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8118B1 - 트랙터용 써레의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트랙터용 써레의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8118B1
KR101258118B1 KR1020100067899A KR20100067899A KR101258118B1 KR 101258118 B1 KR101258118 B1 KR 101258118B1 KR 1020100067899 A KR1020100067899 A KR 1020100067899A KR 20100067899 A KR20100067899 A KR 20100067899A KR 101258118 B1 KR101258118 B1 KR 1012581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row
harrow plate
plate
tractor
outer harr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7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7245A (ko
Inventor
박기혁
Original Assignee
박기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혁 filed Critical 박기혁
Priority to KR1020100067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8118B1/ko
Publication of KR20120007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7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8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81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23/00Elements, tools, or details of harrows
    • A01B23/04Frames; Drawing-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 A01B63/1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 A01B63/1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mounting on the tractor, e.g. on the rear par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73/00Means or arrangements to facilitate transportation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e.g. folding frames to reduce overall width
    • A01B73/02Folding frames
    • A01B73/04Folding frames foldable about a horizontal axis
    • A01B73/048Folding frames foldable about a horizontal axis the axis being oriented in transverse dire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랙터용 써레에 관한 것으로, 써레 작업시 돌이나 흙덩어리 등의 장애물에 의해 외측 써레판에 과도한 외력이 발생하면, 외측 써레판이 외력이 발생하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다시 원위치로 쉽게 복귀되도록 하여 외측 써레판의 손상을 줄이면서도 연속성 있는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트랙터용 써레의 안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트렉터의 후방에 설치되며, 중앙 써레판의 양측에 외측 써레판이 연결된 트랙터용 써레에 있어서, 상기 중앙 써레판과 외측 써레판 사이에 장착되어 외측 써레판이 중앙 써레판에 대해 전후방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써레 고정부; 몸체가 상기 외측 써레판의 후방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방으로의 회전이 제한되며, 그 하측이 외측 써레판 또는 중앙 써레판의 하단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걸림바; 상기 중앙 써레판에 설치되면서 외측 써레판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걸림바의 후방 하측부위를 걸어 외측 써레판의 후방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편;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트랙터용 써레의 안전장치{Safety apparatus for a harrow}
본 발명은 트랙터의 써레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트랙터 후방에 장착되어 지면 평탄화 작업시에 외측 써레판에 과도한 외력이 작용할 때 외측 써레판이 회전한 다음 다시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하여 써레판의 손상없이 지속적인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트랙터용 써레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써레는 논 등에서 평탄화작업을 하는데 사용하는 도구로서, 통상 써레를 트랙터의 로터베이터 후방에 장착하여 사용하고 있더.
이러한 써레는 중앙 써레판의 길이 방향 양측부로 외측 날개부가 설치되는데, 써레 작업시 그 외측 써레판에 돌맹이나 흙덩어리 등에 의해 과도한 부하가 결렸을 때 외측 써레판은 물론 중앙 날개부와 외측 써레판 사이의 연결부위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로인해 써레의 교체비용이 소요되고, 작업이 중단되어 생산성이 크게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등록특허 제10-820730호에서는 중앙 써레판과 외측 써레판 사이에 안전볼트를 두어 과도한 외력이 작용할 때 안전볼트가 부러지면서 외측 써레판을 보호하도록 한 기술이 나타나 있다.
도1 내지 도3은 등록특허 제10-820730호의 기술 사항을 나타낸 것으로, 외측 써레판(42) 쪽의 단부에는 제1 힌지부(51)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한 제2 힌지부(60)를 형성하고, 외측 써레판(42)이 제2 힌지부(60)를 중심으로 중앙 써레판(41)에 대해 트랙터 진행 반대 방향으로 꺾일 때 외측 써레판(42)의 단부가 써레의 다른 부품과 간섭받지 않을 정도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한 구조로 하며, 연결암(50)의 일면에 안전판(53)을 고정하고, 외측 써레판(42)에 과부하가 작용될 때 절단되는 안전볼트(52)를 구비함으로써, 작업시 외측 써레판(42)이 장애물에 부딪히거나 과부하가 작용하면 안전볼트(52)가 절단되면서 트랙터의 진행방향 후방으로 회동되어 외측 써레판(42)을 과부하 등으로부터 보호되어 외측 써레판(42)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기술적 사항을 갖는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기술사항은 도2 및 도3에서와 같이 장애물이나 과부하에 의해 안전볼트(52)가 절단되면서 외측 써레판(42)이 중앙 써레판(41)으로부터 이탈되어 손상은 방지되지만, 이를 다시 원래의 상태로 복구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안전볼트를 이용하여 다시 중앙 써레판(41)과 외측 써레판(42)을 연결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연속성 있는 작업이 이루어질 수 없으므로 효율성이 떨어진다.
또한 여분의 안전볼트를 구비하지 않은 경우 외측 써레판(42)을 중앙 써레판(41)에 연결할 수 없어서 더 이상 작업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여, 돌이나 흙덩어리 등의 장애물에 의해 외측 써레판에 과도한 외력이 발생하면, 외측 써레판이 외력이 발생하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다시 원위치로 쉽게 복귀되도록 하여 외측 써레판의 손상을 줄이면서도 연속성 있는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트랙터용 써레의 안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트렉터의 후방에 설치되며, 중앙 써레판의 양측에 외측 써레판이 연결된 트랙터용 써레에 있어서,
상기 중앙 써레판과 외측 써레판 사이에 장착되어 외측 써레판이 중앙 써레판에 대해 전후방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써레 고정부;
몸체가 상기 외측 써레판의 후방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방으로의 회전이 제한되며, 그 하측이 외측 써레판 또는 중앙 써레판의 하단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걸림바;
상기 중앙 써레판에 설치되면서 외측 써레판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걸림바의 후방 하측부위를 걸어 외측 써레판의 후방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편;으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외측 써레판에 과도한 외력이 작용할 때 걸림바가 걸핌편을 타고 넘어가 후방으로 회전함으로써 외측 써레판의 손상을 방지하고, 외력의 해제시에 다리 원위치로 복귀가 가능한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로써, 종래와 같이 안전볼트가 부러지는 현상에 따른 안전볼트 교체 상황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연속성 있는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여분의 안전볼트를 구비하지 않음에 따른 작업의 중단 사태가 발생하지 않아 작업 효율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써래 안전장치의 구조와 동작을 보인 도.
도 4는 본 발명의 써레 안전장치의 구조를 보인 도.
도 5는 걸림바의 분해도.
도 6은 써레 고정구의 분해도.
도 7은 써레 고정구의 결합도.
도 8은 본 발명의 동작 상태를 보인 도.
도 9는 걸림바의 다른 형태를 보인 분해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결합 단면도.
도 11은 걸림바의 또다른 형태를 보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써레가 트랙터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도.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안전장치(300)의 구조를 보인 도로서, 중앙 써레판(100)의 양측에 외측 써레판(110)이 위치하고, 또한 중앙 써레판(100)의 측부와 외측 써레판(110)의 측부를 연결하도록 써레 고정부(200)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써레 고정부(200)에 의해 외측 써레판(110)에 과도한 외력이 작용할 때 중앙 써레판(100)으로부터 전후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된다.
이때, 중앙 써레판(100)과 외측 써레판(110)의 간격은 외측 써레판(110)이 간섭을 받지 않고 회전할 수 있도록 유지되어야 하며, 외측 써레판(110)이 전후방으로 회전시에 상측으로 들려지면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써레 고정부(200)가 외측 써레판(110)쪽으로 약간 기울어지게 설치된다.
외측 써레판(110)의 후방부 즉, 써레날(111)이 형성된 부위에는 후방으로 회전이 가능하고 전방으로는 회전이 제한되도록 걸림바(320)가 힌지 결합되어 있는데, 상기 걸림바(320)는 외측 써레판(110)의 후방부에 설치된 한 쌍의 힌지편(331,332)에 상측이 힌지 결합되어 후방으로 회전이 가능하며, 전방으로는 외측 써레판(110)에 의해 회전이 제한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중앙 써레판(100)의 후방 즉, 써레날(101)이 형성된 부위에는 후방으로 돌출되면서 측방으로 연장되어 걸림바(320)의 후방 하측부위에 위치하는 걸림편(310)이 형성되어 있다.
도 12는 이러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이 트랙터(10)의 후방에서 장착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5는 걸림바(320)와 힌지편(331,332)의 결합상태를 보인 분해도로서, 걸림바(320)의 몸체는 상부에 힌지공(322)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전후방 방향으로 라운드가 형성된 라운드부(321)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힌지편(331,332)의 사이에 걸림바(320)의 상측을 삽입시켜 힌지공(322)과 힌지편(331,332)에 형성된 체결공(333,334)을 일치시킨 다음 체결핀(335)에 의해 힌지 결합시키게 된다.
이에따라 걸림바(320)는 상단이 외측 써레판(110)에 의해 전방으로의 회전은 제한되며, 하측은 외측 써레판(110)의 하단보다 하측으로 더 돌출된다.
도 6은 써레 고정부(200)를 보인 도로서, 베이스 고정체(210), 회전체(220), 스프링(230), 고정구(240)로 구성된다.
베이스 고정체(210)는 중앙 써레판(100)의 양측 가장자리 상부에 용접 등에 의하여 고정되는 것으로, 외측 써레판(110)을 향하여 기울어지게 설치되는데, 이를 위하여 한 예로서 베이스 고정체(210)의 하단이 어느 한쪽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베이스 고정체(210)의 몸체는 원기둥 형태로서, 상측으로는 그 중심부에서 상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샤프트(21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샤프트(204)의 상측에는 나사부(214)가 형성되어 이후 너트 형태의 고정구(240)가 체결되며, 이러한 고정구(240)는 너트뿐만 아니라 고정핀, 고정링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회전체(220)는 링 형태로서, 가운데 부분에 관통된 삽입공(221)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회전체(220)의 측부로는 외측 써레판(110)에 용접이나 볼트에 의해 연결되는 바 형태의 연결부(224)가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230)은 코일 스프링으로서 베이스 고정체(210)와 회전체(220)를 탄성지지하도록 하며, 너트로 된 고정구(240)는 샤프트(213)의 나사부(214)에 체결되어 회전체(220)와 스프링(230)이 베이스 고정체(2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이때 스프링(230)은 코일 스프링에 한정된 것이 아니라 다양한 탄성체로 바뀔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우레탄, 고무 등의 탄성체가 스프링(230)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도 8은 걸림바(320)와 걸림편(310)의 작동관계를 보인 도로서, 만약 외측 써레판(110)이 부드러운 흙덩이에 전방이 부딪힌다면 걸림바(320)가 외측 써레판(110)의 자중과 써레 고정구(200)의 스프링(230) 탄성력에 의해 걸림편(310)에 걸린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외측 써레판(110)이 후방으로 회전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외측 써레판(110)의 전방에 돌맹이나 조그마한 바위등이 걸린 경우 그 외력이 외측 써레판(110)의 자중과 스프링(230)의 탄성력을 넘어서게 되고, 이에 따라 외측 써레판(110)은 후방으로 힘을 받게 되며, 그 힘에 의해 걸림바(320)의 라운드부(321)가 외측 써레판(110)의 전방으로의 회전이 제한된 상태로 걸림편(310)의 상단을 타고 넘어가게 되며, 이때, 써레 고정구(200)에 의해 외측 써레판(110)이 상측으로 들려진 상태에서 후방으로 회전하게 된다.
물론, 써레 고정구(200)에 스프링(230)이 장착되지 않더라도 외측 써레판(110)의 자중에 의해서도 위와 같은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걸림바(320)가 걸림편(310)을 이탈하게 되면, 외측 써레판(110)은 돌맹이 등의 외력발생요인을 충분히 벗어날 정도로 후방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후 작업자가 외측 써레판(110)의 원래의 위치인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걸림바(320)는 후방으로의 회전이 자유롭기 때문에 외측 써레판(110)이 저항을 받지 않고 서레 고정구(200)의 의해 축회전하여 복귀하게 된다.
도 9는 걸림바의 다른 형태인 걸림부(400)의 구조를 보인 도로서, 써레 고정구(200)의 스프링(230)을 제거하고, 대신에 걸림부(400)에 스프링(440)을 내장하여 걸림편(310)을 넘기위한 탄성력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하부가 개방된 사각 파이프 형태의 하우징(410)의 내측으로 내부 하우징(420)이 삽입되는데, 상기 내부 하우징(420)의 하측에는 롤러(43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롤러(430)는 링 형태로 되어 내부 하우징(420)의 하측으로 돌출되면서 걸쳐져 있는 상태가 된다.
내부 하우징(420)의 내측에는 스프링(440)이 장착되어 상기 롤러(430)를 탄성가압하게 되며, 내부 하우징(420)의 상측으로 내측으로 볼트(450)가 내부 하우징(420)의 상측에 고정된 너트(452)를 통해 나사결합되면서 인입되고, 볼트(450)의 하단에는 스프링(440)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편(45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볼트(450)가 회전되면 가압편(451)이 상승하거나 하강하여 스프링(440)의 탄성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볼트(450)의 몸체에는 하우징(410)의 상부를 덮기 위한 덮개(411)가 설치되는데, 이 덮개(411)는 너트(453)에 의해 나사결합되어 도 10과 같이 덮개(411)가 하우징(410)의 상측에서 용접등에 의해 고정되면, 볼트(450)의 회전에 의해 스프링(440)의 가압력이 조절되어 걸림부(400)가 걸림편(310)을 타고 넘는 힘이 결정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스프링(440)의 탄성력 조절에 의해 외측 써레판(110)의 후방 회전력이 결정되는 것이다.
도 11은 걸림바(400)의 또다른 형태를 보인 도로서, 롤러(430) 대신에 몸체의 상하방향으로 장공(461)이 형성된 스토퍼(460)가 내부 하우징(420)의 하단 내측으로 삽입된 다음 내부 하우징(420)의 내측에 형성된 핀(421)이 상기 장공(461)에 삽입됨으로써 스토퍼(460)가 스프링(440)에 의해 탄성을 가지면서 상하방향으로 제한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장공(461)에 의해 내측 하우징(42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깊이가 결정되면서, 외부로의 이탈이 방지되는 것이다.
100 - 중앙 써레판 110 - 외측 써레판
200 - 써레 고정구 300 - 안전장치
310 - 걸림편 320 - 걸림바
331,332 - 힌지편

Claims (4)

  1. 트렉터의 후방에 설치되며, 중앙 써레판의 양측에 외측 써레판이 연결된 트랙터용 써레에 있어서,
    상기 중앙 써레판과 외측 써레판 사이에 장착되어 외측 써레판이 중앙 써레판에 대해 전후방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써레 고정부;
    몸체가 상기 외측 써레판의 후방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방으로의 회전이 제한되며, 그 하측이 외측 써레판 또는 중앙 써레판의 하단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걸림바;
    상기 중앙 써레판에 설치되면서 외측 써레판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걸림바의 후방 하측부위를 걸어 외측 써레판의 후방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편;으로 구성되는 트랙터용 써레의 안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써레 고정부는,
    중앙 써레판에 몸체가 장착되며, 몸체의 상부로는 돌출된 샤프트가 형성되면서 외측 써레판쪽으로 기울어지게 설치된 베이스 고정체;
    상기 베이스 고정체의 샤프트에 삽입되도록 링 형태의 몸체를 가지고, 몸체에는 외측 써레판과 연결되는 연결부가 구비된 회전체;
    상기 베이스 고정체의 샤프트에 삽입되면서 베이스 고정체와 회전체를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써레의 안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바는
    상하부가 개방된 각체 파이프 형태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되며, 하부에는 롤러가 장착된 내부 하우징;
    상기 내부 하우징의 내측에 삽입되어 롤러를 탄성 가압하는 스프링;
    상기 내부 하우징의 상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인입되며, 하단부에 스프링을 가압하는 가압편이 형성된 볼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써레의 안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바는
    상하부가 개방된 각체 파이프 형태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내부 하우징;
    상하방향의 장공을 가지는 몸체로 형성되고, 상기 내부 하우징의 하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장공에 핀 결합되는 스토퍼;
    상기 내부 하우징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스토퍼를 탄성 가압하는 스프링;
    상기 내부 하우징의 상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인입되며, 하단부에 스프링을 가압하는 가압편이 형성된 볼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써레의 안전장치.
KR1020100067899A 2010-07-14 2010-07-14 트랙터용 써레의 안전장치 KR1012581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7899A KR101258118B1 (ko) 2010-07-14 2010-07-14 트랙터용 써레의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7899A KR101258118B1 (ko) 2010-07-14 2010-07-14 트랙터용 써레의 안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245A KR20120007245A (ko) 2012-01-20
KR101258118B1 true KR101258118B1 (ko) 2013-04-25

Family

ID=45612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7899A KR101258118B1 (ko) 2010-07-14 2010-07-14 트랙터용 써레의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8118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2770A (ko) 2014-07-25 2016-02-03 김경수 써레용 안전장치
KR20190016848A (ko) 2017-08-09 2019-02-19 김필수 트랙터용 써레
KR20190016847A (ko) 2017-08-09 2019-02-19 김필수 트랙터용 써레
KR102076355B1 (ko) 2018-09-20 2020-02-11 김문수 트랙터용 써레
KR20200076375A (ko) 2018-12-19 2020-06-29 김경수 트랙터용 써레
KR20210143585A (ko) 2020-05-20 2021-11-29 김문수 트랙터용 써레
KR20230105511A (ko) 2022-01-04 2023-07-11 김계수 써레용 완충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247B1 (ko) * 2013-07-03 2014-09-17 정미영 보조 써레의 완충 및 각도조절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2365Y1 (ko) 2001-05-04 2001-10-12 구완회 절첩식 농업용 써레
KR100390696B1 (ko) 2000-11-12 2003-07-10 (주)광산엠.티.시 절첩식 써레장치
KR20100019848A (ko) * 2008-08-11 2010-02-19 김필수 보조 써레용 안전장치
KR20100019847A (ko) * 2008-08-11 2010-02-19 김필수 보조 써레용 안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0696B1 (ko) 2000-11-12 2003-07-10 (주)광산엠.티.시 절첩식 써레장치
KR200242365Y1 (ko) 2001-05-04 2001-10-12 구완회 절첩식 농업용 써레
KR20100019848A (ko) * 2008-08-11 2010-02-19 김필수 보조 써레용 안전장치
KR20100019847A (ko) * 2008-08-11 2010-02-19 김필수 보조 써레용 안전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2770A (ko) 2014-07-25 2016-02-03 김경수 써레용 안전장치
KR20190016848A (ko) 2017-08-09 2019-02-19 김필수 트랙터용 써레
KR20190016847A (ko) 2017-08-09 2019-02-19 김필수 트랙터용 써레
KR102076355B1 (ko) 2018-09-20 2020-02-11 김문수 트랙터용 써레
KR20200076375A (ko) 2018-12-19 2020-06-29 김경수 트랙터용 써레
KR20210143585A (ko) 2020-05-20 2021-11-29 김문수 트랙터용 써레
KR20230105511A (ko) 2022-01-04 2023-07-11 김계수 써레용 완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245A (ko) 2012-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8118B1 (ko) 트랙터용 써레의 안전장치
KR100701920B1 (ko) 유동기능을 갖는 트랙터용 써레
CN104938046A (zh) 一种泥土整平装置
JP2014223032A (ja) 圃場溝掘機
KR101436155B1 (ko) 파손방지수단이 구비된 트랙터용 써레
JP2014223031A (ja) 圃場溝掘機
KR101398588B1 (ko) 양련쟁기의 안전장치
US2337026A (en) Toolholder
KR101668674B1 (ko) 농업용 작업기 장착용 장치
HUE035383T2 (en) Walking machine with walk-through protection
KR101150296B1 (ko) 트랙터용 써레의 안전장치
KR200347642Y1 (ko) 농용트랙터 로타베이터의 다기능 프래임 구조
US11255073B2 (en) Stabilizer pad for work machine stabilizer arm
CN211210582U (zh) 一种基于仿形平台的六自由度软连接聚拢指盘
KR101398593B1 (ko) 경작기의 안전장치
KR20110084646A (ko) 로터리용 경운회전축
CN101395982A (zh) 农机耕整机械的中间传动装置
KR20210032170A (ko) 그레이더
KR100567199B1 (ko) 안전장치가 부가된 트랙터 가장자리 배토기
KR20160001188U (ko) 트랙터용 광폭써레
KR101985393B1 (ko) 양련쟁기의 안전장치
CN105578866A (zh) 双向犁限深轮设备
KR200492150Y1 (ko) 두둑 성형 및 비닐 피복기가 구비된 경운기
CN208987255U (zh) 一种防止深松机的深松腿摆动的装置
EP3140461A1 (en) Crumber for trench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2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