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5612B1 - 수평 벤딩기의 소재 길이 셋팅을 위한 접이식 아대장치 - Google Patents

수평 벤딩기의 소재 길이 셋팅을 위한 접이식 아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5612B1
KR101245612B1 KR1020100108513A KR20100108513A KR101245612B1 KR 101245612 B1 KR101245612 B1 KR 101245612B1 KR 1020100108513 A KR1020100108513 A KR 1020100108513A KR 20100108513 A KR20100108513 A KR 20100108513A KR 101245612 B1 KR101245612 B1 KR 1012456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length
rotating body
workbench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8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6945A (ko
Inventor
임인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진정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진정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진정공
Priority to KR1020100108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5612B1/ko
Publication of KR20120046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69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5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5612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척의 부스바 소재를 벤딩 가공하는 경우 작업대에 대해 길게 펼쳐 사용하며, 길이가 짧은 부스바 소재의 벤딩 가공 시에는 작업대의 일측에 간단히 접어 보관함으로써 작업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작업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으며, 부스바 가공장치의 수송의 편의성이 증진되는 수평 벤딩기의 소재 길이 셋팅을 위한 접이식 아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절곡 가공될 부스바 소재의 길이를 셋팅하도록 수평 벤딩기의 작업대에 설치되는 아대장치에 있어서, 상기 아대장치는 작업대의 측면에 작업대의 표면과 수평면을 이루도록 펼쳐지거나 또는 수직 하방으로 접혀져 늘어뜨려지는 것이 허용되는 아대와, 그 아대 상면에 장착하는 측정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평 벤딩기의 소재 길이 셋팅을 위한 접이식 아대장치{Fold type band apparatus to set the length of material of horizontal bending device}
본 발명은 각종 배전반이나 분전반 등에 사용되는 부스바(Bus bar)를 가공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장척의 부스바 소재의 벤딩(절곡) 가공에 있어 부스바 소재의 길이를 셋팅하는 아대장치가 접이식으로 부스바 가공기에 설치되는 수평 벤딩기의 소재 길이 셋팅을 위한 접이식 아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반이나 분전반, 제어반 등에는 단자와 단자 사이를 접속하기 위해 동판이나 알루미늄 등의 두꺼운 판재로 이루어진 부스바(Bus bar)라 불리우는 접속편을 사용하게 되는데, 상기 부스바는 배전반 등의 설계에 따라 장착 및 다른 부재와의 연결을 위하여 필요한 길이로 커팅 또는 설계된 각도를 가지도록 벤딩되거나 다른 부재와 볼트 체결하기 위한 복수의 체결공이 펀칭되는 등의 여러 가공 작업을 필요로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부스바의 가공 작업을 위해 일종의 프레스 장치로서 소위 부스바 가공장치라 부르는 장치가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부스바 가공장치는 대체로 내부에 구동장치가 내장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로 벤딩기, 커터, 펀칭기 등이 선택적으로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벤딩기, 커터, 펀칭기는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프레스에 각각의 목적에 적합한 가공수단을 장착하여 구성되고,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유압펌프와 같은 구동장치에 의해 작동되는 데, 그중 본 발명은 벤딩기 전용의 부스바 절곡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선행 기술로는 본 발명자에 의해 선 등록된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 20-0091984호 및 동 실용신안등록 제 20-357890호 등의 예를 들 수 있는 데, 이는 장치 본체의 가장자리에 천공유닛, 벤딩유닛, 절단유닛 등이 형성되고, 장치 본체의 전면부에 유압모터를 구비하고 있는 콘트롤부를 갖추고 있어서 사용자가 콘트롤부를 조작함에 따라 그 내부에 구비된 유압모터가 구동하여 각각의 유닛으로 작동유압을 공급하므로써 각각의 유닛이 구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복수 종류의 작업수단 중 벤딩유닛은 부스바를 일정각도 절곡시키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서, 수직 방향으로 작동하도록 설치되는 유압실린더의 피스톤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는 상부금형이 하강하면서 하부금형과 협력하여 부스바를 일정각도 절곡시키게 되며, 이러한 벤딩유닛에 있어서는 상부금형이 하강하는 거리만큼 부스바의 절곡각도가 결정되게 되므로 부스바의 절곡각도 만큼 상부금형의 하강거리를 정확히 제어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며, 또한 부스바 소재가 두껍고 긴 중량물이어서 주변의 작업 공간이 요구되고 작업자의 안전 사고 위험을 고려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도8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부스바 소재(6)를 절곡점 6a 및 6b를 가지도록 이단 절곡 가공해야 하는 상황도 흔하게 발생하는데, 유압실린더가 수직 방향으로 구동하는 상기한 종래의 벤딩기 구조에 의하면 도9 에서처럼 소재(6)가 작업자의 정면에 위치하는 형태로 작업시 작업장 바닥면(40)의 간섭으로 소재(6)의 길이 제한이 따를 수밖에 없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으며, 또 상부금형(41)이 하부금형(42)를 향해 하강하여 절곡시에 소재(6) 하단이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 운동을 하게 되어 소재(6) 하단부가 상승하면서 작업자의 신체에 타격을 가하여 안전사고를 일으킬 위험성이 있고, 반대로 절곡 작업 후 상부금형(41)이 상승시엔 부스바 소재(6)의 무게 중심으로 인해 부스바 소재가 낙하하는 회전 모우먼트 작용에 의해 부스바 소재가 낙하하는 것 때문에 작업자가 다칠 수 있으며, 또 통상 전류의 저항 손실이 작은 구리 재질로 부스바 소재(6)를 형성하기 때문에 길게 돌출되어 허공에 노출된 소재를 안전을 위해 작업자가 손으로 잡아준 상태에서 절곡 작업하게 될 때 중량물인 구리 소재의 부스바 소재(6)를 핸들링하는 데 있어 힘이 많이 드는 불편함이 있었다.
한편, 상기한 문제점을 회피하고자 도10에 도시하는 것처럼 부스바 소재(6)를 반대 방향으로 위치시켜 작업하는 방안은 부스바 소재(6)가 장치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어 작업자가 소재를 잡아줄 수 없어 위험성이 크고 전혀 소재의 콘트롤을 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런데 이는 유압실린더가 수직으로 구동하도록 설치하는 데 따라 수반되는 회피할 수 없는 문제점인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또 대체로 배전반이나 분전반, 제어반 등이 설치되는 장소는 협소한 경우가 많은데 비해, 상기와 같은 종래의 부스바 가공장치는 내부에 유압펌프와 같은 구동장치가 마련되고 상부에 복수의 프레스가 형성되기 때문에 장치가 무겁고 대형화되어 장치의 이동이 불가능하므로, 배전반 등의 설치 장소에서 현장 상황에 맞게 즉시 절곡가공 및 성형이 이루어지기 어려운 문제점도 있다.
또 유압실린더가 수직으로 입설되는 장치의 특성상 하부금형을 고정금형으로하고, 상부금형이 하강 작동하는 가동금형이 될 수밖에 없는 데, 유압실린더를 작업대의 상부, 즉 상부금형의 상부로 높이 솟아오르도록 지지되게 설치하는 것은 장치의 외관이 보기 흉하고 덩치가 너무 커지기 때문에 통상 유압실린더를 하부금형 밑으로 설치하는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같은 설치 방식의 경우 하부금형에 유압실린더의 피스톤로드를 고정 설치하여야 하는 관계로 유압실린더가 작동하여 피스톤로드가 출몰하게 되면 유압실린더가 상하로 움직여야 하며, 이에 연동하여 유압실린더의 지지구조물들도 함께 가이드의 안내를 받아 상하 운동하여야 함으로써 장치의 구조가 복잡하고 강성에 문제가 있을 뿐 아니라 그 지지구조물이 하부금형을 지나 상부금형까지 연장되는 관계로 장치의 크기가 커지고 중량화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자는 한국 특허출원 2010-14967호(발명의 명칭:수평 작동식 부스바 절곡가공장치)를 포함하는 여러 발명들에서 유압실린더를 작업대 상에 수평으로 설치하는 구조를 제안한바 있다.
상기한 선출원 발명은 도1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작업대(3)와; 그 작업대(3) 위에 수평으로 마련되는 베이스부재(4)와; 수평의 전후 방향으로 왕복 작동하는 피스톤로드(8)를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부재(4) 위로 후방 측에 고정 설치되는 유압실린더(7)와; 상기 유압실린더(7)의 피스톤로드(8) 선단에 장착되어 절곡 작업을 위해 상기 베이스부재(4) 상면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왕복 작동하며, 선단에 상하로 트이는 빈공간의 벤딩용 요홈을 가진 ㄷ자 형상의 가동금형(9)과; 상기 가동금형(9)과 대향하여 상기 베이스부재(4)의 선단측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기 가동금형(9)이 접근시 상기 빈공간인 벤딩용 요홈(11) 내에 진입하여 부스바 소재(6)를 절곡하는 고정금형(13); 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그리고 베이스부재(4)와 같은 평면을 이루는 넓은 표면적의 작업판(5) 위에 부스바 소재(6)의 길이 셋팅을 위한 아대장치(35)가 마련되어 있고 그 아대장치(35)는 측정자(36)와 소재(6)의 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37)를 구비하고 있어 소재(6)의 절곡점부터 단부까지의 길이를 상기 아대장치(35)를 통해 측정하여 셋팅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상기한 선 출원 발명은 종래 수직으로 설치되던 상하부 금형과 유압실린더가 베이스부재 상면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수평으로 작동되기 때문에 부스바 소재(6)를 베이스부재(4) 위에 세운 형태(소재의 두께가 베이스부재 표면에 놓여진 형태를 말함)로 놓고 절곡 작업을 할 수 있어 소재 크기에 제한을 받지 않으며, 또 절곡시 소재(6)의 낙하나 상승 움직임이 없고 작업자가 특별히 중량물인 소재(6)를 붙잡고 있지 아니하여도 되므로 작업이 쉽고 안전성이 크게 향상되며, 또 유압실린더(7)의 수평 설치 구조상 고정대의 한 축을 베이스부재(4)가 담당하게 되므로 유압실린더(7)의 고정 구조가 매우 간단하고 재료의 소요가 적어 비용이 저감되고, 유압실린더(7)를 지지하는 지지 상태가 강건하며, 가동금형(9)이 벤딩용 요홈(11)의 구비로 절곡되는 소재(6)와 직접 접촉하는 가압면이 최소화되어 프레싱 힘이 작아도 되어 프레스 용량의 저감으로 장치 비용이 줄어드는 등 여러 효과가 있다.
그러나 상기한 선 출원발명은 부스바소재(6)의 길이가 길 경우 길이의 셋팅 작업에 있어 다음과 같은 문제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전력 사용량의 급증에 따라 변전소 등의 설비가 대형화하면서 대형 크기의 부스바 가공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어, 이에 따라 가공될 부스바 소재의 길이가 5~10m 크기에 달하는 경우가 있다. 그런데 이러한 크기의 길이 측정을 위해서는 종래의 경우 아대장치(35)를 작업판(5)을 벗어나 길게 돌출하도록 설치하여 긴 소재의 셋팅에 대응하여 왔다.
그러나 아대장치(35)를 작업판(5)을 벗어나 길게 돌출하도록 설치하는 경우 공장의 설치 면적을 많이 차지하고, 길게 돌출한 아대장치가 작업자들의 행동 반경을 제한하여 불편함을 주며, 수요자에게 배송 시 컨테이너 면적을 많이 차지하게 되어 물류 비용을 증대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이 때문에 긴 소재의 작업시에만 그에 적합한 아대장치를 장착하여 사용하고 작은 길이의 소재 가공 시에는 도면에 도시한 것과 같은 소형의 아대장치(35)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어 왔으나, 이는 2가지 종류의 아대장치를 함께 구비하여야 함으로 원가가 상승되고 탈부착 과정의 번거로움이 많고, 또 사용치 않는 아대장치의 보관 중 분실 우려가 있어 작업자로서는 여간 불편한 일이 아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한 것으로서, 그의 목적으로 하는 것은 장척의 부스바 소재를 벤딩 가공하는 경우 작업대에 대해 길게 펼쳐 사용하며, 길이가 짧은 부스바 소재의 벤딩 가공 시에는 작업대의 일측에 간단히 접어 보관함으로써 작업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작업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으며, 부스바 가공장치의 수송의 편의성이 증진되는 수평 벤딩기의 소재 길이 셋팅을 위한 접이식 아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절곡 가공될 부스바 소재의 길이를 셋팅하도록 수평 벤딩기의 작업대에 설치되는 아대장치에 있어서, 상기 아대장치는 작업대의 측면에 작업대의 표면과 수평면을 이루도록 펼쳐지거나 또는 수직 하방으로 접혀져 늘어뜨려지는 것이 허용되는 아대와, 그 아대 상면에 장착하는 측정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아대는 작업대의 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몸체에 대해 수평과 수직의 90°회동 움직임이 허용되도록 체결되는 회전몸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정몸체와 회전몸체는 핀축으로 체결되어 상기 회전몸체는 상기 핀축을 기점으로 회전 운동이 허용되며, 상기 회전몸체의 외부로 길게 연장하는 핀축 상에는 상기 회전몸체를 항시 고정몸체 측으로 밀어 붙이도록 힘을 가하는 탄성스프링이 설치되며, 상기 아대가 수평 상태에서 상기 회전몸체는 탄성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고정몸체에 밀착하여 상하 움직임이 고정되며, 상기 아대를 수직 하방으로 접을 때에는 상기 회전몸체를 탄성스프링을 압축하는 방향으로 밀어 상기 회전몸체가 고정몸체의 구속 상태로부터 벗어나도록 한 후 아래로 꺽어 회동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고정몸체와 회전몸체는 계단식 경계면을 가지고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아대의 상부에는 부스바 소재의 길이의 셋팅을 위해 부스바 소재의 단부를 지지하도록 아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게 보조아대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보조아대 상에 측정자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아대는 회전형 지지체에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동 위치에서 상기 회전형 지지체에 고정되며, 상기 회전형 지지체는 그의 하면으로 축봉이 돌출되어 있어 그 축봉이 상기 아대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된 장착공들 중 어느 하나에 끼워져 위치가 고정되며, 당해 장착공에 끼워진 상기 축봉을 중심점으로 하여 수평면 상에서의 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길이가 긴 부스바 소재를 벤딩 가공하는 경우에는 가공길이의 셋팅을 위하여 작업대 측면에 접혀져 있는 아대장치를 수평으로 펼쳐 작업대 밖으로 길게 돌출시켜 작업하며, 소재의 길이가 짧아 작업대 범위 내에서 작업이 가능하여 아대 장치가 필요치 아니할 때에는 아대장치를 작업대의 측면에 접어 붙여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아대장치를 사용치 않을 때 작업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작업자들의 활동을 방해하지 않아 생산성을 높일 수 있으며, 부스바 가공장치를 운송시 용적을 작게 차지하여 물류 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소재 길이 셋팅을 위한 접이식 아대장치를 구비한 수평 벤딩기로서, 접이식 아대장치를 수평으로 펼쳐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소재 길이 셋팅을 위한 접이식 아대장치를 구비한 수평 벤딩기로서, 접이식 아대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시 수직으로 접어 놓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접이식 아대장치의 부품 분해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접이식 아대장치가 조립된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접이식 아대장치의 저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보조아대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아대장치를 수평 벤딩기의 작업대 일측에 접어 붙이게 되는 과정을 단계별로 보여주는 도면으로, 도7(a)는 회전몸체가 고정몸체로부터 이격되기 시작하는 초기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7(b)는 회전몸체가 고정몸체로부터 완전하게 이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7(c)는 도7(b)의 상태하에서 아대를 아래쪽으로 내리눌러 회전몸체가 회전하기 시작하는 중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7(d)는 회전몸체가 90°각도로 회전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그리고 도7(e)는 도7(d)의 상태에서 아대에의 외력을 제거한 후 탄성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회전몸체가 고정몸체에 밀착되어 아대가 수직으로 접혀 움직임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8 내지 도11은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수평 벤딩기의 소재 길이 셋팅을 위한 접이식 아대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과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소재 길이 셋팅을 위한 접이식 아대장치를 구비한 수평 벤딩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수평 벤딩기(51)는 넓은 표면적을 가지는 작업대(52) 위로 수평으로 작동하도록 유압실린더(53)가 고정설치되고, 유압실린더(53)의 피스톤 선단에는 가동금형(54)이 장착되어 작업대 전방에 입설된 고정금형(55)을 향해 가동금형(54)이 전후진 작동하여 부스바 소재(도8의 부호 6 참조)를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절곡 가공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작업대(52) 상에는 부스바 소재(6)의 길이 셋팅을 위한 측정자(56)가 가로로 설치되어 있는 데, 고정금형(55)의 안쪽으로 진입하는 소재(6)의 길이가 작업대(52)의 양측단(57)을 벗어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측정자(56)의 길이 범위 내에서 소재(6)의 길이 셋팅 작업이 이루어지나, 양측단(57)을 벗어나는 장척물의 경우 상기 측정자(56)로부터 같은 평면 상에서 일직선으로 연장하여 상기 작업대(52)를 벗어나 길게 돌출되게 설치되는 아대장치(58)를 통해 길이의 셋팅 작업이 이루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아대장치(58)는 도3 내지 도7에 상세히 도시한 것과 같이 작업대(52)의 측면에 작업대(52)의 표면과 수평면을 이루도록 길게 날개처럼 펼쳐지거나 또는 수직 하방으로 접혀져 늘어뜨려지는 것이 허용되는 아대(59)와, 그 아대(59) 상면에 상기 작업대(52)위에 설치된 측정자(56)와 연이어 일직선으로 연장하는 형태로 장착하는 측정자(6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아대(59)는 작업대(52)의 측면에 고정몸체(61)와 회전몸체(62)가 한쌍을 이루는 절첩부재(61,62)를 통해 장착되는 데, 상기 고정몸체(61)는 작업대(52)의 측면에 고정 설치되고, 그 고정몸체에 대해 수평과 수직의 90°회동 움직임이 허용되도록 체결되는 회전몸체(62)에 상기 아대(59)의 일단이 볼트 체결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고정몸체(61)와 회전몸체(62)는 아대(59)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양측의 몸체를 수평으로 관통하는 핀축(63)으로 체결되어 상기 회전몸체(62)가 상기 핀축(63)을 기점으로 회전 운동이 허용되며, 상기 회전몸체(62)의 외부로 길게 연장하는 핀축(63) 상에는 상기 회전몸체(62)와 스톱퍼(64) 사이로 탄성스프링(65)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회전몸체(62)는 상기 탄성스프링(65)의 탄발력에 의해 항시 고정몸체(61) 측에 밀착하도록 하는 힘을 받게 되며, 상기 고정몸체(61)와 회전몸체(62)는 서로 단순 평면 접촉하는 것이 아니고 서로 맞물리는 클러치처럼 ㄱ 과 ㄴ 자 형상을 가지고 있는 데, 보다 구체적으로는 그들을 평면에서 보았을 때 서로 접하는 면이 복잡한 계단식 경계면(66,67)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아대(59)가 작업대(52)와 동일 평면을 형성하는 수평 상태에서 상기 회전몸체(62)는 탄성스프링(65)의 탄발력에 의해 고정몸체(61)에 밀착하여 상하 움직임이 고정되며(이때 양측 몸체의 계단식 경계면(66)(67)은 서로 잇빨이 맞물리듯이 밀착된다), 상기 아대(59)를 수직 하방으로 접을 때에는 상기 아대(59)를 손으로 잡고 상기 회전몸체(62)를 탄성스프링(65)을 압축하는 방향으로 밀면 상기 회전몸체(62)가 고정몸체(61)와의 접촉 상태로부터 이격되어 구속 상태로부터 벗어나게 되며, 이때 회전몸체(62)를 수직 하방의 아래로 꺽어 회동시키게 되면 도2 및 도7(e)에서와 같이 아대장치(58)가 접혀진다.
그리고 상기 아대(59)의 상부로는 부스바 소재(6)의 길이의 셋팅을 위해 부스바 소재(6)의 단부를 지지하도록 아대(59)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보조아대(68)와, 상기 보조아대(68) 상면에 장착되는 측정자(69)를 포함하는 보조아대장치(7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아대(68)는 원반 형상을 가진 회전형 지지체(71)의 요홈(72)에 끼워져 장착되어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동 위치에서 상기 회전형 지지체(71)에 손잡이 볼트(73)를 통해 고정되며, 상기 회전형 지지체(71)는 그의 하면으로 축봉(74)이 돌출되어 있어 그 축봉(74)이 상기 아대(59) 및 작업대(52)의 측정자(56)를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된 장착공(76,76,76,,,)들 중 어느 하나에 끼워져 위치가 고정되며, 상기 회전형 지지체(71)가 당해 장착공(76)에 끼워진 상기 축봉(74)을 중심점으로 하여 수평면 상에서의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보조아대(68)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에는 손잡이 볼트(73)를 풀고 보조아대(68)를 원하는 쪽으로 잡아당기면 타측의 볼트(77)의 안내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며, 이동 위치에서 손잡이 볼트(72)를 조이면 보조아대(68)가 고정된다.
이하 본 발명의 아대장치(58)를 도1의 상태에서 도2의 상태로 접는 과정을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작업대(52)를 벗어나는 크기의 장척의 부스바 소재(6)를 가공 시에는 본 발명의 아대장치(58)는 도1과 같이 작업대(52)와 같은 평면을 형성하도록 수평으로 펼쳐지며, 절곡 가공할 소재(6)는 고정금형(55)의 중심점부터 단부까지의 거리를 측정자(60)의 눈금을 보고 맞춘 후 손잡이 볼트(73)를 풀어 보조아대(68)의 고정 상태를 해제한 후 축방향으로 보조아대(68)를 슬라이드시켜 보조아대(68)의 선단면(68A)이 소재(6)의 끝단에 밀착하여 지지토록 하고 손잡이 볼트(73)를 조여 보조아대(68)를 고정시킨다.
다음에 유압실린더(53)를 작동시키면 가동금형(54)이 전진하여 고정금형(55)에 도달하여 소재(6)를 계속 밀어붙여 설정된 각도만큼 절곡시킨 후 유압실린더(53)가 반전하여 가동금형(54)을 후진 작동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소재(6)의 단부는 절곡에 따라 고정금형(55)을 기점으로 작업대(52) 평면상에서 선회하는 운동을 하게 되는 데, 이때 소재(6)의 단부를 밀착하여 지지하고 있는 보조아대(68)는 자연스럽게 축봉(74)을 중심점으로 함께 부드럽게 회전하게 되어(회전 방향은 소재와는 반대로 마치 맞물린 한쌍의 기어처럼 회전 운동이 일어난다) 보조아대(68)가 소재(6)의 절곡 가공에 방해됨이 없게 된다.
이 같이 하여 장척의 소재(6)의 가공이 모두 끝나고 아대장치(58)의 사용이 필요치 않을 때에는 아대장치(58)를 작업대의 일측에 접어 붙이게 되며, 아대장치(58)를 접을 때에는 먼저 보조아대장치(70)를 탈거, 즉 보조아대(68)를 장착한 회전형 지지체(71)를 아대(59)로부터 탈거한 후(상부로 잡아 빼면 하부의 축봉74가 장착공76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된다), 다음 작업에 사용되는 소재(6)의 길이를 참작하여 그에 적합하게 작업대(52) 상에 형성된 장착공(76)들 중 어느 하나에 탈거시킨 회전형 지지체(71)의 축봉(74)을 끼워 장착한다(그러나 보조아대장치70은 아대장치58에 장착한 상태 그대로 둔 상태에서 아대장치를 접어도 상관은 없으며, 또 나중에 탈거하여 작업대52 위로 위치 이동시키거나 그대로 두어도 상관없다).
그리고나서 아대(59)를 손으로 움켜 잡고 탄성스프링(65) 측으로 힘을 가하여 밀면 도7(a)와 같이 회전몸체(62)가 탄성스프링(65)을 압축하면서 이동하게 되어 고정몸체(61)로부터 점차 이격되어지게 된다. 그러나 도7(a) 상태에서는 아직은 고정몸체(61)의 간섭 때문에 회전몸체(62)의 수직 하방으로의 꺽임은 불가능하다.
계속해서 회전몸체(62)를 이동시켜 양측 몸체(61,62)의 계단식 경계면(67)(66)이 도7(b)에서처럼 완전히 분리되어 양측 몸체(61,62)의 상호 간섭 상태가 해제되면, 손으로 잡고 있는 아대(59)를 수직 하방으로 내리누르게 되며, 이에 따라 회전몸체(62)는 도7(c)에서처럼 꺽어짐이 일어나게 되며, 계속 내리누르는 힘에 의해 아대(59)는 도7(d)의 도시 상태(직각의 꺽임 상태)를 거쳐 최종적으로 아대(59)에 가하는 외력을 제거하면 탄성스프링(65)의 탄발력에 의해 회전몸체(62)가 이동하여 고정몸체(61)에 밀착하게 됨으로써 아대(59)는 도7(e) 및 도2와 같이 완전히 수직으로 접혀져 움직이지 않게 고정되는 것이며, 다시 수평으로 펼칠 때에는 앞서와 반대 과정을 실행하면 된다.
이 같이 되면 도2와 같이 되어 도1과 비교하였을 때 길게 돌출되는 부분이 없어져 작업공간이 축소되고 작업자들의 이동 및 움직임에 방해되지 않으며, 또 장치를 차량을 이용하여 수요처에 배송 시 공간을 작게 차지하게 되어 많은 장치의 탑재가 가능함으로써 물류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수평 벤딩기의 소재 길이 셋팅을 위한 접이식 아대장치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51:수평 벤딩기 52:작업대
53:유압실린더 54:가동금형
55:고정금형 56:측정자
57:측면 58:아대장치
59:아대 60:측정자
61:고정몸체 62:회전몸체
63:핀축 64:스톱퍼
65:탄성스프링 66,67:계단식 경계면
68:보조아대 68A:단부면
69:측정자 71:회전형 지지체
72:요홈 73:손잡이 볼트
74:축봉 76:장착공
77:볼트 6:부스바 소재

Claims (6)

  1. 절곡 가공될 부스바 소재의 길이를 셋팅하도록 수평 벤딩기의 작업대에 설치되는 아대장치에 있어서, 상기 아대장치는 작업대의 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몸체와, 그 고정몸체에 대해 수평과 수직의 90°회동 움직임이 허용되도록 체결되는 회전몸체와, 작업대의 측면에 작업대의 표면과 수평면을 이루도록 펼쳐지거나 또는 수직 하방으로 접혀져 늘어뜨려지는 것이 허용되게 상기 회전몸체에 고정되는 아대와, 그 아대 상면에 장착하는 측정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고정몸체와 회전몸체는 핀축으로 체결되어 상기 회전몸체는 상기 핀축을 기점으로 회전 운동이 허용되며, 상기 회전몸체의 외부로 길게 연장하는 핀축 상에는 상기 회전몸체를 항시 고정몸체 측으로 밀어 붙이도록 힘을 가하는 탄성스프링이 설치되며, 상기 아대가 수평 상태에서 상기 회전몸체는 탄성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고정몸체에 밀착하여 수평 상태에서 상하 움직임이 고정되며, 상기 아대를 수직 하방으로 접을 때에는 상기 회전몸체를 탄성스프링을 압축하는 방향으로 밀어 상기 회전몸체가 고정몸체의 구속 상태로부터 벗어나도록 이격시킨 후 아래로 꺽어 회동시키게 구성되며, 상기 아대의 상부에는 부스바 소재의 길이 셋팅을 위해 부스바 소재의 단부를 지지하도록 아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게 보조 아대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보조 아대 상에 측정자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벤딩기의 소재 길이 셋팅을 위한 접이식 아대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몸체와 회전몸체는 계단식 경계면을 가지고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벤딩기의 소재 길이 셋팅을 위한 접이식 아대장치.
  5. 삭제
  6.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아대는 회전형 지지체에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동 위치에서 상기 회전형 지지체에 고정되며, 상기 회전형 지지체는 그의 하면으로 축봉이 돌출되어 있어 그 축봉이 상기 아대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된 장착공들 중 어느 하나에 끼워져 위치가 고정되며, 당해 장착공에 끼워진 상기 축봉을 중심점으로 하여 수평면 상에서의 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벤딩기의 소재 길이 셋팅을 위한 접이식 아대장치.

KR1020100108513A 2010-11-03 2010-11-03 수평 벤딩기의 소재 길이 셋팅을 위한 접이식 아대장치 KR101245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8513A KR101245612B1 (ko) 2010-11-03 2010-11-03 수평 벤딩기의 소재 길이 셋팅을 위한 접이식 아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8513A KR101245612B1 (ko) 2010-11-03 2010-11-03 수평 벤딩기의 소재 길이 셋팅을 위한 접이식 아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6945A KR20120046945A (ko) 2012-05-11
KR101245612B1 true KR101245612B1 (ko) 2013-03-20

Family

ID=46265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8513A KR101245612B1 (ko) 2010-11-03 2010-11-03 수평 벤딩기의 소재 길이 셋팅을 위한 접이식 아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56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99475B (zh) * 2023-12-15 2024-03-15 杭州华翊科技有限公司 涡喷发动机供油管路的手动弯管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2365Y1 (ko) * 2001-05-04 2001-10-12 구완회 절첩식 농업용 써레
JP2004283207A (ja) * 2003-03-19 2004-10-14 Terumo Corp チューブ接合システムおよび作業台
KR20100094156A (ko) * 2009-02-18 2010-08-26 주식회사 우진정공 부스바의 펀칭위치 설정구조가 구비된 부스바 가공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2365Y1 (ko) * 2001-05-04 2001-10-12 구완회 절첩식 농업용 써레
JP2004283207A (ja) * 2003-03-19 2004-10-14 Terumo Corp チューブ接合システムおよび作業台
KR20100094156A (ko) * 2009-02-18 2010-08-26 주식회사 우진정공 부스바의 펀칭위치 설정구조가 구비된 부스바 가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6945A (ko) 2012-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236735U (zh) 一种两边冲孔设备
CN103658261A (zh) 一种多功能卷圆机
KR20110101650A (ko) 부스바 절곡가공장치
CN104810985B (zh) 微型减速电机组装机的减速器供给机构
KR101245612B1 (ko) 수평 벤딩기의 소재 길이 셋팅을 위한 접이식 아대장치
CN204450470U (zh) 一种便携式机修通用工作台
KR101235026B1 (ko) 수평 벤딩기의 소재 길이 셋팅을 위한 회전식 보조아대장치
KR100683000B1 (ko) 분전반용 부스바 성형장치
KR101176783B1 (ko) 수평 작동식 부스바 절곡가공장치
CN205272116U (zh) 一种硬质保温材料双曲面切割装置
CN107160335A (zh) 一种手提式切割装置
CN208713547U (zh) 自锁式齿轮钻孔装置
CN215236992U (zh) 一种便于定位的金属冲压成型装置
KR101176782B1 (ko) 유압실린더의 보호수단을 구비한 수평 작동식 부스바 절곡가공장치
CN108115054A (zh) 一种高精度冲压送料机械手
CN205668332U (zh) 锯片位置可调的切割机
CN210816915U (zh) 一种节能型自动冲压机
CN209953663U (zh) 一种冲床用自动送料装置
CN211440166U (zh) 一种具有压布功能的裁切机
CN203156744U (zh) 移动式多功能电器安装工作车
CN211292369U (zh) 一种电液式万能材料弹性试验机
CN205464021U (zh) 自动送料冲压装置
CN211161423U (zh) 一种电脑显示屏生产加工设备
KR101301531B1 (ko) 공구거치장치
CN212825030U (zh) 一种微型电机换向器的夹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5

Year of fee payment: 6