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2365Y1 - 절첩식 농업용 써레 - Google Patents

절첩식 농업용 써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2365Y1
KR200242365Y1 KR2020010013074U KR20010013074U KR200242365Y1 KR 200242365 Y1 KR200242365 Y1 KR 200242365Y1 KR 2020010013074 U KR2020010013074 U KR 2020010013074U KR 20010013074 U KR20010013074 U KR 20010013074U KR 200242365 Y1 KR200242365 Y1 KR 2002423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row
inclined surface
auxiliary
fixing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30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완회
Original Assignee
구완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완회 filed Critical 구완회
Priority to KR20200100130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23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23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2365Y1/ko

Links

Landscapes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절첩식 농업용 써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의 단순화로 제작원가의 절감효과와 함께 작업의 간편성 및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절첩식 농업용 써레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써레본체(100)의 양측 보조써레(110)(110A)가 절첩가능토록 구성됨에 있어서, 상기 써레본체(100)의 양측 상면에 수직의 회동축(1)이 일체로 형성되고, 이의 외측에 중공의 회동관(2)을 회전자재케 삽입하되, 상기 회동관(2)이 상시 상부측 스프링(3)에 의해서 하부 밀착방향으로 탄력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회동관(2)의 일측에는 각각 보조써레(110)(110A)에 연결되는 연결바(4)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회동축(1)의 하부측 써레본체(100)의 상면에는 경사면(5)이 형성되어 회동관(2)의 연결바(4)가 그 경사면(5)에 각각 미끄럼 접촉되면서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구조의 단순화를 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인해 관련 부속 부품수 및 작업공수의 감소로 제작원가의 절감효과는 물론 작업의 간편성 및 효율성 그리고 생산성 향상을 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절첩식 농업용 써레 {Floder type harrow for farming}
본 고안은 절첩식 농업용 써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써레본체 양측의 보조써레가 절첩가능토록 하면서 그 구성이 보다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제작단가의 절감효과와 함께 제작의 간편성 및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농업용 써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업용 써레는 트랙터의 후미에 장착되어 트랙터의 견인에 의해서 땅과 접촉되면서 평탄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 종래에는 써레본체의 폭이 좁아 평탄작업의 비효율성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써레본체의 양측에 보조써레가 설치되고, 그 보조써레는 운반 및 보관의 용이성 확보를 위해 절첩가능토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절첩식 농업용 써레는 보조써레의 절첩을 위한 기술적 구성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관련 부속부품이 많아 제작의 어려움 및 제작단가의 상승을 초래하게 되고, 또한 작업의 번거로움 및 불편성은 물론 작업의 비효율성 및 생산성저하를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보조써레가 펼쳐지고 접힌 상태의 유지를 위한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펼친 상태에서의 작업 또는 접힌 상태의 운반시 보조써레의 유동 및 이탈로 작업성 저하 또는 운반 및 보관의 불편성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써레본체의 양측 보조써레를 절첩가능하게 구성하면서 그 구성이 보다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절첩상태의 보조써레를 써레본체에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써레본체의 양측 보조써레가 절첩가능토록 구성됨에 있어서, 상기 써레본체의 양측 상면에 수직의 회동축이 일체로 형성되고, 이의 외측에 중공의 회동관을 회전자재케 삽입하되, 상기 회동관이 상시 상부측 스프링에 의해서 하부 밀착방향으로 탄력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회동관의 일측에는 각각 보조써레에 연결되는 연결바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회동축의 하부측 써레본체의 상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회동관의 연결바가 그 경사면에 각각 미끄럼 접촉되면서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절첩식 농업용 써레가 제공된다.
상기 써레본체의 양측 전방에 선단 고정턱이 각각 써레본체의 외측으로 향하는 탄지편이 형성되고, 보조써레의 각 전방측에는 상기 탄지편의 고정턱에 각각 걸림 고정되는 걸림턱을 갖는 고정편이 형성된 제1고정부와; 상기 제1고정부 사이의 써레본체 전방측에 선단 고정턱이 후방측으로 향하는 탄지편이 써레본체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2고정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사면이 회동축의 하부측 둘레를 따라 일체로 형성하고, 회동관의 밑면부에는 그 경사면을 따라 미끄럼접촉되는 상대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 확대사시도.
도 3a,도 3b는 본 고안의 펼친 상태를 보인 것으로서,
도 3a는 평면도.
도 3b는 정면도.
도 4a,도 4b는 본 고안의 접힌 상태를 보인 것으로서,
도 4a는 평면도.
도 4b는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회동축 2:회동관
3:스프링 3A:핀
4:연결바 5:경사면
5A:상대경사면
6:제1고정부
61:탄지편 61A:고정턱
62:고정편 62A:걸림턱
6A:제2고정부
7:충격차단부
71:체결편 72:볼트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사시도로서, 이 절첩식 농업용 써레는 통상에서와 같이 중앙부의 써레본체(100)를 중심으로 이의 양측에 보조써레(110)(110A)가 구비되고, 상기 보조써레(110)(110A)는 절첩이 가능하도록 연결 및 고정된다. 또한 상기 써레본체(100)는 지지프레임(120)에 의해서 트랙터(미도시됨)의 후미에 장착되며, 유압실린더(130)의 작동에 의한 힌지(140) 회전에 의해서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절첩식 농업용 써레에 있어, 본 고안은 써레본체(100)의 양측 상면에 원주형의 회동축(1)이 수직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회동축(1)의 외측에는 회동축(1)보다 길이가 짧고 상.하로 관통된 원형관 형태의 회동관(2)이 삽입되며, 상기 회동관(2)의 일측에는 보조써레(110)(110A)에 단부측이 연결 및 고정된 연결바(4)가 각각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동관(2)이 하부측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회동관(2)의 상부측, 회동축(1)의 외측에는 스프링(3)이 구비되고, 상기 스프링(3)은 회동축(1)의 상단부 핀(미도시됨)의 걸림 및 지지로 상시 회동관(2)을 밀착방향으로 탄력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보조써레(110)(110A)를 회동축(1)을 중심으로 써레본체(100) 측으로 회동시켜 접을 때, 보조써레(110)(110A) 상호 간의 간섭을 피해 서로 적층 및 포개지는 식으로 접혀질 수 있도록 각각의 회동축(1) 하부측 써레본체(100)의 상면에는 경사면(5)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5)은 각각 써레본체(100)의 양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차 커지는 식의 상향 경사면으로 상호 대칭 형성되고, 일측 보조써레(110)가 미끄럼 접촉되는 경사면(5)은 타측 보조써레(110A)가 미끄럼 접촉되는 경사면(5)보다 높게 형성된다. 즉, 상호 경사면(5)의 높이차로 보조써레(110)(110A)가 상호 간섭없이 포개지는 식으로 접혀질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함께 보조써레(110)(110A)의 절첩시 펼친 상태의 유지와 접힌 상태의 유지를 위한 고정수단으로서 써레본체(100)의 양측 전방(써레의 진행방향 기준)에 제1고정부(6)가 형성되고, 상기 제1고정부(6) 사이의 써레본체(100)에는 제2고정부(6A)가 써레본체(100)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후향 돌출형성된다.
제1고정부(6)는 선단에 하향 절곡형성된 고정턱(61A)을 갖는 탄지편(61)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턱(61A)이 각각 써레본체(100)의 외측방향으로 향하도록 상기 써레본체(100)의 전방 양측에 형성되고, 보조써레(110)(110A)의 각 전방측에는 선단 일측방향으로 걸림턱(62A)을 갖는 고정편(62)이 일체로 돌출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또한 상기 제1고정부(6)에 의해서 펼친 상태로 유지 및 고정되는 보조써레(110)(110A)에 대한 외부 충격시 그 충격이 써레본체(100) 측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충격차단부(7)가 구비되고, 상기 충격차단부(7)는 탄지편(61)의 후단부측을 써레본체(100)의 전방측으로 돌출 형성된 체결편(71)에 볼트(72) 체결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즉, 보조써레(110)(110A)에 외부의 충격이 가해지면, 그 볼트(72)의 머리가 부러지면서 보조서레(110)(110A)가 각각 회동축(1)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함으로써 충격차단기능을 수행하게 되고, 다시 새로운 볼트(72)의 체결에 의해서 제1고정부(6)의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2고정부(6A)는 제1고정부(6)와 같이 선단에 고정턱(61A)을 갖는 탄지편(61)으로 구성되고, 상기 탄지편(61)은 써레본체(100)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고정턱(61A)이 써레본체(100)의 후방측으로 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고정턱(61A)의 타측 단부측은 써레본체(100)의 전방측에 고정된다. 이로써 상기 탄지편(61)의 고정턱(61A)이 최종 접혀지는 일측 보조써레(110A)의 뒤쪽을 걸림에 의한 탄지력으로 고정함으로써 보조써레(110)(110A)의 접혀진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8은 지지프레임(120)에 써레본체(100)를 탄력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이고, 9는 써레본체(100)의 상향 이동범위를 걸림으로 제한하는 스톱퍼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 확대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써레본체(100)의 상면에 수직의 회동축(1)이 형성되고, 상기 회동축(1)의 외측에는 상시 상부측 스프링(3)에 의해서 밀착방향으로 탄력지지되는 회동관(2)이 삽입 형성되며, 상기 회동관(2)의 일측부에는 보조써레(110)(110A)에 연결 및 고정되는 연결바(4)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3)은 핀(3A)에 의해서 고정 및 지지된다.
또한 상기 회동축(1)의 하부 쎄레본체(100) 상면에는 써레본체(100) 측으로 높이가 커지는 경사면(5)이 형성되어 보조써레(110)(110A) 회동시 회동관(2)의 연결바(4)가 상기 경사면(5)에 미끄럼 접촉되면서 상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써레본체(100)의 전방측에는 보조써레(110)(110A)를 상시 펼친 방향으로 유지 및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제1고정부(6)가 구비된다.
상기 제1고정부(6)는 써레본체(100)의 전방측에 선단의 고정턱(61A)이 외측으로 향하도록 탄지편(61)을 형성하고, 보조써레(110)(110A)의 전방측에는 상기 탄지편(61)의 고정턱(61A)에 걸림 고정될 수 있도록 걸림턱(62A)을 갖는 고정편(62)을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탄지편(61)의 후단부측은 써레본체(100)의 전방측으로 돌출 형성된 체결편(71)에 볼트(72)로 체결되어 충격차단부(7)를 구성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보조써레 펼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써레본체(100)의 양측 보조써레(110)(110A)는 회동축(1)을 중심으로 한 회동관(2) 및 연결바(4)의 회전에 의해서 펼친 상태가 되는 것으로, 이때 상기 보조써레(110)(110A)는 써레본체(100)와 동일선 상에 위치되고, 상기 써레본체(100)의 양측 제1고정부(6)에 의해서 고정된다.
또한 보조써레(110)(110A)의 회동축(1) 중에서 최종 접혀지는 보조써레(110)측의 회동축(1)은 평면상에서 최초 접혀지는 보조써레(110A)측의 회동축(1)보다 후방측(써레의 진행방향 기준)에 위치되게 구성되고, 이로써 써레본체(100)의 양측 보조써레(110)(110A)가 완전하게 접혀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써레본체(100)의 내측방향으로 보조써레(110)(110A)에 탄지편(61)의 탄성력을 극복하는 힘이 작용하면, 상기 보조써레(110)(110A)에 각각 형성된 제1고정부(6)의 고정편(62)이 써레본체(100)의 양측에 형성된 탄지편(61)의 고정턱(61A)으로부터 이탈된다. 또한 상기 보조써레(110)(110A)는 회동축(1)을 중심으로 한 회동관(2) 및 연결바(4)의 회전 및 상기 연결바(4)의 경사면(5) 미끄럼 접촉으로 상향으로 이동되는데, 이때 일측 보조써레(110)는 비교적 높게 형성된 일측 경사면(5)을 따라 이동되고 타측 보조써레(110A)는 그 경사면(5)보다 다소 낮게 형성된 경사면(5)을 따라 이동됨으로써 상호 간섭없이 포개지는 식으로 접혀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렇게 접혀진 보조써레(110)(110A)는 최종 접혀지는 타측 보조써레(110)의 뒷부분이 접혀지면서 제2고정부(6A)를 구성하는 탄지편(61)의 고정턱(61A)에 걸림 고정됨으로써 그 접혀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써레본체(100)의 상면에 원주형의 회동축(1)이 수직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회동축(1)의 외측에는 상.하로 관통형성된 원형의 회동관(2)이 삽입 형성되며, 상기 회동관(2)의 일측부에는 보조써레(110)에 단부측이 연결 및 고정된 연결바(4)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동축(1)의 하부측 둘레에는 써레본체(100) 측으로 높이가 점차 커지는 경사면(5)이 형성되고, 회동관(2)의 밑면부에는 상기 경사면(5)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경사면(5)을 따라 미끄럼 접촉되면서 상기 회동관(2)을 상부측으로 이동시키는 상대경사면(5A)이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써레본체의 양측 보조써레가 절첩가능토록 하면서 그 구성를 단순화함으로써 관련 부속 부품수의 감소 및 제작원가의 절감효과를 가져올 뿐만 아니라 이로인해 작업의 간편성 및 효율성 그리고 생산성 향상을 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보조써레가 특정 외력의 작용이 없는 한 상시 펼친 상태 또는 접힌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시 또는 운반 및 보관시 보조써레의 유동 및 이탈에 따른 작업성 저하 또는 운반 및 보관의 번거로움 및 불편성을 해소할 수 있는 이점도 갖게 된다.

Claims (4)

  1. 써레본체(100)의 양측 보조써레(110)(110A)가 절첩가능토록 구성됨에 있어서,
    상기 써레본체(100)의 양측 상면에 수직의 회동축(1)이 일체로 형성되고, 이의 외측에 중공의 회동관(2)을 회전자재케 삽입하되, 상기 회동관(2)이 상시 상부측 스프링(3)에 의해서 하부 밀착방향으로 탄력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회동관(2)의 일측에는 각각 보조써레(110)(110A)에 연결되는 연결바(4)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회동축(1)의 하부측 써레본체(100)의 상면에는 경사면(5)이 형성되어 회동관(2)의 연결바(4)가 그 경사면(5)에 각각 미끄럼 접촉되면서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절첩식 농업용 써레.
  2. 제1항에 있어서, 일측 보조써레(110)측의 회동축(1)은 평면상에서 타측 보조써레(110A)측의 회동축(1)보다 후방측에 위치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절첩식 농업용 써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써레본체(100)의 양측 전방에 선단 고정턱(61A)이 각각 써레본체(100)의 외측으로 향하는 탄지편(61)이 형성되고, 보조써레(110)(110A)의 각 전방측에는 상기 탄지편(61)의 고정턱(61A)에 각각 걸림 고정되는 걸림턱(62A)을 갖는 고정편(62)이 형성된 제1고정부(6)와;
    상기 제1고정부(6) 사이의 써레본체(100) 전방측에 선단 고정턱(61A)이 후방측으로 향하는 탄지편(61)이 써레본체(100)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2고정부(6A)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 절첩식 농업용 써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5)이 회동축(1)의 하부측 둘레를 따라 일체로 형성하고, 회동관(2)의 밑면부에는 그 경사면(5)을 따라 미끄럼접촉되는 상대경사면(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절첩식 농업용 써레.
KR2020010013074U 2001-05-04 2001-05-04 절첩식 농업용 써레 KR2002423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3074U KR200242365Y1 (ko) 2001-05-04 2001-05-04 절첩식 농업용 써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3074U KR200242365Y1 (ko) 2001-05-04 2001-05-04 절첩식 농업용 써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2365Y1 true KR200242365Y1 (ko) 2001-10-12

Family

ID=73081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3074U KR200242365Y1 (ko) 2001-05-04 2001-05-04 절첩식 농업용 써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2365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6587B1 (ko) 2007-03-14 2008-06-10 대호 (주) 써레 접철용 링크장치
KR101150298B1 (ko) 2010-07-14 2012-06-12 박기혁 트랙터용 써레의 자동 접이장치
KR101180727B1 (ko) 2010-11-22 2012-09-07 김명수 트랙터용 써레의 연결 프레임 고정 장치
KR101245612B1 (ko) * 2010-11-03 2013-03-20 주식회사 우진정공 수평 벤딩기의 소재 길이 셋팅을 위한 접이식 아대장치
KR101258118B1 (ko) 2010-07-14 2013-04-25 박기혁 트랙터용 써레의 안전장치
CN111663485A (zh) * 2020-05-21 2020-09-15 广州城市职业学院 一种落叶清扫工具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6587B1 (ko) 2007-03-14 2008-06-10 대호 (주) 써레 접철용 링크장치
KR101150298B1 (ko) 2010-07-14 2012-06-12 박기혁 트랙터용 써레의 자동 접이장치
KR101258118B1 (ko) 2010-07-14 2013-04-25 박기혁 트랙터용 써레의 안전장치
KR101245612B1 (ko) * 2010-11-03 2013-03-20 주식회사 우진정공 수평 벤딩기의 소재 길이 셋팅을 위한 접이식 아대장치
KR101180727B1 (ko) 2010-11-22 2012-09-07 김명수 트랙터용 써레의 연결 프레임 고정 장치
CN111663485A (zh) * 2020-05-21 2020-09-15 广州城市职业学院 一种落叶清扫工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45721T3 (es) Dispositivo de almacenamiento vertical de estanterias para herramientas.
US6575486B2 (en) Folding structure of a children tricycle
EP3025946B1 (en) Folding bicycle
KR200242365Y1 (ko) 절첩식 농업용 써레
CN104544847B (zh) 带有具有细长臂的悬臂式轮子托架的行李箱
US6997634B2 (en) Folding joint arrangement for foldable furniture
US6430891B1 (en) Construction element and coupling device thereof
JPH08322644A (ja) テーブル
US6126234A (en) Portable baby seat
ES2202935T3 (es) Escoba articulada.
JPH0535108Y2 (ko)
JP2887750B2 (ja) 回動フック
US20020079724A1 (en) Tray lock device
EP0607726B1 (fr) Fermoir dépliant pour bracelet à brin réglable
US20170172052A1 (en) Hinged folding toolbar for an agricultural implement
CN102343583A (zh) 工具箱
JPH0626624Y2 (ja) シールド掘進機の中折れ装置
CN104717903A (zh) 带折叠顶板家具
AU713350B3 (en) Banquet table
JP3103018U (ja) 植物の支持枠
KR102668244B1 (ko) 써레용 완충장치
JP6594225B2 (ja) 作業機
CN209396815U (zh) 千斤顶总成
JP2000203643A (ja) 厚紙製緩衝体
KR200168923Y1 (ko) 등받이 절첩구조를 가진 오토바이용 짐받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