결구(600)를 매개로 연결되어지되, 그것도 회동가능한 써레연결구(600)의 힌지부(611)에 의해시 로터리장착구(10)의 써레결합구(400)에 결합된 상태이므로 로터리로 부터 전해지는 물리적 영향을 최소화 시킬 수 있으며, 특히 보조써레날(900,900a)을 구동시키는 제 2유압실린더(700)가 유연(flexible)한 오일공급관(701)에 의해서 제 1유압실린더(300)에 연결된 상태이므로 보조써레날(900,900a)은 로터리로 부터 거의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써레날부가 로터리에 최대한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써레연결구를 매개로 연결되어지되 힌지부만 결합되도록 하고, 보조써레날을 구동시키는 제 2유압실린더는 제 1유압실린더와 유연한 오일공급관에 의해서 연결되도록 하므로써 써레날부와 로터리를 거의 분리상태로 만들어 로터리로 부터 전해지는 물리적 영향을 최소화 시켜 양질의 써레작업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로터리결합구를 이용해 어느부분도 용접하지 않은 상태로 써레를 장착할 수 있으며, 이로인해 모든 부품이 조립식이 가능해져 로터리의 종류와 폭에 상관없이 써레를 장착할 수 있어, 어느 누구라도 신속하고 용이하게 써레장치를 로터리에 장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써레날부를 떼어내고 연결봉에 쟁기날을 달면 쟁기작업도 가능한 것으로,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영농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8)

  1. 보조써레날을 구비하는 절첩식 써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써레장치(1)가 로터리에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써레장착구(10)와, 절첩구(1000,1000a)와 제2유압실린더(700)로 구성되는 보조써레 절첩수단을 구비하는 써레날(800)과 보조써레날(900,900a)로 구성되는 써레날부(20)와, 상기 써레장착구(10)와 써레날부(20)를 연결함에 있어 중앙 상단에 힌지부(611)을 구비하는 가로대(610)와, 상기 가로대의 양단에 형성되는 결합대 하우징(620)과, 상기 결합대 하우징에 스프링(630)에 의해 신축성을 갖도록 내장되는 써레결합대(640)와, 상기 결합대 하우징(620) 측면에 결합된 스프링(613)으로 구성된 충격완화수단을 구비하는 써레연결구(600)를 매개로 결합되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써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써레장착구(10)는 로터리 결합구(100,100a)와, 상기 로터리 결합구에 회동가능토록 결합되는 거상대(200,200a)와, 상기 거상대의 중간부에 설치되는 유압실린더(300)와, 상기 유압실린더의 로드 끝단에 결합되는 써레결합구(400)와, 상기 거상대(200,200a)의 선단부와 써레결합구(400)의 선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봉(500)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써레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써레날부(20)는 써레날(800)과, 보조써레날(900,900a)과, 상기 써레날(800)과 보조써레날(900,900a)을 연결하는 절첩구(1000,1000a)와, 상기 절첩구(1000,1000a)를 구동하기 위한 제 2유압실린더(700)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써레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절첩구(1000,1000a)는 브라켓(1040)을 구비하는 수직의 결합관(1030)과, 안전브라켓(1050)을 구비하는 경사진 결합관(1020)과, 상기 결합관(1020,1030)들을 서로 연결하는 바(1010)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써레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바(1010)의 일단에는 브라켓(1040)을 구비하는 보강대(1011)를 형성하고, 타단에는 안전브라켓(1050)을 구비하는 경사진 결합관(1020)을 형성하되, 상기 보강대의 하단에는 축공(1013)을 구비하는 힌지부(1012)를 형성하므로써 상기 힌지부가 써레날(800)의 전방에 형성된 브라켓(870)에 핀(1014)에 의해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써레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제 2유압실린더(700)는 실린더 몸체(702)의 중앙 하단에 형성된 브라켓(750)과, 절첩구(1000,1000a)의 브라켓(1040)에 연결되는 결합구(720)와, 상기 결합구(720)를 스프링(730)에 의해 탄발력을 갖도록 연결봉(711)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축(740)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써레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제 2유압실린더(700)는 하나의 실린더에 두개의 피스톤이 내장되는 구조를 가지며, 완만한 V자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써레장치.
KR10-2000-0067563A 2000-11-12 2000-11-12 절첩식 써레장치 KR1003906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7563A KR100390696B1 (ko) 2000-11-12 2000-11-12 절첩식 써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7563A KR100390696B1 (ko) 2000-11-12 2000-11-12 절첩식 써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7239A KR20020037239A (ko) 2002-05-18
KR100390696B1 true KR100390696B1 (ko) 2003-07-10

Family

ID=19698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7563A KR100390696B1 (ko) 2000-11-12 2000-11-12 절첩식 써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069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274B1 (ko) * 2009-07-06 2012-05-08 박기혁 트랙터용 써레 장치
KR101150296B1 (ko) 2009-07-20 2012-06-12 박기혁 트랙터용 써레의 안전장치
KR101180727B1 (ko) 2010-11-22 2012-09-07 김명수 트랙터용 써레의 연결 프레임 고정 장치
KR101258118B1 (ko) 2010-07-14 2013-04-25 박기혁 트랙터용 써레의 안전장치
KR101398609B1 (ko) * 2011-11-04 2014-05-22 박기혁 트랙터용 후방작업기의 연결 브래킷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8597B1 (ko) * 2001-07-21 2003-09-19 (주)광산엠.티.시 자동절첩식 광폭 써레
KR100398702B1 (ko) * 2001-10-24 2003-09-19 대호농업기계(주) 써레 장착용 구조물
KR101010232B1 (ko) * 2008-08-11 2011-01-24 김필수 보조 써레용 안전장치
KR101441247B1 (ko) * 2013-07-03 2014-09-17 정미영 보조 써레의 완충 및 각도조절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274B1 (ko) * 2009-07-06 2012-05-08 박기혁 트랙터용 써레 장치
KR101150296B1 (ko) 2009-07-20 2012-06-12 박기혁 트랙터용 써레의 안전장치
KR101258118B1 (ko) 2010-07-14 2013-04-25 박기혁 트랙터용 써레의 안전장치
KR101180727B1 (ko) 2010-11-22 2012-09-07 김명수 트랙터용 써레의 연결 프레임 고정 장치
KR101398609B1 (ko) * 2011-11-04 2014-05-22 박기혁 트랙터용 후방작업기의 연결 브래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7239A (ko) 2002-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0696B1 (ko) 절첩식 써레장치
US4715770A (en) Power lift for a lifting device
CA2238108C (en) Flexible frame for a multi-section implement
US6109363A (en) Blade assembly with angular movement capability
KR100398597B1 (ko) 자동절첩식 광폭 써레
KR100228261B1 (ko) 트랙터용 써레
KR200253213Y1 (ko) 트렉터용 써레의 각도조절장치
CA1239828A (en) Hydraulic trip mechanism
US7010874B2 (en) Mounting frame unit for attaching working implements to a tractor body
JP2002513451A (ja) 建設機械用フレームアセンブリ
JP3535883B2 (ja) 作業機連結装置
JP4749934B2 (ja) ロータリ耕耘機
WO2008105627A1 (en) Hand-operated foldable harrow
JPH11513087A (ja) 関節式建設機械用フレームアセンブリ
US4312408A (en) Overload tool mounting assembly for soil tilling implement
KR102512430B1 (ko) 폴더형 로터베이터의 주행 안전 스토퍼 장치
KR200239473Y1 (ko) 절첩식 써레장치
JP2000300001A (ja) 農業用馬鍬
KR100452184B1 (ko) 로터리용 써레
JP3978281B2 (ja) ロータリ耕耘具の土均し装置
RU2763176C1 (ru) Сцепка навесн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для обработки почвы
KR100367121B1 (ko) 다목적 써레장착구
US3528505A (en) Earthworking tool release mechanism
JP3658450B2 (ja) 中耕除草機
JP3221432B2 (ja) 散布作業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